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426340B1 - 변동 유량 주입 펌프 시스템 - Google Patents

변동 유량 주입 펌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6340B1
KR101426340B1 KR1020097012615A KR20097012615A KR101426340B1 KR 101426340 B1 KR101426340 B1 KR 101426340B1 KR 1020097012615 A KR1020097012615 A KR 1020097012615A KR 20097012615 A KR20097012615 A KR 20097012615A KR 101426340 B1 KR101426340 B1 KR 1014263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lete delete
pump
module
fluid
flow rat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126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93990A (ko
Inventor
베른트 스테인바흐
프랑크 발만
클라우스 지 레더러
데이빗 자르
시드니 데이빗
Original Assignee
팰리온 메디컬 (비브이아이)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팰리온 메디컬 (비브이아이)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팰리온 메디컬 (비브이아이)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900939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39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63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6340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9Injectable compositions; Intramuscular, intravenous, arterial, subcutaneous administration; Compositions to be administered through the skin in an invasive manner
    • A61K9/0024Solid, semi-solid or solidifying implants, which are implanted or injected in body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1/00Devices for introducing or retaining media, e.g. remedies, in cavities of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2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 A61M5/14244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adapted to be carried by the patient, e.g. portable on the body
    • A61M5/14276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adapted to be carried by the patient, e.g. portable on the body specially adapted for implant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1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with capillaries for restricting fluid flo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2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 A61M5/145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using pressurised reservoirs, e.g. pressurised by means of pistons
    • A61M5/14586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using pressurised reservoirs, e.g. pressurised by means of pistons pressurised by means of a flexible diaphrag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A61M5/16804Flow controllers
    • A61M5/16813Flow controllers by controlling the degree of opening of the flow li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Neurosurgery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ulmonology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체내 삽입 가능한 매몰 가능한 주입 펌프 시스템 및 방법이 제공된다. 펌프 시스템은 체내 삽입가능 펌프(800)와 분리 가능한 모듈(820, 8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리 가능한 모듈(820, 820’)은 상기 매몰 가능한 펌프로부터 인체에 투입되는 유체 등을 다양한 속도 또는 일정한 속도로 제공할 수 있다. 인체 내 투입이 요구되는 유체의 다양한 투여 속도 조절에 대응하기 위해 상기 이동가능 모듈(820, 820’)은 유체의 유량과 관련된 정보를 측정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센서(830, 831)와 유속에 대한 분석을 위한 전자장치(844, 846, 835, 844e, 844f, 849, 848, 850, 851, 853, 854, 855, 856) 및 유속을 물리적으로 개선하기 위한 메커니즘(821)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펌프 시스템과 상기 펌프 시스템을 이용해 환자에게 약제를 투여하는 다양한 방법에 대해서도 제시되어 있다.
Figure R1020097012615
펌프, 주입, 매몰식 펌프, 매몰 가능한 주입 펌프 시스템, 체내 삽입가능 펌프

Description

변동 유량 주입 펌프 시스템 {VARIABLE FLOW INFUSION PUMPS SYSTEM}
본 발명은 인체 매몰식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인체의 특정지점까지 다양한 투여속도로 질병 등의 치료에 필요한 약제나 수액 등을 전달할 수 있으며, 작은 인체에도 충분하게 매몰될 수 있는 작은 크기를 가지는 매몰식 펌프및 프로그램화되어 있는 매몰식 펌프들에 대한 것이다.
매몰식 펌프는 비교적 오랜 기간 동안 알려져 사용되어 왔으며, 특히 이러한 펌프 중 대표적인 것 중의 하나가 환자신체의 특정 부위로 약제 등을 전달할 수 있는 매몰식 펌프이다. 이러한 매몰식 펌프가 사용되지 않는다면, 극심한 고통으로 매일 또는 하루에 여러 번 진통제가 필요한 환자는 진통제 등의 약제 주입에 따른 추가적인 고통을 받게 되며, 특히 이러한 경우는 척추와 같이 치료를 위한 접근이 용이하지 않은 부위의 경우 더욱 문제는 심각해 지게 된다. 또한 먹는 약이나 혈관주사를 통한 치료는 필요 이상의 과다한 약제가 투여되는 문제와 이에 따른 심각한 부작용을 야기할 수 있는 위험도 존재하는 등의 이유로, 매몰식 펌프를 사용하는 것은 환자나 의사 모두에게 필요한 것으로 광범위하게 인식돼 왔다.
이와 관련해 많은 매몰식 펌프 디자인이 제안되어 왔다. 미국 특허 제 4,969,873 호에서는 고정된 투여속도를 가지는 매몰식 펌프로 그 내부에 2개의 구 획된 공간을 가지며, 인체 내로 주입될 약제가 들어있는 제 1 공간을 제 2 공간에 들어있는 추진체(propellant)가 팽창함에 따라 상기 제 1 공간을 압착시키고, 이에 따라 상기 제 1 공간에 들어있는 약제가 인체 내로 주입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또한 이러한 형태의 펌프는 인체 내의 특정 부위로 약제를 이동시키기 위한카테터(catheter)에 연결된 개구부와 상기 제 1 공간에 약제를 보충할 수 있는 보충개구부(replenishment opening) 및 상기 제 1 공간을 거치지 않고 바로 카테터(catheter)를 통해 직접 약제 등을 물질을 주입할 수 있는 환약개구부(bolus opening)를 일반적으로 가지고 있으며, 상기 보충개구부와 환약개구부는 격막(septum)으로 막혀있어, 주사바늘 등으로 약제가 주입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정확히 막혀있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유형의 펌프는 넓은 범위에 걸친 인체 내 약제 주입에 적합하다.
다만 이러한 펌프가 환자와 의사에게 유익한 점은 분명하지만, 상기 약제와
추진체를 수용하기 위한 2개의 구획된 공간과 격막을 포함하기 위해 큰 부피를 가지는 케이스를 가짐으로 인해 인체에 매몰될 수 있는 공간이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특히 환자의 신체가 작은 경우 등에는 그 적용상에 한계가 분명한 점이 존재했으며, 환자가 통상적인 크기의 펌프 주입을 통해 불편함을 느끼거나 종종 신체 외부에도 드러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매몰식 펌프 중에서도 프로그램화되어, 약제 등의 투여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솔레노이드 펌프 또는 연동 펌프 등이 있다. 솔레노이드(solenoid) 펌프는 펌프의 스트로크(stroke) 속도의 변화에 따라 펌프 내 약제의 인체 내로의 주입속도를 조절하는 원리이며, 연동(peristaltic) 펌프의 경우 펌프의 롤러(roller)의 속도의 변화에 따라 약제의 인체 내로의 주입속도를 변화시키는 원리가 적용된다. 그러나 상기의 프로그램화된 매몰식 펌프는 복잡한 디자인과 조절 매커니즘을 요구하게 되어, 전술한 고정된 투여속도로 약제를 인체 내로 투여하는 매몰식 펌프가 더 선호되는 결과를 초래했다.
그러나 전술한 고정된 약제의 유출속도를 가지는 매몰식 펌프가 주기적인 고통에 유용할 수 있을지라도, 환자의 고통 상태에 따라 진통제의 양을 달리할 수 없고, 추가적으로 상기의 환약개구부 등을 통해 진통제를 추가적으로 주입하는 방법으로만 환자의 고통을 덜어 줄 수 밖에 없는 한계가 있으므로, 약제의 인체 내로의 투여속도를 변화시키는 매몰식 펌프의 장점을 포기할 수는 없다.
즉, 종래 매몰식 펌프에 대해서 인체의 다양한 부위에 삽입할 수 있는 소형화와 환자의 상태에 따라 약제를 인체 내로 투여하는 속도를 보다 단순화된 장치와 기술을 통해 조절할 수 있는 것에 대한 수요가 존재해 왔던 것이다.
본 발명의 요지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의 제시 및 이에 대한 설명이 있으며, 명확함을 위해 특정된 용어가 제시된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특정한 용어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과 유사한 목적을 달성하는 데 있어 필요한 유사한 모든 기술적인 등가물까지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과 관련해서, 도면에서의 유사한 참조 번호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나타내며,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와 관련한 소형화된 매몰 가능한 펌프 중 하나에 대해 도 1 및 도 2 에서는 참조 번호 1010가 부여되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펌프(1010)은 일정 유량 펌프로, 이후에 정의될 2개의 챔버(1014, 1016)를 내부에 가지는 수용부(1012)를 포함한다. 챔버(1014, 1016)는 바람직하게는 막(1018)에 의해 분리되어 있다. 상기 막(1018)에 대해서는 종래기술,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 5,814,019 호에 의해 공개된 것과 같은 디자인이 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챔버(1014)는 고통을 경감하는 약제 물질이나 경련이나 신경성 통증에 대한 치료와 화학요법 등에 필요한 활성 물질을 전달받고 수용할 수 있도록 디자인되고 구성되어 있으며, 또 다른 챔버(1016)는 일정한 체온 하에서 등압적으로 팽창하는 추진제를 수용할 수 있다. 이러한 팽창은 막(1018)을 이동시켜 챔버(1014)에 수용된 약제 물질을 유출 카테터(cathether, 1015)를 통해 환자의 신체로 투입하게 된다. (도 2)
펌프(1010)의 제조와 조립을 위한 수용부(1012)의 디자인과 구성은 비교적 용이하다. 수용부(1012)는 별도로 제작된 상층부(1020), 하층부(1022) 및 잠금부(1024)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몇몇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서 수용부(1012)는 대체적으로 원형 펌프(1010)로 특징되지만, 상기 수용부(1012)는 어떤 형태의 펌프(1010)로도 될 수 있다. 그리고 이미 전술된 구성요소 외에도 펌프(1010)는 제 1 격막(1028)으로 덮여 있으며 챔버(1014)와 채널(1029)를 통해 유체 전달하는 보충구(replenishment port, 1026), 제 2 격막(1032)로 덮여 있는 환형의 환약구(bolus port, 1030) 및 바륨이 코팅된 실리콘 O-링(o-ring, 1033)을 바람직하게는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후술한다.
도 2 는 잠금부(1024)의 바닥면을 도시한 단면도로, 챔버(1014) 속에 담긴 약제 유체가 지나는 통로가 도시되어 있다. 추진체 챔버(1016) 속의 추진체의 확장과 이에 따른 막(1018)의 이동에 의해 챔버(1014) 속의 유체가 압력을 받아 개구부(1049)를 통해 이하 후술할 공동(空洞, 1046) 속으로 들어간다.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동(1046)은 펌프(1010)의 주위를 따라 연장된 원형형태를 가진다. 공동(1046)에서 유체는 길게 형성된 필터 모세관(1072)의 임의의 지점으로 들어갈 수 있다. 특히 외부에 존재하는 유체가 내부의 유체관으로 들어갈 수 있도록 교환 또는 이와 유사한 방법을 이용하는 필터 모세관(1072)은 잘 알려져 있는 필터 유형이다. 따라서 일정량 이상의 유체가 공동(1046)에 축척 되면 필터(1072) 속으로 들어갈 수 있게 된다. 상기 필터는 1070 및 1074로 표시된 부분에 접착제의 떨어뜨림(drop)이나 다른 점착수단에 의해 고정되고 밀봉될 수 있다. 상기 유체는 제한기(1076)로 나갈 때까지 상기 필터 모세관(1072)을 이동하게 된다. 상기 제한기(1076)는 내부를 통과하는 최대 유량을 통제할 수 비교적 작은 직경을 가진 긴 튜브가 바람직하며, 이에 의할 경우 제한기(1072)의 직경이 작을수록, 그 속을 흐르는 유체의 유속은 더 느려지게 된다. 다만 이후에 기술될 바와 같이 제한기(1076)는 많은 다양한 디자인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한기(1076) 속의 유체는 제한기(1076)가 환약구(1030)과 필연적으로 교차되도록 허용되는 브릿지(1080)로 향하기 위해 개구부(1078)로 흐르게 되며, 상기 제한기(1076)을 통과하는 유체는 최종적으로 카테터(cathether, 1015)를 통해 배출된다. 에폭시나 다른 적당한 접착제 또는 밀봉제가 1070 및 1074로 표시된 마감부분과 개구부(1078)의 밀봉을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공동(1046)의 유체는 상기에서 언급한 유체의 진로를 따라서만 흐를 수 있다.
또한 도 2 에서는 환약의 주입을 통해 유입될 수 있는 유체의 진로를 추가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유체는 바늘과 같이 격막(1032)을 꿰찌를 수 있는 적절한 도구의 사용을 통해 환약구(1030)로 주입될 수 있으며, 펌프(1010)를 따라 연장된 환약구(1030)의 유체는 채널(1082)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채널(1082)은 상기 브릿지(1080)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고 연장되고, 제한기(1076)의 간섭 없이 상기 환약구(1030)로 주입된 유체가 최종적으로 상기 카테터(catheter, 1015)로 유출될 수 있도록 하며,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체의 진로에 무관하게 카테터(catheter, 1015)의 바로 앞에 존재하는 통행로(1084)에서 유체는 수렴되나, 챔버(1014)로부터 나오는 유체와 환약구(1030)에 주입되어 유출되는 유체의 유량은 차이가 나게 되며, 바람직하게는 후자의 경우의 더 크게 된다.
상기 펌프(1010)의 조립에 대해 이하 설명한다. 펌프(1010)의 개개 구성요소/부품 각각은 개별적으로 생산되어 수작업 또는 자동화 공정 등 다른 공정에 의해 조립될 수 있다. 최초 단계는 상층부(1020)와 하층부(1022)를 함께 넣거나 끼워넣는 방식을 통해 고정지역(1034)에 막(1018)을 고정시켜 그 사이의 공간에 막을 보유토록 하는 것이다. 도 3 의 확대된 도면에서와 같이, 고정지역(1034)은 하층부(1022)에 있는 돌출부(1036), 상층부(1020)에 위치한 오목부(1038) 및 상층부와 하층부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공동(1040)을 포함한다. 상층부(1020)와 하층부(1022)를 그 사이에 막(1018)을 넣어 끼워 넣는 단계는 돌출부(1036)가 오목부(1038)로 밀려 들어가도록 하며, 이 사이에 위치한 막(1018)도 돌출부(1036)가 오목부(1038)로 밀려 들어감에 따라 같이 밀려 들어가게 되어 수용부(1012) 속에서 막(1018)의 형태가 유지되며 고정될 수 있는 주름 잡힌 형태의 체결을 하게 된다.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막(1018)은 복수의 층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들은 상기 끼워 넣는 단계를 통해 바람직하게는 모두 주름 잡힌 형태로 고정된다. 상기 상층부(1020)와 하층부(1022)를 결합시키는 단계에 앞서 에폭시나 다른 접착층이 상기 공동(1040)에 주입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접착수단을 사용하는 실시예에서, 일치하게 끼워 넣을 시에 서로 고정 부착되도록 상층부(1020)와 하층부(1022)가 설계될 수 있다. 더욱이 공동(1040) 내부에 접착수단의 사용은 상기 상층부와 하층부 사이의 막(1018)이 고정되도록 조력할 수 있으며, 에폭시나 다른 접착수단은 상기 끼워 넣는 단계에 앞서 상층부(1020) 또는 하층부(1022) 중의 하나에 형성된 공동(空洞)부분에 위치시킬 수 있다.
상기 상층부(1020)와 하층부(1022)를 맞춤하여 조립하는 단계에 앞서 O-링(1033) 또는 그 밖의 유사한 것들이 상층부(1020)에 형성된 환형의 공동(空洞)에 위치할 수 있다. 몇몇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O-링(1033)은 바륨으로 코팅된 실리콘 O-링으로, 보충구(1026)로 정의된 주위에 배치되어 있으며, 이러한 O-링 디자인은 X-rays와 같은 특정한 스캐닝 프로세스에서 보충구(1026)를 나타낼 수 있다. 신체에 펌프(1010)가 삽입된 상태에서 약제나 그 밖의 유사한 것들을 펌프(1010)에 보충하기 위해 보충구(1026)을 찾는 것은 어려울 수 있기 때문에, 바륨으로 코팅된 실리콘 O-링(1033)을 제공함으로써 보충구(1026)의 윤곽을 찾아, 의사가 쉽게 잘 알려진 스캐닝 프로세스를 통해 원하는 자리를 찾을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다른 구조들도 다른 스캔방식에서 나타나도록 활용될 수 있다. O-링(1033)의 배치는 바람직하게는 소형 채널로 상기 O-링을 압착해 채널에 O-링 부착되도록 함으로써 가능하다.
O-링(1033)을 적절한 위치에 두고 잠금부(1024)가 다른 부분들에 결합된다. 잠금부(1024)의 결합 이전에 제 1 격막(1028)이 잠금부(1024)로 삽입되어야 하며, 바람직하게는 잠금부(1024)에 형성된 보충 공동(空洞)부분에 미끄러져 들어가서, 작용 받는 힘 없이 그 안에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제 1 격막(1028)은 잠금부(1024)와 상층부(1020) 사이에서 고정되도록 디자인 되었기 때문에, 상기 격막은 잠금부(1024)의 결합에 앞서 배치되어야 하며, 이미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잠금부(1024)는 환약구(1030)를 덮기 위한 제 2 격막(1032)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격막(1032)은 링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앞서 설명한 O-링(1033)의 배치와 같은 방식으로 잠금부(1024)로 압착되며, 이러한 압착단계는 잠금부(1024)가 다른 부분으로 결합되기 이전에 실시될 수 있다.
상기 부착단계에서, 잠금부(1024)는 나사 결합부(1042)와 나사 연장부(1044)를 바람직하게는 포함하며, 잠금부(1024)는 하층부(1022)와 단지 나사결합에 의해 체결됨으로써, 상층부(1020)는 다른 2 개의 부분 사이에 배치되어 유지되게 된다. 즉, 잠금부(1024)와 하층부(1022)간의 나사결합에 의해 이들이 서로 부착되게 하는 것뿐만 아니라 상층부(1020)도 그 들 사이에서 고정 부착되게 된다. 잠금부(1024)가 하층부(1022)에 나사 결합되는 단단한 정도에 따라 상층부(1020)와 하층부(1022)의 결합은 추가적으로 더 압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이 사이에 존재하는 막(1018)의 고정수준도 높아지게 된다. 따라서 펌프(1010)는 모든 구성요소를 함께 포함할 수 있는 최소한의 결합단계의 수행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디자인 되었다. 또한 상기 하층부(1022)와 잠금부(1024)의 나사 결합방법 이외의 다른 고정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부분들은 스냅핏(snap-fit)이나 접착제의 사용을 통해 고정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잠금부(1024)는 그 자체와 상층부(1020) 사이에 공동(1046)을 형성하기 위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공동(14046)은 수용부(1012)의 다른 부분들간에 부착수준을 높이기 위해 내부에 접착제의 주입이 가능한 구조로 디자인 될 수 있으며, 공동(1046)은 이하 후술할 유량 제한기 또는 그와 유사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펌프(1010)는 생산과 조립의 관점에서 비교적 단순하도록 구성되고 치수화 되지만, 적절한 양의 약제와 추진체를 수용할 수 있는 동시에 전체적인 크기를 줄여 구성되고 치수화된 펌프(1010)로도 가능하다. 도면들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들과 같이, 펌프(1010)의 상층부(1020)의 내부는 물결 또는 복잡한 형태를 가진 내부표면부(1047)을 포함하고 있으며, 특히 상기 표면부(1047)는 볼록한 중앙부가 오목한 양 부분과 측면을 접하고 있는 구성을 가지며, 이러한 구성은 보충구(1026) 및 이와 함께 구성되는 격막(1028)이 펌프(1010)의 다른 부분에 비해 낮은 지점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해주는 동시에 상기 오목한 양 측면의 부분은 전체적인 챔버들(1014, 1016)을 단일한 오목부 또는 그와 유사한 부분을 가진 펌프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부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오목한 양 측면부가 상기 보충구(1026)과 격막(1028)의 낮은 위치에 존재하는 구성에 따른 부피의 감소를 보충하게 된다. 막(1018) 또한 내부표면부(1027)와 같이 작용하기 위해 처음부터 물결을 가진 형태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약제나 다른 유체가 챔버(1014)에 존재하는 않는 경우 바람직하게는 막(1018)은 내부표면부(1047)에 부착될 수 있고, 챔버(1014)로 유체가 주입되는 경우 막(1018)은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위치가 변화하게 된다.
도 4 는 다른 소형의 매몰 가능한 형태의 펌프(1110) 디자인을 도시하고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펌프(1110)는 펌프(1010)과 유사한 구조와 기능을 가지는 복수개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구성요소는 1100 번대의 참조번호가 부여된다. 예를 들면, 막(1118)은 이미 전술한 막(1018)과 유사하며, 펌프(1110)는 펌프(1010)의 작동방법과 유사한 방식으로 작동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펌프(1110)는 몇몇의 추가적인 구성요소를 포함하며, 이에 따라 다른 구조를 채용한다. 특히 펌프(1110)는 격막 유지 부재(1125)이라 불리는 추가적인 구성을 포함하며, 상기 부재는 바람직하게는 나사를 쬐어 상층부(1120)에 부착된다. 또한 펌프(1110)는 바닥 O-링(1150)을 포함하되, 바륨 코팅된 O-링은 포함하지 않는다.
펌프(1110)의 조립도 펌프(1010)와 상이하다. 상기에서 간단하게 언급한 바와 같이 미리 위치한 격막(1128)을 제자리에 유지시키기 위해 최선적으로 격막 유지 부재(1125)를 상층부(1120)에 나사의 쪼임을 통해 고정한다. 이미 전술된 펌프(1010)의 조립방법과 같이, 펌프(1110)의 조립은 양 부분(1120 및 1122)을 일치시켜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마찬가지로 그 사이의 고정지역(1134)에 막(1118)이 고정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결합부(1124)가 상층부(1120)에 결합되어 펌프(1110)의 바닥면에 위치하게 된다.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층부(1120)는 결합부(1124)의 나사결합부(1142)와 함께 체결될 수 있는 나사확장부(1152)를 포함하며, 상기 양 부분의 나사 결합은 이미 전술한 결합과 유사한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바닥 O-링(1150)은 바람직하게는 결합부(1124)와 하층부(1122)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바닥 O-링은 하층부(1122)가 결합부(1124)에 의해 더 밀실 하게 결합하도록 하고, 수용부(1112)의 외관을 더 부드럽게 하는 역할을 한다. 거칠거나 뽀족한 외관은 환자의 신체 내로 펌프를 매몰하는 경우 펌프 주위의 조직에 손상을 가할 수 있기 때문에 후자의 기능이 더 중요하다. 최종적으로, 조립 과정에서 제 2 격막(1132)이 상층부(1120)에 눌러 붙여질 수 있다.
도 5 는 다른 소형화된 매몰 가능한 펌프(1210)의 디자인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펌프(1210)는 펌프(1010) 및 펌프(1110)와 유사한 구조와 기능을 가지는 복수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구성요소들에는 1200 번대의 참조번호가 부여되었다. 그러나 펌프(1210)는 몇몇의 추가적인 구성요소를 포함하며, 이에 따라 다른 구조를 채용한다. 예를 들어 펌프(1110)와 같이 펌프(1210)은 격막 유지 부재(1225)를 포함하며, 비록 다른 구조를 가지지만, 펌프(1010)와 같이 펌프(1210)는 상부 결합부(1224)를 가진다.
펌프(1210)는 전술한 펌프(1010) 및 펌프(1110)와 다른 방식에 의해 조립된다. 펌프(1110)와 같이, 격막 유지 부재(1225)는 미리 위치한 격막(1228)을 제자리에 유지시키기 위해 최선적으로 상층부(1220)에 나사의 쪼임을 통해 고정한다. 다음으로 양 부분(1220 및 1222)을 일치시켜 결합시키는 단계를 진행되며, 마찬가지로 그 사이의 고정지역(1234)에 막(1218)이 고정된다. 마지막으로 결합부(1224)가 나사의 쬠에 의해 하층부(1222)에 결합된다. 펌프(1010)의 디자인과 같이, 결합부(1224)는 하층부(1222)의 나사확장부(1244)와 체결되는 나사결합부(1242)를 포함한다. 상층부(1220)를 하층부(1222)로 힘을 가해 펌프(1210)의 조립을 완성하는 것 이외에도, 본 실시예에서 결합부(1224)는 제 2 격막(1232)을 고정하도록 구성되고 치수화 된다.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1224)는 격막(1232)을 결합된 양 부재(1222 및 1224)에 부착하기 위한 오목한 구역(1254)을 포함한다.
도 6 에서는 다른 소형화된 펌프(1310)의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미 전술한 다른 펌프들과 같이, 펌프(1310)는 유사한 구조와 기능을 가지는 복수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구성요소들에는 1300 번대의 참조번호가 부여되었다. 특히 펌프(1310)는 전술된 펌프(1210)의 구성과 가깝다. 그러나 결합부(1324)와 양 부분(1320 및 1322)간의 결합과 결합부(1324)와 상층부(1320) 사이에 채널(1362)이 포함된 2 가지의 특징적인 차이점이 있다. 도 6 에 도시된 본 실시예에서는 결합부(1324)가 양 부분(1320 및 1322)에 각각 존재하는 나사결합부(1358 및 1360)과 결합하는 나사확장부(1356)를 포함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결합부(1324)가 그 속에 형성된 채널(1362)를 포함하며, 상기 채널은 전술한 챔버나 개구부 중 어느 것과 연계되도록 부착될 수 있다. 게다가, 채널(1362)은 이하 후술할 유량 제한기 또는 그와 유사한 장치와 같은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2 관점에서의 본 발명은 일정 유량 타입의 매몰 가능한 펌프에 지속적인 변동 유량 기능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미 전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펌프는 매몰 가능한 펌프에 의해 투입되는 약제의 양이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것이 요구되는 환자에게 유익하다. 제 2 관점에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는 본 발명은 임의의 일정 유량 타입의 매몰 가능한 펌프에 적용되도록 구성될 수 있지만, 바람직한 펌프들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후술한다. 바람직한 실시예 중의 하나는 도 7 에 도시되어 있으며, 기본적인 매몰 가능한 펌프 디자인에 대해 참조번호 20 번이 부여되어 있다. 펌프(20)는 2 개의 챔버(24 및 26)를 내부에 가진 수용부(22)를 포함하며, 상기 챔버(24 및 26)는 유동막(flexible membrane)(28)에 의해 분리되어 있다. 챔버(24)는 고통을 경감하는 약제 물질이나 경련이나 신경성 통증에 대한 치료와 화학요법 등에 필요한 활성 물질을 전달받고 수용할 수 있도록 디자인 되어 있으며, 또 다른 챔버(26)는 체온 하에서 등압적으로 팽창하는 추진제를 수용할 수 있다. 이러한 팽창은 막(28)을 이동시켜 챔버(24)에 수용된 약제 물질을 출구개구부(30), 제한기(32), 출구 도관(34) 및 최종적으로 출구 카테터(36)으로 정의된 경로를 따라 환자의 신체로 투입하게 된다.
제한기(32)는 챔버(24)와 출구 도관(34) 사이를 연결하므로, 전술한 바와 같이 챔버(24)로부터 유출되어 출구 카테터(36)로 흐르는 약제 물질은 반드시 제한기(32)를 거쳐야 한다. 상기 제한기(32)는 약제 유체의 유량을 제어함으로써 투입되는 유량의 조절이 가능하며, 이하에서 후술될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다른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한기(32)는 본질적으로 약제 유체의 흐름을 위한 통로로 정의되며, 이러한 통로가 변형됨에 따라 약체 유체의 유량도 변하게 된다.
매몰 가능한 펌프(20)는 또한 제 1 격막(40)에 의해 덮여 있는 보충구(38)를 포함한다. 격막(40)은 도 7 에서의 바늘(42)과 같은 주입 바늘에 의해 꿰뚫어 질 수 있으며, 이러한 바늘이 제거되는 경우 자연적으로 다시 스스로를 밀폐할 수 있다. 이런 타입의 격막들은 당업자에게 자명하게 알려져 있다. 매몰 가능한 펌프(20)가 환자에게 제한된 시간 동안 약제를 주입하도록 디자인 되었기 때문에, 챔버(24)가 비게 되거나 거의 빈 경우 약제를 보충하기 위한 보충구(38)가 사용된다. 운영 중에, 의사나 다른 의료 전문가가 주입 바늘(42)을 환자의 신체에 삽입된 펌프(20)에 삽입하는 경우, 격막(40)을 꿰뚫을 수 있다. 이후 상기 바늘로부터 보충구(38)로 주입된 솔루션은 통로(44)를 따라 챔버(24)로 이동한다. 특히 용적 및/또는 환자의 필요에 따라 상기 약제 보충의 프로세스는 설정된 주기, 예를 들어 매달, 매주 등의 단위로 요구될 수 있다.
보충구(38)와 함께, 펌프(20)는 제 2 격막(48)에 의해 덮여 있는 환형의 링 형태의 환약구(46)를 포함하며, 상기 환약구(46)는 솔루션이 직접 출구 카테터(36)를 통해 신체의 특정 목표 부위로 투입되도록 한다. 상기 환약구는 특히 환자에게 추가적이거나 더 강한 약제 투입이 요구될 때 및/또는 카테터(36)의 유량 진로를 테스트하길 원하는 경우 유용하다. 이러한 주입은 이미 전술한 보충구(38)로의 주입과 유사하게 수행된다. 그러나 환약구(46)로의 주입은 통로(44), 챔버(24) 및 제한기(32)의 통과없이 바로 카테터(36)로의 접근을 제공한다. 또한 환약구(46)를 신체로부터 유체를 뽑아내는 도구로 사용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펌프(20)가 신체 내 위치하고 있는 경우 카테터(36)는 척주의 척수 부분까지 연장되어, 주사기의 바늘이 환약구(46)로 투입되어 카테터(36)를 통해 척수의 유체를 주사기로 빨아들일 수 있다.
몇몇의 실시예에서는, 격막(40)과 격막(48)이 존재해, 각각의 구(port)로의 주입은 특별하게 디자인된 주입 바늘만이 가능하도록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막(48)은 하단의 환약구(46)의 근처에 위치하고, 격막(40)은 하단의 보충구(38)로부터 멀리 떨어져 위치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주입 바늘(42)은 바늘(42)의 끝부분 위쪽에 위치한 주입 구멍(43)을 가진다. 그 대신 주입 바늘(50)은 끝부분 또는 그 근처에 주입 구멍(51)을 가지며, 이러한 배열은 장기간의 약제 유체를 챔버(24)로 보충하는 데 사용되는 바늘(42)에 의해 부주의하게 환약구(46)로 내용물이 주입하는 데 사용되는 것을 방지한다. 환약구(46)의 왼쪽 편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늘(42)이 부주의하게 구(port)로 주입되는 경우, 격막(48)에 의해 바늘 구멍(43)은 막히게 된다. 반면, 바늘(50)은 그 구멍(51)이 보다 아래쪽에 있어 환약구(46)로의 주입이 가능하게 된다. 이 것은 오랜 기간 동안의 약제 유체가 환약구(46)을 통해 직접 투입되는 것은 위험할 수 있기 때문에 중요한 안전 기능이다. 바늘(50)은 환약구(38)를 통해 솔루션을 주입할 수도 있지만, 챔버(24)에 수용된 약제는 천천히 투여되기 때문에 이러한 챔버(24)의 보충은 약제 과다 주입과 같은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이러한 안전 기능은 상기 펌프로의 물질 주입과 관련된 하나의 예시이며, 다른 안전을 위한 선행조치들도 취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여기에 참조되어 있는 미국 특허 제 5,575,770 호에서는 추가적인 밸브 보호를 가지는 유사한 복수개의 주입 바늘 시스템이 있다. 이러한 안전 바늘 시스템은 여기에서 공개되고 있는 매몰 가능한 펌프의 다양한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으며, 종래기술문헌에서 다른 디자인의 펌프에 대해 안전 기능을 부여하기 위해 요구되는 변경에 대해서는 알려져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전술한 ‘873호 특허의 기본적인 매몰 가능한 펌프도 이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와 도 8 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873호 특허는 2 개의 파트(제 1 및 제 2 파트)로 구성된 수용부 및 유동막(flexible membrane, 3)에 의해 분리된 2 개의 챔버들(4 및 5)을 내부에 가진다. 챔버(4)는 약제 유체를 전달받아 수용하도록 디자인 된 반면, 챔버(5)는 펌프(20)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체온 하에서 등압적으로 팽창하는 추진체를 수용할 수 있다. 이러한 팽창은 막(3)을 이동시키고 챔버(4) 속에 수용된 약제 유체를 출구 개구부(6), 출구 감소 수단(7) 및 최종적으로 출구 카테터(8)으로 정의된 진로를 따라 환자의 신체로 투여되도록 한다. 상기 출구 감소 수단(7)은 상기 수용부의 제 1 파트를 둘러 감싸는 튜브가 바람직하다. 몇몇의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제한기는 출구 개구부(6) 또는 그 근처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대한 설명은 후술한다.
출구 카테터(8)에 도달하기 전에 약제 유체는 수용부의 제 1 파트에 환형으로 형성된 챔버(9)로 들어간다. 챔버(9)는 링 또는 격막(10)에 의해 그 상부가 밀폐되어, 주입 바늘로 꿰찌를 수(piercing) 있으며 바늘이 제거될 경우 자동적으로 다시 밀폐된다. 이러한 챔버는 전술한 펌프(20)의 환약구(46)와 유사하다. 약제 유체가 챔버(4)로부터 출구 카테터(8)로 전달되는 것과 별개로, 챔버(9)는 출구 카테터(8)로의 직접 솔루션 주입도 가능하게 하며, 그 중요성에 대해서는 이미 언급하였다. 상기 출구 감소 수단(7)은 환약구로 주입된 솔루션이 챔버(4)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한다. 유사한 방법으로 필요 시 챔버(4)는 추가적인 격막(12)을 통해 보충받을 수 있으며, 주입 바늘은 이러한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두 가지의 기본적인 매몰 가능한 펌프에 대해 전술하였지만, 다른 디자인은 다른 또는 추가적인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유사하게, 전술한 설명은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는 두 가지의 매몰 가능한 펌프를 설명하고 있지만, 다른 매몰 가능한 펌프 디자인도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여기에 참조 되어 포함되는 것으로 하는 미국 특허 제 5,085,656 호, 제 5,336,194 호, 제 5,722,957 호, 제 5,814,019 호, 제 5,766,150 호, 제 5,836,915 호 및 6,730,060 호는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실시예는 이하에서 상술한다.
이미 전술한 바와 같이 매몰 가능한 펌프의 유량을 조절하는 능력은 요구된다. 전술된 일정 유량 펌프들의 약제 유체의 유량은 상기 펌프의 압력에 의존하며, 그 압력은 약제 유체가 반드시 통과해야 하는 상기 카테터의 끝부분 및 다른 모세관 이나 통로에서의 수력 저항을 의미한다. 모세관에서의 저항과 관련해, 이러한 저항은 약체 유체의 점착성과 함께 모세관 자체의 형상에 영향을 받으며, 이러한 점착성은 펌프의 압력과 함께, 체온의 영향도 받게 된다. 따라서 환자가 열이 나는 경우 바람직하지 않은 방향으로 주입 기구의 유량이 영향을 받게 될 수 있기 때문에 펌프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는 단계가 필요하다.
변동 유량 조절 매몰 가능한 펌프가 요구되는 다른 예는 환자의 컨디션과 활동 상태와 관련 있다. 예를 들어, 특히 진통제의 투여에 있어 환자가 잠든 밤 시간대에는 보다 적은 약제를 투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환자의 증상이 악화된 경우에는 진통제나 이와 같은 약제의 양을 증가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약제 유체의 유량을 증가시키는 것은 환자의 고통 수준을 감소시키기 위함이다. 본 발명과 관련해 상기 제한기(32)는 체온의 변화에 따른 바람직하지 않은 방향으로의 일어날 수 있는 유량 변경에 대응하고, 증상의 완화 또는 악화에 대응하는 바람직한 유량 조절에 유용하다.
유량의 조절에 관한 제 1 실시예는 제한기 부재의 단면 형상을 수정함으로써 실현된다. 제 1 실시예는 펌프(20)을 중심으로 이하에서 설명된다. 그러나, 이는 다른 매몰 가능한 펌프에도 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5 에서 도시된 제 1 실시예에서, 제한기(32)는 신축성과 탄성을 가지며 제한기 모세관(54)의 내부에 위치한 필라멘트(52)를 포함하며, 제한기 모세관(54)은 출구 개구부(30)와 출구 모세관(34)을 연결한다. 모세관(54)은 실질적으로 출구 모세관(34)의 전부 또는 일부를 구성하기 위해 위치될 수 있다. 실질적으로 모세관(54)은 전술한 약제 유체의 통과에 필요할 뿐이기 때문에 유량을 조절할 수 있는 적당한 길이라면 충분하다.
도 9, 도 10A, 도 10B 는 상기 제 1 실시예에서의 제한기(32)의 제 1 예시를 보여주는 것으로, 탄성 필라멘트(52)가 제한기 모세관(54)의 중심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이러한 구성은 화살표의 F 방향으로 유체가 흐르는 링 형태의 유량 채널(56)을 형성한다. 도 10A 에 잘 나타난 바와 같이, 필라멘트(52)는 고정단(60)에 부착된 제 1 단부(58) 및 변동단(64)에 부착된 제 2 단부(62)를 포함한다. 제한기(32) 또한 모세관의 입구(66)와 출구(68)를 연결할 수 있는 유효한 길이(L)을 가지며, 초기 상태의 지름은 D1 (반지름 R1 의 2배)이다. 그리고 모세관(54)은 지름 D3 (반지름 R3 의 2 배)를 가진다. 이는 여기서 설명하는 다른 다양한 모세관에도 유사할 것이다.
상기 실시예에서 변동단(64)은 화살표 A 및 B 로 도시된 바와 같이 반대의 길이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반면 고정단(60)은 고정되어 있다. 동작 중에 변동단(64)이 화살표 B 방향으로의 움직이는 경우, 양 단부 사이의 거리가 멀어지게 되며, 이에 따라 초기 상태의 지름 D1 은 보다 작은 지름 D2 로 줄어들게 되며(보다 작은 반지름 R2 의 2 배), 이는 도 10B 에 잘 나타나 있다. 필라멘트(52) 지름의 D1 에서 D2 로의 감소는 채널(56) 사이즈의 증가를 가져오며, 필연적으로 모세관(54) 속의 유체의 저항을 감소시키게 된다. 반대로, 변동단(64)이 화살표 A 방향으로의 움직여 도 10A 에 도시된 필라멘트(52)의 위치로 회복하는 경우, 모세관(54)의 유체 저항은 증가하게 된다. 이러한 타입의 필라멘트는 신장 후에 다시 원래의 형태와 크기로 회복할 수 있는 탄성과 저항성을 가진 실리콘 고무나 다른 폴리머(polymer)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유사하게, 비록 필라멘트(52)는 상기 도면들에서 원형의 단면을 가지는 것으로 제시되었으나, 다각형, 타원형, 사각형 등의 다양한 단면 모양을 가질 수 있다.
모세관(54)의 내부 지름은 일반적으로 매우 작기 때문에 필라멘트(52)를 직접 모세관의 중앙에 위치시키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도 11A, 도 11B, 도 12A 및 도 12B 에 도시된 제 2 예에서는 탄성 필라멘트(52)가 모세관(54)의 내부 벽면에 접하고 있다 (편심 위치). 상기 편심에 위치한 필라멘트(52)는 제 1 예에서의 링 모양의 유량 채널과 달리 초승달 모양의 유량 채널(56)을 형성한다. 또한 제 2 예에서는 필라멘트(52)의 양 단부(58 및 62)가 양 변동부(60 및 64)에 각각 부착된 점도 제 1 예와 차이가 있다. 이러한 점은 작동 중에 하나의 변동부(또는 움직임)에 이상이 생길 때 유용하다. 2 개의 변동부 구성은 안전장치를 제공하며, 필라멘트(52)는 이상없는 변동부의 움직임을 통해 신장될 수 있다. 변동부(64)는 화살표로 도시된 A 및 B 방향으로, 변동부(60)는 화살표로 도시된 A’및 B’방향으로 여전히 움직일 수 있다.
작동 중에 어느 한 변동부(60, 64)의 B’또는 B 방향으로 움직임에 의해 지름이 D1 에서 보다 작은 D2 로 감소한다. (상기 지름은 반지름 R1 과 R2의 각각 2 배) 이에 대해서는 도 12B 에서 도시하고 있다. 상기 제 1 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필라멘트(52)의 D1 에서 D2 로의 지름 감소는 채널(56)의 크기를 증가시키며, 필연적으로 모세관(54) 속에서의 유체 저항을 감소시킨다. 반대로, 어느 한 변동부(60 및 64)의 A’또는 A 방향으로의 움직임에 따라, 도 12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라멘트(52)를 원위치 시키며, 모세관(54) 속에서의 유체 저항을 증가시킨다.
제 1 예에서의 변동부(64) 및 제 2 예에서의 양 변동부(60 및 64)는 당업자에 알려진 특정 수단에 의해 움직여 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특정 수단은 마이크로 모터와 같은 잘 알려진 모터, 자석, 수력, 전기적 또는 기계적 작동기 등이 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적합한 상기 모터 어셈블리의 한 예는 독일 ERAD (Elliptec Resonant Actuator of Dortmund)의 X15G 규격 하에서 판매되는 것이다.
본 발명과 관련해, 단단한 벽으로 구성된 환형의 내강(內腔)을 가진 모세관은 잘 알려져 있다. 특히 이러한 타입의 기구는 그 속을 흐르는 유체를 가지는 속이 빈 튜브이다. (예로써 필라멘트(52)가 없는 본 발명) 이러한 디자인에서, 잘 알려진 Hagen-Poisseuille Equation 을 이용해 유속의 계산이 가능하다.
V = (△pπR2 4)/(8ηL)
여기서:
V = 유량
△p = 모세관(56)의 입구(66)와 출구(68)에서의 압력차
η = 유체의 점성
L = 제한기(32)의 유효 길이 L
2 = 제한기 모세관(54)의 반지름 (도 9)
상기 방정식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모세관의 작은 변화가 유량에 큰 영향을 미친다. 그러나, R2 크기의 변경은 종종 기술적으로 매우 실현하기 힘들다. 그래서,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디자인에서처럼 탄성 필라멘트(52)가 제한기 모세관(54)에 삽입된 구성을 포함한다. 제 1 실시예의 제 1 예 (필라멘트(52)가 중심에 위치한 경우)에서의 유량 계산을 위해서는 아래와 같은 방정식을 이용할 수 있다.
V = 〔(△pπ)(R2-R1)3(R2+R1)〕/(8ηL)
여기서:
V = 유량
△p = 모세관(54)의 입구(66)와 출구(68)에서의 압력차
η = 유체의 점성
L = 제한기(32)의 유효 길이 L
1 = 필라멘트(52)의 반지름 (도 9)
2 = 제한기 모세관(54)의 반지름 (도 9)
반면, 제 1 실시예의 제 2 예(필라멘트(52)가 편심에 위치한 경우)에서의 유량 계산을 위해서는 아래와 같은 방정식을 이용할 수 있다.
V = 〔(△pπ)(R2-R1)3(R2+R1)2.5〕/(8ηL)
여기서:
V = 유량
△p = 모세관(54)의 입구(66)와 출구(68)에서의 압력차
η = 유체의 점성
L = 제한기(32)의 유효 길이 L
1 = 필라멘트(52)의 반지름 (도 9)
2 = 제한기 모세관(54)의 반지름 (도 9)
상기 방정식들은 유체 역학 분야에서 잘 알려진 것이다. 더욱이, 도 10A 및 도 12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한기(32)의 유효 길이는 모세관(54)의 길이와 대응되며, 더욱 자세히는 필라멘트(52)가 수용된 모세관(54)의 길이와 연관된다. 따라서 상기 방정식에서의 유효길이(L)는 만약 모세관(54)보다 필라멘트(52)의 길이가 짧다면, 모세관(54)의 길이에 비해 짧아지게 된다. 상기 방정식은 원형의 단면을 가진 모세관과 필라멘트의 사용에 적용되며, 다른 형태의 단면을 가지는 모세관과 필라멘트가 사용되는 다른 실시예에서는 별개의 방정식이 이용되어야 한다.
상기의 두 번째 방정식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필라멘트(52)를 도 11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세관(54)의 중심에서 한쪽으로 치우친 곳으로 위치시킴은 인자 2.5 만큼의 유량 변화가 발생시킨다. 따라서 제 1 예의 중심(도 9)에서 제 2 예의 편심(도 11A)으로 필라멘트(52)의 단순한 이동에 의해서도 상기 비율로 유량 변경이 가능하다. 그러나, 종종 25 또는 그 이상의 유량 변경이 일반적으로 요구되며,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전술한 한쪽으로 치우친 곳에 위치하는 탄성의 필라멘트(52)가 사용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 필라멘트(52)가 편심 위치에 유지되도록 곡면의 모세관(54)이 사용된다. 도 11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라멘트(52)는 모세관(54)의 만목에 의해 모세관(54)의 편심 위치에 유지될 수 있다. 필라멘트(52)는 일반적으로 탄성 및 복원력이 있어, 모세관(54)의 어떤 만곡에도 쉽게 적용된다.
탄성 필라멘트(52)의 지름 변경에 대한 현실적인 범위는 대략 원래 사이즈로부터 그것의 약 70%까지 이며, 이는 필라멘트(52)가 편심에 위치한 경우의 상기 방정식을 사용해 계산된다. 예를 들어, 원래 반지름이 R1 인 필라멘트(52)는 대략 모세관(54) 반지름 R2 의 80% 수준이고, 최대로 신장된 필라멘트(52)의 반지름 R3 는 대략 모세관(54) 반지름 R2 의 56% 수준이 되는 경우, 신장되지 않은 상태와 최대로 신장된 상태의 유량 차이비는 대략 9.20 대 1 로 계산된다. 반지름이 R1 인 필라멘트(52)는 대략 모세관(54) 반지름 R2 의 85% 수준이고, 최대로 신장된 필라멘트(52)의 반지름 R3 는 대략 모세관(54) 반지름 R2 의 59.5% 수준이 되는 경우, 신장되지 않은 상태와 최대로 신장된 상태의 유량 차이비는 대략 17.00 대 1 로 계산된다. 마지막으로 반지름이 R1 인 필라멘트(52)는 대략 모세관(54) 반지름 R2 의 90% 수준이고, 최대로 신장된 필라멘트(52)의 반지름 R3 는 대략 모세관(54) 반지름 R2 의 63% 수준이 되는 경우, 신장되지 않은 상태와 최대로 신장된 상태의 유량 차이비는 대략 43.46 대 1 로 계산된다. 따라서 대략적으로 모세관(54) 반지름 R2 의 85% 에서 90%의 수준에 있는 반지름 R1 을 가지는 필라멘트(52)를 사용할 경우 유량의 변이는 대략적으로 25 를 가지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유체 제한기의 알려진 형상에 기초해 요구 유량 변이를 계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 1 실시예의 제 3 예가 도 13 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예는 중심벽(155)에 의해 2 개의 공간으로 구획된 모세관(154)을 포함한다. 화살표 F 는 입구(166)를 통해 들어와 모세관(154)를 통과하여 출구(168)를 통해 나갈 수 있는 유체를 표시하고 있다. 탄성의 필라멘트(152)는 양 단부가 양 고정점(160, 164)에 고정되어 있으며, 필라멘트(152)의 대략적인 중간 지점에 위치한 자성요소(170)를 감싸고 있다. 동종의 극성을 가지는 대응되는 자성상대(172)로부터 자석의 반발력이 전달되며, 자성상대(172)의 움직임은 같은 방향으로의 자성요소(170)의 움직임을 유발한다. 자성상대(172)는 용접 밀폐된 수용부(174) 또는 그와 유사한 곳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전술된 예들에서와 같이 자성요소의 화살표 B 방향으로의 움직임은 필라멘트(152) 지름을 수축시키며 결과적으로 유량의 증가를 가져온다. 유사하게, 자성요소(170)를 화살표 A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경우, 유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두 섹션의 디자인은 유량을 조절할 수 있는 두 개의 모세관과 필라멘트를 포함하며, 모세관과 필라멘트 모두 원형 단면을 가지고 있으므로, 상기 시스템에 의한 전체적인 유체 저항을 계산하기 위해서는 상기의 방정식을 이용한 두 번의 계산이 필요하다.
나아가, 제 1 실시예의 제 3 예에서 자성요소(170)와 자성상대(172)는 다른 극성을 가져 서로를 끌어당길 수 있으며, 이에 의할 때 자성상대(172)를 자성요소(170) 방향으로 가까이 가져올 경우 서로의 인력이 더 강하게 작용하게 된다. 그래서 자성상대(172)가 자성요소(170)의 아래쪽에 위치하고 있을 때 (도 13 에서와는 반대 위치) 자성상대(172)의 자성요소(170)로의 이동은 서로간의 자성 인력을 증가시키고 화살표 B 의 방향으로 자성요소(170)를 움직이도록 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는 필라멘트(152)의 길이를 늘이는 동시에, 그 지름을 감소시킨다. 또한 전술한 2 개의 자성물질을 이용한 구성과 달리 하나의 자성 요소와 이에 대응하는 금속 요소를 활용하는 것도 가능하며, 상기 요소들도 서로를 당길 수 있음은 자명하다. 따라서 이러한 자성/금속 조합은 전술한 반대되는 극성의 자성물질을 이용한 조합과 같은 방식으로 작동된다. 그러나, 자성요소들의 극성 및/또는 금속 요소 및 이에 대응하는 자성 요소의 위치에 따라 다양한 구성이 가능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금속 요소 주위를 감싸고 있는 필라멘트(152)와 수용부(174) 속에 위치한 자성 요소 또는 반대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4 에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제 4 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 예에서 하나의 단부는 고정점(260)에 고정되어 있으며, 다른 단부는 축(276) 주위를 감싸고 있는 탄성 필라멘트(252)를 포함한다. 다시 한번 설명하면, 유체는 입구(266)를 통해 모세관(254)로 들어오며, 출구(268)를 통해 나가게 되며, 이러한 유체의 흐름은 화살표 F 에 의해 나타나 있다. 화살표 W 방향(반 시계 방향)의 축(276) 회전은 필라멘트(252)가 신장되며, 지름이 감소하도록 하며, 결과적으로 모세관(254)를 지나갈 수 있는 유량을 증가시키게 된다. 반면 축(276)의 시계방향으로의 회전은 반대되는 결과를 가져온다. 전술한 바와 같이, 만약 필라멘트(252)와 필라멘트(254)가 원형 단면을 가지고 있다면, 전체 시스템의 유체 저항을 계산하기 위해 상기 방정식을 이용할 수 있다. 축(276)은 도 1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어조립체(280)를 경유한 마이크로 모터에 의해 움직인다.
축(276)을 움직이기 위한 다른 수단이 사용될 수도 있지만, 이하에서는 상기 기어조립체(280)에 대해 설명한다. 도 1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체(280)는 밀폐공간(274)으로부터 축(276)으로 회전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한다. 조립체(280)는 기어 드라이버(284)에 의해 확장되고 디스크(286)로 연장되는 모터(282)를 포함한다. 상기 디스크는 바람직하게는 90 도 각도에 못미치게 비스듬히 디스크(286)에 연결된 샤프트(288)을 포함한다. 상기 샤프트(288)는 밀폐공간(274)의 원통부(290)로 연장되며, 원통부(290) 속에 위치한 베어링(292)에 의해 지지된다. 최종적으로 원통부(290)는 탄성연결부(294)를 통해 밀폐공간(274)에 연결되어 있으며, 푸셔 플레이트(296)를 통해 축(276)을 회전하게 하는 힘을 전달할 수 있다. 디스크(286)와 샤프트(288) 및 원통부(290)와 푸셔 플레이트(296)간의 상쇄 성질이 밀폐공간(274)와 원통부(290) 결합간의 탄성 성질과 연동하여 축(276)의 회전을 발생시킨다. 상기 모터의 회전 방향을 달리 하는 것을 통해 축의 회전을 시계 방향 또는 반 시계 방향으로 할 수 있다.
기어조립체(280)는 축(276)을 움직이기 위한 모터가 작거나 약한 경우 유용하다. 모터를 보다 잘 사용하기 위해 기어조립체를 사용하는 것은 잘 알려져 있으며,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기어조립체라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직접 축(276)을 회전시킬 수 있는 모터의 사용도 고려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과 같은 디자인에서 축(276)은 상기 모터의 드라이버 샤프트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1 실시예와 관련되어 설명되고 있는 예들은 다르거나 추가적인 또는 더 적은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수정은 종래 기술에 의해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의 도면들에서 도시되고 있는 탄성 필라멘트는 대체로 원형의 단면형태를 가지지만, 다른 형태의 단면을 가질 수도 있다. 유사하게, 비록 대체적으로는 직선형태이지만, 상기 필라멘트는 만곡된 모세관에 연결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게다가, 제 1 실시예에서 설명되는 본 발명은 어떤 알려진 매몰 가능한 펌프에도 사용될 수 있다. 펌프와 함께 사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특정한 펌프 디자인은 특별히 구성되고 치수화된 제한기가 필요할 수 있으며, 이러한 디자인의 필요는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유량 조정이 가능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는 제한기(32)로 한 쌍의 결합된 나사를 이용하는 나사 결합 실린더의 사용을 통해 구체화된다. 다시 한번, 제 2 실시예는 펌프(20)를 이용해 설명될 수 있으나, 다른 매몰 가능한 펌프에도 적용될 수 있다. 제 2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 16 및 1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한기(32)는 빈 내부 공간(304)을 가지는 제 1 나사 부재(302) 및 나사 외부(306)를 가진다. 제 1 나사 부재는 나사 내부의 표면(310) 및 막힌 단부(312)를 가지며 상반된 구성의 속이 빈 부재를 가진 제 2 나사 부재(308)에 나열된다. 제 1 및 제 2 나사 부재 (302, 308)간의 나사 결합은 제 1 부재가 다양한 위치에서 제 2 부재와 나열될 수 있도록 하여, 두 부재간의 다양한 겹침을 가능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도 16 에서는 제 1 부재가 제 2 부재에 상당한 부분이 겹쳐있으나, 도 17 에서는 제 1 부재가 제 2 부재와 일부만이 겹쳐있다.
제 2 실시예에 있어서, 유체는 화살표(314)의 방향을 통해 빈 공간(304)으로 유입된다. 유체에 의해 발생되는 유압을 견딜 수 있도록 충분하게 만들어졌기 때문에 제 2 부재(308)의 막힌 단부(312)는 화살표(315)에 도시된 방향으로 유체를 밀어서(이는 도 17 에 잘 도시되어 있다.), 상기 양 부재(302, 308) 사이에 형성된 유체 채널을 흘러가도록 한다. 상기 양 나사 부재가 겹친 정도에 따라 유체 저항과 유체의 유량이 결정된다. 따라서 도 16 에 도시된 높은 수준의 겹침은 도 17 에 도시된 낮은 수준의 겹침에 비해 결과적으로 보다 적은 유량을 발생시킨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유체는 최종적으로 화살표(3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한기를 통과해 나오게 된다.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와 관련하여 양 부재는 형태는 다양할 수 있으며, 특정한 나사 디자인이 채용될 수 있다.
제한기의 단면 형상을 수정하여 유량 조정이 가능한 제 3 실시예가 구체화된다. 그러나 상기 제 1 실시예가 지름을 감소시키기 위해 필라멘트(52)를 늘여 단면 형상을 변형시키는 것과 달리, 상기 제 3 실시예는 내부 압력의 변경을 통해 튜브(402)의 단면 형상을 변형한다. 다시 한번, 제 3 실시예는 펌프(20)을 이용해 설명될 수 있으나, 다른 매몰 가능한 펌프에도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제 3 실시예와 관련해 도 18 내지 20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한기(32)는 모세관(404) 속에 배치된 탄성의 튜브(402)를 포함한다. 도 20 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튜브(402)는 모세관(404)을 따라 연장되어 양 단부가 각각 실링 요소(406, 408)에 의해 고정된다. 도 18 및 도 20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튜브(402)는 모세관(404)를 따라 링 형태의 유량 채널(410)을 형성하도록 위치한다. 그러나 제 1 실시예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튜브는 편심에 위치할 수 있으며, 도 1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승달 모양의 유량 채널(410)을 형성할 수 있다.
유체는 화살표 F 가 지시하는 방향으로, 입구(412)에서 출구(414)를 향해 상기 유량 채널을 따라 흐른다. 다시 한번, 튜브(402)와 모세관(404)가 겹친 부분을 따라 연장된 부분이 제한기의 유효 길이이며, 튜브(402)의 지름은 그 것의 내부 압력 P1 에 의존한다. 따라서, 튜브(402)의 내부에서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킬 수 있는 압력에 의해 유체의 유량이 영향을 받게 된다. 압력을 증가시킴은 상기 튜브의 외연 지름을 증가시키고 따라서 유량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가져온다. 유사하게, 압력을 낮춤은 튜브의 외연 지름을 감소시키고 유량을 증가 시킨다. 상기 튜브(402)는 특정의 최초 지름을 가진다. (압력이 없는 경우) 제 3 실시예에도 상기 제 1 실시예와 관련해 언급된 유량 계산이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도 19 에 도시된 디자인에서, 상기 튜브를 모세관(404) 전체 내부 지름의 대략 85% 에서 90% 정도로 조정하는 것으로 유량의 변이를 1 대 25 정도로 만들 수 있으며, 이는 매몰 가능한 펌프에서 요구되는 비율이다. 그러나, 제 3 실시예의 작동은 전체적으로는 제 1 실시예와 반대된다. 분명하게 튜브(402)의 초기 지름에서 더 감소시키는 것 보다는, 상기 제 3 실시예는 지름의 증가를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튜브(402)의 작동은 유량이 큰 상태에서 유량이 적은 상태로의 시스템으로 전환시키며, 이 점이 제 1 실시예와 상반된다.
튜브(402) 내부로 압력을 높이고 내리기 위해 적합한 어떤 수단이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스톤 또는 벨로스 어셈블리가 이용될 수 있으며, 또는 화학 반응이 압력 차이를 수행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제 4 실시예에서 유량의 조정은 세로적으로 다양한 단면을 가지는 인서트(502)의 제공에 의해 구체화된다. 모세관(504)의 세로 축을 따라 인서트(504)를 이동시킴으로써, 제한기(32)의 유체 저항은 변화된다. 다시, 제 4 실시예는 펌프(20)에 대해 설명될 수 있으나, 그것은 다른 매몰 가능한 펌프의 조합에 의해서도 적용될 수 있다. 도 21 내지 2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제 4 실시예에 따르면, 제한기(32)는 모세관(504) 내에 배치된 전술한 인서트(502)를 포함한다. 제 4 실시예의 일 예에서, 도 21 및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서트(502)는 원뿔 형태를 가지도록 묘사되며, 모세관(504)의 중심에 위치된다. 요컨대, 인서트(502)의 단면은 세로축을 걸쳐 변화하며 그 형태는 링 형태의 유량 채널(506)을 형성한다. 이 인서트는 그 단부에서 두 개의 이동 가능한 피스톤 형태의 고정부(508 및 510)로 고정된다. 그러나, 도 23 및 24 에 도시된 다른 예에서, 인서트(502)는 편심에 위치해 초승달 모양의 유량 채널(506)을 형성할 수 있다. 이 예에서, 인서트(502)는 양 단부에서 두 개의 이동 가능한 고정체(512 및 514)로 고정된다.
두 가지 예의 실시에 있어서, 유체는 화살표 F 로 도시된 방향으로, 입구(516)로부터 출구(618)를 향해 유량 채널을 따라 흐른다. (상술한 유효 길이) 유량과 관련된 전술한 방정식은 이 실시예에 필수적으로 적용되지 않는 반면, 유량 채널(506)의 너비가 모세관(504)의 축의 방향에서 인서트(502)의 움직임에 의해 변화될 수 있음은 명백하다. 예를 들어, 도 2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 A 에 표시된 방향에서 인서트(502)의 움직임은 유량 채널(506)의 너비를 감소시키고 그에 따라 유체의 유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화살표 B 에 표시된 방향으로의 인서트(502)의 움직임은 유량 채널(506)의 너비에서 증가시키고 그에 따라 유체의 유량에서 증가 시킬 수 있다.
인서트(502)의 움직임은 사용되는 디자인의 형태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스톤-형태의 고정부들(508 및 510)은 이들에 대한 적합한 압력의 제공에 의해 바람직하게 이동한다. 그러나, 도 2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가능한 고정체(512 및 514)는, 수력, 전기적, 기계적 소스 등과 같은 소스로부터, 그에 따른 기계적 힘의 제공에 의해 이동되어서 이용될 수도 있다. 인서트(502)에 이동을 제공하기 위해 당업자에게 잘 알려진 다양한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시 한번 자기력은 인서트(502)의 이동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결국, 인서트(502)는,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부드러운 길이방향의 표면을 형성하는 다양한 단면을 포함할 수 있으며, 또는, 비-합동 단면의 부분이 포함될 수 있다. 후의 구성은 몇 개의 다른 단계 진 면을 가지는 인서트를 제공한다. 이에 따라, 상대적으로 넓은 단면을 가지는 제 1 면의 모세관(504)으로의 이동은 필시 유량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반면 더 적은 단면을 가지는 제 2 면의 이동은 유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제 5 실시예에서의 유량 조정은 전기활성 고분자(EAP)로 구성된 인서트의 단면 형상의 조정에 의해 구체화된다. 예를 들어, 이러한 인서트는 폴리아닐린(polyanilin), 폴리파이롤(polypyrrol) 또는 이와 유사한 것에 의해 구성될 수 있으며, 이 재료의 형태는 인공 근육과 같은 분야에서 알려져 있다. 필수적으로, 이 EAP 인서트의 지름은 이에 대한 전기적 전압의 적용을 통해 변화될 수 있다. 이 제 5 실시예에 따르면, 그러한 EAP 인서트로 적용되는 전압은 대략 0 내지 2 볼트 사이일 수 있으나, 7 볼트까지도 가능하다. 다시 한번, 제 5 실시예는 펌프(20)을 이용해 설명될 수 있으나, 다른 매몰 가능한 펌프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25 내지 2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제 5 실시예에 따르면, 제한기(32)는, EAP로 구성되며, 모세관(604) 내에 배치된 인서트(602)를 포함한다. 도 25 및 27 은 인서트(602)가 모세관(604) 내에서 중심적으로 배치된 제 1 예를 도시하는 반면, 도 26 및 28은 인서트(602)가 모세관(604) 내에서 편심적으로 배치된 제 2 예를 나타낸다. 게다가, 제 1 예는 일 단부가 고정부(608)에 부착되고 다른 단부는 변동부(610)에 부착된 인서트(602)를 포함하는 반면, 제 2 예는 양 단부가 변동부(612, 614)에 고정된 인서트(602)를 포함한다.
양 예의 실시에 있어서, 유체는 화살표 F 에 표시된 방향으로, 입구(616)로부터 출구(618)를 향해 유량 채널을 따라 흐른다. (유효 길이) 유량 채널(606)의 너비는 인서트(602) 양 단부 사이에의 전압 차에 의해 다양하게 될 수 있다. 이러한 전압의 적용은 인서트(602)가 늘어나도록 하는 원인이 되며, 그에 따라 인서트의 지름은 감소한다. 필수적으로, 제 5 실시예에 따라, 인서트(602)는, 모세관(604)이 상대전극으로서 활동할 수 있는 동안, 전극으로서 활동할 수 있다. 이미 여러 번 전술된 바와 같이, 인서트(602)의 지름 감소는 필연적으로 모세관(604)에서의 유체 저항을 감소시키며 유체 유량을 증가시킨다. 전술된 제 1 실시예와 관계한 계산은 각각 원형의 단면을 가지는 인서트(620) 및 모세관(604)을 이용하는 제 5 실시예의 전술한 예들에서의 적합한 크기의 인서트(602)를 결정하는 데 유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제한기(32)의 다양한 실시예는, 매몰 가능한 펌프의 슬로우 릴리즈 챔버에서 수용된 유체가 그것을 거쳐 통과하도록 강제되는 것과 같이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배치는 유체 유량을 조절하는 제한기(32)와 함께, 그 일반적인 방식으로 작동하도록 매몰 가능한 펌프를 위해 사용된다. 그러나, 전술한 구조는 환약구로의 주입이나 이와 유사한 제한기를 거쳐 통과하도록 강제되지 않게 제한기(32)의 위치를 정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환약구로 주입 시 유량을 컨트롤하는 것은 요구되지 않으며, 그러한 주입은 종종 빠르고 직접적인 약제 유체 투입을 위한 의도로 사용된다. 예를 들어, 다른 구조로 계획될 수도 있지만,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한기(32)는 챔버(24)로부터 유출되는 유체를 제어하기 위해 배치되지만, 환약구(46) 안으로 직접 주입되는 유체는 제어하지 않는다. 게다가, 매몰 가능한 펌프가 척추 유체를 추출하기 위해 이용될 때, 상기 유체가 제한기(32)를 거치는 것이 강제되지 않도록 또한 고려된다. 도 7 의 펌프에서, 척추 유체의 추출은 환약구(46)를 통해 일어날 수 있으며, 상기 유체는 제한기를 통과하도록 요구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의 각 실시예를 위해, 약제 유체의 유량을 선택적으로 변동시킬 수 있는 조절 메커니즘의 제공이 계획된다. 많은 다양한 메커니즘은 환자 몸에 이식을 위한 매몰 가능한 디바이스와 함께 잘 알려져 있으며 널리 이용된다. 예를 들어, 종래 디바이스는 전용 하드 배선 컨트롤러, 적외선 컨트롤러 또는 이와 유사한 것을 이용 가능함을 보여주고 있으며, 이 컨트롤러는, 약제 유체의 유량의 선택적 다양함을 위한 모터(282)와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요소를 조절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미국 특허 제 6,589,205 호 (“‘205 특허”)는 무선을 통한 외부 컨트롤의 활용을 제시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개시는 여기에 참조되어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205 특허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무선 컨트롤 신호는 펌프와 유도적으로 연결된 RF 파워 신호의 변조를 통해 제공될 수 있다. ‘205 특허는 여기에 참조되어 포함되는 것으로 하는 미국 특허 제 5,876,425 호의 전방 원격 측정법 또는 정보의 교환 및 유량에 영향을 위해 변화되는 전술한 다양한 구성요소 및 펌프의 조절을 위해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는 프로그래밍 명령 중 하나의 사용을 위해 인용 및 포함한다. 그러나, 유사한 외부 컨트롤러도 사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컨트롤러는 무선적으로(IR, RF 또는 다른 주파수와 같은) 조절 신호를 보낼 수 있거나 또는 조절 신호를 보내기 위해 환자 피부의 표면 또는 인접한 위치에서 유선으로 유도될 수 있다. 게다가, 본 발명에 따른 펌프는 펌프의 우연한 시그널링 또는 부적절한 프로그래밍의 방지를 위한 안전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펌프 조절을 위하거나 오직 안전 목적을 위해 별도로 마련된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에 의한 체크될 수 있는 안전 사전 코드(secure preamble code) 또는 암호화된 신호를 이용할 수 있다. 이 사전 코드는 외부의 무관한 원격 컨트롤 기기 또는 신호 및 다른 유사한 펌프 컨트롤러에 의한 펌프의 부적절한 유체 유량의 변경을 방지할 수 있다. 다른 안전을 위한 사전조치로 펌프의 프로그래밍에 사용되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대한 패스워드,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키, 암호화, 다중 인증 요청 또는 수열 부여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유량의 변경을 위해 사용되는 모터들 및 조절적으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의 조절을 위해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는 일렉트로닉 및 컨트롤 로직은 마이크로프로세서, 마이크로컨트롤러, 직접 회로, 트랜스듀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펌프를 조절하기 위한 펌프 프로그래밍 정보 전송을 위해 내부적 또는 매몰 가능한 펌프 내부 및/또는 어떤 외부 프로그래머 기기에의 의해 외부에 위치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어떤 프로그래머 기기는 상기 펌프의 프로그래밍을 허용하기 위해 사용된다. 일렉트로닉은 또한 다양한 테스트의 수행, 상태 체크, 및 펌프의 동작에 관한 정보 또는 다양한 트랜스듀서에 의해 검출되는 다른 생리적 정보의 저장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외부 프로그래머 기기는 매몰 가능한 펌프의 안 또는 근접한 위치에서 필수 로직 및 일렉트로닉의 구성에 의해 사용이 불 필요할 수 있으며, 이러한 컨트롤은 예를 들어, 피부의 표면 또는 아래에 위치할 수 있는 컨트롤 버튼 또는 스위치 등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물론, 필수적인 사전예방책들 (확인 버튼)이 제공되도록 함으로써 프로그래밍의 부적절한 변화는 다시 방지된다.
본 발명의 전술된 대단히 다양한 디자인뿐만 아니라, 상술된 소형화된 디자인과 관계되는 특정의 매몰 가능한 펌프(700)를 설명한다. 필수적으로, 펌프(700)는 참신한 특징을 가지는 매몰 가능한 펌프이며, 이러한 특징은 펌프의 용이한 조립 및 상대적으로 소형화가 가능하도록 한다. 게다가, 펌프(700)는 특정의 실시예에서 전술된 제한기(32)를 포함한다. 펌프(700)가 본 발명에 따른 이용을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가 되는 한, 많은 다른 구성에서 전술된 각 제한기(32)의 디자인을 수용하기 위해 펌프가 수정될 수 있는 것은 명백하게 이해될 수 있다.
도 29 및 30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펌프(700)는 상층부(702) 및 하층부(704)로 구성된 수용부를 포함한다. 수용부는 바람직하게 영국 인비바이오 (Invibio)의 PEEK 규격 하에 판매되는 폴리에테레테르케톤(polyetherehterketone)과 같은, 강한 중합(polymeric) 재료로 구성되며, 다른 적절한 생체적합 가능물질이 사용될 수도 있지만, 복잡한 더블 클린치(clinch) 어셈블리, 용접 공정 등의 사용 없이 안전하게 조립될 수 있는 두 부분을 가지는 수용부 형성이 가능한 특정 재료가 선택되어야 한다. 명백하게, 안전은 인체로 매몰되는 어떠한 장치의 조립에서, 특히 약제 솔루션을 과다 수용하는 장치에서 아주 크게 고려되는 부분이다. 이전에는, 매몰 가능한 펌프의 수용부는 수용부의 일부를 상호 접합하기 위해 이용되는 용접 공정의 금속 재료, 또는 수용부의 일부를 상호 접합하기 위해 이용되는 복잡한 클린치 어셈블리 안의 중합 재료로 구성되고 있었다. 예를 들어, 금속소재 펌프는 일반적으로 반쪽으로 된 금속소재의 펌프 수용부 두 개를 상호 접합함으로써 구성되며, 유사하게, 미국 특허 번호 제 5,814,019 호 및 제 5,836,915 호에서는 중합 펌프의 수용부 반쪽들의 안전한 접합을 위해 더블 클린치 어셈블리를 제시하고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해, PEEK와 같은 재료의 이용은 어떤 복잡한 접합 순서의 이용 없이 중합 펌프의 수용부가 조립될 수 있다는 점이 발견되었다. 이질적 요소의 제거는 펌프(700)의 크기가 더 소형화 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예를 들어, 전술한 더블 클린치 안전 기능의 제거는 펌프(700)의 전체적인 너비가 축소되도록 지원하며, 특정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펌프의 전체 무게뿐만 아니라, 조립에서 요구되는 복잡함의 수준도 줄일 수 있다. 도 2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펌프(700) 수용부의 양 부분(702, 704)은 PEEK로 구성되며 단순히 상호 돌려 죄는 방식이 가능하도록 디자인 된다. 보다 자세하게는 상층부(702)는 하층부(704)의 외부에 구성된 나사홈 형태의 표면부(705)의 수용을 위해 내부에 구성된 나사 연장부(703)을 포함한다. 특정 실시예들에서는 양 부분(702, 704)의 사이에 나사 홈간의 결합 이외에도 풀 또는 다른 접착제의 층이 추가적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양 부분(702, 704) 사이의 나사 홈을 이용한 결합에 추가해, 하나의 클린치 연결이 이용될 수 있으며, 이 형태의 접합에서, 양 부분(702, 704)은 스냅(snap)식으로 상호 맞춰지도록 디자인된 요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상기 양 부(702, 704)가 상호 안정적으로 결합된다.
상술한 일반적인 펌프(20) 설계와 같이, 매몰 가능한 펌프(700)는 2 개의 챔버(724, 726)를 갖는 내부를 더 포함하고, 각 챔버는 유동막(flexible membrane, 728)에 의해 분리된다. 챔버(724)는 약제 유체와 같은 활성 물질을 전달받고 수용하도록 설계되며, 챔버(726)는 일정한 체온 하에서 등압적으로 팽창하는 추진제를 수용하도록 설계된다. 상술한 일반적인 펌프(20)와 유사하게, 펌프(700)내 추진제의 팽창은 막(728)을 이동시켜 챔버(742)에 수용된 약제 유체가 출구개구부(730, 도 30), 원통홈(cylindrical recess, 764), 제한기(732)(도 31), 원통홈(766, 도 29), 출구 도관(734) 및 최종적으로 출구 카테터(736)로의 경로를 통하여 환자의 몸으로 투여된다. 또한, 펌프(20)와 관련해, 펌프(700)는 제 1 격막(740)으로 덮여 있는 보충구(738)과, 링 형상의 제 2 격막(748)으로 덮여 있는 환형의 환약구(746)를 더 포함한다. 이들 각 구들(ports)의 사용은 실질적으로 펌프(20)의 그 것과 동일하다. 예를 들어, 통로(744)는 보충구(738)로 주입된 유체가 챔버(724)로 유입되도록 한다. 추가로 펌프(20)와 같이, 특별하게 설계된 주입 바늘과 상응하게 위치된 격막이 안전성을 높이는데 전술한 바와 같이 이용될 수 있다.
전술한 펌프(20)와 반대로, 펌프(700)는 상층부(702)의 유사한 물결 형상의 내부표면부(707)와 결합하는 물결막(728)을 포함한다. 도 29 및 도 30에서 가장 잘 보여진 바와 같이, 상층부(702)의 내부표면부(707)는 챔버(724)의 상면으로서 역할을 하는 물결면을 가지며, 막(724)은 챔버(724)의 바닥면으로서 역할을 하는 대응 물결면을 가진다. 챔버(724)가 비어 있는 경우, 막(724)는 유사한 형태의 내부표면부(707)에 대해 접하도록 맞추며, 이것은 도 29 에 잘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챔버(724)로 유체가 유입될 시에, 막(728)이 굽혀져, 챔버(724)의 팽창이 가능할 수 있으며, 이것은 도 30에 잘 도시되어 있다. 이 막(728) 및 상층부(702)의 내부표면부(707)이 갖는 물결 형상의 구성은 보충구(738)와 격막(740)이 펌프의 높이에 대하여 낮은 위치에 있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양쪽 내부표면부(707)의 중심부와 막(728)은 보충구(738)과 격막(740)이 보다 낮게 설정되는 것이 가능한 볼록 형상이다. 동시에, 이 중심부의 좌우에 있는 부분은 실질적으로 오목 형상을 가지면서 확장된다. 이것으로 인해 챔버(724)의 전체적은 체적은 잘 알려진 매립 가능한 펌프와 비교하여 실질적으로 유사하게 될 수 있다. 펌프(700)의 동작도 추진제에 의해 구동되는 종래의 매립 가능한 펌프와 실질적으로 유사하게 된다. 도 29 및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특정 물결 형상의 설계(이를 테면, 두 개의 오목 형상 즉, 더 높은 부분과 측면을 접하고 있는 볼록부 즉, 더 낮은 부분)는 하나의 적당한 실시예이며, 다른 실시예가 도시된다. 예를 들면, 다른 펌프는 복수의 오목부 및/또는 볼록부를 갖는 대응 형상을 가지는 표면 및 막을 포함해도 좋다.
펌프(700) 내부의 제한기(732)의 특정 구조 및 결합은 도 29 내지 31에 상세하게 도시된다. 이 특정 실시예에서 도시된 제한기는 상기 기술한 제 1 실시예의 제한기와 동일하다. 도 31에서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제한기(732)는 모세관(754)내 탄성 및 저항 필라멘트(752)를 포함한다. 필라멘트(752)는 모세관(754)를 통해 연장되어 그 끝 단에서 2개의 스풀(spool, 760, 762)에 부착된다. 스풀(760)은 상층부(702)의 개구부(730)와 유체 전달이 가능한 원통홈(764)의 내부에 위치하며, 스풀(762)는 상층부(702)의 원통 홈(766) 내부에 위치한다. 홈(764)은 출구개구부(730)와 챔버(724)가 유체 전달이 가능하게 한다(도 29에 잘 도시됨). 그러므로, 유체는 챔버(724)로부터 제한기(732)를 거쳐, 카테터(736)로 나와 신체의 목적 부위로 향한다.
도 31 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모세관(173)은 필라멘트(752)를 편심으로 위치시키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만곡될 수 있다. 스풀(760, 762)은 필라멘트(752)의 표면을 감싸도록 하기 위해 다양한 단면을 가진다. 전술된 바와 같이, 다양한 형태의 단면은 모세관(754)을 통과하는 유체의 유량을 다양화 시킨다. 도 29 내지 31 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스풀(760)은 고정된 반면, 스풀(762)은 회전되도록 부착되었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는, 양 스풀 모두 회전되도록 부착될 수 있다. 도 29 의 단면도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스풀(762)은 축(770)을 통해 휠(772)에 연결된 것을 포함하여, 기계적으로 여러 작동 구성요소들과 연결된다. 모터(774)는 전술된 X15G와 같이, 휠(772)의 회전을 제공하기 위해 제공된다. 베어링(776) 또는 이와 유사한 것은 축(770)을 가이드하고 부드러운 움직임을 제공함으로써 축(770)의 회전을 지원한다. 도면에 도시된 상기 실시예에서의 모터(774)는 전술된 신체의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한 전자유닛(778)으로부터 전기적 에너지와 조정을 받게 된다.
전술한 작동 구성요소들은 도 29 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한 결합에 의해 펌프(700) 속에 함께 구속된다. 특히 링 격막(748)과 탄성 요소(780)는 펌프(700)에 상기 작동 구성요소를 구속하도록 디자인 되었다. 상기 작동 요소들은 바람직하게는 스풀(762), 축(770), 휠(772), 모터(774), 베어링(776) 및 전자유닛(778)을 둘러쌀 수 있도록 수용된다. 조립 중에, 이 모듈은 펌프(700)의 움푹한 곳에 위치해 한 면이 링 격막(748)과 인접하게 된다. 상기 모듈의 정위치에서, 펌프(700)의 격막(740)은 홀더(782)의 돌려 쬠(screwing)을 통해 상층부(702)에 부착되어, 나사결합(783)의 형태를 이룬다. 홀더(782)는 바람직하게는 양 부(702, 704)와 같은 PEEK 물질로 구성되며, 또한 접착제 또는 접착제와 나사의 조합과 같은 다른 접착수단이 사용되는 것도 고려될 수 있다. 엘라스토머(elastomeric) 물질의 링(780)은 바람직하게는 홀더(782)와 전자유닛(electronic units, 778)의 사이에 위치될 수 있으며, 상기 결합은 격막(748)과 링(780) 사이에 전술된 모듈을 고정되어, 모듈의 한 면은 격막(748)과(만곡 결합), 다른 한 면은 링(780)과 결합(경사 결합)되도록 디자인 된다. 따라서 조립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작동 구성요소들의 모듈은 펌프(700)와 반드시 마찰 부착된다.
또한 도 29 내지 31 에 도시된 특정한 실시예는 변동 유량 펌프에서 일정 유량 펌프로의 전환이 용이하도록 한다. 사용에서, 상기 펌프의 제조자 또는 이용자는 쉽게 전술된 작동 구성요소들을 제거할 수 있으며, 상기 모듈의 제거 후에는 스페이스, 인서트 등은 펌프(700)의 수용부에 형성된 임의의 공간에 삽입될 수 있다. 필라멘트(752) 또한 모세관(754)로부터 제거되고 유리와 같은 물질로 조립된 작은 튜브(도시되지는 않았다)로 대체될 수 있으며, 상기 튜브는 바람직하게는 모세관(754)에 꼭 맞을 수 있는 모세관의 내부 지름보다 약간 작은 외부 지름을 가진다. 나아가, 튜브는 적절한 내부 지름을 가지며, 특정한 내부 지름은 모세관(754)을 통과하는 유체의 유량을 지시한다. 따라서, 요구되는 일정 유량에 따라 적절한 내부 지름을 가지는 특정한 튜브가 선택된다. 마지막으로, 튜브는 모세관(754)의 바람직한 만곡 형태에 조화를 이루도록 따르게 될 수 있다. 이러한 펌프(700)에 따른 단순한 변경들은 상대적으로 저렴한 일정 유량 펌프를 생산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단순한 전환은 펌프(700) 구성요소의 큰 변경 없이 대부분의 구성요소들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이것은 펌프의 디자인들간에 변경에 따른 새로운 주형(mold)이나 이와 유사한 것을 추가적으로 요구하지 않음에 따라 이득이 될 수 있다.
다른 바람직한 매몰 가능한 펌프의 실시예가 도 32 내지 도 34 에 도시되어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참조번호 800이 부여되었다. 펌프(800)는 전술된 매몰 가능한 펌프들과 유사한 성질을 가지며, 펌프로부터 투여되는 약제의 유량을 조절하기 위한 제한기 또는 저항 모듈을 채용하도록 디자인 되었다. 펌프(800)의 저항 모듈에 대해서는 이하 후술한다. 펌프(800)은, 비록 몇몇의 다른 구조와 추가적인 및/또는 다른 구성요소들을 이용하지만, 내부 및 그 자체로, 전술된 펌프(700)과 유사한 방식으로 작동된다. 펌프(700)와 펌프(800) 간의 여러 차이점 및/또는 추가적인 구성요소들 때문에, 펌프(800)의 유사한 구성요소 및/또는 구조에는 펌프(700)와 같은 참조번호를 사용하지 않았다.
도 32 내지 도 3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펌프(800)는 수용부의 상층부를 형성하는 상층부(801) 및 상층부(801)와 바람직하게는 나사 결합을 통해 결합되도록 디자인된 하층부(802)를 포함하되, 전술한 다른 실시예들에서와 같이, 그 사이에 막(803)이 부착되도록 결합된다. 그러나, 펌프(800)에서는, 제 2 막(803a)은 바람직하게는 막(803)과 함께 포켓 또는 풍선을 형성하도록 제공된다. 다른 말로 하면, 막(803)이 포켓의 위측 장벽을 형성하는 동안, 막(803a)은 필연적으로 하층부(802)를 따라 하측 장벽을 형성한다. 상층부(801)는 저항 모듈을 수용하기 위한 상부면(804) 및 위쪽 또는 약제 챔버(806)의 상부(도 33 및 도 34 단면도에 잘 도시되어 있다.)로 특정되는 하부면(805)을 포함한다. 하층부(802)는 아래쪽 또는 추진체 챔버(807)의 하부(또는 막(803)에 의해 이웃하여 형성되는 포켓)로 특정되는 상부면(807)을 포함한다. 게다가, 펌프(800)는, 전술된 펌프(700)에서의 제 1 격막(810)에 의해 덮인 보충구(809) 및 제 2 격막(812)에 의해 덮인 환약구(811)와 같은 다른 요소들도 포함한다. 상층부(801)의 상부면(804)은 나사(814a, 814b)를 각각 수용할 수 있는 2 개의 장치(813a, 813b), 어깨부(816)를 형성하는 직립 연장된 원형의 직립 연장부(upstanding circular ring extension, 815), 약제 챔버(806)로부터의 출구개구부(817) 및 이하에서 후술될 방식에 따라 펌프(800)로 약제가 되들어가고 최종적으로 환자에게 투입될 수 있도록 출구 도관(819)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입구개구부(818)을 추가적으로 포함한다.
펌프(800)는 펌프(700) 및 전술한 다른 소형화된 매몰 가능한 펌프 유사한 챔버 및/또는 막 디자인을 이하 후술될 수정된 다양한 유량 조합에 이용한다. 펌프(800)의 상기 챔버 및/또는 막 디자인은 여기에서 논의된 다른 펌프의 실시예뿐만 아니라 매몰 가능한 펌프의 디자인과 관련해 다른 실시예에서 고려될 수 있는 다양한 챔버 및/또는 막 디자인도 포함될 수 있다.
펌프(800)는 매몰 가능한 주입 펌프 시스템을 형성하기 위한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제한기 모듈과 연계되어 작동하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디자인 될 수 있다. 도 35 내지 45 에서는 제 1 제한기 모듈(820)과 연계된 펌프(800)를 도시하고 있다. 제한기 모듈(820)은 상층부(801)과 분리 가능한 결합으로 되어 있으며(나사 814a 및 814b를 통해) 펌프(800)으로부터 투여되는 활성 물질의 유량을 조절하는 데 이용되는 여러 구성요소들을 포함한다. 더욱 자세하게는, 제한기 모듈(820)은 상기 전술한 PEEK 물질과 같은 중합(polymeric)물질로 구성된 고체 물질 속에 싸이거나 캡슐 속에 들어있는 독립한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점에서 상층부(801), 하층부(802) 및 모듈(820)은 같은 물질로 구성되거나, 일부가 다른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모듈은 바람직하게는 격막(810)이 출입할 수 있는 중앙의 구멍을 가지며, 격막(812)에 의해 특정되는 영역의 한계 안에 위치하도록 디자인된다. 모듈(820)은 환자에게 처방된 약제 또는 활성 물질의 유량과 동일하게 펌프(800)로부터의 유량을 바람직하게는 모니터하고 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듈(820)은 외부원(outside source, 예를 들어, 핸드헬드 기기)으로부터 신호에 반응하거나, 환자의 신체 상태(예를 들어, 맥박 또는 체온의 변화)에 반응하여 약제 유량을 변경할 수 있다.
도 35 는 상층부(801)의 표면(804)에 완전히 장착된 제한기 모듈(820)을 가지는 펌프(800)를 도시하고 있는 반면, 도 36 내지 도 38 은 펌프(800)와 모듈(820)에 수용된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내기 위해 펌프 자체와 모듈(820)은 숨기거나 제거한 형태로 도시된 펌프(800)의 다른 부분 재단도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8A 의 상부 단면도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듈(820)은 밸브(821)와 모터(822) 및 밸브(821)에 움직임을 부여하기 위한 오프셋 캠(offset cam) 또는 신장부(823)를 포함한다. 모터(822)는 모듈(820) 내부에 포함될 수 있는 임의의 적합한 모터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모터는 전체적으로 작은 크기이며, 펌프(800)와 모듈(820)의 특정 구성을 형성해야 하는 제약에 적합하도록 되며, 이러한 모터(822)는 64:1 의 기어박스 비율(gearbox ratio)과 독일의 Dr. Fritz Faulhaber Gmbh & CO KG of Schoneich 의 파트 넘버(part number) ADM 0620-2R-V6-05 하에서 판매되는 것을 포함한다. 캠(823)은 오프셋 캠으로 디자인되어, 모터(822)에 의한 캠의 회전이 밸브(821)의 움직임을 유발하며, 이미 알려진 종래 기술의 많은 다른 구성도 이용될 수 있다. 각 구성요소들에 대해 어떤 디자인이 사용되던 간에, 각 구성요소들은 바람직하게는 펌프(800)으로부터 환자에게 투여되는 활성 물질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는 밸브(821)의 작동을 위한 모터(822) 작동과 이를 통한 캠(823) 움직임을 서로 돕는다. 전술된 캠은 단순한 편장의 형태로 회전을 통해 밸브(821)가 상기 캠의 얇은 부분에서 두꺼운 부분으로의 접촉하도록 함으로써, 필요한 움직임을 제공한다.
모듈(820)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들에 대한 일 예가 도 38B 에 도시되어 있다. 특히, 모터(822)와 연결된 축(823a)을 포함하는 기존 방식과 다른 캠(823)의 구성을 제시한다. 축(823a)은 편심의 캠 본체부(823b)를 움직이며, 이는 베어링(823c)을 회전 시킨다. 다른 베어링과 같이, 베어링(823c)은 내측부, 회전부 및 회전하지 않는 외측부를 포함한다. 밸브(821)의 특정 부위는 베어링(823c)의 외부에 맞붙어 위치하여, 이하에서 후술될 방식과 유사하게 움직인다. 짧게는, 모터(822)에 의한 축(823a)의 회전은 편심의 캠 본체부(823b)와 베어링(823c)의 내측부를 회전시킨다. 캠 본체부(823b)의 편심위치 때문에, 편심부의 회전에 따라 베어링(823c)은 이동한다. 이러한 특정한 구성에서 밸브(821)는 상기 밸브와 접촉하는 회전부재 없이 이동 가능하며, 베어링(823c)의 외측부는 회전 없이 간단히 이동하고 밸브(821)와 접촉한다.
도 37 내지 도 39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821)는 펌프(800)로부터 유출되는 활성 물질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는 메커니즘을 수행하기 위한 양 면의 바늘부(824)를 밸브 본체부(825) 내부에 포함한다. 도 37 은 두 개의 부분으로 구성된 바늘부(824a 및 824b)를 도시하고 있다. 임의의 실시예들에서, 상기 부분의 하나는(예를 들어, 부분 824b) 고무 또는 실리콘과 같은 유연한 물질이 코팅되어 있을 수 있다. 이 코팅은 밸브 본체부(825) 내부에서 (예를 들어, 통로를 차단하는 동안) 매우 까다로운 내성이 요구되지 않으면서 작동할 수 있다. 다른 말로 하자면, 그런 유연한 물질은 밸브 본체부(825)의 내측부에 따를 수 있다. 비록 조립 목적으로는 복수개의 부분으로 된 구성이 선호되지만, 하나의 부분으로 구성된 부재(824) 또한 채용될 수 있다. 밸브 본체부(825)는 모듈(820)의 다양한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는 물질에 형성된 홀로 코어(hollow core)를 구성한다. 바늘부(824)는 바람직하게는 고정부재들(826a 및 826b)에 의해 밸브 본체부(825)의 상기 홀로 코어 내부에 고정된다. 더욱 자세하게는, 밸브 본체부(825)는 모듈(820)의 본체부를 형성하기 위해 주물 또는 PEEK와 같은 물질을 가공하여 제작되며, 바늘부(824)와 공동작용을 통해, 상당히 오랜 기간 많은 기계적인 조립체에서 사용되어 온, 잘 알려진 바늘 밸브 조립체들의 그것의 특성과 유사한 상황을 만든다. 예를 들어, 도 39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늘부(824)의 본체부(825) 왼편으로 움직임은 통로(827)를 거쳐 통로(828)로 나아가는 모든 유체의 흐름을 차단한다. 이러한 통로들은 펌프(800)로부터 유출되는 유체가 필수적으로 지나가야 하는 진로이며, 펌프(800)로부터의 유체에 대한 진로와 관련해서는 이하에서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반대로, 도 39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늘부(824)의 본체부(825) 오른편으로 움직임은 유체가 통로(827)를 거쳐 통로(828)로 흐르게 허용한다. 분명하게, 종래의 선행기술로 알려진 바와 같이, 바늘부(824)의 본체부(825)와 관계에서 중간지점에의 위치는 위치에 따른 유량의 조절을 허용한다. 이 점에서, 바늘부(824)의 본체부(825) 내에서 움직임은 밸브 본체부(825)를 흐르는 유체의 움직임을 일반적으로 가로지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게다가, 밸브(821)는 양 면의 부재(824) 작동에 따라 환자에게로의 유체 흐름을 고르게 하는 특징을 가진다. 도 39A 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부재(824)의 잠금위치로의 움직임은, 참조번호 829 가 부여된, 통로들(827 및 828)의 왼편에 공간을 동시에 형성한다. 이 공간(829)은 부재(853)의 잠금 위치로의 이동에 따라 밸브가 잠길 때 통로들(827 및 828) 주위에 모이는 초과 유체가 환자의 신체로 투여되지 않도록 수용한다. 두 개의 부분(824a, 824b)의 바늘부(824)인 경우, 조립 중에, 하나는 본체부(825)에 형성된 상기 코어(core)의 각 면에 삽입될 수 있으며, 부분(824a, 824b)는 스냅(snap) 결합 또는 이와 유사한 결합을 통해 함께 조립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모터(822)와 오프셋 캠(823)은 상기 모터의 움직임에 따라 밸브(821)의 부재(824)를 도 39B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열림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디자인 된다. 일반적인 오프셋 캠(823)은 부재들(826a 및 826b)의 영향 하에서 일 방향으로의 회전을 통해 부재(824)를 밀게 되며, 다른 방향으로의 회전을 통해 부재(824)를 원래의 잠금위치로의 복귀를 허용하는 특징을 가진다. 이 점에서, 바늘부(824)를 본체부(825)에 연결하는 부재들(826a 및 826b)은 밸브(821)로부터의 유체 손실 없이 도 39A 및 도 39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왼쪽 및 오른쪽으로의 움직임을 허용하며, 이러한 부재들은 고무나 실리콘과 같은 유연한 물질로 구성되며, 바람직하게는 한 방향으로 치우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합된 부재들(826a 및 826b)은 도 39A 에 도시된 잠금위치로 부재(824)를 복귀시키도록 디자인될 수 있다. 반면에, 부재(853)의 잠금 또는 열림위치로의 되돌림을 위해 제 2 의 메커니즘이 제공될 수 있다. 적합한 구조들은 리프 스프링들(leaf springs) 및 추가적인 모터 메커니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부재들(826a 및 826b)은 티타늄 또는 금속과 중합물질을 모두 포함한 다른 물질들로 구성될 수 있으며, 최종적으로 부재들(826a 및 826b)은 밸브(821)로부터 유체 손실을 방지할 수 있는 추가적인 수단이 되는 오일(예를 들어, 실리콘 오일)을 포함하는 중심의 동공(cavity)을 포함할 수 있다.
제한기 모듈(820)은 또한 바람직하게는 센서 시트(832 및 833, 도 40 및 도 41 에 잘 나타남)에 위치한 2 개의 압력 센서(830 및 831, 도 35 에 잘 나타남), 고정된 유량 제한기 또는 제한기(834, 도 40 에 잘 나타남), 다양한 전자적 구성요소를 탑재한 전자기판(835) 및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배터리(836)을 수용한다. 압력센서(830 및 831)는 고정된 제한기(834)의 어느 한 편을 흐르는 유체의 압력을 측정하기 위해 위치하고 사용된다. 예를 들어, 센서(830)는 챔버(806)으로부터 유출되는 약제 또는 다른 활성 물질의 초기 압력을 감지하기 위해 위치하며, 센서(831)는 고정된 제한기(834)를 통과한 물질의 압력을 측정하기 위해 위치한다. 이것은 펌프(800)로부터 유출되는 압력 및 밸브(821)로의 유체유입 직전의 유체 압력 측정을 제공한다. 분명히, 밸브(821)의 막힘이 증가할수록, 압력을 높아지게 되며, 반대의 경우는 낮아진다. 이러한 압력 측정은 펌프(800)로부터 유출되는 활성 물질의 유량을 결정하기 위해 기판(835) 상에 장착된 임의의 다양한 전자 구성요소들 수행된다. 물론, 이러한 일은 다양한 방식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며, 당업자에게 이러한 일을 수행하기 위한 전자적인 아키텍쳐의 적용은 물론 유량 계산 방법에 대해 쉽게 알 수 있다. 전술된 하나의 실시예에서 펌프(800)는 스위스, Intersema Sensoric SA of Bevaox 에 의해 제조되고, MS 5401 파트 넘버(part number)로 판매되는 센서(830 및 831)를 사용한다. 배터리(836)는 전원이 요구되는 모듈(820)의 다양한 구성요소에 전원을 제공하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사용된다. 예를 들어, 배터리(836)는 다른 구성 요소들 중에 모터(822), 임의의 센서(830 및 831) 및 다양한 전자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도 35 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배터리(836)는 모듈(820)에 형성된 컷 아웃(837, cut out) 내부에 맞도록 바람직하게는 디자인되며, 2 개의 배터리는 다른 구성요소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디자인된다.
사용면에서, 펌프(800)의 작동은 (모듈(820)의 부착상태에서) 펌프(700)의 작동과 다르지 않다. 활성 물질 또는 다른 유체는 상층부(801)의 출구개구부(817)를 통해 펌프(800)의 상부 챔버(806)로부터 바람직하게는 유출된다. 이 개구부는 펌프(700)의 개구부(730)과 유사하며, 제한기 모듈(820)의 아래면에 위치한 입구개구부(817’, 도 45 에 잘 도시되어 있다.)와 함께 연동되도록 바람직하게는 디자인 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제한기 모듈(820)의 아래면에 위치한 출구개구부(818’, 도 45 에 잘 도시되어 있다.)는 상층부(801)에 있는 입구개구부(818)와 함께 연동되도록 바람직하게는 디자인되어 있다. 이를 통해 유체는 출구 도관(819)으로 보내지게 되고, 최종적으로 카테터(도면에서는 보이지 않는다.)를 통해 환자 신체의 부위로 보내지게 된다. 이러한 개구부들의 알맞은 배열을 위해 모듈(820)에 형성된 기구들(813a’및 813b’, 도 44 및 도 45 에 잘 도시되어 있다.)이 펌프(800)의 상층부(801)에 위치한 기구들(813a 및 813b)과 각각 맞추어지도록 디자인된다. 또한, 펌프(800)는 돌출부(817 및 818) 근처에 각각 위치하는 개구부(852 및 854, 도 32 에 잘 도시되어 있다.)를 포함한다. 이들 개구부는 돌출부(856 및 858, 도 45 에 잘 도시되어 있다.)를 수용하기 위해 디자인된다. 따라서, 상기 디자인은 필연적으로 펌프(800)의 모듈(820) 배열을 확보하기 위한 4 개의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비록 많은 다른 결합 메커니즘이 펌프(800)에 모듈(820)을 결합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지만, 도면에서는 나사(814a 및 814b)가 도시되었다. 펌프(800)로부터의 유체 유출과 펌프(700)로부터의 유체 유출간의 중요한 차이점은 모듈(820)을 통해 유출되는 경로에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이하 후술한다.
도 38 내지 도 43 는 모듈(820)을 경유하는 유체 흐름을 위한 다양한 통로들에 대해 도시하고 있다. 도 40 과 관련해서, 일단 모듈(820)으로의 진입이 허용된 유체는, 바람직하게는 제 1 통로(838)를 통해 초기 압력 측정이 이루어지는 제 1 압력센서(830)로 향한다. 대신에, 비록 펌프(800)의 상층부(801)에 별개의 개구부의 형성이 필요하지만, 제 1 센서(830)를 통해 초기 압력 측정이 가능하도록 별개의 개구부와 통로가 제공될 수 있다. 초기 압력의 측정 이후, 상기 유체는 제 2 통로(839)를 통과하여 고정된 제한기(834)로 들어간다. 도 40 내지 도 41 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된 제한기(834)는 필라멘트(841)가 그 속에 배치된 유리 모세관(840) 또는 이와 유사한 것을 포함한다. 모세관(840)은 만곡되어 있으며, 필라멘트(841)는 한 편으로 치우쳐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이러한 구조는 그 속을 통과하는 유체의 유량을 감소시키는 데 적합하다. 모세관을 대신하여, 만곡된 통로가 모듈(820)의 물질에 형성될 수 있으며, 필라멘트(841)는 동일하게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고정된 제한기(834)를 통과한 유체는 바람직하게는 통로(842)로 흐른다. 이 통로는 제 2 센서(831, 제 2 압력 측정이 이루어지는 곳) 및 상기 바늘 밸브(821)로 이어지는 통로(827)로 분기된다. 또한, 적어도 통로(839)는 정상적인 유체흐름을 이끄는 섹션을 포함한다. 이점에서, 일부 유체는 이 방향으로 흐를 수 있지만, 유체의 축척에 따라, 폐쇄된 섹션은 유체를 고려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원인이 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러한 보조 통로들은, 이하에서 후술될 바와 같이, 모듈(820)의 제작과정 중간에 제공될 수 있다. 일단 밸브(821)로 전달되면, 부재(824)의 본체부(825) 내에서의 위치에 따라 환자에게 투여되는 유량이 결정된다. 외부의 힘(예를 들어, 유량을 감소시키는 밸브(821))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최대 유량은 항상 챔버(806)로부터의 유량에서 고정된 유량 제한기(834)에 의한 감소분을 감안한 것이 된다.
도 42 및 도 43 은 밸브(821)를 나오는 유체가 취하는 통로에 대해 추가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보다 자세하게는, 밸브(821)를 나오는 유체는 통로(828)로 진입하며, 모듈(820)의 외부로 유체를 유도하는 통로(843)로 들어간다. 그 이후, 상기 유체는 펌프(800)의 통로(844)를 따라 이동되며, 출구 도관(819)를 통과한다. 이를 통해 최종적으로 유체는 카테터(도면상에서 도시되지는 않았다.)를 통해 환자의 부위로 투여되며, 하나 또는 두 부분의 카테터를 포함하여, 제한없이 임의의 카테터가 채용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 카테터와 펌프(800)의 출구 도관(819) 사이에는 특정의 결합 메커니즘이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여기에 포함되어 설명되는 것으로 보는 하인들(Haindl)에 대한 미국 특허 제 5,423,776 호는 유연한 카테터를 구(port)에 체결하기 위한 탄력적인 결합에 대해 제시하고 있으며, 이는 본 발명에서의 결합에도 사용될 수 있다.
펌프(800) 및 제한기 모듈(820)의 제작은 많은 다양한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듈(820)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은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위치된 이후 전술된 PEEK 물질과 같은 재료를 주입해 사출 성형될 수 있다. 다른 적합한 물질 역시 사용될 수 있으며, 또한 주물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이 배치된 용구의 용기를 형성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물체의 용기는 도 46 에 도시되어 있다. 전술된 주물 단계 이후에, 유체가 정상적으로 모듈(820)을 통과하는 데 필수적인 통로들을 용구에 구멍을 뚫어 만들 수 있다. 모듈(820)의 상대적으로 작은 특성 때문에, 이러한 드릴 과정은 바람직하게는 모듈(820)을 형성하는 용구의 외부로부터 내부로의 구멍 뚫기를 포함한다. 유체 통로를 형성하는 경로들의 필요한 연결을 위해, 다른 각도에서의 복수 번의 구멍 뚫기 작업이 바람직하게는 수행된다. 일단 필요한 통로들이 만들어지고 적합한 유체 경로가 모듈(820)에 설치되면, 구멍 뚫기 작업을 위해 생기게 되어, 남아 있는 불필요한 외부의 구멍들은 에폭시나 다른 적합한 물질로 막게 된다. 모듈(820)을 제조하기 위한 이러한 방법은 유체 흐름 경로로부터 연장되어 나온 통로를 포함하는 전술한 통로(839)에 명시되어 있다. 물론, 유체가 챔버(806)로부터 모듈(820)으로, 모듈(820)로부터 유체가 흐를 수 있도록 하는 각각의 개구부(817’및 818’)와 같은 몇몇의 개구부는 남겨져야 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밸브 본체부(825)는 바람직하게는 모듈(820)의 용구에 주물 또는 압착에 의해 부착된다. 따라서, 제한기 모듈(820)은 펌프(800)와 함께 작동할 수 있는 하나의 독립한 구성요소이다.
도 44 및 도 45 는 펌프(800)와 모듈(820)의 분해 결합도를 나타내고 있다. 모듈(820)의 펌프(800)로의 바람직한 부착을 통해 사용 도중에 구성요소들이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들이 두 부재의 고정 결합을 위해 사용되었고, 나사들은 단순히 모듈(820)을 펌프(800)에 고정시키는 것 이외에도 전자기판(835)을 모듈(820)에 죄어 단속하고(도 35 및 도 36 에 잘 도시되었다.), 그것에 의해 모듈(820)에 있는 시트(822a)의 모터(822)는 물론 시트(832)에 위치한 센서(830)와 시트(833)에 위치한 센서(831)를 고정하고 있으며(도 46), 다르게는, 이러한 센서들이 회로 기판의 힘을 받지 않는 빈 공간에 부착될 수 있다. 모듈(820)의 펌프(800)와의 결합방식에 상관없이, 펌프(800)와 모듈(820)간에 연결되는 통로들(예로써 817/817’및 818/818’)의 정렬뿐만 아니라 부적절한 유체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밀실한 경계면을 가지도록 바람직하게는 디자인되어야 하며, O-링은 이러한 결합뿐만 아니라, 상기 센서들과 상기 시트들의 결합에도 제공될 수 있다.
도 36, 도 37 및 도 42 내지 도 45 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펌프(800)는 상부면(804)의 어깨부(816)에 끼워진 캡(845)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캡은 바람직하게는 신체의 환경으로부터의 모듈(820) 덮개로 제공된다. 또한, 모듈(820)의 특정 또는 전체 구성요소(예를 들어, 배터리(836), 모터(822), 센서들(830 및 831), 회로 기판(835) 등)는 용접 밀폐된 패키지 또는 매몰 가능한 의료 기기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패키지(도 49A 및 도 49B 에서 개략적으로 도시된 요소 844b)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많은 다양한 형태의 용접 밀폐 패키지는 당업자가 인식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하에서 후술될 바와 같이, 어떤 구성요소들은(예를 들어, 안테나(844c)) 펌프(800)와 모듈(820)의 적절한 작동을 위해 이러한 패키징으로 형성된 벽을 뚫고 외부로 돌출될 필요(다만, 여전히 캡(845)의 아래에 존재)가 있다.
도 47 및 도 48 은 모듈(820) 및 펌프(800)에 사용되기 위한 하나의 적합한 회로 기판(835)를 명확하게 나타내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 기판은 프로세스 칩(846), 칩(846)에 의해 작동되는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847), 배터리로부터의 전원을 축적하기 위한 축전기(848), 센서(830)의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제 1 증폭기(849), 센서(831)의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제 2 증폭기(850), 센서들(830 및 831)로부터 수신 받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전환하기 위한 듀얼 채널 아날로그 디지털 컨버터(851), 요구되는 프로그램을 메모리(847)에 로딩하기에 유용한 인풋 패드(853), 전원부(854), 모터 드라이버 섹션(855) 및 라디오 리시버/트랜스미터 섹션(856)를 포함하여 여러 전자적 구성요소를 가진다. 센서들(830 및 831)은 기판(835)의 아래면에 제공되는 트레이서(traces)와 전자적으로 연결된 패드들(pads)을 포함한다. 비록 도 47 및 도 48 에서 실제 기판(835)의 작동 실시예를 도시(전통적인 회로 트레이서, 제한기, 컨택 포인터 등과 함께)하고 있으나, 도 49A 및 도 49B 에 도시된 본 발명인 펌프의 요구되는 기능성을 달성하기 위해 전자공학분야에서의 당업자가 인식할 수 있는 많은 다른 형태의 연결과 회로 구성요소가 사용될 수 있다.
도 49A 및 도 49B 에서는 모듈(820)과 펌프(800)의 일반적인 작동을 도시하고 있는 블록도를 나타내고 있다. 이들 도면에 의해 명확하게 제시되는 바와 같이, 프로세스 칩(846)은 센서들(830 및 831)에 의해 얻어지는 정보를 받는 동시에 고정된 유량 제한기(834)를 통해 유량에 대한 즉각적인 지시를 제공한다. 환자에게 요구되는 유량은 라인(844a)을 통해 상기 프로세스에 제공되고, 고정된 유량 제한기를 통과하는 측정된 유량과 상기 프로세스에서 비교하게 된다. 만약 요구되는 유량이 고정된 유량 제한기(센서(830) 및 센서(831)에 의해 감시)를 통해 흐르는 현재 유량과 차이가 있다면, 모터(822)가 밸브(821)의 부재(824)를 움직이도록 하여 유량을 변화시킨다. 모터(822)는 고정된 제한기를 통해 측정된 유량이 요구되는 유량과 동일하게 될 때까지 밸브(821)의 부재(824)를 움직이고, 그 점에서 새로운 유량에 대한 요구가 있기 전까지는 모터(822)는 정지하며, 새로운 시점에서 상기 과정이 반복된다. 비록 많은 다른 형태의 프로세스 칩이 모듈(820)에 사용될 수 있지만, 펌프(800)의 크기와 형태의 제약에 따라야 한다. 예를 들어, 상기 도면들에 도시된 칩(846)은 기판과 캡(845) 사이에 위치하는 상층부 기판(835)에 맞도록 디자인 되었다. 제시된 상기 특정의 칩은 Microchip Technologies of Chandler, AZ 에 의해 제조되고 파트 넘버(part no.) PIC18LF2580 하에서 판매되는 것이다.
전술된 모듈(820)은 연속적인 프로세스 보다는 단속적인 프로세스로 작동할 수 있도록 디자인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실시예에서, 모듈(820)은 센서들(830 및 831)을 통해 압력 측정을 매 15 분 마다 하도록 디자인 된다. 유사하게, 같은 실시예에서, 모듈(820)은 밸브(821)를 한 시간에 한 번씩 움직이도록 디자인 된다. 이러한 형태의 작동은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유량을 수정하는 방식에 비해 평균적인 약제의 요구 유량의 투여를 보다 용이하게 하며, 이러한 형태의 운영은 확연하게 배터리의 수명과 모듈(820)을 구성하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의 전체적인 내구연한을 증가시킨다. 그러나, 모듈(820)은 실시간을 포함하여, 임의의 시간 간격으로도 작동되도록 디자인 될 수 있음에 대해 이해되어야 한다. 도 49A 및 도 49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듈(820)은 바람직하게는 시스템의 온도, 배터리 전압 및 전원의 전압을 모니터링 하도록 또한 허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조건들의 모니터링을 위한 센서들에 대해서는 명확화를 위해 도 49A 및 도 49B 에서 844d, 844e, 844f 의 참조번호가 부여되었다. 임의의 적당한 센서들이 상기 목적을 위해 채용될 수 있으며, 측정은 임의의 시간간격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실시예에서는 시스템의 안정을 확보하기 위해 매 초 마다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라디오/리시버 구성요소들을 빈번히(예를 들어 15 초 마다) 켜고 끄는 것도 고려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센서(830 및 831)에서 방출되는 전자적 신호들의 상쇄에 대해서도 고려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전술된 실시예의 센서들에서, 상쇄는 최대 40 플러스 또는 마이너스 밀리볼트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정확한 압력의 측정과 이에 따른 정확한 유량 측정을 위해서는 이러한 상쇄에 대해 사전에 결정되고 보정되어야 한다. 이를 위한 하나의 방법은 밸브(821)을 잠금으로써 펌프(800)로부터 환자에게로 유체의 흐름이 발생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가능한 방법이 있으며, 이의 결과로 모듈(820)에 축적된 압력이 동일해지고, 센서(830)와 센서(831)에 가해지는 압력도 동일해 짐에 따라 각각의 센서로부터의 측정치도 동일해지게 된다. 그러나, 전술한 상쇄 때문에, 측정값은 달라지게 되고, 센서(830)와 센서(831)의 이 점에서의 측정치가 프로세스 칩(846)으로 전송되며, 측정치간의 차이(존재한다면)는 등록되어 이후의 유량 계산에서 고려된다. 이러한 상기 상쇄에 대한 계산은 정확한 압력과 유량의 측정을 담보하기 위해 정기적으로 다시 고쳐지며, 이러한 보정 단계는 임의의 기간 또는 임의로 설정된 간격에 따라 수행된다. 예를 들어, 하나의 실시예에서, 이러한 상쇄 보정 과정은 하루에 한 번 수행된다.
펌프(800)와 모듈(820)을 통해 제공되는 하나의 주요한 이점은 전체적인 약제 투여가 의사나 환자에 의해 관찰될 수 있다는 사실에 있다. 이 것이 환자에게 투여되는 약제의 양을 탐지하기 위해서는 고통스럽고 침습시술이 요구되는 잘 알려진 매몰 가능한 펌프와 상이한 점이다. 전술된 바와 같이, 환자에게 투여되는 특정의 유량은 최소한 정기적으로 모듈(820)에 의해 관찰된다. 몇몇의 경우에 있어, 이러한 유량은 특정의 시간 동안의 평균 유량으로 저장된다. 컨트롤러(이하에서 후술)는 투여되는 약제의 양을 측정된 유량 또는 평균 유량에 근거하여 계속적으로 기록할 수 있도록 디자인 될 수 있다. 따라서, 환자 또는 의사는 투여되는 약제나 펌프(800) 내부에 남아있는 약제의 양을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제공하는 게이지(컨트롤러 속에 부착될 수 있다.)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후자는 펌프(800)에 초기 제공되는 양이 기준이 될 수 있다. 이것이 펌프(800)와 이와 함께 작동하는 모듈(820)에 의해 제공되는 매우 중요한 이점이다.
따라서 투여되는 약제의 양은 평균 유량(또는 실시간 유량)에 펌프(800)로부터 유량이 유출된 시간의 곱으로 결정되며, 각각의 다른 시간에 따라 투여된 개별적인 약제양의 합을 통해 전체 약제의 투입량이 계산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센서들(830 및 831)에 의해 임의의 간격으로, 예를 들어 매 15 분 마다, 측정이 이루어진다. 평균 유량을 유지하기 위해 이러한 측정과 밸브(821)의 위치 변경은 실 유량이 요구 유량과 특정 범위 이상의 차이가 발생되는 경우에 한해 수행된다. 예를 들어, 특정의 실시예들에서는, 전체 유량에서 10% 의 차이가 발생되는 경우에 유량 변경을 위한 동작이 일어난다. 따라서, 만약 펌프가 요구 유량에 비해 10% 작은 실 유량을 보이는 경우, 평균 유량을 안정화시키기 위한 변경이 수행되며, 이러한 경우 밸브(821)는 요구되는 유량보다 다소 높은 유량을 허용하기 위한 움직임을 가지게 된다. 이에 따라 특정 시간의 경과 후 평균 유량을 균등하게 한다. 물론, 만약 평균 유량이 요구 유량에 비해 10% 또는 그 이상의 차가 발생하는 경우, 밸브(821)는 보다 유량을 감소시키도록 움직일 수 있다. 구성요소들의 마모 또는 이와 유사한 사정에 의해 초래되는 사소한 차이 또한 모니터링하고 유량을 조절하는 이러한 방식을 통해 처리될 수 있다. 다시 한번, 이러한 방식은 특정한 펌프(800)의 동력원의 지속적인 사용을 방지하여, 수명을 증가시킬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제한기 모듈(820)은 환자에게 사전에 결정된 양의 활성 물질을 적절하게 투여하기 위해 원격으로 조절될 수 있다. 이런 외부 컨트롤러들은, 트랜스미터 RF, 자계(磁界) 또는 전계(電界), 또는 다른 신호와 같이 당해 기술분야에서 잘 알려지고, 의사나 다른 의료 전문가 또는 신체에 매몰된 펌프(800)를 가지는 환자들에 의해서도 쉽게 작동될 수 있도록 디자인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9A 는 PC와 함께 연계되어 사용되는 펌프(800)을, 도 49B 는 핸드헬드 기기와 연계되어 사용되는 펌프(800)를 묘사하고 있다. 핸드헬드 기기는 독립된 기기이거나 다른 유용한 장치와 함께 사용되는 임의의 적합한 기기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과 함께 연계되어 사용될 수 있는 컨트롤러는 blackberry, PDA나 다른 핸드헬드 기기에 포함될 수 있다. 안테나(844c)는 기판(835)과 캡(845) 사이에 위치하며, 기판(835)의 라디오 리시버/트랜스미터 섹션(856)과 연동된다. 바람직하게는, 이 안테나는 사용될 수 있는 임의의 용접 밀폐된 패키지로부터 돌출되어 명확한 전송을 담보할 수 있다. 펌프(800)의 작동은, 그리고 특히 제한기 모듈(820)에 있어서, 펌프(800)로부터의 요구되는 유량을 생산하기 위하여 다른 알고리즘 또는 프로그램의 실행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것 또한 당해 기술분야에서는 이미 잘 알려져 있고 외부에서 또는 배선에 의해 모듈(820)에 접속되어 프로그램 될 수 있다. 전술된 인풋 패드(853)는 다른 프로그램을 메모리(847)에 로딩하는 데 유용할 수 있다.
다른 제한기 모듈(820)의 디자인도 채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많은 다른 제조 공정이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듈(820)에는 보다 많거나 보다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을 포함되도록 계획될 수 있다. 또한, 도 35 내지 도 46 에서 도시된 모듈(820)은 단순히 하나의 적합한 실시예에 지나지 않으며, 내부에 배치된 구성요소들의 다른 조합은 물론, 다른 형태와 크기를 채용한 다른 모듈들도 계획될 수 있다. 또한 전술된 바와 같이, PEEK 또는 이와 유사한 물질로 구성될 수도 있지만, 펌프(800) 및/또는 모듈(820)은 생체적합 가능물질 또는 그들의 조합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층부(801) 및 펌프(800)의 메인 수용부의 다른 부분들은 PEEK 물질로 구성된 반면, 제한기 모듈(820)이나 모듈(820)의 다른 구성요소들은 금속소재의 물질로 둘러싸여 있을 수 있다. 마찬가지로, 모듈(820)의 펌프(800)로의 부착은 많은 다양한 방식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마지막으로, 펌프(800)과 같은 펌프와 함께 사용될 수 있는 일정 유량 제한기 모듈의 제공이 계획될 수 있다. 도 50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듈(820’)은 펌프(800)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일정 유량 모듈(820’은 펌프(800)에 부착되기 위해 모듈(820)과 유사한 부착 구성요소(예를 들어, 전술된 나사(814a 및 814b)및 이와 함께 사용되는 장치(813a’및 813b’))를 사용하지만, 펌프로부터 유출되는 유체의 유량 조절에 유용한 다양한 구성을 포함하지는 않는다. 도 50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듈(820’)은 전반적으로 유사한 크기와 형태를 가지나, 하나의 고정된 유량 제한기(834’)를 가지며, 챔버(806)으로부터 유체를 받기 위한 제 1 사이드(834a’) 및 펌프(800)의 출구 도관(819)을 경유하는 최종적인 유체 투여를 위한 제 2 사이드(834b’)를 포함한다. 따라서, 사용에서, 펌프(800)의 챔버(806)로부터 배출된 유체는 제한기(834’)로 들어간다. 특정의 유량만 허용되는 모듈(820’)의 제공은 명확하게 계획되어야 하며, 이러한 유량은 펌프(800)의 챔버(806)로부터의 생산 가능 유량보다 작은 수준에서 신중하게 디자인되어야 한다. 특히, 모듈(820’)을 통과하는 유체의 유량은 제한기(834’)의 지름에 따라 결정되어, 보다 큰 지름은 보다 빠른 유량을, 보다 작은 지름은 보다 작은 유량을 허용한다. 고정된 유체 제한기(834)와 같이, 제한기(834’)는 그 속을 통과하는 유체의 유량을 추가적으로 제한하기 위해 필라멘트를 채용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51 은 펌프(800)에 모듈(820’)이 부착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캡(845)은 완전히 조립된 상태에서 추가적으로 펌프(800)에 연결되어 펌프 시스템의 매몰이 준비된다.
비록 여기에서의 발명은 특정의 실시예를 참고하여 기술되었지만, 이러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원리와 이용에 대한 단순한 일 예들에 지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추가된 청구범위에서 정의된 본 발명의 진의와 범위에서 벗어남이 없이 상술된 실시예들에 대한 수많은 변형이 만들어지고, 다른 배열들에 대한 고안될 수 있는 것에 대해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소형화되어 매몰 가능한 펌프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는 도 1 에서 제시된 상기 매몰 가능한 펌프의 바닥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은 도 1 에서 제시된 상기 매몰 가능한 펌프의 결합부위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형화되어 매몰 가능한 펌프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형화되어 매몰 가능한 펌프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형화되어 매몰 가능한 펌프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 은 본 발명과 관련해 이용할 수 있는 매몰 가능한 고정 유량 펌프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은 본 발명과 관련해 이용할 수 있는 매몰 가능한 다른 형태의 고정 유 량 펌프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모세관의 중심에 필라멘트가 위치한 변동 유량 제한기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A 는 도 9 에서 제시된 변동 유량 제한기가 초기 상태에 있는 경우에 나타나는 길이 방향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B 는 도 10A 에서 제시된 변동 유량 제한기가 연장된 상태에 있을 경우에 나타나는 길이 방향의 단면을 제시한 도면이다.
도 11A 는 본 발명의 모세관의 편심에 필라멘트가 위치한 변동 유량 제한기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B 는 도 11A 에서 제시된 변동 유량 제한기가 만곡된 형태의 모세관을 가진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A 는 도 11A 에서 제시된 변동 유량 제한기가 초기 상태에 있는 경우에 나타나는 길이 방향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B 는 도 12A 에서 제시된 변동 유량 제한기가 연장된 상태에 있을 경우에 나타나는 길이 방향의 단면을 제시한 도면이다.
도 13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변동 유량 제한기의 길이 방향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변동 유량 제한기의 길이 방향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 는 도 14 에서의 유량 제한기에 사용되는 추진체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변동 유량 제한기의 단면을 나타내는 것으로 높은 저항을 가지는 경우의 도면이다.
도 17 은 도 16 에서 제시된 변동 유량 제한기의 단면으로 낮은 저항을 가지는 경우의 단면이다.
도 18 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인서트(insert)가 중심에 위치하고 있는 변동 유량 제한기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 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인서트(insert)가 편심에 위치하고 있는 변동 유량 제한기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 은 도 18 에서 제시된 변동 유량 제한기의 길이 방향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1 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인서트(insert)가 중심에 위치하고 있는 변동 유량 제한기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2 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인서트(insert)가 편심에 위치하고 있는 변동 유량 제한기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3 은 도 21 에서 제시된 변동 유량 제한기의 길이 방향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4 는 도 22 에서 제시된 변동 유량 제한기의 길이 방향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5 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인서트(insert)가 중심에 위치하고 있는 변동 유량 제한기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6 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인서트(insert)가 편심에 위치하고 있는 변동 유량 제한기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7 은 도 25 에서 제시된 변동 유량 제한기의 길이 방향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8 은 도 25 에서 제시된 변동 유량 제한기의 길이 방향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9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매몰 가능한 펌프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0 은 도 29 에서의 매몰 가능한 펌프의 단면을 다른 부분을 따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1 은 도 29 에서의 도시된 매몰 가능한 펌프의 부분적인 상부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2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부 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3 은 도 32 에서 도시된 펌프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4 는 도 32 에서 도시된 펌프의 다른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5 는 도 32 에서 도시된 펌프에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변동 유량 모듈을 부착한 상태에 대한 상부 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6 은 도 35 에서 제시된 펌프와 모듈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7 은 도 35 에서 제시된 펌프와 모듈의 다른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8A 는 도 35 에서 제시된 펌프와 모듈의 상부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8B 는 오프셋 캠 또는 밸브에 움직임을 가하는 연장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상부 확대도 이다.
도 39 a 및 도 39B 는 도 35 에서의 모듈에서 이용되는 밸브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0 은 도 35 에서의 펌프와 모듈의 상부 투시도로 설명을 위해 모듈의 일부 구성은 투명하게 또는 삭제한 도면이다.
도 41 은 도 35 에서의 펌프와 모듈의 측면 투시도로 모듈의 일부 구성은 설명을 위해 삭제한 도면이다.
도 42 는 도 35 에서의 펌프와 모듈의 다른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3 은 도 42 를 확대한 것으로 설명을 위해 일부 구성은 투명하게 처리한 도면이다.
도 44 는 도 35 의 펌프와 모듈의 상부 분해 투시도이다.
도 45 는 도 35 의 펌프와 모듈의 하부 분해 투시도이다.
도 46 은 설명을 위해 모듈의 일부 구성을 제거한 도 46 의 펌프와 모듈의 상부 투시도이다.
도 47 은 도 46 의 펌프와 모듈 중 모듈의 전자기판을 중심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8 은 도 46 의 전자기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9A 는 도 35 에 도시된 펌프와 모듈이 PC와 연계되어 작동하는 일반적인 순서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9B 는 도 35 에 도시된 펌프와 모듈이 핸드헬드 기기와 연계되어 작동하는 일반적인 순서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0 은 매몰 가능한 펌프에 사용되는 고정 유량 모듈의 투시도이다.
도 51 은 도 50 에서의 고정 유량 모듈이 도 32 의 펌프와 체결된 모습을 나타낸 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은 다양하게 변화하는 환자의 신체상태에 즉각적인 대응 및 주사나 약의 복용 등으로 인한 약물의 오남용을 방지하기 위하여, 의사, 의료 전문가 또는 신체 내부에 매몰된 펌프를 가지고 있는 환자들이 오작동 등의 위험 없이, 환자의 신체 상태에 따라 약제 등의 활성 물질(active substance)을 신체 내로 고정 유량 또는 변동 유량으로 쉽게 투여 가능한 신체 내 매몰 형태의 펌프 제공이 필요하며, 또한 전체적인 약제의 투여량이 외부에서 손쉽게 관찰할 수 있도록 하여 약물의 오남용 등을 추가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수단의 제공이 필요하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서의 제 1 실시예에서는 환자에게 활성 물질을 고정 또는 변동 유량으로 투여가능한 매몰 가능한 주입 펌프 시스템(implantable infusion pump)에 있어서, 활성 물질 챔버(active substance chamber), 출구 도관(outlet duct) 및 상부면을 포함 하는 수용부를 포함하는 고정 유량 펌프(constant flow pump) 및 고정 유량 펌프의 상부면과 접하는 하부면을 가지며 활성 물질의 챔버와 출구 도관 사이의 유체 전달을 지원하는 분리 가능한 모듈을 포함하는 매몰 가능한 주입 펌프 시스템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따른 제 2 실시예에서는 수용부에 추진체(propellant) 챔버, 활성 물질 챔버와 추진체 챔버를 분리하는 제 1 유동막(flexible membrane) 및 제 1 유동막과 함께 상기 추진체 챔버를 둘러싸는 제 2 유동막을 더 포함하는 매몰 가능한 주입 펌프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서의 제 3 실시예에서는 수용부가 상층부와 하층부를 더 포함하고 활성 물질 챔버의 보충이 가능한 제 1 개구부(opening) 및 출구 도관으로 유체의 직접 주입이 가능한 제 2 개구부를 포함하며, 제 1 개구부와 제 2 개구부는 격막(septa)에 의해 덮여 있는 매몰 가능한 주입 펌프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서의 제 4 실시예에서는 주입 펌프를 조립하기 위해 상기 모듈의 하부면을 상기 수용부의 상부면과 나사를 이용하는 결합부재를 통해 결합시키고, 그 사이에 막이 고정되도록하는 매몰 가능한 주입 펌프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 2 측면은 주입 펌프를 매몰하는 방법에 있어서, 변동(variable) 또는 고정 유량 펌프(constant flow pump)를 수요에 따라 결정하는 결정단계, 상기 결정단계에 따라 펌프 수용부와 모듈을 선택하되, 상기 모듈은 변동 및 고정 유량의 모듈 중에서 선택되는 것인 선택단계, 상기 주입 펌프를 조립하 기 위해 상기 모듈의 하부면을 상기 수용부의 상부면과 결합시켜, 상기 유량 제한 모듈이 상기 수용부와 유체 전달하도록 하는 결합단계 및 환자의 신체에 상기 주입 펌프를 매몰하는 매몰단계를 포함하는 주입 펌프를 매몰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 2 측면에서의 제 1 실시예에서는 주입 펌프를 매몰하는 방법에 있어서, 변동 또는 고정 유량 펌프에 대한 니즈(need)를 결정하는 결정단계, 상기 결정단계에 기초하여, 펌프 수용부와 모듈을 선택하되, 상기 모듈은 변동 유량 모듈 및 고정 유량의 모듈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선택단계, 상기 주입 펌프를 조립하기 위해 상기 모듈의 하부면을 상기 수용부의 상부면과 결합시켜 상기 제한기(restrictor) 모듈이 상기 수용부와 유체 전달하도록 하는 결합단계 및 환자의 신체에 상기 주입 펌프를 매몰하는 매몰단계를 포함하는 주입 펌프를 매몰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 2 측면에서의 제 2 실시예에서는 환자 내의 특정 부위로 활성 물질을 전달하기 위해 상기 펌프 수용부의 출구 도관에 카테터(catheter)를 부착하는 카테터 부착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출구 도관에 상기 카테터를 분리 가능하도록 부착하는 주입 펌프를 매몰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 2 측면에서의 제 3 실시예에서는 상기 펌프 수용부를 형성하기 위해 상층부와 하층부를 함께 나사결합하는 나사결합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펌프 수용부의 상기 상층부와 상기 하층부의 사이에 유동막을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주입 펌프를 매몰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 2 측면에서의 제 3 실시예에서는 상기 펌프 수용부에 형성된 활성 물질 챔버에 유체를 주입하는 주입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펌프 수용부에 형성된 보충구(replenishment port)를 통해 유체를 주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주입 펌프를 매몰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 3 측면은 환자에게 활성 물질을 변화하는 유량으로 투여 가능한 매몰 가능한 주입 펌프에 있어서, 상부면, 활성 물질 챔버, 제 1 유동막에 의해 상기 활성 물질 챔버와 분리된 추진체 챔버를 포함하는 수용부, 카테터가 부착된 출구 도관, 상기 활성 물질 챔버와 유체 전달하는 출구개구부 및 상기 출구 도관과 유체 전달하는 입구개구부를 포함하는 고정 유량 펌프 및 상기 고정 유량 펌프의 상기 상부면과 접하는 하부면, 상기 수용부의 상기 출구개구부와 유체 전달하는 상기 하부면에 형성된 입구, 상기 수용부의 상기 입구개구부와 유체 전달하는 출구, 밸브 본체부의 내에 위치하며 길이 방향을 따라 종방향으로 변화하는 단면의 형태를 가지는 니들밸드부, 상기 밸브 본체부 내에서 상기 니들부를 종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수단, 상기 모듈의 상기 입구 및 상기 밸브 본체부의 사이에서 유체 전달하는 고정된 유량 제한기 및 상기 고정된 유량 제한기의 양 측에 위치하며 압력을 측정하는 제 1 및 제 2 압력센서를 포함하는 분리 가능한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펌프 시스템의 작동 중, 상기 추진체 챔버로부터의 압력에 의해 상기 활성 물질 챔버에 서 유출되는 유체는, 상기 수용부의 상기 출구개구부, 상기 모듈의 상기 입구, 상기 제 1 압력센서를 지나, 상기 고정된 유량 제한기, 상기 제 2 압력센서, 상기 모듈의 상기 밸브 본체부, 상기 모듈의 상기 출구, 상기 수용부의 상기 입구개구부, 상기 출구 도관 및 카테터를 통과하는 것인 매몰 가능한 주입 펌프 시스템이 제공 된다.
본 발명의 제 4 측면은 매몰 가능한 주입 펌프로부터 투여되는 약제의 양을 모니터링 하는 방법에 있어서, 투여되는 상기 약제를 내부에 수용한 펌프를 제공하는 제공단계, 상기 펌프로부터 변화하는 실제의 유량 속도(actual flow rate)로 적어도 일정량의 상기 약제를 투여하는 투여단계, 적어도 2번 이상의 다른 시간에 상기 펌프로부터 유출되는 상기 약제의 상기 실제 유량을 측정하는 측정단계, 상기 실제 유량과 관계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단계 및 상기 실제 유량과 관계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약제의 전체적인 투입양을 계산하는 계산단계를 포함하는 매몰 가능한 주입 펌프로부터 투여되는 약제의 양을 모니터링 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은 환자에게 변화하는 유량으로 약제를 투여하기 위한 다양한 유량 제한기를 가지는 매몰 가능한 펌프의 제공을 포함하되, 이 분야에만 한정되지는 않으며 다양한 산업적 적용가능성을 가진다.

Claims (126)

  1. 활성 물질(active substance)을 고정 또는 변동 유량으로 환자에게 투여(dispensing)하기 위한 매몰 가능한 주입 펌프(implantable infusion pump)로서,
    상부면, 활성 물질 챔버(active substance chamber), 제1 유동막(flexible membrane)에 의해 상기 활성 물질 챔버로부터 분리된 추진체 챔버(propellant chamber), 카테터(catheter), 상기 활성 물질 챔버와 유체 전달(fluid communication)을 하는 출구개구부(exit opening) 및 상기 카테터와 유체 전달을 하는 입구개구부(entrance opening)를 가지는 펌프 수용부(pump housing); 및
    상기 펌프 수용부에 부착된 모듈(module)을 포함하며,
    상기 모듈은 상기 펌프 수용부의 상기 상부면과 접하는 하부면, 상기 수용부의 상기 출구개구부와 유체 전달을 하는 상기 하부면에 형성된 입구, 상기 수용부의 상기 입구개구부와 유체 전달을 하는 출구, 밸브 본체부 내에 배치되어 그 길이 방향을 따라서 종방향으로 변화하는 단면을 가지는 밸브부, 상기 밸브 본체부 내에서 상기 밸브부를 종향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모터, 상기 활성 물질 챔버에서 상기 활성 물질의 압력을 감지하기 위한 제1 압력 센서 및 상기 제1 압력 센서의 상기 활성 물질 하류(downstream)의 압력을 감지하기 위한 제2 압력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펌프의 작동 중에, 상기 추진체 챔버로부터의 힘에 의해 상기 활성 물질 챔버에서 유출되는 유체는, 상기 수용부의 상기 출구개구부, 상기 모듈의 상기 입구, 상기 모듈의 상기 밸브 본체부, 상기 모듈의 상기 출구, 상기 수용부의 상기 입구개구부, 및 상기 카테터를 통과하는, 매몰 가능한 주입 펌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 수용부는 상기 입구개구부와 유체 전달을 하며 거기에 부착된 상기 카테터를 가지는 유출구(outlet)를 더 포함하는, 매몰 가능한 주입 펌프.
  3. 제1항에 있어서,
    고정된 유량 제한기(fixed flow resistor)를 더 포함하는 매몰 가능한 주입 펌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압력 센서 및 상기 제2 압력 센서는 상기 고정된 유량 제한기의 양측에서의 압력을 감지하도록 조정된, 매몰 가능한 주입 펌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상층부, 하층부 및 제2 유동막을 포함하며, 상기 상층부 및 상기 하층부는 함께 고정되어 그 사이에서 상기 제1 유동막 및 상기 제2 유동막을 붙잡아 두도록 설계되는, 매몰 가능한 주입 펌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은 상기 펌프 수용부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된, 매몰 가능한 주입 펌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의 상기 상부면은 어깨부(shoulder)를 형성하는 직립 연장부를 포함하는, 매몰 가능한 주입 펌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어깨부와 연결되며 상기 모듈을 덮는 캡(cap)을 더 포함하는 매몰 가능한 주입 펌프.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부는 중심점(central point)을 포함하되, 상기 중심점 양쪽에서의 단면이 거울 이미지(mirror image)인, 매몰 가능한 주입 펌프.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은 상기 모터와 연결된 편심의 캠 본체(eccentric cam body)를 더 포함하는, 매몰 가능한 주입 펌프.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부 본체부 내에서의 상기 밸브부의 종방향 이동은 상기 밸브 본체부를 거쳐 상기 활성 물질 챔버로부터의 유체의 흐름을 가로지르는 것인, 매몰 가능한 주입 펌프.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은 상기 제1 압력 센서 및 상기 제2 압력 센서로부터의 압력 정보를 처리할 수 있는 프로세서 칩(processor chip)을 더 포함하는, 매몰 가능한 주입 펌프.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은 동력원(power source)을 더 포함하는, 매몰 가능한 주입 펌프.
  14. 제12항에 있어서,
    외부원(outside source)으로부터의 요구 유량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안테나를 더 포함하는 매몰 가능한 주입 펌프.
  15. 활성 물질을 변동 유량으로 환자에게 투여하기 위한 매몰 가능한 주입 펌프로서,
    활성 물질 챔버, 제1 유동막에 의해 상기 활성 물질 챔버로부터 분리된 추진체 챔버 및 상기 활성 물질 챔버와 유체 전달을 하는 카테터를 가지는 펌프 수용부;
    상기 활성 물질 챔버와 유체 전달을 하는 고정된 유량 제한기;
    상기 고정된 유량 제한기에 들어가기에 앞서 상기 활성 물질의 압력을 감지하기 위한 제1 압력 센서;
    상기 고정된 유량 제한기에서 나온 후 상기 활성 물질의 압력을 감지하기 위한 제2 압력 센서;
    밸브 본체부 내에 배치되어 그 길이 방향을 따라서 종방향으로 변화하는 단면을 가지는 밸브부; 및
    상기 밸브 본체부 내에서 상기 밸브부를 종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펌프의 작동 중에, 상기 추진체 챔버로부터의 힘에 의해 상기 활성 물질 챔버에서 유출되는 유체는, 상기 고정된 유량 제한기, 상기 밸브 본체부, 및 상기 카테터를 통과하는, 매몰 가능한 주입 펌프.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압력 센서, 상기 제2 압력 센서, 상기 밸브부, 상기 밸브 본체부 및 상기 모터는 상기 펌프 수용부에 부착된 모듈 내에 배치된, 매몰 가능한 주입 펌프.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 수용부는 상기 활성 물질 챔버와 유체 전달을 하고 거기에 부착된 상기 카테터를 가지는 유출구를 더 포함하는, 매몰 가능한 주입 펌프.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을 덮는 캡을 더 포함하는 매몰 가능한 주입 펌프.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부는 중심점을 포함하고, 상기 중심점의 양측에서의 단면이 거울 이미지인, 매몰 가능한 주입 펌프.
  2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본체부 내에서의 상기 밸브부의 종방향 이동은 상기 밸브 본체부를 거쳐 상기 활성 물질 챔버로부터의 유체의 흐름을 가로지르는, 매몰 가능한 주입 펌프.
  21.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압력 센서 및 상기 제2 압력 센서로부터의 압력 정보를 처리할 수 있는 프로세서 칩을 더 포함하는 매몰 가능한 주입 펌프.
  22. 제15항에 있어서,
    동력원을 더 포함하는 매몰 가능한 주입 펌프.
  23. 제15항에 있어서,
    외부원으로부터의 요구 유량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안테나를 더 포함하는 매몰 가능한 주입 펌프.
  24. 활성 물질을 변동 유량으로 환자에게 투여하기 위한 매몰 가능한 주입 펌프로서,
    상층부, 하층부, 활성 물질 챔버, 상기 상층부 및 상기 하층부 사이에 고정된 제1 유동막 및 제2 유동막에 의해 분리되는 추진체 챔버, 카테터가 거기에 부착된 출구 도관(outlet duct), 상기 활성 물질 챔버와 유체 전달을 하는 출구개구부 및 상기 출구 도관과 유체 전달을 하는 입구개구부를 가지는 펌프 수용부;
    상기 펌프 수용부에 부착되고, 상기 펌프 수용부의 상부면에 접하는 하부면, 상기 수용부의 상기 출구개구부와 유체 전달을 하는 상기 하부면에 형성된 입구, 상기 수용부의 상기 입구개구부와 유체 전달을 하는 출구, 밸브 본체부 내에 배치되어 그 길이 방향에 따라 종방향으로 변화하는 단면을 가지는 밸브부, 상기 밸브 본체부 내에서 상기 밸브부를 종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수단, 상기 활성 물질 챔버에서 상기 활성 물질의 압력을 감지하기 위한 제1 압력 센서 및 상기 제1 압력 센서의 하류의 압력을 감지하기 위한 제2 압력 센서를 포함하는 모듈; 및
    상기 펌프 수용부와 연결되고 상기 모듈을 덮는 캡을 포함하고,
    상기 펌프의 작동 중에, 상기 추진체 챔버로부터의 힘에 의해 상기 활성 물질 챔버에서 유출되는 유체는, 상기 수용부의 상기 출구개구부, 상기 모듈의 상기 입구, 상기 모듈의 상기 밸브 본체부, 상기 모듈의 상기 출구, 상기 수용부의 상기 입구개구부, 상기 출구 도관 및 상기 카테터를 통과하는, 매몰 가능한 주입 펌프
  25. 제24항에 있어서,
    고정된 유량 제한기를 더 포함하는 매몰 가능한 주입 펌프.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35. 삭제
  36. 삭제
  37. 삭제
  38. 삭제
  39. 삭제
  40. 삭제
  41. 삭제
  42. 삭제
  43. 삭제
  44. 삭제
  45. 삭제
  46. 삭제
  47. 삭제
  48. 삭제
  49. 삭제
  50. 삭제
  51. 삭제
  52. 삭제
  53. 삭제
  54. 삭제
  55. 삭제
  56. 삭제
  57. 삭제
  58. 삭제
  59. 삭제
  60. 삭제
  61. 삭제
  62. 삭제
  63. 삭제
  64. 삭제
  65. 삭제
  66. 삭제
  67. 삭제
  68. 삭제
  69. 삭제
  70. 삭제
  71. 삭제
  72. 삭제
  73. 삭제
  74. 삭제
  75. 삭제
  76. 삭제
  77. 삭제
  78. 삭제
  79. 삭제
  80. 삭제
  81. 삭제
  82. 삭제
  83. 삭제
  84. 삭제
  85. 삭제
  86. 삭제
  87. 삭제
  88. 삭제
  89. 삭제
  90. 삭제
  91. 삭제
  92. 삭제
  93. 삭제
  94. 삭제
  95. 삭제
  96. 삭제
  97. 삭제
  98. 삭제
  99. 삭제
  100. 삭제
  101. 삭제
  102. 삭제
  103. 삭제
  104. 삭제
  105. 삭제
  106. 삭제
  107. 삭제
  108. 삭제
  109. 삭제
  110. 삭제
  111. 삭제
  112. 삭제
  113. 삭제
  114. 삭제
  115. 삭제
  116. 삭제
  117. 삭제
  118. 삭제
  119. 삭제
  120. 삭제
  121. 삭제
  122. 삭제
  123. 삭제
  124. 삭제
  125. 삭제
  126. 삭제
KR1020097012615A 2006-11-17 2007-11-15 변동 유량 주입 펌프 시스템 Expired - Fee Related KR1014263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601,586 US7637892B2 (en) 2005-05-10 2006-11-17 Variable flow infusion pump system
US11/601,586 2006-11-17
PCT/US2007/024026 WO2008063541A2 (en) 2006-11-17 2007-11-15 Variable flow infusion pumps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3990A KR20090093990A (ko) 2009-09-02
KR101426340B1 true KR101426340B1 (ko) 2014-08-06

Family

ID=394303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2615A Expired - Fee Related KR101426340B1 (ko) 2006-11-17 2007-11-15 변동 유량 주입 펌프 시스템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3) US7637892B2 (ko)
EP (1) EP2083905A4 (ko)
JP (1) JP5264757B2 (ko)
KR (1) KR101426340B1 (ko)
AU (1) AU2007322061B2 (ko)
CA (2) CA2670146C (ko)
MX (1) MX2009005079A (ko)
WO (1) WO2008063541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46569B1 (en) 2004-08-17 2012-08-21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Implantable intraocular pressure drain
JP4656909B2 (ja) * 2004-10-15 2011-03-23 オリンパス株式会社 被検体内導入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8915893B2 (en) 2005-05-10 2014-12-23 Palyon Medical (Bvi) Limited Variable flow infusion pump system
US8114055B2 (en) 2005-05-10 2012-02-14 Palyon Medical (Bvi) Limited Implantable pump with infinitely variable resistor
US7637892B2 (en) 2005-05-10 2009-12-29 Palyon Medical (Bvi) Limited Variable flow infusion pump system
US8211060B2 (en) 2005-05-10 2012-07-03 Palyon Medical (Bvi) Limited Reduced size implantable pump
US20060258994A1 (en) * 2005-05-12 2006-11-16 Avery Robert L Implantable delivery device for administering pharmacological agents to an internal portion of a body
US7887508B2 (en) 2006-03-14 2011-02-15 The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MEMS device and method for delivery of therapeutic agents
US20080039820A1 (en) * 2006-08-10 2008-02-14 Jeff Sommers Medical Device With Septum
WO2008062335A1 (en) * 2006-11-21 2008-05-29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edicament delivery device, capsule and in vivo medicine delivery or diagnostic system
GB0623395D0 (en) 2006-11-23 2007-01-03 Renishaw Plc Port
US8425469B2 (en) * 2007-04-23 2013-04-23 Jacobson Technologie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ed substance delivery network
WO2009046182A1 (en) * 2007-10-04 2009-04-09 Baxter International Inc Apparatus for a fluid delivery system with controlled fluid flow rate
US8215157B2 (en) * 2007-10-04 2012-07-10 Baxter International Inc. System and method for measuring liquid viscosity in a fluid delivery system
US20090093774A1 (en) * 2007-10-04 2009-04-09 Baxter International Inc. Ambulatory pump with intelligent flow control
US8517990B2 (en) 2007-12-18 2013-08-27 Hospira, Inc. User interface improvements for medical devices
EP2666510B1 (en) 2007-12-20 2017-10-18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Apparatus for controlled delivery of therapeutic agents
EP2727616B1 (en) * 2008-01-03 2017-04-26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Implantable drug-delivery devices, and apparatus and methods for refilling the devices
US9333297B2 (en) 2008-05-08 2016-05-10 Minipumps, Llc Drug-delivery pump with intelligent control
US8348897B2 (en) 2008-05-08 2013-01-08 Minipumps, Llc Implantable drug-delivery devices, and apparatus and methods for filling the devices
US9162024B2 (en) * 2008-05-08 2015-10-20 Minipumps, Llc Drug-delivery pumps and methods of manufacture
EP2320989B1 (en) * 2008-05-08 2015-03-11 MiniPumps, LLC Implantable pumps and cannulas therefor
US9077699B1 (en) 2008-09-11 2015-07-07 Bank Of America Corporation Text chat
US8105269B2 (en) 2008-10-24 2012-01-31 Baxter International Inc. In situ tubing measurements for infusion pumps
US8271509B2 (en) * 2008-11-20 2012-09-18 Bank Of America Corporation Search and chat integration system
US8156324B1 (en) * 2008-12-29 2012-04-10 Bank Of America Corporation Secured online financial transaction text chat
US8156323B1 (en) * 2008-12-29 2012-04-10 Bank Of America Corporation Secured online financial transaction voice chat
US8137083B2 (en) 2009-03-11 2012-03-20 Baxter International Inc. Infusion pump actuators,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medical fluid flowrate
USD629503S1 (en) 2009-05-08 2010-12-21 Sean Caffey Implantable drug-delivery pump
WO2011006922A1 (en) * 2009-07-14 2011-01-20 Sanofi-Aventis Deutschland Gmbh Medicament container with a flexible inner layer and a rigid outer layer
JP5758388B2 (ja) 2009-08-18 2015-08-05 ミニパンプス, エルエルシー 適応制御を有する電解質薬物送達ポンプ
DE102009040915A1 (de) * 2009-09-10 2011-04-07 Continental Automotive Gmbh Verfahren zum Verbinden von Gehäuseteilen
US8231598B2 (en) * 2009-10-30 2012-07-31 Palyon Medical (Bvi) Limited Propellant bag improvement
US8382447B2 (en) 2009-12-31 2013-02-26 Baxter International, Inc. Shuttle pump with controlled geometry
GB201002370D0 (en) 2010-02-12 2010-03-31 Renishaw Ireland Ltd Percutaneous drug delivery apparatus
WO2011140359A2 (en) * 2010-05-05 2011-11-10 Springleaf Therapeutic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delivering a therapeutic agent
US9737657B2 (en) 2010-06-03 2017-08-22 Medtronic, Inc. Implantable medical pump with pressure sensor
US8397578B2 (en) 2010-06-03 2013-03-19 Medtronic, Inc. Capacitive pressure sensor assembly
US8858185B2 (en) 2010-06-23 2014-10-14 Hospira, Inc. Fluid flow rate compensation system using an integrated conductivity sensor to monitor tubing changes
US8567235B2 (en) 2010-06-29 2013-10-29 Baxter International Inc. Tube measurement technique using linear actuator and pressure sensor
ES2701019T3 (es) * 2010-09-27 2019-02-20 Steadymed Ltd Dispositivo de administración de fármacos con un tamaño eficiente
US8876771B2 (en) 2010-11-16 2014-11-04 Palyon Medical (Bvi) Limited Propellant pillow manufacturing technique
DE102010051743B4 (de) * 2010-11-19 2022-09-01 C. Miethke Gmbh & Co. Kg Programmierbares Hydrocephalusventil
US20120191074A1 (en) 2011-01-21 2012-07-26 Palyon Medical (Bvi) Limited Reduced sized programmable pump
US10286146B2 (en) 2011-03-14 2019-05-14 Minipumps, Llc Implantable drug pumps and refill devices therefor
US9919099B2 (en) 2011-03-14 2018-03-20 Minipumps, Llc Implantable drug pumps and refill devices therefor
US9603997B2 (en) 2011-03-14 2017-03-28 Minipumps, Llc Implantable drug pumps and refill devices therefor
US8979825B2 (en) * 2011-04-15 2015-03-17 Medtronic, Inc. Implantable fluid delivery device including gas chamber pressure sensor
US8636693B2 (en) 2011-04-27 2014-01-28 Palyon Medical Corporation Propellant pillow
US9240002B2 (en) 2011-08-19 2016-01-19 Hospira,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 graphical interface including a graphical representation of medical data
WO2013090709A1 (en) 2011-12-16 2013-06-20 Hospira, Inc. System for monitoring and delivering medication to a patient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to minimize the risks associated with automated therapy
US8568360B2 (en) 2011-12-28 2013-10-29 Palyon Medical (Bvi) Limited Programmable implantable pump design
US8591456B2 (en) 2011-12-28 2013-11-26 Palyon Medical (Bvi) Limited Multiple reservoir programmable pump
US9995611B2 (en) 2012-03-30 2018-06-12 Icu Medical, Inc. Air detectio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air in a pump of an infusion system
DE102012205262B4 (de) 2012-03-30 2024-09-2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ariabler Flusswiderstand
WO2014022513A1 (en) 2012-07-31 2014-02-06 Hospira, Inc. Patient care system for critical medications
GB201217606D0 (en) 2012-10-02 2012-11-14 Renishaw Plc Neurosurgical device and method
US20140135699A1 (en) * 2012-11-09 2014-05-15 Springleaf Therapeutic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delivering a therapeutic agent
WO2014159866A1 (en) 2013-03-13 2014-10-02 Palyon Medical Corporation Dual rate insulin pump
US10046112B2 (en) 2013-05-24 2018-08-14 Icu Medical, Inc. Multi-sensor infusion system for detecting air or an occlusion in the infusion system
EP3003441B1 (en) 2013-05-29 2020-12-02 ICU Medical, Inc. Infusion system which utilizes one or more sensors and additional information to make an air determination regarding the infusion system
CA2913918C (en) 2013-05-29 2022-02-15 Hospira, Inc. Infusion system and method of use which prevents over-saturation of an analog-to-digital converter
AU2015222800B2 (en) 2014-02-28 2019-10-17 Icu Medical, Inc. Infusion system and method which utilizes dual wavelength optical air-in-line detection
AU2015266706B2 (en) 2014-05-29 2020-01-30 Icu Medical, Inc. Infusion system and pump with configurable closed loop delivery rate catch-up
US11344668B2 (en) 2014-12-19 2022-05-31 Icu Medical, Inc. Infusion system with concurrent TPN/insulin infusion
US10850024B2 (en) 2015-03-02 2020-12-01 Icu Medical, Inc. Infusion system, device, and method having advanced infusion features
KR20180004756A (ko) 2015-05-06 2018-01-12 신애질 코포레이션 약물 입자를 함유하는 제약 현탁액, 그의 투여를 위한 장치, 및 그의 사용 방법
CN106686932B (zh) * 2015-11-05 2019-12-13 精能医学股份有限公司 植入式电子装置的防水结构
CA3023658C (en) 2016-05-13 2023-03-07 Icu Medical, Inc. Infusion pump system and method with common line auto flush
ES2992878T3 (en) 2016-06-10 2024-12-19 Icu Medical Inc Acoustic flow sensor for continuous medication flow measurements and feedback control of infusion
CA3066361A1 (en) 2017-06-07 2018-12-13 Shifamed Holdings, Llc Intravascular fluid movement devices, systems, and methods of use
JP7319266B2 (ja) 2017-11-13 2023-08-01 シファメド・ホールディングス・エルエルシー 血管内流体移動デバイス、システム、および使用方法
US10089055B1 (en) 2017-12-27 2018-10-02 Icu Medical, Inc. Synchronized display of screen content on networked devices
WO2019152875A1 (en) 2018-02-01 2019-08-08 Shifamed Holdings, Llc Intravascular blood pumps and methods of use and manufacture
US12161857B2 (en) 2018-07-31 2024-12-10 Shifamed Holdings, Llc Intravascular blood pumps and methods of use
TWI674121B (zh) * 2018-08-30 2019-10-11 員全股份有限公司 迷你型微針注射器
KR102068158B1 (ko) * 2018-09-17 2020-01-20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사용자 맞춤형 약물 주입 시스템
US12220570B2 (en) 2018-10-05 2025-02-11 Shifamed Holdings, Llc Intravascular blood pumps and methods of use
US11964145B2 (en) 2019-07-12 2024-04-23 Shifamed Holdings, Llc Intravascular blood pumps and methods of manufacture and use
WO2021016372A1 (en) 2019-07-22 2021-01-28 Shifamed Holdings, Llc Intravascular blood pumps with struts and methods of use and manufacture
US11730884B2 (en) * 2019-09-05 2023-08-22 Forcast Orthopedics Inc. Implantable externally driven fluid delivery system
EP4501393A3 (en) 2019-09-25 2025-04-09 Shifamed Holdings, LLC Catheter blood pumps and collapsible pump housings
US11724089B2 (en) 2019-09-25 2023-08-15 Shifamed Holdings, Llc Intravascular blood pump systems and methods of use and control thereof
US12121713B2 (en) 2019-09-25 2024-10-22 Shifamed Holdings, Llc Catheter blood pumps and collapsible blood conduits
US11278671B2 (en) 2019-12-04 2022-03-22 Icu Medical, Inc. Infusion pump with safety sequence keypad
EP4185260A4 (en) 2020-07-21 2024-07-31 ICU Medical, Inc. FLUID TRANSFER DEVICES AND METHODS OF USE
US11135360B1 (en) 2020-12-07 2021-10-05 Icu Medical, Inc. Concurrent infusion with common line auto flush
AU2022407460A1 (en) 2021-12-10 2024-06-27 Icu Medical, Inc. Medical fluid compounding systems with coordinated flow control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92683A (ja) 2001-04-02 2002-10-09 Murata Mfg Co Ltd 射出成形機
US6702779B2 (en) * 2000-08-18 2004-03-09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Constant rate fluid delivery device with selectable flow rate and titratable bolus button
US6869275B2 (en) * 2002-02-14 2005-03-22 Philip Morris Usa Inc. Piezoelectrically driven fluids pump and piezoelectric fluid valve
WO2006122330A2 (en) 2005-05-10 2006-11-16 Palyon Medical Corporation Implantable pump with infinitely variable resistor

Family Cites Families (14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513467C3 (de) 1975-03-26 1979-10-31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uenchen Gerät zur Infusion von Flüssigkeiten in den menschlichen oder tierischen Körper
US3951147A (en) * 1975-04-07 1976-04-20 Metal Bellows Company Implantable infusate pump
US4187870A (en) 1977-05-06 1980-02-12 Baker International Corporation Valve actuator and pilot assembly therefor
US4193397A (en) 1977-12-01 1980-03-18 Metal Bellows Corporation Infusion apparatus and method
DE2758368C2 (de) 1977-12-28 1985-10-17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ünchen Vorrichtung zur vorprogrammierbaren Infusion von Flüssigkeiten
US4573994A (en) 1979-04-27 1986-03-04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Refillable medication infusion apparatus
US4373527B1 (en) 1979-04-27 1995-06-27 Univ Johns Hopkins Implantable programmable medication infusion system
US4299220A (en) 1979-05-03 1981-11-10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nnesota Implantable drug infusion regulator
EP0045668A1 (en) 1980-08-06 1982-02-10 Peter Steer Developments Limited Device for controlling the flow of liquid
US4411651A (en) 1981-05-26 1983-10-25 Pacesetter Systems, Inc. Device and method useful in monitoring fluid flow in a drug injector
US4496343A (en) 1982-06-14 1985-01-29 Infusaid Corporation Infusate pump
US4511163A (en) 1982-07-14 1985-04-16 Mead Johnson & Company Adaptable tip tubing connector
US4443218A (en) 1982-09-09 1984-04-17 Infusaid Corporation Programmable implantable infusate pump
US4447224A (en) 1982-09-20 1984-05-08 Infusaid Corporation Variable flow implantable infusion apparatus
US4557726A (en) 1982-12-27 1985-12-10 Consolidated Controls Corporation Precision medication dispensing system and method
US4486190A (en) 1982-12-27 1984-12-04 Consolidated Controls Corporation Precision medication dispensing system and method
US4639244A (en) 1983-05-03 1987-01-27 Nabil I. Rizk Implantable electrophoretic pump for ionic drugs and associated methods
US4685902A (en) 1983-08-24 1987-08-11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Disposable reservoir cassette
US4661097A (en) 1984-06-01 1987-04-28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Method for clearing a gas bubble from a positive displacement pump contained within a fluid dispensing system
US4627840A (en) 1985-01-28 1986-12-09 Cordis Corporation Flow monitoring device
US4626244A (en) 1985-02-01 1986-12-02 Consolidated Controls Corporation Implantable medication infusion device
US4671320A (en) 1985-07-19 1987-06-09 Victor Grifols Lucas Adjustable valve for liquids for equipment having a medical application
US4738665A (en) 1985-09-27 1988-04-19 Hall Hill Co.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flow rate of fluid
US4718893A (en) 1986-02-03 1988-01-12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ure regulated implantable infusion pump
US4772263A (en) 1986-02-03 1988-09-20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nnesota Spring driven infusion pump
US4714462A (en) 1986-02-03 1987-12-22 Intermedics Infusaid, Inc. Positive pressure programmable infusion pump
US4772270A (en) 1987-06-18 1988-09-20 Catheter Technology Corp. Inseparable port/catheter tube assembly and methods
US4838887A (en) 1987-12-15 1989-06-13 Shiley Infusaid Inc. Programmable valve pump
US4915690A (en) 1988-02-02 1990-04-10 C. R. Bard, Inc. Micro-injection port
FR2628639B1 (fr) 1988-03-21 1994-03-04 Microtechnic Dispositif implantable pour perfusion de liquides medicaux
US4931050A (en) * 1988-04-13 1990-06-05 Shiley Infusaid Inc. Constant pressure variable flow pump
US4978338A (en) 1988-04-21 1990-12-18 Therex Corp. Implantable infusion apparatus
US4955861A (en) 1988-04-21 1990-09-11 Therex Corp. Dual access infusion and monitoring system
AT391416B (de) 1988-06-23 1990-10-10 Annemarie Schloegl Ges M B H M Septum fuer implantierbare vorrichtungen zur abgabe von wirkstoffen
DE3825573A1 (de) 1988-07-28 1990-02-15 Fresenius Ag Verschlusskappe fuer dialysatoren
US6895419B1 (en) 1989-06-07 2005-05-17 Broadcom Corporation Hand-held computerized data collection terminal
US5147483A (en) 1989-04-26 1992-09-15 Therex Corporation Implantable infusion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US5045060A (en) 1989-04-26 1991-09-03 Therex Corp. Implantable infusion device
DE3915251A1 (de) 1989-05-10 1990-11-22 Annemarie Schloegl Ges M B H Implantierbare vorrichtung zur dosierten abgabe von medikamenten in den menschlichen koerper
US5205819A (en) 1989-05-11 1993-04-27 Bespak Plc Pump apparatus for biomedical use
US5061242A (en) 1989-07-18 1991-10-29 Infusaid, Inc. Adjustable implantable drug infusion system
US5067943A (en) 1989-09-26 1991-11-26 Infusaid, Inc. Pressure regulator for implantable pump
US5135498A (en) 1990-04-02 1992-08-04 Kam Robert J Controlled release infusion device
US5217442A (en) 1990-09-28 1993-06-08 Minimed Technologies Aspiration and refill kit for a medication infusion pump
US5242406A (en) 1990-10-19 1993-09-07 Sil Medics Ltd. Liquid delivery device particularly useful for delivering drugs
US5163920A (en) 1991-01-30 1992-11-17 Infusaid Inc. Flow regulator damper element
US5549866A (en) 1991-03-18 1996-08-27 Victor Grifols Lucas Process of making a flow regulation device
DE9107030U1 (de) 1991-06-07 1991-08-14 Anschütz & Co GmbH, 2300 Kiel Vorrichtung zum sicheren Befüllen der Behälter einer Infusionspumpe
US5207666A (en) 1991-08-30 1993-05-04 Infusaid, Inc. Passive shuttle metering device for implantable drug delivery system
DE4225524C2 (de) 1992-08-01 1994-08-04 Fresenius Ag Implantierbare Infusionsvorrichtung
WO1995004571A1 (en) 1993-08-11 1995-02-16 Thomas John Berrigan Implantable drug delivery means
US5405339A (en) 1993-09-03 1995-04-11 Medtronic, Inc. Medical connector and method for connecting medical tubing
DE4334247B4 (de) 1993-10-08 2006-11-02 Codman Neuro Sciences Sàrl Verfahren zur Verstellung einer schaltbaren durchflußbegrenzenden Vorrichtung und eine nach dem Verfahren arbeitende Vorrichtung
US5569186A (en) 1994-04-25 1996-10-29 Minimed Inc. Closed loop infusion pump system with removable glucose sensor
US5445616A (en) 1994-04-29 1995-08-29 Medtronic, Inc. Medication delivery device and method of construction
US5462525A (en) 1994-06-14 1995-10-31 Minimed, Inc., A Delaware Corporation Flow sensor for an infusion pump
CA2193806A1 (en) 1994-06-22 1995-12-28 Michael Cardamone Controlled release device and method
US5474552A (en) 1994-06-27 1995-12-12 Cb-Carmel Biotechnology Ltd. Implantable drug delivery pump
US6213972B1 (en) 1994-09-13 2001-04-10 Alaris Medical Systems, Inc. Fluid flow resistance monitoring system
DE4432991C1 (de) 1994-09-16 1995-10-26 Fresenius Ag Implantierbare Infusionspumpe
US5665070A (en) 1995-01-19 1997-09-09 I-Flow Corporation Infusion pump with magnetic bag compression
US5704915A (en) 1995-02-14 1998-01-06 Therex Limited Partnership Hemodialysis access device
DE19509634C1 (de) 1995-03-17 1996-03-28 Fresenius Ag Implantierbare Infusionspumpe
DE19509632C1 (de) 1995-03-17 1996-03-28 Fresenius Ag Implantierbare Infusionspumpe
US5769823A (en) 1995-03-23 1998-06-23 Tricumed Gmbh Implantable infusion pump
US5575770A (en) 1995-04-05 1996-11-19 Therex Corporation Implantable drug infusion system with safe bolus capability
DE19517291C2 (de) 1995-05-11 1997-05-15 Fresenius Ag Verfahren zum Befüllen eines Treibmittelraums einer gasdruckbetriebenen Medikamentenpumpe und gasdruckbetriebene Medikamentenpumpe
US5637102A (en) 1995-05-24 1997-06-10 C. R. Bard, Inc. Dual-type catheter connection system
US5702363A (en) 1995-06-07 1997-12-30 Flaherty; J. Christopher Septumless implantable treatment material device
US5957891A (en) 1995-10-11 1999-09-28 Science Incorporated Fluid delivery device with fill adapter
US5785688A (en) 1996-05-07 1998-07-28 Ceramatec, Inc. Fluid delivery apparatus and method
US6158965A (en) 1996-07-30 2000-12-12 Alaris Medical Systems, Inc. Fluid flow resistance monitoring system
US5792104A (en) 1996-12-10 1998-08-11 Medtronic, Inc. Dual-reservoir vascular access port
US5931829A (en) 1997-01-21 1999-08-03 Vasca, Inc. Methods and systems for establishing vascular access
US7320457B2 (en) 1997-02-07 2008-01-22 Sri International Electroactive polymer devices for controlling fluid flow
US5785681A (en) * 1997-02-25 1998-07-28 Minimed Inc. Flow rate controller for a medication infusion pump
US5904666A (en) 1997-08-18 1999-05-18 L.Vad Technolog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flow rate and controlling delivered volume of fluid through a valve aperture
US6048328A (en) 1998-02-02 2000-04-11 Medtronic, Inc. Implantable drug infusion device having an improved valve
US6203523B1 (en) 1998-02-02 2001-03-20 Medtronic Inc Implantable drug infusion device having a flow regulator
DE69907427T2 (de) 1998-02-02 2004-03-18 Medtronic, Inc., Minneapolis Implantierbare infusionsvorrichtung mit einem sicherheitsventil
US7004924B1 (en) * 1998-02-11 2006-02-28 Nxstage Medical, Inc. Methods, systems, and kits for the extracorporeal processing of blood
US6283944B1 (en) 1998-04-30 2001-09-04 Medtronic, Inc. Infusion systems with patient-controlled dosage features
US6558320B1 (en) 2000-01-20 2003-05-06 Medtronic Minimed, Inc. Handheld personal data assistant (PDA) with a medical device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US5949632A (en) 1998-12-01 1999-09-07 Exonix Corporation Power supply having means for extending the operating time of an implantable medical device
US6280416B1 (en) 1999-02-19 2001-08-28 Minimed Inc. Constant flow medication infusion pump
US6349740B1 (en) 1999-04-08 2002-02-26 Abbott Laboratories Monolithic high performance miniature flow control unit
US6181105B1 (en) 1999-04-26 2001-01-30 Exonix Corporation Self contained transportable power source maintenance and charge
US6166518A (en) 1999-04-26 2000-12-26 Exonix Corporation Implantable power management system
US6464671B1 (en) 1999-04-28 2002-10-15 Sten-Olof Elver Medical system
US6423029B1 (en) 1999-04-29 2002-07-23 Medtronic, Inc.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abnormal medicament pump fluid pressure
US6471675B1 (en) 1999-04-30 2002-10-29 Medtronic, Inc. Passive flow control devices for implantable pumps
US6638263B1 (en) 1999-10-12 2003-10-28 Durect Corporation Regulation of drug delivery through flow diversion
US6589205B1 (en) 1999-12-17 2003-07-08 Advanced Bionica Corporation Externally-controllable constant-flow medication delivery system
US6471645B1 (en) 1999-12-30 2002-10-29 Medtronic, Inc. Communications system for an implantable device and a drug dispenser
US6764472B1 (en) * 2000-01-11 2004-07-20 Bard Access Systems, Inc. Implantable refillable infusion device
US6564105B2 (en) 2000-01-21 2003-05-13 Medtronic Minimed,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ng between an ambulatory medical device and a control device via telemetry using randomized data
SE524080C2 (sv) 2000-05-19 2004-06-22 Premetec Ab Anordning med slang
JP2001351509A (ja) 2000-06-08 2001-12-21 Hamamatsu Photonics Kk マイクロチャネルプレート
US6719739B2 (en) 2000-08-30 2004-04-13 Medtronic, Inc. System and method for attaching upper and lower outer cases in an implantable drug pump
US6416495B1 (en) 2000-10-10 2002-07-09 Science Incorporated Implantable fluid delivery device for basal and bolus delivery of medicinal fluids
EP1339449A2 (en) 2000-11-29 2003-09-03 Durect Corporation Devices and methods for controlled delivery from a drug delivery device
US20020087113A1 (en) * 2000-12-29 2002-07-04 Medtronic, Inc. Drug management techniques for an implantable medical device
US6666821B2 (en) 2001-01-08 2003-12-23 Medtronic, Inc. Sensor system
WO2002068015A2 (en) 2001-02-22 2002-09-06 Insulet Corporation Modular infusion device and method
US6620151B2 (en) 2001-03-01 2003-09-16 Advanced Neuromodulation Systems, Inc. Non-constant pressure infusion pump
US7083593B2 (en) 2001-04-18 2006-08-01 Advanced Bionics Corporation Programmable implantable pump with accessory reservoirs and multiple independent lumen catheter
US6551235B2 (en) 2001-06-28 2003-04-22 Potencia Medical Ag Implantable pump
US6652510B2 (en) 2001-09-07 2003-11-25 Medtronic Minimed, Inc. Implantable infusion device and reservoir for same
DE60233811D1 (de) 2001-09-17 2009-11-05 Durect Corp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genauen abgabe eines wirkstoffs
EP1306198A1 (de) 2001-10-24 2003-05-02 Verein PRS PET-Recycling Schweiz Verfahren zur Sammlung leerer Kunststoff-Behälter sowie Presse zu dessen Durchführung
US7291126B2 (en) 2001-11-26 2007-11-06 Nilimedix Ltd. Drug delivery device and method
AU2003215164A1 (en) 2002-02-13 2003-09-04 Kuchta, John Controlled cerebrospinal infusion and shunt system
US6932114B2 (en) 2002-02-22 2005-08-23 Integrated Sensing Systems, Inc. Fluid delivery system and method
US7108680B2 (en) * 2002-03-06 2006-09-19 Codman & Shurtleff, Inc. Closed-loop drug delivery system
US6805687B2 (en) 2002-03-22 2004-10-19 Codman & Shurtleff, Inc. Infusion pump with access regulator
WO2003082371A2 (en) 2002-03-26 2003-10-09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Multi-stage fluid delivery device and method
US6997919B2 (en) 2002-04-23 2006-02-14 Medtronic, Inc. Implantable medical connector for medical tubing with anchoring features
US7059348B2 (en) 2002-05-13 2006-06-13 Fluidigm Corporation Drug delivery system
US7087036B2 (en) 2002-05-24 2006-08-08 Baxter International Inc. Fail safe system for operating medical fluid valves
US6736729B2 (en) 2002-07-03 2004-05-18 Gkn Automotive, Inc. Constant velocity joint and method of making same
US7018384B2 (en) 2002-08-29 2006-03-28 Medtronic, Inc. Medical passing device and method
US7150741B2 (en) 2002-09-20 2006-12-19 Advanced Neuromodulation Systems, Inc. Programmable dose control module
US6966325B2 (en) 2002-09-20 2005-11-22 Advanced Neuromodulation Systems, Inc. Method for manipulating dosage control apparatus
US20040068224A1 (en) 2002-10-02 2004-04-08 Couvillon Lucien Alfred Electroactive polymer actuated medication infusion pumps
US6932584B2 (en) 2002-12-26 2005-08-23 Medtronic Minimed, Inc. Infusion device and driving mechanism and process for same with actuator for multiple infusion uses
US6902544B2 (en) 2003-01-22 2005-06-07 Codman & Shurtleff, Inc. Troubleshooting accelerator system for implantable drug delivery pumps
WO2004087237A2 (en) 2003-03-27 2004-10-14 Medical Research Products-A, Inc. Implantable medication delivery device using pressure regulator
US7241455B2 (en) 2003-04-08 2007-07-10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Implantable or insertable medical devices containing radiation-crosslinked polymer for controlled delivery of a therapeutic agent
WO2004093937A2 (en) 2003-04-23 2004-11-04 Interrad Medical, Inc. Dialysis valve and method
US6813964B1 (en) * 2003-05-21 2004-11-09 Hospira, Inc. Fluid flow measurement device
US6976983B2 (en) 2003-06-12 2005-12-20 Cordis Corporation Implantable device for delivering drugs using orifice mechanism capable of low fluid flow rates
WO2005007223A2 (en) 2003-07-16 2005-01-27 Sasha John Programmable medical drug delivery systems and methods for delivery of multiple fluids and concentrations
CA2437639C (en) 2003-08-11 2016-07-05 Valera Pharmaceuticals, Inc. Long term drug delivery devices with polyurethane based polymers and their manufacture
US7367968B2 (en) 2003-09-05 2008-05-06 Codman & Shurtleff, Inc. Implantable pump with adjustable flow rate
US7320676B2 (en) 2003-10-02 2008-01-22 Medtronic, Inc. Pressure sensing in implantable medical devices
AT412945B (de) 2003-11-05 2005-09-26 Pro Med Medizinische Produktio Vorrichtung zur dosierten abgabe von flüssigkeit
US20050113892A1 (en) 2003-11-26 2005-05-26 Sproul Michael E. Surgical tool with an electroactive polymer for use in a body
US20050187515A1 (en) 2004-02-19 2005-08-25 Advanced Neuromodulation Systems, Inc. Reduced size programmable drug pump
US7766885B2 (en) 2004-06-07 2010-08-03 Medtronic, Inc. Drug delivery system
US8251981B2 (en) 2004-06-07 2012-08-28 Medtronic, Inc. Regulator
US7637897B2 (en) 2004-10-25 2009-12-29 Codman Neuro Sciences Sarl Implantable pump with integrated refill detection
US7462186B2 (en) 2005-05-03 2008-12-09 Ethicon Endo-Surgery, Inc. Anastomotic ring applier device utilizing an electroactive polymer
US8114055B2 (en) 2005-05-10 2012-02-14 Palyon Medical (Bvi) Limited Implantable pump with infinitely variable resistor
US7637892B2 (en) 2005-05-10 2009-12-29 Palyon Medical (Bvi) Limited Variable flow infusion pump system
US8034029B2 (en) 2005-05-25 2011-10-11 Palyon Medical (Bvi) Limited Multi-reservoir implantable pump with patient controlled actuatio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02779B2 (en) * 2000-08-18 2004-03-09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Constant rate fluid delivery device with selectable flow rate and titratable bolus button
JP2002292683A (ja) 2001-04-02 2002-10-09 Murata Mfg Co Ltd 射出成形機
US6869275B2 (en) * 2002-02-14 2005-03-22 Philip Morris Usa Inc. Piezoelectrically driven fluids pump and piezoelectric fluid valve
WO2006122330A2 (en) 2005-05-10 2006-11-16 Palyon Medical Corporation Implantable pump with infinitely variable resis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083905A4 (en) 2013-06-19
AU2007322061A1 (en) 2008-05-29
JP5264757B2 (ja) 2013-08-14
MX2009005079A (es) 2009-07-17
US7637892B2 (en) 2009-12-29
WO2008063541A3 (en) 2008-09-25
EP2083905A2 (en) 2009-08-05
WO2008063541A2 (en) 2008-05-29
CA2670146A1 (en) 2008-05-29
KR20090093990A (ko) 2009-09-02
CA2792541A1 (en) 2008-05-29
US20100069892A1 (en) 2010-03-18
US20120203180A1 (en) 2012-08-09
CA2792541C (en) 2015-03-17
JP2010509989A (ja) 2010-04-02
US20070112328A1 (en) 2007-05-17
US8177750B2 (en) 2012-05-15
CA2670146C (en) 2012-12-18
AU2007322061B2 (en) 2012-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6340B1 (ko) 변동 유량 주입 펌프 시스템
US8915893B2 (en) Variable flow infusion pump system
US8591478B2 (en) Reduced size implantable pump
US8034029B2 (en) Multi-reservoir implantable pump with patient controlled actuation
US8114055B2 (en) Implantable pump with infinitely variable resistor
US4447224A (en) Variable flow implantable infusion apparatus
US8961466B2 (en) Programmable implantable pump design
EP1513580A1 (en) Plunger assembly for patient infusion device
US20140276557A1 (en) Dual rate insulin pum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617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2102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11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429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7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07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