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411262B1 - High-efficient and uniformly-heating system for construction of slab using microwave, and construction method of slab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High-efficient and uniformly-heating system for construction of slab using microwave, and construction method of slab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1262B1
KR101411262B1 KR1020130167975A KR20130167975A KR101411262B1 KR 101411262 B1 KR101411262 B1 KR 101411262B1 KR 1020130167975 A KR1020130167975 A KR 1020130167975A KR 20130167975 A KR20130167975 A KR 20130167975A KR 101411262 B1 KR101411262 B1 KR 1014112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ab
microwave
heating system
steel plate
heat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797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고태훈
황선근
사공명
유정훈
곽연석
이경용
남진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진인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진인, 한국철도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진인
Priority to KR10201301679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126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12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1262B1/en
Priority to PCT/KR2014/009644 priority patent/WO2015102211A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1/00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 B28B11/24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for curing, setting or hardening
    • B28B11/241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for curing, setting or hardening using microwave hea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1/00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 B28B11/24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for curing, setting or hardening
    • B28B11/245Curing concrete artic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C04B18/06Combustion residues, e.g. purification products of smoke, fumes or exhaust gases
    • C04B18/067Slag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5/0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515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non-oxide ceramics
    • C04B35/56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non-oxide ceramics based on carbides or oxycarbides
    • C04B35/565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non-oxide ceramics based on carbides or oxycarbides based on silicon carbid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Furnace Detai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슬래브 시공용 발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슬래브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콘크리트 슬래브를 시공함에 있어,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슬래브 시공용 발열 시스템을 사용하여 슬래브 거푸집의 강판을 가열함으로써 강판 상부에 타설된 콘크리트의 초기 수화 시간을 단축시켜 특히 외기 온도가 낮은 기간 동안의 슬래브 시공 기간을 현저히 단축시킬 수 있는 슬래브 시공용 발열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슬래브 시공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발열 시스템을 이용하여 슬래브를 시공하면, 콘크리트 초기 수화 시간을 단축시켜 양생 기간을 단축시켜 전체 공기를 획기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으며, 보온 양생 과정에서 기존의 난로나 열풍기 등을 사용하지 않고도 콘크리트의 보온 양생이 가능하고, 특히 불균일 가열과 이로 인한 균열 발생 가능성의 문제까지도 해결할 수 있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ting system for slab construction using a microwave and a slab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for heating a steel plate of a slab die using a heating system for slab construction using a microwave, Provided is a heating system for slab construction, which can shorten the initial hydration time of concrete laid on the upper part of a steel plate, in particular, a slab construction period during a period in which the outside air temperature is low, and a slab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When the slab is constructed using the microwave heat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horten the curing period by shortening the initial water hydration time of the concrete, thereby dramatically shortening the total air. In the thermal curing process, It is possible to heat-cure the concrete without using it, and in particular to solve the problem of non-uniform heating and possibility of cracking due to this.

Description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슬래브 시공용 고효율 균일 발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슬래브 시공 방법{High-efficient and uniformly-heating system for construction of slab using microwave, and construction method of slab using the same}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igh-efficiency uniform heating system for slab construction using a microwave, and a slab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microwave,

본 발명은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슬래브 시공용 고효율 균일 발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슬래브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아파트나 주택, 사무용 빌딩 등과 같은 건물의 슬래브를 시공함에 있어, 마이크로파를 이용해 발열되는 고효율의 균일 발열 시스템을 사용하여 슬래브 거푸집의 강판을 가열함으로써 강판 상부에 타설된 콘크리트의 초기 수화 시간을 단축시켜 슬래브 시공 기간을 현저히 단축시킬 수 있는 고효율 균일 발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슬래브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igh efficiency uniform heating system for slab construction using a microwave and a slab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igh efficiency uniform heating system for a slab installation using a microwav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igh efficiency uniform heating system and a slab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which can shorten the initial hydration time of concrete placed on the steel plate by heating a steel plate of a slab form by using a uniform heat generation system.

거푸집(form)은 콘크리트 구조물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콘크리트가 경화될 때까지의 사이에 사용하는 임시 시설물을 말한다. 임시 시설물이므로 콘크리트의 양생이 완료되면 분리하여 재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A form is a temporary facility used during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a concrete structure until the concrete is cured. Since it is a temporary facility, it is common to separate and reuse concrete when curing is completed.

아파트, 주상 복합 건물, 오피스텔 등 건축 구조물이나 토목 구조물의 시공을 위해서는 시공하고자 하는 건물의 기둥이나 벽체를 시공하고 그 상부에 슬래브 거푸집을 설치한 후 철근을 배근하고 슬래브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이를 양생하는 순서로 진행된다. In order to construct architectural structures and civil engineering structures such as apartment buildings, residential complex buildings, and office buildings, the columns or walls of the building to be constructed are installed, the slab formwork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building, the reinforcing bars are laid, Lt; / RTI >

상기 건축물의 슬래브를 시공함에 있어서, 종래에는 하절기와 같이 외부 온도가 높은 경우에는 콘크리트의 수화 반응이 정상적으로 진행되어 시공에 문제가 없으나, 겨울철과 같이 외기 온도가 낮은 경우에는 콘크리트 수화 반응이 일어나기 어렵기 때문에 시공 기간이 그만큼 길어진다. In the construction of the slab of the building, conventionally, when the external temperature is high as in the summer season, the hydration reaction of the concrete normally progresses and there is no problem in the construction. However, when the outside air temperature is low as in winter, Therefore, the construction period becomes longer.

이와 같이 외기 온도가 낮은 경우에 건물 슬래브 시공을 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슬래브 거푸집에 전열선을 함입시켜 온도를 올리는 방법을 사용하고, 상부를 보양막 등으로 외기와 차단한 상태에서 갈탄 난로나 열풍기 등을 이용하여 내부 공간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방법으로 시공을 하였다. Conventionally, in order to construct a building slab when the outside air temperature is low, a method of raising the temperature by inserting a heating wire into the slab former is used, and the upper part is shielded from the outside by using a smelting furnace or a hot air blower So that the temperature of the internal space was kept constant.

그러나, 상기 전열선을 함입한 거푸집을 사용하는 방법은 전열선을 거푸집에 설치해야 하므로 복잡한 전기 공사를 요하고 전열선에 전기를 지속적으로 공급해야 하므로 막대한 양의 전기가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보양막을 상부에 설치하고 갈탄이나 열풍기 등을 이용하여 온도를 유지하는 방법은 갈탄 난로의 경우 유독 가스가 다량 발생하여 작업자들의 환경적인 안전이 보장되기 어렵고, 민원 발생의 소지가 있으며, 열풍기의 경우에는 열풍기 가동을 위해 막대한 양의 기름, 가스 및 전기가 소모되는 문제가 있었다. However, in the method of using the mold in which the heating wire is embedded, a complicated electric work is required because the heating wire must be installed in the formwork, and electricity is continuously supplied to the heating wire, so that a huge amount of electricity is consumed. In addition, the method of maintaining the temperature by using lignite or hot air blowing in the upper part of the reclamation membrane has a problem that a large amount of toxic gas is generated in the lignite fireplace and thus environmental safety of workers is hardly guaranteed, There is a problem that a large amount of oil, gas, and electricity is consumed for the operation of the hot air.

기존 방법의 경우 위와 같은 문제로 인해 적용이 제한적이었으며 시공을 하더라도 안전문제, 환경문제, 콘크리트 품질 저하 문제 및 과다한 비용 발생 등의 문제로 인해 겨울철 공사는 진행되기 어려운 면이 있었다.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method, the application was limited due to the above problems. Even if the construction was carried out,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construction of the winter was difficult due to safety problems, environmental problems, concrete quality deterioration and excessive cost.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막대한 양의 전기, 기름, 가스 등과 갈탄 날로, 열풍기 등을 사용하지 않고도 마이크로파에 의해 거푸집의 온도를 올림으로써 콘크리트의 양생을 촉진시켜 건물 벽체 및 슬래브 시공 기간을 단축할 수 있는 새로운 시공 기술을 제안한 바 있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2-0031331호, 특허등록 제10-1322597호) 위 특허 기술을 이용할 경우 발열 효율과 그에 의한 콘크리트 촉진 양생 효과가 뛰어나 동절기 콘크리트 슬래브 시공이 효과적으로 진행될 수 있으나, 열발생 효율과 열전달 효율이 다소 부족하여 이에 대한 개선의 필요성이 있었다.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the applican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elerated the curing of the concrete by raising the temperature of the mold by microwave without using a huge amount of electricity, oil, gas, A new construction technique has been proposed to shorten the period.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2012-0031331 and Patent Registration No. 10-1322597) When the above patented technology is used, the heat efficiency and the effect of promoting concrete curing by this method are excellent, so that the construction of the concrete slab in the winter season can be effectively performed, And the heat transfer efficiency is somewhat lacking.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본 출원인이 제안한 기존 기술을 더욱 발전시켜 기존 특허보다 더욱 개선된 기술을 제안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첫 번째 과제는 기존 슬래브 시공을 위하여 사용되는 슬래브 거푸집의 강판에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발열 시스템을 부착하여 시공함으로써 콘크리트 양생을 촉진하여 시공 기간을 획기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는 동시에, 열발생 효율과 열전달 효율이 우수하여 전체적으로 균일 발열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시공되는 슬래브의 콘크리트 강도 등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새로운 친환경 고효율 균일 발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lab form steel plate The heat generation efficiency and the heat transfer efficiency are excellent and the uniform heat generation can be achieved as a whole, so that the concrete strength of the slab And to provide a new environmentally friendly high efficiency uniform heating system capable of improving the quality of the exhaust gas.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두 번째 과제는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새로운 친환경 고효율 균일 발열 시스템을 사용하여 고품질의 슬래브 콘크리트를 촉진 양생시킬 수 있는 슬래브 시공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lab construction method capable of accelerating and curing high quality slab concrete using the new environmentally friendly high efficiency uniform heat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본 발명의 첫 번째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In order to achieve the first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슬래브 거푸집의 상부 강판과 상기 강판의 하부에 일정 간격으로 서로 평행하게 구비된 다수의 강판 지지부재 및 상기 강판 지지부재의 하부에 상기 강판 지지부재와 수직으로 구비된 빔으로 둘러싸인 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슬래브 거푸집의 강판 하부에 부착되며 전원 공급에 의해 마이크로파가 발생하여 발열되는 발열 시스템으로서, A plurality of steel plate supporting members provided parallel to each other at regular intervals in a lower part of the steel plate and a lower steel plate supporting member inserted into a space surrounded by a beam vertically provided to the steel plate supporting member at a lower portion of the steel plate supporting member, A heating system attached to a lower part of the steel plate of the formwork and generating a microwave by power supply,

마이크로파를 발생시키는 마이크로파 발생기; A microwave generator for generating microwaves;

상기 마이크로파 발생기와 일단이 연결되어 있으며 마이크로파 발생기로부터 발생되는 마이크로파를 전달받아 반사부로 전달하는 파이프 형상으로 구비된 도파관;A waveguide connected at one end to the microwave generator and having a pipe shape for receiving a microwave generated from the microwave generator and transmitting the received microwave to the reflector;

상기 도파관과 내부 공간을 공유하며 도파관으로부터 전달되는 마이크로파를 난반사시키기 위한 밀폐된 내부 공간을 구비한 반사부;A reflector having a sealed inner space for diffusing the microwave transmitted from the waveguide and sharing the inner space with the waveguide;

상기 도파관과 상기 밀폐된 내부 공간을 사이에 두고 반대편에 구비되며 반사부에서 난반사되는 마이크로파를 통과시키기 위한 분배공을 구비한 분배판; A distribution plate provided on the opposite side with respect to the waveguide and the sealed inner space and having a distribution hole for passing a microwave that is irregularly reflected by the reflection portion;

상기 반사부의 반대편에 상기 분배판과 밀착 구비되며 분배공을 통해 통과되는 마이크로파를 흡수하여 열을 발생시키는 발열체; A heating element which is provid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reflection part a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distribution plate and absorbs microwaves passing through the distribution hole to generate heat;

상기 발열체 외부에 발열체와 밀착 구비되는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과 수직으로 일체형으로 양측단에 연결되는 측판 및 상기 측판의 상부에 연결되며 상기 측판과 함께 내부에 밀폐된 반사부를 형성하는 캐비티 커버로 구성되며 발열체에서 발생되는 열을 외부로 전달하는 캐비티; 및And a cavity cover which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s of the side plates and forms a closed reflective part together with the side plates, the side cover being connected to both side ends of the bottom cover, A cavity for transferring heat generated from the heating element to the outside; And

상기 발열체의 발열 온도를 제어하는 온도 콘트롤러A temperature controller for controlling a heat generation temperature of the heating element;

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And,

상기 발열체는 입자크기 5.0 mm 이하이고 구형률이 0.5 이상인 급냉 제강슬래그 및 입자크기 5.0 mm 이하인 탄화규소 입자를 100:0.1~100 중량비로 포함하는 세라믹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슬래브 시공용 발열 시스템을 제공한다.
Wherein the heating element is a ceramic composition comprising a rapid cooling steel making slag having a particle size of 5.0 mm or less and a sphericity of 0.5 or more and silicon carbide particles having a particle size of 5.0 mm or less at a ratio of 100: 0.1 to 100 by weight. System.

상기 본 발명의 두 번째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In order to achieve the secon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슬래브 거푸집의 상부 강판과 상기 강판의 하부에 일정 간격으로 서로 평행하게 구비된 다수의 강판 지지부재 및 상기 강판 지지부재의 하부에 상기 강판 지지부재와 수직으로 구비된 빔으로 둘러싸인 공간에 상기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슬래브 시공용 발열 시스템을 삽입하고 상기 슬래브 거푸집의 강판 하부에 상기 발열 시스템을 부착하여 슬래브용 발열 거푸집을 제조하는 단계;(a) a plurality of steel plate supporting members provided parallel to each other at regular intervals on an upper steel plate of the slab formwork and a lower portion of the steel plate, and a space surrounded by the beam vertically provid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steel plate supporting member, Inserting a heating system for slab construction using a microwa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ttaching the heating system to a lower part of a steel plate of the slab formwork to manufacture a heating form for a slab;

(b) 상기 제조된 슬래브용 발열 거푸집을 동바리를 이용하여 수평 지지한 후 상기 슬래브 거푸집의 강판 상부에 철근을 배근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b) horizontally supporting the heat-generating dies for slabs manufactured using the same method, placing reinforcing bars on the steel plates of the slab formers and casting concrete;

(c) 상기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슬래브 시공용 발열 시스템에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타설된 콘크리트를 양생시키는 단계; 및 (c) supplying power to the heating system for slab construction using the microwave and curing the poured concrete; And

(d) 양생된 슬래브 콘크리트로부터 슬래브용 발열 거푸집을 탈형하는 단계(d) demolding the heating die for the slab from the cured slab concrete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브 시공 방법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constructing a slab.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슬래브 시공용 발열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슬래브 시공 방법의 특징 및 장점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Features and advantages of a heating system for slab construction using a microwa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slab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are as follows.

1. 마이크로파에 의해 발열되는 모듈 형태의 발열 시스템을 슬래브 거푸집의 상부 강판과 상기 강판의 하부에 구비된 강판 지지부재 및 상기 강판 지지부재의 하부에 상기 강판 지지부재와 직각으로 구비된 빔으로 둘러싸인 공간에 삽입하여 삽입하여 상기 슬래브 거푸집의 강판 하부에 부착하여 사용하므로 별도의 전열선 작업과 같은 복잡한 전기 배선 작업이 필요 없다. 또한, 상기 발열 시스템은 슬래브 거푸집과 일체화되므로 분리할 필요가 없고 콘크리트 양생 후에는 일체화된 슬래브 거푸집을 해체하기만 하면 되므로 작업성도 우수하다. 1. A heating system in the form of a module that generates heat by a microwave is divided into an upper steel plate of a slab form, a steel plate supporting member provided below the steel plate, and a space surrounded by a beam provided at a right angle to the steel plate supporting member, So that a complicated electric wiring work such as a separate heating line work is not required. In addition, since the heating system is integrated with the slab formwork, it is not necessary to separate the slab formwork, and after the concrete curing, the integrated slab formwork is merely dismantled and workability is excellent.

2. 또한, 본 발명에 사용되는 마이크로파에 의해 발열되는 슬래브 시공용 발열 시스템은 불과 수분 내지 수십분 동안만 전기를 공급해도 원하는 온도까지 단시간에 도달하며 이후에도 온도가 쉽게 식지 않아 전기를 지속적으로 투입하지 않아도 되므로 기존 전열선 방식에 비하여 전력 소비량을 대폭 줄일 수 있어 에너지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2. In addition, the heating system for slab construction, which is heated by the microwav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reaches a desired temperature in a short time even if electricity is supplied for only a few minutes to several tens of minutes. Since the temperature does not easily cool afterwards, Therefore, the energy consumption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heating line method, so that the energy efficiency can be improved.

3. 본 발명에 사용되는 마이크로파에 의해 발열되는 슬래브 시공용 발열 시스템은 슬래브 거푸집의 형태에 맞게 쉽게 설계 변경이 가능하므로 실내 제작 또는 실외 제작 등 기존 거푸집 작업이 진행되는 어떠한 형태의 제작에도 자유자재로 활용될 수 있다. 3. The heating system for slab construction, which is heated by the microwav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changed in accordance with the shape of the slab formwork, so that it can be freely manufactured in any form such as an indoor or outdoor work Can be utilized.

4. 본 발명에 사용되는 마이크로파에 의해 발열되는 슬래브 시공용 발열 시스템은 외부 온도에 상관없이 적용이 가능하므로 특히 콘크리트 양생 시간이 오래 걸리는 동절기, 혹한 지역 등 외기 온도가 낮은 경우에 공사 기간을 단축하는데 큰 효과를 발휘한다. 4. The heating system for slab construction, which is heated by the microwav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irrespective of the external temperature, so that the construction period is shortened when the outside air temperature is low, such as in winter or winter It has a great effect.

5.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파에 의해 발열되는 슬래브 시공용 발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슬래브 시공 방법에 따를 경우, 기존 갈탄 난로나 열풍기, 스팀 등을 대체할 수 있으므로 안전 문제 및 환경 문제가 발생하지 않고 기름이나 가스와 같은 연료를 소모할 필요가 없으므로 시공 비용도 절감할 수 있어 경제적인 시공이 가능하다.5. According to the heating system for slab construction using the microwa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lab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it is possible to replace the existing coal burning stove, hot air heater, steam, etc., Since it is not necessary to consume fuel such as gas,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construction cost, thus enabling economical construction.

6. 또한, 마이크로파에 의해 발열되는 발열체로서 열발생 효율 즉 에너지 효율이 우수한 재료와, 에너지 전달 효율 즉 에너지 방출 속도가 우수한 재료를 최적 비율로 조합하여 사용함으로써 단시간에 높은 열을 발생시키고 발생한 열을 주변으로 신속하게 전달할 수 있으므로 기존 재료에 비해 발열 균일성이 획기적으로 개선된다. 6. In addition, a heating element that generates heat by microwaves is used in combination with materials having excellent heat generation efficiency, that is, energy efficiency, and materials having energy transfer efficiency, that is, excellent energy release rate, at an optimum ratio. The heat uniformity is remarkably improved a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materials.

7. 또한, 마이크로파가 국부적으로만 조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발열 시스템의 내부 구조가 마이크로파를 전체적으로 효율적으로 배분될 수 있도록 설계됨으로써 상기 재료 설계와 더불어 균일 발열 효과를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 7. Also, since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heating system is designed so that the microwave can be efficiently distributed as a whole in order to prevent the microwave from being irradiated only locally, the uniform heating effect can be further increased in addition to the material design.

8. 따라서 기존의 국부적 과열 발생으로 인한 균열 발생의 문제와 압축강도 등 물성 불균일의 문제를 해결하여 콘크리트 슬래브 시공시 균질한 물성 확보 등 고품질의 시공이 가능하다.
8. Therefore, it can solve the problem of crack generation due to the existing local overheating and the problem of unevenness of physical properties such as compressive strength, so that it is possible to construct high quality such as securing homogeneous physical properties when concrete slab is applied.

도 1은 종래 일반적인 거푸집을 이용하여 한중(겨울철 등)에 콘크리트 건물을 시공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슬래브 시공용 발열 시스템의 일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슬래브 시공용 발열 시스템의 일 예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슬래브 시공용 발열 시스템에 적용되는 분배판의 몇 가지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슬래브 시공용 발열 시스템에 사용되는 발열체의 외부 형상을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급냉 제강 슬래그, 탄화규소 및 그 혼합물의 내부 에너지 및 방출 에너지 평가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슬래브 시공용 발열 시스템을 이용한 터널 슬래브 시공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슬래브용 발열 거푸집 세트의 전체 구성으로서 동바리에 의해 지지되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슬래브용 발열 거푸집 세트의 전체 구성으로서 동바리 없이 슬래브용 발열 거푸집 세트만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슬래브용 발열 거푸집 세트를 C-C 면을 기준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슬래브용 발열 거푸집 세트의 분해 사시도이다.
1 is a flowchart showing a process of constructing a concrete building in a middle of winter (winter season, etc.) using a conventional mold.
2 is a plan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heating system for slab installation using microwav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ide 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heating system for slab installation using a microwa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A to 4D are plan views showing some examples of distribution plates applied to a heating system for slab construction using a microwa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shows an outer shape of a heating element used in a heating system for slab construction using a microwa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graph showing internal energy and emission energy evaluation results of rapid cooling steel slag, silicon carbide, and mixtures thereof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lowchart showing an example of a tunnel slab construction method using a heating system for slab construction using a microwa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at the heating die set for a sla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upported by a shovel as an entire constitution. Fig.
Fig.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only a heating die set for slabs as a whole as a whole constitution of a heating die set for slab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heat-generating die set for a sla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CC plane.
1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heating die set for a sla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서 “이상”의 의미는 해당 수치 이상으로서 일반적으로 본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상식적, 합리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만큼의 상한치를 갖는다는 의미이며, “이하”의 의미는 해당 수치 이하로서 일반적으로 본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상식적, 합리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만큼의 하한치를 갖는다는 의미로서, 이는 발명을 간단하고 명료하게 나타내기 위한 표현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eaning of " ideal " means that the value is not less than the corresponding value, and generally has an upper limit that is reasonably understandable in the field to which the present technology belongs. Means that the invention has a lower limit of common sense and reasonably understandable in the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should be understood as an expression for expressing the invention in a simple and clear manner.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기존의 일반적인 강재 거푸집에 의해 한중(겨울철 등) 건물 벽면과 바닥 슬래브를 시공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기존 방법에서는 먼저 건물 내외벽에 거푸집을 제작 및 설치하고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 다짐한 후 자연적인 수화열에 의한 온도 상승 또는 외부에서 더운 공기나 전열선에 의하여 열을 공급함으로써 콘크리트 표면을 가열하여 온도 상승을 촉진시켜 콘크리트를 1차 양생한다. 이후 건물 내벽의 거푸집을 제거하고 상층부 바닥 슬래브 시공을 위한 거푸집을 설치한 후 건물 내벽의 내부는 보양막 등으로 밀폐시키고 갈탄 난로나 열풍기 등을 이용하여 약 10℃ 내외로 온도를 유지하며 콘크리트를 후양생시킨다. 이렇게 약 3~4일 정도 보온 및 후양생시키면 벽면 강도가 상부층을 시공할 정도가 되므로 상부층 바닥 슬래브용 철근 배근과 슬래브 콘크리트 타설 작업을 수행하고 타설된 슬래브 콘크리트를 양생시킨다. 상부층 바닥 슬래브 콘크리트의 양생은 외부 공기에 직접 노출되는 것을 막기 위해 보양막을 설치하고 내부에 갈탄 난로나 열풍기 등을 사용하여 노출된 콘크리트 상부를 보온 양생시키는 방법을 사용한다. 이후 건물 외벽의 양생이 마무리되면 상부층 시공을 위하여 상부층 건물 내외벽에 거푸집을 설치하고 동일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건물 벽면 및 바닥 슬래브를 시공하는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FIG. 1 is a view showing a process of constructing a building wall surface and a floor slab of Korea-China (such as winter) by a conventional general steel formwork. In the conventional method, a mold is firstly made and installed on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and after the concrete is poured into the concrete, the temperature is raised by the natural hydration heat or the heat is supplied by the hot air or the heating wire from the outside, First concrete is cured. After that, the formwork of the inner wall of the building is removed and a mold for the construction of the upper floor slab is installed. Then, the inside of the building is closed with a covering film and the temperature is maintained at about 10 ° C by using a lignite furnace or hot air. Cure. When the insulation is cured for about 3 ~ 4 days, the wall strength is enough to construct the upper layer. Therefore, the reinforcement for the upper floor slab and the slab concrete installation work are performed and the poured slab concrete is cured. The curing of the upper floor slab concrete is carried out by installing a ventilation membrane to prevent direct exposure to the outside air, and heating and curing the upper part of the exposed concrete by using a lignite furnace or a hot air blower inside. When the curing of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is completed, it is common to use a method of constructing a building wall and a floor slab by installing a mold on the outer wall of the upper building and repeating the same process.

이와 같은 종래의 방법은 겨울철과 같이 외부 온도가 낮으면 수화가 잘 진행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고, 내부 보온 양생을 위해서 갈탄이나 열풍기와 같은 장치를 사용해야 하므로 유독 가스에 의한 환경 오염 문제, 연료 과다 소비에 따른 공사비 상승 문제 및 콘크리트의 강도 및 내구성 등 품질이 확보되기 어려운 문제 등이 있었다. Such a conventional method has a problem in that hydration does not progress well when the external temperature is low as in winter, and it is necessary to use a device such as lignite or hot air to cure the internal heat, And the problem of difficulty in securing quality such as strength and durability of concrete.

본 발명은 이러한 기존의 시공 방법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로서, 벽면 시공과 노출된 콘크리트의 상부에 보양막을 설치하여 보온 양생시키는 것은 기존 기술과 차이가 없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 technique for solving the problems of the existing construction method, and it is not different from the existing technology in that the construction of the wall and the curing of the concrete on the exposed concrete are cured by thermal insulation.

그러나 급열 방식에 있어 기존에는 갈탄 난로나 열풍기 등을 이용했다면 본 발명에서는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발열 시스템을 슬래브 거푸집의 강판 하부에 부착한 상태에서 상기 발열 시스템에 전원을 공급하여 발열을 유도함에 의해 상기 슬래브 거푸집의 강판이 가열되도록 하는 방법을 사용하는 점이 차이가 있다.
Howe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heating system using the microwave is attached to the lower part of the steel plate of the slab form, power is supplied to the heating system to induce heat generation, The method of heating the steel sheet is different.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슬래브 시공용 발열 시스템의 일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3은 그 측단면도이다.FIG. 2 is a plan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heating system for slab installation using a microwa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side sectional view thereof.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슬래브 시공용 발열 시스템(20)은2 and 3, the heating system 20 for slab installation using a microwa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마이크로파를 발생시키는 마이크로파 발생기(21);A microwave generator 21 for generating a microwave;

상기 마이크로파 발생기(21)와 일단이 연결되어 있으며 마이크로파 발생기로부터 발생되는 마이크로파를 전달받아 반사부로 전달하는 파이프 형상으로 구비된 도파관(22);A waveguide 22 connected at one end to the microwave generator 21 and having a pipe shape for receiving microwave generated from the microwave generator and transmitting the received microwave to the reflector;

상기 도파관과 내부 공간을 공유하며 도파관으로부터 전달되는 마이크로파를 난반사시키기 위한 밀폐된 내부 공간(23)을 구비한 반사부(24);A reflector 24 having a sealed inner space 23 for diffusing the microwave transmitted from the waveguide and sharing the inner space with the waveguide;

상기 도파관과 상기 밀폐된 내부 공간을 사이에 두고 반대편에 구비되며 반사부에서 난반사되는 마이크로파를 통과시키기 위한 분배공(26)을 구비한 분배판(25); A distribution plate (25) provid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waveguide and the sealed inner space and having a distribution hole (26) for passing a microwave that is irregularly reflected by the reflection portion;

상기 반사부의 반대편에 상기 분배판과 밀착 구비되며 분배공을 통해 통과되는 마이크로파를 흡수하여 열을 발생시키는 발열체(27); A heating element (27) provid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reflection part to closely contact the distribution plate and absorbing microwaves passing through the distribution hole to generate heat;

상기 발열체 외부에 발열체와 밀착 구비되는 바닥판(28-1), 상기 바닥판과 수직으로 일체형으로 양측단에 연결되는 측판(28-2) 및 상기 측판의 상부에 연결되며 상기 측판과 함께 내부에 밀폐된 반사부(24)를 형성하는 캐비티 커버(28-3)로 구성되며 발열체에서 발생되는 열을 외부로 전달하는 캐비티(28); 및 A bottom plate (28-1) provided outside the heating element in close contact with a heating element, a side plate (28-2) connected to both side ends integrally with the bottom plate, and an upper A cavity 28 composed of a cavity cover 28-3 forming a closed reflective part 24 and transferring heat generated from the heating element to the outside; And

상기 발열체의 발열 온도를 제어하는 온도 콘트롤러(33)A temperature controller 33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heat generated by the heating element,

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And,

상기 발열체는 입자크기 5.0 mm 이하이고 구형률이 0.5 이상인 급냉 제강슬래그 및 입자크기 5.0 mm 이하인 탄화규소 입자를 100:0.1~100 중량비로 포함하는 세라믹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heating element is a ceramic composition comprising a rapid cooling steel making slag having a particle size of 5.0 mm or less, a sphericity of 0.5 or more, and silicon carbide particles having a particle size of 5.0 mm or less at a weight ratio of 100: 0.1 to 100.

상기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슬래브 시공용 발열 시스템(20)은 슬래브 거푸집의 상부 강판과 상기 강판의 하부에 일정 간격으로 서로 평행하게 구비된 다수의 강판 지지부재 및 상기 강판 지지부재의 하부에 상기 강판 지지부재와 수직으로 구비된 빔으로 둘러싸인 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슬래브 거푸집의 강판 하부에 부착되며 전원 공급에 의해 마이크로파가 발생하여 발열이 이루어진다.(도 8 내지 도 11 참조) The heating system 20 for slab installation using the microwa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n upper steel plate of a slab form and a plurality of steel plate supporting members provid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parallel to each other at a lower portion of the steel plate, The steel plate is inserted into a space surrounded by a beam provided perpendicularly to the steel plate supporting member and attached to the lower part of the steel plate of the slab formwork, and microwave is generated by power supply to generate heat. (See FIGS. 8 to 11)

본 발명에서 상기 마이크로파 발생기, 다른 말로 마그네트론은 고전압 변압기(29)에 의해 전원에 연결되고 그 주변에는 마이크로파 발생기에서 발생하는 열을 냉각시키기 위한 공냉식 냉각장치(예: 냉각팬(30))나 수냉식 냉각 장치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icrowave generator or other magnetron is connected to a power source by a high voltage transformer 29, and an air-cooled cooling device (for example, a cooling fan 30) for cooling the heat generated in the microwave generator, It is preferable that an apparatus is provided.

또한, 상기 마이크로파 발생기와 고전압 변압기 및 냉각장치 등의 내부 장치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커버(31)가 캐비티 커버(28-3)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 protective cover 31 for protecting the internal devices such as the microwave generator, the high voltage transformer, and the cooling device is fixed to the cavity cover 28-3.

또한, 상기 캐비티(28)의 내부 또는 외부에는 캐비티의 온도를 검지하기 위한 온도센서(32)가 구비되며, 상기 온도센서는 온도 콘트롤러(33)에 연결되어 캐비티의 온도에 따라 마이크로파 발생기와 냉각장치의 운전을 제어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 temperature sensor 32 for detecting the temperature of the cavity is provided inside or outside the cavity 28. The temperature sensor is connected to the temperature controller 33 so that the microwave generator and the cooling device In order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또한, 상기 마이크로파 발생기, 도파관 및 캐비티의 외부에는 내부 장치들을 보호하기 위한 케이스(34)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케이스(34)는 중량을 줄이기 위하여 플라스틱 소재로 구성될 수 있으며 사출 또는 압출 성형에 의해 제조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 case 34 for protecting internal devices is provided outside the microwave generator, the waveguide, and the cavity. The case 34 may be made of a plastic material to reduce weight and may be manufactured by injection molding or extrusion molding.

또한, 도 2 및 도 3에서는 온도 콘트롤러(33)가 외부에 구비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상기 케이스(34) 내부에 디스플레이부가 외부에서 보일 수 있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함입 설치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2 and 3, the temperature controller 33 is provided outside, but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temperature controller 33 is installed in the case 34 so that the display unit can be seen from the outside.

또한,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을 가열 대상물의 반대쪽으로 발산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캐비티 커버(28-3)에 단열재(35)가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단열재의 재료로는 글래스 울(glass wool), 석고, 내열 플라스틱, 내열 세라믹, 내열지 또는 돌가루 등을 사용할 수 있다. Further, it is preferable that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35 is attached to the cavity cover 28-3 in order to prevent the heat generated inside from being diverted to the opposite side of the heating object. Glass wool, gypsum, heat-resistant plastic, heat-resistant ceramic, heat-resistant paper or stone powder can be used as the material of the heat-insulating material.

상기 발열체는 산화철 화합물을 포함하는 금속산화물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300MHz ~ 300GHz의 마이크로파에 의해 발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발열체는 앞서 설명한 마이크로파에 의해 발열되는 발열체 조성물을 사용하며, 상세하게는 입자크기 5.0 mm 이하이고 구형률이 0.5 이상인 급냉 제강슬래그 및 입자크기 5.0 mm 이하인 탄화규소 입자를 100:0.1~100 중량비로 포함하는 세라믹 조성물을 그대로 사용하거나, 상기 세라믹 조성물 100 중량부에 시멘트를 0.1~50의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물을 적당량 가해 수화에 의해 경화시킨 경화체를 사용한다. 이 때, 세라믹 조성물을 그대로 사용할 경우에는 내열 본드를 이용하여 바닥판에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어 세라믹 조성물을 내열 본드와 믹싱하여 바닥판에 부착할 수 있다. Wherein the heating element comprises a metal oxide including an iron oxide compound and is heated by a microwave of 300 MHz to 300 GHz. Specifically, the heating element uses a heating element composition that generates heat by using the microwave described above. Specifically, the heating element has a quenching steel slag having a particle size of 5.0 mm or less, a sphericity of 0.5 or more, and silicon carbide particles having a particle size of 5.0 mm or less, Or a cured product obtained by mixing cement in a weight ratio of 0.1 to 50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ceramic composition and curing the mixture by hydration with an appropriate amount of water is used. In this case, when the ceramic composition is used as it is, it is preferable to adhere to the bottom plate using a heat-resistant bond. For example, the ceramic composition may be mixed with the heat-resistant bond and attached to the bottom plate.

본 발명의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슬래브 시공용 발열 시스템은 상기 마이크로 발생기에 전원을 인가하여 마이크로파를 발생시키기만 하면 발열체를 통해 가열 대상 슬래브 콘크리트의 표면을 신속하게 가열할 수 있다.The heating system for slab construction using the microwave can quickly heat the surface of the slab concrete to be heated through the heating element only by generating microwaves by applying power to the micro generator.

상기 마이크로파 발생기, 도파관 및 발열체는 캐비티의 내부에 장착된 형태로 모듈화되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설계 상의 변형이 가능하다.The microwave generator, the waveguide, and the heating element are preferably installed in a modular fashion mounted inside the cavity,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design modifications are possible.

특히, 상기 도파관은 그 일단이 마이크로파 발생기에 직접 연결되고 타단은 내부에 밀폐된 공간을 보유한 반사부로 연결된 관형 형태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particular, it is preferable that the waveguide has a tubular shape in which one end thereof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microwave generator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a reflector having a closed space therein.

마이크로파 발생기(마그네트론)는 고전압 변압기와 연결되고 고전압 변압기는 외부의 전원에 연결되는 것으로 구성된다. 고전압 변압기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상용 교류전압을 고주파 발생에 적합한 고전압(예를 들면, 2 킬로볼트[kV] 정도)으로 변압하여 마그네트론으로 인가하며, 마그네트론은 고전압 변압기로부터 인가되는 고전압에 의하여 고주파 발진을 하여 마이크로파를 발생시킨다.The microwave generator (magnetron) is connected to the high voltage transformer and the high voltage transformer is connected to the external power source. The high voltage transformer transforms a commercial AC voltage input from the outside into a high voltage (for example, about 2 kilovolts [kV]) suitable for generating a high frequency and applies it to the magnetron. The magnetron generates high frequency oscillation by a high voltage applied from a high voltage transformer Thereby generating microwaves.

마이크로파 주파수는 ISM(Industrial, Scientific and Medical)주파수(Frequency)를 사용하되, 부품 수급의 원활성 등 장점을 살려 주로 2,450MHz대역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용도에 따라 300MHz ~ 300GHz 영역의 주파수를 갖는 마이크로파를 다양하게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다. It is preferable to use the 2,450 MHz band in order to utilize the advantage of the microwave frequency, such as Industrial, Scientific and Medical (ISM) frequency.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is, Microwave having a frequency in the range of 300 GHz can be used in various ways.

상기 마그네트론이 구동될 때 마그네트론에서 발생되는 고열을 냉각시키기 위해 마그네트론의 주변에는 냉각장치(예, 냉각팬)가 설치되고, 냉각장치는 팬모터와 연결되며, 외부로부터 전압(상용 교류전압)이 팬모터에 인가되면 팬모터가 가동되면서 팬모터에 의해 냉각장치의 팬이 구동되어 외부의 찬공기를 마그네트론에 송풍함으로써, 마그네트론에서 발생되는 고열을 냉각시킬 수 있다.A cooling device (e.g., a cooling fan) is installed around the magnetron to cool the high temperature generated by the magnetron when the magnetron is driven. A cooling device is connected to the fan motor. A voltage (commercial AC voltage) When the motor is applied to the motor, the fan motor is operated, and the fan of the cooling device is driven by the fan motor to blow the external cool air to the magnetron, thereby cooling the high temperature generated in the magnetron.

상기 마이크로파 발생기는 도파관의 일단부 측면에 고정 브라켓에 의해 고정되고, 마이크로파 발생기의 배면에 돌출된 연결관에 의해 도파관의 일단부 측면에 연통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마이크로파 발생기로부터 발생된 마이크로파를 도파관의 일단부로 전달할 수 있다. The microwave generator is fixed to the side surface of one end of the waveguide by a fixing bracket and is connected to the side surface of one end of the waveguide by a coupling tube protruding from the back surface of the microwave generator, Can be delivered to the department.

이러한 마이크로파 발생기는 소모품으로서 일정 수명이 다하면 교체해 주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슬래브 시공용 발열 시스템에서 마이크로파 발생기는 마치 전구를 교체하는 것처럼 쉽게 교체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슬래브 시공용 발열 시스템은 마이크로파 발생기만 주기적으로 또는 불량 발생시 교체해 주기만 하면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These microwave generators are consumables and must be replaced when they reach their end of life. The microwave generator in the heating system for slab construction using the microwa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replaced as if replacing a bulb. Therefore, the heating system for slab constru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semi-permanently only when the microwave generator is periodically or defective.

본 발명에서 상기 발열체는 내열성을 가지며, 길이가 길고 세라믹 재질의 내열성 판 구조로 이루어지고(도 5 참조), 유전손실계수(dielectric loss factor)가 높은 세라믹 재질의 판에 마이크로파가 조사되면 +/- 쌍극자 회전에 의한 열을 발생시킨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ting element is made of a heat resistant plate having a long length and a ceramic material (see FIG. 5). When a microwave is irradiated on a ceramic material plate having a high dielectric loss factor, Heat is generated by dipole rotation.

한편, 상기와 같이 마이크로파 발생기가 도파관의 일단부 측면에 설치되어 마이크로파를 공급하므로 반사부에서 도파관에 바로 연결된 부분은 마이크로파를 많이 받게 되고 멀어질수록 마이크로파의 영향을 적게 받게 된다. 따라서 마이크로파의 난반사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반사판, 다른 말로 분배판을 두되, 상기 분배판에서 마이크로파가 거의 대부분 반사되므로 일정 정도의 마이크로파를 흡수할 수 있도록 분배공을 상기 분배판의 중간 중간에 형성시켜야 한다. Meanwhile,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microwave generator is installed on the side surface of one end of the waveguide to supply microwaves, a portion directly connected to the waveguide in the reflection portion receives a lot of microwaves and receives less influence of microwaves. In order to smoothly diffuse the microwave, a distribution plate is disposed in the middle of the distribution plate so that the microwave is substantially reflected in the distribution plate, so that a certain degree of microwave can be absorbed .

본 발명에서 분배공을 구비한 분배판의 몇 가지 형태는 도 4a 내지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다. Some forms of distribution plates with distribution holes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as shown in Figs. 4A to 4D.

도 4a 내지 도 4d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분배판은 도파관의 바로 앞 부분에는 분배공이 형성되어 있지 않고 도파관을 중심으로 대칭형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반드시 대칭형으로 구비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비대칭형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 때 상기 분배공의 형태는 원형, 타원형, 사각형 등 다양하게 설계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S. 4A to 4D, it is preferable that the distribution plate is symmetrically disposed around the waveguide without forming a distribution hole in the front portion of the waveguide. However, they are not necessarily provided symmetrically but may be provided asymmetrically. In this case, the shape of the dispensing hole may be variously designed such as a circle, an ellipse, and a square.

또한, 도파관으로부터 멀어질수록 마이크로파의 밀도가 적어지므로 상기 분배공은 도파관으로부터 멀어질수록 그 크기가 커지도록 하여 도파관으로부터 먼 쪽이 발열이 조금 더 일어나도록 하여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발열이 일어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Further, since the density of the microwave is decreased as the distance from the waveguide decreases, it is preferable that the size of the distribution hole increases as the distance from the waveguide increases, so that the heat is further generated farther from the waveguide, Do.

또한, 본 발명에서 도파관은 분배판의 중심뿐만 아니라 일단으로 치우쳐 연결될 수 있으므로 도파관에서 멀어지는 지점으로도 마이크로파의 흡수가 원활하도록 분배공이 최적으로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lso,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waveguide can be biased not only at the center of the distribution plate, but also at one point away from the waveguide, it is preferable that the distribution hole is optimally designed so that absorption of the microwave is smooth.

본 발명에서 상기 분배판으로 사용되는 재료는 마이크로파를 흡수하지 않고 반사하는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로서는 강재, 알루미늄재 또는 동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aterial used as the distribution plate is preferably a material that reflects without absorbing microwaves, and examples thereof include steel, aluminum, or copper.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분배판은 표면이 매끄러운 판형상이거나 표면에 요철된 판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distribution plate has a smooth plate shape or a plate shape which is uneven on the surface.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슬래브 시공용 발열 시스템에 사용되는 상기 발열체(27)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heating element 27 used in the heating system for slab installation using the microwav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열체(27)의 외부 형상을 나타낸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발열체는 입자크기 5.0 mm 이하이고 구형률이 0.5 이상인 급냉 제강슬래그 및 입자크기 5.0 mm 이하인 탄화규소 입자를 100:0.1~100 중량비로 포함하는 세라믹 조성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급냉 제강 슬래그는 그 입자크기가 3.0mm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고,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1.0mm 이하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탄화규소 입자는 또한, 그 입자크기가 3.0mm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고,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1.0mm 이하이다. 또한, 상기 급냉 제강 슬래그와 탄화규소 입자의 혼합 중량비율은 100:0.1~50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0.5~20이다. 상기 발열체는 상기 세라믹 조성물 그 자체로 사용되어도 좋으나, 상기 세라믹 조성물 100 중량부에 시멘트를 0.1~50의 중량비율로 혼합하고 적당량의 물을 가하여 반죽한 상태로 수화에 의해 경화시켜 얻어진 경화체(10)로 사용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세라믹 조성물의 함량이 많고 소량의 시멘트가 포함되므로 외부에서 보면 진한 회색이나 옅은 검은색에 가까운 색을 나타낸다. 도 5에는 이러한 경화체의 외부 형상이 도시되었는데, 이러한 경화체는 도 5의 형상대로 그대로 사용돼도 되고, 표면을 평평하게 가공한 상태로 사용돼도 좋다. 또한, 세라믹 조성물을 그대로 사용할 경우에는 내열 본드를 이용하여 바닥판에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열 본드로는 세라믹 본드를 예로 들 수 있고, 내열 본드와 세라믹 조성물을 혼합하여 경화시킨 상태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5 shows an outer shape of the heating body 27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the heating el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ceramic composition comprising a rapid cooling steel making slag having a particle size of 5.0 mm or less, a sphericity of 0.5 or more, and silicon carbide particles having a particle size of 5.0 mm or less at a weight ratio of 100: 0.1 to 100 desirabl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article size of the rapid-cooling steelmaking slag is more preferably 3.0 mm or less, and still more preferably 1.0 mm or less.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ilicon carbide particles preferably have a particle size of 3.0 mm or less, more preferably 1.0 mm or less. The mixing weight ratio of the rapid-cooling steelmaking slag to the silicon carbide particles is preferably 100: 0.1 to 50, more preferably 100: 0.5 to 20. The heating element may be used as the ceramic composition itself. However, the curing composition 10 may be obtained by mixing 100 parts by weight of the ceramic composition with cement in a weight ratio of 0.1 to 50, adding an appropriate amount of water and kneading, Is more preferably used. In this case, since the content of the ceramic composition is high and a small amount of cement is contained, it shows a dark gray or light black color from the outside. Fig. 5 shows the outer shape of the cured product. The cured product may be used as it is in the shape of Fig. 5, or may be used in a state where the surface thereof is processed flat. When the ceramic composition is used as it is, it is preferable to adhere to the bottom plate using a heat-resistant bond. The heat-resistant bond is exemplified by a ceramic bond, and it is also possible to use the heat-resistant bond and the ceramic composition in a cured state by mixing.

종래 제강 공장에서 배출되는 슬래그는 전로 또는 전기로 하부에 배치된 슬래그 포트에 슬래그를 수용한 후 처리장에 배출시켜 처리하였는데, 종래의 처리법으로는 배출된 슬래그에 다량의 물을 살포하여 슬래그를 냉각시켜 고화시키며 이후 파쇄 과정을 거쳐 슬래그에 존재하는 철 성분은 자력 선별기를 통해 선별하여 다시 철원으로 사용하고 나머지 슬래그는 특별한 용도가 없어 매립하거나 도로 포장 등의 골재로서 사용되는 것이 대부분이었다. 그러나 이와 같이 폐 슬래그를 단순 매립할 경우 매립 비용이 부수적으로 발생하고 매립양이 많을 경우 그 비용이 상당히 부담이 되며 더불어 환경적인 문제가 발생하므로 별도의 용도로 활용할 수 있는 용처의 개발이 절실한 상황이었다. Conventionally, the slag discharged from a steel mill is treated by discharging the slag into a slag pot disposed in a lower portion of a converter or an electric furnace and then discharging the slag to a treatment plant. In the conventional treatment method, a large amount of water is sprayed on the discharged slag to cool the slag The iron content in the slag after solidification and subsequent crushing process is selected through a magnetic separator to be used as a steel source, and the remaining slag is mostly used as an aggregate such as landfill or road pavement because it has no special purpose. However, when the waste slag is simply buried in the landfill, the cost of the landfill is inconvenient and the burden of the landfill is considerably burdensome if the amount of the landfill is large. Therefore, there is an environmental problem, .

상기 냉각(서냉)에 의해 냉각된 제강 슬래그는 서냉 제강 슬래그로 불리는데, 내부에 다량의 프리 라임(유리된 CaO)울 포함하고 있고 이러한 프리 라임은 도로 포장시 물과 반응하여 수산화칼슘(Ca(OH)2)을 형성한다. 상기 형성된 수산화칼슘은 프리 라임에 비하여 부피가 크고 분화되기 쉬운 성질을 가지기 때문에 도로 노반재료로 이용될 경우 도로가 융기되는 문제가 있고 분화된 수산화칼슘이 대기 및 수질을 오염시키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또한, 수산화칼슘이 알칼리성이므로 토양 오염의 원인이 되기도 하므로 도로 포장용 골재로의 사용도 매우 제한적이었다. The steel slag cooled by the cooling (slow cooling) is called slow cooling steel slag and contains a large amount of free lime (free CaO), and this free lime reacts with water in the road pavement to produce calcium hydroxide (Ca (OH) 2 ). Since the calcium hydroxide formed is bulky and prone to be differentiated from free lime, there is a problem that when used as a roadbed material, roads are raised, and the calcium hydroxide differentiated causes pollution of the atmosphere and water quality. In addition, because calcium hydroxide is alkaline, it causes soil contamination and its use as road pavement aggregate is also very limited.

이러한 서냉 제강 슬래그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급냉 제강 슬래그가 도입되었다. 급냉 제강 슬래그는 고온의 용융슬래그를 낙하시키며 고속기류를 분사하여 고온의 용융슬래그를 풍쇄함으로써 고속기류에 의해 급속하게 냉각시키고 미세 분말 형태로 제조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을 사용할 경우 벌크 상태의 슬래그가 아닌 미세 분말 상태의 슬래그가 제조되어 별도의 파쇄 과정이 필요없고 프리 라임의 양도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종래의 급냉 제강 슬래그는 프리 라임의 양을 줄여 건설용 골재로서 사용하는 데만 주안점을 두었기 때문에 새로운 용처의 개발이 지지 부진한 상황이었다. Rapid cooling steel slag was introduced to solve the problem of the slow cooling steel slag. Rapid cooling steel slag can be produced by a method of dropping a hot molten slag and spraying a high speed air stream to shake a hot molten slag to rapidly cool it by a high speed air stream and to make it into a fine powder form. When this method is used, slag in the form of fine powder is produced instead of bulk slag, so there is no need of separate crushing process and the effect of reducing the amount of free limes. However, since conventional quench steelmaking slag has focused on reducing the amount of free limes and using it as a construction aggregate, the development of new capacity has been sluggish.

본 발명은 이러한 급냉 제강 슬래그의 새로운 용처를 개발한 것으로서 급냉 제강 슬래그가 마이크로파를 흡수하여 발열이 이루어지는 성질을 발견하여 이를 발열 재료로서 이용하고자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developed a new application of such a rapid steelmaking slag, and the rapid cooling steel slag absorbs microwaves and finds a property of generating heat, and uses this as a heat generating material.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급냉 제강 슬래그는 종래부터 사용되던 일반적인 급냉 제강 슬래그를 그대로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특별한 선별 및 정제 방법을 이용하여 정제된 형태로 제조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The rapid-cooling steelmaking slag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roduced by using conventional quenching steelmaking slag which is conventionally used but is manufactured in a refined form by using a special sorting and refining method.

이하에서는 이러한 상기 선별/정제 방법에 대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Hereinafter, such a selection / purification method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먼저, 본 발명에 따른 급냉 제강슬래그의 제조방법의 일 예는 하기와 같다. 즉, 제1단계로 시빙(sieving) 과정을 거쳐 5.0 mm 이하의 입경을 갖는 급냉 제강 슬래그를 선별하고, 제2단계로 자력 세기 500가우스 이상, 바람직하게는 700~5,000 가우스의 자력 선별기를 사용하여 선별하여 본 발명에서 요구되는 마이크로파 흡수 효율을 갖는 입자만을 선별해 낸 후, 구형 선별기를 통하여 구형률 0.5 이상인 것만을 선별해 낸다. 이 때 상기 시빙과정과 구형선별 과정 및 자력선별 과정은 순서가 바뀌어도 되고 동시에 진행해도 되며, 이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특별한 선별 및 정제 작업을 거쳐 얻어진 급냉 제강 슬래그를 간단히 “MIP(Microwave-irradiated pyrogen)"로 명명한다.First, an example of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rapid cooling steelmaking sla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That is, the rapid cooling steelmaking slag having a particle diameter of 5.0 mm or less is selected through a sieving process in a first step, and a magnetic separator having a magnetic force of 500 gauss or more, preferably 700 to 5,000 gauss is used as a second step Only the particles having the microwave absorption efficiency requir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selected, and only spherical particles having a spherical modulus of 0.5 or more are selected through a spherical separator. At this time, the above-described seeding process, spherical sorting process, and magnetic force selecting process may be performed in sequence or simultaneously, all of which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apid-cooling steelmaking slag obtained through such a special sorting and refining operation is simply referred to as " MIP (Microwave-irradiated pyrogen) ".

본 발명에서 상기 급냉 제강 슬래그의 입자크기는 5.0 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구형률은 0.5 이상인 것이 요구된다. 상기 입자크기가 5.0 mm를 넘어서 너무 크게 되면 전체 비표면적이 크지 않아 발열 효율 및 열 전달 효율이 떨어지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구형률은 다른 말로 형상계수로서 입자의 가장 긴 쪽 지름에 대한 가장 작은 쪽 지름의 비율을 의미하는데, 만약 구형률이 0.5가 안 되는 급냉 제강 슬래그의 경우 찌그러진 모양을 갖게 되어 마이크로파가 뾰족한 부분으로 수렴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스파크가 발생할 수 있고 에너지가 뾰족한 부분이나 각진 부분으로만 집중되어 에너지 손실이 발생하기 때문에 입자 전체에서의 발열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하므로 구형률은 0.5 이상인 것을 선별해서 사용해야 한다. 이러한 급냉 제강 슬래그는 도체와 부도체의 중간적인 반 부도체의 성격을 가지기 때문에 흡수 가열과 유도 가열이 이뤄지며, 충전 상태에 따라 내부 마이크로파의 전달이 이루어진다. 즉, 연속되어 있는 구형의 급냉 제강 슬래그에 마이크로파가 인가될 경우 표면 효과에 의해 급냉 제강 슬래그를 따라 마이크로파가 전달되면서 인접한 급냉 제강 슬래그에도 이전과 마찬가지로 흡수 가열과 유도 가열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article size of the rapid cooling steelmaking slag is preferably 5.0 mm or less, and the spherical ratio is required to be 0.5 or more. If the particle size exceeds 5.0 mm, if the particle size is too large, the total specific surface area is not large and the heat generation efficiency and heat transfer efficiency are deteriorated. The sphericity ratio is, in other words, the shape factor, which means the ratio of the smallest diameter to the longest side diameter of the particles. If the sphericity of the rapid cooling steel slag having a sphericity ratio of less than 0.5 results in a distorted shape, In this case, the spark may occur. Since the energy is concentrated only at the pointed portion or the angled portion and energy loss occurs, the efficiency of heat generation in the whole particle is lowered. Therefore, the sphericity should be selected to be 0.5 or more do. This rapid steelmaking slag has the characteristics of a semi-insulator between the conductor and the non-conductor, so that absorption heating and induction heating are performed, and the internal microwave is transferred according to the charging state. That is, when the microwave is applied to the continuous spherical rapid cooling steel making slag, the microwave is transferred along the rapid cooling steel slag due to the surface effect, and absorption heating and induction heating are performed in the adjacent rapid cooling steel slag as before.

본 발명자들은 앞선 특허(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1-0032313호, 특허등록 제1314384호)를 통해 급냉 제강 슬래그 조성물을 마이크로파에 의해 발열되는 발열체로 활용하는 기술에 관하여 제안한 바 있다.The present inventors have proposed a technique of utilizing a rapid-cooling steelmaking slag composition as a heating element to be generated by a microwave through the above-mentioned patent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2011-0032313, Patent Registration No. 1314384).

그러나, 상기 특허에 기재된 급냉 제강 슬래그 조성물은 비열과 마이크로파에 의해 발생되는 에너지는 매우 높지만 이를 주변으로 전달시키는 전달 속도, 즉 에너지 방출 속도 면에서는 빠르지 않아 전체 발열체에 걸쳐 균일한 발열이 이루어지도록 하기까지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또한 국부적으로 발열이 진행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연구 노력을 거듭한 결과, 급냉 제강 슬래그와 탄화 규소(SiC)를 조합하여 사용할 경우 해결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즉, 기존에 마이크로파에 의해 발열될 수 있는 소재로 알려졌었던 탄화 규소의 경우 아래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비열과 마이크로파에 의해 발생되는 에너지는 급냉 제강 슬래그에 비하여 낮지만, 에너지를 방출하는 속도(에너지 전달 속도)는 급냉 제강 슬래그에 비하여 훨씬 높다는 것을 실험을 통해 확인하였다. 따라서 에너지 전달 속도가 큰 탄화 규소를 혼합 사용할 경우 기존 급냉 제강 슬래그를 단독으로 사용했을 때의 문제점이었던 낮은 에너지 전달의 문제, 불균일 발열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음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However, the rapid-cooling steelmaking slag composition described in the above patent has a very high energy generated by the specific heat and the microwave, but it is not so fast in terms of the transfer speed for transferring it to the periphery, i.e., the energy release rate, And it is found that there is a problem that it takes a lot of time and the local fever progresses. As a result of repeated research efforts to overcome these problems, it has been found that a combination of quenching steel slag and silicon carbide (SiC) can be solved. That is, in the case of silicon carbide, which has been known as a material capable of being heated by microwaves, the energy generated by the specific heat and microwave is lower than that of the rapid-cooling steel slag as shown in Table 1 below, The rate of transfer is much higher than that of rapid cooling steelmaking slag.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ors have found that when mixed with silicon carbide having a high energy transfer rate, problems of low energy transfer and uneven heat generation, which were problems in using the conventional quenching steel slag alone, can be solved.

급냉 제강 슬래그(MIP)Rapid cooling steelmaking slag (MIP) 탄화규소(탄화규소)Silicon carbide (silicon carbide) 비열specific heat 0.1807 Cal/g·℃0.1807 Cal / g 占 폚 0.1624 Cal/g·℃0.1624 Cal / g 占 폚 에너지 방출속도Energy release rate 0.343W/m·K0.343 W / m · K 170W/m·K170 W / m · K

탄화규소와 MIP 및 물을 이용하여 마이크로파에 의한 열 효율을 측정한 결과를 아래 표 2에 나타내었다. 수식 1을 이용하여 온도를 올리는데 사용된 열에너지를 사용 전력으로 표시하였고, 수식 2를 이용하여 유입 전력에 따른 사용 전력의 비율을 근거로 에너지 효율을 계산하였다.Table 2 shows the results of measurement of heat efficiency by microwave using silicon carbide, MIP and water. Using Equation 1, the thermal energy used to raise the temperature is expressed as the used power, and the energy efficiency is calculated based on the ratio of the used power according to the input power using Equation 2.

단위unit 기호sign 탄화규소(SiC)Silicon carbide (SiC) MIPMIP water 질량(g)Mass (g) MM 200200 200200 200200 비열(Cal/g·℃)Specific heat (Cal / g · ° C) CpCp 0.16240.1624 0.18070.1807 1One 온도차(℃)Temperature difference (℃) ΔTΔT 79.179.1 152.8152.8 22.522.5 시간(초)Time (seconds) tt 6060 6060 6060 사용전력(W)Power (W) PP 179.8179.8 386.5386.5 315315 유입전력(W) Incoming power (W) PinPin 700700 700700 700700 에너지효율Energy efficiency ηη 0.260.26 0.550.55 0.450.45

Figure 112013120924680-pat00001
(수식1)
Figure 112013120924680-pat00002
(수식2)
Figure 112013120924680-pat00001
(Equation 1)
Figure 112013120924680-pat00002
(Equation 2)

위 표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동일 유입 전력에 대한 마이크로파에 의해 발열되는 효율은 MIP의 경우가 탄화규소의 경우에 비하여 2배 이상 우수함을 알 수 있다. As shown in the above Table 2, the efficiency of microwave heating for the same input power is more than twice that of silicon carbide for MIP.

또한, 위와 같은 실험을 통하여 얻어진 MIP, 탄화규소 및 그 혼합물의 내부 에너지 및 방출 에너지 결과는 도 6과 같다.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MIP 발열체는 에너지 발생은 크나 이를 전달하는 속도는 낮고, 반대로 탄화규소는 에너지 발생은 상대적으로 작으나 이를 전달하는 속도는 높으므로 이를 최적 비율로 혼합할 경우 높은 에너지 발생과 빠른 에너지 전달이라는 두 가지 효과를 모두 얻을 수 있다. (본 실험은 국제공인시험기관인 한국고분자시험연구소에 의뢰하여 진행하였으며, 비열 분석은 KS M 3049 방법에 의하여 Perkin-Elmer DSC 4000을 이용하여 실험하였고, 열전도도는 ASTM C 518의 방법에 의해 Mathis TC-30을 이용하여 실험하였다. 본 발명에서 혼합물의 경우는 MIP:탄화규소를 100:0.5의 중량비율로 혼합하였다.)The internal energy and emission energy of the MIP, silicon carbide, and mixtures thereof obtained through the above experiment are shown in FIG. As shown in FIG. 6, the MIP heating element has a high energy generation rate but a low transfer rate. Conversely, silicon carbide has a relatively small energy generation rate, You can get both effects of delivery.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by Korea Polymer Research Institute, Korea). Specific heat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Perkin-Elmer DSC 4000 by KS M 3049 method. Thermal conductivity was measured by Mathis TC -30. In the case of the mix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MIP: silicon carbide was mixed in a weight ratio of 100: 0.5.

도 6의 실험 결과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MIP 단독의 경우 마이크로파 조사에 의해 내부 에너지는 높게 올라가지만, 방출 에너지는 낮고, 탄화규소 단독의 경우 마이크로파 조사에 의해 올라가는 내부 에너지가 MIP만 못하지만 방출 에너지는 매우 높다. As can be seen from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n in FIG. 6, in the case of MIP alone, the internal energy is raised by microwave irradiation, but the emission energy is low. In the case of silicon carbide alone, the internal energy raised by microwave irradiation is not only the MIP, Is very high.

따라서 이와 같은 특성을 이용하여 MIP와 탄화규소를 혼합 사용했을 때는 내부 에너지도 비교적 높고 에너지 방출성도 높게 유지됨을 알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기존 MIP를 단독으로 사용할 때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Therefore, when the MIP and silicon carbide are mixed with each other using such a characteristic, the internal energy is relatively high and the energy release property is maintained high. Thus, the problem of using the existing MIP alone can be solved.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은 MIP, 즉 입자크기 5.0 mm 이하이고 구형률이 0.5 이상인 급냉 제강슬래그를, 입자크기 5.0 mm 이하인 탄화 규소 입자와 최적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한다. 탄화규소의 경우 단가 면에서 MIP 대비 약 30~50배 정도 고가이기 때문에 그 사용량을 많이 하면 경제적 면에서 유리하지 않으므로 최적 비율로 사용해야 하는데 본 발명에서는 상기 MIP 대비 사용되는 탄화규소를 100: 0.1~100 중량부로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0.1~50 중량부이다. 상기 탄화규소가 MIP 100 중량부 대비 0.1 중량부 미만으로 너무 적게 사용되면 에너지 전달 효율이 떨어지므로 기존 MIP 단독 사용할 경우의 문제를 해결하기 어려우며, 100 중량부를 초과하여 너무 과량으로 사용하면 에너지 발생 효율이 떨어지고 단가가 너무 올라가 경제적 효과가 떨어질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In the present invention, such MIP, that is, a rapid cooling steel making slag having a particle size of 5.0 mm or less and a sphericity of 0.5 or more is mixed with silicon carbide particles having a particle size of 5.0 mm or less at an optimum ratio. Since silicon carbide is about 30 to 50 times higher in price than MIP in terms of unit cost, it is not economically advantageous to use a large amount of silicon carbide. Therefore, silicon carbide should be used in an optimum ratio. In the present invention, By weight, and more preferably 100: 0.1 to 50 parts by weight. If the silicon carbide is used in an amount of less than 0.1 part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MIP, the energy transfer efficiency is lowered.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solve the problem when the conventional MIP is used alone. If the silicon carbide is used excessively in excess of 100 parts by weight, It is undesirable because the price may fall and the unit price may rise too much and the economic effect may decrease.

본 발명에서 상기 입자크기 5.0 mm 이하이고 구형률이 0.5 이상인 급냉 제강슬래그(MIP)와 입자크기 5.0 mm 이하인 탄화규소(SiC) 입자를 최적 비율로 포함하는 세라믹 조성물은 그대로 사용할 수도 있으며, 시멘트와 물을 혼합하여 경화된 형태로 사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경화된 형태로 사용하는 이유는 미경화된 입자(파티클) 형태를 사용할 경우 취급성이 좋지 않고 한쪽으로 쏠릴 우려도 있기 때문이며, 시멘트를 사용한 경화체의 경우 시멘트 자체의 특성으로 인해 잠열을 오랫동안 유지하는 효과도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세라믹 조성물에 혼합되는 시멘트, 예를 들어 포틀랜드 시멘트는 상기 세라믹 조성물 100 중량부에 0.1~50의 중량비율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적당량의 물을 가하여 수화시킴에 의해 수화에 의해 경화되어 경화체가 얻어진다. 이 때 상기 경화체의 두께는 용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일반적인 용도의 경우 1~100 mm인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use a ceramic composition containing an optimum ratio of rapid cooling steel slag (MIP) having a particle size of 5.0 mm or less and a sphericity of 0.5 or more and silicon carbide (SiC) particles having a particle size of 5.0 mm or less, May be mixed and used in a cured form. The reason for using such a cured form is that when the uncured particle (particle) form is used, the handling property is not good and there is a fear that the cement is caught in one side. In the case of cured cement, the latent heat is retained for a long time This is because there is also an effect.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ement mixed with the ceramic composition, for example, Portland cement, is preferably mixed with 100 parts by weight of the ceramic composition in a weight ratio of 0.1 to 50, and the mixture is hydrated by adding an appropriate amount of water, Whereby a cured product is obtained. In this case, the thickness of the cured product may vary depending on the application, and it is preferably 1 to 100 mm for general use.

본 발명에서 상기 세라믹 조성물에는 종래 마이크로파를 흡수하는 것으로 알려진 금속 산화물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그 포함되는 함량은 0.1~100 중량부의 범위에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5~50 중량부이다. 또한, 상기 세라믹 조성물의 크기는 5.0 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mm 이하이며,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1.0 mm 이하이다. 이와 같은 금속 산화물의 예로는 철산화물이 바람직하며, 구체적 예로는 Fe2O3, Fe3O4, FeO 등을 들 수 있고, 기타 금속 산화물의 예로는 Al2O3, CaO, SiO2, TiO2, MgO 등을 들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eramic composition may further include a metal oxide, which is conventionally known to absorb microwaves. The content of the metal oxide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0.1 to 100 parts by weight, more preferably 0.5 to 50 parts by weight to be. The size of the ceramic composition is preferably 5.0 mm or less, more preferably 3.0 mm or less, and still more preferably 1.0 mm or less. Examples of such metal oxides are iron oxides, and specific examples thereof include Fe 2 O 3 , Fe 3 O 4 and FeO. Examples of other metal oxides include Al 2 O 3 , CaO, SiO 2 , TiO 2 , MgO, and the lik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마이크로파에 의해 발열되는 발열체를 이용하여 발열 시스템을 제조하며, 발열 시스템을 구조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heating system is manufactured using a heating element that generates heat by the microwave, and the structure of the heating system is as described above.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발열 시스템은 슬래브 거푸집의 강판 하부에 모듈 형태로 부착하여 전원을 공급하기만 하면 설치가 끝나므로 작업이 용이하고, 발열체 재료의 특성으로 인해 온도 상승이 빠르고 한 번 상승된 온도는 서서히 하강하므로 설정된 온도를 유지하기 위해서 전력을 과다하게 소비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강도나 내구성 등 양생된 콘크리트의 품질도 소요 품질 이상을 만족할 수 있고 특히 전체적으로 균일한 발열과 이로 인한 균일 품질 확보가 가능하다. The heat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module form in the lower part of the steel plate of the slab formwork and is installed simply by supplying power, so that the work is easy, the temperature rise is fast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heating body material, There is an advantage that power consumption is not excessively consumed in order to maintain the set temperature. In addition, the quality of the cured concrete such as strength and durability can satisfy the required quality and above, and uniform quality can be ensured due to uniform heat generation.

특히, 동절기나 혹한 지역과 같이 외기 온도가 낮을 경우 기존에는 콘크리트의 자연 수화에 따른 양생이 불가능하여 겨울철 콘크리트 타설 공정이 매우 제한적이었으나,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슬래브 시공용 발열 시스템을 사용하면 일정한 온도를 콘크리트에 공급하여 초기에 강제로 온도 상승을 유발하고 이후 자연 수화가 진행됨으로써 콘크리트 양생이 촉진된다. In particular, when the outside temperature is low, such as during the winter or the cold, it is impossible to cure due to the natural hydration of the concrete, so that the concrete pouring process in winter is very limited. However, when the heating system for slab construction using the microwa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The temperature is supplied to the concrete to induce the temperature rise at the initial stage and then the natural hydration is promoted to promote the concrete curing.

따라서 겨울철이나 초봄, 늦가을과 같이 온도가 낮아 콘크리트 양생 기간이 오래 걸리는 기간 동안에 사용하면 하절기에 콘크리트를 양생시키는 것과 거의 대등한 효과를 볼 수 있다. Therefore, when the concrete is cured for a long period of time such as winter, early spring, and late autumn, it is almost equivalent to curing the concrete in the summer season.

또한 슬래브 시공이 완료된 후에는 상기 발열 시스템 모듈이 장착된 슬래브 거푸집을 양생이 완료된 슬래브 콘크리트로부터 탈형하기만 하면 되므로 분리 해체를 위한 작업도 간단하고 재사용하기도 용이하다.
Further, after completion of the slab construction, the slab dies on which the heating system module is mounted are simply demolded from the cured slab concrete, so that the work for separation and disassembly is also simple and easy to reuse.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슬래브 시공용 발열 시스템을 이용한 슬래브 시공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7 is a flowchart showing an example of a slab construction method using a heating system for slab construction using a microwa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에 기재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래브 시공 방법은7, a slab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슬래브 거푸집의 상부 강판과 상기 강판의 하부에 일정 간격으로 서로 평행하게 구비된 다수의 강판 지지부재 및 상기 강판 지지부재의 하부에 상기 강판 지지부재와 수직으로 구비된 빔으로 둘러싸인 공간에 상기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슬래브 시공용 발열 시스템을 삽입하고 상기 슬래브 거푸집의 강판 하부에 상기 발열 시스템을 부착하여 슬래브용 발열 거푸집을 제조하는 단계(S100);(a) a plurality of steel plate supporting members provided parallel to each other at regular intervals on an upper steel plate of the slab formwork and a lower portion of the steel plate, and a space surrounded by the beam vertically provid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steel plate supporting member, (S100) of inserting a heating system for slab construction using a microwa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ttaching the heating system to a lower portion of a steel plate of the slab die to manufacture a heating die for a slab;

(b) 상기 제조된 슬래브용 발열 거푸집을 동바리를 이용하여 수평 지지한 후 상기 슬래브 거푸집의 강판 상부에 철근을 배근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S200);(b) horizontally supporting the heat-generating dies for slabs manufactured using the tillers, placing reinforcing bars on the steel plates of the slab dies and casting concrete (S200);

(c) 상기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슬래브 시공용 발열 시스템에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타설된 콘크리트를 양생시키는 단계(S300); 및 (c) supplying power to the heating system for slab installation using the microwave and curing the poured concrete (S300); And

(d) 양생된 슬래브 콘크리트로부터 슬래브용 발열 거푸집을 탈형하는 단계 (S400)(d) demolding the heating die for the slab from the cured slab concrete (S400)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

슬래브 시공을 위해서는 먼저 슬래브용 거푸집을 제조하여야 하는데, 본 발명에서는 상부 강판과 상기 강판의 하부에 일정 간격으로 서로 평행하게 구비된 다수의 강판 지지 부재 및 상기 강판 지지부재와 직각으로 구비된 빔으로 구성된 슬래브 거푸집에 상기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슬래브 시공용 발열 시스템을 삽입, 부착하여 제조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슬래브 거푸집의 상부 강판과 강판 지지부재 및 빔으로 둘러싸인 공간에 상기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슬래브 시공용 발열 시스템을 삽입하고 상기 슬래브 거푸집의 강판 하부에 상기 발열 시스템을 부착하여 슬래브용 발열 거푸집을 제조한다. In order to construct a slab, a slab formwork must first be manufactur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steel plate and a plurality of steel plate supporting members provided parallel to each other at regular intervals below the steel plate, and a beam provided at right angles to the steel plate supporting member And a heating system for slab construction using the microwa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erted into and attached to a slab die. More specifically, the heating system for slab construction using the microwa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erted into a space surrounded by the upper steel plate, the steel plate supporting member and the beam of the slab formwork, and the heating system is attached to the lower part of the steel plate of the slab formwork, The heat mold is manufactured.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슬래브용 발열 거푸집 세트의 전체 구성으로서 동바리에 의해 지지되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9는 동바리 없이 슬래브용 발열 거푸집 세트만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슬래브용 발열 거푸집 세트를 C-C 면을 기준으로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슬래브용 발열 거푸집 세트의 분해 사시도이다. Fig.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at the heating die set for a sla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upported by a shovel as a whole, Fig.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only a heating die set for a slab, FIG. 1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heat-generating die set for a sla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8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슬래브용 발열 거푸집 세트(100)는 상부 강판(52), 강판 지지부재(51) 및 빔(50)으로 구성이 되는데, 상기 강판, 강판 지지부재 및 빔으로 둘러싸인 공간에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슬래브 시공용 발열 시스템(20)을 삽입하여 부착함으로써 일체형으로 제조된다. 이 때 슬래브 거푸집 강판(52)에의 밀착 부착을 위해 발열 시스템에 스페이서(62)를 부착하고 외부에서 볼트(61) 등을 이용하여 지지대(60)를 압착하면서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8 to 11, the heating die set 100 for a sla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n upper steel plate 52, a steel plate supporting member 51 and a beam 50. The steel plate, By inserting and attaching the heat generating system 20 for slab constru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space surrounded by the member and the beam.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a spacer 62 is attached to the heat generating system for attaching to the slab die steel plate 52 and the support member 60 is attached while pressing the support member 60 using bolts 61 from the outside.

이어서, 상기 제조된 슬래브용 발열 거푸집(100)을 동바리(53) 등을 이용하여 수평 지지한 후 상기 슬래브 거푸집의 강판 상부에 철근을 배근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Subsequently, the slab heat-generating die 100 is horizontally supported using a hoist 53 or the like, and a reinforcing bar is placed on the steel plate of the slab die and concrete is poured.

이어서, 상기 슬래브용 발열 거푸집에 장착된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슬래브 시공용 발열 시스템에 전원을 공급하여 상기 슬래브 거푸집의 강판을 가열함으로써 타설된 콘크리트의 초기 수화를 강제로 유도한다. 겨울철과 같이 외기가 낮은 경우에 콘크리트의 수화는 진행되기 어려우므로 강제 가열에 의해 콘크리트의 초기 수화를 유도하면 이후는 자연 수화가 진행되므로 콘크리트의 양생을 촉진시킬 수 있는 것이다.
Then, power is supplied to the heating system for slab construction using the microwa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ounted on the heating die for the slab, thereby heating the steel plate of the slab die to forcibly induce the initial hydration of the laid concrete. Since hydration of concrete is difficult to proceed when the outside air is low as in winter, inducing initial hydration of concrete by forced heating promotes curing of concrete since natural hydration proceeds thereafter.

이상,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슬래브 시공용 발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슬래브 시공 방법에 관하여 설명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슬래브 시공용 발열 시스템은 콘크리트의 조기 양생이 필요한 콘크리트 슬래브 시공에 사용할 경우 겨울철과 같이 외기 온도가 낮은 시기에도 충분한 초기 수화가 가능하게 되어 겨울철 슬래브 시공이 효과적으로 가능해진다. 특히 동절기에 초기 동해로부터 콘크리트를 보호하고 소요 강도를 확보함은 물론 콘크리트를 급열 양생하여 강도 발현을 촉진함으로써 공기 단축이 가능하고, 기존의 단열 및 가열 보온 양생 방법에 비해 연료 소비량과 전력 소비량을 현저히 줄일 수 있는 저에너지, 저비용, 고효율 기술이며, 또한, 종래 방법과 같은 유독가스가 발생하지 않아 안전성이 확보될 수 있는 저탄소, 친환경 기술이다. 특히 종래 본 발명자들에 의해 발표된 기술에서의 문제점이었던 불균일 가열과 이로 인한 균열 발생의 가능성도 본 기술에 의해 해결이 가능하다.
The heating system for slab construction using the microwa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lab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have been described above. The heating system for slab construction using the microwa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sufficient initial hydration even when the outside air temperature is low as in the case of winter, when the concrete slab is used for the early curing of concrete, so that the slab construction in winter can be effectively performed. Especially, it protects the concrete from the initial East Sea in the winter season, secures the required strength, accelerates the development of the strength by curing the concrete with rapid curing, and it is possible to shorten the length of the air and significantly reduce fuel consumption and power consumption Low-cost, and high-efficiency technology that can be reduced in cost, and is a low-carbon, eco-friendly technology that can be secured with no toxic gas such as the conventional method. Particularly, it is possible to solve the problem of nonuniform heating, which was a problem in the technique disclosed by the present inventors, and cracking due to the uneven heating.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을 도면을 참조하여 그 특징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통상의 기술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something to do.

10 : MIP 경화체
20 :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터널 콘크리트 라이닝 시공용 발열 시스템
21 : 마이크로파 발생기 22 : 도파관
23 : 내부 공간 24 : 반사부
25 : 분배판 26 : 분배공
27 : 발열체 28 : 캐비티
28-1 : 바닥판 28-2 : 측판
28-3 : 캐비티 커버 29 : 고전압 변압기
30 : 냉각팬 31 : 보호커버
32 : 온도센서 33 : 온도 콘트롤러
34 : 케이스 35 : 단열재
36 : 콘덴서 37 : 콘덴서 홀더
50 : 빔 51 : 강판 지지부재
52 : 강판 53 : 동바리
60 : 지지대 61 : 볼트
62 : 스페이서 100 : 슬래브용 발열 거푸집 세트
10: MIP hardener
20: Heating system for tunnel concrete lining construction using microwave
21: Microwave generator 22: Waveguide
23: inner space 24:
25: Distribution board 26: Distribution board
27: heating element 28: cavity
28-1: bottom plate 28-2: side plate
28-3: Cavity cover 29: High voltage transformer
30: cooling fan 31: protective cover
32: temperature sensor 33: temperature controller
34: Case 35: Insulation
36: Capacitor 37: Capacitor holder
50: beam 51: steel plate supporting member
52: steel plate 53:
60: Support 61: Bolt
62: Spacer 100: Heat generating die set for slab

Claims (16)

슬래브 거푸집의 상부 강판과 상기 강판의 하부에 일정 간격으로 서로 평행하게 구비된 다수의 강판 지지부재 및 상기 강판 지지부재의 하부에 상기 강판 지지부재와 수직으로 구비된 빔으로 둘러싸인 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슬래브 거푸집의 강판 하부에 부착되며 전원 공급에 의해 마이크로파가 발생하여 발열되는 발열 시스템으로서,
마이크로파를 발생시키는 마이크로파 발생기;
상기 마이크로파 발생기와 일단이 연결되어 있으며 마이크로파 발생기로부터 발생되는 마이크로파를 전달받아 반사부로 전달하는 파이프 형상으로 구비된 도파관;
상기 도파관과 내부 공간을 공유하며 도파관으로부터 전달되는 마이크로파를 난반사시키기 위한 밀폐된 내부 공간을 구비한 반사부;
상기 도파관과 상기 밀폐된 내부 공간을 사이에 두고 반대편에 구비되며 반사부에서 난반사되는 마이크로파를 통과시키기 위한 분배공을 구비한 분배판;
상기 반사부의 반대편에 상기 분배판과 밀착 구비되며 분배공을 통해 통과되는 마이크로파를 흡수하여 열을 발생시키는 발열체;
상기 발열체 외부에 발열체와 밀착 구비되는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과 수직으로 일체형으로 양측단에 연결되는 측판 및 상기 측판의 상부에 연결되며 상기 측판과 함께 내부에 밀폐된 반사부를 형성하는 캐비티 커버로 구성되며 발열체에서 발생되는 열을 외부로 전달하는 캐비티; 및
상기 발열체의 발열 온도를 제어하는 온도 콘트롤러
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발열체는 입자크기 5.0 mm 이하이고 구형률이 0.5 이상인 급냉 제강슬래그 및 입자크기 5.0 mm 이하인 탄화규소 입자를 100:0.1~100 중량비로 포함하는 세라믹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슬래브 시공용 발열 시스템.
A plurality of steel plate supporting members provided parallel to each other at regular intervals in a lower part of the steel plate and a lower steel plate supporting member inserted into a space surrounded by a beam vertically provided to the steel plate supporting member at a lower portion of the steel plate supporting member, A heating system attached to a lower part of the steel plate of the formwork and generating a microwave by power supply,
A microwave generator for generating microwaves;
A waveguide connected at one end to the microwave generator and having a pipe shape for receiving a microwave generated from the microwave generator and transmitting the received microwave to the reflector;
A reflector having a sealed inner space for diffusing the microwave transmitted from the waveguide and sharing the inner space with the waveguide;
A distribution plate provided on the opposite side with respect to the waveguide and the sealed inner space and having a distribution hole for passing a microwave that is irregularly reflected by the reflection portion;
A heating element which is provid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reflection part a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distribution plate and absorbs microwaves passing through the distribution hole to generate heat;
And a cavity cover which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s of the side plates and forms a closed reflective part together with the side plates, the side cover being connected to both side ends of the bottom cover, A cavity for transferring heat generated from the heating element to the outside; And
A temperature controller for controlling a heat generation temperature of the heating element;
And,
Wherein the heating element is a ceramic composition comprising a rapid cooling steel making slag having a particle size of 5.0 mm or less and a sphericity of 0.5 or more and silicon carbide particles having a particle size of 5.0 mm or less at a ratio of 100: 0.1 to 100 by weight. system.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발열체는 상기 세라믹 조성물 100 중량부에 시멘트를 0.1~50 중량비로 혼합하고 물을 가하여 수화에 의해 경화시킨 경화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슬래브 시공용 발열 시스템.
The heating system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eating element is a cured body obtained by mixing 100 parts by weight of the ceramic composition with 0.1 to 50 parts by weight of the cement, and curing the mixture by hydration with wat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발열체는 내열 본드를 이용하여 바닥판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슬래브 시공용 발열 시스템.
The heating system for a slab installation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eating element is attached to the bottom plate using a heat-resistant bon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파 발생기는 고전압 변압기에 의해 전원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슬래브 시공용 발열 시스템.
The heating system for a slab installation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icrowave generator is connected to a power source by a high voltage transformer.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파 발생기 주변에는 마이크로파 발생기에서 발생하는 열을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 장치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슬래브 시공용 발열 시스템.
[6] The system of claim 4, wherein a cooling device for cooling the heat generated by the microwave generator is provided in the vicinity of the microwave generator.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파 발생기와 고전압 변압기 및 냉각 장치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 커버가 캐비티 커버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슬래브 시공용 발열 시스템.
The heating system for a slab installation using a microwave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a protective cover for protecting the microwave generator, the high voltage transformer, and the cooling device is fixed to the cavity cov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캐비티에는 캐비티의 온도를 검지하기 위한 온도센서가 구비되며, 상기 온도센서는 온도 콘트롤러에 연결되어 캐비티의 온도에 따라 마이크로파 발생기의 온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슬래브 시공용 발열 시스템.
The microwave generato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avity is provided with a temperature sensor for detecting the temperature of the cavity, and the temperature sensor is connected to the temperature controller to control the temperature of the microwave generator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of the cavity. Construction heating system.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파 발생기, 도파관 및 캐비티의 외부에는 내부 장치들을 보호하기 위한 케이스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슬래브 시공용 발열 시스템.
The heating system for a slab installation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case for protecting internal devices is provided outside the microwave generator, the waveguide, and the cavity.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캐비티 커버에는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을 가열 대상 콘크리트의 반대쪽으로 발산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단열재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슬래브 시공용 발열 시스템.
The heating system for a slab installation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heat insulating material is attached to the cavity cover so as to prevent heat generated from the inside of the cavity cover from dissipating toward the opposite side of the concrete to be heate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배공은 도파관의 바로 앞 부분에는 형성되어 있지 않고 도파관을 중심으로 대칭형 또는 비대칭형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슬래브 시공용 발열 시스템.
The heating system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istribution hole is not formed in a front portion of the waveguide but is symmetrically or asymmetrically formed around the waveguid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배공은 도파관으로부터 멀어질수록 그 크기가 커지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슬래브 시공용 발열 시스템.
The heating system for a slab installation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istribution holes are arranged so as to become larger as they are away from the waveguid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배공은 원형, 타원형 또는 사각형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슬래브 시공용 발열 시스템.
The heating system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istribution hole is formed in a circular, elliptical or quadrangular shap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배판은 강재, 알루미늄재 또는 동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슬래브 시공용 발열 시스템.
The heating system for a slab installation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istribution plate is made of a steel material, aluminum material, or copper material.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배판은 판형상 또는 요철된 판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슬래브 시공용 발열 시스템.
The heating system for a slab installation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istribution plate is a plate-shaped or uneven plate-like shap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세라믹 조성물은 금속산화물을 0.1~100 중량부로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슬래브 시공용 발열 시스템.
The heating system for a slab installation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eramic composition further comprises 0.1 to 100 parts by weight of a metal oxide.
(a) 슬래브 거푸집의 상부 강판과 상기 강판의 하부에 일정 간격으로 서로 평행하게 구비된 다수의 강판 지지부재 및 상기 강판 지지부재의 하부에 상기 강판 지지부재와 수직으로 구비된 빔으로 둘러싸인 공간에 청구항 1에 따른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슬래브 시공용 발열 시스템을 삽입하고 상기 슬래브 거푸집의 강판 하부에 상기 발열 시스템을 부착하여 슬래브용 발열 거푸집을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제조된 슬래브용 발열 거푸집을 동바리를 이용하여 수평 지지한 후 상기 슬래브 거푸집의 강판 상부에 철근을 배근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
(c) 상기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슬래브 시공용 발열 시스템에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타설된 콘크리트를 양생시키는 단계; 및
(d) 양생된 슬래브 콘크리트로부터 슬래브용 발열 거푸집을 탈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브 시공 방법.

(a) a plurality of steel plate supporting members provided parallel to each other at regular intervals on the upper steel plate of the slab formwork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steel plate, and a space surrounded by a beam vertically provid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steel plate supporting member, 1.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lab for a slab, comprising the steps of: (1) inserting a heating system for slab construction using a microwave and attaching the heating system to a lower portion of a steel plate of the slab formwork;
(b) horizontally supporting the heat-generating dies for slabs manufactured using the same method, placing reinforcing bars on the steel plates of the slab formers and casting concrete;
(c) supplying power to the heating system for slab construction using the microwave and curing the poured concrete; And
(d) demolding the heating die for the slab from the cured slab concrete
Wherein the slab is slab-shaped.

KR1020130167975A 2013-12-31 2013-12-31 High-efficient and uniformly-heating system for construction of slab using microwave, and construction method of slab using the same Active KR101411262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7975A KR101411262B1 (en) 2013-12-31 2013-12-31 High-efficient and uniformly-heating system for construction of slab using microwave, and construction method of slab using the same
PCT/KR2014/009644 WO2015102211A1 (en) 2013-12-31 2014-10-14 Highly-efficient and uniform heating system using microwaves and method for constructing concrete structure us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7975A KR101411262B1 (en) 2013-12-31 2013-12-31 High-efficient and uniformly-heating system for construction of slab using microwave, and construction method of slab us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11262B1 true KR101411262B1 (en) 2014-06-24

Family

ID=511340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7975A Active KR101411262B1 (en) 2013-12-31 2013-12-31 High-efficient and uniformly-heating system for construction of slab using microwave, and construction method of slab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1262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6447B1 (en) * 2017-11-09 2018-07-10 신청호 Concrete repair method
KR101921657B1 (en) * 2017-11-28 2018-11-26 한국철도기술연구원 Heating system for concrete curing using microwave and construction method of concrete structure using the sam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20929A (en) * 1994-10-20 1996-05-14 Ohbayashi Corp Method and device for compacting concrete
KR20120120579A (en) * 2011-04-25 2012-11-02 서덕동 Microwave Heating Device
KR20120139244A (en) * 2011-06-17 2012-12-27 서덕동 Heating device using microwave and construction method of heating unit using the same
KR20130034696A (en) * 2011-09-29 2013-04-08 서승현 Heating and firing device of carborn or sic by applying hi frequency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20929A (en) * 1994-10-20 1996-05-14 Ohbayashi Corp Method and device for compacting concrete
KR20120120579A (en) * 2011-04-25 2012-11-02 서덕동 Microwave Heating Device
KR20120139244A (en) * 2011-06-17 2012-12-27 서덕동 Heating device using microwave and construction method of heating unit using the same
KR20130034696A (en) * 2011-09-29 2013-04-08 서승현 Heating and firing device of carborn or sic by applying hi frequency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6447B1 (en) * 2017-11-09 2018-07-10 신청호 Concrete repair method
KR101921657B1 (en) * 2017-11-28 2018-11-26 한국철도기술연구원 Heating system for concrete curing using microwave and construction method of concrete structure using the same
WO2019107649A1 (en) * 2017-11-28 2019-06-06 한국철도기술연구원 Uniform heating system for curing concrete using microwaves and construction method of concrete structure using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1261B1 (en) High-efficient and uniformly-heating system for construction of tunnel concrete lining using microwave, and construction method of tunnel concrete lining using the same
KR101411260B1 (en) High-efficient and uniformly-heating system for precast concrete using microwave, and preparation method of precast concrete using the same
US10639814B2 (en) Insulated concrete battery mold, insulated passive concrete curing system, accelerated concrete curing apparatus and method of using same
JP6711504B2 (en) Uniform heating system for concrete curing using microwave and construction method of concrete structure using the same
US5911941A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thick-walled ceramic products
KR101411259B1 (en) High-efficient and uniformly-heating system for bridge foundations using microwave, and construction method of bridge foundations using the same
KR101524637B1 (en) Heat composition irradiated by microwave, uniformly-heated device by microwave comprising the same and construction method of the device
WO1998045654A9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the preparation of thick-walled ceramic products
KR101312739B1 (en) Heating device using microwave and construction method of heating unit using the same
KR101411262B1 (en) High-efficient and uniformly-heating system for construction of slab using microwave, and construction method of slab using the same
KR101348702B1 (en) Method of preventing cracks in the mass concrete using heating forms heated by microwave
WO2015102211A1 (en) Highly-efficient and uniform heating system using microwaves and method for constructing concrete structure using same
KR101478586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eventing the drain from freezing using the microwave
KR101271397B1 (en) Construction method of concrete bridge foundation using exothermic formwork generated by microwave
WO2013085116A1 (en) Heating form heated by microwaves and construction method of concrete structure
KR101285347B1 (en) Sliding device for heating form using microwave
CN105967608A (en) Moisture-proof cement hollow brick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Paunescu et al. Foam glass gravel made of recycled glass waste and silicon carbide by microwave heating
JP2008127796A (en) Snow-melting block
Paunescu et al. Thermal insulating material with high mechanical strength made from clay brick waste and coal ash using the microwave energy
CN114234648A (en) Construction method of cooler refractory material
KR101289016B1 (en) Heating form using microwave for constructing bridge foundations
JP4155855B2 (en) Concrete slab
KR102404798B1 (en) Concrete curing device and method for emergency repair of road pavement using high frequency induction heating
KR101274658B1 (en) Method of preparing precast concrete using heating device heated by microwav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123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40430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31231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61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6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06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8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60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4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50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1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31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9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30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31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312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