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427120B1 - 트라거스에 착용할 수 있는 이어폰 - Google Patents

트라거스에 착용할 수 있는 이어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7120B1
KR101427120B1 KR1020130100405A KR20130100405A KR101427120B1 KR 101427120 B1 KR101427120 B1 KR 101427120B1 KR 1020130100405 A KR1020130100405 A KR 1020130100405A KR 20130100405 A KR20130100405 A KR 20130100405A KR 101427120 B1 KR101427120 B1 KR 1014271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arphone
main body
earphone main
ear canal
ea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04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철희
Original Assignee
김철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철희 filed Critical 김철희
Priority to KR10201301004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71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71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7120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covered by H04R1/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02Details casings, cabinets or mounting therein for transducers covered by H04R1/02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023Transducers incorporated in garment, rucksacks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60/00Details of hearing devices, i.e. of ear- or headphones covered by H04R1/10 or H04R5/033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their subgroups, or of hearing aids covered by H04R25/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460/09Non-occlusive ear tips, i.e. leaving the ear canal open, for both custom and non-custom tip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귀의 트라거스에 고정될 수 있도록 이어폰 본체의 일측에 고정날개를 형성하여 보다 쉽게 귀에 착용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한 트라거스에 착용할 수 있는 이어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트라거스에 착용할 수 있는 이어폰{earphone on tragus}
본 발명은 이어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트라거스에 고정시킬 수 있는 이어폰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진동판이 내장된 이어폰 본체의 일측에 탄성을 갖는 고정판을 형성하여 이어폰 본체와 고정판 사이에 귀의 트라거스 부분이 끼워질 수 있게 하여 귀에 쉽게 착용할 수 있게 한 트라거스에 착용할 수 있는 이어폰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 오디오 기기 및 전화기는 시간이나 장소의 제한을 받지 않고 음악을 듣거나 통화를 할 수 있는 수단으로 이용량이 급증하고 있다.
이러한 휴대용 오디오 기기나 휴대폰을 사용할 때 소리가 외부로 출력되면 다른 사람에게 방해가 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기의 조작하며 통화를 하거나 음악을 들어야하므로 사용에 많은 불편함이 있어 이어폰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이어폰과 관련된 기술로는 특허문헌 1내지 5가 있다.
이러한 기술 들 중 특허문헌 1의 기술은 이어폰 본체 전면에 연장되게 고정되고 귀의 외이도에 삽입될 수 있는 소정의 긴 길이를 가지며 첨단부 내부에는 공지의 진동소자가 내장되고 외표면부에는 상기 진동소자에서 발생되는 음을 외부로 방출되게 하는 다수의 음파공을 갖는 연질의 음파생부재와; 상기 음파생부재가 귀의 외이도 속에 착용 가능하게 하기 위해 귀의 이주 부분에 걸리도록 하기 위한 걸림부를 이어폰 본체 하단에 형성한 유선형 이어폰에 관한 것이고,
특허문헌 2내지 5는 무선 이어폰에 관한 것으로, 특허문헌 2는 외향산곡형으로 되는 지지판의 일면에 연질의 재질로 된 귀걸이테를 일체형으로 형성하고 지지판에는 송수신장치를 장착하되, 송수신기기와는 유선 또는 무선에 의해 송수신 할 수 있게 한 것이고, 특허문헌 3은 무선이어폰 본체는 구부려진 하부에 곡면을 이루어 귀에 걸수 있도록 형성하고, 상기 이어폰 본체 내부에 무선 RF모듈 혹은 블루투스 모듈이 장착되고, 일측 하단에 마이크가 설치된 연결 암이 삽입될 수 있도록 설치하며, 상기 무선이어폰 본체의 타측 고정암에 순차적으로 제1연결 암과 제2연결 암과 제3연결 암이 다각도로 회전 및 구부려 질 수 있도록 연결되며, 상기 제3연결 암의 끝단에는 스피커가 연결된 것이며, 특허문헌 4는 사용자의 귓불에 착용하는 귀걸이형 이어폰과 음향기기를 무선으로 연결함으로써 미적 장식효과를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배선에 의한 귀의 당김이나 배선의 엉킴 등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결합장신구를 이용하여 귀에 장착하므로 음향발생부가 귀에 직접 접촉하지 않고 귀에 압박감 없이 장시간을 편안하게 음향을 들을 수 있으며, 결합장신구에 자석을 안착시켜 사용자의 혈액순환을 원활히 하여 정신적, 육체적 스트레스를 해소할 수 있어 기능적, 심미적, 건강적으로 도움을 줄 수 있게한 것이다.
또한, 특허문헌 5는 MP3 플레이어와 무선 발신 장치 및 스피커가 내장된 MP3 발신 이어폰과, 무선수신 장치와 스피커가 내장된 수신 이어폰을 포함하고, 상기 MP3 발신 이어폰이 내장된 MP3 플레이어에서 재생된 음악을 스피커로 출력하며 음악 정보를 무선으로 전송하면, 수신 이어폰이 상기 MP3 발신 이어폰에서 무선으로 전송된 음악 정보를 수신하여 스피커로 출력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이어폰 들은 대부분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에 진동판이 설치된 스피커부(110)의 일측에 외이도에 끼워져 고정되는 출력부(120)를 형성하여 구성되어 있으며, 무선 이어폰의 경우에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측에 귀걸이(130)를 더 형성하여 귓바퀴와 머리 사이에 귀걸이를 걸어 귀에 착용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렇게 구성된 종래의 이어폰 중 귀걸이를 귓바퀴에 걸어 사용하는 무선 이어폰의 경우 안경을 쓴 사용자가 사용할 경우 귀걸이가 안경테와 겹쳐져 귓바퀴 뒤에 걸리므로 귓바퀴 뒤에 이물감을 느낄 수 있고, 지나치게 커 휴대가 불편할 뿐만 아니라 귀걸이가 다른 물건에 걸려 쉽게 손상되는 단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 공개 제2000-0021067호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0331133호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0547821호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0557198호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0853812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귀의 트라거스에 고정시킬 수 있는 트라거스에 착용할 수 있는 이어폰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진동판이 내장된 이어폰 본체의 일측에 고정판을 형성하여 고정판과 이어폰 본체 사이의 틈에 귀의 트라거스가 끼워져 고정될 수 있게 한 트라거스에 착용할 수 있는 이어폰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트라거스에 착용할 수 있는 이어폰은 적어도 무선통신모듈을 구비한 이어폰에 있어서, 내부에 진동판을 구비한 이어폰 본체; 상기 이어폰 본체로부터 출력되는 음을 출력하는 출력튜브: 상기 이어폰 본체의 일측에 형성되고 탄성을 갖는 고정판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어폰 본체에는 목에 걸어 휴대하기 위한 목줄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력튜브의 지름은 외이도와의 사이에 틈이 형성될 수 있을 정도의 지름으로 형성되어 외이도 내부에 음압이 걸리지 않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트라거스에 착용할 수 있는 이어폰은 이어폰 본체와 고정판 사이에 트라거스가 끼워져 이어폰이 귀에 착용될 수 있으므로 이어폰의 착용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출력튜브의 지름을 외이도의 내벽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작게 형성하여 외이도의 내부에 음압이 걸리지 않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트라거스에 착용할 수 있는 이어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이어폰을 착용한 상태에서 외이도 내부의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이어폰을 착용한 상태에서 외이도 내부의 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이어폰을 착용한 상태의 측면도
도 5는 종래의 유선형 이어폰의 측면도
도 6은 종래의 무선형 이어폰의 측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트라거스에 착용할 수 있는 이어폰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귀의 트라거스(tragus)에 착용할 수 있는 이어폰에 관한 것으로서, 이어폰 본체(10)의 일측에 고정판(30)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고정판(30)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어폰 본체(10)의 일측단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이어폰 본체(10)와의 사이에 틈이 형성되어 있어 이 틈에 트라거스가 끼워지게 된다.
상기 고정판(30)은 탄성을 가지므로 트라거스가 이어폰 본체(10)와 고정판(30) 사이에 끼워졌을 때 트라거스를 가압하여 이어폰 본체(10)가 트라거스에 고정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트라거스에 착용할 수 있는 이어폰의 상기 이어폰 본체(10)에는 목에 걸어 휴대하기 위한 목줄(40)이 탈착 가능하게 더 설치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은 유선보다는 무선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렇게 무선으로 이루어졌을 경우 이어폰이 트라거스로부터 분리되면 분실할 염려가 있으므로 목줄(40)을 연결하여 목줄(40)을 목에 걸거나 옷깃에 고정시킴에 의해 이어폰이 분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이어폰 본체(10)는 통상의 이어폰과 같이 내부에 수신된 음향의 전기 신호에 의해 자력을 발생하는 자석과, 상기 자석의 자력에 의해 진동하는 진동판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들이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경도가 우수한 하우징을 갖는다. 상기 하우징은 자석의 자력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합성수지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이어폰 본체(10)의 일측에는 상기 진동판의 진동에 의한 음향이 외부로 배출되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이 구멍과 대향되는 부분에 상기 출력튜브(2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출력튜브(20)는 이어폰 본체(10)에 구비된 진동판에서 발생되는 소리를 귀로 전달하는 통로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연성이 우수하고 탄력을 갖는 합성수지나 고무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경이 외이도(外耳道)의 내경보다 작아 외이도와 출력튜브(20) 사이에 틈이 생기게 하였다.
이렇게 출력튜브와 외이도 사이에 틈이 생기게 한 이유는 출력튜브(20)로부터 출력되는 진동이 외이도를 통해 고막에 전달될 때 음압이 발생하고 이렇게 발생된 음압이 지속적으로 외이도 내부에 작용할 경우 고막이나 청신경을 자극할 수 있으므로 음압이 발생되지 않고 배출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이렇게 출력튜브(20)의 외경을 외이도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하여 외이도 내부의 음압이 배출되게 하기 위해서는 상기 이어폰 본체(10)도 외이도에 밀착되지 않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은 유선으로 음향기기나 핸드폰과 연결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상기 이어폰 본체에는 신호선이 탈착 가능하게 연결될 수도 있다.
이렇게 유선으로 이어폰을 연결할 경우, 선이 걸려 사용상 많은 문제가 있을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게는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상기 이어폰 본체(10)의 내부에는 근거리 통신용 무선통신모듈(4)이 더 설치되어 있다. 상기 무선통신모듈은 통상적으로 근거리 통신에 사용되는 블루투스 등의 통신모듈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판(30)과 이어폰 본체(10) 사이에 트라거스가 끼인 상태가 되도록 착용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고정판(30)과 이어폰 본체(10)는 자성을 지닌 재질로 만들어져서 상호 인력이 작용함에 의해 트라거스에 견고하게 착용될 수 있다.
즉, 상기 이어폰 본체(10)와 고정판(30)의 서로 대향되는 면이 서로 반대극을 갖는 자성체로 만들어져 서로 인력이 작용함에 의해 트라거스가 둘 사이에 끼인 상태에서 인력이 작용하여 보다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10: 이어폰 본체
20: 출력튜브
30: 고정판
40: 목줄

Claims (4)

  1. 내부에 진동판을 구비한 이어폰 본체(10);
    상기 이어폰 본체(10)로부터 출력되는 음을 출력하는 출력튜브(20):
    상기 이어폰 본체(10)의 일측에 형성되고 탄성을 갖는 고정판(30);을 포함하고,
    상기 이어폰 본체(10)와 고정판(30)의 사이에 형성되는 틈에 귀의 트라거스가 끼워진 상태에서 고정판(30)이 트라거스를 가압하여 이어폰 본체(10)가 트라거스에 고정되며,
    상기 출력튜브(20)의 외경이 외이도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출력튜브(20)와 외이도와의 사이에 틈이 형성됨으로써 외이도 내부에 음압이 걸리지 않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라거스에 착용할 수 있는 이어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어폰 본체(10)에 사용자의 목에 걸어 휴대하기 위한 목줄(40)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라거스에 착용할 수 있는 이어폰.
  3. 삭제
  4. 삭제
KR1020130100405A 2013-08-23 2013-08-23 트라거스에 착용할 수 있는 이어폰 Expired - Fee Related KR1014271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0405A KR101427120B1 (ko) 2013-08-23 2013-08-23 트라거스에 착용할 수 있는 이어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0405A KR101427120B1 (ko) 2013-08-23 2013-08-23 트라거스에 착용할 수 있는 이어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27120B1 true KR101427120B1 (ko) 2014-08-07

Family

ID=517496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0405A Expired - Fee Related KR101427120B1 (ko) 2013-08-23 2013-08-23 트라거스에 착용할 수 있는 이어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712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1437Y1 (ko) * 2019-11-06 2020-04-07 김기남 분실방지용 무선 이어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3095U (ja) * 1993-11-15 1995-06-16 千恵子 新實 固定付イヤホーン
KR20050052099A (ko) * 2003-11-29 2005-06-02 주식회사 이어메카 무선 귀걸이형 이어폰
KR100615827B1 (ko) * 1998-02-16 2006-08-25 죠니스 폰 컴퍼니 전도성 난청을 방지하기 위한 충격성 소음이 없는 이어폰
KR20080049539A (ko) * 2006-11-30 2008-06-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탈방지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이어셋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3095U (ja) * 1993-11-15 1995-06-16 千恵子 新實 固定付イヤホーン
KR100615827B1 (ko) * 1998-02-16 2006-08-25 죠니스 폰 컴퍼니 전도성 난청을 방지하기 위한 충격성 소음이 없는 이어폰
KR20050052099A (ko) * 2003-11-29 2005-06-02 주식회사 이어메카 무선 귀걸이형 이어폰
KR20080049539A (ko) * 2006-11-30 2008-06-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탈방지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이어셋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1437Y1 (ko) * 2019-11-06 2020-04-07 김기남 분실방지용 무선 이어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62989B2 (en) Earset
EP1843627B1 (en) A personal voice-transmitted device
KR100937159B1 (ko) 골전도 헤드폰
CN107041169A (zh) 具有光学传感器的耳机设备
JPWO2009116272A1 (ja) 骨伝導スピーカ及びそれを用いた聴取装置
US10623842B2 (en) Sound output apparatus
JP2018516033A (ja) イヤホン固定用イヤ器具
US9473842B2 (en) Earset
EP3094108B1 (en) A headset
JP2019186801A (ja) 電気音響変換器及び音響機器
EP3509319B1 (en) Sound output device
JP6246949B2 (ja) イアバッドセット、及びこれを用いた補聴器並びにイヤホン
KR101694706B1 (ko) 이어셋
KR101366001B1 (ko) 진동기능이 있는 헤드폰
KR20110010033A (ko) 골전도(骨傳導) 이어폰
KR101427120B1 (ko) 트라거스에 착용할 수 있는 이어폰
JP7347927B2 (ja) 電気音響変換器及び音響機器
KR20180136167A (ko) 골전도 안경
KR20120000147A (ko) 방음 마이크 헤드셋
JP2017135446A (ja) 送受話装置
KR20210088201A (ko) 블루투스 안테나를 포함한 귀걸이형 무선이어폰 실리콘커버
US10149040B2 (en) Audio listening arrangement
JP3187151U (ja) 対話聴力補助器
KR101756648B1 (ko) 착용감이 부드러우며, 운동시에 이탈이 되지 않는 이어폰 및 보청기
KR100689881B1 (ko) 리시버를 이용한 스테레오 무선 헤드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82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70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7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73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08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3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5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5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50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0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52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60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05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