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8069B1 - 플립칩 구조의 그룹 3족 질화물계 반도체 발광다이오드소자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플립칩 구조의 그룹 3족 질화물계 반도체 발광다이오드소자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28069B1 KR101428069B1 KR1020080033986A KR20080033986A KR101428069B1 KR 101428069 B1 KR101428069 B1 KR 101428069B1 KR 1020080033986 A KR1020080033986 A KR 1020080033986A KR 20080033986 A KR20080033986 A KR 20080033986A KR 101428069 B1 KR101428069 B1 KR 10142806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nitride
- layer
- ohmic contact
- current spreading
- group iii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Landscapes
- Led Devices (AREA)
Abstract
Description
Claims (41)
- 성장기판과;상기 성장기판 상면에 형성된 버퍼층을 포함한 n형 도전성의 반도체 물질로 이루어진 하부 질화물계 클래드층, 질화물계 활성층, 및 p형 도전성의 반도체 물질로 이루어진 상부 질화물계 클래드층으로 구성된 발광다이오드 소자용 발광구조체와;상기 발광다이오드 소자용 발광구조체의 상부 질화물계 클래드층 상면 일부 또는 전체 영역에 형성된 슈퍼래티스 구조와;상기 슈퍼래티스 구조 상면 일부 또는 전체 영역에 형성된 제1 오믹접촉 커런트스프레딩층과;상기 제1 오믹접촉 커런트스프레딩층 상면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형성된 광추출 구조와;상기 제1 오믹접촉 커런트스프레딩층 상면 일부 또는 전체 영역에 형성된 제2 오믹접촉 커런트스프레딩층과;상기 제1 오믹접촉 커런트스프레딩층 또는 제2 오믹접촉 커런트스프레딩층 상면 일부 영역에 형성된 p형 쇼키접촉 전극 및 전극패드와; 및상기 발광다이오드 소자용 발광구조체의 하부 질화물계 클래드층 상면 일부 영역에 형성된 n형 오믹접촉 전극 및 전극패드;로 구성된 플립칩 구조의 그룹 3족 질화물계 반도체 발광다이오드 소자.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슈퍼래티스 구조는 두층 또는 세층이 한쌍(one pair)을 이루어 주기적으로 반복된 다층막인 것이 특징인 플립칩 구조의 그룹 3족 질화물계 반도체 발광다이오드 소자.
- 제2항에 있어서,상기 슈퍼래티스 구조를 이루고 있는 각층은 5nm 이하의 두께로 된 InN, InGaN, InAlN, AlGaN, GaN, AlInGaN, AlN, SiC, SiCN, MgN, ZnN, 또는 SiN 물질인 것이 특징인 플립칩 구조의 그룹 3족 질화물계 반도체 발광다이오드 소자.
- 제3항에 있어서,상기 슈퍼래티스 구조를 이루고 있는 각층은 실리콘(Si), 마그네슘(Mg), 또는 아연(Zn)이 도핑된 물질인 것이 특징인 플립칩 구조의 그룹 3족 질화물계 반도체 발광다이오드 소자.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슈퍼래티스 구조는 5nm 이하의 두께를 갖는 n형 도전성의 InGaN 단층(single layer) 또는 p형 도전성의 InGaN 단층(single layer)으로 대체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인 플립칩 구조의 그룹 3족 질화물계 반도체 발광다이오드 소자.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제1 오믹접촉 커런트스프레딩층은 6nm 이상의 두께를 갖는 그룹 3족 질화물계 전도성 박막구조체로 형성된 것이 특징인 플립칩 구조의 그룹 3족 질화물계 반도체 발광다이오드 소자.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제1 오믹접촉 커런트스프레딩층을 이루고 있는 그룹 3족 질화물계 전도성 박막구조체는 화학식 In x Al y Ga 1-x-y N(0≤x, 0≤y, x+y≤1)로 표현된 물질의 단층 또는 다층막인 것이 특징인 플립칩 구조의 그룹 3족 질화물계 반도체 발광다이오드 소자.
- 제1항에 있어서,제2 오믹접촉 커런트스프레딩층은 600nm 이하의 파장대역에서 70% 이상의 광 반사율을 갖는 동시에 50 Ω/□ 이하의 면저항을 갖는 반사전도성 박막구조체로 형성된 것이 특징인 플립칩 구조의 그룹 3족 질화물계 반도체 발광다이오드 소자.
- 제1항에 있어서,제2 오믹접촉 커런트스프레딩층은 200nm 이상의 두께를 지닌 단층(single layer) 또는 다층(multi-layer)으로 구성된 것이 특징인 플립칩 구조의 그룹 3족 질화물계 반도체 발광다이오드 소자.
- 성장기판과;상기 성장기판 상면에 형성된 버퍼층을 포함한 n형 도전성의 반도체 물질로 이루어진 하부 질화물계 클래드층, 질화물계 활성층, 및 p형 도전성의 반도체 물질로 이루어진 상부 질화물계 클래드층으로 구성된 발광다이오드 소자용 발광구조체와;상기 발광다이오드 소자용 발광구조체의 상부 질화물계 클래드층 상면 일부 또는 전체 영역에 형성된 슈퍼래티스 구조와;상기 슈퍼래티스 구조 상면 일부 또는 전체 영역에 형성된 제1 오믹접촉 커런트스프레딩층과;상기 제1 오믹접촉 커런트스프레딩층 상면 일부 또는 전체 영역에 형성된 광추출 구조와;상기 광추출 구조 상면에 형성된 제2 오믹접촉 커런트스프레딩층과;상기 광추출 구조, 제1 또는 제2 오믹접촉 커런트스프레딩층 상면 일부 영역에 형성된 p형 쇼키접촉 전극 및 전극패드와; 및상기 발광다이오드 소자용 발광구조체의 하부 질화물계 클래드층 상면 일부 영역에 형성된 n형 오믹접촉 전극 및 전극패드;로 구성된 플립칩 구조의 그룹 3족 질화물계 반도체 발광다이오드 소자.
- 제10항에 있어서,상기 슈퍼래티스 구조는 두층 또는 세층이 한쌍(one pair)을 이루어 주기적 으로 반복된 다층막인 것이 특징인 플립칩 구조의 그룹 3족 질화물계 반도체 발광다이오드 소자.
- 제10항에 있어서,상기 슈퍼래티스 구조를 이루고 있는 각층은 5nm 이하의 두께로 된 InN, InGaN, InAlN, AlGaN, GaN, AlInGaN, AlN, SiC, SiCN, MgN, ZnN, 또는 SiN 물질인 것이 특징인 플립칩 구조의 그룹 3족 질화물계 반도체 발광다이오드 소자.
- 제12항에 있어서,상기 슈퍼래티스 구조를 이루고 있는 각층은 실리콘(Si), 마그네슘(Mg), 또는 아연(Zn)이 도핑된 물질인 것이 특징인 플립칩 구조의 그룹 3족 질화물계 반도체 발광다이오드 소자.
- 제10항에 있어서,상기 슈퍼래티스 구조는 5nm 이하의 두께를 갖는 n형 도전성의 InGaN 단층(single layer) 또는 p형 도전성의 InGaN 단층(single layer)으로 대체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인 플립칩 구조의 그룹 3족 질화물계 반도체 발광다이오드 소자.
- 제10항에 있어서,상기 제1 오믹접촉 커런트스프레딩층은 6nm 이상의 두께를 갖는 그룹 3족 질 화물계 전도성 박막구조체로 형성된 것이 특징인 플립칩 구조의 그룹 3족 질화물계 반도체 발광다이오드 소자.
- 제10항에 있어서,상기 제1 오믹접촉 커런트스프레딩층을 이루고 있는 그룹 3족 질화물계 전도성 박막구조체는 화학식 In x Al y Ga 1-x-y N(0≤x, 0≤y, x+y≤1)로 표현된 질화물의 단층 또는 다층막인 것이 특징인 플립칩 구조의 그룹 3족 질화물계 반도체 발광다이오드 소자.
- 제10항에 있어서,제2 오믹접촉 커런트스프레딩층은 600nm 이하의 파장대역에서 70% 이상의 광 반사율을 갖는 동시에 50 Ω/□ 이하의 면저항을 갖는 반사전도성 박막구조체로 형성된 것이 특징인 플립칩 구조의 그룹 3족 질화물계 반도체 발광다이오드 소자.
- 제10항에 있어서,제2 오믹접촉 커런트스프레딩층은 200nm 이상의 두께를 지닌 단층(single layer) 또는 다층(multi-layer)으로 구성된 것이 특징인 플립칩 구조의 그룹 3족 질화물계 반도체 발광다이오드 소자.
- 제10항에 있어서,상기 광추출 구조는 제1 오믹접촉 커런트스프레딩층 상면에 소정의 형상 및 치수를 갖는 요철(texture)이 형성된 것이 특징인 플립칩 구조의 그룹 3족 질화물계 반도체 발광다이오드 소자.
- 그룹 3족 질화물계 반도체 발광다이오드 소자용 발광구조체를 성장시키기 위한 성장기판(growth substrate)을 준비하는 단계;상기 성장기판 상면에 n형 도전성의 그룹 3족 질화물계 반도체 물질로 이루어진 하부 질화물계 클래드층과, 그룹 3족 질화물계 반도체 물질로 이루어진 질화물계 활성층과, p형 도전성의 그룹 3족 질화물계 반도체 물질로 이루어진 상부 질화물계 클래드층이 순차적으로 적층 성장된 그룹 3족 질화물계 반도체 발광다이오드 소자용 발광구조체를 형성하는 단계;상기 발광다이오드 소자용 발광구조체의 상부 질화물계 클래드층인 p형 In x Al y Ga 1-x-y N(0≤x, 0≤y, x+y≤1) 반도체 상면에 슈퍼래티스 구조를 형성하는 단계;상기 슈퍼래티스 구조 상면에 제1 오믹접촉 커런트스프레딩층을 형성하는 단계;상기 제1 오믹접촉 커런트스프레딩층 상면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광추출 구조를 형성하는 단계;상기 제1 오믹접촉 커런트스프레딩층 상면에 제2 오믹접촉 커런트스프레딩층을 형성하는 단계;상기 제1 및 제2 오믹접촉 커런트스프레딩층, 슈퍼래티스 구조, 상부 질화물계 클래드층, 및 하부 질화물계 클래드층의 일부 영역을 제거하고 상기 하부 질화물계 클래드층을 대기에 노출시킨 다음, 상기 하부 질화물계 클래드층 상면 일부 영역에 n형 오믹접촉 전극 및 전극패드를 형성하는 단계; 및상기 제1 또는 제2 오믹접촉 커런트스프레딩층 상면 일부 영역에 p형 쇼키접촉 전극 및 전극패드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플립칩 구조의 그룹 3족 질화물계 반도체 발광다이오드 소자 제조 방법.
- 그룹 3족 질화물계 반도체 발광다이오드 소자용 발광구조체를 성장시키기 위한 성장기판(growth substrate)을 준비하는 단계;상기 성장기판 상면에 n형 도전성의 그룹 3족 질화물계 반도체 물질로 이루어진 하부 질화물계 클래드층과, 그룹 3족 질화물계 반도체 물질로 이루어진 질화물계 활성층과, p형 도전성의 그룹 3족 질화물계 반도체 물질로 이루어진 상부 질화물계 클래드층이 순차적으로 적층 성장된 그룹 3족 질화물계 반도체 발광다이오드 소자용 발광구조체를 형성하는 단계;상기 발광다이오드 소자용 발광구조체의 상부 질화물계 클래드층인 p형 In x Al y Ga 1-x-y N(0≤x, 0≤y, x+y≤1) 반도체 상면에 슈퍼래티스 구조를 형성하는 단계;상기 슈퍼래티스 구조 상면에 제1 오믹접촉 커런트스프레딩층을 형성하는 단계;상기 제1 오믹접촉 커런트스프레딩층 상면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광추출 구조를 형성하는 단계;상기 제1 오믹접촉 커런트스프레딩층, 슈퍼래티스 구조, 상부 질화물계 클래드층, 및 하부 질화물계 클래드층의 일부 영역을 제거하고, 상기 하부 질화물계 클래드층을 대기에 노출시키는 단계;상기 제1 오믹접촉 커런트스프레딩층 상면에 제2 오믹접촉 커런트스프레딩층을 형성하는 단계;상기 하부 질화물계 클래드층 상면 일부 영역에 n형 오믹접촉 전극 및 전극패드를 형성하는 단계; 및상기 제1 또는 제2 오믹접촉 커런트스프레딩층 상면 일부 영역에 p형 쇼키접촉 전극 및 전극패드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플립칩 구조의 그룹 3족 질화물계 반도체 발광다이오드 소자 제조 방법.
- 그룹 3족 질화물계 반도체 발광다이오드 소자용 발광구조체를 성장시키기 위한 성장기판(growth substrate)을 준비하는 단계;상기 성장기판 상면에 n형 도전성의 그룹 3족 질화물계 반도체 물질로 이루어진 하부 질화물계 클래드층과, 그룹 3족 질화물계 반도체 물질로 이루어진 질화물계 활성층과, p형 도전성의 그룹 3족 질화물계 반도체 물질로 이루어진 상부 질화물계 클래드층이 순차적으로 적층 성장된 그룹 3족 질화물계 반도체 발광다이오드 소자용 발광구조체를 형성하는 단계;상기 발광다이오드 소자용 발광구조체의 상부 질화물계 클래드층인 p형 In x Al y Ga 1-x-y N(0≤x, 0≤y, x+y≤1) 반도체 상면에 슈퍼래티스 구조를 형성하는 단계;상기 슈퍼래티스 구조, 상부 질화물계 클래드층, 및 하부 질화물계 클래드층의 일부 영역을 제거하고, 상기 하부 질화물계 클래드층을 대기에 노출시키는 단계;상기 슈퍼래티스 구조 상면에 제1 및 제2 오믹접촉 커런트스프레딩층을 형성하는 단계;상기 제1 오믹접촉 커런트스프레딩층 상면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광추출 구조를 형성하는 단계;상기 하부 질화물계 클래드층 상면 일부 영역에 n형 오믹접촉 전극 및 전극패드를 형성하는 단계; 및상기 제1 또는 제2 오믹접촉 커런트스프레딩층 상면 일부 영역에 p형 쇼키접촉 전극 및 전극패드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플립칩 구조의 그룹 3족 질화물계 반도체 발광다이오드 소자 제조 방법.
- 삭제
- 삭제
- 삭제
- 제20항에 있어서,상기 하부 질화물계 클래드층, 질화물계 활성층, 상부 질화물계 클래드층, 슈퍼래티스 구조, 및 제1 오믹접촉 커런트스프레딩층은 MOCVD, MBE, 또는 HVPE 장비를 이용하여 인시츄(in-situ) 상태에서 형성한 다음, 상기 제2 오믹접촉 커런트스프레딩층은 sputter, evaporator, 또는 PLD 장비를 이용하여 엑시츄(ex-situ) 상태에서 형성한 것이 특징인 플립칩 구조의 그룹 3족 질화물계 반도체 발광다이오드 소자 제조 방법.
- 제21항에 있어서,상기 하부 질화물계 클래드층, 질화물계 활성층, 상부 질화물계 클래드층, 슈퍼래티스 구조, 및 제1 오믹접촉 커런트스프레딩층은 MOCVD, MBE, 또는 HVPE 장비를 이용하여 인시츄(in-situ) 상태에서 형성한 다음, 상기 제2 오믹접촉 커런트스프레딩층은 sputter, evaporator, 또는 PLD 장비를 이용하여 엑시츄(ex-situ) 상태에서 형성한 것이 특징인 플립칩 구조의 그룹 3족 질화물계 반도체 발광다이오드 소자 제조 방법.
- 제22항에 있어서,상기 하부 질화물계 클래드층, 질화물계 활성층, 상부 질화물계 클래드층, 슈퍼래티스 구조, 및 제1 오믹접촉 커런트스프레딩층은 MOCVD, MBE, 또는 HVPE 장비를 이용하여 인시츄(in-situ) 상태에서 형성한 다음, 상기 제2 오믹접촉 커런트스프레딩층은 sputter, evaporator, 또는 PLD 장비를 이용하여 엑시츄(ex-situ) 상태에서 형성한 것이 특징인 플립칩 구조의 그룹 3족 질화물계 반도체 발광다이오드 소자 제조 방법.
- 제20항에 있어서,상기 하부 질화물계 클래드층, 질화물계 활성층, 상부 질화물계 클래드층, 및 슈퍼래티스 구조는MOCVD, MBE, 또는 HVPE 장비를 이용하여 인시츄(in-situ) 상태에서 형성한 다음, 상기 제1 오믹접촉 커런트스프레딩층 및 제2 오믹접촉 커런트스프레딩층은 sputter, evaporator, 또는 PLD 장비를 이용하여 엑시츄(ex-situ) 상태에서 형성한 것이 특징인 플립칩 구조의 그룹 3족 질화물계 반도체 발광다이오드 소자 제조 방법.
- 제21항에 있어서,상기 하부 질화물계 클래드층, 질화물계 활성층, 상부 질화물계 클래드층, 및 슈퍼래티스 구조는MOCVD, MBE, 또는 HVPE 장비를 이용하여 인시츄(in-situ) 상 태에서 형성한 다음, 상기 제1 오믹접촉 커런트스프레딩층 및 제2 오믹접촉 커런트스프레딩층은 sputter, evaporator, 또는 PLD 장비를 이용하여 엑시츄(ex-situ) 상태에서 형성한 것이 특징인 플립칩 구조의 그룹 3족 질화물계 반도체 발광다이오드 소자 제조 방법.
- 제22항에 있어서,상기 하부 질화물계 클래드층, 질화물계 활성층, 상부 질화물계 클래드층, 및 슈퍼래티스 구조는MOCVD, MBE, 또는 HVPE 장비를 이용하여 인시츄(in-situ) 상태에서 형성한 다음, 상기 제1 오믹접촉 커런트스프레딩층 및 제2 오믹접촉 커런트스프레딩층은 sputter, evaporator, 또는 PLD 장비를 이용하여 엑시츄(ex-situ) 상태에서 형성한 것이 특징인 플립칩 구조의 그룹 3족 질화물계 반도체 발광다이오드 소자 제조 방법.
- 성장기판과;상기 성장기판 상면에 n형 도전성의 그룹 3족 질화물계 반도체로 이루어진 하부 질화물계 클래드층, 또 다른 그룹 3족 질화물계 반도체 물질계로 이루어진 질화물계 활성층, p형 도전성의 그룹 3족 질화물계 반도체로 이루어진 상부 질화물계 클래드층으로 구성된 발광다이오드 소자용 발광구조체와;상기 발광다이오드 소자용 발광구조체 상면에 형성된 슈퍼래티스 구조와;상기 슈퍼래티스 구조 상면에 형성된 제1 오믹접촉 커런트스프레딩층;을 포함하고상기 발광다이오드 소자용 발광구조체 상면에 슈퍼래티스 구조와 제1 오믹접촉 커런트스프레딩층을 교대로 번갈아 가면서 형성한 다층막을 갖는 것이 특징인 플립칩 구조의 그룹 3족 질화물계 반도체 발광다이오드 소자용 박막구조체.
- 삭제
- 제32항에 있어서,상기 슈퍼래티스 구조는 두층 또는 세층이 한쌍(one pair)을 이루어 주기적으로 반복된 다층막인 것이 특징인 플립칩 구조의 그룹 3족 질화물계 반도체 발광다이오드 소자용 박막구조체.
- 제34항에 있어서,상기 슈퍼래티스 구조를 이루고 있는 각층은 5nm 이하의 두께로 된 InN, InGaN, InAlN, AlGaN, GaN, AlInGaN, AlN, SiC, SiCN, MgN, ZnN, 또는 SiN 물질인 것이 특징인 플립칩 구조의 그룹 3족 질화물계 반도체 발광다이오드 소자용 박막구조체.
- 제35항에 있어서,상기 슈퍼래티스 구조를 이루고 있는 각층은 실리콘(Si), 마그네슘(Mg), 또 는 아연(Zn)이 도핑된 물질인 것이 특징인 플립칩 구조의 그룹 3족 질화물계 반도체 발광다이오드 소자용 박막구조체.
- 제32항에 있어서,상기 슈퍼래티스 구조는 5nm 이하의 두께를 갖는 n형 도전성의 InGaN 단층(single layer) 또는 p형 도전성의 InGaN 단층(single layer)으로 대체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인 플립칩 구조의 그룹 3족 질화물계 반도체 발광다이오드 소자용 박막구조체.
- 제32항에 있어서,상기 제1 오믹접촉 커런트스프레딩층은 그룹 3족 질화물계 전도성 박막구조체로 형성된 것이 특징인 플립칩 구조의 그룹 3족 질화물계 반도체 발광다이오드 소자용 박막구조체.
- 제38항에 있어서,상기 제1 오믹접촉 커런트스프레딩층을 이루고 있는 그룹 3족 질화물계 전도성 박막구조체는 화학식 In x Al y Ga 1-x-y N(0≤x, 0≤y, x+y≤1)로 표현된 6nm 이상의 두께를 갖는 질화물의 단층 또는 다층막인 것이 특징인 플립칩 구조의 그룹 3족 질화물계 반도체 발광다이오드 소자용 박막구조체.
- 제32항에 있어서,상기 발광다이오드 소자용 발광구조체, 슈퍼래티스 구조, 및 제1 오믹접촉 커런트스프레딩층은 MOCVD, MBE, 또는 HVPE 성장 장비를 이용하여 인시츄(in-situ) 상태에서 연속적으로 형성한 플립칩 구조의 그룹 3족 질화물계 반도체 발광다이오드 소자용 박막구조체.
- 제32항에 있어서,상기 발광다이오드 소자용 발광구조체와 슈퍼래티스 구조는 MOCVD, MBE, 또는 HVPE 성장 장비를 이용하여 인시츄(in-situ) 상태에서 연속적으로 형성한 다음, 상기 오믹접촉 커런트스프레딩층은 상기 슈퍼래티스 구조 상면에 MOCVD, MBE, HVPE, sputter, 또는 PLD 성장 장비를 이용하여 엑시츄(ex-situ) 상태에서 형성한 플립칩 구조의 그룹 3족 질화물계 반도체 발광다이오드 소자용 박막구조체.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33986A KR101428069B1 (ko) | 2008-04-13 | 2008-04-13 | 플립칩 구조의 그룹 3족 질화물계 반도체 발광다이오드소자 및 이의 제조 방법 |
US12/937,453 US9543467B2 (en) | 2008-04-12 | 2009-04-13 | Light emitting device |
PCT/KR2009/001886 WO2009126010A2 (ko) | 2008-04-12 | 2009-04-13 | 발광 소자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33986A KR101428069B1 (ko) | 2008-04-13 | 2008-04-13 | 플립칩 구조의 그룹 3족 질화물계 반도체 발광다이오드소자 및 이의 제조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108674A KR20090108674A (ko) | 2009-10-16 |
KR101428069B1 true KR101428069B1 (ko) | 2014-08-07 |
Family
ID=415520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33986A Expired - Fee Related KR101428069B1 (ko) | 2008-04-12 | 2008-04-13 | 플립칩 구조의 그룹 3족 질화물계 반도체 발광다이오드소자 및 이의 제조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28069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05236B1 (ko) * | 2012-07-05 | 2019-07-31 | 삼성전자주식회사 | 반사 전극 형성을 위한 콘택층을 포함하는 반도체 발광 소자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008216A (ko) * | 2001-07-04 | 2004-01-28 | 니치아 카가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 질화물 반도체소자 |
KR20070028095A (ko) * | 2005-09-07 | 2007-03-1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저저항 발광 다이오드 |
JP2008060331A (ja) | 2006-08-31 | 2008-03-13 | Rohm Co Ltd | 半導体発光素子 |
-
2008
- 2008-04-13 KR KR1020080033986A patent/KR101428069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008216A (ko) * | 2001-07-04 | 2004-01-28 | 니치아 카가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 질화물 반도체소자 |
KR20070028095A (ko) * | 2005-09-07 | 2007-03-1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저저항 발광 다이오드 |
JP2008060331A (ja) | 2006-08-31 | 2008-03-13 | Rohm Co Ltd | 半導体発光素子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108674A (ko) | 2009-10-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469979B1 (ko) | 그룹 3족 질화물계 반도체 발광다이오드 소자 및 이의 제조방법 | |
KR20090106301A (ko) | 그룹 3족 질화물계 반도체 발광다이오드 소자 및 이의 제조방법 | |
US20130015465A1 (en) | Nitride semiconductor light-emitting device | |
KR20090106299A (ko) | 오믹접촉 광추출 구조층을 구비한 그룹 3족 질화물계반도체 발광다이오드 소자 및 이의 제조 방법 | |
KR20110085609A (ko) | 발광 소자 및 그 제조방법 | |
US20110140077A1 (en) | Light emitting device | |
CN111403565A (zh) | 发光二极管及其制作方法 | |
KR101114047B1 (ko) |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 |
KR20090115322A (ko) | 그룹 3족 질화물계 반도체 소자 | |
CN102544290B (zh) | 氮化物半导体发光二极管元件 | |
KR101534846B1 (ko) | 수직구조의 그룹 3족 질화물계 반도체 발광다이오드 소자및 제조방법 | |
KR101449032B1 (ko) | 플립칩 구조의 그룹 3족 질화물계 반도체 발광다이오드소자 및 이의 제조 방법 | |
KR101480552B1 (ko) | 그룹 3족 질화물계 반도체 발광다이오드 소자 및 이의 제조방법 | |
KR101428069B1 (ko) | 플립칩 구조의 그룹 3족 질화물계 반도체 발광다이오드소자 및 이의 제조 방법 | |
KR101459770B1 (ko) | 그룹 3족 질화물계 반도체 소자 | |
KR100836132B1 (ko) | 질화물계 반도체 발광다이오드 | |
KR20070028095A (ko) | 저저항 발광 다이오드 | |
KR101494331B1 (ko) | 플립 칩 구조의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 | |
KR100648812B1 (ko) | 질화 갈륨계 발광 다이오드 및 그 제조방법 | |
KR20090112854A (ko) | 그룹 3족 질화물계 반도체 발광다이오드 소자 및 이의 제조방법 | |
KR101428068B1 (ko) | 그룹 3족 질화물계 반도체 발광다이오드 소자 및 이의 제조방법 | |
KR100751632B1 (ko) | 발광 소자 | |
KR100743468B1 (ko) | 3족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 | |
KR20170011839A (ko) | 자외선 발광소자 및 발광소자 패키지 | |
KR101550913B1 (ko) | 수직구조의 그룹 3족 질화물계 반도체 발광다이오드 소자및 제조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413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13031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3040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80413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30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70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8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408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704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70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710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71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711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71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71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72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05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