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416118B1 - 완충용 포장재 공기주입장치 - Google Patents

완충용 포장재 공기주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6118B1
KR101416118B1 KR1020130121993A KR20130121993A KR101416118B1 KR 101416118 B1 KR101416118 B1 KR 101416118B1 KR 1020130121993 A KR1020130121993 A KR 1020130121993A KR 20130121993 A KR20130121993 A KR 20130121993A KR 101416118 B1 KR101416118 B1 KR 1014161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packing material
air injection
cushioning
side edg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19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레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레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레코
Priority to KR10201301219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61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61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6118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D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31B OR B31C
    • B31D5/00Multiple-step processes for making three-dimensional articles ; Making three-dimensional articles
    • B31D5/0039Multiple-step processes for making three-dimensional articles ; Making three-dimensional articles for making dunnage or cushion pads
    • B31D5/0073Multiple-step processes for making three-dimensional articles ; Making three-dimensional articles for making dunnage or cushion pads including pillow forming

Landscapes

  • Buffer Packag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완충용 포장재 공기주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포장재 공급부로부터 연속 공급되는 완충용 포장재를 이송 롤러를 통해 이송하는 과정에서, 완충용 포장재의 공급 방향과 평행하게 구비되는 공기 주입 파이프를 이송되는 완충용 포장재의 일측 가장자리부에 삽입 배치하고, 가열 히터 및 가압 롤러를 통해 이송 중인 완충용 포장재의 일측 가장자리부 끝단을 가열 융착하여, 완충용 포장재의 내측에 공기 주입 파이프가 수용된 공기 주입 통로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공기 주입 파이프에 형성된 공기 주입 노즐을 통해 완충용 포장재의 공기 주입 통로에 공기를 주입하되, 완충용 포장재를 이송하는 이송 롤러가 상기 공기 주입 노즐 주변의 공기 주입 통로를 밀폐하도록 완충용 포장재를 가압하며 이송하여, 완충용 포장재를 이송하는 중에 상기 공기 주입 노즐로부터 분사되는 공기가 상기 완충용 포장재의 밀폐된 공기 주입 통로를 통해 공기셀에 주입됨으로써, 이송되는 완충용 포장재에 연속적인 공기주입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완충용 포장재 공기주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서로 겹쳐진 복수의 필름이 부분적으로 융착되어, 일측 가장자리부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의 공기 유입로가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각각의 공기 유입로와 대응되게 연결되는 다수개의 공기셀이 형성되는 완충용 포장재에 공기를 주입하기 위한 공기주입장치에 있어서, 본체 프레임과; 상기 본체 프레임의 일측에 구비되어 완충용 포장재를 공급하는 포장재 공급부와; 상기 본체 프레임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되, 상기 완충용 포장재의 공급 방향과 평행하게 구비되어, 상기 공급되는 완충용 포장재 일측 가장자리부의 필름 사이에 삽입되며, 외주면의 소정 위치에 공기가 분사되는 공기 주입 노즐이 형성되는 공기 주입 파이프와; 상기 포장재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완충용 포장재의 일측 가장자리부를 가열하는 가열 히터와; 상기 가열 히터에 의해 가열된 완충용 포장재의 일측 가장자리부 끝단을 가압,융착하여 상기 완충용 포장재의 일측 가장자리부에 상기 다수개의 공기 유입로와 연통하는 공기 주입 통로를 형성하는 가압 롤러부; 및 상기 공기 주입 노즐의 양측에서 상기 공급되는 완충용 포장재의 상·하로 각각 배치되어, 상기 공기 주입 노즐을 사이에 두고 상기 완충용 포장재의 공기 주입 통로를 밀폐하는 동시에, 상기 완충용 포장재를 이송하는 이송 롤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완충용 포장재를 이송하는 중에 상기 공기 주입 노즐로부터 분사되는 공기가 상기 완충용 포장재의 공기 주입 통로 및 공기 유입로를 통해 공기셀에 주입됨으로써, 이송되는 완충용 포장재에 연속적인 공기주입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완충용 포장재 공기주입장치{Air injection apparatus for shock-absorbing packs}
본 발명은 완충용 포장재 공기주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포장재 공급부로부터 연속 공급되는 완충용 포장재를 이송 롤러를 통해 이송하는 과정에서, 완충용 포장재의 공급 방향과 평행하게 구비되는 공기 주입 파이프를 이송되는 완충용 포장재의 일측 가장자리부에 삽입 배치하고, 가열 히터 및 가압 롤러를 통해 이송 중인 완충용 포장재의 일측 가장자리부 끝단을 가열 융착하여, 완충용 포장재의 내측에 공기 주입 파이프가 수용된 공기 주입 통로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공기 주입 파이프에 형성된 공기 주입 노즐을 통해 완충용 포장재의 공기 주입 통로에 공기를 주입하되, 완충용 포장재를 이송하는 이송 롤러가 상기 공기 주입 노즐 주변의 공기 주입 통로를 밀폐하도록 완충용 포장재를 가압하며 이송하여, 완충용 포장재를 이송하는 중에 상기 공기 주입 노즐로부터 분사되는 공기가 상기 완충용 포장재의 밀폐된 공기 주입 통로를 통해 공기셀에 주입됨으로써, 이송되는 완충용 포장재에 연속적인 공기주입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완충용 포장재 공기주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품의 적재·운송 과정 등에서 적재된 다른 물품에 의한 하중이나 외부 충격 및 내부 진동 등에 의하여 제품이 손상될 우려가 있는 경우에는 제품과 포장상자 사이에 완충용 포장재를 삽입하여 제품을 보호하는데, 이러한 완충용 포장재는 대체로 제품의 외면을 감싸도록 설치되므로 가벼우면서 제품을 보호할 수 있는 탄성과 강도가 요구된다.
최근에는 다양한 제품에 맞추어 가공하기에 용이하면서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이나 제품의 하중을 효과적으로 지지하여 제품을 파손되지 않은 상태로 목적지까지 이송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필름에 공기가 주입된 공기셀 형태의 완충용 포장재를 많이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공기셀 형태의 완충용 포장재는, 공기셀을 형성하는 외피들 사이에 내피로 형성된 구조물을 삽입함으로써 공기 주입시 공기셀에 공기주입 작업을 용이하게 하고, 동시에 공기셀 외부로의 공기 유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완충용 포장재를 충진하는 공정을 수행할 시에는 완충용 포장재에 공기를 주입할 수 있도록 형성된 공기주입로에 공기주입관을 삽입하여 공기를 주입함으로써, 완충용 포장재 내부 공기셀에 공기를 충진한다.
그러나, 완충용 포장재에 공기를 충진하는 공정은 수작업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작업자가 일일이 완충용 포장재를 들고 공기주입로에 공기주입관을 삽입하여 공기를 주입하였으며, 이로 따라 공기주입작업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작업 능률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최근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연속적인 공기 주입이 가능한 공기주입장치가 개발되고 있으며, 이와 같은 기술의 한 예가 한국등록특허 10-0095279의 "연이어 설치한 복수의 유체용 밀봉주머니 내에의 유체의 연속적 충전방법"과, 한국등록특허 10-0971604의 "연속적인 공기주입이 가능한 공기밀봉체의 공기주입장치와그 공기주입방법"에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95279호 특허의 공기주입장치는, 밀봉 주머니를 이송하는 과정에서, 절개수단을 통해 밀봉 주머니의 일측 가장자리부에 형성된 도입관을 절개하는 동시에, 절개된 도입관 측으로 유체 도입기구를 삽입하여 밀봉 주머니에 공기를 주입하여 밀봉 주머니에 공기를 충진시키도록 구성됨으로써, 절개된 도입관에 유체 도입기구가 삽입되어 배치됨에 따라, 도입관으로 주입되는 공기가 도입관의 절개된 부분로 새어나오게 되어 효과적인 공기주입이 이루어질 수 없고, 이에 따라 공기 튜브에 공기가 충진되어 팽창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971604호 특허의 공기주입장치는, 공기튜브 시트의 두 장의 외막을 열밀봉 접착하여 공기충진통로를 형성하고, 공기충진관을 공기충진통로까지 이동시키되, 두 장의 외막을 고정기구에 의해 고정시켜 공기충진관에 부착시킴으로써, 공기충진관의 공기를 공기충진통로에 주입하여, 공기튜브 시트의 공기 튜브에 공기를 충진시키도록 구성되어 있어, 상술한 95279호 특허의 공기주입장치에서와 같이 충진된 공기가 누설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고 있기는 하나, 이를 위해 블럭 형태의 열밀봉대를 공기튜브 시트에 가압하여 공기튜브 시트에 공기충진통로를 형성하고, 동시에 블럭 형태의 고정기구를 통해 공기충진통로의 상·하면을 가압 밀폐하면서 공기충진관을 공기충진통로에 주입하고 있어, 공기충진관을 통한 공기 주입 과정이 공기튜브 시트가 정지된 상태에 수행되어야 하며, 이에 따라 연속 이송되는 공기튜브 시트에 공기를 주입할 때마다 공기튜브 시트의 이송을 정지시켜야 함으로써, 공기 주입 공정에 있어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포장재 공급부로부터 연속 공급되는 완충용 포장재를 이송 롤러를 통해 이송하는 과정에서, 완충용 포장재의 공급 방향과 평행하게 구비되는 공기 주입 파이프를 이송되는 완충용 포장재의 일측 가장자리부에 삽입 배치하고, 가열 히터 및 가압 롤러를 통해 이송 중인 완충용 포장재의 일측 가장자리부 끝단을 가열 융착하여, 완충용 포장재의 내측에 공기 주입 파이프가 수용된 공기 주입 통로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공기 주입 파이프에 형성된 공기 주입 노즐을 통해 완충용 포장재의 공기 주입 통로에 공기를 주입하되, 완충용 포장재를 이송하는 이송 롤러가 상기 공기 주입 노즐 주변의 공기 주입 통로를 밀폐하도록 완충용 포장재를 가압하며 이송하여, 완충용 포장재를 이송하는 중에 상기 공기 주입 노즐로부터 분사되는 공기가 상기 완충용 포장재의 밀폐된 공기 주입 통로를 통해 공기셀에 주입됨으로써, 이송되는 완충용 포장재에 연속적인 공기주입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완충용 포장재 공기주입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서로 겹쳐진 복수의 필름이 부분적으로 융착되어, 일측 가장자리부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의 공기 유입로가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각각의 공기 유입로와 대응되게 연결되는 다수개의 공기셀이 형성되는 완충용 포장재에 공기를 주입하기 위한 공기주입장치에 있어서, 본체 프레임과; 상기 본체 프레임의 일측에 구비되어 완충용 포장재를 공급하는 포장재 공급부와; 상기 본체 프레임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되, 상기 완충용 포장재의 공급 방향과 평행하게 구비되어, 상기 공급되는 완충용 포장재 일측 가장자리부의 필름 사이에 삽입되며, 외주면의 소정 위치에 공기가 분사되는 공기 주입 노즐이 형성되는 공기 주입 파이프와; 상기 포장재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완충용 포장재의 일측 가장자리부를 가열하는 가열 히터와; 상기 가열 히터에 의해 가열된 완충용 포장재의 일측 가장자리부 끝단을 가압,융착하여 상기 완충용 포장재의 일측 가장자리부에 상기 다수개의 공기 유입로와 연통하는 공기 주입 통로를 형성하는 가압 롤러부; 및 상기 공기 주입 노즐의 양측에서 상기 공급되는 완충용 포장재의 상·하로 각각 배치되어, 상기 공기 주입 노즐을 사이에 두고 상기 완충용 포장재의 공기 주입 통로를 밀폐하는 동시에, 상기 완충용 포장재를 이송하는 이송 롤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완충용 포장재를 이송하는 중에 상기 공기 주입 노즐로부터 분사되는 공기가 상기 완충용 포장재의 공기 주입 통로 및 공기 유입로를 통해 공기셀에 주입됨으로써, 이송되는 완충용 포장재에 연속적인 공기주입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완충용 포장재 공기주입장치는 포장재 공급부로부터 연속 공급되는 완충용 포장재를 이송 롤러를 통해 이송하는 과정에서, 완충용 포장재의 일측 가장자리부에 공기 주입 파이프를 삽입 배치하고, 가열 히터 및 가압 롤러를 통해 이송 중인 완충용 포장재의 일측 가장자리부 끝단을 가열 융착하여 마감하는 동시에, 완충용 포장재의 일측 가장자리부 내측에 수용된 공기 주입 파이프를 통해 완충용 포장재에 공기를 주입함으로써, 완충용 포장재를 이송하는 중에 연속적인 공기 주입을 수행하여 공기 주입을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어, 공기 주입 작업에 소용되는 시간과 비용을 줄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공기 주입 작업의 능률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완충용 포장재 공기주입장치에 의해 공기가 충진되는 완충용 포장재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완충용 포장재 공기주입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완충용 포장재 공기주입장치의 요부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완충용 포장재 공기주입장치를 통해 완충용 포장재에 공기를 충진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7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가압 롤러부를 통해 완충용 포장재를 가압 융착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이송 롤러부를 통해 완충용 포장재를 이송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공기 주입 노즐을 통해 공기 주입 통로에 공기를 주입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한 이하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완충용 포장재 공기주입장치에 의해 공기가 충진되는 완충용 포장재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완충용 포장재 공기주입장치에 의해 공기가 충진되는 완충용 포장재(10)는, 한 쌍의 외피 사이(21,22)에 한 쌍의 내피(31,32)가 개재된 상태에서 상호 부분적으로 융착되어, 일측 가장자리부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의 공기 유입로(33)가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각각의 공기 유입로(33)와 대응되게 연결되는 다수개의 공기셀(23)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완충용 포장재(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 유입로(33)에 공기를 유입시키면, 유입된 공기가 공기 유입로(33)를 통해 공기셀(23) 내부로 주입되어 공기셀(23)이 팽창되는 구조이며, 공기셀(23)에 공기 충진이 완료되면, 공기셀(23) 내부의 압력에 의해 공기 유입로(33)를 형성하는 한 쌍의 내피(31,32)가 서로 긴밀하게 밀착되어 공기 유입로(33)가 차단됨으로써, 공기셀(23)에 충진된 공기가 공기 유입로(33)를 통해 외부로 빠져나오지 못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완충용 포장재에 공기를 충진하는 완충용 포장재 공기주입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완충용 포장재 공기주입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정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완충용 포장재 공기주입장치의 요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완충용 포장재 공기주입장치를 통해 완충용 포장재에 공기를 충진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완충용 포장재 공기주입장치는, 본체 프레임(110)과; 상기 본체 프레임(110)의 일측에 구비되어 완충용 포장재(10)를 공급하는 포장재 공급부(120)와; 본체 프레임(110)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되, 완충용 포장재(10)의 공급 방향과 평행하게 구비되어, 공급되는 완충용 포장재(10) 일측 가장자리부의 한 쌍의 외피(21,22) 사이에 삽입되며, 외주면의 소정 위치에 공기가 분사되는 공기 주입 노즐(131)이 형성되는 공기 주입 파이프(130)와; 포장재 공급부(120)로부터 공급되는 완충용 포장재(10)의 일측 가장자리부를 가열하는 가열 히터(140)와; 상기 가열 히터(140)에 의해 가열된 완충용 포장재(10)의 일측 가장자리부 끝단을 가압,융착하여 완충용 포장재(10)의 일측 가장자리부에 공기 주입 통로(24)를 형성하는 가압 롤러부(150); 및 상기 공기 주입 노즐(131)의 양측에서 상기 공급되는 완충용 포장재의 상·하로 각각 배치되어, 상기 공기 주입 노즐(131)을 사이에 두고 완충용 포장재(10)의 공기 주입 통로(24)를 밀폐하는 동시에, 상기 완충용 포장재(10)를 이송하는 이송 롤러부(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완충용 포장재 공기주입장치의 각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체 프레임(110)은 공기주입장치를 구성하는 포장재 공급부(120), 공기 주입 파이프(130), 가열 히터(140), 가압 롤러부(150) 및 이송 롤러부(16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 프레임(110)의 일측에는 포장재 공급부(120)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111)이 구비되며, 본체 프레임(110)의 전면에는 공기 주입 파이프(130), 가열 히터(140), 가압 롤러부(150) 및 이송 롤러부(160)가 순차적으로 장착 배치된다. 또한, 본체 프레임(110)의 내부에는 상기 공기 주입 파이프(130)에 압축 공기를 공급하는 압축공기발생부(미도시)와, 이송 롤러부(160)를 회동시키기 위한 구동 수단(미도시)이 구비된다.
포장재 공급부(120)는 본체 프레임(110)의 일측에 구비된 지지프레임(111)에 지지되어 완충용 포장재(10)를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즉, 이와 같은 포장재 공급부(120)는 롤 형태로 감긴 완충용 포장재(10)가 장착되는 공급 롤러(121)로 구성되어, 완충용 포장재(10)가 후술되는 이송 롤러부(160)에 의해 물려 이송될 시 연속적으로 완충용 포장재(10)를 권출하며 공급하게 된다.
이때, 공급 롤러(121)로 구성된 포장재 공급부(120)에는 완충용 포장재(10)의 공급을 수월하게 하기 위한 구동모터(122) 및 감속장치(123)가 구비될 수 있다.
즉, 구동모터(122) 및 감속장치(123)를 통해 공급 롤러(121)의 회전 속도를 상기 이송 롤러부(160)의 회전 속도에 맞추어 조절하여, 이송 롤러부(160)에 의해 이송되는 완충용 포장재(10)의 이송 속도에 맞추어 공급 롤러(121)로부터 완충용 포장재(10)가 일정하게 권출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권출되는 완충용 포장재(10)의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공기 주입 파이프(130)는 본체 프레임(110)의 전면에서 돌출 구비되어 포장재 공급부(120)로부터 공급되는 완충용 포장재(10)에 공기를 주입하는 역할을 한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기 주입 파이프(130)는 본체프레임의 전면 일측에 돌출 구비되며, "ㄴ"자 형상으로 본체프레임의 타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완충용 포장재(10)가 공급되는 방향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된다.
또한, 공기 주입 파이프(130)의 외주면 소정 위치에는 공기가 분사되는 공기 주입 노즐(131)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공기 주입 파이프(13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장재 공급부(120)로부터 완충용 포장재(10)가 공급 이송되는 상태에서, "ㄴ"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완충용 포장재(10)의 공급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파이프 부분이 완충용 포장재(10) 일측 가장자리부의 한 쌍의 외피 사이(21,22)로 삽입 배치되어, 외주면에 형성된 공기 주입 노즐(131)을 통해 완충용 포장재(10)에 공기를 주입할 수 있게 된다.
가열 히터(140)는 본체 프레임(110)의 전면에 구비되어 상기 공기 주입 파이프(130)가 삽입된 완충용 포장재(10)의 일측 가장자리부를 가열한다.
이와 같은 가열 히터(140)는 이송되는 완충용 포장재(10)의 일측 가장자리부 상·하면을 동시에 가열할 수 있도록, 이송되는 완충용 포장재(10)를 사이에 두고 상하 마주보게 한 쌍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한 쌍의 가열 히터(140)와 이송되는 완충용 포장재(10)의 사이에 절연시트(141)를 구비하여, 가열 히터(140)가 이송되는 완충용 포장재(10)의 일측 가장자리부를 가열하는 과정에서 완충용 포장재(10)의 가열된 부분이 가열 히터(140)에 늘어 붙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절연시트(141)는 가열 히터(140)의 양측에 각각 구비된 시트 고정바(142)에 의해 고정된다.
가압 롤러부(150)는 본체 프레임(110)에 구비되어 가열 히터(140)를 통과하면서 가열된 완충용 포장재(10)의 일측 가장자리부 끝단을 가압하여 융착시킴으로써, 완충용 포장재(10)의 일측 끝단을 마감하는 역할을 한다.
도 7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가압 롤러부를 통해 완충용 포장재를 가압 융착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 롤러부(150)는 완충용 포장재(10)의 일측 가장자리부 상·하면을 동시에 가압할 수 있도록 상부 가압 롤러(151) 및 하부 가압 롤러(152)로 구성되며, 이렇게 구성된 상부 가압 롤러(151) 및 하부 가압 롤러(152)를 통해 가열 히터(140)에 의해 가열된 완충용 포장재(10)의 일측 가장자리부 끝단을 가압 융착시킴으로써, 완충용 포장재(10)의 가장자리부 내측에 다수개의 공기 유입로(33)와 연통하는 공기 주입 통로(24)를 형성한다.
이때, 상기와 같이 가압 롤러부(150)를 통해 완충용 포장재(10)의 일측 가장자리부 끝단을 가압 융착하는 과정에서는, 완충용 포장재(10)의 일측 가장자리부에 공기 주입 파이프(130)가 삽입된 채로 가압 롤러부(150)를 통해 완충용 포장재(10)의 일측 가장자리부 끝단을 가압하여 융착하게 되며, 이에 따라 완충용 포장재(10)에 형성된 공기 주입 통로(24) 내에 공기 주입 파이프(130)가 수용되어 배치된다.
여기서, 가압 롤러부(150)를 구성하는 상부 및 하부 가압 롤러(151,152)에는 완충용 포장재(10)를 가압하는 외주면 둘레에 보조 절연시트(153)가 부착되어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완충용 포장재(10)의 가장자리부 끝단을 가압 융착하는 과정에서 상기 보조 절연시트(153)를 통해 완충용 포장재(10)의 가열된 부분이 가압 롤러(151,152)의 외주면에 늘어 붙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체 프레임(110)에는 상부 가압 롤러(151) 및 하부 가압 롤러(152) 간의 가압력을 유지시켜 주는 가압 스프링(154)이 구비될 수 있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본체 프레임(110)에서 상부 가압 롤러(151) 측에 가압 스프링(154)을 구비하여, 상기 가압 스프링(154)을 통해 상부 가압 롤러(151)의 축을 하부 가압 롤러(152) 측으로 가압함으로써, 상부 가압 롤러(151) 및 하부 가압 롤러(152) 사이로 통과하는 완충용 포장재(10)의 일측 가장자리부 끝단을 용이하게 가압하여 융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본체 프레임(110)에는 가압 롤러부(150)에 의해 가압 융착된 완충용 포장재(10)의 가장자리부 끝단을 다시 평평하게 눌러주는 주름방지 롤러(170)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주름방지 롤러(170)는 가압 롤러부(150)가 가열 히터(140)에 의해 가열된 완충용 포장재(10)의 가장자리부를 가압 융착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주름을 평평하게 눌러주어 펴주는 역할을 한다.
한편, 이송 롤러부(160)는 본체 프레임(110)에서 공기 주입 파이프(130)에 형성된 공기 주입 노즐(131)의 양측에 각각 상·하로 배치되어, 내측에 공기 주입 파이프(130)를 수용한 완충용 포장재(10)를 이송하는 역할을 한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 롤러부(160)는 공기 주입 파이프(130)에 형성된 공기 주입 노즐(131)을 기준으로, 상기 공기 주입 노즐(131)의 일측에서 공기 주입 파이프(130)를 사이에 두고 상·하로 배치되는 제1 및 제2 이송 롤러(161,162)와, 상기 공기 주입 노즐(131)의 타측에서 공기 주입 파이프(130)를 사이에 두고 상·하로 배치되는 제3 및 제4 이송 롤러(163,16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제1 및 제2 이송 롤러(161,162)와 제3 및 제4 이송 롤러(163,164)의 외주면에는 둘레를 따라 반원형의 요홈(165)이 형성되어 있어, 완충용 포장재(10)의 공급 방향과 평행하게 구비된 공기 주입 파이프(130)가 제1 및 제2 이송 롤러(161,162)와 제3 및 제4 이송 롤러(163,164)에 형성된 요홈(165)을 통과하여 배치된다.
이때, 본체 프레임(110)의 내부에는 상기 제1 내지 제4 이송 롤러(161,162,163,164)에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 수단(미도시)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 수단(미도시)은 모터와 기어의 조합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모터, 풀리 및 벨트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상기 제1 및 제2 이송 롤러(161,162)와 제3 및 제4 이송 롤러(163,164)는 완충용 포장재(10)를 이송하도록 구성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공기 주입 파이프(130)의 상부측에 배치된 제1 및 제3 이송 롤러(161,163)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시키고, 제2 및 제4 이송 롤러(162,164)를 시계 방향으로 회동시킴으로써, 제1 및 제2 이송 롤러(161,162)의 사이와 제3 및 제4 이송 롤러(163,164)의 사이에 완충용 포장재(10)의 일측 가장자리부를 진입시켜 완충용 포장재(10)를 이송하도록 하고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이송 롤러부를 통해 완충용 포장재를 이송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공기 주입 노즐을 통해 공기 주입 통로에 공기를 주입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 및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 롤러부(160)에 의해 이송되는 완충용 포장재(10)는 내부에 형성된 공기 주입 통로(24)에 공기 주입 파이프(130)가 수용된 채로 이송되는데, 각각 상·하 배치된 제1 및 제2 이송 롤러(161,162)와 제3 및 제4 이송 롤러(163,164)가 공기 주입 파이프(130)의 공기 주입 노즐(131)의 양측에서 완충용 포장재(10)의 공기 주입 통로(24)를 밀폐하면서 완충용 포장재(10)를 이송하고 있어, 도 6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기 주입 노즐(131)로부터 분사되는 공기가 상기 제1 및 제2 이송 롤러(161,162)와 제3 및 제4 이송 롤러(163,164)에 의해 밀폐된 완충용 포장재(10)의 공기 주입 통로(24)를 통해 다수개의 공기 유입로(33)로 유입되어 공기셀(23)에 충진되며,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이송되는 완충용 포장재(10)에 연속적으로 공기를 주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 주입 파이프(130) 상에는 공기 주입 노즐(131)로부터 분사되는 공기가 제1 및 제2 이송 롤러(161,162)의 요홈(165) 측으로 역류하는 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역류방지 패킹(132)이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역류방지 패킹(132)은 제1 및 제2 이송 롤러(161,162)의 요홈(165) 측에 구비되어 공기 주입 노즐(131)로부터 분사되는 공기가 완충용 포장재(10)의 공기 주입 통로(24)를 통해 공기 유입로(33)로 유입되지 못하고 역류하여 제1 및 제2 이송 롤러(161,162)의 요홈(165) 측 공기 주입 통로(24)의 틈새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본체 프레임(110)의 타측 단부에는 이송 롤러부(160) 후방에서 공기 주입 파이프(130)의 끝단 지점 이후에 배치되어 완충용 포장재(10)를 이송하는 동시에, 완충용 포장재(10)의 공기 주입 통로(24)를 폐쇄하는 보조 이송 롤러부(18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보조 이송 롤러부(180)는 완충용 포장재(10)의 상·하면에 밀착되어 완충용 포장재(10)의 공기 주입 통로(24)를 폐쇄하면서 완충용 포장재(10)를 이송하도록 상·하로 배치되는 제1 및 제2 보조 이송 롤러(181,182)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보조 이송 롤러부(180)는 상술한 구동 수단(미도시)과 연결되어 동력을 제공받거나, 또는 별도의 구동 수단을 추가로 구비하여 동력을 제공받을 수 있다.
한편,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 프레임(110)의 전면에서 포장재 공급부(120) 측과 이송 롤러부(160) 측에는 이송되는 완충용 포장재(10)를 지지하는 제1 및 제2 지지바(112,113)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제1 지지바(112)는 본체 프레임(110)의 전면에서 포장재 공급부(120)와 공기 주입 파이프(130) 사이에 구비되며, 포장재 공급부(120)로부터 공급되어 이송되는 완충용 포장재(10)의 상면을 지지하여 완충용 포장재(10)의 긴장력을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제2 지지바(113)는 이송 롤러부(160)의 하부에 구비되어 공기 주입 노즐(131)에 의해 공기가 충진된 완충용 포장재(10)의 하면을 지지하여, 공기가 충진됨에 따라 완충용 포장재(10)가 뒤틀려 이송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완충용 포장재 공기주입장치의 작동과정에 대해 도 3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공기주입장치를 이용하여 완충용 포장재(10)에 연속적으로 공기를 주입하기 위해서는, 포장재 공급부(120)로부터 완충용 포장재(10)를 권출하여 일측 가장자리부의 한 쌍의 외피 사이(21,22)에 완충용 포장재(10)의 공급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된 공기 주입 파이프(130)를 삽입한 후, 완충용 포장재(10)의 일측 가장자리부를 본체 프레임(110)의 전면에 순차적으로 배치된 가열 히터(140), 가압 롤러부(150) 및 이송 롤러부(160)에 장착하여 배치시킴으로써, 공기주입장치에 완충용 포장재(10)를 셋팅한다.
이때, 완충용 포장재(10)를 셋팅하는 과정에서는 본체 프레임(110)의 일측에 구비된 제1 지지바(112)에 완충용 포장재(10) 상면을 지지하고, 본체 프레임(110)의 타측에 구비된 제2 지지바(113)에 완충용 포장재(10)의 하면을 지지하도록 배치하여, 공급 이송되는 완충용 포장재(10)의 긴장력을 유지시키는 동시에, 완충용 포장재(10)의 이송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한다.
이후, 공기주입장치를 작동시키면, 구동 수단에 의해 이송 롤러부(160)가 회동하여 포장재 공급부(120)로부터 공급되는 완충용 포장재(10)를 연속 이송하며, 동시에 가열 히터(140)가 작동하여 이송되는 완충용 포장재(10)의 일측 가장자리부를 연속적으로 가열하게 된다.
계속해서, 이송되는 완충용 포장재(10)는 가열된 일측 가장자리부가 가압 롤러부(150)를 통과하면서 상기 가압 롤러부(150)의 가압에 의해 완충용 포장재(10)의 일측 가장자리부 끝단이 융착되며, 이 과정에서 완충용 포장재(10)의 일측 가장자리부의 내측에 다수개의 공기 유입로(33)와 연통하는 공기 주입 통로(24)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와 같이 가압 롤러부(150)를 통해 완충용 포장재(10)의 일측 가장자리부 끝단을 가압 융착하는 과정에서는, 완충용 포장재(10)의 일측 가장자리부에 공기 주입 파이프(130)가 삽입된 채로 가압 롤러부(150)를 통해 완충용 포장재(10)의 일측 가장자리부 끝단을 가압 융착하게 됨에 따라, 완충용 포장재(10)에 형성된 공기 주입 통로(24) 내에 공기 주입 파이프(130)가 수용되어 배치된다.
이어서, 가압 롤러부(150)에 의해 가압 융착된 완충용 포장재(10)의 일측 가장자리 끝단은 주름방지 롤러(170)를 통과하면서 상기 가압 롤러부(150)에 의해 융착된 끝단이 평평하게 마감될 수 있다.
계속해서, 상기와 같이 융착된 완충용 포장재(10)는 내부에 형성된 공기 주입 통로(24)에 공기 주입 파이프(130)가 수용된 채로 이송되는데, 이 과정에서 본체 프레임(110)으로부터 연장되어 각각 상·하로 배치된 제1 및 제2 이송 롤러(161,162)와 제3 및 제4 이송 롤러(163,164)가 공기 주입 파이프(130)의 공기 주입 노즐(131)의 양측에서 완충용 포장재(10)의 공기 주입 통로(24)를 밀폐하면서 완충용 포장재(10)를 이송하고 있어, 공기 주입 파이프(130)의 공기 주입 노즐(131)로부터 분사되는 공기가 상기 제1 및 제2 이송 롤러(161,162)와 제3 및 제4 이송 롤러(163,164)에 의해 밀폐된 완충용 포장재(10)의 공기 주입 통로(24)를 통해 다수개의 공기 유입로(33)로 유입되어 공기셀(23)에 충진되며, 이 과정이 연속적으로 진행됨에 따라 이송되는 완충용 포장재(10)에 연속적으로 공기를 주입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와 같이 공기 주입 파이프(130)를 통해 완충용 포장재(10)에 공기를 주입하는 과정에서는, 공기 주입 파이프(130) 상에 구비되는 역류방지 패킹(132)과, 본체 프레임(110)에서 공기 주입 파이프(130)가 끝나는 지점 이후에 배치되어 완충용 포장재(10)의 공기 주입 통로(24)를 폐쇄하는 보조 이송 롤러부(180)를 통해 공기 주입 노블로부터 분사되는 공기가 완충용 포장재(10)의 공기 유입로(33) 이외의 다른 경로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완충용 포장재 공기주입장치는 포장재 공급부로부터 연속 공급되는 완충용 포장재를 이송 롤러를 통해 이송하는 과정에서, 완충용 포장재의 일측 가장자리부에 공기 주입 파이프를 삽입 배치하고, 가열 히터 및 가압 롤러를 통해 이송 중인 완충용 포장재의 일측 가장자리부 끝단을 가열 융착하여 마감하는 동시에, 완충용 포장재의 일측 가장자리부 내측에 수용된 공기 주입 파이프를 통해 완충용 포장재에 공기를 주입함으로써, 완충용 포장재를 이송하는 중에 연속적인 공기 주입을 수행하여 공기 주입을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어, 공기 주입 작업에 소용되는 시간과 비용을 줄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공기 주입 작업의 능률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0 : 완충용 포장재 21,22 : 한 쌍의 외피 사이
23 : 공기셀 24 : 공기 주입 통로
31,32 : 한 쌍의 내피 33 : 공기 유입로
110 : 본체 프레임 111 : 지지프레임
112 : 제1 지지바 113 : 제2 지지바
120 : 포장재 공급부 121 : 공급 롤러
122 : 구동모터 123 : 감속장치
130 : 공기 주입 파이프 131 : 공기 주입 노즐
132 : 역류방지 패킹 140 : 가열 히터
141 : 절연시트 142 : 시트 고정바
150 : 가압 롤러부 151 : 상부 가압 롤러
152 : 상부 가압 롤러 153 : 보조 절연시트
154 : 가압 스프링 160 : 이송 롤러부
161 : 제1 이송 롤러 162 : 제2 이송 롤러
163 : 제3 이송 롤러 164 : 제4 이송 롤러
165 : 요홈 170 : 주름방지 롤러
180 : 보조 이송 롤러부 181 : 제1 보조 이송 롤러
182 : 제2 보조 이송 롤러

Claims (16)

  1. 서로 겹쳐진 복수의 필름이 부분적으로 융착되어, 일측 가장자리부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의 공기 유입로가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각각의 공기 유입로와 대응되게 연결되는 다수개의 공기셀이 형성되는 완충용 포장재에 공기를 주입하기 위한 공기주입장치에 있어서,
    본체 프레임과;
    상기 본체 프레임의 일측에 구비되어 완충용 포장재를 공급하는 포장재 공급부와;
    상기 본체 프레임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되, 상기 완충용 포장재의 공급 방향과 평행하게 구비되어, 상기 공급되는 완충용 포장재 일측 가장자리부의 필름 사이에 삽입되며, 외주면의 소정 위치에 공기가 분사되는 공기 주입 노즐이 형성되는 공기 주입 파이프와;
    상기 포장재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완충용 포장재의 일측 가장자리부를 가열하는 가열 히터와;
    상기 가열 히터에 의해 가열된 완충용 포장재의 일측 가장자리부 끝단을 가압,융착하여 상기 완충용 포장재의 일측 가장자리부에 상기 다수개의 공기 유입로와 연통하는 공기 주입 통로를 형성하는 가압 롤러부와;
    상기 가압 롤러부에 의해 가압 융착된 완충용 포장재의 가장자리부 끝단을 평평하게 눌러 펴주는 주름방지 롤러; 및
    상기 완충용 포장재의 이송 방향을 따라 상기 공기 주입 노즐의 전·후방에서 상기 공급되는 완충용 포장재의 상·하로 각각 배치되어, 상기 공기 주입 노즐을 사이에 두고 상기 완충용 포장재의 공기 주입 통로를 밀폐하는 동시에, 상기 완충용 포장재를 이송하는 이송 롤러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본체 프레임의 전면에는,
    상기 포장재 공급부와 공기 주입 파이프 사이에서 상기 포장재 공급부로부터 이송되는 완충용 포장재의 상면을 지지하는 제1 지지바와, 상기 이송 롤러의 하부에서 상기 공기 주입 노즐에 의해 공기가 충진된 완충용 포장재의 하면을 지지하는 제2 지지바가 각각 구비되어,
    상기 공기 주입 노즐로부터 분사되는 공기가 상기 완충용 포장재의 공기 주입 통로 및 공기 유입로를 통해 공기셀에 주입되는 과정에서 공기 주입 통로의 뒤틀림으로 인한 완충용 포장재의 파손을 방지하는 동시에, 이송되는 완충용 포장재의 긴장력을 유지시키면서 이송을 가이드함으로써, 이송되는 완충용 포장재에 연속적인 공기주입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용 포장재 공기주입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롤러부는,
    상기 완충용 포장재의 이송 방향을 따라 상기 공기 주입 노즐의 전방에서 상기 공급되는 완충용 포장재를 사이에 두고 상·하로 배치되는 제1 및 제2 이송 롤러와;
    상기 완충용 포장재의 이송 방향을 따라 상기 공기 주입 노즐의 후방에서 상기 공급되는 완충용 포장재를 사이에 두고 상·하로 배치되는 제3 및 제4 이송 롤러;
    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 이송 롤러와 상기 제3 및 제4 이송 롤러가 상기 완충용 포장재의 이송 방향을 따라 상기 공기 주입 노즐의 전·후방에서 상기 공기 주입 통로를 밀폐하면서 상기 완충용 포장재를 이송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용 포장재 공기주입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이송 롤러와 제3 및 제4 이송 롤러의 외주면에는,
    상기 공기 주입 파이프가 통과되는 반원형의 요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용 포장재 공기주입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주입 파이프에는,
    상기 공기 주입 노즐로부터 분사되는 공기의 역류를 방지하는 역류방지 패킹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용 포장재 공기주입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프레임에는,
    상기 이송 롤러부 후방에 구비되어, 상기 완충용 포장재를 이송하는 동시에, 완충용 포장재의 공기 주입 통로를 폐쇄하는 보조 이송 롤러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용 포장재 공기주입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프레임 내부에는,
    상기 이송 롤러부를 회동시키기 위한 구동 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용 포장재 공기주입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프레임 내부에는,
    상기 공기 주입 파이프로 압축 공기를 공급하는 압축공기발생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용 포장재 공기주입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재 공급부는,
    롤 형태의 완충용 포장재가 장착되는 공급 롤러로 구성되어, 상기 완충용 포장재가 이송 롤러부에 의해 이송될 시, 연속적으로 완충용 포장재를 권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용 포장재 공기주입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 롤러에는,
    상기 이송 롤러부에 의해 이송되는 완충용 포장재의 이송 속도에 맞추어 권취된 완충용 포장재를 일정하게 권출할 수 있도록 상기 공급 롤러를 회동시키는 구동모터 및 감속장치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용 포장재 공기주입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히터는,
    이송되는 완충용 포장재의 일측 가장자리부 상·하면을 동시에 가열할 수 있도록, 완충용 포장재를 사이에 두고 상하 마주보게 한 쌍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용 포장재 공기주입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히터와 이송되는 완충용 포장재의 사이에는,
    절연시트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용 포장재 공기주입장치.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롤러부는,
    이송되는 완충용 포장재의 일측 가장자리부 상·하면을 동시에 가압할 수 있도록 상부 가압 롤러 및 하부 가압 롤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용 포장재 공기주입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프레임에는,
    상기 상부 가압 롤러 및 하부 가압 롤러 간의 가압력을 유지시켜주기 위한 가압 스프링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용 포장재 공기주입장치.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가압 롤러 및 하부 가압 롤러는,
    외주면 둘레에 보조 절연시트가 부착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용 포장재 공기주입장치.
  15. 삭제
  16. 삭제
KR1020130121993A 2013-10-14 2013-10-14 완충용 포장재 공기주입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14161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1993A KR101416118B1 (ko) 2013-10-14 2013-10-14 완충용 포장재 공기주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1993A KR101416118B1 (ko) 2013-10-14 2013-10-14 완충용 포장재 공기주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16118B1 true KR101416118B1 (ko) 2014-07-09

Family

ID=517413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1993A Expired - Fee Related KR101416118B1 (ko) 2013-10-14 2013-10-14 완충용 포장재 공기주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611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6122B1 (ko) * 2015-04-28 2015-12-09 주식회사 레코 완충용 포장재 공기주입장치
KR101983084B1 (ko) * 2018-11-15 2019-05-30 (주)이엘에스 완충포장재 공기주입장치
KR102099038B1 (ko) 2019-03-26 2020-04-08 송재도 포장재 공급장치 및 그 포장재 공급장치를 이용한 완충 포장재의 제조설비
KR102279628B1 (ko) 2020-03-12 2021-07-20 오병돈 공기주입형 완충재용 공기주입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공기주입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71953A (ja) * 2001-09-05 2003-03-12 Sun A Kaken Co Ltd 緩衝包装材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KR100971604B1 (ko) 2007-09-26 2010-07-20 치에 후아 리아오 연속적인 공기주입이 가능한 공기밀봉체의 공기주입장치와그 공기주입방법
JP2011195162A (ja) 2010-03-18 2011-10-06 Asia Hi-Tecs Co Ltd エアー緩衝材製造装置
KR101171244B1 (ko) * 2011-09-06 2012-08-06 주식회사 레코 완충용 포장재 융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완충용 포장재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71953A (ja) * 2001-09-05 2003-03-12 Sun A Kaken Co Ltd 緩衝包装材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KR100971604B1 (ko) 2007-09-26 2010-07-20 치에 후아 리아오 연속적인 공기주입이 가능한 공기밀봉체의 공기주입장치와그 공기주입방법
JP2011195162A (ja) 2010-03-18 2011-10-06 Asia Hi-Tecs Co Ltd エアー緩衝材製造装置
KR101171244B1 (ko) * 2011-09-06 2012-08-06 주식회사 레코 완충용 포장재 융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완충용 포장재 제조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6122B1 (ko) * 2015-04-28 2015-12-09 주식회사 레코 완충용 포장재 공기주입장치
KR101983084B1 (ko) * 2018-11-15 2019-05-30 (주)이엘에스 완충포장재 공기주입장치
KR102099038B1 (ko) 2019-03-26 2020-04-08 송재도 포장재 공급장치 및 그 포장재 공급장치를 이용한 완충 포장재의 제조설비
WO2020196984A1 (ko) * 2019-03-26 2020-10-01 송재도 포장재 공급장치 및 그 포장재 공급장치를 이용한 완충 포장재의 제조설비
KR102279628B1 (ko) 2020-03-12 2021-07-20 오병돈 공기주입형 완충재용 공기주입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공기주입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23945B2 (en) Packaging materials and methods
JP4327725B2 (ja) 被包装物品入り緩衝包装体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装置
KR101416118B1 (ko) 완충용 포장재 공기주입장치
KR101875719B1 (ko) 에어백 부착 자루에 대한 기체봉입방법 및 기체봉입장치
US7482051B2 (en) Structure of inflatable air-packing device having check valve and multiple air bubbles
KR101576122B1 (ko) 완충용 포장재 공기주입장치
WO2010109727A1 (ja) 緩衝材製造装置、多重被加工シート材及び多重被加工シート材製造装置
WO2013022398A1 (en) Device for producing a shock-absorbing inflatable package and method for filling it
KR101899771B1 (ko) 에어백 부착 자루에 대한 기체봉입방법 및 기체봉입장치
CN110114273A (zh) 制造包装单元的包装机和方法、及由包装套筒和外包装制成的包装单元
KR20140022722A (ko) 연속 밀봉 장치 및 그 재료 저장 공급대
ES1217722U (es) Máquina de envasado
KR101983084B1 (ko) 완충포장재 공기주입장치
EP2507049B1 (en) Blow unit for an apparatus for making air-filled bags, apparatus comprising such a blow unit, system comprising such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making air-filled bags
ITBO20010242A1 (it) Apparato con unita' di saldatura ad aria calda ed a bassa inerzia termica, per la termosaldatura di confezioni od imballaggi di materia term
JP4199823B1 (ja) エアー緩衝材製造装置
JP5054069B2 (ja) おにぎり包装機における気体充填装置
JP2000218718A (ja) 逆止弁付袋の連続製造装置
KR20140045450A (ko) 제품 스택을 포함하는 시트 튜브를 분리하기 위한 방법, 이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포장 설비, 및 천공된 관 모양의 시트
JP7474460B2 (ja) ピロー包装機
WO2011007432A1 (ja) 包装体製造装置
JP2006306420A (ja) ヒートシール装置及び薬剤分包装置
JP6000568B2 (ja) 製袋器並びに製袋方法及びピロー包装機
JP2627461B2 (ja) 袋及びその製造装置
JP4680445B2 (ja) 緩衝包装材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101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31014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12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40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7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07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3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6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5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62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70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304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