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429662B1 - 전기 조리기의 조리 잔여시간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전기 조리기의 조리 잔여시간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9662B1
KR101429662B1 KR1020120100494A KR20120100494A KR101429662B1 KR 101429662 B1 KR101429662 B1 KR 101429662B1 KR 1020120100494 A KR1020120100494 A KR 1020120100494A KR 20120100494 A KR20120100494 A KR 20120100494A KR 101429662 B1 KR101429662 B1 KR 1014296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me
cooking
remaining time
temperature
heat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04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33932A (ko
Inventor
이창룡
박진모
Original Assignee
쿠쿠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쿠쿠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쿠쿠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004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9662B1/ko
Publication of KR201400339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39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96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966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02Control mechanisms for pressure-cook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32Time-controlled igniting mechanisms or alarm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 조리기의 조리 잔여시간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온도에 따라 조리 잔여시간을 산정하여 표시하는 전기 조리기의 조리 잔여시간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인 전기 조리기의 조리 잔여시간 표시 장치는 잔여 시간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내솥을 가열하는 히터부와, 내솥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감지부와, 소정의 메뉴에 대한 취사 알고리즘에 따라 히터부를 제어하고, 상기 메뉴에 대한 취사 시간을 산정하고, 취사 진행 중에 취사 시간의 잔여 시간을 표시부에 표시하고, 취사 알고리즘에 포함된 가열 공정을 수행하면서 온도 감지부로부터의 감지 온도의 변화에 따라 잔여 시간을 산정하여 표시부에 표시하는 제어부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전기 조리기의 조리 잔여시간 표시 장치{DISPLAYING APPARATUS OF THE REMAINDER OF COOKING TIME IN ELECTRIC COOKER}
본 발명은 전기 조리기의 조리 잔여시간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내부 온도에 따라 조리 잔여시간을 산정하여 표시하는 전기 조리기의 조리 잔여시간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전기 조리기의 취사알고리즘에 따른 취사공정은 일정시간 동안 쌀에 물을 충분히 흡수시켜 쌀을 불리는 불림공정과, 불림공정이 완료되면 메뉴별, 분량별(인분수)에 따라 쌀에 침수된 수분을 흡수하여 본격적으로 취사를 수행하는 가열공정과, 가열공정이 완료되면 메뉴에 따라 일정시간 동안 뜸을 들이는 뜸공정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전기 조리기를 사용할 때,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취사 공정이 언제 완료되는지가 중요한 관심사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09491호인 "전기압력보온밥솥의 취반 잔여시간 표시 장치 및 방법"은 전기압력보온밥솥의 밥솥에 장착되고 해당 제어에 의하여 발열하며 가열하는 발열부, 상기 전기압력보온밥솥에 장착되어 밥솥의 내부온도를 검출하는 온도감지부, 상기 전기압력보온밥솥의 취반용량별 익힘공정시간과 뜸공정 시간을 테이블로 기록하고 검색요청에 의하여 제공하는 테이블부, 상기 발열부를 제어하여 밥솥을 가열하고, 상기 온도감지부를 감시하여 밥솥의 내부온도를 검출하며, 기준용량의 익힘공정 시간으로 취반을 진행하고, 밥솥의 내부 온도가 일정온도에 도달하는 경우 취반이 진행된 시간을 확인하여 확인된 시간으로 밥솥에 투입된 쌀의 인분용량을 판정하고, 취반종료까지의 잔여시간을 뜸공정 시작 때까지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익힘공정 시간을 표시하는 상태에서 익힘공정이 종료되면 뜸공정을 운용하고 계수부를 제어하여 판정된 취반용량의 뜸공정 잔여시간을 다운카운트하며, 상기 다운카운트된 시간을 표시부에 출력하여 표시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설정된 익힘공정 시간과 뜸공정 시간을 다운카운트하고 정지하며 취반에 소요되는 전체시간을 계수하는 계수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익힘공정의 잔여시간과 뜸공정의 잔여시간을 포함하는 취반 시간을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제어부에 접속하고 취반공정과 보온공정을 제어하는 명령신호를 입력하는 키버튼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전기압력보온밥솥으로 취반을 진행하는 상태에서 취반완료까지의 잔여시간을 취반 시작부터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의 경우, 기준용량을 기준으로 하는 익힘 공정의 잔여 시간 표시와, 판정된 취반용량을 기준으로 하는 뜸 공정의 잔여 시간 표시를 수행하는 것으로, 취반되는 용량만을 기준으로 하여 잔여 시간을 산정한다.
일반적으로 정확한 용량판정은 취사 알고리즘의 후반에 결정되므로, 익힘 공정 중에 기준용량을 기준으로 하는 익힘 공정의 잔여 시간을 표시하는 것은 상당히 부정확한 정보 제공에 해당된다. 아울러, 실제 취사 과정에서, 변동 가능한 취사 조건(전압, 수온 등)이 전혀 고려되지 않은 상태에서, 잔여 시간이 표시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기 조리기의 취사 공정을 수행하면서, 취사 조건을 반영하여, 조리기의 내부 온도와, 목표 온도 간의 비교를 통하여, 취사 과정의 잔여 시간을 정확하게 산정하여 표시하는 전기 조리기의 조리 잔여시간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인 전기 조리기의 조리 잔여시간 표시 장치는 잔여 시간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내솥을 가열하는 히터부와, 내솥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감지부와, 소정의 메뉴에 대한 취사 알고리즘에 따라 상기 히터부를 제어하고, 상기 메뉴에 대한 취사 시간을 산정하고, 취사 진행 중에 취사 시간의 잔여 시간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고, 취사 알고리즘에 포함된 가열 공정을 수행하면서 상기 온도 감지부로부터의 감지 온도의 변화를 기준으로 하여 잔여 시간을 산정하여 표시부에 표시하는 제어부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열 공정의 출발 온도와 목표 온도 간의 차와 상기 가열 공정의 수행 시간 간의 비에 대응하는 시간 변경 온도 범위를 산정하여, 상기 감지 온도가 상기 시간 변경 온도 범위의 정수배를 초과할 때마다 상기 잔여 시간을 차감하여 표시한다.
또한, 상기 가열 공정은 복수의 하부 가열 공정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하부 가열 공정 각각의 출발 온도와, 목표 온도 및 수행 시간을 이용하여, 상기 잔여 시간을 산정하여 표시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취사 시간을 전기 조리기의 최대 인분을 기준으로 하여 산정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취사 알고리즘에 포함된 불림 공정 또는 뜸 공정은 시간의 변화에 따라 상기 잔여 시간을 산정하여 표시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복수의 하부 가열 공정 중에서, 최종 하부 가열 공정 이전에 취사되는 취사물의 용량판정을 수행하고, 상기 최종 하부 가열 공정을 수행하면서 상기 수행된 용량 판정을 고려하여 상기 잔여 시간을 산정하여 표시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취사 시간을 전기 조리기의 최대 인분을 기준으로 한 시간을 보정 시간만큼 차감하여 잔여 시간을 산정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하부 가열 공정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부 가열 공정의 수행 시간에서 상기 보정 시간만큼 차감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하부 가열 공정의 이전 공정 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부 가열 공정을 수행하면서, 상기 잔여 시간을 상기 보정 시간만큼 동일하게 표시부에 표시한다.
또한, 상기 하부 가열 공정의 이전 공정과 상기 하부 가열 공정은 연속하여 수행된다.
또한, 상기 보정 시간은 상기 전기 조리기의 최대 인분에 대한 취사 시간과 최소 인분에 대한 취사 시간의 중간 시간과, 상기 최대 인분에 대한 취사 시간 사이의 차이 시간이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잔여 시간을 소정의 주기에서 소정의 시간 동안 상기 표시부에 표시한다.
본 발명은 전기 조리기의 취사 공정을 수행하면서, 취사 조건을 반영하여, 취사 진행 정도를 정확하게 산정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조리기의 내부 온도와, 목표 온도 간의 비교를 통하여, 취사 과정의 잔여 시간을 정확하게 산정하여 표시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취사 완료까지의 잔여시간을 취사 초기부터 계속해서 표시하므로 사용자가 여가를 활용하거나, 취사 완료시간에 맞추어 식사준비를 할 수 있는 사용 편의성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열 공정의 복수의 하부 가열 공정으로 세분화하여 각각의 하부 가열 공정에서의 출발 온도와 목표 온도를 이용하여 잔여 시간을 산정하므로, 비선형적 온도 특성을 지닌 전체 가열 공정 또는 전체 취사 공정을 선형적으로 해석하는 것에 비하여 잔여 시간 산정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기 조리기의 최대 인분에 따른 취사 시간에서 보정 시간을 차감한 잔여 시간을 시용하므로, 최대 인분과 최소 인분 간의 취사 시간 차이가 클 경우에, 잔여 시간의 오차를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전기 조리기의 조리 잔여 시간 표시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인 전기 조리기의 취사 알고리즘에 의한 취사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인 전기 조리기의 조리 잔여 시간 표시 장치의 동작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은 실시예들과 도면들을 통하여 설명된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전기 조리기는 본체에 내솥이 수용되고, 본체 및 내솥을 덮어줌으로 내솥 내부를 밀폐시킬 수 있도록 외뚜껑 및 내솥뚜껑이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며, 내솥은 본체에 내장된 각종 히터에 의해 가열되면서 취사가 이루어지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인 전기 조리기의 조리 잔여 시간 표시 장치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인 전기 입력 조리기는 사용자로부터 메뉴 선택 및 취사시작 등의 사용자 설정을 입력받는 입력부(11)과, 내솥 내부를 가열하는 히터부(13)와, 선택된 메뉴, 조리 시간, 잔여 시간 등을 표시하는 표시부(15)와, 내솥의 온도(T)를 측정하는 온도 감지부(17)과, 입력부(11)로부터의 사용자 설정에 따른 취사알고리즘에 따라 취사공정을 수행하는 제어부(20)을 포함한다. 이 전기 조리기는 열판식 밥솥뿐만 아니라, IH 코일에 전류를 인가하여 IH 발열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유도가열방식 밥솥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입력부(11)은 사용자로부터 메뉴를 입력받는 메뉴 선택과, 취사 시작 입력부를 포함한다. 이 메뉴 선택 입력부는 일반적인 메뉴 버튼에 대응하는 것으로, 예를 들면, 백미, 김초밥, 잡곡/현미, 현미발아, 묵은쌀, 영양밥, 죽 등을 선택하는 것이고, 취사 시작 입력부는 취사공정 시작의 입력을 획득하여 제어부(20)으로 전송하는 수단이다.
또한, 히터부(13)은 제어부(20)으로부터의 제어명령에 따라 히터의 온/오프를 제어하여, 내솥에 열을 가하거나 발열하도록 한다.
또한, 표시부(15)는 사용자가 메뉴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고, 현재 진행 중인 취사공정의 표시, 메뉴의 종류, 잔여 시간 등을 표시하는 것으로, LCD나 LED 등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온도 감지부(17)은 제어부(20)의 제어에 의해 또는 자동적으로 내솥의 온도를 측정하여 제어부(20)으로 전송한다.
또한, 제어부(20)은 불림공정, 가열공정 및 뜸공정 등으로 구성되는 일련의 취사공정을 수행하도록 하는 취사알고리즘을 저장하며, 이 취사알고리즘에 따라 각 공정별로 목표온도가 입력되어 있어 히터부(13)의 작동을 조절하게 된다.
이 취사알고리즘은 기본적으로 사용자가 선택한 메뉴(및 취사량)에 의존한다. 즉, 메뉴의 종류에 대응하는 개별 취사알고리즘이 저장되고, 메뉴 선택 입력부를 통하여 입력된 메뉴에 따라, 제어부(20)은 대응하는 개별 취사알고리즘을 판독하여 그에 따른 취사공정을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20)은 취사공정을 수행하면서, 즉 취사 진행 중에 시작 용량을 기준으로 한 기준 잔여 시간을 산정하여 표시부(15)에 표시한다. 그리고, 잔여 시간의 감산을 수행함에 있어서, 일반적인 시간을 기준으로 하여 감산하는 것이 아니라, 적어도 가열 공정에서는 감지 온도(T)를 기준으로 하여, 감산을 수행하여 표시한다. 이러한 감산 과정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기재된다.
도 2는 본 발명인 전기 조리기의 취사 알고리즘에 의한 취사 그래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취사 알고리즘은 내솥에 담긴 취사물에 대한 불림 공정과, 온도(Ta-Te)까지 취사물에 대한 가열을 수행하는 가열 공정 및 온도(Te)로부터의 온도 하강이 수행되도록 하는 뜸 공정을 포함한다. 뜸 공정 이후엔 보온 공정이 수행되나, 도 2에서는 생략된다.
가열 공정은 복수의 하부 가열 공정들을 포함하며, 본 실시예에서 하부 가열 공정들은 가열1, 1-2, 1-3, 2 공정으로 구성된다. 가열1공정은 내솥의 온도가 온도(Ta)(출발온도)에서 온도(Tb)(목표온도)까지 수행되는 공정이고, 가열1-2 공정은 내솥의 온도가 온도(Tb)(출발온도)에서 온도(Tc)(목표온도)까지 수행되는 공정이고, 가열 1-3 공정은 내솥의 온도가 온도(Tc)(출발온도)에서 온도(Td)(목표온도)까지 수행되는 공정이고, 가열 2 공정은 내솥의 온도가 온도(Td)(출발온도)에서 온도(Te)(목표온도)까지 수행되는 공정이다.
하기에서 기재되는 실시예 1 내지 3은 불림 공정, 가열 공정 및 뜸 공정에서 잔여 시간이 표시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실시예 1
실시예 1에서, 기준 잔여 시간은 시작 용량을 전기 조리기의 최대 인분인 경우, 최대 인분을 조리할 때의 취사 시간으로 설정되고, 취사 공정은 예를 들면 32분 동안 수행된다. 상세한 공정은 표1과 같다.
구분 불림공정 가열1-1 가열1-2 가열1-3 가열2
시간 4분 2분 5분 8분 1분 용량판정후 확정
표시
단계
32-31-30-29
(4단계)
28-27
(2단계)
26-25-24-23-22
(5단계)
21-20-...-15-14
(8단계)
대:13
(1단계)
대:12-11-10-...-3-2-1
(12단계)
소:13-12
(2단계)
소:11-10-...-3-2-1
(11단계)
실시예1의 불림 공정에서는, 4분의 시간이 정상적인 시간의 변화(흐름)에 의해 표시되는 것으로, 잔여시간이 표 1의 표시 단계와 같이 표시된다. 이 불림 공정에서, 제어부(20)은 잔여 시간을 표시하되, 잔여 시간의 산정은 감지 온도(T)에 독립적으로, 즉 감지 온도(T)와 무관하게 수행된다. 불림 공정은 4분 간 수행되어, 잔여 시간은 '32분'에서 '29분'까지 기본 시간 단위(즉, 1분)만큼 감소되면서 4단계가 표시된다.
실시예 1의 가열공정에서는, 각 하부 가열 공정에서의 출발 온도와 목표 온도 간의 차이를 각 하부 가열 공정의 수행 시간(분 단위)으로 나누어서, 시간 변경 온도 범위를 결정한다. 예를 들면, 가열 1-1 공정에서의 시간 변경 온도 범위(기본 변경 단위)는 (목표 온도 - 출발 온도)/(수행시간)인 (Tb-Ta)/(2)로 결정된다. 즉, 잔여 시간 '28분'은 감지 온도(T)가 (Ta)부터 {Ta+(Tb-Ta)/2}의 영역에서 유지된다. 내부 온도가 증가하여, 감지 온도(T)가 시간 변경 온도 범위를 벗어나면, 즉 {Ta+(Tb-Ta)/2}부터 {Ta+2×(Tb-Ta)/2}=(Tb)의 영역에서는 잔여 시간 '27분'으로 변경되어 표시된다. 잔여 시간은 감지 온도(T)가 각 하부 가열 공정의 출발 온도로부터 각 하부 가열 공정의 시간 변경 온도 범위의 정수배를 초과할 때마다 기본 시간 단위만큼 감소된다. 가열 1-1 공정은 수행 시간인 2분에 대응하는 2단계의 잔여 시간 표시가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가열 1-2 공정에서의 시간 변경 온도 범위는 (Tc-Tb)/(5)로 결정된다. 따라서, 감지 온도(T)가 (Tb)로부터 {Tb+(Tc-Tb)/5}까지는 잔여 시간 '26분'으로 표시되고, {Tb+(Tc-Tb)/5}로부터 {Tb+2×(Tc-Tb)/5}까지는 잔여 시간 '25분' 등으로 표시된다. 이러한 잔여 시간 산정 과정은 가열 1-3 공정 및 가열 2 공정까지, 제어부(20)에 의해 각 하부 가열 공정 별로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되고, 잔여 시간이 표시부(15)에 표시된다.
도 2의 취사 그래프는 전체 취사 공정 또는 전체 가열 공정의 온도 특성이 비선형적임을 보여준다. 즉, 전체 취사 공정 또는 전체 가열 공정을 온도 특성에 따라 잔여 시간을 산정할 경우, 비선형적인 특성을 지닌 온도를 선형적으로 해석하게 되어, 그 오차가 상당히 크게 된다. 예를 들면, 전체 가열 공정의 출발 온도(Ta)와 목표 온도(Te)와, 수행시간(17분)을 이용하여 시간 변경 온도 범위를 산정하는 선형적 해석은 실제 취사 그래프 상의 비선형 특성과 상당한 차이를 지니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잔여 시간의 오차를 감소시키기 위해, 가열 공정을 복수의 하부 가열 공정으로 세분화하고, 각 하부 가열 공정의 출발 온도와 목표 온도 및 각 하부 가열 공정의 수행 시간으로부터의 시간 변경 온도 범위를 이용한 선형적 해석은 실제 취사 그래프 상의 비선형 특성에 상당히 근접하여 오차를 감소시킨다.
제어부(20)은 취사 공정을 수행하면서, 용량 판정 방법을 수행한다. 이러한 용량 판정 방법은 종래에 알려진 방법이 적용될 수 있기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된다. 제어부(20)은 가열 1-3 공정까지, 즉 가열 2 공정 이전에 내솥에서 취사되는 취사물의 용량을 판정한다. 이렇게 판정된 용량을 이용하여, 제어부(20)은 가열 2 공정에서의 표시 단계를 표 1과 같이, 대인분일 경우와, 소인분일 경우를 구별하여 표시되도록 한다.
대인분일 경우에는, 감지 온도(T)가 온도(Td)에서 (Te)의 영역에서, 제어부(20)은 잔여 시간 '13분'을 표시한다. 소인분일 경우에는, 감지 온도(T)가 온도 (Td)에서 {Td+(Te-Td)/2}의 영역에서는 잔여 시간 '13분'을 표시하고, {Td+(Te-Td)/2}에서 (Te)의 영역에서는 잔여 시간 '12분'으로 표시한다.
다음으로, 뜸 공정에서는, 제어부(20)은 용량 판정 방법과, 가열 2 공정에서 산정된 잔여 시간(대인분-12분부터, 소인분-11분부터)을 표시부(15)에 표시하고, 산정된 잔여 시간을 시간의 흐름(변화)에 따라 감산하여 표시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제어부(20)은 가열 공정에서 감지 온도(T)의 변화에 따라 잔여 시간을 산정하여 표시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목표 온도가 출발 온도보다 높기 때문에, 목표 온도에서 출발 온도를 차감하였다. 가열 공정 중에 딜레이 공정이 포함될 수 있다. 딜레이 공정은 취사 알고리즘 구현에 있어 일정 시간 또는 일정 온도 범위 동안 가열을 중지 또는 최소화하는 공정으로, 취사물의 온도 하강/안정화시키고, 취사물의 맛 향상 또는 비산 방지를 위해 수행될 수 있다. 딜레이 공정의 제1방법은 정해진 시간 동안 제어부(20)이 히터부(13)을 제어하여 가열이 수행되지 않도록 하거나, 가열량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이 경우, 제어부(20)은 상술된 불림 공정과 같이, 잔여 시간을 딜레이 공정의 수행 시간 동안 시간의 흐름(시간의 변화)에 따라 감소시켜 표시한다. 딜레이 공정의 제2 방법은 출발 온도로부터 목표 온도까지 정해진 온도만큼 감지온도(T)가 하강할 때까지 제어부(20)이 히터부(13)의 출력을 조절하는 것으로, 이 경우, 출발 온도가 목표 온도보다 높으므로, (출발 온도 - 목표 온도)/(딜레이 공정의 수행 시간)에 의해, 시간 변경 온도 범위를 산정하여, 상술된 가열 1 내지 1-3 공정과 같이, 온도의 변화에 따라 잔여 시간을 산정하여 표시한다.
실시예 2
실시예 2에서는 기준 잔여 시간이 전기 조리기의 최대 인분에 의한 취사 시간으로부터 보정 시간(예를 들면, 5분)을 차감한 시간으로 설정된다. 본 실시예에서의 기준 잔여 시간이 27분이다. 이 보정 시간은 전기 조리기의 최대 인분에 의한 취사 시간(예를 들면, 32분)과, 최소 인분에 의한 취사 시간(예를 들면, 22분)의 중간 시간과, 최대 인분에 의한 취사 시간 간의 차이 시간에 해당된다. 실시예 1의 경우, 최대 인분을 기준으로 하여 기준 잔여 시간을 설정하고, 실제로 최소 인분에 대한 취사가 수행될 경우, 실제 취사 시간과 기준 잔여 시간 간의 차이가 크게 되므로, 이러한 보정 시간을 사용하여 실제 취사 시간과 기준 잔여 시간 간의 차이가 감소되도록 한다.
구분 불림공정 가열1-1 가열1-2 가열1-3 가열2
시간 4분 2분 3분 5분 1분 용량판정후 확정
표시
단계
27-26-25-24
(4단계)
23-22
(2단계)
21-20-19
(3단계)
18-17-...-15-14
(5단계)
대:13
(1단계)
대:12-11-10-...-3-2-1
(12단계)
소:13-12
(2단계)
소:11-10-...-3-2-1
(11단계)
실시예2에서의 불림 공정에서는, 4분의 시간이 정상적인 시간의 흐름에 의해 표시되는 것으로, 잔여시간이 표 2의 표시 단계와 같이 표시된다. 이 불림 공정에서, 제어부(20)은 잔여 시간을 표시하되, 잔여 시간의 산정은 감지 온도(T)에 독립적으로, 즉 감지 온도(T)와 무관하게 수행된다. 불림 공정은 4분 간 수행되어, 잔여 시간은 '27분'에서 '24분'까지 기본 시간 단위(즉, 1분)만큼 감소되면서 4단계로 표시된다.
다음으로, 가열 1 -1 공정은 실시예 1과 동일한 산정방식으로 잔여 시간이 산정되나, 실시예 2에서의 가열 1-1 공정에서의 잔여 시간은 '23분'에서 시작하여, '22분'에 종료된다. 즉, 잔여 시간이 2단계로 표시된다.
다음으로, 기준 잔여 시간의 선정 시에 최대 인분에 의한 취사 시간으로부터 보정 시간을 차감한 것으로 인하여, 가열 1-2 공정과, 가열 1-3 공정에서 보정하는 과정이 수행되어야 한다. 제어부(20)은 잔여 시간 표시를 가열 1-2 공정의 수행 시간인 5분에 해당하는 5단계의 표시에서, 수행 시간을 제1차감시간(2분) 만큼 감소시켜서 3단계의 표시로 변경한다. 여기서, 목표 온도와 출발 온도는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하나, 잔여 시간이 표시되는 단계 수가 변경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가열 1-2 공정에서의 시간 변경 온도 범위는 (목표 온도 - 출발 온도)/(차감된 수행시간)인 (Tc-Tb)/(3)로 결정된다. 따라서, 감지 온도(T)가 (Tb)로부터 {Tb+(Tc-Tb)/3}까지는 잔여 시간 '21분'으로 표시되고, {Tb+(Tc-Tb)/3}로부터 {Tb+2×(Tc-Tb)/3}까지는 잔여 시간 '20분' 등으로 표시된다.
가열 1-3 공정에서, 제어부(20)은 잔여 시간 표시를 가열 1-3 공정의 수행 시간인 8분에 해당하는 8 단계의 표시에서, 수행 시간을 제2차감시간(3분) 만큼 감소시켜서 5단계의 표시로 변경한다. 여기서, 목표 온도와 출발 온도는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하나, 잔여 시간이 표시되는 단계 수가 변경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가열 1-3 공정에서의 시간 변경 온도 범위는 (목표 온도 - 출발 온도)/(차감된 수행시간)인 (Tc-Tb)/(5)로 결정된다.
실시예 2에서, 제1 및 제2 차감 시간의 합은 보정 시간과 동일하게 되어야 하며, 이러한 보정 과정은 가열 1-1, 1-2, 1-3 및 2 공정 중의 어느 하부 가열 공정에 대해서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잔여 시간 산정 과정은 가열 1-2 내지 가열 1-3 공정까지, 제어부(20)에 의해 수행되고, 잔여 시간이 표시부(15)에 표시된다. 이후의 가열 2 공정부터 뜸 공정도 제어부(20)에 의해 실시예1과 동일한 방식으로 잔여 시간이 산정되어 표시된다.
실시예 3
실시예 3에서는, 실시예 2와 동일하게 기준 잔여 시간이 전기 조리기의 최대 인분에 의한 취사 시간으로부터 보정 시간(예를 들면, 5분)을 차감한 시간으로 설정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기준 잔여 시간이 27분이다. 이 보정 시간은 실시예2와 같은 이유와 방식으로 설정된다.
구분 불림공정 가열1-1 가열1-2 가열1-3 가열2
시간 4분 2분 5분 8분 1분 용량판정후 확정
표시
단계
27-27-27-27
(0단계)
27-27
(1단계)
26-25-24-23-22
(5단계)
21-20-...-15-14
(8단계)
대:13
(1단계)
대:12-11-10-...-3-2-1
(12단계)
소:13-12
(2단계)
소:11-10-...-3-2-1
(11단계)
실시예2에서의 불림 공정에서는, 4분의 시간이 수행 공정 동안 잔여 시간 '27분'으로 동일하게 표시된다. 이 불림 공정에서, 제어부(20)은 잔여 시간을 동일한 '27분'으로 표시하여, 표시는 0단계로만 이루어진다. 기준 잔여 시간의 선정 시에 최대 인분에 의한 취사 시간으로부터 보정 시간을 차감한 것을 불림 공정에서 보정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다음으로, 제어부(20)은 가열 1-1 공정을 수행하면서, 잔여 시간 표시를 '27분'으로 표시한다. 즉, 제어부(20)은 불림 공정과 연속하여 수행되는 가열 1-1공정에서 보정 시간만큼의 시간 동안, 잔여 시간을 동일하게 표시한다. 제어부(20)은 감지 온도(T)가 목표 온도(Tb) 이전까지 잔여 시간을 '27분'으로 표시한다.
제어부(20)은 감지 온도(T)가 온도(Tb)에 도달하여, 가열 1-2 공정을 수행할 때, 잔여 시간을 '26분'으로 표시한다. 이후부터는 실시예1에서의 가열 1-2 공정과, 가열 2 공정과 같이, (목표 온도-출발 온도)/(수행시간)으로 산정된 시간 변경 온도 범위을 이용하여, 잔여 시간을 기본 시간 단위만큼 차감하여 표시한다.
실시예3에서는, 보정 시간을 고려하여, 불림 공정과 가열 1-1 공정에서는 잔여 시간을 동일하게 표시하고, 그 이후의 단계에서는 온도의 변화에 따라 잔여 시간을 산정하여 표시한다. 다만, 실시예 3에서, 가열 1-1 내지 2 공정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의 공정에서 보정 시간만큼 잔여 시간을 동일하게 표시할 수도 있다. 이후의 가열 2 공정부터 뜸 공정도 제어부(20)에 의해 실시예1과 동일한 방식으로 잔여 시간이 산정되어 표시된다.
도 3은 본 발명인 전기 조리기의 조리 잔여 시간 표시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단계(S11)에서, 제어부(20)은 입력부(11)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메뉴 선택을 획득한다.
단계(S13)에서, 제어부(20)은 메뉴 선택에 대응하는 기저장된 취사 알고리즘을 선택한다.
단계(S15)에서, 제어부(20)은 입력부(11)로부터 사용자에 의한 취사 시작 명령을 획득하여, 취사를 시작한다.
단계(S17)에서, 제어부(20)은 취사 시작 명령에 따라, 제어부(20)은 선택된 알고리즘에 따라 취사를 수행하며, 실시예 1 내지 3 중의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기준 잔여 시간이 설정된다. 즉, 상술된 실시예 1에서는 최대 인분에 대응하는 취사 시간을 기준 잔여 시간으로 산정하고, 실시예 2 및 3에서는 최대 인분에 대응하는 취사 시간으로부터 보정 시간을 차감한 시간을 잔여 시간으로 산정한다. 제어부(20)은 산정된 잔여 시간을 표시한다. 이러한 잔여 시간의 산정 과정에서, 실시예 2에서는 가열 1-2 공정과 1-3 공정에 대한 제1 및 제2 차감시간에 따른 보정을 수행하고, 온도의 변화에 따라 보정된 시간을 차감하여 잔여 시간을 산정한다. 실시예 3에서는 불림 공정 및 가열 1-1 단계에서는 동일한 잔여 시간을 표시하고, 가열 1-2공정부터 가열 2공정까지는 실시예1과 동일하게 온도의 변화에 따라 잔여 시간을 산정하여 표시한다.
단계(S19)에서, 제어부(20)은 불림 공정이 완료되었는지를 확인하며, 불림 공정이 완료될 때까지, 단계(S17)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20)은 실시예 1 및 2에서는 시간의 변화에 따라 잔여 시간을 산정하여 표시하고, 실시예 3에서는 동일한 잔여 시간이 지속적으로 표시된다.
단계(S21)에서, 제어부(20)은 불림 공정이 완료된 이후에, 실시예 1과 2에서는 온도의 변화에 따라 잔여 시간을 감소시켜 표시하고, 실시예 3에서는 동일한 잔여 시간을 가열 1-1 공정이 수행되는 동안 표시한다.
단계(S23)에서, 제어부(20)은 가열 1-1, 1-2, 1-3 및 2 공정이 각각 완료되었는지를 확인한다. 제어부(20)은 가열 1-1 공정이 완료되었는지를 판단하여, 가열 1-1 공정이 완료되지 않았으면 단계(S23)으로 진행하고, 가열 1-1 공정이 완료되었으면, 가열 1-2 가열 공정을 수행하면서, 잔여 시간을 산정하여 표시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제어부(20)은 하부 가열 공정들인 가열 1-1, 1-2, 1-3 및 2 공정을 순차적으로 완료할 때까지 단계(S21) 및 (S23)을 수행한다.
실시예1의 경우, 제어부(20)은 하부 가열 공정들인 각각의 가열 1-1 내지 2 공정까지, 온도의 변화에 따라 잔여 시간을 산정하여 표시한다. 또한, 실시예2의 경우, 제어부(20)은 하부 가열 공정들인 각각의 가열 1-1 공정, 가열 2 공정, 제1 및 제2차감 시간이 각각 차감된 가열 1-2 공정 및 가열 1-3공정에서, 온도의 변화에 따라 잔여 시간을 산정하여 표시한다. 또한, 실시예3의 경우, 제어부(20)은 가열 1-1 공정 동안 동일한 시간을 표시하고, 가열 1-2, 1-3 및 2 공정에서는 온도의 변화에 따라 잔여 시간을 산정하여 표시한다.
또한, 제어부(20)은 가열 2 공정 이전에 취사량에 대한 용량 판정이 필요한 경우, 이 용량 판정을 수행하여, 가열 2 공정에서 대인분 및 소인분에 따른 잔여 시간의 산정 및 표시가 수행되도록 한다. 다만 용량 판정이 필요없는 경우(예를 들면, 뜸 공정의 수행 시간이 일정하거나 이미 결정된 경우)에는 대인분에 대응하는 잔여 시간 또는 기설정된 뜸 공정 시간을 기준으로 하여 가열 2 공정의 잔여 시간 표시가 수행된다.
단계(S25)에서, 제어부(20)은 가열 공정 중에 용량 판정이 수행된 경우에는, 대인분 또는 소인분에 대응하는 잔여 시간을 산정하여 표시하고, 가열 공정 중에 용량 판정이 불필요한 경우에는 대인분에 대응하는 잔여 시간 또는 기설정된 잔여 시간을 표시한다.
단계(S27)에서, 제어부(20)은 뜸 공정이 완료되었는지를 판단한다. 뜸 공정이 진행 중이면 단계(S25)로 진행하여, 잔여 시간을 시간의 변화에 따라 감산하여 표시한다. 뜸 공정이 완료되면, 제어부(20)은 보온 공정을 수행한다.
실시예 1 내지 3에서, 공통적으로 뜸 공정은 시간의 변화에 따른 잔여 시간 표시가 되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20)이 표시부(15)에 잔여 시간을 취사 종료 시까지 표시할 때, 일정 주기(예를 들면, 1분)에서 잔여 시간을 일정 시간(예를 들면, 10초)만큼만 표시되도록 하고, 나머지 시간(예를 들면, 50초) 동안은 잔여 시간 이외의 정보를 표시(예를 들면, 취사중, 취사 진행율 등) 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즉, 제어부(20)이 잔여 시간을 표시부(15)에 소정의 주기에서 소정의 시간 동안만 표시한다. 제어부(20)이 온도의 변화에 따라 잔여 시간을 표시하게 되므로, 잔여 시간의 변화를 사용자가 실제 시간의 흐름과 혼동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혼동을 최소화하기 위해 간헐적으로 잔여 시간을 표시한다. 또한, 이러한 잔여 시간의 간혈적 표시는 취사 공정 전체에 적용될 수도 있고, 일부 구간(예를 들면, 불림공정, 가열 1-1 내지 2 공정)에서만 적용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백미의 일반적인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설명되고 있으나, 잡곡, 누룽지, 죽, 숭늉 등과 같은 다양한 메뉴를 위한 취사 알고리즘에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적용되는 취사 알고리즘에서 불림 공정 또는 하부 가열 공정의 일부가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적용되는 취사 알고리즘은 불림 공정, 가열 공정, 딜레이 공정, 가열 유지 공정(가열을 일정 시간동안 유지하는 공정) 등의 다양한 공정들이 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1: 입력부 13:히터부
15:표시부 17:온도 감지부
20:제어부

Claims (12)

  1. 잔여 시간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내솥을 가열하는 히터부와;
    내솥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감지부와;
    소정의 메뉴에 대한 취사 알고리즘에 따라 히터부를 제어하고, 상기 메뉴에 대한 취사 시간을 산정하고, 취사 진행 중에 취사 시간의 잔여 시간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고, 취사 알고리즘에 포함된 가열 공정을 수행하면서 상기 온도 감지부로부터의 감지 온도의 변화를 기준으로 하여 잔여 시간을 산정하여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제어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조리기의 조리 잔여시간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열 공정의 출발 온도와 목표 온도 간의 차와 상기 가열 공정의 수행 시간 간의 비에 대응하는 시간 변경 온도 범위를 산정하여, 상기 감지 온도가 상기 시간 변경 온도 범위의 정수배를 초과할 때마다 상기 잔여 시간을 차감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조리기의 조리 잔여시간 표시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공정은 복수의 하부 가열 공정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하부 가열 공정 각각의 출발 온도와, 목표 온도 및 수행 시간을 이용하여, 상기 잔여 시간을 산정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조리기의 조리 잔여시간 표시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취사 시간을 전기 조리기의 최대 인분을 기준으로 하여 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조리기의 조리 잔여시간 표시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취사 알고리즘에 포함된 불림 공정 또는 뜸 공정은 시간의 변화에 따라 상기 잔여 시간을 산정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조리기의 조리 잔여시간 표시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복수의 하부 가열 공정 중에서, 최종 하부 가열 공정 이전에 취사되는 취사물의 용량판정을 수행하고, 상기 최종 하부 가열 공정을 수행하면서 상기 수행된 용량 판정을 고려하여 상기 잔여 시간을 산정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조리기의 조리 잔여시간 표시 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취사 시간을 전기 조리기의 최대 인분을 기준으로 한 시간을 보정 시간만큼 차감하여 잔여 시간을 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조리기의 조리 잔여시간 표시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하부 가열 공정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부 가열 공정의 수행 시간에서 상기 보정 시간만큼 차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조리기의 조리 잔여시간 표시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하부 가열 공정의 이전 공정 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부 가열 공정을 수행하면서, 상기 잔여 시간을 상기 보정 시간만큼 동일하게 표시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조리기의 조리 잔여시간 표시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가열 공정의 이전 공정과 상기 하부 가열 공정은 연속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조리기의 조리 잔여시간 표시 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 시간은 상기 전기 조리기의 최대 인분에 대한 취사 시간과 최소 인분에 대한 취사 시간의 중간 시간과, 상기 최대 인분에 대한 취사 시간 사이의 차이 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조리기의 조리 잔여 시간 표시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잔여 시간을 소정의 주기에서 소정의 시간 동안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조리기의 조리 잔여 시간 표시 장치.
KR1020120100494A 2012-09-11 2012-09-11 전기 조리기의 조리 잔여시간 표시 장치 Active KR1014296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0494A KR101429662B1 (ko) 2012-09-11 2012-09-11 전기 조리기의 조리 잔여시간 표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0494A KR101429662B1 (ko) 2012-09-11 2012-09-11 전기 조리기의 조리 잔여시간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3932A KR20140033932A (ko) 2014-03-19
KR101429662B1 true KR101429662B1 (ko) 2014-08-13

Family

ID=506446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0494A Active KR101429662B1 (ko) 2012-09-11 2012-09-11 전기 조리기의 조리 잔여시간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966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76562A (zh) * 2018-09-06 2020-03-13 浙江绍兴苏泊尔生活电器有限公司 烹饪器具及其显示控制方法和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20870A (ko) * 1994-12-30 1996-07-18 이영서 전기보온밥솥의 취반량 검출방법
JP3558042B2 (ja) * 2001-01-16 2004-08-25 タイガー魔法瓶株式会社 電気炊飯器
KR20080087353A (ko) * 2007-03-26 2008-10-01 주식회사 부방테크론 전기압력보온밥솥의 취반 잔여시간 표시장치 및 방법
KR20080087363A (ko) * 2007-03-26 2008-10-01 삼성전자주식회사 세제공급장치를 갖춘 세탁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20870A (ko) * 1994-12-30 1996-07-18 이영서 전기보온밥솥의 취반량 검출방법
JP3558042B2 (ja) * 2001-01-16 2004-08-25 タイガー魔法瓶株式会社 電気炊飯器
KR20080087353A (ko) * 2007-03-26 2008-10-01 주식회사 부방테크론 전기압력보온밥솥의 취반 잔여시간 표시장치 및 방법
KR20080087363A (ko) * 2007-03-26 2008-10-01 삼성전자주식회사 세제공급장치를 갖춘 세탁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3932A (ko) 2014-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687985B (zh) 电饭煲及其保温方法
JP6961645B2 (ja) 調理装置及び調理システム
US10253989B2 (en) Method for operating a cooking device, and such a cooking device for performing the method
AU2013354401B2 (en) A method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 cooking process on an induction cooking hob
AU2015342728B2 (en) Cooktop
CN101167627A (zh) 显示热量信息的烹饪设备和方法
US20200281391A1 (en) Sous-vide oven mode with probe
JP5496168B2 (ja) 加熱調理器
KR101576946B1 (ko) 전기밥솥의 취사 공정 제어 방법
US10813172B2 (en) Cooktop appliances and control methods for the same
KR101429662B1 (ko) 전기 조리기의 조리 잔여시간 표시 장치
JP2019200002A (ja) 加熱調理装置
KR101686516B1 (ko) 조리 동작 중 비정상 조건 처리 방법
KR100746393B1 (ko) 전기압력보온밥솥의 취사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20170070535A (ko) 전기레인지의 자동제어 장치 및 방법
CN113271826B (zh) 具有待烹饪食物的标记功能的电烹饪设备
KR20190029871A (ko) 전기 조리기 및 그의 제어 방법
CN110856596B (zh) 一种烹饪设备的控制方法、装置、烹饪设备及存储介质
KR100828642B1 (ko) 전기압력밥솥의 예약취사 제어방법
JP2008232560A (ja) 加熱調理器
JP5380171B2 (ja) 誘導加熱調理器
KR100828640B1 (ko) 전기압력밥솥의 예약취사 제어방법
JP2024142423A (ja) 加熱調理器
JP5889130B2 (ja) 誘導加熱調理器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H0777330A (ja) 加熱調理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91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11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5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7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8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08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8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6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62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63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702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