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428811B1 - Cleaning apparatus and vacuum cleaner eqipped it - Google Patents

Cleaning apparatus and vacuum cleaner eqipped i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8811B1
KR101428811B1 KR1020070137380A KR20070137380A KR101428811B1 KR 101428811 B1 KR101428811 B1 KR 101428811B1 KR 1020070137380 A KR1020070137380 A KR 1020070137380A KR 20070137380 A KR20070137380 A KR 20070137380A KR 101428811 B1 KR101428811 B1 KR 1014288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eaning
cleaning member
pet
coupled
cleaning eleme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738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90069652A (en
Inventor
지헌평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373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8811B1/en
Publication of KR200900696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965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88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8811B1/en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4Nozzles with driven brushes or agitators
    • A47L9/0461Dust-loosening tools, e.g. agitators, brushes
    • A47L9/0466Rotating to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 Brushes (AREA)

Abstract

본 실시예는 청소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embodiment relates to a cleaning apparatus.

실시예에 따른 청소 장치는, 개구부가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결합되고, 상기 개구부의 공간에서 회전 가능한 청소 부재; 상기 청소 부재의 일면에 형성되는 제 1 청소 요소; 상기 제 1 청소 요소의 일측에 제공되어 애완 동물의 털이 부착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제 2 청소 요소; 및 상기 청소 부재의 테두리 부분을 따라 고정 장착되고, 상기 청소 부재의 회전 운동을 제한하는 패킹 부재;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 clea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having an opening; A cleaning member coupled to the main body and rotatable in the space of the opening; A first cleaning element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cleaning member; A second cleaning element provided on one side of the first cleaning element to allow the pet's hairs to adhere thereto; And a packing member fixedly mounted along a rim portion of the cleaning member, the packing member restricting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cleaning member; .

청소 cleaning

Description

청소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진공 청소기{Cleaning apparatus and vacuum cleaner eqipped it}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eaning apparatus and a vacuum cleaner having the same,

본 실시예는 청소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진공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embodiment relates to a cleaning apparatus and a vacuum cleaner having the cleaning apparatus.

사용자는 브러시나 빗 등으로 애완 동물 등의 털을 손질한다. 이와 같이 털을 손질하는 과정에서 털, 먼지, 기생충 등은 바닥면으로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빗자루 또는 청소기를 이용하여 바닥면의 털, 먼지 등을 청소하여야 하므로, 사용자가 번거로운 문제가 있다. Users brush their pets with brushes, combs, and the like. In this way, hair, dust, parasites, etc. are dropped to the floor during the process of hair trim. Therefore, the user needs to clean the hair, dust, etc. on the bottom surface by using a broom or a vacuum cleaner.

그리고, 바닥면을 청소하는 과정에서 털이나 기생충 등이 공중으로 날리게 되므로, 사용자에게 해로운 문제가 있다. In addition, since hair or parasites are blown into the air in the process of cleaning the bottom surface, there is a harmful problem to the user.

실시예는 애완 동물의 털을 손질하는 과정에서 털이 바닥면으로 낙하되는 것이 최소화되도록 하는 청소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진공 청소기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leaning device and a vacuum cleaner having the cleaning device for minimizing the drop of the hairs on the floor during the process of cleaning the pet hair.

실시예의 다른 목적은 애완 동물로부터 분리된 털의 청소가 용이한 청소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진공 청소기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leaning device for easily cleaning hairs separated from a pet, and a vacuum cleaner having the cleaning device.

일 측면에 따른 청소 장치는, 개구부가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결합되고, 상기 개구부의 공간에서 회전 가능한 청소 부재; 상기 청소 부재의 일면에 형성되는 제 1 청소 요소; 상기 제 1 청소 요소의 일측에 제공되어 애완 동물의 털이 부착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제 2 청소 요소; 및 상기 청소 부재의 테두리 부분을 따라 고정 장착되고, 상기 청소 부재의 회전 운동을 제한하는 패킹 부재;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cleaning device according to one aspect includes: a body having an opening; A cleaning member coupled to the main body and rotatable in the space of the opening; A first cleaning element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cleaning member; A second cleaning element provided on one side of the first cleaning element to allow the pet's hairs to adhere thereto; And a packing member fixedly mounted along a rim portion of the cleaning member, the packing member restricting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cleaning member; .

다른 측면에 따른 진공 청소기는, 애완 동물의 털 손질이 가능한 청소 장치; 상기 청소 장치를 통해 이물질을 흡입하도록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흡입 모터가 구비되는 청소기 본체; 및 상기 청소 장치를 상기 청소기 본체와 연결하는 연결 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청소 장치는, 개구부가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결합되고, 상기 개구부의 공간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청소 부재; 상기 청소 부재의 일면에 형성되어 애완 동물의 털 손질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제 1 청소 요소; 상기 제 1 청소 요소와 동일면에 제공되며, 애완 동물의 털이 부착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제 2 청소 요소; 및 상기 청소 부재의 테두리 부분을 따라 고정 장착되고, 상기 청소 부재의 회전 운동을 제한하는 패킹 부재;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Other aspects of the vacuum cleaner include a cleaning device capable of cleaning the pet's hair; A cleaner main body having a suction motor for generating a suction force to suck foreign matter through the cleaning device; And a connection unit connecting the cleaning device to the cleaner main body. Wherein the cleaning device comprises: a main body having an opening; A cleaning member coupled to the main body and rotatably mounted in the space of the opening; A first cleaning element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cleaning member to be capable of cleaning hair of a pet; A second cleaning element provided on the same surface as the first cleaning element, the second cleaning element being capable of attaching hairs of a pet; And a packing member fixedly mounted along a rim portion of the cleaning member, the packing member restricting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cleaning member; .

제안되는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청소 장치를 이용하여 애완 동물의 털을 손질하는 과정에서, 일부 털은 제 1 청소 요소에 감기고 다른 일부 털 및 기생충 등 은 상기 제 2 청소 요소에 부착되므로, 바닥면으로 떨어지는 털 및 기생충 등의 양(또는 갯수)가 최소화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oposed embodiment, in the process of cleaning the hair of a pet by using the cleaning device, some hairs are wound on the first cleaning element and other hairs and parasites are attached to the second cleaning element. (Or number) of hairs and parasites falling into the skin can be minimized.

또한, 상기 제 1 청소 요소에 감기거나 상기 제 2 청소 요소에 부착된 털 등을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청소 부재를 회전시키면 되므로, 털 등의 제거가 용이하며 사용자가 직접 털을 제거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어지게 된다. Further, since the cleaning member is wound to be wound around the first cleaning element or to remove hair or the like attached to the second cleaning element, it is easy to remove the hair and the like, It will disappear.

또한, 상기 제 1 청소 요소 및 제 2 청소 요소가 상기 청소 장치의 내측을 향한 상태에서 털이 제거되므로, 털이 상기 제 1 청소 요소 및 제 2 청소 요소이 제거되는 과정에서, 털이 바닥면에 떨어지거나 공기 중에 부유하는 것이 방지되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hairs are removed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cleaning element and the second cleaning element are directed to the inside of the cleaning device, when the hairs are dropped on the floor surface in the process of removing the first cleaning element and the second cleaning element, There is an advantage that floating is prevented.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청소 장치가 구비된 진공 청소기의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vacuum cleaner equipped with a clean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1)는, 흡입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흡입 모터가 구비되는 청소기 본체(10)와, 애완 동물의 털의 손질(청소)을 위한 청소 장치(100)와, 상기 청소 장치(100)가 상기 청소기 본체(10)에 연결되도록 하는 연결 유닛이 포함된다. 1, a vacuum cleaner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vacuum cleaner main body 10 provided with a suction motor for generating a suction force, a cleaning device 100 for cleaning (cleaning) And a connection unit for connecting the cleaning device 100 to the cleaner main body 10.

상세히, 상기 연결 유닛은, 상기 청소 장치(100)와 연결되는 연장관(40)과, 상기 연장관(40)과 연결되며 사용자가 잡을 수 있는 핸들(50)과, 상기 핸들(50)이 상기 청소기 본체(10)에 연결되도록 하는 연결 호스(60)가 포함된다. The connection unit includes an extension pipe 40 connected to the cleaning device 100, a handle 50 connected to the extension pipe 40 and capable of being held by the user, And a connection hose 60 to be connected to the hose 10.

그리고, 사용자는 상기 청소 장치(100)를 상기 연결 유닛에 결합시킨 상태에 서 또는 상기 청소 장치(100)를 상기 연결 유닛에 연결시킨 상태에서, 상기 청소 장치를 이용하여 애완 동물의 털을 청소 및 손질하게 된다. In a state where the cleaning device 100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unit or the cleaning device 100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unit, the user may clean and / It will be trimmed.

이하에서는 상기 청소 장치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cleaning devic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2 및 도 3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청소 장치의 사시도이다. 2 and 3 are perspective views of the clea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청소 장치(100)는, 외형을 이루며, 내부에 공기 유로가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연결 유닛과 연결 가능한 연결 파이프(130)가 포함된다. Referring to FIGS. 2 and 3, the clean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main body having an outer shape and having an air flow path formed therein, a rotatably coupled to the main body, A connecting pipe 130 is included.

상세히, 상기 본체에는, 하부 바디(110)와 상부 바디(120)가 포함된다. 상기 하부 바디(110)에는 개구부(116)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116)에는 청소 부재(10)가 위치된다. 상기 청소 부재(140)는 상기 개구부(116)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In detail, the body includes a lower body 110 and an upper body 120. An opening 116 is formed in the lower body 110 and a cleaning member 10 is disposed in the opening 116. The cleaning member 140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opening 116.

그리고, 상기 청소 부재(140)는 상기 하부 바디(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상기 개구부(116)는 상기 청소 부재(140)가 회전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The cleaning member 14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lower body 110. That is, the opening 116 provides a space in which the cleaning member 140 can be rotated.

상기 하부 바디(110)의 측면에는 상기 청소 부재(140)와 연결되어 상기 청소 부재(140)를 회전시키기 위한 조작부(150)가 구비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조작부(150)를 돌림으로써, 상기 청소 부재(140)를 회전시킬 수 있다. A side of the lower body 110 is provided with an operation unit 150 connected to the cleaning member 140 to rotate the cleaning member 140. Accordingly, the user can rotate the cleaning member 140 by rotating the operation unit 150.

상기 청소 부재(140)에는 애와 동물의 털을 손질 또는 정렬시키기 위한 침상(針狀) 구조의 제 1 청소 요소(element)가 다수 개 형성된다. 상기 제 1 청소 요소(142, 143)는 상기 청소 부재(140)에서 소정 길이로 돌출 형성된다. The cleaning member 140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first cleaning elements having a needle-like structure for cleaning or aligning the hair of the offspring. The first cleaning elements 142 and 143 protrude from the cleaning member 140 by a predetermined length.

상기 다수 개의 제 1 청소 요소는 다수 개의 열로 배치되며, 상측 열에 형성되는 제 1 청소 요소(142)와 하측 열에 형성되는 제 1 청소 요소(143)는 서로 엇갈리게, 즉 지그재그로 배치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first cleaning elements may be arranged in a plurality of rows. The first cleaning elements 142 formed in the upper row and the first cleaning elements 143 formed in the lower row may be staggered, i.e., zigzag.

상기와 같이 상기 제 1 청소 요소(142, 143)가 배치되는 이유는 털이 상기 제 1 청소 요소(142, 143)에 용이하게 감기도록(걸리도록)하기 위함이다. 애완 동물의 털이 상기 제 1 청소 요소(142, 143)에 용이하게 감기도록(걸리도록)하기 위해서, 상기 다수 개의 제 1 청소 요소(142, 143)는 불규칙적으로 배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The reason why the first cleaning elements 142 and 143 are disposed as described above is that the hair is easily wound on the first cleaning elements 142 and 143. The plurality of first cleaning elements 142 and 143 may be irregularly arranged so that the hair of the pet can be easily wound on the first cleaning elements 142 and 143.

그리고, 상기 제 1 청소 요소(142, 143)의 길이는 상측 열과 하측 열이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측 열 또는 하측 열의 제 1 청소 요소 간에도 길이가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The lengths of the first cleaning elements 142 and 143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the upper and lower rows. Also, the lengths may be different between the first cleaning elements of the upper row or the lower row.

또한, 상기 청소 부재(140)에는 애완 동물의 털이 부착될 수 있는 제 2 청소 요소(144)가 구비된다. 상기 제 2 청소 요소(144)는 상기 제 1 청소 요소(142, 143)가 형성되는 면(140a)을 기준으로 상기 제 1 청소 요소(142, 143)의 하방에 결합된다. In addition, the cleaning member 140 is provided with a second cleaning element 144 to which pet hairs can be attached. The second cleaning element 144 is coupled below the first cleaning element 142 or 143 with respect to the surface 140a on which the first cleaning element 142 or 143 is formed.

상기 제 2 청소 요소(144)는 털이 부착될 수 있는 재질이 바람직하며, 일 례로 펠트가 사용될 수 있다. 구조적으로는 상기 제 2 청소 요소(144)의 표면에 미세한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The second cleaning element 144 is preferably made of a material to which hairs can be attached, for example, a felt can be used. Structurally, fine protrusions may b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second cleaning element 144.

따라서, 상기 제 1 청소 요소(142, 143)로 털을 손질하는 과정에서 떨어지는 털이 상기 제 2 청소 요소(144)에 부착되어 바닥면에 떨어지는 털의 양이 최소화될 수 있다. Therefore, the amount of hairs dropp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cleaning element 144 may be minimized when the first cleaning elements 142 and 143 clean the hair.

상기 청소 부재(140)에는 공기가 통과될 수 있는 다수 개의 관통홀(145)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홀(145)은, 상기 청소 장치(100)가 연결 유닛에 연결되고 상기 청소기 본체(10)가 작동되는 상태에서, 상기 청소 장치(100) 내부로 공기가 흡입될 수 있도록 한다. The cleaning member 140 has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145 through which air can pass. The through hole 145 allows the air to be sucked into the cleaning apparatus 100 when the cleaning apparatus 100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unit and the cleaner body 10 is operated.

이와 같이 상기 청소 부재(140)의 관통홀(145)을 통하여 상기 청소 장치로 공기가 유입되는 경우 상기 청소기 본체(10)에 구비되는 흡입 모터의 과부하가 방지될 수 있다. In this way, when the air is introduced into the cleaning device through the through hole 145 of the cleaning member 140, the suction motor of the cleaner body 1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overloaded.

본 실시예에서는 공기가 통과하는 관통홀(145)이 상기 청소 부재(140)에 형성되는 것이 개시되나, 이와 달리 상기 관통홀(145)이 상기 본체에 형성될 수도 있다. The through hole 145 through which the air passes is formed in the cleaning member 140. Alternatively, the through hole 145 may be formed in the main body.

도 4는 도 2의 I-I'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2의 Ⅱ-Ⅱ'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 'of FIG. 2, and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 of FIG.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청소 장치(100)의 내부에는 공기가 유동되는 공기 유로(102)가 형성되고, 상기 청소 장치(100)의 후측에는 상기 연결관(130)이 관통하기 위한 관통홀(103)이 형성된다. 4 and 5, an air flow path 102 through which air flows is formed in the cleaning device 100, and a connection pipe 130 is formed at a rear side of the cleaning device 100 A through hole 103 is formed.

따라서, 상기 연결관(130)은 상기 관통홀(103) 내에서 상기 본체(10)에 대해서 회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연결관(130)이 상기 본체(100)에 회전되는 것이 개시되나, 이와 달리 상기 연결관(130)이 상기 본체(100)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Therefore, the connection pipe 130 can be rotated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10 in the through hole 103.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nnection pipe 130 is rotated to the main body 100, but the connection pipe 130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main body 100.

상기 하부 바디(110)의 개구부(116)의 테두리부에는 패킹 부재(118)가 구비된다. 상기 패킹 부재(118)는 상기 청소 부재(140)의 테두리부와 밀착되어 상기 청소기 본체(10)에서 발생되는 흡입력에 의해서 상기 청소 부재(140)가 회전되는 것이 방지되록 한다. A packing member 118 is provided at the rim of the opening 116 of the lower body 110. The packing member 118 is in close contact with a rim of the cleaning member 140 to prevent the cleaning member 140 from rotating due to a suction force generated in the cleaner body 10.

이 때, 상기 청소 부재(140)와 상기 패킹 부재(116)의 마찰력은 상기 흡입력에 의해서 발생되는 상기 청소 부재(140)를 회전시키려는 힘보다 큼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cleaning member 140 and the packing member 116 is preferably greater than the force to rotate the cleaning member 140 generated by the suction force.

물론, 사용자는 상기 패킹 부재(118)와 청소 부재(140)의 마찰력 보다 큰 힘으로 상기 조작부(150)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청소 부재(140)를 회전시킬 수 있다. Of course, the user may rotate the cleaning unit 140 by rotating the operating unit 150 with a force greater than the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packing member 118 and the cleaning member 140.

한편, 상기 청소 부재(140)는 상기 하부 바디(110)의 내측에서 상기 하부 바디(110)에 결합된다. 상기 청소 부재(140)는 상기 하부 바디(11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개구부(116)를 차폐한다. Meanwhile, the cleaning member 140 is coupled to the lower body 110 from the inside of the lower body 110. The cleaning member 140 shields the opening 116 while being coupled to the lower body 110.

상기 청소 부재(140)의 양측에는 회전축(146, 147)이 형성된다. 상기 회전축(146, 147)은 제 1 회전축(146)과 제 2 회전축(147)이 포함된다. On both sides of the cleaning member 140, rotation shafts 146 and 147 are formed. The rotation shafts 146 and 147 include a first rotation shaft 146 and a second rotation shaft 147.

그리고, 상기 하부 바디(140)에는 상기 제 1 회전축(146)이 삽입되는 삽입홈(111)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하부 바디(140)에는 상기 제 1 회전축(146)이 상기 삽입홈(111)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 2 회전축(147)이 안착되는 안착홈(152)이 형성된다. The lower body 140 is formed with an insertion groove 111 into which the first rotation shaft 146 is inserted. The lower body 140 is formed with a seating groove 152 in which the second rotation shaft 147 is seated in a state where the first rotation shaft 146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111.

상기 청소 부재(140)를 상기 하부 바디(130)에 결합시키기 위해서는, 먼저 상기 제 1 회전축(146)의 일부를 상기 삽입홈(111)에 삽입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 2 회전축(147)을 상기 안착홈(112)에 삽입한다. 그러면, 상기 제 2 회전축(147)이 상기 안착홈(112)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 1 회전축(146)의 나머지 일부가 상기 삽입홈(111)에 삽입된다. In order to couple the cleaning member 140 to the lower body 130, first, a part of the first rotation shaft 146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111. Then, the second rotation shaft 147 is inserted into the seating groove 112. In the process of inserting the second rotation shaft 147 into the seating groove 112, the remaining part of the first rotation shaft 146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111.

그리고, 상기 제 1 회전축(146)이 상기 삽입홈(111)에 완전하게 삽입되면, 상기 제 2 회전축(130)은 상기 안착홈(112)의 저면(113)에 안착된다. When the first rotation shaft 146 is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111, the second rotation shaft 130 is seated on the bottom surface 113 of the seating groove 112.

한편, 상기 하부 바디(110)에는 상기 조작부(150)의 회전축(152)이 결합되기 관통되기 위한 관통홀(114)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조작부(150)의 회전축(152)에는 상기 제 2 회전축(147)과 결합되기 위한 결합부(153)가 포함된다. The lower body 110 is formed with a through hole 114 through which the rotary shaft 152 of the operation unit 150 is coupled. The rotation shaft 152 of the operation unit 150 includes a coupling unit 153 for coupling with the second rotation shaft 147.

그리고, 상기 청소 부재(140)가 상기 하부 바디(11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축(152)이 상기 관통홀(114)을 관통하면, 상기 결합부(153)는 상기 제 2 회전축(147)에 형성되는 결합홈(148)에 삽입된다. When the rotation shaft 152 penetrates the through hole 114 in a state where the cleaning member 140 is coupled to the lower body 110, the engaging portion 153 is engaged with the second rotation shaft 147, As shown in Fig.

그리고, 상기 결합부(153)가 상기 제 2 회전축(147)에 삽입되면, 상기 청소 부재(140)는 상기 조작부(150)에 의해서 회전될 수 있다. When the engaging part 153 is inserted into the second rotation shaft 147, the cleaning member 140 can be rotated by the operation part 150. [

이 때, 상기 조작부(150)의 회전력이 상기 청소 부재(140)로 원활히 전달될 수 있도록, 즉 상기 조작부(150)의 회전시 상기 조작부(150)가 상기 청소 부재(140)에 대해서 헛돌지 않도록, 상기 결합부(153)의 외주면 단면은 비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148)의 내주면 단면은 상기 결합부(153)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153)의 외주면 단면은 일 례로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At this time, in order to smoothly transmit the rotational force of the operating portion 150 to the cleaning member 140, that is, to prevent the operating portion 150 from idling with respect to the cleaning member 140 when the operating portion 150 is rotated A cross section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ngaging portion 153 may be formed in a non-circular shape, and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ngaging groove 148 may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engaging portion 153.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upling portion 153 may have a polygonal shape.

도 6은 도 4의 청소 부재가 회전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FIG. 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leaning member of FIG. 4 is rotated.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기 청소 장치(100)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The operation of the cleaning apparatus 1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6. FIG.

먼저, 애완 동물의 털을 손질하기 위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청소 요소(142, 143) 및 상기 제 2 청소 요소(144)가 상기 청소 장치(100)의 외측을 향하도록 상기 청소 부재(140)를 회전시킨다. 즉, 상기 청소 부재(140)가 회전된 제 1 위치에서는 상기 제 1 청소 요소(142, 143) 및 상기 제 2 청소 요소(144)는 상기 청소 장치(100)의 외측을 향한다(외측으로 돌출된다). 그리고, 상기 청소 부재(140)가 제 1 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청소 부재(140)는 상기 개구부(116)를 막는다. 3, the first cleaning element 142 and the second cleaning element 144 are moved toward the outside of the cleaning apparatus 100 to clean the hair of the pet, Thereby rotating the member 140. That is, in the first position where the cleaning member 140 is rotated, the first cleaning components 142 and 143 and the second cleaning component 144 are directed to the outside of the cleaning device 100 ). The cleaning member 140 blocks the opening 116 when the cleaning member 140 is positioned at the first position.

그 다음, 사용자는 상기 청소 장치(100)를 상기 연결 유닛에 결합시킨 상태에서 또는 상기 청소 장치(100)를 상기 연결 유닛으로부터 분리시킨 상태에서, 상기 청소 장치(100)를 이용하여 애완 동물의 털을 청소 및 손질하게 된다. The user then uses the cleaning device 100 to clean the hair of the pet with the cleaning device 100 coupled to the connection unit or with the cleaning device 100 separated from the connection unit Cleaning and cleaning.

그러면, 애완 동물을 털을 손질하는 과정에서, 일부 털은 상기 다수 개의 제 1 청소 요소(142, 143)에 감기게 되고, 다른 일부 털은 상기 제 2 청소 요소(144)에 부착된다. Then, in the process of cleaning the pet hair, some hairs are wound on the first cleaning elements 142 and 143, and some of the hairs are attached to the second cleaning element 144.

그리고, 애완 동물의 털의 손질이 완료된 후에는, 도 6과 같이 상기 제 1 청소 요소(142, 143) 및 상기 제 2 청소 요소(144)가 상기 청소 장치(100)의 내측을 향하도록 상기 조작부(150)를 이용하여 상기 청소 부재(160)를 회전시킨다. 즉, 상기 청소 부재(100)를 도 3의 상태로부터 대략 180도 회전시킨다. 6, the first cleaning elements 142 and 143 and the second cleaning element 144 are positioned to face the inside of the cleaning apparatus 100, as shown in FIG. 6, The cleaning member 160 is rotated using the cleaning member 150. That is, the cleaning member 100 is rotated by about 180 degrees from the state of FIG.

따라서, 상기 청소 부재(140)가 회전된 제 2 위치에서는 상기 제 1 청소 요 소(142, 143) 및 상기 제 2 청소 요소(144)는 상기 청소 장치(100)의 내측을 향한다(내측에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청소 부재(140)가 제 2 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는 상기 청소 부재(140)는 상기 개구부(116)를 막는다. The first cleaning elements 142 and 143 and the second cleaning element 144 are directed to the inside of the cleaning device 100 in a second position where the cleaning member 140 is rotated do). The cleaning member 140 blocks the opening 116 when the cleaning member 140 is positioned at the second position.

그 다음, 상기 청소 장치(100)를 상기 연결 유닛에 연결시킨다. 물론, 상기 청소 장치(100)를 상기 연결 유닛에 연결시킨 상태에서 상기 청소 장치(100)를 사용한 경우에는 상기 청소 장치를 연결 유닛에 연결시키는 과정은 불필요할 것이다. Then, the cleaning device 100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unit. Of course, when the cleaning apparatus 100 is used in a state where the cleaning apparatus 100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unit, a process of connecting the cleaning apparatus to the connection unit may be unnecessary.

그리고, 상기 청소 장치(100)가 상기 연결 유닛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청소기 본체(10)에 구비되는 흡입 모터가 작동되도록 한다. 그러면, 상기 흡입 모터에 의해서 흡입력이 발생되고, 발생된 흡입력에 의해서 상기 청소 부재(140)에 형성된 다수의 관통홀(145)을 통하여 외부 공기가 상기 청소 장치(100)로 유입된다.In addition, when the cleaning apparatus 100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unit, the suction motor provided in the cleaner main body 10 is operated. Then, a suction force is generated by the suction motor, and external air flows into the cleaning apparatus 100 through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145 formed in the cleaning member 140 by the generated suction force.

그리고, 상기 흡입 모터에 의해서 발생된 흡입력에 의해서 상기 제 1 청소 요소(142, 143)에 감긴 털 및 상기 제 2 청소 요소(144)에 부착된 털 등이 상기 제 1 청소 요소(142, 143) 및 제 2 청소 요소(144)에서 분리된다. The hairs wound on the first cleaning elements 142 and 143 and the hairs attached to the second cleaning elements 144 are separated from the first cleaning elements 142 and 143 by a suction force generated by the suction motor, And the second cleaning element (144).

그리고, 분리된 털 등은 상기 청소 장치(100)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함께 상기 청소기 본체로 이동된다. Then, the separated hair or the like is moved to the cleaner main body together with the air introduced into the cleaning device 100.

그리고, 다시 상기 청소 장치(100)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조작부(150)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청소 요소(142, 143) 및 제 2 청소 요소(144)가 상기 청소 장치(100)의 외측을 향하도록 상기 청소 부재(140)를 회전시킨다. When the user wants to use the cleaning apparatus 100 again, the first cleaning elements 142 and 143 and the second cleaning element 144 may be disposed outside the cleaning apparatus 100 using the operation unit 150 The cleaning member 140 is rotated.

상기와 같은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청소 장치를 이용하여 애완 동물의 털을 손질하는 과정에서 일부 털이 제 1 청소 요소에 감기고, 다른 일부 털 및 기생충 등이 제 2 청소 요소에 부착되므로, 바닥면으로 떨어지는 털 및 기생충 등의 양(또는 갯수)가 최소화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ince some hairs are wound on the first cleaning element while other hairs and parasites are attached to the second cleaning element in the course of cleaning the hair of the pet by using the cleaning device, The amount (or number) of falling hairs and parasites can be minimized.

그리고, 상기 제 1 청소 요소(142, 143)에 감기거나 상기 제 2 청소 요소(144)에 부착된 털 등을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청소 부재(140)를 회전시키면 되므로, 털의 제거가 용이하며, 사용자가 직접 털을 제거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어지게 된다. Since the cleaning member 140 is rotated to remove the hair or the like that is wound around the first cleaning component 142 or 143 or attached to the second cleaning component 144, The user does not need to remove the hair directly.

또한, 상기 제 1 청소 요소(142, 143) 및 제 2 청소 요소(144)가 상기 청소 장치(100)의 내측을 향한 상태에서 털이 제거되므로, 털이 상기 제 1 청소 요소(142, 143) 및 제 2 청소 요소(144)가 제거되는 과정에서, 털이 바닥면에 떨어지거나 공기 중에 부유하는 것이 방지되는 장점이 있다. Since the first cleaning elements 142 and 143 and the second cleaning elements 144 are directed toward the inside of the cleaning apparatus 100, the hair is removed from the first cleaning elements 142 and 143, In the process of removing the two cleaning elements 144,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hairs are prevented from falling on the floor surface or floating in the air.

도 7은 제 2 실시예에 따른 청소 장치의 사시도이다. 7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lea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본 실시예는 다른 부분에 있어서는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고, 다만, 제 1 청소 요소가 형성된 브러쉬 유닛이 상기 청소 부재에 결합되는 것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특징적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은 제 1 실시예를 원용하기로 한다. The present embodiment is the same as the first embodiment in other parts, except that the brush unit in which the first cleaning element is formed is coupled to the cleaning member. Therefore, only the characteristic parts of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below, and the same parts as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used for the first embodiment.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청소 부재(160)에는 다수 개의 제 1 청소 요소(164)가 형성된 브러시 유닛(162)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브러시 유닛(162)이 결합되는 면에는 애완 동물의 털이 부착될 수 있는 제 2 청소 요소(165)가 결합된다. Referring to FIG. 7, a brush unit 162 having a plurality of first cleaning elements 164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cleaning member 16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 second cleaning element 165 capable of attaching pet hairs is coupled to the surface to which the brush unit 162 is coupled.

상세히, 상기 브러시 유닛(162)은 상기 청소 부재(160)에 결합되는 결합 부 재(163)와, 상기 결합 부재(163)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상기 결합 부재(163)에 결합되는 다수 개의 제 1 청소 요소(164)가 포함된다. The brush unit 162 includes a coupling member 163 coupled to the cleaning member 160 and a plurality of first and second brushes 163 and 163 integrally formed with the coupling member 163, Cleaning element 164 is included.

상기 제 1 청소 요소(164)는 상기 결합 부재(163)에 규칙적 또는 불규칙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청소 요소(164)가 상기 결합 부재(163)에 결합되는 경우, 상기 제 1 청소 요소(164)는 상기 결합 부재(163)와 동일하거나 다른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 례로 상기 제 1 청소 요소(164)는 섬유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The first cleaning element 164 may be regularly or irregularly arranged on the engaging member 163. When the first cleaning element 164 is coupled to the coupling member 163, the first cleaning element 164 may be formed of the same or different material as the coupling member 163. For example, the first cleaning element 164 may be formed of a fiber material.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의하면, 애완 동물의 종류에 대응하는 브러시 유닛을 상기 청소 부재에 결합시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브러시 유닛에 구비되는 제 1 청소 요소는 애완 동물의 종류에 따라 길이 또는 배치 등이 달라지며, 사용자는 적절한 브러시 유닛을 선택하여 애완 동물의 털을 손질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a brush unit corresponding to the kind of pet can be coupled to the cleaning member. That is, the first cleaning element provided in the brush unit varies in length or arrangement according to the type of pet, and the user can select an appropriate brush unit to clean the hair of the pet.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청소 장치가 구비된 진공 청소기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vacuum cleaner provided with a clean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및 도 3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청소 장치의 사시도.Fig. 2 and Fig. 3 are perspective views of a clea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Fig.

도 4는 도 2의 I-I'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 'of FIG. 2;

도 5는 도 2의 Ⅱ-Ⅱ'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 'of FIG. 2;

도 6은 도 4의 청소 부재가 회전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FIG. 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leaning member of FIG. 4 is rotated.

도 7은 제 2 실시예에 따른 청소 장치의 사시도. 7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lea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Claims (11)

개구부가 형성되는 본체;A body having an opening formed therein; 상기 본체에 결합되고, 상기 개구부의 공간에서 회전 가능한 청소 부재;A cleaning member coupled to the main body and rotatable in the space of the opening; 상기 청소 부재의 일면에 형성되는 제 1 청소 요소;A first cleaning element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cleaning member; 상기 제 1 청소 요소의 일측에 제공되어 애완 동물의 털이 부착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제 2 청소 요소; 및 A second cleaning element provided on one side of the first cleaning element to allow the pet's hairs to adhere thereto; And 상기 청소 부재의 테두리 부분을 따라 고정 장착되고, 상기 청소 부재의 회전 운동을 제한하는 패킹 부재;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청소 장치.A packing member fixedly mounted along a rim of the cleaning member and restricting rotational movement of the cleaning member; And a cleaning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청소 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청소 부재를 회전시키기 위한 조작부가 더 포함되는 청소 장치. And a control unit coupled to the cleaning unit to rotate the cleaning unit. 제 2 항에 있어서, 3.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청소 부재는 회전축이 포함되고, The cleaning member includes a rotating shaft, 상기 조작부는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는 청소 장치. And the operating portion is coupled to the rotating shaft.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제 2 청소 요소는 상기 제 1 청소 요소와 동일면에 제공되는 청소 장치.Wherein the second cleaning element is provided on the same surface as the first cleaning element.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청소 부재에는,In the cleaning member, 다수의 상기 제 1 청소 요소가 형성된 브러시 유닛이 더 제공되고,Further comprising a brush unit having a plurality of the first cleaning elements, 상기 브러시 유닛은 상기 청소 부재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청소 장치.Wherein the brush unit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cleaning member.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청소 부재에는 공기가 관통할 수 있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청소 장치. Wherein the cleaning member has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air can pass.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청소 부재는 제 1 위치 및 제 2 위치에서 상기 개구부를 막는 청소 장치. Wherein the cleaning member blocks the opening at a first position and a second position. 애완 동물의 털 손질이 가능한 청소 장치;A cleaning device capable of cleaning the pet's hair; 상기 청소 장치를 통해 이물질을 흡입하도록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흡입 모터가 구비되는 청소기 본체; 및A cleaner main body having a suction motor for generating a suction force to suck foreign matter through the cleaning device; And 상기 청소 장치를 상기 청소기 본체와 연결하는 연결 유닛; 을 포함하고,A connection unit connecting the cleaning device to the cleaner main body; / RTI > 상기 청소 장치는,The cleaning device includes: 개구부가 형성되는 본체;A body having an opening formed therein; 상기 본체에 결합되고, 상기 개구부의 공간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청소 부재;A cleaning member coupled to the main body and rotatably mounted in the space of the opening; 상기 청소 부재의 일면에 형성되어 애완 동물의 털 손질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제 1 청소 요소;A first cleaning element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cleaning member to be capable of cleaning hair of a pet; 상기 제 1 청소 요소와 동일면에 제공되며, 애완 동물의 털이 부착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제 2 청소 요소; 및A second cleaning element provided on the same surface as the first cleaning element, the second cleaning element being capable of attaching hairs of a pet; And 상기 청소 부재의 테두리 부분을 따라 고정 장착되고, 상기 청소 부재의 회전 운동을 제한하는 패킹 부재;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진공 청소기.A packing member fixedly mounted along a rim of the cleaning member and restricting rotational movement of the cleaning member; And a vacuum cleaner. 삭제delete 제 8 항에 있어서, 9. 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청소 장치에는,In the cleaning device, 상기 청소 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청소 부재를 회전시키기 위한 조작부가 구비되며, And an operation unit connected to the cleaning member to rotate the cleaning member, 상기 청소 부재가 회전되면, 상기 제 1 청소 요소 및 제 2 청소 요소는 상기 청소 장치의 내측에 위치되는 진공 청소기. Wherein when the cleaning member is rotated, the first cleaning element and the second cleaning element are located inside the cleaning apparatus. 제 8 항에 있어서, 9. 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청소 부재에는 상기 청소 장치로 공기가 흡입될 수 있도록 하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진공 청소기. Wherein the cleaning member is provided with a through hole for allowing air to be sucked into the cleaning device.
KR1020070137380A 2007-12-26 2007-12-26 Cleaning apparatus and vacuum cleaner eqipped it Expired - Fee Related KR10142881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7380A KR101428811B1 (en) 2007-12-26 2007-12-26 Cleaning apparatus and vacuum cleaner eqipped 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7380A KR101428811B1 (en) 2007-12-26 2007-12-26 Cleaning apparatus and vacuum cleaner eqipped i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9652A KR20090069652A (en) 2009-07-01
KR101428811B1 true KR101428811B1 (en) 2014-08-08

Family

ID=413212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7380A Expired - Fee Related KR101428811B1 (en) 2007-12-26 2007-12-26 Cleaning apparatus and vacuum cleaner eqipped i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8811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7571B1 (en) * 2009-12-23 2016-07-20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Hydraulic pump contro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construction machinery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3030U (en) * 1998-12-23 2000-07-15 구자홍 Inlet of vacuum cleaner
KR100572771B1 (en) 2003-11-25 2006-04-24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et Vacuum Cleaner Head Assembly
KR100671834B1 (en) * 2004-03-18 2007-01-22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Vacuum cleaner head with switching function
KR100757383B1 (en) 2006-10-11 2007-09-11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Nozzle Assembly of Vacuum Clean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3030U (en) * 1998-12-23 2000-07-15 구자홍 Inlet of vacuum cleaner
KR100572771B1 (en) 2003-11-25 2006-04-24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et Vacuum Cleaner Head Assembly
KR100671834B1 (en) * 2004-03-18 2007-01-22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Vacuum cleaner head with switching function
KR100757383B1 (en) 2006-10-11 2007-09-11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Nozzle Assembly of Vacuum Clea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9652A (en) 2009-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24280B2 (en) Robot vacuum cleaner with double cleaning rollers
CA3036354C (en) Agitator with hair removal
KR102546702B1 (en) A vaccum cleaner
EP1748719B1 (en) Tool for a surface treating appliance
CN205322246U (en) A brush roll for surface cleaning equipment
KR101361564B1 (en) Suction nozzle for vacuum cleaner
TWI653023B (en) Cleaner
CN108567375B (en) Cleaning device with a comb unit for removing debris from a cleaning roller
KR20130095823A (en) A cleaner head
CN111936021A (en) brush rollers for vacuum cleaners
JP6931715B2 (en) A cleaning device with a combing unit for removing debris from the cleaning roller
KR20130095824A (en) A cleaner head
KR101428811B1 (en) Cleaning apparatus and vacuum cleaner eqipped it
WO2012153460A1 (en) Suction tool for electric vacuum cleaner
JP7390620B2 (en) Suction device that can be attached to a suction type cleaning machine
JP5193574B2 (en) Vacuum cleaner floor suction tool
JP4825563B2 (en) Rotating cleaning body and electric vacuum cleaner provided with the same
KR100480142B1 (en) Suction head of vacuum cleaner
JP7575431B2 (en) Rotating cleaning body, cleaning unit, and vacuum cleaner
JP7549373B2 (en) Vacuum cleaner
US20240298854A1 (en) Cleaner
KR200306319Y1 (en) Vacuum cleaning appointment suction head the brush is had built-in
JP3858215B2 (en) Floor suction tool
EP1925246A2 (en) Device for cleaning fine and uneven surfaces, especially Venetian blinds, of dust
JP6288149B2 (en) Vacuum cleaner and vacuum clea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1226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2112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7122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120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7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8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08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71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71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