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410729B1 - 폐기물 재활용 비철금속 세분화 분류 시스템 - Google Patents

폐기물 재활용 비철금속 세분화 분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0729B1
KR101410729B1 KR1020130014846A KR20130014846A KR101410729B1 KR 101410729 B1 KR101410729 B1 KR 101410729B1 KR 1020130014846 A KR1020130014846 A KR 1020130014846A KR 20130014846 A KR20130014846 A KR 20130014846A KR 101410729 B1 KR101410729 B1 KR 1014107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ycled
information
waste
image data
databas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48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주신
Original Assignee
한국쓰리알환경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쓰리알환경산업(주) filed Critical 한국쓰리알환경산업(주)
Priority to KR10201300148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07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07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0729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4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 B07C5/342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according to optical properties, e.g. colour
    • B07C5/3422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according to optical properties, e.g. colour using video scanning devices, e.g. TV-camer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2501/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to be sorted
    • B07C2501/0054Sorting of waste or ref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orting Of Article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기물 재활용 비철금속 세분화 분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롤러스크린(10), 비철금속 절단기(20), 압착장치(30), 정렬장치(40), 검출장치(50), 분류피더(60), 다수의 토출장치(70)를 포함하는 이종 분리형 폐기물 재활용 비철금속 세분화 분류 시스템에 있어서, 검출장치(50)는 정렬장치(40)에 의해 정렬된 재활용 비철금속 각각에 대한 미리 설정된 구간별로 촬영을 통해 획득한 영상데이터를 인코딩하여 중앙처리부(52)로 전달하는 촬영부(51); 중앙처리부(52)의 영상데이터를 통한 재질 판단을 위한 각 재활용 비철금속에 대한 데이터베이스화된 영상 인식 정보, 그리고 이종의 재활용 폐기물 감지를 위한 이종의 재활용 폐기물에 대한 데이터베이스화된 영상 인식 정보를 제공하는 저장부(53); 및 중앙처리부(52)에 형성되며, 영상데이터와 저장부(53)에 저장된 각 재활용 비철금속에 대한 데이터베이스화된 영상 인식 정보간의 대조를 통해 재질을 판단하여 판단 정보를 생성하며, 이 전에 영상데이터와 저장부(53)에 저장된 이종의 재활용 폐기물에 대한 데이터베이스화된 영상 인식 정보간의 대조를 통해 재활용 비철금속이 아닌 이종의 재활용 폐기물이 포함된 경우 이를 감지하여, 감지 정보를 생성하는 이종 분리 및 세분화 모듈(52a); 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폐기물 재활용 비철금속 세분화 분류 시스템{System for subdividing recycle nonferrous metal waste with different kind materials seperation type}
본 발명은 폐기물 재활용 비철금속 세분화 분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재활용 비철금속으로 1차로 선별된 상태에서 이종의 재활용 폐기물에 대한 정밀한 분리를 수행하도록 하기 위한 이종 분리형 폐기물 재활용 비철금속 세분화 분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공장 등에서 발생하는 폐기물 중 음료용 캔이나 병 또는 각종 포장재 등은 재활용이 가능한 재활용 폐기물로, 이들을 동일한 군(群)으로 분리하여 재처리 작업을 통해 자원을 확보함으로써, 자원절약은 물론 폐기물에 의한 환경오염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음은 주지된 사실이다.
그리고 가정이나 공장 등에서 폐기물을 버릴때 재활용 가능한 것과 그렇지못한 것들을 분리하여 버리게 되고, 또한 재활용이 가능한 재활용 폐기물은 별도의 수거작업을 통해 수거한 후 이를 동일한 군, 즉 금속재, 종이재와 유리병 및 플라스틱재, 비철금속 등으로 분리하여 분리된 원료를 재활용 공장 등으로 보내어 자원으로써 재활용하는 방법이 널리 이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에는 이를 참조하면 각종의 재활용 폐기물을 수집하여 그 중 중, 경량물을 콘베어수단을 통해 이송하는 수집, 집하과정과 수집, 집하과정 이후 이송된 중, 경량물 중 원료별로 분리하는 재활용 폐기물 선별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아울러 집하과정은 가정이나 공장 등에서 수거된 재활용 폐기물을 수거하고 이를 수작업을 통해 대형물과, 중량물 및 경량물로 분리하여 중, 중량물 및 경량물은 콘베어이수단을 통해 선별과정으로 이송되고, 분리된 대형물은 자체 처리된다.
여기에서 대형물과, 중량물 및 경량물의 기준은 냉장고와 같이 부피가 크거나 이종의 다른 재료가 조합된 재활용 폐기물은 대형물로 분리되고, 병과 같이 부피가 작거나 단일의 재료로 구성된 재활용 폐기물을 중량물 및 경량물로 분리된다.
또한 선별과정은 집하과정 이후, 이송된 중량물 및 경량물의 재활용 폐기물을 각각의 원료별 즉, 금속류와 종이류 및 플라스틱류로 선별하는 것으로, 이 경우 전자석을 이용한 마그네틱 세퍼레이터를 이용한 금속류를 분리하고, 풍력을 이용하는 풍력선별장치와, 트롬멜스크린 및 플라스틱 선별장치 등을 통해 각각의 원료별로 분리된다.
아울러, 이러한 과정을 통해 재질별로 선별된 각각의 재활용 폐기물은 압축기 또는 파쇄기 등을 통해 일정 크기로 압착시켜 각각의 재질별 재생공장으로 이송된다.
여기에서, 금속류나 종이류 등은 육안으로 식별 가능하고, 또한 금속류의 경우 금속선별기를 통해 재질별 선별 및 육안으로 재질의 차이를 알 수 있기 때문에 용이하게 분리되므로, 비철금속에 대한 정밀한 분리가 어려운 실정이다.
또한, 종이류 그리고 플라스틱 등에 대한 분류는 주로 바람을 활용하거나 압착기를 활용하여 분리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러한 경우에도 비철금속으로 분류된 상태에 포함되는 경우가 발생하여 문제가 되고 있다.
[관련기술문헌]
1. 이종물질 분리 밀봉방법과 그를 위한 파스너를 구비한포장용 팩(Method for separating and sealing different kind materials and a pack having a fastener used thereto) (특허출원번호 제10-2008-0015349호)
2. 재활용 폐기물의 자동 선별 컨베이어 시스템(AUTO-SORTING CONVEYOR SYSTEM FOR REUSING GARBAGE) (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2000-0036177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재활용 비철금속으로 1차로 선별된 상태에서 이종의 재활용 폐기물에 대한 정밀한 분리를 수행하도록 하기 위한 종 분리형 재활용 비철금속 세분화 분류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종의 재활용 폐기물 분리 후, 재활용 비철금속을 재질별로 세분화하여 토출하도록 하기 위한 이종 분리형 폐기물 재활용 비철금속 세분화 분류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이종 분리형 폐기물 재활용 비철금속 세분화 분류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종 분리형 폐기물 재활용 비철금속 세분화 분류 시스템은, 롤러스크린(10), 비철금속 절단기(20), 압착장치(30), 정렬장치(40), 검출장치(50), 분류피더(60), 다수의 토출장치(70)를 포함하는 이종 분리형 폐기물 재활용 비철금속 세분화 분류 시스템에 있어서, 검출장치(50)는 정렬장치(40)에 의해 정렬된 재활용 비철금속 각각에 대한 미리 설정된 구간별로 촬영을 통해 획득한 영상데이터를 인코딩하여 중앙처리부(52)로 전달하는 촬영부(51); 중앙처리부(52)의 영상데이터를 통한 재질 판단을 위한 각 재활용 비철금속에 대한 데이터베이스화된 영상 인식 정보, 그리고 이종의 재활용 폐기물 감지를 위한 이종의 재활용 폐기물에 대한 데이터베이스화된 영상 인식 정보를 제공하는 저장부(53); 및 중앙처리부(52)에 형성되며, 영상데이터와 저장부(53)에 저장된 각 재활용 비철금속에 대한 데이터베이스화된 영상 인식 정보간의 대조를 통해 재질을 판단하여 판단 정보를 생성하며, 이 전에 영상데이터와 저장부(53)에 저장된 이종의 재활용 폐기물에 대한 데이터베이스화된 영상 인식 정보간의 대조를 통해 재활용 비철금속이 아닌 이종의 재활용 폐기물이 포함된 경우 이를 감지하여, 감지 정보를 생성하는 이종 분리 및 세분화 모듈(52a); 을 포함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종 분리형 폐기물 재활용 비철금속 세분화 분류 시스템은, 재활용품 선별과정을 통해 선별된 재활용 비철금속을 이송받아 크기 선별을 통해 크기 별로 분류하여 복수개로 구성되는 비철금속 절단기(20)로 전달하는 롤러스크린(10); 복수개로 형성되어 각각이 크기별로 선출된 재활용 비철금속에 대한 절단하는 작업을 수행한 뒤, 동일한 수로 형성된 압착장치로 전달하는 비철금속 절단기(20); 절단된 재활용 비철금속을 압착하여 전달하는 압착장치(30); 압착된 재활용 비철금속 각각을 이송벨트의 높이차를 이용해 분리하거나 연신시켜 분리한 뒤, 일렬로 정렬하여 상호 엉키게 됨을 방지하여 수평으로 정렬된 상태의 재활용 비철금속 각각을 전달하는 정렬장치(40); 및 이종의 재활용 폐기물 및 각각의 재활용 비철금속을 감지하여 분류피더(60)로 전달하는 검출장치(50); 를 포함하며, 검출장치(50)는, 정렬장치(40)에 의해 정렬된 재활용 비철금속 각각에 대한 미리 설정된 구간별로 촬영을 통해 획득한 영상데이터를 인코딩하여 중앙처리부(52)로 전달하는 촬영부(51); 중앙처리부(52)의 영상데이터를 통한 재질 판단을 위한 각 재활용 비철금속에 대한 데이터베이스화된 영상 인식 정보, 그리고 이종의 재활용 폐기물 감지를 위한 이종의 재활용 폐기물에 대한 데이터베이스화된 영상 인식 정보를 제공하는 저장부(53); 및 중앙처리부(52)에 형성되며, 영상데이터와 저장부(53)에 저장된 각 재활용 비철금속에 대한 데이터베이스화된 영상 인식 정보간의 대조를 통해 재질을 판단하여 판단 정보를 생성하며, 이 전에 영상데이터와 저장부(53)에 저장된 이종의 재활용 폐기물에 대한 데이터베이스화된 영상 인식 정보간의 대조를 통해 재활용 비철금속이 아닌 이종의 재활용 폐기물이 포함된 경우 이를 감지하여, 감지 정보를 생성하는 이종 분리 및 세분화 모듈(52a); 을 포함한다.
이때, 이종 분리 및 세분화 모듈(52a)은, 감지 정보가 생성된 이종의 재활용 폐기물에 대해서는 재질 판단 수단(130)에 의한 재질 판단 없이 감지 정보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종 분리 및 세분화 모듈(52a)은, 정렬장치(40)에 의해 정렬된 재활용 비철금속 각각, 그리고 이종의 재활용 폐기물에 대한 미리 설정된 구간별로 촬영부(51)에 의한 촬영에 대한 순서정보, 그리고 순서정보에 매칭되는 판단 정보, 그 밖의 감지 정보를 분류피더(60)로 전송하며, 각 순서 정보에 매칭되는 재활용 비철금속, 그리고 이종의 재활용 폐기물도 함께 컨베이어를 통해 전달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종 분리형 폐기물 재활용 비철금속 세분화 분류 시스템은, 재활용 비철금속으로 1차로 선별된 상태에서 이종의 재활용 폐기물에 대한 정밀한 분리를 수행가능한 효과를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종 분리형 폐기물 재활용 비철금속 세분화 분류 시스템은, 이종의 재활용 폐기물 분리 후, 재활용 비철금속을 재질별로 세분화하여 토출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종 분리형 폐기물 재활용 비철금속 세분화 분류 시스템을 포함한 전체 재활용 분류 과정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종 분리형 폐기물 재활용 비철금속 세분화 분류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이종 분리형 폐기물 재활용 비철금속 세분화 분류 시스템(1)에 포함된 검출장치(50)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검출장치(50)에 구비된 이종 분리 및 세분화 모듈(52a)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이종 추출 수단(120)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상기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데이터 또는 신호를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종 분리형 폐기물 재활용 비철금속 세분화 분류 시스템을 포함한 전체 재활용 분류 과정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종 분리형 폐기물 재활용 비철금속 세분화 분류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이종 분리형 폐기물 재활용 비철금속 세분화 분류 시스템은 롤러스크린(10), 비철금속 절단기(20), 압착장치(30), 정렬장치(40), 검출장치(50), 분류피더(60), 다수의 토출장치(70)를 포함한다.
롤러스크린(10)은 재활용품 선별과정을 통해 선별된 재활용 건축 폐기물을 이송받아 크기 선별을 통해 크기 별(예, 중량물 및 경량물)로 분류하여 복수개로 구성되는 비철금속 절단기(20)로 전달한다.
비철금속 절단기(20)는 복수개로 형성되어 각각이 크기별로 선출된 재활용 비철금속에 대한 절단하는 작업을 수행한 뒤, 비철금속 절단기(20)와 동일한 수로 형성된 압착장치(30)로 전달한다.
압착장치(30)는 절단된 재활용 비철금속을 압착하여 정렬장치(40)로 전달한다.
정렬장치(40)는 압착된 재활용 비철금속 각각을 이송벨트의 높이차를 이용해 분리하거나 연신시켜 분리한 뒤, 전달하여 일렬로 정렬하여 상호 엉키게 됨을 방지하며, 이와 같이 수평으로 정렬된 상태의 재활용 비철금속 각각을 검출장치(50)로 전달한다.
검출장치(50)는 정렬된 각각의 재활용 비철금속에 대한 재질을 판단하여 판단 정보를 생성하며, 이 전에 재활용 비철금속이 아닌 이종의 재활용 폐기물이 포함된 경우 이를 감지하여, 감지 정보를 생성한다.
이후, 검출장치(50)는 감지 정보와 이종의 재활용 폐기물을 분류피더(60)로 전달하거나, 정렬된 각각의 재활용 비철금속을 분류피더(60)로 전달할 경우 판단 정보를 분류피더(60)로 함께 전송한다.
분류피더(60)는 다수의 토출장치(70)를 이루는 각 토출장치로 판단 정보를 이용해 재질과 매칭되도록 재활용 비철금속 각각이 전달되도록 한다.
한편, 분류피더(60)는 감지 정보를 검출장치(50)로부터 수신한 경우, 해당 감지 정보와 함께 전달받은 이종의 재활용 폐기물을 다수의 토출장치 중 분류 토출 장치로 전송하여, 별도로 분리되어 토출되도록 제어한다.
도 3은 도 2의 이종 분리형 폐기물 재활용 비철금속 세분화 분류 시스템(1)에 포함된 검출장치(50)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검출장치(50)는 촬영부(51), 중앙처리부(52) 및 저장부(53)를 포함한다. 그리고, 중앙처리부(52)는 이종 분리 및 세분화 모듈(52a)을 구비한다.
촬영부(51)는 정렬장치(40)에 의해 정렬된 재활용 비철금속 각각에 대한 미리 설정된 구간별로 촬영을 통해 획득한 영상데이터를 인코딩하여 중앙처리부(52)로 전달한다.
중앙처리부(52)는 영상데이터를 통해 재질을 판단하여 판단 정보를 생성하며, 이 전에 재활용 비철금속이 아닌 이종의 재활용 폐기물이 포함된 경우 이를 감지하여, 감지 정보를 생성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중앙처리부(52)에 형성된 이종 분리 및 세분화 모듈(52a)은 영상데이터와 저장부(53)에 저장된 각 재활용 비철금속에 대한 데이터베이스화된 영상 인식 정보간의 대조를 통해 재질을 판단하여 판단 정보를 생성하며, 이 전에 영상데이터와 저장부(53)에 저장된 이종의 재활용 폐기물에 대한 데이터베이스화된 영상 인식 정보간의 대조를 통해 재활용 비철금속이 아닌 이종의 재활용 폐기물이 포함된 경우 이를 감지하여, 감지 정보를 생성한다.
이를 위해 저장부(53)는 중앙처리부(52)의 영상데이터를 통한 재질 판단을 위한 각 재활용 비철금속에 대한 데이터베이스화된 영상 인식 정보, 그리고 이종의 재활용 폐기물 감지를 위한 이종의 재활용 폐기물에 대한 데이터베이스화된 영상 인식 정보를 제공해야 한다.
삭제
도 4는 도 3의 검출장치(50)에 구비된 이종 분리 및 세분화 모듈(52a)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이종 분리 및 세분화 모듈(52a)은 디지털 변환 수단(110), 이종 추출 수단(120), 재질 판단 수단(130) 및 정보전달수단(140)을 구비한다.
디지털 변환 수단(110)은 촬영부(51)로부터 영상데이터를 수신하여 디코딩하여 다수의 디코딩된 이미지를 생성한 뒤, 이종 추출 수단(120)으로 전송한다.
이종 추출 수단(120)은 다수의 디코딩된 이미지를 기초로 재활용 비철금속이 아닌 이종의 재활용 폐기물이 포함된 경우 이를 감지하여, 감지 정보를 생성한다. 이종 추출 수단(120)은 감지 정보가 생성된 이종의 재활용 폐기물에 대해서는 재질 판단 수단(130)에 의한 재질 판단 없이 감지 정보를 정보전달수단(140)으로 전송한다.
이를 위해 이종 추출 수단(120)은 영상데이터를 통한 이종의 재활용 폐기물 감지를 위한 이종의 재활용 폐기물에 대한 데이터베이스화된 영상 인식 정보를 저장부(53)로부터 독출(reading) 해야 한다.
재질 판단 수단(130)은 이종 추출 수단(120)에 의한 판단에 따라 이종의 재활용 폐기물이 아닌 재활용 비철금속이라는 판단시 이종 추출 수단(120)으로부터 수신된 다수의 디코딩된 이미지를 이용해 재활용 비철금속 중 각각의 재질별 판단 정보를 생성하여 분류피더(60)로 전달하기 위해 정보전달수단(170)으로 출력한다.
이를 위해 재질 판단 수단(130)은 영상데이터를 통한 재질 판단을 위한 각 재활용 비철금속에 대한 데이터베이스화된 영상 인식 정보를 저장부(53)로부터 독출(reading) 해야 한다.
정보전달수단(140)은 정렬장치(40)에 의해 정렬된 재활용 비철금속 각각, 그리고 이종의 재활용 폐기물에 대한 미리 설정된 구간별로 촬영부(51)에 의한 촬영에 대한 순서정보, 그리고 순서정보에 매칭되는 판단 정보, 그 밖의 감지 정보를 분류피더(60)로 전송하며, 각 순서 정보에 매칭되는 재활용 비철금속, 그리고 이종의 재활용 폐기물도 함께 컨베이어를 통해 전달하도록 제어한다.
도 5는 도 4의 이종 추출 수단(120)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참조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이종 추출 수단(120)은 복원단(121), 상관도 산출단(122) 및 위치검출단(123)을 구비한다.
복원단(121)은 디지털 변환 수단(110)으로부터 다수의 디코딩된 이미지를 수신하여 저장부(53)에 저장한 뒤, 인식할 이종의 재활용 폐기물에 대한 참조 영상을 별도로 미리 저장한다. 이때, 참조 영상은 이종의 재활용 폐기물을 구별하기 위해 물체 인식을 위한 영상이다.
복원단(121)는 저장부(53)에 저장된 다수의 디코딩된 이미지 및 참조 영상에 상응하는 깊이별 평면 복원 영상(Plane Object Image)를 생성한다. 즉, 복원단(121)은 저장부(53)에 저장된 다수의 디코딩된 이미지 및 참조 영상을 복원하여 깊이 방향의 각 거리에 상응하는 평면 복원 영상을 생성한다. 그 밖의 상관도 산출단(122) 및 위치검출단(123)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 롤러스크린
20: 비철금속 절단기
30: 압착장치
40: 정렬장치
50: 검출장치
51: 촬영부
52: 중앙처리부
52a: 이종 분리 및 세분화 모듈
53: 저장부
60: 분류피더
70: 다수의 토출장치
110: 디지털 변환 수단
120: 이종 추출 수단
121: 복원단
122: 상관도 산출단
123: 위치검출단
130: 재질 판단 수단
140: 정보전달수단

Claims (10)

  1. 롤러스크린(10), 비철금속 절단기(20), 압착장치(30), 정렬장치(40), 검출장치(50), 분류피더(60), 다수의 토출장치(70)를 포함하는 이종 분리형 폐기물 재활용 비철금속 세분화 분류 시스템에 있어서, 검출장치(50)는
    정렬장치(40)에 의해 정렬된 재활용 비철금속 각각에 대한 미리 설정된 구간별로 촬영을 통해 획득한 영상데이터를 인코딩하여 중앙처리부(52)로 전달하는 촬영부(51);
    중앙처리부(52)의 영상데이터를 통한 재질 판단을 위한 각 재활용 비철금속에 대한 데이터베이스화된 영상 인식 정보, 그리고 이종의 재활용 폐기물 감지를 위한 이종의 재활용 폐기물에 대한 데이터베이스화된 영상 인식 정보를 제공하는 저장부(53); 및
    중앙처리부(52)에 형성되며, 영상데이터와 저장부(53)에 저장된 각 재활용 비철금속에 대한 데이터베이스화된 영상 인식 정보간의 대조를 통해 재질을 판단하여 판단 정보를 생성하며, 이 전에 영상데이터와 저장부(53)에 저장된 이종의 재활용 폐기물에 대한 데이터베이스화된 영상 인식 정보간의 대조를 통해 재활용 비철금속이 아닌 이종의 재활용 폐기물이 포함된 경우 이를 감지하여, 감지 정보를 생성하는 이종 분리 및 세분화 모듈(52a);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분리형 폐기물 재활용 비철금속 세분화 분류 시스템.
  2. 재활용품 선별과정을 통해 선별된 재활용 비철금속을 이송받아 크기 선별을 통해 크기 별로 분류하여 복수개로 구성되는 비철금속 절단기(20)로 전달하는 롤러스크린(10);
    복수개로 형성되어 각각이 크기별로 선출된 재활용 비철금속에 대한 절단하는 작업을 수행한 뒤, 동일한 수로 형성된 압착장치로 전달하는 비철금속 절단기(20);
    절단된 재활용 비철금속을 압착하여 전달하는 압착장치(30);
    압착된 재활용 비철금속 각각을 이송벨트의 높이차를 이용해 분리하거나 연신시켜 분리한 뒤, 일렬로 정렬하여 상호 엉키게 됨을 방지하여 수평으로 정렬된 상태의 재활용 비철금속 각각을 전달하는 정렬장치(40); 및
    이종의 재활용 폐기물 및 각각의 재활용 비철금속을 감지하여 분류피더(60)로 전달하는 검출장치(50); 를 포함하며,
    검출장치(50)는,
    정렬장치(40)에 의해 정렬된 재활용 비철금속 각각에 대한 미리 설정된 구간별로 촬영을 통해 획득한 영상데이터를 인코딩하여 중앙처리부(52)로 전달하는 촬영부(51);
    중앙처리부(52)의 영상데이터를 통한 재질 판단을 위한 각 재활용 비철금속에 대한 데이터베이스화된 영상 인식 정보, 그리고 이종의 재활용 폐기물 감지를 위한 이종의 재활용 폐기물에 대한 데이터베이스화된 영상 인식 정보를 제공하는 저장부(53); 및
    중앙처리부(52)에 형성되며, 영상데이터와 저장부(53)에 저장된 각 재활용 비철금속에 대한 데이터베이스화된 영상 인식 정보간의 대조를 통해 재질을 판단하여 판단 정보를 생성하며, 이 전에 영상데이터와 저장부(53)에 저장된 이종의 재활용 폐기물에 대한 데이터베이스화된 영상 인식 정보간의 대조를 통해 재활용 비철금속이 아닌 이종의 재활용 폐기물이 포함된 경우 이를 감지하여, 감지 정보를 생성하는 이종 분리 및 세분화 모듈(52a);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분리형 폐기물 재활용 비철금속 세분화 분류 시스템.
  3. 삭제
  4. 청구항 2에 있어서, 이종 분리 및 세분화 모듈(52a)은,
    감지 정보가 생성된 이종의 재활용 폐기물에 대해서는 재질 판단 수단(130)에 의한 재질 판단 없이 감지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분리형 폐기물 재활용 비철금속 세분화 분류 시스템.
  5. 삭제
  6. 청구항 4에 있어서, 이종 분리 및 세분화 모듈(52a)은,
    정렬장치(40)에 의해 정렬된 재활용 비철금속 각각, 그리고 이종의 재활용 폐기물에 대한 미리 설정된 구간별로 촬영부(51)에 의한 촬영에 대한 순서정보, 그리고 순서정보에 매칭되는 판단 정보, 그 밖의 감지 정보를 분류피더(60)로 전송하며, 각 순서 정보에 매칭되는 재활용 비철금속, 그리고 이종의 재활용 폐기물도 함께 컨베이어를 통해 전달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분리형 폐기물 재활용 비철금속 세분화 분류 시스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30014846A 2013-02-12 2013-02-12 폐기물 재활용 비철금속 세분화 분류 시스템 Active KR1014107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4846A KR101410729B1 (ko) 2013-02-12 2013-02-12 폐기물 재활용 비철금속 세분화 분류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4846A KR101410729B1 (ko) 2013-02-12 2013-02-12 폐기물 재활용 비철금속 세분화 분류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10729B1 true KR101410729B1 (ko) 2014-06-24

Family

ID=511337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4846A Active KR101410729B1 (ko) 2013-02-12 2013-02-12 폐기물 재활용 비철금속 세분화 분류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0729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76873A (zh) * 2016-06-07 2016-11-09 东莞市成铭胶粘剂有限公司 基于包装成型的自动检测及分料系统
KR20190071387A (ko) 2017-12-14 2019-06-24 안성준 재활용 쓰레기 자동 분류 장치 및 방법
KR20200138465A (ko) * 2019-05-29 2020-12-10 주식회사 디파인 폐기물 분석 지능형 cctv 시스템
CN113441421A (zh) * 2021-07-22 2021-09-28 北京信息科技大学 一种自动垃圾分类系统和方法
CN114034646A (zh) * 2021-10-25 2022-02-11 太初环塑科技(浙江)有限公司 一种回收塑料瓶识别系统
CN114585453A (zh) * 2019-09-23 2022-06-03 保利斯科有限公司 分类方法
CN117670314A (zh) * 2023-11-09 2024-03-08 江苏昶屹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铝制品识别回收分配处理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2989Y1 (ko) * 2000-09-07 2001-02-15 방성기 재활용품 선별장치
KR100378385B1 (ko) * 1999-06-30 2003-03-29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치 세이사꾸쇼 폐기물처리방법 및 장치
KR100467238B1 (ko) * 2002-04-30 2005-01-24 한국지질자원연구원 폐플라스틱류에 포함된 이물질 분리 방법
KR20100067278A (ko) * 2008-12-11 2010-06-21 (주)아이이에스 재활용품 자동선별수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8385B1 (ko) * 1999-06-30 2003-03-29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치 세이사꾸쇼 폐기물처리방법 및 장치
KR200212989Y1 (ko) * 2000-09-07 2001-02-15 방성기 재활용품 선별장치
KR100467238B1 (ko) * 2002-04-30 2005-01-24 한국지질자원연구원 폐플라스틱류에 포함된 이물질 분리 방법
KR20100067278A (ko) * 2008-12-11 2010-06-21 (주)아이이에스 재활용품 자동선별수단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76873A (zh) * 2016-06-07 2016-11-09 东莞市成铭胶粘剂有限公司 基于包装成型的自动检测及分料系统
KR20190071387A (ko) 2017-12-14 2019-06-24 안성준 재활용 쓰레기 자동 분류 장치 및 방법
KR20200138465A (ko) * 2019-05-29 2020-12-10 주식회사 디파인 폐기물 분석 지능형 cctv 시스템
KR102219025B1 (ko) 2019-05-29 2021-02-24 주식회사 디파인 폐기물 분석 지능형 cctv 시스템
CN114585453A (zh) * 2019-09-23 2022-06-03 保利斯科有限公司 分类方法
CN113441421A (zh) * 2021-07-22 2021-09-28 北京信息科技大学 一种自动垃圾分类系统和方法
CN113441421B (zh) * 2021-07-22 2022-12-13 北京信息科技大学 一种自动垃圾分类系统和方法
CN114034646A (zh) * 2021-10-25 2022-02-11 太初环塑科技(浙江)有限公司 一种回收塑料瓶识别系统
CN117670314A (zh) * 2023-11-09 2024-03-08 江苏昶屹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铝制品识别回收分配处理系统
CN117670314B (zh) * 2023-11-09 2024-08-13 江苏昶屹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铝制品识别回收分配处理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0729B1 (ko) 폐기물 재활용 비철금속 세분화 분류 시스템
KR102222176B1 (ko) 인공지능 기반의 재활용 분류 시스템
US20220080466A1 (en) Autonomous data collection and system control for material recovery facilities
US859070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orting recyclables at a material recovery facility
US734115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orting, collecting data pertaining to and certifying recyclables at a material recovery facility
US5465847A (en) Refuse material recovery system
CN106975616A (zh) 一种智能城市生活垃圾分拣设备
US12241202B2 (en) Process of transforming waste material into useful material
CN116252411A (zh) 一种混合塑料精细化自动化分选系统方法
CN212760289U (zh) 一种对垃圾分类后可回收物进行自动化分选的系统
WO2016138530A1 (en) Coin recognition and removal from a material stream
KR101410728B1 (ko) 폐기물 재활용 플라스틱 세분화 분류 시스템
KR20090041921A (ko) 재활용 플라스틱 선별시스템
CN108213041A (zh) 废旧自行车自动破碎、分选回收处理设备及工艺
KR20250028822A (ko) 비철금속이 포함된 재활용품 자동 분류 및 압축 시스템
KR102279666B1 (ko) 플라스틱 재활용 폐기물 수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플라스틱 폐기물 재활용 처리 방법
CN116020771A (zh) 一种基于多源信息融合的可回收垃圾精细分选系统
KR102514905B1 (ko) 폐기식품 포장물 분리 선별장치
JPH0899317A (ja) プラスチックボトル回収装置
KR102816892B1 (ko) 폐기물 선별 로봇을 포함하는 폐기물 광학 분류 시스템
JP3136817U (ja) 飲料容器用小型圧縮破砕分別処理装置
WO2019116056A1 (en) Method for recycling materials and system for its application
CN115861008A (zh) 一种针对建筑垃圾工艺处理流程的智能监测与预警方法
MX2007000495A (en) Systems and methods for sorting recyclables at a material recovery facil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21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12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51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61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061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3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41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0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42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2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70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70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41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520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