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419358B1 - Overhead hoist system - Google Patents

Overhead hoist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9358B1
KR101419358B1 KR1020120152779A KR20120152779A KR101419358B1 KR 101419358 B1 KR101419358 B1 KR 101419358B1 KR 1020120152779 A KR1020120152779 A KR 1020120152779A KR 20120152779 A KR20120152779 A KR 20120152779A KR 101419358 B1 KR101419358 B1 KR 1014193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nching
unit
guide
rail
mov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277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084387A (en
Inventor
구성헌
배도목
조병길
이상봉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Priority to KR10201201527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9358B1/en
Publication of KR201400843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438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93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9358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33Overhead convey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3/00Other railway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0457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suspended load carr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5/00Mechanical convey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35/06Mechanical convey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prising a load-carrier moving along a path, e.g. a closed path, and adapted to be engaged by any one of a series of traction elements spaced along the pat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6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the wafers being stored in a carrier, involving loading and unloading
    • H01L21/67769Storage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Platform Screen Doors And Railroad Systems (AREA)

Abstract

반송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송시스템은, 복수의 주행레일과 복수의 주행레일을 상호 연결하는 분기 및 합류레일을 포함하되, 주행레일과 분기 및 합류레일이 연결되는 분기영역에 직진주행을 안내하는 직진분기가이드와 분기주행을 안내하는 커브분기가이드가 설치되는 레일시스템; 레일시스템의 주행레일에 주행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출발지부터 목적지까지 대상물을 반송하는 캐리어 유닛; 및 직진주행 및 분기주행 중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캐리어 유닛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는 복수의 분기롤러를 구비하며, 캐리어 유닛이 분기영역으로 진입될 때, 복수의 분기롤러 중 어느 하나가 직진분기가이드와 커브분기가이드 중 어느 하나에 접촉 지지되어 안내되는 분기롤러유닛을 포함한다.A transport system is disclosed. A convey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ranching and joining rails for interconnecting a plurality of running rails and a plurality of running rails, and is configured to guide a straight running to a branching area to which a running rail, A rail system in which a straight branch guide and a curve branch guide for guiding a branch run are installed; A carrier unit installed to be able to run on a running rail of a rail system and carrying an object from a starting point to a destination; And a plurality of branch rollers rotatably installed in the carrier unit so that any one of the straight running and the branch running is selectively performed, and the branching rollers are vertically moved. When the carrier unit enters the branching region, And a branching roller unit in which one of the branching roller unit and the curve branching guide is guided and supported by any one of the linear branching guide and the curve branching guide.

Description

반송시스템{OVERHEAD HOIST SYSTEM}{OVERHEAD HOIST SYSTEM}

본 발명은, 반송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천장에 설치된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반송대차에 의해 목적지까지 반송 대상물을 자동으로 운반할 수 있는 반송시스템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veyance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veyance system capable of automatically conveying a conveyance object to a destination by a conveyance truck moving along a rail provided on a ceiling.

OHS 또는 OHT(Overhead Hoist Shuttle OR Transport, 천장 대차시스템)은 이송할 소형 반송 대상물이 많은 대형병원, 반도체 및 평판 디스플레이 생산공장 등에 설치된다. 천장 대차시스템은 천장에 설치된 레일을 따라 주행하며 대상물을 운반하는 반송대차와, 반송대차의 주행을 안내하기 위한 레일을 갖는 궤도 등을 포함한다.OHS or OHT (Overhead Hoist Shuttle OR Transport) is installed in large hospitals, semiconductor and flat panel display manufacturing plants where there are many small carry objects to be transported. The ceiling trolley system includes a conveyance truck that runs along a rail installed on a ceiling and conveys an object, and a track having a rail for guiding the running of the conveyance truck.

일예로, 이러한 천장 대차시스템이 반도체 또는 디스플레이 평판패널 생산 라인에 설치된 경우, 크린룸 내의 천장공간을 이용해서 주행레일이 설치되는데, 주행레일 상에서 구동되는 반송대차는 반도체 웨이퍼, 기판, 마스크, 글라스, 카세트 등이 적재된 반송 대상물을 반송 포트들 사이에서 운반한다.For example, when such a ceiling trolley system is installed in a semiconductor or display flat panel production line, a traveling rail is installed using a ceiling space in a clean room. The transportation trolley driven on the traveling rail is a semiconductor wafer, a substrate, a mask, And the like are transported between the transporting ports.

주행레일은 지주 등에 의해 크린 룸의 천장 등으로부터 지지되며, 주행레일 본체와 급전레일로 이루어진다. 반송대차는 주행 구동부를 구비하여 주행레일 본체 내를 주행할 수 있고, 수전부에 의해 급전 레일로부터 신호를 수전하여 통신한다.The running rail is supported by a support or the like from a ceiling of a clean room, and is made up of a running rail body and a feed rail. The conveying bogie includes a traveling driving unit, which can travel within the traveling rail main body, and receives a signal from the power feeding rail by the power receiving unit.

천장 대차시스템은, 상호 이격된 주행레일 사이에서 대차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이격되어 있는 주행레일들을 연결하는 분기 및 합류레일을 갖는데, 이러한 주행레일들을 연결할 수 있는 분기 및 합류레일에는 대차가 분기되는 분기구간과 대차가 합류되는 합류구간이 존재한다.The ceiling trolley system has branching and joining rails connecting the running rail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so as to allow movement of the brakes between mutually spaced running rails. The branching and joining rails to which these running rails can be connected are provided with branches There is a confluence section where the section and the bogie are merged.

이러한 대차는 분기구간과 합류구간에서 분기레일을 따른 주행을 선택할 수 있는 분기롤러를 갖는데, 기존의 대차는 분기롤러의 위치전환이 신속하지 못하여 분기레일로의 진입이 지체될 수 있으며, 주행레일로부터 분기레일로 분기롤러의 방향전환작용이 매끄럽지 못하고 분기롤러의 위치오차에 따라 분기롤러에 충격이 가해져 고장을 일으킬 수 있으며, 대차의 분기주행에 따른 에러로 인해 신속한 물류 반송에 대한 신뢰성을 떨어뜨릴 수 있는 문제점들이 제기되었다.Such a bogie has a branching roller which can select a traveling along a branching rail in a branching section and a merging section. In the conventional bogie, the position of the branching roller can not be changed quickly and the entry into the branching rail may be delayed. The branching roller can not smoothly change the direction of the branching roller, and the branching roller may be impacted due to the position error of the branching roller, which may cause a failure, and the reliability of the rapid transportation of the logistics can be degraded Problems were raised.

대한민국특허청 공개특허 제10-2009-0023139 호Korean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10-2009-0023139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주행레일로부터 분기레일로 대차를 주행시키는 분기롤러의 위치전환 및 대차의 방향전환작용이 신속하고 매끄럽게 이루어짐으로써 대차의 분기레일을 따른 분기주행이 신속하고, 분기주행에 따른 고장을 일으키지 않아 물류 반송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반송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ailway truck which is capable of quickly and smoothly performing a position change and a braking direction switching action of a branching roller for traveling a bogie from a running rail to a branch rail, And to provide a transportation system capable of improving reliability in transportation of goods without causing a failure due to branch travel.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복수의 주행레일과 상기 복수의 주행레일을 상호 연결하는 분기 및 합류레일을 포함하되, 상기 주행레일과 상기 분기 및 합류레일이 연결되는 분기영역에 직진주행을 안내하는 직진분기가이드와 분기주행을 안내하는 커브분기가이드가 설치되는 레일시스템; 상기 레일시스템의 주행레일에 주행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출발지부터 목적지까지 대상물을 반송하는 캐리어 유닛; 및 상기 직진주행 및 상기 분기주행 중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상기 캐리어 유닛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는 복수의 분기롤러를 구비하며, 상기 캐리어 유닛이 상기 분기영역으로 진입될 때, 상기 복수의 분기롤러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직진분기가이드와 상기 커브분기가이드 중 어느 하나에 접촉 지지되어 안내되는 분기롤러유닛을 포함하는 반송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railway vehicle comprising: a plurality of running rails; and a branching and joining rails interconnecting the plurality of running rails, wherein the driving rails and the branching and joining rails A rail system in which a straight branching guide and a curve branching guide for guiding a branching run are installed; A carrier unit installed to be able to run on a running rail of the rail system and to transport an object from a starting point to a destination; And a plurality of branch rollers rotatably installed in the carrier unit so as to selectively perform one of the straight traveling and the branched traveling, and when the carrier unit enters the branching region, And a branching roller unit in which any one of the plurality of branching rollers is guided while being held in contact with any one of the rectilinear branching guide and the curve branching guide.

상기 복수의 분기롤러는, 회전운동에 의해 상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직진분기가이드 및 상기 커브분기가이드 중 어느 하나에 접촉 지지되도록, 상호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branching rollers may be arranged so as to be inclined such that they are moved upward by rotational movement and contacted with any one of the straight branching guide and the curve branching guide.

상기 분기롤러유닛은, 상기 캐리어 유닛 상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일단부와 타단부의 상면부가 상호 경사지게 마련되는 시소부; 및 상기 캐리어 유닛의 주행방향에 교차하는 폭 방향으로 설치되되, 상기 시소부의 회전범위를 제한하고, 상기 시소부를 복귀시킬 수 있는 분기접촉 이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branching roller unit is rotatably mounted on the carrier unit, the top end of the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branching roller unit being inclined with respect to each other; And a branch contact moving unit installed in a width direction intersecting the running direction of the carrier unit and restricting the rotation range of the seesaw unit and returning the seesaw unit.

상기 시소부는, 상기 분기롤러가 설치되는 시소부재; 상기 시소부재의 중앙부에 설치되어 상기 시소부재의 회전을 제공하는 회전힌지; 및 상기 회전힌지에 설치되되, 상기 시소부재의 회전 시에 상기 분기접촉 이동부에 접촉되는 센터복귀 접촉부를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seesection comprises: a seesection member provided with the branching rollers; A rotation hinge provided at a central portion of the seesick member to provide rotation of the seesaw member; And a center return contact portion provided on the rotary hinge and contacting the branch contact moving portion when the seesection member is rotated.

상기 분기접촉 이동부는, 상기 캐리어 유닛 상에서 상기 주행레일의 폭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센터복귀 접촉부에 접촉되는 복귀이동블록; 상기 복귀이동블록이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환봉; 및 상기 캐리어 유닛 상에 설치되어 상기 복귀이동블록이 이동될 때, 상기 복귀이동블록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센터복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branch contact moving section includes: a return moving block installed on the carrier unit so as to be movable in a width direction of the running rail and in contact with the center return contact portion; A moving circular rod to which the return moving block is movably installed; And a center return member provided on the carrier unit to elastically support the return moving block when the return moving block is moved.

상기 센터복귀부재는, 상기 이동환봉에 설치되어 상기 복귀이동블록을 상기 이동환봉의 중심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는 한 쌍의 코일스프링일 수 있다.The center return member may be a pair of coil springs installed on the moving round bar and capable of returning the return moving block to the center position of the moving round bar.

상기 센터복귀 접촉부는, 상기 회전힌지의 단부에 결합되되, 상기 복귀이동블록에 접촉되도록 부채꼴 형상으로 마련되는 지지캠을 구비하며, 상기 복귀이동블록은, 상기 지지캠을 사이에 두고 상호 대향하게 배치되어 상기 지지캠에 접촉될 수 있는 한 쌍의 지지턱을 구비할 수 있다.Wherein the center return contact portion includes a support cam that is engaged with an end portion of the rotary hinge and is provided in a fan shape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return movement block, wherein the return movement block is disposed so as to face each other with the support cam therebetween And a pair of support tines which can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support cam.

상기 레일시스템은, 상기 커브분기가이드의 연결되어 상기 분기레일을 따라 상기 합류영역으로 배치되되, 상기 분기롤러 중 다른 하나의 분기롤러가 반대 면에 접촉 지지되는 커브합류가이드; 및 상기 합류영역에 배치되는 상기 주행레일을 따라 배치되어 상기 커브합류가이드에 연결되는 합류직진가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rail system includes a curve joining guide connected to the curve branching guide and disposed in the confluence region along the branching rail, wherein the other branching roller of the branching roller is contactably supported on the opposite surface; And a joining straight guide disposed along the running rail disposed in the joining region and connected to the curve joining guide.

상기 캐리어 유닛은, 상기 주행레일에 이격되어 설치되는 복수의 캐리어 본체; 상기 캐리어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주행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한 쌍의 구동바퀴; 및 상기 캐리어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캐리어 본체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상기 주행레일에 지지되는 한 쌍의 지지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carrier unit comprises: a plurality of carrier bodies spaced apart from the running rail; A pair of driving wheels installed on the carrier body and moving along the traveling rail; And a pair of support rollers installed on the carrier main body and supported by the running rail to guide movement of the carrier main body.

상기 캐리어 유닛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대상물을 상기 캐리어 유닛의 중심라인으로부터 편향되게 이동시킬 수 있는 슬라이드 이동장치; 및 상기 슬라이드 이동장치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대상물을 집어 올리고 내릴 수 있는 적재승강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A slide moving device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carrier unit and capable of moving the object in a deflected direction from a center line of the carrier unit; And a loading platform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slide moving device to pick up and lower the object.

상기 적재승강장치는, 상기 대상물을 잡을 수 있는 척 그립퍼유닛; 및 상기 척 그립퍼유닛에 연결되어 상기 척 그립퍼유닛을 상하로 이동시키고 회전시킬 수 있는 승강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loading and unloading apparatus comprises: a chuck gripper unit capable of holding the object; And a lift unit connected to the chuck gripper unit and capable of moving the chuck gripper unit up and down and rotating the chuck gripper unit.

상기 복수의 캐리어 본체에 설치되되, 상기 대상물이 내부로 인입되어 안치되는 커버프레임; 및 상기 커버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대상물을 지지하는 낙하방지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A cover frame which is installed on the plurality of carrier bodies and into which the object is drawn and is placed; And a drop prevention device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cover frame to support the object.

상기 낙하방지장치는, 상기 커버프레임의 하부에 대향하게 배치되되, 상기 커버프레임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대상물을 지지하는 한 쌍의 회전지지부재; 및 상기 회전지지부재를 회전시키도록 상기 커버프레임에 결합되는 낙하방지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fall preventing device includes a pair of rotation supporting members which are disposed to face the lower portion of the cover frame and are rotatably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cover frame to support the object; And a drop prevention driving unit coupled to the cover frame to rotate the rotation support member.

상기 낙하방지 구동부는, 상기 회전지지부재의 하부에 일단부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타단부가 상기 커버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링크; 상기 회전링크에 일단부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타단부가 상기 커버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링크; 및 상기 회전링크에 일단부가 결합되며, 타단부가 상기 커버프레임에 결합되되, 상기 회전링크를 회전시켜 상기 회전지지부재를 회전시킬 수 있는 링크구동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The drop prevention drive unit includes a rotation link having one end rotatably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rotation support member and the other end rotatably coupled to the cover frame; A support link having one end rotatably coupled to the rotation link and the other end rotatably coupled to the cover frame; And a link driving module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rotating link and the other end coupled to the cover frame, wherein the link driving module rotates the rotating link to rotate the rotating supporting member.

상기 한 쌍의 구동바퀴는, 상기 한 쌍의 구동바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되, 커브구간의 주행 시에 상기 한 쌍의 구동바퀴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주행레일로부터 이격시켜 공회전시킬 수 있는 아이들 차륜을 더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pair of driving wheels are rotatably coupled to the pair of driving wheels so as to allow idle wheels to idly rotate any one of the pair of driving wheels away from the driving rail .

상기 캐리어 유닛에 설치되어 상기 대상물의 편향된 위치에 따라 상기 캐리어 유닛을 상기 주행레일에 고정시키는 지지홀더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지지홀더유닛은, 상기 캐리어 유닛의 하부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대상물이 이동 시 이동되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대상물의 이동되는 방향의 반대 방향에 위치하는 상기 주행레일에 접촉 지지되는 지지홀더부재; 및 상기 지지홀더부재를 이동시키도록 상기 캐리어 유닛에 설치되는 홀더이동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Further comprising: a support holder unit installed on the carrier unit and fixing the carrier unit to the running rail according to a deflected position of the object, wherein the support holder unit is movably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carrier unit, A support holder member which is mov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a direction in which the object is moved when it is moved and is held in contact with the running rail locat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object; And a holder moving device installed on the carrier unit to move the support holder member.

본 발명에 따르면, 캐리어 유닛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는 복수의 분기롤러 중 어느 하나가 직진분기가이드와 커브분기가이드 중 어느 하나에 접촉 지지되어 안내됨으로써 주행레일로부터 분기레일로 대차를 주행시키는 분기롤러의 위치전환 및 대차의 방향전환작용이 신속하고 매끄럽게 이루어져, 대차의 분기레일을 따른 분기주행이 신속하고, 분기주행에 따른 고장을 일으키지 않아 물류 반송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반송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y one of a plurality of branch rollers rotatably installed in the carrier unit and mov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guided and guided by any one of the straight branching guide and the curve branching guide, It is possible to quickly and smoothly change the position of the branching roller to be driven and change the direction of the bogie so that the branching running along the branching rail of the bogie is quick and the failure due to the branching does not occur, System can be provid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송 시스템의 배치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기영역 및 합류영역에 대한 대차장치의 분기주행상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분기영역 및 합류영역에 대한 대차장치의 직진주행상태도이다.
도 4는 도 1의 Ⅰ-Ⅰ에 대한 개념적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분기영역에 대한 분기롤러유닛의 평면배치도이다.
도 6은 도 1의 Ⅰ-Ⅰ에 대한 상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차장치가 도시된 주행레일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송 시스템의 대차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9는 도 6의 캐리어 유닛의 확대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캐리어 유닛의 평면도이다.
1 is a layout diagram of a transpor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ranch traveling state diagram of the lane departing apparatus and the joining region of Fig. 1; Fig.
Fig. 3 is a straight running state view of the lane departing apparatus and the joining region of Fig. 1. Fig.
4 is a conceptual cross-sectional view of I-I in Fig.
Fig. 5 is a plan layout diagram of the branching roller unit with respect to the branching region of Fig. 1;
6 is a detailed cross-sectional view of I-I in Fig.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running rail in which a tru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8 is a side view of a lane departing apparatus of a transport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n enlarged view of the carrier unit of Fig.
10 is a plan view of the carrier unit of Fig.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In order to ful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operational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objects achieved by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ence should be mad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illustrat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Like reference symbols in the drawings denote like element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송 시스템의 배치도이며, 도 2는 도 1의 분기영역 및 합류영역에 대한 대차장치의 분기주행상태도이며, 도 3은 도 1의 분기영역 및 합류영역에 대한 대차장치의 직진주행상태도이며, 도 4는 도 1의 Ⅰ-Ⅰ에 대한 개념적인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1의 분기영역에 대한 분기롤러유닛의 평면배치도이며, 도 6은 도 1의 Ⅰ-Ⅰ에 대한 상세 단면도이다.FIG. 1 is a layout diagram of a transport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tate of branching and running of a lane departing apparatus and a joining region of FIG. 1, Fig. 4 is a conceptual cross-sectional view of I-I in Fig. 1, Fig. 5 is a plan layout view of the branching roller unit in the branching region of Fig. 1, and Fig. 6 is a cross- -I. ≪ / RTI >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송시스템은, 천장에 설치되는 레일시스템(101)과, 레일시스템(101)에 주행가능하게 설치되어 대상물(100)을 반송하는 대차장치(140)를 포함한다.1 to 6, a conveyan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ail system 101 installed on a ceiling, a conveyor system 101 installed to run on a rail system 101, (Not shown).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시스템(101)은, 직진구간(102), 커브연결구간(103), 분기 및 합류구간(104), 대상물(100)의 로딩 및 언로딩을 위한 반송포트(105)를 포함하며, 도시되진 않았으나 대차장치(140)의 주행제어를 위한 각종 센서들, 전원공급장치, 통신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First, as shown in Fig. 1, the rail system 101 includes a straight section 102, a curve connecting section 103, a branching and confluence section 104, a conveying section for loading and unloading the object 100 Port 105 and may include various sensors, a power supply, a communication device, and the like, not shown, for controlling the running of the vehicle 140.

이러한 구간들 중 직진구간(102)은 대차장치(140)가 직진으로 이동할 수 있는 구간이며, 커브연결구간(103)은 이격되어 나란히 배치된 직진구간(102)을 연결하는 구간이며, 분기 및 합류구간(104)은 이격된 분기영역(107)으로부터 합류영역(108)으로 대차장치(140)를 이동시킬 수 있는 구간이다.A straight section 102 of the sections is a section through which the truck 140 can move linearly. A curve connecting section 103 is a section connecting the straight sections 102 spaced apart and arranged side by side. The section 104 is a section capable of moving the truck 140 from the separated branching zone 107 to the confluence zone 108.

이러한 레일시스템(101)의 직진구간(102)에는 주행레일(110)들이 배치될 수 있으며, 분기 및 합류구간(104)에는 이격되어 배치된 복수의 주행레일(110)을 상호 연결하는 분기 및 합류레일(111)이 배치될 수 있다.The traveling rails 110 may be disposed in the straight section 102 of the rail system 101 and may include branching and joining sections that interconnect a plurality of traveling rails 110 spaced apart from the branching and merging section 104, The rails 111 may be arranged.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행레일(110)과 분기 및 합류레일(111)이 연결되는 분기영역(107)에는 직진주행을 안내하는 직진분기가이드(112)와 분기주행을 안내하는 커브분기가이드(113)가, 한 몸체에서 각 주행방향으로 갈라지도록 설치된다.As shown in Figs. 1 to 6, a branching region 107 to which the running rail 110 and the branching and joining rails 111 are connected is provided with a straight branching guide 112 for guiding straight running, The curve branching guide 113 is installed so as to be divided in each running direction from one body.

본 실시 예에 따른 레일시스템(101)은, 직진레일본체(115)와 분기레일본체(116)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직진레일본체(115)는 분기영역(107)에서 주행레일(110)을 따라 배치되되 직진분기가이드(112)에 대응하는 직진주행을 위한 레일부재(110)가 설치되며, 분기레일본체(116)는 분기영역(107)에서 직진레일본체(115)에 연결되어 분기 및 합류구간(104)을 따라 배치되되 커브분기가이드(113)에 대응하는 분기주행을 위한 레일부재(110)가 설치될 수 있다.The rail system 10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 straight rail main body 115 and a branch rail main body 116. The straight rail main body 115 is provided with a rail member 110 disposed along the running rail 110 in the branching area 107 for straight running corresponding to the straight branching guide 112, Is connected to the straight rail main body 115 in the branching area 107 and is disposed along the branching and confluence section 104 and the rail member 110 for branching travel corresponding to the curve branching guide 113 can be installed have.

분기 및 합류레일(111)은 전술한 분기 및 합류구간(104)에 배치되는데, 본 실시 예에 따른 분기 및 합류레일(111)은 상호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는 주행레일(110)을 경사지게 연결하여 N형의 주행트랙을 형성할 수 있다. 후술하는, 대차장치(140)의 분기 및 합류영역(108)의 직진주행, 분기주행, 및 합류주행은, 주로 이러한 N형의 주행트랙을 상정한 것이다.The branching and joining rails 111 are disposed in the aforementioned branching and joining sections 104. The branching and joining rails 11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re formed by connecting the running rails 110 arranged in parallel to each other in an inclined manner to form N Type traveling track can be formed. The straight running, the branched running, and the converging running of the branching and merging area 108 of the balancing device 14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mainly assume the N-type running track.

본 실시 예에 따른 레일시스템(101)에 설치되는 대차장치(140)는, 레일시스템(101)의 주행레일(110)에 주행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출발지부터 목적지까지 대상물(100)을 반송하는 캐리어 유닛(141)과, 직진주행 및 분기주행 중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함께 회전운동되는 분기롤러(151, 152)를 갖는 분기롤러유닛(150)을 포함한다.The railroad car 101 installed in the rail system 10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provided with a carrier unit 110 installed to be able to run on the running rail 110 of the rail system 101, And a branching roller unit 150 having branching rollers 151 and 152 which are rotated together so that either the straight running or the branching running is selectively performed.

이러한 본 실시 예에 따른 캐리어 유닛(141)은, 주행레일(110)에 이격되어 설치되는 복수의 캐리어 본체(142)와, 전술할 바와 같이 각각의 캐리어 본체(142)에 설치되어 주행레일(110)에 접촉되어 회전됨으로써 캐리어 본체(142)를 주행시키는 한 쌍의 구동바퀴(144)와, 캐리어 본체(142)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주행레일(110)의 측벽에 지지됨으로써 캐리어 본체(142)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는 지지롤러(145)를 포함할 수 있다. 캐리어 본체(142)에는 구동바퀴(144)를 구동시킬 수 있는 주행모터(146)가 설치되며, 대상물(100)이 안치될 커버프레임(147)에 결합되는 이동바(148)가 설치된다. 이동바(148)는 커버프레임(147)을 캐리어 유닛(141)에 고정시킬 수 있다.The carrier unit 141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ncludes a plurality of carrier main bodies 142 that are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running rail 110 and a plurality of carrier main bodies 142 installed on the respective carrier main bodies 142, And a pair of driving wheels 144 that ar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carrier main body 142 and are supported by the side walls of the traveling rail 110 so as to support the carrier main body 142, And a support roller 145 that can guide the movement of the recording medium. The carrier body 142 is provided with a traveling motor 146 capable of driving the driving wheel 144 and a moving bar 148 coupled to the cover frame 147 on which the object 100 is to be placed. The movable bar 148 can fix the cover frame 147 to the carrier unit 141. [

이러한 캐리어 유닛(141)은, 반도체 및 디스플레의 제작공정과 같은 제품의 제작공정 또는 일정지역 내에서 물류의 자동반송이 필요한 공장설비 또는 건물의 천장에 설치되는 레일시스템(101)의 주행레일(110)에 주행가능하게 설치되어, 자동주행에 의해 출발지부터 목적지까지 대상물(100)을 운반할 수 있다. 또한 캐리어 유닛(141)은 분기 및 합류레일(111)이 주행레일(110)과 연결되는 분기영역(107)에서 분기구간으로 주행하는 경우, 분기롤러유닛(150)에 의해 분기주행이 실행될 수 있다.The carrier unit 141 is installed on a running rail 110 of a rail system 101 mounted on a ceiling of a factory facility or a building that requires automatic transportation of goods in a manufacturing process of a product such as a semiconductor and a display manufacturing process, So that the object 100 can be carried by the automatic running from the starting point to the destination. When the carrier unit 141 travels in the branching zone 107 in which the branching and joining rails 111 are connected to the running rail 110, the branching roller unit 150 can execute branching driving .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실시 예에 따른 반송시스템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는 분기롤러유닛(150)에 의한 대차장치의 분기주행, 분기영역 직진주행, 및 합류영역 직진주행이 개념적으로 도시되어 있는데, 이러한 각 주행 시에 사용되는 분기롤러유닛(150)의 롤러들은 검은색으로 표시되어 있다. 또한 화살표는 대차장치의 각 주행방향을 표시한다.Hereinafter, the transpor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6. Fig. 2 schematically shows the branching travel of the ladle truck by the branching roller unit 150, the straight travel in the branching region, and the straight travel in the joining region. The rollers of the branching roller unit 150, It is marked in black. The arrows indicate the running directions of the truck.

본 실시 예에 따른 캐리어 유닛(141)의 상부에 설치되는 분기롤러유닛(150)은, 캐리어 유닛(14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는 복수의 분기롤러(151, 152)를 구비하는데, 캐리어 유닛(141)이 분기영역(107)으로 진입될 때, 복수의 분기롤러(151, 152) 중 어느 하나가 직진분기가이드(112)와 커브분기가이드(113) 중 어느 하나에 접촉 지지되어 안내될 수 있다.The branching roller unit 150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arrier unit 14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plurality of branching rollers 151 and 152 which are rotatably installed in the carrier unit 141 and are moved in the vertical direction When any one of the plurality of branching rollers 151 and 152 is contacted to any one of the straight branching guide 112 and the curve branching guide 113 when the carrier unit 141 enters the branching region 107 .

이러한 복수의 분기롤러(151, 152)는, 회전운동에 의해 상방으로 이동되어 직진분기가이드(112) 및 커브분기가이드(113) 중 어느 하나에 접촉 지지되도록, 상호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branching rollers 151 and 152 may be arranged to be inclined so as to be moved upward by the rotational motion and to be contacted with any one of the straight branching guide 112 and the curve branching guide 113. [

이에 따라 복수의 분기롤러(151, 152)는, 캐리어 유닛(141)이 분기영역(107)으로 진입될 때, 복수의 분기롤러(151, 152) 중 어느 하나가 직진분기가이드(112)와 커브분기가이드(113) 중 어느 하나에 접촉 지지되어 안내되며, 이에 따라 분기영역(107)에서 캐리어 유닛(141)에 대한 직진주행 및 분기주행 중 어느 하나가 실행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carrier unit 141 enters the branching region 107, any one of the plurality of branching rollers 151 and 152 can be separated from the straightening branching guide 112 and the curve < RTI ID = 0.0 > And the branching guide 113 so that either the straight running or the branching running with respect to the carrier unit 141 in the branching area 107 can be executed.

이러한 복수의 분기롤러(151, 152)는 함께 회전될 수 있는 한 쌍씩 두 쌍이 주행방향을 따라 배치된 것으로서, 회전에 의한 승강작동에 의해 한 쌍 중 어느 하나가 상승되고 다른 하나가 하강되며, 이에 따라 어느 하나가 커브분기가이드(113)에 접촉 지지되어 구름운동으로 커브분기가이드(113)를 따라 안내될 수 있으며, 반대로 어느 하나의 하강과 다른 하나의 상승작동에 의해 다른 하나가 직진분기가이드(112)에 접촉 지지되어 마찬가지로 직진분기가이드(112)를 따라 안내될 수 있다.Each of the plurality of branching rollers 151 and 152 is arranged such that two pairs of the pair of rollers 151 and 152 are rotatable together. The pair of rollers 151 and 152 are lifted by one of the pair of rollers 151 and 152, One of which can be guided along the curve branching guide 113 in a rolling motion by being contacted with and supported by the curve branching guide 113. On the other hand, 112 and can be guided along the straight-going branch guide 112 as well.

분기롤러(151, 152)의 승강작동을 위해 본 실시 예에 따른 분기롤러유닛(150)은, 캐리어 유닛(141) 상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일단부와 타단부의 상면부가 상호 경사지게 마련되는 시소부(155)를 포함한다. 이러한 시소부(155)의 구동원은 도시되진 않았으나 전동모터가 사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분기롤러(151, 152)의 회전샤프트(153)는 시소부(155)의 일단부 및 타단부의 상면부에 상호 경사지게 설치된다. 이러한 양측 회전샤프트(153)는 각각의 중심라인이 직진분기가이드(112) 및 커브분기가이드(113)의 상하방향에 따른 중심라인에 교차하게 배치될 수 있다.The branching roller unit 15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mounted on the carrier unit 141 so as to be rotatable for lifting and lowering the branching rollers 151 and 152.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branching roller unit 150 are inclined And a seesaw section 155. The drive source of the seesaw 155 is not shown, but an electric motor can be used. The rotary shaft 153 of the branching rollers 151 and 152 is provided so as to be inclined with respect to one end of the seesaw 155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other end. These two side rotating shafts 153 may be arranged so that the center lines thereof cross the straight line branching guide 112 and the center line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curve branching guide 113.

전술한 커브분기가이드(113)는 분기주행이 가능하도록 분기영역(107)의 주행레일(110)로부터 분기 및 합류레일(111)로 배치되며, 직진분기가이드(112)는 분기영역(107)에 대한 직진주행이 가능하도록 배치된다. 즉 직진분기가이드(112)는 커브분기가이드(113)의 반대 측에서 주행레일(110)을 따라 분기영역(107)을 통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직진분기가이드(112) 및 커브분기가이드(113)에 대한 분기롤러(151, 152)의 승강작동에 따른 선택에 의해서 캐리어 유닛(141)의 분기주행 또는 직진주행이 실행될 수 있다.The curve branching guide 113 described above is arranged from the running rail 110 of the branching region 107 to the branching and joining rails 111 so that the branching travel can be performed, So that the vehicle can travel straight ahead. The straight branching guide 112 may be arranged to pass through the branching region 107 along the running rail 110 on the opposite side of the curve branching guide 113. [ The branching or straight running of the carrier unit 141 can be executed by selection of the ascending / descending operations of the branching rollers 151 and 152 with respect to the linear branching guide 112 and the curve branching guide 113. [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직진분기가이드(112)와, 커브분기가이드(113)는 한 몸체에서 양측으로 갈라져 분기영역에 대한 직진주행과 분기주행을 안내할 수 있도록 배치되는데, 한쪽 분기롤러(151)가 커브분기가이드(113)에 대응되며 접촉 지지될 수 있으며, 다른 쪽 분기롤러(152)가 직진분기가이드(112)에 접촉 지지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straight branching guide 112 and the curve branching guide 113 are disposed so as to guide the straight running and the branching run to the branching region, And the other branch roller 152 can be contacted and supported by the linear branching guide 112. [0050]

또한 직진분기가이드(112)와, 커브분기가이드(113)는 분기롤러들(151, 152)의 수평방향에 대한 접지력이 확보되도록 충분한 접촉면이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접촉면은 대차장치(140)의 분기주행 또는 직진주행 시에 상응하는 레일부재(110)에 대한 지지롤러(145)의 접지면에 대향하게 배치된다.The straight branching guide 112 and the curve branching guide 113 can be provided with sufficient contact surfaces so as to secure the grounding force of the branching rollers 151 and 152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is contact surface is disposed so as to face the ground surface of the support roller 145 with respect to the corresponding rail member 110 at the time of the branched running or the straight running of the carriage device 140. [

본 실시 예에 따르면 분기영역(107) 및 합류영역(108)에 배치되는 직진레일본체(115) 및 분기레일본체(116)는, 구동바퀴(144)의 주행 시에 접지되는 레일부재(117)가 한쪽에만 존재할 수 있다. 분기레일본체(116)가 연결되는 직진레일본체(115)의 연결부위는 레일부재(117)가 설치되지 못한다. 이에 따라 분기영역(107)을 통과하여 주행하는 캐리어 유닛(141)은, 한쪽 구동바퀴(144)가 좌우 어느 한쪽에 있는 레일부재(117)에 접촉되어 주행될 수 있으며, 캐리어 유닛(141)은, 직진레일본체(115)의 한쪽 레일부재(117)를 사용하여 직진주행할 수 있고, 분기레일본체(116)의 다른 한쪽 레일부재(117)를 사용하여 분기주행할 수 있다.The linear rail main body 115 and the branch rail main body 116 disposed in the branching region 107 and the confluence region 108 are provided on the rail member 117 which is grounded at the time of driving of the driving wheel 144, Can exist only on one side. The rail member 117 can not be installed at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straight rail main body 115 to which the branch rail main body 116 is connected. The carrier unit 141 which travels through the branching region 107 can be driven to contact the one of the left and right rail members 117 on one side and the carrier unit 141 can be driven It is possible to make a straight run using one rail member 117 of the straight rail main body 115 and to perform branching travel using the other rail member 117 of the branch rail main body 116. [

즉 캐리어 유닛(141)은, 이러한 어느 한쪽의 레일부재(117)의 부존재에 의해 지지롤러(145)의 접지면을 중심으로 기울어져 회전이 발생될 수 있는데, 지지롤러(145)의 접지면에 대향하게 배치되어 있는 접촉면으로부터 분기롤러(151, 152)에 가해지는 반력이 균형을 이루는 모멘트를 제공함으로써 레일부재(117)로부터 캐리어 유닛(141)의 이탈이 차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캐리어 유닛(141)은 한쪽의 레일부재(117)에 의존해서 분기영역(107)을 매끄럽게 주행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carrier unit 141 can be rotated by being tilted about the ground plane of the support roller 145 by the absence of any one of the rail members 117, The separation of the carrier unit 141 from the rail member 117 can be blocked by providing a moment that balances the reaction force applied to the branch rollers 151 and 152 from the oppositely disposed contact surfaces. The carrier unit 141 can smoothly run the branching region 107 depending on one of the rail members 117. [

한편, 본 실시 예에 따른 분기롤러유닛(150)은, 캐리어 유닛(141)의 주행방향에 교차하는 폭 방향으로 설치되되, 시소부(155)의 회전범위를 제한하고, 시소부(155)를 복귀시킬 수 있는 분기접촉 이동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branching roller unit 15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provided in the width direction crossing the running direction of the carrier unit 141, and restricts the rotation range of the seesection 155, And a branch contact moving unit 160 capable of returning the branch contact.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시소부(155)가 회전될 때, 분기롤러(151, 152) 중 어느 하나 즉 좌측에 배치된 분기롤러(151)가 커브분기가이드(113)에 접촉 지지되어 안내될 수 있는데, 이때에 시소부(155)는 일정각도 회전된 후, 분기접촉 이동부(160)에 의해 더 이상의 회전이 제한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seesaw portion 155 is rotated, any one of the branching rollers 151 and 152, that is, the branching roller 151 disposed on the left side can be guided and guided by the curve branching guide 113 At this time, after the seesaw 155 is rotated at a predetermined angle, the rotation of the seesaw 155 may be further restricted by the branch contact moving unit 160.

즉 시소부(155)의 회전축(154)에 무리한 회전력이 가해지면, 커브분기가이드(113)로부터 분기롤러(151)로 가해지는 반력 모멘트에 의해 접촉된 측에 배치된 구동바퀴(144)가 레일부재(117)로부터 이탈될 수 있지만, 시소부(155)에 의한 분기롤러(151)의 회전이 커브분기가이드(113)에 접촉될 정도로만 제한됨으로써 캐리어 유닛(141)의 한쪽 구동바퀴(144)가 레일부재(117)로부터 탈선되지 않고 주행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분기롤러(151, 152)의 회전제한은 직진분기가이드(112) 및 후술되는 커브합류가이드(131), 합류직진가이드(132)에도 적용될 수 있다.The drive wheel 144 disposed on the side contacted by the reaction force moment applied from the curve branching guide 113 to the branching roller 151 is moved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rail 155, The rotation of the branching roller 151 by the seesaw unit 155 is limited to such a degree that the rotation of the branching roller 151 is in contact with the curve branching guide 113 so that the one drive wheel 144 of the carrier unit 141 Traveling can be performed without derailment from the rail member 117. [ The restriction of the rotation of the branching rollers 151 and 152 can also be applied to the straight branching guide 112 and the curve joining guide 131 and the joining straightening guide 132 described below.

본 실시 예에 따른 시소부(155)는, 분기롤러(151, 152)가 설치되는 시소부재(157)와, 시소부재(157)의 중앙부에 설치되어 시소부재(157)의 회전을 제공하는 회전힌지(156)와, 회전힌지(156)에 설치되되 시소부재(157)의 회전 시에 회전범위를 제한되도록 분기접촉 이동부(160)에 접촉되는 센터복귀 접촉부(158)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esaw unit 155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seesaw member 157 to which the diverging rollers 151 and 152 are installed and a rotary member 157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seesaw member 157 to provide rotation of the seesaw member 157 A hinge 156 and a center return contact portion 158 which is provided on the rotary hinge 156 and is in contact with the branch contact moving portion 160 so as to limit the rotation range when the seesection member 157 rotates.

또한 본 실시 예에 따른 분기접촉 이동부(160)는, 캐리어 유닛(141) 상에서 주행레일의 폭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센터복귀 접촉부(158)에 접촉되는 복귀이동블록(161)과, 복귀이동블록(161)이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환봉(162)과, 캐리어 유닛(141) 상에 설치되어 복귀이동블록(161)이 이동될 때, 복귀이동블록(161)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센터복귀부재(16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에 센터복귀부재(163)로는, 이동환봉(162)에 설치되어 복귀이동블록(161)을 이동환봉(162)의 중심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는 한 쌍의 코일스프링(164)이 사용될 수 있다.The branch contact moving unit 16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return moving block 161 that is provided so as to be movabl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running rail on the carrier unit 141 and contacts the center return contact unit 158, A moving bar 16 that is provided on the carrier unit 141 so as to move the return moving block 161 to move the return moving block 161 in the center And a return member 163. At this time, as the center return member 163, a pair of coil springs 164 which can be installed on the moving round bar 162 and return the return moving block 161 to the center position of the moving round bar 162 can be used .

본 실시 예에 따르면 한 쌍의 분기롤러(151, 152) 중 한쪽 분기롤러(151)가 커브분기가이드(113)의 한쪽 벽부를 따라 이동되고, 다른 쪽 분기롤러(152)가 반대쪽에 해당되는 커브합류가이드(131)의 벽부를 따라 이동되어 분기 및 합류주행이 수행될 수 있는데, 한 쌍의 분기롤러(151, 152)는 시소부재(157)에 의해 회전되어 위치전환이 이루어질 수 있다.One branch roller 151 of the pair of branch rollers 151 and 152 is moved along one wall portion of the curve branching guide 113 and the other branching roller 152 is mov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he pair of branch rollers 151 and 152 can be rotated by the seesection member 157 and the position can be switched.

본 실시 예에 따른 시소부재(157)가 회전힌지(156)의 회전축(154)을 중심으로 한 방향으로 회전될 때, 한쪽 분기롤러(151)가 상승되며, 다른 쪽 분기롤러(152)는 하강되는데, 한쪽 분기롤러(151)가 좌측벽부에 해당하는 커브분기가이드(113) 측에 접촉되는 경우에, 시소부재(157)의 회전축(154)에 설치되어 있는 센터복귀 접촉부(158)가 복귀이동블록(161)을 한쪽으로 가압하여 이동시키며, 복귀이동블록(161)은 코일스프링(164)에 지지되어 탄성바이어스 상태가 될 수 있다.When the seesaw member 157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rotated in the direction about the rotational axis 154 of the rotary hinge 156, the one branching roller 151 is raised and the other branching roller 152 is lowered The center return contact portion 158 provided on the rotary shaft 154 of the seesaw member 157 is moved in the direction of the return movement when the one branch roller 151 contacts the curve branch guide 113 side corresponding to the left wall portion. The block 161 is moved to one side and the return motion block 161 is supported by the coil spring 164 to be in an elastic bias state.

이후, 커브분기가이드(113)의 후단부에 연결되어 있는 커브합류가이드(131)의 우측 벽부에 다른 쪽 분기롤러(152)가 접촉되도록 시소부재(157)가 회전되는 경우, 코일스프링(164)에 의해 복귀이동블록(161)이 신속하게 이동되어 센터복귀 접촉부(158)를 가압함으로써 회전힌지(156)의 회전축(154)이 신속하게 반대로 회전될 수 있는 회전력이 더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다른 쪽 분기롤러(152)가 회전운동에 의해 상승하여 커브합류가이드(131)의 우측 벽부에 신속하게 접촉될 수 있다.When the seesaw member 157 is rotated so that the other branching roller 152 contacts the right side wall portion of the curve joining guide 131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curve branching guide 113, The return motion block 161 is quickly moved to press the center return contact 158 so that the rotational force of the rotational axis 154 of the rotational hinge 156 can be quickly reversed, The branching rollers 152 can be raised by the rotational movement and can be quickly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right side wall portion of the curve joining guide 131. [

이러한 분기영역(107) 또는 합류영역(108)에서, 분기접촉 이동부(160)와 센터복귀 접촉부(158)의 협응되는 탄력적인 지지관계에 의해 본 실시 예에 따른 한 쌍의 분기롤러(151, 152)는 분기주행과 직진주행 시에 신속하게 회전되어 주행방식을 전환할 수 있다.The pair of branching rollers 151 and 152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re arranged in the branching region 107 or the joining region 108 in accordance with the flexible supporting relationship between the branching contact moving portion 160 and the center returning contact portion 158. [ 152 can be quickly rotated at the time of the branch running and the straight running to switch the running mode.

이를 위해서 본 실시 예에 따른 센터복귀 접촉부(158)는, 회전힌지(156)의 단부에 결합되되, 복귀이동블록(161)에 접촉되도록 부채꼴 형상으로 마련되는 지지캠(158)을 구비하며, 복귀이동블록(161)은, 지지캠(158)을 사이에 두고 상호 대향하게 배치되어 지지캠(158)에 접촉될 수 있는 한 쌍의 지지턱(165)을 구비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center return contact portion 158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support cam 158 which is coupled to an end of the rotation hinge 156 and is provided in a fan shape to contact the return movement block 161, The moving block 161 may have a pair of supporting jaws 165 that are arranged to face each other with the support cam 158 therebetween and can contact the support cam 158. [

즉 한쪽 분기롤러(151)를 회전시켜 커브분기가이드(113)에 접촉시키기 위해 회전힌지(156)의 회전축(154)이 회전될 때, 회전축(154)에 설치된 센터복귀 접촉부(158)가 회전되어 지지캠(158)이 한쪽 지지턱(165)을 가압할 수 있으며, 지지턱(165)의 가압에 의해 복귀이동블록(161)이 한쪽으로 이동되어 코일스프링(164)에 지지되어 탄성 바이어스상태로 될 수 있으며, 회전축(154)이 반대로 회전되는 경우에 복귀이동블록(161)이 코일스프링(164)에 의해 신속하게 복귀되면서 지지턱(165)에 의해 지지캠(158)이 가압되고, 센터복귀 접촉부(158)가 반대로 회전될 수 있는 회전력이 더해져 회전축(154)이 반대로 신속하게 회전되어, 한쪽 분기롤러(151)가 커브분기가이드(113)로부터 신속하게 이탈되고, 다른 쪽 분기롤러(152)가 신속하게 상승될 수 있다.The center return contact portion 158 provided on the rotary shaft 154 is rotated when the rotary shaft 154 of the rotary hinge 156 is rotated so that the one branch roller 151 is rotated to contact the curve branching guide 113 The support cam 158 can press one of the support jaws 165 and the return movement block 161 is moved to one side by the pressing of the support jaws 165 and is supported by the coil spring 164 to be elastically biased The returning block 161 is rapidly returned by the coil spring 164 and the support cam 158 is pressed by the support jaw 165 and the center return The rotary shaft 154 is quickly rot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by the rotation force to rotate the contact portion 158 in the opposite direction so that the one branch roller 151 is quickly disengaged from the curve branch guide 113, Can be rapidly raised.

이러한 한 쌍의 분기롤러(151, 152)의 위치전환에 의해서, 캐리어 유닛(141)은, 분기주행 후에 합류영역(108)으로 주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실시 예에 따른 레일시스템(101)은, 전술한 바와 같이 커브분기가이드(113)에 연결되어 분기 및 합류레일(111)을 따라 합류영역(108)으로 배치되되, 분기롤러(151, 152) 중 다른 하나의 분기롤러(152)가 반대 면에 접촉 지지되는 커브합류가이드(131)를 포함하며, 커브합류가이드(131)에는 합류영역(108)에서 직진주행을 위한 합류직진가이드(132)가 연결될 수 있다.By switching the position of the pair of branch rollers 151 and 152, the carrier unit 141 can travel to the confluence area 108 after the branching travel. To this end, the rail system 10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connected to the curve branching guide 113 and is disposed in the confluence region 108 along the branching and joining rails 111 as described above, and the branching rollers 151, And a curve joining guide 131 in which the other branching roller 152 is contactably supported on the opposite surface of the curve joining guide 131. The curve joining guide 131 is provided with a converging rectilinear guide 132 Can be connected.

이러한 합류직진가이드(132)는 합류영역(108)에 배치되는 주행레일(110)을 따라 배치되어 커브합류가이드(131)의 후단부에 연결되는데, 한 쌍의 분기롤러(151, 152) 중 분기주행에 사용되었던 분기롤러(151)가 좌측 벽부에 접촉 지지됨으로써 직진주행을 제공할 수 있다. 이처럼 캐리어 유닛(141)은 합류직진가이드(132)에 한쪽 분기롤러(151)가 접촉 지지되어, 합류영역(108)을 원활하게 통과할 수 있다.The joining straightening guide 132 is disposed along the running rail 110 disposed in the joining region 108 and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curve joining guide 131. The joining straightening guide 132 is branched from the branching rollers 151, The branching roller 151 used for running is contacted with the left wall portion to provide straight running. As described above, the carrier unit 141 is supported by the one branch roller 151 in contact with the junction straight guide 132, so that the carrier unit 141 can smoothly pass through the junction region 108.

이와 반대로 본 실시 예에 따르면, 합류직진가이드(132), 커브합류가이드(131), 및 커브분기가이드(113)의 벽부에 대한 한 쌍의 분기롤러(151, 152)의 위치전환에 의해 캐리어 유닛(141)은 합류영역(108)에서 분기영역(107)으로도 주행할 수 있다.Conversely,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by switching the positions of the pair of branch rollers 151 and 152 with respect to the wall portions of the merging / straightening guide 132, the curve merging guide 131, and the curve branching guide 113, (141) can also travel from the confluence area (108) to the branch area (107).

본 실시 예에 따른 캐리어 유닛(141)은, 분기영역(107)에서 다른 쪽 분기롤러(152)를 직진분기가이드(112)에 접촉시켜 직진주행할 수 있으며, 합류영역(108)에서 커브분기가이드(113)에 접촉될 수 있는 한쪽 분기롤러(151)를 합류직진가이드(132)에 접촉시켜 직진주행할 수 있다. 이러한 직진분기가이드(112)와 합류직진가이드(132)에서, 캐리어 유닛(141)은 한쪽의 분기롤러를 사용하여 직진주행을 실행할 수 있는데, 전술한 분기 및 합류주행 시와 마찬가지로 직진주행에 사용되는 분기롤러(151, 152)는 분기접촉 이동부(160)와 센터복귀 접촉부(158)의 협응되는 탄력적인 지지관계에 의해 회전범위가 제한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원래위치로 신속하게 복귀될 수 있다.The carrier unit 14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perform the straight running by bringing the other branching roller 152 into contact with the straight branching guide 112 in the branching region 107. In the merging region 108, The one branch roller 151 which can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cam follower 113 can be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converging / In this straight-ahead branching guide 112 and the merging straight-ahead guide 132, the carrier unit 141 can perform straight-line running using one of the branching rollers, which is used for straight- The branching rollers 151 and 152 can be quickly returned to the original position as well as the rotation range can be limited by the coordinated resilient support relationship of the branch contact moving portion 160 and the center return contact portion 158 .

이하, 본 실시 예에 따른 반송시스템의 대차장치에 설치될 수 있는 전반적인 다른 구성요소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other general components that can be installed in the ladle truck of the transport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차장치가 도시된 주행레일의 단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송 시스템의 대차장치의 측면도이며, 도 9는 도 7의 캐리어 유닛의 확대도이며, 도 10은 도 9의 캐리어 유닛의 평면도이다.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running rai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side view of a lane departing apparatus of a transport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plan view of the carrier unit of Fig. 9. Fig.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대차장치(14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캐리어 유닛(141)의 하부에 설치되어 대상물(100)을 캐리어 유닛(141)의 중심라인으로부터 편향되게 이동시킬 수 있는 슬라이드 이동장치(170)와, 슬라이드 이동장치(170)의 하부에 설치되어 대상물(100)을 집어 올리고 내릴 수 있는 적재승강장치(175)를 더 포함할 수 있다.7 to 10, the carriage apparatus 14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carrier unit 141 as described above, so that the object 100 is supported by the center line of the carrier unit 141 And a loading and elevating device 175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slide moving device 170 and capable of picking up and dropping the object 100. [

본 실시 예에 따른 슬라이드 이동유닛는, 적재승강장치(175)에 매달린 대상물(100)을 커버프레임(147)의 개구부를 통해 외부 측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다단 슬라이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다단 슬라이드 구조에 의해 캐리어 유닛(141)의 하부 중앙부터 측방으로 길이가 연장될 수 있다.The slide mov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have a multi-step slide structure so that the object 100 suspended from the loading / unloading device 175 can be moved outward through the opening of the cover frame 147, The length of the carrier unit 141 can be extended laterally from the lower center of the carrier unit 141.

이러한 본 실시 예에 따른 적재승강장치(175)는, 대상물(100)을 집을 수 있는 척 그립퍼유닛(176)과, 척 그립퍼유닛(176)에 연결되는 권선 와이어를 구비하여 척 그립퍼유닛(176)을 회전시키고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는 승강유닛(177)을 포함할 수 있다. 승강유닛(177)은, 일반적으로 공지된 바와 같은 권선 와이어가 감겨 있는 권선장치를 사용하는 호이스트장치로서, 도시되진 않았으나 내부에 설치된 권선모터에 의해 권선 와이어가 감겨 있는 와이딩 드럼이 회전됨으로써 권선 와이어가 오르내릴 수 있으며, 권선 와이어에 의해 척 그립퍼유닛(176)이 승강될 수 있다.The loading and unloading apparatus 175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chuck gripper unit 176 capable of holding the object 100 and a chuck gripper unit 176. The chuck gripper unit 176 includes a wire wound around the chuck gripper unit 176, And an elevation unit 177 which can rotate the elevation unit 177 and move it up and down. The elevating unit 177 is a hoist apparatus using a winding apparatus in which a generally known winding wire is wound. Although not shown in the figure, a winding motor in which a winding wire is wound by a winding motor installed therein rotates a winding drum, And the chuck gripper unit 176 can be lifted and lowered by the winding wire.

본 실시 예에 따른 승강유닛(177)에는, 척 그립퍼유닛(176)을 회전시킬 수 있는 트위스트장치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트위스트장치는, 도시되진 않았으나 대상물(100)을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대상물(100)의 틀어짐을 정렬할 수 있는 장치로서, 승강유닛(177)을 회전시킬 수 있는 트위스트 모터 및 감속기가 설치될 수 있다.The elevating unit 177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provided with a twisting device capable of rotating the chuck gripper unit 176. [ Although not shown, the twist device includes a twist motor and a speed reducer capable of rotating the elevation unit 177, which is capable of aligning the rotation of the object 100 by rotating the object 100 about a vertical axis .

이러한 본 실시 예에 따른 캐리어 유닛(141)은, 복수의 캐리어 본체(142)가 설치되되, 대상물(100)이 내부로 인입되어 안치될 수 있는 커버프레임(147)과, 커버프레임(147)의 하부에 설치되어 대상물(100)의 낙하를 차단하는 낙하방지장치(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arrier unit 14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cover frame 147 on which a plurality of carrier bodies 142 are provided and to which the object 100 can be inserted and placed, And a drop prevention device 180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apparatus 100 to block the falling of the object 100. [

커버프레임(147)은, 측방과 하부에 대상물(100)이 통과할 수 있는 개구부를 형성할 수 있는 프레임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커버프레임(147)은 상부가 전술한 이동바(148)에 결합되어 캐리어 유닛(141)의 하부에 설치될 수 있는데, 커버프레임(147) 하부에 설치되는 낙하방지장치(180)는 대상물(100)을 커버프레임(147)에 안치시킬 수 있고, 커버프레임(147)의 이동 시에 흔들릴 수 있는 대상물(100)의 이탈을 차단하여 대상물(100)에 대한 안정적인 반송구조를 제공할 있다.The cover frame 147 has a frame structure capable of forming openings through which the object 100 can pass on the side and the bottom. The cover frame 147 can be install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carrier unit 141 by being coupled to the above-described moving bar 148. The fall preventing device 180 installed under the cover frame 147 can be attached to the object 100 can be placed on the cover frame 147 and the separation of the object 100 that can be shaken when the cover frame 147 moves can be blocked to provide a stable transport structure for the object 100. [

이에 본 실시 예에 따른 낙하방지장치(180)는, 커버프레임(147)의 하부에 대향하게 배치되되 대상물(100)의 인입을 허용하여 대상물(100)을 지지하도록 커버프레임(147)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회전지지부재(181)와, 회전지지부재(181)를 회전시키도록 커버프레임(147)에 결합되는 낙하방지 구동부(185)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한 쌍의 회전지지부재(181)는 커버프레임(147)에 대한 대상물(100)의 인입 및 인출이 가능하도록 회전된다.The fall preventing device 18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arranged to be oppos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cover frame 147 and is provid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cover frame 147 to support the object 100 by allowing the object 100 to be pulled, A pair of rotation support members 181 that are rotatably coupled and a fall prevention driving unit 185 that is coupled to the cover frame 147 to rotate the rotation support member 181. [ The pair of rotation support members 18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re rotated so that the object 100 can be drawn in and out of the cover frame 147. [

즉 대상물(100)은 커버프레임(147)의 하부에서 낙하방지 구동부(185)에 의해 회전되어 대상물(100)에 접촉되는 한 쌍의 회전지지부재(181)에 의해 커버프레임(147)의 내부에서 안정되게 지지될 수 있다.That is, the object 100 is moved in the cover frame 147 by the pair of rotation support members 181, which are rotated by the drop prevention drive unit 185 at the lower part of the cover frame 147 and come into contact with the object 100 And can be stably supported.

본 실시 예에 따른 낙하방지 구동부(185)는, 회전지지부재(181)의 하부에 일단부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타단부가 커버프레임(147)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링크(186)와, 회전링크(186)에 일단부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타단부가 커버프레임(147)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링크(187)와, 회전링크(186)에 일단부가 결합되며 타단부가 커버프레임(147)에 결합되되, 회전링크(186)를 회전시켜 회전지지부재(181)를 회전시킬 수 있는 링크구동모듈(188)을 포함할 수 있다.The drop prevention drive unit 185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rotation link 186 having one end rotatably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rotation support member 181 and the other end rotatably coupled to the cover frame 147, A support link 187 whose one end is rotatably engaged with the rotation link 186 and the other end is rotatably engaged with the cover frame 147 and the other end is coupled to the rotation link 186, And a link drive module 188 which is coupled to the rotation support member 147 and which can rotate the rotation link 186 to rotate the rotation support member 181. [

본 실시 예에 따른 링크구동모듈(188)을 솔레노이드(190)로 상정할 때, 솔레노이드(190)의 솔 바디(191)가 회전링크(186)에 결합되며, 솔 로드(192)가 커버프레임(147)에 결합될 수 있는데, 솔 로드(192)가 솔 바디(191)로 인입될 때 지지링크(187)에 연결된 회전링크(186)가 회전되고, 이러한 회전링크(186)에 의해 회전지지부재(181)는 대상물(100)을 지지하도록 회전될 수 있다. 반대로, 솔 로드(192)가 솔 바디(191)로부터 돌출될 때 회전링크(186)가 위와 반대로 회전되어 회전지지부재(181)가 반대방향으로 회전되고, 회전지지부재(181)에 의한 대상물(100)의 지지가 해제될 수 있다.The solenoid 190 of the solenoid 190 is coupled to the rotating link 186 and the solenoid 192 is coupled to the cover frame 186. [ 147 when the swing rod 192 is pulled into the sol body 191 and the rotary link 186 connected to the support link 187 is rotated such that the rotary support 186 is rotated by the rotary link 186, (181) can be rotated to support the object (100). On the other hand, when the soled rod 192 protrudes from the sol body 191, the rotary link 186 is rotated counterclockwise so that the rotary support member 181 is rot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and the object 181 100 can be released.

이러한 낙하방지장치(180)에 의해 지지되어 커버프레임(147)에 지지된 대상물(100)은, 캐리어 유닛(141)의 주행에 의해 목적지까지 이동될 수 있으며, 목적지의 반송포트(105)에서 외부로 언로딩되고 또는 교환될 수 있다.The object 100 supported by the fall preventing device 180 and supported by the cover frame 147 can be moved to the destination by traveling of the carrier unit 141 and can be moved from the destination transport port 105 to the outside Lt; / RTI >

한편, 본 실시 예에 따른 캐리어 유닛(141)은, 커브연결구간(103)과 같은 커브구간을 주행 시에 양측에 설치되어 있는 레일부재(110)의 위치차이로 인해 양측 구동바퀴(144)의 주행반경 차이가 발생되는데, 안쪽 구동바퀴(144)보다 바깥쪽 구동바퀴(144)의 주행구간이 길어지므로, 바깥쪽 구동바퀴(144)가 안쪽 구동바퀴(144)보다 뒤처지게 되면서 안쪽 구동바퀴(144)의 주행위치로 끌려가는 구동차륜 밀림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The carrier unit 14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the same curved section as that of the curve connecting section 103 because of the difference in position of the rail members 110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curved section, The driving range of the outer driving wheels 144 is longer than the inner driving wheels 144 so that the outer driving wheels 144 are behind the inner driving wheels 144, 144 may be driven to the driving position of the driving wheels.

이러한 캐리어 유닛(141)의 구동차륜 밀림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 한 쌍의 구동바퀴(144)는, 한 쌍의 구동바퀴(144)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되, 커브구간의 주행 시에 한 쌍의 구동바퀴(144) 중 어느 하나를 공회전시켜 일측 구동바퀴(144)에 대한 타측 구동바퀴(144)의 주행반경 차이로 인한 밀림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아이들 차륜(199)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prevent the driving wheel of the carrier unit 141 from being pushed, a pair of driving wheels 144 are rotatably coupled to the pair of driving wheels 144, and a pair of driving wheels 144 The idle wheel 199 may be configured to idle any one of the driving wheels 144 to prevent the driving wheels 144 from being pushed due to a difference in the running radius of the other driving wheels 144.

즉 도시되진 않았으나, 아이들 차륜(199)은 커브구간의 바깥쪽 레일부재(110) 상에 덧붙여질 수 있는 이격부재를 따라 주행하게 되는데, 이에 따라 구동바퀴(144)는 레일부재(110)로부터 이격될 수 있으며, 안쪽 구동바퀴(144)의 구동력에 이격부재를 따라 이동되는 - 구동력을 전달받지 않는 - 아이들 차륜(199)은 자연스럽게 커브구간을 선회할 수 있다.The idle wheel 199 travels along a spacing member that can be poured on the outer rail member 110 of the curve section so that the driving wheel 144 is spaced apart from the rail member 110 And the idle wheel 199 that is not transmitted with the driving force that is moved along the spacing member to the driving force of the inner driving wheel 144 can naturally curve the curve section.

또한 본 실시 예에 따른 대차장치(140)는, 캐리어 유닛(141)에 의해 이동되는 대상물(100)의 편향된 위치에 따른 캐리어 유닛(141)의 회전을 차단하도록 캐리어 유닛(141)의 하부에 설치되는 지지홀더유닛(2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arriage device 14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install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carrier unit 141 so as to block the rotation of the carrier unit 141 according to the deflected position of the object 100 moved by the carrier unit 141 And a support holder unit 250 that supports the support holder 250.

이러한 캐리어 유닛(141)의 하부에 매달려 운반되는 대상물(100)은, 캐리어 유닛(141)이 정차하였을 때 커버프레임(147)의 측방으로부터 로딩될 수 있고, 다시 측방으로 이동되어 언로딩될 수 있다.The object 100 carri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carrier unit 141 can be loaded from the side of the cover frame 147 when the carrier unit 141 stops and can be moved laterally and unloaded .

즉 레일시스템(101)에는 대상물(100)을 로딩하고 언로딩할 수 있는 대상물(100)의 종류에 따른 각종 반송포트(105)들이 설치될 수 있으며, 대상물(100)은 후술되는 슬라이드 이동장치(170)와 같은 장치에 의해 측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캐리어 유닛(141)의 중앙 하부에 매달려 있던 대상물(100)이 측방으로 이동되어 캐리어 유닛(141)의 무게중심이 이동될 수 있으며, 캐리어 유닛(141)은 주행레일(110)의 일측 레일부재(110)를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The rail system 101 may be provided with various transport ports 105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object 100 that can load and unload the object 100. The object 100 may be a slide moving device 170, < / RTI >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carrier unit 141 can be moved and the carrier unit 141 can be moved to the side of the one side rail member 110 of the traveling rail 110. In this case, (Not shown).

즉 캐리어 유닛(141)의 양쪽 구동바퀴(144) 중 무게중심에 가까운 어느 한쪽을 중심으로 다른 한쪽이 들릴 수 있으며, 캐리어 유닛(141)이 회전되면서 슬라이드 이동장치(170)에 이동되는 대상물(100)이 이동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캐리어 유닛(141)이 회전되는 경우에, 대상물(100)은 정해진 이동위치보다 하강되어 에러를 발생시킬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The other one of the two driving wheels 144 of the carrier unit 141 can be heard about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other one of the driving wheels 144. The carrier unit 141 is rotated to move the object 100 ) Can be changed. When the carrier unit 141 is rotated, the object 100 can be moved to a position where it is lowered from the predetermined moving position to generate an error.

그러나,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캐리어 유닛(141)의 하부에는 대상물(100)이 측방으로 이동되기 전에, 캐리어 유닛(141)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는 지지홀더유닛(250)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대상물(100)은 정해진 이동위치로 이동되어 언로딩될 수 있다. 즉 지지홀더유닛(250)은, 대상물(100)이 이동되는 방향의 반대에 위치하는 레일부재(110)에 지지되어 캐리어 유닛(141)의 회전을 저지할 수 있다. 즉 지지홀더유닛(250)은 레일부재(110)로부터 어느 한쪽 구동바퀴(144)의 들림을 차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owever, since the support holder unit 250 is provided below the carrier unit 141 to prevent rotation of the carrier unit 141 before the object 100 is laterally moved, The object 100 may be moved to a predetermined moving position and unloaded. That is, the support holder unit 250 can be supported by the rail member 110 positioned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object 100 is moved, and can prevent the rotation of the carrier unit 141. [ That is, the support holder unit 250 can block lifting of either one of the driving wheels 144 from the rail member 110.

이와 같이 캐리어 유닛(141)의 회전을 저지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지지홀더유닛(250)은, 캐리어 유닛(141)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주행레일(110)에 지지될 수 있는 지지홀더부재(251)와, 지지홀더부재(251)가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되 주행레일(110)에 대한 캐리어 유닛(141)의 진행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지지홀더부재(251)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캐리어 유닛(141)의 하부에 설치되는 홀더이동 안내부(255)와, 캐리어 유닛(141)에 설치되어 홀더이동 안내부(255)를 따라 지지홀더부재(251)를 이동시키는 홀더이동 구동부(260)를 포함할 수 있다.The support holder unit 250 provided so as to prevent the rotation of the carrier unit 141 is provided with a support holder member 251 which is movably provided to the carrier unit 141 and can be supported by the run rail 110 And a carrier unit 141 for moving the support holder member 251 in a direction in which the support holder member 251 is movably installed and which intersects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carrier unit 141 with respect to the running rail 110 And a holder movement driving unit 260 installed on the carrier unit 141 and moving the support holder member 251 along the holder movement guide unit 255 .

이러한 본 실시 예에 따른 지지홀더유닛(250)은, 지지홀더부재(251)가 홀더이동 구동부(260)에 의해 홀더이동 안내부(255)를 따라 이동될 수 있으므로, 캐리어 유닛(141)이 주행가능하게 설치되는 주행레일(110)의 양측 레일부재(110)에 선택적으로 접촉될 수 있다. 일예로, 대상물(100)이 슬라이드 이동장치(170)에 의해 우측으로 이동될 때, 지지홀더부재(251)는 좌측에 배치되어 있는 레일부재(110)로 이동되어 레일부재(110)에 지지되고, 캐리어 유닛(141)의 무게중심이동에 의한 회전을 저지할 수 있다.The support holder unit 25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can move the holder holder member 251 along the holder movement guide unit 255 by the holder movement drive unit 260, Side rail member 110 of the running rail 110, which is installed as far as possible. For example, when the object 100 is moved to the right by the slide moving device 170, the support holder member 251 is moved to the left-side rail member 110 and supported on the rail member 110 , It is possible to prevent rotation of the carrier unit 141 due to the movement of the center of gravity.

본 실시 예 따른 지지홀더부재(251)는, 레일부재(110)의 측벽에 지지되는 측벽 지지부(252)와, 측벽 지지부(252)에 교차하게 마련되어 레일부재(110)의 저면부에 지지되는 회전 방지부(253)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레일부재(110)의 단면에 맞게 지지홀더부재(251)의 단부가 형성될 수 있는데, 측벽 지지부(252)는 지지홀더부재(251)가 레일부재(110) 측으로 이동될 때, 측벽(221)에 접촉되어 지지홀더부재(251)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으며, 더불어 회전 방지부(253)는 레일부재(110)에 저면부(222)에 지지되어 지지홀더부재(251)의 회전을 차단시킬 수 있다.The support holder member 25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side wall support portion 252 supported on the side wall of the rail member 110 and a rotation support portion 252 provided on the bottom portion of the rail member 110, Prevention part 253. The end of the support holder member 251 can be formed so as to conform to the end surface of the rail member 110. The side wall support portion 252 is configured such that when the support holder member 251 is moved toward the rail member 110 side, The rotation preventing portion 253 is supported by the bottom surface portion 222 of the rail member 110 to limit the rotation of the support holder member 251 .

본 실시 예에 따른 홀더이동 안내부(255)는, 지지홀더부재(251)에 결합되되 홀더이동 구동부(260)에 의해 이동되는 홀더이동부재(256)와, 캐리어 유닛(141)에 설치되어 홀더이동부재(256)의 이동을 안내하는 리니어 가이드(257)를 포함할 수 있다. 홀더이동부재(256)는 리니어 가이드(257)에 결합되어 안내되는데, 상단부가 후술되는 볼스크류 모듈(263)의 암 스크류(265)에 연결되며, 하단부는 지지홀더부재(251)에 결합된다.The holder movement guide portion 255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holder moving member 256 which is coupled to the support holder member 251 and is moved by the holder movement driving portion 260, And a linear guide 257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movable member 256. [ The holder moving member 256 is coupled to the linear guide 257 so that the upper end thereof is connected to the female screw 265 of the ball screw module 263 to be described later and the lower end thereof is coupled to the support holder member 251.

이러한 홀더이동부재(256)를 이동시킬 수 있는 홀더이동 구동부(260)는, 캐리어 유닛(141)에 설치되는 홀더이동모터(261)와, 홀더이동부재(256)가 연결되되 홀더이동모터(261)에 의해 구동되어 홀더이동부재(256)를 이동시키는 볼스크류 모듈(263)을 포함할 수 있다.The holder movement drive unit 260 capable of moving the holder movement member 256 is connected to the holder movement motor 261 provided to the carrier unit 141 and the holder movement member 256, And a ball screw module 263 which is driven by the guide member 262 to move the holder moving member 256.

홀더이동모터(261)가 회전되어 볼스크류 모듈(263)의 스크류 환봉(264)이 회전될 때, 암 스크류(265)가 스크류 환봉(264)을 타고 이동될 수 있으며, 암 스크류(265)에 연결되어 있는 홀더이동부재(256)가 이동되어 지지홀더부재(251)는 레일부재(110) 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When the holder moving motor 261 is rotated so that the screw round bar 264 of the ball screw module 263 is rotated, the arm screw 265 can be moved on the screw round bar 264, The connected holder moving member 256 is moved so that the supporting holder member 251 can be moved toward the rail member 110 side.

본 실시 예에 따르면 홀더이동모터(261)는, 볼스크류 모듈(263)과 이격되어 볼스크류 모듈(263)과 나란하게 배치되어 스크류 환봉(264)을 회전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홀더이동 구동부(260)는, 홀더이동모터(261)의 회전축에 결합되어 회전되는 구동풀리(266)와, 구동풀리(266)와 구동벨트(267)에 의해 연결되며 볼스크류 모듈(263)의 스크류 환봉(264)에 결합되는 종동풀리(268)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holder moving motor 261 can be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ball screw module 263 and spaced apart from the ball screw module 263 to rotate the screw round bar 264. To this end, the holder movement drive unit 260 includes a drive pulley 266 coupled to the rotation shaft of the holder movement motor 261 and connected to the drive pulley 266 by a drive belt 267, And a driven pulley 268 coupled to the screw round bar 264 of the screw 263.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such modifications or variations are intended t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00: 대상물 101: 레일시스템
102: 직진구간 103: 커브연결구간
104: 분기 및 합류구간 105: 반송포트
107: 분기영역 108: 합류영역
110: 주행레일 111: 분기 및 합류레일
112: 직진분기가이드 113: 커브분기가이드
115: 직진레일본체 116: 분기레일본체
117: 레일부재 131: 커브합류가이드
132: 합류직진가이드 140: 대차장치
141: 캐리어 유닛 142: 캐리어 본체
144: 구동바퀴 145: 지지롤러
146: 주행모터 147: 커버프레임
148: 이동바 150: 분기롤러유닛
151, 152: 분기롤러 153: 회전샤프트
154: 회전축 155: 시소부
156: 회전힌지 157: 시소부재
158: 센터복귀 접촉부 159: 지지캠
160: 분기접촉 이동부 161: 복귀이동블록
162: 이동환봉 163: 센터복귀부재
164: 코일스프링 165: 지지턱
170: 슬라이드 이동장치 175: 적재승강장치
176: 척 그립퍼유닛 177: 승강유닛
180: 낙하방지장치 181: 회전지지부재
185: 낙하방지 구동부 186: 회전링크
187: 지지링크 188: 링크구동모듈
190: 솔레노이드 191: 솔 바디
192: 솔 로드 199: 아이들 차륜
250: 지지홀더유닛 251: 지지홀더부재
252: 측벽 지지부 253: 회전 방지부
255: 홀더이동 안내부 256: 홀더이동부재
257: 리니어 가이드 260: 홀더이동 구동부
261: 홀더이동모터 263: 볼스크류 모듈
264: 스크류 환봉 265: 암 스크류
266: 구동풀리 267: 구동벨트
268: 종동풀리
100: Object 101: Rail system
102: straight ahead section 103: curve connection section
104: branching and confluence period 105:
107: branching region 108: junction region
110: running rail 111: branching and joining rail
112: Straight branch guide 113: Curve branch guide
115: straight rail main body 116: branch rail main body
117: Rail member 131: Curve joining guide
132: joining straight ahead guide 140:
141: Carrier unit 142: Carrier body
144: drive wheel 145: support roller
146: Travel motor 147: Cover frame
148: movement bar 150: branching roller unit
151, 152: branching roller 153: rotary shaft
154: rotation axis 155: seesaw section
156: rotation hinge 157: seesaw member
158: center return contact portion 159: support cam
160: branch contact moving unit 161: return moving block
162: moving round bar 163: center return member
164: coil spring 165: support jaw
170: Slide moving device 175: Loading and unloading device
176: Chuck gripper unit 177: Lift unit
180: Fall prevention device 181:
185: drop prevention driving unit 186: rotation link
187: Support link 188: Link drive module
190: Solenoid 191: Sol Body
192: Sol Road 199: Children wheel
250: support holder unit 251: support holder member
252: side wall supporting portion 253:
255: holder movement guide part 256: holder movement member
257: Linear guide 260:
261: Holder moving motor 263: Ball screw module
264: screw round bar 265: female screw
266: drive pulley 267: drive belt
268: Follow pulley

Claims (16)

복수의 주행레일과 상기 복수의 주행레일을 상호 연결하는 분기 및 합류레일을 포함하되, 상기 주행레일과 상기 분기 및 합류레일이 연결되는 분기영역에 직진주행을 안내하는 직진분기가이드와 분기주행을 안내하는 커브분기가이드가 설치되는 레일시스템;
상기 레일시스템의 주행레일에 주행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출발지부터 목적지까지 대상물을 반송하는 캐리어 유닛; 및
상기 직진주행 및 상기 분기주행 중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상기 캐리어 유닛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는 복수의 분기롤러를 구비하며, 상기 캐리어 유닛이 상기 분기영역으로 진입될 때, 상기 복수의 분기롤러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직진분기가이드와 상기 커브분기가이드 중 어느 하나에 접촉 지지되어 안내되는 분기롤러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분기롤러유닛은,
상기 캐리어 유닛 상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일단부와 타단부의 상면부가 상호 경사지게 마련되는 시소부; 및
상기 캐리어 유닛의 주행방향에 교차하는 폭 방향으로 설치되되, 상기 시소부의 회전범위를 제한하고, 상기 시소부를 복귀시킬 수 있는 분기접촉 이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시스템.
A branching guide for guiding a straight running to a branching area to which the traveling rail and the branching and joining rails are connected, and a branching traveling guide for guiding the traveling of the branching and joining rails A rail system in which a curve branching guide is installed;
A carrier unit installed to be able to run on a running rail of the rail system and to transport an object from a starting point to a destination; And
And a plurality of branch rollers rotatably installed in the carrier unit so that any one of the straight traveling and the branching traveling is selectively carried out, and is vertically moved. When the carrier unit enters the branching region, Wherein one of the plurality of branching rollers is guided while being held in contact with any one of the linear branching guide and the curve branching guide,
Wherein the branching roller unit comprises:
A seesick portion rotatably installed on the carrier unit, wherein the seesaw portion is provided such that the upper surfaces of the one end portion and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other end portion are inclined with respect to each other; And
Further comprising a branch contact moving section which is provided in a width direction intersecting the running direction of the carrier unit and which limits the rotation range of the seesection and can return the sees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분기롤러는, 회전운동에 의해 상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직진분기가이드 및 상기 커브분기가이드 중 어느 하나에 접촉 지지되도록, 상호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lurality of branching rollers are arranged to be inclined so as to be moved upward by rotational movement and to be contacted with any one of the linear branching guide and the curve branching guid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소부는,
상기 분기롤러가 설치되는 시소부재;
상기 시소부재의 중앙부에 설치되어 상기 시소부재의 회전을 제공하는 회전힌지; 및
상기 회전힌지에 설치되되, 상기 시소부재의 회전 시에 상기 분기접촉 이동부에 접촉되는 센터복귀 접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esaw unit,
A seesection member provided with the branching rollers;
A rotation hinge provided at a central portion of the seesick member to provide rotation of the seesaw member; And
And a center return contact portion provided on the rotary hinge and contacting the branch contact moving portion when the seesection member is rotated.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분기접촉 이동부는,
상기 캐리어 유닛 상에서 상기 주행레일의 폭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센터복귀 접촉부에 접촉되는 복귀이동블록;
상기 복귀이동블록이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환봉; 및
상기 캐리어 유닛 상에 설치되어 상기 복귀이동블록이 이동될 때, 상기 복귀이동블록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센터복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시스템.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branch contact moving unit comprises:
A return moving block installed on the carrier unit so as to be movable in a width direction of the running rail and contacting the center return contact portion;
A moving circular rod to which the return moving block is movably installed; And
And a center return member provided on the carrier unit to elastically support the return moving block when the return moving block is moved.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복귀부재는, 상기 이동환봉에 설치되어 상기 복귀이동블록을 상기 이동환봉의 중심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는 한 쌍의 코일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시스템.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center return member is a pair of coil springs installed on the moving round bar and capable of returning the return moving block to the center position of the moving round bar.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복귀 접촉부는, 상기 회전힌지의 단부에 결합되되, 상기 복귀이동블록에 접촉되도록 부채꼴 형상으로 마련되는 지지캠을 구비하며,
상기 복귀이동블록은, 상기 지지캠을 사이에 두고 상호 대향하게 배치되어 상기 지지캠에 접촉될 수 있는 한 쌍의 지지턱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시스템.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center return contact portion includes a support cam that is engaged with an end portion of the rotary hinge and is provided in a fan shape to contact the return movement block,
Wherein the return moving block includes a pair of support tines which are arranged to face each other with the support cam therebetween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support ca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시스템은,
상기 커브분기가이드의 연결되어 상기 분기레일을 따라 상기 합류영역으로 배치되되, 상기 분기롤러 중 다른 하나의 분기롤러가 반대 면에 접촉 지지되는 커브합류가이드; 및
상기 합류영역에 배치되는 상기 주행레일을 따라 배치되어 상기 커브합류가이드에 연결되는 합류직진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rail system comprises:
A curve joining guide connected to the curve branching guide and disposed along the branching rail in the joining region, wherein the other branching roller of the branching roller is contactably supported on the opposite surface; And
And a joining straight guide disposed along the running rail disposed in the joining region and connected to the curve joining guid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유닛은,
상기 주행레일에 이격되어 설치되는 복수의 캐리어 본체;
상기 캐리어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주행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한 쌍의 구동바퀴; 및
상기 캐리어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캐리어 본체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상기 주행레일에 지지되는 한 쌍의 지지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시스템.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carrier unit comprises:
A plurality of carrier bodies spaced apart from the running rail;
A pair of driving wheels installed on the carrier body and moving along the traveling rail; And
And a pair of support rollers mounted on the carrier main body and supported by the running rail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carrier main body.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유닛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대상물을 상기 캐리어 유닛의 중심라인으로부터 편향되게 이동시킬 수 있는 슬라이드 이동장치; 및
상기 슬라이드 이동장치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대상물을 집어 올리고 내릴 수 있는 적재승강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시스템.
10. The method of claim 9,
A slide moving device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carrier unit and capable of moving the object in a deflected direction from a center line of the carrier unit; And
Further comprising a loading and unloading device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slide moving device and capable of picking up and dropping the object.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승강장치는,
상기 대상물을 잡을 수 있는 척 그립퍼유닛; 및
상기 척 그립퍼유닛에 연결되어 상기 척 그립퍼유닛을 상하로 이동시키고 회전시킬 수 있는 승강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시스템.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loading /
A chuck gripper unit capable of holding the object; And
And a lift unit connected to the chuck gripper unit and capable of moving the chuck gripper unit up and down and rotating the chuck gripper unit.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캐리어 본체에 설치되되, 상기 대상물이 내부로 인입되어 안치되는 커버프레임; 및
상기 커버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대상물을 지지하는 낙하방지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시스템.
12. The method of claim 11,
A cover frame which is installed on the plurality of carrier bodies and into which the object is drawn and is placed; And
Further comprising: a fall preventing device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cover frame to support the object.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낙하방지장치는,
상기 커버프레임의 하부에 대향하게 배치되되, 상기 커버프레임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대상물을 지지하는 한 쌍의 회전지지부재; 및
상기 회전지지부재를 회전시키도록 상기 커버프레임에 결합되는 낙하방지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시스템.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drop prevention device includes:
A pair of rotation support members disposed to face the lower portion of the cover frame and rotatably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cover frame to support the object; And
And a drop prevention driving unit coupled to the cover frame to rotate the rotation support member.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낙하방지 구동부는,
상기 회전지지부재의 하부에 일단부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타단부가 상기 커버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링크;
상기 회전링크에 일단부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타단부가 상기 커버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링크; 및
상기 회전링크에 일단부가 결합되며, 타단부가 상기 커버프레임에 결합되되, 상기 회전링크를 회전시켜 상기 회전지지부재를 회전시킬 수 있는 링크구동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시스템.
14. The method of claim 13,
The drop prevention driving unit includes:
A rotary link having one end rotatably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rotation support member and the other end rotatably coupled to the cover frame;
A support link having one end rotatably coupled to the rotation link and the other end rotatably coupled to the cover frame; And
And a link drive module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rotating link and the other end coupled to the cover frame, the link driving module being capable of rotating the rotating link to rotate the rotating supporting member.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구동바퀴는, 상기 한 쌍의 구동바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되, 커브구간의 주행 시에 상기 한 쌍의 구동바퀴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주행레일로부터 이격시켜 공회전시킬 수 있는 아이들 차륜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시스템.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pair of driving wheels are rotatably coupled to the pair of driving wheels so as to allow idle wheels to idly rotate any one of the pair of driving wheels away from the driving rail Further comprising: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유닛에 설치되어 상기 대상물의 편향된 위치에 따라 상기 캐리어 유닛을 상기 주행레일에 고정시키는 지지홀더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지지홀더유닛은,
상기 캐리어 유닛의 하부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대상물이 이동 시 이동되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대상물의 이동되는 방향의 반대 방향에 위치하는 상기 주행레일에 접촉 지지되는 지지홀더부재; 및
상기 지지홀더부재를 이동시키도록 상기 캐리어 유닛에 설치되는 홀더이동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시스템.
16. The method of claim 15,
Further comprising a support holder unit installed on the carrier unit and fixing the carrier unit to the running rail according to the deflected position of the object,
The support holder unit includes:
A support holder member movably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carrier unit and movable in a direction opposite to a direction in which the object is moved when the object is moved to be contacted with the running rail in a direction opposite to a moving direction of the object; And
And a holder moving device installed on the carrier unit to move the support holder member.
KR1020120152779A 2012-12-26 2012-12-26 Overhead hoist system Active KR10141935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2779A KR101419358B1 (en) 2012-12-26 2012-12-26 Overhead hoist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2779A KR101419358B1 (en) 2012-12-26 2012-12-26 Overhead hoist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4387A KR20140084387A (en) 2014-07-07
KR101419358B1 true KR101419358B1 (en) 2014-07-16

Family

ID=517342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2779A Active KR101419358B1 (en) 2012-12-26 2012-12-26 Overhead hoist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9358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09554A (en) * 2017-06-23 2020-02-18 弗莱林克有限公司 Pallet for a conveyor system, conveyor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such a conveyor 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77187B2 (en) * 2017-01-31 2020-04-08 株式会社ダイフク Goods transport equipment
JP6717243B2 (en) * 2017-03-14 2020-07-01 株式会社ダイフク Goods transport facility
JP6743750B2 (en) * 2017-04-14 2020-08-19 株式会社ダイフク Goods transport facility
CN109319402B (en) * 2018-09-27 2024-04-09 湖南天信船用配套设备制造有限公司 Pulley supporting mechanism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4838B1 (en) * 2005-12-14 2006-12-08 삼성전자주식회사 Conveyer
KR20100114846A (en) * 2009-04-16 2010-10-26 무라다기카이가부시끼가이샤 Transport vehicle system
JP2012006432A (en) * 2010-06-23 2012-01-12 Murata Machinery Ltd Conveyance vehicle syste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4838B1 (en) * 2005-12-14 2006-12-08 삼성전자주식회사 Conveyer
KR20100114846A (en) * 2009-04-16 2010-10-26 무라다기카이가부시끼가이샤 Transport vehicle system
JP2012006432A (en) * 2010-06-23 2012-01-12 Murata Machinery Ltd Conveyance vehicle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09554A (en) * 2017-06-23 2020-02-18 弗莱林克有限公司 Pallet for a conveyor system, conveyor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such a conveyor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4387A (en) 2014-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9356B1 (en) Carrier and overhead hoist system including the same
KR101521498B1 (en) Rail car and overhead hoist shuttle or transport system using the same
KR101436905B1 (en) Rail car and overhead hoist shuttle or transport system using the same
JP5590422B2 (en) Goods transport equipment
KR101473832B1 (en) Overhead hoist system
KR101419359B1 (en) Rail car and overhead hoist shuttle or transport system using the same
TWI687368B (en) Article transport facility
CN102923427B (en) Article transport equipment
JP6202199B2 (en) Transport system and transport method
TWI676589B (en) Transfer trolley and transfer trolley system
JP5477651B2 (en) Goods transport equipment
KR101479941B1 (en) Rail car
KR101504146B1 (en) Overhead hoist shuttle system
KR20120134034A (en) Article transport facility
KR101419358B1 (en) Overhead hoist system
CN1982175A (en) Transferring apparatus
KR102773902B1 (en) Overhead transport vehicle
JPWO2015174181A6 (en) Transport system and transport method
CN104418236A (en) Conveyer
KR101407417B1 (en) Overhead hoist tranport
KR101407418B1 (en) Overhead hoist transport
KR101504145B1 (en) Overhead hoist system and carrier thereof
JP7276258B2 (en) carriage and carriage system
KR101419357B1 (en) Overhead hoist system
KR101396226B1 (en) Overhead hoist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122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20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50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7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07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62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62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624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