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429806B1 - 다중 모드 플라즈마 발생 장치 - Google Patents

다중 모드 플라즈마 발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9806B1
KR101429806B1 KR1020120005247A KR20120005247A KR101429806B1 KR 101429806 B1 KR101429806 B1 KR 101429806B1 KR 1020120005247 A KR1020120005247 A KR 1020120005247A KR 20120005247 A KR20120005247 A KR 20120005247A KR 101429806 B1 KR101429806 B1 KR 1014298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sma
generator
plasma generator
chamber
match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52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84451A (ko
Inventor
우제호
Original Assignee
(주)이큐베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큐베스텍 filed Critical (주)이큐베스텍
Priority to KR10201200052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9806B1/ko
Priority to US14/373,001 priority patent/US20150000844A1/en
Priority to PCT/KR2013/000315 priority patent/WO2013109037A1/ko
Publication of KR201300844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44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98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9806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37/00Discharge tubes with provision for introducing objects or material to be exposed to the discharge, e.g. for the purpose of examination or processing thereof
    • H01J37/32Gas-filled discharge tubes
    • H01J37/32009Arrangements for generation of plasma specially adapted for examination or treatment of objects, e.g. plasma sources
    • H01J37/32082Radio frequency generated discharge
    • H01J37/32137Radio frequency generated discharge controlling of the discharge by modulation of energy
    • H01J37/32155Frequency modulation
    • H01J37/32165Plural frequenc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37/00Discharge tubes with provision for introducing objects or material to be exposed to the discharge, e.g. for the purpose of examination or processing thereof
    • H01J37/32Gas-filled discharge tubes
    • H01J37/32009Arrangements for generation of plasma specially adapted for examination or treatment of objects, e.g. plasma sources
    • H01J37/32082Radio frequency generated discharg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37/00Discharge tubes with provision for introducing objects or material to be exposed to the discharge, e.g. for the purpose of examination or processing thereof
    • H01J37/32Gas-filled discharge tubes
    • H01J37/32009Arrangements for generation of plasma specially adapted for examination or treatment of objects, e.g. plasma sources
    • H01J37/32082Radio frequency generated discharge
    • H01J37/32091Radio frequency generated discharge the radio frequency energy being capacitively coupled to the plasma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37/00Discharge tubes with provision for introducing objects or material to be exposed to the discharge, e.g. for the purpose of examination or processing thereof
    • H01J37/32Gas-filled discharge tubes
    • H01J37/32009Arrangements for generation of plasma specially adapted for examination or treatment of objects, e.g. plasma sources
    • H01J37/32082Radio frequency generated discharge
    • H01J37/32174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the RF discharge
    • H01J37/32183Matching circui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37/00Discharge tubes with provision for introducing objects or material to be exposed to the discharge, e.g. for the purpose of examination or processing thereof
    • H01J37/32Gas-filled discharge tubes
    • H01J37/32009Arrangements for generation of plasma specially adapted for examination or treatment of objects, e.g. plasma sources
    • H01J37/32357Generation remote from the workpiece, e.g. down-strea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02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change their surface-physical characteristics or shape, e.g. etching, polishing, cutting
    • H01L21/306Chemical or electrical treatment, e.g. electrolytic etching
    • H01L21/3065Plasma etching; Reactive-ion etch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11Apparatus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 H01L21/67017Apparatus for fluid treatment
    • H01L21/67063Apparatus for fluid treatment for etching
    • H01L21/67069Apparatus for fluid treatment for etching for drying etching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7/00Multiple-port networks comprising only passive electrical elements as network components
    • H03H7/38Impedance-matching networks
    • H03H7/40Automatic matching of load impedance to source impedanc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HPLASMA TECHNIQUE; PRODUCTION OF ACCELERATED ELECTRICALLY-CHARGED PARTICLES OR OF NEUTRONS; PRODUCTION OR ACCELERATION OF NEUTRAL MOLECULAR OR ATOMIC BEAMS
    • H05H1/00Generating plasma; Handling plasma
    • H05H1/24Generating plasma
    • H05H1/46Generating plasma using applied electromagnetic fields, e.g. high frequency or microwave energy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HPLASMA TECHNIQUE; PRODUCTION OF ACCELERATED ELECTRICALLY-CHARGED PARTICLES OR OF NEUTRONS; PRODUCTION OR ACCELERATION OF NEUTRAL MOLECULAR OR ATOMIC BEAMS
    • H05H1/00Generating plasma; Handling plasma
    • H05H1/24Generating plasma
    • H05H1/46Generating plasma using applied electromagnetic fields, e.g. high frequency or microwave energy
    • H05H1/4645Radiofrequency discharges
    • H05H1/4652Radiofrequency discharges using inductive coupling means, e.g. co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37/00Discharge tubes exposing object to beam, e.g. for analysis treatment, etching, imaging
    • H01J2237/32Processing objects by plasma generation
    • H01J2237/33Processing objects by plasma gener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cessing
    • H01J2237/332Coating
    • H01J2237/3321CVD [Chemical Vapor Deposi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37/00Discharge tubes exposing object to beam, e.g. for analysis treatment, etching, imaging
    • H01J2237/32Processing objects by plasma generation
    • H01J2237/33Processing objects by plasma gener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cessing
    • H01J2237/334Etch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37/00Discharge tubes exposing object to beam, e.g. for analysis treatment, etching, imaging
    • H01J2237/32Processing objects by plasma generation
    • H01J2237/33Processing objects by plasma gener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cessing
    • H01J2237/335Clean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HPLASMA TECHNIQUE; PRODUCTION OF ACCELERATED ELECTRICALLY-CHARGED PARTICLES OR OF NEUTRONS; PRODUCTION OR ACCELERATION OF NEUTRAL MOLECULAR OR ATOMIC BEAMS
    • H05H2242/00Auxiliary systems
    • H05H2242/20Power circuits
    • H05H2242/26Matching network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Plasma Technology (AREA)
  • Chemical Vapour Deposi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정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복수의 공정에 플라즈마를 공급할 수 있는 다중 모드 플라즈마 발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플라즈마 발생 장치는 제 1 플라즈마 발생부 및 상기 제 1 플라즈마 발생부에 직렬로 연결된 제 2 플라즈마 발생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가스는 상기 제 1 플라즈마 발생부 및 상기 제 2 플라즈마 발생부에 의해 발생된 자기장에 의해 플라즈마로 변화되고, 상기 제 1 플라즈마 발생부는 저주파 전원에 의해 동작하며, 상기 제 2 플라즈마 발생부는 고주파 전원에 의해 동작한다.

Description

다중 모드 플라즈마 발생 장치{MULTI-MODE APPARATUS FOR GENERATING PLASMA}
본 발명은 반도체 공정 챔버로 플라즈마를 공급하는 플라즈마 발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제조 공정에는 많은 플라즈마가 사용되며, 공정 챔버에 플라즈마를 공급하는 플라즈마 공급 장치가 존재한다. 물론, 가스를 공정 챔버로 공급한 후 상기 공정 챔버에서 가스가 플라즈마로 변화될 수도 있다.
상기 플라즈마 공급 장치는 일반적으로 특정 공정에만 사용되며, 다른 공정을 위해서는 다른 플라즈마 공급 장치가 사용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에칭 공정에 사용되는 플라즈마 공급 장치와 세정 공정에 사용되는 플라즈마 공급 장치가 달랐다. 따라서, 공정 효율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단일 원리의 플라즈마 소스는 분해율 및 이온화율과 같은 효율이 낮았으며, 일반적으로 플라즈마 초기 생성시 가스의 종류 및 흐름에 따라 불안정하여 고전압 플러그와 같은 점화 플러그가 설치되어야만 했다.
본 발명은 공정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복수의 공정에 플라즈마를 공급할 수 있는 다중 모드 플라즈마 발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정 챔버로 플라즈마를 공급하는 다중 모드 플라즈마 발생 장치는 제 1 플라즈마 발생부; 및 상기 제 1 플라즈마 발생부에 직렬로 연결된 제 2 플라즈마 발생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가스는 상기 제 1 플라즈마 발생부 및 상기 제 2 플라즈마 발생부에 의해 발생된 자기장에 의해 플라즈마로 변화되고, 상기 제 1 플라즈마 발생부는 저주파 전원에 의해 동작하며, 상기 제 2 플라즈마 발생부는 고주파 전원에 의해 동작하며, 상기 제 1 플라즈마 발생부의 사용 압력과 상기 제 2 플라즈마 발생부의 사용 압력이 다르다.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른 다중 모드 플라즈마 발생 장치는 다른 주파수 또는 사용 압력에서 사용하는 플라즈마 발생부들을 직렬로 사용하여 복수의 공정들에 적합한 플라즈마를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라즈마 발생 장치 점화시 제 2 플라즈마 발생부로 고주파 전원을 제공함에 의해 발생된 플라즈마가 플라즈마 챔버 내부로 확산됨에 의해 제 1 플라즈마 발생부에 의한 플라즈마 생성이 활성화되므로, 상기 제 1 플라즈마 발생부를 위한 별도의 점화 소자가 요구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를 이용한 반도체 공정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발생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칭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를 이용한 반도체 공정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반도체 공정 시스템은 성막(Chemical Vapor Deposition, CVD) 공정, 식각(Etching) 공정, 세정(Cleaning) 공정 등의 다양한 공정을 수행하며, 공정 챔버(100) 및 플라즈마 발생 장치(102)를 포함한다.
성막 공정 및 식각 공정 시에는 플라즈마 발생 장치(102)로부터 발생된 플라즈마가 공급관(108)을 통하여 공정 챔버(100)로 공급되고, 상기 공급된 플라즈마를 이용함에 의해 지지부(104) 상의 웨이퍼(Wafer)에 특정 층이 증착되거나 에칭될 수 있다. 또한, 플라즈마 발생 장치(102)로부터 플라즈마가 공정 챔버(100)로 공급되어 세정 공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플라즈마 발생 장치(102)는 동일한 공정 챔버(100) 내에서 성막 공정, 식각 공정 및 세정 공정 등과 같은 복수의 공정들 중 적어도 2개의 공정들을 수행할 수 있는 플라즈마를 공정 챔버(100)로 공급한다. 물론, 각 공정마다 플라즈마로 변화되는 가스는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가스는 NH3, N2, O2, H2, SiO2 등일 수 있다.
종래의 반도체 공정 시스템은 공정들마다 다른 플라즈마 발생 장치를 사용하여 수행하는 반면에, 본 발명의 반도체 공정 시스템은 복수의 공정들을 동일한 플라즈마 발생 장치(102)를 통하여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반도체 공정 시스템의 활용도가 향상될 수 있고 공정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플라즈마 발생 장치(102)는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플라즈마 발생부(110) 및 제 2 플라즈마 발생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플라즈마 발생부(110)는 저주파 전원으로 동작하고, 제 2 플라즈마 발생부(112)는 고주파 전원으로 동작할 수 있다. 또한, 플라즈마 발생 장치(102)는 세 개 이상의 플라즈마 발생부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다만, 플라즈마 발생부들(110 및 112)의 동작 조건, 주파수, 압력 중 적어도 하나는 다르도록 설계된다. 즉, 플라즈마 발생 장치(102)는 다중 모드 플라즈마 발생 소스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플라즈마 발생부(110)는 수 Torr 정도의 사용 압력 범위에서 사용할 수 있는 저주파 전원을 이용하는 페라이트 코어 유도 방식을 이용할 수 있고, 제 2 플라즈마 발생부(112)는 수 mTorr ~ 수 백 mTorr의 사용 압력 범위에서 사용할 수 있는 고주파 전원을 이용하는 유도 결합 플라즈마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제 1 플라즈마 발생부(110)가 수 mTorr ~ 수 백 mTorr의 사용 압력 범위에서 사용이 불가능하고 제 2 플라즈마 발생부(112)가 수 Torr ~ 수 십 Torr의 높은 압력 범위에서 사용이 불가능한 플라즈마 발생 방식들을 사용할 지라도 플라즈마 발생 장치(102)는 각기 다른 동작 특성을 가지는 플라즈마 발생부들(110 및 112)을 이용하여 수 mTorr에서 수 십 Torr까지의 넓은 사용 압력 범위에서 플라즈마를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플라즈마 발생 장치(102)는 서로 다른 공정 조건을 가지는 성막 공정, 식각 공정 및 세정 공정 등의 복수의 공정들에 사용될 수 있다. 물론, 플라즈마 발생부(110 또는 112)는 RF 전압이 가해지는 지점에 웨이퍼가 배열되는 용량성 결합 플라즈마(Capacitively coupled plasma, CCP)-RIE(Reactive ion etching) 방식, RIE 방식의 변형으로 플라즈마 공간에 자장을 인가하여 이온 발생 확률을 높여서 에칭하는 CCP-MERIE(Magnetically-enhanced RIE) 방식, 마이크로웨이브 주파수를 입사시켜 공명을 발생시켜서 중성입자들을 이온화시키는 ECR(Electron cyclotron resonance) 방식, RF 코일을 사용하되 코일이 공정 챔버의 상부에만 감기는 TCP(Transformer coupled plasma) 방식, RF 코일을 사용하되 코일이 공정 챔버의 측면에 감기는 ICP(Inductively coupled plama) 방식, 나선형 형태로 RF 코일을 사용하는 헬리컬 플라즈마(Helical plasma) 방식, 플라즈마를 생성하는 부분과 이온 에너지를 조절하는 부분이 서로 독립적으로 제어되는 HDP(High density plasma) 방식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공급 가스는 제 1 플라즈마 발생부(100) 및 제 2 플라즈마 발생부(112)에 발생된 자기장에 의해 플라즈마 챔버 내에서 플라즈마로 변화된다.
이하, 본 발명의 플라즈마 발생 장치(102)의 구체적인 구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술하겠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발생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플라즈마 발생 장치(102)는 플라즈마 챔버(200), 제 1 플라즈마 발생부(110), 제 2 플라즈마 발생부(112), 제 1 전원부(210), 제 2 전원부(212) 및 매칭부(214)를 포함할 수 있다.
플라즈마 챔버(200) 내에는 가스(204 및 206) 및 플라즈마가 통과할 수 있는 공간(202)이 형성된다. 공간(202) 중 시작 및 중간 부분은 원형의 형태를 가지면서 순환 가능하도록 구현되며, 마지막 부분은 일자형 구조를 가진다. 공간(202)의 종단은 공정 챔버(100)의 공급관(108)과 물리적으로 결합되어 있으며, 그 결과 플라즈마가 공급관(108)을 통하여 공정 챔버(100)로 공급된다.
가스(204)를 투입하는 입구(204)와 가스(206)를 투입하는 입구(206)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로 형성될 수도 있고, 입구(206)는 존재하지 않고 입구(204)만이 존재할 수도 있다. 여기서, 가스들(204 및 206)은 바람직하게는 동일할 수 있다.
제 1 플라즈마 발생부(1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라즈마 챔버(200)의 중간 부분에 형성되며, 자기장을 발생시켜서 공간(202)을 통하여 흐르는 가스를 고밀도 플라즈마로 변화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플라즈마 발생부(110)는 페라이트 코어 유도 방식을 사용할 수 있으며, 저주파, 예를 들어 100㎑ 내지 600㎑ 주파수 범위의 전원이 제공된다. 구체적으로는, 제 1 플라즈마 발생부(110)는 페라이트 코어(220)를 유도 코일(222)로 감고 절연체(224)를 주변에 배열하여 실현한다. 한편, 제 1 플라즈마 발생부(110)는 별도의 매칭 수단 및 점화 수단을 사용하지 않을 수 있다.
제 1 플라즈마 발생부(110)의 출력은 플라즈마와 가스가 혼합된 형태일 수 있으며, 플라즈마와 가스가 제 2 플라즈마 발생부(112) 방향으로 흐른다.
제 2 플라즈마 발생부(112)는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라즈마 챔버(200)의 후단 부분에 형성되며, 자기장을 발생시켜서 공간(202)을 통하여 흐르는 가스를 고밀도 플라즈마로 변화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플라즈마 발생부(112)는 유도 결합 플라즈마 방식을 사용할 수 있으며, 고주파, 예를 들어 2㎒ 내지 13.56㎒ 주파수 범위의 전원이 제공될 수 있다. 제 2 플라즈마 발생부(112)는 플라즈마 튜브(230)를 유도 코일(232)로 감음에 의해 실현된다.
위와 같이 플라즈마 발생부들(110 및 112)을 직렬로 설치하면, 하나의 플라즈마 발생부(110 또는 112)가 특정 가스를 플라즈마로 변화시키는 변화율이 작을지라도 다른 플라즈마 발생부(112 또는 110)가 상기 가스를 플라즈마로 원하는 만큼 변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플라즈마 발생 장치(102)는 다른 가스를 사용하는 성막 공정, 에칭 공정 및 세정 공정 등에 모두 사용할 수 있다.
매칭부(214)는 전원부(212)로부터 출력된 전원이 제 2 플라즈마 발생부(112)로 최대한 전달되도록 플라즈마 튜브(230)와 매칭 네트워크를 정합시키는 장치로서, 예를 들어 50Ω으로 정합시킬 수 있다. 특히, 플라즈마 챔버(200)는 고주파의 RF 신호가 빛과 같은 특성을 가져서 반사파가 존재하기 때문에 고정된 임피던스를 가지지 못하며, 이러한 반사파는 전력 전달 효율을 저하시킨다. 매칭부(214)는 전력 전달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위상 및 크기를 모두 정합시키도록 설계되며, 가변 소자를 사용할 수 있다.
정리하면, 본 발명의 플라즈마 발생 장치(102)는 직렬로 플라즈마 발생부들(110 및 112)을 설치하여 이중으로 플라즈마를 발생시키며, 즉 이중 모드 플라즈마 발생 소스이다. 특히, 플라즈마 발생 장치(102)는 고주파 및 저주파에 각기 적용될 수 있는 플라즈마 발생부들(110 및 112)을 설치하여 성막 공정, 에칭 공정 및 세정 공정 등에 모두 적용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플라즈마 발생 장치(102)가 2개의 플라즈마 발생부들을 포함하였으나, 3개 이상의 플라즈마 발생부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그러나, 플라즈마 발생 장치(102)의 사이즈를 고려하면 플라즈마 발생 장치(102)가 2개의 플라즈마 발생부들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에서 설명하지는 않았지만, 고주파에서 동작하는 제 2 플라즈마 발생부(112)에 의해 초기에 플라즈마가 생성되고, 초기 생성된 플라즈마가 플라즈마 챔버(200)의 내부로 확산되며, 이로 인하여 제 1 플라즈마 발생부(110)에 의한 플라즈마 생성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제 1 플라즈마 발생부(110)가 초기에 플라즈마 생성이 용이하지 않은 방식을 사용할지라도 제 1 플라즈마 발생부(110)의 점화를 위한 별도의 장치(고전압 플러그 등)가 필요없게 된다. 종래에는 초기 플라즈마가 잘 발생되지 않는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플라즈마 발생 장치를 위한 별도의 점화 소자가 필요하였으나, 본 발명의 플라즈마 발생 장치(102)의 제 1 플라즈마 발생부(110)에는 점화 소자가 필요치 않다. 한편, 초기 점화는 고주파 RF 신호를 제 2 플라즈마 발생부(112)로 인가함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매칭부(214)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술하겠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칭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매칭부(214)는 제어부(300), 센싱부(302), 인덕터(L) 및 2개의 가변 캐패시터들(C1 및 C2)을 포함한다.
센싱부(302)는 전원부(212)로부터 제공된 RF 신호를 감지하고, 특히 위상 및 크기를 감지하고, 그런 후 감지 결과를 제어부(300)로 전송한다.
제어부(300)는 상기 전송된 감지 결과에 따라 매칭부(214)로부터 출력되는 출력 RF 신호의 임피던스가 플라즈마 챔버(200)의 임피던스와 정합되도록 캐패시터들(C1 및 C2)을 조절한다. 여기서, 인덕터(L)와 병렬로 연결된 캐패시터(C1)는 위상을 정합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고, 인덕터(L)와 직렬로 연결된 캐패시터(C2)는 크기를 정합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정리하면, 본 실시예의 매칭부(214)는 플라즈마 챔버(200)의 임피던스가 고정적이지 않으므로 플라즈마 챔버(200)의 임피던스에 따라 캐패시터들(C1 및 C2)의 캐패시턴스들을 조정하여 임피던스를 정합시킨다.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 : 공정 챔버 102 : 플라즈마 발생 장치
104 : 지지 부재 106 : 웨이퍼
108 : 공급관 110 : 제 1 플라즈마 발생부
112 : 제 2 플라즈마 발생부 200 : 플라즈마 챔버
204, 206 : 입구 210 : 제 1 전원부
212 : 제 2 전원부 214 : 매칭부
220 : 페라이트 코어 222 : 유도 코일
224 : 절연체 230 : 플라즈마 튜브
232 : 유도 코일

Claims (13)

  1. 공정 챔버로 플라즈마를 공급하는 플라즈마 발생 장치에 있어서,
    제 1 플라즈마 발생부; 및
    상기 제 1 플라즈마 발생부에 직렬로 연결된 제 2 플라즈마 발생부를 포함하되,
    가스는 상기 제 1 플라즈마 발생부 및 상기 제 2 플라즈마 발생부에 의해 발생된 자기장에 의해 플라즈마로 변화되고, 상기 제 1 플라즈마 발생부는 제 1 주파수의 전원에 의해 동작하며, 상기 제 2 플라즈마 발생부는 제 2 주파수의 전원에 의해 동작하며, 상기 제 1 플라즈마 발생부의 사용 압력과 상기 제 2 플라즈마 발생부의 사용 압력이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모드 플라즈마 발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즈마 발생 장치는 성막 공정, 에칭 공정 및 세정 공정 중 적어도 2개의 공정을 위한 플라즈마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모드 플라즈마 발생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즈마 발생 장치는,
    내부로 상기 가스 및 상기 플라즈마가 흐르는 플라즈마 챔버;
    상기 제 1 플라즈마 발생부로 전원을 제공하는 제 1 전원부;
    상기 제 2 플라즈마 발생부로 전원을 공급하는 제 2 전원부; 및
    상기 제 2 전원부와 상기 제 2 플라즈마 발생부 사이의 임피던스를 정합시키는 매칭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매칭부는 상기 제 2 플라즈마 발생부로 제공되는 전원(RF 신호)의 위상을 매칭시키는 제 1 캐패시터 및 상기 제 2 플라즈마 발생부로 제공되는 전원의 크기를 매칭시키는 제 2 캐패시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캐패시터 및 상기 제 2 캐패시터는 인덕터를 기준으로 상호 병렬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모드 플라즈마 발생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플라즈마 발생부로 상기 제 2 주파수의 전원을 제공함에 의해 점화되고, 상기 제 2 플라즈마 발생부에 의해 생성된 플라즈마가 상기 플라즈마 챔버의 내부로 확산되며, 상기 확산된 플라즈마에 의해 상기 제 1 플라즈마 발생부의 플라즈마 생성이 활성화되고, 상기 제 1 플라즈마 발생부를 위한 별도의 점화 소자가 상기 플라즈마 발생 장치에 형성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모드 플라즈마 발생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즈마 챔버의 임피던스는 일정하지 않으며, 상기 매칭부는 상기 플라즈마 챔버의 임피던스를 고려하여 상기 캐패시터들의 캐패시턴스들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모드 플라즈마 발생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즈마 발생 장치는,
    플라즈마 챔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 1 플라즈마 발생부는 상기 플라즈마 챔버의 중간 부분에서 페라이트 코어에 유도 코일이 감긴 형태로 실현되고, 상기 제 2 플라즈마 발생부는 상기 플라즈마 챔버의 종단 부분에서 플라스틱 튜브에 유도 코일이 감긴 형태로 실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모드 플라즈마 발생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즈마 챔버의 공간 중 상기 제 1 플라즈마 발생부에 해당하는 부분은 원형 형상의 공간이고, 상기 공간 중 상기 제 2 플라즈마 발생부에 해당하는 부분은 직선 형상의 공간이며, 상기 제 2 플라즈마 발생부의 후단은 상기 공정 챔버의 공급관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모드 플라즈마 발생 장치.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KR1020120005247A 2012-01-17 2012-01-17 다중 모드 플라즈마 발생 장치 Active KR1014298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5247A KR101429806B1 (ko) 2012-01-17 2012-01-17 다중 모드 플라즈마 발생 장치
US14/373,001 US20150000844A1 (en) 2012-01-17 2013-01-16 Multiple-mode plasma generation apparatus
PCT/KR2013/000315 WO2013109037A1 (ko) 2012-01-17 2013-01-16 다중 모드 플라즈마 발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5247A KR101429806B1 (ko) 2012-01-17 2012-01-17 다중 모드 플라즈마 발생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4451A KR20130084451A (ko) 2013-07-25
KR101429806B1 true KR101429806B1 (ko) 2014-08-12

Family

ID=487994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5247A Active KR101429806B1 (ko) 2012-01-17 2012-01-17 다중 모드 플라즈마 발생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50000844A1 (ko)
KR (1) KR101429806B1 (ko)
WO (1) WO201310903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0171B1 (ko) * 2014-07-25 2015-11-20 세메스 주식회사 플라즈마 발생 유닛 및 그를 포함하는 기판 처리 장치
US10431654B2 (en) * 2015-06-25 2019-10-0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Extrinsic base doping for bipolar junction transistors
US10987735B2 (en) 2015-12-16 2021-04-27 6K Inc. Spheroidal titanium metallic powders with custom microstructures
PL3389862T3 (pl) 2015-12-16 2024-03-04 6K Inc. Sferoidalne metale podlegające odwodornieniu oraz cząstki stopów metali
KR101977702B1 (ko) * 2016-12-09 2019-05-14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이온 소스 헤드 및 이를 포함하는 이온 주입 장치
EP3810358A1 (en) 2018-06-19 2021-04-28 6K Inc. Process for producing spheroidized powder from feedstock materials
CN114007782A (zh) 2019-04-30 2022-02-01 6K有限公司 机械合金化的粉末原料
EP3962862A4 (en) 2019-04-30 2023-05-31 6K Inc. LITHIUM LANTHANE ZIRCONIUM OXIDE POWDER (LLZO)
JP2023512391A (ja) 2019-11-18 2023-03-27 シックスケー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球形粉体用の特異な供給原料及び製造方法
US11590568B2 (en) 2019-12-19 2023-02-28 6K Inc. Process for producing spheroidized powder from feedstock materials
JP2023532457A (ja) 2020-06-25 2023-07-28 シックスケー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微細複合合金構造体
AU2021349358A1 (en) 2020-09-24 2023-02-09 6K Inc.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starting plasma
KR20230095080A (ko) 2020-10-30 2023-06-28 6케이 인크. 구상화 금속 분말을 합성하는 시스템 및 방법
WO2022212291A1 (en) 2021-03-31 2022-10-06 6K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dditive manufacturing of metal nitride ceramics
US12183583B2 (en) * 2021-12-14 2024-12-31 Tokyo Electron Limited Remote source pulsing with advanced pulse control
WO2023229928A1 (en) 2022-05-23 2023-11-30 6K Inc. Microwave plasma apparatus and methods for processing materials using an interior liner
US12040162B2 (en) 2022-06-09 2024-07-16 6K Inc. Plasma apparatus and methods for processing feed material utilizing an upstream swirl module and composite gas flows
WO2024044498A1 (en) 2022-08-25 2024-02-29 6K Inc. Plasma apparatus and methods for processing feed material utilizing a powder ingress preventor (pip)
US12195338B2 (en) 2022-12-15 2025-01-14 6K Inc. Systems, methods, and device for pyrolysis of methane in a microwave plasma for hydrogen and structured carbon powder production
WO2024151011A2 (ko) * 2023-01-10 2024-07-18 주식회사 뉴파워 프라즈마 다중 주파수 전원을 이용하는 공정 처리 설비
US12284747B2 (en) * 2023-03-07 2025-04-22 Finesse Technology Co., Ltd. Hollow cathode discharge assistant transformer coupled plasma source and operation method of the sam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3482U (ko) * 1998-07-24 2000-02-15 최대규 자동정합장치
KR20070061988A (ko) * 2005-12-12 2007-06-15 위순임 다중 주파수 유도 코일을 갖는 페라이트 코어를 구비한플라즈마 발생기 및 이를 구비한 플라즈마 처리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6696A (ja) * 1997-06-25 1999-01-22 Seiko Epson Corp 大気圧プラズマ生成方法および装置並びに表面処理方法
EP1203441A1 (en) * 1999-07-13 2002-05-08 Tokyo Electron Limited Radio frequency power source for generating an inductively coupled plasma
DE10024883A1 (de) * 2000-05-19 2001-11-29 Bosch Gmbh Robert Plasmaätzanlage
US6418874B1 (en) * 2000-05-25 2002-07-16 Applied Materials, Inc. Toroidal plasma source for plasma processing
JP2002130117A (ja) * 2000-10-18 2002-05-09 Mikuni Corp 電磁駆動型プランジャポンプ
KR100510279B1 (ko) * 2001-04-12 2005-08-30 (주)울텍 고밀도 플라즈마 발생원 및 방법
US6755150B2 (en) * 2001-04-20 2004-06-29 Applied Materials Inc. Multi-core transformer plasma source
ATE519357T1 (de) * 2001-10-05 2011-08-15 Tekna Plasma Systems Inc Multispulen-induktivplasmabrenner für halbleiter- leistungsversorgung
US20080060706A1 (en) * 2006-09-13 2008-03-13 Elkhart Brass Manufacturing Company, Inc. Fire fighting fluid delivery device with sensor
KR101418438B1 (ko) * 2007-07-10 2014-07-14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라즈마 발생장치
US7732759B2 (en) * 2008-05-23 2010-06-08 Tokyo Electron Limited Multi-plasma neutral beam source and method of operating
KR101245430B1 (ko) * 2008-07-11 2013-03-19 도쿄엘렉트론가부시키가이샤 플라즈마 처리 장치 및 플라즈마 처리 방법
US20120021146A1 (en) * 2010-07-21 2012-01-26 Linda Leeming Schneider Decorative Winged Insects and Methods of Making Decorative Winged Insect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3482U (ko) * 1998-07-24 2000-02-15 최대규 자동정합장치
KR20070061988A (ko) * 2005-12-12 2007-06-15 위순임 다중 주파수 유도 코일을 갖는 페라이트 코어를 구비한플라즈마 발생기 및 이를 구비한 플라즈마 처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4451A (ko) 2013-07-25
WO2013109037A1 (ko) 2013-07-25
US20150000844A1 (en) 2015-0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9806B1 (ko) 다중 모드 플라즈마 발생 장치
KR102283608B1 (ko) Rf 전달 경로의 임피던스의 제어
KR101038204B1 (ko) 플라즈마 발생용 안테나
KR101155840B1 (ko) 플라즈마 처리 장치 및 방법
US20100101727A1 (en) Capacitively coupled remote plasma source with large operating pressure range
US8404080B2 (en) Apparatus to treat a substrate
US7871490B2 (en) Inductively coupled plasma generation system with a parallel antenna array having evenly distributed power input and ground nodes and improved field distribution
US8343309B2 (en)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KR101328520B1 (ko) 플라즈마 장비
KR19980042054A (ko) 플라즈마 외장에서 발생하는 고주파를 필터링하는 플라즈마처리장치 및 방법
US6855225B1 (en) Single-tube interlaced inductively coupling plasma source
US10964511B2 (e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JP7676522B2 (ja) プラズマ生成装置
CN103474328B (zh) 等离子体处理的方法
US20040182319A1 (en) Inductively coupled plasma generation system with a parallel antenna array having evenly distributed power input and ground nodes
SG189221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igniting and sustaining plasma
US20180047542A1 (en) Inductively coupled plasma chamber having a multi-zone showerhead
KR101914902B1 (ko) 플라즈마 발생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기판 처리 장치
US20180130639A1 (en) External plasma system
CN104900472A (zh) 等离子体处理的方法
JP2006286536A (ja) プラズマ生成方法、誘導結合型プラズマ源、およびプラズマ処理装置
KR101680707B1 (ko) 점화 및 플라즈마 유지를 위한 일차 권선을 갖는 변압기 결합 플라즈마 발생기
KR102539424B1 (ko) 플라즈마 생성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TW202243549A (zh) 用於感應耦合電漿(icp)負載的雙頻匹配電路
KR102339549B1 (ko) 다중 정합코일을 구비한 플라즈마 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11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70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51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8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08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3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61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9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70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2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90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80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80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80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52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522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