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1175B1 - Vacuum cleaner dust collector and dust separator including the same - Google Patents
Vacuum cleaner dust collector and dust separator including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11175B1 KR101411175B1 KR1020070117692A KR20070117692A KR101411175B1 KR 101411175 B1 KR101411175 B1 KR 101411175B1 KR 1020070117692 A KR1020070117692 A KR 1020070117692A KR 20070117692 A KR20070117692 A KR 20070117692A KR 101411175 B1 KR101411175 B1 KR 10141117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ust
- air
- separating
- foreign matter
- flow guid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ter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진공 청소기의 집진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집진 장치의 구조를 개선하여 집진 장치로 유입되는 공기 중 이물이 제거되도록 하는 진공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ust collecting apparatus for a vacuum clea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vacuum cleaner for improving the structure of a dust collecting apparatus to remove foreign matter from air introduced into a dust collecting apparatu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집진 장치에는,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공이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제공되며, 먼지가 저장되는 먼지 저장부;와, 상기 본체 및 먼지 저장부가 선택적으로 차폐되도록 하는 커버;와, 상기 커버에 형성되며, 상기 유입공으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배출되는 복수의 배출부; 및 상기 본체에 제공되며, 상기 유입된 공기가 상기 복수의 배출부로 분지되도록 하는 유동 가이드부가 포함된다.A dust collecting apparatus for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having an inflow hole into which air is introduced, a dust storing portion provided in the main body for storing dust, A plurality of discharge portions formed in the cover, through which air introduced from the inflow holes is discharged; And a flow guide portion provided in the main body, the flow guide portion allowing the introduced air to branch to the plurality of discharge portion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집진 장치에 의하면, 청소기 본체로부터 집진 장치로 유입되는 공기 중 부피가 큰 이물이 1차적으로 필터링 되므로, 먼지 분리부에서의 먼지 분리 성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dust collecting apparatus of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eign matter having a large volume in the air flowing into the dust collecting apparatus from the cleaner main body is primarily filtered, thereby improving the dust separating performance in the dust separating unit .
집진 장치, 집진 본체, 집진 커버 Dust collecting device, dust collecting body, dust collecting cover
Description
본 발명의 실시예는 진공 청소기의 집진 장치에 관한 것이다.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ust collecting apparatus for a vacuum cleaner.
일반적으로 청소기는 본체 내부에 장착되는 흡입 모터에 의하여 발생되는 흡입력을 이용하여, 이물이 포함된 공기를 흡입한 다음, 본체 내부에서 이물을 필터링하는 장치이다.Generally, a vacuum cleaner sucks air containing foreign matter by using a suction force generated by a suction motor mounted inside the main body, and then filters the foreign matter inside the main body.
한편, 상기 흡입 모터의 구동에 의하여 청소기 본체로 흡입되는 공기는 공기 중 이물이 분리되도록 하는 먼지 분리부로 이동된다. 그리고, 상기 먼지 분리부 내에서 분리된 먼지와 같은 이물은 배출되어 집진 장치로 유입되고, 먼지가 분리된 공기는 소정의 유로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 일반적이다.Meanwhile, when the suction motor is driven, the air sucked into the cleaner main body is moved to a dust separator for separating foreign matters in the air. The dust separated in the dust separating unit is discharged to the dust collecting apparatus, and the separated dust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a predetermined flow path.
또한, 청소기 본체 내부에는 흡입된 공기가 상기 먼지 분리부로 이동되도록 하기 위한 소정의 유로 또는 분지 유로가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이물이 포함된 공기는 상기 유로를 통하여 상기 먼지 분리부 내로 이동되며 공기 중 먼지가 필터링 되는 과정을 거친다.In addition, a predetermined flow path or branch flow path for moving the sucked air to the dust separating section may be provided inside the cleaner main body. Then, the air containing the foreign matter is moved into the dust separating portion through the flow path, and dust in the air is filtered.
그러나, 종래에는 흡입되는 공기 중에 이물, 특히 부피가 큰 이물이 포함된 경우, 상기 이물이 유로 또는 분지 유로에서 걸리는 현상이 발생되고, 그에 따라 공기 유동이 원활해 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However, in the related art, when foreign matter, particularly bulky foreign matter, is contained in the air to be suck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foreign matter is caught by the flow path or the branch flow path, and the flow of air is not smooth.
또한, 부피가 큰 이물이 상기 먼지 분리부 내로 유입된 경우, 상기 이물이 상기 먼지 분리부 내에 제공되는 필터부를 막는 현상이 나타났고 그에 따라 먼지와 같은 부피가 작은 이물 또한 잘 분리되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In addition, when a bulky foreign object is introduced into the dust separating portion, the foreign object blocks the filter portion provided in the dust separating portion, and foreign matters having small volume such as dust are not separated well Respectively.
결국, 먼지 분리부의 먼지 분리 성능이 전체적으로 떨어지게 되는 문제가 존재하였다.As a result, there has been a problem that the dust separating performance of the dust separating portion is entirely deteriorat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집진 장치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집진 장치의 구조를 개선하여 이물이 포함된 공기가 먼지 분리부 내로 유입되기 전에 1차적으로 필터링 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 dust collecting apparatus for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improve the structure of a dust collecting apparatus so that air containing foreign matter is primarily filtered before entering the dust separating unit .
상기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집진 장치는, 먼지 분리부로 공급할 공기가 유동하는 유동 가이드부와, 상기 먼지 분리부로부터 배출된 먼지가 저장되는 먼지 저장부가 구획되어 형성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에 결합되며, 상기 먼지 저장부와 상기 유동 가이드부를 함께 커버하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유동 가이드부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복수의 배출구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ust collecting apparatus for a vacuum cleaner, including: a flow guide unit through which air to be supplied to a dust separator flows; and a dust storage unit for storing dust discharged from the dust separator, A main body; And a cover coupled to the main body and covering the dust storage portion and the flow guide portion together, the cover including a plurality of outlets for discharging the air introduced from the flow guide portion.
다른 측면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먼지 분리 장치는, 공기 중 먼지가 분리되도록 하는 먼지 분리부; 및 상기 먼지 분리부의 외측에 위치되며, 상기 먼지 분리부로 이물이 포함된 공기가 유입되도록 가이드하고, 상기 먼지 분리부로 유입된 공기에서 분리된 먼지가 저장되도록 하는 집진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집진 장치는, 상기 먼지 분리부로 이물이 포함된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유동 가이드부와, 상기 먼지 분리부에서 분리된 먼지가 저장되는 먼지 저장부를 가지는 본체와, 상기 본체와 결합되며, 상기 유동 가이드부의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복수의 배출부를 가지는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유동 가이드부는 공기가 상기 먼지 분리부로 유입되기 전 이물이 분리되도록 하는 이물 분리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ust separator for a vacuum cleaner, comprising: a dust separator for separating dust in the air; And a dust collecting device located outside the dust separating part and guiding air containing foreign matter into the dust separating part to be guided and storing the dust separated from the air introduced into the dust separating part, A main body having a dust-storing portion for storing dust separated from the dust-separating portion, and a main body coupled to the main body, for discharging air from the flow- And the flow guide portion includes a foreign matter separating portion for separating foreign matter before air is introduced into the dust separating portion.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먼지 분리 장치는, 복수의 공기 흡입부가 형성되는 먼지 분리부; 및 상기 먼지 분리부에서 분리된 먼지가 저장되도록 하는 먼지 저장부와, 유입된 공기를 상기 복수의 공기 흡입부로 배출하기 위한 복수의 배출부를 가지는 유동 가이드부를 구비하는 집진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유동 가이드부는, 상기 유동 가이드부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유입공과, 상기 유입공을 통하여 유입된 공기가 상기 복수의 배출부로 분지되도록 하는 제 1 분지부 및 제 2 분지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ust separator for a vacuum cleaner, comprising: a dust separator having a plurality of air intake portions; And a dust collecting device having a dust storing part for storing the dust separated by the dust separating part and a flow guide part having a plurality of discharging parts for discharging the introduced air to the plurality of air suction parts, Wherein the flow guide unit includes an inlet hole for allowing air to flow into the flow guide unit and a first branching unit and a second branching unit for branching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hole to the plurality of outlet units.
상기와 같은 수단에 의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청소기 본체 내부로 흡입된 공기 중 부피가 큰 이물이 집진 장치에서 1차적으로 필터링 되므로, 먼지 분리부에 유입되는 공기에는 부피가 작은 이물만이 유입될 수 있고, 그에 따라 먼지 분리부의 먼지 분리 성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means of the above-described means, since the bulky foreign matter in the air sucked into the cleaner main body is primarily filtered by the dust collecting device, only foreign matter having a small volume is introduced into the air introduced into the dust separating portion The dust separating performance of the dust separating section can be improved.
또한, 부피가 큰 이물이 먼지 분리부의 필터부를 막게 되는 현상이 없어지므로, 청소기 본체 내부로 흡입된 공기의 유동이 원활해지는 효과가 있다.Further, since the bulky foreign matter does not block the filter portion of the dust separating portion, there is an effect that the flow of air sucked into the cleaner main body is smooth.
또한, 집진 장치가 먼지 분리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분배하는 분지관의 역할을 하므로, 공기 중 포함된 이물이 분지관에 걸리게 되는 문제점이 해소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dust collecting apparatus serves as a branch tube for distributing the air flowing into the dust separating unit,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foreign matter contained in the air is trapped in the branch tube.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집진 장치가 장착된 진공 청소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집진 장치가 분리된 상태에서의 진공 청소기의 사시도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vacuum cleaner equipped with a dust coll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vacuum cleaner with a dust coll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parated.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1)에는, 청소기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0)와, 상기 진공 청소기(1)로 흡입된 공기 중 먼지등의 이물을 분리하는 먼지 분리 장치가 포함된다. 1 and 2, a
상기 먼지 분리 장치에는, 상기 본체에 상기 본체(10)에 구비되는 먼지 분리부(70)와, 상기 청소기 본체(10)에 착탈 가능하며, 상기 먼지 분리부(70)에서 분리된 이물이 저장되는 집진 장치(100)가 포함된다. The dust separator includes a
또한, 상기 본체(10)에는, 피청소면으로부터 흡입된 공기가 상기 본체(10)로 유입되는 공기 유입부(30)와, 상기 진공 청소기(1)의 이동이 원활하도록 하는 이동 바퀴(40)와, 사용자가 상기 진공 청소기(1)를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하는 본체 손잡이(20)가 포함된다.The
본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진공 청소기(1)에는, 피청소면의 이물을 흡입하는 흡입 노즐과, 상기 흡입 노즐에서 흡입된 공기를 상기 청소기 본체 측으로 안내하는 연장관과, 상기 연장관과 결합되는 핸들 및 상기 연장관을 거친 공기를 상기 청소기 본체에 연결하는 연결관이 포함된다.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상세히, 상기 본체(10)에는, 상기 집진 장치(100)가 장착되는 장착부(50)와, 상기 장착부(50)에 형성되며, 상기 본체(10)로 유입되는 공기가 상기 집진 장치(100)로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공(60)과, 상기 먼지 분리부(70)에 제공되며 상기 먼지 분리부(70)로 흡입된 공기 중 먼지가 분리되도록 하기 위하여 싸이클론 유동이 발생되는 싸이클론부(71)가 포함된다.The
또한, 상기 배출공(60)에는, 상기 집진 장치(100)가 상기 장착부(50)에 장착되는 과정에서 개폐 부재(후술함)가 개방되도록 가압하는 가압 부재(62)가 제공된다.The
또한, 상기 싸이클론부(71)는, 먼지가 포함된 공기가 상기 싸이클론부(70)에 흡입되도록 하는 복수의 공기 흡입부(72,74)와, 상기 싸이클론부(71)의 일측에 형성되며 공기 중 분리된 먼지가 상기 집진 장치(100)로 배출되도록 하는 먼지 배출부(76)가 포함된다.The
여기서, 상기 공기 흡입부(72, 74)는 상기 싸이클론부(71)의 양측에 형성되며, 상기 먼지 배출부(76)는 상기 복수 개의 공기 흡입부(72,74)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공기는 상기 싸이클론부(71)의 양측에서 유입되고 중앙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공기 중 먼지가 분리된다. 그리고, 분리된 먼지는 상기 집진 장치(100)로 배출될 수 있다.The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집진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집진 바디와 커버 부재가 분리된 상태의 집진 장치의 사시도이다.FIGS. 3 and 4 are perspective views of a dust coll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5 and 6 are perspective views of a dust collecting apparatus with a dust collecting body and a cover member separated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도 3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집진 장치(100)에는, 먼지가 저장되며 상면이 개구되는 집진 본체(110)와, 상기 집진 본체(110)의 상측에 제공되며, 상기 집진 본체(110)의 상면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집진 커버(150)와, 상기 집진 본체(110)의 일측에 제공되며, 사용자가 상기 집진 장치(100)를 용이하게 파지 가능하도록 하는 집진 손잡이(140)가 포함된다.3 and 6, the
상세히, 상기 집진 본체(110)에는, 상기 먼지 분리부(70)로 이물이 포함된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유동 가이드부(112)와, 상기 먼지 분리부(70)에서 분리된 먼지가 저장되는 먼지 저장부(111)가 포함된다. In detail, the dust collecting
여기서, 상기 먼지 저장부(111) 및 유동 가이드부(112)는 소정의 벽에 의하여 구획된다. 그리고, 상기 먼지 저장부(111)와 유동 가이드부(112)는 모두 필터링 된 먼지가 저장되는 점에서 각각 제 1 먼지 저장부 및 제 2 먼지 저장부로 볼 수도 있을 것이다.Here, the
더욱 상세히, 상기 먼지 저장부(111)의 내부에는 상기 먼지 저장부(111) 내부로 배출된 이물이 압축되도록 하는 유닛으로서 고정 부재(124)와, 회전 부재(126) 및 회전 축(127)이 포함된다.More specifically, the
그리고, 상기 고정 부재(124)의 적어도 일면은 상기 먼지 저장부(111)의 내측에 고정되며, 상기 회전 부재(126)는 고정된 상기 회전 축(127)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회전 축(127)은 상기 먼지 저장부(111)의 대략 중심부에 설치된다.At least one surface of the
그리고, 상기 고정 부재(124), 회전 부재(126) 및 회전 축(127)의 하측에는 상기 회전 부재(126)가 회전되도록 하는 기어(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10)에는 상기 기어가 구동되도록 하는 구동 모터(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A gear (not shown) may be provided under the
따라서, 상기 구동 모터의 구동에 의하여 상기 기어가 구동되면, 상기 회전 부재(126)는 상기 회전 축(127)을 중심으로 상기 고정 부재(124) 방향으로 회전되 며, 상기 먼지 저장부(111)에 저장되는 먼지는 상기 고정 부재(124)의 일측으로 이동되어 압축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gear is driven by the drive motor, the
또한, 상기 유동 가이드부(112)에는 상기 본체(10)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유동 가이드부(112)로 유입되도록 하는 공기 유입공(113)과, 상기 공기 유입공(113)을 통하여 유입된 공기가 상기 복수의 공기 흡입부(72,74)로 분지되도록 하는 제 1 분지부(115) 및 제 2 분지부(116)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공기 유입공(113)의 일측에는 상기 공기 유입공(113)이 선택적으로 차폐되도록 하는 개폐 부재(170)가 제공된다. The
더욱 상세히, 상기 복수의 분지부(115,116)는 상기 유동 가이드부(112)의 일부를 형성하며 상기 공기 유입공(113)을 통하여 유입된 공기가 상기 복수의 배출부(157,158)로 이동되도록 가이드 하는 역할을 한다.More specifically, the plurality of
그리고, 상기 개폐 부재(170)는 상기 집진 장치(100)가 상기 장착부(50)에 장착되면 개방되어 상기 공기 유입홀(113)과 상기 본체(10)의 배출공(60)이 연통되도록 한다.The opening and
그리고, 상기 집진 장치(100)가 상기 장착부(50)에 장착되는 과정에서, 상기 배출공(60)에 제공되는 가압 부재(62)는 상기 개폐 부재(170)의 하면에 접하고, 상기 개폐 부재(170)를 상방으로 가압한다. 그 결과, 상기 개폐 부재(170)는 소정 방향으로 회동되어 개방될 수 있다.When the
또한, 상기 집진 커버(150)에는, 상기 집진 본체(110)의 개구된 상면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제 1 커버(152)와, 상기 제 1 커버(152)의 하측에 제공되며, 상기 먼지 저장부(111)의 상면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제 2 커버(154)가 포함된다.The
여기서, 상기 제 1 커버(152)는 상기 제 2 커버(154)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집진 커버(150)가 상기 집진 본체(110)를 차폐하는 경우, 상기 커버(152,154)는 상기 집진 본체(110) 및 상기 먼지 저장부(111)를 동시에 차폐한다. 즉, 상기 제 2 커버(154)는 상기 먼지 저장부(111)의 상측이 커버되도록 하며, 상기 제 1 커버(152)는 상기 집진 본체(110)의 상측 전체가 커버되도록 한다.Here, the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상기 먼지 저장부(111)와 유동 가이드부(112)는 완전히 차단될 수 있다.With the above construction, the
또한, 상기 집진 커버(150)에는, 상기 유동 가이드부(112)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먼지 분리부(70)로 배출되도록 하는 제 1 배출부(157) 및 제 2 배출부(158)와, 상기 싸이클론부(71)에서 분리되어 배출된 이물이 상기 먼지 저장부(111)로 유입되도록 하는 먼지 유입부(156)와, 상기 집진 커버(150)의 회동 중심이 되는 힌지부(160)가 포함된다.The
그리고, 상기 배출부(157,158)는 상기 집진 장치(100)가 상기 청소기 본체(10)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먼지 분리부(70)의 공기 흡입부(72,74)와 연통 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배출부(157)는 상기 제 1 공기 흡입부(72)와, 상기 제 2 배출부(158)는 상기 제 2 공기 흡입부(74)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The
정리하면, 상기 공기 유입공(113)을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는 상기 배출부(157,158)로 이동되고, 상기 복수의 공기 흡입부(72,74)를 통하여 상기 싸이클론부(71) 내로 유입될 수 있다.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그리고, 상기 배출부(157,158)는 각각 상기 분지부(115,116)로부터 연장된 위치에 형성된다. 즉, 상기 배출부(157,158)는 각각 상기 분지부(115,116)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The
따라서, 상기 유동 가이드부(112)는 공기가 상기 복수의 공기 흡입부(72,74)를 통하여 흡입되도록 하기 위한 분지관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하여, 공기가 상기 복수의 공기 흡입부(72,74)로 분배되어 흡입되도록 하기 위하여 별도의 분지관이 필요하지 않게 되는 장점이 있다.Therefore, the
또한, 분지관이 필요하지 않게 됨으로써 종래에 분지관이 나누어 지는 분지부에 이물이 걸리게 되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branch tube is not requir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phenomenon that the foreign matter is caught in the branch portion, which is conventionally divided by the branch tube, can be minimized.
한편, 상기 먼지 유입부(156)는 상기 집진 장치(100)가 상기 청소기 본체(10)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먼지 분리부(70)의 먼지 배출부(76)와 연통된다. 즉, 상기 먼지 유입부(156)는 상기 먼지 배출부(76)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The
그리고, 상기 힌지부(160)에는 상기 집진 손잡이(140)가 결합되며, 상기 집진 커버(150)는 상기 힌지부(160)를 중심으로 회동될 수 있다. 결국, 상기 집진 커버(150)는 상기 집진 본체(110)가 선택적으로 차폐되도록 할 수 있다.The
또한, 상기 집진 커버(150)에는, 상기 유동 가이드부(112)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먼지 분리부(70)로 유입되기 전에 부피가 큰 이물이 분리되도록 하는 이물 분리부(159)가 제공된다. The
상세히, 상기 이물 분리부(159)는 상기 제 1 커버(152)에 결합되며, 상기 제1 배출부(157) 및 제 2 배출부(158)의 사이에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이물 분리 부(159)는 일면이 상기 제 1 커버(152)에 접착되고, 상기 일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이물 분리부(159)의 양측부는 상기 이물 분리부(159)의 중앙부보다 하측으로 돌출되는 형상을 가진다.In detail, the foreign
다만, 상기 이물 분리부(159)의 형상은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부피가 큰 이물이 상기 제 1 배출부(157) 및 제 2 배출부(158)로 이동되기 전에 분리될 수 있다면 상기 이물 분리부(159)는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However, if the foreign object can be separated before the bulky foreign object is moved to the
결국, 상기 집진 장치(100)에는, 상기 이물 분리부(159)에 의하여, 공기가 상기 먼지 분리부(70)로 흡입되기 전에 이물이 분리되도록 하는 분리 기능이 추가될 수 있다. 그리고, 부피가 큰 이물이 상기 먼지 분리부(70)에 유입되지 않음으로써 상기 먼지 분리부(70)의 먼지 분리 성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As a result, the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공기 유입공(113)을 통하여 상기 유동 가이드부(112)로 유입되는 공기는 분지되어 상기 복수의 배출부(157)로 이동된다(실선). 이 과정에서, 부피가 큰 이물은 상기 이물 분리부(159)에 의하여 분리되어 상기 배출부(157,158)로 이동되지 못하고, 상기 유동 가이드부(112)에 남게 된다(점선).Referring to FIG. 7, the air flowing into the
이하에서는, 상기 집진 장치(100)에서의 공기 유동을 간단히 살펴본다.Hereinafter, the air flow in the
먼저, 청소기 본체(10)에 구비되는 흡입 모터의 흡입력에 의하여 공기가 피청소면으로부터 상기 공기 유입부(30)를 통하여 유입되면, 공기는 상기 본체(10) 내부의 연결관(미도시)을 경유하고, 상기 공기 유입공(113)을 통하여 상기 유동 가이드부(112)로 유입된다.First, when air is sucked from the surface to be cleaned by the suction force of the suction motor provided in the cleaner
그리고, 공기는 상기 제 1 배출부(157) 및 제 2 배출부(158)로 분지되며, 각 각 상기 제 1 공기 흡입부(72) 및 제 2 공기 흡입부(74)를 통하여 상기 먼지 분리부(70)로 흡입될 수 있다.The air is branched into the
이 경우, 공기에 포함된 이물 중 부피가 큰 이물은 상기 이물 분리부(159)에 걸리게 되므로, 상기 복수의 배출부(157,158)로 이동되는 것이 제한된다. 따라서, 상기 먼지 분리부(70)에는 부피가 큰 이물이 흡입되지 않고, 먼지와 같은 부피가 작은 이물이 흡입되어 필터링 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In this case, a bulky foreign object contained in the air is caught by the foreign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집진 장치(100)에 따르면, 상기 유동 가이드부(112)는 공기가 상기 복수의 공기 흡입부(72,74) 방향으로 분지되도록 하는 분지부의 기능 및 1차 먼지 분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먼지 분리부(70)는 1차 분리된 공기를 다시 필터링 하게 되므로 먼지 분리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That is, according to the
그 후, 상기 먼지 분리부(70)로 흡입된 공기는 먼지가 분리되어 공기 배출부(미도시)를 통하여 배출되며, 분리된 먼지는 상기 먼지 유입부(156)를 통하여 상기 집진 장치(100), 즉 상기 먼지 저장부(111)로 유입될 수 있다. Thereafter, the air sucked into the
그리고, 상기 먼지 저장부(111)로 유입된 먼지는 상기 회전 부재(126)에 의하여 상기 고정 부재(124)에 인접된 방향으로 압축될 수 있다.The dust introduced into the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집진 장치의 구성에 관하여 설명한다. 다만, 본 실시예는 상기 제 1 실시예와 비교하여, 분리부의 형상에 있어서만 차이가 있으므로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며 이외의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상기 제 1 실시예의 설명과 도면 부호를 원용한다.Hereinafter, the structure of a dust coll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However, the present embodiment differs from the first embodiment only in the shape of the separating portion, so that the difference will be mainly described, and the description of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reference numerals will be used for the same portions except for the first embodiment.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집진 커버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공기의 유동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FIG.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dust collecting cov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flow of ai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집진 커버(250)에는, 보조 저장부(212)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복수의 공기 흡입부(72,74)로 분지되도록 하는 제 1 배출부(257) 및 제 2 배출부(258)와, 상기 먼지 배출부(76)로부터 배출되는 먼지가 집진 장치로 유입되도록 하는 먼지 유입부(256)와, 보조 저장부(256)로 유입된 공기 중 큰 이물이 필터링 되도록 하는 제 1 걸림 부재(259) 및 제 2 걸림 부재(260)가 포함된다.8 and 9, in the dust-collecting
상세히, 상기 복수의 걸림 부재(259,260)는 각각 상기 복수의 배출부(257,258)의 일측에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걸림 부재(259,260)는 일면이 상기 집진 커버(250)에 접착되고, 접착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도록 위치된다. 즉, 상기 걸림 부재(259,260)는 상기 보조 저장부(212)의 저장 공간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위치된다.In detail, the plurality of latching
그리고, 각각의 상기 걸림 부재(259,260)에는, 큰 이물외에 먼지와 같은 작은 이물이 상기 걸림 부재(259,260)에 필터링 되지 않도록 상측으로 만곡지는 유동 홈(259a,260a)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공기 유입공(213)을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 중 부피가 큰 이물은 상기 복수의 걸림 부재(259,260)에 의하여 필터링 되지만(점선), 먼지와 같은 부피가 작은 이물은 상기 걸림 부재(259,260)에 의하여 필터링 되지 않고 상기 배출부(257,258)로 이동될 수 있다(실선).Accordingly, the bulky foreign matter in the air flowing through the
결국, 상기 제 1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공기 중 부피가 큰 이물은 상기 먼지 분리부(70)로 흡입되지 않고, 상기 보조 저장부(212)에 남게 된다. 따라서, 큰 이물에 의하여 유로가 막히거나, 공기 유동이 원활해 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해결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상기 집진 커버(250)를 분리하여 상기 보조 저장부(212)에 저장된 이물을 버릴 수 있다.As a result, as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foreign matter having a large volume of air is not sucked into the
그리고, 상기 먼지 분리부(70)에는 1차적으로 필터링 된 공기중에서 먼지와 같은 작은 이물이 필터링 되므로 먼지 분리 성능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다만, 이물을 필터링 하기 위한 걸림 부재의 형상은 상기한 바에 한정되지 않고, 본 실시예의 사상에 부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걸림 부재는 도면에 도시되는 바와 달리 3개 이상이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However, the shape of the engaging member for filtering the foreign object is not limited to the above, and can be variously modified within the scope consistent with the spirit of the present embodiment. In addition, three or more of the latching members may be provided, as shown in the drawings.
또한, 상기 걸림 부재(259,260)는 반드시 상기 집진 커버(250)에 제공될 필요는 없으며, 상기 보조 저장부(212)에 결합될 수도 있을 것이다.In addition, the latching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집진 장치가 장착된 진공 청소기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vacuum cleaner equipped with a dust coll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집진 장치가 분리된 상태에서의 진공 청소기의 사시도.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vacuum cleaner in a state in which the dust coll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eparated; FIG.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집진 장치의 사시도. 3 and 4 are perspective views of a dust coll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집진 바디와 커버 부재가 분리된 상태의 집진 장치의 사시도.5 and 6 are perspective views of a dust collecting apparatus in a state where a dust collecting body and a cover member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도 3의 I-I'를 따라 절개하여 공기의 유동을 보여주는 단면도.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flow of air through the incision along line I-I 'of FIG. 3;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집진 커버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FIG.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dust-collecting cov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공기의 유동을 보여주는 단면도.9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flow of ai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2)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117692A KR101411175B1 (en) | 2007-11-19 | 2007-11-19 | Vacuum cleaner dust collector and dust separator including the same |
EP08723495.1A EP2131712B1 (en) | 2007-03-16 | 2008-03-14 | Vacuum cleaner and dust separating apparatus thereof |
PCT/KR2008/001458 WO2008114968A1 (en) | 2007-03-16 | 2008-03-14 | Vacuum cleaner and dust separating apparatus thereof |
RU2009135623/12A RU2418565C1 (en) | 2007-03-16 | 2008-03-14 | Device to separate dust for vacuum cleaner (versions) |
AU2008227382A AU2008227382B2 (en) | 2007-03-16 | 2008-03-14 | Vacuum cleaner and dust separating apparatus thereof |
CN2008800139407A CN101668465B (en) | 2007-03-16 | 2008-03-14 | Vacuum cleaner and dust separating apparatus thereof |
US12/537,697 US8316507B2 (en) | 2007-03-16 | 2009-08-07 | Vacuum cleaner and dust separating apparatus thereof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117692A KR101411175B1 (en) | 2007-11-19 | 2007-11-19 | Vacuum cleaner dust collector and dust separator including the sam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51346A KR20090051346A (en) | 2009-05-22 |
KR101411175B1 true KR101411175B1 (en) | 2014-06-23 |
Family
ID=408594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117692A Expired - Fee Related KR101411175B1 (en) | 2007-03-16 | 2007-11-19 | Vacuum cleaner dust collector and dust separator including the sam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11175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0299647B2 (en) | 2016-05-03 | 2019-05-28 | Lg Electronics Inc. | Vacuum cleaner |
KR101852435B1 (en) | 2016-05-03 | 2018-04-2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Vacuum cleaner |
US10299645B2 (en) | 2016-05-03 | 2019-05-28 | Lg Electronics Inc. | Vacuum cleaner |
US10299646B2 (en) | 2016-05-03 | 2019-05-28 | Lg Electronics Inc. | Vacuum cleaner |
US10271702B2 (en) | 2016-05-03 | 2019-04-30 | Lg Electronics Inc. | Vacuum cleaner |
KR101822944B1 (en) | 2016-05-03 | 2018-01-2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Vacuum cleaner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60037989A (en) * | 2004-10-29 | 2006-05-0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Dust collection assembly of vacuum cleaner |
KR100623916B1 (en) * | 2005-07-12 | 2006-09-15 |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 Dust separator |
-
2007
- 2007-11-19 KR KR1020070117692A patent/KR101411175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60037989A (en) * | 2004-10-29 | 2006-05-0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Dust collection assembly of vacuum cleaner |
KR100623916B1 (en) * | 2005-07-12 | 2006-09-15 |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 Dust separato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51346A (en) | 2009-05-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50077B1 (en) | Dust collecting unit of vacuum cleaner | |
KR20050108623A (en) | Cyclone separating apparatus and vacuum cleaner | |
KR20060125952A (en) | Dust collection unit | |
JP4809200B2 (en) | Vacuum cleaner | |
KR101411175B1 (en) | Vacuum cleaner dust collector and dust separator including the same | |
KR20070061643A (en) | Dust collector and vacuum cleaner having same | |
JP2006006453A (en) | Electric vacuum cleaner | |
KR20110010220A (en) | Dust collector and vacuum cleaner of vacuum cleaner with dust removal function | |
KR101641256B1 (en) | Dust collector for a vacuum cleaner | |
KR101010485B1 (en) | Vacuum cleaner | |
KR20140020194A (en) | Dust collecting apparatus and electric cleaner having the same | |
KR100996756B1 (en) | Vacuum cleaner | |
KR101065985B1 (en) | Dust separator of vacuum cleaner | |
KR101436630B1 (en) | Vacuum cleaner | |
KR101411705B1 (en) | Vacuum cleaner dust separator | |
KR100959972B1 (en) | Vacuum cleaner | |
JP2008043792A (en) | Vacuum cleaner | |
KR101250079B1 (en) | Dust collecting unit of vaccum cleaner | |
JP4195982B2 (en) | Vacuum cleaner | |
KR101411801B1 (en) | Vacuum cleaner dust separator | |
JP3821100B2 (en) | Vacuum cleaner | |
KR20060125956A (en) | Dust collection unit | |
KR200394918Y1 (en) | Dust collecting unit | |
KR101411044B1 (en) | Vacuum cleaner dust separator | |
KR200394919Y1 (en) | Dust collecting uni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1119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2103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71119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11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522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61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4061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512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51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514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51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514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51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51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51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50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509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503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