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8009B1 - 터치 패널 및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터치 패널 및 제조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28009B1 KR101428009B1 KR1020120062722A KR20120062722A KR101428009B1 KR 101428009 B1 KR101428009 B1 KR 101428009B1 KR 1020120062722 A KR1020120062722 A KR 1020120062722A KR 20120062722 A KR20120062722 A KR 20120062722A KR 101428009 B1 KR101428009 B1 KR 10142800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ouch panel
- metal
- layer
- transparent
- electrod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79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3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3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9
- 239000011810 insulating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3
- 239000012212 insulato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38000010030 laminat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29920000139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5020 polyethylene terephthala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1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29910004298 SiO 2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12670 alkaline solut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4593 Epoxy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10010413 TiO 2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0151 deposi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0873 mask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4417 polycarbona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10052710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10703 silic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20002972 Acrylic fiber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4642 Polyimid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NIXOWILDQLNWCW-UHFFFAOYSA-N acrylic acid group Chemical group C(C=C)(=O)O NIXOWILDQLNWCW-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20000515 polycarbonat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11112 polyethylene naphthala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20001721 polyimid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20003207 poly(ethylene-2,6-naphthalate) Polymers 0.000 claims 1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0
- 230000009191 jump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9
- 238000000206 photolithography Methods 0.000 description 19
- 238000005530 etc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6
- XLOMVQKBTHCTTD-UHFFFAOYSA-N Zinc monoxide Chemical compound [Zn]=O XLOMVQKBTHCTT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0000035945 sensiti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4
- BQCADISMDOOEFD-UHFFFAOYSA-N Silver Chemical compound [Ag] BQCADISMDOOEF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29920002120 photoresistant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137 deposition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646 gravure prin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AMGQUBHHOARCQH-UHFFFAOYSA-N indium;oxotin Chemical group [In].[Sn]=O AMGQUBHHOARCQ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WABPQHHGFIMREM-UHFFFAOYSA-N lead(0) Chemical compound [Pb] WABPQHHGFIMRE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639 prin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09 silv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332 silv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356 single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068 sta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YVTHLONGBIQYBO-UHFFFAOYSA-N zinc indium(3+) oxygen(2-) Chemical compound [O--].[Zn++].[In+3] YVTHLONGBIQYB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787 zinc 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RYGMFSIKBFXOCR-UHFFFAOYSA-N Copper Chemical compound [Cu] RYGMFSIKBFXOC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042 Silver nanowi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6404 SnO 2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790 adhesive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041 carbon nanotub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940 conductive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802 copp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49 copp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66 curtain co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3460 diamond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32 diamon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618 dip co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6334 epoxy coating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357 flat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21389 graphen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41 inkjet prin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45 offset prin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699 permeabi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96 polysilox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76 silk screen co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64 slot die co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28 spin co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780 transparent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281 ultraviolet germicidal irradi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40 vapor depos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B32B2457/208—Touch scree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12—Electrode mesh in capacitive digitiser: electrode for touch sensing is formed of a mesh of very fine, normally metallic, interconnected lines that are almost invisible to see. This provides a quite large but transparent electrode surface, without need for ITO or similar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Description
터치 패널의 원도우 영역에 해당하고 일정거리의 간격마다 이격되어 형성된 복수개의 제1축 정전전극을 투명 도전층으로 형성하고, 각각의 제1축 정전전극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교차되는 각각의 제2축 정전전극의 일측 끝단과 연결되는 터치 패널의 가장 자리 영역인 복수개의 금속 도선을 금속층으로 형성하는 단계;
각각의 제2축 정전전극의 일측 끝단과 연결되는 위치에 각각의 금속 도선의 금속 전극 부분을 절연 마스킹한 후, 터치 패널의 상부면에 절연체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절연 마스킹된 부분을 제거한 후, 터치 패널의 상부면에 전도성 투명전극을 형성하고 전도성 투명전극으로 이루어진 복수의 제2축 정전전극을 형성하여 각각의 금속 도선의 금속 전극 부분과 각각의 제2축 정전전극의 일측 끝단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터치 패널의 제조 방법은,
터치 패널의 원도우 영역에 해당하고 일정거리의 간격마다 이격되어 형성된 복수개의 제1축 정전전극을 투명 도전층으로 형성하고, 각각의 제1축 정전전극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교차되는 각각의 제2축 정전전극의 일측 끝단과 연결되는 터치 패널의 가장 자리 영역인 복수개의 금속 도선을 금속층으로 형성하는 단계;
터치 패널의 상부면에 감광성이 있는 투명 절연 물질을 형성한 후 투명 절연 물질로 형성된 층에서 각각의 제2축 정전전극의 일측 끝단과 연결되는 위치에 각각의 금속 도선의 금속 전극 부분이 위치한 영역을 개방하는 단계; 및
터치 패널의 상부면에 전도성 투명전극을 형성하고 전도성 투명전극으로 이루어진 복수의 제2축 정전전극을 형성하여 각각의 금속 도선의 금속 전극 부분과 각각의 제2축 정전전극의 일측 끝단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터치 패널의 제조 방법은,
터치 패널의 원도우 영역에 해당하고 일정거리의 간격마다 이격되어 형성된 복수개의 제1축 정전전극을 제1 투명 도전층으로 형성하는 단계;
터치 패널의 상부면에 감광성이 있는 투명 절연 물질을 형성한 후, 투명 절연 물질로 형성된 층에서 각각의 제1축 정전전극의 일측 끝단과 연결되는 터치 패널의 가장 자리 영역인 복수개의 제1 금속 도선의 금속 전극 부분을 개방하는 단계;
터치 패널의 상부면에 제2 투명 도전층을 형성하고 제2 투명 도전층의 상부면에 금속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제2 투명 도전층과 금속층을 선택적으로 제거하여 복수개의 제2축 정전전극과, 각각의 제2축 정전전극과 연결되는 터치 패널의 가장 자리 영역인 복수개의 제2 금속 도선을 형성하며, 각각의 제1 금속 도선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터치 패널은,
유기 절연체 또는 무기 절연체로 이루어진 절연층;
상기 절연층의 상부면에 형성되고 상기 터치 패널의 원도우 영역에 해당하며 일정거리의 간격마다 이격되어 형성된 복수개의 제1축 정전전극을 형성하는 투명 도전층;
복수개의 제1축 정전전극의 일측 끝단과 연결되는 터치 패널의 가장 자리 영역인 복수개의 제1 금속 도선과, 각각의 제1축 정전전극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교차되는 각각의 제2축 정전전극의 일측 끝단과 연결되는 터치 패널의 가장 자리 영역인 복수개의 제2 금속 도선을 형성하는 금속층;
투명 도전층과 상기 금속층의 상부면에 형성되고, 각각의 제2축 정전전극의 일측 끝단과 연결되는 위치에 각각의 제2 금속 도선의 금속 전극 부분이 위치한 영역이 개방된 투명한 재질의 투명 절연 물질; 및
투명 절연 물질의 상부면에 형성되고 각각의 제1축 정전전극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직각 방향으로 교차되는 각각의 제2축 정전전극을 형성하는 전도성 투명전극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터치 패널은,
유기 절연체 또는 무기 절연체로 이루어진 절연층;
절연층의 상부면에 형성되고 상기 터치 패널의 원도우 영역에 해당하며 일정거리의 간격마다 이격되어 형성된 복수개의 제1축 정전전극을 형성하는 제1 투명 도전층;
투명 도전층의 상부면에 형성되고, 각각의 제1축 정전전극의 일측 끝단과 연결되는 터치 패널의 가장 자리 영역인 복수개의 제1 금속 도선의 금속 전극 부분이 위치한 영역이 개방된 투명한 재질의 투명 절연 물질;
투명 절연 물질의 상부면에 형성되고, 각각의 제1축 정전전극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직각 방향으로 교차되는 각각의 제2축 정전전극을 형성하는 제2 투명 도전층; 및
도 2는 종래의 정전용량 방식 터치 패널에서 Y축 전극 패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종래의 정전용량 방식 터치 패널에서 X축 전극 패턴과 Y축 전극 패턴을 합체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종래의 정전용량 방식 터치 패널에서 X축 전극 패턴과 Y축 전극 패턴을 합체한 상태에서의 층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원도우 바깥 점핑 브릿지 기술을 이용한 터치 패널의 제조 방법을 측면에서의 층 구조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a 내지 도 6e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원도우 바깥 점핑 브릿지 기술을 이용한 터치 패널의 제조 방법을 평면에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원도우 바깥 점핑 브릿지 기술을 이용한 터치 패널의 제조 방법을 측면에서의 층 구조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원도우 바깥 점핑 브릿지 기술을 이용한 터치 패널의 제조 방법을 측면에서의 층 구조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원도우 바깥 점핑 브릿지 기술을 이용한 터치 패널의 제조 방법을 평면에서 나타낸 도면이다.
다음으로, 도 5b의 (e)와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X축 정전전극의 일측 끝단과 연결되는 각각의 원도우 바깥 영역(152)에 드라이필름(또는 액상 포토 레지스트)(150)을 이용하여 절연 마스킹한 후, 터치 패널의 상부면에 절연체층(160)을 형성한다. 여기서, X축 바 패턴은 복수개의 X축 정전전극을 나타내고, 원도우 바깥 영역(152)은 복수개의 X축 정전전극의 일측 끝단과 연결되는 각각의 금속 도선의 금속 전극 부분이 위치한 영역을 나타낸다.
다음으로, 도 8b의 (f), (g)와 도 9의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2차 포토리소그래피(Photolithography)의 공정에 의해 투명 도전층(120)으로 이루어진 투명전극 패턴(복수개의 Y축 정전전극을 나타내는 Y축 바 패턴)과 각각의 Y축 정전전극의 일측 끝단과 연결되는 배선전극 패턴과, 각각의 X축 정전전극의 일측 끝단과 연결되는 배선전극 패턴을 선택 에칭을 통해 형성한다. 즉, 2차 포토리소그래피의 공정은 드라이필름 라미네이팅, 2차 노광, 2차 현상, 메탈 에칭, ITO 에칭, 박리 공정을 수행한다.
120: 투명 도전층
130: 금속층
140: 제1 감광성 소재
141: 제2 감광성 소재
142: 제3 감광성 소재
143: 아트워크 필름
144: 제4 감광성 소재
145: 제5 감광성 소재
146: 아트워크 필름
147: 제6 감광성 소재
150: 드라이필름
152: 원도우 바깥 영역
160: 절연체층
170: 전도성 투명전극
180: 투명 절연 물질
Claims (11)
- 터치 패널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터치 패널의 원도우 영역에 해당하고 일정거리의 간격마다 이격되어 형성된 복수개의 제1축 정전전극을 투명 도전층으로 형성하고, 상기 각각의 제1축 정전전극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교차되는 각각의 제2축 정전전극의 일측 끝단과 연결되는 상기 터치 패널의 가장 자리 영역인 복수개의 금속 도선을 금속층으로 형성하는 단계;
상기 각각의 제2축 정전전극의 일측 끝단과 연결되는 위치에 상기 각각의 금속 도선의 금속 전극 부분을 절연 마스킹한 후, 상기 터치 패널의 상부면에 절연체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절연 마스킹된 부분을 제거한 후, 상기 터치 패널의 상부면에 전도성 투명전극을 형성하고 상기 전도성 투명전극으로 이루어진 상기 복수의 제2축 정전전극을 형성하여 상기 각각의 금속 도선의 금속 전극 부분과 상기 각각의 제2축 정전전극의 일측 끝단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터치 패널의 제조 방법. - 터치 패널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터치 패널의 원도우 영역에 해당하고 일정거리의 간격마다 이격되어 형성된 복수개의 제1축 정전전극을 투명 도전층으로 형성하고, 상기 각각의 제1축 정전전극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교차되는 각각의 제2축 정전전극의 일측 끝단과 연결되는 상기 터치 패널의 가장 자리 영역인 복수개의 금속 도선을 금속층으로 형성하는 단계;
상기 터치 패널의 상부면에 감광성이 있는 투명 절연 물질을 형성한 후 상기 투명 절연 물질로 형성된 층에서 상기 각각의 제2축 정전전극의 일측 끝단과 연결되는 위치에 상기 각각의 금속 도선의 금속 전극 부분이 위치한 영역을 개방하는 단계; 및
상기 터치 패널의 상부면에 전도성 투명전극을 형성하고 상기 전도성 투명전극으로 이루어진 상기 복수의 제2축 정전전극을 형성하여 상기 각각의 금속 도선의 금속 전극 부분과 상기 각각의 제2축 정전전극의 일측 끝단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터치 패널의 제조 방법.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층으로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개의 제1축 정전전극의 일측 끝단과 연결되는 상기 터치 패널의 가장 자리 영역인 복수개의 제1 금속 도선을 상기 금속층으로 형성하고, 상기 각각의 제2축 정전전극의 일측 끝단과 연결되는 상기 터치 패널의 가장 자리 영역인 복수개의 제2 금속 도선을 상기 금속층으로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터치 패널의 제조 방법.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금속 도선의 금속 전극 부분과 상기 각각의 제2축 정전전극의 일측 끝단이 연결되지 않은 경우, 상기 각각의 금속 도선의 금속 전극 부분에 도전성 물질을 도포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터치 패널의 제조 방법.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금속 도선의 금속 전극 부분이 개방되는 패턴이 형성된 패턴 툴(Tool) 또는 상기 패턴 툴 없이 직접적으로 패턴을 구현하는 장비를 이용하여 노광 공정을 수행하는 단계; 및
약한 알칼리 용액을 이용하여 상기 투명 절연 물질에 상기 각각의 금속 도선의 금속 전극 부분이 개방되는 패턴을 형성하는 현상 공정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터치 패널의 제조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패널의 상부면에 절연체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절연체층은 아크릴 소재 드라이필름을 라미네이팅하는 공정, 액상 타입의 실리콘, 에폭시 소재로 코팅하는 공정 및 SiO2, TiO2의 절연 공정을 증착하는 공정 중 하나의 공정을 선택하여 형성하는 터치 패널의 제조 방법.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층으로 형성하는 단계는,
절연층 위에 상기 투명 도전층으로 이루어진 복수개의 제1축 정전전극과 상기 복수개의 금속 도선을 형성하며, 상기 절연층은 폴리이미드 또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olyethylenenaphthalate, PEN),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아크릴의 플라스틱 소재를 포함한 유기 절연체와, 글라스(Glass) 소재의 무기 절연체 중 하나를 나타내는 터치 패널의 제조 방법. - 터치 패널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터치 패널의 원도우 영역에 해당하고 일정거리의 간격마다 이격되어 형성된 복수개의 제1축 정전전극을 제1 투명 도전층으로 형성하는 단계;
상기 터치 패널의 상부면에 감광성이 있는 투명 절연 물질을 형성한 후, 상기 투명 절연 물질로 형성된 층에서 상기 각각의 제1축 정전전극의 일측 끝단과 연결되는 상기 터치 패널의 가장 자리 영역인 복수개의 제1 금속 도선의 금속 전극 부분을 개방하는 단계;
상기 터치 패널의 상부면에 제2 투명 도전층을 형성하고 상기 제2 투명 도전층의 상부면에 금속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투명 도전층과 상기 금속층을 선택적으로 제거하여 복수개의 제2축 정전전극과, 상기 각각의 제2축 정전전극과 연결되는 상기 터치 패널의 가장 자리 영역인 복수개의 제2 금속 도선을 형성하며, 상기 각각의 제1 금속 도선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터치 패널의 제조 방법. - 터치 패널에 있어서,
유기 절연체 또는 무기 절연체로 이루어진 절연층;
상기 절연층의 상부면에 형성되고 상기 터치 패널의 원도우 영역에 해당하며 일정거리의 간격마다 이격되어 형성된 복수개의 제1축 정전전극을 형성하는 투명 도전층;
상기 복수개의 제1축 정전전극의 일측 끝단과 연결되는 상기 터치 패널의 가장 자리 영역인 복수개의 제1 금속 도선과, 상기 각각의 제1축 정전전극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교차되는 각각의 제2축 정전전극의 일측 끝단과 연결되는 상기 터치 패널의 가장 자리 영역인 복수개의 제2 금속 도선을 형성하는 금속층;
상기 투명 도전층과 상기 금속층의 상부면에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제2축 정전전극의 일측 끝단과 연결되는 위치에 상기 각각의 제2 금속 도선의 금속 전극 부분이 위치한 영역이 개방된 투명한 재질의 투명 절연 물질; 및
상기 투명 절연 물질의 상부면에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제1축 정전전극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직각 방향으로 교차되는 각각의 제2축 정전전극을 형성하는 전도성 투명전극
을 포함하는 터치 패널. - 터치 패널에 있어서,
유기 절연체 또는 무기 절연체로 이루어진 절연층;
상기 절연층의 상부면에 형성되고 상기 터치 패널의 원도우 영역에 해당하며 일정거리의 간격마다 이격되어 형성된 복수개의 제1축 정전전극을 형성하는 제1 투명 도전층;
상기 투명 도전층의 상부면에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제1축 정전전극의 일측 끝단과 연결되는 상기 터치 패널의 가장 자리 영역인 복수개의 제1 금속 도선의 금속 전극 부분이 위치한 영역이 개방된 투명한 재질의 투명 절연 물질;
상기 투명 절연 물질의 상부면에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제1축 정전전극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직각 방향으로 교차되는 각각의 제2축 정전전극을 형성하는 제2 투명 도전층; 및
상기 복수개의 제1축 정전전극의 일측 끝단과 연결되는 상기 터치 패널의 가장 자리 영역인 복수개의 제1 금속 도선과, 상기 각각의 제2축 정전전극의 일측 끝단과 연결되는 상기 터치 패널의 가장 자리 영역인 복수개의 제2 금속 도선을 형성하는 금속층
을 포함하는 터치 패널.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62722A KR101428009B1 (ko) | 2012-06-12 | 2012-06-12 | 터치 패널 및 제조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62722A KR101428009B1 (ko) | 2012-06-12 | 2012-06-12 | 터치 패널 및 제조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139038A KR20130139038A (ko) | 2013-12-20 |
KR101428009B1 true KR101428009B1 (ko) | 2014-08-11 |
Family
ID=499844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62722A Expired - Fee Related KR101428009B1 (ko) | 2012-06-12 | 2012-06-12 | 터치 패널 및 제조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28009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9552120B2 (en) | 2014-08-06 | 2017-01-24 | Samsung Display Co., Ltd. | Touch screen panel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03356B1 (ko) * | 2017-11-01 | 2022-06-02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차량용 컨트롤 패널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1076386A (ja) | 2009-09-30 | 2011-04-14 | Hosiden Corp | 静電容量式タッチ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
KR20120046055A (ko) * | 2010-10-29 | 2012-05-09 | (주)티메이 | 터치패널용 패드의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터치패널용 패드 |
-
2012
- 2012-06-12 KR KR1020120062722A patent/KR101428009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1076386A (ja) | 2009-09-30 | 2011-04-14 | Hosiden Corp | 静電容量式タッチ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
KR20120046055A (ko) * | 2010-10-29 | 2012-05-09 | (주)티메이 | 터치패널용 패드의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터치패널용 패드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9552120B2 (en) | 2014-08-06 | 2017-01-24 | Samsung Display Co., Ltd. | Touch screen panel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139038A (ko) | 2013-12-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092102B2 (en) | Touch switch | |
US9448672B2 (en) | Touch panel structure and fabrication method for the same | |
KR101093651B1 (ko) | 금속박막을 이용한 터치패널 및 그 제조방법 | |
US10606425B2 (en) | Touch panel and method for making same | |
KR20110136089A (ko) | 정전용량 터치 센서 | |
CN104246671A (zh) | 触摸面板及其制造方法 | |
KR101191949B1 (ko) | 정전용량 터치 패널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터치 패널 | |
CN102279677B (zh) | 触控面板的结构及其制造方法 | |
US20150253901A1 (en) | Manufacturing method for single-sided multi-layer circuit pattern for touch panel | |
KR20140003475U (ko) | 터치 전극 장치 | |
KR101469146B1 (ko) | 터치 패널 및 제조 방법 | |
KR101428009B1 (ko) | 터치 패널 및 제조 방법 | |
KR101496250B1 (ko) | 터치 패널 및 이의 제조 방법 | |
TWI486859B (zh) | 電容式觸控面板結構 | |
KR101496256B1 (ko) | 터치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 |
US9323094B2 (en) | Touch panel | |
KR20140078881A (ko) | 결정질 ito와 비정질 ito를 사용하는 터치패널 | |
KR20140016623A (ko) | 터치스크린 패널 및 그 형성방법 | |
KR101469149B1 (ko) | 터치 패널 및 제조 방법 | |
TW201405637A (zh) | 觸控單元 | |
KR101496254B1 (ko) | 터치 패널 및 제조 방법 | |
TW201525792A (zh) | 觸控面板結構及其製造方法 | |
KR20150120169A (ko) | 터치 패널 및 제조 방법 | |
KR20150019571A (ko) | 터치 패널 및 제조 방법 | |
KR20150017284A (ko) | 하나의 레이어의 터치 센서를 구현하는 터치 패널 및 제조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61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10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53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8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408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05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