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427800B1 - 배선용 차단기의 트립유닛 - Google Patents

배선용 차단기의 트립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7800B1
KR101427800B1 KR1020100133681A KR20100133681A KR101427800B1 KR 101427800 B1 KR101427800 B1 KR 101427800B1 KR 1020100133681 A KR1020100133681 A KR 1020100133681A KR 20100133681 A KR20100133681 A KR 20100133681A KR 101427800 B1 KR101427800 B1 KR 1014278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ature
magnetic core
spring
supporter
trip uni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36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71937A (ko
Inventor
안병수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336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7800B1/ko
Priority to CN201110459065.9A priority patent/CN102543602B/zh
Publication of KR201200719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19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78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7800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Landscapes

  • Breaker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선용 차단기의 트립유닛에 관한 것이다. 본 배선용 차단기의 트립유닛은, 전원 인가시 자기력을 발생시키는 마그네틱 코어; 상기 마그네틱 코어의 일 측에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아마추어; 및 상기 마그네틱 코어에 의한 상기 아마추어의 흡인 시 상기 아마추어에 작용하는 모멘트의 상승이 억제되게 상기 아마추어가 상기 마그네틱 코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아마추어 스프링;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이에 의해, 마그네틱 코어의 흡인력의 증가가 완만한 경우에도 순시 트립 동작이 원활하게 될 수 있다.

Description

배선용 차단기의 트립유닛{TRIP UNIT FOR MOLDED CASE CIRCUIT BREAKER}
본 발명은, 배선용 차단기의 트립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순시 동작의 불확실 구간을 축소시켜 일정한 순시특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배선용 차단기의 트립유닛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배선용 차단기는, 비교적 저 전압의 전원 회로를 조작 핸들을 사용하여 수동으로 개폐하거나, 단락 전류 등 사고 전류 발생 시 이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회로를 차단하여 부하 기기 및 회로를 보호하는 전기 기기의 일종이다.
도 1은 종래의 배선용 차단기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요부확대도이며, 도 3은 도 2의 트립유닛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2의 아마추어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선용 차단기는, 케이스(10)와, 상기 케이스(10)에 고정 배치되는 고정접촉자(20)와, 상기 고정접촉자(20)에 대해 접촉 및 분리될 수 있게 배치되는 가동접촉자(30)와, 상기 가동접촉자(30)를 개폐하는 개폐기구(40) 및 단락 전류 등 사고전류 발생시 이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차단하는 트립유닛(50)을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0)의 상부영역에는 상기 개폐기구(40)를 수동으로 개폐할 수 있게 조작 핸들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는 모선 및/또는 부하에 연결될 수 있게 상기 고정접촉자(20)가 고정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고정접촉자(20)는 서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고정접점(22)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고정접촉자(20)의 일 측에는 상기 고정접점(22)과 접촉 및 분리 가능하게 가동접촉자(3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동접촉자(30)는 상기 고정접점(22)과 각각 접촉 가능한 복수의 가동접점(32)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가동접촉자(30)의 중앙영역에는 샤프트(35)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정접촉자(20)의 일 측에는 사고 전류 통전 시 이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차단(트립(TRIP)할 수 있게 상기 트립유닛(5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트립유닛(50)은, 상기 고정접촉자(20)에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통전 시 자기력을 발생시키는 마그네틱 코어(MAGNETIC CORE)(51)와, 상기 마그네틱 코어(51)의 일 측에 배치되어 상기 마그네틱 코어(51)에 의해 흡인되는 아마추어(AMATURE)(53)와, 상기 아마추어(53)가 상기 마그네틱 코어(5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아마추어 스프링(70)을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아마추어(53)는 회동축(55)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회동축(55)은 상기 아마추어(53)의 하부영역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아마추어(53)의 일 측에는 상기 아마추어(53)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아마추어 서포터(60)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아마추어 서포터(60)의 하부영역에는 상기 아마추어(53)가 회동축(55)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게 회동지지부(6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아마추어 서포터(60)에는 상기 아마추어(53)와 상기 마그네틱 코어(51)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스크류(6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크류(65)에 의해 상기 마그네틱 코어(51)와 상기 아마추어(53) 사이의 초기 거리가 결정될 수 있다.
상기 회동축(55)의 둘레에는 상기 아마추어(53)에 탄성력을 가하는 아마추어 스프링(7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아마추어 스프링(70)은 비틀림 코일 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아마추어(53)의 상측에는 상기 아마추어(53)의 흡인 시 상기 아마추어(53)에 의해 가압되어 회동될 수 있게 크로스바(7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크로스바(71)의 일 측에는 상기 아마추어(53)의 흡인 시 상기 크로스바(71)의 회전 시 연동하여 상기 개폐기구(40)가 트립 동작을 수행할 수 있게 트리거(TRIGGER) 기능을 수행하는 트립슈터(73), 트립바(75) 및 래치홀더(77)가 각각 구비되게 구성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배선용 차단기에 있어서는, 통전 시 마그네틱 코어(51)에 의해 흡인되는 아마추어(53)의 순시 동작 특성은 마그네틱 코어(51)와 아마추어(53) 사이의 초기 거리, 아마추어 스프링(70)의 스프링 상수, 아마추어 스프링(70)의 초하중 및 종하중, 그리고 사고 전류를 검출하는 각 부품(예를 들면 마그네틱 코어(51) 및 아마추어(53))의 형상 등 많은 관리 항목에 영항을 받게 되기 때문에 일정한 순시 특성 구현이 곤란하게 될 수 있다.
특히, 아마추어 스프링(70)은 비틀림 코일 스프링으로 구성되고 상기 마그네틱 코어(51)의 흡인에 의한 아마추어(53)의 회동 시 아마추어 스프링(70)이 압축되면서 저항이 증가하게 되어 마그네틱 코어(51)와 아마추어(53)가 접촉되기까지 흡인력의 증가가 서서히 이루어질 경우 지연(구간)이 길어지게 될 수 있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마그네틱 코어의 흡인력의 증가가 완만한 경우에도 순시 트립 동작이 원활하게 될 수 있는 배선용 차단기의 트립유닛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아마추어 스프링의 초하중 관리로 일정한 순시 특성을 구현할 수 있는 배선용 차단기의 트립유닛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아마추어 동작 구간에서 모멘트의 상승을 억제할 수 있는 배선용 차단기의 트립유닛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해, 전원 인가시 자기력을 발생시키는 마그네틱 코어; 상기 마그네틱 코어의 일 측에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아마추어; 및 상기 마그네틱 코어에 의한 상기 아마추어의 흡인 시 상기 아마추어에 작용하는 모멘트의 상승이 억제되게 상기 아마추어가 상기 마그네틱 코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아마추어 스프링;을 포함하는 배선용 차단기의 트립유닛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아마추어 스프링은 압축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아마추어의 일 측에 배치되어 상기 아마추어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아마추어 서포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아마추어 서포터는 상기 아마추어 스프링의 일 단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아마추어에는 상기 아마추어 스프링이 수용될 수 있게 수용부가 관통 형성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수용부의 내부에 삽입되게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분야에 따르면, 전원 인가시 자기력을 발생시키는 마그네틱 코어; 상기 마그네틱 코어의 일 측에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마그네틱 코어에 의해 흡인되는 아마추어; 상기 아마추어의 일 측에 배치되어 상기 아마추어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아마추어 서포터; 및 일 단부는 상기 아마추어 서포터에 의해 지지되고 타 단은 상기 아마추어에 접촉되어 상기 마그네틱 코어에 의한 상기 아마추어의 흡인 시 상기 아마추어에 작용하는 모멘트의 상승이 억제될 수 있게 상기 아마추어에 탄성력을 가하는 아마추어 스프링;을 포함하는 배선용 차단기의 트립유닛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아마추어에는 상기 아마추어 스프링이 수용될 수 있게 수용부가 관통 형성되고, 상기 아마추어 서포터는 상기 수용부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아마추어 스프링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분야에 따르면,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고정배치되는 고정접촉자; 상기 고정접촉자에 접촉 및 분리 가능하게 배치되는 가동접촉자; 상기 가동접촉자를 개폐시키는 개폐기구; 및 일정 이상의 전류 통전시 상기 개폐기구를 트립시키는 상기 배선용 차단기의 트립유닛;을 포함하는 배선용 차단기가 제공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아마추어의 흡인 시 상기 아마추어에 작용하는 모멘트의 상승이 억제되게 상기 아마추어가 상기 마그네틱 코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아마추어 스프링을 구비하도록 함으로써, 마그네틱 코어의 흡인력의 증가가 완만한 경우에도 순시 트립 동작이 원활하게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아마추어의 동작 구간 내에서 모멘트의 상승이 거의 발생되지 아니하므로 아마추어 스프링의 종하중을 고려할 필요없이 아마추어 스프링의 초하중을 관리하는 것만으로 일정한 순시 특성의 구현이 가능하다.
도 1은 종래의 배선용 차단기의 단면도,
도 2는 도 1의 요부확대도,
도 3은 도 2의 트립유닛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도 2의 아마추어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의 단면도,
도 6은 도 5의 아마추어영역의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아마추어의 결상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8 및 도 9는 아마추어의 흡인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마그네틱 코어의 흡인력과 아마추어의 동작하중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트립유닛을 구비한 배선용 차단기는, 케이스(110); 상기 케이스(110)에 고정배치되는 고정접촉자(120); 상기 고정접촉자(120)에 접촉 및 분리 가능하게 배치되는 가동접촉자(130); 상기 가동접촉자(130)를 개폐시키는 개폐기구(140); 및 일정 이상의 전류 통전시 상기 개폐기구(140)를 트립시키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의 트립유닛(15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10)는 절연 수지부재로 대략 직육면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10)의 내부에는 상기 고정접촉자(12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접촉자(120)는 서로 소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된 고정접점(122)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고정접촉자(120)에는 모선 및 부하가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고정접촉자(120)의 일 측에는 상기 고정접촉자(120)와 접촉 및 분리되는 상기 가동접촉자(13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가동접촉자(130)는 상기 고정접점(122)에 각각 접촉 및 분리되는 복수의 가동접점(132)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동접촉자(130)의 중앙에는 샤프트(135)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가동접점(132)이 상기 샤프트(135)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고정접점(122)에 동시에 접촉 및 분리될 수 있다.
상기 가동접촉자(130)의 일 측에는 상기 가동접촉자(130)가 신속하게 투입 및 차단 위치로 각각 회동할 수 있게 구동력을 제공하는 개폐기구(14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개폐기구(140)는 구체적으로 도시되지 아니하였으나, 복수의 링크, 스프링 및 모터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개폐기구(140)의 일 측에는 수동으로 개폐기구(140)를 조작할 수 있게 조작핸들(112)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정접촉자(120)의 일 측에는 상기 트립유닛(15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트립유닛(150)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 인가시 자기력을 발생시키는 마그네틱 코어(151); 상기 마그네틱 코어(151)의 일 측에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아마추어(161); 및 상기 마그네틱 코어(151)에 의한 상기 아마추어(161)의 흡인 시 상기 아마추어(161)에 작용하는 모멘트의 상승이 억제되게 상기 아마추어(161)가 상기 마그네틱 코어(15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아마추어 스프링(181);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마그네틱 코어(151)는 상기 고정접촉자(120) 중 하나에 통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마그네틱 코어(151)는 상기 아마추어(161) 측으로 각각 돌출된 흡인부(15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흡인부(153) 사이에는 바이메탈(155)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바디메탈(155)은 일정 전류에서 변형되어 후술할 크로스바(191)를 회동시키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마그네틱 코어(151)의 일 측에는 사고 전류의 통전 시 상기 마그네틱 코어(151)에 의해 흡인되어 상기 흡인부(153)에 접촉될 수 있게 아마추어(16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아마추어(161)는, 수평부(163)와, 상기 수평부(163)에 거의 직각으로 절곡되는 수직부(164)를 구비하여 거의 'L'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평부(163)에는 의하여(165)이 삽입될 수 있게 회동축공(166)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트립유닛(150)은 상기 아마추어(161)의 일 측에 상기 아마추어(161)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아마추어 서포터(171)를 더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아마추어 서포터(171)는 거의 'L'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아마추어 서포터(171)의 하부영역에는 상기 아마추어(161)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동지지부(17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동지지부(173)에는 상기 회동축(165)이 삽입될 수 있게 회동축삽입공(175)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아마추어 서포터(171)와 상기 아마추어(161)에는 상기 아마추어 스프링(181)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아마추어 스프링(181)은 압축코일 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아마추어 스프링(181)은 일 단이 상기 아마추어 서포터(171)에 의해 지지되고 타 단은 상기 아마추어(161)에 탄성력을 가할 수 있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상기 마그네틱 코어(151)에 사고 전류가 통전되어 상기 아마추어(161)가 상기 마그네틱 코어(151)에 의해 흡인될 때 상기 아마추어 스프링(181)은 압축되어 탄성력은 증가하지만 상기 아마추어 스프링(181)의 탄성력이 작용하는 작용 지점이 상기 아마추어(161)의 회동축(165)에 보다 근접한 작용 지점들로 점진적으로 이동하게 됨으로써 상기 아마추어 스프링(181)에 의한 동작 모멘트는 거의 증가하지 아니하게 된다. 이에 의해, 사고 전류의 통전에 의한 흡인력이 서서히 증가하게 되어도 흡인력의 크기가 상기 아마추어 스프링(181)의 초하중 보다 크면 상기 아마추어(161)가 원활하게 흡인(회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아마추어(161)는 상기 마그네틱 코어(151)의 흡인력이 아마추어 스프링(181)의 탄성력 증가보다 크게 되는 시점까지의 지연구간(또는 불확실 구간)이 상대적으로 짧아지게 되므로 종래의 배선용 차단기처럼 큰 지연이 발생됨이 없이 신속하게 순시 트립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아마추어(161)에는 상기 아마추어 스프링(181)이 수용될 수 있게 수용부(167)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용부(167)는 상기 아마추어 스프링(181)의 출입이 가능하게 상기 아마추어(161)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용부(167)는 상기 수직부(164)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아마추어 서포터(171)에는 상기 아마추어 스프링(181)의 일 단부를 접촉지지할 수 있게 지지부(177)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177)는 상기 수용부(167)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게 상기 아마추어 서포터(171)의 수직구간으로부터 돌출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아마추어 스프링(181)의 일 단부, 보다 구체적으로 상단부는 상기 지지부(177)에 접촉되어 지지되고, 상기 아마추어 스프링(181)의 타 단부, 보다 구체적으로 하단부는 상기 수용부(167)의 저부면에 접촉 지지된다. 여기서, 상기 아마추어 스프링(181)은 일정 이상의 사고전류 통전시에만 순시트립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일정한 초하중을 가지게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아마추어 스프링(181)의 탄성력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아마추어(161)의 회동축(165)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작용지점(P1)에 작용한다. 여기서, 상기 마그네틱 코어(151)의 흡인에 의해 상기 아마추어(161)가 회동되는 경우 상기 아마추어 스프링(181)의 탄성력의 작용지점들은 상기 회동축(165)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상기 아마추어(161)의 동작 모멘트의 증가가 거의 발생되지 아니한다.
한편, 상기 아마추어(161)의 일 측(상측)에는 상기 마그네틱 코어(151)에 의한 상기 아마추어(161)의 회동 시 상기 개폐기구(140)의 래치의 구속을 해제하기까지 소위 트리거(TRIGGER) 기능을 수행하는 크로스바(191), 트립슈터(193), 트립바(195) 및 래치홀더(197)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아마추어(161)가 회동하여 상기 크로스바(191)를 회동시키면 상기 트립슈터(193), 트립바(195) 및 래치홀더(197)가 연속적으로 회동하여 개폐기구(140)의 래치의 구속을 해제하게 된다. 상기 래치의 구속이 해제되면 상기 개폐기구(140)의 트립스프링의 탄셩력에 의해 상기 샤프트(135)가 회동함으로써 상기 가동접촉자(130)는 상기 고정접촉자(120)로부터 신속하게 분리되게 회동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상기 마그네틱 코어(151)에 사고 전류(대전류)가 통전되면 상기 마그네틱 코어(151)가 자화되면서 자기력이 발생한다. 사고 전류에 의해 발생된 흡인력이 상기 아마추어 스프링(181)의 초하중 보다 크면 상기 아마추어(161)가 상기 마그네틱 코어(151) 측으로 흡인되어 회동된다. 이때, 상기 아마추어(161)가 회동됨에 따라 상기 아마추어 스프링(181)은 더욱 압축되어 탄성력은 증가하지만,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아마추어 스프링(181)의 탄성력이 상기 아마추어(161)의 회동축(165)에 근접한 방향으로 작용지점들이 이동하여 회동축(165)과의 거리가 도 8에 도시된 초기 작용지점(P1) 간 거리에 비해 단축됨으로써 실제 상기 아마추어(161)의 동작 모멘트는 거의 증가하지 아니한다. 이에 의해, 큰 지연이 발생됨이 없이 신속한 순시 트립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아마추어 스프링(181)의 종하중을 고려하지 아니하고 아마추어 스프링(181)의 초하중만을 관리하므로 일정한 순시 특성을 얻는 것이 보다 용이하게 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사고 전류 통전에 의한 마그네틱 코어(151)의 흡인력의 세기는 마그네틱 코어(151)와 아마추어(161) 사이의 거리의 제곱에 비례하므로 선 L1과 같이 증가하는 것으로 도시될 수 있다.
종래의 배선용 차단기에 있어서는, 마그네틱 코어(151)의 흡인에 의한 아마추어(161)의 회동 시 아마추어 스프링(181)의 탄성력이 증가하기 때문에 아마추어 스프링(181)의 동작 하중은 선 L2와 같은 기울기를 가지고 변화하는 것으로 도시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트립유닛(150)은, 아마추어(161)가 흡인되어 회동하여도 동작 모멘트의 증가가 거의 발생되지 아니하므로 선 L3와 같이 아마추어(161)의 동작 하중의 변화가 거의 없는 것으로 도시될 수 있다.
종래의 배선용 차단기에 있어서는, 아마추어 스프링(181)의 탄성력의 증가에 기인하여 아마추어(161)가 흡인(회동)되어 트립 기능을 수행하기까지 지연이 상대적으로 길어지며, 본 발명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에 있어서는 아마추어 스프링(181)의 동작 모멘트의 증가가 거의 없어 마그네틱 코어(151)의 흡인력이 아마추어 스프링(181)의 초하중을 초과하는 시점까지의 지연(구간)이 상대적으로 작게 발생됨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그 사상 또는 본질적인 특징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므로,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는 그 상세한 설명의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앞서 기술한 상세한 설명에서 일일이 나열되지 않은 실시예라 하더라도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서 정의된 그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넓게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범위와 그 균등범위 내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및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포섭되어야 할 것이다.
110 : 케이스 112 : 조작핸들
120 : 고정접촉자 122 : 고정접점
130 : 가동접촉자 132 : 가동접점
140 : 개폐기구 150 : 트립유닛
151 : 마그네틱코어 161 : 아마추어
163 : 수평부 164 : 수직부
165 : 회동축 167 : 수용부
171 : 아마추어 서포터 177 : 지지부
181 : 아마추어 스프링 191 : 크로스바
193 : 트립슈터 195 : 트립바
197 : 래치홀더

Claims (6)

  1. 전원 인가시 자기력을 발생시키는 마그네틱 코어;
    일 단부에 회동축이 구비되는 수평부, 상기 수평부의 타단부에 절곡형성되는 수직부를 구비하여 상기 마그네틱 코어의 일 측에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아마추어;
    상기 회동축이 결합되며 상기 아마추어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동지지부, 일 단부에 상기 회동지지부가 구비되어 상기 아마추어의 수평부의 하측에 배치되는 수평구간 및 상기 수평구간의 타 단부에 절곡 형성되어 상기 아마추어의 수직부의 외측에 배치되는 수직구간을 구비한 아마추어 서포터; 및
    일 단부는 상기 아마추어 서포터에 의하여 지지되고 타 단부는 상기 아마추어에 의하여 지지되어 상기 마그네틱 코어에 의한 상기 아마추어의 흡인 시 상기 아마추어에 작용하는 모멘트의 상승이 억제되게 상기 아마추어가 상기 마그네틱 코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아마추어 스프링;을 포함하되,
    상기 아마추어 스프링은 압축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되고,
    상기 수직부에는 상기 아마추어 스프링이 수용될 수 있게 관통된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아마추어 서포터의 수직구간에는 상기 수용부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게 돌출된 지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아마추어 스프링의 상단부는 상기 지지부에 의하여 지지되고 상기 아마추어 스프링의 하단부는 상기 수용부의 저부에 의하여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차단기의 트립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틱 코어에 의한 상기 아마추어의 흡인 전에 상기 아마추어 스프링의 상단부 및 하단부는 상기 수용부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아마추어 스프링의 하단부는 상기 수용부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아마추어의 회동에 의하여 상기 회동축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차단기의 트립유닛.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틱 코어에 의한 상기 아마추어의 흡인 시 상기 아마추어 스프링의상단부는 상기 수용부로부터 인출되어 상기 수용부의 외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차단기의 트립유닛.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00133681A 2010-12-23 2010-12-23 배선용 차단기의 트립유닛 Active KR1014278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3681A KR101427800B1 (ko) 2010-12-23 2010-12-23 배선용 차단기의 트립유닛
CN201110459065.9A CN102543602B (zh) 2010-12-23 2011-12-23 模制管壳式断路器的脱扣单元和有该脱扣单元的该断路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3681A KR101427800B1 (ko) 2010-12-23 2010-12-23 배선용 차단기의 트립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1937A KR20120071937A (ko) 2012-07-03
KR101427800B1 true KR101427800B1 (ko) 2014-08-08

Family

ID=463502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3681A Active KR101427800B1 (ko) 2010-12-23 2010-12-23 배선용 차단기의 트립유닛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427800B1 (ko)
CN (1) CN10254360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8359Y1 (ko) * 2012-08-14 2013-08-08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트립장치를 구비한 회로차단기
KR200471898Y1 (ko) * 2012-08-14 2014-04-01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배선용 차단기
KR101529590B1 (ko) * 2013-12-19 2015-06-29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배선용 차단기의 순시트립장치
KR101669906B1 (ko) * 2015-01-02 2016-10-27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배선용 차단기의 순시트립장치
CN104835697B (zh) * 2015-05-08 2017-10-03 无锡新宏泰电器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塑壳断路器的可调节瞬动特性的脱扣装置
CN107293456B (zh) * 2016-04-11 2020-08-14 Abb瑞士股份有限公司 包括跳闸机构的电路断路器
KR102017804B1 (ko) * 2018-02-06 2019-09-03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차단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2906A (ko) * 1997-11-28 1999-06-15 이종수 배선용 차단기의 순시트립장치
JP2001236873A (ja) 2000-02-24 2001-08-31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回路遮断器の引き外し装置
JP2002222624A (ja) 2001-01-26 2002-08-09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回路遮断器の引外し装置
KR20060101035A (ko) * 2005-03-18 2006-09-22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배선용차단기의 순시트립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96689A (ja) * 1994-09-28 1996-04-12 Mitsubishi Electric Corp 回路遮断器の引き外し装置
FR2757309B1 (fr) * 1996-12-13 1999-01-29 Schneider Electric Sa Bloc de declenchement selectif pour un disjoncteur multipolaire
CN2751432Y (zh) * 2004-10-14 2006-01-11 刘志平 设有欠压脱扣器的永磁机构
CN101145475B (zh) * 2006-09-12 2011-09-07 Ls产电株式会社 模制盒式断路器的瞬间跳闸机构
JP4906528B2 (ja) * 2007-02-01 2012-03-28 三菱電機株式会社 回路遮断器の過電流引き外し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2906A (ko) * 1997-11-28 1999-06-15 이종수 배선용 차단기의 순시트립장치
JP2001236873A (ja) 2000-02-24 2001-08-31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回路遮断器の引き外し装置
JP2002222624A (ja) 2001-01-26 2002-08-09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回路遮断器の引外し装置
KR20060101035A (ko) * 2005-03-18 2006-09-22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배선용차단기의 순시트립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543602A (zh) 2012-07-04
KR20120071937A (ko) 2012-07-03
CN102543602B (zh) 2014-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7800B1 (ko) 배선용 차단기의 트립유닛
US8558650B2 (en) Molded case circuit breaker having instantaneous trip mechanism
EP2492944A2 (en) Circuit breaker
US8866569B2 (en) Pry plate tripping circuit breaker
CN101630615A (zh) 低压断路器的可选择性脱扣装置
KR200468359Y1 (ko) 트립장치를 구비한 회로차단기
US6894594B2 (en) Circuit breaker including a cradle and a pivot pin therefor
US6229414B1 (en) Make-and-break mechanism for circuit breaker
KR200477250Y1 (ko) 배선용 차단기의 순시 트립 기구
CN207458872U (zh) 一种电磁脱扣机构及断路器
JP6714174B2 (ja) コンタクタ
KR101297549B1 (ko) 배선용 차단기의 부족 전압 트립 장치
KR102081698B1 (ko) 배선용 차단기
CN201503830U (zh) 低压断路器的可选择性脱扣装置
JP5215268B2 (ja) 遮断器
KR100928936B1 (ko) 배선용 차단기의 순시 트립 기구
KR101678862B1 (ko) 배선용차단기의 과전류 트립 감도 조정장치
US9362076B2 (en) Trip device of molded case circuit breaker using a stair type hanger
US9892873B2 (en) Multi-purpose mounting for an electrical switching apparatus
CN213483647U (zh) 带有失压、欠压脱扣保护的弹簧操作机构
WO2018212687A1 (en) An instantaneous tripping device for a miniature circuit breaker and miniature circuit breaker comprising the same
JP2012003964A (ja) 回路遮断器
JP5403335B2 (ja) 回路遮断器における瞬時引外し装置の電磁石構造
US9281151B2 (en) Lever arm for a shunt trip device
KR20150031731A (ko) 차단기용 순시 트립 유닛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1223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3012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01223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1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7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8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08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70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70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70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71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62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62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624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