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8079B1 - The hybrid drive of the vehicle - Google Patents
The hybrid drive of the vehic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28079B1 KR101428079B1 KR1020080063804A KR20080063804A KR101428079B1 KR 101428079 B1 KR101428079 B1 KR 101428079B1 KR 1020080063804 A KR1020080063804 A KR 1020080063804A KR 20080063804 A KR20080063804 A KR 20080063804A KR 101428079 B1 KR101428079 B1 KR 10142807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tor generator
- planetary gear
- gear set
- engine
- clutch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0000000452 restrain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0446 fuel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0000001133 accelera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355 oscil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72 regene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6/00—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 B60K6/20—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 B60K6/50—Architecture of the driveline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or kind of transmission uni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68—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specially adapted for stepped gearings
- F16H61/684—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specially adapted for stepped gearings without interruption of drive
- F16H61/686—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specially adapted for stepped gearings without interruption of drive with orbital gea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6/00—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 B60K6/20—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 B60K6/22—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characterised by apparatus, components or means specially adapted for HEVs
- B60K6/26—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characterised by apparatus, components or means specially adapted for HEVs characterised by the motors or the generators
- B60K2006/266—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characterised by apparatus, components or means specially adapted for HEVs characterised by the motors or the generators with two coaxial motors or generato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2—Hybrid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Hybrid Electric Vehicles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Arrangement Of Transmis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4개의 회전요소를 구비한 유성기어장치에 엔진과 제1모터제너레이터 및 제2모터제너레이터가 각각 연결되고 클러치 및 브레이크를 구비한 차량의 하이브리드 구동장치를 제공하여, 종래 입력분기식 하이브리드 구동장치의 단점을 극복하고, 차량의 고속주행 상태에서 연비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차량의 발진 가속성능 및 등판성능을 아울러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ybrid drive system for a vehicle having a clutch and a brake connected to an engine, a first motor generator and a second motor generator, respectively, in a planetary gear set having at least four rotary elements, It is possible to overcome the shortcomings of the driving apparatus, improve the fuel consumption performance in the high-speed traveling state of the vehicle, and improve the acceleration performance and the backing performance of the vehicle.
하이브리드, 유단기어모드, 모터제너레이터 Hybrid, stepped gear mode, motor generator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의 하이브리드 구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엔진과 두 개의 모터제너레이터로부터의 동력을 조합하여 차량의 구동륜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된 하이브리드 구동장치에 관한 기술이다.BACKGROUND OF THE
유성기어세트와 모터제너레이터 2개를 사용하는 하이브리드 구동장치는 별도의 변속기 없이 상기 모터제너레이터의 속도를 제어함으로써 전기적으로 작동하는 무단변속기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모터제너레이터의 속도를 제어함으로써 모터모드, 엔진모드, 하이브리드모드 및 회생제동모드 등을 구현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엔진의 온/오프 제어가 가능하여 연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제동시 마찰브레이크의 사용을 최소화하여 회생제동효율을 높일 수 있다.The hybrid drive system using the planetary gear set and the two motor generators can perform the role of the electrically operated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by controlling the speed of the motor generator without a separate transmission and by controlling the speed of the motor generator, Mode, the engine mode, the hybrid mode, and the regenerative braking mode can be implemented, and the on / off control of the engine can be performed according to the need, so that the fuel consumption can be further improved. .
종래 모터제너레이터 2개를 사용하는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용 파워트레인으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방식은, 두 모터제너레이터 중 어느 한 모터제너레이터가 출력축에 고정적으로 직결되어 있는 입력분기식(input split type) 구조를 가지고 있다.A widely used powertrain for a hybrid electric vehicle using two conventional motor generators has an input split type structure in which one of the two motor generators is fixedly connected directly to the output shaft.
상기와 같은 구조의 파워트레인은 출력축에 직결되지 않은 나머지 모터제너 레이터의 속도가 0가 되는 미케니컬포인트(Mechanical point)를 형성하는 변속비에서 효율이 가장 좋고, 이를 기준으로 변속비가 증가하거나 감소하면 효율이 떨어지기 시작하며, 변속비가 감소하는 경우의 효율의 저하가 변속비가 증가하는 경우에 비해 급격히 커진다.The powertrain having the above structure has the best efficiency at a speed ratio that forms a mechanical point at which the speed of the remaining motor generator that is not directly connected to the output shaft becomes zero. When the speed ratio is increased or decreased based on the speed ratio The efficiency begins to decrease and the decrease in efficiency in the case where the speed ratio is decreased sharply increases as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the speed ratio is increased.
즉, 변속비가 상기 미케니컬포인트를 넘어서 작아짐에 따라(차속이 증가함에 따라) 파워트레인의 효율이 급격히 저하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That is, as the speed ratio becomes smaller than the mechanical point (the speed of the vehicle increases), the efficiency of the power train drastically deteriorates.
본 발명은 종래 입력분기식 구조의 단점을 극복하여 고속에서 연비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차량의 발진 가속성능 및 등판성능을 아울러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차량의 하이브리드 구동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hybrid drive system for a vehicle that can overcome the disadvantages of the conventional input branching structure and improve the fuel consumption performance at high speed and improve the oscillation acceleration performance and the backing performance of the vehicle .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 차량의 하이브리드 구동장치는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hybrid drive system of the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적어도 4개의 회전요소를 구비한 유성기어장치와;A planetary gear device having at least four rotation elements;
상기 유성기어장치의 서로 다른 두 회전요소에 각각 연결된 제1모터제너레이터 및 제2모터제너레이터와;A first motor generator and a second motor generator respectively connected to two different rotation elements of the planetary gear set;
상기 제1모터제너레이터와 제2모터제너레이터가 연결된 회전요소들 이외의 두 회전요소에 각각 독립적으로 회전구속상태가 가변될 수 있도록 연결된 엔진과;An engine connected to the first motor generator and the second motor generator so that the rotational restraint state can be varied independently of each other;
상기 엔진에 연결되는 상기 유성기어장치의 회전요소들 중 한 회전요소를 고정부재에 대하여 회전구속상태를 가변시킬 수 있도록 설치된 제1브레이크와;A first brake installed to vary the rotational restraining state of one of the rotation elements of the planetary gear set connected to the engine with respect to the fixed member;
상기 제1모터제너레이터에 연결된 상기 유성기어장치의 회전요소를 고정부재에 대하여 회전구속상태를 가변시킬 수 있도록 설치된 제2브레이크와;A second brake installed to vary the rotational constraint state of the rotary element of the planetary gear set connected to the first motor generator with respect to the fixed member;
상기 제2모터제너레이터에 연결된 상기 유성기어장치의 회전요소에 연결되는 출력축;An output shaft connected to a rotating element of the planetary gear set connected to the second motor generator;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control unit.
상기 유성기어장치는 래비뉴타입 유성기어장치이고;The planetary gear set is a rabbine type planetary gear set;
상기 엔진은 상기 유성기어장치의 제2선기어에 제1클러치를 통해 연결되며;The engine is connected to a second sun gear of the planetary gear set via a first clutch;
상기 유성기어장치의 캐리어는 상기 엔진에 제2클러치를 통해 연결되고;The carrier of the planetary gear set is connected to the engine via a second clutch;
상기 제1브레이크는 상기 유성기어장치의 캐리어에 연결된 구조로 할 수 있다.The first brake may be connected to the carrier of the planetary gear set.
상기 제1모터제너레이터는 상기 유성기어장치의 제1선기어에 연결되고;The first motor generator is connected to the first sun gear of the planetary gear set;
상기 제2모터제너레이터는 상기 유성기어장치의 제1링기어에 연결되며;The second motor generator is connected to the first ring gear of the planetary gear set;
상기 제1링기어는 출력축에 연결된 구조로 할 수 있다.And the first ring gear may be connected to the output shaft.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본 발명은 종래 입력분기식 하이브리드 구동장치의 단점을 극복하여, 차량의 고속주행 상태에서 연비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차량의 발진 가속성능 및 등판 성능을 아울러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The present invention overcomes the disadvantages of the conventional input branching type hybrid drive system and improves the fuel efficiency in the high-speed running state of the vehicle and improves the acceleration performance and the backlash performance of the vehicle.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 실시예는 적어도 4개의 회전요소를 구비한 유성기어장치(1)와; 상기 유성기어장치(1)의 서로 다른 두 회전요소에 각각 연결된 제1모터제너레이터(3) 및 제2모터제너레이터(5)와; 상기 제1모터제너레이터(3)와 제2모터제너레이터(5)가 연결된 회전요소들 이외의 두 회전요소에 각각 독립적으로 회전구속상태가 가변될 수 있도록 연결된 엔진(7)과; 상기 엔진(7)에 연결되는 상기 유성기어장치(1)의 회전요소들 중 한 회전요소를 고정부재(9)에 대하여 회전구속상태를 가변시킬 수 있도록 설치된 제1브레이크(11)와; 상기 제1모터제너레이터(3)에 연결된 상기 유성기어장치(1)의 회전요소를 고정부재(9)에 대하여 회전구속상태를 가변시킬 수 있도록 설치된 제2브레이크(13)와; 상기 제2모터제너레이터(5)에 연결된 상기 유성기어장치(1)의 회전요소에 연결되는 출력축(1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1,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lanetary gear device comprising: a
여기서, 상기 고정부재(9)는 변속기케이스 등이 될 수 있다.Here, the
상기 유성기어장치(1)는 래비뉴타입(Ravigneaux type) 유성기어장치(1)이고, 상기 엔진(7)은 상기 유성기어장치(1)의 제2선기어에 제1클러치(17)를 통해 연결되며, 상기 유성기어장치(1)의 캐리어는 상기 엔진(7)에 제2클러치(19)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제1브레이크(11)는 상기 유성기어장치(1)의 캐리어에 연결된다.The
상기 제1모터제너레이터(3)는 상기 유성기어장치(1)의 제1선기어에 연결되고, 상기 제2모터제너레이터(5)는 상기 유성기어장치(1)의 제1링기어에 연결되며, 상기 제1링기어는 출력축(15)에 연결된다.The first motor generator 3 is connected to the first sun gear of the
상기 유성기어장치(1)는 레버해석도상에서, 상기 제1모터제너레이터(3)에 연결된 회전요소와 상기 제1브레이크(11)에 연결된 회전요소 및 상기 제2모터제너레이터(5)에 연결된 회전요소의 순서로 직선상에 배치되고, 상기 엔진(7)에 연결되는 두 회전요소는 상기 직선상에서 상기 제2모터제너레이터(5)를 사이에 두고 양쪽에 각각 배치된다.The
또한, 상기 유성기어장치(1)는 상기 레버해석도상에서, 상기 제1클러치(17) 또는 상기 제2클러치(19)가 체결되면 상기 엔진(7)은 상기 직선상에서 상기 제2모터제너레이터(5)에 연결된 회전요소를 사이에 두고 양쪽에 각각 위치되는 상태가 되지만, 상기 제1클러치(17) 및 제2클러치(19)가 모두 체결되면 상기 엔진(7)은 상기 제2모터제너레이터(5)에 연결된 회전요소와 동일한 위치에 배치된다.When the
물론, 상기 제1모터제너레이터(3)와 제2모터제너레이터(5)는 도시되지 않은 인버터를 통해 배터리(21)와 연결되어 있어서, 전기적인 에너지를 수수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출력축(15)은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구동륜으로 연결된다.Of course, the first motor generator 3 and the
이하,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 차량의 하이브리드 구동장치의 각 주행모드별 작동상태를 살펴본다.Hereinafter, operation states of the hybrid drive system of the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ach travel mod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to 8. FIG.
도 3은 전기차모드인 EV모드를 설명한 것으로서, 상기 제2클러치(19)를 체결하고 상기 제1클러치(17)와 제1브레이크(11) 및 제2브레이크(13)는 모두 해제된 상태이다.3 is an explanatory view of an EV mode in an electric vehicle mode. Both the
상기 제2모터제너레이터(5)에서 제공되는 동력은 그대로 제1링기어 및 출력축(15)을 통해 구동륜으로 전달되고, 이때 엔진(7)은 정지상태이므로 상기 제1모터제너레이터(3)는 무부하 회전하는 상태이다.The power supplied from the
상기 제2모터제너레이터(5)가 출력축(15)에 직결된 형태이므로 유성기어장치(1)의 전달효율과 무관하게 기계적 손실을 최소화한 상태로 차량의 전기차모드 구현이 가능하다.Since the
도 4는 하이브리드모드인 HEV모드를 설명한 것으로서, 상기 제2클러치(19)가 체결되고, 상기 제1클러치(17)와 제1브레이크(11) 및 제2브레이크(13)가 모두 해제된 상태인 것은 상기 전기차모드와 동일하다.4 shows the HEV mode in the hybrid mode in which the
다만, 상기 제1모터제너레이터(3)를 제어하여 상기 캐리어에 상기 제2클러치(19)로 연결된 엔진(7)의 속도를 시동이 가능한 속도로 조작하여 상기 엔진(7)을 시동시킴으로써, 상기 엔진(7)으로부터의 동력도 상기 제2모터제너레이터(5)로부터의 동력과 함께 인출되어 상기 출력축(15)을 통해 구동륜으로 공급되어 하이브리드모드가 구현되는 것이다.However, by controlling the first motor generator 3 to start the
이 상태에서도 상기 엔진(7)이 최적 운전점에서 운전될 수 있도록 상기 제1모터제너레이터(3)와 제2모터제너레이터(5)를 제어할 수 있는 바, 좌측의 도면은 상기 제1모터제너레이터(3)가 발전한 전기를 제2모터제너레이터(5)로 전달하여, 상기 제2모터제너레이터(5)가 기계적인 동력을 발생함으로써, 상기 엔진(7)으로부터의 출력과 함께 상기 출력축(15)을 통해 구동륜으로 인출되는 상황을 예시하고 있 는 것이다.In this state, the first motor generator 3 and the
이 모드는 상기 제2모터제너레이터(5)가 상기 출력축(15)과 직결되어 있는 동력분기식 구조이기 때문에 EV모드 운전 후 저속구간에서 고효율로 차량의 운행이 가능하도록 한다.This mode is a power divider structure in which the
도 5는 본 발명의 구동장치에서 구현할 수 있는 고정1단모드를 설명한 것으로서, 상기 HEV모드 운전 중 일정 속도 이상이 되었을 경우에 상기 제1모터제너레이터(3)의 속도를 조절하여 상기 캐리어의 속도를 0으로 제어하고, 상기 제1브레이크(11)를 체결하고 상기 제2클러치(19)를 해제하며, 상기 제1클러치(17)를 연결하여 진입한다.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ixed single-stage mode that can be implemented in the driv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HEV mode, when the speed of the HEV mode exceeds a predetermined speed, the speed of the first motor generator 3 is adjusted, 0, the
상기 제1클러치(17)를 해제하고 제2클러치(19)를 체결함으로써, 상기 캐리어가 엔진(7)과 일체로 회전하다가 상기 제2선기어가 상기 엔진(7)과 일체로 회전하게 되며, 상기 캐리어는 상기 제1브레이크(11)에 의해 고정된 상태가 됨으로써, 상기 유성기어장치(1)는 상기 엔진(7)으로부터의 출력을 감속하여 상기 제1링기어 및 출력축(15)으로 인출하는 상태가 된다.By releasing the first clutch (17) and engaging the second clutch (19), the carrier rotates integrally with the engine (7), the second sun gear rotates integrally with the engine (7) The carrier is fixed by the
이때, 상기 제1모터제너레이터(3)와 제2모터제너레이터(5)는 무부하 회전을 하고 있는 상태로서, 본 발명 구동장치는 전체적으로 종래의 일반적인 자동변속기와 마찬가지로 상기 유성기어장치(1)가 제공하는 일정한 변속비로 엔진(7)의 동력을 감속하여 출력축(15)으로 제공하는 상태가 된다.At this time, the first motor generator 3 and the
따라서, 전기적인 동력의 흐름과 전기에너지와 기계에너지 사이의 변환이 수 반되지 않으므로, 손실을 최소화하여 큰 구동력을 요구하는 상황에서 효율적인 동력특성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since the electric power flow and the conversion between electric energy and mechanical energy are not carried out, it is possible to minimize power loss and provide efficient power characteristics in a situation requiring a large driving force.
도 6은 고정2단모드를 설명한 것으로서, 상기 HEV모드 운전 중 차량이 일정 속도 이상이 되었을 경우에, 상기 제1모터제너레이터(3)의 속도를 0으로 제어한 후 상기 제2브레이크(13)를 체결하고 상기 제2클러치(19)를 해제하고 상기 제1클러치(17)는 연결하여 진입한다.FIG. 6 illustrates a fixed two-stage mode. In the HEV mode, when the vehicle speed becomes equal to or higher than a predetermined speed, the speed of the first motor generator 3 is controlled to be zero and the
상기 제2클러치(19)를 해제하고 제1클러치(17)를 체결함에 따라 상기 엔진(7)은 상기 제2선기어와 일체로 회전되고, 상기 제2브레이크(13)가 체결됨에 따라 상기 제1선기어는 고정되므로, 상기 제2선기어로 공급된 엔진(7)의 동력은 감속되어 상기 제1링기어를 통해 상기 출력축(15)으로 인출되는 상태가 된다.As the second clutch 19 is released and the first clutch 17 is engaged, the
이때에는 상기 제1모터제너레이터(3)가 상기 제1선기어와 함께 상기 제2브레이크(13)에 의해 고정된 상태이므로, 본 구동장치는 제1모터제너레이터(3)의 공회전에 소요되는 동력이 불필요한 미케니컬포인트(mechanical point)를 형성하면서, 손실을 최소화한 상태로 일정한 변속비를 출력하는 유단 변속기처럼 상기 엔진(7)으로부터의 동력을 감속하여 상기 출력축(15)으로 제공하게 된다.At this time, since the first motor generator 3 is fixed by the
물론, 이때 상기 제2모터제너레이터(5)는 상기 제1링기어와 함께 무부하 회전을 하는 상태이다.Of course, at this time, the
도 7은 고정3단모드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HEV모드 운전 중 일정 속도 이 상이 되었을 때, 상기 제1모터제너레이터(3)의 속도를 제어하여 상기 캐리어의 속도를 0이 되도록 제어한 후, 상기 제1클러치(17)를 체결하여 진입한다.FIG. 7 shows a fixed three-stage mode. When the speed of the HEV mode is different from that of the HEV mode, the speed of the carrier is controlled to be zero by controlling the speed of the first motor generator 3, And the first clutch 17 is engaged to enter.
상기 제1클러치(17)와 제2클러치(19)가 모두 체결된 상태로서, 상기 유성기어장치(1)는 래비뉴 타입이므로 상기 제2선기어와 캐리어가 일체가 됨으로써, 상기 제1링기어까지 일체로 회전되는 상태가 되고, 상기 제1선기어만 다른 속도를 가질 수 있는 상태가 된다.Since both the first clutch 17 and the second clutch 19 are engaged and the planetary gear set 1 is of the rake type, the second sun gear and the carrier are integrated with each other, So that only the first sun gear can have a different speed.
따라서, 상기 엔진(7)과 제2선기어, 캐리어, 제1링기어, 제2모터제너레이터(5)는 모두 일체가 되어 상기 출력축(15)과 직결된 상태를 가지므로, 결국 상기 엔진(7)의 출력은 그대로 상기 출력축(15)으로 인출되는 상태가 됨으로써, 1:1의 변속비를 구현하게 된다.Therefore, the
이때, 상기 제1선기어에 연결되어 있는 상기 제1모터제너레이터(3)는 무부하 회전을 하는 상태로서, 이 상태에서 본 구동장치는 엔진(7)의 출력을 그대로 출력축(15)을 통해 구동륜으로 전달하는 가장 단순한 동력 전달상태를 가지며, 역시 상기 제1모터제너레이터(3)와 제2모터제너레이터(5)가 전기적 동력 흐름을 발생시키지 않으므로 손실 저감에 따른 전체적인 효율향상을 가져올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rst motor generator 3 connected to the first sun gear is in a state of no-load rotation. In this state, the present driving device transmits the output of the
참고로, 레버해석도에서는 처음 이 모드에 진입할 때, 클러치의 속도를 0으로 설정한 상태를 그대로 표시하고 있어서 상기 제1모터제너레이터(3)의 회전방향이 엔진(7)과 반대방향으로 표현되고 있으나, 상기 제1모터제너레이터(3)의 자체적인 관성저항 이외에 별다른 구속조건이 없으므로, 상기 제1모터제너레이터(3)와 상기 클러치의 회전속도와 방향은 도시되어 있는 레버해석도와 달라질 것이다.For reference, in the lever analysis chart, when the engine enters the mode for the first time, the state in which the speed of the clutch is set to 0 is displayed as it is, so that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first motor generator 3 is expressed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도 8은 고정4단모드를 표현한 것으로서, 상기 고정3단모드로 운전 중 상기 무부하 회전을 하고 있는 상기 제1선기어를 상기 제2브레이크(13)로 고정하고 상기 제1클러치(17)를 해제함으로써 진입한다.FIG. 8 is a view showing a fixed four-stage mode in which the first sun gear which is under no-load rotation during operation in the fixed three-stage mode is fixed by the
상기 엔진(7)으로부터의 동력은 상기 캐리어로 유입되어 상기 제1링기어를 통해 출력축(15)으로 인출되는 바, 상기 제1선기어가 상기 제2브레이크(13)에 의해 고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엔진(7)으로부터의 출력은 증속되어 오버드라이브 구동상태를 형성하며, 그 변속비는 상기 유성기어장치(1)의 기어 잇수에 의해 결정되어 있는 고정된 변속비를 가지게 된다.The power from the
이 상태 역시 상기 제1모터제너레이터(3)는 고정된 상태이고, 상기 제2모터제너레이터(5)는 무부하 회전을 하고 있는 상태로서, 전기적 에너지의 흐름이나 변환이 수반되지 않아 손실이 저감된 효율적인 구동상태를 제공하여 차량의 고속에서의 연비성능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this state, too, the first motor generator 3 is in a fixed state, and th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하이브리드 구동장치를 도시한 도면,1 is a view showing a hybrid drive system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구동장치의 각 모드별 클러치 및 브레이크의 작동 상태표,Fig. 2 is a table showing the operating states of clutches and brakes for each mode of the drive system of Fig. 1,
도 3은 도 1의 구동장치의 EV모드를 설명한 도면,3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V mode of the driving apparatus of FIG. 1,
도 4는 도 1의 구동장치의 HEV모드를 설명한 도면,4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HEV mode of the driving apparatus of FIG. 1,
도 5는 도 1의 구동장치의 고정1단모드를 설명한 도면,5 is a view for explaining a fixed single-stage mode of the driving apparatus of FIG. 1,
도 6은 도 1의 구동장치의 고정2단모드를 설명한 도면,FIG. 6 is a view for explaining a fixed two-stage mode of the driving apparatus of FIG. 1,
도 7은 도 1의 구동장치의 고정3단모드를 설명한 도면,7 is a view for explaining a fixed three-stage mode of the driving apparatus of FIG. 1,
도 8은 도 1의 구동장치의 고정4단모드를 설명한 도면이다.8 is a view for explaining a fixed four-stage mode of the driving apparatus of FIG.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유성기어장치 3; 제1모터제너레이터One; A planetary gear device 3; The first motor generator
5; 제2모터제너레이터 7; 엔진5; A
9; 고정부재 11; 제1브레이크9; A fixing
13; 제2브레이크 15; 출력축13; A
17; 제1클러치 19; 제2클러치17; A first clutch 19; The second clutch
21; 배터리 21; battery
Claims (7)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63804A KR101428079B1 (en) | 2008-07-02 | 2008-07-02 | The hybrid drive of the vehic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63804A KR101428079B1 (en) | 2008-07-02 | 2008-07-02 | The hybrid drive of the vehicl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03805A KR20100003805A (en) | 2010-01-12 |
KR101428079B1 true KR101428079B1 (en) | 2014-08-07 |
Family
ID=418135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63804A Expired - Fee Related KR101428079B1 (en) | 2008-07-02 | 2008-07-02 | The hybrid drive of the vehicl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28079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5745105A (en) * | 2013-11-22 | 2016-07-06 | 加特可株式会社 | Automatic transmission |
CN109891126A (en) * | 2016-10-26 | 2019-06-14 | 奥迪股份公司 | Transmission device for a hybrid vehicle, drive train, method for operating a drive train, and hybrid vehicl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60435B1 (en) * | 2012-04-18 | 2014-02-11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Transmission for electric vehicle |
KR101459472B1 (en) * | 2013-10-14 | 2014-11-21 |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 Power transmission system of hybrid electric vehicle |
KR101510345B1 (en) * | 2013-10-29 | 2015-04-08 |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 Power transmission system of hybrid electric vehicle |
CN110843502A (en) * | 2019-11-28 | 2020-02-28 | 北京航空航天大学 | Electromechanical coupling transmission device |
KR102364417B1 (en) * | 2020-06-30 | 2022-02-16 |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 Transmission apparatus for vehicle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9193676A (en) * | 1995-11-13 | 1997-07-29 | Toyota Motor Corp | Hybrid driving device |
JP2006087274A (en) | 2004-09-17 | 2006-03-30 | Nissan Motor Co Ltd | Mode transition control device for hybrid vehicle |
JP2006194452A (en) | 2006-04-21 | 2006-07-27 | Toyota Motor Corp | Double planetary gear type vehicle automatic transmission |
KR20070117783A (en) * | 2006-06-09 | 2007-12-13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Dual mode powertrain for hybrid electric vehicle and its operation method |
-
2008
- 2008-07-02 KR KR1020080063804A patent/KR101428079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9193676A (en) * | 1995-11-13 | 1997-07-29 | Toyota Motor Corp | Hybrid driving device |
JP2006087274A (en) | 2004-09-17 | 2006-03-30 | Nissan Motor Co Ltd | Mode transition control device for hybrid vehicle |
JP2006194452A (en) | 2006-04-21 | 2006-07-27 | Toyota Motor Corp | Double planetary gear type vehicle automatic transmission |
KR20070117783A (en) * | 2006-06-09 | 2007-12-13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Dual mode powertrain for hybrid electric vehicle and its operation method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5745105A (en) * | 2013-11-22 | 2016-07-06 | 加特可株式会社 | Automatic transmission |
CN109891126A (en) * | 2016-10-26 | 2019-06-14 | 奥迪股份公司 | Transmission device for a hybrid vehicle, drive train, method for operating a drive train, and hybrid vehicl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03805A (en) | 2010-01-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000132B1 (en) | Hybrid Power Train of Vehicle | |
US9950607B2 (en) | Powertrain with multi-planetary, single motor drive unit | |
KR101199103B1 (en) | Power Train for Hybrid Vehicle | |
KR101500356B1 (en) | Power transmission system of hybrid electric vehicle | |
KR101000136B1 (en) | Hybrid Power Train | |
EP3057818B1 (en) | Electrically variable transmission | |
KR101428079B1 (en) | The hybrid drive of the vehicle | |
US8512189B2 (en) | Hybrid powertrain with compound-split EVT drive axle and electric drive axle | |
US20130035188A1 (en) | Hybrid drive apparatus | |
US8556769B1 (en) | Hybrid transmission with single planetary gear set and multiple operating modes | |
KR101459466B1 (en) | Power transmission system of hybrid electric vehicle | |
KR101500357B1 (en) | Power transmission system of hybrid electric vehicle | |
KR101382792B1 (en) | Hybrid Power Train of Vehicle | |
KR101428078B1 (en) | The hybrid drive of the vehicle | |
KR101551014B1 (en) | Hybrid powertrain | |
CN108909433A (en) | Dynamical system for hybrid vehicle | |
KR20150060054A (en) | Hybrid power train for vehicle | |
JP2000142138A (en) | Drive unit for automobile | |
JPH11227476A (en) | Driving device for automobile | |
KR101584012B1 (en) | Powertrain for hybrid vehicle | |
JP2000203289A (en) | Drive for automobile | |
KR101664750B1 (en) | Powertrain for hybrid vehicle | |
KR20100095077A (en) | Power train for hybrid vehicle | |
KR101637743B1 (en) | Powertrain for hybrid vehicle | |
JP2005061475A (en) | Driving device for hybrid vehicl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702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2111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80702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12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603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8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408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730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7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729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7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72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205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