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5484B1 - Engine's ignition coil - Google Patents
Engine's ignition coil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25484B1 KR101425484B1 KR1020120140343A KR20120140343A KR101425484B1 KR 101425484 B1 KR101425484 B1 KR 101425484B1 KR 1020120140343 A KR1020120140343 A KR 1020120140343A KR 20120140343 A KR20120140343 A KR 20120140343A KR 101425484 B1 KR101425484 B1 KR 10142548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enter core
- insulating paper
- spool
- buffer member
- insulat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9000004593 Epoxy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0000008646 thermal stress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claims 2
- XUIMIQQOPSSXEZ-UHFFFAOYSA-N Silicon Chemical compound [Si] XUIMIQQOPSSXEZ-UHFFFAOYSA-N 0.000 claims 1
- 239000012792 core layer Substances 0.000 claims 1
- 229910052710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1
- 239000010703 silicon Substances 0.000 claims 1
- 229920002379 silicone rubber Polymers 0.000 claims 1
- 238000002485 combustion reac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0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5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11810 insulat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35882 str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336 crac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822 epoxy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46 fu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647 polyepox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0976 Electrical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56 catabol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567 combustion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602 cont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212 insula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12—Ignition, e.g. for IC engin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P—IGNITION, OTHER THAN COMPRESSION IGNITION, FOR INTERNAL-COMBUSTION ENGINES; TESTING OF IGNITION TIMING IN COMPRESSION-IGNITION ENGINES
- F02P13/00—Sparking plugs structurally combined with other parts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P—IGNITION, OTHER THAN COMPRESSION IGNITION, FOR INTERNAL-COMBUSTION ENGINES; TESTING OF IGNITION TIMING IN COMPRESSION-IGNITION ENGINES
- F02P15/00—Electric spark ignition having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2P1/00 - F02P13/00 and combined with layout of ignition circui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P—IGNITION, OTHER THAN COMPRESSION IGNITION, FOR INTERNAL-COMBUSTION ENGINES; TESTING OF IGNITION TIMING IN COMPRESSION-IGNITION ENGINES
- F02P3/00—Other installations
- F02P3/02—Other installations having inductive energy storage, e.g. arrangements of induction coil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12—Ignition, e.g. for IC engines
- H01F2038/122—Ignition, e.g. for IC engines with rod-shaped co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gnition Installation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의 전원과 연결된 입력단자부와, 상기 입력단자부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외부 전원과 연결되는 상단으로부터 점화 스파크와 결합되는 하단까지 중공으로 형성된 통 형상의 1차 스풀과, 상기 1차 스풀 외주면에 권선된 1차 코일과, 상기 1차 스풀 내에 마련된 중공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2차 스풀과, 상기 2차 스풀 외주면에 권선된 2차 코일과, 상기 2차 스풀 내에 장착되는 중심코어와, 상기 중심코어와 상기 2차 스풀 사이에 마련되어 절연하는 절연지 및 상기 중심코어와 상기 절연지 사이에 충진되어 엔진 구동시 중심코어와 중심코어 외부에 경화된 에폭시에서 발생하는 열응력을 완화하는 완충부재를 포함하는 내연기관용 점화코일이 개시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여 내연기관용 점화코일 내에 마련된 중심코어의 절연 저하 및 출력 전압 저하를 방지하며, 각 부재 사이에 충진된 에폭시에서 크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park plug having an input terminal portion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ource, a cylindrical primary spool detachably connected to the input terminal portion and hollowed from an upper end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ource to a lower end coupled with an ignition spark, A secondary coil wound around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ary spool, and a secondary coil wound around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ary spool, An insulating paper which is provided between the center core and the secondary spool and insulates the insulating core, and a buffer member filled between the center core and the insulating paper to alleviate thermal stress generated in the center core and the epoxy cured outside the center core during engine driving An ignition coil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is disclosed.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insulation deterioration and the output voltage drop of the center core provided in the ignition coil for the internal combustion engine and to prevent cracks from occurring in the epoxy filled between the respective members.
Description
본 발명은 내연기관용 점화코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내연기관용 점화코일 내에 마련된 중심코어의 절연 저하를 방지하는 내연기관용 점화코일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gnition coil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gnition coil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that prevents insulation deterioration of a center core provided in an ignition coil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일반적으로 내연기관은 기관의 내부에서 연소가 이루어지며 연료의 연소에 의한 연소가스의 팽창을 기계적인 일에 이용하는 기관이다. 이러한 내연기관 중 가솔린 기관은 연료의 연소를 위해 별도의 점화장치를 필요로 한다. 상기 점화장치는 가솔린 기관의 연소실에 조합되어 불꽃을 튀겨 가솔린 기관의 연소실 내 혼합가스를 압축하는 점화 플러그와, 운전석에 부착되어 점화장치 회로의 전류를 단속하여 가솔린 기관을 시동하거나 정지시키는 스위칭 동작하는 점화 스위치와, 상기 점화 스위치의 스위칭 동작에 따라 작동되어 상기 점화 플러그가 강한 불꽃을 튀도록 배터리나 발전기의 저전압을 고전압으로 유도하는 점화 코일을 포함한다.Generally,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is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that uses internal combustion engines to expand the combustion gas due to the combustion of fuel. Among such internal combustion engines, gasoline engines require separate ignition devices for the combustion of the fuel. The ignition apparatus includes an ignition plug which is combined with a combustion chamber of a gasoline engine and fires flame to compress a gas mixture in a combustion chamber of a gasoline engine, and a switching operation which is attached to the driver's seat to intermit the current of the ignition device circuit to start or stop the gasoline engine And an ignition coil which is operated in accordance with the switching operation of the ignition switch to induce a low voltage of the battery or the generator to a high voltage so that the spark plug sparks a strong flame.
상기한 바와 같은 내연기관의 점화코일에서는, 전압을 증폭하여 고전압으로 유도하는 과정에서의 손실을 최소하고 안전성을 위해, 1,2차 코일을 지지하는 1,2차 스풀의 동축으로 조합되어야 한다. In the ignition coil of the internal combustion engine as described above, it is necessary to combine the coils of the first and second spools for supporting the first and second coils in order to minimize the loss in the process of amplifying the voltage and inducing it to the high voltage.
또한, 내연기관의 점화코일은 케이스 내부에 마련된 중심코어는 에폭시(epoxy)수지 등의 수지 절연재에 포장되어 있다. 상기 수지 절연재는 케이스 내에 설치되는 각 부재 사이에 충진되어 각 부재간의 절연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각 부재의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함이다. In the ignition coil of the internal combustion engine, the center core provided inside the case is packaged in a resin insulating material such as an epoxy resin. The resin insulating material is filled between the respective members provided in the case to secure the insulation between the respective members and to maintain the stability of the respective members.
상기 중심코어는 고전압이 직접 공급되기 때문에 내연기관의 엔진에서 발생되는 열이 중심코어에 직접 전달되고, 내연기관의 점화코일을 구성하는 각 부재의 팽창 계수 차이에 의하여 열응력이 상기 수지 절연재에 전달된다. 이로 인하여 수지 절연재에 크랙(crack)이 발생하며, 발생한 크랙에 의하여 내연기관의 점화코일의 절연 정도가 저하됨과 동시에 출력 전압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Since the center core is directly supplied with a high voltage, the heat generated in the engine of the internal combustion engine is directly transmitted to the center core, and the thermal stress is transmitted to the resin insulator by the difference in expansion coefficient of each member constituting the ignition coil of the internal combustion engine. do. As a result, cracks are generated in the resin insulating material, and the cracking of the resin insulating material lowers the degree of insulation of the ignition coil of the internal combustion engine and lowers the output voltag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내연기관용 점화코일 내에 마련된 중심코어의 절연 저하 및 출력 전압 저하를 방지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an insulation drop and an output voltage drop of a center core provided in an ignition coil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또한, 본 발명은 중심코어와 에폭시 사이의 선팽창계수의 차이에 의해 발생하는 응력차이로 에폭시에 크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event cracks from being generated in the epoxy due to a difference in stress caused by a difference in coefficient of linear expansion between the core and the epoxy.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내연기관용 점화코일은 외부의 전원과 연결된 입력단자부와, 상기 입력단자부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외부 전원과 연결되는 상단으로부터 점화 스파크와 결합되는 하단까지 중공으로 형성된 통 형상의 1차 스풀과, 상기 1차 스풀 외주면에 권선된 1차 코일과, 상기 1차 스풀 내에 마련된 중공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2차 스풀과, 상기 2차 스풀 외주면에 권선된 2차 코일과, 상기 2차 스풀 내에 장착되는 중심코어와, 상기 중심코어와 상기 2차 스풀 사이에 마련되어 절연하는 절연지 및 상기 중심코어와 상기 절연지 사이에 충진되어 엔진 구동시 중심코어와 에폭시에서 발생하는 열응력을 완화하는 완충부재를 포함한다.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ignition coil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including an input terminal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ource, and an ignition coil connected to the ignition spark from an upper end connected to the external power source, A secondary spool inserted into the hollow provided in the primary spool; a secondary spool wound around the secondary spool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condary spool; An insulating paper provided between the center core and the secondary spool and insulated therefrom; and an insulating paper filled between the center core and the insulating paper so that the center core and the epoxy And a buffer member for relieving the generated thermal stress.
상기 구성에 의하여 내연기관용 점화코일 내에 마련된 중심코어의 절연 저하 및 출력 전압 저하를 방지하며, 각 부재 사이에 충진된 에폭시에서 크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insulation deterioration and the output voltage drop of the center core provided in the ignition coil for the internal combustion engine and to prevent cracks from occurring in the epoxy filled between the respective members.
전술한 과제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은 내연기관용 점화코일 내에 마련된 중심코어와 절연지 사이에 완충부재를 충진하거나 절연공기층을 형성함으로써, 중심코어와 중심코어 외부에 충진되는 에폭시와의 직접 접촉을 막는 동시에 중심코어와 에폭시 등 각 부품이 갖는 서로 다른 선팽창계수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크랙을 방지하여 점화코일의 절연 저하 및 점화코일의 출력 전압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 solving means, 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the direct contact between the center core and the epoxy filled in the outside of the center core by filling the buffer member between the center core and the insulating paper provided in the ignition coil for the internal combustion engine or by forming the insulating air layer It is possible to prevent cracks which may be caused by different linear expansion coefficients of the respective components such as the center core and the epoxy and to prevent the insulation breakdown of the ignition coil and the output voltage of the ignition coil from being lowered.
또한, 본 발명은 내연기관용 점화코일의 중심코어와 상기 중심코어 외주면에 마련된 절연지 사이에 완충부재를 충진하거나 절연공기층을 형성함으로써, 내연기관의 엔진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하여 중심코어의 열응력을 충분히 완화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절연지에서 크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filling a buffer member between the center core of the ignition coil for the internal combustion engine and the insulating paper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enter core, or by forming an insulating air layer, the thermal stress of the center core is sufficiently relaxed . As a result, cracking can be prevented from occurring in the insulating paper.
또한, 본 발명은 내연기관용 점화코일의 중심코어와 상기 중심코어 외주면에 마련된 절연지 사이에 충진된 완충부재 또는 절연공기층에 의하여 절연지와 함께 이중으로 중심코어를 완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that the center core can be doubly buried together with the insulating paper by the buffer member or the insulating air layer filled between the center core of the ignition coil for the internal combustion engine and the insulating paper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enter cor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연기관용 점화코일을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도 1의 중심코어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1의 중심코어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1의 중심코어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1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n ignition coil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shows the central core of Figure 1;
Fig. 3 is a view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center core of Fig. 1; Fig.
Fig. 4 shows another modification of the center core of Fig. 1; Fig.
하기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특정 상세들이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는데, 이들 특정 상세들 없이 또한 이들의 변형에 의해서도 본 발명이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specific details of the invention are set forth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o provide a more thorough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readily practiced without these specific details, It will be clear to those who have knowledge.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되, 본 발명에 따른 동작 및 작용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4. FIG.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연기관용 점화코일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중심코어를 도시한 도면이다. FIG.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ignition coil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view showing the center core of FIG.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연기관용 점화코일(100)은 입력단자부(110), 1차 스풀(140), 1차 코일(130), 2차 스풀(160), 2차 코일(150), 중심코어(260), 절연지(220) 및 완충부재(240)를 포함한다. 1 and 2, an
상기 1차 스풀(140)은 입력단자부(110)에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외부 전원과 연결되는 상단으로부터 점화 스파크와 결합되는 하단까지 중공으로 형성된 원통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1차 스풀(140) 외주면에는 1차 코일(130)이 권선되어 마련된다. 상기 1차 코일(130)은 입력된 전원이 원활하게 순환될 수 있도록 마련된 장치이며, 권선되는 모양은 발명에서 요구되는 요건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The
상기 2차 스풀(160)은 1차 스풀(140)의 중공에 삽입될 수 있으며 내부에 중심코어(26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2차 스풀(160) 외주면에는 2차 코일(150)이 권선되어 1차 코일(130)과 함께 입력된 전원의 순환을 안내할 수 있다. The
상기 1차 스풀(140) 및 2차 스풀(160) 외면에는 1차 스풀(140)과 2차 스풀(160)을 포함하는 케이스(120)가 마련될 수 있으며, 입력단자부(110)에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The
이때, 상기 입력단자부(110)는 외부에서 전원을 입력 받을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전원콘센트(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케이스(120)와 결합되기 위한 결합부(미도시) 등이 더 마련될 수 있다.A power outlet (not shown) may be provided for the
상기 중심코어(260)는 폭이 다른 복수의 얇은 판형상의 규소 강판을 중심코어(260)의 지름 방향을 따라 적층한 원통형의 자성체이다. The
이러한 중심코어(260)와 2차 스풀(160) 사이에는 절연지(220)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절연지(220)는 PP, PPE와 같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축 방향의 중심코어(260)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중심코어(260)와 1차 스풀(140) 및 2차 스풀(160) 사이의 절연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An
상기의 구성에 따른 점화코일(100)을 형성하면, 각 부재 사이에 에폭시(epoxy)(미도시)가 충진될 수 있다. 상기 에폭시는 각 부재 간의 절연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각 부재의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에폭시는 점화코일(100)의 각 부재가 조립되면 액상 상태의 에폭시를 점화코일(100)의 각 부재 사이에 충진하고 경화하는 과정으로 형성될 수 있다. When the
또한, 상기 절연지(220)은 상부 및 하부가 개구되어 형성되며, 상기 절연지(220) 개구부 어느 한 방향으로 중심코어를 삽입한 후 절연지(220)와 중심코어(260) 사이에 완충부재(240)를 충진할 수 있다. The
상기 완충부재(240)는 중심코어(260)의 상측, 하측 및 외측 둘레를 따라 마련될 수 있으며, 보다 자세하게는 중심코어(260)의 상부, 하부 및 측부를 둘러싸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완충부재(240)을 중심코어(260)의 주변에 마련함으로써, 내연기관의 점화코일(100)이 동작할 때 중심코어(260)의 가장자리 영역에서 발생하는 열응력이 에폭시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에폭시의 경화과정에서 중심코어(260)의 수축, 팽창에 의한 크랙 발생을 방지하게 된다The
또한, 중심코어(260)와 절연지(220) 사이에 완충부재(240)를 마련함으로써, 절연지(220)와 완충부재(240)가 2중으로 중심코어(260)와 에폭시와의 절연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The
한편, 도 3은 도 1의 중심코어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1의 중심코어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3 is a view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the center core of FIG. 1, and FIG. 4 is a view showing another modified example of the center core of FIG.
도면을 설명하기에 앞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도면부호와 동일 도면부호의 경우 동일 구성이라고 판단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Before describing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those shown in Figs. 1 and 2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우선, 도 3을 참고하면, 완충부재(240)는 중심코어(260)의 상측 및 하측에 충진되며, 중심코어(260)와 절연지(240) 사이에는 절연공기층(28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연공기층(280)은 완충부재(240)와 같이 중심코어(260)와 절연지(240)가 접촉하는 것을 차단하는 공간이라고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중심코어(260)와 절연지(240) 사이의 상하부에 형성되는 완충부재(240)에 의하여,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중심코어(260) 상하면 모서리에서 발생하는 수축팽창을 완화하여 에폭시에 열응력이 전달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와 유사하게 중심코어와(260) 절연지(240) 사이에 형성되는 절연공기층(280) 또한 중심코어(260)의 외벽에서 발생하는 열응력이 에폭시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에폭시에서 중심코어(260)의 수축, 팽창에 의한 크랙 발생을 방지하게 된다.3, an
한편, 완충부재(240)는 중심코어(260)의 상측에서 외측 둘레로 연장 형상되어 절연지(240)의 상부 내면과 면접하는 제1 연장면(243)이 형성된 상측완충부재(242)와 중심코어(260)의 하측에서 외측 둘레로 연장 형성되어 절연지(240)의 하부 내면과 면접하는 제2 연장면(245)이 형성된 하측완충부재(244)를 포함한다. 이때, 절연지(240)는 제1 및 제2 연장면(243, 245)에 고정될 수 있다. The
즉, 상기 절연공기층(280)은 중심코어(260)와 절연지(240) 사이에 형성된 빈 공간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중심코어(260)와 절연지(240)를 고정시키기 위해서 완충부재(240)를 각각 중심코어(260)의 상측 및 하측에서 외측 둘레 방향으로 제1 및 제2 연장면(243, 245)을 형성한다. 형성된 제1 및 제2 연장면(243, 245)은 각각 중심코어(260)의 상측면 및 하측면과 외접하면서 중심코어(260)를 지지 및 고정하게 된다. 이때, 제1 및 제2 연장면(243, 245)의 형성 길이는 중심코어(260)를 지지 및 고정할 수 있는 최소의 길이만큼 형성될 수 있다.
That is, the
이와 다르게, 완충부재(240)는 중심코어(260)의 상측에 마련된 상측완충부재(242)와 중심코어(260)의 하측에 마련된 하측완충부재(244)를 포함하며, 중심코어(260)는 절연공기층(280) 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The
즉, 도 4를 참고하면, 완충부재(240)는 중심코어(260)의 상측 및 하측에만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중심코어(260)는 절연공기층(280) 내에 안착된 상태이기 때문에 절연공기층(280)에서 상, 하 또는 좌, 우로 이동이 가능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중심코어(260)를 절연공기층(280) 내에 위치시킴으로써, 중심코어(260)에서 발생한 열응력을 절연공기층(280)에서 1차 응력완화, 절연지(220)에서 2차 응력완화를 하여 에폭시에서 크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4, the
상기와 같이 내연기관용 점화코일(100)의 중심코어(260)와 절연지(220) 사이에 완충부재(240)를 마련하거나 절연공기층(280)을 형성함으로써, 중심코어(260)에서 발생한 열응력이 에폭시로 직접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은 물론 절연지 및 완충부재, 절연공기층 등에 의해 응력이 완화되어 에폭시에서 크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cushioning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100: 내연기관용 점화코일 110: 입력단자부
120: 케이스 130: 1차 코일
140: 1차 스풀 150: 2차 코일
160: 2차 스풀 220: 절연지
240: 완충부재 242: 상측완충부재
243: 제1 연장면 244: 하측완충부재
245: 제2 연장면 260: 중심코일
280: 절연공기층 100: Ignition coil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110: Input terminal part
120: Case 130: Primary coil
140: primary spool 150: secondary coil
160: Secondary spool 220: Insulating paper
240: buffer member 242: upper buffer member
243: first extended surface 244: lower cushioning member
245: second extended surface 260: central coil
280: Insulating air layer
Claims (6)
상기 입력단자부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외부 전원과 연결되는 상단으로부터 점화 스파크와 결합되는 하단까지 중공으로 형성된 통 형상의 1차 스풀;
상기 1차 스풀 외주면에 권선된 1차 코일;
상기 1차 스풀 내에 마련된 중공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2차 스풀;
상기 2차 스풀 외주면에 권선된 2차 코일;
상기 2차 스풀 내에 장착되는 중심코어;
상기 중심코어와 상기 2차 스풀 사이에 마련되어 절연하는 절연지;
상기 중심코어와 상기 절연지 사이에 충진되어 엔진 구동 시 상기 중심 코어와 에폭시에서 발생하는 열응력을 완화하는 완충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완충부재는 실리콘(Si) 또는 실리콘 고무이고,
상기 중심코어의 상측 및 하측에 충진되며,
상기 절연지와 상기 중심코어 사이에는 절연공기층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용 점화코일.An input terminal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ource;
A cylindrical primary spool detachably coupled to the input terminal portion and hollowed from an upper end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ource to a lower end coupled with an ignition spark;
A primary coil woun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primary spool;
A secondary spool inserted into the hollow provided in the primary spool;
A secondary coil woun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ary spool;
A center core mounted within the secondary spool;
An insulating paper provided between the center core and the secondary spool for insulation;
A buffer member filled between the center core and the insulating paper to alleviate thermal stress generated in the center core and the epoxy when the engine is driven; / RTI >
The buffer member may be silicon (Si) or silicon rubber,
And a second core layer
And an insulating air layer is further formed between the insulating paper and the center core.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중심코어의 외측 둘레, 상기 중심코어의 상측 및 하측에 충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용 점화코일.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uffer member
And an outer periphery of the center core, and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center core.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중심코어의 상측에서 외측 둘레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절연지의 상부 내면과 면접하는 제1 연장면이 형성된 상측완충부재와,
상기 중심코어의 하측에서 외측 둘레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절연지의 하부 내면과 면접하는 제2 연장면이 형성된 하측완충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절연지는 상기 제1 및 제2 연장면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용 점화코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uffer member
An upper cushioning member extending from an upper side of the central core to an outer periphery thereof and having a first extended surface to be in contact with an upper inner surface of the insulating paper,
And a lower cushioning member extending from the lower side of the center core to the outer periphery thereof and having a second extended surface to be in contact with the lower inner surface of the insulating paper,
And the insulating paper is fixed to the first and second extended surfaces.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중심코어의 상측에 마련된 상측완충부재와,
상기 중심코어의 하측에 마련된 하측완충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중심코어는 상기 절연공기층 내에서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용 점화코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uffer member
An upper cushioning member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center core,
And a lower cushioning member provided below the center core,
And the center core is movable in the insulating air layer.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40343A KR101425484B1 (en) | 2012-12-05 | 2012-12-05 | Engine's ignition coi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40343A KR101425484B1 (en) | 2012-12-05 | 2012-12-05 | Engine's ignition coil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72622A KR20140072622A (en) | 2014-06-13 |
KR101425484B1 true KR101425484B1 (en) | 2014-08-01 |
Family
ID=511264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140343A Active KR101425484B1 (en) | 2012-12-05 | 2012-12-05 | Engine's ignition coil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25484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8209171A1 (en) * | 2017-05-12 | 2018-11-15 | Walbro Llc | Ignition device |
KR20190018220A (en) | 2017-08-14 | 2019-02-22 | (주)이림전자 | Small sized Ignition coil having Low weight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280237A (en) * | 2001-03-15 | 2002-09-27 | Denso Corp | Ignition coil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KR20040030909A (en) * | 2002-06-03 | 2004-04-09 |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 Ignition coil |
JP2008034561A (en) * | 2006-07-27 | 2008-02-14 | Denso Corp | Ignition coil |
JP2008277459A (en) * | 2007-04-27 | 2008-11-13 | Denso Corp | Ignition coil |
-
2012
- 2012-12-05 KR KR1020120140343A patent/KR101425484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280237A (en) * | 2001-03-15 | 2002-09-27 | Denso Corp | Ignition coil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KR20040030909A (en) * | 2002-06-03 | 2004-04-09 |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 Ignition coil |
JP2008034561A (en) * | 2006-07-27 | 2008-02-14 | Denso Corp | Ignition coil |
JP2008277459A (en) * | 2007-04-27 | 2008-11-13 | Denso Corp | Ignition coil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8209171A1 (en) * | 2017-05-12 | 2018-11-15 | Walbro Llc | Ignition device |
US11373798B2 (en) | 2017-05-12 | 2022-06-28 | Walbro Llc | Ignition device |
KR20190018220A (en) | 2017-08-14 | 2019-02-22 | (주)이림전자 | Small sized Ignition coil having Low weight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72622A (en) | 2014-06-1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6068360B2 (en) | Corona igniter with improved insulation, including ignition coil | |
US9117585B2 (en) | Ignition coil | |
JPH11111543A (en) | Ignition coil devic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 |
KR101425484B1 (en) | Engine's ignition coil | |
US7209023B2 (en) | Ignition coil with separating wall | |
KR100795572B1 (en) | Solid-state insulated pole transformer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
JP4427941B2 (en) | Ignition coil | |
JP2004169619A (en) | Ignition coil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 |
KR200432586Y1 (en) | Solid-state insulated pole transformer | |
JP2008277459A (en) | Ignition coil | |
JP3888516B2 (en) | Ignition coil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 |
KR200380730Y1 (en) | A center core for Ignition coil | |
KR101166391B1 (en) | Ignition coil | |
JP2003282339A (en) | Ignition coil | |
JP4338949B2 (en) | Ignition coil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 |
JP2004104005A (en) | Ignition coil | |
JP2009170783A (en) | Ignition coi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KR20190018220A (en) | Small sized Ignition coil having Low weight | |
JP3030184U (en) | Ignition coil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 |
JP2003083221A (en) | Ignition devic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 |
JPS58122713A (en) | Mold ignition coil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 |
JPH09144639A (en) | Ignition coil devic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 |
JP5181858B2 (en) | Ignition coil | |
JPH1174139A (en) | Ignition coil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 |
JP2004186588A (en) | Ignition coil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120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120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527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7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407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710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71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705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70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62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61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63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629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