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6844B1 - Nonvolatile memory element - Google Patents
Nonvolatile memory elemen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26844B1 KR101426844B1 KR1020070113796A KR20070113796A KR101426844B1 KR 101426844 B1 KR101426844 B1 KR 101426844B1 KR 1020070113796 A KR1020070113796 A KR 1020070113796A KR 20070113796 A KR20070113796 A KR 20070113796A KR 101426844 B1 KR101426844 B1 KR 10142684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locking insulating
- insulating film
- film
- insulating layer
- meta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43/00—EEPROM devices comprising charge-trapping gate insulators
- H10B43/30—EEPROM devices comprising charge-trapping gate insulators characterised by the memory core region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41/00—Electrically erasable-and-programmable ROM [EEPROM] devices comprising floating gates
- H10B41/30—Electrically erasable-and-programmable ROM [EEPROM] devices comprising floating gates characterised by the memory core region
Landscapes
- Semiconductor Memories (AREA)
- Non-Volatile Memo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휘발성 기억 소자를 제공한다. 이 소자는 반도체 기판 상에 형성된 터널 절연막, 터널 절연막 상에 형성된 전하 저장막, 전하 저장막 상에 형성된 블로킹 절연막, 및 블로킹 절연막 상에 형성된 제어 게이트 전극을 포함하되, 블로킹 절연막은 연속적으로 적층된 제1 블로킹 절연막, 제2 블로킹 절연막, 및 제3 블로킹절연막을 포함하되, 제 2 블로킹 절연막의 에너지 밴드갭은 제1 블로킹 절연막 및 제3 블로킹 절연막의 에너지 밴드갭 보다 크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nonvolatile memory element. The device includes a tunnel insulating film formed on a semiconductor substrate, a charge storage film formed on the tunnel insulating film, a blocking insulating film formed on the charge storage film, and a control gate electrode formed on the blocking insulating film, A first blocking insulating film, a second blocking insulating film, and a third blocking insulating film, wherein an energy band gap of the second blocking insulating film is larger than an energy band gap of the first blocking insulating film and the third blocking insulating film.
Flash 메모리, 전하저장막, 블로킹 절연막 Flash memory, charge storage film, blocking insulating film
Description
본 발명은 반도체 기억 소자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비휘발성 기억 소자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more specifically to a nonvolatile memory device.
본 발명은 반도체 기억 소자에 대한 것으로, 더 구체적으로, 비휘발성 기억 소자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miconductor memory element, and more particularly, to a non-volatile memory element.
비휘발성 기억소자는 전원 공급이 중단된 상태에도 저장된 정보가 소멸하지 않고 유지되는 반도체 장치이다. 대표적인 비휘발성 기억소자인 플래시 기억소자는 제어 게이트와 반도체 기판 사이에 개재된 부유 게이트에 전하가 충전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A nonvolatile memory element is a semiconductor device in which stored information is maintained without disappearance even when power supply is interrupted. The flash memory device, which is a representative nonvolatile memory element, can store information according to whether charge is charged in the floating gate interposed between the control gate and the semiconductor substrate.
SONOS(Doped Silicon/Oxide/Nitride/Oxide/Silicon) 구조 및 플로팅 게이트를 구비하는 비휘발성 플래시 메모리의 소거 동작의 경우에 있어서, 백 터널링 전류(back tunneling current)가 흘러, 상기 소거 동작의 속도가 감소하는 특징을 보인다. 소거 동작시, 상기 백 터널링 전류를 감소시키고, 프로그램 상태의 상기 비휘발성 기억 소자의 보유 시간(retention time)을 증가시킬 필요가 있다.In the case of an erase operation of a nonvolatile flash memory having a SONOS (Doped Silicon / Oxide / Nitride / Oxide / Silicon) structure and a floating gate, a back tunneling current flows, . In the erase operation, it is necessary to reduce the back tunneling current and increase the retention time of the nonvolatile memory element in the programmed state.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일 기술적 과제는 백 터널링 전류를 감소시킨 비휘발성 기억 소자를 제공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nonvolatile memory device with reduced back tunneling current.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일 기술적 과제는 보유시간을 증가시킨 비휘발성 기억 소자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nonvolatile memory device having increased retention time.
본 발명의 비휘발성 기억 소자는 반도체 기판 상에 형성된 터널 절연막;A nonvolatile memor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unnel insulating film formed on a semiconductor substrate;
상기 터널 절연막 상에 형성된 전하 저장막, 상기 전하 저장막 상에 형성된 블로킹 절연막, 및 상기 블로킹 절연막 상에 형성된 제어 게이트 전극을 포함하되,A charge storage film formed on the tunnel insulating film, a blocking insulating film formed on the charge storage film, and a control gate electrode formed on the blocking insulating film,
상기 블로킹 절연막은 연속적으로 적층된 제1 블로킹 절연막, 제2 블로킹 절연막, 및 제3 블로킹절연막을 포함하되, 상기 제 2 블로킹 절연막의 에너지 밴드갭은 상기 제1 블로킹 절연막 및 상기 제3 블로킹 절연막의 에너지 밴드갭 보다 크다.Wherein the blocking insulating film includes a first blocking insulating film, a second blocking insulating film, and a third blocking insulating film which are sequentially stacked, wherein an energy band gap of the second blocking insulating film is larger than an energy of the first blocking insulating film and the third blocking insulating film Band gap.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하 저장막은 전하 트랩 자리를 보유하는 절연체 또는 도전성 플로팅 게이트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harge storage film may be an insulator or a conductive floating gate holding a charge trap sit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블로킹 절연막의 유전율이 상기 제1 블로킹 절연막 및 상기 제3 블로킹 절연막의 유전율보다 작을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electric constant of the second blocking insulating film may be smaller than the dielectric constant of the first blocking insulating film and the third blocking insulating film.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블로킹 절연막의 트랩밀도가 상기 제1 블로킹 절연막 및 상기 제3 블로킹 절연막의 트랩 밀도보다 작을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p density of the second blocking insulating layer may be smaller than the trap density of the first blocking insulating layer and the third blocking insulating lay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블로킹 절연막은 상기 제3 블로킹 절연막 상에 에너지 밴드갭이 다른 물질이 교번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제4 블로킹 절연막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locking insulating layer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fourth blocking insulating layer on the third blocking insulating layer so as to alternate the materials having different energy band gap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블로킹 절연막 및 상기 제3 블로킹 절연막은 금속산화막, 금속질화막, 및 금속산화질화막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blocking insulating layer and the third blocking insulating layer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metal oxide layer, a metal nitride layer, and a metal oxide nitride lay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블로킹 절연막은 실리콘 산화막, 금속산화막, 금속질화막,및 금속산화질화막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blocking insulating layer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silicon oxide layer, a metal oxide layer, a metal nitride layer, and a metal oxide nitride lay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하 저장막은 실리콘 질화막, 금속퀀텀돗, 실리콘 퀀텀돗, 금속, 고도핑된 실리콘, 도핑된 게르마늄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harge storage layer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silicon nitride layer, a metal quantum dot, a silicon quantum dot, a metal, highly doped silicon, and doped germanium.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플로팅 게이트는 N 형 도전형의 폴리 실리콘, P형 도전형의 폴리 실리콘, 금속, 도핑된 게르마늄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loating gate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n N-type conductivity polysilicon, a P-type conductivity polysilicon, a metal, and doped germanium.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금속은 순수한 금속 및 금속혼합물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al may comprise at least one of a pure metal and a metal mixtur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 게이트 전극은 차례로 적층된 베리어 금속 및 높은 일함수 금속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gate electrode may have a structure of a barrier metal and a high work function metal which in turn are stack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높은 일함수 금속은 일함수가 4.5 eV이상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igh work function metal may have a work function of 4.5 eV or high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베리어 금속은 상기 높은 일함수 금속과 상기 블로킹 절연막 사이에 반응을 저지하는 금속질화막, 실리콘질화막, 이들의 조합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rrier metal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metal nitride layer, a silicon nitride layer, and a combination thereof for preventing a reaction between the high work function metal and the blocking insulating lay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 게이트 전극은 상기 베리어 금속 과 상기 블로킹 절연막 사이에 개재된 고일함수 금속 및 도핑된 폴리실리콘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gate electrode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of a high-function metal and a doped polysilicon interposed between the barrier metal and the blocking insulating film.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 게이트 전극은 차례로 적층된 도핑된 실리콘 및 금속, 순수한 금속, 및 금속함유물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gate electrode may comprise at least one of doped silicon and metal, pure metal, and metal inclusions, which are stacked in tur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블로킹 절연막은 상기 제3 블로킹 절연막과 같은 물질로 에너지 밴드갭이 같을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blocking insulating layer may have the same energy bandgap as the third blocking insulating layer.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블로킹 절연막으로 구성되고 에너지 밴드갭이 큰 영역을 블록킹 절연막 중간에 삽입하여, 비휘발성 기억소자의 보유시간을 연장시킬 수 있고, 소거 동작시, 백 터널링 전류를 감소시키어 동작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xtend the retention time of the nonvolatile memory element by inserting a region having a large energy band gap into the middle of the blocking insulating film composed of a plurality of blocking insulating films, and to reduce backtunneling current The speed can be increased.
상기 기술적 과제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비휘발성 기억 소자를 제공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nonvolatile memory device.
전하 포획 플래시 메모리(charge trap flash memory)는 제어 게이트와 반도체 기판 사이에 개재된 절연체인 전하 저장막을 구비한다. 상기 전하 저장막과 상기 반도체 기판 사이에는 터널 절연막을 구비하고, 상기 전하 저장막과 상기 제어 게이트 사이에는 블로킹 절연막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전하 저장막은 전하를 저장할 수 있는 포획 자리(trap site)을 가지고, 상기 포획 자리에 전하가 충전되었는지 여부는 전하 포획 플래시 메모리에 저장되는 정보를 결정한다.A charge trap flash memory has a charge storage film which is an insulator interposed between a control gate and a semiconductor substrate. A tunnel insulating film may be provided between the charge storage film and the semiconductor substrate, and a blocking insulating film may be provided between the charge storage film and the control gate. The charge storage film has a trap site capable of storing charge, and whether or not the charge is charged in the capture spot determines information stored in the charge capture flash memory.
상기 전하 포획 플래시 메모리(charge trap flash memory)는 플로팅 게이트를 갖는 플래시 메모리에 비해 기생정전 용량 및 제어 게이트의 커플링 계수 문제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전하 포획 플래시 메모리는 소정 시간(보유시간) 동안 상기 전하 저장막에 저장된 상태를 유지하여야 한다. The charge trap flash memory has an advantage that the parasitic capacitance and the coupling coefficient of the control gate can be reduced as compared with a flash memory having a floating gate. Further, the charge capturing flash memory must maintain the state stored in the charge storage film for a predetermined time (retention time).
SONOS (Silicon/ Oxide/ Nitride/ Oxide/ Silicon) 셀 구조의 전하 포획 플래시 메모리의 소거 동작시, 상기 블로킹 절연막을 통하여 백 터널링 전류(back tunneling current)가 발생하여 소거 동작 속도가 저하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블로킹 절연막으로 고유전체 절연막을 사용하여 상기 고유전체 절연막에 인가되는 전계를 감소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TANOS (TaN/ Al2O3/ Nitride/ Oxide/ Silicon) 셀 구조를 가지는 전하 포획 플래시 메모리가 제안되었다. 상기 고유전체 절연막을 통하여 흐르는 백 터널링 전류는 에너지 밴드를 절절히 조절함에 의하여 FN 터널링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During the erase operation of the charge trapping flash memory of the SONOS (Silicon / Oxide / Nitride / Oxide / Silicon) cell structure, a back tunneling current may be generated through the blocking insulating film and the erase operation speed may be lowered.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electric field applied to the high dielectric insulating film by using the high dielectric insulating film as the blocking insulating film. Specifically, a charge trapping flash memory having a TANOS (TaN / Al 2 O 3 / Nitride / Oxide / Silicon) cell structure has been proposed. The back tunneling current flowing through the high dielectric insulating film can control the amount of FN tunneling by properly controlling the energy band.
상기 고유전체 절연막으로 알루미늄산화막(Al2O3)을 사용함에 따라, 상기 고유전체 절연막에 인가되는 전계가 감소하여, 상기 고유전체 절연막을 통과하여 흐 르는 상기 백 터널링 전류는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 게이트 전극으로 4.5 eV이상의 높은 일함수(high work function)를 가진 도전성 물질(예를 들면, TaN,WN,TiN,CoSix,폴리실리콘)을 사용하여 상기 백 터널링 전류를 더욱 감소시킬 수 있다. As the aluminum oxide film (Al 2 O 3) is used as the high dielectric insulating film, the electric field applied to the high dielectric insulating film is reduced, and the back tunneling current flowing through the high dielectric insulating film can be reduced. Further, the back tunneling current can be further reduced by using a conductive material having a high work function (for example, TaN, WN, TiN, CoSix, polysilicon) of 4.5 eV or more as the control gate electrode .
한편, 상기 블로킹 절연막으로서 상기 고유전체 절연막은 벌크 트랩 밀도를 포함할 수 있어, 상기 벌크 트랩 밀도는 상기 전하 저장막의 보유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고, 상기 전하 포획 플래시 메모리의 신뢰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복수의 블로킹 절연막을 사용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복수의 블로킹 절연막의 에너지 밴드 갭을 적절하게 조절하여 백 터널링 전류를 조절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high dielectric insulating film as the blocking insulating film may include a bulk trap density, so that the bulk trap density can reduce the retention time of the charge storage film and reduce the reliability of the charge trap flash memory. To overcome this, a plurality of blocking insulating films are used. Specifically, the back tunneling current can be controlled by appropriately adjusting the energy band gap of the plurality of blocking insulating films.
플로팅 게이트 구조를 가진 플래시 메모리는 제어 게이트와 반도체 기판 사이에 개재된 도전체인 전하 저장막을 구비한다. 상기 전하 저장막과 상기 반도체 기판 사이에는 터널 절연막을 구비하고, 상기 전하 저장막과 상기 제어 게이트 사이에는 블로킹 절연막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전하 저장막은 플로팅 게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로팅 게이트는 도전성 물질일 수 있다. 상기 플로팅 게이트에 전하를 저장 여부는 플래시 메모리에 저장되는 정보를 결정한다. 복수의 블로킹 절연막의 에너지 밴드 갭을 적절하게 조절하여 백 터널링 전류를 조절할 수 있다.A flash memory having a floating gate structure has a charge storage film as a conductive interposed between a control gate and a semiconductor substrate. A tunnel insulating film may be provided between the charge storage film and the semiconductor substrate, and a blocking insulating film may be provided between the charge storage film and the control gate. The charge storage film may comprise a floating gate. The floating gate may be a conductive material. Whether or not the charge is stored in the floating gate determines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flash memory. The back tunneling current can be controlled by appropriately adjusting the energy band gap of the plurality of blocking insulating films.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어지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는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 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층 및 영역들의 두께는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과장되어진 것이다. 또한, 층이 다른 층 또는 기판 "상"에 있다고 언급되어지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층 또는 기판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3의 층이 개재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로 표시된 부분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but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Rather,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are being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concept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n the drawings, the thicknesses of the layers and regions are exaggerated for clarity. Also, where a layer is referred to as being "on" another layer or substrate, it may be formed directly on another layer or substrate, or a third layer may be interposed therebetween. Like number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낸드(NAND) 비휘발성 기억 소자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1b는 도 1a의 I-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1A and 1B are diagrams showing a NAND nonvolatile memory element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1B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 'in FIG. 1A.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낸드(NAND) 비휘발성 기억 소자는 셀 영역을 구비하는 반도체 기판(100)을 포함한다. 소자 분리막(300)이 상기 반도체 기판(100)에 배치된다. 상기 소자 분리막(100)은 활성영역들(ACT)을 정의한다. 상기 활성영역들(ACT)은 제1 방향으로 나란히 배열한다. 스트링 선택 라인(SSL) 및 접지 선택 라인(GSL)이 상기 활성영들(ACT)을 나란히 가로지르고, 복수의 워드라인들(WL)이 상기 스트링 선택 라인(SSL) 및 접지 선택 라인(GSL) 사이의 활성영역들(ACT)을 나란히 가로지른다. 상기 스트링 선택 라인(SSL), 접지 선택 라인(GSL), 및 워드라인들(WL)은 상기 제1 방향에 직교한 제2 방향을 따라 나란히 연장된다. 상기 스트링 선택 라인(SSL), 워드라인들(WL), 및 접지 선택 라인(GSL)은 셀 스트링 군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셀 스트링 군은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미러( mirror ) 대칭으로 반복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1A and 1B, a NAND nonvolatile memory device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상기 스트링 선택 라인(SSL), 상기 복수의 워드라인들(WL), 및 상기 접지 선택 라인(GSL)의 양측의 활성영역(ACT)에 소오스 및 드레인에 해당하는 불순물 영 역들(20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워드라인(WL) 및 상기 워드라인(WL) 양측의 불순물 영역(200)은 셀 트렌지스터를 구성하고, 상기 접지 선택 라인(GSL) 및 상기 접지 선택 라인(GSL) 양측의 불순물 영역(200)은 접지 선택 트렌지스터를 구성한다. 상기 스트링 선택 라인(SSL) 및 상기 스트링 선택 라인(SSL) 양측의 불순물 영역(200)은 스트링 선택 트렌지스터를 구성한다. The
상기 워드라인(WL)는 상기 반도체 기판(100) 상에 차례로 적층된 터널 절연막(110), 전하저장막(120), 블로킹절연막(150), 및 제어 게이트 전극(160)을 포함한다. 상기 제어 게이트 전극(160) 상에는 하드마스크 패턴(미도시)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접지 선택 라인(GSL) 및 상기 스트링 선택 선택 라인(SSL)는 상기 워드라인(WL)와 동일한 구조일 수 있다. 다만, 상기 스트링 선택 라인(SSL)과 상기 접지 선택 라인(GSL)의 선폭은 워드라인(WL)의 선폭과 다를 수 있다. 특히, 상기 스트링 선택 라인(SSL)과 상기 접지 선택 라인(GSL)의 선폭은 워드라인(WL)에 비하여 클 수 있다. 상기 터널 절연막(110), 전하저장막(120), 및 블로킹절연막(150)에 대응되는 상기 접지 및 스트링 선택 라인(GSL,SSL)내의 층들은 상기 접지 및 스트링 선택 트렌지스터들의 게이트 절연막으로 사용될 수 있다. The word line WL includes a
상기 터널 절연막(110), 전하저장막(120), 및 블로킹절연막(150)은 인접한 반도체 기판 상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워드라인(WL)은 상기 터널 절연막(110), 전하 저장막(120), 및 블로킹절연막(150)를 공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지 및 스트링 선택 라인들(GSL,SSL)도 상기 연장된 터널 절연막(110), 전하 저장막(120), 및 블로킹 절연막(150)을 공유할 수 있다. 셀 스페이서(미도시)는 상기 제어 게이트 전극(160)의 측벽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셀 스페이서(미도시)는 연장된 블로킹 절연막(150) 상에 위치할 수 있다.The
상기 블로킹 절연막(150)은 제1 블로킹 절연막(150a), 제2 블로킹 절연막(150b), 및 제3 블로킹 절연막(150c)을 포함할 수 있다. The blocking insulating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노아(NOR) 비휘발성 기억 소자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2b는 도 1a의 III-II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2A and 2B are diagrams showing a NOR nonvolatile memory element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2B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I-III 'in FIG. 1A.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노아(NOR) 비휘발성 기억 소자는 셀 영역을 구비하는 반도체 기판(100)을 포함한다.소자 분리막(300)이 반도체 기판(100)에 배치된다. 상기 소자 분리막(300)은 활성영역들(500,510,520)을 정의한다. 제1 활성영역들(500)은 제1 방향으로 나란히 배열한다. 상기 제1 활성영역들(500) 사이에 규칙적으로 소오스 스트래핑 활성영역들(510)이 규칙적으로 제 1 방향으로 배열된다. 상기 제1 활성영역(500)을 가로지르는 제2 활성영역들(520)이 제2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된다. 상기 제2 활성영역들(520)은 소오스 라인의 역활을 수행한다. 2A and 2B, a NOR nonvolatile memory device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상기 제1 활성영역들(500)과 상기 소스 스트래핑 활성영역들(510)의 상부를 가로지르고 제2 방향 방향으로 진행하는 한 쌍의 워드라인들(WL)이 배치된다. 한 쌍의 워드라인들의 양측에 위치한 활성영역은 트랜지스터의 드레인들이 되며, 상기 한 쌍의 워드라인들 사이의 활성영역은 트랜지스터의 소오스가 된다. 상기 트랜지스터의 드렌인은 비트라인과 비트라인 콘택 플러그(540)를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다.A pair of word lines (WL) traversing the first active regions (500) and the source strapping active regions (510) and extending in the second direction are disposed. The active regions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pair of word lines are the drains of the transistor and the active region between the pair of word lines becomes the source of the transistor. The drain of the transistor is electrically connected through the bit
또한, 트랜지스터의 상기 소오스들은 제2 방향으로 이웃한 소오스들과 상기 제2 활성영역(520)을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제2 활성영역(520)은 소오스 라인의 역활을 수행한다. 상기 제2 활성영역(520)과 상기 소오스 스트래핑 활성영역(510)이 교차하는 위치에서 소오스 콘택(530)이 형성된다.In addition, the sources of the transistors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neighboring sources in the second direction through the second
워드라인(WL)은 상기 반도체 기판(100) 상에 차례로 적층된 터널 절연막(110), 전하저장막(120), 블로킹절연막(150), 및 제어 게이트 전극(160)을 포함한다. The word line WL includes a
상기 터널 절연막(110), 전하저장막(120), 및 블로킹절연막(150)은 제 2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상기 워드라인(WL)은 상기 터널 절연막(110), 전하 저장막(120), 및 블로킹절연막(150)를 공유할 수 있다. 스페이서(미도시)는 연장된 블로킹 절연막(150) 상에 위치할 수 있다.The
상기 블로킹 절연막(150)은 제1 블로킹 절연막(150a), 제2 블로킹 절연막(150b), 및 제3 블로킹 절연막(150c)을 포함할 수 있다. The blocking insulating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하 포획형 비휘발성 기억 소자를 설명하기 위한 도 1a의 II-II'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 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휘발성 기억 소자를 플랫 밴드 에너지 밴드 다이어그램(flat band energy band diagram)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 'of FIG. 1A for explaining a charge trapping nonvolatile memory el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A to 4D are views showing a flat band energy band diagram of a nonvolatile memor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 도 4a 내지 도4d를 참조하면, 이 소자는 반도체 기판(100) 상에 형성된 터널 절연막(110), 상기 터널 절연막(110) 상에 형성된 전하 저장막(120), 상기 전하 저장막(120) 상에 형성된 블로킹 절연막(150), 및 상기 블로킹 절연막(150) 상 에 형성된 제어 게이트 전극(160)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반도체 기판(100) 상에 활성영역(ACT)을 정의하는 소자분리막(30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하 저장막(120)은 단위 셀 별로 분리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블로킹 절연막(150)은 차례로 적층된 제1 블로킹 절연막(150a), 제2 블로킹 절연막(150b) 및 제3 블로킹 절연막(150c)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블로킹 절연막(150a)과 상기 제3 블로킹 절연막(150c)은 같은 물질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블로킹 절연막(150b)의 에너지 밴드갭(energy band gap, Eg2)은 상기 제1 블로킹 절연막(150a) 및 상기 제3 블로킹 절연막(150c)의 에너지 밴드갭(Eg1,Eg3)보다 크다. 상기 반도체 기판(100) 상에 소자 분리막(300)이 배치되어 활성영역들(ACT)을 정의한다. 이 소자는 상기 전하 저장막(120)이 단위 셀 별로 분리되지 않은 구조를 가질 수 있다.Referring to FIGS. 3 and 4A to 4D, the device includes a
상기 반도체 기판(100)은 단결정 실리콘막, SOI(silicon on insulator), 실리콘 게르마늄(SiGe)막 상의 실리콘막, 절연막 상의 실리콘 단결정막, 및 절연막 상의 폴리실리콘막을 구비하는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상기 터널 절연막(110)은 실리콘 산화막, 실리콘 산화질화막(SiON), 고유전체 물질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유전체 물질은 알루미늄 산화막(Al2O3), 하프늄산화막(HfO2), 하프늄알루미늄산화막(HfAlO), 하프늄실리콘산화막(HfSiO), 지르코늄산화막(ZrO2) 또는 탄탈륨 산화막(Ta2O5)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리콘 산화막은 열 산화막일 수 있다.The
상기 전하 저장막(120)은 전하를 저장할 수 있는 트랩들을 갖는 물질로 형성 될 수 있다. 상기 전하 저장막(120)은 유전체막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하 저장막(120)은 실리콘 질화막, 금속 퀀텀 돗, 실리콘 퀀텀 돗, 금속, 도핑된 실리콘, 도핑된 게르마늄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금속은 순수한 금속 및 금속혼합물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하 저장막(120)은 나노 결정 실리콘(nano crystalline silicon), 나노 결정 실리콘게르마늄(nano crystalline silicon germanium), 나노 결정 금속(nano crystalline metal), 게르마늄 퀀텀 돗(Ge quantum dot), 금속 퀀텀 돗(metal quantum dot), 실리콘 퀀텀 돗(silicon quantum dot)을 구비하는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또는 이들의 적층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하 저장막(120)은 금속 도핑을 통하여 금속 트랩 사이트를 가질 수 있다. 또는 상기 전하 저장막(120)은 상기 전하 저장막 형성 후 습식 산화 공정을 통하여 상기 전하 저장막의 에너지 밴드 내에 깊은 트랩 위치(deep trap site)를 형성할 수 있다.The
상기 블로킹 절연막(150)은 제 1 블로킹 절연막(150a), 제2 블로킹 절연막(150b), 및 제3 블로킹 절연막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블로킹 절연막(150a)은 상기 전하 저장막(120)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블로킹 절연막(150b)은 상기 제1 블로킹 절연막(150a)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3 블로킹 절연막(150c)은 상기 제2 블로킹 절연막(150b) 상에 배치된다. 상기 제1 블로킹 절연막(150a)과 제3 블로킹 절연막(150c)은 같은 물질이다. 또한, 상기 제1 블로킹 절연막(150a) 및 상기 제3 블로킹 절연막(150c)의 에너지 밴드 갭(Eg1,Eg3)은 상기 제2 블로킹 절연막(150b)의 에너 지 밴드갭(Eg2)보다 작다. 상기 블로킹 절연막(150)은 유전율과 전하 트랩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블로킹 절연막(150)의 전하 트랩 밀도는 유전율에 비례하여 증가할 수 있다. The blocking insulating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블로킹 절연막(150b)의 유전율이 상기 제1 블로킹 절연막(150a) 및 상기 제3 블로킹 절연막(150c)의 유전율보다 작을 수 있고, 상기 제2 블로킹 절연막(150b)의 전하 트랩 밀도가 상기 제1 블로킹 절연막(150a) 및 상기 제3 블로킹 절연막(150c)의 전하 트랩 밀도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제1 블로킹 절연막(150a),상기 제2 블로킹 절연막(150b) 및 상기 제3 블로킹 절연막(150c)의 전하 트랩 밀도는 유전율에 비례할 수 있다. The dielectric constant of the second blocking insulating
상기 제1 블로킹 절연막(150a) 및 상기 제3 블로킹 절연막(150c)은 금속산화막, 금속질화막, 및 금속산화질화막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금속산화막은 하프늄실리콘 산화막(HfSiO), 지르코늄산화막(ZrO2),하프늄알루미늄산화막(HfAlO), 하프늄산화막(HfO2), 알루미늄산화막(Al2O3)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blocking insulating
상기 제2 블로킹 절연막(150b)은 실리콘 산화막, 금속산화막, 금속질화막,및 금속산화질화막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금속산화막은 하프늄실리콘 산화막(HfSiO), 지르코늄산화막(ZrO2),하프늄알루미늄산화막(HfAlO), 하프늄산화막(HfO2), 알루미늄산화막(Al2O3)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상기 블로킹 절연막(150)은 ALD, CVD, PVD 공정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blocking insulating
상기 제1 블로킹 절연막(150a), 제2 블로킹 절연막(150b), 및 제3 블로킹 절연막(150c)의 형성한 후, O2,N2, NH3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어닐(anneal) 공정 또는 플라즈마 처리 공정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블로킹 절연막(150a), 제2 블로킹 절연막(150b) 및 제3 블로킹 절연막(150c)은 상기 공정에 의하여 전하 트랩 밀도가 감소할 수 있다.An annealing process or a plasma process process including at least one of O2, N2, and NH3 after forming the first blocking insulating
상기 제어 게이트 전극(160)은 일함수가 4.5 eV 이상의 큰 값을 가지는 도전성 물질일 수 있다. 예컨대, TaN, 폴리실리콘, W, WN, TiN, CoSix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 게이트 전극(160)은 다른 도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 게이트 전극(160)은 차례로 적층된 베리어 금속 및 높은 일함수 금속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높은 일함수 금속은 일함수가 4.5 eV이상일 수 있다. 상기 베리어 금속은 상기 높은 일함수 금속과 상기 블로킹 절연막 사이에 반응을 저지하는 금속질화막, 실리콘질화막, 이들의 조합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 게이트 전극(160)은 상기 베리어 금속 과 상기 블로킹 절연막(150) 사이에 개재된 고일함수 금속 및 도핑된 폴리실리콘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 게이트 전극(160)은 차례로 적층된 도핑된 실리콘 및 금속, 순수한 금속, 및 금속함유물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도 4a를 참조하면, 상기 제2 블로킹 절연막(150b)의 에너지 밴드갭(Eg2)이 상기 제 1 및 제3 블로킹 절연막(150a,150c)의 밴드갭(Eg1, Eg3) 보다 크고, 상기 제2 블 로킹 절연막(150b)의 전도대(conduction band)는 상기 제1 및 제3 블로킹 절연막(150a,150c)의 전도대보다 높고, 상기 제2 블로킹 절연막(150b)의 가전자대는 상기 제1 및 제3 블로킹 절연막(150a,150c)의 가전자대(valence band ) 보다 높을 수 있다. 4A, the energy band gap E g2 of the second blocking insulating
도 4b를 참조하면, 상기 제2 블로킹 절연막(150b)의 에너지 밴드갭(Eg2)이 상기 제 1 및 제3 블로킹 절연막(150a,150c)의 밴드갭(Eg1, Eg3) 보다 크고, 상기 제2 블로킹 절연막(150b)의 전도대는 상기 제1 및 제3 블로킹 절연막(150a,150c)의 전도대보다 높고, 상기 제2 블로킹 절연막(150b)의 가전자대는 상기 제1 및 제3 블로킹 절연막(150a,150c)의 가전자대(valence band ) 보다 낮을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B, the energy band gap E g2 of the second blocking insulating
도 4c를 참조하면, 상기 제2 블로킹 절연막(150b)의 에너지 밴드갭(Eg2)이 상기 제 1 및 제3 블로킹 절연막(150a,150c)의 밴드갭(Eg1, Eg3) 보다 크고, 상기 제2 블로킹 절연막(150b)의 전도대는 상기 제1 및 제3 블로킹 절연막(150a,150c)의 전도대 보다 낮고, 상기 제2 블로킹 절연막(150b)의 가전자대는 상기 제1 및 제3 블로킹 절연막(150a,150c)의 가전자대(valence band ) 보다 낮을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C, the energy band gap E g2 of the second blocking insulating
도 4d를 참조하면, 상기 블로킹 절연막(150)은 에너지 밴드 갭이 다른 두 물질이 교번되도록 제4 블로킹 절연막(150d)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4 블로킹 절연막(150d)은 상기 제2 블로킹 절연막(150b)과 같은 물질이다. 이에 따라, 상기 제4 블로킹 절연막의 에너지 밴드갭(Eg4)은 상기 제2 블로킹 절연막의 에너지 밴드 갭(Eg2)과 같다. 또한,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블로킹 절연막(150)은 상기 제4 블로킹 절연막(150d) 및 상기 제5 블로킹 절연막(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4 블로킹 절연막(150d)은 상기 제2 블로킹 절연막(150b)과 같은 물질이고, 상기 제5 블로킹 절연막은 상기 제1 블로킹 절연막(150a)과 같은 물질 일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D, the blocking insulating
도 5은 본 발명에 따른 비휘발성 기억 소자에 음의 소거 전압(V0)이 인가된 경우 에너지 밴드 다이어그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다만, 전하 저장막(120)에 축적된 전하는 외부에서 인가된 소거 전압(V0)에 의하여 모두 제거된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5 is a diagram showing an energy band diagram when a negative erase voltage (V 0 ) is applied to a nonvolatile memor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charge accumulated in the
구체적으로, 반도체 기판(100)에 대하여 제어 게이트 전극(160)에 음의 소거 전압을 인가한 경우, 터널절연막(110), 전하 저장막(120), 블로킹 절연막(150)에 각각 전계가 발생한다. 각각의 전계는 캐페시터 전압 분배 모델에 의하여 계산될 수 있다. 상기 블로킹 절연막(150)을 통하여 흐르는 백 터널링 전류(back tunneling current)는 상기 블로킹 절연막(150)의 전계에 의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블로킹 절연막(150)의 구조, 밴드 갭, 두께, 유전율을 조절하면 상기 백 터널링 전류를 조절할 수 있다.Specifically, when a negative erase voltage is applied to the
각각의 전계는 다음과 같이 주어질 수 있다.Each electric field can be given as follows.
여기서, 첨자 i 및 j는 1 내지 5일 수 있다. 첨자 1은 터널 절연막(110)을 의미하고, 첨자 2는 전하저장막(120), 첨자 3은 제1 블로킹 절연막(150a), 첨자 4는 제2 블로킹 절연막(150b), 첨자 5는 제3 블로킹 절연막(150d)을 의미한다. t는 두께를 의미하고, 은 유전율을 의미한다. Here, subscripts i and j may be from 1 to 5. Subscript 1 denotes a
예를 들어, 유전율이 큰 제1 블로킹 절연막(150a) 및 제3 블로킹 절연막(150c)의 두께를 증가시키면, 상기 제1 블로킹 절연막(150a) 및 제3 블로킹 절연막(150c)의 각각의 전계는 감소시킬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제1 블로킹 절연막(150a) 및 제3 블로킹 절연막(150c)은 높은 유전율에 기인한 높은 전하 트랩 밀도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트랩에 포획된 전하들은 외부 전계에 쉽게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전율이 큰 상기 제1 블로킹 절연막 및 제3 블로킹 절연막(150a,150c)의 두께의 증가는 한계가 있다.For example, when the first blocking insulating
한편, 상기 제3 블로킹 절연막(150c)과 상기 제어 게이트 전극(160)의 일함수의 차이를 증가시키면, 백 터널링 현상이 발생하기 위한 문턱 에너지가 커져서 상기 백 터널링 전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과 다르게, 제2 블로킹 절연막(150b)의 에너지 밴드 갭이 상기 제3 블로킹 절연막(150c) 및 제 1 블로킹 절연 막(150c)의 에너지 밴드 갭 보다 작으면, 전자 또는 홀이 상기 제2 블로킹 절연막(150b)의 에너지 우물에 축적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 블로킹 절연막(150b)의 에너지 밴드 갭은 상기 제3 블로킹 절연막(150c) 및 제1 블로킹 절연막(150a)의 에너지 밴드 갭 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if the difference between the work function of the third blocking insulating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블로킹 절연막(150a) 및 제3 블로킹 절연막(150c)은 유전율 및 트랩 밀도가 상기 제2 블로킹 절연막(150b) 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제1 블로킹 절연막(150a)에 트랩된 전하는 외부 전계에 의하여 쉽게 상기 제2 블로킹 절연막(150b)을 통과할 수 없어 신뢰성이 향상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blocking insulating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로팅 게이트형 비휘발성 기억 소자를 설명하기 위한 도 1a의 II-II' 방향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도 3 및 도4 에서 설명한 실시예와 중복되는 부분의 설명은 생략한다.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 'of FIG. 1A for explaining a floating gate type nonvolatile memor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description of the parts that are the same as those in the embodimen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and FIG. 4 will be omitted.
도 6을 참조하면, 이 소자는 반도체 기판(100) 상에 형성된 터널 절연막(110), 상기 터널 절연막(110) 상에 형성된 전하 저장막(120), 상기 전하 저장막(120) 상에 형성된 블로킹 절연막(150), 및 상기 블로킹 절연막(150) 상에 형성된 제어 게이트 전극(160)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반도체 기판(100) 상에 활성영역(ACT)을 정의하는 소자분리막(30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하 저장막(120)은 각 단위 셀 별로 분리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6, the device includes a
상기 전하 저장막(120)은 플로팅 게이트일 수 있고, 상기 전하 저장막(120)은 도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로팅 게이트는 N 형 도전형의 폴리 실리콘, P형 도전형의 폴리 실리콘, 금속, 도핑된 실리콘, 도핑된 게르마늄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상기 제어게이트 전극(160)은 도전성 물질로 도핑된 폴리실리콘, 금속, 금속실리사이드, 금속화합물, 및 이들의 적층 구조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휘발성 기억 소자를 플랫 밴드 에너지 밴드 다이어그램(flat band energy band diagram)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다만, 도 7a 내지 도 7c는 전하 저장막(120)으로 도핑된 폴리 실리콘이 사용되고, 제어 게이트 전극(160)으로 도핑된 폴리 실리콘이 사용된 경우의 에너지 밴드 다이어그램이다.7A to 7C are diagrams showing a flat band energy band diagram of a nonvolatile memor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A to 7C are energy band diagrams when polysilicon doped with the
도 7a를 참조하면, 상기 제2 블로킹 절연막(150b)의 에너지 밴드갭(Eg2)이 상기 제 1 및 제3 블로킹 절연막(150a,150c)의 밴드갭(Eg1, Eg3) 보다 크고, 상기 제2 블로킹 절연막(150b)의 전도대(conduction band)는 상기 제1 및 제3 블로킹 절연막(150a,150c)의 전도대보다 높고, 상기 제2 블로킹 절연막(150b)의 가전자대는 상기 제1 및 제3 블로킹 절연막(150a,150c)의 가전자대(valence band ) 보다 높을 수 있다.7A, the energy band gap E g2 of the second blocking insulating
도 7b를 참조하면, 상기 제2 블로킹 절연막(150b)의 에너지 밴드갭(Eg2)이 상기 제 1 및 제3 블로킹 절연막(150a,150c)의 밴드갭(Eg1, Eg3) 보다 크고, 상기 제2 블로킹 절연막(150b)의 전도대는 상기 제1 및 제3 블로킹 절연막(150a,150c)의 전도대보다 높고, 상기 제2 블로킹 절연막(150b)의 가전자대는 상기 제1 및 제3 블로킹 절연막(150a,150c)의 가전자대(valence band ) 보다 낮을 수 있다. 7b, the energy band gap E g2 of the second blocking insulating
도 7c를 참조하면, 상기 제2 블로킹 절연막(150b)의 에너지 밴드갭(Eg2)이 상기 제 1 및 제3 블로킹 절연막(150a,150c)의 밴드갭(Eg1, Eg3) 보다 크고, 상기 제2 블로킹 절연막(150b)의 전도대는 상기 제1 및 제3 블로킹 절연막(150a,150c)의 전도대 보다 낮고, 상기 제2 블로킹 절연막(150b)의 가전자대는 상기 제1 및 제3 블로킹 절연막(150a,150c)의 가전자대(valence band ) 보다 낮을 수 있다. Referring to FIG. 7C, the energy band gap E g2 of the second blocking insulating
다시 도 7a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블로킹 절연막(150)은 에너지 밴드갭이 다른 물질이 교번되도록 제4 블로킹 절연막(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4 블로킹 절연막은 상기 제2 블로킹 절연막(150b)과 같은 물질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4 블로킹 절연막의 에너지 밴드갭은 상기 제2 블로킹 절연막의 에너지 밴드갭(Eg2)과 같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변형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블로킹 절연막(150)은 상기 제4 블로킹 절연막 및 상기 제5 블로킹 절연막(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4 블로킹 절연막은 상기 제2 블로킹 절연막(150b)과 같은 물질이고, 상기 제5 블로킹 절연막은 상기 제1 블로킹 절연막(150a)과 같은 물질 일 수 있다. Referring again to FIG. 7A, according to a modifi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locking insulating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술한 실시예들에 개시된 비휘발성 기억 소자는 전자 시스템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전자 시스템을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Meanwhil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onvolatile memory element disclosed in the above embodiments can be included in an electronic system. The electronic system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를 갖는 전자 시스 템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8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lectronic system having a non-volatile memory device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을 참조하면, 전자 시스템(1300)은 제어기(1310), 입출력 장치(1320) 및 기억 장치(13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기(1310), 입출력 장치(1320) 및 기억 장치(1330)는 버스(1350, bus)를 통하여 서로 결합 되어 있다. 상기 버스(1350)는 데이터들이 이동하는 통로에 해당한다. 상기 제어기(1310)는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마이크로컨트롤러, 및 이들과 유사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논리 소자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출력 장치(1320)는 키패드, 키보드 및 표시 장치(display device)등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억 장치(1330)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장치이다. 상기 기억 장치(1330)는 데이터 및/또는 상기 제어기(1310)에 의해 실행되는 명령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기억 장치(1330)는 상기 기억 장치(1330)는 상술한 실시예들에 개시된 비휘발성 기억 소자들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시스템(3100)은 통신 네트워크로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통신 네트워크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13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1340)는 유선 또는 무선 형태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인터페이스(1340)는 안테나 또는 유무선 트랜시버등을 포함할 수 있다.9, the
상기 전자 시스템(1300)은 모바일 시스템, 개인용 컴퓨터, 산업용 컴퓨터 또는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시스템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모바일 시스템은 개인 휴대용 정보 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휴대용 컴퓨터, 웹 타블렛(web tablet), 모바일폰(mobile phone), 무선폰(wireless phone), 랩톱(laptop) 컴퓨터, 메모리 카드, 디지털 뮤직 시스템(digital music system) 또는 정보 전송/수신 시스템 등일 수 있다. 상기 전자 시스템(1300)이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장비인 경우에, 상기 전자 시스템(1300)은 CDMA, GSM, NADC, E-TDMA, WCDAM, CDMA2000 같은 3세대 통신 시스템 같은 통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에서 사용될 수 있다.The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메모리 카드를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Next, a memory card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를 갖는 메모리 카드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9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memory card having a nonvolatile memory element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메모리 카드(1400)는 비휘발성 기억 장치(1410) 및 메모리 제어기(1420)를 포함한다. 상기 비휘발성 기억 장치(1410)는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저장된 데이터를 판독할 수 있다. 상기 비휘발성 기억 장치(1410)는 실시예들에 개시된 비휘발성 기억 소자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메모리 제어기(1420)는 호스트(host)의 판독/쓰기 요청에 응답하여 저장된 데이터를 독출하거나,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상기 플래쉬 기억 장치(1410)를 제어한다.9, the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낸드(NAND) 비휘발성 기억 소자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1b는 도 1a의 I-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1A and 1B are views showing a NAND nonvolatile memory el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B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 'in FIG. 1A.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아(NOR) 비휘발성 기억 소자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2b는 도 1a의 III-II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2A and 2B are diagrams illustrating a NOR nonvolatile memory el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B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I-III 'in FIG. 1A.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휘발성 기억 소자를 설명하기 위한 도 1a의 II-I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 'of FIG. 1A for explaining a nonvolatile memor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 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휘발성 기억 소자를 플랫 밴드 에너지 밴드 다이어그램(flat band energy band diagram)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4A to 4D are views showing a flat band energy band diagram of a nonvolatile memor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은 본 발명에 따른 비휘발성 기억 소자에 음의 소거 전압(V0)이 인가된 경우 에너지 밴드 다이어그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5 is a diagram showing an energy band diagram when a negative erase voltage (V 0 ) is applied to a nonvolatile memor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휘발성 기억 소자를 설명하기 위한 도 1a의 II-I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 'of FIG. 1A for explaining a nonvolatile memor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휘발성 기억 소자를 플랫 밴드 에너지 밴드 다이어그램(flat band energy band diagram)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7A to 7C are diagrams showing a flat band energy band diagram of a nonvolatile memor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를 갖는 전자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8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lectronic system having a non-volatile memory device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를 갖는 메모리 카드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9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memory card having a nonvolatile memory element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7)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113796A KR101426844B1 (en) | 2007-11-08 | 2007-11-08 | Nonvolatile memory element |
US12/266,032 US8089114B2 (en) | 2007-11-08 | 2008-11-06 | Non-volatile memory devices including blocking and interface patterns between charge storage patterns and control electrodes and related methods |
US13/305,930 US8643077B2 (en) | 2007-11-08 | 2011-11-29 | Non-volatile memory devices including blocking insulation patterns with sub-layers having different energy band gaps |
US14/163,228 US20140183615A1 (en) | 2007-11-08 | 2014-01-24 | Non-volatile memory devices including blocking insulation patterns with sub-layers having different energy band gaps |
US14/554,859 US9349879B2 (en) | 2007-11-08 | 2014-11-26 | Non-volatile memory devices including blocking insulation patterns with sub-layers having different energy band gap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113796A KR101426844B1 (en) | 2007-11-08 | 2007-11-08 | Nonvolatile memory element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47775A KR20090047775A (en) | 2009-05-13 |
KR101426844B1 true KR101426844B1 (en) | 2014-08-06 |
Family
ID=408570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113796A Active KR101426844B1 (en) | 2007-11-08 | 2007-11-08 | Nonvolatile memory elemen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26844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139528A (en) * | 2018-06-08 | 2019-12-18 | 삼성전자주식회사 | Vertical memory devices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12268A (en) * | 2001-07-31 | 2003-02-12 | 삼성전자주식회사 | Non-volatile memor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
KR100481856B1 (en) * | 2002-08-14 | 2005-04-11 | 삼성전자주식회사 | Semiconductor Device Having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EEPROM) And Mask-ROM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
US20060202263A1 (en) * | 2005-03-14 | 2006-09-14 | Chang-Hyun Lee |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
US20070132004A1 (en) * | 2005-10-14 | 2007-06-14 | Naoki Yasuda |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
-
2007
- 2007-11-08 KR KR1020070113796A patent/KR101426844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12268A (en) * | 2001-07-31 | 2003-02-12 | 삼성전자주식회사 | Non-volatile memor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
KR100481856B1 (en) * | 2002-08-14 | 2005-04-11 | 삼성전자주식회사 | Semiconductor Device Having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EEPROM) And Mask-ROM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
US20060202263A1 (en) * | 2005-03-14 | 2006-09-14 | Chang-Hyun Lee |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
US20070132004A1 (en) * | 2005-10-14 | 2007-06-14 | Naoki Yasuda |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47775A (en) | 2009-05-1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349879B2 (en) | Non-volatile memory devices including blocking insulation patterns with sub-layers having different energy band gaps | |
TWI663715B (en) | String select line gate oxide method for 3d vertical channel nand memory | |
KR101404669B1 (en) | Nonvolatile memory device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 |
US8907398B2 (en) | Gate structure in non-volatile memory device | |
US11444100B2 (en) | Vertical memory device with tri-layer channel | |
KR102171025B1 (en) | Non-volatile memory device | |
KR20150028189A (en) |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
JP2018006694A (en) | Semiconductor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 |
US11195842B2 (en) | Vertical non-volatile memory structure with additional bitline in wordline stack | |
US10204789B2 (en) | Manufacturing method of semiconductor device and semiconductor device | |
KR20150055219A (en) | Method of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 |
JP2015167200A (en) | Non-volatile semiconductor storage device | |
KR20090053140A (en) | Semiconductor element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 |
KR101426844B1 (en) | Nonvolatile memory element | |
US7851847B2 (en) | Flash memory device and method of erasing the same | |
KR20100002708A (en) |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 |
JP5351274B2 (en) |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 |
KR101426846B1 (en) | Nonvolatile memory element | |
CN114512492A (en) | Semiconductor device with a plurality of transistors | |
KR101060617B1 (en) | Nonvolatile Memor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KR20090036913A (en) | Nonvolatile Memory | |
KR20100010751A (en) | Nonvolatile memory device | |
TWM525526U (en) | Memory cells and memory cell arrays | |
KR101416741B1 (en) | Nonvolatile memory element | |
JP2008118141A (en) | MEMORY TRANSISTOR, NONVOLATILE MEMORY DEVICE, ITS STACK STRUCTURE, OPERATION METHOD, MANUFACTURING METHOD, AND SYSTEM USING NONVOLATILE MEMORY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1108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2110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7110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10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20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515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7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4073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630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6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629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6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628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6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63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62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62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62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626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