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418655B1 - 신규한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철 이온 검출 방법 - Google Patents

신규한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철 이온 검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8655B1
KR101418655B1 KR1020120147846A KR20120147846A KR101418655B1 KR 101418655 B1 KR101418655 B1 KR 101418655B1 KR 1020120147846 A KR1020120147846 A KR 1020120147846A KR 20120147846 A KR20120147846 A KR 20120147846A KR 101418655 B1 KR101418655 B1 KR 1014186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und
formula
iron ions
present
ir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78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78466A (ko
Inventor
김성훈
손영아
배진석
이도현
Original Assignee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1478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8655B1/ko
Publication of KR201400784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84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86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8655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333/00Derivatives of thiocarbamic acids, i.e. compounds containing any of the groups, the nitrogen atom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 C07C333/14Dithiocarbamic acids; Derivatives thereof
    • C07C333/18Esters of dithiocarbamic acids
    • C07C333/20Esters of dithiocarbamic acids having nitrogen atoms of dithiocarbamate groups bound to hydrogen atoms or to acyclic carbon ato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25Colour; Spectral properties, i.e. comparison of effect of material on the light at two or more different wavelengths or wavelength bands
    • G01N21/31Investigating relative effect of material at wavelengths characteristic of specific elements or molecules, e.g.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 G01N21/33Investigating relative effect of material at wavelengths characteristic of specific elements or molecules, e.g.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using ultraviolet ligh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62Systems in which the material investigated is excited whereby it emits light or causes a change in wavelength of the incident light
    • G01N21/63Systems in which the material investigated is excited whereby it emits light or causes a change in wavelength of the incident light optically excited
    • G01N21/64Fluorescence; Phosphorescence
    • G01N21/6428Measuring fluorescence of fluorescent products of reactions or of fluorochrome labelled reactive substances, e.g. measuring quenching effects, using measuring "optrod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Chemical Reaction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Non-Biological Materials By The Use Of Chem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규한 화합물, 이를 포함하는 철 이온 검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철 이온 검출방법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높은 민감성 및 선택성으로 철 이온을 검출할 수 있으며, 상기 화합물의 광학적 변화는 육안으로도 쉽게 확인 가능하여 특별한 장비를 필요로 하지 않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합물을 복잡한 합성과정 없이 간단한 반응으로 제조하는 방법, 이를 이용하여 철 이온을 간편하게 검출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신규한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철 이온 검출 방법{Novel compound and detection method of iron ion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신규한 화합물, 이를 포함하는 철 이온 검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철 이온 검출방법에 대한 것이다.
화학 및 환경분야에서, 염료 센서를 이용한 금속 이온의 검출은 점점 더 많은 관심을 끌고 있다. 다양한 물질들을 선택적으로 인식하기 위하여, 지금까지 높은 선택도, 민감도 및 단순한 구조를 가지는 발색 화학센서가 지속적으로 개발되어 왔다.
대사과정에 있어서, 특히 철은 가장 중요한 원소 중 하나이다. 철은 식물 및 동물에 있어서 필수적이며, 환경적 및 생체적 재료에 널리 분포되어 있다. 만일 체내 철의 농도가 정상 수치를 초과한다면, 이는 잠재적으로 건강에 해를 끼칠 것이다. 또한, 철이 부족한 경우 빈혈증을 초래한다. 따라서, 선택적으로 철을 감지할 수 있는 새로운 발색 화학센서를 개발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지난 몇 년 동안, 발색 및 형광 화학 센서를 포함하는 다양한 철 감지 방법이 보고되어 왔다. 발색 센서는 값비싼 장비 없이도 육안으로 분석물질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따라서, 선택적으로 철 이온을 검출하며, 육안으로 색상변화를 확인할 수 있는 센서 개발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안트라퀴논계 화합물을 이용하여 철 이온을 선택적으로 검출할 수 있는 센서에 대해 연구하던 중, 안트라퀴논계 유도체와 카르바모디티올레이트를 이용하여 합성한 신규한 화합물이 철 이온을 높은 선택도로 검출함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신규한 화합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화학식 1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철이온 검출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이용한 철 이온의 검출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2105024470-pat00001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철 이온(Fe3 +) 검출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은 철 이온이 존재하는 경우 이와 반응하여 광학적 변화를 나타내기 때문에 이를 철 이온 검출용으로 이용할 수 있다. 철 이온은 상기 화합물의 도너부, 즉 디티오네이트기 사이에 결합함으로써, 상기 화합물의 분자 내 전하이동을 불활성화시킨다. 철 이온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에서 디티오네이트기를 갖는 아닐린 질소 원자는 강한 전자 제공능력을 가진 도너로서 기능하며, 전체 화합물은 D-π-A 구조를 가진다. 상기 구조로 인해 화학식 1의 화합물에서는 652 nm 및 709 nm 파장에서 흡수 피크가 나타난다. 그러나, 철 이온이 존재하는 경우 철 이온은 상기 도너부에 결합하며, 도너부의 전자 제공 능력을 감소시킴으로서 전체 화합물을 A-π-A 구조로 변화시킨다. 따라서, 분자 내 전하이동이 감소하고, 이는 652 nm 및 709 nm 파장에서의 흡수피크의 감소로 이어진다.
구체적인 일 실험예에 따르면, 철 이온을 첨가함에 따라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의 흡수 밴드는 652 nm 및 709 nm 파장에서 점점 감소하였다. 또한, 철 이온 첨가에 따라 육안으로 관찰되는 색상이 어두운 파란색에서 갈색으로 변하였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의 철 이온에 대한 검출 특이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다양한 금속 이온에 대하여 709 nm에서의 흡광도 변화를 측정하였다. 이때 사용된 금속은 Na+, Mg2 +, Pb2 +, Cd2 +, Ni2 +, Ca2 +, Cu2 +, Hg2 +, Zn2 +이었다. 금속이온이 존재할때 709 nm에서의 흡수도를 A, 금속이온이 존재하지 않을때 709 nm에서의 흡수도를 A0라고 하여, 각 금속마다 A0/A의 값을 도 3에 나타내었다. 이를 통해, 대부분의 금속 이온의 A0/A값이 0에 가까운 것에 비해, 철 이온은 약 2.5의 값을 나타내어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이 철 이온에 대한 검출 특이성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2의 화합물과 하기 화학식 3의 화합물을 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2105024470-pat00002
[화학식 2]
Figure 112012105024470-pat00003
[화학식 3]
Figure 112012105024470-pat00004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에 철 이온을 포함하는 분석 시료를 첨가하는 단계(단계 1) 및 상기 분석시료가 첨가된 화합물의 광학적 변화의 유무를 관측하는 단계(단계 2)를 포함하는 철 이온의 검출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단계 1은 철 이온을 포함하는 분석시료를 화학식 1의 화합물에 첨가하여 양 물질을 접촉시키는 단계이다. 필요한 경우, 접촉을 위한 용매를 적절하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분석시료 내에 철 이온이 존재하는 경우에 본 발명의 화학식 1의 화합물은 분자 내 전하 이동을 억제하여 색상 변화를 일으킨다.
상기 단계 2는 상기 분석시료가 첨가된 화합물의 광학적 변화를 측정하여 니
켈이온을 검출하기 위한 단계이다. 광학적 변화는 UV-Vis 분광기 또는 형광 광도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관측할 수 있으며 육안으로 관측 가능하다. 상기 분석시료 내에 철 이온이 존재하는 경우, 흡광도 밴드는 652 nm 및 709 nm에서 감소하며 색상이 푸른색에서 갈색으로 변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높은 민감성 및 선택성으로 철 이온을 검출할 수 있으며, 상기 화합물의 광학적 변화는 육안으로도 쉽게 확인 가능하여 특별한 장비를 필요로 하지 않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합물을 복잡한 합성과정 없이 간단한 반응으로 제조하는 방법, 이를 이용하여 철 이온을 간편하게 검출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하였을때, 상기 화합물의 흡수도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에 철 이온을 첨가하였을때, 첨가량에 따른 스펙트라의 변화 및 색상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철이온을 포함한 다양한 금속이온과 화학식 1의 화합물을 반응시켰을때 발광특성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철이온과 결합한 화학식 1의 화합물의 구조를 도시한 그림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합성
본 발명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하기와 같이 합성하였다.
Figure 112012105024470-pat00005
구체적으로, 테트라플루오로프탈릭 안하이드라이드(1, tetrafluorophthalic anhydride)을 1,4-디메톡시벤젠(2)과 프리델-크래프츠 반응시켜 테트라플루오로퀴니자린(3)을 합성하였다(수율 48%). 브롬이 풍부한 술폰산에서 화합물 3을 브롬화반응 시켰다. 그 결과의 화합물 4를 소듐 디에틸카르바모디티올레이트(5, sodium diethylcarbamodithiolat)와 반응시켜 복합체 화합물 6b를 합성하였다.
실험예 1: 안트라퀴논계 염료의 UV - vis 분석
Pariser-Parr-Pople molecular orbital method(PPP MO) 를 이용하여 안트라퀴논계 염료의 색상-구조 관계를 정량적으로 평가하였다.
이를 위하여 CH3CN에 용해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5×10-5mol/L)에 3 당량의 카르바모디티올레이트를 첨가하면서 UV-Vis spectra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그 결과, 첨가 후 652 nm 및 709 nm의 파장에서의 새로운 흡수피크가 나타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용액의 색상이 갈색에서 어두운 푸른색으로 바뀌었다. 이를 통해 안트라퀴논 핵의 2- 및 3- 위치에 카르바모디티올레이트 도너기의 도입이 흡수 피크의 적색이동을 유발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기존 화합물 4와 비교했을때, 약 228 nm정도 적색 이동 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2: 철이온 첨가량에 따른 발광특성 분석
아세토니트릴에 용해된 화학식 1의 화합물(5×10-5mol/L)에 Fe3 +를 적정하면서 UV -Vis spectra를 측정하고 이를 도 2에 나타내었다. 그 결과, 철이온 첨가에 따라 652 nm 및 709 nm 파장에서의 흡수피크의 강도가 점점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흡수의 감소는 Fe3 +의 배위로 인해, 아닐린 질소 원자에서 테트라플루오로안트라퀴논 모이어티로의 전자 이동이 불활성화되기 때문으로 추측된다. 화학식 1의 화합물에서, 디티오네이트기를 갖는 아닐린 질소 원자는 강한 전자-제공능력을 가진 전자 도너(donor)로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Fe3 +이온의 첨가로 인해 Fe3+이온이 아닐린의 N 및 디티오네이트의 S와 결합되고, 따라서 D-π-A 구조가 A-π-A 구조로 변하게 된다. 이는 아닐린 질소원자로부터 테트라플루오로안트라퀴논 모이어티로의 분자내 전하 이동을 감소시키고, 따라서 흡수피크의 강도가 감소하게 된다.
실험예 3: 다른 이온에 대한 발광특성 분석
실험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다양한 양이온 Na+, Mg2 +, Pb2 +, Cd2 +, Ni2 +, Ca2+, Cu2 +, Hg2 +, Zn2 +을 아세토니트릴에 용해된 화학식 1의 화합물(5×10-5mol/L)에 적정하면서 발광특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실험된 양이온에서 특정한 스펙트라의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고, 이를 통해 화학식 1의 화합물이 철 이온만 선택적으로 검출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상기 다양한 금속 이온 첨가시, 금속이온이 존재할때 709 nm에서의 흡수도를 A, 금속이온이 존재하지 않을때 709 nm에서의 흡수도를 A0라고 하여, 각 금속마다 A0/A 의 값을 도 3에 나타내었다. 이를 통해, 대부분의 금속 이온의 A0/A 값이 0에 가까운 것에 비해, 철 이온은 약 2.5의 값을 나타내어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이 철 이온에 대한 검출 특이성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4: 화학식 1의 화합물과 Fe 3 + 이온의 결합을 이론적으로 계산
Materials Studio 4.2 팩키지의 DMol3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화학식 1의 화합물과 Fe3 +이온의 결합을 이론적으로 계산하였다. 이를 통해 계산되고 최적화된 화학식 1의 화합물과 Fe3 + 이온의 결합구조를 도 4에 나타내었다. 이를 통해 Fe3 +이온이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도너부에 결합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5)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화학식 1]
    Figure 112012105024470-pat00006
    .
  2. 제1항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철 이온(Fe3 +) 검출용 조성물.
  3.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제조방법:
    [화학식 1]
    Figure 112012105024470-pat00007
    .
    [화학식 2]
    Figure 112012105024470-pat00008

    [화학식 3]
    Figure 112012105024470-pat00009
    .
  4. 제1항의 화합물에 철 이온을 포함하는 분석 시료를 첨가하는 단계; 및
    상기 분석시료가 첨가된 화합물의 광학적 변화의 유무를 관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철 이온의 검출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적 변화는 UV-Vis(Ultraviolet-visible)분광기 또는 형광광도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하여 관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 이온의 검출 방법.

KR1020120147846A 2012-12-17 2012-12-17 신규한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철 이온 검출 방법 Active KR1014186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7846A KR101418655B1 (ko) 2012-12-17 2012-12-17 신규한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철 이온 검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7846A KR101418655B1 (ko) 2012-12-17 2012-12-17 신규한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철 이온 검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8466A KR20140078466A (ko) 2014-06-25
KR101418655B1 true KR101418655B1 (ko) 2014-07-10

Family

ID=511300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7846A Active KR101418655B1 (ko) 2012-12-17 2012-12-17 신규한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철 이온 검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865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47411A (en) 1984-11-06 1987-03-03 Nippon Shokubai Kagaku Kogyo Co., Ltd. 5,6,7,8-tetrafluoroanthraquinone derivatives
KR20040050715A (ko) * 2002-12-03 2004-06-16 롬 앤드 하스 캄파니 액체 탄화수소의 마킹방법
US6852680B2 (en) 2001-10-26 2005-02-08 Ethyl Corporation Dithiocarbamates containing alkylthio and hydroxy substituents
KR20070014292A (ko) * 2005-07-28 2007-02-01 주식회사 아이센스 전기화학적 당화단백질 검출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47411A (en) 1984-11-06 1987-03-03 Nippon Shokubai Kagaku Kogyo Co., Ltd. 5,6,7,8-tetrafluoroanthraquinone derivatives
US6852680B2 (en) 2001-10-26 2005-02-08 Ethyl Corporation Dithiocarbamates containing alkylthio and hydroxy substituents
KR20040050715A (ko) * 2002-12-03 2004-06-16 롬 앤드 하스 캄파니 액체 탄화수소의 마킹방법
KR20070014292A (ko) * 2005-07-28 2007-02-01 주식회사 아이센스 전기화학적 당화단백질 검출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8466A (ko) 2014-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Zhang et al. An RGH–MOF as a naked eye colorimetric fluorescent sensor for picric acid recognition
Tümay et al. Design of novel anthracene-based fluorescence sensor for sensitive and selective determination of iron in real samples
Wang et al. A novel fluorescent and colorimetric dual-channel sensor for the fast, reversible and simultaneous detection of Fe3+ and Cu2+ based on terthiophene derivative with high sensitivity and selectivity
Tümay et al. Novel iron (III) selective fluorescent probe based on synergistic effect of pyrene-triazole units on a cyclotriphosphazene scaffold and its utility in real samples
Tian et al. A novel turn-on Schiff-base fluorescent sensor for aluminum (III) ions in living cells
Li et al. A tetraphenylethylene-based “turn on” fluorescent sensor for the rapid detection of Ag+ ions with high selectivity
Jiang et al. An ultra-sensitive and ratiometric fluorescent probe based on the DTBET process for Hg 2+ detection and imaging applications
Lim et al. Highly selective fluorescent probe for switch-on Al3+ detection and switch-off F− detection
CN103952146B (zh) 一种1-(7-香豆素乙氧基)-4-(2-甲基-8-喹啉氧甲基)-1,2,3-三唑比率荧光或比率紫外吸收探针试剂及制备和应用
Tümay et al. Multi-anthracene containing fluorescent probe for spectrofluorimetric iron determination in environmental water samples
CN103468247B (zh) 分子钳型菲啰啉-苯并唑类荧光试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Bhaskar et al. Colorimetric sensor for real-time detection of cyanide ion in water and food samples
Liu et al. A novel pyrene-based fluorescent probe for Al3+ detection
Kaur et al. Spectral studies on anthracene based dual sensor for Hg2+ and Al3+ ions with two distinct output modes of detection
Okutan et al. Colorimetric fluorescent sensors for hemoglobin based on BODIPY dyes
Li et al. Dye-encapsulated Zr-based MOFs composites as a sensitive platform for ratiometric luminescent sensing of antibiotics in water
Kala et al. A carbazole based “Turn on” fluorescent sensor for selective detection of Hg 2+ in an aqueous medium
Zhu et al. A π-conjugated α-cyanostilbene dimer emitting strongly red fluorescence with a large Stokes’ shift of ca. 300 nm and used as a probe for selective detection of Cu2+
Liu et al. Novel colorimetric and fluorescent chemosensor for Hg2+/Sn2+ based on a photochromic diarylethene with a styrene-linked pyrido [2, 3-b] pyrazine unit
Hiremath et al. Efficient detection of Sn2+ by 4-aminobenzenesulfonamide based Schiff base chemosensor
CN108640867B (zh) 一种含有氰基-咔唑基席夫碱荧光探针化合物及其制备方法和用途
Oliveira et al. An overview on sensing materials depending on the electromagnetic spectra region applied
Hosseini et al. Fluorescence “Turn-On” chemosensor for the selective detection of beryllium
CN106518763A (zh) 一种高选择性比率式检测氰根离子的荧光探针及其合成方法与应用
CN110117236A (zh) 一种以ts为荧光团的小分子荧光探针及其制备方法与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121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617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7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07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1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62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6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62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7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62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63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63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