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418094B1 - Clean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Clean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8094B1
KR101418094B1 KR1020130006830A KR20130006830A KR101418094B1 KR 101418094 B1 KR101418094 B1 KR 101418094B1 KR 1020130006830 A KR1020130006830 A KR 1020130006830A KR 20130006830 A KR20130006830 A KR 20130006830A KR 101418094 B1 KR101418094 B1 KR 1014180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ush
driving unit
unit
motor
push butt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683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경원
정재홍
조예경
황윤정
최용욱
이숙자
Original Assignee
이숙자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숙자,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이숙자
Priority to KR10201300068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809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80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8094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7/00Body washing or cleaning implements
    • A47K7/04Mechanical washing or cleaning devices, hand or mechanically, i.e. power operat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7/00Devices for suction-kneading massage; Devices for massaging the skin by rubbing or br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H7/002Devices for suction-kneading massage; Devices for massaging the skin by rubbing or br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by rubbing or brushing
    • A61H7/004Devices for suction-kneading massage; Devices for massaging the skin by rubbing or br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by rubbing or brushing power-driven, e.g. electrical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2Brush specifically designed for massaging the skin or scalp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assaging Devices (AREA)
  •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정 장치 손으로 쥘 수 있도록 형성되는 몸체; 상기 몸체 내부에 구비되는 전동부; 상기 전동부에 연결되어 회전 또는 진동하는 브러쉬; 상기 몸체에 형성되어 상기 전동부의 전원을 온,오프시키는 스위칭부를 포함하고, 상기 브러쉬는 상기 전동부의 하부에 연결되며,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몸체를 쥔 상태에서 조작 가능하도록 상기 전동부의 상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 장치를 를 제공하여, 피부에 문지르는 동작 없이 사용자가 손에 쥔 상태에서 보다 편리하게 피부 세정을 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shing machine, A driving unit provided inside the body; A brush connected to the driving unit to rotate or vibrate; And a switching unit that is formed on the body and turns on and off the power source of the driving unit. The brush is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driving unit, and the switching unit is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driving uni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dvantageous effect that the user is able to wash the skin more conveniently in a state of being held by the user without rubbing against the skin.

Description

세정 장치{Cleaning apparatus}[0001]

본 발명은 세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동부에 의한 회전 또는 진동을 이용하여 피부를 세정하는 세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ean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cleaning apparatus that cleans a skin using rotation or vibration by a driving unit.

사람의 피부에 대한 세정과정은, 세정제의 화학적 작용으로 노폐물을 제거하는 과정에 추가하여 피부에 물리적인 힘을 부가함으로써, 효과적인 세정이 이루어 지도록 한다.In addition to the process of removing waste products by the chemical action of the cleansing agent, the cleansing process of the human skin allows physical cleansing by adding physical force to the skin.

이때, 세정 과정 중, 피부에 물리적인 힘을 부가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별도의 세정 장치를 사용한다. 이러한 세정 도구의 단부에는 피부와 직접 접촉하여, 피부에 물리적인 힘을 부가하여 세정력을 높이는 브러쉬와 같은 접촉재들이 구비된다.At this time, in order to add physical force to the skin during the cleaning process, generally a separate cleaning device is used. At the end of such a cleaning tool is provided contact materials such as brushes which are in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and which increase the cleaning power by adding physical force to the skin.

통상적으로 세정 과정은 브러쉬를 피부에 문질러서 노폐물을 피부에서 제거하게 되는데. 최근에는 브러쉬에 진동 또는 음파를 전달하여 세정 효과를 높이는 세정 장치들이 제안되고 있다.Typically, the cleaning process rubs the brush onto the skin to remove waste products from the skin. In recent years, cleaning devices have been proposed in which vibrations or sound waves are transmitted to the brush to enhance the cleaning effect.

그러나 이렇게 단순히 문지르거나 진동 또는 음파를 부가하는 세정 장치를 얼굴에 사용하는 경우, 얼굴 피부가 손상될 위험이 크다. 이는. 얼굴은 복잡한 근육 및 신경들이 형성되어 신체 중 가장 민감한 피부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However, when using such a cleaning device that simply rubs or adds vibration or sound waves to the face, there is a great risk of damaging the face skin. this is. The face is formed by complex muscles and nerves, and it has the most sensitive skin in the body.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78567호 (등록일 : 2011.10.25.)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078567 (Registered on October 25, 2011)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민감한 얼굴 피부의 특성에 적합한 세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leaning device suitable for the characteristics of a sensitive facial skin.

또한, 본 발명은 손으로 문지르는 동작 없이도 편리하게 피부 세정할 수 있는 세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leaning device which can conveniently clean the skin without a hand rubbing opera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손으로 쥘 수 있도록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 내부에 구비되는 전동부와, 상기 전동부에 연결되어 회전 또는 진동하는 브러쉬와, 상기 몸체에 형성되어 상기 전동부의 전원을 온,오프시키는 스위칭부를 포함하고, 상기 브러쉬는 상기 전동부의 하부에 연결되며,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몸체를 쥔 상태에서 조작 가능하도록 상기 전동부의 상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 body formed to be gripped by a hand, a driving unit provided in the body, a brush connected to the driving unit to rotate or vibrate, Wherein the brush is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driving portion and the switching portion is form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driving portion so as to be operable while holding the body, Device can be provided.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위칭부는, 사용자의 누름 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전동부의 회전축 방향을 따라 상하 이동하는 누름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the switching unit may include a push button that is moved up and down along the rotational axis direction of the driving unit in association with a pressing operation of the user.

바람직하게는, 상기 누름 버튼과 상기 전동부와 상기 브러쉬는 일렬로 형성될 수 있다.Preferably, the push button, the driving unit, and the brush may be formed in a line.

바람직하게는, 상기 누름 버튼은 오목하게 형성되어 손가락을 수용하는 홈부가 형성될 수 있다.Preferably, the push button is formed in a concave shape to form a groove for receiving a finger.

바람직하게는, 상기 몸체는 제1 몸체와, 상기 제1 몸체의 상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제1 몸체의 상단을 선택적으로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제2 몸체를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the body may include a first body and a second body detachably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body and selectively opening or closing the upper end of the first body.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몸체는 상광하협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몸체는 상협하광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Preferably, the first body is formed to have a lower light-shielding shape, and the second body may be formed to have a lower light-absorbing shape.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몸체의 상단에는 배터리 수용부가 형성될 수 있다.Preferably, a battery receiving portion may be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first body.

바람직하게는, 상기 몸체의 하단에 착탈 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브러쉬를 덮는 캡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캡부에는 물빠짐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Preferably, the cap further includes a cap portion formed on the lower end of the body so as to be detachable so as to cover the brush, and a drain hole may be formed in the cap portion.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동부는, 모터와. 상기 모터가 제1 방향과, 상기 제1 방향과 반대되는 제2 방향으로 소정의 시간 단위로 번갈아 회전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The motor-driven portion includes a motor.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motor to rotate alternately in a first direction and in a second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by a predetermined time unit.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전동부의 전원을 차단할 수 있다.Preferably, the control unit may cut off power to the driving unit when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바람직하게는, 브러쉬는 사용 횟수에 따라 색깔이 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Preferably, the brushes may be formed to vary in color depending on the number of times of use.

바람직하게는, 상기 몸체에는 소정의 온도에서 변색되는 마크부가 형성될 수 있다.Preferably, the body is formed with a mark portion which is discolored at a predetermined temperature.

본 발명에 따른 세정 장치에 따르면, 손에 쥘 수 있도록 몸체를 형성함과 동시에 몸체를 손에 쥔 상태에서 스위칭부를 조작 가능하게 형성하고, 전동부와 브러쉬를 일렬로 형성함으로써, 피부에 문지르는 동작 없이 사용자가 손에 쥔 상태에서 보다 편리하게 피부 세정을 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According to the clean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ody is formed so as to be gripped by the hand, and the switching unit can be operated while holding the body in the hand, and the rolling unit and the brushes are formed in a line, Thereby providing an advantageous effect that the skin can be more conveniently washed while the user holds it in the hand.

본 발명에 따른 세정 장치에 따르면, 특정 시간 마다 브러쉬의 회전 방향을 전환하도록 제어함으로써, 민감한 얼굴 피부의 피부결을 고려하여 세정에 따른 피부 손상을 최소화하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The clean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dvantageous effect of minimizing skin damage due to cleaning by considering skin texture of sensitive facial skin by controlling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brush to be switched at specific time interval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세정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한 세정 장치를 아래서 올려다 본 사시도,
도 3은 도 1에서 도시한 몸체의 개방된 상단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1에서 도시한 몸체를 제1 몸체와 제2 몸체로 구분하여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1에서 도시한 세정 장치의 내부 단면도,
도 6은 도 1에서 도시한 세정 장치의 전동부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leaning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the cleaning apparatus shown in FIG. 1,
Figure 3 is a top view of the open top of the body shown in Figure 1,
FIG. 4 is a view showing the body shown in FIG. 1 as a first body and a second body,
5 is an inter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cleaning device shown in Fig. 1,
Fig. 6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rolling section of the cleaning apparatus shown in Fig. 1. Fig.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designate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throughout the drawings. In addition,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but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can be variously modifi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본 발명은. 파지(把持) 용이한 몸체를 구비하고, 스위칭부와 전동부와 브러쉬를 상하 방향으로 일렬로 정렬하여 구성함으로써, 사용자가 손에 쥔 상태에서 피부에 문지르는 동작 없이도 효과적으로 세정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하는 기술적 특징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cleaning unit includes a body that is easy to grip, and the switching unit, the driving unit, and the brushes are arranged in a line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that the cleaning operation can be effectively performed without rubbing against the skin while the user holds the unit. There are technical features.

도 1은 이러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세정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한 세정 장치를 아래서 올려다 본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leaning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leaning apparatus shown in Fig. 1 viewed from below. Fig.

이러한,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을 개념적으로 명확히 이해하기 위하여, 주요 특징 부분만을 명확히 도시한 것이며,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이 예상되며, 도면에 도시된 특정 형상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될 필요는 없다.
1 and 2 clearly illustrate only the main feature parts for the purpose of conceptual clar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s a result various variations of the illustrations are to be expected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Need not be limited.

도 1 및 도 2를 병행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세정 장치(100)는 몸체(110)와. 전동부(도면 5의 120)와, 브러쉬(130)와, 스위칭부(140)와 캡부(150)를 포함한다.
1 and 2, a clean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110, (120 in FIG. 5), a brush 130, a switching unit 140, and a cap unit 150.

먼저, 몸체(110)는 사용자가 손에 쥘 수 있도록 형성된다. 몸체(110)는 내부적으로 전동부(도면 5의 120)와 스위칭부(140)를 포함하는 공간이 형성되며, 외부적으로, 파지(把持)가 용이하도록, 크기 및 외형이 결정되는 것이 좋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몸체(110)는 손에 쥐기 용이하도록 라운드 형태의 외형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몸체(110)는 상하 방향으로 구분되어 위쪽에 형성되는 제1 몸체(111)와, 제1 몸체(111)의 아래쪽에 형성되는 제2 몸체(112)로 형성될 수 있다.First, the body 110 is formed so that it can be grasped by a user. The body 110 is internally formed with a space including the driving part 120 (see FIG. 5) and the switching part 140, 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size and the external shape are determined externally so as to facilitate grasping. In one embodiment, the body 110 may have a rounded shape to facilitate gripping. The body 110 may include a first body 111 formed in an upper portion and a second body 112 formed in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body 111.

제1 몸체(111)는 제2 몸체(112)에 착탈 가능하게 형성된다. 예컨대, 제1 몸체(111)는 제2 몸체(112) 회전 방식으로 나사체결 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제1 몸체(111)를 회전시키면 제2 몸체(112)로 분리되어 제2 몸체(112)의 상단이 개방된다. The first body 111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second body 112. For example, when the user rotates the first body 111, the first body 111 may be separated by the second body 112, and the second body 112 may be separated from the second body 112 by rotating the second body 112. [ Is opened.

한편, 제1 몸체(111)의 상단 중심에는 스위칭부(140)가 위치한다. 구체적으로, 스위칭부(140)의 누름 버튼(141)이 상하 이동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누름 버튼(141)의 위치는 사용자가 몸체(110)를 쥔 상태에서, 손가락으로 누름 버튼(141)을 누를 수 있도록, 제1 몸체(111)의 크기를 고려하여 적절하게 설계될 수 있다.Meanwhile, the switching unit 140 is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upper end of the first body 111. Specifically, the push button 141 of the switching unit 140 can be arranged to be movable up and down. The position of the push button 141 may be appropriately designed in consideration of the size of the first body 111 so that the user can press the push button 141 with the finger while holding the body 110 .

제2 몸체(112)는 제1 몸체(111) 하부에 결합하여 내부에 전동부(도면 5의 120)를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제2 몸체(112)의 하단에는 브러쉬(130)가 배치된다. The second body 112 is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body 111 and includes a driving portion 120 (FIG. 5). Referring to FIG. 2, a brush 130 is disposed at a lower end of the second body 112.

도 3은 도 1에서 도시한 몸체의 개방된 상단을 도시한 도면이다.FIG. 3 is a top view of the open top of the body shown in FIG. 1. FIG.

한편, 제1 몸체(111)의 상단에는 배터리 수용부(111a)가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제2 몸체(112)에서 제1 몸체(111)를 분리하여 사용이 다 된 배터리(B)를 새것으로 교체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몸체(112)의 상단에는 누름 버튼(141)과 연결되는 스위칭부(140)가 노출되어 배치될 수 있다.Meanwhile, a battery receiving portion 111a may be formed on an upper end of the first body 111. [ The user can remove the first body 111 from the second body 112 and replace the used battery B with a new one. The switching unit 140 connected to the push button 141 may be exposed and disposed at the upper end of the second body 112.

도 4는 도 1에서 도시한 몸체를 제1 몸체와 제2 몸체로 구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FIG. 4 is a view showing the body shown in FIG. 1 as a first body and a second body.

도 4를 참조하면, 제1 몸체(111)와 제2 몸체(112)를 구분하는 가상의 선(도 4의 L)을 기준으로, 도 4의 A가 나타내는 방향을 윗 방향이라 할 때, 제1 몸체(111)는 윗 부분이 좁고 아랫부분이 넓은 상협하광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반면에, 도 4의 B가 나타내는 방향을 아랫방향이라 할 때, 제2 몸체(112)는 윗 부분이 넓고 아랫부분이 좁은 상광하협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when the direction indicated by A in FIG. 4 is referred to as an upper direction with reference to an imaginary line (L in FIG. 4) separating the first body 111 and the second body 112, 1, the body 111 may be formed with a narrow upper part and a lower thicker lower part. On the other hand, when the direction indicated by B in FIG. 4 is referred to as a downward direction, the second body 112 may be formed as a top-down, bottom-down,

한편,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몸체(110)에는 온도에 따라 변색되는 마크부(113)가 형성될 수 있다. 마크부(113)는 세안수의 적정 온도에서 변색되는 감온 잉크로 표기되는 문자 또는 문양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4에서 마크부(113)가 몸체(110)의 하단에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몸체(110)의 다양한 위치에 형성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나아가. 마크부(113)는,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캡부(도 1의 150)에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Meanwhile, as shown in FIG. 4, the body 110 may be provided with a mark portion 113 which is discolored according to temperature. The mark portion 113 may be embodied as a character or pattern denoted by a thermosensitive ink which is discolored at an appropriate temperature of the cleansing water. 4, the mark portion 113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body 110,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t is possible to form the mark portion 113 at various positions of the body 110. Furthermore. The mark unit 113 is not shown in the drawing. It may be formed in the cap portion (150 in Fig. 1).

전동부(120)는 상술한 몸체(110)의 내부에 형성되어 브러쉬(130)를 회전시킨다. 도 5는 도 1에서 도시한 세정 장치의 내부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1에서 도시한 세정 장치의 전동부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 및 도 6을 병행 참조하면, 일실시예에 있어서, 전동부(120)는 모터(121)의 회전축(121a)이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도록 세워진 형태로 배치된다. 이때, 전동부(120)는 몸체(110)의 중심을 상하 방향으로 지나는 가사의 선(C)상에, 모터(121)의 회전축(121a)이 위치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좋다. 이는 몸체(110)의 중심과 모터의 회전축(121a)의 편심에 따른 진동을 방지하기 위함이다.The electromotive unit 120 is formed inside the body 110 to rotate the brush 130. FIG. 5 is an inter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cleaning apparatus shown in FIG. 1, and FIG. 6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rolling unit of the cleaning apparatus shown in FIG. 5 and 6, in one embodiment, the driving unit 120 is disposed in a standing manner such that the rotational shaft 121a of the motor 121 is vertically formed.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driving unit 120 is disposed such that the rotation axis 121a of the motor 121 is positioned on the line C of the vertical line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body 110 in the vertical direction. This is to prevent vibration due to the eccentricity of the center of the body 110 and the rotation axis 121a of the motor.

또한, 전동부(120)와 브러쉬(130)를 상하 방향을 기준으로 일렬로 정렬하고, 아울러 스위칭부(140)도 상하 방향을 기준으로 일렬로 정렬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세정 장치(100)는 사용자가 몸체(110)를 쥔 상태에서 브러쉬(130)를 피부에 보다 쉽게 접촉시킨다. 또한, 전동부(120)의 회전력을 손실 없이 바로 브러쉬(130)에 전달할 수 있기 때문에 작은 출력의 모터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cleaning unit 100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is configured such that the driving unit 120 and the brush 130 are align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switching unit 140 is align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brush 130 easily contacts the skin while the user holds the body 110. In addition, since the rotational force of the driving unit 120 can be directly transmitted to the brush 130 without loss, a small output motor can be used.

한편, 전동부(120)의 모터(121)는 내부에 감속기어 구비된 감속 모터일 수 있다.Meanwhile, the motor 121 of the driving unit 120 may be a decelerating motor provided with a reduction gear inside.

전동부(120)의 제어부(122)는, 모터(121)가 제1 방향과 제2 방향으로 소정의 시간 단위로 번갈아 회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스위칭부(140)를 켜면, 소정의 시간 동안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다가, 그 다음 소정의 시간 동안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과정을 수회 반복한 후, 설정 시간이 지나면 전동부(120)의 전원이 차단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는 얼굴 피부의 피부결에 대응하여 피부 자극을 최소화함과 아울러 피부 마사지 효과를 줄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The control unit 122 of the driving unit 120 can control the motor 121 to alternately rotate in the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direction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For example, when the user turns on the switching unit 140, the process of rotating clockwise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then rotating counterclockwise for a predetermined time is repeated several times, The power of the power supply 120 may be cut off. This provides an effect of minimizing skin irritation in response to the skin texture of the facial skin and providing a skin massage effect.

한편, 전동부(120)를 설명함에 있어서, 모터(12)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전기적 힘으로, 회전 및 진동을 공급하는 다양한 방식의 구동원을 포함할 수 있다.In the meantime, in the description of the driving unit 120, the motor 12 is exemplifie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include various types of driving sources for supplying rotation and vibration with an electric force.

브러쉬(130)는 상술한 전동부(120)의 하부에 직접 연결된다. 앞서 설명하였듯이, 전동부(120)의 모터의 회전축(121)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브러쉬(130)는 모터의 회전축(121)에 연결된다. 브러쉬(130)의 상단에는 모터의 회전축(121)과 연결되기 연결 모듈들이 부가될 수 있다. 브러쉬(130)와 모터의 회전축(121)의 연결 영역에는 세정액이나 물이 몸체(110)에 흘러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패킹과 같은 실링 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The brush 130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above-described driving unit 120. The brush 130 is connected to the rotating shaft 121 of the motor so as to rotate about the rotating shaft 121 of the motor of the driving unit 120 as described above. At the upper end of the brush 130, connection modules may be connected to the rotation shaft 121 of the motor. A seal member such as a packing may be installed in the connection area between the brush 130 and the rotation shaft 121 of the motor to prevent the cleaning liquid or water from flowing into the body 110.

일실시예에 있어서, 도 2를 참조하면, 브러쉬(130)는 원판형의 헤드에 다발 또는 단발 형태의 모(毛)가 식모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브러쉬(130)는 항균 기능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브러쉬(130)는 사용 횟수에 따라 색깔이 바뀌어 교체 시기에 대한 인디케이터(indicator) 기능이 부가되어 형성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referring to FIG. 2, the brush 130 may be configured in the form of a bundle of bristles or a single-ended hair on a disc-shaped head. Further, the brush 130 may be formed to have an antibacterial function. The color of the brush 130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times of use, and an indicator function of the replacement time may be added.

스위칭부(140)는 상술한 전동부(120)의 상부에 형성되어 전동부(120)에 공급되는 전원을 선택적으로 연결하거나 차단한다. 이러한, 스위칭부(140)는 몸체(110) 내부에 형성된다. 그리고, 스위칭부(140)는 사용자의 누름 동작을 수용하는 누름 버튼(141)이 몸체(110)의 최상단에 형성될 수 있다. 이 누름 버튼(141) 제1 몸체(111)의 중심부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외부에 노출된다. 누름 버튼(141)은 하향하여 오목하게 형성되는 홈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사용자의 조작 편의성을 높이기 위함이다.The switching unit 140 selectively connects or disconnects power supplied to the electromotive unit 120, which i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electromotive unit 120 described above. The switching unit 140 is formed inside the body 110. In addition, the switching unit 140 may be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body 110 with a push button 141 for receiving a user's pressing operation. The push button 141 is vertically movably connected to the center of the first body 111 and is exposed to the outside. The push button 141 may be formed with a groove portion formed to be concave downward. This is to increase the convenience of the user's operation.

이때, 앞서 설명하였듯이, 누름 버튼(141)의 중심축과 모터의 회전축(121) 및 브러쉬(130)의 회전 중심축이 동일선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즉, 누름 버튼(141)과 전동부(120)의 모터와 브러쉬(130)를 상하 방향을 기준으로 일렬로 배치하여 구성을 단순화하면서도 사용 편의성을 증가시킨 이점이 있다.
At this time, as described above, the center axis of the push button 141 and the rotation axis 121 of the motor and the rotation center axis of the brush 130 may be formed on the same line. That is, the push buttons 141 and the motors of the driving unit 120 and the brushes 130 are arranged in a line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direction, thereby simplifying the structure and increasing the usability.

캡부(150)는. 도 1을 참조 하면, 몸체(110) 하단에 착탈 가능하게 형성되어 브러쉬(130)를 덮는다. 이때. 캡부(150)의 중심에는 물빠짐 구멍(151)이 형성될 수 있다.
The cap portion 150 is formed by Referring to FIG. 1, the brush 130 is detachably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body 110. At this time. A water drop hole 151 may b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cap portion 150.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substitutions and substitu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and spirit of the invention as disclosed in the accompanying claims. will be.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intended to illustrate and not to limi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shall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10 : 몸체
111 : 제1 몸체
112 : 제2 몸체
113 : 마크부
120 : 전동부
121 : 모터
121a : 모터의 회전축
122 : 제어부
130 : 브러쉬
140 : 스위칭부
141 : 누름 버튼
150 : 캡부
151 : 물빠짐 구멍
110: Body
111: first body
112: second body
113: mark portion
120:
121: Motor
121a: rotation axis of the motor
122:
130: Brush
140:
141: Push button
150:
151: water drop hole

Claims (12)

손으로 쥘 수 있도록 형성되는 몸체;
상기 몸체 내부에 구비되는 전동부;
상기 전동부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브러쉬;
상기 몸체에 형성되어 상기 전동부의 전원을 온,오프시키는 스위칭부를 포함하고,
상기 브러쉬는 상기 전동부의 하부에 연결되며,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몸체를 쥔 상태에서 조작 가능하도록 상기 전동부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전동부는, 모터와, 상기 모터가 제1 방향과 상기 제1 방향과 반대되는 제2 방향으로 소정의 시간 단위로 번갈아 회전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 장치.
A body formed to be gripped by a hand;
A driving unit provided inside the body;
A brush connected to the driving unit and rotating;
And a switching unit formed on the body for turning on and off the power of the driving unit,
Wherein the brush is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driving portion, the switching portion is form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driving portion so as to be operable while holding the body,
Wherein the motor-driven portion includes a motor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motor to rotate alternately in a first direction and in a second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on a predetermined time unit basis.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부는, 사용자의 누름 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전동부의 회전축 방향을 따라 상하 이동하는 누름 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witching unit includes a push button that is moved up and down along the rotational axis direction of the driving unit in conjunction with a pressing operation of the user.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 버튼과 상기 전동부와 상기 브러쉬는 일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push button, the driving unit, and the brush are formed in a line.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 버튼은 오목하게 형성되어 손가락을 수용하는 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push button is formed in a concave shape to form a groove for receiving a finger.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제1 몸체와, 상기 제1 몸체의 상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제1 몸체의 상단을 선택적으로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제2 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ody includes a first body and a second body detachably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body and selectively opening or closing an upper end of the first body.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몸체는 상광하협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몸체는 상협하광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 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first body is formed in a lower light-shielded shape, and the second body is formed in a lower-light-like shape.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몸체의 상단에는 배터리 수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 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a battery accommodating portion is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first body.
제1 항 내지 제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하단에 착탈 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브러쉬를 덮는 캡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캡부에는 물빠짐 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세정 장치.
8.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Further comprising a cap part detachably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body to cover the brush, wherein a water drop hole is formed in the cap part.
삭제delet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전동부의 전원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cuts off the power supply to the driving unit when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제1 항에 있어서,
브러쉬는 사용 횟수에 따라 색깔이 변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rush is formed to change color according to the number of times of us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에는 소정의 온도에서 변색되는 마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mark is formed on the body to change color at a predetermined temperature.

KR1020130006830A 2013-01-22 2013-01-22 Cleaning apparatus Active KR10141809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6830A KR101418094B1 (en) 2013-01-22 2013-01-22 Clean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6830A KR101418094B1 (en) 2013-01-22 2013-01-22 Cleaning a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18094B1 true KR101418094B1 (en) 2014-07-09

Family

ID=517418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6830A Active KR101418094B1 (en) 2013-01-22 2013-01-22 Cleaning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8094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66980A (en) 2009-01-20 2010-08-05 Twinbird Corp Electric brush device
KR20100088000A (en) * 2009-01-29 2010-08-06 주식회사 토마토티브이 Be-directional vibration device and skin scrubber hav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66980A (en) 2009-01-20 2010-08-05 Twinbird Corp Electric brush device
KR20100088000A (en) * 2009-01-29 2010-08-06 주식회사 토마토티브이 Be-directional vibration device and skin scrubber hav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88156B2 (en) Applicator tool cleaner and dryer
KR20090052558A (en) Cleaning device equipped with a cleaning device
CN105073063A (en) Electric toothbrush
JP4725983B1 (en) Pet foot washer
KR20110078516A (en) Electric Puff
KR101733514B1 (en) Vibration brush apparatus for face washing
KR20140007149A (en) Automatic cleansing apparatus for makeup
KR200489176Y1 (en) A cleasing device
TWM474384U (en) Cleansing cosmetic container with exchangeable cleansing pad
KR20130139571A (en) Cleansing Brush
KR101418094B1 (en) Cleaning apparatus
KR20170008123A (en) Ultrasonic cosmetic brush washer
KR20210069193A (en) simplified make-up sponge washing machine
CN213190237U (en) Induction electric toothbrush
JPH0838385A (en) Wash brushing device
DE60100070D1 (en) Device for cleaning containers
CN210871435U (en) Handheld electric shoe brushing device
KR20200142434A (en) Makeup brush cleaner
CN210643037U (en) Split type brush head for facial cleanser
JPH07241253A (en) Electric hand washer
KR102542222B1 (en) Cleaning apparatus of brush for makeup
KR102265324B1 (en) Method for Operating Beauty Equipment of All-in-One type
CN211245216U (en) Eye microcirculation adjusting instrument
EP2982281B1 (en) Water resistant cleaning apparatus
CN211910812U (en) A device for cleaning fingernai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12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2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62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7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07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5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60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3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42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1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61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42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62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51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62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411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