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5403B1 - 공유 가능한 보안공간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공유 가능한 보안공간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15403B1 KR101415403B1 KR1020120096587A KR20120096587A KR101415403B1 KR 101415403 B1 KR101415403 B1 KR 101415403B1 KR 1020120096587 A KR1020120096587 A KR 1020120096587A KR 20120096587 A KR20120096587 A KR 20120096587A KR 101415403 B1 KR101415403 B1 KR 10141540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ecure space
- space
- user
- client terminal
- clien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1
- 230000003213 activ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
- 230000004913 activ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01360 synchronised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03362 replica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8
- 125000002066 L-histidyl group Chemical group [H]N1C([H])=NC(C([H])([H])[C@](C(=O)[*])([H])N([H])[H])=C1[H] 0.000 description 7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7689 insp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60005486 vaccine Drugs 0.000 description 2
- 241000700605 Viruse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500 data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507 map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568 sex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70—Protecting specific internal or peripheral components, in which the protection of a component leads to protection of the entire computer
- G06F21/78—Protecting specific internal or peripheral components, in which the protection of a component leads to protection of the entire computer to assure secure storage of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유 가능한 보안공간 제공방법을 위한 개략적인 시스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보안공간의 보안성을 제공할 수 있는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보안공간의 일부가 특정인과 공유되는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보안공간 중 공유되는 영역이 네트워크를 통해 형성되는 안전한 채널을 통해 공유될 수 있는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모바일 저장매체를 통해 이동성 있는 보안공간이 제공될 수 있는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Claims (20)
- 삭제
- 제1사용자의 제1클라이언트 단말기에 생성되며, 소정의 제1전용 클라이언트를 통해서만 접근할 수 있는 제1보안공간을 생성하기 위한 제1생성모듈;
상기 생성모듈에 의해 생성되는 상기 제1보안공간을 활성화하기 위한 제1활성화 모듈;
상기 제1클라이언트 단말기의 제1사용자를 인증하기 위한 제1인증모듈; 및
상기 제1보안공간의 접근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제1제어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1제어모듈은,
상기 제1보안공간에 포함되며 제2사용자의 제2클라이언트 단말기에서 구동되는 제2전용 클라이언트가 접근할 수 있는 제1공유영역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1보안공간에 상기 제1공유영역이 설정되면,
상기 제2클라이언트 단말기에서 활성화되는 제2보안공간에 상기 제1전용 클라이언트가 접근할 수 있는 제2공유영역이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유 가능한 보안공간 제공시스템.
- 제1사용자의 제1클라이언트 단말기에 생성되며, 소정의 제1전용 클라이언트를 통해서만 접근할 수 있는 제1보안공간을 생성하기 위한 제1생성모듈;
상기 생성모듈에 의해 생성되는 상기 제1보안공간을 활성화하기 위한 제1활성화 모듈;
상기 제1클라이언트 단말기의 제1사용자를 인증하기 위한 제1인증모듈; 및
상기 제1보안공간의 접근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제1제어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1제어모듈은,
상기 제1보안공간에 포함되며 제2사용자의 제2클라이언트 단말기에서 구동되는 제2전용 클라이언트가 접근할 수 있는 제1공유영역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1제어모듈은,
상기 제2클라이언트 단말기에서 제2보안공간이 활성화되면, 상기 제2보안공간에 포함되며 상기 제1전용 클라이언트가 접근할 수 있는 제2공유영역과 상기 제1공유영역을 동기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유 가능한 보안공간 제공시스템.
- 제1사용자의 제1클라이언트 단말기에 생성되며, 소정의 제1전용 클라이언트를 통해서만 접근할 수 있는 제1보안공간을 생성하기 위한 제1생성모듈;
상기 생성모듈에 의해 생성되는 상기 제1보안공간을 활성화하기 위한 제1활성화 모듈;
상기 제1클라이언트 단말기의 제1사용자를 인증하기 위한 제1인증모듈; 및
상기 제1보안공간의 접근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제1제어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1제어모듈은,
상기 제1보안공간에 포함되며 제2사용자의 제2클라이언트 단말기에서 구동되는 제2전용 클라이언트가 접근할 수 있는 제1공유영역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1인증모듈은,
인증서버와 통신을 통해 상기 제1사용자를 인증하고, 인증이 성공하여야 상기 제1전용 클라이언트를 활성화시키며,
상기 제1활성화 모듈은,
상기 제1전용 클라이언트가 활성화된 상태에서만 상기 제1보안공간을 활성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유 가능한 보안공간 제공시스템.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어모듈은,
상기 제2클라이언트 단말기에 설치된 제2인증모듈과 상기 인증서버에 의해 상기 제2사용자가 인증되면, 상기 인증서버로부터 상기 제2전용 클라이언트와 채널을 형성할 수 있는 채널형성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채널형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전용 클라이언트와 보안채널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유 가능한 보안공간 제공시스템.
- 제1사용자의 제1클라이언트 단말기에 생성되며, 소정의 제1전용 클라이언트를 통해서만 접근할 수 있는 제1보안공간을 생성하기 위한 제1생성모듈;
상기 생성모듈에 의해 생성되는 상기 제1보안공간을 활성화하기 위한 제1활성화 모듈;
상기 제1클라이언트 단말기의 제1사용자를 인증하기 위한 제1인증모듈; 및
상기 제1보안공간의 접근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제1제어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1제어모듈은,
상기 제1보안공간에 포함되며 제2사용자의 제2클라이언트 단말기에서 구동되는 제2전용 클라이언트가 접근할 수 있는 제1공유영역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1제어모듈은,
상기 제1클라이언트 단말기에 모바일 저장매체가 연결되면, 상기 모바일 저장매체가 상기 제1보안공간에 접근이 허용된 모바일 저장매체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결과 허용된 모바일 저장매체인 경우,
상기 제1보안공간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모바일 저장매체에 복제하거나, 상기 모바일 저장매체에 포함된 모바일 보안공간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제1보안공간에 복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유 가능한 보안공간 제공시스템.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어모듈은,
상기 모바일 저장매체가 상기 제1사용자에게 허용된 모바일 저장매체라고 판단한 경우, 상기 제1보안공간의 적어도 일부를 선택적으로 상기 모바일 저장매체에 복제하거나, 상기 모바일 저장매체에 포함된 모바일 보안공간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제1보안공간에 복제할 수 있으며,
상기 모바일 저장매체가 상기 제2사용자에게 허용된 모바일 저장매체라고 판단한 경우, 상기 제1보안공간에 포함된 상기 제1공유영역의 적어도 일부를 선택적으로 상기 모바일 저장매체에 복제하거나, 상기 모바일 보안공간에 포함되면 상기 제1사용자에 상응하는 모바일 공유영역을 상기 제1공유영역에 복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유 가능한 보안공간 제공시스템.
- 제1사용자의 제1클라이언트 단말기에 생성되며, 소정의 제1전용 클라이언트를 통해서만 접근할 수 있는 제1보안공간을 생성하기 위한 제1생성모듈;
상기 생성모듈에 의해 생성되는 상기 제1보안공간을 활성화하기 위한 제1활성화 모듈;
상기 제1클라이언트 단말기의 제1사용자를 인증하기 위한 제1인증모듈; 및
상기 제1보안공간의 접근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제1제어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1제어모듈은,
상기 제1보안공간에 포함되며 제2사용자의 제2클라이언트 단말기에서 구동되는 제2전용 클라이언트가 접근할 수 있는 제1공유영역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1제어모듈은,
타클라이언트 단말기에 설치된 타인증모듈에 의해 상기 제1사용자가 인증되면, 상기 타클라이언트 단말기에 의해 구동되는 타전용 클라이언트의 상기 제1보안공간의 접근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유 가능한 보안공간 제공시스템.
- 제1사용자의 제1클라이언트 단말기에 생성되며, 소정의 제1전용 클라이언트를 통해서만 접근할 수 있는 제1보안공간을 생성하기 위한 제1생성모듈;
상기 생성모듈에 의해 생성되는 상기 제1보안공간을 활성화하기 위한 제1활성화 모듈;
상기 제1클라이언트 단말기의 제1사용자를 인증하기 위한 제1인증모듈; 및
상기 제1보안공간의 접근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제1제어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1제어모듈은,
상기 제1보안공간에 포함되며 제2사용자의 제2클라이언트 단말기에서 구동되는 제2전용 클라이언트가 접근할 수 있는 제1공유영역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1제어모듈은,
상기 제1보안공간에 소정의 데이터의 기입이 상기 제1전용 클라이언트로부터 요청되는 경우, 소정의 보안모듈을 활성화하여 기입될 상기 데이터의 보안성 검사를 수행하도록 제어하고, 보안성 검사가 통과되어야 상기 데이터를 상기 제1보안공간에 기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유 가능한 보안공간 제공시스템.
- 제1사용자의 제1클라이언트 단말기에 설치되어 구동되는 제1공유 가능한 보안공간 제공시스템;
제2사용자의 제2클라이언트 단말기에 설치되어 구동되는 제2공유 가능한 보안공간 제공시스템; 및
상기 제1공유 가능한 보안공간 제공시스템 및 상기 제2공유 가능한 보안공간 제공시스템과 각각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제1사용자 및 상기 제2사용자 각각을 인증하기 위한 인증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제1공유 가능한 보안공간 제공시스템 및 상기 제2공유 가능한 보안공간 제공시스템 각각은, 상기 제1클라이언트 단말기 및 상기 제2클라이언트 단말기에 설치되어 접근이 가능하도록 인가된 제1전용 클라이언트 및 제2전용 클라이언트를 제외하고는 접근하지 못하도록 제어되는 제1보안공간 및 제2보안공간을 생성하며,
상기 제1보안공간은,
상기 제2전용 클라이언트가 소정의 채널을 통해 접근할 수 있는 제1공유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2보안공간은,
상기 제1전용 클라이언트가 소정의 채널을 통해 접근할 수 있는 제2공유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유 가능한 보안공간 제공시스템.
- 제1사용자의 제1클라이언트 단말기에 설치되어 구동되는 제1공유 가능한 보안공간 제공시스템;
제2사용자의 제2클라이언트 단말기에 설치되어 구동되는 제2공유 가능한 보안공간 제공시스템; 및
상기 제1공유 가능한 보안공간 제공시스템 및 상기 제2공유 가능한 보안공간 제공시스템과 각각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제1사용자 및 상기 제2사용자 각각을 인증하기 위한 인증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제1공유 가능한 보안공간 제공시스템 및 상기 제2공유 가능한 보안공간 제공시스템 각각은, 상기 제1클라이언트 단말기 및 상기 제2클라이언트 단말기에 설치되어 접근이 가능하도록 인가된 제1전용 클라이언트 및 제2전용 클라이언트를 제외하고는 접근하지 못하도록 제어되는 제1보안공간 및 제2보안공간을 생성하며,
상기 제1보안공간 및 상기 제2보안공간 각각은,
서로 동기화되는 공유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유 가능한 보안공간 제공시스템.
- 삭제
- 공유 가능한 보안공간 제공방법에 있어서,
공유 가능한 보안공간 제공시스템이 제1사용자의 제1클라이언트 단말기에 소정의 제1전용 클라이언트를 통해서만 접근할 수 있는 제1보안공간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공유 가능한 보안공간 제공시스템이 상기 제1보안공간을 활성화하는 단계; 및
상기 공유 가능한 보안공간 제공시스템이 상기 제1보안공간의 일부를 제2사용자의 제2클라이언트 단말기에서 구동되는 제2전용 클라이언트가 접근할 수 있는 제1공유영역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공유 가능한 보안공간 제공방법은,
상기 공유 가능한 보안공간 제공시스템에 의해 상기 제1보안공간에 상기 제1공유영역이 설정되면,
상기 제2클라이언트 단말기에서 활성화되는 제2보안공간에 상기 제1전용 클라이언트가 접근할 수 있는 제2공유영역이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유 가능한 보안공간 제공시스템 제공방법.
- 공유 가능한 보안공간 제공방법에 있어서,
공유 가능한 보안공간 제공시스템이 제1사용자의 제1클라이언트 단말기에 소정의 제1전용 클라이언트를 통해서만 접근할 수 있는 제1보안공간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공유 가능한 보안공간 제공시스템이 상기 제1보안공간을 활성화하는 단계; 및
상기 공유 가능한 보안공간 제공시스템이 상기 제1보안공간의 일부를 제2사용자의 제2클라이언트 단말기에서 구동되는 제2전용 클라이언트가 접근할 수 있는 제1공유영역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공유 가능한 보안공간 제공방법은,
상기 제2클라이언트 단말기에서 제2보안공간이 활성화되면, 상기 공유 가능한 보안공간 제공시스템이 상기 제2보안공간에 포함되며 상기 제1전용 클라이언트가 접근할 수 있는 제2공유영역과 상기 제1공유영역을 동기화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공유 가능한 보안공간 제공방법.
- 공유 가능한 보안공간 제공방법에 있어서,
공유 가능한 보안공간 제공시스템이 제1사용자의 제1클라이언트 단말기에 소정의 제1전용 클라이언트를 통해서만 접근할 수 있는 제1보안공간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공유 가능한 보안공간 제공시스템이 상기 제1보안공간을 활성화하는 단계; 및
상기 공유 가능한 보안공간 제공시스템이 상기 제1보안공간의 일부를 제2사용자의 제2클라이언트 단말기에서 구동되는 제2전용 클라이언트가 접근할 수 있는 제1공유영역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공유 가능한 보안공간 제공방법은,
상기 공유 가능한 보안공간 제공시스템이 인증서버와 통신을 통해 상기 제1사용자를 인증하는 단계; 및
인증이 성공하면 상기 공유 가능한 보안공간 제공시스템이 상기 제1전용 클라이언트를 활성화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공유 가능한 보안공간 제공시스템이 상기 제1보안공간을 활성화하는 단계는,
상기 제1전용 클라이언트가 활성화된 상태에서만 상기 제1보안공간을 활성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유 가능한 보안공간 제공방법.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공유 가능한 보안공간 제공방법은,
상기 제2클라이언트 단말기에 설치된 제2인증모듈과 상기 인증서버에 의해 상기 제2사용자가 인증되면, 상기 공유 가능한 보안공간 제공시스템이 상기 인증 서버로부터 상기 제2전용 클라이언트와 채널을 형성할 수 있는 채널형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수신된 상기 채널형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공유 가능한 보안공간 제공시스템이 상기 제2전용 클라이언트와 보안채널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전용 클라이언트는 형성된 상기 보안채널을 통해 상기 제1공유영역에 접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유 가능한 보안공간 제공방법.
- 공유 가능한 보안공간 제공방법에 있어서,
공유 가능한 보안공간 제공시스템이 제1사용자의 제1클라이언트 단말기에 소정의 제1전용 클라이언트를 통해서만 접근할 수 있는 제1보안공간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공유 가능한 보안공간 제공시스템이 상기 제1보안공간을 활성화하는 단계; 및
상기 공유 가능한 보안공간 제공시스템이 상기 제1보안공간의 일부를 제2사용자의 제2클라이언트 단말기에서 구동되는 제2전용 클라이언트가 접근할 수 있는 제1공유영역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공유 가능한 보안공간 제공방법은,
상기 제1클라이언트 단말기에 모바일 저장매체가 연결되면, 상기 공유 가능한 보안공간 제공시스템이 상기 모바일 저장매체가 상기 제1보안공간에 접근이 허용된 모바일 저장매체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판단결과 허용된 모바일 저장매체라고 판단된 경우, 상기 공유 가능한 보안공간 제공시스템은 상기 제1보안공간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모바일 저장매체에 복제하거나, 상기 모바일 저장매체에 포함된 모바일 보안공간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제1보안공간에 복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공유 가능한 보안공간 제공방법.
- 공유 가능한 보안공간 제공방법에 있어서,
공유 가능한 보안공간 제공시스템이 제1사용자의 제1클라이언트 단말기에 소정의 제1전용 클라이언트를 통해서만 접근할 수 있는 제1보안공간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공유 가능한 보안공간 제공시스템이 상기 제1보안공간을 활성화하는 단계; 및
상기 공유 가능한 보안공간 제공시스템이 상기 제1보안공간의 일부를 제2사용자의 제2클라이언트 단말기에서 구동되는 제2전용 클라이언트가 접근할 수 있는 제1공유영역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공유 가능한 보안공간 제공방법은,
타클라이언트 단말기에 설치된 타인증모듈에 의해 상기 제1사용자가 인증되면, 상기 공유 가능한 보안공간 제공시스템이 상기 타클라이언트 단말기에 의해 구동되는 타전용 클라이언트의 상기 제1보안공간의 접근을 허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공유 가능한 보안공간 제공방법.
- 공유 가능한 보안공간 제공방법에 있어서,
공유 가능한 보안공간 제공시스템이 제1사용자의 제1클라이언트 단말기에 소정의 제1전용 클라이언트를 통해서만 접근할 수 있는 제1보안공간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공유 가능한 보안공간 제공시스템이 상기 제1보안공간을 활성화하는 단계; 및
상기 공유 가능한 보안공간 제공시스템이 상기 제1보안공간의 일부를 제2사용자의 제2클라이언트 단말기에서 구동되는 제2전용 클라이언트가 접근할 수 있는 제1공유영역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공유 가능한 보안공간 제공방법은,
상기 공유 가능한 보안공간 제공시스템이 상기 제1전용 클라이언트로부터 상기 제1보안공간에 소정의 데이터의 기입을 요청받는 단계;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공유 가능한 보안공간 제공시스템이 소정의 보안모듈을 활성화하여 기입될 상기 데이터의 보안성 검사를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보안성 검사가 통과되어야 상기 데이터를 상기 제1보안공간에 기입하도록 허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공유 가능한 보안공간 제공방법.
- 제13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96587A KR101415403B1 (ko) | 2012-08-31 | 2012-08-31 | 공유 가능한 보안공간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96587A KR101415403B1 (ko) | 2012-08-31 | 2012-08-31 | 공유 가능한 보안공간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33565A KR20140033565A (ko) | 2014-03-19 |
KR101415403B1 true KR101415403B1 (ko) | 2014-07-04 |
Family
ID=506443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96587A Expired - Fee Related KR101415403B1 (ko) | 2012-08-31 | 2012-08-31 | 공유 가능한 보안공간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15403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70111603A (ko) * | 2006-05-18 | 2007-11-22 | 이상규 | 클라이언트 및 서버의 보안시스템 |
KR20090085068A (ko) * | 2006-11-13 | 2009-08-06 |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 | 데이터 공유 시스템, 데이터를 공유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컴퓨팅 장치와 데이터를 공유하는 방법 |
KR20090124668A (ko) * | 2008-05-30 | 2009-12-03 | (주)지란지교소프트 | 웹 상의 저장공간 공유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
KR20090128818A (ko) * | 2008-06-11 | 2009-12-16 | 브레인즈스퀘어(주) | 보안 영역 관리 시스템 및 그 관리 방법 |
-
2012
- 2012-08-31 KR KR1020120096587A patent/KR101415403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70111603A (ko) * | 2006-05-18 | 2007-11-22 | 이상규 | 클라이언트 및 서버의 보안시스템 |
KR20090085068A (ko) * | 2006-11-13 | 2009-08-06 |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 | 데이터 공유 시스템, 데이터를 공유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컴퓨팅 장치와 데이터를 공유하는 방법 |
KR20090124668A (ko) * | 2008-05-30 | 2009-12-03 | (주)지란지교소프트 | 웹 상의 저장공간 공유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
KR20090128818A (ko) * | 2008-06-11 | 2009-12-16 | 브레인즈스퀘어(주) | 보안 영역 관리 시스템 및 그 관리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33565A (ko) | 2014-03-1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846975B2 (en) | Distributed security analysis for shared content | |
CN107820604B (zh) | 具有联网设备的计算机驱动系统的半虚拟化安全威胁防护 | |
US9838398B2 (en) | Validating the identity of an application for application management | |
JP6484255B2 (ja) | 信頼実行環境を含むホストのアテステーション | |
EP2913956B1 (en) | Management control method and device for virtual machines | |
JP6374953B2 (ja) | コンテキストによるモバイルデバイスのロック | |
US20160196449A1 (en) | Apparatus for and Method of Preventing Unsecured Data Access | |
CN106713365A (zh) | 一种基于云环境的网络安全系统 | |
JP2012508931A (ja) | モバイル装置とコンピュータを組み合わせ、安全な個人ごとの環境を生成する装置および方法 | |
US10673888B1 (en) |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illegitimate authentication attempts | |
US10192056B1 (en) | Systems and methods for authenticating whole disk encryption systems | |
CN114270346A (zh) | 具有可变计算机文件系统的数据存储装置 | |
KR101415403B1 (ko) | 공유 가능한 보안공간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 |
JP6284317B2 (ja) |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 | |
Koropiotis | CIS Microsoft Windows Server 2019 compliance | |
CN105871939A (zh) | 网络环境下虚拟机安全隔离系统 | |
WO2020132877A1 (zh) | 一种操作检测方法、系统及电子设备 | |
Goktepe | Windows XP Operating System security analysi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83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10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625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6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406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627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6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04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