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428953B1 - 자동 정지 장치가 부착된 슬라이드 파스너용 슬라이더 - Google Patents

자동 정지 장치가 부착된 슬라이드 파스너용 슬라이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8953B1
KR101428953B1 KR1020137007301A KR20137007301A KR101428953B1 KR 101428953 B1 KR101428953 B1 KR 101428953B1 KR 1020137007301 A KR1020137007301 A KR 1020137007301A KR 20137007301 A KR20137007301 A KR 20137007301A KR 101428953 B1 KR101428953 B1 KR 1014289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r
pair
slide fastener
hole
lock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73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49206A (ko
Inventor
게이이치 게야키
고지 야마기시
신야 혼다
Original Assignee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492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92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89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8953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9/00Slide fasteners
    • A44B19/24Details
    • A44B19/26Sliders
    • A44B19/30Sliders with means for locking in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9/00Slide fasteners
    • A44B19/24Details
    • A44B19/26Slider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9/00Slide fasteners
    • A44B19/24Details
    • A44B19/26Sliders
    • A44B19/30Sliders with means for locking in position
    • A44B19/308Sliders with means for locking in position in the form of a spring-actuated locking member actuated by the pull memb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25Zipp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 Y10T24/2561Slider having specific configuration, construction, adaptation, or material
    • Y10T24/2588Slider having specific configuration, construction, adaptation, or material including means for attaching components of slider together

Landscapes

  • Slide Fasteners (AREA)
  • Slide Fasteners, Snap Fasteners, And Hook Fasteners (AREA)

Abstract

자동 정지 장치가 부착된 슬라이드 파스너용 슬라이더(10)는, 상부 날개판(12)과 하부 날개판(13)을 안내 기둥(14)에 의해 연결하고, 파스너 엘리먼트가 삽입 관통 가능한 엘리먼트 안내로(15)를 형성하는 몸통체(11)와, 핀(50)에 의해 상기 몸통체(11)에 요동 가능하게 축 지지되고, 상부 날개판(12)에 형성된 걸림 창 구멍(20)으로부터 엘리먼트 안내로(15)로 돌출 가능한 걸림 갈고리(42)를 갖는 걸림 부재(40)과, 걸림 갈고리(42)가 걸림 창 구멍(20)으로부터 엘리먼트 안내로(15)로 돌출되도록 걸림 부재(40)를 가압하는 가압부(53)를 구비한다. 핀(50)의 양단부에 배치되는 커버(30)의 한 쌍의 측판 부분(32)에는, 핀(50)이 관통하는 관통 구멍(33)의 주변부에, 핀(50)의 단부면(50a)과 접촉 가능한 로킹 돌기(35)가 각각 설치된다.

Description

자동 정지 장치가 부착된 슬라이드 파스너용 슬라이더 {SLIDER FOR SLIDE FASTENERS WITH ATTACHED AUTOMATIC STOPPING DEVICE}
본 발명은, 자동 정지 장치가 부착된 슬라이드 파스너용 슬라이더에 관한 것이다.
자동 정지 장치가 부착된 슬라이드 파스너용 슬라이더에서는, 걸림 부재가 핀에 의해 몸통체에 요동 가능하게 축 지지되고, 통상 상태에서는, 걸림 부재를 가압하는 스프링 부재에 의해, 걸림 부재의 걸림 갈고리가 엘리먼트 안내로로 돌출되고, 엘리먼트 안내로 내에서 인접하는 파스너 엘리먼트 사이에 결합되어, 슬라이더가 로크된다. 또한, 손잡이가 끌어올려지면, 스프링 부재의 가압에 거슬러 걸림 갈고리가 들어올려져, 슬라이더의 로크가 해제된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및 2 참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자동 정지 장치가 부착된 슬라이드 파스너용 슬라이더는, 손잡이 후부착 타입의 것을 개시하고 있고, 핀의 선단에 오목부를 미리 가공해 두고, 핀을 몸통체, 걸림 부재, 커버에 삽입 관통시킨 후에, 핀의 선단을 로킹에 의해 넓힘으로써, 핀을 커버에 걸리게 하고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에 기재된 자동 정지 장치가 부착된 슬라이드 파스너용 슬라이더에서는, 핀을 몸통체, 걸림 부재에 삽입 관통시킨 후에, 몸통체의 관통 구멍의 주변부에 형성된 만곡 경사면을 내측으로 절곡하여, 핀을 걸리게 하고 있다.
일본 실용신안 공고 평4-32974호 공보 일본 특허 출원 공개 평2-213302호 공보
그런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자동 정지 장치가 부착된 슬라이드 파스너용 슬라이더에서는, 핀의 선단을 가공할 필요가 있으므로, 와이어를 절단한 후에 2차 가공이 필요했다. 또한, 특허문헌 2에 기재된 자동 정지 장치가 부착된 슬라이드 파스너용 슬라이더에서는, 핀의 고정이, 관통 구멍의 주변부가 만곡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만 적용할 수 있고, 관통 구멍의 주변부가 평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대응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은, 핀의 제조 비용을 저감할 수 있고, 또한 관통 구멍의 주변부의 형상에 상관없이, 핀을 걸 수 있는, 자동 정지 장치가 부착된 슬라이드 파스너용 슬라이더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하기의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1) 파스너 엘리먼트가 삽입 관통 가능한 엘리먼트 안내로를 형성하는 몸통체와,
핀에 의해 상기 몸통체에 요동 가능하게 축 지지되고, 상기 몸통체에 형성된 걸림 창 구멍으로부터 상기 엘리먼트 안내로로 돌출 가능한 걸림 갈고리를 갖는 걸림 부재와,
상기 걸림 갈고리가 상기 걸림 창 구멍으로부터 상기 엘리먼트 안내로로 돌출되도록 상기 걸림 부재를 가압하는 가압부를 구비한 자동 정지 장치가 부착된 슬라이드 파스너용 슬라이더이며,
상기 핀의 양단부에 배치되는 한 쌍의 측판 부분에는, 상기 핀이 관통하는 관통 구멍의 주변부에, 상기 핀의 단부면과 접촉 가능한 로킹 돌기가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정지 장치가 부착된 슬라이드 파스너용 슬라이더.
(2) 상기 한 쌍의 측판 부분에는, 상기 관통 구멍의 주변부에 상기 로킹 돌기가 연장되는 오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에 기재된 자동 정지 장치가 부착된 슬라이드 파스너용 슬라이더.
(3) 상기 몸통체는, 상부 날개판과 하부 날개판을 안내 기둥에 의해 연결하고,
상기 몸통체의 상부 날개판에는, 상기 상부 날개판으로부터 기립 설치하는 한 쌍의 장착편 및 상기 걸림 부재와 함께 상기 핀이 삽입 관통되고, 이들 한 쌍의 장착편 및 상기 걸림 부재를 덮는 커버가 장착되고,
상기 로킹 돌기는, 상기 커버의 한 쌍의 측판 부분에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또는 (2)에 기재된 자동 정지 장치가 부착된 슬라이드 파스너용 슬라이더.
(4) 상기 커버의 한 쌍의 측판 부분에는, 그 내측면의 관통 구멍 부근에 내측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후육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에 기재된 자동 정지 장치가 부착된 슬라이드 파스너용 슬라이더.
(5) 상기 한 쌍의 장착편에는, 상기 핀이 삽입 관통되는 관통 구멍 부근에, 상기 한 쌍의 후육부와 대향하는 한 쌍의 오목 함몰부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에 기재된 자동 정지 장치가 부착된 슬라이드 파스너용 슬라이더.
(6) 상기 커버는, 하향 오목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걸림 부재는, 손잡이의 장착축부를 수용하는 작동 오목 홈을 구비하고,
상기 커버의 후방구측 단부와 상부 날개판 사이에 형성되는 삽입 관통 간극이 개방되어 손잡이의 장착축부가 삽입 관통 가능한 간극 개구 위치와, 상기 삽입 관통 간극을 폐쇄하는 간극 폐쇄 위치 사이를 미끄럼 이동하는 폐쇄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손잡이는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자동 정지 장치가 부착된 슬라이드 파스너용 슬라이더.
(7) 상기 로킹 돌기는, 상기 몸통체의 한 쌍의 측판 부분에 각각 직접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또는 (2)에 기재된 자동 정지 장치가 부착된 슬라이드 파스너용 슬라이더.
(8) 상기 로킹 돌기는, 상기 관통 구멍의 테두리부를 따라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내자 (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자동 정지 장치가 부착된 슬라이드 파스너용 슬라이더.
(9) 상기 각 측판 부분에는, 적어도 2개의 상기 로킹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자동 정지 장치가 부착된 슬라이드 파스너용 슬라이더.
(10) 상기 로킹 돌기는 상기 관통 구멍의 주위에 전체 둘레에 걸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자동 정지 장치가 부착된 슬라이드 파스너용 슬라이더.
본 발명의 자동 정지 장치가 부착된 슬라이드 파스너용 슬라이더에 따르면, 핀의 양단부에 배치되는 한 쌍의 측판 부분에는, 핀이 관통하는 관통 구멍의 주변부에, 핀의 단부면과 접촉 가능한 로킹 돌기가 각각 설치되므로, 핀에 2차 가공을 실시할 필요가 없어져, 핀의 제조 비용을 저감할 수 있고, 또한 관통 구멍의 주변부의 형상에 상관없이 핀을 걸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손잡이 후부착 자동 정지 장치가 부착된 슬라이드 파스너용 슬라이더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슬라이더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하는 슬라이더의 손잡이가 장착되어 있지 않은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IV-IV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5의 (a)는 커버의 측면도이고, (b)는 커버의 사시도이다.
도 6은 와이어로부터 핀을 가공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제1 실시 형태의 제1 변형예에 관한 손잡이 후부착 자동 정지 장치가 부착된 슬라이드 파스너용 슬라이더의 주요부 확대 사시도로, (a)는 로킹 돌기를 로킹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하고, (b)는 로킹 돌기를 로킹한 후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하는 슬라이더의, 도 4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도 9는 제1 실시 형태의 제2 변형예에 관한 손잡이 후부착 자동 정지 장치가 부착된 슬라이드 파스너용 슬라이더의 주요부 확대 사시도로, (a)는 로킹 돌기를 로킹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하고, (b)는 로킹 돌기를 로킹한 후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제1 실시 형태의 제3 변형예에 관한 손잡이 후부착 자동 정지 장치가 부착된 슬라이드 파스너용 슬라이더의 주요부 확대 사시도로, (a)는 로킹 돌기를 로킹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하고, (b)는 로킹 돌기를 로킹한 후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손잡이 회전식 자동 정지 장치가 부착된 슬라이드 파스너용 슬라이더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하는 슬라이더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1에 도시하는 슬라이더의 U자 형상 가이드 레버의 전방편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로킹 돌기 주변의 구성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커버의 측면도이다.
도 15는 로킹 돌기 주변의 구성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하는 커버의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자동 정지 장치가 부착된 슬라이드 파스너용 슬라이더의 각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슬라이더에 관하여, 상측이라 함은 도 3의 지면(紙面)에 대해 상측, 하측이라 함은 도 3의 지면에 대해 하측, 전방측이라 함은 도 3의 지면에 대해 좌측, 후방측이라 함은 도 3의 지면에 대해 우측, 좌측이라 함은 도 3의 지면에 대해 전방측, 우측이라 함은 도 3의 지면에 대해 안쪽측으로 한다. 또한, 각 도면에 있어서, 부호 U는 상측, 부호 D는 하측, Fr은 전방측, Re는 후방측, L은 좌측, R은 우측을 나타낸다.
(제1 실시 형태)
우선,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손잡이 후부착 자동 정지 장치가 부착된 슬라이드 파스너용 슬라이더(10)에 대해 설명한다.
손잡이 후부착 자동 정지 장치가 부착된 슬라이드 파스너용 슬라이더(10)[이하, 단순히 「슬라이더(10)」라고도 칭함]에서는, 몸통체(11)가,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상부 날개판(12) 및 하부 날개판(13)과, 상부 날개판(12) 및 하부 날개판(13)을 연결하는 안내 기둥(14)을 구비한다. 또한, 상부 날개판(12)과 하부 날개판(13) 사이에는, 도시하지 않은 파스너 엘리먼트가 삽입 관통 가능한 엘리먼트 안내로(15)가 형성되어 있다.
엘리먼트 안내로(15)는, 몸통체(11)의 전후 방향으로 연통되어 있고, 상부 날개판(12)[하부 날개판(13)]의 폭이 넓은 전단부측에, 파스너 엘리먼트가 분리되어 나오는 견구(16)를 갖고, 상부 날개판(12)[하부 날개판(13)]의 폭이 좁은 후단부측에, 파스너 엘리먼트가 맞물려 나오는 후방구(17)를 갖는다.
또한, 이후의 설명에 있어서는, 견구(16)와 후방구(17)를 연결하는 방향[슬라이더(10)의 미끄럼 이동 방향]을 전후 방향, 이 전후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슬라이더(10)의 폭 방향]을 좌우 방향,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표리 방향으로 한다.
또한, 도 2 및 도 3에도 도시하는 바와 같이, 몸통체(11)의 상부 날개판(12)의 상방에는, 안내 기둥(14)으로부터 후방구(17)까지의 전후 방향 위치에 걸쳐 하향 오목 형상의 커버(30)가 장착되어 있고, 커버(30)의 내부 빈 곳(31)의 안내 기둥(14)측의 위치에는, 걸림 부재(40)가 상하 방향으로 요동 가능하게 수용되어 있다.
걸림 부재(40)는, 상부 날개판(12)의 상면의 안내 기둥(14)측에 병렬하여 기립 설치되는 한 쌍의 장착편(18)의 사이에 삽입되고, 걸림 부재(40)의 관통 구멍(41) 및 한 쌍의 장착편(18)의 관통 구멍(19)에 핀(50)이 삽입됨으로써, 몸통체(11)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요동 가능하게 축 지지된다. 걸림 부재(40)와 한 쌍의 장착편(18)은, 커버(30)에 의해 이들의 상방이 덮여 있지만, 핀(50)은, 커버(30)의 측판 부분(32)에 형성된 관통 구멍(33)에도 삽입되어 있어, 커버(30)는 몸통체(11)에 대해 고정된다.
상부 날개판(12)의 대략 중앙 부분에는, 상부 날개판(12)의 상면으로부터 엘리먼트 안내로(15)에 연통되는 걸림 창 구멍(20)이 형성되어 있고, 이 걸림 창 구멍(20)에는, 걸림 부재(40)의 걸림 갈고리(42)가 삽입 관통되고, 걸림 갈고리(42)는 엘리먼트 안내로(15) 내로 돌출된다.
또한, 걸림 부재(40)에는, 장착 상태에 있어서, 걸림 갈고리(42)의 상방에 형성되고, 손잡이(51)의 장착축부(52)에 의해 들어올려지는 부분인 작동 돌기(43)가 형성된다. 또한, 걸림 부재(40)에는, 걸림 갈고리(42)와 작동 돌기(43) 사이에 형성되고, 장착 상태에 있어서, 후방구(17)를 향해 개방되고, 손잡이(51)의 장착축부(52)를 수용하는 작동 오목부(44)가 형성된다. 또한, 걸림 부재(40)의 견구측 하면(45)과 안내 기둥(14)에 형성되는 스프링 보유 지지 구멍(14a) 사이에는, 가압부로서의 제1 압축 스프링(53)이 수축되어 있고, 걸림 부재(40)는 이 제1 압축 스프링(53)의 가압력에 의해 핀(50)을 지지점으로 요동하여, 걸림 갈고리(42)가 엘리먼트 안내로(15) 내로 돌출되도록 상시 가압되어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커버(30)의 후방구측 단부(34)와 상부 날개판(12)의 간극은, 손잡이(51)의 장착축부(52)를 걸림 부재(40)의 작동 오목부(44)에 삽입 관통시키기 위한 삽입 관통 간극(54)으로서 구성되어 있고, 이 삽입 관통 간극(54)에는, 삽입 관통 간극(54)을 개폐하는 폐쇄 부재(55)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된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폐쇄 부재(55)는 상부 날개판(12)의 상면에 몸통체(11)의 전후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가이드 홈(21)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된다. 또한, 폐쇄 부재(55)의 안내 기둥(14)측의 단부와 가이드 홈(21) 내에 형성되는 스프링 보유 지지 홈(22) 사이에는, 제2 압축 스프링(56)이 수축되어 있고, 이 제2 압축 스프링(56)의 가압력에 의해, 폐쇄 부재(55)는 후방구(17)측으로 상시 가압되어 있다. 또한, 상부 날개판(12)의 후방구(17)측의 단부에는, 폐쇄 부재(55)가 삽입 관통 간극(54)을 폐쇄하는 간극 폐쇄 위치에서, 폐쇄 부재(55)의 이탈을 저지하는 한 쌍의 스토퍼(23)가 형성된다. 그리고, 이 폐쇄 부재(55)를 삽입 관통 간극이 개방되는 간극 개구 위치에 전방으로 슬라이드시켜, 손잡이(51)의 장착축부(52)를 삽입 관통 간극(54)에 삽입 관통시킴으로써, 장착축부(52)는 걸림 부재(40)의 작동 오목부(44)에 수용된다.
여기서, 걸림 부재(40)의 관통 구멍(41), 한 쌍의 장착편(18)의 관통 구멍(19) 및 커버(30)의 한 쌍의 측판 부분(32)의 관통 구멍(33)을 관통하는 핀(50)은,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와이어(W)를 절단하는 것만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핀(50)은, 절단 후에 특별한 가공을 실시할 필요가 없으므로, 황동, 각종 스테인리스, 마그네슘 합금 등의 경질인 재료가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핀(50)은 그 양단부에 위치하는 한 쌍의 측판 부분(32)의 관통 구멍(33)의 주변부에 각각 설치된 복수(본 실시 형태에서는, 4개)의 로킹 돌기(35)를 로킹하고, 로킹 돌기(35)를 핀(50)의 단부면(50a)에 접촉시킴으로써 축 방향에 위치 결정 고정된다. 한 쌍의 측판 부분(32)에는, 관통 구멍(33)의 주변부에 환 형상의 오목부(36)가 형성되어 있고, 복수의 로킹 돌기(35)는, 이 오목부(36)로부터 관통 구멍(33)의 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로킹 돌기(35)는 그 내면이 관통 구멍(33)의 테두리부로부터 관통 구멍(33)의 내주면을 따라 축 방향으로 연속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또한 선단을 향해 점차 가늘어지도록 외면이 경사져 뿔 형상으로 설치된다.
커버(30)의 한 쌍의 측판 부분(32)에는, 그 내측면의 관통 구멍(33) 부근에 폭 방향 내측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후육부(37)가 형성되어 있고, 각 후육부(37)의 전후 방향 양단부에는, 경사면(37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몸통체(11)의 한 쌍의 장착편(18)에는, 폭 방향 외측 측면의 관통 구멍(19) 부근에 폭 방향 내측으로 오목하게 된 한 쌍의 가이드 오목 함몰부(24)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각 가이드 오목 함몰부(24)의 전후 방향 양단부에는, 후육부(37)의 경사면(37a)에 대향하는 다른 경사면(24a)이 형성되어 있다. 핀(50)의 축 길이는, 한 쌍의 후육부(37) 사이의 간격보다도 길고, 한 쌍의 측판 부분(32)의 외측면 사이의 거리보다도 짧게 설정되면 되고,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한 쌍의 오목부(36)의 저면간의 거리와 대략 동등하게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몸통체(11)에 걸림 부재(40) 및 커버(30)를 조립할 때에는, 커버(30)는, 한 쌍의 후육부(37)가, 장착편(18)의 한 쌍의 가이드 오목 함몰부(24)로 안내되면서, 커버(30)의 하면(38)이 상부 날개판(12) 상의 장착 홈(25)에 접촉할 때까지 삽입되어, 몸통체(11)에 위치 결정된다. 이에 의해, 한 쌍의 장착편(18) 사이에서, 제1 압축 스프링(53)에 개구측 하단부(45)를 접촉시킨 상태에서 배치된 걸림 부재(40)의 관통 구멍(41)과, 한 쌍의 장착편(18)의 관통 구멍(19)과, 커버(30)의 관통 구멍(33)이 동일 축선상에 배열되고, 핀(50)이, 이들 관통 구멍(41, 19, 33)에 삽입된다. 그 후, 커버(30)의 복수의 로킹 돌기(35)를 핀(50)의 단부면(50a)에 접촉하도록 로킹함으로서, 걸림 부재(40)가 요동 가능하게 몸통체(11)에 축 지지되는 동시에, 커버(30)가 몸통체(11)에 고정된다. 그리고, 로킹 돌기(35)가 로킹된 상태에서는, 로킹 돌기(35)는 상면에서 볼 때 커버(30)의 한 쌍의 측판 부분(32)의 외측면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는다(도 4의 단면도 참조).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자동 정지 장치가 부착된 슬라이드 파스너용 슬라이더(10)에 따르면, 핀(50)의 양단부에 배치되는 커버(30)의 한 쌍의 측판 부분(32)에는, 핀(50)이 관통하는 관통 구멍(33)의 주변부에, 핀(50)의 단부면(50a)과 접촉 가능한 로킹 돌기(35)가 각각 설치된다. 이에 의해, 로킹 돌기(35)를 설치함으로써, 종래 기술과 같이, 관통 구멍(33)의 주변부의 형상에 상관없이 핀(50)을 걸 수 있다. 또한, 핀(50)은, 와이어(W)를 컷트하는 것만으로 2차 가공의 필요가 없으므로, 핀(50)의 제조 비용을 저감할 수 있고, 경질인 재료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내마모성이 우수한 제품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커버(30)의 한 쌍의 측판 부분(32)에는, 로킹 돌기(35)의 주변 부분에 오목부(36)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로킹 돌기(35)를 로킹한 상태에서는, 슬라이더(10)의 상면에서 볼 때, 로킹 돌기(35)가 옆으로 돌출되지 않는다. 이에 의해, 피착 제품에 로킹 돌기(35)가 걸려 피착 제품의 직물을 파손하는 것이 방지되고, 조립 후의 손잡이(51)의 간섭에 의해 로킹 돌기(35)가 마모하는 것이 방지되고, 또한 사용시에 손잡이(51)가 로킹 돌기(35)에 걸리지 않으므로, 조작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로킹 돌기(35)를 로킹하기 전의 상태에 있어서, 슬라이더(10)의 상면에서 볼 때, 로킹 돌기(35)가 옆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설치함으로써, 커버(30)를 연마할 때에도 로킹 돌기(35)의 마모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커버(30)의 한 쌍의 측판 부분(32)에는, 그 내측면의 관통 구멍(33) 부근에 내측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후육부(37)가 형성되므로, 오목부(36)에 의해 두께 감소된 부분을 보강할 수 있고, 한 쌍의 측판 부분(32)의 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것에 더하여, 한 쌍의 장착편(18)에는, 핀(50)이 삽입 관통되는 관통 구멍(19) 부근에, 한 쌍의 후육부(37)와 대향하는 한 쌍의 가이드 오목 함몰부(24)가 각각 형성되므로, 몸통체(11)에 대한 커버(30)의 위치 결정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고, 각 관통 구멍(19, 33)에의 핀(50)의 삽입 관통도 용이하게 행해진다.
도 7 및 도 8은 본 실시 형태의 제1 변형예에 관한 자동 정지 장치가 부착된 슬라이드 파스너용 슬라이더를 도시한다. 이 슬라이더(10a)에서는, 로킹 돌기(35a)의 구성에 있어서, 제1 실시 형태와 다르다.
즉, 제1 변형예에서는, 로킹 돌기(35a)는, 관통 구멍(33)의 주변부에 있어서, 측판 부분(32)의 관통 구멍(33)의 테두리부로부터 관통 구멍(33)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 약간 이격된 위치로부터, 관통 구멍(33)의 축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로킹 돌기(35a)에 있어서도, 복수의 로킹 돌기(35a)를 직경 방향 내측으로 절곡하여 로킹함으로써,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로킹 돌기(35a)가 핀(50)의 단부면(50a)에 접촉하여, 핀(50)을 축 방향으로 위치 결정 고정할 수 있다. 특히, 로킹 돌기(35a)가 관통 구멍(33)의 테두리부로부터 이격되어 있음으로써, 관통 구멍(33)의 테두리부의 형상을 변형하는 일 없이, 로킹할 수 있다.
또한, 그 밖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해서는, 제1 실시 형태의 것과 마찬가지이다.
도 9는, 본 실시 형태의 제2 변형예에 관한 자동 정지 장치가 부착된 슬라이드 파스너용 슬라이더를 도시한다. 이 슬라이더(10b)에서는, 로킹 돌기(35b)의 구성에 있어서, 제1 실시 형태와 다르다.
즉, 제2 변형예에서는, 1개의 로킹 돌기(35b)가, 관통 구멍(33)의 주변부에 설치되어 있고, 로킹 돌기(35b)를 직경 방향 내측으로 절곡하여 로킹함으로써, 핀(50)을 축 방향으로 위치 결정 고정할 수 있어, 로킹 공정을 간소화할 수 있다. 이 1개의 로킹 돌기(35b)의 성형 위치는, 관통 구멍(33)의 테두리부로부터 설치되어도 되고, 테두리부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으로 약간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어도 되지만, 1개의 로킹 돌기(35b)로 핀을 확실히 고정할 수 있도록, 핀(50)의 중심 부근과 접할 수 있는 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그 밖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해서는, 제1 실시 형태의 것과 마찬가지이다.
도 10은 본 실시 형태의 제3 변형예에 관한 자동 정지 장치가 부착된 슬라이드 파스너용 슬라이더를 도시한다. 이 슬라이더(10c)에서는, 로킹 돌기(35c)의 구성에 있어서, 제1 실시 형태와 다르다.
즉, 제3 변형예에서는, 링 형상의 로킹 돌기(35c)가, 관통 구멍(33)의 주변부에 설치되어 있고, 로킹 돌기(35c)를 직경 방향 내측으로 절곡하여 로킹함으로써, 핀(50)을 축 방향으로 위치 결정 고정할 수 있다. 이 링 형상의 로킹 돌기(35c)의 성형 위치도, 관통 구멍(33)의 테두리부로부터 설치되어도 되고, 테두리부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으로 약간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어도 된다. 또한, 이러한 링 형상의 로킹 돌기(35c)로 로킹함으로써 로킹 돌기(35c)가 핀(50)의 전체 둘레에 걸쳐 접촉하므로 핀(50)을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또한, 그 밖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해서는, 제1 실시 형태의 것과 마찬가지이다.
(제2 실시 형태)
다음에,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리버시블한 손잡이 회전식 자동 정지 장치가 부착된 슬라이드 파스너용 슬라이더에 대해 설명한다.
손잡이 회전식 자동 정지 장치가 부착된 슬라이드 파스너용 슬라이더(60)[이하, 단순히 「슬라이더(60)」라고도 칭함]는, 상부 날개판(62)과 하부 날개판(63)을 안내 기둥(64)으로 연결한 몸통체(61)에, 손잡이(70)를 몸통체(61)의 상면, 전방면, 하면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하기 위해, 전체가 U자 형상을 이루는 U자 형상 가이드 레버(71)를, 몸통체(61)에 장착한다. 그때,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몸통체(61)의 상부 날개판(62)과 하부 날개판(63)의 후방구측에 기립 설치한 장착 기둥(65)에 대해, U자 형상 가이드 레버(71)가 전후로 소량 이동할 수 있도록 U자 형상 가이드 레버(71)가 장착 기둥(65)을 포위하는 형태로 장착하여, 손잡이(70)의 전후 방향으로의 잡아당김 조작에 의해 U자 형상 가이드 레버(71)를 이동시킨다.
또한, 몸통체(61)의 안내 기둥(64)의 전방면에는 오목부(66)를 형성하여 걸림 부재(80)의 훅편(81)을 수납하고, 또한 안내 기둥(64)의 중간에 삽입 구멍(64a)을 횡설하여 압축 스프링(90)을 끼움 삽입하여, 걸림 부재(80)의 훅편(81)을 압박한다. 몸통체(61)의 상부 날개판(62)의 후방구측에 걸림 창 구멍(67)을 천공하여 걸림 부재(80)의 걸림 갈고리(82)를 끼움 삽입하여, 걸림 갈고리(82)를 엘리먼트 안내로(68)에 진퇴 가능하게 형성한다.
또한, 슬라이더(60)의 몸통체(61) 및 U자 형상 가이드 레버(71)를 알루미늄 합금, 아연 합금 등의 금속을 사용하여 다이캐스트 성형에 의해 별개로 형성하고, 손잡이(70)는 금속판을 프레스 가공에 의해 제작한 후, 슬라이더(60)를 조립한다.
U자 형상 가이드 레버(71)는, 내면을 단면 T자형으로 형성하고, 예를 들어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몸통체(61)의 전방면에 배치되는 U자 형상 가이드 레버(71)의 전방편(72)은, T자형의 손잡이 가이드부(73)의 중앙을 내면으로 돌출시켜 캠(74)을 형성한다. 또한, 상편(75)과 하편(76)의 손잡이 가이드부(73)의 중앙에 오목 홈(77)을 각각 형성하고, 상편(75)의 오목 홈(77)에는 몸통체(61)에 축 지지한 걸림 부재(80)의 상부를 끼워 넣고, 하편(76)의 오목 홈(77)에는 몸통체(61)의 하부 날개판(63)의 표면에 돌출된 볼록조(69)를 끼움 삽입할 수 있도록 형성한다.
걸림 부재(80)는 전체가 대략 긴 ㄷ자 형상을 이루고, 일단부에 걸림 갈고리(82), 타단부에 걸림 갈고리(82)보다도 긴 훅편(81)을 평행 형상으로 설치하고, 훅편(81)의 기부에 관통 구멍(84)을 형성하여 몸통체(61)에 핀(99)에 의해 요동 가능하게 축 지지한다. 훅편(81)의 상측에 돌기(85)를 돌출시키고, 이 돌기(85)는 U자 형상 가이드 레버(71)에 형성한 긴 구멍(78)에 끼움 삽입하여 걸림 부재(80)의 전후로의 요동을 규제하고, U자 형상 가이드 레버(71)가 손잡이(70)에 의해 전진하였을 때 긴 구멍(78)의 테두리부에서 돌기(85)를 압박 이동시켜, 압축 스프링(90)의 탄력에 저항하여 걸림 갈고리(82)를 엘리먼트 안내로(68)로부터 부상시켜, 슬라이더(60)를 폐쇄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슬라이더(60)를 개방 분리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시키면, 손잡이(70)의 당김 조작에 의해 U자 형상 가이드 레버(71)가 후방구측으로 이동하고, 동시에 캠(74)에 의해 훅편(81)이 압축 스프링(90)을 압박하고 압축하여 걸림 갈고리(82)를 엘리먼트 안내로(68)로부터 부상시켜 손잡이 회전식 슬라이더(60)를 미끄럼 이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걸림 부재(80)가, 이 걸림 부재(80)의 폭 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몸통체(61)의 한 쌍의 측판 부분(91)에, 핀(99)을 통해 축 지지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걸림 부재(80)의 관통 구멍(84)과, 몸통체(61)의 한 쌍의 측판 부분(91)의 관통 구멍(92)에 핀(99)을 삽입한 후, 핀(99)의 양단부에 위치하는, 몸통체(61)의 한 쌍의 측판 부분(91)의 관통 구멍(92)의 주변부에 각각 설치된 복수의 로킹 돌기(93)을 로킹함으로써, 복수의 로킹 돌기(93)가 핀(99)의 단부면(99a)에 접촉하고, 핀(99)이 축 방향으로 위치 결정 고정된다. 또한, 이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한 쌍의 측판 부분(91)에는, 관통 구멍(92)의 주변부에 환 형상의 오목부(94)가 형성되어 있고, 복수의 로킹 돌기(93)는, 이 오목부(94)로부터 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로킹 돌기(93)는, 제1 실시 형태의 로킹 돌기(35)와 마찬가지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제1 실시 형태의 제1 내지 제3 변형예의 로킹 돌기(35a 내지 35c)와 같이 구성되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적절하게, 변형, 개량 등이 가능하다. 그 밖에, 상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각 구성 요소의 재질, 형상, 치수, 수, 배치 개소 등은 본 발명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면 임의이고,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핀은, 본 실시 형태와 같이 원기둥 형상이 바람직하지만, 6각 기둥 등의 다각 기둥 형상이나 타원 기둥 형상이라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 로킹 돌기의 주변의 구성은, 로킹 돌기를 로킹하여 핀의 단부면과 접촉할 수 있는 것이면, 상기 실시 형태의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 실시 형태의 자동 정지 장치가 부착된 슬라이드 파스너용 슬라이더에 있어서,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오목부를 형성하지 않고, 로킹 돌기(35)가 커버(30)의 한 쌍의 측판 부분(32)의 측면에 직접 형성되어도 된다. 또한, 한 쌍의 측판 부분(32)에 형성되는 오목부(36)가,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로킹 돌기(35)의 주위에만 형성되어도 된다.
또한, 도 14나 도 15에 도시하는 구성은, 손잡이 회전식 자동 정지 장치가 부착된 슬라이드 파스너용 슬라이더에도 물론 적용 가능하다.
10, 10a, 10b, 10c : 손잡이 후부착 자동 정지 장치가 부착된 슬라이드 파스너용 슬라이더
11, 61 : 몸통체
12, 62 : 상부 날개판
13, 63 : 하부 날개판
14, 64 : 안내 기둥
19, 91 : 관통 구멍
20, 67 : 걸림 창 구멍
24 : 가이드 오목 함몰부
30 : 커버
35, 35a, 35b, 35c, 93 : 로킹 돌기
36, 94 : 오목부
37 : 후육부
40, 80 : 걸림 부재
42, 82 : 걸림 갈고리
43 : 작동 돌기
44 : 작동 오목부
50, 99 : 핀
51, 70 : 손잡이
52 : 장착축부
53 : 제1 압축 스프링(가압부)
54 : 삽입 관통 간극
55 : 폐쇄 부재
60 : 손잡이 회전식 자동 정지 기능을 구비한 슬라이드 파스너용 슬라이더
90 : 압축 스프링(가압부)

Claims (10)

  1. 파스너 엘리먼트가 삽입 관통 가능한 엘리먼트 안내로(15, 68)를 형성하는 몸통체(11, 61)와,
    핀(50, 99)에 의해 상기 몸통체에 요동 가능하게 축 지지되고, 상기 몸통체에 형성된 걸림 창 구멍(20, 67)으로부터 상기 엘리먼트 안내로로 돌출 가능한 걸림 갈고리(42, 82)를 갖는 걸림 부재(40, 80)와,
    상기 걸림 갈고리가 상기 걸림 창 구멍으로부터 상기 엘리먼트 안내로로 돌출되도록 상기 걸림 부재를 가압하는 가압부(53, 90)를 구비한 자동 정지 장치가 부착된 슬라이드 파스너용 슬라이더(10, 60)이며,
    상기 핀의 양단부에 배치되는 한 쌍의 측판 부분(32, 91)에는, 상기 핀이 관통하는 관통 구멍(33, 92)의 주변부에, 상기 핀의 단부면(50a)과 접촉 가능한 로킹 돌기(35, 93)가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정지 장치가 부착된 슬라이드 파스너용 슬라이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측판 부분에는, 상기 관통 구멍의 주변부에 상기 로킹 돌기가 연장되는 오목부(36, 94)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정지 장치가 부착된 슬라이드 파스너용 슬라이더.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체(11)는, 상부 날개판(12)과 하부 날개판(13)을 안내 기둥(14)에 의해 연결하고,
    상기 몸통체의 상부 날개판에는, 상기 상부 날개판으로부터 기립 설치하는 한 쌍의 장착편(18) 및 상기 걸림 부재와 함께 상기 핀이 삽입 관통되고, 이들 한 쌍의 장착편 및 상기 걸림 부재를 덮는 커버(30)가 장착되고,
    상기 로킹 돌기(35, 35a, 35b, 35c)는, 상기 커버의 한 쌍의 측판 부분에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정지 장치가 부착된 슬라이드 파스너용 슬라이더.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한 쌍의 측판 부분에는, 그 내측면의 관통 구멍 부근에 내측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후육부(37)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정지 장치가 부착된 슬라이드 파스너용 슬라이더.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장착편에는, 상기 핀이 삽입 관통되는 관통 구멍(19) 부근에, 상기 한 쌍의 후육부와 대향하는 한 쌍의 오목 함몰부(24)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정지 장치가 부착된 슬라이드 파스너용 슬라이더.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30)는, 하향 오목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걸림 부재는, 손잡이의 장착축부(52)를 수용하는 작동 오목 홈(44)을 구비하고,
    상기 커버의 후방구측 단부(34)와 상부 날개판 사이에 형성되는 삽입 관통 간극(54)이 개방되어 손잡이의 장착축부가 삽입 관통 가능한 간극 개구 위치와, 상기 삽입 관통 간극을 폐쇄하는 간극 폐쇄 위치 사이를 미끄럼 이동하는 폐쇄 부재(55)를 구비하고,
    상기 손잡이는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정지 장치가 부착된 슬라이드 파스너용 슬라이더.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 돌기(93)는, 상기 몸통체(61)의 한 쌍의 측판 부분(91)에 각각 직접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정지 장치가 부착된 슬라이드 파스너용 슬라이더.
  8. 제1항, 제2항 및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 돌기(35)는, 상기 관통 구멍의 테두리부를 따라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정지 장치가 부착된 슬라이드 파스너용 슬라이더.
  9. 제1항, 제2항 및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측판 부분에는, 적어도 2개의 상기 로킹 돌기(35, 35a)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정지 장치가 부착된 슬라이드 파스너용 슬라이더.
  10. 제1항, 제2항 및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 돌기(35c)는 상기 관통 구멍의 주위에 전체 둘레에 걸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정지 장치가 부착된 슬라이드 파스너용 슬라이더.
KR1020137007301A 2010-09-24 2010-09-24 자동 정지 장치가 부착된 슬라이드 파스너용 슬라이더 Active KR1014289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0/066603 WO2012039065A1 (ja) 2010-09-24 2010-09-24 自動停止装置付きスライドファスナー用スライダ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9206A KR20130049206A (ko) 2013-05-13
KR101428953B1 true KR101428953B1 (ko) 2014-08-08

Family

ID=458735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7301A Active KR101428953B1 (ko) 2010-09-24 2010-09-24 자동 정지 장치가 부착된 슬라이드 파스너용 슬라이더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9232834B2 (ko)
EP (1) EP2620072B1 (ko)
JP (1) JP5542213B2 (ko)
KR (1) KR101428953B1 (ko)
CN (1) CN103220932B (ko)
ES (1) ES2641827T3 (ko)
TW (1) TWI429407B (ko)
WO (1) WO201203906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8951B1 (ko) * 2010-09-06 2014-08-08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슬라이드 파스너 및 슬라이드 파스너용 슬라이더
DE112012006659B4 (de) * 2012-07-05 2024-06-06 Ykk Corporation Reißverschlussbefestigungsverfahren und -produkt
EP2923596B1 (en) * 2012-11-26 2019-01-02 YKK Corporation Slide fastener slider
EP2952115A1 (en) * 2014-06-04 2015-12-09 Riri Sa Slider for a slide fastener
US10413023B2 (en) * 2015-02-25 2019-09-17 Ykk Corporation Slider for slide fastener
US11432621B2 (en) 2016-04-01 2022-09-06 Shah Technologies, LLC Metal one piece security slide and pull for slide fastener
US10064457B2 (en) * 2016-12-20 2018-09-04 Shah Technologies, LLC Metal one piece locking slide and pull for slide fastener
US11006703B2 (en) * 2016-04-01 2021-05-18 Shah Technologies, LLC Metal one piece slide and pull for slide fastener
CN105795617B (zh) 2016-05-16 2018-10-09 理想(广东)拉链实业有限公司 一种弹簧拉头
USD813722S1 (en) * 2016-05-31 2018-03-27 Zhejiang Weixing Industrial Development Co., Ltd. Zipper puller
CN107467809A (zh) * 2017-07-31 2017-12-15 佛山市南海旺鸿兴拉链配件有限公司 一种全方位旋转拉头
CN109875189A (zh) * 2017-12-06 2019-06-14 尼克 拉头及其拉链组件
EP3777597B1 (en) * 2018-04-09 2024-05-22 YKK Corporation Slider and slide fastener with same
IT201800004992A1 (it) * 2018-05-02 2019-11-02 Cursore per cerniera lampo.
CN114009907B (zh) * 2021-11-30 2023-08-29 高梵(浙江)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羽绒裤拉链头铆合机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75015A (ja) * 1994-04-05 1995-10-24 Ykk Kk 自動停止機構付きスライドファスナー用スライダー
JP2004105570A (ja) 2002-09-20 2004-04-08 Ykk Corp 隠しスライドファスナー用スライダー
JP2005176911A (ja) 2003-12-16 2005-07-07 Ykk Corp スライドファスナー用スライダー
JP2008229002A (ja) 2007-03-20 2008-10-02 Ykk Corp 自動停止装置付両面スライドファスナー用スライダー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600416A (ko) * 1968-07-26 1970-07-27
US4233099A (en) * 1978-12-20 1980-11-11 Textron Inc. Slide fastener method of manufacture
JPS6172209U (ko) * 1984-10-16 1986-05-16
JPS62243983A (ja) * 1986-04-15 1987-10-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回転式圧縮機の軸受固定装置
JPH0432971Y2 (ko) * 1986-12-19 1992-08-07
JPH0432974Y2 (ko) * 1986-12-19 1992-08-07
JPH02213302A (ja) 1989-02-13 1990-08-24 Yoshida Kogyo Kk <Ykk> スライドファスナー用自動停止装置付スライダー
JPH0755161B2 (ja) * 1989-03-31 1995-06-14 ワイケイケイ株式会社 自動停止装置付きスライドファスナー用スライダーの仮引手
JPH0432974A (ja) 1990-05-23 1992-02-04 Fujitsu Ltd ディスクリート・ワイヤの配線長決定方式
JPH07322546A (ja) * 1994-05-23 1995-12-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モータ
JP2003083309A (ja) * 2001-09-13 2003-03-19 Taiyo Ltd シリンダ装置のピストンとピストンロッドとの連結装置
JP3733309B2 (ja) 2001-09-25 2006-01-11 Ykk株式会社 スライドファスナー用スライダー
US6654988B1 (en) * 2002-11-26 2003-12-02 Roger C. Y. Chung Stoppable zipper slider capable of being reassembled with pull tab
US6944919B2 (en) * 2003-07-28 2005-09-20 Lien Chou Wang Zipper head structure
JP4149369B2 (ja) * 2003-12-10 2008-09-10 Ykk株式会社 自動停止装置付スライドファスナー用スライダー
JP2009106611A (ja) 2007-10-31 2009-05-21 Ykk Corp 自動停止機構付スライドファスナー用スライダー
JP4645765B1 (ja) * 2009-12-24 2011-03-0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モータロータ及びモータロータ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75015A (ja) * 1994-04-05 1995-10-24 Ykk Kk 自動停止機構付きスライドファスナー用スライダー
JP2004105570A (ja) 2002-09-20 2004-04-08 Ykk Corp 隠しスライドファスナー用スライダー
JP2005176911A (ja) 2003-12-16 2005-07-07 Ykk Corp スライドファスナー用スライダー
JP2008229002A (ja) 2007-03-20 2008-10-02 Ykk Corp 自動停止装置付両面スライドファスナー用スライダ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039065A1 (ja) 2012-03-29
HK1186633A1 (zh) 2014-03-21
US9232834B2 (en) 2016-01-12
TWI429407B (zh) 2014-03-11
EP2620072A1 (en) 2013-07-31
TW201212840A (en) 2012-04-01
JP5542213B2 (ja) 2014-07-09
EP2620072B1 (en) 2017-07-12
ES2641827T3 (es) 2017-11-14
EP2620072A4 (en) 2016-05-18
CN103220932A (zh) 2013-07-24
US20130255042A1 (en) 2013-10-03
CN103220932B (zh) 2015-11-25
JPWO2012039065A1 (ja) 2014-02-03
KR20130049206A (ko) 2013-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8953B1 (ko) 자동 정지 장치가 부착된 슬라이드 파스너용 슬라이더
JP5501252B2 (ja) スライドファスナー用スライダー
JP4158523B2 (ja) ステープラー
US7730811B2 (en) Clamping and cutting apparatus with interchangeable heads
CN102076239B (zh) 拉攀能够装拆的滑动拉链用拉头
WO2009133617A1 (ja) 自動停止装置付スライドファスナー用スライダー
JP2007044535A (ja) スライドファスナー用スライダーとスライドファスナー
US20110260474A1 (en) Latch device
JPH07124874A (ja) ステープル留めプライア
JP5458418B2 (ja) スライドファスナー用止具
US8869404B2 (en) Wood chisel and blade for a wood chisel
EP2923596B1 (en) Slide fastener slider
WO2012140780A1 (ja) スライドファスナー用スライダー
EP1295542B1 (en) Slider for slide fastener
US20020189057A1 (en) Zipper slide of zip fastener
JP5636564B2 (ja) カッターナイフ
EP2730373B1 (en) Pliers having a sliding lock button
HK1186633B (en) Slider for slide fasteners with attached automatic stopping device
JP2013006083A (ja) スライドファスナー用スライダー
KR101956966B1 (ko) 개폐 작업공구
JP3812704B2 (ja) カッターナイフ
JP5241389B2 (ja) コンパクト容器
EP2878221A1 (en) Automactic locking slider
HK1073593A1 (zh) 用於具有自動製動器的拉鏈的拉頭
HK1073593B (en) Slider for slide fastener with automatic stopp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322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2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6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8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08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9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71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8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71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8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71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71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63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705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703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