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416185B1 - 편평형 진동 모터 - Google Patents

편평형 진동 모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6185B1
KR101416185B1 KR1020080022483A KR20080022483A KR101416185B1 KR 101416185 B1 KR101416185 B1 KR 101416185B1 KR 1020080022483 A KR1020080022483 A KR 1020080022483A KR 20080022483 A KR20080022483 A KR 20080022483A KR 101416185 B1 KR101416185 B1 KR 1014161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er
bearing
support
bracket
support tub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24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97382A (ko
Inventor
박영일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224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6185B1/ko
Priority to US12/401,236 priority patent/US7679241B2/en
Priority to JP2009057433A priority patent/JP2009219349A/ja
Publication of KR200900973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73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61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6185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3/00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16Means for supporting bearings, e.g. insulating supports or means for fitting bearings in the bearing-shields
    • H02K5/167Means for supporting bearings, e.g. insulating supports or means for fitting bearings in the bearing-shields using sliding-contact or spherical cap bearings
    • H02K5/1677Means for supporting bearings, e.g. insulating supports or means for fitting bearings in the bearing-shields using sliding-contact or spherical cap bearings radially supporting the rotor around a fixed spindle; radially supporting the rotor directl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24Casings; Enclosures;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suppression or reduction of noise or vibr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6Means for converting reciprocating motion into rotary motion or vice versa
    • H02K7/061Means for converting reciprocating motion into rotary motion or vice versa using rotary unbalanced masses
    • H02K7/063Means for converting reciprocating motion into rotary motion or vice versa using rotary unbalanced masses integrally combined with motor parts, e.g. motors with eccentric ro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 Apparatuses For Generation Of Mechanical Vibrations (AREA)

Abstract

편평형 진동 모터가 개시된다. 상기 편평형 진동 모터는 브라켓의 지지관 외측으로 노출된 와셔의 외주면측이 브라켓측에 설치된 지지부재에 접촉 지지되므로, 베어링에서 와셔로 낙하충격이 전달되어도 와셔가 변형되지 않는다. 따라서, 와셔의 변형으로 인한 베어링의 내경 변화 등과 같은 베어링의 손상이 없으므로,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또한, 베어링의 내경 변화가 없으므로, 지지축에 지지된 베어링의 런아웃 변화가 없다. 따라서, 진동 및 소음이 저감된다.

Description

편평형 진동 모터 {FLAT TYPE VIBRATION MOTOR}
도 1a는 종래의 편평형 진동 모터의 단면도.
도 1b는 도 1a의 "A"부 확대도.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평형 진동 모터의 단면도.
도 2b는 도 2a의 "B"부 확대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1 : 브라켓 115 : 케이스
120 : 지지축 130 : 와셔
140 : 베어링 150 : 회전자
160 : 고정자 170 : 기판
180 : 지지부재
본 발명은 편평형 진동 모터에 관한 것이다.
도 1a는 종래의 편평형 진동 모터의 단면도이고, 도 1b는 도 1a의 "A"부 확대도로서, 이를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켓(11)과 개방된 하면측이 브라켓(11)에 결합된 케이스(13)가 마련된다. 브라켓(11) 및 케이스(13)의 상면에는 지지축(15)의 하단부측 및 상단부측이 각각 삽입 고정 및 삽입 지지되는 지지관(11a) 및 홈(13a)이 각각 형성된다.
지지축(15)의 외주면에는 베어링(17)이 삽입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베어링(17)의 하면은 지지관(11a)의 상면측에 지지된다. 이때, 베어링(17)과 지지관(11a) 사이에는 와셔(19)가 설치되는데, 와셔(19)는 베어링(17)과 지지관(11a)이 직접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여 베어링(17)의 마모를 방지함과 동시에 소음을 저감시킨다.
베어링(17)의 외주면에는 진동을 발생하는 편심된 회전자(21)가 압입 고정되고, 브라켓(11)측에는 회전자(21)와 작용하여 회전자(21)를 회전시키는 고정자(23)가 설치된다.
편평형 진동 모터의 박형화 및 슬림화에 따라 브라켓(11)과 케이스(13)의 두께도 대단히 얇고, 브라켓(11)의 두께가 얇음으로 지지관(11a)의 두께도 얇다. 그런데, 지지관(11a)의 두께가 얇으므로 와셔(19)의 외주면측이 지지관(11a)의 외주면 외측에 위치된다.
종래의 편평형 진동 모터는 와셔(19)의 외주면측이 지지관(11a)의 외주면 외측에 위치되므로, 편평형 진동 모터에 작용하는 낙하충격에 의한 베어링(17)의 낙하충격이 와셔(19)로 전달되어 와셔(19)의 외주면측이,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형된다. 와셔(19)가 변형되면, 베어링(17)에서 와셔(19)로 전달되는 충격이 와 셔(19)에서 흡수되지 못하고, 베어링(17)으로 전달되므로, 베어링(17)의 내경이 변형된다.
이로인해, 상호 결합된 베어링(17)과 회전자(21)의 회전수가 변하므로 제품의 신뢰성이 저하된다.
또한, 지지축(15)에 지지된 베어링(17)의 런아웃(Runout)이 저하되어, 큰 진동 및 큰 소음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편평형 진동 모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진동 및 소음을 저감할 수 있는 편평형 진동 모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편평형 진동 모터는, 지지관이 돌출 형성된 브라켓; 상기 브라켓에 결합된 케이스; 일단부측은 상기 지지관에 고정되고, 타단부측은 상기 케이스에 지지된 지지축; 상기 지지축을 감싸는 형태로 설치되어 상기 지지관의 단면(端面)에 탑재되며 외주면측은 상기 지지관의 외주면 외측에 위치된 와셔; 상기 브라켓측에 설치되며 상기 와셔의 일면과 접촉하여 상기 와셔를 지지하는 지지부재; 상기 지지축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와셔의 타면에 접촉 지지된 베어링; 상기 베어링에 고정되며 상기 베어링과 일체로 회전하면 서 진동을 발생하는 회전자; 상기 브라켓측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자와 작용하여 상기 회전자를 회전시키는 고정자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평형 진동 모터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평형 진동 모터의 단면도이고, 도 2b는 도 2a의 "B"부 확대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결합되어 내부에 소정 공간을 형성하는 브라켓(111)과 케이스(115)를 가지는 하우징(110)이 마련된다. 이때, 케이스(115)는 상대적으로 브라켓(111)의 상측에 위치되며, 개방된 하면이 브라켓(111)에 결합된다.
이하, 구성요소들의 면 및 방향을 지칭함에 있어서, 브라켓(111)측을 향하는 면 및 방향을 "하면 및 하측", 케이스(115)의 상면측을 향하는 면 및 방향을 "상면 및 상측"이라 한다.
브라켓(111)에는 지지관(112)의 돌출 형성되고, 지지관(112)과 대향하는 케이스(115)의 상면 부위에는 홈(116)이 형성된다. 지지관(112)에는 지지축(120)의 하단부측이 삽입 고정되고, 홈(116)에는 지지축(120)의 상단부측이 삽입 지지된다.
지지축(120)의 외주면을 감싸는 형태로 와셔(130)가 설치되는데, 와셔(130)는 하면이 지지관(112)의 상단면(上端面)에 접촉되어 지지관(112)에 탑재된다.
와셔(130) 상측의 지지축(120)의 외주면에는 베어링(140)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베어링(140)의 하면은 와셔(130)의 상면에 접촉 지지된다. 즉, 와셔(130)는 베어링(140)이 지지관(112)과 직접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여, 베어 링(140)이 마모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소음을 저감시킨다.
베어링(140)의 외주면에는 회전자(150)가 결합된다. 회전자(150)는 베어링(140)의 외주면에 압입 고정된 로터요크(151), 로터요크(151)에 결합된 마그네트(153) 및 웨이트(155)를 가지며, 베어링(140)과 일체로 회전하면서 진동을 발생한다.
브라켓(111)에는 IC(Integrated Circuit)(미도시) 및 홀소자(Hall Element)(미도시) 등이 설치된 기판(160)이 고정되고, 기판(160)에는 코일로 마련된 고정자(170)가 설치된다.
그리하여, 외부의 전원이 기판(160)을 통하여 고정자(170)로 공급되면, 고정자(170)와 마그네트(153)의 작용에 의하여 회전자(150)가 회전하면서 진동을 발생하는 것이다.
편평형 진동 모터의 슬림화를 위하여 고정자(170)는 기판(160)을 관통하여 브라켓(111)에 설치될 수도 있다.
브라켓(111)의 하면 또는 기판(160)에는 코깅플레이트(Cogging Plate)(미도시)가 설치된다. 상기 코깅플레이트는 전자기력에 의한 토크가 제로인 지점에 회전자(150)가 정지하는 것을 방지하여 모터가 안정적으로 구동되게 한다.
편평형 진동 모터의 슬림화 및 박형화에 따라 브라켓(111) 및 케이스(115)의 두께가 얇아지므로, 지지관(112)의 두께도 얇다. 그런데, 베어링(140)의 원활한 지지를 위해서는 와셔(130)의 외경이 소정 이상 되어야 한다. 이로인해, 와셔(130)의 외주면측이 지지관(112)의 외주면 외측에 위치된다. 그러면, 편평형 진동 모터에 작용하는 낙하충격에 의하여, 베어링(140)이 지지축(130)을 따라 낙하하면서 와셔(130)의 외주면측을 변형시킨다.
본 실시예에 따른 편평형 진동 모터는 베어링(140)의 낙하충격에 의하여 와셔(130)의 외주면측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수단이 마련된다.
상기 수단은 지지관(112)을 감싸는 형태로 기판(160)에 설치되어 와셔(130)를 지지하는 지지부재(180)로 마련된다. 더 구체적으로는, 지지부재(180)는 탄성을 가진 합성수지제 등으로 형성되어, 하면이 기판(160)에 접착 결합된다. 그리고, 지지부재(180)의 상면은 지지관(112)의 상단면과 동일 높이에 위치되어 와셔(130)의 하면이 접촉 지지된다.
그러면, 베어링(140)에서 와셔(130)로 낙하충격이 전달되어도, 와셔(130)의 중앙부측 및 외주면측이 각각 지지관(112) 및 지지부재(180)에 접촉 지지되어 있으므로, 와셔(130)는 변형되지 않는다. 또한, 베어링(140)에서 와셔(130)로 전달된 낙하충격은 지지부재(180)로 전달되어 흡수되므로, 와셔(130)의 변형이 더욱 방지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편평형 진동 모터는 브라켓의 지지관 외측으로 노출된 와셔의 외주면측이 브라켓측에 설치된 지지부재에 접촉 지지되므로, 베어링에서 와셔로 낙하충격이 전달되어도 와셔가 변형되지 않는다. 따라서, 와셔의 변형으로 인한 베어링의 내경 변화 등과 같은 베어링의 손상이 없으므로,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또한, 베어링의 내경 변화가 없으므로, 지지축에 지지된 베어링의 런아웃 변화가 없다. 따라서, 진동 및 소음이 저감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경 및 변형한 것도 본 발명에 속함은 당연하다.

Claims (5)

  1. 지지관이 돌출 형성된 브라켓;
    상기 브라켓에 결합된 케이스;
    상기 브라켓의 일면에 결합된 기판;
    일단부측은 상기 지지관에 고정되고, 타단부측은 상기 케이스에 지지된 지지축;
    상기 지지축을 감싸는 형태로 설치되어 상기 지지관의 단면(端面)에 탑재되며 외주면측은 상기 지지관의 외주면 외측에 위치된 와셔;
    일측 면은 상기 기판에 접착 결합하고 타측 면은 상기 와셔의 일면과 접촉하여 상기 와셔를 지지하는 지지부재;
    상기 지지축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와셔의 타면에 접촉 지지된 베어링;
    상기 베어링에 고정되며 상기 베어링과 일체로 회전하면서 진동을 발생하는 회전자;
    상기 브라켓 측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자와 작용하여 상기 회전자를 회전시키는 고정자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재는 탄성을 가지는 편평형 진동 모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지지관을 감싸는 형태로 상기 기판에 설치되어 상기 와셔와 접촉하는 편평형 진동 모터.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 내지 제 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관과 대향하는 상기 케이스의 부위에는 상기 지지축의 타단부측이 삽입 지지되는 홈이 형성된 편평형 진동 모터.
KR1020080022483A 2008-03-11 2008-03-11 편평형 진동 모터 Expired - Fee Related KR1014161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2483A KR101416185B1 (ko) 2008-03-11 2008-03-11 편평형 진동 모터
US12/401,236 US7679241B2 (en) 2008-03-11 2009-03-10 Vibration motor
JP2009057433A JP2009219349A (ja) 2008-03-11 2009-03-11 振動モータ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2483A KR101416185B1 (ko) 2008-03-11 2008-03-11 편평형 진동 모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7382A KR20090097382A (ko) 2009-09-16
KR101416185B1 true KR101416185B1 (ko) 2014-07-09

Family

ID=410622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2483A Expired - Fee Related KR101416185B1 (ko) 2008-03-11 2008-03-11 편평형 진동 모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679241B2 (ko)
JP (1) JP2009219349A (ko)
KR (1) KR10141618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33243B2 (en) * 2008-12-10 2012-07-31 Seagate Technology Llc Head suspension assembly interconnect for a data storage device
KR101095099B1 (ko) * 2010-06-07 2011-12-16 삼성전기주식회사 편평형 진동모터
JP2015199008A (ja) * 2014-04-04 2015-11-12 日本電産セイミツ株式会社 振動モータ
JP6470552B2 (ja) * 2014-11-19 2019-02-13 日本電産セイミツ株式会社 振動モータ
JP7109948B2 (ja) * 2018-03-19 2022-08-01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振動発生装置及び電子機器
CN112737267B (zh) * 2020-12-23 2022-03-22 阜南县特立电子有限公司 一种带轴线性马达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08405A (ja) * 1996-09-27 1998-04-24 Sankyo Seiki Mfg Co Ltd スピンドルモータ
JP2002291198A (ja) 2001-03-26 2002-10-04 Namiki Precision Jewel Co Ltd 小型モータ
KR20040038703A (ko) * 2002-10-28 2004-05-08 도쿄파츠고교 가부시키가이샤 구동 회로 부재가 내장된 축방향 공극형 무브러시진동모터
KR20060022932A (ko) * 2004-09-08 2006-03-13 자화전자 주식회사 편평형 브러시리스 진동모터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77584A (en) * 1995-02-09 1997-10-14 General Electric Company Bearing assembly for dynamoelectric machines
JP3616085B2 (ja) * 2003-05-29 2005-02-02 東京パーツ工業株式会社 偏心ロータと同偏心ロータを備えた軸方向空隙型ブラシレス振動モータ
US6998742B2 (en) * 2002-10-28 2006-02-14 Tokyo Parts Industrial Co., Ltd. Axial-air-gap brushless vibration motor containing drive circuit
JP3568521B2 (ja) * 2002-10-28 2004-09-22 東京パーツ工業株式会社 駆動回路が内蔵された軸方向空隙型ブラシレス振動モータ
KR100519811B1 (ko) * 2003-06-20 2005-10-10 삼성전기주식회사 진동모터
KR100783538B1 (ko) * 2005-11-07 2007-12-0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편평형 진동 모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08405A (ja) * 1996-09-27 1998-04-24 Sankyo Seiki Mfg Co Ltd スピンドルモータ
JP2002291198A (ja) 2001-03-26 2002-10-04 Namiki Precision Jewel Co Ltd 小型モータ
KR20040038703A (ko) * 2002-10-28 2004-05-08 도쿄파츠고교 가부시키가이샤 구동 회로 부재가 내장된 축방향 공극형 무브러시진동모터
KR20060022932A (ko) * 2004-09-08 2006-03-13 자화전자 주식회사 편평형 브러시리스 진동모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230797A1 (en) 2009-09-17
JP2009219349A (ja) 2009-09-24
US7679241B2 (en) 2010-03-16
KR20090097382A (ko) 2009-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00265B2 (en) Motor for an 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
KR101416185B1 (ko) 편평형 진동 모터
US20150093271A1 (en) Brushless motor and fan using the motor
JP2008240526A (ja) モータ、送風ファン及びその製造方法
JP6972482B2 (ja) 電子機器
KR100872549B1 (ko) 스핀들 모터
KR100539304B1 (ko) 개선된 회전축 지지구조를 갖는 광기기용 스핀들 모터
KR100813920B1 (ko) 진동모터 및 오일리스 베어링
US8963386B2 (en) Spindle motor
KR101024316B1 (ko) 브러시리스 모터의 베어링 하우징 지지구조
JP2010142057A (ja) 回転電機
KR100789514B1 (ko) 무정류자 전동기
US8432077B2 (en) Bearing holder and spindle motor having the same
KR100702711B1 (ko) 브러시리스 타입 편평형 진동모터
US20140003972A1 (en) Fan motor structure
JP2010142057A5 (ko)
KR20130048494A (ko) 모터용 베이스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팬 모터
JP2008101613A (ja) モータおよび送風ファン
US20180337573A1 (en) Motor and fan motor
KR101416196B1 (ko) 편평형 진동 모터
KR20120095711A (ko) 점탄성체 코팅층이 구비된 베어링 예압 스프링
KR100986684B1 (ko) 스핀들 모터
JP6762610B2 (ja) ブラシレスモータ
JP2019068524A (ja) モータ
KR101063823B1 (ko) 편평형 진동 모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31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3031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8031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12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5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7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07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5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60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2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61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104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