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424377B1 - 박형 전지 - Google Patents

박형 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4377B1
KR101424377B1 KR1020127033958A KR20127033958A KR101424377B1 KR 101424377 B1 KR101424377 B1 KR 101424377B1 KR 1020127033958 A KR1020127033958 A KR 1020127033958A KR 20127033958 A KR20127033958 A KR 20127033958A KR 101424377 B1 KR101424377 B1 KR 1014243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resin
spacer
outer peripheral
battery
battery bod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339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43119A (ko
Inventor
류이치 아마가이
나오토 도도로키
미치노리 이케조에
도시유키 모토하시
도미오 나가시마
Original Assignee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431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31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43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4377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6/00Prim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6/42Grouping of primary cells into batteries
    • H01M6/46Grouping of primary cells into batteries of flat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36Small-sized flat cells or batteries for portable equip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02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 H01M50/105Pouches or flexible ba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24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11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pouch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18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22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casings or racks
    • H01M50/227Organ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33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of casings or racks, e.g. dimensions
    • H01M50/236Hardnes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33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of casings or racks, e.g. dimensions
    • H01M50/242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of casings or racks, e.g. dimensions adapted for protecting batteries against vibrations, collision impact or swel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71Lids or covers for the racks or secondary casings
    • H01M50/273Lids or covers for the racks or secondary cas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278Organ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71Lids or covers for the racks or secondary casings
    • H01M50/273Lids or covers for the racks or secondary cas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282Lids or covers for the racks or secondary cas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89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spacing elements or positioning means within frames, racks or packs
    • H01M50/291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spacing elements or positioning means within frames, racks or pack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47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 H01M50/55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on the same side of the cel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52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553Terminals adapted for prismatic, pouch or rectangular cells
    • H01M50/557Plate-shaped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62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17Inorganic material
    • H01M50/119Met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21Organ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24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 H01M50/12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comprising three or more layers
    • H01M50/129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comprising three or more layers with two or more layers of only organ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31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e.g. gas permeability, size or heat resistance
    • H01M50/136Flexibility or foldabilit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72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 H01M50/174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adapted for the shape of the cells
    • H01M50/178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adapted for the shape of the cells for pouch or flexible bag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수지층(111c)을 포함하는 라미네이트 필름제 외장 부재(111)의 내부에 발전 요소(112)가 수용되고, 상기 외장 부재의 외주부(113)가 밀봉된 전지 본체(11)와, 다른 전지를 적층했을 때에 서로의 상기 외주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전지 본체를 소정 위치에 고정하는 고정부(121)를 갖는 스페이서(12)를 구비한다. 상기 외주부 중 적어도 상기 고정부의 주위이며, 상기 외주부와 상기 스페이서의 중첩부(14)를 포함하는 범위 H1에, 탄성 수지의 인서트 성형에 의해 탄성 수지부(13)가 형성되어 있다. 이 박형 전지는, 차량의 진동 등에 대해서도 고정 상태의 안정성이 우수하다.

Description

박형 전지{THIN BATTERY}
본 발명은, 박형 전지에 관한 것이다.
라미네이트 필름제 외장 부재를 갖는 박형 2차 전지에 있어서, 외장 부재의 주위에 플라스틱제 프레임 부재를 장착하고, 외장 부재의 기계적 강성과 외장 부재의 주위의 밀봉력을 향상시킨 것이 알려져 있다(특허 문헌 1).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의 2차 전지는, 프레임 부재의 체결 홈에 외장 부재의 외주 시일부를 삽입해서 결합하는 구조이기 때문에(특허 문헌 1의 단락(0041)의 「탄력적 체결」 참조), 차량의 진동 등에 대해서는 2차 전지의 고정 상태가 안정되지 않는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7-73510호 공보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의 진동 등에 대해서도 고정 상태의 안정성이 우수한 박형 전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수지층을 포함하는 라미네이트 필름제 외장 부재의 내부에 발전 요소가 봉입된 전지 본체와, 다른 전지 본체를 적층했을 때에 서로의 전지 본체 사이에 배치되고, 전지 본체를 소정 위치에 고정하는 스페이서를, 탄성체를 개재해서 연결한 박형 전지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의 진동 등의 외력은 스페이서를 통해서 전지 본체에 입력하지만, 이 외력에 대하여 탄성체에 완충력이 발생하므로, 박형 전지의 고정 상태가 안정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2차 전지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2차 전지의 주된 구성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III 화살표도.
도 4는 도 1의 2차 전지와 다른 2차 전지를 적층하는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5는 도 1의 V-V선을 따른 단면도.
도 6은 도 1의 VI-VI선을 따른 단면도.
도 7은 도 1의 2차 전지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주요부 단면도.
도 8은 도 1의 VIII-VIII선을 따른 전지 본체의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2차 전지이며, 도 1의 IX선으로 둘러싸는 부분의 확대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2차 전지의 평면도.
도 11은 도 10의 XI선으로 둘러싸는 부분의 확대도.
도 12는 도 11의 XII-XII선을 따른 단면도.
도 13은 도 11의 XIII-XIII선을 따른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2차 전지(변형예)이며, 도 1의 XIV 화살표도.
도 15는 도 14의 XV-XV선을 따른 단면도.
도 16은 도 14의 XVI-XVI선을 따른 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2차 전지이며, 도 10의 XI선으로 둘러싸는 부분의 확대도에 상당하는 도면.
도 18은 도 17의 XVIII-XVIII선을 따른 단면도.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2차 전지이며, 도 10의 XI선으로 둘러싸는 부분의 확대도에 상당하는 도면.
도 20은 도 17의 XX-XX선을 따른 단면도.
《제1 실시 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2차 전지의 완성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당해 2차 전지의 주된 구성 부재에 분해한 상태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예의 2차 전지(1)는, 박형 편평 형상의 전지 본체(11)와, 스페이서(12)와, 이들 전지 본체와 스페이서를 포함하는 범위에 형성된 탄성 수지부(13)를 구비한다.
전지 본체(11)는, 한 쌍의 라미네이트 필름제 외장 부재(111)의 내부에 발전 요소(112)가 수용되고, 당해 한 쌍의 외장 부재(111)의 외주부(113)가 밀봉된 것이다. 도 1 내지 도 4에 있어서는 외장 부재(111)의 한 쪽만을 나타내고, 발전 요소(112)는 도 5에 도시한다. 외장 부재(111)를 구성하는 라미네이트 필름은, 도 5의 인출 단면도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3층 구조로 되어, 2차 전지(1)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변성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변성 폴리프로필렌 또는 아이오노마 등의 내전해액성 및 열융착성이 우수한 수지 필름으로 구성된 내측 수지층(111a)과, 예를 들어 알루미늄 등의 금속박으로 구성된 중간 금속층(111b)과, 예를 들어 폴리아미드계 수지 또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등의 전기 절연성이 우수한 수지 필름으로 구성된 외측 수지층(111c)을 갖는다. 외측 수지층(111c)이 본 발명에 따른 수지층에 상당한다.
이와 같이, 한 쌍의 외장 부재(111)는 모두, 예를 들어 알루미늄박 등으로 이루어지는 중간 금속층(111b)의 한 쪽의 면[2차 전지(1)의 내측면]을 폴리에틸렌, 변성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변성 폴리프로필렌, 또는 아이오노마 등의 수지로 라미네이트하고, 다른 쪽의 면[2차 전지(1)의 외측면]을 폴리아미드계 수지 또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로 라미네이트한, 수지-금속 박막 라미네이트재 등의 가요성을 갖는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외장 부재(111)가 내측 및 외측 수지층(111a, 111c)에 더해서 중간 금속층(111b)을 구비함으로써, 외장 부재(111) 자체의 강도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외장 부재(111)의 내측 수지층(111a)을,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변성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변성 폴리프로필렌, 또는 아이오노마 등의 수지로 구성함으로써, 금속제의 전극 단자(114, 115)와의 양호한 융착성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외장 부재(111)는, 상술한 3층 구조에만 한정되지 않고, 내측 또는 외측 수지층(111a, 111c) 중 어느 한 층 구조여도 된다. 또한, 내측 또는 외측 수지층(111a, 111c) 중 어느 한 쪽과 중간 금속층(111b)의 2층 구조여도 된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 4층 이상의 구조여도 된다.
한 쌍의 외장 부재(111) 각각은, 발전 요소(112)를 수용할 수 있도록 직사각 형상 평판을 얕은 사발형(접시형)으로 성형한 형상으로 되어, 내부에 발전 요소(112)와 전해액을 넣은 후, 각각의 외주부(113)를 중첩하여, 당해 외주부(113)의 전체 둘레가 열 융착이나 접착제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본 예의 2차 전지(1)는, 리튬 이온 2차 전지이며,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발전 요소(112)는 정극판(112a)과 부극판(112b) 사이에 세퍼레이터(112c)를 적층해서 구성되어 있다. 본 예의 발전 요소(112)는, 3매의 정극판(112a)과, 5매의 세퍼레이터(112c)와, 3매의 부극판(112b)과, 특별히 도시하지 않은 전해질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2차 전지(1)는 리튬 이온 2차 전지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전지여도 된다.
발전 요소(112)를 구성하는 정극판(112a)은, 정극 단자(114)까지 신장되어 있는 정극측 집전체(112d)와, 정극측 집전체(112d)의 일부의 양 주면에 각각 형성된 정극층(112e, 112f)을 갖는다. 또한, 본 예에서는 정극판(112a)과 정극측 집전체(112d)가 1매의 도전체로 형성되어 있지만, 정극판(112a)과 정극측 집전체(112d)를 다른 부재로 구성하고, 이들을 접합해도 된다.
정극판(112a)의 정극측 집전체(112d)는, 예를 들어 알루미늄박, 알루미늄 합금박, 동박, 또는 니켈박 등의 전기 화학적으로 안정된 금속박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정극판(112a)의 정극층(112e, 112f)은, 예를 들어 니켈산 리튬(LiNiO2), 망간산 리튬(LiMnO2) 또는 코발트산 리튬(LiCoO2)등의 리튬 복합 산화물이나, 칼코겐(S, Se, Te) 화물 등의 정극 활물질과, 카본 블랙 등의 도전제와, 폴리사불화 에틸렌의 수성 디스퍼전 등의 접착제와, 용제를 혼합한 것을, 정극 집전판(112d)의 양 주면에 도포하고, 건조 및 압연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발전 요소(112)를 구성하는 부극판(112b)은, 부극 단자(115)까지 신장되어 있는 부극측 집전체(112g)와, 당해 부극측 집전체(112g)의 일부의 양 주면에 각각 형성된 부극층(112h, 112i)을 갖는다. 또한, 본 예에서는 부극판(112b)과 부극측 집전체(112g)가 1매의 도전체로 형성되어 있지만, 부극판(112b)과 부극측 집전체(112g)를 다른 부재로 구성하고, 이들을 접합해도 된다.
부극판(112b)의 부극측 집전체(112g)는, 예를 들어 니켈박, 동박, 스테인리스박, 또는 철박 등의 전기 화학적으로 안정된 금속박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부극판(112b)의 부극층(112h, 112i)은, 예를 들어 비정질 탄소, 난흑연화 탄소, 이흑연화 탄소, 또는 흑연 등과 같은 상기의 정극 활물질의 리튬 이온을 흡장 및 방출하는 부극 활물질에, 유기물 소성체의 전구체 재료로서의 스티렌 부타디엔 고무 수지 분말의 수성 디스퍼전을 혼합하고, 건조시킨 후에 분쇄함으로써, 탄소 입자 표면에 탄화한 스티렌 부타디엔 고무를 담지시킨 것을 주재료로 하고, 이것에 아크릴 수지에멀전 등의 결착제를 더 혼합하고, 이 혼합물을 부극 집전판(112g)의 양 주면에 도포하고, 건조 및 압연시킴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정극판(112a)과 부극판(112b) 사이에 적층되는 세퍼레이터(112c)는, 정극판(112a)과 부극판(112b)의 단락을 방지하는 것이며, 전해질을 유지하는 기능을 구비해도 된다. 세퍼레이터(112c)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 등으로 구성되는 미다공성막이며, 과전류가 흐르면, 그 발열에 의해 층의 구멍이 폐색되어 전류를 차단하는 기능도 갖는다. 단, 세퍼레이터(112c)는, 폴리올레핀 등의 단층막에만 한정되지 않고, 폴리프로필렌막을 폴리에틸렌막으로 샌드위치한 3층 구조나, 폴리올레핀 미다공막과 유기 부직포 등을 적층한 것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세퍼레이터(112c)를 복층화함으로써, 과전류의 방지 기능, 전해질 유지 기능 및 세퍼레이터(112c)의 형상 유지(강성 향상) 기능 등의 모든 기능을 부여할 수 있다.
이상의 발전 요소(112)는, 세퍼레이터(112c)를 개재해서 정극판(112a)과 부극판(112b)이 교대로 적층되어 이루어진다. 그리고, 3매의 정극판(112a)은, 정극측 집전체(112d)를 개재해서, 금속박제의 정극 단자(114)에 각각 접속되는 한편, 3매의 부극판(112b)은, 부극측 집전체(112g)를 개재해서, 마찬가지로 금속박제의 부극 단자(115)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발전 요소(112)의 정극판(112a) 및 부극판(112b)의 각각으로부터 외장 부재(111)의 외부로 정극 단자(114)와 부극 단자(115)가 도출되어 있다. 본 예의 2차 전지(1)에서는, 외장 부재(111)의 한 변(도 1의 앞의 짧은 변)의 외주부(113a)로부터 정극 단자(114)와 부극 단자(115)가 나란히 도출되어 있다. 정극 단자(114) 및 부극 단자(115)는 정극 탭(114) 및 부극 탭(115)이라고도 칭해진다.
본 예의 2차 전지(1)는, 외장 부재(111)의 하나의 변의 외주부로부터 정극 단자(114)와 부극 단자(115)가 나란히 도출되어 있는 것이다. 그 때문에, 도 8에는 발전 요소(112)의 정극판(112a)으로부터 정극 단자(114)에 이르는 단면도를 도시하고, 발전 요소(112)의 부극판(112b)으로부터 부극 단자(115)에 이르는 단면을 생략하지만, 부극판(112b) 및 부극 단자(115)도 도 8의 단면도에 도시하는 정극판(112a) 및 정극 단자(114)와 마찬가지 구조로 되어 있다. 단, 발전 요소(112)의 단부로부터 정극 단자(114) 및 부극 단자(115)에 이르는 사이의 정극판(112a)[정극측 집전체(112d)] 및 부극판(112b)[부극측 집전체(112g)]은, 평면에서 보아 서로 접촉하지 않도록 절반 이하로 절결되어 있다.
전지 본체(11)는 평면에서 보아 직사각형으로 되어 있으므로, 한 쌍의 외장 부재(111)를 접합해서 내부를 밀봉하는 외주부(113)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주부(113a ~ 113d)라 칭한다. 또한, 전지 본체(11)의 외형 형상은 직사각형에만 한정되지 않고, 정사각형이나 다른 다각형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정극 단자(114)와 부극 단자(115)의 도출 위치는, 본 예와 같이 하나의 외주부(113a)로부터 도출시키는 것 이외에도, 대향하는 외주부(113a와 113b나, 113c와 113d)의 각각으로부터 도출시켜도 된다. 또한, 긴 변의 외주부(113c, 113d)로부터 도출시켜도 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전지 본체(11)는 단일 부재로 사용에 제공할 수도 있지만, 다른 하나 또는 복수의 2차 전지와 접속하여 조합해서, 원하는 출력, 용량의 2차 전지(이하, 전지 모듈이라고도 함)로서 사용에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전지 모듈을 복수 접속하여 조합해서(이하, 조전지라고도 함), 이 조전지를 전기 자동차나 하이브리드 자동차 등의 차량에 탑재하여, 주행 구동용 전원으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복수의 전지 본체(11)를 접속하여 전지 모듈을 구성하는 경우에,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전지 본체(11)의 주면끼리를 적층해서 전지 케이스 내에 수용하는 것이 행해진다. 이 경우에, 전지 본체(11)의 외주부(113a)로부터 도출된 정극 단자(114) 및 부극 단자(115)와, 이 전지 본체(11)에 적층된 전지 본체(11)의 외주부(113a)로부터 도출된 정극 단자(114) 및 부극 단자(115)의 절연성을 확보하는 동시에, 이들 정극 단자(114) 및 부극 단자(115)를 직렬 및/또는 병렬로 접속하기 위한 버스바를 배치하거나, 전압 검출용 센서의 커넥터를 배치하거나 하기 위해서, 절연성 재료로 구성된 스페이서(12)가 사용된다.
본 예의 스페이서(12)는, 도 1, 도 2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접하는 전지 본체(11)의 서로의 외주부(113a, 113a) 사이에 배치되고, 전지 본체(11)를, 전지 모듈의 케이스나 자동차의 차체 등 소정의 설치 위치에 대해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121)를 갖는다.
스페이서(12)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나 폴리프로필렌(PP) 등의 강성을 갖는 절연성 수지 재료로 구성되고, 전지 본체(11)의 외주부(113a)의 길이 이상의 길이를 갖는 장척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그 양단부의 각각에 칼집 형상의 관통 구멍으로 이루어지는 고정부(12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스페이서(12)의 길이는 장착되는 외주부(113a) 이상의 길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것은 외력의 입력에 대해 이것을 스페이서(12) 전체에서 받아, 전지 본체(11)에 대해 국소적인 응력이 작용하지 않도록 하는 취지이다. 따라서, 스페이서(12)의 길이는 장착되는 외주부(113a)의 길이에 최대한 가까운 치수이면 된다.
또한, 상술한 PBT나 PP제의 스페이서(12)의 기계적 강도(절곡 강도 또는 버클링 강도 등의 강성)는, 전지 본체(11)에 수용된 발전 요소(112)를 구성하는 전극판[상술한 정극판(112a) 및 부극판(112b)]의 기계적 강도보다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도 5에 도시하는 외력 F의 입력 방향에 대한 기계적 강도에 대해, 스페이서(12)쪽을 크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차량 탑재된 2차 전지(1)에 대해 스페이서(12)에 현저하게 과대한 외력이 작용하면 스페이서(12)와 발전 요소(112)가 접촉해서 양자 모두 찌부러지려고 할 때에 스페이서(12)쪽을 보다 찌부러지기 어렵게 함으로써 2차 전지(1)의 유지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본 예의 스페이서(12)의 고정부(121)의 근방에는, 관통 구멍(122) 및 리브(123)가 형성되어 있다. 도 1, 도 2 및 도 4에는 도시를 생략하고, 도 3 및 도 5에 관통 구멍(122) 및 리브(123)를 도시한다. 본 예의 관통 구멍(122)은, 스페이서(12)의 양단부이며 고정부(121) 주위의 임의 개소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예의 리브(123)는 스페이서(12)의 하면 단부에 아랫쪽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 예의 관통 구멍(122) 및 리브(123)는, 후술하는 탄성 수지부(13)에 매설되지만, 스페이서(12)의 고정부(121)에 입력한 외력이 탄성 수지부(13)를 통해서 전지 본체(11)로 입력될 때에, 당해 탄성 수지부(13)에 의한 완충력을 발생시키는 면을 갖는 것이면 된다. 즉, 도 5에 도시하는 외력 F의 입력 방향에 대해 대향하는 면을 갖는 관통 구멍, 리브, 또는 오목부이면 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관통 구멍, 리브 또는 오목부를 형성하지 않아도, 탄성 수지부(13) 자체에 외력 F에 대한 완충력이 발생하지만, 관통 구멍, 리브 또는 오목부를 형성함으로써, 동일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력 F에 대한 완충력 f1, f2가 보다 커지므로, 전지 본체(11)에 작용하는 외력 F를 보다 완충할 수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관통 구멍(122) 및 리브(123)를 보강부라고도 칭한다.
본 예의 2차 전지(1)에서는, 전지 본체(11)의 외주부(113) 중 적어도 고정부(121) 주위이며, 도 5의 단면도에 있어서의 외주부(113)와 스페이서(12)의 중첩부(14)를 포함하는 범위에, 탄성 수지의 인서트 성형에 의해 탄성 수지부(13)가 형성되어 있다.
탄성 수지부(13)는, 가황 고무, 열경화성 수지 엘라스토머, 열가소성 수지 엘라스토머, 폴리아미드계 수지(핫멜트 그레이드) 등의 탄성 수지로 구성되고, 후술하는 인서트 성형에 의해 상기 범위에 형성된다. 본 예에서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부(121) 주위 H1 이외에, 전지 본체(11)의 외주부(113c, 113d)(긴 변측의 외주부)의 범위 H2에도 탄성 수지부(1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외주부(113)의 전체 둘레에 탄성 수지부(13)를 형성해도 된다.
도 2에 도시하는 범위 H1에 형성되는 탄성 수지부(13)는, 도 5의 단면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지 본체(11)의 외주부(113a)와 스페이서(12)의 중첩부(14)를 포함하고, 이들 외주부(113a)와 스페이서(12)를 접합한다. 또한, 스페이서(12)에 형성된 관통 구멍(122)에도 탄성 수지가 충전된다. 그리고, 스페이서(12)에 고정부(121)에 입력된 차량 진동과 같은 외력 F가 스페이서(12)로부터 전지 본체(11)의 외주부(113a)에 입력할 때에 탄성 수지부(13) 자체나 관통 구멍(122), 리브(123)에 완충력 f3, f1, f2를 발생시킨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지 모듈이나 차량에 대하여 2차 전지(1)를 그 양단부에서 고정하는 고정부(121, 121)에 동일 도면에 있어서 좌측 방향의 외력 F가 작용하면, 전지 본체(11)에도 좌측 방향의 힘이 작용한다. 이때, 전지 본체(11)에 봉입된 발전 요소(112)는, 정극 단자(114) 및 부극 단자(115)와 외장 부재(111)의 외주부(113)의 접합과, 외장 부재(111) 내의 감압에 의한 발전 요소(112)와 외장 부재(111)의 마찰력에 의해서만 보유 지지되고 있다. 따라서, 고정부(121, 121)에 작용한 외력 F가 그대로 전지 본체(11)로 전달되면, 내부에 봉입된 발전 요소(112)에는 외력 F에 대한 우측 방향의 관성력 I가 작용하여, 발전 요소(112)와 외장 부재(111) 사이에 상대 변위가 발생하여, 집전체(112d, 112g)가 변위해서 단락으로 이어질 우려가 있다.
그러나, 본 예의 2차 전지(1)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지 본체(11)의 외장 부재(111)와 스페이서(12)는 탄성 수지부(13)에 의해 접합되고, 게다가 전지 본체(11)의 양단부에 있어서 탄성 수지부(13)를 개재해서 전지 본체(11)를 지지하고 있다. 이에 의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페이서(12)의 고정부(121)에 좌측 방향의 외력 F가 작용하면, 양 쪽의 탄성 수지부(13, 13)에, 전지 본체(11)에 작용하려고 하는 외력 F에 저항하는 완충력 f1 ~ f3가 발생하여, 단위 시간당 받는 힘을 저감한다. 그 결과, 발전 요소(112)와 외장 부재(111) 사이의 변위가 억제되어, 집전체(112d, 112g)의 단락 등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전지 본체(11)에 입력되는 외력을 완충할 수 있어, 전지 본체(11)의 고정 상태의 안정성이 향상된다. 특히, 탄성 수지부(13)는 차량 진동과 같은 비교적 고주파의 진동에 대하여 탄성력에 의한 외력 완충 작용이 우수하다.
이에 반해 도 2에 범위 H2에 형성되는 탄성 수지부(13)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의 외장 부재(111, 111)의 단부면을 포함한 상태에서 외주부(113c, 113d)의 전체 영역에 형성되어 있다. 외주부(113c, 113d)의 전체 둘레에 걸쳐 탄성 수지부(13)를 형성함으로써 외주부(113c, 113d)의 접합면으로부터 누설하려고 하는 발전 요소(112)로부터의 전위 누설을 저지할 수 있다. 또한, 범위 H1에 형성되는 탄성 수지부(13)와 범위 H2에 형성되는 탄성 수지부(13)를 접속함으로써, 스페이서(12)에 입력한 외력 F의 일부를 범위 H2에 형성한 탄성 수지부(13)로 분산시킬 수 있어, 전지 본체(11)에 전달하는 외력을 경감할 수 있다.
범위 H1에 형성되는 탄성 수지부(13)의 경도는, 전지 본체(11)의 외장 부재(111)를 구성하는 외측 수지층(111c)의 경도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외력 F의 입력에 의해 스페이서(12)에 현저하게 과대한 외력이 작용해서 탄성 수지부(13)와 외장 부재(111)가 최초로 접촉한 경우에, 탄성 수지부(13)의 경도가 크면 외장 부재(111)를 파손하기 때문이다. 탄성 수지부(13)의 경도의 설정은 채용하는 수지 재료의 종류 이외에 그레이드 등에 의해 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예의 2차 전지(1)의 제조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최초에 라미네이트 필름제 외장 부재(111)의 내부에 발전 요소(112)를 수용해서 전해액을 충전하고, 외장 부재(111)의 외주부(113)를 밀봉한다. 이에 의해 전지 본체(11)를 얻는다. 이와 병행하여, 고정부(121), 관통 구멍(122), 리브(123)을 갖는 스페이서(12)를 성형한다.
계속해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미리 준비된 사출 성형용 금형(15, 15)에, 전지 본체(11)와 스페이서(12)를, 스페이서(12)를 전지 본체(11)의 외주부(113a)[외주부(113b)의 도시는 생략함]에 중첩시킨 상태에서 세트하고, 형 체결을 행한다. 이에 의해, 범위 H1, H2에 형성되는 탄성 수지부(13)의 형상에 따른 캐비티 C가 형 내에 형성되므로, 여기에 스풀(151)을 통해서 용융 수지를 충전한다. 이 수지 충전 시에 스페이서(12)에 형성된 관통 구멍(122) 내에도 수지가 충전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예의 2차 전지(1)에 따르면, 적어도 고정부(121) 주위의 범위 H1에 탄성 수지부(13)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당해 고정부(121)를 통해서 입력된 외력 F가, 스페이서(12)를 통해서 전지 본체(11)에 입력될 때에 탄성 수지부(13) 자체에 완충력 f3가 발생한다. 이에 의해, 전지 본체(11)에 입력되는 외력을 완충할 수 있어, 전지 본체(11)의 고정 상태의 안정성이 향상된다. 특히, 차량 진동과 같은 비교적 고주파의 진동에 대해, 탄성 수지부(13)의 탄성력에 의한 외력 완충 작용이 우수하다.
또한 이 때, 스페이서(12)에 형성된 관통 구멍(122)이나 리브(123)에도 완충력 f1, f2가 발생하므로, 전지 본체(11)에 입력되는 외력을 한층 더 완충할 수 있어, 전지 본체(11)의 고정 상태의 안정성이 한층 더 향상된다.
또한, 스페이서(12)의 길이를 장착되는 외주부(113a) 이상의 길이로 함으로써, 외력 F의 입력에 대해 이것을 스페이서(12) 전체에서 받을 수 있어, 전지 본체(11)에 대하여 국소적인 응력의 작용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범위 H1에 형성되는 탄성 수지부(13)의 경도를 전지 본체(11)의 외장 부재(111)를 구성하는 외측 수지층(111c)의 경도보다 작게 하고 있으므로, 차량의 충돌 사고 등에 의해 스페이서(12)에 현저하게 과대한 외력이 작용하고, 이에 의해 탄성 수지부(13)와 외장 부재(111)가 접촉한 경우에, 탄성 수지부(13)에 의한 외장 부재(111)의 파손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스페이서(12)의 기계적 강도를 발전 요소(112)의 전극판의 기계적 강도보다 크게 하고 있으므로, 차량의 충돌 사고 등에 의해 스페이서(12)에 현저하게 과대한 외력이 작용하고, 이에 의해 스페이서(12)와 발전 요소(112)가 접촉해서 양자 모두 찌부러지려고 하는 경우에, 스페이서(12)쪽이 찌부러지기 어려워져, 그 결과, 2차 전지(1)의 보유 지지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범위 H2에 형성된 탄성 수지부(13)에 의해, 외주부(113c, 113d)의 접합면으로부터 누설하려고 하는 발전 요소(112)로부터의 전위 누설을 저지할 수 있어, 2차 전지(1)의 용량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범위 H1에 형성되는 탄성 수지부(13)와 범위 H2에 형성되는 탄성 수지부(13)를 접속하고 있으므로, 스페이서(12)에 입력한 외력 F의 일부를 범위 H2에 형성한 탄성 수지부(13)로 분산시킬 수 있어, 전지 본체(11)에 전달하는 외력을 경감할 수 있다.
또한, 탄성 수지부(13)를 인서트 성형으로 형성함으로써 제조 시간 및 제조 공정수를 저감할 수 있어, 2차 전지(1)의 비용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도 9는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2차 전지이며, 도 1의 점선 IX로 둘러싸는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10은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2차 전지의 평면도이며, 도 11은 도 10의 점선 XI로 둘러싸는 부분의 확대도이다. 본 예에서는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에 대하여, 취약부(200)를 설치하는 점이 서로 다르다. 이 외의 구성은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하기 때문에, 그 기재를 원용한다.
외장 부재(111)의 외주부에 형성된 탄성 수지부(13)에는, 취약부(200)가 설치되어 있다. 취약부(200)는 절결부(21)에 의해 형성되고, 절결부(21)는 2차 전지(1)의 주면 방향으로부터 보아, V자 형상으로 절결되어 있다. 또한, 절결부(21)는 탄성 수지부(13)에 대하여, 2차 전지(1)의 중앙 부분에 면하는 탄성 수지부(13)의 내벽으로부터, 2차 전지(1)의 외측에 면하는 외벽을 향해서 절입을 넣도록 구성되고, 또한 절결부(21)는 당해 내벽으로부터 당해 외벽까지의 사이의 일부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절결부(21)는 탄성 수지부(13)를 형성하는 재료인 탄성 수지의 하류측에 형성되어 있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 수지부(13)를 인서트 성형에 의해 형성하는 경우에는, 탄성 수지를 주입하는 주입구(22)를, 외장 부재(13)의 긴 변측의 변의 중앙 부분에 배치하고, 탄성 수지를 외장 부재(13)의 외주부를 따르도록 흘려 넣는다. 이때, 탄성 수지의 상류측은 주입구(22)의 위치가 되고, 탄성 수지의 하류측은 외장 부재(13)의 긴 변측의 변의 단부가 된다. 그러므로, 절결부(21)는 탄성 수지의 주입구에 대하여 하류측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절결부(21)는 외장 부재(111)의 외주부인 4변 중, 정극 단자(114) 및 정극 단자(115)가 도출되어 있지 않은 변을 덮는 탄성 수지부(13)에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취약부(200)의 작용을 도 12 및 도 13을 사용해서 설명한다. 도 12는 도 11의 XI-XI선을 따른 단면도이며, 절결부(21)를 포함하는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1의 XII-XII선을 따른 단면도이며, 절결부(21)를 포함하지 않는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12 및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장 부재(111)의 외주부에 있어서, 한 쌍의 외장 부재(111) 중, 상측인 한편의 외장 부재(111)와 탄성 수지부(13)의 접촉 면적은, 절결부(21)를 설치하지 않는 부분과 비교하여, 절결부(21)를 설치하는 부분 쪽이 작아진다. 바꾸어 말하면, 상측의 외장 부재(111)와 탄성 수지부(13)의 경계면에 있어서, 외장 부재(111)의 외측에 위치하는 일단부로부터 외장 부재(111)의 내측에 위치하는 타단부까지의 길이는, 절결부(21)를 설치하지 않은 부분의 길이(도 13의 Lb)와 비교하여, 절결부(21)를 형성한 부분의 길이(도 12의 La) 쪽이 짧아진다. 즉, 본 예의 2차 전지(1)는 절결부(21)를 설치함으로써, 절결부(21)를 포함시킨 부분의 경계면에 있어서의 단위 면적당, 상측의 외장 부재(111)와 탄성 수지부(13)의 접촉 면적을, 절결부(21)를 설치하지 않은 부분의 경계면에 있어서의 당해 단위 면적당 당해 접촉 면적보다 작게 함으로써, 외장 부재(111)와 탄성 수지부(13) 사이의 밀착 강도를 작게 하여, 절결부(21)가 형성된 부분을 취약부(200)로 하고 있다.
2차 전지(1)의 경년 열화 등에 의해 발전 요소(112)로부터 가스가 발생한 경우에는, 가스는 외장 부재(111)로 발전 요소를 밀봉하고 있는 부분인, 외장 부재(111)의 외주부, 즉 한 쌍의 외장 부재(111)의 상측의 외장 부재(111)와 하측의 외장 부재(111)가 겹쳐 있는 부분(열융착시키고 있는 부분)으로부터, 외측을 향해서 흘러 나오려고 한다(도 12 및 도 13의 화살표 A의 방향). 상측의 외장 부재(111)와 하측의 외장 부재(111)가 겹쳐 있는 부분의, 외장 부재(111)의 외측의 일단부는, 탄성 수지부(13)에 덮여, 탄성 수지부(13)의 모재 강도에 상당하는 전단 강도가 탄성 수지부(13)와 외장 부재(111)의 밀착 강도보다 높게 되어 있기 때문에, 가스는 탄성 수지부(13)와 외장 부재(111)의 경계를 따라, 외장 부재(111)가 중첩되어 있는 부분에 있어서의 가스의 유출 방향과 역방향으로 흐르려고 한다. 이때, 상측의 외장 부재(111)와 탄성 수지부(13)의 경계면에 대해서, 외장 부재(111)의 외측의 일단부로부터 내측측의 타단부까지의 길이는, 절결부(21)를 설치하고 있는 부분의 경계면 쪽이 짧기 때문에, 절결부(21)를 설치하지 않은 부분에 비해, 가스가 배출되기 쉬워진다. 그 때문에, 절결부(21)는 발전 요소(112)로부터 발생하는 가스의 배출구가 된다.
즉, 본 예는 탄성 수지부(13)와 외장 부재(111)의 경계면에 있어서, 탄성 수지부(13)에 절결부(21)를 설치함으로써, 절결부(21)를 설치하지 않은 다른 부분과 비교하여, 취약하게 하여, 가스를 배출하기 쉽게 하고 있다. 이에 의해, 탄성 수지부(13)에 절결부(21)를 설치하지 않은 경우에는, 발전 요소(112)로부터 가스가 발생했을 때에, 가스의 개방구가 정해지지 않아, 외장 부재(111)의 내압이 높아져 버린다. 한편, 본 예에서는, 절결부(21)를 설치함으로써, 절결부(21)의 부근이 취약부(200)가 되기 때문에, 가스의 개방구가 정해져서, 외장 부재(111)의 내압이 과잉으로 높아지기 전에, 가스를 배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예의 2차 전지(1)는 탄성 수지부(13)에, 절결부(21)에 의한 취약부(200)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발전 요소(112)로부터 가스가 발생한 경우에, 2차 전지(1) 내의 내압이 과잉으로 높아지기 전에, 가스를 개방시킬 수 있다. 즉, 외장 부재(111)와 탄성 수지부(13)의 경계면에 있어서, 취약부(200)를 포함시킨 주위가, 다른 부분과 비교하여, 밀착 강도가 작아지기 때문에, 당해 주위가 취약해진다. 그리고, 가스 발생 시에는, 가스가 당해 주위로부터 배출되기 때문에, 외장 부재(111)의 내압의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예의 2차 전지(1)에 있어서, 절결부(21)는 외장 부재(111)의 외주부의 내측에 위치하는 부분의 탄성 수지부(13)에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발전 요소(112)로부터 배출되는 가스는, 외장 부재(111)의 외주부의 외측을 향해서 배출되지 않고, 외장 부재(111)의 외주부의 내측을 향해서 배출되기 때문에, 배출 가스에 의한 다른 전지로의 영향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예의 2차 전지(1)에 있어서, 부극 단자(114) 및 정극 단자(115)가 도출하는, 외장 부재(111)의 외주부의 일부 이외의 탄성 수지부(13)에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가스는 부극 단자(114) 및 정극 단자(115)가 도출되어 있지 않은 부분으로부터 배출되기 때문에, 배출 가스에 의한 부극 단자(114) 및 정극 단자(115)로의 영향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예의 2차 전지(1)는, 절결부(21)가 형성된 부분인 취약부(200)의 밀착 강도[도 12의 길이 La에 상당하는, 외장 부재(111)와 탄성 수지부(13)의 접촉 부분의 밀착 강도]가, 탄성 수지부(13)의 모재 강도보다 작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한 쌍의 외장 부재(111)가 열 융착에 의해 중첩되어 있는 부분으로부터 가스가 배출된 경우에, 가스가 탄성 수지부(13)를 전단해서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외장 부재(111)와 탄성 수지부(13)의 경계면을 따라, 절결부(21)로부터 가스를 배출할 수 있다.
또한 본 예의 2차 전지(1)는, 탄성 수지부(13)를 탄성 수지의 인서트 성형에 의해 형성한 경우에, 취약부(200)가 탄성 수지의 하류측에 형성되어 있다. 탄성 수지의 하류측은, 상류측과 비교하여, 외장 부재(111)와 탄성 수지부(13)의 경계면에 있어서의 밀착 강도가 작기 때문에, 본 예는 탄성 수지의 하류측에 취약부(200)를 설치함으로써, 가스의 개방구를 컨트롤할 수 있다.
또한, 본 예는 절결부(21)를, 2차 전지(1)의 주면 방향으로부터 보아 V자 형상으로 탄성 수지부(13)를 절결함으로써 형성했지만, 도 14 내지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 수지부(13)의 벽면으로부터 탄성 수지부(13)의 내부를 향해서 절결함으로써, 절결부(21)를 형성해도 된다. 도 14는 도 1의 XIV 화살표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XV-XV선을 따른 부분 단면 사시도이며, 도 16은 도 14의 XVI-XVI선을 따른 부분 단면 사시도이다.
절결부(21)는 탄성 수지부(13)에 내벽(13a)[탄성 수지부(13)에 대하여, 발전 요소측을 향하고 있는 벽면]으로부터 외벽(13b)[탄성 수지부(13)에 대하여, 발전 요소측을 향하고 있는 벽면과 반대 방향인, 외측을 향하고 있는 벽면]을 향해서, 서서히 높이가 낮아지도록, 탄성 수지부(13)에 절입되어, 탄성 수지부(13)의 내벽(13a)으로부터, 탄성 수지부(13)의 외벽(13b)에 이르는 도중까지의 부분에서, 상측의 외장 부재(111)와 탄성 수지부(13)가 접착되지 않는다. 한편, 절결부(21)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탄성 수지부(13)에서는, 탄성 수지부(13)의 내벽(13a)으로부터, 탄성 수지부(13)의 외벽(13b)에 이르는 도중까지의 부분에서, 상측의 외장 부재(111)와 탄성 수지부(13)가 접착되어 있다. 이에 의해, 상측의 외장 부재(111)와 탄성 수지부(13)의 경계면에 있어서, 외장 부재(111)의 외측에 위치하는 일단부로부터 외장 부재(111)의 내측에 위치하는 타단부까지의 길이는, 절결부(21)를 설치하지 않은 부분의 길이와 비교하여, 절결부(21)를 설치한 부분의 길이 쪽이 짧아지도록, 절결부(21)가 탄성 수지부(13)의 내벽(13a)에 형성되어 있다.
《제3 실시 형태》
도 17은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2차 전지(1)이며, 도 10의 점선 XI로 둘러싸는 부분의 확대도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도 18은 도 17의 XVIII-XVIII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본 예에서는 상술한 제2 실시 형태에 대하여, 취약부(200)의 구성이 서로 다르다. 이 외의 구성은 상술한 제1 실시 형태 및 제2 실시 형태와 동일하기 때문에, 그 기재를 적절하게, 원용한다.
외장 부재(111)의 외주부에 형성된 탄성 수지부(13)에는, 취약부(200)가 설치되어 있다. 취약부(200)는 밀착 강도 저하부(23)에 의해 형성되고, 밀착 강도 저하부(23)는 외장 부재(111)와 탄성 수지부(13)의 경계면에서, 당해 경계면을 따른 띠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밀착 강도 저하부(23)는, 외측의 외장 부재(111)의 외측에 위치하는 일단부로부터, 외측의 외장 부재(111)의 내측에 위치하는 타단부까지의 일부에 형성되어 있다.
밀착 강도 저하부(23)의 제법에 대해서, 탄성 수지부(13)를 외장 부재(111)에 형성할 때에, 외장 부재(111)의 외주부의 표면 중, 밀착 강도 저하부(23)를 작성하는 부분에, 실리콘 등의 이형제를 스프레이 등으로 분사하거나, 이형제를 포함하는 테이프를 붙이거나 한 상태에서, 탄성 수지부(13)를 외장 부재(111)의 외주부에 형성한다. 이에 의해, 밀착 강도 저하부(23)에 있어서의, 탄성 수지부(13)와 외장 부재(111)의 경계면의 밀착 강도는, 다른 경계면의 밀착 강도보다 낮아진다.
즉, 본 예는, 탄성 수지부(13)와 외장 부재(111)의 경계면에 있어서, 탄성 수지부(13)에 밀착 강도 저하부(23)를 설치함으로써, 밀착 강도 저하부(23)를 설치하지 않은 다른 부분과 비교하여, 취약하게 하여, 가스를 배출하기 쉽게 하고 있다. 이에 의해, 탄성 수지부(13)에 밀착 강도 저하부(23)를 설치하지 않은 경우에는, 발전 요소(112)로부터 가스가 발생했을 때에, 가스의 개방구가 정해지지 않아, 외장 부재(111)의 내압이 높아져 버린다. 한편, 본 예에서는, 밀착 강도 저하부(23)를 설치함으로써, 밀착 강도 저하부(23)의 부근이 취약부(200)가 되기 때문에, 가스의 개방구가 정해져, 외장 부재(111)의 내압이 과잉으로 높아지기 전에, 가스를 배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예의 2차 전지(1)는, 탄성 수지부(13)에, 밀착 강도 저하부(23)에 의한 취약부(200)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발전 요소(112)로부터 가스가 발생한 경우에, 2차 전지(1) 내의 내압이 과잉으로 높아지기 전에, 가스를 개방시킬 수 있다. 즉, 외장 부재(111)와 탄성 수지부(13)의 경계면에 있어서, 취약부(200)를 포함시킨 주위가, 다른 부분과 비교하여, 밀착 강도가 작아지기 때문에, 당해 주위가 취약해진다. 그리고, 가스 발생 시에는 가스가 당해 주위로부터 배출되기 때문에, 외장 부재(111)의 내압의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예는, 도 19 및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밀착 강도 저하부(23)를, 상측의 외장 부재(111)의 외측에 위치하는 일단부로부터, 상측의 외장 부재(111)의 내측에 위치하는 타단부에 걸쳐서, 형성해도 된다. 도 19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2차 전지(1)로, 도 10의 점선 XI로 둘러싸는 부분의 확대도에 상당하는 도면이며, 도 20은 도 19의 XX-XX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또한, 도 18 및 도 20에서는, 설명을 위해 밀착 강도 저하부(23)에 두께를 두고 있지만, 실제로는 밀착 강도 저하부(23)의 두께는 실질적으로 제로이며, 탄성 수지부(13)와 상측의 외장 부재(111)는, 동일한 두께로 되어 있다.

Claims (22)

  1. 외장 부재의 내부에 발전 요소가 봉입된 전지 본체와,
    상기 전지 본체 상에 놓인 다른 전지 본체와 상기 전지 본체의 각각의 외주부 사이에 배치된 스페이서와,
    상기 전지 본체와 상기 스페이서에 각각 연결됨으로써, 상기 전지 본체와 상기 스페이서를 연결하는 제1 탄성 수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스페이서의 상기 제1 탄성 수지부와의 연결 부위에는, 상기 스페이서에 상기 전지 본체의 외주 방향으로부터 입력된 외력의 입력 방향에 대해 대향하는 면을 갖는 보강부가 형성되어 있는, 박형 전지.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는, 관통 구멍, 오목부, 리브 중 어느 하나인, 박형 전지.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 본체의 외주부 중 상기 제1 탄성 수지부가 형성된 범위 이외의 범위의 외주부에, 당해 외주부의 단부면을 밀봉하도록 제2 탄성 수지부가 형성되어 있는, 박형 전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외장 부재는, 수지층을 포함하는 라미네이트 필름제 외장 부재이며,
    상기 제2 탄성 수지부의 경도는, 상기 수지층의 경도보다 작은, 박형 전지.
  6.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당해 스페이서가 배치되는 상기 전지 본체의 외주부의 길이 이상의 길이를 갖는 장척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박형 전지.
  7.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외장 부재는, 수지층을 포함하는 라미네이트 필름제 외장 부재이며,
    상기 제1 탄성 수지부의 경도는, 상기 수지층의 경도보다 작은, 박형 전지.
  8.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의 강도는, 상기 발전 요소의 전극판의 강도보다 큰, 박형 전지.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전지 본체를 소정 위치에 고정하는 고정부를 갖는, 박형 전지.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 본체와 상기 스페이서의 중첩부를 포함하는 범위에, 탄성 수지의 인서트 성형에 의해 제1 탄성 수지부가 형성되어 있는, 박형 전지.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전지 본체의 양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박형 전지.
  12.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탄성 수지부에, 다른 부위보다도 상기 전지 본체와의 밀착 강도가 낮은 취약부가 형성되어 있는, 박형 전지.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취약부는, 상기 제2 탄성 수지부를 절결한 절결부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박형 전지.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취약부는, 상기 제2 탄성 수지부와 상기 외장 부재의 외주부와의 경계면 중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고,
    상기 취약부의 밀착 강도는, 상기 취약부가 형성되지 않은 상기 경계면의 밀착 강도보다 낮은, 박형 전지.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취약부는, 상기 외장 부재의 외주부의 외측에 위치하는 일단부와의 경계면을 포함한 상기 경계면에 형성되어 있는 박형 전지.
  16. 삭제
  17. 삭제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탄성 수지부는, 상기 외장 부재의 외주부에, 탄성 수지의 인서트 성형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취약부는, 상기 외주부에 있어서의 상기 탄성 수지의 주입구에 대하여 상기 탄성 수지의 하류측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박형 전지.
  19.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외장 부재의 외주부의 일부로부터 외부로 도출되어 있는 단자를 더 구비하고,
    상기 취약부는, 상기 일부 이외의 상기 외주부에 형성되어 있는, 박형 전지.
  20.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취약부는, 상기 제2 탄성 수지부와 상기 외장 부재의 외주부와의 경계면 중 적어도 일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취약부의 밀착 강도는 상기 제2 탄성 수지부의 모재 강도보다 작은, 박형 전지.
  21. 삭제
  22. 수지층을 포함하는 라미네이트 필름제 외장 부재의 내부에 발전 요소를 수용하고, 상기 외장 부재의 외주부를 밀봉하여, 전지 본체를 얻는 공정과,
    상기 전지 본체를 소정 위치에 고정하는 고정부를 갖는 스페이서를 준비하는 공정과,
    상기 스페이서를, 상기 전지 본체의 외주부에 중첩시킨 상태에서, 인서트 성형의 성형형으로 세트하는 공정과,
    상기 외주부 중 적어도 상기 고정부의 주위이며, 상기 외주부와 상기 스페이서의 중첩부를 포함하는 범위에, 탄성 수지를 충전해서 인서트 성형을 행하고, 당해 범위에 탄성 수지부를 형성하는 공정을 구비하고,
    상기 스페이서의 상기 탄성 수지부와의 연결 부위에는, 상기 스페이서에 상기 전지 본체의 외주 방향으로부터 입력된 외력의 입력 방향에 대해 대향하는 면을 갖는 보강부가 형성되는, 박형 전지의 제조 방법.
KR1020127033958A 2010-05-31 2011-05-19 박형 전지 Active KR1014243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124409 2010-05-31
JP2010124409 2010-05-31
JPJP-P-2010-258291 2010-11-18
JP2010258291 2010-11-18
JPJP-P-2011-106435 2011-05-11
JP2011106435A JP5830926B2 (ja) 2010-05-31 2011-05-11 薄型電池
PCT/JP2011/061507 WO2011152219A1 (ja) 2010-05-31 2011-05-19 薄型電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3119A KR20130043119A (ko) 2013-04-29
KR101424377B1 true KR101424377B1 (ko) 2014-08-01

Family

ID=450665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33958A Active KR101424377B1 (ko) 2010-05-31 2011-05-19 박형 전지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9178187B2 (ko)
EP (1) EP2579354A4 (ko)
JP (1) JP5830926B2 (ko)
KR (1) KR101424377B1 (ko)
CN (1) CN102934258B (ko)
BR (1) BR112012031371A2 (ko)
MX (1) MX2012013944A (ko)
RU (1) RU2524891C1 (ko)
WO (1) WO201115221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99744B2 (ja) * 2010-11-18 2016-04-06 日産自動車株式会社 定置用電力システム及び定置用電力装置の製造方法
JP5917899B2 (ja) * 2011-11-29 2016-05-18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薄型電池及び薄型電池の製造方法
JP5895488B2 (ja) * 2011-12-02 2016-03-30 日産自動車株式会社 位置決め部材および金型
JP5968211B2 (ja) * 2012-02-14 2016-08-10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蓄電モジュール、その製造方法、及び作業機械
AT514595B1 (de) 2013-06-24 2015-02-15 Avl List Gmbh Zellrahmen für eine Batteriezelle
JP2016522552A (ja) * 2013-07-31 2016-07-28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寿命特性が向上した二次電池用負極活物質
KR20150022214A (ko) * 2013-08-22 2015-03-0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파우치형 이차 전지
JP2015167103A (ja) * 2014-03-04 2015-09-24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蓄電モジュール
CN104134802A (zh) * 2014-07-16 2014-11-05 苏州宇量电池有限公司 锂电池
DE102015000735A1 (de) * 2015-01-21 2016-07-21 Audi Ag Verfahren zur Fertigung einer Pouchzelle
JP6210335B2 (ja) * 2015-03-11 2017-10-1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組電池用スペーサおよび組電池
KR101872307B1 (ko) * 2015-04-15 2018-06-29 주식회사 엘지화학 핫 멜팅 고정 구조를 이용한 전지팩의 제조방법 및 이를 사용하여 제조되는 전지팩
CN113300038A (zh) * 2021-02-26 2021-08-24 安徽力普拉斯电源技术有限公司 低速电动四轮车用电池
CN219778976U (zh) 2021-12-03 2023-09-29 亚斯朋空气凝胶公司 用于电力系统的阻隔件元件、电池模块、电力系统、设备或车辆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55792A (ja) * 1996-08-12 1998-02-24 Yuasa Corp 薄形電池
JP2007073510A (ja) * 2005-09-02 2007-03-22 Lg Chem Ltd 二次電池及びそれを含む電池モジュール
JP2008147045A (ja) * 2006-12-11 2008-06-26 Nissan Motor Co Ltd 電池モジュール
JP2008269926A (ja) * 2007-04-19 2008-11-06 Sharp Corp 電源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519958C2 (sv) * 2001-09-20 2003-04-29 Nilar Europ Ab Ett bipolärt batteri och en biplåtsammansättning
WO2003096446A1 (en) * 2002-05-14 2003-11-20 Hitachi Maxell, Ltd. Thin battery
CN100555711C (zh) * 2004-07-23 2009-10-28 索尼株式会社 电池组
US20060083985A1 (en) * 2004-10-14 2006-04-20 Rayovac Corporation Electrochemical cell having improved gasket
JP2006196222A (ja) 2005-01-11 2006-07-27 Toyota Motor Corp 電池セル結合体、組電池構造およびその組み立て方法
KR100930476B1 (ko) * 2005-01-25 2009-12-09 주식회사 엘지화학 캡 어셈블리 성형체 및 그것을 포함하는 이차전지
JP2007087922A (ja) * 2005-03-04 2007-04-05 Toyota Motor Corp フィルムパッケージ蓄電装置
US9017847B2 (en) * 2005-06-17 2015-04-28 Nec Corporation Electric device assembly and film-covered electric device structure
KR100980104B1 (ko) * 2005-09-28 2010-09-07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 제조장치
US20090297936A1 (en) 2006-07-13 2009-12-03 Seiji Nemoto Assembled battery formed by stacking a plurality of flat cells
JP4766057B2 (ja) * 2008-01-23 2011-09-07 ソニー株式会社 非水電解質電池および非水電解質電池の製造方法
KR101089086B1 (ko) * 2008-10-30 2011-12-06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지 카트리지와 이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US20110123844A1 (en) * 2009-11-20 2011-05-26 Apple Inc. Pressure-relief mechanism to improve safety in lithium-polymer battery cells
GB201417502D0 (en) * 2014-10-03 2014-11-19 Zephyros Inc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powdered adhesives
DE102016217372A1 (de) * 2016-09-13 2018-03-15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fibrillierten Materialzusammensetzung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55792A (ja) * 1996-08-12 1998-02-24 Yuasa Corp 薄形電池
JP2007073510A (ja) * 2005-09-02 2007-03-22 Lg Chem Ltd 二次電池及びそれを含む電池モジュール
JP2008147045A (ja) * 2006-12-11 2008-06-26 Nissan Motor Co Ltd 電池モジュール
JP2008269926A (ja) * 2007-04-19 2008-11-06 Sharp Corp 電源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934258A (zh) 2013-02-13
EP2579354A1 (en) 2013-04-10
MX2012013944A (es) 2013-01-24
JP5830926B2 (ja) 2015-12-09
RU2012156199A (ru) 2014-07-20
JP2012124144A (ja) 2012-06-28
US20130065109A1 (en) 2013-03-14
WO2011152219A1 (ja) 2011-12-08
US9178187B2 (en) 2015-11-03
CN102934258B (zh) 2015-11-25
RU2524891C1 (ru) 2014-08-10
KR20130043119A (ko) 2013-04-29
EP2579354A4 (en) 2016-01-13
BR112012031371A2 (pt) 2016-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4377B1 (ko) 박형 전지
KR101408409B1 (ko) 정치용 전력 시스템 및 정치용 전력 장치의 제조 방법
JP4828458B2 (ja) シーリング部の安全性が向上した二次電池
US20130029201A1 (en) Cell module
JP5917899B2 (ja) 薄型電池及び薄型電池の製造方法
KR20080038465A (ko) 구조적 안정성과 절연저항성이 우수한 전지셀
CN116231046A (zh) 二次电池
CN104969377A (zh) 防止水渗透的袋型二次电池
JP3797311B2 (ja) 薄型電池の支持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組電池
JP4182856B2 (ja) 二次電池、組電池、複合組電池、車輌、及び、二次電池の製造方法
JP3711962B2 (ja) 薄型電池
KR101825007B1 (ko) 파우치형 이차전지 및 그 제조방법
JP3702868B2 (ja) 薄型電池
KR102006203B1 (ko) 절연성이 개선된 파우치 외장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파우치형 이차 전지
JP2006236775A (ja) 二次電池
JP3818244B2 (ja) 薄型電池
JP6007651B2 (ja) 薄型電池及び薄型電池の製造方法
JP6858630B2 (ja) 二次電池
KR101975988B1 (ko) 이차전지용 파우치 및 이를 포함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
JP2020140833A (ja) 積層型電池および積層型電池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1227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2122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12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6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7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07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61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7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61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61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61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619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616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