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5962B1 - 바이너리 지열 발전 시스템 - Google Patents
바이너리 지열 발전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25962B1 KR101425962B1 KR1020110104688A KR20110104688A KR101425962B1 KR 101425962 B1 KR101425962 B1 KR 101425962B1 KR 1020110104688 A KR1020110104688 A KR 1020110104688A KR 20110104688 A KR20110104688 A KR 20110104688A KR 101425962 B1 KR101425962 B1 KR 10142596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 cooling water
- geothermal
- heating
- hea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MECHANICAL-POWER PRODUCING DEVICES OR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USING ENERGY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7/00—Mechanical-power-produc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using energy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7/04—Mechanical-power-produc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using energy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pressure differences or thermal differences occurring in nature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10—Geothermal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gine Equipment That Uses Special Cycles (AREA)
Abstract
Description
즉, 본 발명은, 지하를 거쳐 배치되는 지열수가 유동하는 지열수 라인(101) 및 상기 지열수 라인 상에 배치되어 상기 지열수 라인 상에서 상기 지열수를 순환시키는 지열수 펌프를 구비하는 지열수 순환 유닛(100); 작동 유체가 유동하는 증기 사이클 배관 라인(201) 상에 배치되고 상기 작동 유체를 가압 유동시키는 펌프(210)와, 상기 증기 사이클 배관 라인을 통하여 상기 작동 유체를 상기 펌프로부터 전달받고, 상기 지열수 라인(101)이 배치되어 상기 지열수 라인을 따라 관류되는 상기 지열수와 상기 작동 유체간에 열교환을 이루는 증발기(220)와, 상기 증발기를 거친 작동 유체가 유입되고 상기 증발기에서 열을 공급받은 작동 유체에 의하여 회전력을 전달받는 터빈(230)과, 상기 터빈을 거친 상기 작동 유체가 유입되는 응축기(240)를 구비하고, 상기 응축기(240)는 상기 증기 사이클 배관 라인(201)을 통하여 상기 펌프(210)에 연결되어 증기 사이클을 형성하는 발전 유닛(200)을 포함하는 바이너리 지열 발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응축기(240)를 통하여 상기 작동 유체로부터 열을 공급받아 난방수를 가열 공급하는 난방수 가열 유닛(300)을 포함하고, 상기 난방수 가열 유닛(300)은: 상기 응축기(240)를 거치는 제 1 냉각수 배관(321)의 양단이 연결되어, 상기 응축기(240)에서 상기 증기 사이클 배관 라인(201)의 작동 유체와 열교환을 이루도록 상기 제 1 냉각수 배관(321)을 따라 유동하는 제 1 냉각수(Q1)를 수용 저장하는 냉각수 탱크(320)와, 모듈 냉매가 유동하는 모듈 라인(335) 상으로 상기 냉각수 탱크(320)에 배치되어 상기 모듈 냉매가 상기 제 1 냉각수와 열교환을 이루도록 하는 모듈 증발기(332)와, 상기 모듈 라인(335) 상에서 배치되어 상기 모듈 증발기(332)와 연결되는 모듈 압축기(331)와, 상기 모듈 압축기(331)로부터 유출되는 상기 모듈 냉매가 유입되는 모듈 응축기(334)와, 상기 모듈 응축기 및 상기 모듈 증발기 사이에 배치되는 모듈 팽창밸브(333)를 포함하는 히트펌프 모듈(330)과, 상기 모듈 응축기(334)의 상기 모듈 냉매와 열교환을 이루는 난방수를 유입 유출 가능하게 저장하는 난방수 탱크(310)를 포함하고, 상기 히트펌프 모듈(330)은 상기 난방수 탱크(310)의 난방수를 가열하고 상기 냉각수 탱크의 상기 제 1 냉각수를 냉각시키도록 상기 난방수 탱크(310)와 상기 냉각수 탱크(320)를 각각 고열원 및 저열원으로 하여 작동하고, 상기 난방수 가열 유닛(300)은, 상기 응축기(240)와 상기 냉각수 탱크(320) 사이로 상기 냉각수 탱크 측으로의 유입 및 유출 측 상기 제 1 냉각수 배관 상에 배치되는 삼방향 밸브(350;350a,350b)와 연결되고, 상기 제 1 냉각수 배관으로부터 분기되는 상기 제 1 냉각수의 일부 및 별도의 급수 시설로부터 공급되는 물로 형성되되 상기 냉각수 탱크 측으로부터 유출되는 측 상기 삼방향 밸브(350b)를 통하여 상기 제 1 냉각수 배관(321) 상에 유입되어 상기 응축기로 순환 공급되는 상기 제 1 냉각수와 혼합되는 제 2 냉각수를 저장하는 냉각탑(340)을 더 구비하고, 상기 삼방향 밸브 중 하나(350a)는, 상기 제 1 냉각수 배관(321) 상 상기 응축기(240)와 상기 냉각수 탱크(320) 사이로 상기 냉각수 탱크(320)로의 유입 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 1 냉각수의 상기 냉각탑(340)으로의 분기되는 유량을 조절하고, 상기 삼방향 밸브 중 다른 하나(350b)는, 상기 제 1 냉각수 배관(321) 상 상기 냉각수 탱크(320)와 상기 응축기 사이(240)로 상기 냉각수 탱크(320)로의 유출 측에 배치되어 상기 냉각탑(340)으로부터 유출되어 상기 제 1 냉각수와 혼합되는 상기 제 2 냉각수의 유량(Q2)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너리 지열 발전 시스템을 제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방수 가열 유닛의 기본 구성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방수 가열 유닛에 냉각탑이 포함된 구성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방수 탱크의 난방수 흐름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200: 발전 유닛 210: 펌프
220: 증발기 230: 터빈
240: 응축기 300: 난방수 가열 유닛
310: 난방수 탱크 320: 냉각수 탱크
330: 히트 펌프 모듈 340: 냉각탑
350, 360: 삼방향 밸브
Claims (6)
- 지하를 거쳐 배치되는 지열수가 유동하는 지열수 라인(101) 및 상기 지열수 라인 상에 배치되어 상기 지열수 라인 상에서 상기 지열수를 순환시키는 지열수 펌프를 구비하는 지열수 순환 유닛(100);
작동 유체가 유동하는 증기 사이클 배관 라인(201) 상에 배치되고 상기 작동 유체를 가압 유동시키는 펌프(210)와, 상기 증기 사이클 배관 라인을 통하여 상기 작동 유체를 상기 펌프로부터 전달받고, 상기 지열수 라인(101)이 배치되어 상기 지열수 라인을 따라 관류되는 상기 지열수와 상기 작동 유체간에 열교환을 이루는 증발기(220)와, 상기 증발기를 거친 작동 유체가 유입되고 상기 증발기에서 열을 공급받은 작동 유체에 의하여 회전력을 전달받는 터빈(230)과, 상기 터빈을 거친 상기 작동 유체가 유입되는 응축기(240)를 구비하고, 상기 응축기(240)는 상기 증기 사이클 배관 라인(201)을 통하여 상기 펌프(210)에 연결되어 증기 사이클을 형성하는 발전 유닛(200)을 포함하는 바이너리 지열 발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응축기(240)를 통하여 상기 작동 유체로부터 열을 공급받아 난방수를 가열 공급하는 난방수 가열 유닛(300)을 포함하고,
상기 난방수 가열 유닛(300)은:
상기 응축기(240)를 거치는 제 1 냉각수 배관(321)의 양단이 연결되어, 상기 응축기(240)에서 상기 증기 사이클 배관 라인(201)의 작동 유체와 열교환을 이루도록 상기 제 1 냉각수 배관(321)을 따라 유동하는 제 1 냉각수(Q1)를 수용 저장하는 냉각수 탱크(320)와,
모듈 냉매가 유동하는 모듈 라인(335) 상으로 상기 냉각수 탱크(320)에 배치되어 상기 모듈 냉매가 상기 제 1 냉각수와 열교환을 이루도록 하는 모듈 증발기(332)와, 상기 모듈 라인(335) 상에서 배치되어 상기 모듈 증발기(332)와 연결되는 모듈 압축기(331)와, 상기 모듈 압축기(331)로부터 유출되는 상기 모듈 냉매가 유입되는 모듈 응축기(334)와, 상기 모듈 응축기 및 상기 모듈 증발기 사이에 배치되는 모듈 팽창밸브(333)를 포함하는 히트펌프 모듈(330)과,
상기 모듈 응축기(334)의 상기 모듈 냉매와 열교환을 이루는 난방수를 유입 유출 가능하게 저장하는 난방수 탱크(310)를 포함하고,
상기 히트펌프 모듈(330)은 상기 난방수 탱크(310)의 난방수를 가열하고 상기 냉각수 탱크의 상기 제 1 냉각수를 냉각시키도록 상기 난방수 탱크(310)와 상기 냉각수 탱크(320)를 각각 고열원 및 저열원으로 하여 작동하고,
상기 난방수 가열 유닛(300)은, 상기 응축기(240)와 상기 냉각수 탱크(320) 사이로 상기 냉각수 탱크 측으로의 유입 및 유출 측 상기 제 1 냉각수 배관 상에 배치되는 삼방향 밸브(350;350a,350b)와 연결되고, 상기 제 1 냉각수 배관으로부터 분기되는 상기 제 1 냉각수의 일부 및 별도의 급수 시설로부터 공급되는 물로 형성되되 상기 냉각수 탱크 측으로부터 유출되는 측 상기 삼방향 밸브(350b)를 통하여 상기 제 1 냉각수 배관(321) 상에 유입되어 상기 응축기로 순환 공급되는 상기 제 1 냉각수와 혼합되는 제 2 냉각수를 저장하는 냉각탑(340)을 더 구비하고,
상기 삼방향 밸브 중 하나(350a)는, 상기 제 1 냉각수 배관(321) 상 상기 응축기(240)와 상기 냉각수 탱크(320) 사이로 상기 냉각수 탱크(320)로의 유입 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 1 냉각수의 상기 냉각탑(340)으로의 분기되는 유량을 조절하고,
상기 삼방향 밸브 중 다른 하나(350b)는, 상기 제 1 냉각수 배관(321) 상 상기 냉각수 탱크(320)와 상기 응축기 사이(240)로 상기 냉각수 탱크(320)로의 유출 측에 배치되어 상기 냉각탑(340)으로부터 유출되어 상기 제 1 냉각수와 혼합되는 상기 제 2 냉각수의 유량(Q2)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너리 지열 발전 시스템.
- 삭제
- 삭제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열수 순환 유닛(100)에는 상기 증발기를 통해 열교환 과정을 거친 지열수가 열교환할 수 있도록 상기 증발기를 거친 상기 지열수 라인 상에 배치되는 별도의 지열수 순환 유닛 열교환기(110)가 더 구비되고,
양단이 상기 난방수 탱크에 각각 연결되는 난방수 공급 배관(311)은 상기 지열수 순환 유닛 열교환기(110)를 거침으로써, 상기 난방수가 상기 지열수와 열교환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너리 지열 발전 시스템.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난방수 공급 배관에는 상기 난방수가 상기 지열수 순환 유닛 열교환기(110)를 통과한 후 외부로 공급 배출되거나 또는 다시 상기 난방수 탱크로 유입되도록 경로 조절할 수 있는 삼방향 밸브(360)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너리 지열 발전 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04688A KR101425962B1 (ko) | 2011-10-13 | 2011-10-13 | 바이너리 지열 발전 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04688A KR101425962B1 (ko) | 2011-10-13 | 2011-10-13 | 바이너리 지열 발전 시스템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39978A KR20130039978A (ko) | 2013-04-23 |
KR101425962B1 true KR101425962B1 (ko) | 2014-08-05 |
Family
ID=484399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104688A Expired - Fee Related KR101425962B1 (ko) | 2011-10-13 | 2011-10-13 | 바이너리 지열 발전 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25962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4697243A (zh) * | 2015-03-15 | 2015-06-10 | 北京中科华誉能源技术发展有限责任公司 | 基于电动三通阀快速制冷、制热切换的整体式水源热泵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42096B1 (ko) * | 2014-12-05 | 2016-07-22 | 주식회사 이노지오테크놀로지 | 저온 지열 하이브리드 열병합 발전시스템 |
KR20180070502A (ko) | 2016-12-16 | 2018-06-26 | 인석신 | 지열 발전장치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107906A (ja) * | 1997-09-30 | 1999-04-20 | Hisaka Works Ltd | バイナリー発電システム |
-
2011
- 2011-10-13 KR KR1020110104688A patent/KR101425962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107906A (ja) * | 1997-09-30 | 1999-04-20 | Hisaka Works Ltd | バイナリー発電システム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4697243A (zh) * | 2015-03-15 | 2015-06-10 | 北京中科华誉能源技术发展有限责任公司 | 基于电动三通阀快速制冷、制热切换的整体式水源热泵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39978A (ko) | 2013-04-2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Yang et al. | Thermodynamic analysis and optimization of a solar organic Rankine cycle operating with stable output | |
KR101434908B1 (ko) | 중저온 폐열을 활용한 난방 열원 또는 전기 생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 |
KR100975276B1 (ko) | 흡수식 히트펌프를 이용한 지역난방수 공급 시스템 | |
KR20150089110A (ko) | 가변용량 orc 분산발전시스템 | |
CN103307803B (zh) | 一种复合利用能量的冷、热水供应装置 | |
KR20130036816A (ko) | 대온도차 지역난방 공급시스템 | |
KR102210405B1 (ko) | 축열과 방열기능을 갖는 다기능 단기 계간 축열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 | |
US10883728B2 (en) | Broad band district heating and cooling system | |
KR101707822B1 (ko) | 정상운전시 공기열원 히트펌프에 의한 계절간 지열에너지 열적평형 보상제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제어방법 | |
CN106839513A (zh) | 电厂循环水余热热泵利用与自然水体蓄热结合的节能系统 | |
CN103115388B (zh) | 热电厂循环水供热系统 | |
KR20190062802A (ko) | 해수온도차발전 시운전 및 잉여전력 활용을 위한 해수담수화 겸용 로드 뱅크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 |
JP5334493B2 (ja) | 養鰻池保温システム | |
KR101564761B1 (ko) | 광역상수를 이용한 수온차 수축열 냉난방 시스템 | |
KR101397621B1 (ko) | 가스 화력 발전소의 에너지 효율 향상 시스템 | |
KR20110061844A (ko) | 해수 온도차 발전 장치 | |
CN105679388A (zh) | 多功能核电厂 | |
KR101425962B1 (ko) | 바이너리 지열 발전 시스템 | |
KR101736913B1 (ko) | 열에너지 회수 장치 | |
KR20150022311A (ko) | 히트펌프 발전 시스템 | |
KR101315918B1 (ko) | 저온 폐열 및 흡수식 냉동기를 이용한 orc 열병합 시스템 | |
CN110886629A (zh) | 一种利用光热实现热电解耦的系统和方法 | |
KR20100125830A (ko) | 저온 냉매 증발 활성화에 의한 폐열 발전시스템 | |
KR101241816B1 (ko) | 발전기가 구비된 수열교환방식 냉난방장치 | |
KR20100054288A (ko) | 히트펌프를 이용한 온실 냉난방 시스템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101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1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11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53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7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407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725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7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715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71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83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71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05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