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415972B1 - 급탕가열장치 - Google Patents

급탕가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5972B1
KR101415972B1 KR1020140049528A KR20140049528A KR101415972B1 KR 101415972 B1 KR101415972 B1 KR 101415972B1 KR 1020140049528 A KR1020140049528 A KR 1020140049528A KR 20140049528 A KR20140049528 A KR 20140049528A KR 101415972 B1 KR101415972 B1 KR 1014159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unit
storage unit
geothermal
heat sour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95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범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너지컨설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너지컨설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너지컨설팅
Priority to KR10201400495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59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59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597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0/00Heat pumps
    • F25B30/06Heat pumps characterised by the source of low potential hea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20Disposition of valves, e.g. of on-off valves or flow control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13/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B2313/002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geotherm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600/00Control issues
    • F25B2600/25Control of valves
    • F25B2600/2521On-off valves controlled by pulse sign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40Solar thermal energy, e.g. solar tow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t-Pump Type And Storage Water Hea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급탕가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지열 히프펌프장치를 냉방으로 가동시 열교환기를 통과하여 발생하는 지중순환수의 상승을 단순히 지중에 냉각시켜서 재사용하는 종래기술의 단점을 보완하여 버려지는 열원을 기계실의 급탕탱크로 연결하여 재사용함으로 폐열회수를 극대화함과 동시에 높은 순환펌프의 양정을 기계실에서 순환시킴으로서 순환펌프의 양정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급탕가열장치는, 공급처에 냉방 또는 난방을 공급하는 버퍼탱크, 상기 버퍼탱크와 연결되고, 지열의 열원을 이용하여 상기 버퍼탱크에 온열 에너지 또는 냉열 에너지를 공급하며, 상기 버퍼탱크의 작동시 발생되는 폐열원을 고온으로 응축시키는 지열히트펌프장치, 상기 지열히트펌프장치와 연결되며 상기 지열히트펌프장치에 의해 응축된 열원을 임시로 저장하는 제1축열부, 상기 지열히트펌프장치와 연결되고 상기 지열히트펌프장치에서 응축된 열원을 임시로 저장하는 제2축열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열히트펌프장치와 제1축열부, 상기 지열히트펌프장치와 제2축열부, 상기 제1축열부와 제2축열부는 열원순환부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열원은 상기 열원순환부를 통해 상기 지열히트펌프장치와 제1축열부 및 제2축열부를 반복적으로 순환하면서 고온으로 가열되고, 상기 제1축열부, 제2축열부는 열원공급부를 통해 급탕탱크와 연결되어, 상기 고온으로 가열된 열원은 상기 열원공급부를 통해 급탕탱크에 공급한다.

Description

급탕가열장치{device for hot water supply heater}
본 발명은 지열냉난방을 사용함에 있어 열원측에 발생하는 폐열을 재활용 할 수 있는 급탕가열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여름철 냉방으로 발생하는 고온의 폐열을 급탕에 공급함과 동시에 옥내 또는 옥외에 설치된 기계실 내부의 급탕탱크로 순환펌프 가동을 유도하여 옥외 지중으로 돌아오는 펌프의 양정이 줄어들 수 있도록 하여 소비전력과 급탕에 소요되는 에너지를 현저히 낮추는 한편, 난방시에는 기계실 축열부 및 배관내 유량을 적정온도 이하로 감소되기 전까지 지열히트펌프를 가동함으로 순환펌프의 양정을 최소화하여 소비전력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급탕가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열을 이용한 냉난방 시스템은 지열원 루프를 통과하는 유체가 히트펌프압축기와 연결된 열교환기를 통과하며 열교환을 이루고 히트펌프 압축기는 열교환된 열에너지를 사용처로 공급한다. 이 과정에서 지중루프는 건물외부로 나가 지하를150~200m를 돌아오기 때문에 기계실에서 시작된 배관 속 열교환 유체는 건물외부를 나가 지중루프를 타고 지열히트펌프로 돌아오는데 그 길이가 길어지는 만큼 순환펌프의 양정이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0557460호(2006.02.24) 등록특허공보 제10-0786116호(2007.12.10)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지열 히프펌프장치를 냉방으로 가동시 열교환기를 통과하여 발생하는 지중순환수의 상승을 단순히 지중에 냉각시켜서 재사용하는 종래기술의 단점을 보완하여 버려지는 열원을 기계실의 급탕탱크로 연결하여 재사용함으로 폐열회수를 극대화함과 동시에 높은 순환펌프의 양정을 기계실에서 순환시킴으로서 순환펌프의 양정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한 급탕가열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급탕가열장치는, 공급처에 냉방 또는 난방을 공급하는 버퍼탱크, 상기 버퍼탱크와 연결되고, 지열의 열원을 이용하여 상기 버퍼탱크에 온열 에너지 또는 냉열 에너지를 공급하며, 상기 버퍼탱크의 작동시 발생되는 폐열원을 고온으로 응축시키는 지열히트펌프장치, 상기 지열히트펌프장치와 연결되며 상기 지열히트펌프장치에 의해 응축된 열원을 임시로 저장하는 제1축열부, 상기 지열히트펌프장치와 연결되고 상기 지열히트펌프장치에서 응축된 열원을 임시로 저장하는 제2축열부
를 포함하며,
상기 지열히트펌프장치와 제1축열부, 상기 지열히트펌프장치와 제2축열부, 상기 제1축열부와 제2축열부는 열원순환부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열원은 상기 열원순환부를 통해 상기 지열히트펌프장치와 제1축열부 및 제2축열부를 반복적으로 순환하면서 고온으로 가열되고,
상기 제1축열부, 제2축열부는 열원공급부를 통해 급탕탱크와 연결되어, 상기 고온으로 가열된 열원은 상기 열원공급부를 통해 급탕탱크에 공급된다.
그리고, 지중에 매설되고 상기 제1축열부 및 제2축열부와 연결되며, 상기 지열히트펌프장치에 지열원을 공급하는 지열원공급부,
상기 지열원공급부에 설치되는 제1밸브,
상기 제1축열부와 제2축열부를 연결하는 열원순환부에 설치되는 제2밸브,
상기 제1밸브, 제2밸브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축열부와 제2축열부의 축열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보다 높거나 낮을 경우 상기 제1밸브가 개방되도록 하고 제2밸브는 잠기도록 하여 상기 지열원과 열원이 혼합되어 순환되도록 하고,
상기 제1축열부와 제2축열부의 축열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로 상승될 경우 상기 제1밸브가 잠기도록 하고 상기 제2밸브는 개방되도록 하여 상기 열원순환부를 순환하는 열원이 상기 급탕탱크에 공급되도록 하거나, 또는 상기 지열히트펌프장치가 열원순환부를 순환하는 열원을 통해 상기 버퍼탱크를 작동시키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급탕가열장치는, 지열히트펌프장치의 응축기를 통과하여 지중으로 버려지는 순환수의 열원을 급탕탱크에 공급함으로서 지열히트펌프장치의 냉방 또는 난방과 동시에 급탕을 추가로 실행할 수 있어 에너지 절약에 효과적인 방법이며, 또한 순환펌프의 양정을 지중루프의 순환에서 기계실 배관회로로 순환되도록 할 수 있어 소비전력을 현저히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급탕탱크에 열원을 공급하지 않거나 난방용으로 사용함에 있어서, 열원순환부를 순환하는 순환수의 온도가 적정온도 이상 올라가거나 떨어지지 않는다면 열원순환부의 유량으로 지열히트펌프장치를 가동시키다가 열원순환부의 유량의 온도가 적정온도 이상 상승하거나 떨어질 경우 지중루프로 순환수를 순환하여 배관내 온도를 지중온도와 같은 온도로 열교환 시킨다. 이 후, 열원순환부의 순환수의 온도가 지중온도와 동일한 온도가 되면 지열원공급부가 잠기게 되어 순환수가 열원순환부에서 반복적으로 순환할 수 있도록 하여 순환펌프의 양정을 줄여 소비전력을 낮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급탕가열장치에서 기본 운전시 흐름을 나타내는 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급탕가열장치에서 폐열의 순환 및 폐열이 급탕탱크에 공급되는 흐름을 나타내는 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급탕가열장치에서 냉난방 저 양정 펌프 운전시 흐름을 나타내는 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급탕가열장치에서 기본 운전시 흐름을 나타내는 도이고,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급탕가열장치에서 폐열의 순환 및 폐열이 급탕탱크에 공급되는 흐름을 나타내는 도이며,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급탕가열장치에서 냉난방 저 양정 펌프 운전시 흐름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1 내지 도3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급탕가열장치(1)는 버퍼탱크(10)와 지열히트펌프장치(20)와 제1축열부(30)와 제2축열부(40)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버퍼탱크(10)는 옥내의 기계실(미도시) 내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옥내의 천정에 설치되며 냉방과 난방의 기능을 동시에 갖는 냉,난방장치와 연결되어 옥내에 냉방 또는 난방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지열히트펌프장치(20)는 상기 기계실에 설치될 수 있으며, 연결관(130)을 통해 상기 버퍼탱크(10)와 연결된다.
상기 지열히트펌프장치(20)는 후술되는 지열원공급부(80)와 연결되며, 상기 지열원을 공급받아 자체 내장되는 제1열교환기(21)와 제2열교환기(22)를 통해 열교환한 다음 상기 버퍼탱크(10)에 온열 에너지 또는 냉열 에너지를 공급하고, 상기 버퍼탱크(10)는 상기 지열히트펌프장치(20)로부터 공급되는 에너지를 통해 가동되어 공급처인 옥내에 냉방 또는 난방을 공급하게 된다.
이때, 상기 버퍼탱크(10)는 작동시 폐열원이 발생되는데, 상기 폐열원은 상기 연결관(130)을 통해 상기 지열히트펌프장치(20)로 회수되고, 상기 지열히트펌프장치(20)는 자체 내장된 제1열교환기(21)를 통해 상기 폐열원을 고온으로 응축시킨다.
상기 제1축열부(30)는 상기 지열히트펌프장치(20)에 의해 응축된 열원을 임시로 저장하는 것으로, 상기 기계실에 설치될 수 있으며, 후술되는 열원순환부(50)를 통해 상기 지열히트펌프장치(20)와 연결된다.
상기 제2축열부(40)는 상기 제1축열부(30)와 동일하게 상기 지열히트펌프장치(20)에 의해 응축된 열원을 임시로 저장하는 것으로, 상기 기계실에 설치될 수 있으며, 후술되는 열원순환부(50)를 통해 상기 지열히트펌프장치(20)와 연결된다.
이상 설명한 상기 지열히트펌프장치(20)와 제1축열부(30), 상기 지열히트펌프장치(20)와 제2축열부(40), 상기 제1축열부(30)와 제2축열부(40)는 열원순환부(50)를 통해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열원순환부(50)는 배관과 동일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열원순환부(50)로 인해 상기 응축된 열원은 상기 지열히트펌프장치(20)의 제1열교환기(21)와 제1축열부(30) 및 제2축열부(40)를 반복적으로 순환하면서 고온으로 가열된다.
이때, 상기 지열히트펌프장치(20)와 제2축열부(40)를 연결하기 위한 열원순환부(50)는 상기 열원을 반복적으로 순환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순환펌프(14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축열부(30)와 상기 제2축열부(40)의 내부에는 온도감지센서(미도시)가 설치되어 후술되는 제어부(120)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상기 열원을 선택적으로 이송시키게 된다. 상기 열원의 이송방법은 아래에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제1축열부(30) 및 제2축열부(40)는 지열원공급부(80)와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열원공급부(80)는 지중에 매설되며 상기 제1축열부(30)와 연결되는 유입관(81)과, 상기 유입관(81)과 제2축열부(40)에 연결되는 유출관(82)을 포함한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열히트펌프장치(20)를 작동시키면, 상기 지열원공급부(80)의 지열원은 유출관(82)을 통해 상기 제2축열부(40)와 후술되는 열원순환부(50)를 순차적으로 거쳐 상기 지열히트펌프장치(20)로 이동되고, 상기 이동된 지열원은 상기 지열히트펌프장치(20)의 열교환기에서 열교환 된 다음 버퍼탱크(10)에 공급된다. 그리고 상기 버퍼탱크(10)는 공급처인 냉,난방장치에 냉방 또는 난방을 공급한다.
또한, 상기 제1축열부(30), 제2축열부(40)는 열원공급부(70)를 통해 급탕탱크(60)와 연결되어, 상기 고온으로 가열된 열원은 상기 급탕탱크(60)에 공급된다.
이때, 상기 급탕탱크(60)에 공급된 열원은 상기 급탕탱크(60)에 내장된 제3열교환기(61)를 통해 열교환 되어 급탕탱크(60)의 온수를 상승시킨다.
이때, 상기 열원공급부(70)는 배관과 동일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급탕탱크(60)와 제1축열부(30)를 연결하기 위한 열원공급부(70)는 상기 순환되는 열원을 급탕탱크(60)에 공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순환펌프(150)와 연결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지열원공급부(80)의 유입관(81)과 유출관(82)에는 각각 제1밸브(90)가 설치되고, 상기 제1축열부(30)와 제2축열부(40)를 연결하는 열원순환부(50)에는 제2밸브(100)가 설치되며, 상기 제2축열부(40)와 급탕탱크(60)를 연결하는 열원공급부(70)에는 제3밸브(110)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1밸브(90), 제2밸브(100), 제3밸브(110)는 제어부(120)에 의해 작동이 제어된다.
이때, 상기 밸브(90,100,110)는 투웨이(two way)자동밸브로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1 내지 도3을 참고하여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원발명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20)는 기 설정된 온도와 상기 온도감지센서로부터 전달되는 온도를 비교하여 제1축열부(30)와 제2축열부(40)의 축열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보다 높거나 낮을 경우 상기 제1밸브(90)가 개방되도록 하고 제2밸브(100)는 잠기도록 하여 상기 지열히트펌프장치(20)와 제1축열부(30)와 제2축열부(40)를 순환하고 있던 열원이 지열원공급부(80)와 제2축열부(40)와 지열히트펌프장치(20)와 제1축열부(30)를 순환하도록 하여 상기 열원이 지열원과 동일한 온도로 열교환되도록 한다.
한편,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20)는 기 설정된 온도와 상기 온도감지센서로부터 전달되는 온도를 비교하여 제1축열부(30)와 제2축열부(40)의 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로 상승될 경우 상기 제1밸브(90)가 잠기도록 하고 상기 제2밸브(100)와 제3밸브(110)는 개방되도록 한다. 이렇게 되면 상기 열원순환부(50)를 통해 지열히트펌프장치(20)와 제1축열부(30)와 제2축열부(40)를 순환하는 열원이 상기 열원공급부(70)를 통해 상기 급탕탱크(60)에 공급된다.
한편,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20)는 기 설정된 온도와 상기 온도감지센서로부터 전달되는 온도를 비교하여 제1축열부(30)와 제2축열부(40)의 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로 상승될 경우 상기 제1밸브(90)가 잠기도록 하고 상기 제2밸브(100)는 개방되도록 한다. 이렇게 되면 지열히트펌프장치(20)는 상기 열원순환부(50)를 통해 제1축열부(30)와 제2축열부(40)를 순환하는 열원을 통해 상기 버퍼탱크(10)에 온열 에너지 또는 냉열 에너지를 공급하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 버퍼탱크 20 : 지열히트펌프장치
21 : 제1열교환기 22 : 제2열교환기
30 : 제1축열부 40 : 제2축열부
50 : 열원순환부 60 : 급탕탱크
61 : 제3열교환기 70 : 열원공급부
80 : 지열원공급부 81 : 유입관
82 : 유출관 90 : 제1밸브
100 : 제2밸브 110 : 제3밸브
120 : 제어부 130 : 연결관
140,150 : 순환펌프

Claims (2)

  1. 공급처에 냉방 또는 난방을 공급하는 버퍼탱크,
    상기 버퍼탱크와 연결되고, 지열의 열원을 이용하여 상기 버퍼탱크에 온열 에너지 또는 냉열 에너지를 공급하며, 상기 버퍼탱크의 작동시 발생되는 폐열원을 고온으로 응축시키는 지열히트펌프장치,
    상기 지열히트펌프장치와 연결되며 상기 지열히트펌프장치에 의해 응축된 열원을 임시로 저장하는 제1축열부,
    상기 지열히트펌프장치와 연결되고 상기 지열히트펌프장치에서 응축된 열원을 임시로 저장하는 제2축열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열히트펌프장치와 제1축열부, 상기 지열히트펌프장치와 제2축열부, 상기 제1축열부와 제2축열부는 열원순환부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열원은 상기 열원순환부를 통해 상기 지열히트펌프장치와 제1축열부 및 제2축열부를 반복적으로 순환하면서 고온으로 가열되고,
    상기 제1축열부, 제2축열부는 열원공급부를 통해 급탕탱크와 연결되어, 상기 고온으로 가열된 열원은 상기 열원공급부를 통해 급탕탱크에 공급되는
    급탕가열장치.
  2. 제1항에서,
    지중에 매설되고 상기 제1축열부 및 제2축열부와 연결되며, 상기 지열히트펌프장치에 지열원을 공급하는 지열원공급부,
    상기 지열원공급부에 설치되는 제1밸브,
    상기 제1축열부와 제2축열부를 연결하는 열원순환부에 설치되는 제2밸브,
    상기 제1밸브, 제2밸브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축열부와 제2축열부의 축열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보다 높거나 낮을 경우 상기 제1밸브가 개방되도록 하고 제2밸브는 잠기도록 하여 상기 지열원과 열원이 혼합되어 순환되도록 하고,
    상기 제1축열부와 제2축열부의 축열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로 상승될 경우 상기 제1밸브가 잠기도록 하고 상기 제2밸브는 개방되도록 하여 상기 열원순환부를 순환하는 열원이 상기 급탕탱크에 공급되도록 하거나, 또는 상기 지열히트펌프장치가 열원순환부를 순환하는 열원을 통해 상기 버퍼탱크를 작동시키도록 하는
    급탕가열장치.
KR1020140049528A 2014-04-24 2014-04-24 급탕가열장치 Active KR1014159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9528A KR101415972B1 (ko) 2014-04-24 2014-04-24 급탕가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9528A KR101415972B1 (ko) 2014-04-24 2014-04-24 급탕가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15972B1 true KR101415972B1 (ko) 2014-07-11

Family

ID=517413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9528A Active KR101415972B1 (ko) 2014-04-24 2014-04-24 급탕가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5972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97396A (zh) * 2014-08-26 2014-12-10 哈尔滨工业大学 热电厂余热转季节利用方法及系统
CN106765760A (zh) * 2016-12-22 2017-05-31 广东申菱环境系统股份有限公司 一种回收机房液冷散热量的供暖系统
KR102044681B1 (ko) 2018-05-29 2019-11-14 주식회사 에너지컨설팅 지중 열교환기를 포함하는 히트 펌프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2083946B1 (ko) 2019-08-13 2020-03-03 주식회사 에너지컨설팅 지중 열교환기를 포함하는 축열식 히트 펌프 시스템
KR102528736B1 (ko) * 2022-07-05 2023-05-03 엄재용 지중열교환기 부하를 경감하는 열교환 기능을 갖는 한 쌍의 유체헤더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2376A (ko) * 2009-07-01 2011-01-07 농업회사법인 농산무역 유한회사 지중 열교환기를 이용한 열원저장식 지열 히트펌프 시스템
KR101011699B1 (ko) 2010-03-22 2011-01-31 시스템코리아 주식회사 온수열원을 이용한 히트펌프
KR20130119056A (ko) * 2012-04-23 2013-10-31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지열 히트펌프장치를 이용한 냉,난방 및 급탕용 히트펌프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2376A (ko) * 2009-07-01 2011-01-07 농업회사법인 농산무역 유한회사 지중 열교환기를 이용한 열원저장식 지열 히트펌프 시스템
KR101011699B1 (ko) 2010-03-22 2011-01-31 시스템코리아 주식회사 온수열원을 이용한 히트펌프
KR20130119056A (ko) * 2012-04-23 2013-10-31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지열 히트펌프장치를 이용한 냉,난방 및 급탕용 히트펌프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97396A (zh) * 2014-08-26 2014-12-10 哈尔滨工业大学 热电厂余热转季节利用方法及系统
CN104197396B (zh) * 2014-08-26 2017-01-25 哈尔滨工业大学 热电厂余热转季节利用方法及系统
CN106765760A (zh) * 2016-12-22 2017-05-31 广东申菱环境系统股份有限公司 一种回收机房液冷散热量的供暖系统
KR102044681B1 (ko) 2018-05-29 2019-11-14 주식회사 에너지컨설팅 지중 열교환기를 포함하는 히트 펌프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2083946B1 (ko) 2019-08-13 2020-03-03 주식회사 에너지컨설팅 지중 열교환기를 포함하는 축열식 히트 펌프 시스템
KR102528736B1 (ko) * 2022-07-05 2023-05-03 엄재용 지중열교환기 부하를 경감하는 열교환 기능을 갖는 한 쌍의 유체헤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5972B1 (ko) 급탕가열장치
EP2213949A2 (en) Liquid circulation heating system
JP6548088B2 (ja) 冷暖房システム
US20130037236A1 (en) Geothermal facility with thermal recharging of the subsoil
KR101389361B1 (ko) 고효율 하이브리드 흡수식 냉난방 및 급탕 시스템
KR101142421B1 (ko) 패키지형 펌프모듈 및 이를 이용한 냉난방시스템
KR101355124B1 (ko) 예열기능을 구비한 팽창탱크 및 이를 사용한 보일러시스템
CN102980234B (zh) 一种高温地热水串联供暖方法
KR20100031178A (ko) 태양열을 이용한 냉, 난방 시스템
NO326440B1 (no) Arrangement og fremgangsmate for styring av temperaturendring av fluid
EP2450641B1 (en) An installation for heat recovery from exhaust air using a heat pump, and a building comprising said installation
KR101322555B1 (ko) 태양열을 이용한 온수 시스템
KR101030737B1 (ko) 에너지 절약형 냉방시스템
KR101131187B1 (ko) 지하공기열원을 이용한 냉난방 시스템 및 그 냉난방 시스템의 제어방법
CN103148550A (zh) 一种夏季运行用地源热泵机组
CN109579177B (zh) 空调及热水供给系统
CN203100039U (zh) 一种夏季运行用地源热泵机组
RU106938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егенерации энергии в установке техники кондиционирования и вентиляции
CN207279786U (zh) 高温空气能热泵地暖采暖系统
JP2005076932A (ja) 貯湯式給湯装置
JP6129133B2 (ja) 太陽熱給湯装置及び太陽熱給湯装置の制御方法
CN205316565U (zh) 带热水功能的风冷模块系统
KR102528819B1 (ko) 폐열을 이용한 고효율 급탕 지열시스템
KR102462637B1 (ko) 태양열 예열기를 적용한 주택용 고효율 태양열 집열시스템
CN212204678U (zh) 一种供热装置及供热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424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4043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40424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40527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40424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62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6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06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7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41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5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42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8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40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40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40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41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41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417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