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0370B1 - Computer device having projector - Google Patents
Computer device having projecto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20370B1 KR101420370B1 KR1020120059990A KR20120059990A KR101420370B1 KR 101420370 B1 KR101420370 B1 KR 101420370B1 KR 1020120059990 A KR1020120059990 A KR 1020120059990A KR 20120059990 A KR20120059990 A KR 20120059990A KR 101420370 B1 KR101420370 B1 KR 10142037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mputer
- projector
- interface module
- virtual
- virtual interfac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5—Projectors using an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 but not peculiar thereto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2—External expansion units, e.g. docking st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39—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based on projection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02—Specific input/output arrangements not covered by G06F3/01 - G06F3/16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로젝터를 구비한 일체형 컴퓨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빔 프로젝터와 컴퓨터를 일체화시키고, 입력장치는 가상으로 생성하는 발명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디지털 마이크로미러 디바이스 칩이 내장되어 입력된 디지털 신호에 상응하는 영상을 비추는 탈부착 형 프로젝터(110)와 프로젝터(110)에 디지털 신호를 출력하는 컴퓨터(120)를 포함하는 본체(100); 및 광원을 조사하여 컴퓨터(120)의 가상 입력장치를 제공하는 탈부착 형 가상 인터페이스 모듈(2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를 구비한 일체형 컴퓨터 장치가 개시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egrated computer apparatus having a projec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nvention in which a beam projector and a computer are integrated and an input device is virtually created. A main body 100 including a removable projector 110 having a built-in digital micromirror device chip for illuminating an image corresponding to an inputted digital signal and a computer 120 for outputting a digital signal to the projector 110; And a removable virtual interface module (200) for providing a virtual input device of the computer (120) by illuminating a light source.
Description
본 발명은 프로젝터를 구비한 일체형 컴퓨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빔 프로젝터와 컴퓨터를 일체화시키고, 입력장치는 가상으로 생성하는 발명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egrated computer apparatus having a projec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nvention in which a beam projector and a computer are integrated and an input device is virtually created.
최근들어 디지털 기술의 눈부신 발달로 빔 프로젝터의 소형화가 이루어지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발맞추어 다양한 프로젝터가 출시되고 있으며 특히 디지털 마이크로미러 디바이스(digital micromirror device) 칩이 내장된 디지털 라이트 프로세싱(digital light processing)에 의한 빔 프로젝터가 개발되고 있으나 어디까지나 단독 모듈로서의 기술에 불과한 문제점이 있었다.
Recently, miniaturization of the beam projector is progressing due to the remarkabl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Various projectors have been introduced to meet this demand. In particular, a beam projector based on digital light processing, in which a digital micromirror device chip is incorporated, has been developed, but it has been a problem only in technology as a single module .
또한, 종래의 컴퓨터는 입력장치, 예를들어 키보드 또는 마우스로 인해 공간 낭비 및 보관의 불편한 점이 있으며, 컴퓨터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모니터의 연결이 필수적이다. 특히, 노트북의 경우에는 규격화된 키보드 및 모니터의 크기로 인해 더 이상 소형화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computer is inconvenient for wasting and storing space due to an input device, for example, a keyboard or a mouse, and connection of a monitor is essential for using a computer. Particularly, in the case of a notebook, there is a problem that it can no longer be downsized due to the size of a standardized keyboard and a monitor.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컴퓨터와 탈부착형 빔 프로젝터를 일체화 시키고 컴퓨터 입력장치를 레이저 조사에 의해 가상으로 생성함으로써 휴대성과 범용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발명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nvention capable of maximizing portability and versatility by integrating a computer and a detachable beam projector and generating a computer input device by virtue of laser irradiation It has its purpose.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However, 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디지털 마이크로미러 디바이스 칩이 내장되어 입력된 디지털 신호에 상응하는 영상을 비추는 탈부착 형 프로젝터(110)와 프로젝터(110)에 디지털 신호를 출력하는 컴퓨터(120)를 포함하는 본체(100); 및 광원을 조사하여 컴퓨터(120)의 가상 입력장치를 제공하는 탈부착 형 가상 인터페이스 모듈(2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를 구비한 일체형 컴퓨터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chieved by a digital still camera including a
또한, 영상이 비추어지는 대상체와의 거리를 측정하는 센서에 의해 자동으로 거리가 측정되어 비추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distance is automatically measured and illuminated by a sensor that measures the distance to an object to which the image is projected.
또한, 프로젝터(110)는, 디지털 신호를 외부 컴퓨터(10)로부터 입력받아 디지털 신호에 상응하는 영상을 비추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또한, 컴퓨터(120)는, 디지털 신호를 외부 모니터(20)에 출력함으로써 디지털 신호에 상응하는 영상이 재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또한, 가상 인터페이스 모듈(200)은, 본체(100)의 후면에 구비된 도킹 스테이션(160)에 도킹됨으로써 충전되거나 또는 컴퓨터(12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또한, 가상 입력장치는, 가상 인터페이스 모듈(200)에서 조사되는 광원에 의해 생성되는 가상 키보드 또는 가상 마우스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virtual input device is a virtual keyboard or a virtual mouse generated by a light source irradiated by the
또한, 가상 키보드 또는 가상 마우스의 입력인식은 센서(220)에 의해 감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input recognition of the virtual keyboard or the virtual mouse is characterized by being sensed by the sensor (220).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컴퓨터와 탈부착형 빔 프로젝터를 일체화시킴으로써 휴대성과 범용성을 극대화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computer and the detachable beam projector are integrated, thereby maximizing the portability and versatility.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빔이 조사될 수 있는 장소이면 어디든지 간편하게 컴퓨터에 의한 영상의 재생이 가능해 종래의 컴퓨터에 비해 상당히 편리한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reproduce an image by a computer anywhere a beam can be irradiated, which is considerably convenient compared to a conventional computer.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입력장치인 마우스와 키보드를 가상으로 생성함으로써 편리성과 휴대성을 극대화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maximize convenience and portability by virtually creating a mouse and a keyboard as input devices.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빔 프로젝터의 탈착이 용이하여 외부 컴퓨터와 인터페이스에 의한 영상을 재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attach and detach a beam projector, thereby reproducing an image by an interface with an external computer.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 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터를 구비한 일체형 컴퓨터 장치의 전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터를 구비한 일체형 컴퓨터 장치의 후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상 인터페이스 모듈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구성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상 인터페이스 모듈의 사시도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are incorporated in and constitute a part of the specification, illustrat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nd, together with the description, serve to further the understanding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invention, It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1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n integrated computer apparatus having a proj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an integrated computer apparatus having a proj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virtual interface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configuration diagr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virtual interface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일실시예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내용을 부당하게 한정하지 않으며, 본 실시 형태에서 설명되는 구성 전체가 본 발명의 해결 수단으로서 필수적이라고는 할 수 없다.
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addition, the embodiment described below does not unduly limit the con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and the entire structure described in this embodiment is not necessarily essential as the solution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프로젝터를 구비한 일체형 컴퓨터 장치의 구성>≪ Configuration of Integrated Computer Device Including Projector >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터를 구비한 일체형 컴퓨터 장치는 대략 프로젝터(110)와 소형 컴퓨터(120)가 함께 탑재된 본체(100)와 본체 후면에 탈부착되는 가상 인터페이스 모듈(200)로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터를 구비한 일체형 컴퓨터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1, an integrated computer device having a proj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본체(100)는 프로젝터(110)와 소형 컴퓨터(120)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가상 인터페이스 모듈(200)이 도킹될 수 있는 도킹 스테이션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련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1, a
먼저, 프로젝터(110)는 입력된 디지털 신호를 이에 상응하는 영상신호로 확대하여 비춘다. 이때 탈부착 가능한 프로젝터(110)에는 디지털 라이트 프로세싱(digital light processing, 이하 DLP라 함) 보드가 사용된다. DLP 보드에는 디지털 마이크로미러 디바이스 칩(digital micromirror device chip, 이하 DMD라 함)이 내장되어 있다.
First, the
DMD는 표면에 극소의 거울을 무수히 배치한 칩으로 거울 하나가 화소(pixel) 하나에 대응되는 것으로 기존의 브라운관 방식이나 액정 방식, 플라스마 방식과 완전히 다른 투사 방식이다. 1픽셀에 14 ~ 16㎛의 초소형 거울이 신호에 따라 반사 각도를 조절하며 이미지를 구현한다. 거울과 거울 사이의 간격은 1㎛로 매우 촘촘하여 고선명 디지털 텔레비젼과 같은 대용량, 고화질에 고휘도의 동영상 처리에 사용된다.
A DMD is a chip in which a very small mirror is placed on the surface, and one mirror corresponds to one pixel, which is a completely different projection method than the conventional CRT method, liquid crystal method or plasma method. An ultra-small mirror of 14-16 μm per pixel implements the image by adjusting the angle of reflection according to the signal. The gap between the mirror and the mirror is very close to 1 μm, and is used for high-capacity, high-quality, high-brightness video processing such as a high-definition digital television.
프로젝터(110)의 전면에는 벽 또는 스크린에 영상신호를 비추는 렌즈(111)가 있으며, 또한 벽 또는 스크린과의 거리를 자동으로 측정하는 적외선 센서(113)가 있다. 컴퓨터(120)는 적외선 센서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아 자동 포커싱함으로써 프로젝터가 벽 또는 스크린에 최적의 해상도 및 크기로 빔이 조사되도록 한다.
On the front surface of the
프로젝터(110)는 탈부착형이므로 컴퓨터(120)와 부착되어 일체형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컴퓨터(120)로부터 영상신호에 상응하는 디지털 데이터를 입력받고, 휴대용으로 탈착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외부 컴퓨터로부터 영상신호에 상응한 디지털 데이터를 입력받을 수도 있다. 이때, 외부 컴퓨터로부터 디지털 데이터를 직접 입력받을 수 있도록 입출력 모듈(130)이 마련된다. 즉, HDMI 단자를 이용하여 외부 컴퓨터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When the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터(110)는 이동 및 휴대가 용이하도록 소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컴퓨터(120)와 일체형으로 제작된 본체(100)에서 탈착함으로써 외부 컴퓨터(10)와 용이하게 연결될 수 있으며, 외부 컴퓨터(10)에서 전송된 디지털 데이터에 상응하는 영상신호를 확대하여 빔을 조사할 수 있다.
In particular, the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120)는 일반적으로 널리 쓰이는 가정용 또는 사무용 컴퓨터의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로서 바람직하게는 소형으로 제작되어 프로젝터(110)와 일체형으로 사용된다.
The
컴퓨터(120)는 연산 또는 영상 정보 처리를 위하여 CPU(central processing unit), 메모리(RAM, SSD), 그래픽카드 등이 내장되어 있으며, 외부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모듈이 내장된다. 이때, 통신모듈은 인터넷을 위한 경우에는 인터넷 랜 단자가 될 수 있으며, 무선통신을 위하여는 일예로 와이파이, 블루투스 모듈이 될 수 있다.
The
컴퓨터(120)는 프로젝터(110)로 디지털 신호를 출력하지 않고 외부 모니터(20)로 디지털 신호를 출력하여 디지털 신호에 상응하는 영상을 재생할 수 있다. 외부 모니터로 신호를 출력하기 위해 외부 모니터와 연결될 수 있는 다양한 접속단자, 예를 들면 HDMI단자 또는 RGB 단자 등이 본체(100)에 구비된다. 이때, 외부 모니터는 LCD 디스플레이 또는 CRT 브라운관 등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될 수 있다.
The
한편, 사용자는 프로젝터(110) 또는 컴퓨터(120)의 기능을 리모콘(30)을 이용하여 제어하도록 할 수 있다. 본체(100)에는 리모콘의 작동을 감지하는 적외선 센서가 부착된다.
On the other hand, the user can control the functions of the
본 발명에 따른 가상 인터페이스 모듈(200)의 도킹 단자(230)는 본체의 도킹 단자(180)와 서로 결합되어 배터리(170)로부터 전원을 충전하는데 사용되거나, 또는 컴퓨터(120)와 데이터를 주고받는 단자이다. 가상 인터페이스 모듈(200)은 도킹 스테인션(160)에 도킹되거나 또는 외부에 탈착되어 사용할 수 있다. 외부로 탈착되어 사용되는 경우에는 와이파이 또는 블루투스 등의 통신모듈을 사용하여 본체와 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다.
The
가상 인터페이스 모듈(200)의 상부에 부착된 렌즈(21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일예로 레이저)을 조사하여 가상 키보드(300) 또는 가상 마우스(400)를 생성한다. 이때, 렌즈(210)는 컴퓨터(120)로부터 전송된 제어신호에 따라 조사되는 위치와 각도를 바꿀 수 있다. 렌즈(210) 하부에 장착된 센서(220)는 가상 키보드 또는 가상 마우스의 입력을 감지하거나 또는 사용자와의 거리를 감지하여 최적의 위치에 가상 마우스 또는 가상 키보드를 생성한다. 입력을 감지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어 가상 키보드의 특정 키의 눌림을 인식하는 것이며, 가상 마우스의 경우에는 마우스의 상하좌우 움직임 또는 마우스의 버튼 눌림을 인식한다.
The
본체(100)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기기와의 인터페이스 및 본체 전원을 온/오프할 수 있는 입출력 모듈(130)이 있다. 예를 들어 마우스와 키보드가 접속되는 USB단자, 엔터테인먼트를 위한 스피커 및 이어폰 단자가 있으며, 본체(100)의 전원을 온/오프할 수 있는 전원단자 등이 있다. 또한, 본체(100) 하단에는 본체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스크류식 고정장치(150)가 부착되어 있어서 사용자가 수동으로 스크린에 비추어지는 영상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4, the
본체 후면에는 상술한 가상 인터페이스 모듈(200)이 부착될 수 있도록 가상 인터페이스 모듈(200)의 형상에 상응하는 도킹 스테이션(160)이 마련되어 있다.
A
이상,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이 이것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다양한 변형 및 응용이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많은 변형이 가능한 것을 당업자는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 there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applications are possible. In other words,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understand that many vari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외부 컴퓨터
20 : 외부 모니터
30 : 리모콘
100 : 본체
110 : 프로젝터
111 : 렌즈
113 : 적외선 센서
120 : 컴퓨터
130 : 입출력 모듈
140 : 리모콘용 적외서 센서
150 : 스크류식 고정장치
160 : 도킹 스테이션
170 : 배터리
180 : 도킹 단자
200 : 가상 인터페이스 모듈
210 : 렌즈
220 : 센서
230 : 도킹 단자
300 : 가상 키보드
400 : 가상 마우스10: External computer
20: External monitor
30: Remote control
100:
110: Projector
111: lens
113: Infrared sensor
120: Computer
130: I / O module
140: Infrared sensor for remote control
150: Screw-type fixing device
160: Docking station
170: Battery
180: Docking terminal
200: virtual interface module
210: lens
220: Sensor
230: Docking terminal
300: Virtual keyboard
400: Virtual Mouse
Claims (7)
광원을 조사하여 컴퓨터(120)로의 입력을 위한 마우스 및 가상키보드를 제공하는 탈부착 형 가상 인터페이스 모듈(200);
상기 프로젝터(110)에서의 영상이 비추어지는 대상체와의 거리를 측정하여, 상기 컴퓨터(120)에 송신하여, 컴퓨터가 프로젝터의 자동 포커싱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제1센서; 그리고
상기 가상 인터페이스 모듈(200)에 설치되고, 상기 가상키보드 및 마우스의 입력을 감지하여 컴퓨터(120)에 전송하기 위한 제2센서(22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가상 인터페이스 모듈(200)은, 본체(100)의 후면에서 가상 인터페이스 모듈의 형상에 상응하도록 성형된 도킹 스테이션(160)에 도킹되어, 가상 인터페이스 모듈의 도킹단자(230)가 상기 본체의 도킹단자와 서로 결합되어 충전되거나 또는 상기 컴퓨터(12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상기 제2센서(220)는 사용자와의 거리를 감지하고, 감지된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가상 키보드 및 마우스의 생성 위치를 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를 구비한 일체형 컴퓨터 장치.
A main body 100 including a detachable projector 110 having a built-in digital micromirror device chip and illuminating an image corresponding to an inputted digital signal, and a computer 120 for outputting a digital signal to the projector 110;
A detachable virtual interface module 200 for providing a mouse and a virtual keyboard for input to the computer 120 by illuminating the light source;
A first sensor for measuring a distance to an object to which an image is projected on the projector 110 and transmitting the measured distance to the computer 120 so that the computer can control the automatic focusing of the projector; And
And a second sensor (220) installed in the virtual interface module (200) for sensing input of the virtual keyboard and mouse and transmitting the sensed input to the computer (120);
The virtual interface module 200 is docked to the docking station 160 shaped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virtual interface module on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so that the docking terminal 230 of the virtual interface module is connected to the docking terminal And transmits or receives data to or from the computer 120;
Wherein the second sensor (220) senses the distance to the user and determines a generation position of the virtual keyboard and the mouse based on the sensed distanc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59990A KR101420370B1 (en) | 2012-06-04 | 2012-06-04 | Computer device having projecto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59990A KR101420370B1 (en) | 2012-06-04 | 2012-06-04 | Computer device having projecto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136293A KR20130136293A (en) | 2013-12-12 |
KR101420370B1 true KR101420370B1 (en) | 2014-08-04 |
Family
ID=499831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59990A Active KR101420370B1 (en) | 2012-06-04 | 2012-06-04 | Computer device having projecto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20370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5152649A1 (en) * | 2014-04-02 | 2015-10-08 | 디에스글로벌 (주) | Portable device for providing multiple functions |
CN106959730A (en) * | 2016-01-11 | 2017-07-18 | 北京佳拓思科技有限公司 | PC all-in-ones |
WO2019117647A1 (en) * | 2017-12-15 | 2019-06-20 | 삼성전자 주식회사 | Mobile device for interacting with docking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
KR102160335B1 (en) * | 2018-07-23 | 2020-09-25 | 제이비시스템 주식회사 | Embedded computer |
KR20200070774A (en) | 2018-12-10 | 2020-06-18 | 박성수 | Laptop computer with beam projector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042400A (en) * | 2000-11-29 | 2002-06-05 | 뉴먼 에드워드 | Digital projection system for phones and personal digital assistants |
KR20030044914A (en) * | 2000-05-29 | 2003-06-09 | 브이케이비 인코포레이티드 | Virtual data entry device and method for input of alphanumeric and other data |
KR20080024302A (en) * | 2006-09-13 | 2008-03-18 | 에이치텔레콤(주) | Portable computer with projector |
KR20080077567A (en) * | 2007-02-20 | 2008-08-25 | (재)대구경북과학기술연구원 | Multimedia playback device that provides two projection images |
-
2012
- 2012-06-04 KR KR1020120059990A patent/KR101420370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44914A (en) * | 2000-05-29 | 2003-06-09 | 브이케이비 인코포레이티드 | Virtual data entry device and method for input of alphanumeric and other data |
KR20020042400A (en) * | 2000-11-29 | 2002-06-05 | 뉴먼 에드워드 | Digital projection system for phones and personal digital assistants |
KR20080024302A (en) * | 2006-09-13 | 2008-03-18 | 에이치텔레콤(주) | Portable computer with projector |
KR20080077567A (en) * | 2007-02-20 | 2008-08-25 | (재)대구경북과학기술연구원 | Multimedia playback device that provides two projection image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136293A (en) | 2013-12-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420370B1 (en) | Computer device having projector | |
US11323672B2 (en) | Control method for projector and projector | |
US11991484B2 (en) |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
EP3225903A1 (en) | Intelligent projection light bulb and interactive and intelligent projection method thereof | |
CN203399203U (en) | Multi-interface DLP minisized intelligent projector supporting Wifi | |
US9632400B2 (en) | Projector having an exterior enclosure and a receiver disposed in a swelling portion of the exterior enclosure | |
CN117795950A (en) | Electronic device and image processing method thereof | |
CN103929602A (en) | recordable display device | |
EP4403999A1 (en) | Electronic apparatus | |
JP2011227300A (en) | Projection type video display device | |
KR20230065509A (en) |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
TWI469459B (en) | Connection device and mobile projection device | |
KR20220126194A (en) |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EP4478702A1 (en) | Electronic device for projecting imag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 |
EP4492136A1 (en) |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slidable projector, and control method therefor | |
TW201407256A (en) | Portable interactive projection display system and its electronic device | |
CN215340661U (en) | Desktop formula eyeshield touch-control projector | |
CN204705805U (en) | Projector | |
US20240210810A1 (en) | Electronic device capable of projecting images | |
KR20240015494A (en) | Electronic apparatus for projecting an imag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
KR20230157217A (en) | Electronic apparatus comprising slidable projecto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
CN216310515U (en) | Combined multifunctional projector | |
EP4287615A1 (en) |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 |
KR20240028174A (en) |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
CN118235388A (en) |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60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12080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8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AMND | Amendment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402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3082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AMND | Amendment | ||
PX0901 | Re-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402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31021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
|
PX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40414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40331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402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31021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7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407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407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40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42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51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42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61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