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4587B1 - Polarizer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Polarizer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24587B1 KR101424587B1 KR1020070069069A KR20070069069A KR101424587B1 KR 101424587 B1 KR101424587 B1 KR 101424587B1 KR 1020070069069 A KR1020070069069 A KR 1020070069069A KR 20070069069 A KR20070069069 A KR 20070069069A KR 101424587 B1 KR101424587 B1 KR 10142458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dhesive layer
- dyes
- light
- film
- peak wavelength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3—Birefringent elements, e.g. for optical compens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형필름, 위상차 필름, 편광 필름을 포함하는 광학필름들 및 상기 광학필름들 사이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점착층을 포함하는 편광판에 있어서, 상기 점착층은 피크 파장이 570 내지 610nm인 빛을 흡수하는 염료를 포함하고, 상기 점착층에서 피크 파장이 570 내지 610nm인 빛의 투과율은 50 내지 95% 이고, 상기 점착층에서 피크 파장이 570 내지 610nm인 빛의 투과율이 감소할수록 피크 파장이 570 내지 610nm인 빛의 스펙트럼의 감도는 감소하고, NTSC(National Television System Committee) 색좌표에 더 근접하고, 색재현율은 증가하고, 상기 투과율 50%에서 최고의 색재현율을 갖는 편광판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olarizing plate comprising optical films including a release film, a retardation film, a polarizing film, and at least one adhesive layer positioned between the optical films, wherein the adhesive layer has a peak wavelength of 570 to 610 nm Wherein the transmittance of light having a peak wavelength of 570 to 610 nm in the adhesive layer is 50 to 95% and the transmittance of light having a peak wavelength in a range of 570 to 610 nm in the adhesive layer is decreased, The sensitivity of the light spectrum of 610 nm is reduced, the color coordinates are closer to the National Television System Committee (NTSC) color coordinates, the color reproduction ratio is increased, and the polarizing plate having the highest color reproduction rate at the transmittance of 50% is provided.
편광판 Polarizer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단면도.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의 단면도.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olariz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R, G, B 발광 스펙트럼을 나타낸 도면.3 is a view showing R, G, B emission spectra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색좌표를 나타낸 도면.4 is a view illustrating a color coordinate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0002]
200 : 편광판 210 : 이형 필름200: polarizer 210: release film
220 : 점착층 230 : 제1기재층220: adhesive layer 230: first substrate layer
240 : 편광 필름 250 : 제2기재층240: polarizing film 250: second substrate layer
260 : 위상차 필름260: retardation film
본 발명은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larizing plate and a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최근, 표시장치는 멀티미디어의 발달과 함께 그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이에 부응하여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전계방출표시장치(Field Emission Display: FED),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 OLED) 등과 같은 여러 가지의 디스플레이가 실용화되고 있다.In recent years, the importance of display devices has been increasing with the development of multimedia. A plasma display panel (PDP), a field emission display (FED),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OLED) And the like are put into practical use.
이들 중, 액정표시장치는 음극선관에 비하여 시인성이 우수하고, 평균소비전력 및 발열량이 작으며, 또한,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는 응답속도가 1ms 이하로서 고속의 응답속도를 가지며, 소비 전력이 낮고, 자체 발광이므로 시야각에 문제가 없어서, 차세대 평판 표시 장치로 주목받고 있다.Among them,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s superior in visibility to a cathode ray tube, has a small average power consumption and a small calorific value, and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has a response speed of 1 ms or less and a high response speed, , There is no problem in the viewing angle since it is self-luminescence, and it is attracting attention as a next generation flat panel display device.
일반적으로 표시장치는 표시장치의 화상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표시장치의 외부면에 편광판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편광판의 역할로는 외광의 수평성분을 흡수하고 수직성분을 λ/4 위상차 필름에 의해 회전시킴으로써 결과적으로 외광의 투과를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Generally, a display device is provided with a polarizing plate on the outer surface of a display device to improve the image quality of the display device. The role of such a polarizing plate is to absorb the horizontal component of the external light and to rotate the vertical component by the? / 4 retardation film, thereby preventing transmission of external light.
그러나, 종래 편광판을 구비한 표시장치에서 편광판은 편광 기능만을 하여 외광의 투과를 방지하는 역할만을 하기 때문에, 표시장치의 색재현율 등의 특성을 향상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a conventional display device having a polarizing plate, the polarizing plate merely serves to prevent transmission of external light only by a polarizing function, so that the characteristics such as the color reproduction rate of the display device can not be improved.
따라서, 본 발명은 표시장치의 색재현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olarizing plate capable of improving the color reproduction ratio of a display device and a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이형필름, 위상차 필름, 편광 필름을 포함하는 광학필름들 및 상기 광학필름들 사이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점착층을 포함하는 편광판에 있어서, 상기 점착층은 피크 파장이 570 내지 610nm인 빛을 흡수하는 염료를 포함하고, 상기 점착층에서 피크 파장이 570 내지 610nm인 빛의 투과율은 50 내지 95%이고, 상기 점착층에서 피크 파장이 570 내지 610nm인 빛의 투과율이 감소할수록 피크 파장이 570 내지 610nm인 빛의 스펙트럼의 감도는 감소하고, NTSC(National Television System Committee) 색좌표에 더 근접하고, 색재현율은 증가하고, 상기 투과율 50%에서 최고의 색재현율을 갖는 편광판을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olarizing plate comprising optical films including a release film, a retardation film, and a polarizing film, and at least one adhesive layer positioned between the optical films, And a dye having a peak wavelength of 570 to 610 nm, wherein a transmittance of light having a peak wavelength of 570 to 610 nm in the adhesive layer is 50 to 95%, and a peak wavelength of 570 to 610 nm in the adhesive layer As the transmittance decreases, the sensitivity of the spectrum of light having a peak wavelength of 570 to 610 nm decreases, the color reproduction rate becomes closer to the NTSC (National Television System Committee) color coordinate, and the polarizing plate having the highest color reproduction rate at the transmittance of 50% .
또한, 본 발명은 제 1 기판, 상기 제 1 기판 상에 위치하며, 제 1 전극, 발광층 및 제 2 전극을 포함하는 발광 다이오드, 상기 제 1 기판과 대향하며 상기 발광 다이오드를 밀봉하는 제 2 기판 및 상기 제 1 기판 또는 제 2 기판의 바깥면에 위치하는 편광판을 포함하며, 상기 편광판은 위상차 필름, 편광 필름을 포함하는 광학필름들을 포함하고 상기 광학필름들 사이 또는 상기 제 1 기판과 제 2 기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편광판 사이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점착층을 포함하며, 상기 점착층은 피크 파장이 570 내지 610nm인 빛을 흡수하는 염료를 포함하며, 상기 점착층에서 피크 파장이 570 내지 610nm인 빛의 투과율은 50 내지 95% 이고, 상기 점착층에서 피크 파장이 570 내지 610nm인 빛의 투과율이 감소할수록 피크 파장이 570 내지 610nm인 빛의 스펙트럼의 감도는 감소하고, NTSC(National Television System Committee) 색좌표에 더 근접하고, 색재현율은 증가하고, 상기 투과율 50%에서 최고의 색재현율을 갖는표시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light emitting device comprising a first substrate, a light emitting diode disposed on the first substrate, the light emitting diode including a first electrode, a light emitting layer, and a second electrode, a second substrate opposing the first substrate and sealing the light emitting diode, And a polarizing plate position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first substrate or the second substrate, wherein the polarizing plate includes optical films including a retardation film and a polarizing film, and the polarizing plate is disposed between the optical films or between the first substrate and the second substrate Wherein the adhesive layer comprises a dye absorbing light having a peak wavelength of 570 to 610 nm and a peak wavelength of 570 to 610 nm in the adhesive layer, The transmittance is 50 to 95%, and as the transmittance of light having a peak wavelength of 570 to 610 nm in the adhesive layer is decreased, the sensitivity of the spectrum of light having a peak wavelength of 570 to 610 nm is decreased A color reproduction ratio is increased, and a color reproduction ratio is highest at the transmittance of 50%, which is closer to the color coordinates of National Television System Committee (NTSC).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를 표시장치의 일 예로 개시한다.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this embodiment,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is described as an example of a display device.
도 1을 참조하면, 유리, 플라스틱 또는 금속을 포함하는 기판(100) 상에 반도체층(110)이 위치한다. 반도체층(110)을 포함하는 기판(100) 상에 게이트 절연막인 제 1 절연막(115)이 위치하고, 제 1 절연막(115) 상에 상기 반도체층(110)의 일정 영역과 대응되는 위치에 게이트 전극(120)이 위치한다.Referring to FIG. 1, a
게이트 전극(120)을 포함하는 기판(100) 상에 층간 절연막인 제 2 절연막(125)이 위치한다. 제 2 절연막(125) 상에 반도체층(110)의 일정 영역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소오스 전극(130a) 및 드레인 전극(130b)이 위치하여 박막 트랜지스터를 구성한다.A second
소오스 전극(130a) 및 드레인 전극(130b)을 포함하는 기판(100) 상에 평탄화막 또는 패시베이션막일 수 있는 제 3 절연막(135)이 위치한다. 제 3 절연막(135) 상에 소오스 전극(130a) 및 드레인 전극(130b) 중 어느 하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1 전극(140)이 위치한다. A third
제 1 전극(140)의 일정 영역을 개구시키며, 화소정의막인 제 4 절연막(145)이 위치한다. 제 4 절연막(145)에 의해 노출된 제 1 전극(140) 상에 발광층(150)이 위치하고, 발광층(150) 상에 제 2 전극(155)이 위치하여 유기 발광 다이오드를 구성한다.A fourth
유기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제 1 기판(100)과 대향하도록 제 2 기판(160)이 위치하고, 제 1 기판(100)과 제 2 기판(160)은 봉지재(170)에 의해 합착되어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를 구성한다.The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에서 빛이 나아가는 방향쪽인 제 2 기판(160)의 바깥면에 편광판(200)이 위치한다. 편광판(200)은 하기에서 설명되는 점착층에 의해서 제 2 기판(160)과 접착될 수 있다.The polarizing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제 2 기판(160)의 바깥면에 편광판(200)이 위치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와는 달리, 빛이 배면으로 나아가는 배면 발광의 경우에는 제 1 기판(100)의 바깥면에 편광판(200)이 위치할 수 있고, 양면 발광의 경우에는 제 1 기판(100) 및 제 2 기판(160)의 바깥면에 편광판(200)이 위치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polarizing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의 단면도이다.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olariz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200)은 표시장치의 빛이 나아가는 방향의 기판 바깥면에 위치한다. 편광판(200)은 표시장치 내부에서 외부로 나아가는 빛을 편광축과 동일한 방향으로 진동하는 빛만 투과시키고, 그 외의 방향으로 진동하는 빛은 흡수하거나 반사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편광판(200)의 구조를 살펴보면, 편광판(200)은 이형 필름(210) 상에 위치하 는 점착층(220), 점착층(220) 상에 위치하는 제1기재층(230), 제1기재층(230) 상에 위치하는 편광 필름(240), 편광 필름(240) 상에 위치하는 제2기재층(250) 및 제2기재층(250) 상에 위치하는 위상차 필름(260)을 포함하는 광학 필름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았지만 위상차 필름(260) 상에 편광판(200)을 보호하는 보호 필름이 위치할 수 있다.The polarizing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면, 이형 필름(210)은 편광판(200)을 지지하는 기판일 수 있으며, 폴리아크릴계 수지 또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형 필름(210)은 표시장치에 편광판을 부착할 시에 제거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점착층(220)은 상기 각 광학 필름들을 접착하거나, 편광판과 표시장치를 접착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점착층(220)은 아크릴계 고분자, 실리콘계 고분자, 에스테르계 고분자, 우레탄계 고분자, 아미드계 고분자, 에테르계 고분자, 플루오르계 고분자 및 고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The
또한, 점착층(220)은 피크 파장이 570 내지 610nm인 빛을 흡수하는 염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점착층(220)에 포함되는 염료는 피크 파장이 570 내지 610nm인 빛을 흡수하는 염료면 어느 것이나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안트라 퀴논계 염료, 메틴계 염료, 아조메틴계 염료, 옥사딘계 염료, 아조계 염료, 스치릴계 염료, 크마린계 염료, 포르피린계 염료, 디벤조후라논계 염료, 티케토필로로필로르계 염료, 로다민계 염료, 키산텐계 염료 및 필로메텐계 염료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The dye contained in the
점착층(220)에 포함되는 염료의 종류 및 농도는 점착층의 두께 또는 흡수되는 빛의 피크 파장에 의해 정해지는 것으로 특정하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kind and concentration of the dye contained in the
점착층(220) 내에 포함되는 염료는 570 내지 610nm의 피크 파장의 빛을 흡수하는데, 이때 점착층(220)에서 상기 피크 파장 범위의 빛의 흡수율이 50 내지 95%일 수 있다. 여기서, 점착층(220)의 570 내지 610nm의 피크 파장의 빛의 흡수율이 50% 이상이면, 표시장치의 소비전력이 너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고, 점착층(220)의 570 내지 610nm의 피크 파장의 빛의 흡수율이 95% 이하이면, 표시장치의 색재현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e dye contained in 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착층(220)은 570 내지 610nm의 피크 파장의 빛을 흡수하는 염료를 포함하고, 상기 피크 파장의 흡수율이 50 내지 95%로 형성함으로써, R, G, B 발광 스펙트럼에서 G와 R의 피크 파장이 교차되는 점의 감도(intensity)를 낮출 수 있다. 따라서, 표시장치의 G 및 R의 색순도 및 색재현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이형 필름 상에 점착층이 하나만 형성된 것을 개시하였지만, 이와는 달리, 각 광학 필름 사이에 복수개의 점착층이 형성될 수도 있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ly one adhesive layer is formed on the release film. Alternatively, a plurality of adhesive layers may be formed between each optical film.
다음, 제1기재층(230)은 편광 필름을 지지하고, 외부의 충격 등으로부터 편광 필름을 보호하며, 편광 필름의 내구성, 내습성 및 기계적 강도 등을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제1기재층(230)으로는 광투과율이 높고, 복굴절성이 비교적 낮으며, 표면 개질에 의한 친수화가 용이한 재질을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Tri-acetyl-cellulose : TAC)를 사용할 수 있다. 제1기재층(230)의 두께는 충분한 강도를 얻기 위해 50 내지 100㎛로 형성할 수 있다.Next, the
다음, 편광 필름(240)은 편광 특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배향된 이색성 물질 또는 배향된 고분자 사슬 자체의 공액 구조에 의하여 비편광 상태인 백색광의 어느 한 성분은 흡수하고, 그와 직각인 다른 성분은 투과시키는 역할을 한다. 편광 필름(240)으로는 예를 들어 요오드계 편광 필름, 염료계 편광 필름 및 폴리엔계 편광 필름 등을 사용할 수 있다.Next, the
요오드계 편광 필름은 요오드 이온 사슬이 연신 배향된 폴리비닐알콜(Poly vinyl Alcohol: PVA) 사슬에 의하여 배향됨으로써 편광성을 나타내며, 염료계 편광 필름도 역시 이색성 염료가 연신 배향된 PVA 사슬에 의하여 배향됨으로써 편광성을 나타내게 된다. 반면, 폴리엔계 편광 필름은 PVA 필름의 탈수반응 또는 PVC필름의 탈염산 반응에 의해 폴리엔을 형성시켜 편광성을 나타낸다. The iodine polarizing film exhibits polarization by being oriented by a polyvinyl alcohol (PVA) chain in which the iodine ion chain is oriented in a stretched state. The dye-based polarizing film is also oriented by the PVA chain in which the dichroic dye is oriented by stretching Thereby exhibiting a polarizing property. On the other hand, the polyene polarizing film exhibits a polarizing property by forming a polyene by a dehydration reaction of a PVA film or a dehydrochlorination reaction of a PVC film.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편광 필름으로 요오드계 편광 필름을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편광 필름은 염료계 편광 필름일 수도 있다.Although an iodine polarizing film is described as an example of a polarizing film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polarizing film may be a dye-based polarizing film.
편광 필름(240)은 흡수축과 편광축을 구비하는데, 흡수축은 요오드 이온 사슬이 연신 배향된 축으로서, 임의의 방향으로 진동하는 빛의 수직한 두개의 성분 중 한쪽 성분이 편광 필름의 전자와 상호 작용하여 빛의 전기적 에너지가 전자의 에너지로 바뀌는 과정에서 빛의 성분을 소멸시키는 축이다. 편광축은 이러한 흡수축에 수직인 축으로서, 편광축 방향으로 진동하는 빛을 투과시킨다. 이러한 편광 필름(240)의 두께는 15 내지 30㎛일 수 있다.The
편광 필름(240)을 형성하는 방법으로는 PVA 필름을 연신한 후 요오드를 합착시키는 방법, 요오드를 PVA 필름에 흡착시킨 후 연신하는 방법, 염착과 연신을 동시에 하는 방법 등을 적용할 수 있다.Examples of the method for forming the
다음, 제2기재층(250)은 상기 제 1 기재층(230)과 동일한 물질을 사용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Next, since the
위상차 필름(260)을 살펴보면, 위상차 필름(260)은 λ/4 위상차 필름일 수 있다. λ/4 위상차 필름은 위상차 필름의 광축에 평행하며, 서로 수직인 두 편광 성분에 λ/4 만큼의 위상차를 부여하여 선편광을 원편광으로 바꾸거나 원편광을 선평광으로 바꾸는 역할을 한다.Referring to the
이하, 이하, 본 발명의 편광판에 따른 실시예들을 개시한다. 다만,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일 뿐, 본 발명이 하기의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olarizing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However, the following examples are only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following examples.
실험 1 : 점착층의 투과율에 따른 R, G, B 발광 스펙트럼 측정Experiment 1: Measurement of R, G, B emission spectra according to the transmittance of adhesive layer
<실험예 1><Experimental Example 1>
이형 필름 상에 피크 파장이 590nm인 빛을 흡수하는 안트라 퀴논계 염료를 포함하는 점착물질을 10㎛의 두께로 형성하여 피크 파장이 590nm인 빛의 투과율이 92%인 점착층을 형성하였다. 점착층 상에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Tri-acetyl-cellulose : TAC)를 50㎛의 두께로 형성하여 제1기재층을 형성하였다. 상기 제1기재층 상에 폴리비닐알콜(Poly vinyl Alcohol: PVA)을 20㎛의 두께로 형성하여 편광 필름을 형성하였고, 상기 편광 필름 상에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Tri-acetyl-cellulose : TAC)를 50㎛의 두께로 형성하여 제2기재층을 형성하였다. 상기 제 2 기재층 상에 λ/4 위상차 필름을 형성하여 편광판을 완성하였다. An adhesive material containing an anthraquinone-based dye absorbing light having a peak wavelength of 590 nm was formed on the release film to a thickness of 10 μm to form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having a transmittance of 92% of light having a peak wavelength of 590 nm. Triacetyl-cellulose (TAC) was formed on the adhesive layer to a thickness of 50 탆 to form a first base layer. Polyvinyl alcohol (PVA) was formed on the first base layer to a thickness of 20 탆 to form a polarizing film. Triacetyl-cellulose (TAC) Mu m to form a second base layer. A? / 4 retardation film was formed on the second base layer to complete a polarizing plate.
<실험예 2><Experimental Example 2>
피크 파장이 590nm인 빛의 투과율이 90%인 점착층을 형성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험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Except that an adhesive layer having a light transmittance of 90% at a peak wavelength of 590 nm was formed.
<실험예 3><Experimental Example 3>
피크 파장이 590nm인 빛의 투과율이 88%인 점착층을 형성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험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Except that an adhesive layer having a light transmittance of 88% at a peak wavelength of 590 nm was formed.
<비교예 1> ≪ Comparative Example 1 &
피크 파장이 590nm인 빛을 흡수하는 염료를 제거하여, 피크 파장이 590nm인 빛의 투과율이 100%인 점착층을 형성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험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Except that the dye absorbing light having a peak wavelength of 590 nm was removed to form an adhesive layer having a transmittance of light having a peak wavelength of 590 nm of 100%.
상기 각 실험예 및 비교예에 따라 완성된 편광판을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에 부착한 후,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를 구동하여 R, G, B 각각의 발광 스펙트럼을 측정하여 도 3에 나타내었다.After the completed polarizing plate was attached to th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according to each of the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the emission spectra of each of R, G and B were measured by driving th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실험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에 따른 R, G, B 각각의 발광 스펙트럼이 나타나 있다. 본 발명의 실험예 1 내지 3에 따른 편광판을 구비한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R, G, B 발광 스펙트럼은 비교예 1과 비교하면, R의 발광 스펙트럼이 오른쪽으로 이동된 것을 알 수 있다. 즉, G의 발광 스펙트럼과 R의 발광 스펙트럼이 교차되는 점의 감도(세로축)가 낮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emission spectra of R, G and B according to Experimental Examples 1 to 3 and Comparative Example 1 are shown. It can be seen that the emission spectra of R, G and B of the polarizing plate according to Experimental Examples 1 to 3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shifted to the right as compared with Comparative Example 1. That is, the sensitivity (vertical axis) of the point where the emission spectrum of G intersects with the emission spectrum of R is lowered.
다시 말하면, G의 발광 스펙트럼과 R의 발광 스펙트럼이 교차되는 점의 감도가 낮아진다는 것은 G와 R이 혼색되는 비율이 낮아진다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 및 이를 구비하는 표시장치는 G와 R이 혼색되는 비율을 낮춰 색순도 및 색재현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other words, the fact that the sensitivity of the point where the emission spectrum of G intersects with the emission spectrum of R is low means that the ratio of G to R is low. Therefore, the polarizing plate and the display device having the polarizing plat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an advantage that the ratio of color mixture of G and R is lowered, and the color purity and color reproduction ratio can be improved.
실험 2 : 점착층의 투과율에 따른 R, G, B의 색좌표 측정Experiment 2: Measurement of color coordinates of R, G, B according to the transmittance of the adhesive layer
<실험예 4><Experimental Example 4>
이형 필름 상에 피크 파장이 590nm인 빛을 흡수하는 안트라 퀴논계 염료를 포함하는 점착물질을 10㎛의 두께로 형성하여 피크 파장이 590nm인 빛의 투과율이 92%인 점착층을 형성하였다. 점착층 상에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Tri-acetyl- cellulose : TAC)를 50㎛의 두께로 형성하여 제1기재층을 형성하였다. 상기 제1기재층 상에 폴리비닐알콜(Poly vinyl Alcohol: PVA)을 20㎛의 두께로 형성하여 편광 필름을 형성하였고, 상기 편광 필름 상에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Tri-acetyl-cellulose : TAC)를 50㎛의 두께로 형성하여 제2기재층을 형성하였다. 상기 제 2 기재층 상에 λ/4 위상차 필름을 형성하여 편광판을 완성하였다. An adhesive material containing an anthraquinone-based dye absorbing light having a peak wavelength of 590 nm was formed on the release film to a thickness of 10 μm to form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having a transmittance of 92% of light having a peak wavelength of 590 nm. Triacetylcellulose (TAC) was formed on the adhesive layer to a thickness of 50 탆 to form a first base layer. Polyvinyl alcohol (PVA) was formed on the first base layer to a thickness of 20 탆 to form a polarizing film. Triacetyl-cellulose (TAC) Mu m to form a second base layer. A? / 4 retardation film was formed on the second base layer to complete a polarizing plate.
<실험예 5><Experimental Example 5>
피크 파장이 590nm인 빛의 투과율이 90%인 점착층을 형성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험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Except that an adhesive layer having a light transmittance of 90% at a peak wavelength of 590 nm was formed.
<실험예 6><Experimental Example 6>
피크 파장이 590nm인 빛의 투과율이 88%인 점착층을 형성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험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Except that an adhesive layer having a light transmittance of 88% at a peak wavelength of 590 nm was formed.
<비교예 2> ≪ Comparative Example 2 &
피크 파장이 590nm인 빛을 흡수하는 염료를 제거하여, 피크 파장이 590nm인 빛의 투과율이 100%인 점착층을 형성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험예 4와 동일하게 제조하였다.Except that the dye absorbing light having a peak wavelength of 590 nm was removed to form an adhesive layer having a light transmittance of 100% at a peak wavelength of 590 nm.
상기 각 실험예 4 내지 6 및 비교예 2에 따라 완성된 편광판을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에 부착한 후,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를 구동하여 R, G, B의 색좌표를 측정하여 도 4에 나타내었다.The polarizing plate completed according to each of Experimental Examples 4 to 6 and Comparative Example 2 was attached to a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and then the color coordinates of R, G and B were measured by driving th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실험예 4 내지 6 및 비교예 2에 따른 R, G, B의 색좌표가 나타나 있다. 본 발명의 실험예 4 내지 6에 따른 편광판을 구비한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R, G, B의 색좌표는 비교예 2에 비해 NTSC(National Television System Committee) 색좌표에 더 근접한 것을 알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color coordinates of R, G, and B according to Experimental Examples 4 to 6 and Comparative Example 2 are shown. It can be seen that the color coordinates of R, G, and B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having the polarizing plate according to Experimental Examples 4 to 6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loser to the NTSC (National Television System Committee) color coordinates as compared with Comparative Example 2. [
즉, 종래 염료를 구비하지 않은 편광판에 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을 구비한 표시장치의 색좌표가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That is, the color coordinate system of the display device having the polarizing plat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uperior to the conventional polarizing plate having no dye.
실험 3 : 점착층의 투과율에 따른 색재현율 측정Experiment 3: Measurement of color reproducibility according to the transmittance of the adhesive layer
<실험예 7><Experimental Example 7>
이형 필름 상에 피크 파장이 590nm인 빛을 흡수하는 안트라 퀴논계 염료를 포함하는 점착물질을 10㎛의 두께로 형성하여 피크 파장이 590nm인 빛의 투과율이 95%인 점착층을 형성하였다. 점착층 상에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Tri-acetyl-cellulose : TAC)를 50㎛의 두께로 형성하여 제1기재층을 형성하였다. 상기 제1기재층 상에 폴리비닐알콜(Poly vinyl Alcohol: PVA)을 20㎛의 두께로 형성하여 편광 필름을 형성하였고, 상기 편광 필름 상에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Tri-acetyl-cellulose : TAC)를 50㎛의 두께로 형성하여 제2기재층을 형성하였다. 상기 제 2 기재층 상에 λ/4 위상차 필름을 형성하여 편광판을 완성하였다. An adhesive material containing an anthraquinone dye absorbing light having a peak wavelength of 590 nm was formed on the release film to a thickness of 10 탆 to form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having a light transmittance of 95% with a peak wavelength of 590 nm. Triacetyl-cellulose (TAC) was formed on the adhesive layer to a thickness of 50 탆 to form a first base layer. Polyvinyl alcohol (PVA) was formed on the first base layer to a thickness of 20 탆 to form a polarizing film. Triacetyl-cellulose (TAC) Mu m to form a second base layer. A? / 4 retardation film was formed on the second base layer to complete a polarizing plate.
<실험예 8><Experimental Example 8>
피크 파장이 590nm인 빛의 투과율이 92%인 점착층을 형성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험예 7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And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having a light transmittance of 92% at a peak wavelength of 590 nm was formed.
<실험예 9><Experimental Example 9>
피크 파장이 590nm인 빛의 투과율이 90%인 점착층을 형성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험예 7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Except that an adhesive layer having a light transmittance of 90% at a peak wavelength of 590 nm was formed.
<실험예 10><Experimental Example 10>
피크 파장이 590nm인 빛의 투과율이 88%인 점착층을 형성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험예 7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Except that an adhesive layer having a transmittance of 88% of light having a peak wavelength of 590 nm was formed.
<실험예 11>≪ Experimental Example 11 &
피크 파장이 590nm인 빛의 투과율이 78%인 점착층을 형성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험예 7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And an adhesive layer having a light transmittance of 78% at a peak wavelength of 590 nm was formed.
<실험예 12><Experimental Example 12>
피크 파장이 590nm인 빛의 투과율이 67%인 점착층을 형성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험예 7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Except that an adhesive layer having a light transmittance of 67% at a peak wavelength of 590 nm was formed.
<실험예 13><Experimental Example 13>
점착층의 투과율이 56%인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험예 7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The same procedure as in Experimental Example 7 was carried out except that the adhesive layer had a transmittance of 56%.
<실험예 14><Experimental Example 14>
피크 파장이 590nm인 빛의 투과율이 50%인 점착층을 형성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험예 7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Except that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having a light transmittance of 50% at a peak wavelength of 590 nm was formed.
<비교예 3> ≪ Comparative Example 3 &
피크 파장이 590nm인 빛을 흡수하는 염료를 제거하여, 피크 파장이 590nm인 빛의 투과율이 100%인 점착층을 형성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험예 7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Except that the dye absorbing light having a peak wavelength of 590 nm was removed to form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having a light transmittance of 100% at a peak wavelength of 590 nm.
상기 각 실험예 7 내지 14 및 비교예 3에 따라 완성된 편광판을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에 부착한 후,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를 구동하여 색재현율를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After attaching the polarizing plate completed according to Experimental Examples 7 to 14 and Comparative Example 3 to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the color reproduction ratio was measured by driving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상기 표 1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험예 7 내지 14에 따른 편광을 구비하는 표시장치의 색재현율은 비교예 3에 비해 높은 것을 알 수 있다.As shown in Table 1, it can be seen that the color reproduction ratio of the display device having polarized light according to Experimental Examples 7 to 14 of the present invention is higher than that of Comparative Example 3.
보다 자세하게는, 피크 파장 570 내지 610nm인 빛을 흡수하는 염료를 포함하는 점착층을 형성하고, 상기 점착층에서 상기 피크 파장 범위의 빛의 투과율이 50 내지 95%인 편광판을 사용함으로써, R 및 G의 피크 파장이 교차되는 점의 감도를 낮출 수 있어 표시장치의 색순도 및 색재현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More specifically, by forming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containing a dye absorbing light having a peak wavelength of 570 to 610 nm and using a polarizer having a transmittance of light in the peak wavelength range of 50 to 95% i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R and G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color purity and color reproduction ratio of the display device.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는 편광판의 점착층 내에 570 내지 610nm의 피크 파장의 빛을 흡수하는 염료를 첨가하여 표시장치의 색재현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polarizing plate and the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polarizing plat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ye that absorbs light having a peak wavelength of 570 to 610 nm is added to the adhesive layer of the polarizing plate to improve the color reproduction ratio of the display device .
따라서, 화상의 표시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ccordingly, there is an advantage that a polarizing plate capable of improving the display quality of an image and a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can be provided.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진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may be practiced.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to be considered in all respects only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In addi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lso,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는 색재현율이 향상된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DUSTRIAL APPLICABILITY As described above, the polarizing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have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provide a display device with improved color reproduction rate.
Claims (11)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69069A KR101424587B1 (en) | 2007-07-10 | 2007-07-10 | Polarizer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69069A KR101424587B1 (en) | 2007-07-10 | 2007-07-10 | Polarizer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05770A KR20090005770A (en) | 2009-01-14 |
KR101424587B1 true KR101424587B1 (en) | 2014-07-31 |
Family
ID=404873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069069A Active KR101424587B1 (en) | 2007-07-10 | 2007-07-10 | Polarizer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24587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63280B1 (en) | 2014-10-06 | 2016-10-06 | 에스케이씨하스디스플레이필름(유) | Color gamut enhancing film for liquid crystal display and liquid crystal display comprising same |
KR102442909B1 (en) | 2015-03-02 | 2022-09-15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Polarizer and display device compring the same |
CN107849372B (en) * | 2015-07-06 | 2021-03-19 | 株式会社Lg化学 | Wide color gamut film, composition for preparing same, polarizing plate comprising same, and liquid crystal display comprising polarizing plate |
KR102235482B1 (en) * | 2016-03-03 | 2021-04-02 | 주식회사 엘지화학 | Display device |
TWI613471B (en) * | 2016-12-21 | 2018-02-01 | 住華科技股份有限公司 | Polarizer assembly and display apparatus |
CN111077698A (en) * | 2019-12-17 | 2020-04-28 | Tcl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 Backlight modul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063195A (en) | 2004-08-27 | 2006-03-09 | Mitsui Chemicals Inc |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
KR20060085491A (en) * | 2005-01-24 | 2006-07-27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
KR20060110127A (en) * | 2005-04-19 | 2006-10-24 | 주식회사 에이스 디지텍 | Adhesive composition for polarizing film, polarizing film for display device including adhesive layer prepared therefro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polarizing film for display device using same |
-
2007
- 2007-07-10 KR KR1020070069069A patent/KR101424587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063195A (en) | 2004-08-27 | 2006-03-09 | Mitsui Chemicals Inc |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
KR20060085491A (en) * | 2005-01-24 | 2006-07-27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
KR20060110127A (en) * | 2005-04-19 | 2006-10-24 | 주식회사 에이스 디지텍 | Adhesive composition for polarizing film, polarizing film for display device including adhesive layer prepared therefro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polarizing film for display device using sam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05770A (en) | 2009-01-1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599740B2 (en) | Polarizing plate and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having the same | |
JP6650055B2 (en) | Method for producing transparent substrate for optical element, polarizing plate for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method for producing organic electroluminescence element | |
KR101106294B1 (en) | Brightness Enhancing Polarizer for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 |
US8975812B2 (en) | Polarization structure, method of manufacturing a polarization structure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having a polarization structure | |
US9423543B2 (en) |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
KR20120004862A (en) |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 |
KR101424587B1 (en) | Polarizer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 |
KR101459127B1 (en) | Polarizer plate and optical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 |
KR101840539B1 (en) | Oled display device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 |
US12235484B2 (en) | Polarizing plate | |
CN103871327A (en) | Flexibl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 |
KR102746865B1 (en) | Optical unit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 |
KR20060079241A (en) | Liquid crystal panel, its manufactur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is liquid crystal panel | |
KR101868476B1 (en) | Oled display inculding polarizer | |
KR101950813B1 (en) | Coatable phase retardation film and 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having thereof | |
WO2017038927A1 (en) |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 |
KR102218852B1 (en) | Adhesive Composition | |
KR101946859B1 (en) | Flexibl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 |
WO2009142450A1 (en) | Luminance-enhancing polarising plate for an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 |
KR102052445B1 (en) | Method of fabricating flexible display device | |
US11476447B2 (en) | Foldable circular polarizing plate and display device | |
US20230171995A1 (en) |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
KR20080101115A (en) | Polarizing plat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same | |
KR101971949B1 (en) | polarizer,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710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08012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2070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7071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100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4042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3100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AMND | Amendment | ||
J201 |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 ||
PJ0201 |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
Patent event date: 20140527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4042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Appeal identifier: 2014101003147 Request date: 20140527 |
|
PB0901 |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140527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131205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
|
B701 | Decision to grant | ||
PB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
Patent event date: 20140707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B07012S01D Patent event date: 20140627 Comment text: Transfer of Trial File fo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code: PB07011S01I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7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407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617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61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61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61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617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