[go: up one dir, main page]

KR101430445B1 - 화면 크기 조절 기능을 갖는 단말기 및 이러한 기능을구현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매체 - Google Patents

화면 크기 조절 기능을 갖는 단말기 및 이러한 기능을구현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0445B1
KR101430445B1 KR1020070083490A KR20070083490A KR101430445B1 KR 101430445 B1 KR101430445 B1 KR 101430445B1 KR 1020070083490 A KR1020070083490 A KR 1020070083490A KR 20070083490 A KR20070083490 A KR 20070083490A KR 101430445 B1 KR101430445 B1 KR 1014304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terminal
selected area
closed curve
user comman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34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19224A (ko
Inventor
이진상
김수진
임종락
이기형
조재국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834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0445B1/ko
Priority to US12/194,415 priority patent/US20090061948A1/en
Publication of KR200900192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92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04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0445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6Zoom, i.e. interaction techniques or interactors for controlling the zooming ope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27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supporting games or graphical anim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치 스크린상의 영역을 설정받고, 상기 영역 설정 동작에 상응하도록 상기 터치 스크린상에 표시되는 화면 중 일부분을 확대시키거나, 상기 터치 스크린상에 표시되는 화면을 축소시켜 표시하는 화면 크기 조절 기능을 갖는 단말기 및 이러한 기능을 구현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매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화면 크기 조절 기능을 갖는 단말기 및 이러한 기능을 구현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매체{TERMINAL HAVING FUNCTION FOR CONTROLLING SCREEN SIZE AND PROGRAM RECORDING MEDIUM}
본 발명은,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단말기에 있어서, 터치 스크린에 대한 터치 패턴에 따라 화면 크기를 조절하는 단말기 및 이러한 특징을 구현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매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단말기는, 음성/영상 통화 기능, 정보 입/출력 기능 및 데이터 저장 기능 등을 하나 이상 갖춘 기기로서, 휴대용 기기 및 거치식 기기를 모두 의미한다.
최근, 단말기는,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영상 촬영, 음악 파일 또는 동영상 파일 등의 멀티미디어 파일 재생, 게임, 방송 수신/출력, 지도 정보를 이용한 길 안내 서비스 제공 등의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게 되면서, 종합적인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멀티 미디어 기기에는, 복잡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측면에서 새로운 다양한 시도들이 적용되고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쉽고 편리하게 기능을 검색하거나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환경을 제공하고 있다.
특히, 내비게이션 시스템을 구비한 단말기에서는, 사용자가 원하는 목적지까지의 경로 및 경로 상에서의 단말기의 위치가 표시된 지도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는, 경로 상의 일 지점이 포함된 화면 부분을 확대/축소하고자 할 때, 단말기에 구비된 키 버튼을 복 수회 조작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뿐만 아니라, 사진, 텍스트 등이 표시된 화면의 일부분을 확대/축소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그러하다.
본 발명은, 화면 크기를 자유자재로 조절할 수 있는 단말기 및 프로그램을 기록한 매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터치 스크린을 이용하여 화면 크기를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는 단말기 및 프로그램을 기록한 매체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면 크기 조절 기능을 갖는 단말기는, 터치 스크린; 및 상기 터치 스크린상의 영역을 설정받고, 상기 영역 설정 동작에 상응하도록 상기 터치 스크린상에 표시되는 화면 중 일부분을 확대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터치 스크린은, 상기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일정 부분을 확대시켜 표시한다.
또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면 크기 조절 기능을 갖는 단말기는, 터치 스크린; 및 상기 터치 스크린상의 영역을 설정받고, 상기 영역 설정 동작에 상응하도록 상기 터치 스크린상에 표시되는 화면을 축소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터치 스크린은, 상기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축소된 화면을 일부분으로 하는 전체 화면을 표시한다.
또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프로그램을 기록한 매체는, 터치 스크린상의 영역을 설정받아, 상기 영역 설정 동작에 상응하도록 상기 터치 스크린상에 표시되는 화면 중 일부분을 확대시키는 단계; 및 상기 터치 스 크린상에 상기 확대된 일부분을 표시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다.
또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프로그램을 기록한 매체는, 터치 스크린상의 영역을 설정받아, 상기 영역 설정 동작에 상응하도록 상기 터치 스크린상에 표시되는 화면을 축소하는 단계; 및 상기 터치 스크린상에 상기 축소된 화면을 일부분으로 하는 전체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면 크기 조절 기능을 갖는 단말기 및 이러한 기능을 구현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매체에 의한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터치 스크린상의 영역 설정 동작에 상응하도록 터치 스크린상에 표시되는 화면을 확대하거나 축소하여 표시할 수 있다.
둘째, 터치 스크린상의 영역 설정 동작에 상응하도록 화면의 확대 정도 또는 축소 정도를 자유자재로 조절할 수 있다.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더욱 분명해 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화면 크기 조절 기능을 갖는 단말기 및 이러한 기능을 구현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매체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우려가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기술에 대하여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단말기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내비게이션(Navigation), 디지털 카메라(Digital Camera) 등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적용 가능한 단말기는, 상술한 종류에 한정되지 않고, 터치 스크린을 구비하고 이를 통하여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모든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과 관련된 단말기를 기능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서 살펴보겠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관련된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1에 도시된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조작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저장부(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구성요소들은, 실제 응용에서 구현될 때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음을 유념해야 한다.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GPS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무선 통신부(110)를 구성하는 구성요소들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또는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 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각종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데, 특히,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방송 신호를 제공하는 모든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저장부(160)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및 외부의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에서,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모듈로서,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도 있다.
또한,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모듈이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115)은, 적어도 하나의 인공위성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에서, 상기 위치 정보는, 위도 및 경도로 표시되는 좌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100)는, GPS 모듈(115)에 의해 수신된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단말기(100)의 위치를 기준으로 하는 지도 정보 및 특정 목적지까지의 경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단말기(100)는, 현재 단말기(100)의 이동 속도, 특정 목적지까지의 남은 거리 및 예상 소요 시간 등의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때, 단말기(100)는, 출력부(150)를 구성하는 디스플레이 모듈(151), 음향 출력 모듈(152) 및 알람 출력 모듈(153)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GPS 모듈(115)에 의해 수신된 위치 정보에 근거한 다양한 위치 관련 정보를 출력할 수 있 다.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비디오 신호 또는 오디오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비디오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카메라 모듈(121)과 오디오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마이크 모듈(122)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A/V(Audio/Video) 입력부(120)를 구성하는 구성요소들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카메라 모듈(121)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그리고, 상기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 모듈(151)에 표시되거나, 저장부(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21)은,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마이크 모듈(122)은, 통화 모드, 녹음 모드 또는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그리고, 상기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한편, 마이크 모듈(122)은,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을 구현할 수 있다.
조작부(130)는, 사용자로부터 단말기(100)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동작을 받아들이고, 그에 상응하는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조작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dome switch), 터 치 패드(touch pad), 조그 휠(jog wheel), 조그 스위치(jog switch)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터치 패드가 후술하는 디스플레이 모듈(151)과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룰 경우, 이를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이라 부를 수 있다.
센싱부(140)는,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등과 같이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센싱부(140)는,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센싱부(140)는, 전원 공급부(190)에 의한 전원 공급 상태,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와의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단말기(100)와 외부 기기를 연결하는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 따라서,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를 외부 기기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부(170)에는, 유/무선 헤드셋, 외부 충전기, 유/무선 데이터 포트, 카드 소켓(예를 들어, 메모리 카드(Memory card), SIM/UIM card), 오디오 I/O(Input/Output) 단자, 비디오 I/O(Input/Output) 단자, 이어폰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출력부(150)는, 비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모듈(151),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음향 출력 모듈(152) 및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알람 출력 모 듈(153)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출력부(150)를 구성하는 구성요소들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디스플레이 모듈(151)은,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화면상에 출력한다.
예를 들어, 단말기(100)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그리고,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및/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 수신 및/또는 촬영된 영상, 및 현재 모드에 관련된 UI 및/또는 GUI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 모듈(151)은,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듈(151)이 2개 이상 존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100)에 외부 디스플레이 모듈(미도시)과 내부 디스플레이 모듈(미도시)이 동시에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모듈(151)과 터치패드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터치 스크린은,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음향 출력 모듈(152)은, 호 신호 수신 모드, 통화 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 인식 모드, 방송 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저장부(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음향 출력 모듈(152)은,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 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알람 출력 모듈(153)은,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단말기(100)에서 발생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등이 있다. 알람 출력 모듈(153)은, 오디오 신호나 비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예를 들면, 진동 형태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호 신호가 수신되거나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이를 알리기 위해 알람 출력 모듈(153)은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 또는, 키 신호가 입력된 경우, 알람 출력 모듈(153)은, 키 신호 입력에 대한 피드백으로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진동 출력을 통해 사용자는 이벤트 발생을 인지할 수 있다. 물론, 이벤트 발생 알림을 위한 신호는, 디스플레이 모듈(151)이나 음성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다.
저장부(160)는, 제어부(1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phonebook),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저장부(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 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저장부(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를 운영할 수도 있다.
제어부(180)는, 통상적으로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재생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재생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하드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의 소프트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또는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이하에서는, 도 1, 도 2 및 도 3을 더욱 참조하여, 본 발명과 관련된 단말기를 외형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서 살펴보겠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간명함을 위해, 폴더 타입(folder type), 바 타입(bar type), 스윙 타입(swing type), 슬라이더 타입(slider type) 등과 같은 여러 타입의 단말기들 중에서 슬라이더 타입의 단말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슬라이더 타입의 단말기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전술한 타입을 포함한 모든 타입의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단말기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100)는, 제 1 바디(100A)와, 제 1 바디(100A)에 적어 도 일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된 제 2 바디(100B)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100)가, 폴더 타입인 경우에, 제 1 바디와, 제 1 바디에 적어도 일측이 폴딩(folding) 또는 언폴딩(unfolding)되게 구성된 제 2 바디를 포함한다.
제 1 바디(100A)가 제 2 바디(100B)와 중첩되게 배치된 상태를 닫힌 상태(closed configuration)라 칭할 수 있으며, 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바디(100A)가 제 2 바디(100B)의 적어도 일 부분을 노출한 상태를 열린 상태(open configuration)라 칭할 수 있다.
단말기(100)는, 닫힌 상태에서 주로 대기 모드로 작동하지만,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대기 모드를 해제하기도 한다. 그리고, 단말기(100)는, 열린 상태에서 주로 통화 모드 등으로 작동하지만, 사용자의 조작 또는 소정 시간의 경과에 의해 대기 모드로 전환하기도 한다.
상기 제 1 바디(100A)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는, 제 1 프론트 케이스(100A-1)와 제 1 리어 케이스(100A-2)에 의해 형성된다. 제 1 프론트 케이스(100A-1)와 제 1 리어 케이스(100A-2)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제 1 프론트 케이스(100A-1)와 제 1 리어 케이스(100A-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들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제 1 바디(100A), 구체적으로 제 1 프론트 케이스(100A-1)에는, 디스플레이 모듈(151), 제 1 음향 출력 모듈(152-1), 제 1 카메라 모듈(121-1) 또는 제 1 조작부(130-1)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모듈(151)은, 터치 패드와 레이어 구조로 중첩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성하여,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의 입력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제 1 음향 출력 모듈(152-1)은, 스피커(speaker)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제 1 카메라 모듈(121-1)은,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기에 적절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제 1 바디(100A)와 마찬가지로, 제 2 바디(100B)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는, 제 2 프론트 케이스(100B-1)와 제 2 리어 케이스(100B-2)에 의해 형성된다.
제 2 바디(100B), 구체적으로 제 2 프론트 케이스(100B-1)의 전면(front face)에는, 제 2 조작부(130-2)가 배치될 수 있다.
제 2 프론트 케이스(100B-1) 또는 제 2 리어 케이스(100B-2) 중 적어도 하나에는, 제 3 조작부(130-3), 마이크 모듈(122), 인터페이스부(17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내지 제 3 조작부(130-1, 130-2, 130-3)는, 조작부(130)라 통칭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조작부(130)는, 사용자의 누름(push) 또는 터치(touch) 조 작에 의해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돔 스위치 또는 터치 패드로 구현되거나, 키를 회전시키는 휠 방식, 조그 방식 또는 조이 스틱 방식 등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면에서, 제 1 조작부(130-1)는,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고, 제 2 조작부(130-2)는, 숫자 또는 문자, 심볼(symbol) 등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제 3 조작부(130-3)는, 단말기(100) 내의 특수한 기능을 활성화하기 위한 핫 키(hot-key)로서 작동할 수 있다.
마이크 모듈(122)은,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받기에 적절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본 발명과 관련된 단말기(100)가 외부 기기와 데이터 교환 등을 할 수 있게 하는 통로가 된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부(17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이어폰과 연결하기 위한 접속단자,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트{예를 들어 적외선 포트(IrDA port), 블루투스 포트(Bluetooth port), 무선 랜 포트(wireless LAN port)등}, 또는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 단자들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IM(user identity module),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외장형 카드를 수용하는 카드 소켓일 수도 있다.
제 2 리어 케이스(100B-2) 측에는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190)가 장착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충전 가능한 배터리(미도시) 를 포함하고, 배터리(미도시)는, 충전 등을 위하여 착탈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련된 단말기를 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 2 바디(100B)의 제 2 리어 케이스(100B-2)의 후면에는, 제 2 카메라 모듈(121-2)이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제 2 카메라 모듈(121-2)은, 제 1 카메라 모듈(121-1)과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제 1 카메라 모듈(121-1)과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카메라 모듈(121-1)은,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 화소를 가지며, 제 2 카메라 모듈(121-2)은,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 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카메라 모듈(121-2)에 인접하게는 플래쉬(121-3)와 거울(121-4)이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플래쉬(121-3)는, 제 2 카메라 모듈(121-2)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상기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거울(121-4)은, 사용자가 제 2 카메라 모듈(121-2)을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일명, 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
제 2 리어 케이스(100B-2)에는, 제 2 음향 출력 모듈(152-2)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제 2 음향 출력 모듈(152-2)은, 제 1 음향 출력 모듈(152-1)과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스피커 폰 모드의 통화를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제 2 리어 케이스(100B-2)의 일 측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 신호 수신용 안테나(111-1)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안테나(111-1)는, 제 2 바디(100B)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제 1 바디(100A)의 제 1 리어 케이스(100A-2) 측에는, 제 1 바디(100A)와 제 2 바디(100B)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는 슬라이드 모듈(100C)의 일 부분이 배치된다.
슬라이드 모듈(100C)의 다른 부분은, 제 2 바디(100B)의 제 2 프론트 케이스(100B-1) 측에 배치되어, 본 도면에서와 같이 외부로 드러나지 않는 형태일 수 있다.
이상에서는, 제 2 카메라 모듈(121-2) 등이 제 2 바디(100B)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그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 2 카메라 모듈(121-2) 등과 같이 제 2 리어 케이스(100B-2)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한 구성들(111-1, 121-2 내지 121-3, 152-2)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제 1 바디(100A), 주로는 제 1 리어 케이스(100A-2)에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한 경우라면, 닫힌 상태에서 제 1 리어 케이스(100A-2)에 배치되는 구성(들)이 제 2 바디(100B)에 의해 보호되는 이점이 있다. 나아가, 제 2 카메라 모듈(121-2)이 별도로 구비되지 않더라도, 제 1 카메라 모듈(121-1)이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제 2 카메라모듈(121-2)의 촬영 방향까지 촬영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도 4는, 길 안내 서비스를 제공중인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 플레이 모듈(151)이 구비된 차량용 내비게이션의 전면도이다. 도 5는, 차량용 내비게이션이 차량에 붙박이 형식으로 장착된 전면도이다.
물론,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차량용 내비게이션은, 차량에 착탈식으로 구비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도 2 및 3에 도시된 휴대폰 형태의 단말기(100)도, 차량에 착탈식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차량용 내비게이션의 기능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면 크기 조절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각 구성요소들의 유기적 동작 관계를 설명하도록 한다.
제어부(180)는, 터치 스크린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동작에 상응하도록 소정의 영역을 설정받고, 상기 영역 설정 동작에 상응하도록 터치 스크린상에 표시되는 화면 중 일부분을 확대시키거나, 상기 터치 스크린상에 표시되는 화면을 축소할 수 있다.
여기에서, 터치 스크린상에 표시되는 화면은, 위치 정보에 근거한 경로, 및 경로 상의 위치가 표시된 지도 화면, 사진, 텍스트 등의 정보를 표시하는 화면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터치 스크린은, 제어부(18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일부분을 확대시켜 표시하거나, 축소된 화면을 일부분으로 하는 전체 화면을 표시하게 된다.
또한, 알람 출력 모듈(153)은, 상기 확대 동작 또는 축소 동작의 피드백(feedback)으로서, 진동을 출력할 수도 있다.
또한, 도면상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단말기(100)는,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스스로 생성할 수도 있고, 외부 서버로부터 이를 제공받을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과 관련된 단말기에서의 화면 크기 조절 과정을 각 단계별로 살펴보겠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램에 의해 구현되는 화면 크기 조절 과정의 흐름도이다.
단말기(100)는, 터치 스크린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동작에 상응하도록, 터치 스크린상의 영역을 설정한다(S610).
여기에서, 영역은, 터치 스크린상에 그려지는 폐곡선의 내부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이때, 터치 스크린상에 폐곡선이 아닌 곡선이 그려진 경우라도, 단말기(100)는, 상기 그려진 곡선에 가장 유사한 폐곡선을 유추하여, 상기 유추된 폐곡선의 내부 영역을 상기 설정된 영역으로 인식할 수 있다. 저장부(160)는, 폐곡선이 아닌 곡선에 가장 유사한 폐곡선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또한, 설정 단계(S610)에서, 단말기(100)는, 터치 스크린상의 일 지점이 터치되는 경우에, 상기 터치된 일 지점을 중심으로 일정 반경을 지닌 원의 내부 영역을 상기 설정된 영역으로 인식할 수 있다. 이때, 원의 반경은, 일 지점에 대한 터치 시간, 터치 압력 등에 비례하여 설정될 수 있다.
단말기(100)는, 설정 단계(S610)에서의 영역 설정 동작에 상응하도록, 터치 스크린상에 표시되는 화면 중 일부분을 확대시킨다(S620). 그리고, 단말기(100)는, 터치 스크린상에 표시되는 화면 중 확대 단계(S620)에서 확대된 일부분을 터치 스크린상에 표시한다(S630).
확대 단계(S620)에서, 단말기(100)는, 터치 스크린상에 표시되는 화면 중 상기 설정된 영역에 해당하는 부분의 일 지점을 기준으로 확대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설정된 영역에 해당하는 부분이란, 상기 설정된 영역 내에서 표시되는 화면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100)는, 상기 설정된 영역에 해당하는 화면 부분에서 임의의 지점, 바람직하게는 중심점을 기준으로 확대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도 7 내지 도 10의 도면들에서, 화면 확대의 기준점이 상기 설정된 영역의 중심점임을 도시하고 있다. 물론, 도면상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화면 확대 또는 화면 축소의 기준점은, 상기 설정된 영역 내라면, 어느 지점이라도 가능함은 당연하다.
또한, 단말기(100)는, 터치 스크린상에 표시되는 화면 중 상기 설정된 영역에 해당하는 부분을 전체 화면으로 확대시킬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도 7을 참조하여, 터치 스크린에 대한 영역 설정 동작에 상응하여 화면을 확대하는 과정을 화면 구성의 관점에서 살펴보겠다. 도 7에서는, GPS 모듈(115)의 구동 결과, 단말기(100)의 이동 경로가 표시된 지도를 표시한다고 가정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포인터(715)를 이용하여 터치 스크린상에 시계 방향으로 형성되는 원(711)을 도시한다(a). 이때, 단말기(100)는, 사용자에 의해 도시된 원의 내부 영역을 본 발명에 따른 영역으로 설정하게 된다. 그리고, 단말기(100)는, 원(711)에 내접하여 원(711)의 지름 길이를 대각선 길이로 하 는 제 1 사각형(712) 및 원(711)에 외접하여 원(711)의 지름 길이를 변의 길이로 하는 제 2 사각형(713)을 인식할 수 있다.
물론, (a) 상태에서는, 영역 설정을 위하여 원(711)뿐만 아니라 폐곡선을 형성하는 어떠한 도형이라도 가능하다.
그리고, 단말기(100)는, (a) 상태에서 표시되는 화면 중 제 1 사각형(712)에 해당하는 부분을 전체 화면으로 확대시킬 수 있다(b). 이때, 단말기(100)는, 원(711)의 중심점(711-1)을 기준으로 확대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또는, 단말기(100)는, (a) 상태에서 표시되는 화면 중 제 2 사각형(713)에 해당하는 부분을 전체 화면으로 확대시킬 수도 있다(c). 이때도, 단말기(100)는, 원(711)의 중심점(711-1)을 기준으로 확대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경우에 따라서, 제 1 사각형(712) 또는 제 2 사각형(713)에 해당하는 부분은, 전체 화면이 아닌 부분 화면으로 확대될 수도 있다. 이때, 부분 화면의 설정 여부 및 크기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도 있고, 단말기(100)에 의해 설정될 수도 있다.
또한, 단말기(100)는, 상기 영역 설정 동작의 연속 반복 횟수에 비례하는 확대 정도로, 상기 터치 스크린상에 표시되는 화면의 일부분을 확대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확대 정도는, 지도의 축척을 이용한 확대 배율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축척이 1:50000에서 1;25000으로 변경되는 경우, 확대 배율은, 2배가 된다.
이에 대하여, 도 8을 참조하여, 터치 스크린에 대한 영역 설정 동작에 상응 하여 화면을 확대하는 과정을 화면 구성의 관점에서 살펴보겠다. 도 8에서는, GPS 모듈(115)의 구동 결과, 단말기(100)의 이동 경로가 표시된 지도를 표시한다고 가정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포인터(813)를 이용하여 터치 스크린상에 시계 방향으로 형성되는 원(811)을 도시한다(a). 이때, 단말기(100)는, 원(811)의 중심점(811-1) 및 원(811)의 설정 동작의 횟수를 인식하게 된다.
(a) 상태에서 원(811)이 '1회' 그려지는 경우에, 단말기(100)는, 영역 설정 동작 '1회'에 해당하는 확대 정도로, (a) 상태에서 표시되는 화면 중 중심점(811-1)을 중심으로 하는 일부분을 확대하여 표시한다(b).
또는, (a) 상태에서 원(811)이 동일한 자취를 따라 연속하여 '2회' 그려지는 경우에, 단말기(100)는, 영역 설정 동작 '2회'에 해당하는 확대 정도로, (a) 상태에서 표시되는 화면 중 중심점(811-1)을 중심으로 하는 일부분을 확대하여 표시한다(c). (c) 상태에서, 단말기(100)는, 영역 설정 동작 '2회'가 완료된 경우에 영역 설정 동작 '2회'에 해당하는 확대 정도로 확대된 화면을 표시할 수도 있고, 단계적으로 영역 설정 동작 '1회' 완료시 그에 해당하는 확대 정도로 확대된 화면을 먼저 표시하고 연속하여 영역 설정 동작 '2회'가 완료되면 그에 해당하는 확대 정도로 확대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영역 설정 동작 횟수별 확대 정도는, 저장부(160)에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영역 설정 동작 횟수별 확대 정도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거나, 단말기(100)에 의해 설정될 수도 있다.
또한, 영역 설정 동작 횟수별 확대 정도는, 영역 설정 동작의 연속 반복 횟수에 비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역 설정 동작 '1회' 및 '2회'에 해당하는 확대 정도는, 각각 2배 및 4배일 수 있다. 따라서, 영역 설정 동작의 연속 반복 횟수가 커질수록, 확대 정도을 크게 설정할 수 있다. 물론, 상술한 바와 반대로, 영역 설정 동작 횟수별 확대 정도는, 영역 설정 동작의 연속 반복 횟수에 반비례하게 설정될 수도 있다.
또한, 단말기(100)는, 상기 설정된 영역의 크기에 반비례하는 확대 정도로, 터치 스크린상에 표시되는 화면의 일부분을 확대시킬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도 9a 및 도 9b을 참조하여, 터치 스크린에 대한 영역 설정 동작에 상응하여 화면을 확대하는 과정을 화면 구성의 관점에서 살펴보겠다. 도 9 a 및 도 9b에서는, GPS 모듈(115)의 구동 결과, 단말기(100)의 이동 경로가 표시된 지도 화면을 표시한다고 가정한다.
먼저,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포인터(913)를 이용하여 터치 스크린상에 시계 방향으로 형성되는 원(911)을 도시한다(a). 이때, 단말기(100)는, 원(911)의 중심점(911-1) 및 원(911)의 크기를 인식하게 된다.
그리고, 단말기(100)는, 원(911)의 크기(일반적으로, 원의 지름 또는 반지름으로 판단할 수 있음)에 해당하는 확대 정도로, (a) 상태에서 표시되는 화면 중 중심점(911-1)을 중심으로 하는 일부분을 확대하여 표시한다(b).
또는,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포인터(913)를 이용하여 터치 스크린상에 시계 방향으로 형성되는 원(912)을 도시한다(a). 이때, 단말기(100)는, 원(912)의 중심점(912-1) 및 원(912)의 크기를 인식하게 된다. 이때, 도 9b의 원(912)의 크기는, 도 9a의 원(911)의 크기의 2배라고 가정한다.
그리고, 단말기(100)는, 원(912)의 크기에 해당하는 확대 정도로, (a) 상태에서 표시되는 화면 중 중심점(912-1)을 중심으로 하는 일부분을 확대하여 표시한다(b).
이때, 영역 크기별 확대 정도는, 저장부(160)에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영역 크기별 확대 정도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거나, 단말기(100)에 의해 설정될 수도 있다.
또한, 영역 크기별 확대 정도는, 영역 크기에 반비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역을 형성하는 원의 반지름 '1cm' 및 '2cm'에 해당하는 확대 정도는, 각각 4배 및 2배일 수 있다. 따라서, 영역 크기가 커질수록, 확대 정도을 작게 설정할 수 있다. 물론, 상술한 바와 반대로, 영역 크기별 확대 정도는, 영역 크기에 비례하게 설정될 수도 있다.
또한, 단말기(100)는, 영역 설정을 위한 드래그 동작의 속도에 비례하는 확대 정도로, 터치 스크린상에 표시되는 화면의 일부분을 확대시킬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도 10을 참조하여, 터치 스크린에 대한 영역 설정 동작에 상응하여 화면을 확대하는 과정을 화면 구성의 관점에서 살펴보겠다. 도 10에서는, GPS 모듈(115)의 구동 결과, 단말기(100)의 이동 경로가 표시된 지도 화면을 표시한다고 가정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포인터(1013)를 이용하여 터치 스크린 상에 시계 방향으로 형성되는 원(1011)을 도시한다(a). 이때, 단말기(100)는, 원(1011)의 중심점(1011-1) 및 원(1011)을 설정하기 위한 드래그 속도를 인식하게 된다.
(a) 상태에서 드래그 속도가 '5m/s'인 경우에, 단말기(100)는, 드래그 속도 '5m/s'에 해당하는 확대 정도로, (a) 상태에서 표시되는 화면 중 중심점(1011-1)을 중심으로 하는 일부분을 확대하여 표시한다(b).
또는, (a) 상태에서 드래그 속도가 '10m/s'인 경우에, 단말기(100)는, 드래그 속도 '10m/s'에 해당하는 확대 정도로, (a) 상태에서 표시되는 화면 중 중심점(1011-1)을 중심으로 하는 일부분을 확대하여 표시한다(c).
이때, 드래그 속도별 확대 정도는, 저장부(160)에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드래그 속도별 확대 정도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거나, 단말기(100)에 의해 설정될 수도 있다.
또한, 드래그 속도별 확대 정도는, 드래그 속도에 비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드래그 속도 '5m/s' 및 '10m/s'에 해당하는 확대 정도는, 각각 2배 및 4배일 수 있다. 따라서, 드래그 속도가 커질수록, 확대 정도을 크게 설정할 수 있다. 물론, 상술한 바와 반대로, 드래그 속도별 확대 정도는, 드래그 속도에 반비례하게 설정될 수도 있다.
도 6으로 복귀하여, 단말기(100)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터치 스크린을 통하여 화면 축소 명령에 상응하는 터치 동작을 입력받는다(S640).
여기에서, 상기 화면 축소 명령에 상응하는 터치 동작은, 터치 스크린상에서 사용자에 의해 수행되는 영역 설정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100)는, 상기 영역 설정 동작에 의해 터치 스크린상에 내부 영역을 갖는 폐곡선이 그려지는 경우에, 상기 화면 축소 명령에 상응하는 터치 동작을 입력받았다고 인식할 수 있다. 이때, 단말기(100)는, 폐곡선이 아닌 곡선이 그려지는 경우, 상기 그려진 곡선에 가장 유사한 폐곡선을 유추할 수도 있다.
또한, 단말기(100)는, 상기 화면 축소 명령에 상응하는 터치 동작으로서, 화면 축소 명령에 상응하는 터치 횟수, 터치 압력, 터치 방향 또는 터치 시간에 따른 터치 동작을 입력받을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화면 축소 명령에 상응하는 터치 동작을 상기 터치 스크린에 대한 사용자의 영역 설정 동작에 한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단말기(100)는, 영역 설정 동작의 패턴을 파악하여, 영역 설정 동작이 화면 확대 및 화면 축소 중 어느 것을 위한 것인지를 구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100)는, 영역의 드래그 방향, 영역 설정 후 포인터에 의해 터치된 지점의 위치, 영역 설정 완료에 따른 포인터의 마지막 위치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영역 설정 동작이 화면 확대 또는 화면 축소를 위한 동작인지를 구별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서는, 도 15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물론, 단말기(100)는, 앞서 설명한 S610 내지 S630 단계(화면 확대 및 표시 단계)를 거치지 않고 곧바로 S640 단계로 진입하거나, S610 내지 S630 단계의 진행 후 S640 이후의 단계들(화면 축소 및 표시 단계)을 수행하지 않을 수도 있다. 왜냐 하면, 본 발명에서 화면 확대에 따른 과정 및 화면 축소에 따른 과정은, 경우에 따라 각각 진행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단말기(100)는, 입력 단계(S640)에서 입력된 화면 축소 명령에 상응하는 터치 동작 예를 들어, 영역 설정 동작에 상응하도록, 터치 스크린상에 표시되는 화면을 축소한다(S650). 그리고, 단말기(100)는, 축소 단계(S650)에서 축소된 화면을 일부분으로 하는 전체 화면을 터치 스크린상에 표시한다(S660).
축소 단계(S650)에서, 단말기(100)는, 터치 스크린상에 표시되는 화면 중 상기 설정된 영역에 해당하는 부분의 일 지점을 기준으로 축소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에서, 영역 및 상기 설정된 영역에 해당하는 부분에 대하여서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이하에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단말기(100)는, 상기 설정된 영역에 해당하는 화면 부분 내의 임의의 지점, 바람직하게는 중심점을 기준으로 축소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도 11 내지 도 14의 도면들에서, 화면 축소의 기준점이 상기 설정된 영역의 중심점임을 도시하고 있다.
또한, 단말기(100)는, 터치 스크린상에 표시되는 화면을 상기 설정된 영역에 해당하는 부분으로 축소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도 11을 참조하여, 터치 스크린에 대한 영역 설정 동작에 상응하여 화면을 축소하는 과정을 화면 구성의 관점에서 살펴보겠다. 도 11에서는, GPS 모듈(115)의 구동 결과, 단말기(100)의 이동 경로가 표시된 지도 화면을 표시한다고 가정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포인터(1115)를 이용하여 터치 스크린상에 반시계 방향으로 형성되는 원(1111)을 도시한다(a). 이때, 단말기(100)는, 사용자에 의해 도시된 원의 내부 영역을 본 발명에 따른 영역으로 설정하게 된다. 그리고, 단말기(100)는, 원(1111)에 내접하여 원(1111)의 지름 길이를 대각선 길이로 하는 제 1 사각형(1112) 및 원(1111)에 외접하여 원(1111)의 지름 길이를 변의 길이로 하는 제 2 사각형(1113)을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기(100)는, (a) 상태에서 표시되는 전체 화면이 제 1 사각형 (1112)내에서 표시되도록 축소할 수 있다(b). 이때, 단말기(100)는, 원(1111)의 중심점(1111-1)을 기준으로 축소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단말기(100)는, (a) 상태에서 표시되는 전체 화면이 축소되어, 또 다른 전체 화면의 일부분이 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단말기(100)는, (a) 상태에서 표시되는 전체 화면이 제 2 사각형 (1113) 내에서 표시되도록 축소할 수도 있다(c). 이때도, 단말기(100)는, 원(1111)의 중심점(1111-1)을 기준으로 축소 동작을 수행하고, (a) 상태에서 표시되는 전체 화면을 축소하여 또 다른 전체 화면의 일부분이 되도록 한다.
경우에 따라서, 상술한 축소 동작 및 그에 따른 표시 동작은, 터치 스크린의 일부 영역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이때, 일부 영역의 설정 여부 및 크기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도 있고, 단말기(100)에 의해 설정될 수도 있다.
또한, 단말기(100)는, 상기 영역 설정 동작의 연속 반복 횟수에 비례하는 축소 정도로, 터치 스크린상에 표시되는 화면을 축소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도 12를 참조하여, 터치 스크린에 대한 영역 설정 동작에 상응하여 화면을 축소하는 과정을 화면 구성의 관점에서 살펴보겠다. 도 12에서는, GPS 모듈(115)의 구동 결과, 단말기(100)의 이동 경로가 표시된 지도를 표시한다고 가정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포인터(1213)를 이용하여 터치 스크린상에 반시계 방향으로 형성되는 원(1211)을 도시한다(a). 이때, 단말기(100)는, 원(1211)의 중심점(1211-1) 및 원(1211)의 설정 동작의 횟수를 인식하게 된다.
(a) 상태에서 원(1211)이 '1회' 그려지는 경우에, 단말기(100)는, 영역 설정 동작 '1회'에 해당하는 축소 정도로 (a) 상태에서 표시되는 화면을 중심점(1211-1)을 중심으로 축소하여, 상기 축소된 화면을 일부분으로 하는 전체 화면을 표시한다(b). 여기에서, 상기 축소 정도는, 지도의 축척을 이용한 축소 배율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축척이 1:50000에서 1;100000으로 변경되는 경우, 축소 배율은, 1/2배가 된다.
또는, (a) 상태에서 원(1211)이 동일한 자취를 따라 연속하여 '2회' 그려지는 경우에, 단말기(100)는, 영역 설정 동작 '2회'에 해당하는 축소 정도로 (a) 상태에서 표시되는 화면을 중심점(1211-1)을 중심으로 축소하고, 상기 축소된 화면을 일부분으로 하는 전체 화면을 표시한다(c).
이때, 영역 설정 동작 횟수별 축소 정도는, 저장부(160)에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영역 설정 동작 횟수별 축소 정도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거나, 단말기(100)에 의해 설정될 수도 있다.
또한, 영역 설정 동작 횟수별 축소 정도는, 영역 설정 동작의 연속 반복 횟수에 비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역 설정 동작 '1회' 및 '2회'에 해당하는 축소 정도는, 각각 1/2배 및 1/4배일 수 있다. 따라서, 영역 설정 동작의 연속 반복 횟수가 커질수록, 축소 정도를 크게 설정할 수 있다. 물론, 상술한 바와 반대로, 영역 설정 동작 횟수별 축소 정도는, 영역 설정 동작의 연속 반복 횟수에 반비례하게 설정될 수도 있다.
또한, 단말기(100)는, 상기 설정된 영역의 크기에 반비례하는 축소 정도로, 터치 스크린상에 표시되는 화면을 축소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도 13a 및 도 13b을 참조하여, 터치 스크린에 대한 영역 설정 동작에 상응하여 화면을 축소하는 과정을 화면 구성의 관점에서 살펴보겠다. 도 13a 및 도 13b에서는, GPS 모듈(115)의 구동 결과, 단말기(100)의 이동 경로가 표시된 지도 화면을 표시한다고 가정한다.
먼저,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포인터(1313)를 이용하여 터치 스크린상에 반시계 방향으로 형성되는 원(1311)을 도시한다(a). 이때, 단말기(100)는, 원(1311)의 중심점(1311-1) 및 원(1311)의 크기를 인식하게 된다.
그리고, 단말기(100)는, 원(1311)의 크기에 해당하는 축소 정도로 (a) 상태에서 표시되는 화면을 중심점(1311-1)을 중심으로 축소하고, 상기 축소된 화면을 일부분으로 하는 전체 화면을 표시한다(b).
또는,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포인터(1313)를 이용하여 터치 스크린상에 반시계 방향으로 형성되는 원(1312)을 도시한다(a). 이때, 단말기(100) 는, 원(1312)의 중심점(1312-1) 및 원(1312)의 크기를 인식하게 된다. 이때, 도 13b의 원(1312)의 크기는, 도 13a의 원(1311)의 크기의 2배라고 가정한다.
그리고, 단말기(100)는, 원(1312)의 크기에 해당하는 축소 정도로 (a) 상태에서 표시되는 화면을 중심점(1312-1)을 중심으로 축소하고, 상기 축소된 화면을 일부분으로 하는 전체 화면을 표시한다(b).
이때, 영역 크기별 축소 정도는, 저장부(160)에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영역 크기별 축소 정도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거나, 단말기(100)에 의해 설정될 수도 있다.
또한, 영역 크기별 축소 정도는, 영역 크기에 반비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역을 형성하는 원의 반지름 '1cm' 및 '2cm'에 해당하는 축소 정도는, 각각 1/4배 및 1/2배일 수 있다. 따라서, 영역 크기가 커질수록, 축소 정도를 작게 설정할 수 있다. 물론, 상술한 바와 반대로, 영역 크기별 축소 정도는, 영역 크기에 비례하게 설정될 수도 있다.
또한, 단말기(100)는, 영역 설정을 위한 드래그 동작의 속도에 비례하는 축소 정도로, 터치 스크린상에 표시되는 화면을 축소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도 14를 참조하여, 터치 스크린에 대한 영역 설정 동작에 상응하여 화면을 축소하는 과정을 화면 구성의 관점에서 살펴보겠다. 도 14에서는, GPS 모듈(115)의 구동 결과, 단말기(100)의 이동 경로가 표시된 지도 화면을 표시한다고 가정한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포인터(1413)를 이용하여 터치 스크린 상에 반시계 방향으로 형성되는 원(1411)을 도시한다(a). 이때, 단말기(100)는, 원(1411)의 중심점(1411-1) 및 원(1411)을 설정하기 위한 드래그 동작의 속도를 인식하게 된다.
(a) 상태에서 드래그 속도가 '5m/s'인 경우에, 단말기(100)는, 드래그 속도 '5m/s'에 해당하는 축소 정도로, (a) 상태에서 표시되는 화면을 중심점(1411-1)을 중심으로 축소하고, 상기 축소된 화면을 일부분으로 하는 전체 화면을 표시한다(b).
또는, (a) 상태에서 드래그 속도가 '10m/s'인 경우에, 단말기(100)는, 드래그 속도 '10m/s'에 해당하는 축소 정도로, (a) 상태에서 표시되는 화면을 중심점(1411-1)을 중심으로 축소하고, 상기 축소된 화면을 일부분으로 하는 전체 화면을 표시한다(c).
이때, 드래그 속도별 축소 정도는, 저장부(160)에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드래그 속도별 축소 정도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거나, 단말기(100)에 의해 설정될 수도 있다.
또한, 드래그 속도별 축소 정도는, 드래그 속도에 비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드래그 속도 '5m/s' 및 '10m/s'에 해당하는 축소 정도는, 각각 1/2배 및 1/4배일 수 있다. 따라서, 드래그 속도가 커질수록, 축소 정도를 크게 설정할 수 있다. 물론, 상술한 바와 반대로, 드래그 속도별 축소 정도는, 드래그 속도에 반비례하게 설정될 수도 있다.
한편, 도면상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단말기(100)는, S640 내지 S660 단계(화 면 축소 및 표시 단계)의 수행 이후에 S610 내지 S630 단계(화면 확대 및 표시 단계)를 수행할 수도 있다. 왜냐하면, 본 발명에서는, 필요에 따라 화면 축소 동작 및 화면 확대 동작의 순서를 변경하여 수행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이하에서는, 도 15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라 터치 스크린에 대한 터치 패턴에 따른 화면 확대/축소 과정을 화면 구성의 관점에서 살펴보겠다. 이하, 화면 확대/축소를 위한 영역은, 사용자에 의해 그려지는 원의 내부 영역이라고 가정한다. 도 15 내지 17에서는, GPS 모듈(115)의 구동 결과, 단말기(100)의 이동 경로가 표시된 지도 화면을 표시한다고 가정한다.
도 15는, 터치 스크린에 대한 터치 패턴에 따른 화면 확대/축소 과정을 나타낸 제 1 화면 구성도이다.
먼저, 단말기(100)는, 영역 설정을 위한 원(1511)이 터치 스크린상에서 "시계 방향"으로 그려지는 경우에(b), 화면 확대 명령을 위한 터치 동작으로 인식하여, (a) 상태에서 표시되는 화면(1510)을 확대하여 표시할 수 있다(c).
다음으로, 단말기(100)는, 영역 설정을 위한 원(1511)이 터치 스크린상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그려지는 경우에(d), 화면 축소 명령을 위한 터치 동작으로 인식하여, (a) 상태에서 표시되는 화면(1510)을 축소하여 표시할 수 있다(e).
도 16은, 터치 스크린에 대한 터치 패턴에 따른 화면 확대/축소 과정을 나타낸 제 2 화면 구성도이다.
먼저, 단말기(100)는, 영역 설정을 위한 원(1611)이 터치 스크린상에서 그려진 후 포인터(1613)의 드래그 동작이 종료되는 지점이 원(1611)의 외부에 위치하는 경우(b), 화면 확대 명령을 위한 터치 동작으로 인식하여, (a) 상태에서 표시되는 화면(1610)을 확대하여 표시할 수 있다(c).
다음으로, 단말기(100)는, 영역 설정을 위한 원(1611)이 터치 스크린상에서 그려진 후 포인터(1613)의 드래그 동작이 종료되는 지점이 원(1611)의 내부에 위치하는 경우(d), 화면 축소 명령을 위한 터치 동작으로 인식하여, (a) 상태에서 표시되는 화면(1610)을 축소하여 표시할 수 있다(e).
도 17은, 터치 스크린에 대한 터치 패턴에 따른 화면 확대/축소 과정을 나타낸 제 3 화면 구성도이다.
먼저, 단말기(100)는, 영역 설정을 위한 원(1711)이 터치 스크린상에서 그려진 후 포인터(1713)에 의해 원(1711)의 외부 영역의 일 지점이 터치되는 경우(b), 화면 확대 명령을 위한 터치 동작으로 인식하여, (a) 상태에서 표시되는 화면(1710)을 확대하여 표시할 수 있다(c).
다음으로, 단말기(100)는, 영역 설정을 위한 원(1711)이 터치 스크린상에서 그려진 후 포인터(1713)에 의해 원(1711)의 내부 영역의 일 지점이 터치되는 경우(d), 화면 축소 명령을 위한 터치 동작으로 인식하여, (a) 상태에서 표시되는 화면(1710)을 축소하여 표시할 수 있다(e).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단말기의 화면 크기 조절 방법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단말기의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련된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련된 단말기의 전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련된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련된 단말기의 전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련된 단말기가 차량에 장착된 경우의 전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의해 구현되는 화면 크기 조절 과정의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터치 스크린에 대한 영역 설정 동작에 상응하여 화면을 확대하는 제 1 화면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라 터치 스크린에 대한 영역 설정 동작에 상응하여 화면을 확대하는 제 2 화면 구성도.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에 따라 터치 스크린에 대한 영역 설정 동작에 상응하여 화면을 확대하는 제 3 화면 구성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라 터치 스크린에 대한 영역 설정 동작에 상응하여 화면을 확대하는 제 4 화면 구성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라 터치 스크린에 대한 영역 설정 동작에 상응하여 화면을 축소하는 제 1 화면 구성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라 터치 스크린에 대한 영역 설정 동작에 상응하여 화 면을 축소하는 제 2 화면 구성도.
도 13a 및 도 13b는 본 발명에 따라 터치 스크린에 대한 영역 설정 동작에 상응하여 화면을 축소하는 제 3 화면 구성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라 터치 스크린에 대한 영역 설정 동작에 상응하여 화면을 축소하는 제 4 화면 구성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라 터치 스크린에 대한 터치 패턴에 따른 화면 확대/축소 과정을 나타낸 제 1 화면 구성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라 터치 스크린에 대한 터치 패턴에 따른 화면 확대/축소 과정을 나타낸 제 2 화면 구성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라 터치 스크린에 대한 터치 패턴에 따른 화면 확대/축소 과정을 나타낸 제 3 화면 구성도.

Claims (22)

  1. 단말기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의 크기를 조절하는 단말기 화면 조절 방법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상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영역의 경계를 설정하는 단계;
    제 1 사용자 명령 또는 제 2 사용자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 1 사용자 명령이 수신된 경우, 상기 선택된 영역의 화면을 확대시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사용자 명령이 수신된 경우, 상기 선택된 영역의 화면을 축소시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선택된 영역의 화면은 상기 설정된 경계와 관련된 제 1 크기와 제 1 중심점을 가지며, 상기 선택된 영역의 확대 화면은 상기 설정된 경계와 관련된 제 2 크기과 제 2 중심점을 가지며, 상기 선택된 영역의 축소 화면은 상기 설정된 경계와 관련된 제 3 크기와 제 3 중심점을 가지고,
    상기 제 1 사용자 명령은,
    상기 선택된 영역의 경계로부터 드래그 동작이 상기 선택된 영역의 외부에서 종료하는 화면 확대 명령이고,
    상기 제 2 사용자 명령은,
    상기 선택된 영역의 경계로부터 드래그 동작이 상기 선택된 영역의 내부에서 종료하는 화면 축소 명령인 단말기 화면 조절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사용자 명령은 상기 선택된 영역의 화면의 줌인(Zoom-In)에 해당하는 명령이고,
    상기 제 2 사용자 명령은 상기 선택된 영역의 화면의 줌아웃(Zoom-Out)에 해당하는 명령인 단말기 화면 조절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영역의 경계 설정 단계는,
    상기 선택된 영역을 포함하는 폐곡선을 그리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제 1 사용자 명령은 상기 폐곡선을 제 1 방향으로 그리는 입력이고,
    제 2 사용자 명령은 상기 폐곡선을 제 2 방향으로 그리는 입력인 단말기 화면 조절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방향과 상기 제 2 방향은,
    반대 방향인 단말기 화면 조절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폐곡선은 원형 모양이고,
    상기 제 1 방향은 시계 방향이고,
    상기 제 2 방향은 반시계 방향인 단말기 화면 조절 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영역의 화면의 줌인 또는 줌아웃의 정도는,
    상기 폐곡선을 그리는 속도에 의해 결정되는 단말기 화면 조절 방법.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영역의 화면의 줌인 또는 줌아웃의 정도는,
    상기 폐곡선을 그리는 횟수에 의해 결정되는 단말기 화면 조절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영역의 화면의 줌인 또는 줌아웃의 정도는,
    상기 폐곡선을 그리는 속도에 비례하여 결정되는 단말기 화면 조절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영역의 화면의 줌인 또는 줌아웃의 정도는,
    상기 폐곡선을 그리는 횟수에 비례하여 결정되는 단말기 화면 조절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영역의 줌인 화면은 상기 선택된 영역의 일부 화면을 포함하고,
    상기 선택된 영역의 줌아웃 화면은 상기 스크린의 전체 화면의 축소 화면을 포함하는 단말기 화면 조절 방법.
  11. 화면을 출력하는 터치 스크린; 및
    상기 터치 스크린상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영역의 경계를 설정하고, 제 1 사용자 명령 또는 제 2 사용자 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제 1 사용자 명령이 수신된 경우, 상기 선택된 영역의 화면을 확대시켜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터치 스크린을 제어하고, 상기 제 2 사용자 명령이 수신된 경우, 상기 선택된 영역의 화면을 축소시켜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터치 스크린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선택된 영역의 화면은 상기 설정된 경계와 관련된 제 1 크기와 제 1 중심점을 가지며, 상기 선택된 영역의 확대 화면은 상기 설정된 경계와 관련된 제 2 크기과 제 2 중심점을 가지며, 상기 선택된 영역의 축소 화면은 상기 설정된 경계와 관련된 제 3 크기와 제 3 중심점을 가지고,
    상기 제 1 사용자 명령은,
    상기 선택된 영역의 경계로부터 드래그 동작이 상기 선택된 영역의 외부에서 종료하는 화면 확대 명령이고,
    상기 제 2 사용자 명령은,
    상기 선택된 영역의 경계로부터 드래그 동작이 상기 선택된 영역의 내부에서 종료하는 화면 축소 명령인 단말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제 1 사용자 명령은 상기 선택된 영역의 화면의 줌인(Zoom-In)에 해당하는 명령이고,
    상기 제 2 사용자 명령은 상기 선택된 영역의 화면의 줌아웃(Zoom-Out)에 해당하는 명령인 단말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영역을 포함하는 폐곡선을 그리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여 상기 선택된 영역의 경계를 설정하고,
    제 1 사용자 명령은 상기 폐곡선을 제 1 방향으로 그리는 입력이고,
    제 2 사용자 명령은 상기 폐곡선을 제 2 방향으로 그리는 입력인 단말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방향과 상기 제 2 방향은,
    반대 방향인 단말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폐곡선은 원형 모양이고,
    상기 제 1 방향은 시계 방향이고,
    상기 제 2 방향은 반시계 방향인 단말기.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영역의 화면의 줌인 또는 줌아웃의 정도를 상기 폐곡선을 그리는 속도에 의해 결정하는 단말기.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영역의 화면의 줌인 또는 줌아웃의 정도를 상기 폐곡선을 그리는 횟수에 의해 결정하는 단말기.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영역의 화면의 줌인 또는 줌아웃의 정도를 상기 폐곡선을 그리는 속도에 비례하여 결정하는 단말기.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영역의 화면의 줌인 또는 줌아웃의 정도를 상기 폐곡선을 그리는 횟수에 비례하여 결정하는 단말기.
  20.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영역의 줌인 화면은 상기 선택된 영역의 일부 화면을 포함하고,
    상기 선택된 영역의 줌아웃 화면은 상기 스크린의 전체 화면의 축소 화면을 포함하는 단말기.
  21. 삭제
  22. 삭제
KR1020070083490A 2007-08-20 2007-08-20 화면 크기 조절 기능을 갖는 단말기 및 이러한 기능을구현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매체 Expired - Fee Related KR1014304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3490A KR101430445B1 (ko) 2007-08-20 2007-08-20 화면 크기 조절 기능을 갖는 단말기 및 이러한 기능을구현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매체
US12/194,415 US20090061948A1 (en) 2007-08-20 2008-08-19 Terminal having zoom feature for content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3490A KR101430445B1 (ko) 2007-08-20 2007-08-20 화면 크기 조절 기능을 갖는 단말기 및 이러한 기능을구현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9224A KR20090019224A (ko) 2009-02-25
KR101430445B1 true KR101430445B1 (ko) 2014-08-14

Family

ID=404083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3490A Expired - Fee Related KR101430445B1 (ko) 2007-08-20 2007-08-20 화면 크기 조절 기능을 갖는 단말기 및 이러한 기능을구현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매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090061948A1 (ko)
KR (1) KR10143044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25231B2 (en) 2005-08-30 2012-07-17 Microsoft Corporation Aggregation of PC settings
US20090300554A1 (en) * 2008-06-03 2009-12-03 Nokia Corporation Gesture Recognition for Display Zoom Feature
JP4720879B2 (ja) * 2008-08-29 2011-07-13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US20100087169A1 (en) * 2008-10-02 2010-04-08 Microsoft Corporation Threading together messages with multiple common participants
US20100087173A1 (en) * 2008-10-02 2010-04-08 Microsoft Corporation Inter-threading Indications of Different Types of Communication
US20100105441A1 (en) * 2008-10-23 2010-04-29 Chad Aron Voss Display Size of Representations of Content
US8385952B2 (en) * 2008-10-23 2013-02-26 Microsoft Corporation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user interface
US8411046B2 (en) * 2008-10-23 2013-04-02 Microsoft Corporation Column organization of content
US8086275B2 (en) * 2008-10-23 2011-12-27 Microsoft Corporation Alternative inputs of a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JP5093080B2 (ja) * 2008-12-05 2012-12-05 富士通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携帯端末
US9069398B1 (en) * 2009-01-30 2015-06-30 Cellco Partnership Electronic device having a touch panel display and a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US8587617B2 (en) * 2009-02-04 2013-11-19 Raytheon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map zooming
US8686951B2 (en) 2009-03-18 2014-04-01 HJ Laboratories, LLC Providing an elevated and texturized display in an electronic device
US8175653B2 (en) 2009-03-30 2012-05-08 Microsoft Corporation Chromeless user interface
US8355698B2 (en) * 2009-03-30 2013-01-15 Microsoft Corporation Unlock screen
US8238876B2 (en) 2009-03-30 2012-08-07 Microsoft Corporation Notifications
US8269736B2 (en) * 2009-05-22 2012-09-18 Microsoft Corporation Drop target gestures
US8836648B2 (en) 2009-05-27 2014-09-16 Microsoft Corporation Touch pull-in gesture
US8462126B2 (en) * 2009-07-20 2013-06-11 Motorola Mobility Llc Method for implementing zoom functionality on a portable device with opposing touch sensitive surfaces
US8497884B2 (en) 2009-07-20 2013-07-30 Motorola Mobility Llc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manipulating graphic user interface elements
TWD136764S1 (zh) * 2009-07-31 2010-09-01 宏達國際電子股份有限公司 行動電話
USD629772S1 (en) * 2009-09-03 2010-12-28 Motorola Mobility, Inc. Communication device
US20110199342A1 (en) 2010-02-16 2011-08-18 Harry Vartania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elevated, indented or texturized sensations to an object near a display device or input detection using ultrasound
KR20110121832A (ko) * 2010-05-03 2011-11-09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화면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및 장치
US20130145281A1 (en) * 2010-08-17 2013-06-06 Qianqian Sun Data sending and receiving system related to touch screen
US9256360B2 (en) * 2010-08-25 2016-02-09 Sony Corporation Single touch process to achieve dual touch user interface
US9389774B2 (en) 2010-12-01 2016-07-12 Sony Corporation Display processing apparatus for performing image magnification based on face detection
US20120159383A1 (en) 2010-12-20 2012-06-21 Microsoft Corporation Customization of an immersive environment
US20120159395A1 (en) 2010-12-20 2012-06-21 Microsoft Corporation Application-launching interface for multiple modes
US8689123B2 (en) 2010-12-23 2014-04-01 Microsoft Corporation Application reporting in an application-selectable user interface
US8612874B2 (en) 2010-12-23 2013-12-17 Microsoft Corporation Presenting an application change through a tile
US9423951B2 (en) 2010-12-31 2016-08-2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ontent-based snap point
KR101836381B1 (ko) * 2011-01-28 2018-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스크린 단말기에서 화면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및 장치
US9383917B2 (en) 2011-03-28 2016-07-0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redictive tiling
US9104307B2 (en) 2011-05-27 2015-08-1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ulti-application environment
US20120304132A1 (en) 2011-05-27 2012-11-29 Chaitanya Dev Sareen Switching back to a previously-interacted-with application
US9658766B2 (en) 2011-05-27 2017-05-2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Edge gesture
US9104440B2 (en) 2011-05-27 2015-08-1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ulti-application environment
US9158445B2 (en) 2011-05-27 2015-10-1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anaging an immersive interface in a multi-application immersive environment
US8893033B2 (en) 2011-05-27 2014-11-18 Microsoft Corporation Application notifications
US8687023B2 (en) 2011-08-02 2014-04-01 Microsoft Corporation Cross-slide gesture to select and rearrange
JP5341152B2 (ja) * 2011-08-22 2013-11-13 楽天株式会社 データ処理装置、データ処理方法、データ処理プログラム、及び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する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US20130057587A1 (en) 2011-09-01 2013-03-07 Microsoft Corporation Arranging tiles
US10353566B2 (en) 2011-09-09 2019-07-1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emantic zoom animations
US8922575B2 (en) 2011-09-09 2014-12-30 Microsoft Corporation Tile cache
US9557909B2 (en) 2011-09-09 2017-01-3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emantic zoom linguistic helpers
US8933952B2 (en) 2011-09-10 2015-01-13 Microsoft Corporation Pre-rendering new content for an application-selectable user interface
US9244802B2 (en) 2011-09-10 2016-01-2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Resource user interface
US9146670B2 (en) 2011-09-10 2015-09-2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rogressively indicating new content in an application-selectable user interface
KR101307349B1 (ko) * 2011-09-16 2013-09-12 (주)다음소프트 모바일 단말기의 지도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CN102375689B (zh) * 2011-09-23 2016-03-30 上海量明科技发展有限公司 触摸屏操作的方法及系统
JP5160680B1 (ja) * 2011-10-26 2013-03-13 株式会社コナミデジタルエンタテインメント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9785343B2 (en) * 2011-12-01 2017-10-10 Sony Mobile Communications Inc. Terminal device, image display method, and storage medium
US9223472B2 (en) 2011-12-22 2015-12-2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losing applications
US9128605B2 (en) 2012-02-16 2015-09-0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Thumbnail-image selection of applications
CN102637198B (zh) * 2012-02-28 2015-04-01 优视科技有限公司 网页内容显示的实现方法、装置、浏览器及移动终端
US9081542B2 (en) 2012-08-28 2015-07-14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a wearable touch-sensitive device
EP2720128A1 (en) * 2012-10-09 2014-04-16 Harman Becker Automotive Systems GmbH Navigatio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display
CN102929508B (zh) * 2012-10-11 2015-04-0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电子地图触控方法和装置
KR20140113032A (ko) * 2013-03-15 2014-09-24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표시화면을 표시하는 방법 및 장치
US9450952B2 (en) 2013-05-29 2016-09-20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Live tiles without application-code execution
KR102134443B1 (ko) * 2013-05-03 2020-07-1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기기 및 제어 동작에 기초한 전자 기기의 화면 조작 방법
US9201589B2 (en) 2013-05-21 2015-12-01 Georges Antoine NASRAOUI Selection and display of map data and location attribute data by touch input
KR102298602B1 (ko) 2014-04-04 2021-09-03 마이크로소프트 테크놀로지 라이센싱, 엘엘씨 확장가능한 애플리케이션 표시
WO2015154273A1 (en) 2014-04-10 2015-10-1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ollapsible shell cover for computing device
WO2015154276A1 (en) 2014-04-10 2015-10-1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lider cover for computing device
US10254942B2 (en) 2014-07-31 2019-04-0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Adaptive sizing and positioning of application windows
US10592080B2 (en) 2014-07-31 2020-03-1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Assisted presentation of application windows
US10678412B2 (en) 2014-07-31 2020-06-0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Dynamic joint dividers for application windows
US10642365B2 (en) 2014-09-09 2020-05-0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arametric inertia and APIs
CN106662891B (zh) 2014-10-30 2019-10-11 微软技术许可有限责任公司 多配置输入设备
KR102359544B1 (ko) * 2015-06-22 2022-0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변형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CN118102446B (zh) * 2024-04-28 2024-08-16 中孚安全技术有限公司 一种场所无线信号排查定位方法、系统、设备及介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7257A (ja) * 1996-07-10 1998-01-27 Sharp Corp 情報処理装置
JP2002311820A (ja) * 2001-04-13 2002-10-25 Fujitsu Ten Ltd 情報処理装置
US20040027395A1 (en) * 2002-08-12 2004-02-1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 views using a single stroke control
KR20040083338A (ko) * 2003-03-19 2004-10-01 팅크웨어(주)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네비게이션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53753B2 (ja) * 1995-01-20 2006-03-08 三菱電機株式会社 移動体用地図情報表示装置
JP3176541B2 (ja) * 1995-10-16 2001-06-18 シャープ株式会社 情報検索装置および情報検索方法
US6243645B1 (en) * 1997-11-04 2001-06-05 Seiko Epson Corporation Audio-video output device and car navigation system
US6052110A (en) * 1998-05-11 2000-04-18 Sony Corporation Dynamic control of zoom operation in computer graphics
US7450114B2 (en) * 2000-04-14 2008-11-11 Picsel (Research) Limited User interface systems and methods for manipulating and viewing digital documents
US6642936B1 (en) * 2000-08-08 2003-11-04 Tektronix, Inc. Touch zoom in/out for a graphics display
JP2003075167A (ja) * 2001-09-04 2003-03-12 Sony Corp ナビゲーション装置、地図の表示方法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4215549B2 (ja) * 2003-04-02 2009-01-28 富士通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モードとポインティング・デバイス・モードで動作する情報処理装置
JP4269155B2 (ja) * 2003-06-25 2009-05-27 日本電気株式会社 ポインティングデバイス制御システムおよび電子機器
JP4642497B2 (ja) * 2005-02-10 2011-03-02 クラリオン株式会社 ナビゲーション装置
US20070097090A1 (en) * 2005-10-31 2007-05-03 Battles Amy E Digital camera user interface
JP2009515191A (ja) * 2005-11-07 2009-04-09 グーグル・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携帯デバイスのためのローカル検索および地図作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7257A (ja) * 1996-07-10 1998-01-27 Sharp Corp 情報処理装置
JP2002311820A (ja) * 2001-04-13 2002-10-25 Fujitsu Ten Ltd 情報処理装置
US20040027395A1 (en) * 2002-08-12 2004-02-1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 views using a single stroke control
KR20040083338A (ko) * 2003-03-19 2004-10-01 팅크웨어(주)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네비게이션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061948A1 (en) 2009-03-05
KR20090019224A (ko) 2009-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0445B1 (ko) 화면 크기 조절 기능을 갖는 단말기 및 이러한 기능을구현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매체
KR101600091B1 (ko) 터치스크린을 포함한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데이터 표시 제어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US8489323B2 (en) Method for controlling a map via a mobile terminal
KR101651135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453906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US9122392B2 (en) Mobile terminal, display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20150019792A (ko) 이동 단말기
US20100245267A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20100044527A (ko)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화면 스크롤 방법
KR20100042006A (ko)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터치 인식 방법
KR20100039024A (ko)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KR20120056512A (ko) 이동 단말기
KR20140026793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40094226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20150027655A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120032336A (ko) 이동단말기 및 그의 증강현실 정보의 표시 방법
KR101692729B1 (ko) 이동 단말기, 및 외부 객체에 대한 메시지 생성 및 획득 방법
KR20100062252A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유저 인터페이스 방법
KR101635208B1 (ko) 이동 단말기에서의 터치 신호 처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이동 단말기
KR20100115226A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그래픽사용자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KR20120001516A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이미지 컨텐츠 편집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KR101631910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00050319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1397001B1 (ko) 통신 단말기 및 이것의 동작 제어 방법
KR101649637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82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2082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7082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10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520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8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08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71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71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