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1342B1 - Steering Column for Vehicle - Google Patents
Steering Column for Vehic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21342B1 KR101421342B1 KR1020120085865A KR20120085865A KR101421342B1 KR 101421342 B1 KR101421342 B1 KR 101421342B1 KR 1020120085865 A KR1020120085865 A KR 1020120085865A KR 20120085865 A KR20120085865 A KR 20120085865A KR 101421342 B1 KR101421342 B1 KR 10142134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ilt
- outer tube
- bracket
- steering column
- couple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5489 elastic deform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44000043261 Hevea brasiliensi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459 Nitrile rub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3052 natural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194 natural rub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084 poly(chloropr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943 EPDM rub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JOYRKODLDBILNP-UHFFFAOYSA-N Ethyl urethane Chemical compound CCOC(N)=O JOYRKODLDBIL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98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775 capsu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971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HQQADJVZYDDRJT-UHFFFAOYSA-N ethene;prop-1-ene Chemical group C=C.CC=C HQQADJVZYDDRJ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NBVXSUQYWXRMNV-UHFFFAOYSA-N fluoromethane Chemical compound FC NBVXSUQYWXRMN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573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96 polysilox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060 rub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48 styrene butadiene rub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897 ter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73 vulcan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62D1/187—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with tilt adjustment; with tilt and axial adjustmen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62D1/185—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adjustable by axial displacement, e.g. telescopically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00—Shafts; Axles; Cranks; Eccentrics
- F16C3/02—Shafts; Axles
- F16C3/03—Shafts; Axles telescopic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02—Shaft arrangements; Shaft supports, e.g. bea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조향컬럼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의하면 조향컬럼의 틸트 작동시 조향축과 틸트 브라켓의 중심이 맞지 않고 어느 한쪽으로 편심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게 된다.
또한, 운전자가 조향축의 각도를 조정하기 위해 조향컬럼을 상,하로 틸트 작동시키고 고정시킨 후, 축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는 텔레스코프 작동을 하는 경우에 조향축의 편심으로 인해 텔세스코프 작동력이 증대되거나 걸림감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게 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ering column of an automobile, 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ering shaft and the tilt bracket do not mate with each other during the tilting operation of the steering column, thereby preventing the steering column from being eccentric to either one.
Further, when the driver performs a telescopic operation in which the steering column is tilted upward and downward to adjust the angle of the steering shaft and then slides in the axial direction, the eccentricity of the steering shaft increases the telescopic operating force, There is an effect of preventing the occurrence of the problem.
Description
본 발명은 자동차의 조향컬럼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조향컬럼의 틸트 작동시 조향축과 틸트 브라켓의 중심이 맞지 않고 어느 한쪽으로 편심되는 현상을 방지하고, 특히, 운전자가 조향축의 각도를 조정하기 위해 조향컬럼을 상,하로 틸트 작동시키고 고정시킨 후, 축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는 텔레스코프 작동을 하는 경우에 조향축의 편심으로 인해 텔세스코프 작동력이 증대되거나 걸림감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자동차의 조향컬럼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ering column of an automobile.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ering angle control apparatus for a steering column, which prevents the steering shaft from tilting to the center of the tilt bracket during a tilting operation of the steering colum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ering column of an automobile capable of preventing an increase in a telescopic operating force or a feeling of a latch due to an eccentricity of a steering shaft when a telescopic operation is performed so as to slide in an axial direction after being fixed.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조향컬럼은 운전자의 편의를 위하여 조향컬럼에 텔레스코프(Telescope) 기능 또는 틸트(Tilt) 기능과 같은 편의 기능을 추가할 수 있는데, 틸트 장치는 조향휠의 고정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장치이고, 텔레스코프 장치는 축 방향으로 신장 및 수축이 가능하도록 두 개의 중공 관을 삽입하여 형성한 것으로 자동차의 충돌시 조향축 및 조향컬럼이 컬랩스(Collapse)되면서 충격 에너지를 흡수하는 기능도 갖는다. Generally, a steering column of an automobile can add a convenience function such as a telescope function or a tilt function to a steering column for the sake of convenience of the driver. The tilt device includes a device for adjusting a fixed angle of the steering wheel And the telescope device is formed by inserting two hollow tubes so as to extend and contract in the axial direction, and has a function of collapsing the steering shaft and the steering column when the vehicle collides, thereby absorbing the impact energy.
따라서 조향컬럼은 이러한 편의 기능이 없는 일반적인 조향컬럼과, 이러한 편의 기능에 따라 텔레스코프식 또는 틸트식 조향컬럼으로 구분되며, 사양에 따라서는 텔레스코프식 조향컬럼에 틸트 기능이 추가될 수 있는데, 최근에는 이러한 편의 기능이 조향컬럼에 기본적으로 추가되고 있는 실정이다.Accordingly, the steering column is divided into a general steering column having no such convenience function and a telescopic type or tilted type steering column according to the convenience function. Depending on the specification, a tilt function can be added to the telescopic type steering column. The convenience function is basically added to the steering column.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자동차의 조향컬럼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eering column of an automobile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틸트 앤 텔레스코프 조향컬럼(100)은 조향축(101)을 둘러싸되 상대적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이너 튜브(103) 및 아우터 튜브(105), 틸트 앤 텔레스코프 조향컬럼(100)을 차체에 고정시키기 위한 마운팅 브라켓(107) 및 하부 브라켓(160), 마운팅 브라켓(107)과 일체로 형성되는 틸트 브라켓(130), 틸트 브라켓(130)과 조절볼트(140)로 결합되는 디스턴스 브라켓(1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 1, a tilt-and-
조향축(101)은 상단이 조향휠(미도시)에 연결되어 있으며 운전자가 조향휠을 조작함으로써 발생한 회전력을 하단의 랙-피니언 기구부(미도시)에 전달한다.The
이너 튜브(103)는 직경이 일정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조향축(101)의 하단을 둘러싼다.The
하부 브라켓(160)은 이너 튜브(103)의 하단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는데, 하부 브라켓(160)을 자동차의 차체에 고정함으로써 이너 튜브(103)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The
아우터 튜브(105)는 이너 튜브(103)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가져서 아우터 튜브(105)가 이너 튜브(103)의 외주면을 따라 축 방향으로 슬라이딩 운동한다. 즉, 텔레스코프 작동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아우터 튜브(105)는 조향축(101)의 중간부를 둘러싼다.The
아우터 튜브(105)의 내주면과 이너 튜브(103)의 외주면 사이에는 텔레스코픽 부쉬(미도시)가 구비되어 있어서 텔레스코프 작동시 아우터 튜브(105) 및 이너 튜브(103) 사이에 일정한 마찰력을 제공한다.A telescopic bush (not shown) is provided betwee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마운팅 브라켓(107)에는 틸트 브라켓(130)과 디스턴스 브라켓(120)이 일체로 형성되고 양단에는 캡슐(110)이 형성되어 아우터 튜브(105)를 차체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The
틸트 브라켓(130)의 측면에는 틸트 장공(150)이 형성되어 있어서 운전자의 조작에 따라 틸트 작동이 가능하게 된다.A tilt
그리고, 틸트 작동을 위해 틸트 레버(109)를 해제할 때 순간적으로 아우터 튜브(105)가 급격하게 하측으로 떨어지면서 소음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틸트 스프링(115)이 마운팅 브라켓(107)과 디스턴스 브라켓(120)에 설치되어 있다.When the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조향컬럼(100)은 틸트 스프링(115)이 어느 한쪽에 치우친 위치에서 탄성력을 발생하기 때문에 조향축(101)과 틸트 브라켓(130)의 중심이 맞지 않고 어느 한쪽으로 편심되는 현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since the
특히, 운전자가 조향축(101)의 각도를 조정하기 위해 아우터 튜브(105)를 상,하로 틸트 작동시키고 고정시킨 후, 텔레스코프 작동을 하는 경우에 조향축(101)의 편심으로 인해 아우터 튜브(105)를 축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는 텔세스코프 작동력이 증대되거나 걸림감이 발생되어 운전자에게 불편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Particularly, when the driver tilts the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에서 안출된 것으로서, 조향컬럼의 틸트 작동시 조향축과 틸트 브라켓의 중심이 맞지 않고 어느 한쪽으로 편심되는 현상을 방지하고, 특히, 운전자가 조향축의 각도를 조정하기 위해 조향컬럼을 상,하로 틸트 작동시키고 고정시킨 후, 축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는 텔레스코프 작동을 하는 경우에 조향축의 편심으로 인해 텔세스코프 작동력이 증대되거나 걸림감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background,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event the steering shaft from tilting to the center of the tilt bracket during the tilting operation of the steering column,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an increase in the operating force of the telescope due to the eccentricity of the steering shaft when the telescopic operation is performed so that the telescopic operation is performed in the axial and tilt directions.
본 발명은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이너 튜브가 삽입되며 외주면에서 연장되어 경방향으로 서로 대향되도록 형성되는 한쌍의 가이드부가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부에는 축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텔레스홀이 구비되어 있는 아우터 튜브; 상기 가이드부의 외측에 결합되며 상기 아우터 튜브를 상하로 안내하는 틸트 슬롯이 형성되어 있는 틸트 브라켓; 상기 틸트 슬롯과 텔레스홀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틸트 볼트; 고정부는 양단이 틸트 브라켓의 양측 내면에 결합되고 지지부는 상기 틸트 볼트가 관통하는 관통홀이 구비되어 있는 탄성지지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조향컬럼을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mentioned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pair of guide portions, which are inserted into the inner tube and extend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are opposed to each other in the radial direction, are provided, and the guide portion is provided with a telescopic hole Outer tube; A tilt bracket coupled to an outer side of the guide portion and having a tilt slot for guiding the outer tube up and down; A tilt bolt penetrating through the tilt slot and the telescopic hole; Wherein the fixing portion includes an elastic supporter having both ends coupled to inner surfaces of both sides of the tilt bracket and the support portion having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tilt bolt penetrates.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조향컬럼의 틸트 작동시 조향축과 틸트 브라켓의 중심이 맞지 않고 어느 한쪽으로 편심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enter of the steering shaft and the tilt bracket do not mate with each other during the tilting operation of the steering column, thereby preventing the eccentricity from being eccentric to either one.
또한, 운전자가 조향축의 각도를 조정하기 위해 조향컬럼을 상,하로 틸트 작동시키고 고정시킨 후, 축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는 텔레스코프 작동을 하는 경우에 조향축의 편심으로 인해 텔세스코프 작동력이 증대되거나 걸림감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게 된다.Further, when the driver performs a telescopic operation in which the steering column is tilted upward and downward to adjust the angle of the steering shaft and then slides in the axial direction, the eccentricity of the steering shaft increases the telescopic operating force, There is an effect of preventing the occurrence of the problem.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자동차의 조향컬럼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조향컬럼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단면도,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조향컬럼 중 탄성지지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eering column of an automobile according to the prior art,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eering column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sectional view of Fig. 2,
4 and 5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n elastic support of a steering column of an automob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emplary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drawings,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symbols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intended to distinguish the constituent elements from other constituent elements, and the terms do not limit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nstituent elements.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an element may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조향컬럼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단면도,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조향컬럼 중 탄성지지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eering column of an automob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sectional view of FIG. 2, and FIGS. 4 and 5 are views showing an elastic support of a steering column of an automob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perspective view.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조향 컬럼은 이너 튜브(207)가 삽입되며 외주면에서 연장되어 경방향으로 서로 대향되도록 형성되는 한쌍의 가이드부(203a)가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부(203a)에는 축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텔레스홀(203b)이 구비되어 있는 아우터 튜브(203); 상기 가이드부(203a)의 외측에 결합되며 상기 아우터 튜브(203)를 상하로 안내하는 틸트 슬롯(215)이 형성되어 있는 틸트 브라켓(213); 상기 틸트 슬롯(215)과 텔레스홀(203b)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틸트 볼트(211); 고정부(220a)의 양단이 틸트 브라켓(213)의 양측 내면에 결합되고 지지부(220b)에는 상기 틸트 볼트(211)가 관통하는 관통홀(220c)이 구비되어 있는 탄성지지체(2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these drawings, a steering column of an automob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pair of
이너 튜브(207)는 조향축(201)을 감싸는 중공 형상으로 하부 마운팅브라켓(미도시)과 상부 마운팅브라켓(205)을 매개로 차체에 고정되며, 틸트 기능 작동시에는 하부 마운팅브라켓에 구비된 힌지축(미도시)을 축으로 회전하게 되고, 텔레스코프 기능 작동시에는 아우터 튜브(203)가 이너 튜브(207)를 따라서 조향축(201)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되어 있다.The
이너 튜브(207)에 조향축(201) 방향으로 외삽되는 중공 형상의 아우터 튜브(203)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한쌍의 가이드부(203a)가 아우터 튜브(203)의 외주면에서 조향축(201)과 직각 방향으로 형성되며, 한쌍의 가이드부(203a)는 경방향으로 서로 대향되도록 형성된다.The hollow
아우터 튜브(203)의 가이드부(203a)에는 틸트 볼트(211)가 관통되어 텔레스코프 작동시 아우터 튜브(203)가 슬라이딩 되는 텔레스홀(203b)이 조향축(201)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A
이러한 가이드부(203a)의 외측에는 틸트 브라켓(213)이 결합되는데, 틸트 브라켓(213)에는 아우터 튜브(203)를 상하로 안내하는 틸트 슬롯(215)이 형성되어 있고 틸트 슬롯(215)과 텔레스홀(203b)을 관통하는 틸트 볼트(211)와 조정 레버(209)에 의해 구속되어, 조정 레버(209)의 조작시 조향컬럼의 틸트 또는 텔레스코프 기능을 가능하게 한다.A
한편, 틸트 브라켓(213)과 틸트 볼트(211)에는 탄성지지체(220)가 결합되어 틸트 작동시 조향컬럼이 어느 한쪽으로 편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탄성지지체(220)의 고정부(220a)의 양단이 틸트 브라켓(213)의 양측 내면에 결합되고 지지부(220b)에는 틸트 볼트(211)가 관통하는 관통홀(220c)이 구비되어 있다.The
이러한 탄성지지체(220)는 내후성과 신축성 등을 구비하도록 NR(Natural Rubber), NBR(Nitrile Butadiene Rubber), CR(Chloroprene Rubber), EPDM(Ethylene Propylene Terpolymer), FPM(Fluoro Rubber), SBR(Styrene Butadine Rubber), CSM(Chlorosulphonated Polyethylene), 우레탄, 실리콘 등과 같은 탄성재질로 형성된다.Such an
그리고, 탄성지지체(220)의 고정부(220a)는 양끝단이 조향축(201)과 동일한 거리에 위치되게 형성되어 틸트 브라켓(213)에 결합되며, 탄성지지체(220)의 고정부(220a)가 틸트 볼트(211)와 평행한 방향으로 틸트 브라켓(213)에 결합된다.The fixed
따라서, 아우터 튜브(203)가 틸트 볼트(211)에 의해 틸트 브라켓(213)의 틸트 슬롯(215)을 따라서 상하로 움직일 때 탄성지지체(220)의 고정부(220a)와 지지부(220b)에 가해지는 하중이 균등하게 전달되고, 이로 인해 아우터 튜브(203)의 가이드부(203a)가 틸트 브라켓(213)의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며 편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Therefore, when the
이러한 탄성 지지체는 고정부(220a)의 양단을 틸트 브라켓(213)에 가류 접착하거나 본딩 등의 방법으로 결합되며, 이에 한하지 않고 틸트 브라켓(213)의 대향되는 내측면에 요홈(미도시)을 형성하고 고정부(220a)의 양단에 돌기(미도시)를 형성하여 끼워 넣는 구조로 결합할 수도 있다.The resilient supporter is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그리고, 탄성지지체(220)의 지지부(220b)는 고정부(220a)의 중심에서 연장 형성되거나, 고정부(220a)의 중심과 연결되어 형성되는데, 탄성지지체(220)의 지지부(220b)는 둘 이상이 형성될 수 있고 이 경우 각각의 지지부(220b)에 구비된 관통홀(220c)이 가이드부(203a)의 내측면으로부터 수직한 방향으로 서로 동일한 거리에 위치되게 형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일례로 지지부(220b)가 두개 형성된 것을 도시하였다.The supporting
또한,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탄성지지체(220)의 지지부(220b)가 고정부(220a)의 중심으로부터 분기되어 가이드부(203a) 양쪽을 향해 벌어지며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한 쌍으로 형성되거나,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탄성지지체(220)의 지지부(220b)가 둘 이상이 형성되되, 각각의 지지부(220b)가 고정부(220a)의 양끝단으로부터 서로 동일한 거리의 위치에서 수직으로 형성될 수 있다.4, the
따라서, 조향컬럼의 틸트 작동시 아우터 튜브(203)가 틸트 볼트(211)에 의해 틸트 브라켓(213)의 틸트 슬롯(215)을 따라서 상하로 움직일 때 탄성지지체(220)의 고정부(220a)와 지지부(220b)에 가해지는 하중이 균등하게 전달됨으로써 아우터 튜브(203)가 조향축(201)과 소정의 각도로 좌우로 치우치면서 편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Therefore, when the
그리고, 조향컬럼의 아우터 튜브(203)가 틸트 브라켓(213)과 편심되지 않게 됨으로써, 운전자의 텔레스코프 작동시 아우터 튜브(203)가 조향축(201)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작동력이 증대되지 않고 걸림감이 없어지게 된다.Since the
탄성지지체(220)는 조향컬럼의 틸트 작동시 지지부(220b)가 압축과 팽창을 하는 탄성 변형을 하게 된다.The
이때 탄성지지체(220)는 주로 지지부(220b)가 길이 방향으로 압축, 팽창하게 되는데, 도 4와 같이 탄성지지체(220)의 지지부(220b)가 가이드부(203a) 양쪽을 향해 벌어지는 형상을 갖게 되면 길이 방향의 탄성 변형뿐만 아니라 지지부(220b)의 폭이 좁아지거나 넓어지는 탄성 변형도 이루어지게 되어 보다 효율적인 탄성 변형을 이룰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the
이와 같은 탄성지지체(220)는 지지부(220b)의 형상이 다양한 실시예를 가질 수 있으며, 또한 고정부(220a)에 해당되는 탄성지지체(220)의 일단이 틸트 브라켓(213)의 양측에 틸트 볼트(211)와 평행한 방향으로 고정되고, 지지부(220b)에 해당되는 탄성지지체(220)의 타단이 틸트 볼트(211)에 결합되는 구조를 구비하고 있다. The
이와 같은 구조와 형상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하면 조향컬럼의 틸트 작동시 조향축과 틸트 브라켓의 중심이 맞지 않고 어느 한쪽으로 편심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and shape, the steering shaft and the tilt bracket do not mate with each other during the tilting operation of the steering column, thereby preventing the steering shaft from being eccentric to one side.
또한, 운전자가 조향축의 각도를 조정하기 위해 조향컬럼을 상,하로 틸트 작동시키고 고정시킨 후, 축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는 텔레스코프 작동을 하는 경우에 조향축의 편심으로 인해 텔세스코프 작동력이 증대되거나 걸림감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게 된다.Further, when the driver performs a telescopic operation in which the steering column is tilted upward and downward to adjust the angle of the steering shaft and then slides in the axial direction, the eccentricity of the steering shaft increases the telescopic operating force, There is an effect of preventing the occurrence of the problem.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the most practical and preferred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That i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of the components may be selectively coupled to one or more of them.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It is also to be understood that the terms such as " comprises, "" comprising," or "having ", as used herein, mean that a component can be implanted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But should be construed as including other elements.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Commonly used terms, such as predefined terms, should be interpreted to be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s of the related art, and are not to be construed as ideal or overly formal, unless expressly defined to the contrary.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foregoing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illustrate rather than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shall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201: 조향축 203: 아우터 튜브
203a: 가이드부 203b: 텔레스홀
205: 상부 마운팅브라켓 207: 이너 튜브
209: 조정 레버 211: 틸트 볼트
213: 틸트 브라켓 215: 틸트 슬롯
220: 탄성지지체 220a: 고정부
220b: 지지부 220c: 관통홀201: steering shaft 203: outer tube
203a: guide
205: upper mounting bracket 207: inner tube
209: Control lever 211: Tilt bolt
213: tilt bracket 215: tilt slot
220:
220b:
Claims (7)
상기 가이드부의 외측에 결합되며 상기 아우터 튜브를 상하로 안내하는 틸트 슬롯이 형성되어 있는 틸트 브라켓;
상기 틸트 슬롯과 텔레스홀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틸트 볼트;
고정부의 양단이 틸트 브라켓의 양측 내면에 결합되고 지지부에는 상기 틸트 볼트가 관통하는 관통홀이 구비되어 있는 탄성지지체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지지체의 지지부는 둘 이상이 형성되되, 각각의 지지부에 구비된 관통홀이 상기 가이드부의 내측면으로부터 수직한 방향으로 서로 동일한 거리에 위치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조향컬럼.An outer tube having a pair of guide portions extending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facing each other in the radial direction and having a telescopic hole formed in the axial direction;
A tilt bracket coupled to an outer side of the guide portion and having a tilt slot for guiding the outer tube up and down;
A tilt bolt penetrating through the tilt slot and the telescopic hole;
And an elastic supporter having both ends of the fixing part coupled to inner surfaces of both sides of the tilt bracket and having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tilt bolt penetrates,
Wherein at least two support portions of the elastic supporter are formed such that the through holes provided in the respective support portions are positioned at the same distance from each other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inner surface of the guide portion.
상기 가이드부의 외측에 결합되며 상기 아우터 튜브를 상하로 안내하는 틸트 슬롯이 형성되어 있는 틸트 브라켓;
상기 틸트 슬롯과 텔레스홀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틸트 볼트;
고정부의 양단이 틸트 브라켓의 양측 내면에 결합되고 지지부에는 상기 틸트 볼트가 관통하는 관통홀이 구비되어 있는 탄성지지체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지지체의 지지부는 상기 고정부의 중심으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가이드부 양쪽으로 벌어지며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한 쌍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조향컬럼.An outer tube having a pair of guide portions extending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facing each other in the radial direction and having a telescopic hole formed in the axial direction;
A tilt bracket coupled to an outer side of the guide portion and having a tilt slot for guiding the outer tube up and down;
A tilt bolt penetrating through the tilt slot and the telescopic hole;
And an elastic supporter having both ends of the fixing part coupled to inner surfaces of both sides of the tilt bracket and having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tilt bolt penetrates,
Wherein the support portion of the elastic supporter is formed as a pair at a position that is branched from the center of the fixed portion and spreads to both sides of the guide portion and is symmetrical to each other.
상기 가이드부의 외측에 결합되며 상기 아우터 튜브를 상하로 안내하는 틸트 슬롯이 형성되어 있는 틸트 브라켓;
상기 틸트 슬롯과 텔레스홀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틸트 볼트;
고정부의 양단이 틸트 브라켓의 양측 내면에 결합되고 지지부에는 상기 틸트 볼트가 관통하는 관통홀이 구비되어 있는 탄성지지체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지지체의 지지부는 둘 이상이 형성되되, 각각의 지지부가 상기 고정부의 양끝단으로부터 서로 동일한 거리의 위치에서 수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조향컬럼.An outer tube having a pair of guide portions extending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facing each other in the radial direction and having a telescopic hole formed in the axial direction;
A tilt bracket coupled to an outer side of the guide portion and having a tilt slot for guiding the outer tube up and down;
A tilt bolt penetrating through the tilt slot and the telescopic hole;
And an elastic supporter having both ends of the fixing part coupled to inner surfaces of both sides of the tilt bracket and having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tilt bolt penetrates,
Wherein at least two support portions of the elastic supporter are formed, and each of the support portions is vertically formed at a position at the same distance from both ends of the fixed portion.
상기 탄성지지체의 고정부는 양끝단이 조향축과 동일한 거리에 위치되게 형성되어 상기 틸트 브라켓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조향컬럼.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fixing portion of the elastic supporter is formed so that both ends thereof are positioned at the same distance as the steering axis and are coupled to the tilt bracket.
상기 탄성지지체의 고정부는 상기 틸트 볼트와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틸트 브라켓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조향컬럼.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fixing portion of the elastic supporter is form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tilt bolt and is coupled to the tilt bracket.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85865A KR101421342B1 (en) | 2012-08-06 | 2012-08-06 | Steering Column for Vehic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85865A KR101421342B1 (en) | 2012-08-06 | 2012-08-06 | Steering Column for Vehicl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19584A KR20140019584A (en) | 2014-02-17 |
KR101421342B1 true KR101421342B1 (en) | 2014-07-21 |
Family
ID=502669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85865A Active KR101421342B1 (en) | 2012-08-06 | 2012-08-06 | Steering Column for Vehicl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21342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728273B1 (en) * | 2018-12-14 | 2024-11-11 | 에이치엘만도 주식회사 | Steering Column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34876B1 (en) | 1999-09-30 | 2002-05-02 | 정주호 | Lock/unlock device of steering colum for vehicle |
KR20020048442A (en) * | 2000-12-14 | 2002-06-24 | 배길훈 | Rotation prevention structure of braket for fixing rake |
KR20110004943A (en) * | 2009-07-09 | 2011-01-17 | 주식회사 만도 | Steering column of car |
KR101170454B1 (en) | 2008-06-03 | 2012-08-07 | 한국델파이주식회사 | Apparatus for adjusting of steering column of vehicle |
-
2012
- 2012-08-06 KR KR1020120085865A patent/KR101421342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34876B1 (en) | 1999-09-30 | 2002-05-02 | 정주호 | Lock/unlock device of steering colum for vehicle |
KR20020048442A (en) * | 2000-12-14 | 2002-06-24 | 배길훈 | Rotation prevention structure of braket for fixing rake |
KR101170454B1 (en) | 2008-06-03 | 2012-08-07 | 한국델파이주식회사 | Apparatus for adjusting of steering column of vehicle |
KR20110004943A (en) * | 2009-07-09 | 2011-01-17 | 주식회사 만도 | Steering column of ca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19584A (en) | 2014-02-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997602B2 (en) | Position adjustable steering device | |
US7490855B2 (en) | Shock-absorption steering device | |
EP2923922B1 (en) | Steering Device | |
US20140290424A1 (en) | Telescopic device of steering column for vehicle | |
US10875568B2 (en) | Steering column for vehicle | |
US11999406B2 (en) | Steering column for vehicle | |
KR20130027122A (en) | Steering column for vehicle and steering apparatus for vehicle having the same | |
KR101795442B1 (en) | Steering column assembly for a car | |
US10654512B2 (en) | Steering device | |
KR101421342B1 (en) | Steering Column for Vehicle | |
KR101615224B1 (en) | Steering column assembly for car | |
KR20160070198A (en) | Steering column for vehicle | |
KR20080084357A (en) | Shock Absorber Steering | |
JP6710984B2 (en) | Steering wheel position adjustment device | |
KR101267712B1 (en) | Steering Column for Vehicle | |
US11027766B2 (en) | Steering apparatus | |
KR101955431B1 (en) | Steering column | |
KR20190012401A (en) | Telescopic bush of steering column for vehicle | |
KR102167920B1 (en) | Steering column for vehicle | |
KR101992714B1 (en) | Steering column apparatus of vehicle | |
KR101991752B1 (en) | Shock absorber type steering column for a vehicle | |
JP2017132323A (en) | Position adjustment device for steering wheel | |
JP6481374B2 (en) | Energy absorbing steering column | |
KR20130107736A (en) | Steering column for vehicle | |
JP6406020B2 (en) | Steering wheel position adjustment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806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2120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2080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1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71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7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407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622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62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626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62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61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62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62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624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