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4948B1 - 원터치 방식의 태양전지모듈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원터치 방식의 태양전지모듈 고정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24948B1 KR101424948B1 KR1020140052151A KR20140052151A KR101424948B1 KR 101424948 B1 KR101424948 B1 KR 101424948B1 KR 1020140052151 A KR1020140052151 A KR 1020140052151A KR 20140052151 A KR20140052151 A KR 20140052151A KR 101424948 B1 KR101424948 B1 KR 10142494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joint
- fastening
- binding pin
- insertion port
- solar cel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30/00—Structural details of PV modules other than those related to light conversion
- H02S30/10—Frame structur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복수개의 태양전지모듈(10)을 서로 결속 및 고정시키기 위한 태양전지모듈 고정장치에 있어서, 태양전지모듈(10)에 형성된 체결 홀(11)에 대응되어 상부면에 천공된 다수개의 제1 체결 홀(110)과, 제1/제2 조인트의 체결을 위해 측면에 천공된 다수개의 제2 체결 홀(120)이 형성된 조인트 체결용 프레임(100a,100b)과; 상기 조인트 체결용 프레임의 제2 체결 홀(120)에 체결되며 결속핀이 관통될 수 있도록 관통 홀(211)이 형성된 결속부(210)를 갖는 제1 조인트(200)와; 상기 제1 조인트(200)가 체결된 조인트 체결용 프레임(100a)과 결속되어지는 조인트 체결용 프레임(100b)의 제2 체결 홀에 체결되며 상기 제1 조인트의 결속부(210)가 삽입되는 제1 삽입구(310)와, 상기 제1 삽입구와 연결되고 결속핀(400)이 삽입되되, 결속핀의 걸림쇠(412)가 펼침 상태가 되도록 내경이 확장되어 형성된 걸림부(321)와, 상기 걸림부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걸림부에 의해 펼침 상태의 걸림쇠(412)가 접힘 상태로 되도록 상기 결속핀의 외경과 동일하게 내경이 축소되는 결속 해제부(322)와, 결속핀에 탄성을 가하는 제1/제2 탄성부(340,350)가 내장된 제2 삽입구(320)가 형성된 제2 조인트(300) 및; 상기 제2 조인트의 제2 삽입구(320)에 삽입되고 제2 조인트의 제1 삽입구(310)로 삽입된 제1 조인트(200)의 관통 홀(211)에 관통되어 제1/제2 조인트(200,300)를 서로 결속 시키고 스프링(422)의 탄성력에 의해 첨단부(410)가 몸통부(420)를 중심으로 탄성 수축 또는 복원되며 상기 몸통부의 상부에 머리부(430)가 형성되도록 제작되되, 상기 첨단부에는 힌지(411)에 의해 펼침 또는 접힘으로 일정 각도가 회동되는 걸림쇠(412)와 접힌 상태의 상기 걸림쇠가 수용되는 수용 홈(413)이 구비되고, 상기 몸통부에는 상기 첨단부가 탄성 수축될 경우에만 걸림쇠를 수용하여 걸림쇠의 접힘 상태를 유지시키는 수용부(421)가 구비된 결속핀(400)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방식의 태양전지모듈 고정장치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작업자가 결속핀을 누르는 원터치 조작에 의해 결속핀에 구비된 걸림쇠가 펼침 또는 접힘 동작되어 결속핀이 조인트 체결용 프레임에 체결된 제1/제2 조인트로부터 체결 또는 해제되도록 구성됨으로써, 결속핀 체결에 의해 태양전지모듈 간의 체결강도를 높일 수 있으며 복수개의 태양전지모듈을 작업자가 원터치 방식으로 용이하게 체결 또는 해체할 수 있으므로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사후 관리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도 1의 (나)는 종래의 태양전지모듈 고정용 링커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방식의 태양전지모듈 고정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3의 (가), (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방식의 태양전지모듈 고정장치의 제1 조인트에 대한 입체도와 평면도를 나타낸 도면
도 4의 (가), (나), (다)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방식의 태양전지모듈 고정장치의 제2 조인트에 대한 입체도와 정면도 및 단면도를 나타낸 도면
도 5의 (가), (나), (다), (라)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방식의 태양전지모듈 고정장치의 결속핀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방식의 태양전지모듈 고정장치의 결속핀 체결작업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방식의 태양전지모듈 고정장치의 결속핀 해제작업을 나타낸 도면
100a,100b: 조인트 체결용 프레임 110: 제1 체결 홀
120: 제2 체결 홀 200: 제1 조인트
210: 결속부 211: 관통 홀
220,360: 조인트 체결 홀 300: 제2 조인트
310: 제1 삽입구 320: 제2 삽입구
321: 걸림부 322: 결속 해제부
340: 제1 탄성부 350: 제2 탄성부
370: 이물질 방지용 커버 400: 결속핀
410: 첨단부 411: 힌지
412: 걸림쇠 413: 수용 홈
420: 몸통부 421: 수용부
422: 스프링 430: 머리부
Claims (6)
- 복수개의 태양전지모듈(10)을 서로 결속 및 고정시키기 위한 태양전지모듈 고정장치에 있어서,
태양전지모듈(10)에 형성된 체결 홀(11)에 대응되어 상부면에 천공된 다수개의 제1 체결 홀(110)과, 제1/제2 조인트의 체결을 위해 측면에 천공된 다수개의 제2 체결 홀(120)이 형성된 조인트 체결용 프레임(100a,100b)과;
상기 조인트 체결용 프레임의 제2 체결 홀(120)에 체결되며 결속핀이 관통될 수 있도록 관통 홀(211)이 형성된 결속부(210)를 갖는 제1 조인트(200)와;
상기 제1 조인트(200)가 체결된 조인트 체결용 프레임(100a)과 결속되어지는 조인트 체결용 프레임(100b)의 제2 체결 홀에 체결되며 상기 제1 조인트의 결속부(210)가 삽입되는 제1 삽입구(310)와, 상기 제1 삽입구와 연결되고 결속핀(400)이 삽입되되, 결속핀의 걸림쇠(412)가 펼침 상태가 되도록 내경이 확장되어 형성된 걸림부(321)와, 상기 걸림부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걸림부에 의해 펼침 상태의 걸림쇠(412)가 접힘 상태로 되도록 상기 결속핀의 외경과 동일하게 내경이 축소되는 결속 해제부(322)와, 결속핀에 탄성을 가하는 제1/제2 탄성부(340,350)가 내장된 제2 삽입구(320)가 형성된 제2 조인트(300) 및;
상기 제2 조인트의 제2 삽입구(320)에 삽입되고 제2 조인트의 제1 삽입구(310)로 삽입된 제1 조인트(200)의 관통 홀(211)에 관통되어 제1/제2 조인트(200,300)를 서로 결속 시키고 스프링(422)의 탄성력에 의해 첨단부(410)가 몸통부(420)를 중심으로 탄성 수축 또는 복원되며 상기 몸통부의 상부에 머리부(430)가 형성되도록 제작되되, 상기 첨단부에는 힌지(411)에 의해 펼침 또는 접힘으로 일정 각도가 회동되는 걸림쇠(412)와 접힌 상태의 상기 걸림쇠가 수용되는 수용 홈(413)이 구비되고, 상기 몸통부에는 상기 첨단부가 탄성 수축될 경우에만 걸림쇠를 수용하여 걸림쇠의 접힘 상태를 유지시키는 수용부(421)가 구비된 결속핀(400)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방식의 태양전지모듈 고정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조인트(300)는, 상기 제2 삽입구(320)의 내부로 빗물 또는 먼지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한 이물질 방지용 커버(370)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방식의 태양전지모듈 고정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조인트의 제1 탄성부(340)는, 상기 제2 삽입구(320)에 삽입되는 결속핀의 머리부(430) 하면과 접촉되어 상기 결속핀의 머리부를 누를 경우 탄성 수축되도록 상기 제2 삽입구의 입구에 위치하며 상기 결속핀에 내장된 스프링(422)보다 탄성력이 큰 고장력 코일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방식의 태양전지모듈 고정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조인트의 제2 탄성부(350)는, 상기 제2 삽입구(320)의 하단에 위치하여 상기 결속핀의 머리부(430)가 상기 제2 삽입구의 제1 지점(a)까지 내려가도록 결속핀을 누를 경우에는 상기 결속핀의 첨단부(410)와 접촉되지 않고, 상기 결속핀의 머리부가 상기 제2 삽입구의 제2 지점(b)까지 내려가도록 결속핀(400)을 누를 경우에는 상기 결속핀의 첨단부(410)와 접촉되어 탄성 수축되고 탄성력에 의해 상기 결속핀(400)이 상기 제2 삽입구(320)의 외부로 튕겨져 나오도록 하되, 상기 결속핀에 내장된 스프링(422)보다 탄성력이 큰 고장력 코일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방식의 태양전지모듈 고정장치.
-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조인트의 제2 삽입구(320)에 형성된 제1/제2 지점(a,b)은, 작업자가 식별할 수 있도록 라인으로 페인팅(painting)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방식의 태양전지모듈 고정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핀(400)은, 머리부(430)가 상기 제2 조인트의 제2 삽입구(320)에 형성된 제1 지점(a)까지 내려가도록 누를 경우에는 상기 걸림쇠(412)가 상기 제2 삽입구의 걸림부(321)에 펼침 상태가 되어 제2 삽입구에 체결되며, 머리부가 상기 제2 조인트의 제2 삽입구에 형성된 제2 지점(b)까지 내려가도록 누를 경우에는 상기 걸림쇠가 상기 제2 삽입구의 결속 해제부(322)에 의해 접혀지고 첨단부가 탄성 수축되어 걸림쇠가 몸통부의 수용부(421)에 수용되며 탄성 수축된 첨단부가 복원되기 전에 상기 제2 조인트(300)의 제1/제2 탄성부(340,35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2 삽입구의 외부로 튕겨져 나오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방식의 태양전지모듈 고정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52151A KR101424948B1 (ko) | 2014-04-30 | 2014-04-30 | 원터치 방식의 태양전지모듈 고정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52151A KR101424948B1 (ko) | 2014-04-30 | 2014-04-30 | 원터치 방식의 태양전지모듈 고정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424948B1 true KR101424948B1 (ko) | 2014-08-04 |
Family
ID=517490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52151A Expired - Fee Related KR101424948B1 (ko) | 2014-04-30 | 2014-04-30 | 원터치 방식의 태양전지모듈 고정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24948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95212A (ko) * | 2019-01-31 | 2020-08-10 | 스마트기술연구소(주) | 태양전지모듈 세트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10050799A (ko) * | 2009-11-09 | 2011-05-17 | (주)선우에너텍 | 태양광 발전장치 |
KR20130006088A (ko) * | 2011-07-08 | 2013-01-16 | 주식회사 세아 이앤티 | 염료감응 태양전지 단위 모듈을 이용한 타일 |
KR20130026233A (ko) * | 2011-09-05 | 2013-03-1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태양광 발전 장치 |
KR20130050193A (ko) * | 2011-11-07 | 2013-05-15 | 금호전기주식회사 | 태양전지모듈 고정용 링커 |
KR20140010888A (ko) * | 2012-07-12 | 2014-01-27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태양전지 모듈간 결합 구조 |
-
2014
- 2014-04-30 KR KR1020140052151A patent/KR101424948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10050799A (ko) * | 2009-11-09 | 2011-05-17 | (주)선우에너텍 | 태양광 발전장치 |
KR20130006088A (ko) * | 2011-07-08 | 2013-01-16 | 주식회사 세아 이앤티 | 염료감응 태양전지 단위 모듈을 이용한 타일 |
KR20130026233A (ko) * | 2011-09-05 | 2013-03-1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태양광 발전 장치 |
KR20130050193A (ko) * | 2011-11-07 | 2013-05-15 | 금호전기주식회사 | 태양전지모듈 고정용 링커 |
KR20140010888A (ko) * | 2012-07-12 | 2014-01-27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태양전지 모듈간 결합 구조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95212A (ko) * | 2019-01-31 | 2020-08-10 | 스마트기술연구소(주) | 태양전지모듈 세트 |
KR102726452B1 (ko) * | 2019-01-31 | 2024-11-05 | 스마트기술연구소(주) | 태양전지모듈 세트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329226C (zh) | 用于地毯和线束的紧固件 | |
US8203075B2 (en) | BIPV junction box | |
KR101040229B1 (ko) | 원터치 조립식 태양광발전장치 | |
US10298169B2 (en) | Bonding clip for metal rail splices | |
KR101424948B1 (ko) | 원터치 방식의 태양전지모듈 고정장치 | |
CN103474595A (zh) | 电池闩锁装置及对讲机 | |
MA42861A1 (fr) | Dispositif réducteur de jeu et héliostat ayant une structure à jeu réduit | |
EP1975330A3 (en) | Aseismic joint | |
CN105544731A (zh) | 便于拆装的活动板房 | |
KR20160113752A (ko) | 텐트 프레임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텐트 | |
CN202434452U (zh) | 太阳能光伏发电系统用保险丝管座 | |
CN203680100U (zh) | 一种分离密封插头的工具钳 | |
CN202721293U (zh) | 一种光伏组件连接器 | |
KR101187944B1 (ko) | 태양전지 모듈용 정션박스 체결장치 | |
CN201801956U (zh) | 一种电源移动房房顶与房体的连接装置 | |
CN201789156U (zh) | 太阳能电缆连接器 | |
CN204068106U (zh) | 一种新型的整体式电缆桥架 | |
CN205039768U (zh) | 光伏连接器接头 | |
CN203521498U (zh) | 电池闩锁装置及对讲机 | |
CN201838652U (zh) | 一种使用方便的蓄电池 | |
CN207475466U (zh) | 光伏组件 | |
CN101728495A (zh) | 电池盖卡锁结构 | |
CN202401077U (zh) | 皮革冲孔机的冲子装夹装置 | |
CN203603651U (zh) | 一种120度开启角度的铰链 | |
CN105305949A (zh) | 一种快速安装的太阳能光伏组件框架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43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40430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714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7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407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719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71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814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81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105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