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426130B1 - 이중개폐방식의 슬라이딩 창호 - Google Patents

이중개폐방식의 슬라이딩 창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6130B1
KR101426130B1 KR1020120010298A KR20120010298A KR101426130B1 KR 101426130 B1 KR101426130 B1 KR 101426130B1 KR 1020120010298 A KR1020120010298 A KR 1020120010298A KR 20120010298 A KR20120010298 A KR 20120010298A KR 101426130 B1 KR101426130 B1 KR 1014261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closing
opening
partial
clos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02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88993A (ko
Inventor
김세진
Original Assignee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지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to KR10201200102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6130B1/ko
Publication of KR201300889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89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61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6130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50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more than one kind of m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H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 A47H23/00Curtains; Draperi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3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moving along slide-ways so arranged that one guide-member of the wing moves in a direction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movement of another guide membe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04Frames for doors, windows, or the like to be fixed in openings
    • E06B1/36Frames uniquely adapted for 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이중개폐방식의 슬라이딩 창호(100)는, 길이방향으로 레일(111)이 구비되는 창틀프레임(110); 상기 레일(111)에 슬라이딩 결합되어 개폐되는 창짝(120); 및 상기 창짝(120)의 하반부는 고정창으로 구성되고, 상반부는 부분개폐구(131)가 구비되는 한편, 상기 부분개폐구(131)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킬 수 있도록 좌우로 슬라이딩 결합되는 한 쌍의 부분개폐창짝(13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부분 환기를 원하는 경우, 슬라이딩 창호(Sliding Window)에서 부분적으로 미서기 또는 업다운(Up - Down)방식으로 이중개폐시키도록 함으로써, 어린 아이들이 쉽게 난간에 접근할 수 없도록 근본적으로 차단함과 동시에, 환기시에 커튼 등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이중개폐방식의 슬라이딩 창호{Double sliding window}
본 발명은 이중으로 개폐가 가능한 슬라이딩 창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부분 환기시에 커튼 등의 간섭이 발생하던 종래의 T-T(Tilt & Turn)방식 창호에 따른 문제점을 해소하도록, 부분 환기를 원하는 경우 슬라이딩 창호(Sliding Window)에서 부분적으로 미서기 또는 업다운(Up - Down) 방식으로 이중개폐시키도록 하는 이중개폐방식의 슬라이딩 창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창호는 건물 내부를 외부와 차단하기 위해 창이나 출입구 등의 개구부(開口部)에 설치되는 각종의 창이나 문을 말하는데, 이때 상기의 창 또는 문들이 지지되는 창호프레임은 사용재료에 따라 목제 창호프레임과 금속제 창호프레임으로 분류되나, 최근에는 플라스틱에 의한 문이나 창틀 등도 만들어지고 있으며, 더욱이 피브이시(P.V.C.) 등과 같은, 합성수지로써 창호프레임이 제작되기도 한다.
그리고 종래의 슬라이딩 창호가 개폐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창짝의 핸들을 거머쥔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창짝을 닫히는 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면, 상기 창짝의 하단부에 장착되어 있는 롤러가 창틀프레임 상의 레일을 따라서 회전되고, 이에 따라 창짝이 점점 맞은편 측의 창틀프레임에 근접하다가 최종적으로 창틀프레임에 터치되어 멈춰섬으로써 닫히는 동작이 종료된다. 이러한 슬라이딩 창호에 대하여 종래에 공개특허 제10-2001-0068784호로 선 출원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슬라이딩 방식의 창호에 따르면, 환기를 위하여서는 창짝을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시켜, 창틀프레임으로부터 창짝이 이격되도록 하여 외부로부터의 신선한 공기를 공급받도록 하는데, 오히려 이와 같이 창짝을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킴에 따라 어린 아이들이 쉽게 난간에 접근할 수 있게 되고, 경우에 따라서는 난간 아래로 이물질을 투척하거나, 어린 아이들이 난간으로부터 바닥으로 추락하는 등의 안전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였다.
여기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T-T(Tilt & Turn)방식의 창호가 제안되었으나, 이러한 T-T방식의 창호에 따르면 어린 아이들이 쉽게 난간에 접근할 수 없도록 근본적으로 차단하는 효과가 있는 반면, 부분 환기시에 상기 T-T방식의 창호를 여는 과정에서, 벽체에 설치되어 있는 커튼 등이 걸리어 간섭되기도 하고, 때에 따라서 상기 커튼이 훼손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환기시에 커튼 등의 간섭이 발생하던 문제점을 해소함과 동시에 어린 아이들이 쉽게 난간에 접근하는 것을 근본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부분 환기를 원하는 경우 슬라이딩 창호(Sliding Window)에서 부분적으로 미서기 또는 업다운(Up - Down)방식으로 이중개폐시키도록 하는 이중개폐방식의 슬라이딩 창호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길이방향으로 레일이 구비되는 창틀프레임; 상기 레일에 슬라이딩 결합되어 개폐되는 창짝; 및 상기 창짝의 하반부는 고정창으로 구성되고, 상반부는 부분개폐구가 구비되는 한편, 상기 부분개폐구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킬 수 있도록 좌우로 슬라이딩 결합되는 한 쌍의 부분개폐창짝;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상기 부분개폐구는, 길이방향으로 레일이 구비된 수평바를 매개로 구획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부분개폐창짝은 수평바의 상면과 상기 창짝의 상부 내측면에 대응되게 설치된 레일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부분개폐창짝은, 적어도 한 쌍으로 이루어진 창짝 중 슬라이딩 개폐되는 창짝에 설치되고, 다른 하나의 창짝은 상기 창틀프레임 상에 고정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길이방향으로 레일이 구비되는 창틀프레임; 상기 레일에 슬라이딩 결합되어 개폐되는 창짝; 및 상기 창짝의 하반부는 고정창으로 구성되고, 상반부는 부분개폐구가 구비되는 한편, 상기 부분개폐구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킬 수 있도록 상·하로 슬라이딩 결합되는 부분개폐창짝;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부분개폐창짝은, 상기 창짝의 내부 좌우측면에 설치된 레일에 슬라이딩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부분개폐창짝은, 상기 부분개폐창짝의 양측에 구비된 결합홈 내에 탄성스프링에 의해 일방향으로 탄성지지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편 일측에 조작레버가 일체로 형성된 걸림돌기와, 상기 창짝의 좌우 내측면에 상기 걸림돌기가 선택적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상하로 이격되게 형성되는 복수의 걸림공으로 이루어진 잠금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부분개폐창짝은, 적어도 한 쌍으로 이루어진 창짝 중 슬라이딩 개폐되는 창짝에 설치되고, 다른 하나의 창짝은 상기 창틀프레임 상에 고정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부분 개폐되는 창호를 구성함에 있어서 T-T(Tilt & Turn)방식이 아닌 슬라이딩 창호(Sliding Window)를 적용하여 바깥방향으로 개폐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환기시에 커튼 등의 간섭이 발생하던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함과 동시에, 슬라이딩 창호의 하반부는 고정식으로 구성하고 상반부만이 슬라이딩 개폐되도록 구성하여, 어린 아이들이 개폐되는 창호 측에 쉽게 접근할 수 없도록 함으로써, 어린 아이들의 용이한 접근성에 비롯되는 문제점들을 근본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개폐방식의 슬라이딩 창호의 제1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창짝의 개폐동작을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부분개폐창짝의 개폐동작을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개폐방식의 슬라이딩 창호의 제2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도 4의 'A'부분 상세도 및 잠금수단의 작동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창짝의 개폐동작을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부분개폐창짝의 개폐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대해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기되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개폐방식의 슬라이딩 창호의 제1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창짝의 개폐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3은 부분개폐창짝의 개폐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중개폐방식의 슬라이딩 창호(100)는, 길이방향으로 레일(111)이 구비되는 창틀프레임(110)과, 상기 레일(111)에 슬라이딩 결합되어 개폐되는 창짝(120)과, 상기 창짝(120)의 하반부는 고정창으로 구성되고 상반부는 부분개폐구(131)가 구비되는 한편 상기 부분개폐구(131)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킬 수 있도록 좌우로 슬라이딩 결합되는 한 쌍의 부분개폐창짝(1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부분개폐구(131)는 창짝(120)의 중심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수평바(133)를 매개로 상하 구획되어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수평바(133)의 상면과 창짝(120)의 상부 내측면에는 레일(121)이 대응되게 각각 설치되어 한 쌍의 부분개폐창짝(130)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 경우 본 발명에서는 상기 부분개폐구(131)가 상하 이등분된 경우의 일례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부분개폐구(131)의 크기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부분개폐창짝(130)은, 상기 창틀프레임(110)에 슬라이딩 개폐되는 적어도 한 쌍의 창짝(120)에 모두 적용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 부분개폐창짝(130)이 한 쌍의 창짝(120) 중 슬라이딩 개폐되는 어느 하나의 창짝(120)에만 설치되고, 부분개폐창짝(130)이 설치되지 않은 나머지 하나의 창짝(120)은 창틀프레임(110) 상에 고정설치된 경우의 일례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기로 한다.
아울러 상기 부분개폐창짝(130)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한 쌍의 부분개폐창짝(130) 모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거나, 또는 둘 중에 어느 하나의 부분개폐창짝(130)만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고 나머지 하나는 고정창 형태로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면,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중개폐방식의 슬라이딩 창호(100)의 창짝이 부분개폐되는 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우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창틀프레임(110)의 내측에서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 개폐되는 창짝(120)이 창틀프레임(110)에 닫혀 있다가, 사용자가 창짝(120)을 일측 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킴으로써, 창짝(120)의 슬라이딩에 따른 부분개폐가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창짝(120)이 창틀프레임(110)에 닫힌 상태에서 부분개폐창짝(130)만을 일측으로 슬라이딩시켜 부분개폐구(131)를 부분개폐시킬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창짝(120)을 창틀프레임(110)에 닫힌 상태에서는 어린 아이들이 난간 아래로 이물질을 투척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난간으로부터 바닥으로 추락하는 등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창짝(120)이 창틀프레임(110)에 닫힌 상태에서 부분개폐창짝(130)만을 우측방향으로 슬라이딩시켜 부분개폐시킴으로써 일측에 설치된 커튼과 개폐되는 부분개폐창짝(130)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으면서도 실내환기를 용이하게 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이중개폐방식의 슬라이드 창호(200)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해보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개폐방식의 슬라이딩 창호의 제2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A'부분 상세도, 도 6은 창짝의 개폐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7은 부분개폐창짝의 개폐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이중개폐방식의 슬라이드창호(200)는, 길이방향으로 레일(211)이 구비되는 창틀프레임(210)과, 상기 레일(211)에 슬라이딩 결합되어 개폐되는 창짝(220)과, 상기 창짝(220)의 하반부는 고정창으로 구성되고 상반부는 부분개폐구(231)가 구비되는 한편 상기 부분개폐구(231)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킬 수 있도록 상·하로 슬라이딩 결합되는 부분개폐창짝(2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부분개폐창짝(230)은 창짝(220)의 내부 좌우측면에 대응되게 설치된 레일(221)에 슬라이딩 결합된다.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개폐되는 부분개폐창짝(230)의 슬라이딩 위치를 선택적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부분개폐창짝(230)의 양측에는 잠금수단(240)이 구비된다.
도 5를 참조하여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해보면, 상기 잠금수단(240)은, 부분개폐창짝(230)의 양측에 구비된 결합홈(241) 내에 탄성스프링(242)에 의해 일방향으로 탄성지지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편 일측에 조작레버(243)가 일체로 형성된 걸림돌기(245)와, 상기 창짝(220)의 좌우 내측면에 걸림돌기(245)가 선택적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상하로 이격되게 형성되는 복수의 걸림공(247)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부분개폐창짝(230)은, 상기 창틀프레임(210)에 슬라이딩 개폐되는 적어도 한 쌍의 창짝(220)에 모두 적용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 부분개폐창짝(230)이 한 쌍의 창짝(220) 중 슬라이딩 개폐되는 어느 하나의 창짝(220)에만 설치되고, 나머지 하나의 창짝(220)은 창틀프레임(210) 상에 고정설치된 경우의 일례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면,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이중개폐방식의 슬라이딩 창호(200)의 창짝이 부분개폐되는 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우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틀프레임(210)의 내측에서 좌우로 슬라이딩 개폐되는 창짝(220)이 창틀프레임(210)에 닫혀 있다가, 사용자가 상기 창짝(220)을 일측 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킴으로써, 창짝(220)의 슬라이딩에 따른 부분개폐가 이루어지게 된다.
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창짝(220)이 창틀프레임(210)에 모두 닫힌 상태에서 부분개폐창짝(230)만을 하방으로 슬라이딩시켜 부분개폐구(231)를 선택적으로 개방시킬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창짝(220)이 창틀프레임(210)에 닫힌 상태에서는 어린 아이들이 난간 아래로 이물질을 투척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난간으로부터 바닥으로 추락하는 등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창짝(220)이 창틀프레임(210)에 닫힌 상태에서 부분개폐창짝(230)만을 하방으로 슬라이딩시켜 부분개폐시킴으로써, 커튼과의 간섭없이 실내환기를 용이하게 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200 : 이중개폐방식의 슬라이딩 창호 110, 210 : 창틀프레임
120, 220 : 창짝 130, 230 : 부분개폐창짝
131, 231 : 부분개폐구 240 : 잠금수단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길이방향으로 레일(211)이 구비되는 창틀프레임(210);
    상기 레일(211)에 슬라이딩 결합되어 개폐되는 적어도 한 쌍의 창짝(220); 및
    상기 한 쌍의 창짝(220) 중 적어도 하나의 창짝(220)에 설치되되, 상기 창짝(220)의 하반부는 고정창으로 구성되고, 상반부는 부분개폐구(231)가 구비되는 한편, 상기 부분개폐구(231)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킬 수 있도록 창짝(220)의 내부 좌우측면의 레일(221)에 상·하로 슬라이딩 결합되는 부분개폐창짝(230);을 포함하되,
    상기 부분개폐창짝(230)은,
    상기 부분개폐창짝(230)의 양측에 구비된 결합홈(241) 내에 탄성스프링(242)에 의해 일방향으로 탄성지지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편 일측에 조작레버(243)가 일체로 형성된 걸림돌기(245)와, 상기 창짝(220)의 좌우 내측면에 상기 걸림돌기(245)가 선택적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상하로 이격되게 형성되는 복수의 걸림공(247)으로 이루어진 잠금수단(24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개폐방식의 슬라이딩 창호.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20010298A 2012-02-01 2012-02-01 이중개폐방식의 슬라이딩 창호 Active KR1014261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0298A KR101426130B1 (ko) 2012-02-01 2012-02-01 이중개폐방식의 슬라이딩 창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0298A KR101426130B1 (ko) 2012-02-01 2012-02-01 이중개폐방식의 슬라이딩 창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8993A KR20130088993A (ko) 2013-08-09
KR101426130B1 true KR101426130B1 (ko) 2014-08-05

Family

ID=492150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0298A Active KR101426130B1 (ko) 2012-02-01 2012-02-01 이중개폐방식의 슬라이딩 창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613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1223B1 (ko) * 2013-03-06 2014-10-22 옥동훈 미닫이와 오르내리는 형식이 결합된 창호
KR200486677Y1 (ko) * 2016-09-07 2018-06-20 주식회사 경원알미늄 풀다운창이 결합된 미서기창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82359U (ja) * 1993-05-12 1994-11-25 新日軽株式会社 上げ下げ戸のガイド装置
JP2004324375A (ja) 2003-04-28 2004-11-18 Shigeru Ishiguro 猫間障子
JP2005098085A (ja) 2003-08-19 2005-04-14 Koji Kawabata 換気小窓のフィルター装置
KR20110013883A (ko) * 2009-08-04 2011-02-10 주식회사 에코빅 다기능 창호 조립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82359U (ja) * 1993-05-12 1994-11-25 新日軽株式会社 上げ下げ戸のガイド装置
JP2004324375A (ja) 2003-04-28 2004-11-18 Shigeru Ishiguro 猫間障子
JP2005098085A (ja) 2003-08-19 2005-04-14 Koji Kawabata 換気小窓のフィルター装置
KR20110013883A (ko) * 2009-08-04 2011-02-10 주식회사 에코빅 다기능 창호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8993A (ko) 2013-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10370444U (zh) 门栏
US9103159B2 (en) Apparatus for an automatic door with an airtight frame
KR20130133451A (ko) 이중 개폐구조를 갖는 미서기 창호
KR20140090436A (ko) 유리난간대가 구비된 창호
KR101169607B1 (ko) 안전문
KR101584618B1 (ko) 이탈방지 스톱퍼부를 갖는 미닫이 창문
KR101426130B1 (ko) 이중개폐방식의 슬라이딩 창호
KR102260557B1 (ko) 창문프레임 결합용 결합구조물을 갖는 금속제 창호 조립체
KR20130087797A (ko) 기밀유지장치가 구비된 슬라이딩 창호
KR101905931B1 (ko) 환기창이 구비된 미닫이 창호
CN109415924B (zh) 左右推拉窗
KR101830910B1 (ko) 방충망 이탈 방지장치
KR200499200Y1 (ko) 완전 방풍을 위한 푸쉬 프레임의 기밀부재
KR100904761B1 (ko) 안전부재가 장착된 미닫이문
KR101471244B1 (ko) 이중 개폐구조를 갖는 슬라이딩 창호
KR20110047867A (ko) 이탈방지용 샷시문
JP6480232B2 (ja) 網戸付きサッシ
KR101597516B1 (ko) 이중창형 미닫이 창문
KR101467244B1 (ko) 건물 외측 여닫이 및 미닫이 겸용 창호
KR20190062810A (ko) 슬라이딩 개폐방식의 창호가 설치된 문틀의 원활한 배수 및 외풍방지를 위한 가스켓 조립구조
KR101244871B1 (ko) 연동 미닫이문
ITMI20040083U1 (it) Serramento di sicurezza con blindatura scorrevole sull'anta per finestre porte o simili
KR20100136153A (ko) 방범용 창틀
KR200485763Y1 (ko) 복수개로 이루어진 여닫이 창호의 연동 개폐구조
KR101599518B1 (ko) 추락방지 미서기창의 창문이탈 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201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2091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2020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11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405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3111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405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40120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40716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40620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405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40120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7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07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3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6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8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5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61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60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605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