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418893B1 - 돌기포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포 - Google Patents

돌기포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8893B1
KR101418893B1 KR1020120146226A KR20120146226A KR101418893B1 KR 101418893 B1 KR101418893 B1 KR 101418893B1 KR 1020120146226 A KR1020120146226 A KR 1020120146226A KR 20120146226 A KR20120146226 A KR 20120146226A KR 101418893 B1 KR101418893 B1 KR 1014188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arn
protrusions
yarns
cloth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62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77421A (ko
Inventor
박성우
강윤화
윤석천
Original Assignee
(주)풍전티.티
한국섬유개발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풍전티.티, 한국섬유개발연구원 filed Critical (주)풍전티.티
Priority to KR10201201462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8893B1/ko
Publication of KR201400774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74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88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8893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4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yarns or threads
    • D03D15/44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yarns or threads with specific cross-section or surface shape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0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by the materials from which they are made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2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blending, filament/fibre
    • D02G3/26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blending, filament/fibre with characteristics dependent on the amount or direction of twist
    • D02G3/28Doubled, plied, or cabled thread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2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blending, filament/fibre
    • D02G3/36Cored or coated yarns or thread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00Woven fabrics designed to make specified articles
    • D03D1/0017Woven household fabric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3/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special disposition of the warp or weft threads, e.g. with curved weft threads, with discontinuous warp threads, with diagonal warp or weft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2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 D03D15/208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cellulose-based
    • D03D15/217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cellulose-based natural from plants, e.g. cotton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2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 D03D15/283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synthetic polymer-based, e.g. polyamide or polyester fibre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4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yarns or threads
    • D03D15/41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yarns or threads with specific twis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3/00Stretching, tentering or spreading textile fabrics; Producing elasticity in textile fabric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7/00Heating or cooling textile fabric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201/00Cellulose-based fibres, e.g. vegetable fibres
    • D10B2201/01Natural vegetable fibres
    • D10B2201/02Cotton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2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10B2321/08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polymers of unsaturated carboxylic acids or unsaturated organic esters, e.g. polyacrylic esters, polyvinyl acet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otany (AREA)
  • Woven Fabrics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포용 경사와 위사를 준비하는 단계; 돌기용 경사를 준비하는 단계; 기포용 경사 10~30본 사이에 돌기용 경사를 1본씩 배열하는 제직준비 단계; 제직준비가 완료된 상태에서 기포용 위사를 이용하여 돌기포를 제직하여 포의 편면 또는 양면에 돌기밀도가 20~50개/10㎠가 형성되도록 하는 돌기포를 제조하는 단계; 제조된 돌기포를 150~180℃로 가열하여 돌기를 고정시키는 열처리 단계로 이루어지는 돌기포의 제조방법 및 그 돌기포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돌기포는 침구나 의자나 신발 등과 같이 사용 중에 신체와 접촉함에 있어 돌기 층과 피부 층간에 공기의 흐름을 원활히 하여 쾌적하고 안락한 환경을 얻을 수 있는 다양한 용도를 갖는 돌기포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돌기포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포{Manufacturing method of projection cloth and that's cloth}
본 발명은 돌기포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노약자의 개호 침구와 의자 커버와 신발 깔창 등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제조되는 포의 표면에 발생하는 크고 작은 사마귀 형태의 돌기 구조를 가지는 포(이하‘돌기포’라 칭함)를 제조하는 방법과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돌기포는 노약자용 개호용 침구, 가정용 침구, 의자커버 또는 신발 깔창 등으로 사용할 수 있는 바, 이는 포의 표면에 형성된 돌기가 침구와 피부간, 의자커버와 엉덩이 간, 신발 깔창과 발바닥 간에 공간을 형성하고, 그 공간 사이로 공기가 이동할 수 있어 사용 중에 쾌적함을 느끼게 되고 인체 피부에 지압 효과를 낼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그렇지만 지금까지 제품화된 포는 돌기부가 형성된 테이프 사나 의장사를 이용하여 작은 쌀알 모양의 외관과 까칠한 촉감을 가지는 의류용 포가 알려져 있으나 돌기가 작은 의류용이므로 노약자용 개호용 침구, 가정용 침구, 의자커버 또는 신발 깔창 등으로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현재 사용되고 있는 일반적인 침구는 침구용도로 별도로 설계되고 제조된 포를 사용하지 아니하고, 시중에서 일반적인 포를 구매하여 침구를 제조하기 때문에 쾌적한 수면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고, 의자커버로 사용하는 포는 의자에 앉아서 작업 중에 잘 미끄러지거나 엉덩이와 의자 커버 사이에 공간이 없이 밀착하여 땀이 차는 관계로 쾌적한 환경을 제공하지 못하는 결점이 있고 노약자용 개호용 침구는 특히 장기간 누워 지내야 하는 사람에게 흔히 발생하는 등창을 줄여주는 요가 필요하지만 아직까지 이에 적합한 제품이 출현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공개특허공보 10-2001-0064673호에는 일반원사로 제직한 원단직물을 다수의 엠보싱에 의하여 엠보싱 돌기를 형성한 후 고착제를 분무하여 돌기를 고정시킨 후 고온에서 열 세팅하여 탄력성을 갖도록 하는 다수의 엠보싱 돌기에 의해 탄력성을 갖는 직물 및 그 제조방법이 기재되어 있으나, 이는 직물에 주름을 주어 프리사이즈의 옷감을 제조하기 위한 것으로 옷의 부피를 졸일 수는 있고, 엠보싱에 의한 돌기나 주름이 펴지지 않는 장전은 있지만 직물에 쌀알 모양과 같은 돌기를 형성할 수는 없으며, 따라서 침구나 신발 깔창에서와 같은 지압 효과나 땀의 방출효과는 기대할 수 없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돌기가 확실한 돌기포를 제조하여 침구로 제작함으로써 노약자나 병약자 또는 어린이가 쾌적한 침구를 사용함으로 숙면을 취할 수 있는 침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포를 신발 깔창으로 사용하여 신발과 발바닥 간에 공간을 형성하여 땀의 발생을 줄이고, 땀의 방출을 용이하게 하며, 미끄러지지 않는 신발 깔창을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포를 의자 커버로 사용하여 엉덩이와 의자 커버 간에 공간을 형성하여 땀이 차는 것을 줄이고, 사용 중에 미끄러지지 않으며, 엉덩이에 지압 효과를 내는 쾌적한 환경을 제공함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편면 또는 양면의 포면(布面)에 돌기를 형성하고 용도에 따라 돌기의 크기와 높이 및 경도(硬度)를 결정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돌기포의 제조방법은
목적에 맞추어 기포용 경사와 위사를 준비하는 단계;
돌기용 경사를 준비하는 단계;
기포용 경사 10~30본 사이에 돌기용 경사를 1본씩 배열하는 제직준비 단계;
제직준비가 완료된 상태에서 기포용 위사를 이용하여 돌기포를 제직하여 포의 편면 또는 양면에 돌기밀도가 20~50개/10㎠가 형성되도록 하는 돌기포를 제조하는 단계;
제조된 돌기포를 150~180℃로 가열하여 돌기를 고정시키는 열처리 단계로 이루어지는 돌기포의 제조방법과 그 돌기포를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기포용 경사와 위사는 목적에 따라
① 10수 면사를 2~3 합사하되 원래 꼬임의 반대 방향 또는 동일방향으로 200~500t/m을 가하여 사용하거나,
② 상기 합사와 100~200de의 폴리에스텔 저온 융착사(PET LMY)(이하 '저온융착사'라 칭함)를 합사하여 사용하거나,
③ 아크릴 방적 선염사 10수 굵기의 사를 3합하여 사용하거나,
④ 상기 아크릴 방적 선염사 10수 3합과 100~200de의 저온 융착사를 합사하여 사용할 수도 있고,
⑤ 열가소성수지 코팅사의 직경이 0.15 ~4.0mm인 사를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포의 편면 또는 양면에 형성되는 돌기용 경사로는
① 10~15수 면사를 10~30가닥을 합사하여 원래의 꼬임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20~100t/m으로 가연하여 속(束)을 만들어 사용하거나,
② 10~15수 면사를 10~30가닥을 합사하여 원래의 꼬임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5~50t/m으로 가연하여 속을 만들어 사용하거나
③ 10~15수 면사를 10~15가닥과 200de의 저온 융착사 1가닥 또는 복수의 가닥을 합연하여 한 속의 실을 만들어 사용할 수도 있고,
④ 아크릴 방적 선염사 10수 2~5합과 100~200de의 저온 융착사를 합연하여 사용할 수도 있고,
⑤ 상기한 열가소성수지 코팅사의 직경이 0.15~4.0mm인 사를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에서 제조된 돌기포를 열처리하는 것은 저온 융착사를 이용하는 경우 저온융착사를 용융시켜 돌기를 보다 딱딱해지도록 하기 위하여 필요한 것이며, 이때 별도의 열처리 대신 텐터(tenter) 가공으로 대체할 수 있으며 이때에는 돌기를 일정 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압력을 가하면서 텐터 가공하면 편리하다.
또한, 상기에서 돌기용 경사를 다수 배열할 수도 있으나 기포용 경사 10~30본 사이에 돌기용 경사를 1본씩 배열하는 이유는 기포용 경사 10본 이내로 돌기용 경사를 배열하면 돌기가 너무 많아 돌기 효과가 적을 뿐만 아니라 제직이 어려운 문제가 있으며, 기포용 경사 30본을 초과하여 돌기용 경사를 배열하면 돌기가 너무 성글어 기포가 피부에 직접 접촉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돌기용 경사나 기포용 경위사에 저온 융착사를 합사하여 이용하는 것은 신발 깔창용이나 의자 커버용 또는 등창 요 등으로 사용할 때 체중에 의해 기포가 튼튼해야 돌기가 납작해지거나 무너지지 않고 직립(直立)하여야 하기 때문이며, 좀 더 경도(硬度)를 높이기 위해서는 저온 융착사의 사용 비율을 높여주면 된다.
또한, 상기한 돌기포는 기포를 겹으로 하여 기포를 더욱 단단하고 두껍게 하면서 내·외층에도 돌기가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고, 식물성 섬유사 뿐만 아니라 소비자의 요구에 따라 합성섬유사를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돌기포는 침구나 의자나 신발 등과 같이 사용 중에 신체와 접촉함에 있어 돌기 층과 피부 층간에 공기의 흐름을 원활히 하여 쾌적하고 안락한 환경을 얻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돌기포를 의자 커버용으로 사용하면 돌기에 의해 엉덩이가 의자에서 미끄러지지 않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돌기포를 침구로 제작함으로써 노약자나 병약자 또는 어린이가 쾌적한 침구를 사용함으로 숙면을 취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포를 신발 깔창으로 사용하면 신발과 발바닥 간에 공간을 형성하여 땀의 발생을 줄이고, 땀의 방출을 용이하게 하며, 미끄러지지 않을 뿐만 아니라 발바닥의 지압효과까지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목적에 따라 천연섬유사는 물론 합성수지사 또는 열가소성수지 코팅사까지 다양한 원료를 이용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이하에 본 발명을 그 용도별로 실시예를 겸하여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권리가 실시예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저온 융착사의 사용비율은 돌기포의 목적과 (요구되는 경도)에 따라 증감할 수 있으며, 열처리 온도 역시 저온 융착사의 (종류의) 용융 온도에 따라 처리온도를 설정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기포와 돌기의 각도를 조정하기 위해서 텐터 시에 돌기를 원하는 방향으로 눌러주는 장치를 이용하면 쉽게 돌기의 각도를 조정할 수 있다.
<실시예 1>
아기 이불용 돌기포
아기 이불용 돌기포는 기포의 촉감이 부드럽고, 돌기 역시 딱딱하지 않아야 한다. 따라서 기포와 돌기에 각각 식물성 섬유사를 사용한다.
기포용 경·위사로 10수 면사를 2합하되 원래 꼬임과 반대 방향으로 300t/m을 가하여 경·위사로 사용하고, 돌기용 경사는 10수 면사 15가닥을 합사하여 원래의 꼬임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30t/m으로 가연한 사속(絲束)을 만들어 평직으로 포의 양면에 돌기밀도가 30개/10㎠가 형성되도록 제직한 후 머서라이징(mercerizing) 가공하고 수세한 후, 제조된 돌기포를 160℃의 텐터에서 열처리 공정으로 돌기포를 제조하였다.
이는 기포 및 돌기가 모두 부드러운 면사로 되어 있어 피부 친화적이고, 특히 돌기용 경사의 꼬임이 풀어져 부드러운 돌기가 형성되어 촉감이 부드럽고, 돌기 역시 딱딱하지 않아 아기 이불용 돌기포로 이용하기에 적합하였다.
<실시예 2>
의자 커버용 또는 신발 깔창용 돌기포
기포용 경·위사로 아크릴 방적 선염사 10수 3합과 150de의 저온 융착사를 합사하여 원래 꼬임과 같은 방향으로 300t/m을 가하여 경·위사로 배열 사용하고, 돌기용 경사는 아크릴 방적 선염사 10수 2합과 100de의 저온 융착사를 합연하여 평직으로 포의 편면에 돌기밀도가 30개/10㎠가 형성되도록 제직한 후 170℃의 텐터에서 돌기를 고정시키는 열처리 공정으로 돌기포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돌기포는 기포가 두껍고 빳빳하며, 돌기 역시 딱딱하고 뻣뻣하여 체중에 돌기포가 눌려도 돌기가 납작해지거나 무너지지 않고 직립(直立)을 유지하고 있어 의자 커버용 또는 신발 깔창용 돌기포로 이용하기에 적합하였다.
<실시예 3>
침구용 돌기포 (1)
면사 10수 3가닥과 저온 융착사 150de를 면사의 초연(初撚; 원래 꼬임)과 반대방향으로 300t/m으로 연사하여 기포용 경위사로 사용하고, 10수 굵기 면사 30가닥을 하나의 묶음(一束)으로 하여 초연과 반대 방향으로 50t/m으로 꼬임을 가하여 돌기용 경사로 사용하여 평직으로 포의 편면에 돌기밀도가 30개/10㎠가 형성되도록 제직한 후 머세라이징(mercerizing) 가공하여 침구용 돌기포를 제조한 후 그 돌기포를 이용하여 침구용 포를 얻었다.
침구용 돌기포 (2)
10수 굵기의 면사를 초연과 같은 방향으로 각각 250t/m으로 꼬임을 가하여 30가닥을 하나의 묶음으로 하여 돌기용 경사로 사용한 것 외에는 상기 침구용 돌기포(1)와 같은 방법으로 침구용 돌기포를 얻었다.
얻어진 포는 기포의 경도가 높고, 저온 융착사에 의하여 섬유 사속이 단단하게 뭉쳐 돌기가 빠지지 않고 내구성이 양호하며 돌기가 기포에 수직으로 직립(直立)하여 침구로 제작하였을 때 노약자나 병약자 또는 어린이까지 숙면을 취할 수 있는 쾌적한 침구가 되었다.
<실시예 4>
의자 커버와 신발 깔창용 돌기포 (1)
아크릴 방적 선염사(先染絲) 10수 굵기의 사를 3합하여 기포용 경위사로 사용하고, 아크릴 방적 선염사 10수 2합과 저온 융착사 100de를 합연(合撚)하여 돌기용 경사로 사용하여 평직으로 포의 편면에 돌기밀도가 40개/10㎠가 되도록 제직한 후 170℃에서 열고정하고, 이어서 텐터에서 돌기를 한쪽 방향으로 눕히면서 가공하여 돌기포를 얻었다.
의자 커버와 신발 깔창용 돌기포 (2)
열가소성수지 코팅사의 직경이 1mm인 것을 경위사 및 돌기용 사로 사용하고 경사밀도를 35본/인치로 한 것 외에는 상기 의자 커버와 신발 깔창용 돌기포(1)과 같은 방법으로 의자 커버와 신발 깔창용 돌기포를 얻었다.
얻어진 돌기포를 의자용 커버로 이용할 경우 엉덩이와 의자 커버 간에 공간이 형성되어 땀이 차지 않으며 미끄러지지 않는 쾌적한 의자용 커버가 되었으며, 신발 깔창으로 사용한 경우에도 신발과 발바닥 간에 공간층을 형성하여 발에 땀이 차지 않으며 미끄러지지 않는 깔창이 되었다.

Claims (8)

  1. 돌기포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기포용 경사와 위사를 준비하는 단계;
    돌기용 경사를 준비하는 단계;
    기포용 경사 10~30본 사이에 돌기용 경사를 1본씩 배열하는 제직준비 단계;
    제직준비가 완료된 상태에서 기포용 위사를 이용하여 돌기포를 제직하여 포의 편면 또는 양면에 돌기밀도가 20~50개/10㎠가 형성되도록 하는 돌기포를 제조하는 단계;
    제조된 돌기포를 150~180℃로 가열하여 돌기를 고정시키는 열처리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기포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기포용 경사와 위사는
    ① 10수 면사를 2~3 합사하되 원래 꼬임의 반대방향으로 200~500t/m을 가하여 되는 사,
    ② 상기 합사와 100~200de의 저온 융착사를 합사하여 되는 사,
    ③ 아크릴 방적 선염사 10수 굵기의 사를 3합하여 되는 사,
    ④ 상기 아크릴 방적 선염사 10수 3합과 100~200de의 저온 융착사를 합사하여 되는 사,
    ⑤ 열가소성수지 코팅사의 직경이 0.15~4mm인 사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가지 사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기포의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돌기용 사는
    ① 10~15수 면사를 10~30가닥을 합사하여 원래의 꼬임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20~100t/m으로 가연하여 속(束)으로 만든 사,
    ② 10~15수 면사를 10~30가닥을 합사하여 원래의 꼬임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5~50t/m으로 가연하여 속으로 만든 사,
    ③ 10~15수 면사를 10~15가닥과 200de의 저온 융착사를 합연하여 한 속의 실로 만든 사,
    ④ 아크릴 방적 선염사 10수 2~5합과 100~200de의 저온 융착사를 합연하여 되는 사,
    ⑤ 열가소성수지 코팅사의 직경이 0.15~4mm인 사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가지 사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기포의 제조방법.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돌기포와 돌기의 각도를 조정하기 위해서 텐터 시에 돌기를 원하는 방향으로 눌러주는 장치로 돌기의 각도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기포의 제조방법.
  5.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돌기포가 기포를 겹으로 구성하며, 내·외층에 돌기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기포의 제조방법.
  6.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돌기포.
  7. 제 4항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돌기포.
  8. 제 5항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돌기포.
KR1020120146226A 2012-12-14 2012-12-14 돌기포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포 Active KR1014188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6226A KR101418893B1 (ko) 2012-12-14 2012-12-14 돌기포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6226A KR101418893B1 (ko) 2012-12-14 2012-12-14 돌기포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7421A KR20140077421A (ko) 2014-06-24
KR101418893B1 true KR101418893B1 (ko) 2014-07-18

Family

ID=511293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6226A Active KR101418893B1 (ko) 2012-12-14 2012-12-14 돌기포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889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7037A (ko) 2017-09-05 2019-03-14 권은순 땀에 의하여 스포츠웨어가 피부에 부착함을 방지하는 파일을 갖는 스포츠웨어용 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1849U (ko) * 1996-06-07 1998-03-30 화물차용 사이드 게이트 록킹장치
KR200324744Y1 (ko) 2003-05-21 2003-08-27 구본현 방적사와 방사 필라멘트사의 특징을 동시에 갖는 제직용 실
KR20120048123A (ko) * 2010-11-05 2012-05-15 (주)풍전티.티 침장용 쿠션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1849U (ko) * 1996-06-07 1998-03-30 화물차용 사이드 게이트 록킹장치
KR200324744Y1 (ko) 2003-05-21 2003-08-27 구본현 방적사와 방사 필라멘트사의 특징을 동시에 갖는 제직용 실
KR20120048123A (ko) * 2010-11-05 2012-05-15 (주)풍전티.티 침장용 쿠션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7037A (ko) 2017-09-05 2019-03-14 권은순 땀에 의하여 스포츠웨어가 피부에 부착함을 방지하는 파일을 갖는 스포츠웨어용 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7421A (ko) 2014-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299367B (ko)
JP2015533688A (ja) 断熱複合布
JP5498544B2 (ja) 水洗い可能な長繊維布団
CN108263052A (zh) 一种透湿保温弹性复合面料
TWI639740B (zh) 多重紗布之織造方法以及多重紗布之編製物
US11202514B1 (en) Ventilated mattress core
KR101418893B1 (ko) 돌기포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포
KR20120080980A (ko) 두께가 자기제어되는 보온성 원단
KR20190043418A (ko) 보온성과 촉감이 우수한 3d 스페이서 원단 및 그 제조방법
JP2004107800A (ja) 立体横編物
JP2004190191A (ja) 放熱性立体編物
KR101261476B1 (ko) 침장용 쿠션포
CN213830625U (zh) 一种新型舒棉绒面料
CN212326026U (zh) 一种新型发热纤维被
JP6407250B2 (ja) ループ織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留具、並びに該留具と対となる雄型留具
JP3152904U (ja) 寝装用軽量積層品
JP3168319U (ja) 清涼感を得られる敷きパッド
KR200455459Y1 (ko) 하절기용 매트
JP3129646U (ja) 多層構造の寝具
CN215777043U (zh) 一种含相变材料的枕头
CN223103167U (zh) 高蓬松保暖的绒感纱布、纺织制品
JP3115918U (ja) 全てが織りによる通気性のあるマットの組み合わせ
CN213188996U (zh) 一种负离子席子
CN220517765U (zh) 一种调温纺织品及调温枕
CN220069010U (zh) 一种超柔性纺织鞋面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121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12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52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7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07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4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70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70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70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70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708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