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5043B1 - Outdoor heat exchanger - Google Patents
Outdoor heat exchang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25043B1 KR101425043B1 KR1020120081817A KR20120081817A KR101425043B1 KR 101425043 B1 KR101425043 B1 KR 101425043B1 KR 1020120081817 A KR1020120081817 A KR 1020120081817A KR 20120081817 A KR20120081817 A KR 20120081817A KR 101425043 B1 KR101425043 B1 KR 10142504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eat
- refrigerant
- heat exchanger
- header pipe
- dur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9000003507 refrigera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72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9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2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8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51 othe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57 refrige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9/00—Evaporators; Condens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39/00—Details of evaporators; Details of condens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600/00—Control issues
- F25B2600/25—Control of valves
- F25B2600/2515—Flow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ther Air-Condition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외 열교환기는, 공기조화기에 포함되어 냉방운전 시 응축기로 작용되고 난방운전시 증발기로 작용되는 실외 열교환기에 있어서, 상기 실외 열교환기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열교환부를 포함하고, 상기 열교환부들의 열교환량은 상기 열교환부들에 인접한 주위의 공기 유동속도에 비례하여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outdoor heat exchan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t least two heat exchangers, which are included in an air conditioner and function as a condenser during a cooling operation and as an evaporator during a heating operation. The outdoor heat exchanger includes at least two heat exchangers, And the amount of heat exchange of the portions increases in proportion to the air flow rate of the surroundings adjacent to the heat exchange portions.
Description
본 발명은 실외 열교환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열교환 능력이 향상된 실외 열교환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utdoor heat exchange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outdoor heat exchanger having improved heat exchanging ability.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압축기, 실외열교환기, 팽창밸브 및 실내 열교환기를 포함하는 냉동 사이클을 이용하여 실내를 냉방 또는 난방시키는 장치이다. 즉 실내를 냉방시키는 냉방기, 실내를 난방시키는 난방기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실내를 냉방 또는 난방시키는 냉난방 겸용 공기조화기로 구성될 수도 있다.Generally, the air conditioner is a device for cooling or heating the room by using a refrigeration cycle including a compressor, an outdoor heat exchanger, an expansion valve, and an indoor heat exchanger. A radiator for cooling the room, and a radiator for heating the room. And a cooling / heating air conditioner for cooling or heating the room.
상기 공기조화기가 냉난방 겸용 공기조화기로 구성되는 경우, 냉방운전과 난방운전에 따라 압축기에서 압축된 냉매의 유로를 바꾸는 사방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냉방운전 시 압축기에서 압축된 냉매는 사방밸브를 통과하여 실외열교환기로 유동을 하고 실외열교환기는 응축기 역할을 한다. 그리고, 실외열교환기에서 응축된 냉매는 팽창밸브에서 팽창된 후, 실내열교환기로 유입된다. 이 때, 실내열교환기는 증발기로 작용을 하게 되고, 실내열교환기에서 증발된 냉매는 다시 사방밸브를 통과하여 압축기로 유입된다.And a four-way valve for changing the flow path of the refrigerant compressed by the compressor according to the cooling operation and the heating operation when the air conditioner is composed of the air conditioner and the air conditioner. That is, the refrigerant compressed in the compressor during the cooling operation flows through the four-way valve to the outdoor heat exchanger, and the outdoor heat exchanger serves as the condenser. The refrigerant condensed in the outdoor heat exchanger is expanded in the expansion valve, and then flows into the indoor heat exchanger. At this time, the indoor heat exchanger acts as an evaporator, and the refrigerant evaporated in the indoor heat exchanger passes through the four-way valve and flows into the compressor.
한편, 난방운전시 압축기에서 압축된 냉매는 사방밸브를 통과하여 실내열교환기로 유동을 하고 실내열교환기는 응축기 역할을 한다. 그리고, 실내열교환기에서 응축된 냉매는 팽창밸브에서 팽창된 후, 실외열교환기로 유입된다. 이때 실외열교환기는 증발기로 작용을 하게 되고, 실외열교환기에서 증발된 냉매는 다시 사방밸브를 통과하여 압축기로 유입된다.On the other hand, the refrigerant compressed in the compressor during the heating operation flows through the four-way valve to the indoor heat exchanger, and the indoor heat exchanger serves as the condenser. The refrigerant condensed in the indoor heat exchanger is expanded in the expansion valve, and then flows into the outdoor heat exchanger. At this time, the outdoor heat exchanger acts as an evaporator, and the refrigerant evaporated in the outdoor heat exchanger passes through the four-way valve and flows into the compressor.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냉방 운전시와 난방 운전시 냉매의 유로가 가변되는 실외 열교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outdoor heat exchanger in which a refrigerant flow path is variable during cooling operation and during heating opera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난방 운전시 냉매와 공기의 열교환을 줄이고 냉방 운전시 냉매와 공기의 열교환을 늘이는 실외 열교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outdoor heat exchanger that reduces heat exchange between refrigerant and air during heating operation and increases heat exchange between refrigerant and air during cooling opera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열교환 되는 공기의 유동속도가 빠른 곳에 열교환 량이 큰 열교환부를 배치시켜서 열교환량이 향상된 실외 열교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outdoor heat exchanger in which a heat exchanging unit having a large heat exchanging amount is disposed at a high flow rate of heat exchanged air to improve the heat exchanging amount.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외 열교환기는, 공기조화기에 포함되어 냉방운전 시 응축기로 작용되고 난방운전시 증발기로 작용되는 실외 열교환기에 있어서, 상기 실외 열교환기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열교환부를 포함하고, 상기 열교환부들 중 상기 실외 열교환기 내의 공기 유동속도가 상대적으로 빠른 곳에 배치된 열교환부는 다른 열교환부에 비해 큰 열교환량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n outdoor heat exchan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cluded in an air conditioner and serves as a condenser during a cooling operation and as an evaporator during a heating operation. The outdoor heat exchanger includes at least two And a heat exchange unit arranged at a relatively fast air flow rate in the outdoor heat exchanger among the heat exchange units has a larger heat exchange amount than the other heat exchange units.
본 발명의 실외 열교환기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The outdoor heat exchange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effects.
열교환되는 공기의 유동속도 가 큰 곳에 큰 열교환 량을 가지는 열교환부를 배치시켜서, 실외 열교환기의 열교환 능력을 향상시키고, 공기 조화기의 효율도 상승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ere is an advantage that a heat exchange unit having a large heat exchange amount is disposed at a large flow rate of the air to be heat-exchanged, thereby improving the heat exchange capacity of the outdoor heat exchanger and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the air conditioner.
또한, 냉방 운전시와 난방 운전시 냉매의 유로가 가변되는 장점이 있다.Further,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flow path of the refrigerant is variable during the cooling operation and during the heating operation.
또한,, 난방 운전시 냉매와 공기의 열교환을 줄이고 냉방 운전시 냉매와 공기의 열교환을 늘여 효율을 극대화하는 장점도 있다.In addition, there is also an advantage in that heat exchange between the refrigerant and the air is reduced during the heating operation, and heat exchange between the refrigerant and the air is extended during the cooling operation, thereby maximizing the efficiency.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외 열교환기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의 실외 열교환기 내의 공기 유동 속도에 관한 그래프이다.
도 4는 냉방운전 시의 도 2의 실외 열교환기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동작도이다.
도 5는 난방운전 시의 도 2의 실외 열교환기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동작도이다.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outdoor heat exchan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graph relating to the air flow rate in the outdoor heat exchanger of FIG.
4 is an operation diagram showing the operation state of the outdoor heat exchanger of Fig. 2 during cooling operation.
5 is an operation diagram showing the operation state of the outdoor heat exchanger of Fig. 2 during the heating opera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anner of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from and elucidat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after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fully disclose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실외 열교환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for explaining an outdoor heat exchanger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구성도이다.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실외기(OU) 및 실내기(IU)를 포함한다.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outdoor unit (OU) and an indoor unit (IU).
실외기(OU)는, 압축기(110), 실외 열교환기(140), 과냉각기(180)를 포함한다. 공기조화기는 1개 또는 복수의 실외기(OU)를 포함할 수 있다.The outdoor unit (OU) includes a compressor (110), an outdoor heat exchanger (140), and a subcooler (180). The air conditioner may include one or a plurality of outdoor units (OU).
압축기(110)는 유입되는 저온 저압의 냉매를 고온 고압의 냉매로 압축시킨다. 압축기(110)는 다양한 구조가 적용될 수 있으며, 인버터형 압축기 또는 정속 압축기가 채택될 수 있다. 압축기(110)의 토출배관(161) 상에는 토출 온도 센서(171) 및 토출 압력 센서(151)가 설치된다. 또한, 압축기(110)의 흡입배관(162) 상에는 흡입 온도 센서(175) 및 흡입 압력 센서(154)가 설치된다.The
실외기(OU)는 1개의 압축기(110)를 포함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실외기(OU)가 복수 개의 압축기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인버터형 압축기 및 정속 압축기를 함께 포함할 수 있다.The outdoor unit (OU) includes one compressor (110),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outdoor unit (OU) may include a plurality of compressors, and may include an inverter type compressor and a constant speed compressor.
압축기(110)에 액상의 냉매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압축기(110)의 흡입배관(162)에는 어큐뮬레이터(187)가 설치될 수 있다. 압축기(110)에서 토출된 냉매 중 오일을 회수하도록 압축기(110)의 토출배관(161)에는 오일분리기(113)가 설치될 수 있다.An
사방밸브(160)는 냉난방 절환을 위한 유로 절환 밸브로서, 압축기(110)에서 압축된 냉매를 냉방 운전시 실외 열교환기(140)로 안내하고, 난방 운전시 실내 열교환기(120)로 안내한다. 사방밸브(160)는 냉방 운전시 A 상태이며, 난방 운전시 B 상태이다.The four-
실외 열교환기(140)는 실외 공간에 배치되며, 실외 열교환기(140)를 통과하는 냉매가 실외 공기와 열교환을 한다. 실외 열교환기(140)는 냉방 운전 시 응축기로 작용하고, 난방 운전 시 증발기로 작용한다.The outdoor heat exchanger (140) is disposed in the outdoor space, and the refrigerant passing through the outdoor heat exchanger (140) exchanges heat with outdoor air. The
실외 열교환기(140)는 제 1 유입배관(166)과 연결되어 액관(165)을 통하여 실내기(IU)와 연결된다. 실외 열교환기(140)는 제 2 유입배관(167)과 연결되어 사방밸브(160)과 연결된다.The
과냉각기(180)는 과냉용 열교환기(184), 제2바이패스 배관(181), 과냉 팽창 밸브(182) 및 배출 배관(185)을 포함한다. 과냉용 열교환기(184)는 제 1 유입배관(166) 상에 배치된다. 냉방 운전 시, 제2바이패스 배관(181)은 과냉용 열교환기(184)로부터 토출되는 냉매를 바이패스 시켜서 과냉 팽창 밸브(182)로 유입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과냉 팽창 밸브(182)는 제2바이패스 배관(181) 상에는 배치되어, 제2바이패스 배관(181)으로 유입되는 액상의 냉매를 교축시켜서, 냉매의 압력 및 온도를 낮춘 후, 과냉용 열교환기(184)로 유입시킨다. 과냉 팽창 밸브(182)는 다양한 종류가 이용될 수 있으며 사용의 편의성을 위하여 선형 팽창 밸브(Linear expansion valve)가 이용될 수 있다. 제2바이패스 배관(181) 상에는 과냉 팽창 밸브(182)에서 교축된 냉매의 온도를 측정하는 과냉 온도 센서(183)가 설치된다. The
냉방 운전 시, 실외 열교환기(140)를 거친 응축 냉매가 제2바이패스 배관(181)을 통하여 유입된 저온의 냉매와 과냉용 열교환기(184)에서 열교환하여 과냉된 후 실내기(IU)로 유동한다.In the cooling operation, the condensed refrigerant passing through the
제2바이패스 배관(181)을 통과한 냉매는 과냉 열교환기(184)에서 열교환 후, 배출 배관(185)을 통하여 어큐뮬레이터(187)로 유입된다. 배출 배관(185) 상에는 어큐뮬레이터(187)로 유입되는 냉매의 온도를 측정하는 배출 배관 온도 센서(178)가 설치된다.The refrigerant having passed through the
과냉각기(180)와 실내기(IU)를 연결하는 액관(165) 상에는 액관 온도 센서(174) 및 액관 압력 센서(156)가 설치된다.A liqui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에서 실내기(IU)는, 실내 열교환기(120), 실내 송풍기(125) 및 실내 팽창 밸브(131)를 포함한다. 공기조화기는 1개 또는 복수의 실내기(IU)를 포함할 수 있다.The indoor unit IU includes the
실내 열교환기(120)는 실내 공간에 배치되어 실내 열교환기(120)를 통과하는 냉매는 실내 공기와 열교환을 한다. 실내 열교환기(120)는 냉방 운전 시 증발기로 작용하고, 난방 운전 시 응축기로 작용한다. 실내 열교환기(120)에는 실내 온도를 측정하는 실내 온도 센서(176)가 설치된다.The indoor heat exchanger (120) is disposed in the indoor space, and the refrigerant passing through the indoor heat exchanger (120) exchanges heat with indoor air. The
실내 팽창 밸브(131)는 냉방 운전 시 유입되는 냉매를 교축하는 장치이다. 실내 팽창 밸브(131)는 실내기(IU)의 실내 입구 배관(163)에 설치된다. 실내 팽창 밸브(131)는 다양한 종류가 이용될 수 있으며 사용의 편의성을 위하여 선형 팽창 밸브(Linear expansion valve)가 이용될 수 있다. 실내 팽창 밸브(131)는 냉방 운전 시 설정된 개도로 개방되며, 난방 운전시 완전 개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실내 입구 배관(163) 상에는 실내 입구 배관 온도 센서(173)가 설치된다. 실내 입구 배관 온도 센서(173)는 실내 열교환기(120)와 실내 팽창 밸브(131)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실내 출구 배관(164) 상에는 실내 출구 배관 온도 센서(172)가 설치된다.An indoor inlet
상술한 공기조화기의 냉방 운전시 냉매의 흐름은 다음과 같다.The flow of the refrigerant during the cooling operation of the above-mentioned air conditioner is as follows.
압축기(110)로부터 토출된 고온 고압의 기상 냉매는, 사방밸브(160)를 거쳐 제 2 유입배관(167)을 통하여 실외 열교환기(140)로 유입된다. 실외 열교환기(140)에서 냉매는 실외 공기와 열교환되어 응축한다. 실외 열교환기(140)로부터 유출되는 냉매는 제 1 유입배관(166)을 통하여 과냉각기(180)로 유입된다. 유입된 냉매는 과냉용 열교환기(184)에서 과냉된 후 실내기(IU)로 유입된다.The high-temperature, high-pressure gaseous refrigerant discharged from the
과냉용 열교환기(184)에서 과냉된 냉매의 일부는 과냉 팽창 밸브(182)에서 교축되어 과냉용 열교환기(184)를 통과하는 냉매를 과냉시킨다. 과냉 열교환기(184) 과냉시킨 냉매는 어큐뮬레이터(187)로 유입된다.A part of the subcooled refrigerant in the
실내기(IU)로 유입된 냉매는 설정된 개도로 개방된 실내 팽창 밸브(131)에서 교축된 후 실내 열교환기(120)에서 실내 공기와 열교환하여 증발한다. 증발된 냉매는 사방밸브(160) 및 어큐뮬레이터(187)를 거쳐 압축기(110)로 유입된다.The refrigerant flowing into the indoor unit IU is throttled by the
상술한 공기조화기의 난방 운전시 냉매의 흐름은 다음과 같다.The flow of the refrigerant during the above-described heating operation of the air conditioner is as follows.
압축기(110)로부터 토출된 고온 고압의 기상 냉매는, 사방밸브(160)를 거쳐 실내기(IU)로 유입된다. 실내기(IU)의 실내 팽창 밸브(131)들은 완전 개방된다. 실내기(IU)로부터 유출되는 냉매는 제 1 유입배관(166)을 통하여 실외 열교환기(140)로 유입되고 실외 열교환기(140)에서 실외 공기와 열교환하여 증발한다. 증발된 냉매는 제 2 유입배관(167)을 통하여 사방밸브(160) 및 어큐뮬레이터(187)를 거쳐 압축기(110)의 흡입배관(162)으로 유입된다.The high-temperature, high-pressure gaseous refrigerant discharged from the compressor (110) flows into the indoor unit (IU) through the four-way valve (160). The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외 열교환기의 구성도, 도 3은 도 2의 실외 열교환기 내의 공기 유동 속도에 관한 그래프이다.FIG. 2 is a schematic view of an outdoor heat exchan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graph illustrating an air flow rate in the outdoor heat exchanger of FIG.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외 열교환기(140)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열교환부(143a)(143b)(143c)를 포함하고, 열교환부들(143a)(143b)(143c) 중 실외 열교환기(140) 내의 공기 유동속도가 상대적으로 빠른 곳에 배치된 열교환부(141a)는 다른 열교환부(143b)(143c)에 비해 큰 열교환량을 가진다.2 and 3, an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외 열교환기(140)는, 열교환부들(143a)(143b)(143c)의 열교환량은 열교환부들(143a)(143b)(143c)에 인접한 주위의 공기 유동속도에 비례하여 증가할 수 있다.In the
여기서, 열교환부들(143a)(143b)(143c)은 예를 들면, 도 2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열교환부(143a)와 제 2 열교환부(143b)와 제 3 열교환부(143c)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열교환부들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당업자가 적절한 개수를 선택할 수 있으나, 제조비용 대비 효과를 고려하면 2개 내지 4개가 바람직할 것이다.2, the
열교환부들(143a)(143b)(143c)의 배치와 연결은 후술한다.The arrangement and connection of the
열교환부들(143a)(143b)(143c)은 열교환부들(143a)(143b)(143c)의 내부를 흐르는 냉매와 외부의 공기가 열교환되는 장치이다. 열교환부들(143a)(143b)(143c)은 예를 들면, 냉매가 유동하는 복수의 냉매튜브와 복수의 전열핀으로 구성되어 냉매와 공기가 열교환 된다.The
실외 열교환기(140)는 실외기(OU)에 설치될 수도 있고, 단독으로 설치될 수 있다.The
실외 열교환기(140)는 도 2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열교환부들(143a)(143b)(143c)이 내부에 구비되고, 열교환부들(143a)(143b)(143c)과 외부의 공기가 접촉할 수 있는 일정한 공간을 가지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As shown in FIG. 2, the
또한, 실외 열교환기(140)는 실외기(OU)의 내부에 구비될 수도 있다. The
여기서, 실외 열교환기(140) 내의 공기 유동속도의 의미는, 상술한 바와 같이 실외 열교환기(140) 내에 열교환부들(143a)(143b)(143c)과 외부의 공기가 접촉할 수 있는 일정한 공간 내의 공기의 유동속도를 의미한다.The air flow rate in the
또한, 열교환부들(143a)(143b)(143c)에 인접한 주위의 공기 유동속도의 의미는, 열교환부들(143a)(143b)(143c)과 외부에서 흡입된 공기가 접촉되어 열교환되는 영역의 공기 유동속도를 의미한다.The air flow velocity in the vicinity of the
실외 열교환기(140)는 열교환부들(143a)(143b)(143c) 중 실외 열교환기(140) 내의 공기 유동속도가 상대적으로 빠른 곳에 배치된 열교환부(143a)가 다른 열교환부(143b)(143c)에 비해 큰 열교환 량을 가지기 위해, 실외 열교환기(140) 내의 공기 유동속도가 상대적으로 빠른 곳에 배치된 열교환부(143a)의 열교환 면적은 다른 열교환부(143b)(143c)의 열교환 면적에 비해 클 수 있다. 예를 들면, 상단에서 하단으로 제 1 열교환부(143a), 제 2 열교환부(143b) 및 제 3 열교환부(143c)가 순서대로 배치되고, 제 1 열교환부(143a)가 위치한 곳의 공기 유동속도가 다른 곳 보다 빠른 경우, 제 1 열교환부(143a)의 열교환량은 제 2 열교환부(143b) 및 제 3 열교환부(143c)의 열교환량 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제 1 열교환부(143a)의 냉매튜브의 개수가 제 2 열교환부(143b) 및 제 3 열교환부(143c)의 냉매튜브의 개수 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열교환부들(143a)(143b)(143c)은 실외 열교환기(140) 내의 공기 유동속도가 상대적으로 빠른 곳에 가깝게 배치될수록 큰 열교환 량을 가질 수도 있다.The
열교환부들(143a)(143b)(143c)의 열교환 면적은 열교환부들(143a)(143b)(143c)에 인접한 주위의 공기 유동속도에 비례하여 증가할 수 있다.The heat exchange area of the
예를 들면, 상단에서 하단으로 제 1 열교환부(143a), 제 2 열교환부(143b) 및 제 3 열교환부(143c)가 순서대로 배치되고, 제 3 열교환부(143c)에서 제 1 열교환부(143a)의 방향으로 진행할 수록 공기의 유동속도가 증가한다면, 제 3 열교환부(143c)의 열교환량은 제 2 열교환부(143b)의 열교환량 보다 작고, 제 2 열교환부(143b)의 열교환량은 제 1 열교환부(143a)의 열교환량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여기서, 비례의 의미는 수학적 의미의 정확한 비례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고, 선형적 또는 비선형적 비례를 포함하는 의미이다.Here, the meaning of proportion does not mean an accurate proportion of mathematical meaning but includes a linear or non-linear proportion.
바람직하게는, 제 1 열교환부(143a)의 열교환 면적은 전체 열교환부의 면적 대비 50% 내지 60% 이고, 제 2 열교환부(143b)의 열교환 면적은 전체 열교환부의 면적 대비 30% 내지 40% 이고, 제 3 열교환부(143c)의 열교환 면적은 전체 열교환부의 면적 대비 10% 내지 30% 일 수 있다. 즉, 전체 열교환부들(143a)(143b)(143c)의 면적인 100% 범위 내에서, 상기 비율에 따라 열교환 면적을 설정할 수 있다.Preferably, the heat exchanging area of the first
여기서 공기의 유동은 자연적 또는 인위적 유동을 포함한다.Where the flow of air includes natural or anthropogenic flows.
실외 열교환기(140)에서 외부의 공기의 유동속도가 큰 경우, 큰 열교환 능력을 가지게 되므로, 열교환되는 공기의 유동속도가 큰 곳에 큰 열교환 량을 가지는 열교환부를 배치시켜서, 실외 열교환기(140)의 열교환 능력을 향상시키고, 공기 조화기의 효율도 상승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A heat exchange unit having a large amount of heat exchange is disposed at a large flow rate of air to be heat-exchanged, so that the heat exchange capacity of the
이하에서, 실외 열교환기(140) 내의 공기 유동속도를 기준으로 설명하지만, 이는 열교환부들(143a)(143b)(143c)에 인접한 주위의 공기 유동속도로도 해석될 수 있다.Hereinafter, the air flow rate in the
실외 열교환기(140) 내 또는 열교환부들(143a)(143b)(143c)의 주위의 공기유동을 위해서 실외 열교환기(140)에는 실외 열교환기(140) 내로 외부의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193)와, 실외 열교환기(140) 내에서 열교환부들(143a)(143b)(143c)과 열교환된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194)와, 흡입구(193)에서 토출구(194) 방향으로 흐르는 공기의 유동을 발생시키는 공기유동 발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토출구(194)와 흡입구(193)는 하우징(195)의 일측에 형성되는 개구부일 수 있다. 하우징(195)는 외부 공기와 열교환부들(143a)(143b)(143c)이 접촉하는 공간을 제공한다. 그리고, 하우징(195)은 실외기(OU)의 케이싱일 수도 있다.The
그리고, 토출구(194)는 흡입구(193) 보다 상단에 배치될 수 있다. 즉, 대형 공기 조화기에서 열교환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토출구(194)는 상단에 배치하고, 흡입구(193)는 하단 측면에 배치하는 것이 보통이다. 이 경우, 도 2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공기의 흐름이 형성된다.The
상기 공기유동 발생부는 공기의 유동을 발생시키는 장치이고, 예를 들면, 팬(191)과 팬(191)을 회전시키는 팬모터(192)를 포함할 수 있다.The air flow generating unit is a device for generating a flow of air, and may include, for example, a
상기 공기유동 발생부는 토출구(194)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실외 열교환기(140)의 공기 유동속도는 도 3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공기유동 발생부에 인접할 수록 커지게 된다.The air flow generating unit may be disposed at the
효과적인 열교환을 위해서 열교환부들(143a)(143b)(143c) 중 상기 공기유동 발생부에 인접하여 배치된 열교환부의 열교환량은 다른 열교환부 보다 클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열교환부(143a)는 공기유동 발생부에 인접한 토출구(194) 측에 위치하고, 제 2 열교환부(143b)는 제 1 열교환부(143a)의 하단에 위치하며, 제 3 열교환부(143c)는 제 2 열교환부(143b)의 하단에 위치한다면, 제 1 열교환부(143a)의 열교환 량 또는 열교환 면적은 제 2 열교환부(143b) 및 제 3 열교환부(143c) 보다 크게 형성된다. 또한, 제 1 열교환부(143a)의 열교환 량은 제 2 열교환부(143b)의 열교환 량 보다 크고, 제 2 열교환부(143b)의 열교환 량은 제 3 열교환부(143c)의 열교환 량 보다 클 수 있다.For efficient heat exchange, the heat exchange amount of the heat exchange portions disposed adjacent to the air flow generation portion among the
열교환부들(143a)(143b)(143c)의 배치와 연결관계는 다음과 같다.The arrangement and connection relationship of the
열교환부들(143a)(143b)(143c)은 냉방운전 시 압축기(110)에서 압축된 냉매가 유입되는 제 1 헤더파이프(141a)와 연결되어 냉매를 공기와 열교환하는 제 1 열교환부(143a)와, 냉방운전 시 제 1 열교환부(143a)를 통과한 냉매가 유입되는 제 2 헤더파이프(141b)와 연결되어 냉매를 공기와 열교환하는 제 2 열교환부(143b)와, 냉방운전 시 제 2 열교환부(143b)를 통과한 냉매가 유입되는 제 3 헤더파이프(141c)와 연결되어 냉매를 공기와 열교환하는 제 3 열교환부(143c)를 포함한다.The
또한 실시예의 실외 열교환기(140)는 냉방운전 시 제 1 열교환부(143a)에서 열교환된 냉매를 상기 제 2 헤더파이프(141b)로 안내하는 제 1 바이패스 배관(144a)과, 냉방운전 시 제 2 열교환부(143b)에서 열교환된 냉매를 상기 제 3 헤더파이프(141c)로 안내하는 제 2 바이패스 배관(144b)을 더 포함한다.The
즉, 실외 열교환기(140)는 압축기(110)와 연결된 제 1 헤더파이프(141a)와, 일측이 제 1 헤더파이프(141a)와 연결되며 냉매를 공기와 열교환하는 제 1 열교환부(143a)와, 제 1 열교환부(143a)의 타측과 연결되는 제 1 바이패스 배관(144a)과, 제 1 열교환부(143a)의 타측과 연결되는 제 1 분배 배관(148a)과, 제 1 헤더파이프(141a) 및 제 1 바이패스 배관(144a)과 연결되는 제 2 헤더파이프(141b)와, 일측이 제 2 헤더파이프(141b)와 연결되며 냉매를 공기와 열교환하는 제 2 열교환부(143b)와, 제 2 열교환부(143b)의 타측과 연결되는 제 2 바이패스 배관(144b)과, 제 2 헤더파이프(141b) 및 제 2 바이패스 배관(144b)과 연결되는 제 3 헤더파이프(141c)와, 일측이 제 3 헤더파이프(141c)와 연결되며 냉매를 공기와 열교환하는 제 3 열교환부(143c)와, 제 3 열교환부(143c)의 타측과 연결되는 제 2 분배 배관(148b)을 포함한다.That is, the
제 1 헤더파이프(141a)의 일단은 제 2 유입배관(167)과 연결되어 압축기(110)와 연결된다. 제 1 헤더파이프(141a)의 타단은 제 1 바이패스 배관(144a) 및 제 2 헤더파이프(141b)와 연결된다. 제 1 헤더파이프(141a)의 타단에는 제 1 체크밸브(142a)가 배치된다. 제 1 체크밸브(142a)는 제 1 헤더파이프(141a)로부터 제 2 헤더파이프(141b)로 냉매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제 2 헤더파이프(141b)로부터 제 1 헤더파이프(141a)로 냉매가 유입되는 것은 허용한다.One end of the
제 1 헤더파이프(141a)는 제 1 열교환부(143a)의 일측과 연결된다. 제 1 헤더파이프(141a)는 제 1 열교환부(143a)의 복수의 냉매튜브와 연결된다. 즉, 제 1 헤더파이프(141a)는 제 1 열교환부(143a)의 복수의 냉매튜브로 분지된다.The
제 1 열교환부(143a)는 일측이 제 1 헤더파이프(141a)와 연결되고, 타측이 제 1 가변헤더파이프(146a)와 연결된다. 제 1 열교환부(143a)는 냉매가 유동하는 복수의 냉매튜브와 복수의 전열핀으로 구성되어 냉매를 공기와 열교환한다. 제 1 열교환부(143a)의 복수의 냉매튜브의 일측은 제 1 헤더파이프(141a)로 합지되고, 타측은 제 1 가변헤더파이프(146a)로 합지된다.One side of the first
제 1 가변헤더파이프(146a)는 제 1 열교환부(143a)의 타측과 연결되고, 제 1 바이패스 배관(144a)과 연결되고, 제 1 분배기(147a)와 연결된다.The first
제 1 가변헤더파이프(146a)는 제 1 열교환부(143a)의 복수의 냉매튜브와 연결된다. 즉, 제 1 가변헤더파이프(146a)는 제 1 열교환부(143a)의 복수의 냉매튜브로 분지된다.The first
제 1 가변헤더파이프(146a)는 복수의 냉매파이프로 분지되어 제 1 분배기(147a)와 연결된다. 제 1 열교환부(143a)의 복수의 냉매튜브는 제 1 가변헤더파이프(146a)로 합지된 후 다시 복수의 냉매파이프로 분지되어 제 1 분배기(147a)와 연결된다. 실시예에 따라, 제 1 가변헤더파이프(146a)는 생략되어 제 1 열교환부(143a)의 복수의 냉매튜브가 제 1 분배기(147a)로 연결될 수 있다.The first
제 1 가변헤더파이프(146a)의 일단은 제 1 바이패스 배관(144a)와 연결된다. 실시예에 따라, 제 1 가변헤더파이프(146a)는 생략되어 제 1 바이패스 배관(144a)이 제 1 열교환부(143a)의 복수의 냉매튜브와 연결되거나, 제 1 바이패스 배관(144a)이 제 1 분배기(147a) 또는 제 1 분배 배관(148a)과 연결될 수 있다.One end of the first
제 1 분배기(147a)는 제 1 가변헤더파이프(146a)와 제 1 분배 배관(148a)을 연결한다. 제 1 분배기(147a)는 제 1 가변헤더파이프(146a)에서 분지된 복수의 냉매파이프를 제 1 분배 배관(148a)으로 합지한다. 실시예에 따라 제 1 분배기(147a)는 제 1 열교환부(143a)의 복수의 냉매튜브를 제 1 분배 배관(148a)으로 합지한다.The
제 1 분배 배관(148a)은 제 1 분배기(147a) 및 제 1 가변헤더파이프(146a)를 통하여 제 1 열교환부(143a)의 타측과 연결된다. 제 1 분배 배관(148a)은 제 1 유입배관(166)과 연결된다.The
제 1 분배 배관(148a)에는 제 1 분배 배관(148a)의 개도를 조절하는 제 1 팽창밸브(149a)가 배치된다. 제 1 팽창밸브(149a)는 제 1 분배 배관(148a)을 통과하는 냉매를 교축하거나 바이패스하거나 차단할 수 있다.The
제 1 바이패스 배관(144a)은 일단이 제 1 가변헤더파이프(146a)와 연결되고, 타단이 제 2 헤더파이프(141b)와 연결된다. 제 1 바이패스 배관(144a)에는 개폐되어 냉매의 흐름을 조절하는 제 1 단속밸브(145a)가 배치된다. 제 1 단속밸브(145a)는 개방되어 제 1 가변헤더파이프(146a)로부터 제 2 헤더파이프(141b)로 냉매가 유동하도록 하고, 폐쇄되어 제 2 헤더파이프(141b)로부터 제 1 가변헤더파이프(146a) 냉매가 유동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The
제 2 헤더파이프(141b)의 일단은 제 1 바이패스 배관(144a) 및 제 1 헤더파이프(141a)와 연결되고, 타단은 제 2 바이패스 배관(144b) 및 제 3 헤더파이프(141c)와 연결된다. 제 2 헤더파이프(141b)의 타단에는 제 2 체크밸브(142b)가 배치된다. 제 2 체크밸브(142b)는 제 2 헤더파이프(141b)로부터 제 3 헤더파이프(141c)로 냉매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제 3 헤더파이프(141c)로부터 제 2 헤더파이프(141b)로 냉매가 유입되는 것은 허용한다.One end of the
제 2 헤더파이프(141b)는 제 2 열교환부(143b)의 일측과 연결된다. 제 2 헤더파이프(141b)는 제 2 열교환부(143b)의 복수의 냉매튜브와 연결된다. 즉, 제 2 헤더파이프(141b)는 제 2 열교환부(143b)의 복수의 냉매튜브로 분지된다.The
제 2 열교환부(143b)는 일측이 제 2 헤더파이프(141b)와 연결되고, 타측이 제 2 가변헤더파이프(146b)와 연결된다. 제 2 열교환부(143b)는 냉매가 유동하는 복수의 냉매튜브와 복수의 전열핀으로 구성되어 냉매를 공기와 열교환한다. 제 2 열교환부(143b)의 복수의 냉매튜브의 일측은 제 2 헤더파이프(141b)로 합지되고, 타측은 제 2 가변헤더파이프(146b)로 합지된다.One side of the
제 2 가변헤더파이프(146b)는 제 2 열교환부(143b)의 타측과 연결되고, 제 2 바이패스 배관(144b)과 연결되고, 제 2 분배기(147b)와 연결된다.The second
제 2 가변헤더파이프(146b)는 제 2 열교환부(143b)의 복수의 냉매튜브와 연결된다. 즉, 제 2 가변헤더파이프(146b)는 제 2 열교환부(143b)의 복수의 냉매튜브로 분지된다.The second
제 2 가변헤더파이프(146b)의 일단은 제 2 바이패스 배관(144b)와 연결된다. 실시예에 따라, 제 2 가변헤더파이프(146b)는 생략되어 제 2 바이패스 배관(144b)이 제 2 열교환부(143b)의 복수의 냉매튜브와 연결될 수 있다.One end of the second
제 2 바이패스 배관(144b)은 일단이 제 2 가변헤더파이프(146b)와 연결되고, 타단이 제 3 헤더파이프(141c)와 연결된다. 제 2 바이패스 배관(144b)에는 개폐되어 냉매의 흐름을 조절하는 제 2 단속밸브(145b)가 배치된다. 제 2 단속밸브(145b)는 개방되어 제 2 가변헤더파이프(146b)로부터 제 3 헤더파이프(141c)로 냉매가 유동하도록 하고, 폐쇄되어 제 3 헤더파이프(141c)로부터 제 2 가변헤더파이프(146b) 냉매가 유동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The
제 3 헤더파이프(141c)의 일단은 제 2 바이패스 배관(144b) 및 제 2 헤더파이프(141b)와 연결된다. 제 3 헤더파이프(141c)는 제 3 열교환부(143c)의 일측과 연결된다. 제 3 헤더파이프(141c)는 제 3 열교환부(143c)의 복수의 냉매튜브와 연결된다. 즉, 제 3 헤더파이프(141c)는 제 3 열교환부(143c)의 복수의 냉매튜브로 분지된다.One end of the
제 3 열교환부(143c)는 일측이 제 2 헤더파이프(141b)와 연결되고, 타측이 제 2 분배기(147b)와 연결된다. 제 3 열교환부(143c)는 냉매가 유동하는 복수의 냉매튜브와 복수의 전열핀으로 구성되어 냉매를 공기와 열교환한다. 제 3 열교환부(143c)의 복수의 냉매튜브의 일측은 제 3 헤더파이프(141c)로 합지되고, 타측은 제 2 분배기(147b)로 합지된다.
One end of the third
제 2 분배기(147b)는 제 3 열교환부(143c)와 제 2 분배 배관(148b)을 연결한다. 제 2 분배기(147b)는 제 3 열교환부(143c)에서 분지된 복수의 냉매튜브를 제 2 분배 배관(148b)으로 합지한다.The
제 2 분배 배관(148b)은 제 2 분배기(147b)를 통하여 제 3 열교환부(143c)의 타측과 연결된다. 제 2 분배 배관(148b)은 제 1 유입배관(166)과 연결된다.The
제 2 분배 배관(148b)에는 제 2 분배 배관(148b)의 개도를 조절하는 제 2 팽창밸브(149b)가 배치된다. 제 2 팽창밸브(149b)는 제 2 분배 배관(148b)을 통과하는 냉매를 교축하거나 바이패스하거나 차단할 수 있다.A
상술한 제 2 열교환부(143b)는 제 1 열교환부(143a)의 하단에 배치되고, 제 3 열교환부(143c)는 제 2 열교환부(143b)의 하단에 배치된다. 즉, 제 1 열교환부(143a), 제 2 열교환부(143b) 및 제 3 열교환부(143c)는 수직으로 배치되어 복수의 전열핀이 공유될 수 있다.The second
상술한 제 1 헤더파이프(141a), 제 2 헤더파이프(141b) 및 제 3 헤더파이프(141c)는 수직으로 연결되어 하나의 파이프를 구성할 수 있다.The
실시예에 따라, 상술한 제 2 헤더파이프(141b), 제 2 열교환부(143b) 및 제 2 바이패스 배관(144b)은 복수로 구비되어 상술한 과정을 반복하여 연결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도 4는 냉방운전 시의 도 2의 실외 열교환기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동작도이다.4 is an operation diagram showing the operation state of the outdoor heat exchanger of Fig. 2 during cooling operation.
도 4를 참고하면, 상술한 실외 열교환기(140)의 냉방 운전시 냉매의 흐름은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FIG. 4, the flow of the refrigerant during the cooling operation of the
압축기(110)에서 압축된 냉매는 제 2 유입배관(167)을 통하여 제 1 헤더파이프(141a)로 유입된다. 제 1 헤더파이프(141a)로 유입된 냉매는 제 1 체크밸브(142a)에 의하여 제 2 헤더파이프(141b)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제 1 헤더파이프(141a)로 유입된 냉매는 제 1 열교환부(143a)로 유동된다.The refrigerant compressed in the
제 1 열교환부(143a)로 유동된 냉매는 공기와 열교환되어 응축된다. 제 1 열교환부(143a)에서 응축된 냉매는 제 1 가변헤더파이프(146a)로 유동된다.The refrigerant flowing into the first
냉방 운전시 제 1 팽창밸브(149a)는 폐쇄되어 제 1 가변헤더파이프(146a)로 유동된 냉매는 제 1 분배기(147a) 및 제 1 분배 배관(148a)으로 유동되지 못한다. 냉방운전 시 제 1 단속밸브(145a)가 개방되어 제 1 가변헤더파이프(146a)로 유동된 냉매는 제 1 바이패스 배관(144a)으로 유동된다. During the cooling operation, the
제 1 바이패스 배관(144a)을 통과한 냉매는 제 2 헤더파이프(141b)로 유입된다. 제 2 헤더파이프(141b)로 유입된 냉매는 제 2 열교환부(143b)로 유동된다.The refrigerant having passed through the
제 2 열교환부(143b)로 유동된 냉매는 공기와 열교환되어 재차 응축된다. 제 2 열교환부(143b)에서 응축된 냉매는 제 2 가변헤더파이프(146b)로 유동된다. 냉방운전 시 제 2 단속밸브(145b)가 개방되어 제 2 가변헤더파이프(146b)로 유동된 냉매는 제 2 바이패스 배관(144b)으로 유동된다.The refrigerant flowing into the
제 2 바이패스 배관(144b)을 통과한 냉매는 제 3 헤더파이프(141c)로 유입된다. 제 3 헤더파이프(141c)로 유입된 냉매는 제 3 열교환부(143c)로 유동된다.The refrigerant having passed through the second bypass piping 144b flows into the
제 3 열교환부(143c)로 유동된 냉매는 공기와 열교환되어 재차 응축된다. 제 3 열교환부(143c)에서 응축된 냉매는 제 2 분배기(147b)로 유동된다. 냉방운전 시 제 2 팽창밸브(149b)는 완전 개방되어 제 2 분배 배관(148b)으로 유입된다.The refrigerant flowing into the third
제 2 분배 배관(148b)을 통과한 냉매는 제 1 유입배관(166)으로 유동되어 액관(165)을 통하여 실내기(IU)로 유동된다.The refrigerant having passed through the
실시예에 따라, 상술한 제 2 헤더파이프(141b), 제 2 열교환부(143b) 및 제 2 바이패스 배관(144b)은 복수로 구비되어 냉매가 더 많이 반복되어 응축될 수 있다. 또한, 외부 공기의 유동속도에 따라 각 열교환부들(143a)(143b)(143c)의 열교환량을 달리하여서 열교환 량을 상승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a plurality of the
도 5는 난방운전 시의 도 2의 실외 열교환기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동작도이다.5 is an operation diagram showing the operation state of the outdoor heat exchanger of Fig. 2 during the heating operation.
도 5를 참고하면, 상술한 실외 열교환기(140)의 난방 운전시 냉매의 흐름은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FIG. 5, the flow of the refrigerant during the heating operation of the
실내기(IU)의 실내 열교환기(120)에서 응축된 냉매는 액관(165)을 통하여 제 1 유입배관(166)으로 유동된다. 제 1 유입배관(166)으로 유동된 냉매는 제 1 분배 배관(148a)과 제 2 분배 배관(148b)으로 각각 유동된다.The refrigerant condensed in the indoor heat exchanger (120) of the indoor unit (IU) flows to the first inflow pipe (166) through the liquid pipe (165). The refrigerant flowing into the
제 2 분배 배관(148b)으로 유동된 냉매는 개도가 조절된 제 2 팽창밸브(149b)에서 팽창된다 제 2 팽창밸브(149b)에서 팽창된 냉매는 제 2 분배기(147b)를 거쳐 제 3 열교환부(143c)로 유동된다.The refrigerant that has flowed into the
제 3 열교환부(143c)로 유동된 냉매는 공기와 열교환되어 증발된다. 제 3 열교환부(143c)에서 증발된 냉매는 제 3 헤더파이프(141c)로 유입된다.The refrigerant flowing into the third
난방 운전시 제 2 단속밸브(145b)는 폐쇄되어 제 3 헤더파이프(141c)로 유입된 냉매는 제 2 바이패스 배관(144b)으로 유동되지 못한다. 제 3 헤더파이프(141c)로 유입된 냉매는 제 2 헤더파이프(141b)로 유입된다.During the heating operation, the second
난방 운전시 제 1 단속밸브(145a)는 폐쇄되어 제 2 헤더파이프(141b)로 유입된 냉매는 제 1 바이패스 배관(144a)으로 유동되지 못한다. 제 2 헤더파이프(141b)로 유입된 냉매는 제 1 헤더파이프(141a)로 유입된다.During the heating operation, the first
한편, 제 1 분배 배관(148a)으로 유동된 냉매는 개도가 조절된 제 1 팽창밸브(149a)에서 팽창된다 제 1 팽창밸브(149a)에서 팽창된 냉매는 제 1 분배기(147a) 및 제 1 가변헤더파이프(146a)로 유동된다.On the other hand, the refrigerant that has flowed into the
난방운전시 제 1 단속밸브(145a)는 폐쇄되어 제 1 가변헤더파이프(146a)로 유입된 냉매는 제 2 헤더파이프(141b)로 유동되지 못한다. 제 1 가변헤더파이프(146a)로 유입된 냉매는 제 1 열교환부(143a)로 유동된다.During the heating operation, the first
제 1 열교환부(143a)로 유동된 냉매는 공기와 열교환되어 증발된다. 제 1 열교환부(143a)에서 증발된 냉매는 제 1 헤더파이프(141a)로 유입된다.The refrigerant flowing into the first
제 1 열교환부(143a)에서 증발된 냉매와 제 3 헤더파이프(141c) 및 제 2 헤더파이프(141b)를 통과한 냉매는 제 2 유입배관(167)으로 유동되어 압축기(110)로 유동된다.The refrigerant evaporated in the first
실시예에 따라, 상술한 제 2 헤더파이프(141b), 제 2 열교환부(143b) 및 제 2 바이패스 배관(144b)이 복수로 구비되어도 냉매는 제 1 열교환부(143a) 및 제 3 열교환부(143c)에서만 증발된다.Even if a plurality of the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4)
상기 실외 열교환기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열교환부를 포함하고,
상기 열교환부들 중 상기 실외 열교환기 내의 공기 유동속도가 상대적으로 빠른 곳에 배치된 열교환부는 다른 열교환부에 비해 큰 열교환량을 가지고,
상기 열교환부들은,
냉방운전 시 압축기에서 압축된 냉매가 유입되는 제 1 헤더파이프와 연결되어 냉매를 공기와 열교환하는 제 1 열교환부;
냉방운전 시 상기 제 1 열교환부를 통과한 냉매가 유입되는 제 2 헤더파이프와 연결되어 냉매를 공기와 열교환하는 제 2 열교환부; 및
냉방운전 시 상기 제 2 열교환부를 통과한 냉매가 유입되는 제 3 헤더파이프와 연결되어 냉매를 공기와 열교환하는 제 3 열교환부를 포함하고,
냉방운전 시 상기 제 1 열교환부에서 열교환된 냉매를 상기 제 2 헤더파이프로 안내하는 제 1 바이패스 배관;
냉방운전 시 상기 제 2 열교환부에서 열교환된 냉매를 상기 제 3 헤더파이프로 안내하는 제 2 바이패스 배관;
상기 제 1 열교환부와 연결되는 제 1 분배 배관;
상기 제 1 분배 배관에 배치되어 개도를 조절하는 제 1 팽창밸브; 및
상기 제 2 분배 배관에 배치되어 개도를 조절하는 제 2 팽창밸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팽창밸브는 냉방운전 시 폐쇄되고, 상기 제 2 팽창밸브는 냉방운전 시 개방되며, 상기 제 2 팽창밸브는 난방운전시 실내 열교환기에서 응축된 냉매를 팽창하고, 상기 제 3 열교환부는 난방운전시 상기 제 2 팽창밸브에서 팽창된 냉매를 공기와 열교환하고,
상기 제 3 헤더파이프는 상기 제 3 열교환부에서 열교환된 냉매가 유입되고,
상기 제 1 팽창밸브는 난방운전시 실내 열교환기에서 응축된 냉매를 팽창하고,
상기 제 1 열교환부는 난방운전시 상기 제 1 팽창밸브에서 팽창된 냉매를 공기와 열교환하고,
제 1 헤더파이프는 상기 제 1 열교환부에서 열교환된 냉매와 상기 제 3 헤더파이프로 유입되어 상기 제 2 헤더파이프를 통과한 냉매가 유입되는 실외 열교환기.
1. An outdoor heat exchanger included in an air conditioner and serving as a condenser during cooling operation and an evaporator during heating operation,
Wherein the outdoor heat exchanger includes at least two heat exchangers,
Wherein the heat exchange unit disposed at a place where the air flow rate in the outdoor heat exchanger is relatively fast has a larger heat exchange amount than other heat exchange units,
The heat-
A first heat exchanger connected to a first header pipe through which the refrigerant compressed in the compressor flows during the cooling operation to heat exchange the refrigerant with the air;
A second heat exchanger connected to the second header pipe through which the refrigerant having passed through the first heat exchanging unit flows during the cooling operation to heat exchange the refrigerant with the air; And
And a third heat exchanging unit connected to the third header pipe through which the refrigerant having passed through the second heat exchanging unit flows during the cooling operation to heat exchange the refrigerant with the air,
A first bypass pipe for guiding refrigerant heat-exchanged in the first heat exchanger to the second header pipe during cooling operation;
A second bypass pipe for guiding the refrigerant heat-exchanged in the second heat exchanger to the third header pipe during cooling operation;
A first distribution pipe connected to the first heat exchange unit;
A first expansion valve disposed in the first distribution pipe to regulate the degree of opening; And
Further comprising a second expansion valve disposed in the second distribution pipe for regulating opening degree,
Wherein the first expansion valve is closed during a cooling operation, the second expansion valve is opened during a cooling operation, the second expansion valve expands refrigerant condensed in an indoor heat exchanger during a heating operation, Exchanges heat with the refrigerant expanded in the second expansion valve during operation,
The third header pipe is connected to the third heat exchanger,
The first expansion valve expands the refrigerant condensed in the indoor heat exchanger during the heating operation,
Wherein the first heat exchanging unit exchanges heat between the refrigerant expanded in the first expansion valve and the air during the heating operation,
Wherein the first header pipe includes a refrigerant heat-exchanged in the first heat exchanger and a refrigerant that flows into the third header pipe and flows through the second header pipe.
상기 실외 열교환기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열교환부를 포함하고,
상기 열교환부들의 열교환량은 상기 열교환부들에 인접한 주위의 공기 유동속도에 비례하여 증가하고,
상기 열교환부들은,
냉방운전 시 압축기에서 압축된 냉매가 유입되는 제 1 헤더파이프와 연결되어 냉매를 공기와 열교환하는 제 1 열교환부;
냉방운전 시 상기 제 1 열교환부를 통과한 냉매가 유입되는 제 2 헤더파이프와 연결되어 냉매를 공기와 열교환하는 제 2 열교환부; 및
냉방운전 시 상기 제 2 열교환부를 통과한 냉매가 유입되는 제 3 헤더파이프와 연결되어 냉매를 공기와 열교환하는 제 3 열교환부를 포함하고,
냉방운전 시 상기 제 1 열교환부에서 열교환된 냉매를 상기 제 2 헤더파이프로 안내하는 제 1 바이패스 배관;
냉방운전 시 상기 제 2 열교환부에서 열교환된 냉매를 상기 제 3 헤더파이프로 안내하는 제 2 바이패스 배관;
상기 제 1 열교환부와 연결되는 제 1 분배 배관;
상기 제 1 분배 배관에 배치되어 개도를 조절하는 제 1 팽창밸브; 및
상기 제 2 분배 배관에 배치되어 개도를 조절하는 제 2 팽창밸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팽창밸브는 냉방운전 시 폐쇄되고, 상기 제 2 팽창밸브는 냉방운전 시 개방되며, 상기 제 2 팽창밸브는 난방운전시 실내 열교환기에서 응축된 냉매를 팽창하고, 상기 제 3 열교환부는 난방운전시 상기 제 2 팽창밸브에서 팽창된 냉매를 공기와 열교환하고,
상기 제 3 헤더파이프는 상기 제 3 열교환부에서 열교환된 냉매가 유입되고,
상기 제 1 팽창밸브는 난방운전시 실내 열교환기에서 응축된 냉매를 팽창하고,
상기 제 1 열교환부는 난방운전시 상기 제 1 팽창밸브에서 팽창된 냉매를 공기와 열교환하고,
제 1 헤더파이프는 상기 제 1 열교환부에서 열교환된 냉매와 상기 제 3 헤더파이프로 유입되어 상기 제 2 헤더파이프를 통과한 냉매가 유입되는 실외 열교환기.1. An outdoor heat exchanger included in an air conditioner and serving as a condenser during cooling operation and an evaporator during heating operation,
Wherein the outdoor heat exchanger includes at least two heat exchangers,
Wherein a heat exchange amount of the heat exchange portions increases in proportion to an air flow rate in the vicinity of the heat exchange portions,
The heat-
A first heat exchanger connected to a first header pipe through which the refrigerant compressed in the compressor flows during the cooling operation to heat exchange the refrigerant with the air;
A second heat exchanger connected to the second header pipe through which the refrigerant having passed through the first heat exchanging unit flows during the cooling operation to heat exchange the refrigerant with the air; And
And a third heat exchanging unit connected to the third header pipe through which the refrigerant having passed through the second heat exchanging unit flows during the cooling operation to heat exchange the refrigerant with the air,
A first bypass pipe for guiding refrigerant heat-exchanged in the first heat exchanger to the second header pipe during cooling operation;
A second bypass pipe for guiding the refrigerant heat-exchanged in the second heat exchanger to the third header pipe during cooling operation;
A first distribution pipe connected to the first heat exchange unit;
A first expansion valve disposed in the first distribution pipe to regulate the degree of opening; And
Further comprising a second expansion valve disposed in the second distribution pipe for regulating opening degree,
Wherein the first expansion valve is closed during a cooling operation, the second expansion valve is opened during a cooling operation, the second expansion valve expands refrigerant condensed in an indoor heat exchanger during a heating operation, Exchanges heat with the refrigerant expanded in the second expansion valve during operation,
The third header pipe is connected to the third heat exchanger,
The first expansion valve expands the refrigerant condensed in the indoor heat exchanger during the heating operation,
Wherein the first heat exchanging unit exchanges heat between the refrigerant expanded in the first expansion valve and the air during the heating operation,
Wherein the first header pipe includes a refrigerant heat-exchanged in the first heat exchanger and a refrigerant that flows into the third header pipe and flows through the second header pipe.
상기 열교환부들 중 상기 실외 열교환기 내의 공기 유동속도가 상대적으로 빠른 곳에 배치된 열교환는 다른 열교환부에 비해 큰 열교환 면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외 열교환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heat exchange disposed at a relatively fast air flow rate in the outdoor heat exchanger among the heat exchange units has a larger heat exchange area than that of the other heat exchange units.
상기 열교환부들의 열교환 면적은 상기 열교환부들에 인접한 주위의 공기 유동속도에 비례하여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외 열교환기.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heat exchanging area of the heat exchanging parts increases in proportion to the air flow rate in the vicinity of the heat exchanging parts.
상기 실외 열교환기는,
상기 실외 열교환기 내로 외부의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
상기 실외 열교환기 내에서 상기 열교환부들과 열교환된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 및
상기 흡입구에서 상기 토출구 방향으로 흐르는 공기의 유동을 발생시키는 공기유동 발생부를 더 포함하는 실외 열교환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outdoor heat exchanger (1)
A suction port for sucking outside air into the outdoor heat exchanger;
A discharge port through which the heat-exchanged air in the outdoor heat exchanger is discharged; And
And an air flow generating unit for generating a flow of air flowing from the inlet to the outlet.
상기 열교환부들 중 상기 공기유동 발생부에 인접하여 배치된 열교환부의 열교환량은 다른 열교환부의 열교환량 보다 큰 실외 열교환기.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amount of heat exchange of the heat exchange units disposed adjacent to the air flow generation unit is greater than the heat exchange amount of the other heat exchange units.
상기 공기유동 발생부는,
상기 토출구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실외 열교환기.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air flow generating unit comprises:
And an outdoor heat exchanger disposed adjacent to the outlet.
상기 토출구는 상기 흡입구 보다 상단에 배치되는 실외 열교환기.6. The method of claim 5,
And the discharge port is disposed at an upper position than the suction port.
상기 제 1 헤더파이프는 상기 제 2 헤더파이프와 연결되고,
상기 제 2 헤더파이프는 상기 제 3 헤더파이프와 연결되고,
상기 제 1 헤더파이프에 배치되며 냉방운전 시 상기 제 1 헤더파이프로부터 상기 제 2 헤더파이프로 냉매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 1 체크밸브; 및
상기 제 2 헤더파이프에 배치되며 냉방운전 시 상기 제 2 헤더파이프로부터 상기 제 3 헤더파이프로 냉매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 2 체크밸브를 더 포함하는 실외 열교환기.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first header pipe is connected to the second header pipe,
The second header pipe is connected to the third header pipe,
A first check valve disposed in the first header pipe and preventing refrigerant from flowing into the second header pipe from the first header pipe during a cooling operation; And
Further comprising a second check valve disposed in the second header pipe to prevent refrigerant from flowing into the third header pipe from the second header pipe during a cooling operation.
상기 제 1 열교환부의 열교환 면적은 전체 열교환부의 면적 대비 50% 내지 60% 이고,
상기 제 2 열교환부의 열교환 면적은 전체 열교환부의 면적 대비 30% 내지 40% 이고,
상기 제 3 열교환부의 열교환 면적은 전체 열교환부의 면적 대비 10% 내지 30% 인 실외 열교환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heat exchange area of the first heat exchanger is 50% to 60% of the area of the entire heat exchanger,
The heat exchange area of the second heat exchanger is 30% to 40% of the area of the entire heat exchanger,
Wherein the heat exchange area of the third heat exchange unit is 10% to 30% of the area of the entire heat exchange unit.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81817A KR101425043B1 (en) | 2012-07-26 | 2012-07-26 | Outdoor heat exchang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81817A KR101425043B1 (en) | 2012-07-26 | 2012-07-26 | Outdoor heat exchange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13699A KR20140013699A (en) | 2014-02-05 |
KR101425043B1 true KR101425043B1 (en) | 2014-08-01 |
Family
ID=502640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81817A Active KR101425043B1 (en) | 2012-07-26 | 2012-07-26 | Outdoor heat exchang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25043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70082332A1 (en) * | 2014-05-19 | 2017-03-23 |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 Air-conditioning apparatus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78751B1 (en) * | 2017-10-27 | 2019-05-15 | 오텍캐리어 주식회사 | A Heatpump System Using Duality Cold Cycle for Cold Districts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0127601A (en) * | 2008-12-01 | 2010-06-10 | Fujitsu General Ltd | Air conditioner |
KR100973916B1 (en) * | 2006-01-16 | 2010-08-03 |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 Air conditioner |
KR20120053730A (en) * | 2010-11-18 | 2012-05-2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Heat pump |
-
2012
- 2012-07-26 KR KR1020120081817A patent/KR101425043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73916B1 (en) * | 2006-01-16 | 2010-08-03 |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 Air conditioner |
JP2010127601A (en) * | 2008-12-01 | 2010-06-10 | Fujitsu General Ltd | Air conditioner |
KR20120053730A (en) * | 2010-11-18 | 2012-05-2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Heat pump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70082332A1 (en) * | 2014-05-19 | 2017-03-23 |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 Air-conditioning apparatus |
US10976085B2 (en) * | 2014-05-19 | 2021-04-13 |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 Air-conditioning apparatu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13699A (en) | 2014-02-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9690209B (en) | Air conditioner | |
KR101872784B1 (en) | Outdoor heat exchanger | |
CN104024764B (en) | Refrigeration apparatus | |
GB2569898A (en) | Air conditioner | |
KR101852374B1 (en) | Outdoor heat exchanger | |
EP3492839A1 (en) | Refrigeration cycle device | |
US11499727B2 (en) | Air conditioning apparatus | |
JP6846915B2 (en) | Multi-chamber air conditioner | |
CN209101597U (en) | Multi-split air conditioner circulating system and multi-split air conditioner | |
CN110057144A (en) | A kind of expansion valve component, bidirectional throttle system and air conditioner | |
KR101872783B1 (en) | Outdoor heat exchanger | |
KR101425043B1 (en) | Outdoor heat exchanger | |
KR101891615B1 (en) | Outdoor heat exchanger | |
KR101416939B1 (en) | Outdoor heat exchanger | |
KR101425041B1 (en) | Outdoor heat exchanger | |
CN210154138U (en) | Expansion valve assembly, bidirectional throttling system and air conditioner | |
US20210239334A1 (en) | Water source heat pump head pressure control for hot gas reheat | |
KR101384148B1 (en) | Air conditioner and method for controling of air conditioner | |
KR101425042B1 (en) | Outdoor heat exchanger | |
KR101936637B1 (en) | Outdoor heat exchanger | |
JPH0332904Y2 (en) | ||
KR101404105B1 (en) | Air conditioner | |
JP7260810B1 (en) | Heat source unit and air conditioner | |
KR20190001843A (en) | Outdoor heat exchanger | |
KR20090069923A (en) | Air conditioning syste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72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1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523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7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407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614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61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614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61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60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