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하, 본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하기 실시예에서, 모든 시약은 시그마알드리치, 플루카(Fluka), TCI 사의 제조된 시약을 구매 사용하였고, 1H NMR Spectra는 테트라메틸실란(tetramethyl silane)을 내부 표준물질로 사용하여 Bruker Biospin AVANCE II 400 기기를 활용 기록하였다.
[실시예 1]
제조예 1. N-(아다만탄-2-일)-2-메틸-2-(페닐설폰아미도)프로판아미이드 (화합물 1)의 합성.
100-mL 플라스크에 2-아미노-2-메틸프로판산 (3.0 g, 29.1 mmol)와 메탄올(45ml)를 투입한다. 아이스 배스를 설치하고 싸이오닐클로라이드(4.25 ml, 58.2 mmol)을 천천히 투입하고 투입완료 후, 아이스 배스를 제거하고 실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시킨다. 감압증류로 용매를 제거 한 후, 에틸에테르 (30ml)를 투입하고 실온에서 30분 동안 교반 후, 여과한다. 여과한 고체를 60℃ 오븐에서 건조하여 메틸-2-아미노-2-메틸프로판노에이트 염산염 (4.2 g, 94 %)을 얻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8.75 (s, 3H), 3.75 (s, 3H), 4.05 (m, 1H), 1.45 (s, 6H).
50-mL 플라스크에 메틸-2-아미노-2-메틸프로판노에이트 염산염 (400 mg, 2.61 mmol) 과 메틸렌클로라이드 (10 mL)를 투입하고 트리에틸아민 (1.46 ml, 10.47 mmol)를 투입한 후, 실온에서 30분간 교반시킨다. 벤젠설포닐클로라이드 (554 mg, 3.14 mmol)을 투입하고 밤새 교반시킨 뒤, H2O (10 ml)를 투입하여 반응을 종료 시킨다. 유기층을 분리한 뒤, 유기층을 포화 암모늄클로라이드 용액(15 ml)을 사용하여 씻어주고 유기층을 분리한 뒤, MgSO4로 건조, 여과 후 감압증류하여 용매를 제거하였다. 혼합물을 컬럼크로마토그래피 로 분리하여 메틸-2-아미노-2-(페닐설포닐아미도)프로판노애이트 (507 mg, 75 %)을 얻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7.89-7.92 (t, 2H), 7.52-7.57 (m, 3H), 5.35 (s, -NH-SO2), 3.67-3.68 (d, 3H), 1.47-1.48 (d, 6H).
50-mL 플라스크에 메틸-2-아미노-2-(페닐설포닐아미도)프로판노애이트 (500 mg, 1.94 mmol)를 투입하고 THF (6 ml), 메탄올 (6 ml)을 투입하여 녹인다. H2O(6 ml)에 녹인 LiOH·H2O를 투입하고 12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시킨다. 12시간 교반 후, 반응용액을 감압 농축 시킨 뒤, 2N-HCl로 pH 1~2 사이로 맞추고 EA (20 ml)를 투입하여 추출한다. 유기층을 MgSO4로 건조, 여과하고 감압증류로 용매를 제거하여 메틸-2-아미노-2-(페닐설포닐아미도)프로판산 화합물 (402 mg, 85 %)을 얻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7.91-7.94 (m, 2H), 7.50-7.61 (m, 3H), 5.52 (s, -NH-SO2), 1.51 (s, 6H).
10-mL 플라스크에 메틸-2-아미노-2-(페닐설포닐아미도)프로판산(200 mg, 0.822 mmol), 2-아다만탄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 (185 mg, 0.986 mmol), BOP (364 mg, 0.823 mmol)을 투입하고 CH2Cl2 (3 ml)를 투입한 뒤, 30분 동안 실온에서 교반 후, DIPEA (0.35 ml, 2.01 mmol)을 넣고서 상온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종료 후 CH2Cl2와 H2O를 사용하여 유기층을 분리하고서 유기층은 MgSO4로 건조, 여과 후 혼합물은 컬럼크로마토그래피(EA/n-Hex = 1:4)를 이용하여 4-(2-메틸-2-(페닐설폰아미도)프로판아미도)아다만탄 (284 mg, 92 %)을 얻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7.90-7.93 (m, 2), 7.51-7.62 (m, 3H), 6.82-6.83 (d, -NH-CO-), 5.39 (s, -NH-SO2-), 3.97-3.99 (m, 1H), 1.66-1.92 (m, 14H), 1.44 (s, 6H)
제조예 2. N-(아다만탄-2-일)-2-메틸-2-(4-플루오로페닐설폰아미도)프로판아미이드 (화합물 2)의 합성.
상기 실시예 1 제조예 1과 동일조건으로 실시하되 2-(4-플루오로페닐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산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을 수 있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7.90-7.95 (m, 2H), 7.18-7.23 (m, 2H), 6.65 (d, J = 6.8 Hz, -NH-CO-), 5.40 (s, -NH-SO2), 3.97 (d, J = 8.0 Hz, 1H), 1.67-1.90 (m, 14H), 1.46 (s, 6H).
제조예 3. N-(아다만탄-2-일)-2-메틸-2-(4-나이트로페닐설폰아미도)프로판아미이드 (화합물 3)의 합성.
상기 실시예 1 제조예 1과 동일조건으로 실시하되 2-(4-나이트로페닐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산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을 수 있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8.37 (dt, J = 2.4, 8.8 Hz, 2H), 8.10 (dt, J = 2.4, 9.2 Hz, 2H), 6.36 (d, J = 7.6 Hz, -NH-CO-), 5.85 (s, -NH-SO2), 3.96 (d, J = 7.6 Hz, 1H), 1.67-1.89 (m, 14H), 1.50 (s, 6H).
제조예 4. N-(아다만탄-2-일)-2-메틸-2-(4-(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설폰아미도)프로판아미이드 (화합물 4)의 합성.
상기 실시예 1 제조예 1과 동일조건으로 실시하되 2-(4-(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산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을 수 있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7.96 (dt, J = 2.8, 8.8 Hz, 2H), 7.35 (d, J = 8.0 Hz, 2H), 6.58 (d, J = 7.6 Hz, -NH-CO-), 5.55 (s, -NH-SO2), 3.97 (d, J = 7.6 Hz, 1H), 1.66-1.90 (m, 14H), 1.46 (s, 6H).
제조예 5. N-(아다만탄-2-일)-2-메틸-2-(4-클로로페닐설폰아미도)프로판아미이드 (화합물 5)의 합성.
상기 실시예 1 제조예 1과 동일조건으로 실시하되 2-(4-클로로페닐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산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을 수 있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7.84 (d, J = 8.8 Hz, 2H), 7.50 (d, J = 8.4 Hz, 2H), 6.6 (d, J = 6.8 Hz, -NH-CO-), 5.48 (s, -NH-SO2), 3.95 (d, J = 7.6 Hz, 1H), 1.64-1.89 (m, 14H), 1.46 (s, 6H).
제조예 6. N-(아다만탄-2-일)-2-메틸-2-(2-클로로페닐설폰아미도)프로판아미이드 (화합물 6)의 합성.
상기 실시예 1 제조예 1과 동일조건으로 실시하되 2-(2-클로로페닐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산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을 수 있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8.13-8.11 (m, 1H), 7.57-7.52 (m, 2H), 7.46-7.45 (m, 1H), 7.01(s, -NH-CO-), 5.74 (s, -NH-SO2), 4.02 (s, 1H), 1.64-1.96 (m, 14H), 1.40 (s, 6H).
제조예 7. N-(아다만탄-2-일)-2-메틸-2-(3-클로로-2메틸페닐설폰아미도)프로판아미이드 (화합물 7)의 합성.
상기 실시예 1 제조예 1과 동일조건으로 실시하되 2-(3-클로로-2메틸페닐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산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을 수 있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7.98 (d, J = 7.2 Hz, 1H), 7.60 (d, J = 8.0 Hz, 1H), 7.26-7.3 (m, 2H), 6.63 (d, 6.4 Hz, -NH-CO-), 5.57 (s, -NH-SO2), 3.99 (d, J = 8.4 Hz, 1H), 2.76 (s, 3H), 1.63-1.93 (m, 14H), 1.43 (s, 6H).
제조예 8. N-(아다만탄-2-일)-2-메틸-2-(2,3-디클로로페닐설폰아미도)프로판아미이드 (화합물 8)의 합성.
상기 실시예 1 제조예 1과 동일조건으로 실시하되 2-(2,3-디클로로페닐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산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을 수 있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8.06 (dd, J = 1.2 Hz, 8.2 Hz, 1H), 7.71 (dd, J = 1.6 Hz , 8.0 Hz, 1H), 7.40 (t, J = 8.0 Hz 1H), 6.87 (d, 6.8 Hz, -NH-CO-), 5.89 (s, -NH-SO2), 4.02 (d, J = 8.8 Hz, 1H), 1.64-1.96 (m, 14H), 1.42 (s, 6H).
제조예 9. N-(아다만탄-2-일)-2-메틸-2-(2,5-디클로로페닐설폰아미도)프로판아미이드 (화합물 9)의 합성.
상기 실시예 1 제조예 1과 동일조건으로 실시하되 2-(2,5-디클로로페닐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산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을 수 있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8.1 (d, J = 3.2 Hz, 1H), 7.50 (d, J = 3.2 Hz, 2H), 6.78 (s, -NH-CO-), 5.92 (s, -NH-SO2), 4.00 (d, J = 4 Hz, 1H), 1.65-1.95 (m, 14H), 1.44 (s, 6H).
제조예 10. N-(아다만탄-2-일)-2-메틸-2-(3-클로로페닐설폰아미도)프로판아미이드 (화합물 10)의 합성.
상기 실시예 1 제조예 1과 동일조건으로 실시하되 2-(3-클로로페닐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산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을 수 있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7.90 (t, J = 3.6 Hz, 1H), 7.80 (dt, J = 2.8 Hz, 8.0 Hz, 1H), 7.56 (dq, J = 1.2 Hz, 2.0 Hz, 8.8 Hz, 1H), 7.48 (t, J = 16.0 Hz, 1H), 6.63 (d, J = 7.6 Hz, -NH-CO-), 5.55 (s, -NH-SO2), 3.98 (d, J = 8.0 Hz, 1H), 1.63-1.92 (m, 14H), 1.47 (s, 6H).
제조예 11. N-(아다만탄-2-일)-2-메틸-2-(3,4-디클로로페닐설폰아미도)프로판아미이드 (화합물 11)의 합성.
상기 실시예 1 제조예 1과 동일조건으로 실시하되 2-(3,4-디클로로페닐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산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을 수 있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7.99 (d, J = 2.0 Hz, 1H), 7.73 (dd, J = 2.4 Hz, 8.4 Hz, 1H), 7.61 (d, J = 8.4 Hz, 1H), 6.47 (d, J =7.2 Hz, -NH-CO-), 5.63 (s, -NH-SO2), 3.95 (d, J = 8.4 Hz, 1H), 1.65-1.89 (m, 14H), 1.49 (s, 6H).
제조예 12. N-(아다만탄-2-일)-2-메틸-2-(2-브로모페닐설폰아미도)프로판아미이드 (화합물 12)의 합성.
상기 실시예 1 제조예 1과 동일조건으로 실시하되 2-(2-브로모페닐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산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을 수 있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8.17 (t, J = 11.6 Hz, 1H), 7.78 (t, J =12.4 Hz, 1H), 7.43-7.51 (m, 2H), 7.29 (d, J = 5.6 Hz, 1H), 7.03 (s, -NH-CO-), 5.89 (d, J = 4.8 Hz, -NH-SO2), 4.02 (s, 1H), 1.57-2.08 (m, 14H), 1.40 (s, 6H).
제조예 13. N-(아다만탄-2-일)-2-메틸-2-(2-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설폰아미도)프로판아미이드 (화합물 13)의 합성.
상기 실시예 1 제조예 1과 동일조건으로 실시하되 2-(2-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산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을 수 있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8.30 (d, J = 4.0 Hz, 1H), 7.91 (d, J =2.4 Hz, 1H), 7.74 (d, J = 3.6 Hz, 2H), 6.84 (s, -NH-CO-), 5.52 (s, -NH-SO2), 4.02 (s, 1H), 1.58-2.08 (m, 14H), 1.45 (s, 6H).
제조예 14. N-(아다만탄-2-일)-2-메틸-2-(2,4,6-트리클로로페닐설폰아미도)프로판아미이드 (화합물 14)의 합성.
상기 실시예 1 제조예 1과 동일조건으로 실시하되 2-(2,4,6-트리클로로페닐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산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을 수 있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7.52 (s, 2H), 6.65 (d, J =7.6 Hz -NH-CO-), 6.38 (s, -NH-SO2), 4.00 (d, J =7.6 Hz, 1H), 2.76 (s, 3H), 1.68-1.95 (m, 14H), 1.50 (s, 6H).
제조예 15. N-(아다만탄-2-일)-2-메틸-2-(2-메틸페닐설폰아미도)프로판아미이드 (화합물 15)의 합성.
상기 실시예 1 제조예 1과 동일조건으로 실시하되 2-(2-메틸페닐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산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을 수 있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8.02 (dd, J = 1.2 Hz, 8.0 Hz, 1H), 7.48 (td, J = 1.2 Hz , 14.0 Hz, 1H), 7.40 (m, 2H), 6.79 (d, 6.8 Hz, -NH-CO-), 5.39 (s, -NH-SO2), 3.99 (d, J = 8.0 Hz, 1H), 2.71 (s, 3H), 1.67-1.93 (m, 14H), 1.42 (s, 6H).
제조예 16. N-(아다만탄-2-일)-2-메틸-2-(2-플루오로페닐설폰아미도)프로판아미이드 (화합물 16)의 합성.
상기 실시예 1 제조예 1과 동일조건으로 실시하되 2-(2-플루오로페닐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산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을 수 있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8.02 (td, J = 1.6 Hz, J = 16.0 Hz, 1H), 7.62 (m, 1H), 7.40 (m, 2H), 7.24-7.33 (m, 1H), 6.94 (s, -NH-CO-), 5.44 (s, -NH-SO2), 4.00 (d, J = 8.0 Hz, 1H), 1.68-1.95 (m, 14H), 1.42 (s, 6H).
제조예 17. N-(아다만탄-2-일)-2-메틸-2-(퀴놀린-8-설폰아미도)프로판아미이드 (화합물 17)의 합성.
상기 실시예 1 제조예 1과 동일조건으로 실시하되 2-(퀴놀린-8-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산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을 수 있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9.085 (dd, J = 1.6 Hz, J = 4.0 Hz, 1H), 8.43 (dd, J = 1.6 Hz, 8.0 Hz, 1H), 8.35 (dd, J = 1.6 Hz, 8.0 Hz, 1H), 8.10 (dd, J = 1.2 Hz, 8.0 Hz, 1H), 7.79 (dd, J = 7.6 Hz, 6.0 Hz, 1H), 7.63 (q, J = 1.6 Hz, 12.4 Hz, 1H), 7.43 (d, J = 8.0 Hz, -NH-CO-), 7.06 (s, -NH-SO2), 4.05 (d, J = 8.4 Hz, 1H), 1.62-1.93 (m, 14H), 1.3 (s, 6H).
제조예 18. N-(아다만탄-2-일)-2-메틸-2-(4-(t-부틸)페닐설폰아미도)프로판아미이드 (화합물 18)의 합성.
상기 실시예 1 제조예 1과 동일조건으로 실시하되 2-(4-(t-부틸)페닐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산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을 수 있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7.84 (dd, J = 12.4 Hz, 20.0 Hz, 2H), 7.54 (dd, J = 12.4 Hz, 16.0 Hz, 2H), 6.90 (s, -NH-CO-), 5.34 (s, -NH-SO2), 3.98 (s, 1H), 1.62-1.90 (m, 14H), 1.47 (s, 6H), 1.36 (s, 9H)
제조예 19. N-(아다만탄-2-일)-2-메틸-2-(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설폰아미도)프로판아미이드 (화합물 19)의 합성.
상기 실시예 1 제조예 1과 동일조건으로 실시하되 2-(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산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을 수 있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8.18 (s, 1H), 8.11 (d, J = 8.0 Hz, 1H), 7.85 (d, J = 7.6 Hz, 1H), 7.69 (t, J = 15.6 Hz, 1H), 6.58 (d, J = 7.6 Hz, -NH-CO-), 5.75 (s, -NH-SO2), 3.97 (d, J = 8.0 Hz, 1H), 1.62-1.89 (m, 14H), 1.47 (s, 6H)
제조예 20. N-(아다만탄-2-일)-2-메틸-2-(나프탈렌-1-설폰아미도)프로판아미이드 (화합물 20)의 합성.
상기 실시예 1 제조예 1과 동일조건으로 실시하되 2-(나트탈렌-1-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산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을 수 있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8.59 (d, J = 8.8 Hz, 1H), 8.43 (dd, J = 1.2 Hz, 8.0 Hz, 1H), 8.10 (d, J = 8.0 Hz, 1H), 7.99 (d, J = 8.0 Hz, 1H), 7.71-7.75 (m, 1H), 7.63-7.67 (m, 1H), 7.57 (t, J = 15.6 Hz, 1H), 6.88 (d, J = 6.8 Hz, -NH-CO-), 5.47 (s, -NH-SO2), 3.97 (d, J = 7.6 Hz, 1H), 1.63-1.88 (m, 14H), 1.35 (s, 6H)
제조예 21. N-(아다만탄-2-일)-2-메틸-2-(나프탈렌-2-설폰아미도)프로판아미이드 (화합물 21)의 합성.
상기 실시예 1 제조예 1과 동일조건으로 실시하되 2-(나프탈렌-2-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산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을 수 있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8.47 (s, 1H), 7.93-8.01 (m, 3H), 7.88 (dd, , J = 2.0 Hz, 12.0 Hz, 1H), 7.66 (m, 2H), 6.79 (d, J = 8.0 Hz, -NH-CO-), 5.47 (s, -NH-SO2), 3.93 (d, J = 8.0 Hz, 1H), 1.62-1.86 (m, 14H), 1.46 (s, 6H)
제조예 22. N-(아다만탄-2-일)-2-메틸-2-((2-나이트로페닐)메틸설폰아미도)프로판아미이드 (화합물 22)의 합성.
상기 실시예 1 제조예 1과 동일조건으로 실시하되 2-((2-나이트로페닐)메틸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산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을 수 있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8.03 (dd, J = 0.8 Hz, 7.6Hz, 1H), 7.64-7.69 (m, 2H), 7.55-7.61 (m, 1H), 6.53 (d, J = 7.6 Hz, -NH-CO-), 5.05 (s, -NH-SO2), 4.93 (s, 2H), 4.03 (d, J = 7.6 Hz, 1H), 1.65-1.95 (m, 14H), 1.57 (s, 6H)
제조예 23. N-(5-하이드록시아다만탄-2-일)-2-메틸-2-(2-플루오로페닐설폰아미도)프로판아미이드 (화합물 23)의 합성.
상기 실시예 1 제조예 1과 동일조건으로 실시하되 2-(2-플루오로페닐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산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을 수 있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7.75-7.79 (m, 1H), 7.43-7.47 (m, 2H), 6.76 (d, J = 7.6 Hz, -NH-CO-), 5.58 (s, -NH-SO2), 3.98 (d, J = 7.2 Hz, 1H), 1.67-1.92 (m, 14H), 1.44 (s, 6H).
제조예 24. N-(아다만탄-2-일)-2-메틸-2-(4-메톡시페닐설폰아미도)프로판아미이드 (화합물 24)의 합성.
상기 실시예 1 제조예 1과 동일조건으로 실시하되 2-(4-메톡시페닐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산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을 수 있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7.83 (dt, J = 3.2, 8.8 Hz, 2H), 6.99 (dt, J = 3.2, 8.8 Hz, 2H), 6.86 (d, J = 7.6 Hz, -NH-CO-), 5.18 (s, -NH-SO2), 3.96-3.99 (m, 1H), 1.66-1.91 (m, 14H), 1.43 (s, 6H).
제조예 25. N-(아다만탄-2-일)-2-메틸-2-(2-(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설폰아미도)프로판아미이드 (화합물 25)의 합성.
상기 실시예 1 제조예 1과 동일조건으로 실시하되 2-(2-(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산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을 수 있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8.05 (dd, J = 1.6, 8.0 Hz, 1H), 7.64-7.68 (m, 1H), 7.41-7.46 (m, 2H), 6.93 (d, J = 7.2 Hz, -NH-CO-), 5.41 (s, -NH-SO2), 4.01 (d, J = 8.0 Hz, 1H), 1.68-1.96 (m, 14H), 1.40 (s, 6H).
제조예 26. N-(아다만탄-2-일)-2-메틸-2-(3,5-디클로로페닐설폰아미도)프로판아미이드 (화합물 26)의 합성.
상기 실시예 1 제조예 1과 동일조건으로 실시하되 2-(3,5-디클로로페닐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산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을 수 있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7.78 (d, J = 2.0 Hz, 2H), 7.56 (t, J = 2.0 Hz, 1H), 6.46 (d, J = 7.6 Hz, -NH-CO-), 5.70 (s, -NH-SO2), 3.99 (d, J = 8.0 Hz, 1H), 1.67-1.92 (m, 14H), 1.51 (s, 6H).
제조예 27. N-(아다만탄-2-일)-2-메틸-2-(4-메틸-3-플루오로페닐설폰아미도)프로판아미이드 (화합물 27)의 합성.
상기 실시예 1 제조예 1과 동일조건으로 실시하되 2-(4-메틸-3-플루오로페닐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산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을 수 있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7.53-7.60 (m, 2H), 7.35 (t, J = 7.6 Hz, 2H), 6.70 (d, J = 7.6 Hz, -NH-CO-), 5.38 (s, -NH-SO2), 2.37 (d, J = 1.6 Hz, 3H), 1.66-1.90 (m, 14H), 1.46 (s, 6H).
제조예 28. N-(아다만탄-2-일)-2-메틸-2-(3-메틸페닐설폰아미도)프로판아미이드 (화합물 28)의 합성.
상기 실시예 1 제조예 1과 동일조건으로 실시하되 2-(3-메틸페닐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산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을 수 있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7.70 (m, 2H), 7.39 (m, 2H), 6.87 (d, J = 7.6 Hz, -NH-CO-), 5.33 (s, -NH-SO2), 3.98 (d, J = 8 Hz, 1H), 2.49 (s, 3H), 1.92-1.77 (m, 12H), 1.71 (m, 2H), 1.44 (s, 6H).
제조예 29. N-(아다만탄-2-일)-2-메틸-2-(3-메톡시페닐설폰아미도)프로판아미이드 (화합물 29)의 합성.
상기 실시예 1 제조예 1과 동일조건으로 실시하되 2-(3-메톡시페닐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산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을 수 있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7.47 (m, 3H), 7.11 (m, 1H), 6.81 (d, J = 7.2 Hz, -NH-CO-), 5.36 (s, -NH-SO2), 3.98 (d, J = 7.6 Hz, 1H), 3.88 (s, 3H), 1.92-1.77 (m, 12H), 1.67 (m, 2H), 1.45 (s, 6H).
제조예 30. N-(아다만탄-2-일)-2-메틸-2-(3-플루오로페닐설폰아미도)프로판아미이드 (화합물 30)의 합성.
상기 실시예 1 제조예 1과 동일조건으로 실시하되 2-(3-플루오로페닐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산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을 수 있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7.71 (m, 1H), 7.62 (dt, J = 2.4, 8 Hz, 1H), 7.53 (m, 1H), 7.29 (m, 1H), 6.64 (d, J = 7.6 Hz, -NH-CO-), 5.52 (s, -NH-SO2), 3.98 (d, J = 8 Hz, 1H), 1.92-1.77 (m, 12H), 1.66 (m, 2H), 1.47 (s, 6H).
제조예 31. N-(아다만탄-2-일)-2-메틸-2-(4-클로로-2-플루오로페닐설폰아미도)프로판아미이드 (화합물 31)의 합성.
상기 실시예 1 제조예 1과 동일조건으로 실시하되 2-(4-클로로-2-플루오로페닐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산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을 수 있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7.85 (t, J = 8.8 Hz, 1H), 7.31 (m, 2H), 6.77 (d, J = 7.6 Hz, -NH-CO-), 5.57 (s, -NH-SO2), 3.98 (d, J = 8 Hz, 1H), 1.97-1.77 (m, 12H), 1.68 (m, 2H), 1.44 (s, 6H).
제조예 32. N-(아다만탄-2-일)-2-메틸-2-(4-플루오로-2-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설폰아미도)프로판아미이드 (화합물 32)의 합성.
상기 실시예 1 제조예 1과 동일조건으로 실시하되 2-(4-플루오로-2-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산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을 수 있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8.32 (m, 1H), 7.59 (dd, J = 2.4, 8.4 Hz, 1H), 7.39 (m, 1H), 6.71 (d, J = 8.4 Hz, -NH-CO-), 4.01 (d, J = 8.4 Hz, 1H), 1.95-1.78 (m, 12H), 1.68 (m, 2H), 1.46 (s, 6H).
제조예 33. N-(아다만탄-2-일)-2-메틸-2-((4-클로로페닐)메틸설폰아미도)프로판아미이드 (화합물 33)의 합성.
상기 실시예 1 제조예 1과 동일조건으로 실시하되 2-((4-클로로페닐)메틸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산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을 수 있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7.41 (m, 4H), 6.61 (d, J = 7.6 Hz, -NH-CO-), 4.69 (s, -NH-SO2), 4.36 (s, 2H), 4.02 (d, J = 7.6 Hz, 1H), 1.96-1.74 (m, 12H), 1.67 (m, 2H), 1.59 (s, 6H).
제조예 34. N-(아다만탄-2-일)-2-메틸-2-((2-클로로페닐)메틸설폰아미도)프로판아미이드 (화합물 34)의 합성.
상기 실시예 1 제조예 1과 동일조건으로 실시하되 2-((2-클로로페닐)메틸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산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을 수 있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7.61 (m, 1H), 7.46 (m, 1H), 7.34 (m, 2H), 7.69 (d, J = 7.6 Hz, -NH-CO-), 4.87 (s, -NH-SO2), 4.64 (s, 2H), 4.02 (d, J = 7.6 Hz, 1H), 1.95-1.76 (m, 12H), 1.67 (m, 2H), 1.56 (s, 6H).
제조예 35. N-(아다만탄-2-일)-2-메틸-2-((3,4-디클로로페닐)메틸설폰아미도)프로판아미이드 (화합물 35)의 합성.
상기 실시예 1 제조예 1과 동일조건으로 실시하되 2-((3,4-디클로로페닐)메틸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산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을 수 있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7.62 (d, J = 2 Hz, 1H), 7.48 (d, J = 8 Hz, 1H), 7.35 (dd, J = 2.4, 8.4 Hz, 1H), 6.52 (d, J = 7.6 Hz, -NH-CO-), 4.67 (s, -NH-SO2), 4.30 (s, 2H), 4.04 (d, J = 8 Hz, 1H), 1.97-1.78 (m, 12H), 1.71 (m, 2H), 1.61 (s, 6H).
제조예 36. N-(아다만탄-2-일)-2-메틸-2-((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메틸설폰아미도)프로판아미이드 (화합물 36)의 합성.
상기 실시예 1 제조예 1과 동일조건으로 실시하되 2-((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메틸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산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을 수 있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7.65 (m, 4H), 6.54 (d, J = 8 Hz, -NH-CO-), 4.69 (s, -NH-SO2), 4.41 (s, 2H), 4.04 (d, J = 7.6 Hz, 1H), 1.97-1.77 (m, 12H), 1.71 (m, 2H), 1.61 (s, 6H).
제조예 37. N-(아다만탄-2-일)-2-메틸-2-(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설폰아미도)프로판아미이드 (화합물 37)의 합성.
상기 실시예 1 제조예 1과 동일조건으로 실시하되 2-(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산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을 수 있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8.04 (d, J = 8 Hz, 2H), 7.79 (d, J = 8 Hz, 2H), 6.49 (d, J = 7.2 Hz, -NH-CO-), 5.69 (s, -NH-SO2), 3.94 (d, J = 7.6 Hz, 1H), 1.88-1.64 (m, 14H), 1.48 (s, 6H).
제조예 38. N-(아다만탄-2-일)-2-메틸-2-(4-아세틸페닐설폰아미도)프로판아미이드 (화합물 38)의 합성.
상기 실시예 1 제조예 1과 동일조건으로 실시하되 2-(4-아세틸페닐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산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을 수 있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8.09 (dt, J = 1.6, 8.4 Hz, 2H), 8.01 (dt, J =1.6, 8.4 Hz, 2H), 6.58 (d, J = 8 Hz, -NH-CO-), 5.60 (s, -NH-SO2), 3.96 (d, J = 8 Hz, 1H), 2.68 (s, 3H), 1.89-1.77 (m, 12H), 1.67 (m, 2H), 1.46 (s, 6H).
제조예 39. N-(아다만탄-2-일)-2-메틸-2-(4-플루오로-2-메틸페닐설폰아미도)프로판아미이드 (화합물 39)의 합성.
상기 실시예 1 제조예 1과 동일조건으로 실시하되 2-(4-플루오로-2-메틸페닐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산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을 수 있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8.02 (m, 1H), 7.01 (m, 2H)_, 6.65 (d, J = 7.6 Hz, -NH-CO-), 5.51 (s, -NH-SO2), 3.97 (d, J = 8 Hz, 1H), 2.71 (s, 3H), 1.92-1.77 (m, 12H), 1.67 (m, 2H), 1.43 (s, 6H).
제조예 40. N-(아다만탄-2-일)-2-메틸-2-(5-나이트로-2-메틸페닐설폰아미도)프로판아미이드 (화합물 40)의 합성.
상기 실시예 1 제조예 1과 동일조건으로 실시하되 2-(5-나이트로-2-메틸페닐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산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을 수 있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8.86 (d, J = 2.4 Hz, 1H), 8.31 (dd, J = 2.4, 8 Hz, 1H), 7.53 (d, J = 8.4 Hz, 1H), 6.32 (d, J = 7.6 Hz, -NH-CO-), 5.96 (s, -NH-SO2), 3.94 (d, J = 7.6 Hz, 1H), 2.88 (s, 3H), 1.89-1.66 (m, 14H), 1.49 (s, 6H).
제조예 41. N-(아다만탄-2-일)-2-메틸-2-(2,6-디플루오로페닐설폰아미도)프로판아미이드 (화합물 41)의 합성.
상기 실시예 1 제조예 1과 동일조건으로 실시하되 2-(2,6-디플루오로페닐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산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을 수 있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7.54 (m, 1H), 7.07 (t, J = 8.4 Hz, 2H), 6.79 (d, J = 7.6 Hz, -NH-CO-), 5.82 (s, -NH-SO2), 3.99 (d, J = 8.4 Hz, 1H), 1.94-1.77 (m, 12H), 1.68 (m, 2H) 1.52 (s, 6H).
제조예 42. N-(아다만탄-2-일)-2-메틸-2-([1,1-바이페닐]-4-일설폰아미도)프로판아미이드 (화합물 42)의 합성.
상기 실시예 1 제조예 1과 동일조건으로 실시하되 2-([1,1-바이페닐]-4-일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산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을 수 있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7.97 (dt, J = 2, 8.4 Hz, 2H), 7.74 (dt, J = 2, 8.4 Hz, 2H), 7.63 (m, 2H), 7.52 (m, 2H), 7.46 (m, 1H), 6.79 (d, J = 7.6 Hz, -NH-CO-), 5.37 (s, -NH-SO2), 3.97 (d, J = 8 Hz, 1H), 1.91-1.76 (m, 12H), 1.67 (m, 2H), 1.48 (s, 6H).
제조예 43. N-(아다만탄-2-일)-2-메틸-2-(2-나이트로페닐설폰아미도)프로판아미이드 (화합물 43)의 합성.
상기 실시예 1 제조예 1과 동일조건으로 실시하되 2-(2-나이트로페닐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산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을 수 있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8.18 (m, 1H), 7.95 (m, 1H), 7.78 (m, 2H), 6.89 (d, J = 7.6 Hz, -NH-CO-), 6.10 (s, -NH-SO2), 4.02 (d, J = 8 Hz, 1H), 1.89-1.67 (m, 14H), 1.54 (s, 6H).
제조예 44. N-(아다만탄-2-일)-4-(N-(아다만탄-2-일아미도)-2-메틸-1-옥소프로판-2-일)설파모일)-3-클로로벤즈아마이드 (화합물 44)의 합성.
상기 실시예 1 제조예 1과 동일조건으로 실시하되 2-(4-시아나이드-2-클로로페닐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산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을 수 있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8.17 (m, 1H), 7.96 (d, J = 1.6 Hz, 1H), 7.75 (dd, J = 1.6, 8 Hz, 1H), 6.84 (d, J = 8.4 Hz, -NH-CO-), 6.42 (d, J = 8 Hz, -NH-CO-), 5.91 (s, -NH-SO2), 4.27 (d, J = 8 Hz, 1H), 4.01 (d, J = 8.4 Hz, 1H), 1.93-1.68 (m, 28H), 1.44 (s, 6H).
제조예 45. N-(아다만탄-2-일)-2-메틸-2-(2,6-디클로로페닐설폰아미도)프로판아미이드 (화합물 45)의 합성.
상기 실시예 1 제조예 1과 동일조건으로 실시하되 2-(2,6-디클로로페닐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산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을 수 있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7.52 (m, 2H), 7.37 (m, 1H), 6.82 (d, J = 6.4 Hz, -NH-CO-), 6.32 (s, -NH-SO2), 4.01 (d, J = 8 Hz, 1H), 1.96-1.77 (m, 12H), 1.69 (m, 2H), 1.48 (s, 6H).
제조예 46. N-(아다만탄-2-일)-2-메틸-2-(2,4-디클로로페닐설폰아미도)프로판아미이드 (화합물 46)의 합성.
상기 실시예 1 제조예 1과 동일조건으로 실시하되 2-(2,4-디클로로페닐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산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을 수 있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8.04 (d, J =8.4 Hz, 1H), 7.57 (d, J = 2 Hz, 1H), 7.42 (dd, J = 2, 8.8 Hz, 1H), 6.84 (d, J = 7.6 Hz, -NH-CO-), 5.85 (s, -NH-SO2), 3.99 (d, J = 8 Hz, 1H), 1.95-1.78 (m, 12H), 1.67 (m, 2H), 142 (s, 6H).
제조예 47. N-(아다만탄-2-일)-2-메틸-2-(2,4-디메톡시페닐설폰아미도)프로판아미이드 (화합물 47)의 합성.
상기 실시예 1 제조예 1과 동일조건으로 실시하되 2-(2,4-디메톡시페닐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산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을 수 있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7.82 (d, J = 9.2 Hz, 1H), 7.22 (d, J = 7.6 Hz, -NH-CO-), 6.58 (m, 2H), 5.38 (s, -NH-SO2), 4.01 (d, J = 8 Hz, 1H), 3.99 (s, 3H), 3.89 (s, 3H), 1.94-1.77 (m, 12H), 1.67 (m, 2H), 1.35 (s, 6H).
제조예 48. N-(아다만탄-2-일)-2-메틸-2-(2,5-디메톡시페닐설폰아미도)프로판아미이드 (화합물 48)의 합성.
상기 실시예 1 제조예 1과 동일조건으로 실시하되 2-(2,5-디메톡시페닐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산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을 수 있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7.43 (s, 1H), 7.09 (m, 2H), 6.99 (d, J = 7.6 Hz, -NH-CO-), 5.58 (s, -NH-SO2), 4.21 (d, J = 8 Hz, 1H), 4.01 (s, 3H), 3.83 (s, 3H), 1.95-1.67 (m, 12H), 1.58 (m, 2H), 1.31 (s, 6H).
제조예 49. N-(아다만탄-2-일)-2-메틸-2-(3,5-디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설폰아미도)프로판아미이드 (화합물 49)의 합성.
상기 실시예 1 제조예 1과 동일조건으로 실시하되 2-(3,5-디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산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을 수 있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8.36 (s, 2H), 8.08 (s, 1H), 6.33 (d, J = 7.2 Hz, -NH-CO-), 5.97 (s, -NH-SO2), 3.96 (d, J = 7.6 Hz, 1H), 1.89-1.71 (m, 14H), 1.52 (s, 6H).
제조예 50. N-(아다만탄-2-일)-2-메틸-2-(2-클로로피리딘-3-설폰아미도)프로판아미이드 (화합물 50)의 합성.
상기 실시예 1 제조예 1과 동일조건으로 실시하되 2-(2-클로로피리딘-3-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산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을 수 있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8.61 (dd, J = 1.6, 4.8 Hz, 1H), 8.41 (dd, J = 2, 8 Hz, 1H), 7.46 (m, 1H), 6.79 (d, J = 6.8 Hz, -NH-CO-), 6.03 (s, -NH-SO2), 4.01 (d, J = 8 Hz, 1H), 1.96-1.84 (m, 12H), 1.66 (m, 2H), 1.43 (s, 6H).
제조예 51. N-(아다만탄-2-일)-2-메틸-2-(2,3,4-트리클로로페닐설폰아미도)프로판아미이드 (화합물 51)의 합성.
상기 실시예 1 제조예 1과 동일조건으로 실시하되 2-(2,3,4-트리클로로페닐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산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을 수 있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7.99 (d, J = 8.8 Hz, 1H), 7.57 (d, J = 8.8 Hz, 1H), 7.31 (d, J = 8.4 Hz, -NH-CO-), 5.99 (s, -NH-SO2), 4.01 (d, J = 8 Hz, 1H), 1.95-1.77 (m, 12H), 1.69 (m, 2H), 1.44 (s, 6H).
제조예 52. N-(아다만탄-2-일)-2-메틸-2-(2-(나프탈렌-1-일)에틸설폰아미도)프로판아미이드 (화합물 52)의 합성.
상기 실시예 1 제조예 1과 동일조건으로 실시하되 2-(2-(나프탈렌-1-일)에틸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산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을 수 있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8.04 (d, J = 8.4 Hz, 1H), 7.92 (d, J = 8.4 Hz, 1H), 7.82 (m, 1H), 7.58 (m, 2H), 7.45 (m, 2H), 6.74 (d, J = 7.6 Hz, -NH-CO-), 4.62 (s, -NH-SO2), 3.99 (d, J =8 Hz, 1H), 3.66 (q, J = 6.4 Hz, 2H), 3.53 (q, J = 4.6 Hz, 2H), 1.92-1.76 (m, 12H), 1.65 (m, 2H), 1.40 (s, 6H).
제조예 53. N-(아다만탄-2-일)-2-메틸-2-(4-에틸페닐설폰아미도)프로판아미이드 (화합물 53)의 합성.
상기 실시예 1 제조예 1과 동일조건으로 실시하되 2-(4-에틸페닐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산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을 수 있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7.81 (d, J = 8.4 Hz, 2H), 7.32 (d, J = 8.4 Hz, 2H), 6.99 (d, J = 8 Hz, -NH-CO-), 5.85 (s, -NH-SO2), 3.95 (d, J = 4.8 Hz, 1H), 2.72 (q, J = 7.6 Hz, 2H), 1.94-1.75 (m, 12H), 1.63 (m, 2H), 1.41 (s, 6H), 1.26 (t, J = 7.6 Hz, 3H).
제조예 54. N-(아다만탄-2-일)-2-메틸-2-(4-플루오로-3-클로로페닐설폰아미도)프로판아미이드 (화합물 54)의 합성.
상기 실시예 1 제조예 1과 동일조건으로 실시하되 2-(4-플루오로-3-클로로페닐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산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을 수 있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7.98 (dd, J = 2, 6.4 Hz, 1H), 7.81 (m, 1H), 7.29 (t, J = 8.8 Hz, 1H), 6.51 (d, J = 7.6 Hz, -NH-CO-), 5.62 (s, -NH-SO2), 3.96 (d, J = 7.6 Hz, 1H), 1.89-1.75 (m, 12H), 1.67 (m, 2H), 1.49 (s, 6H).
제조예 55. N-(아다만탄-2-일)-2-메틸-2-(4-플루오로-2-클로로페닐설폰아미도)프로판아미이드 (화합물 55)의 합성.
상기 실시예 1 제조예 1과 동일조건으로 실시하되 2-(4-플루오로-2-클로로페닐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산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을 수 있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8.11 (d, J = 8.4 Hz, 1H), 7.30 (m, 2H), 7.14 (d, J = 7.2 Hz, -NH-CO-), 6.87 (s, -NH-SO2), 5.81 (d, J = 8 Hz, 1H), 1.94-1.61 (m, 12H), 1.48 (m, 2H), 1.35 (s, 6H).
제조예 56. 2-(N-(1-아다만탄-2-일아미노)-2-메틸-1-옥소프로판-2-일)설파모일)벤즈아마이드 (화합물 56)의 합성.
상기 실시예 1 제조예 1과 동일조건으로 실시하되 2-(2-시아노페닐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산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을 수 있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8.11 (m, 1H), 7.72 (m, 1H), 7.61 (m, 2H), 7.53 (s, -NH-SO2), 6.49 (bs, NH2-CO-), 6.38 (d, J = 8 Hz, -NH-CO-), 4.04 (d, J = 7.6 Hz, 1H), 1.94-1.72 (m, 12H), 1.72 (m, 2H).
제조예 57. N-(아다만탄-2-일)-2-메틸-2-(4-이소프로필페닐설폰아미도)프로판아미이드 (화합물 57)의 합성.
상기 실시예 1 제조예 1과 동일조건으로 실시하되 2-(4-이소프로필페닐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산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을 수 있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7.81 (d, J = 8.4 Hz, 2H), 7.36 (d, J = 8.4 Hz, 1H), 6.87 (d, J = 7.6 Hz, -NH-CO-), 5.25 (s, -NH-SO2), 3.97 (d, J = 8 Hz), 2.99 (m, 1H), 1.91-1.82 (m, 12H), 1.67 (m, 2H), 1.44 (s, 6H), 1.29 (d, J = 6.8 Hz, 6H).
제조예 58. N-(아다만탄-2-일)-2-메틸-2-(2,4-디플루오로페닐설폰아미도)프로판아미이드 (화합물 58)의 합성.
상기 실시예 1 제조예 1과 동일조건으로 실시하되 2-(2,4-디플루오로페닐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산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을 수 있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7.92 (m, 1H), 7.01 (m, 2H), 6.81 (d, J = 6.8 Hz, -NH-CO-), 5.54 (s, -NH-SO2), 3.98 (d, J = 8 Hz, 1H), 1.94-1.78 (m, 12H), 1.44 (s, 6H).
제조예 59. N-(아다만탄-2-일)-2-메틸-2-(3,5-디메틸페닐설폰아미도)프로판아미이드 (화합물 59)의 합성.
상기 실시예 1 제조예 1과 동일조건으로 실시하되 2-(3,5-디메틸페닐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산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을 수 있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7.51 (s, 2H), 7.21 (s, 1H), 6.92 (d, J = 7.67 Hz, -NH-CO-), 5.30 (s, -NH-SO2), 3.98 (d, J = 7.6 Hz, 1H), 2.39 (s, 6H), 1.92-1.77 (m, 12H), 1.68 (m, 12H), 1.44 (m, 6H).
제조예 60. N-(아다만탄-2-일)-2-메틸-2-(4-나이트로-2-메톡시페닐설폰아미도)프로판아미이드 (화합물 60)의 합성.
상기 실시예 1 제조예 1과 동일조건으로 실시하되 2-(4-나이트로-2-메톡시페닐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산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을 수 있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8.10 (d, J = 8.4 Hz, 1H), 7.93 (m, 2H), 6.67 (d, J = 7.2 Hz, -NH-CO-), 5.97 (s, -NH-SO2), 4.17 (s, 3H), 3.95 (d, J = 8 Hz, 1H), 1.91-1.77 (m, 12H), 1.68 (m, 2H), 1.42 (s, 6H).
제조예 61. N-(아다만탄-2-일)-2-메틸-2-(4-클로로-3-나이트로페닐설폰아미도)프로판아미이드 (화합물 61)의 합성.
상기 실시예 1 제조예 1과 동일조건으로 실시하되 2-(4-클로로-3-나이트로페닐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산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을 수 있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8.39 (d, J = 2 Hz, 1H), 8.02 (dd, J = 2.4, 8.4 Hz, 1H), 7.72 (d, J = 8.8 Hz, 1H), 6.28 (d, J = 6.4 Hz, -NH-CO-), 5.85 (s, -NH-SO2), 3.95 (d, J = 8 Hz, 1H), 1.89-1.86 (m, 8H), 1.81 (m, 2H), 1.70 (m, 4H), 1.53 (s, 6H).
제조예 62. N-(아다만탄-2-일)-2-메틸-2-(4-메틸-3-클로로페닐설폰아미도)프로판아미이드 (화합물 62)의 합성.
상기 실시예 1 제조예 1과 동일조건으로 실시하되 2-(4-메틸-3-클로로페닐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산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을 수 있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7.88 (d, J = 1.6 Hz, 1H), 7.68 (dd, J = 2, 8 Hz, 1H), 7.38 (d, J = 7.6 Hz, 1H), 6.67 (d, J = 6.4 Hz, -NH-CO-), 5.39 (s, -NH-SO2), 3.96 (d, J = 7.6 Hz, 1H), 2.46 (s, 3H), 1.89-1.77 (m, 12H), 1.67 (m, 2H), 1.47 (s, 6H).
제조예 63. N-(아다만탄-2-일)-2-메틸-2-(페닐메틸설폰아미도)프로판아미이드 (화합물 63)의 합성.
상기 실시예 1 제조예 1과 동일조건으로 실시하되 2-(페닐메틸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산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을 수 있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7.46 (m, 2H), 7.42 (m, 3H), 6.74 (d, J = 7.6 Hz, -NH-CO-), 4.62 (s, -NH-SO2), 4.35 (s, 2H), 4.02 (d, J = 8 Hz, 1H), 1.95-1.73 (m, 12H), 1.66 (m, 2H), 1.57 (s, 6H).
제조예 64. N-(아다만탄-2-일)-2-메틸-2-(3-브로모페닐설폰아미도)프로판아미이드 (화합물 64)의 합성.
상기 실시예 1 제조예 1과 동일조건으로 실시하되 2-(3-브로모페닐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산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을 수 있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8.05 (t, J = 1.6 Hz, 1H), 7.84 (m, 1H), 7.72 (m, 1H), 7.41 (t, J = 8 Hz, 1H), 6.62 (d, J = 7.2 Hz, -NH-CO-), 5.56 (s, -NH-SO2), 3.97 (d, J = 8 Hz, 1H), 1.91-1.77 (m, 12H), 1.67 (m, 2H), 1.47 (s, 6H).
제조예 65. N-(아다만탄-2-일)-2-메틸-2-(4-브로모페닐설폰아미도)프로판아미이드 (화합물 65)의 합성.
상기 실시예 1 제조예 1과 동일조건으로 실시하되 2-(4-브로모페닐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산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을 수 있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7.76 (dd, J = 1.6, 8.4 Hz, 2H), 7.66 (dd, J = 2.4, 11.2 Hz, 2H), 6.60 (d, J = 6.8 Hz, -NH-CO-), 5.51 (s, -NH-SO2), 3.94 (d, J = 7.6 Hz, 1H), 1.89-1.76 (m, 12H), 1.67 (m, 2H), 1.46 (s, 6H).
제조예 66. N-(아다만탄-2-일)-2-메틸-2-(3-나이트로페닐설폰아미도)프로판아미이드 (화합물 66)의 합성.
상기 실시예 1 제조예 1과 동일조건으로 실시하되 2-(3-나이트로페닐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산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을 수 있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8.75 (t, J = 2Hz, 1H), 8.44 (m, 1H), 8.24 (m, 1H), 7.76 (t, J = 8 Hz, 1H), 6.42 ( d, J = 7.6 Hz, -NH-CO-), 5.82 (s, -NH-SO2), 3.95 (d, J = 8 Hz, 1H), 1.95-1.86 (m, 8H), 1.81-1.73 (m, 4H), 1.66 (m, 2H), 1.51 (s, 6H).
제조예 67. N-(아다만탄-2-일)-2-메틸-2-(4-프로필페닐설폰아미도)프로판아미이드 (화합물 67)의 합성.
상기 실시예 1 제조예 1과 동일조건으로 실시하되 2-(4-프로필페닐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산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을 수 있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7.81 (d, J = 6.8 Hz, 2H), 7.32 (d, J = 8.4 Hz, 2H), 6.88 (d, J = 7.6 Hz, -NH-CO-), 5.26 (s, -NH-SO2), 3.97 (d, J = 7.6 Hz, 1H), 2.67 (t, J = 7.6 Hz, 2H), 1.91-1.76 (m, 14H), 1.71-1.63 (m, 3H).
제조예 68. N-(아다만탄-2-일)-2-메틸-2-(4-메톡시-3-나이트로페닐설폰아미도)프로판아미이드 (화합물 68)의 합성.
상기 실시예 1 제조예 1과 동일조건으로 실시하되 2-(4-메톡시-3-나이트로페닐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산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을 수 있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8.38 (d, J = 2.4 Hz, 1H), 8.07 (dd, J = 2.4, 8.8 Hz, 1H), 7.22 (d, J = 8.8 Hz, 1H), 6.50 (d, J = 7.2 Hz, -NH-CO-), 5.61 (s, -NH-SO2), 4.01 (s, 3H), 3.95 (d, J = 7.6 Hz, 1H), 1.89-1.66 (m, 14H), 1.49 (s, 6H).
제조예 69. N-(5-하이드록시아다만탄-2-일)-2-메틸-2-(2-플루오로페닐설폰아미도)프로판아미이드 (화합물 69)의 합성.
상기 실시예 1 제조예 1과 동일조건으로 실시하되 2-(2-플루오로페닐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산과 5-하이드록시-2-아다만탄아민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을 수 있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7.91 (td, J = 1.6Hz, 16.0 Hz, 1H), 7.60-7.66 (m, 1H), 7.19-7.39 (m, 2H), 6.98 (d, J = 7.6 Hz, -NH-CO-), 5.37 (s, -NH-SO2), 3.97 (d, J = 8.0 Hz, 1H), 1.50-1.92 (m, 13H), 1.43 (s, 6H)
제조예 70. N-(5-하이드록시아다만탄-2-일)-2-메틸-2-(2-브로모페닐설폰아미도)프로판아미이드 (화합물 70)의 합성.
상기 실시예 1 제조예 1과 동일조건으로 실시하되 2-(페닐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산과 5-하이드록시-2-아다만탄아민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을 수 있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7.80-7.92 (m, 2H), 7.59-7.63 (m, 1H), 7.52-7.56 (m, 2H), 6.90 (d, J = 8.0 Hz, -NH-CO-), 5.32 (s, -NH-SO2), 3.96 (d, J = 8.0 Hz, 1H), 1.53-2.20 (m, 13H), 1.42 (s, 6H).
제조예 71. N-(5-하이드록시아다만탄-2-일)-2-메틸-2-(4-메톡시페닐설폰아미도)프로판아미이드 (화합물 71)의 합성.
상기 실시예 1 제조예 1과 동일조건으로 실시하되 2-(4-메톡시페닐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산과 5-하이드록시-2-아다만탄아민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을 수 있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8.02 (s, -NH-SO2), 7.73 (dd, J = 2.0, 7.2 Hz, 2H), 7.10 (dd, J = 2.0, 7.2 Hz, 2H), 7.05 (d, J = 7.2 Hz, 1H), 4.44 (s, -OH), 3.84 (s, 3H), 3.52 (d, J = 6.8 Hz, 1H), 1.35-2.02 (m, 13H), 1.22 (s, 6H)
제조예 72. N-(5-하이드록시아다만탄-2-일)-2-메틸-2-(2-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설폰아미도)프로판아미이드 (화합물 72)의 합성.
상기 실시예 1 제조예 1과 동일조건으로 실시하되 2-(2-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산과 5-하이드록시-2-아다만탄아민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을 수 있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8.34 (s, -NH-SO2), 8.04-8.12 (m, 3H), 7.85 (t, J = 8.0 Hz, 1H), 6.97 (d, J = 6.8 Hz, -NH-CO-), 4.43 (s, -OH), 3.45 (d, J = 6.8 Hz, 1H), 1.33-2.00 (m, 13H), 1.26 (s, 6H)
제조예 73. N-(5-하이드록시아다만탄-2-일)-2-메틸-2-(2,3-디클로로페닐설폰아미도)프로판아미이드 (화합물 73)의 합성.
상기 실시예 1 제조예 1과 동일조건으로 실시하되 2-(2,3-디클로로페닐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산과 5-하이드록시-2-아다만탄아민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을 수 있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8.51 (s, -NH-SO2), 7.99 (dd, J = 1.6, 8 Hz, 1H), 7.94 (dd, J = 1.6, 8 Hz, 1H), 7.57 (t, J = 8 Hz, 1H), 7.09 (d, J = 7.2 Hz, -NH-CO-), 4.47 (s, -OH), 3.67 (d, J = 7.2 Hz, 1H), 2.04-1.61 (m, 11H), 1.37 (m, 2H), 1.23 (s, 6H).
제조예 74. N-(5-하이드록시아다만탄-2-일)-2-메틸-2-(2,6-디플루오로페닐설폰아미도)프로판아미이드 (화합물 74)의 합성.
상기 실시예 1 제조예 1과 동일조건으로 실시하되 2-(2,6-디플루오로페닐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산과 5-하이드록시-2-아다만탄아민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을 수 있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8.65 (s, -NH-SO2, 1H), 7.71(m, 1H), 7.27 (t, 2H), 7.04 (d, -NH-CO-, 1H), 4.46(s, 1H), 3.60(s,1H), 1.36-2.02 (m, 13H), 1.23 (s, 6H).
제조예 75. N-(5-하이드록시아다만탄-2-일)-2-메틸-2-(8-퀴놀린설폰아미도)프로판아미이드 (화합물 75)의 합성.
상기 실시예 1 제조예 1과 동일조건으로 실시하되 2-(8-퀴놀린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산과 5-하이드록시-2-아다만탄아민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을 수 있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9.10 (s, -NH-SO2 , 1H), 8.56(d, 1H), 8.29 (m, 1H), 7.91(s, 1H), 7.74 (m, 2H), 7.24 (d, -NH-CO-, 1H), 4.45(s, 1H), 3.62(s,1H), 1.23-2.00 (m, 13H), 1.18 (s, 6H).
제조예 76. N-(5-하이드록시아다만탄-2-일)-2-메틸-2-(2-메틸-5-나이트로페닐설폰아미도)프로판아미이드 (화합물 76)의 합성.
상기 실시예 1 제조예 1과 동일조건으로 실시하되 2-(2-메틸-5-나이트로페닐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산과 5-하이드록시-2-아다만탄아민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을 수 있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8.54 (s, -NH-SO2, 1H), 8.54(s, 1H), 8.36 (d, 1H), 7.71 (d, 1H), 7.02 (d, -NH-CO-, 1H), 4.46(s, 1H), 3.61(s, 1H), 2.50 (s, 3H), 1.35-2.02 (m, 13H), 1.24 (s, 6H).
제조예 77. N-(5-하이드록시아다만탄-2-일)-2-메틸-2-(3-나이트로페닐설폰아미도)프로판아미이드 (화합물 77)의 합성.
상기 실시예 1 제조예 1과 동일조건으로 실시하되 2-(3-나이트로페닐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산과 5-하이드록시-2-아다만탄아민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을 수 있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8.53 (s, -NH-SO2, 1H), 8.47 (d, 1H), 8.42 (s, 1H), 8.21 (d, 1H), 7.87 (t, 1H), 6.97 (d, -NH-CO-, 1H), 4.45(s, 1H), 3.62(s, 1H), 1.23-1.99 (m, 13H), 1.19 (s, 6H).
제조예 78. N-(5-하이드록시아다만탄-2-일)-2-메틸-2-(4-나이트로페닐설폰아미도)프로판아미이드 (화합물 78)의 합성.
상기 실시예 1 제조예 1과 동일조건으로 실시하되 2-(4-나이트로페닐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산과 5-하이드록시-2-아다만탄아민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을 수 있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8.46 (s, -NH-SO2, 1H), 8.39 (d, 2H), 8.04 (d, 2H), 6.98 (d, -NH-CO-, 1H), 4.45 (s, 1H), 3.63 (s, 1H), 1.33-2.00 (m, 13H), 1.21 (s, 6H).
제조예 79. N-(5-하이드록시아다만탄-2-일)-2-메틸-2-(4-클로로-2-나이트로페닐설폰아미도)프로판아미이드 (화합물 79)의 합성.
상기 실시예 1 제조예 1과 동일조건으로 실시하되 2-(4-클로로-2-나이트로페닐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산과 5-하이드록시-2-아다만탄아민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을 수 있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8.47 (s, -NH-SO2, 1H), 8.28 (d, 1H), 8.06 (d, 1H), 7.94(dd, 1H), 7.04 (d, -NH-CO-, 1H), 4.45(s, 1H), 3.64(s, 1H), 1.33-2.01 (m, 13H), 1.25 (s, 6H).
제조예 80. N-(5-하이드록시아다만탄-2-일)-2-메틸-2-(4-플루오로-2-클로로페닐설폰아미도)프로판아미이드 (화합물 80)의 합성.
상기 실시예 1 제조예 1과 동일조건으로 실시하되 2-(4-플루오로-2-클로로페닐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산과 5-하이드록시-2-아다만탄아민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을 수 있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8.41 (s, -NH-SO2, 1H), 8.03 (m, 1H), 7.74 (d, 1H), 7.40 (m, 1H), 7.12 (d, -NH-CO-, 1H), 4.47(s, 1H), 3.69(s,1H), 1.23-2.09 (m, 13H), 1.21 (s, 6H).
제조예 81. N-(5-하이드록시아다만탄-2-일)-2-메틸-2-(2,4-디클로로페닐설폰아미도)프로판아미이드 (화합물 81)의 합성.
상기 실시예 1 제조예 1과 동일조건으로 실시하되 2-(2,4-디클로로페닐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산과 5-하이드록시-2-아다만탄아민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을 수 있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8.45 (s, -NH-SO2, 1H), 7.97 (d, 1H), 7.90 (d, 1H), 7.62 (dd, 1H), 7.10 (d, -NH-CO-, 1H), 4.47(s, 1H), 3.67(s, 1H), 1.21-2.09 (m, 13H), 1.17 (s, 6H).
[실시예 2]
제조예 1. (4-(2-메틸-2-(페닐설폰아미도)프로판아미도)아다만탄-1-카르복시아마이드 (화합물 82)의 합성.
100-mL 플라스크에 2-아미노-2-메틸프로판산 (3.0 g, 29.1 mmol)와 메탄올(45ml)를 투입한다. 아이스 배스를 설치하고 싸이오닐클로라이드(4.25 ml, 58.2 mmol)을 천천히 투입하고 투입완료 후, 아이스 배스를 제거하고 실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시킨다. 감압증류로 용매를 제거 한 후, 에틸에테르 (30ml)를 투입하고 실온에서 30분 동안 교반 후, 여과한다. 여과한 고체를 60℃ 오븐에서 건조하여 메틸-2-아미노-2-메틸프로판노에이트 염산염 (4.2 g, 94 %)을 얻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8.75 (s, 3H), 3.75 (s, 3H), 4.05 (m, 1H), 1.45 (s, 6H).
50-mL 플라스크에 메틸-2-아미노-2-메틸프로판노에이트 염산염 (400 mg, 2.61 mmol) 과 메틸렌클로라이드 (10 mL)를 투입하고 트리에틸아민 (1.46 ml, 10.47 mmol)를 투입한 후, 실온에서 30분간 교반시킨다. 벤젠설포닐클로라이드 (554 mg, 3.14 mmol)을 투입하고 밤새 교반시킨 뒤, H2O (10 ml)를 투입하여 반응을 종료 시킨다. 유기층을 분리한 뒤, 유기층을 포화 암모늄클로라이드 용액(15 ml)을 사용하여 씻어주고 유기층을 분리한 뒤, MgSO4로 건조, 여과 후 감압증류하여 용매를 제거하였다. 혼합물을 컬럼크로마토그래피 로 분리하여 메틸-2-아미노-2-(페닐설포닐아미도)프로판노애이트 (507 mg, 75 %)을 얻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7.89-7.92 (t, 2H), 7.52-7.57 (m, 3H), 5.35 (s, -NH-SO2), 3.67-3.68 (d, 3H), 1.47-1.48 (d, 6H).
50-mL 플라스크에 메틸-2-아미노-2-(페닐설포닐아미도)프로판노애이트 (500 mg, 1.94 mmol)를 투입하고 THF (6 ml), 메탄올 (6 ml)을 투입하여 녹인다. H2O(6 ml)에 녹인 LiOH·H2O를 투입하고 12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시킨다. 12시간 교반 후, 반응용액을 감압 농축 시킨 뒤, 2N-HCl로 pH 1~2 사이로 맞추고 EA (20 ml)를 투입하여 추출한다. 유기층을 MgSO4로 건조, 여과하고 감압증류로 용매를 제거하여 메틸-2-아미노-2-(페닐설포닐아미도)프로파노액시드 화합물 (402 mg, 85 %)을 얻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7.91-7.94 (m, 2H), 7.50-7.61 (m, 3H), 5.52 (s, -NH-SO2), 1.51 (s, 6H).
250-mL 플라스크에 4-옥소-아다만탄-1-카르복시산 (10 g, 51.5 mmol)을 7N NH3 in MeOH (50 ml)에 녹인 후 10% Pd/C (1 g, 10%)을 넣은 후 수소가스 하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종료후 H2O 첨가 후 여과하여 4-아미노-아다만탄-1-카르복시산 (8.17 g, 81%)을 얻었다.
1H NMR (400 MHz, CD3OD-d4) δ 3.36 (m, 1H), 2.03-1.53 (m, 13H).
0°C 하에서 250-mL 플라스크에 MeOH (85 ml)에 AcCl (16.08 g, 204.85 mmol)을 넣은 후 상온에서 4-아미노-아다만탄-1-카르복시산 (8.0 g, 40.97 mmol)을 넣은 후 45°C 하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종료 후 아세토나이트릴를 사용하여 솔리드를 여과하여 4-아미노-아다만탄-1-카르복실레이트 하이드로클로라이드 (8.17 g, 81%)을 얻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8.61 (m, 3H), 3.68 (s, 3H), 3.50 (s, 1H), 2.34-1.64 (m, 13H).
50-mL 플라스크에 메틸-2-아미노-2-(페닐설포닐아미도)프로파노액시드 (100 mg, 0.39 mmol), 4-아미노-아다만탄-1-카르복실레이트 하이드로클로라이드 (8.17 g, 81%), EDCI (100 mg, 0.39 mmol)을 투입하고 CH2Cl2 (3 ml)를 투입한 뒤, 30분 동안 실온에서 교반 후, DMAP (82 mg, 0.39 mmol)을 넣고서 상온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종료 후 CH2Cl2와 H2O를 사용하여 유기층을 분리하고서 유기층은 MgSO4로 건조, 여과 후 혼합물은 컬럼크로마토그래피(EA/n-Hex = 1:4)를 이용하여 4-(2-메틸-2-(페닐설폰아미도)프로판아미도)아다만탄-1-카르복실레이트 (120 mg, 75 %)을 얻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7.89-7.96 (m, 2H), 7.51-7.63 (m, 3H), 7.53-7.40 (m, 3H), 6.95-6.97 (d, -NH-CO-), 6.73-6.75 (d, -NH-SO2), 3.93-3.97 (m, 1H), 3.63-3.74(m, 3H), 1.58-2.07 (m, 13H), 1.41-1.43 (m, 6H).
50-mL 플라스크에 4-(2-메틸-2-(페닐설폰아미도)프로판아미도)아다만탄-1-카르복실레이트 (500 mg, 1.94 mmol)를 투입하고 THF (6 ml), 메탄올 (6 ml)을 투입하여 녹인다. H2O(6 ml)에 녹인 LiOH·H2O를 투입하고 12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시킨다. 12시간 교반 후, 반응용액을 감압 농축 시킨 뒤, 2N-HCl로 pH 1~2 사이로 맞추고 EA (20 ml)를 투입하여 추출한다. 유기층을 MgSO4로 건조, 여과하고 감압증류로 용매를 제거하여 4-(2-메틸-2-(페닐설폰아미도)프로판아미도)아다만탄-1-카르복시산 화합물 (402 mg, 85 %)을 얻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7.89-7.92 (m, 2H), 7.51-7.62 (m, 3H), 7.53-7.40 (m, 3H), 6.84-6.86 (d, -NH-CO-), 5.82 (d, -NH-SO2), 3.96-3.98 (m, 1H), 1.84-2.09 (m, 13H), 1.42 (s, 6H).
50-mL 플라스크에 4-(2-메틸-2-(페닐설폰아미도)프로판아미도)아다만탄-1-카르복시산 (3.49 g, 10.47 mmol)을 THF (20 ml)와 MeOH (20 ml)에 녹인 후, H2O (29 ml)에 녹인 LiOH (2.45 g, 58.35 mmol)를 첨가하여 상온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액을 감압증류하여 농축한 후, 2N-HCl 수용액을 첨가하여 pH 2로 조절하고 CH2Cl2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은 MgSO4로 건조, 여과하고 감압증류로 용매를 제거하여 50-mL 플라스크에 4-(2-메틸-2-(페닐설폰아미도)프로판아미도)아다만탄-1-카르복시아마이드 (3.25 g, 10.16 mmol, 97 %)를 얻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7.90-7.93 (m, 2H), 7.54-7.63 (m, 3H), 7.16 (s, -NH-CO-), 6.38-6.40 (d, -NH-SO2), 6.01(s, NH2-CO-), 5.84(s, NH2-CO-), 3.99 (s, 1H), 1.59-2.15 (m, 13H), 1.41 (s, 6H).
제조예 2. N-4-(2-(2-클로로페닐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아미도)아다만탄-1-카르복시아마이드 (화합물 83)의 합성.
상기 실시예 2 제조예 1과 동일조건으로 실시하되 2-(2-클로로페닐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산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을 수 있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8.37 (s, -NH-SO2-), 8.00 (dd, J = 1.2 Hz, 13.6 Hz, 1H), 7.60-7.73 (m, 2H), 7.50-7.56 (m, 1H), 7.22 (d, J = 6.4 Hz, -NH-CO-), 7.02 (s, -NH2-CO-, 1H), 6.75 (s, -NH2-CO-, 1H), 3.75 (d, J = 6.8 Hz, 1H), 1.48-1.99 (m, 13H), 1.22 (s, 6H).
제조예 3. N-4-(2-(2-브로모페닐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아미도)아다만탄-1-카르복시아마이드 (화합물 84)의 합성.
상기 실시예 2 제조예 1과 동일조건으로 실시하되 2-(2-브로모페닐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산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을 수 있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8.16 (dd, J = 2.8 Hz, 7.6Hz, 1H), 7.78 (dd, J = 1.2 Hz, 7.6 Hz, 1H), 7.44-7.54 (m, 2H), 7.14 (d, J = 7.6 Hz, -NH-CO-), 5.80 (s, -NH-SO2), 5.61 (s, -NH2-CO-, 1H), 5.26 (s, -NH2-CO-, 1H), 4.02 (d, J = 7.6 Hz, 1H), 1.60-2.20 (m, 13H), 1.44 (s, 6H)
제조예 4. N-4-(2-(2-플루오로페닐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아미도)아다만탄-1-카르복시아마이드 (화합물 85)의 합성.
상기 실시예 2 제조예 1과 동일조건으로 실시하되 2-(2-플루오로페닐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산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을 수 있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8.43 (s, -NH-SO2-), 7.79 (m, 1H), 7.69-7.74 (m, 1H), 7.36-7.47 (m, 2H), 7.15 (s, -NH-CO-), 7.02 (s, -NH2-CO-, 1H), 6.75 (s, -NH2-CO-, 1H), 3.67 (d, J = 7.2 Hz, 1H), 1.46-1.92 (m, 13H), 1.24 (s, 6H)
제조예 5. N-4-(2-(4-메톡시페닐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아미도)아다만탄-1-카르복시아마이드 (화합물 86)의 합성.
상기 실시예 2 제조예 1과 동일조건으로 실시하되 2-(4-메톡시페닐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산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을 수 있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7.82 (m, 2H), 7.19 (d, J = 8.0 Hz -NH-CO-), 6.99-7.02 (m, 2H), 6.02 (s, -NH2-CO-, 1H), 5.80 (s, -NH-SO2), 5.61 (s, -NH2-CO-, 1H), 3.97 (d, J = 8.0 Hz, 1H), 3.90 (s, 3H), 1.76-2.20 (m, 13H), 1.42 (s, 6H).
제조예 6. N-4-(2-(2,3-디클로로페닐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아미도)아다만탄-1-카르복시아마이드 (화합물 87)의 합성.
상기 실시예 2 제조예 1과 동일조건으로 실시하되 2-(2,3-디클로로페닐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산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을 수 있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8.04-8.08 (m, 1H), 7.72-7.76(m, 1H), 7.36-7.43 (m, 1H), 7.01 (s, -NH-CO-), 5.83 (d, J = 9.6 Hz -NH-SO2), 5.61 (s, -NH2-CO-, 1H), 5.29 (s, -NH2-CO-, 1H), 4.03 (s, 1H), 3.90 (s, 3H), 1.59-2.13 (m, 13H), 1.41 (s, 6H)
제조예 7. N-4-(2-(2,4-디클로로페닐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아미도)아다만탄-1-카르복시아마이드 (화합물 88)의 합성.
상기 실시예 2 제조예 1과 동일조건으로 실시하되 2-(2,4-디클로로페닐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산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을 수 있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8.43 (s, -NH-SO2-), 7.99 (dd, J = 5.2 Hz, 11.0 Hz, 1H), 7.91 (d, J = 2.0 Hz, 1H), 7.63 (dd, J = 2.0 Hz, 8.6 Hz, 1H), 7.20 (s, -NH-CO-), 7.03 (s, -NH2-CO-, 1H), 6.76 (s, -NH2-CO-, 1H), 3.74 (d, J = 7.2 Hz, 1H), 1.47-1.93 (m, 13H), 1.22 (s, 6H)
제조예 8. N-4-(2-(2,6-디플루오로페닐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아미도)아다만탄-1-카르복시아마이드 (화합물 89)의 합성.
상기 실시예 2 제조예 1과 동일조건으로 실시하되 2-(2,6-디플루오로페닐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산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을 수 있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8.67 (s, -NH-SO2), 7.69-7.77 (m, 1H), 7.30 (t, J = 18.0 Hz, 2H), 7.02 (s, -NH-CO-), 6.98 (s, -NH2-CO-, 1H), 6.76 (s, -NH2-CO-, 1H), 3.65 (d, J = 6.8 Hz, 1H), 1.46-1.93 (m, 13H), 1.30 (s, 6H)
제조예 9. N-4-(2-(2-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아미도)아다만탄-1-카르복시아마이드 (화합물 90)의 합성.
상기 실시예 2 제조예 1과 동일조건으로 실시하되 2-(2-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산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을 수 있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8.04-8.08 (dd, J = 1.6 Hz, 7.6 Hz, 1H), 7.66-7.70 (m, 1H), 7.41-7.47 (m, 2H), 7.05 (d, J = 7.6 Hz, -NH-CO-), 5.60 (s, -NH2-CO-, 1H), 5.30 (s, -NH-SO2), 5.22 (s, -NH2-CO-, 1H), 4.02 (d, J = 6.8 Hz, 1H), 1.63-2.13 (m, 13H), 1.39 (s, 6H)
제조예 10. N-4-(2-(3,5-디메틸페닐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아미도)아다만탄-1-카르복시아마이드 (화합물 91)의 합성.
상기 실시예 2 제조예 1과 동일조건으로 실시하되 2-(3,5-디메틸페닐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산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을 수 있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8.08 (s, -NH-SO2-), 7.42 (s, 2H), 7.26 (s, 1H), 7.12 (d, J = 7.2 Hz, -NH-CO-), 7.02 (s, -NH2-CO-, 1H), 6.76 (s, -NH2-CO-, 1H), 3.59 (d, J = 6.8 Hz, 1H), 2.35 (s, 6H), 1.45-1.91 (m, 13H), 1.24 (s, 6H)
제조예 11. N-4-(2-(3-플루오로-4-메틸페닐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아미도)아다만탄-1-카르복시아마이드 (화합물 92)의 합성.
상기 실시예 2 제조예 1과 동일조건으로 실시하되 2-(3-플루오로-4-메틸페닐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산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을 수 있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8.22 (s, -NH-SO2-), 7.49-7.56 (m, 3H), 7.11 (s, -NH-CO-), 7.02 (s, -NH2-CO-, 1H), 6.76 (s, -NH2-CO-, 1H), 3.56 (d, J = 6.0 Hz, 1H), 2.31 (d, J = 1.6 Hz, 3H), 1.44-1.91 (m, 13H), 1.25 (s, 6H)
제조예 12. N-4-(2-(4-디플루오로메톡시페닐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아미도)아다만탄-1-카르복시아마이드 (화합물 93)의 합성.
상기 실시예 2 제조예 1과 동일조건으로 실시하되 2-(4-디플루오로메톡시페닐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산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을 수 있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8.34 (s, -NH-SO2-), 7.87 (dd, J = 2.0 Hz, 6.8 Hz, 2H), 7.36 (d, J = 8.8 Hz, 2H), 7.11 (d, J = 7.2 Hz, -NH-CO-), 7.03 (s, -NH2-CO-, 1H), 6.78 (s, -NH2-CO-, 1H), 3.60 (d, J = 6.4 Hz, 1H), 1.45-1.95 (m, 13H), 1.24 (s, 6H)
제조예 13. N-4-(2-(2-플루오로-5-메틸페닐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아미도)아다만탄-1-카르복시아마이드 (화합물 94)의 합성.
상기 실시예 2 제조예 1과 동일조건으로 실시하되 2-(2-플루오로-5-메틸페닐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산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을 수 있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8.38 (s, -NH-SO2-), 7.59 (d, J = 6.8 Hz, 1H), 7.49 (s, 1H), 7.32 (t, J = 18.8 Hz, 1H), 7.16 (s, -NH-CO-), 7.03 (s, -NH2-CO-, 1H), 6.76 (s, -NH2-CO-, 1H), 3.67 (d, J = 7.2 Hz, 1H), 2.35 (s, 3H), 1.46-1.92 (m, 13H), 1.24 (s, 6H)
제조예 14. N-4-(2-(2-메틸-5-플루오로페닐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아미도)아다만탄-1-카르복시아마이드 (화합물 95)의 합성.
상기 실시예 2 제조예 1과 동일조건으로 실시하되 2-(2-메틸-5-플루오로페닐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산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을 수 있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8.36 (s, -NH-SO2-), 7.61 (s, 1H), 7.45 (m, 2H), 7.17 (s, -NH-CO-), 7.03 (s, -NH2-CO-, 1H), 6.76 (s, -NH2-CO-, 1H), 3.73 (s, 1H), 2.58 (d, J = 4.4 Hz, 3H), 1.47-1.93 (m, 13H), 1.22 (s, 6H)
제조예 15. N-4-(2-(2-클로로피리딘-3-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아미도)아다만탄-1-카르복시아마이드 (화합물 96)의 합성.
상기 실시예 2 제조예 1과 동일조건으로 실시하되 2-(2-클로로피리딘-3-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산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을 수 있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8.74 (s, -NH-SO2), 8.61 (m, 1H), 8.41 (d, J = 7.6 Hz, 1H), 7.65 (m, 1H), 7.31 (d, J = 7.6 Hz, -NH-CO-), 7.09 (br, NH2-CO-), 6.81 (br, NH2-CO-), 3.73 (d, J = 6.8 Hz, 1H), 1.93-1.76 (m, 11H), 1.51 (m, 2H), 1.23 (s, 6H).
제조예 16. N-4-(2-(2-메틸-3-클로로페닐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아미도)아다만탄-1-카르복시아마이드 (화합물 97)의 합성.
상기 실시예 2 제조예 1과 동일조건으로 실시하되 2-(2-메틸-3-클로로페닐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산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을 수 있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8.38 (s, -NH-SO2), 7.87 (dd, J = 0.8, 8 Hz, 1H), 7.73 (d, J = 8 Hz, 1H), 7.41 (t, J = 8 Hz, 1H), 7.14 (d, J = 6.8 Hz, -NH-CO-), 7.02 (br, NH2-CO-), 6.75 (br, NH2-CO-), 3.72 (d, J = 7.2 Hz, 1H), 2.66 (s, 3H), 1.92-1.77 (m, 11H), 1.45 (m, 2H), 1.22 (s, 6H).
제조예 17. N-4-(2-((2-클로로페닐)메틸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아미도)아다만탄-1-카르복시아마이드 (화합물 98)의 합성.
상기 실시예 2 제조예 1과 동일조건으로 실시하되 2-((2-클로로페닐)메틸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산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을 수 있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7.74 (s, -NH-SO2), 7.53 (m, 2H), 7.39 (m, 2H), 7.06 (d, J = 7.2 Hz, -NH-CO-), 6.89 (br, NH2-CO-), 6.76 (br, NH2-CO-), 4.51 (s, 2H), 3.74 (d, J = 6.4 Hz, 1H), 1.88 (m, 5H), 1.65 (m, 8H), 1.43 (s, 6H).
제조예 18. N-4-(2-(4-프로필페닐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아미도)아다만탄-1-카르복시아마이드 (화합물 99)의 합성.
상기 실시예 2 제조예 1과 동일조건으로 실시하되 2-(4-프로필페닐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산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을 수 있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8.15 (s, -NH-SO2), 7.74 (d, J = 8 Hz, 2H), 7.39 (d, J = 8 Hz, 2H), 7.13 (d, J = 6.8 Hz, -NH-CO-), 7.03 (br, NH2-CO-), 6.77 (br, NH2-CO-), 3.57 (d, J = 6.8 Hz, 1H), 2.63 (t, J = 7.2 Hz, 2H), 1.91-1.79 (m, 11H), 1.62 (sex, J = 8.4 Hz, 2H), 1.47 (m, 2H), 1.22 (s, 6H), 0.89 (t, J = 7.2 Hz, 3H).
제조예 19. N-4-(2-(2-트리플루오로메톡시-4-브로모페닐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아미도)아다만탄-1-카르복시아마이드 (화합물 100)의 합성.
상기 실시예 2 제조예 1과 동일조건으로 실시하되 2-(2-트리플루오로메톡시-4-브로모페닐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산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을 수 있었다.
1H NMR (400 MHz, DMSO-d6) 8.42 (s, -NH-SO2), 7.82 (m, 1H), 7.71 (m, 2H), 7.25 (d, J = 6.8 Hz, -NH-CO-), 7.02 (br, NH2-CO-), 6.76 (br, NH2-CO-), 3.72 (d, J = 7.2 Hz, 1H), 1.92-1.78 (m, 11H), 1.47 (m, 2H), 1.23 (s, 6H).
제조예 20. N-4-(2-(2-브로모-4-플루오로페닐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아미도)아다만탄-1-카르복시아마이드 (화합물 101)의 합성.
상기 실시예 2 제조예 1과 동일조건으로 실시하되 2-(2-브로모-4-플루오로페닐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산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을 수 있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8.42 (s, -NH-SO2), 8.11 (m, 1H), 7.89 (m, 1H), 7.45 (t, J = 7.2 Hz, 1H), 7.25 (d, J = 7.2 Hz, -NH-CO-), 7.09 (br, NH2-CO-), 6.76 (br, NH2-CO-), 3.76 (d, J = 7.2 Hz, 1H), 1.95-1.77 (m, 11H), 1.48 (m, 2H), 1.22 (s, 6H).
제조예 21. N-4-(2-(2-플루오로-3-클로로페닐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아미도)아다만탄-1-카르복시아마이드 (화합물 102)의 합성.
상기 실시예 2 제조예 1과 동일조건으로 실시하되 2-(2-플루오로-3-클로로페닐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산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을 수 있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8.59 (s, -NH-SO2), 7.91 (t, J = 6.4 Hz, 1H), 7.78 (m, 1H), 7.41 (t, J = 8 Hz, 1H), 7.11 (d, J = 6 Hz, -NH-CO-), 7.01 (br, NH2-CO-), 6.74 (br, NH2-CO-), 3.61 (d, J = 6.8 Hz, 1H), 1.99-1.78 (m, 11H), 1.48 (m, 2H), 1.27 (s, 6H).
제조예 22. N-4-(2-(3-클로로-4-메틸페닐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아미도)아다만탄-1-카르복시아마이드 (화합물 103)의 합성.
상기 실시예 2 제조예 1과 동일조건으로 실시하되 2-(3-클로로-4-메틸페닐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산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을 수 있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8.20 (s, -NH-SO2), 7.77 (d, J = 2 Hz, 1H), 7.69 (m, 1H), 7.57 (m, 1H), 7.05 (d, J = 7.2 Hz, -NH-CO-), 7.01 (br, NH2-CO-), 6.75 (br, NH2-CO-), 3.53 (d, J = 6.8 Hz, 1H), 2.41 (s, 3H), 1.82-1.78 (m, 11H), 1.47 (m, 2H), 1.26 (s, 6H).
제조예 23. N-4-(2-(2-메틸페닐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아미도)아다만탄-1-카르복시아마이드 (화합물 104)의 합성.
상기 실시예 2 제조예 1과 동일조건으로 실시하되 2-(2-메틸페닐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산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을 수 있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8.21 (s, -NH-SO2), 7.85 (d, J = 7.6 Hz, 1H), 7.52 (m, 1H), 7.41 (m, 2H), 7.21 (d, J = 7.2 Hz, -NH-CO-), 7.03 (br, NH2-CO-), 6.76 (br, NH2-CO-), 3.74 (d, J = 7.2 Hz, 1H), 2.67 (s, 3H), 1.99-1.77 (m, 11H), 1.48 (m, 2H), 1.19 (s, 6H).
제조예 24. N-4-(2-(퀴놀린-8-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아미도)아다만탄-1-카르복시아마이드 (화합물 105)의 합성.
상기 실시예 2 제조예 1과 동일조건으로 실시하되 2-(퀴놀린-8-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산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을 수 있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9.10 (dd, J = 1.6, 4 Hz, 1H), 8.58 (dd, J = 1.6, 8.4 Hz, 1H), 8.31 (m, 2H), 7.93 (s, -NH-SO2), 7.75 (m, 2H), 7.32 (d, J = 7.2 Hz, -NH-CO-), 7.02 (br, NH2-CO-), 6.76 (br, NH2-CO-), 3.68 (d, J = 6 Hz, 1H), 1.91-1.75 (m, 11H), 1.44 (m, 2H), 1.19 (s, 6H).
제조예 25. N-4-(2-(2-나이트로페닐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아미도)아다만탄-1-카르복시아마이드 (화합물 106)의 합성.
상기 실시예 2 제조예 1과 동일조건으로 실시하되 2-(2-나이트로페닐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산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을 수 있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8.39 (s, -NH-SO2), 8.09 (m, 1H), 8.02 (m, 1H), 7.87 (m, 2H), 7.17 (d, J =7.2 Hz, -NH-CO-), 7.01 (br, NH2-CO-), 6.69 (br, NH2-CO-), 3.72 (d, J = 6 Hz, 1H), 1.91-1.75 (m, 11H), 1.45 (m, 2H), 1.32 (s, 6H).
제조예 26. N-4-(2-(3-나이트로페닐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아미도)아다만탄-1-카르복시아마이드 (화합물 107)의 합성.
상기 실시예 2 제조예 1과 동일조건으로 실시하되 2-(3-나이트로페닐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산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을 수 있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8.54 (t, J = 2 Hz, -NH-SO2), 8.47 (m, 2H), 8.22 (m, 1H), 7.89 (t, J =8.4 Hz, 1H), 7.10 (d, J =6.8 Hz, -NH-CO-), 7.03 (br, NH2-CO-), 6.77 (br, NH2-CO-), 3.41 (d, J = 6.4 Hz, 1H), 1.83-1.74 (m, 11H), 1.43 (m, 2H), 1.27 (s, 6H).
제조예 27. N-4-(2-(2-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아미도)아다만탄-1-카르복시아마이드 (화합물 108)의 합성.
상기 실시예 2 제조예 1과 동일조건으로 실시하되 2-(2-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산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을 수 있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8.36 (s, -NH-SO2), 8.26 (d, J =7.6 Hz, 1H), 7.98 (d, J = 7.6 Hz, 1H), 7.86 (m, 2H), 7.21 (d, J = 7.6 Hz, -NH-CO-), 7.04 (br, NH2-CO-), 6.77 (br, NH2-CO-), 3.75 (d, J = 7.2 Hz, 1H), 1.98-1.77 (m, 11H), 1.47 (m, 2H), 1.25 (s, 6H).
제조예 28. N-4-(2-(2,5-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아미도)아다만탄-1-카르복시아마이드 (화합물 109)의 합성.
상기 실시예 2 제조예 1과 동일조건으로 실시하되 2-(2,5-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산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을 수 있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8.59 (s, -NH-SO2), 8.43 (m, 1H), 8.24 (m, 2H), 7.28 (d, J = 7.6 Hz, -NH-CO-), 6.98 (br, NH2-CO-), 6.69 (br, NH2-CO-), 3.73 (d, J = 7.6 Hz, 1H), 1.92-1.62 (m, 11H), 1.46 (m, 2H), 1.27 (s, 6H). (E/Z = 4/1)
제조예 29. N-4-(2-(2-브로모-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아미도)아다만탄-1-카르복시아마이드 (화합물 110)의 합성.
상기 실시예 2 제조예 1과 동일조건으로 실시하되 2-(2-브로모-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산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을 수 있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8.56 (s, -NH-SO2), 8.21 (m, 2H), 7.94 (m, 1H), 7.19 (d, J =7.6 Hz, -NH-CO-), 7.02 (br, NH2-CO-), 6.76 (br, NH2-CO-), 3.74 (d, J = 7.6 Hz, 1H), 1.94-1.67 (m, 11H), 1.49 (m, 2H), 1.23 (s, 6H).
제조예 30. N-4-(2-(3-나이트로-4-메톡시페닐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아미도)아다만탄-1-카르복시아마이드 (화합물 111)의 합성.
상기 실시예 2 제조예 1과 동일조건으로 실시하되 2-(3-나이트로-4-메톡시페닐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산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을 수 있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8.23 (s, -NH-SO2), 8.28 (d, J = 2 Hz, 1H), 8.05 (dd, J =2.4, 8.8 Hz, 1H), 7.55 (m, 1H), 7.09 (d, J = 5.6 Hz, -NH-CO-), 7.03 (br, NH2-CO-), 6.77 (br, NH2-CO-), 4.02 (s, 3H), 3.55 (d, J = 6.4 Hz, 1H), 1.84-1.74 (m, 11H), 1.43 (m, 2H), 1.27 (s, 6H).
제조예 31. N-4-(2-(2,4,6-트리클로로페닐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아미도)아다만탄-1-카르복시아마이드 (화합물 112)의 합성.
상기 실시예 2 제조예 1과 동일조건으로 실시하되 2-(2,4,6-트리클로로페닐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산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을 수 있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8.62 (s, -NH-SO2), 7.91 (s, 2H), 7.15 (d, J = 6 Hz, -NH-CO-), 7.02 (br, NH2-CO-), 6.75 (br, NH2-CO-), 3.75 (d, J = 6.8 Hz, 1H), 1.93-1.77 (m, 11H), 1.51 (m, 2H), 1.22 (s, 6H).
제조예 32. N-4-(2-(3-트리플루오로메틸-4-나이트로페닐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아미도)아다만탄-1-카르복시아마이드 (화합물 113)의 합성.
상기 실시예 2 제조예 1과 동일조건으로 실시하되 2-(3-트리플루오로메틸-4-나이트로페닐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산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을 수 있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8.53 (s, -NH-SO2), 8.33 (m, 3H), 7.05 (d, J = 7.6 Hz, -NH-CO-), 7.01 (br, NH2-CO-), 6.75 (br, NH2-CO-), 3.43 (d, J = 7.6 Hz, 1H), 1.82-1.73 (m, 11H), 1.41 (m, 2H), 1.32 (s, 6H).
제조예 33. N-4-(2-(3-나이트로-4-메틸페닐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아미도)아다만탄-1-카르복시아마이드 (화합물 114)의 합성.
상기 실시예 2 제조예 1과 동일조건으로 실시하되 2-(3-나이트로-4-메틸페닐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산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을 수 있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8.36 (s, -NH-SO2), 8.33 (d, J = 2 Hz, 1H), 7.99 (dd, J = 2, 8 Hz, 1H), 7.73 (d, J = 8 Hz, 1H), 7.05 (d, J = 7.2 Hz, -NH-CO-), 7.02 (br, NH2-CO-), 6.76 (br, NH2-CO-), 3.51 (d, J = 6.8 Hz, 1H), 2.61 (s, 3H), 1.83-1.74 (m, 11H), 1.43 (m, 2H), 1.28 (s, 6H).
제조예 34. N-4-(2-(3-플루오로-4-메톡시페닐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아미도)아다만탄-1-카르복시아마이드 (화합물 115)의 합성.
상기 실시예 2 제조예 1과 동일조건으로 실시하되 2-(3-플루오로-4-메톡시페닐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산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을 수 있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8.13 (s, -NH-SO2), 7.61 (dd, J = 2, 7.6 Hz, 1H), 7.88 (dd, J = 1.2, 7.6 Hz, 1H), 7.57 (m, 2H), 7.07 (d, J = 7.6 Hz, -NH-CO-), 7.03 (br, NH2-CO-), 6.77 (br, NH2-CO-), 3.92 (s, 3H), 3.56 (d, J = 6 Hz, 1H), 1.90-1.75 (m, 11H), 1.46 (m, 2H), 1.24 (s, 6H).
제조예 35. N-4-(2-(2,3,4-트리플루오로페닐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아미도)아다만탄-1-카르복시아마이드 (화합물 116)의 합성.
상기 실시예 2 제조예 1과 동일조건으로 실시하되 2-(2,3,4-트리플루오로페닐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산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을 수 있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8.63 (s, -NH-SO2 , 1H), 7.67 (s, 1H), 7.50(s, 1H), 7.09(s, -NH-CO-, 1H), 7.02(s, NH2-CO-, 1H), 6.76(s, NH2-CO-, 1H), 3.63(s, 1H), 1.59-2.15 (m, 13H), 1.18 (s, 6H).
제조예 36. N-4-(2-(3,5-디플루오로페닐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아미도)아다만탄-1-카르복시아마이드 (화합물 117)의 합성.
상기 실시예 2 제조예 1과 동일조건으로 실시하되 2-(3,5-디플루오로페닐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산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을 수 있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8.37 (s, -NH-SO2 , 1H), 7.66 (t, 1H), 7.51(d, 2H), 7.06(d, -NH-CO-, 1H), 7.02(s, NH2-CO-, 1H), 6.76(s, NH2-CO-, 1H), 3.56(s, 1H), 1.59-2.15 (m, 13H), 1.18 (s, 6H).
제조예 37. N-4-(2-(3,4,5-트리플루오로페닐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아미도)아다만탄-1-카르복시아마이드 (화합물 118)의 합성.
상기 실시예 2 제조예 1과 동일조건으로 실시하되 2-(3,4,5-트리플루오로페닐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산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을 수 있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8.36 (s, -NH-SO2 , 1H), 7.79 (t, 2H), 7.08(d, -NH-CO-, 1H), 7.02(s, NH2-CO-, 1H), 6.76(s, NH2-CO-, 1H), 3.60(s, 1H), 1.59-2.15 (m, 13H), 1.18 (s, 6H).
제조예 38. N-(아다만탄-2-일)-2-메틸-2-(2,4-디플루오로페닐설폰아미도)프로판아미이드 (화합물 119)의 합성.
상기 실시예 2 제조예 1과 동일조건으로 실시하되 2-(2,4-디플루오로페닐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산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을 수 있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8.1 (d, J = 3.2 Hz, 1H), 7.50 (d, J = 3.2 Hz, 2H), 6.78 (s, -NH-CO-), 5.92 (s, -NH-SO2), 4.00 (d, J = 4 Hz, 1H), 1.65-1.95 (m, 14H), 1.44 (s, 6H).
제조예 39. N-(아다만탄-2-일)-2-메틸-2-(2,5-디플루오로페닐설폰아미도)프로판아미이드 (화합물 120)의 합성.
상기 실시예 2 제조예 1과 동일조건으로 실시하되 2-(2,5-디플루오로페닐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산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을 수 있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8.54 (s, -NH-SO2), 7.51-7.63 (m, 3H), 7.10 (d, J = 7.2 Hz, -NH-CO-), 7.01 (s, -NH2-CO), 6.74 (s, -NH2-CO), 3.65 (d, J = 7.2 Hz, 1H), 1.46-1.99 (m, 13H), 1.28 (s, 6H).
제조예 40. N-(아다만탄-2-일)-2-메틸-2-(2,6-디클로로페닐설폰아미도)프로판아미이드 (화합물 121)의 합성.
상기 실시예 2 제조예 1과 동일조건으로 실시하되 2-(2,6-디클로로페닐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산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을 수 있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8.56 (s, -NH-SO2), 7.67 (m, 2H), 7.56 (m, 1H), 7.21 (br, -NH-CO-), 7.04 (br, NH2-CO-), 6.77 (br, NH2-CO-), 3.77 (d, J = 6 Hz, 1H), 1.95-1.78 (m, 11H), 1.49 (m, 2H), 1.27 (s, 6H).
제조예 41. N-(아다만탄-2-일)-2-메틸-2-(3,5-디클로로페닐설폰아미도)프로판아미이드 (화합물 122)의 합성.
상기 실시예 2 제조예 1과 동일조건으로 실시하되 2-(3,5-디클로로페닐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산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을 수 있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8.33 (s, -NH-SO2), 7.97 (t, J = 1.6 Hz, 1H), 7.76 (d, J = 2 Hz, 2H), 7.02 (br, -NH-CO-), 7.01 (br, NH2-CO-), 6.75 (br, NH2-CO-), 3.49 (d, J = 6.4 Hz, 1H), 1.89-1.74 (m, 11H), 1.43 (m, 2H), 1.31 (s, 6H).
제조예 42. N-(아다만탄-2-일)-2-메틸-2-(3-브로모페닐설폰아미도)프로판아미이드 (화합물 123)의 합성.
상기 실시예 2 제조예 1과 동일조건으로 실시하되 2-(3-브로모페닐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산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을 수 있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8.27 (s, -NH-SO2), 7.93 (t, J = 1.6 Hz, 1H), 7.87 (m, 1H), 7.79 (m, 1H), 7.55 (t, J = 7.6 Hz, 1H), 7.05 (d, J = 6.8 Hz, 1H), 7.05 (d, J = 6.8 Hz, -NH-CO-), 7.01 (br, NH2-CO-), 6.75 (br, NH2-CO-), 3.52 (d, J = 6.4 Hz, 1H), 1.90-1.75 (m, 11H), 1.44 (m, 2H), 1.27 (s, 6H).
제조예 43. N-(아다만탄-2-일)-2-메틸-2-(4-브로모페닐설폰아미도)프로판아미이드 (화합물 124)의 합성.
상기 실시예 2 제조예 1과 동일조건으로 실시하되 2-(4-브로모페닐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산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을 수 있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8.25 (s, -NH-SO2), 7.80 (m, 2H), 7.72 (m, 2H), 7.05 (d, J = 7.2 Hz, -NH-CO-), 7.01 (br, NH2-CO-), 6.75 (br, NH2-CO-), 3.54 (d, J = 6.8 Hz, 1H), 1.91-1.74 (m, 11H), 1.45 (m, 2H), 1.25 (s, 6H).
제조예 44. N-(아다만탄-2-일)-2-메틸-2-(5-클로로-3-브로모페닐설폰아미도)프로판아미이드 (화합물 125)의 합성.
상기 실시예 2 제조예 1과 동일조건으로 실시하되 2-(5-클로로-3-브로모페닐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산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을 수 있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8.46 (s, -NH-SO2), 8.02 (m, 1H), 7.89 (m, 1H), 7.76 (m, 1H), 7.16 (d, J = 6.4 Hz, -NH-CO-), 7.03 (br, NH2-CO-), 6.76 (br, NH2-CO-), 3.74 (d, J = 6.8 Hz, 1H), 1.93-1.76 (m, 11H), 1.47 (m, 2H), 1.22 (s, 6H).
제조예 45. N-(아다만탄-2-일)-2-메틸-2-(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설폰아미도)프로판아미이드 (화합물 126)의 합성.
상기 실시예 2 제조예 1과 동일조건으로 실시하되 2-(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산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을 수 있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8.04 (d, 2H), 7.81 (d, J = 8.0 Hz, 2H), 6.68 (d, J = 7.2 Hz, -NH-CO-), 5.57 (m, -NH2-CO-, -NH-SO2, 2H), 5.22 (s, -NH-SO2), 3.98 (d, J = 8.0 Hz, 1H), 1.64-2.12 (m, 13H), 1.47 (s, 6H).
제조예 46. N-(아다만탄-2-일)-2-메틸-2-(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설폰아미도)프로판아미이드 (화합물 127)의 합성.
상기 실시예 2 제조예 1과 동일조건으로 실시하되 2-(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산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을 수 있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8.18 (s, 1H), 8.11 (d, J = 8.0 Hz, 1H), 7.87 (d, J = 8.0 Hz, 1H), 7.71 (t, J = 8.0 Hz, 1H), 6.72 (d, J = 8.0 Hz, -NH-CO-), 5.59 (s, -NH2-CO-, 1H), 5.54 (s, -NH-SO2), 5.27 (s, -NH2-CO-, 1H), 3.99 (d, J = 8.0 Hz, 1H), 1.65-2.10 (m, 13H), 1.47 (s, 6H).
제조예 47. N-(아다만탄-2-일)-2-메틸-2-(4-나이트로-2-메톡시페닐설폰아미도)프로판아미이드 (화합물 128)의 합성.
상기 실시예 2 제조예 1과 동일조건으로 실시하되 2-(4-나이트로-2-메톡시페닐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산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을 수 있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8.17 (s, -NH-SO2 , 1H), 7.98 (m, 2H), 7.91 (dd, 1H), 7.21 (d, -NH-CO-, 1H), 7.02(s, NH2-CO-, 1H), 6.76(s, NH2-CO-, 1H), 4.08(s, 1H), 3.72(s, 1H), 1.21-1.92 (m, 13H), 1.21 (s, 6H).
제조예 48. N-(아다만탄-2-일)-2-메틸-2-(2,4-디메톡시페닐설폰아미도)프로판아미이드 (화합물 129)의 합성.
상기 실시예 2 제조예 1과 동일조건으로 실시하되 2-(2,4-디메톡시페닐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산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을 수 있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7.68 (s, -NH-SO2 , 1H), 7.62 (d, 1H), 7.29 (d, -NH-CO-, 1H), 7.03(s, NH2-CO-, 1H), 6.76(s, NH2-CO-, 1H), 6.72 (d, 1H), 6.61(dd, 1H), 3.91(s, 3H), 3.84(s, 3H), 3.71(s, 1H), 1.23-1.99 (m, 13H), 1.17 (s, 6H).
[실시예 3]
제조예 1. 4-[2-(2-시아노-벤젠설포닐아미노)-2-메틸-프로피오닐아미노]-아다만탄-1-카르복시산 아마이드 (화합물 130)의 합성.
100-mL 플라스크에 메틸-2-아미노-2-메틸프로판노에이트 염산염 (1.0g, 6.53 mmol) 과 메틸렌클로라이드 (50 mL)을 투입하고 이 후 피리딘 (1.1mL, 13.0mmol), 다이메틸아미노피리딘 (1.6g, 13.0mmol) 을 투입하여 모두 용해 시킨다. 반응액에 다이-트리부톡시 카르보닐 (2.9g, 13.0mmol)을 상온에서 천천히 투입한 후 12시간 교반하여 반응을 종결 시킨다. 35℃에서 농축하여 용매를 제거한 후 정제수 (30mL)를 투입하며 2N 염산 수용액으로 중성화를 한다. 메틸렌클로라이드 (50mL)로 수용액에서 2회 추출하며 마그네슘설페이트를 넣어 유기층의 수분을 제거한다. 여과 후 감압 농축을 통해 용매를 제거하여 메틸-2-아미노부톡시카르보닐-2-메틸프로판노에이트 (327mg, 23%)을 얻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3.75(s, 3H), 1.5(s, 6H), 1.46 (s, C3H9-O-, 9H)
50-mL 플라스크에 메틸-2-아미노부톡시카르보닐-2-메틸프로판노에이트 (327 mg, 1.50 mmol)를 투입하고 테트라하이드로퓨란 (15 ml), 메탄올 (15 ml)을 투입하여 녹인다. 정제수 (15 ml)에 녹인 리튬하이드록사이드를 투입하고 12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 시킨다. 12시간 교반 후, 반응용액을 감압 농축 시킨 뒤, 2N-염산 수용액으로 중성화 시키고 에틸아세테이트 (20mL)를 투입하여 추출한다. 유기층을 마그네슘설페이트로 건조, 여과하고 감압증류로 용매를 제거하여 메틸-2-아미노부톡시카르보닐-2-메틸프로판노액시드 화합물 (335mg, 99 %)을 얻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12.1 (s, HO-CO-, 1H), 7.05 (s, -NH-CO2-, 1H), 1.40 (s, C3H9-O-, 9H), 1.25 (s, 6H).
50-mL 플라스크에 메틸-2-아미노부톡시카르보닐-2-메틸프로판노액시드 (335mg, 1.746mmol), 메틸렌클로라이드 (20 mL)를 투입한 뒤 1-에틸-3-(3-다이메틸아미노프로필)카르보다이이미드하이드로클로라이드 (914mg, 4.77mmol)와 다이메틸아미노피리딘(388mg, 3.18mmol)을 순차적으로 투입한 후 5분간 상온에서 교반한다. 반응액에 2-아다만탄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 (388mg, 1.589mmol)를 투입하고 12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 후 반응이 종결되면 정제수 (20mL)를 넣고 메틸렌클로라이드 (30 mL)로 수용액 층을 2회 세척한다. 얻어진 유기층에 마그네슘설페이트를 넣어 잔여 수분을 제거한 후 여과, 감압 농축을 통하여 잔사를 얻었다. 혼합물은 컬럼크로마토그래피(EA/n-Hex = 1:2)를 이용하여 4-(2-메틸-2-(부톡시카르보닐아미도)프로판아미도)아다만탄-1-카르복실레이트 (434 mg, 62 %)을 얻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5.31 (s, -NH-CO2-, 1H), 4.91 (s, -NH-CO-, 1H), 3.99 (s, 1H), 3.74 (s, CH3-CO2-, 3H), 1.57-2.03 (m, 13H), 1.50 (s, 6H), 1.45 (s, C3H9-CO2-, 9H)
50-mL 플라스크에 4-(2-메틸-2-(부톡시카르보닐아미도)프로판아미도)아다만탄-1-카르복실레이트 (430 mg, 1.09 mmol)를 투입하고 테트라하이드로퓨란 (15 ml), 메탄올 (15 ml)을 투입하여 녹인다. 정제수(15 ml)에 녹인 리튬하이드록사이드를 투입하고 12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시킨다. 12시간 교반 후, 반응용액을 감압 농축 시킨 뒤, 2N 염산 수용액으로 중성화시키고 에틸아세테이트(30 ml)를 투입하여 추출한다. 유기층을 마그네슘설페이트로 건조, 여과하고 감압증류로 용매를 제거하여 4-(2-메틸-2-(부톡시카르보닐아미도)프로판아미도)아다만탄-1-카르복시산 화합물 (172 mg, 41%)을 얻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12.1 (s, HO-CO2-, 1H), 7.04 (s, -NH-CO2-, 1H), 6.96(s, -NH-CO-, 1H), 3.71 (d, 1H), 1.43-1.99 (m, 13H), 1.38 (s, C3H9-CO2-, 9H), 1.71 (s, 6H)
50-mL 플라스크에 4-(2-메틸-2-(부톡시카르보닐아미도)프로판아미도)아다만탄-1-카르복시산(170mg, 0.449mmol)과 메틸렌클로라이드 (20 mL)를 투입한 뒤 순차적으로 1-에틸-3-(3-다이메틸아미노프로필)카르보다이이미드하이드로클로라이드 (171mg, 0.893mmol)과 1-하이드록시벤조트리아졸 (120mg, 3.18mmol)을 투입한 후 5분간 상온에서 교반한다. 반응액 35% 암모니아 수용액 (2.5mL) 를 투입하고 12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 후 반응이 종결되면 정제수 (10mL)를 넣고 메틸렌클로라이드 (30 mL)로 수용액 층을 2회 세척한다. 얻어진 유기층에 마그네슘설페이트를 넣어 잔여 수분을 제거한 후 여과, 감압 농축을 통하여 잔사를 얻었다. 혼합물은 컬럼크로마토그래피(MC/MeOH = 15:1)를 이용하여 분리함으로써 4-(2-메틸-2-(부톡시카르보닐아미도)프로판아미도)아다만탄-1-카르복시산 아마이드 (151 mg, 89 %)을 얻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6.97-7.01 (m, -NH-CO2-, -NH-CO-, NH2-CO-, 3H), 6.74 (s, NH2-CO-, 1H), 1.73-1.92 (m, 13H), 1.44 (s, C3H9-CO2-, 9H), 1.09(s, 6H).
25-mL 플라스크에 4-(2-메틸-2-(부톡시카르보닐아미도)프로판아미도)아다만탄-1-카르복시산 아마이드 (150mg, 0.395 mmol) 과 35% 염산 수용액을 투입하고 상온에서 4시간 교반한다. 반응이 종결되면 50℃에서 감압 농축하여 N-(5-아세틸-아다만탄-2-닐)-2-아미노-2-메틸-프로피온아마이드(140mg)를 잔사로 얻었다.
25-mL 플라스크에 농축하여 N-(5-아세틸-아다만탄-2-닐)-2-아미노-2-메틸-프로피온아마이드(140mg)와 메틸렌클로라이드 (20 mL)를 투입하고 트리에틸아민 (0.27mL, 1.97mmol)를 투입한 후, 실온에서 30분간 교반시킨다. 2-시아노-벤젠설포닐클로라이드 (96mg, 0.474mmol)을 투입하고 12시간 상온에서 교반한 후 정제수 (10 ml)를 투입하여 반응을 종료 시킨다. 유기층을 분리한 뒤, 유기층을 포화 암모늄클로라이드 용액(15 ml)을 사용하여 씻어주고 유기층을 분리한 뒤, 마그네슘설페이트로 잔류 수분을 제거한다. 여과 후 감압 증류하여 용매를 제거하여 잔사를 얻어내고. 혼합물을 컬럼크로마토그래피(MC/MeOH = 15:1)로 분리하여 4-[2-(2-시아노-벤젠설포닐아미노)-2-메틸-프로피오닐아미노]-아다만탄-1-카르복시산 아마이드 (70 mg, 40%)를 얻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8.59 (s, -NH-SO2 , 1H), 8.13 (dd, 1H), 8.05(dd, 1H), 7.93(td, 1H), 7.81(td, 1H), 7.25(d, -NH-CO-, 1H), 7.03(s, NH2-CO-, 1H), 6.75(s, NH2-CO-, 1H), 3.20(s, 1H), 1.59-2.15 (m, 13H), 1.22 (s, 6H).
[실시예 4]
제조예 1. N-4-(1-(2-브로모페닐설폰아미도)싸이클로프로판카르복시아미도)아다만탄-1-카르복시아마이드 (화합물 131)의 합성.
1-카바모일싸이클로프로판카르복시산 (3.97g, 30.76 mmol)에 20 % NaOH (6.15g, 153.82 mmol)수용액을 0℃에서 투입 후, 10분간 교반시켰다. 혼합물에 브롬(1.7ml, 33.84 mmol)을 천천히 투입한 후, 온도를 40℃까지 올린 후 18h 교반시켰다. 반응혼합물을 0℃에서 CONC. HCl로 pH 5.4까지 맞춘 후, 농축시켰다. 농축시킨 침전물을 아세틱산으로 닦아주면서 여과 (X2)시켜준 후, 여과된 용액을 농축시켰다. 침전물에 에탄올을 넣고 0℃에서 결정화시킨 후, 여과하고 감압증류로 용매를 제거하여 1-아미노싸이클로프로판카르복시산 (1.46 g, 30.76 mmol, 47 %)를 얻었다.
1H NMR (400 MHz, D2O) δ 1.05 (dd, J = 1.2, 5.6 Hz, 2H), 1.59 (dd, J = 1.2,5.2 Hz, 2H).
1-아미노싸이클로프로판카르복시산 (1.46 g, 14.45 mmol)와 메탄올 (50 ml)을 투입하였다. 아이스 배스를 설치하고 싸이오닐클로라이드 (2.6 ml, 36.12 mmol)을 천천히 투입한 후, 아이스 배스를 제거하고 실온에서 4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감압증류로 용매를 제거 한 후, 60℃ 오븐에서 건조하여 메틸-1-아미노싸이클로프로판카르복실레이트 염산염 (2.08 g, 13.72 mmol, 98 %)을 얻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8.99 (br, 3H), 3.72 (s, 3H), 1.46 (m, 1H), 1.41 (m, 2H), 1.38 (m, 1H).
메틸-1-아미노싸이클로프로판카르복실레이트 염산염 (300 mg, 1.979 mmol)을 CH2Cl2 (7 ml)에 녹인 후, 2-브로모벤젠-1-설포닐 클로라이드 (550 mg, 2.17 mmol)와 트리에틸아민 (1.1 ml, 7.92 mmol)를 첨가하여 상온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액에 H2O를 첨가 한 뒤 CH2Cl2로 추출 (X2)하고 MgSO4로 건조, 여과하고 감압증류하여 용매를 제거하였다. 혼합물을 컬럼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여 메틸-1-(2-브로모페닐설폰아미도)싸이클로프로판카르복실레이트 (560 mg, 1.68 mmol, 85 %)을 얻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8.09 (dd, J = 2, 7.6 Hz, 1H), 7.78 (dd, J = 1.2, 7.6 Hz, 1H), 7.45 (m, 2H), 5.99 (s, -NH-SO2), 1.49 (m, 2H), 1.44 (m. 2H).
메틸-1-(2-브로모페닐설폰아미도)싸이클로프로판카르복실레이트 (500 mg, 1.49 mmol)를 투입하고 THF (3 ml), 메탄올 (3 ml)을 투입하여 녹인다. H2O(3 ml)에 녹인 LiOH·H2O를 투입하고 12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시킨다. 12시간 교반 후, 반응용액을 감압 농축 시킨 뒤, 2N-HCl로 pH 2~3 사이로 맞추고 EA로 추출 (X2)한다. 유기층을 MgSO4로 건조, 여과하고 감압증류로 용매를 제거하여 1-(2-브로모페닐설폰아미도)싸이클로프로판카르복시산 (469 mg, 1.46 mmol, 98 %)을 얻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12.51 (bs, -COOH), 8.82 (s, -NH-SO2), 7.94 (dd, J = 2, 8 Hz, 1H), 7.81 (dd, J = 1.2, 7.6 Hz, 1H), 7.53 (m, 2H), 1.23 (q, J = 4.8, 2H), 0.94 (q, J = 4.4 Hz, 2H).
1-(2-브로모페닐설폰아미도)싸이클로프로판카르복시산 (208 mg, 0.65 mmol), 4-아미노-아다만탄-1-카르복실레이트 하이드로클로라이드 (176 mg, 0.71 mmol), EDCI (375 mg, 1.95 mmol)을 투입하고 CH2Cl2 (4 ml)를 투입한 뒤, 30분 동안 실온에서 교반 후, DMAP (160 mg, 1.30 mmol)을 넣고서 상온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종료 후 CH2Cl2와 H2O를 사용하여 유기층을 분리하고서 유기층은 MgSO4로 건조, 여과하였다. 감압증류로 용매를 제거 후 컬럼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여 N-메틸-4-(1-(2-브로모페닐설폰아미도)싸이클로프로판카르복시아미도)아다만탄-1-카르복실레이트 (299 mg, 0.58 mmol, 90 %)을 얻었다.
(1s,3R,5S,7s)-4-(1-(2-브로모페닐설폰아미도)싸이클로프로판카르복시아미도) 아다만탄-1-카르복실산
N-메틸-4-(1-(2-브로모페닐설폰아미도)싸이클로프로판카르복시아미도)아다만탄-1-카르복실레이트 (241 mg, 0.47 mmol)를 투입하고 THF (4 ml), 메탄올 (4 ml)을 투입하여 녹인다. H2O(4 ml)에 녹인 LiOH·H2O를 투입하고 12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시킨다. 12시간 교반 후, 반응용액을 감압 농축 시킨 뒤, 2N-HCl로 pH 2~3 사이로 맞추고 EA로 추출 (X2)한다. 유기층을 MgSO4로 건조, 여과하고 감압증류로 용매를 제거하여 N- 메틸 -4-(1-(2-브로모페닐설폰아미도)싸이클로프로판카르복시아미도)아다만탄-1-카르복시산 (229 mg, 0.46 mmol, 98 %)을 얻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12.15 (bs, -COOH), 9.15 (s, -NH-SO2), 8.01 (dd, J = 2.4, 7.6 Hz, 1H), 7.87 (dd, J = 1.6, 7.6 Hz, 1H), 7.59 (m, 2H), 7.29 (d, J = 7.6 Hz, -NH-CO-), 3.75 (d, J = 7.2 Hz, 1H), 1.99-1.82 (m, 11H), 1.53 (m, 2H), 1.11 (q, J = 4 Hz, 2H), 0.67 (q, J = 4.4 Hz, 2H).
N-메틸-4-(1-(2-브로모페닐설폰아미도)싸이클로프로판카르복시아미도)아다만탄-1-카르복시산 (222 mg, 0.45 mmol)을 CH2Cl2 (8 ml)에 녹인 후, EDCI (171 mg, 0.89 mmol)와 HOBT (121 mg, 0.89 mmol)를 첨가하여 30분간 교반 후 30% NH4OH 수용액(4 ml)을 첨가하여 상온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액에 H2O를 첨가 한 뒤 CH2Cl2로 추출 (X3)하고 MgSO4로 건조, 여과하고 감압증류하여 용매를 제거하였다. 혼합물을 컬럼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여, N-메틸-4-(1-(2-브로모페닐설폰아미도)싸이클로프로판카르복시아미도)아다만탄-1-카르복시아마이드 (177 mg, 0.36 mmol, 80 %)를 얻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9.15 (s, -NH-SO2), 8.01 (dd, J = 2, 7.6 Hz, 1H), 7.88 (dd, J = 1.2, 7.2 Hz, 1H), 7.58 (m, 2H), 7.29 (d, J = 7.6 Hz, -NH-CO-), 7.03 (br, NH2-CO-), 6.77 (br, NH2-CO-), 3.76 (d, J = 7.2 Hz, 1H), 1.95-1.78 (m, 11H), 1.49 (m, 2H), 1.12 (q, J = 4.4 Hz, 2H), 0.67 (q, J = 4 Hz, 2H).
제조예 2. N-4-(1-(2-클로로페닐설폰아미도)싸이클로프로판카르복시아미도)아다만탄-1-카르복시아마이드 (화합물 132)의 합성.
상기 실시예 4 제조예 1과 동일조건으로 실시하되 1-(2-클로로페닐설폰아미도)싸이클로프로판카르복시산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을 수 있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9.27 (s, -NH-SO2), 7.97 (d, J = 7.2 Hz, 1H), 7.65 (m, 2H), 7.57 (m, 1H), 7.31 (d, J = 7.2 Hz, -NH-CO-), 7.03 (br, NH2-CO-), 6.76 (br, NH2-CO-), 3.75 (d, J = 6.8 Hz, 1H), 1.98-1.67 (m, 12H), 1.52 (m, 2H), 1.12 (q, J = 4.4 Hz, 2H), 0.71 (q, J = 4 Hz, 2H).
제조예 3. N-4-(1-(2-메틸-3-클로로페닐설폰아미도)싸이클로프로판카르복시아미도)아다만탄-1-카르복시아마이드 (화합물 133)의 합성.
상기 실시예 4 제조예 1과 동일조건으로 실시하되 1-(2-메틸-3-클로로페닐설폰아미도)싸이클로프로판카르복시산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을 수 있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9.14 (s, -NH-SO2), 7.82 (dd, J = 1.2, 8 Hz, 1H), 7.78 (m, 1H), 7.44 (t, J = 8 Hz, 1H), 7.20 (d, J = 7.6 Hz, -NH-CO-), 7.03 (br, NH2-CO-), 6.76 (br, NH2-CO-), 3.72 (d, J = 7.6 Hz, 1H), 2.77 (s, 3H), 1.94-1.76 (m, 11H), 1.48 (m, 2H), 1.13 (q, J = 4.4 Hz, 2H), 0.76 (q, J = 4.4 Hz, 2H).
제조예 4. N-4-(1-(2,6-디클로로페닐설폰아미도)싸이클로프로판카르복시아미도)아다만탄-1-카르복시아마이드 (화합물 134)의 합성.
상기 실시예 4 제조예 1과 동일조건으로 실시하되 1-(2,6-디클로로페닐설폰아미도)싸이클로프로판카르복시산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을 수 있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9.37 (s, -NH-SO2), 7.68 (m, 2H), 7.58 (m, 1H), 7.20 (d, J = 7.2 Hz, -NH-CO-), 7.03 (br, NH2-CO-), 6.77 (br, NH2-CO-), 3.75 (d, J = 7.6 Hz, 1H), 1.95-1.77 (m, 11H), 1.51 (m, 2H), 1.19 (q, J = 4.8 Hz, 2H), 0.73 (q, J = 4.4 Hz, 2H).
제조예 5. N-4-(1-(퀴놀린-8-설폰아미도)싸이클로프로판카르복시아미도)아다만탄-1-카르복시아마이드 (화합물 135)의 합성.
상기 실시예 4 제조예 1과 동일조건으로 실시하되 1-(퀴놀린-8-설폰아미도)싸이클로프로판카르복시산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을 수 있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9.07 (dd, J = 2, 4.4 Hz, 1H), 8.65 (s, -NH-SO2), 8.56 (dd, J = 1.6, 8.4 Hz, 1H), 8.32 (m, 2H), 7.53 (m, 2H), 7.35 (d, J = 8 Hz, -NH-CO-), 7.02 (br, NH2-CO-), 6.76 (br, NH2-CO-), 3.67 (d, J = 7.6 Hz, 1H), 1.88-1.75 (m, 11H), 1.43 (m, 2H), 1.07 (q, J = 4.4 Hz, 2H), 0.63 (q, J = 4 Hz, 2H).
제조예 6. N-4-(1-(2,3-디클로로페닐설폰아미도)싸이클로프로판카르복시아미도)아다만탄-1-카르복시아마이드 (화합물 136)의 합성.
상기 실시예 4 제조예 1과 동일조건으로 실시하되 2-(2,3-디클로로페닐설폰아미도)싸이클로프로판카르복시산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을 수 있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7.95 (m, 2H), 7.62 (s, -NH-SO2), 7.56 (t, J = 8 Hz, 1H), 7.29 (d, J = 8 Hz, -NH-CO-), 7.02 (br, NH2-CO-), 6.76 (br, NH2-CO-), 3.71 (d, J = 7.6 Hz, 1H), 1.93-1.77 (m, 11H), 1.48 (m, 2H), 1.12 (q, J = 4.4 Hz, 2H), 0.76 (q, J = 4.4 Hz, 2H).
[실시예 5]
제조예 1. N-(아다만탄-2-일)-1-(2-나이트로페닐설폰아미도)사이클로부탄카르복시아마이드 (화합물 137)의 합성.
1-아미노싸이클로부탄카르복시산 염산염 (5.2 g, 34.5 mmol)와 메탄올 (120 ml)를 투입하였다. 아이스 배스를 설치하고 싸이오닐클로라이드 (3.7 ml, 51.7 mmol)을 천천히 투입한 후, 아이스 배스를 제거하고 실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감압증류로 용매를 제거 한 후, 60℃ 오븐에서 건조하여 메틸-1-아미노싸이클로부탄카르복실레이트 염산염 (5.62 g, 37.1 mmol, 98 %)을 얻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8.94 (br, 3H), 3.79 (s, 3H), 2.47 (m, 4H), 2.07 (m, 2H).
메틸-1-아미노싸이클로부탄카르복실레이트 염산염 (300 mg, 1.81 mmol)을 CH2Cl2 (7 ml)에 녹인 후, 2-나이트로벤젠-1-설포닐 클로라이드 (441 mg, 1.99 mmol)와 트리에틸아민 (1 ml, 7.24 mmol)를 첨가하여 상온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액에 H2O를 첨가 한 뒤 CH2Cl2로 추출 (X2)하고 MgSO4로 건조, 여과하고 감압증류하여 용매를 제거하였다. 혼합물을 컬럼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여 메틸-1-(2-나이트로페닐설폰아미도)싸이클로부탄카르복실레이트 (512 mg, 1.63 mmol, 90 %)을 얻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18.03 (m, 1H), 7.95 (m, 1H), 7.75 (m, 2H), 6.14 (s, -NH-SO2), 3.48 (s, 3H), 2.61 (m, 2H), 2.51 (m, 2H), 2.03 (m, 2H).
메틸-1-(2-나이트로페닐설폰아미도)싸이클로부탄카르복실레이트 (500 mg, 1.59 mmol)를 투입하고 THF (5 ml), 메탄올 (5 ml)을 투입하여 녹인다. H2O(5 ml)에 녹인 LiOH·H2O를 투입하고 12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시킨다. 12시간 교반 후, 반응용액을 감압 농축 시킨 뒤, 2N-HCl로 pH 2~3 사이로 맞추고 EA로 추출 (X2)한다. 유기층을 MgSO4로 건조, 여과하고 감압증류로 용매를 제거하여 1-(2-나이트로페닐설폰아미도)싸이클로부탄카르복시산 (468 mg, 1.56 mmol, 98 %)을 얻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12.71 (bs, -COOH), 8.71 (s, -NH-SO2), 8.03 (m, 1H), 7.97 (m, 1H), 7.86 (m, 2H), 2.38 (m, 2H), 2.19 (m, 2H), 1.79 (m, 2H).
10-mL 플라스크에 1-(2-나이트로페닐설폰아미도)사이클로부탄카르보시산 (200 mg, 0.666 mmol), 2-아다만탄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 (150 mg, 0.799 mmol), BOP (295 mg, 0.667 mmol)을 투입하고 CH2Cl2 (3 ml)를 투입한 뒤, 30분 동안 실온에서 교반 후, DIPEA (0.28 ml, 1.60 mmol)을 넣고서 상온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종료 후 CH2Cl2와 H2O를 사용하여 유기층을 분리하고서 유기층은 MgSO4로 건조, 여과 후 혼합물은 컬럼크로마토그래피(EA/n-Hex = 1:2)를 이용하여 N-(아다만탄-2-일)-1-(2-나이트로페닐설폰아미도)사이클로부탄카르복시아마이드 (282 mg, 97 %)을 얻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8.15-8.21 (m, 1H), 7.96-8.01 (m, 1H), 7.76-7.80 (m, 2H), 6.80 (d, J = 7.6 Hz, -NH-CO-), 6.16 (s, -NH-SO2), 4.02 (d, J = 8.4 Hz, 1H), 2.61-2.68 (m, 2H), 2.10-2.20 (m, 2H), 1.95-2.03 (m, 2H), 1.6-1.95 (m, 14H).
제조예 2. N-(아다만탄-2-일)-1-(2-브로모페닐설폰아미도)사이클로부탄카르복시아마이드 (화합물 138)의 합성..
상기 실시예 5 제조예 1과 동일조건으로 실시하되 1-(2-브로모페닐설폰아미도)싸이클로부탄카르복시산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을 수 있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8.13-8.15 (m, 1H), 7.80-7.82 (m, 1H), 7.45-7.54 (m, 2H), 6.98 (d, J = 7.2 Hz, -NH-CO-), 5.81 (s, -NH-SO2), 5.62 (s, -NH2-CO-, 1H), 4.01 (d, J = 8.0 Hz, 1H), 2.53-2.59 (m, 2H), 2.01-2.08 (m, 4H), 1.59-1.95 (m, 14H)
제조예 3. N-(아다만탄-2-일)-4-(페닐설폰아미도)사이클로부탄카르복시아마이드 (화합물 139)의 합성.
상기 실시예 5 제조예 1과 동일조건으로 실시하되 1-(페닐설폰아미도)싸이클로부탄카르복시산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을 수 있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7.91-7.94 (m, 2H), 7.60-7.64 (m, 1H), 7.53-7.57 (m, 2H), 6.83 (d, J = 8.0 Hz, -NH-CO-), 5.34 (s, -NH-SO2), 3.98 (d, J = 8.0 Hz, 1H), 2.49-2.55 (m, 2H), 2.17-2.24 (m, 2H), 1.60-1.94 (m, 16H)
제조예 4. N-(아다만탄-2-일)-1-(2-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설폰아미도)사이클로부탄카르복시아마이드 (화합물 140)의 합성.
상기 실시예 5 제조예 1과 동일조건으로 실시하되 1-(2-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설폰아미도)싸이클로부탄카르복시산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을 수 있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8.24-8.26 (m, 1H), 7.92-7.96 (m, 1H), 7.72-7.78 (m, 2H), 6.82 (d, J = 8.0 Hz, -NH-CO-), 5.40 (s, -NH-SO2), 4.01 (d, J = 8.0 Hz, 1H), 2.53-2.60 (m, 2H), 1.99-2.12 (m, 4H), 1.6-1.94 (m, 14H).
제조예 5. N-(아다만탄-2-일)-1-(퀴놀린-8-설폰아미도)사이클로부탄카르복시아마이드 (화합물 141)의 합성.
상기 실시예 5 제조예 1과 동일조건으로 실시하되 1-(퀴놀린-8-설폰아미도)싸이클로부탄카르복시산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을 수 있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9.12 (dd, J = 1.6, 4.4 Hz, 1H), 8.41 (dd, J = 1.2, 7.6 Hz, 1H), 8.37 (dd, J = 1.2, 7.6 Hz, 1H), 8.12 (dd, J = 1.2, 7.6 Hz, 1H), 7.64-7.72 (m, 2H), 7.34 (s, -NH-SO2), 7.24 (d, J = 8.0 Hz, -NH-CO-), 4.04 (d, J = 7.6 Hz, 1H), 2.54-2.61(m, 2H), 1.67-1.99 (m, 16H), 1.31-1.32 (m, 2H).
제조예 6. N-(아다만탄-2-일)-1-(3-나이트로페닐설폰아미도)사이클로부탄카르복시아마이드 (화합물 142)의 합성.
상기 실시예 5 제조예 1과 동일조건으로 실시하되 1-(3-나이트로페닐설폰아미도)싸이클로부탄카르복시산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을 수 있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8.75 (t, J = 1.6 Hz, 1H), 8.45-8.48 (m, 1H), 8.22-8.25 (m, 1H), 7.77 (t, J = 8.0 Hz, 1H), 6.65 (d, J = 7.6 Hz, -NH-CO-), 5.67 (s, -NH-SO2), 3.93 (d, J = 8.0 Hz, 1H), 2.48-2.55 (m, 2H), 2.30-2.38 (m, 2H), 1.66-1.95 (m, 16H).
제조예 7. N-(아다만탄-2-일)-1-(4-나이트로페닐설폰아미도)사이클로부탄카르복시아마이드 (화합물 143)의 합성.
상기 실시예 5 제조예 1과 동일조건으로 실시하되 1-(4-나이트로페닐설폰아미도)싸이클로부탄카르복시산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을 수 있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8.8 (dt, J = 2.4, 8.8 Hz, 2H), 8.10 (dt, J = 2.4, 9.2 Hz, 2H), 6.61 (d, J = 7.6 Hz, -NH-CO-), 5.60 (s, -NH-SO2), 3.93 (d, J = 8.0 Hz, 1H), 2.46-2.53 (m, 2H), 2.31-2.38 (m, 2H), 1.66-1.95 (m, 16H)
제조예 8. N-(아다만탄-2-일)-1-(2-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설폰아미도)사이클로부탄카르복시아마이드 (화합물 144)의 합성.
상기 실시예 5 제조예 1과 동일조건으로 실시하되 1-(2-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설폰아미도)싸이클로부탄카르복시산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을 수 있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8.08 (dd, J = 2, 8 Hz, 1H), 7.68 (m, 1H), 7.46 (m, 2H), 6.89 (d, J = 8 Hz, -NH-CO-), 5.36 (s, -NH-SO2), 3.99 (d, J = 8.4 Hz, 1H), 2.57 (m, 2H), 2.04 (m, 2H), 1.96-1.86 (m, 12H), 1.74-1.67 (m, 4H).
[실시예 6]
제조예 1. N-4-(1-(2-나이트로페닐설폰아미도)싸이클로부탄카르복시아미도)아다만탄-1-카르복시아마이드 (화합물 145)의 합성
1-아미노싸이클로부탄카르복시산 염산염 (5.2 g, 34.5 mmol)와 메탄올 (120 ml)를 투입하였다. 아이스 배스를 설치하고 싸이오닐클로라이드 (3.7 ml, 51.7 mmol)을 천천히 투입한 후, 아이스 배스를 제거하고 실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감압증류로 용매를 제거 한 후, 60℃ 오븐에서 건조하여 메틸-1-아미노싸이클로부탄카르복실레이트 염산염 (5.62 g, 37.1 mmol, 98 %)을 얻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8.94 (br, 3H), 3.79 (s, 3H), 2.47 (m, 4H), 2.07 (m, 2H).
메틸-1-아미노싸이클로부탄카르복실레이트 염산염 (300 mg, 1.81 mmol)을 CH2Cl2 (7 ml)에 녹인 후, 2-나이트로벤젠-1-설폰일 클로라이드 (441 mg, 1.99 mmol)와 트리에틸아민 (1 ml, 7.24 mmol)를 첨가하여 상온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액에 H2O를 첨가 한 뒤 CH2Cl2로 추출 (X2)하고 MgSO4로 건조, 여과하고 감압증류하여 용매를 제거하였다. 혼합물을 컬럼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여 메틸-1-(2-나이트로페닐설본아미도)싸이클로부탄카르복실레이트 (512 mg, 1.63 mmol, 90 %)을 얻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8.03 (m, 1H), 7.95 (m, 1H), 7.75 (m, 2H), 6.14 (s, -NH-SO2), 3.48 (s, 3H), 2.61 (m, 2H), 2.51 (m, 2H), 2.03 (m, 2H).
메틸-1-(2-나이트로페닐설본아미도)싸이클로부탄카르복실레이트 (500 mg, 1.59 mmol)를 투입하고 THF (5 ml), 메탄올 (5 ml)을 투입하여 녹인다. H2O(5 ml)에 녹인 LiOH·H2O를 투입하고 12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시킨다. 12시간 교반 후, 반응용액을 감압 농축 시킨 뒤, 2N-HCl로 pH 2~3 사이로 맞추고 EA로 추출 (X2)한다. 유기층을 MgSO4로 건조, 여과하고 감압증류로 용매를 제거하여 메틸-1-(2-나이트로페닐설본아미도)싸이클로부탄카르복시산 (468 mg, 1.56 mmol, 98 %)을 얻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12.71 (bs, -COOH), 8.71 (s, -NH-SO2), 8.03 (m, 1H), 7.97 (m, 1H), 7.86 (m, 2H), 2.38 (m, 2H), 2.19 (m, 2H), 1.79 (m, 2H).
메틸-1-(2-나이트로페닐설본아미도)싸이클로부탄카르복시산 (452 mg, 1.51 mmol), 4-아미노-아다만탄-1-카르복실레이트 하이드로클로라이드 (406 mg, 1.65 mmol), EDCI (868 mg, 4.53 mmol)을 투입하고 CH2Cl2 (6 ml)를 투입한 뒤, 30분 동안 실온에서 교반 후, DMAP (369 mg, 3.02 mmol)을 넣고서 상온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종료 후 CH2Cl2와 H2O를 사용하여 유기층을 분리하고서 유기층은 MgSO4로 건조, 여과하였다. 감압증류로 용매를 제거 후 컬럼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여 N-메틸-4-(1-(2-나이트로페닐설폰아미도)싸이클로부탄카르복시아미도)아다만탄-1-카르복실레이트 (680 mg, 1.38 mmol, 92 %)을 얻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8.16 (m, 1H), 7.97 (m, 1H), 7.79 (m, 2H), 6.79 (d, J = 7.6 Hz, -NH-CO-), 6.15 (s, -NH-SO2), 4.02 (d, J =8.4 Hz, 1H), 3.68 (s, 3H), 2.63 (m, 2H), 2.15-1.83 (m, 15H), 1.62 (m, 2H).
N-메틸-4-(1-(2-나이트로페닐설폰아미도)싸이클로부탄카르복시아미도)아다만탄-1-카르복실레이트 (650 mg, 1.32 mmol)를 투입하고 THF (6 ml), 메탄올 (6 ml)을 투입하여 녹인다. H2O(6 ml)에 녹인 LiOH·H2O를 투입하고 12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시킨다. 12시간 교반 후, 반응용액을 감압 농축 시킨 뒤, 2N-HCl로 pH 2~3 사이로 맞추고 EA로 추출 (X2)한다. 유기층을 MgSO4로 건조, 여과하고 감압증류로 용매를 제거하여 N-메틸-4-(1-(2-나이트로페닐설폰아미도)싸이클로부탄카르복시아미도)아다만탄-1-카르복시산 (618 mg, 1.29 mmol, 98 %)을 얻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8.15 (m, 1H), 7.98 (m, 1H), 7.79 (m, 2H), 6.82 (d, J = 7.6 Hz, -NH-CO-), 6.18 (s, -NH-SO2), 4.03 (d, J = 8 Hz, 1H), 2.64 (m, 2H), 2.15-1.82 (m, 15H), 1.66 (m, 2H).
N-메틸-4-(1-(2-나이트로페닐설폰아미도)싸이클로부탄카르복시아미도)아다만탄-1-카르복시산 (600 mg, 1.25 mmol)을 CH2Cl2 (14 ml)에 녹인 후, EDCI (479 mg, 2.5 mmol)와 HOBT (337 mg, 2.5 mmol)를 첨가하여 30분간 교반 후 30% NH4OH 수용액(7 ml)을 첨가하여 상온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액에 H2O를 첨가 한 뒤 CH2Cl2로 추출 (X3)하고 MgSO4로 건조, 여과하고 감압증류하여 용매를 제거하였다. 혼합물을 컬럼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여, N-메틸-4-(1-(2-나이트로페닐설폰아미도)싸이클로부탄카르복시아미도)아다만탄-1-카르복시아마이드 (508 mg, 1.06 mmol, 85 %)를 얻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8.59 (s, -NH-SO2), 7.98 (m, 2H), 7.88 (m, 2H), 7.06 (d, J = 6.4 Hz, -NH-CO-), 6.99 (br, NH2-CO-), 6.73 (br, NH2-CO-), 3.55 (d, J = 6 Hz, 1H), 2.42 (m, 2H), 2.11 (m, 2H), 1.91-1.68 (m, 13H), 1.38 (m, 2H).
제조예 2. N-4-(1-(퀴놀린-8-설폰아미도)싸이클로부탄카르복시아미도)아다만탄-1-카르복시아마이드 (화합물 146)의 합성
상기 실시예 6 제조예 1과 동일조건으로 실시하되 1-(퀴놀린-8-설폰아미도)싸이클로부탄카르복시산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을 수 있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9.13 (dd, J =2, 4.4 Hz, 1H), 8.58 (dd, J = 1.6, 8.4 Hz, 1H), 8.29 (dd, J = 1.2, 8 Hz, 1H), 8.24 (dd, J = 1.2, 7.2 Hz, 1H), 8.17 (s, -NH-SO2), 7.75 (m, 2H), 7.05 (d, J = 7.2 Hz, -NH-CO-), 6.99 (br, NH2-CO-), 6.74 (br, NH2-CO-), 3.41 (d, J = 8 Hz, 1H), 2.31 (m, 2H), 2.01 (m, 2H), 1.83-1.58 (m, 11H), 1.48 (m, 2H), 1.32 (m, 2H).
제조예 3. N-4-(1-(3-트리플루오로메틸-4-나이트로페닐설폰아미도)싸이클로부탄카르복시아미도)아다만탄-1-카르복시아마이드 (화합물 147)의 합성
상기 실시예 6 제조예 1과 동일조건으로 실시하되 1-(3-트리플루오로메틸-4-나이트로페닐설폰아미도)싸이클로부탄카르복시산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을 수 있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8.75 (s, -NH-SO2), 8.39 (d, J = 8.4 Hz, 1H), 8.24 (dd, J = 1.6, 8.4 Hz, 1H), 8.16 (m ,1H), 6.99 (br, NH2-CO-), 6.86 (d, J = 7.2 Hz, -NH-CO-), 6.75 (br, NH2-CO-), 3.33 (d, J = J =5.2 Hz, 1H), 2.42 (m, 2H), 2.23 (m, 2H), 1.83-1.54 (m, 13H), 1.34 (m, 2H).
제조예 4. N-4-(1-(페닐설폰아미도)싸이클로부탄카르복시아미도)아다만탄-1-카르복시아마이드 (화합물 148)의 합성
상기 실시예 6 제조예 1과 동일조건으로 실시하되 1-(페닐설폰아미도)싸이클로부탄카르복시산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을 수 있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8.42 (s, -NH-SO2), 7.78 (m, 2H), 7.61 (m, 3H), 6.99 (br, NH2-CO-), 6.89 (d, J = 7.2 Hz, -NH-CO-), 6.74 (br, NH2-CO-), 3.43 (d, J = 7.6 Hz, 1H), 2.33 (m, 2H), 2.08 (m, 2H), 1.76-1.63 (m, 13H), 1.41 (m, 2H).
제조예 5. N-4-(1-(2-메틸-3-클로로페닐설폰아미도)싸이클로부탄카르복시아미도)아다만탄-1-카르복시아마이드 (화합물 149)의 합성
상기 실시예 6 제조예 1과 동일조건으로 실시하되 1-(2-메틸-3-클로로페닐설폰아미도)싸이클로부탄카르복시산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을 수 있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8.58 (s, -NH-SO2), 7.81 (dd, J = 0.8, 8 Hz, 1H), 7.73 (d, J = 8.4 Hz, 1H), 7.41 (t, J = 8.4 Hz, 1H), 7.02 (br, NH2-CO-), 6.97 (d, J = 7.6 Hz, -NH-CO-), 6.76 (br, NH2-CO-), 3.53 (d, J = 6.8 Hz, 1H), 2.71 (s, 3H), 2.37 (m, 2H), 2.08 (m, 2H), 1.91-1.62 (m, 13H), 1.43 (m, 2H).
제조예 6. N-4-(1-(3-나이트로-4-메틸페닐설폰아미도)싸이클로부탄카르복시아미도)아다만탄-1-카르복시아마이드 (화합물 150)의 합성
상기 실시예 6 제조예 1과 동일조건으로 실시하되 1-(3-나이트로-4-메틸페닐설폰아미도)싸이클로부탄카르복시산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을 수 있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8.56 (s, -NH-SO2), 8.26 (d, J = 2 Hz, 1H), 7.92 (dd, J =2, 8 Hz, 1H)_, 7.73 (d, J = 8.4 Hz, 1H), 7.00 (br, NH2-CO-), 6.88 (d, J = 7.2 Hz, -NH-CO-), 6.75 (br, NH2-CO-), 3.32 (d, J = 6.8 Hz, 1H), 2.61 (s, 3H), 2.39 (m, 2H), 2.17 (m, 2H), 1.84-1.59 (m, 13H), 1.34 (m, 2H).
제조예 7. N-4-(1-(3-플루오로-4-메틸페닐설폰아미도)싸이클로부탄카르복시아미도)아다만탄-1-카르복시아마이드 (화합물 151)의 합성
상기 실시예 6 제조예 1과 동일조건으로 실시하되 1-(3-플루오로-4-메틸닐설폰아미도)싸이클로부탄카르복시산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을 수 있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8.43 (s, -NH-SO2), 7.49 (m, 3H), 7.01 (br, NH2-CO-), 6.88 (d, J = 7.2 Hz, -NH-CO-), 6.75 (br, NH2-CO-), 3.44 (d, J = 6.8 Hz, 1H), 2.33 (m, 5H), 2.14 (m, 2H), 1.86-1.62 (m, 13H), 1.38 (m, 2H).
제조예 8. N-4-(1-(2-클로로페닐설폰아미도)싸이클로부탄카르복시아미도)아다만탄-1-카르복시아마이드 (화합물 152)의 합성
상기 실시예 6 제조예 1과 동일조건으로 실시하되 1-(2-클로로페닐설폰아미도)싸이클로부탄카르복시산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을 수 있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8.67 (s, -NH-SO2), 7.95 (dd, J = 1.2, 7.6 Hz, 1H), 7.68 (m, 2H), 7.54 (m, 1H), 7.05 (d, J = 7.6 Hz, -NH-CO-), 7.02 (br, NH2-CO-), 6.76 (br, NH2-CO-), 3.64 (d, J = 6 Hz, 1H), 2.34 (m, 2H), 2.01 (m, 2H), 1.98-1.75 (m, 11H), 1.61 (m, 2H), 1.44 (m, 2H).
제조예 9. N-4-(1-(2,4-디클로로페닐설폰아미도)싸이클로부탄카르복시아미도)아다만탄-1-카르복시아마이드 (화합물 153)의 합성
상기 실시예 6 제조예 1과 동일조건으로 실시하되 1-(2,4-디클로로페닐설폰아미도)싸이클로부탄카르복시산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을 수 있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8.73 (s, -NH-SO2), 7.92 (m, 2H), 7.64 (dd, J = 2.8, 8.4 Hz, 1H), 7.03 (d, J = 7.6 Hz, -NH-CO-), 7.01 (br, NH2-CO-), 6.77 (br, NH2-CO-), 3.61 (d, J = 6.8 Hz, 1H), 2.38 (m, 2H), 2.01 (m, 2H), 1.92-1.76 (m, 11H), 1.62 (m, 2H).
제조예 10. N-4-(1-(3-플루오로-4-메톡시페닐설폰아미도)싸이클로부탄카르복시아미도)아다만탄-1-카르복시아마이드 (화합물 154)의 합성
상기 실시예 6 제조예 1과 동일조건으로 실시하되 1-(3-플루오로-4-메톡시페닐설폰아미도)싸이클로부탄카르복시산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을 수 있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8.33 (s, -NH-SO2), 7.53 (m, 2H), 7.35 (t, J = 8.4 Hz, 1H), 7.02 (br, NH2-CO-), 6.89 (d, J = 7.2 Hz, -NH-CO-), 6.76 (br, NH2-CO-), 3.92 (s, 3H), 3.46 (d, J = 6 Hz, 1H), 2.33 (m, 2H), 2.08 (m, 2H), 1.86-1.64 (m, 13H), 1.39 (m, 2H).
제조예 11. N-4-(1-(2-브로모페닐설폰아미도)싸이클로부탄카르복시아미도)아다만탄-1-카르복시아마이드 (화합물 155)의 합성
상기 실시예 6 제조예 1과 동일조건으로 실시하되 1-(2-브로모페닐설폰아미도)싸이클로부탄카르복시산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을 수 있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8.64 (s, -NH-SO2), 7.98 (dd, J = 2, 7.6 Hz, 1H), 7.88 (dd, J = 1.2, 7.6 Hz, 1H), 7.57 (m, 2H), 7.07 (d, J = 7.6 Hz, -NH-CO-), 7.03 (br, NH2-CO-), 6.77 (br, NH2-CO-), 3.67 (d, J = 7.2 Hz, 1H), 2.33 (m, 2H), 1.94-1.84 (m, 11H), 1.75 (m, 2H), 1.61 (m, 2H), 1.45 (m, 2H).
제조예 12. N-4-(1-(2-메틸페닐설폰아미도)싸이클로부탄카르복시아미도)아다만탄-1-카르복시아마이드 (화합물 156)의 합성
상기 실시예 6 제조예 1과 동일조건으로 실시하되 1-(2-메틸페닐설폰아미도)싸이클로부탄카르복시산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을 수 있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8.45 (s, -NH-SO2), 7.79 (d, J = 7.6 Hz, 1H), 7.53 (m, 1H), 7.41 (m, 2H), 7.02 (d, J = 7.2 Hz, -NH-CO-), 7.01 (br, NH2-CO-), 6.76 (br, NH2-CO-), 3.61 (d, J = 7.2 Hz, 1H), 2.64 (s, 3H), 2.33 (m, 2H), 1.98 (m, 2H), 1.98-1.74 (m, 11H), 1.62 (m, 2H), 1.43 (m, 2H).
제조예 13. N-4-(1-(2-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설폰아미도)싸이클로부탄카르복시아미도)아다만탄-1-카르복시아마이드 (화합물 157)의 합성
상기 실시예 6 제조예 1과 동일조건으로 실시하되 1-(2-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설폰아미도)싸이클로부탄카르복시산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을 수 있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8.53 (s, -NH-SO2), 8.14 (d, J = 7.6 Hz, 1H), 7.97 (m, 1H), 7.88 (m, 2H), 7.03 (br, NH2-CO-), 7.02 (br, -NH-CO-), 6.76 (br, NH2-CO-), 3.61 (d, J = 7.2 Hz, 1H), 2.37 (m, 2H), 2.04 (m, 2H), 1.88-1.65 (m, 13H), 1.42 (m, 2H).
제조예 14. N-4-(1-(2,3-디클로로페닐설폰아미도)싸이클로부탄카르복시아미도)아다만탄-1-카르복시아마이드 (화합물 158)의 합성
상기 실시예 6 제조예 1과 동일조건으로 실시하되 1-(2,3-디클로로페닐설폰아미도)싸이클로부탄카르복시산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을 수 있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8.83 (s, -NH-SO2), 7.94 (m, 2H), 7.56 (t, J = 8 Hz, 1H), 7.02 (br, -NH-CO-), 6.96 (br, NH2-CO-), 6.76 (br, NH2-CO-), 3.54 (d, J = 6.8 Hz, 1H), 2.38 (m, 2H), 2.15 (m, 2H), 1.84-1.78 (m, 11H), 1.62 (m, 2H), 1.35 (m, 2H).
제조예 15. N-4-(1-(2-플루오로-3-클로로페닐설폰아미도)싸이클로부탄카르복시아미도)아다만탄-1-카르복시아마이드 (화합물 159)의 합성
상기 실시예 6 제조예 1과 동일조건으로 실시하되 1-(2-플루오로-3-클로로페닐설폰아미도)싸이클로부탄카르복시산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을 수 있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8.78 (s, -NH-SO2), 7.91 (m, 1H), 7.69 (m, 1H), 7.41 (t, J = 8 Hz, 1H), 7.01 (br, NH2-CO-), 6.98 (d, J = 7.2 Hz, -NH-CO-), 6.76 (br, NH2-CO-), 3.38 (d, J = 6.8 Hz, 1H), 2.38 (m, 2H), 2.37(m, 2H), 1.79-1.61 (m, 13H), 1.41 (m, 2H).
제조예 16. N-4-(1-(2-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설폰아미도)싸이클로부탄카르복시아미도)아다만탄-1-카르복시아마이드 (화합물 160)의 합성
상기 실시예 6 제조예 1과 동일조건으로 실시하되 1-(2-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설폰아미도)싸이클로부탄카르복시산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을 수 있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8.02 (dd, J = 1.6 Hz, 8.0 Hz, 1H), 7.66-7.72 (m, 1H), 7.40-7.51 (m, 2H), 6.93 (d, J = 8.0 Hz, -NH-CO-), 5.60 (s, -NH2-CO-, 1H), 5.38 (s, -NH-SO2), 5.24 (s, -NH2-CO-, 1H), 4.01 (d, J = 8.8 Hz, 1H), 2.57-2.61 (m, 2H), 1.63-2.20 (m, 17H).
제조예 17. N-4-(1-(2,4,5-트리클로로페닐설폰아미도)싸이클로부탄카르복시아미도)아다만탄-1-카르복시아마이드 (화합물 161)의 합성
상기 실시예 6 제조예 1과 동일조건으로 실시하되 1-(2,4,5-트리클로로페닐설폰아미도)싸이클로부탄카르복시산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을 수 있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8.81 (s, -NH-SO2 , 1H), 8.17 (s, 1H), 8.01(s, 1H), 7.02(s, -NH-CO-, NH2-CO-, 2H), 6.77(s, NH2-CO-, 1H), 3.57(s, 1H), 1.59-2.15 (m, 13H), 1.45-2.46 (m, 6H).
제조예 18. N-4-(1-(2-클로로-4-브로모페닐설폰아미도)싸이클로부탄카르복시아미도)아다만탄-1-카르복시아마이드 (화합물 162)의 합성
상기 실시예 6 제조예 1과 동일조건으로 실시하되 1-(2-클로로-4-브로모페닐설폰아미도)싸이클로부탄카르복시산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을 수 있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8.71 (s, -NH-SO2 , 1H), 8.03 (s, 1H), 7.84(d, 1H), 7.76(d, 1H), 7.02(s, NH2-CO-, 1H), 6.99(d, -NH-CO-, 1H), 6.76(s, NH2-CO-, 1H), 3.61(s, 1H), 1.59-2.15 (m, 13H), 1.45-2.46 (m, 6H).
제조예 19. N-4-(1-(2,5-디플루오로페닐설폰아미도)싸이클로부탄카르복시아미도)아다만탄-1-카르복시아마이드 (화합물 163)의 합성
상기 실시예 6 제조예 1과 동일조건으로 실시하되 1-(2,5-디플루오로페닐설폰아미도)싸이클로부탄카르복시산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을 수 있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7.58-7.62 (m, 1H), 7.25-7.42 (m, 2H), 6.85 (d, J = 7.6 Hz, -NH-CO-), 5.67 (s, -NH-SO2), 5.62 (s, -NH2-CO-, 1H), 5.31 (s, -NH2-CO-, 1H), 3.98 (d, J = 7.6 Hz, 1H), 2.56-2.62 (m, 2H), 1.60-2.20 (m, 17H).
제조예 20. N-4-(1-(2-플루오로-5-메틸페닐설폰아미도)싸이클로부탄카르복시아미도)아다만탄-1-카르복시아마이드 (화합물 164)의 합성
상기 실시예 6 제조예 1과 동일조건으로 실시하되 1-(2-플루오로-5-메틸페닐설폰아미도)싸이클로부탄카르복시산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을 수 있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8.63 (s, -NH-SO2-), 7.49-7.54 (m, 2H), 7.33 (dd, J =8.4 Hz, 10.0 Hz, 1H), 7.02 (s, -NH2-CO-, 1H), 6.97 (d, J =8.4 Hz, -NH-CO-), 6.76 (s, -NH2-CO-, 1H), 3.55 (d, J = 6.4 Hz, 1H), 2.34 (m, 7H), 2.04-2.11 (m, 2H), 1.42-1.89 (m, 13H).
제조예 21. N-4-(1-(2-메틸-5-플루오로페닐설폰아미도)싸이클로부탄카르복시아미도)아다만탄-1-카르복시아마이드 (화합물 165)의 합성
상기 실시예 6 제조예 1과 동일조건으로 실시하되 1-(2-메틸-5-플루오로페닐설폰아미도)싸이클로부탄카르복시산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을 수 있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8.60 (s, -NH-SO2-), 7.54 (dd, J = 2.8 Hz, 8.8Hz, 1H), 7.31-7.48 (m, 2H), 7.02 (m, 2H), 6.76 (s, -NH2-CO-, 1H), 3.57 (d, J = 6.4 Hz, 1H), 2.59 (s, 3H), 2.31-2.38 (m, 4H), 2.01-2.08 (m, 2H), 1.45-1.89 (m, 13H)
제조예 20. N-4-(1-(4-(디플루오로메톡시)페닐설폰아미도)싸이클로부탄카르복시아미도)아다만탄-1-카르복시아마이드 (화합물 166)의 합성
상기 실시예 6 제조예 1과 동일조건으로 실시하되 1-(4-(디플루오로메톡시)페닐설폰아미도)싸이클로부탄카르복시산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을 수 있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8.42 (s, -NH-SO2), 7.76-7.83 (m, 2H), 7.37 (s, 1H), 7.34 (d, J = 2.8 Hz, 2H), 6.99 (s, NH2-CO-), 6.89 (d, J = 7.2 Hz, -NH-CO-), 6.73 (s, NH2-CO-), 3.51 (d, J = 7.2 Hz, 1H), 2.31-2.38 (m, 2H), 2.05- 2.15 (m, 2H), 1.39-1.87 (m, 15H).
[실시예 7]
제조예 1. N-4-(1-(3-클로로-2-메틸페닐설폰아미도)싸이클로펜탄카르복시아미도)아다만탄-1-카르복시아마이드 (화합물 167)의 합성
1-아미노싸이클로펜탄카르복시산 (3.5 g, 26.9 mmol)와 메탄올 (100 ml)를 투입하였다. 아이스 배스를 설치하고 싸이오닐클로라이드 (3.9 ml, 53.9 mmol)을 천천히 투입한 후, 아이스 배스를 제거하고 실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감압증류로 용매를 제거 한 후, 60℃ 오븐에서 건조하여 메틸-1-아미노싸이클로펜탄카르복실레이트 염산염 (4.74 g, 26.4 mmol, 98 %)을 얻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8.76 (br, 3H), 3.75 (s, 3H), 2.12 (m, 2H), 1.88 (m, 4H), 1.72 (m, 2H).
메틸-1-아미노싸이클로펜탄카르복실레이트 염산염 (300 mg, 1.67 mmol)을 CH2Cl2 (7 ml)에 녹인 후, 3-클로로-2-메틸벤젠-1-설포닐 클로라이드 (413 mg, 1.83 mmol)와 트리에틸아민 (0.9 ml, 6.68 mmol)를 첨가하여 상온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액에 H2O를 첨가 한 뒤 CH2Cl2로 추출 (X2)하고 MgSO4로 건조, 여과하고 감압증류하여 용매를 제거하였다. 혼합물을 컬럼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여 메틸-1-(3-클로로-2-메틸페닐설폰아미도)싸이클로펜탄카르복실레이트 (554 mg, 1.67 mmol, 90 %)을 얻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7.95 (dd, J = 1.2, 8 Hz, 1H), 7.59 (dd, J = 0.8, 8 Hz, 1H), 7.27 (t, J = 8 Hz, 1H), 5.14 (s, -NH-SO2), 3.69 (s, 3H), 2.73 (s, 3H), 2.09 (m, 2H), 1.88 (m, 2H), 1.68 (m, 2H), 1.59 (m, 2H).
메틸-1-(3-클로로-2-메틸페닐설폰아미도)싸이클로펜탄카르복실레이트 (550 mg, 1.65 mmol)를 투입하고 THF (5 ml), 메탄올 (5 ml)을 투입하여 녹인다. H2O(5 ml)에 녹인 LiOH·H2O를 투입하고 12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시킨다. 12시간 교반 후, 반응용액을 감압 농축 시킨 뒤, 2N-HCl로 pH 5~6 사이로 맞추고 EA로 추출 (X2)한다. 유기층을 MgSO4로 건조, 여과하고 감압증류로 용매를 제거하여 1-(3-클로로-2-메틸페닐설폰아미도)싸이클로펜탄카르복시산 (516 mg, 1.62 mmol, 98 %)을 얻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12.59 (bs, -COOH), 8.32 (s, -NH-SO2), 7.84 (dd, J = 0.8, 8 Hz, 1H), 7.69 (dd, J = 1.2, 8 Hz, 1H), 7.39 (t, J = 8 Hz, 1H), 2.62 (s, 3H), 1.85 (m, 4H), 1.51 (m, 2H), 1.23 (m. 2H).
1-(3-클로로-2-메틸페닐설폰아미도)싸이클로펜탄카르복시산 (253 mg, 0.79 mmol), 4-아미노-아다만탄-1-카르복실레이트 하이드로클로라이드 (215 mg, 2.87 mmol), EDCI (457 mg, 2.38 mmol)을 투입하고 CH2Cl2 (4 ml)를 투입한 뒤, 30분 동안 실온에서 교반 후, DMAP (194 mg, 1.59 mmol)을 넣고서 상온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종료 후 CH2Cl2와 H2O를 사용하여 유기층을 분리하고서 유기층은 MgSO4로 건조, 여과하였다. 감압증류로 용매를 제거 후 컬럼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여 N-메틸-4-(1-(3-클로로-2-메틸페닐설폰아미도)싸이클로펜탄카르복시아미도)아다만탄-1-카르복실레이트 (364 mg, 0.72 mmol, 90 %)을 얻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7.98 (dd, J = 1.2, 8 Hz, 1H), 7.62 (dd, J = 0.8, 8 Hz, 1H), 7.31 (t, J = 8 Hz, 1H), 7.11 (d, J = 8 Hz, -NH-CO-), 5.01 (s, -NH-SO2), 3.99 (d, J = 8 Hz, 1H), 3.69 (s, 3H), 2.69 (s, 3H), 2.19 (m, 2H), 2.06-1.86 (m, 13H), 1.67 (m, 4H), 1.26 (m, 2H).
N-메틸-4-(1-(3-클로로-2-메틸페닐설폰아미도)싸이클로펜탄카르복시아미도)아다만탄-1-카르복실레이트 (360 mg, 0.71 mmol)를 투입하고 THF (4 ml), 메탄올 (4 ml)을 투입하여 녹인다. H2O(4 ml)에 녹인 LiOH·H2O를 투입하고 12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시킨다. 12시간 교반 후, 반응용액을 감압 농축 시킨 뒤, 2N-HCl로 pH 2~3 사이로 맞추고 EA로 추출 (X2)한다. 유기층을 MgSO4로 건조, 여과하고 감압증류로 용매를 제거하여 N-메틸-4-(1-(3-클로로-2-메틸페닐설폰아미도)싸이클로펜탄카르복시아미도)아다만탄-1-카르복시산 (343 mg, 0.69 mmol, 98 %)을 얻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12.26 (bs, -COOH), 8.39 (s, -NH-SO2), 7.88 (dd, J = 0.8, 8 Hz, 1H), 7.75 (dd, J = 0.8, 8 Hz, 1H), 7.42 (t, J = 8 Hz, 1H), 7.17 (d, J = 7.2 Hz, -NH-CO-), 3.70 (d, J = 6.8 Hz, 1H), 2.54 (s, 3H), 1.95-1.76 (m, 13H), 1.53 (m, 4H), 1.29 (m, 2H), 1.17 (m, 2H).
N-메틸-4-(1-(3-클로로-2-메틸페닐설폰아미도)싸이클로펜탄카르복시아미도)아다만탄-1-카르복시산 (337 mg, 0.68 mmol)을 CH2Cl2 (10 ml)에 녹인 후, EDCI (261 mg, 1.36 mmol)와 HOBT (184 mg, 1.36 mmol)를 첨가하여 30분간 교반 후 30% NH4OH 수용액(5 ml)을 첨가하여 상온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액에 H2O를 첨가 한 뒤 CH2Cl2로 추출 (X3)하고 MgSO4로 건조, 여과하고 감압증류하여 용매를 제거하였다. 혼합물을 컬럼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여, N-메틸-4-(1-(3-클로로-2-메틸페닐설폰아미도)싸이클로펜탄카르복시아미도)아다만탄-1-카르복시아마이드 (286 mg, 0.58 mmol, 85 %)를 얻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8.39 (s, -NH-SO2), 7.86 (dd, J = 0.8, 8 Hz, 1H), 7.74 (d, J = 8 Hz, 1H), 7.42 (t, J =8 Hz, 1H), 7.17 (d, J = 7.2 Hz, -NH-CO-), 7.04 (br, NH2-CO-), 6.78 (br, NH2-CO-), 3.71 (d, J = 7.2 Hz, 1H), 2.71 (s, 3H), 1.94-1.66 (m, 15H), 1.47 (m, 4H), 1.12 (m, 2H).
제조예 2. N-4-(1-(퀴놀린-8-설폰아미도)싸이클로펜탄카르복시아미도)아다만탄-1-카르복시아마이드 (화합물 168)의 합성
상기 실시예 7 제조예 1과 동일조건으로 실시하되 1-(퀴놀린-8-설폰아미도)싸이클로펜탄카르복시산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을 수 있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9.11 (dd, J = 1.2, 4 Hz, 1H), 8.58 (dd, J = 2, 8.4 Hz, 1H), 8.31 (m, 2H), 7.84 (s, -NH-SO2), 7.75 (m, 2H), 7.42 (d, J = 7.6 Hz, -NH-CO-), 7.05 (br, NH2-CO-), 6.78 (br, NH2-CO-), 3.76 (d, J = 7.2 Hz, 1H), 2.02-1.78 (m, 15H), 1.51 (m, 2H), 1.22 (m, 2H).
제조예 3. N-4-(1-(2-메틸페닐설폰아미도)싸이클로펜탄카르복시아미도)아다만탄-1-카르복시아마이드 (화합물 169)의 합성
상기 실시예 7 제조예 1과 동일조건으로 실시하되 1-(2-메틸페닐설폰아미도)싸이클로펜탄카르복시산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을 수 있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8.19 (s, -NH-SO2), 7.83 (d, J = 8 Hz, 1H), 7.52 (m, 1H), 7.39 (m, 2H), 7.23 (d, J = 7.2 Hz, -NH-CO-), 7.05 (br, NH2-CO-), 6.78 (br, NH2-CO-), 3.75 (d, J = 7.6 Hz, 1H), 2.62 (s, 3H), 1.89-1.79 (m, 15H), 1.43 (m, 4H), 0.98 (m, 2H).
제조예 4. N-4-(1-(2-클로로페닐설폰아미도)싸이클로펜탄카르복시아미도)아다만탄-1-카르복시아마이드 (화합물 170)의 합성
상기 실시예 7 제조예 1과 동일조건으로 실시하되 1-(2-클로로페닐설폰아미도)싸이클로펜탄카르복시산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을 수 있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8.09 (s, -NH-SO2), 7.99 (d, J = 6.8 Hz, 1H), 7.67 (m, 2H), 7.55 (m, 1H), 7.24 (d, J = 7.6 Hz, -NH-CO-), 7.05 (br, NH2-CO-), 6.78 (br, NH2-CO-), 3.78 (d, J = 7.2 Hz, 1H), 1.99-1.68 (m, 15H), 1.48 (m, 4H), 1.02 (m, 2H).
제조예 5. N-4-(1-(페닐설폰아미도)싸이클로펜탄카르복시아미도)아다만탄-1-카르복시아마이드 (화합물 171)의 합성
상기 실시예 7 제조예 1과 동일조건으로 실시하되 1-(페닐설폰아미도)싸이클로펜탄카르복시산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을 수 있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7.82 (m ,2H), 7.65 (s, -NH-SO2), 7.62 (m, 3H), 7.14 (d, J =7.2 Hz, -NH-CO-), 7.02 (br, NH2-CO-), 6.76 (br, NH2-CO-), 3.56 (d, J = 6.4 Hz, 1H), 1.89-1.75 (m, 15H), 1.45 (m, 4H), 1.21 (m, 2H).
제조예 6. N-4-(1-(2-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설폰아미도)싸이클로펜탄카르복시아미도)아다만탄-1-카르복시아마이드 (화합물 172)의 합성
상기 실시예 7 제조예 1과 동일조건으로 실시하되 1-(2-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설폰아미도)싸이클로펜탄카르복시산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을 수 있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8.26 (s, -NH-SO2), 8.19 (d, J = 7.6 Hz, 1H), 7.98 (d, J = 7.2 Hz, 1H), 7.87 (m, 2H), 7.19 (d, J = 6.8 Hz, -NH-CO-), 7.03 (br, NH2-CO-), 6.76 (br, NH2-CO-), 3.75 (d, J = 7.2 Hz, 1H), 1.96-1.77 (m, 15H), 1.46 (m, 4H), 1.21 (m, 2H).
제조예 7. N-4-(1-(2-나이트로페닐설폰아미도)싸이클로펜탄카르복시아미도)아다만탄-1-카르복시아마이드 (화합물 173)의 합성
상기 실시예 7 제조예 1과 동일조건으로 실시하되 1-(2-나이트로페닐설폰아미도)싸이클로펜탄카르복시산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을 수 있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8.35 (s, -NH-SO2), 8.07 (m, 1H), 8.01 (m, 1H), 7.87 (m, 2H), 7.17 (d, J = 7.6 Hz, -NH-CO-), 7.02 (br, NH2-CO-), 6.75 (br, NH2-CO-), 3.71 (d, J = 6.8 Hz, 1H), 1.99-1.76 (m, 15H), 1.48 (m, 4H), 1.27 (m, 2H).
제조예 8. N-4-(1-(2-브로모페닐설폰아미도)싸이클로펜탄카르복시아미도)아다만탄-1-카르복시아마이드 (화합물 174)의 합성
상기 실시예 7 제조예 1과 동일조건으로 실시하되 1-(2-브로모페닐설폰아미도)싸이클로펜탄카르복시산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을 수 있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8.31 (s, -NH-SO2), 8.03 (dd, J =2, 7.6 Hz, 1H), 7.88 (dd, J = 1.2, 7.6 Hz, 1H), 7.56 (m, 2H), 7.26 (d, J = 7.6 Hz, -NH-CO-), 7.03 (br, NH2CO-), 6.76 (br, NH2-CO-), 3.79 (d, J =7.2 Hz, 1H), 2.01-1.78 (m, 15H), 1.48 (m, 4H), 1.12 (m, 2H).
제조예 9. N-4-(1-(2,6-디클로로페닐설폰아미도)싸이클로펜탄카르복시아미도)아다만탄-1-카르복시아마이드 (화합물 175)의 합성
상기 실시예 7 제조예 1과 동일조건으로 실시하되 1-(2,6-디클로로페닐설폰아미도)싸이클로펜탄카르복시산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을 수 있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8.57 (s, -NH-SO2), 7.68 (m, 2H), 7.57 (m, 1H), 7.18 (d, J = 7.6 Hz, -NH-CO-), 7.04 (br, NH2-CO-), 6.76 (br, NH2-CO-), 3.79 (d, J = 7.2 Hz, 1H), 1.98-1.78 (m, 15H), 1.49 (m, 4H), 1.08 (m, 2H).
제조예 10. N-4-(1-(2,3-디클로로페닐설폰아미도)싸이클로펜탄카르복시아미도)아다만탄-1-카르복시아마이드 (화합물 176)의 합성
상기 실시예 7 제조예 1과 동일조건으로 실시하되 1-(2,3-디클로로페닐설폰아미도)싸이클로펜탄카르복시산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을 수 있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8.48 (s, -NH-SO2), 7.98 (m, 2H), 7.57 (t, J = 8 Hz, 1H), 7.18 (d, J = 7.6 Hz, -NH-CO-), 7.03 (br, NH2-CO-), 6.76 (br, NH2-CO-), 3.74 (d, J = 7.2 Hz, 1H), 1.96-1.77 (m, 15H), 1.49 (m, 4H), 1.12 (m, 2H).
제조예 11. N-4-(1-(2-플루오로-3-클로로페닐설폰아미도)싸이클로펜탄카르복시아미도)아다만탄-1-카르복시아마이드 (화합물 177)의 합성
상기 실시예 7 제조예 1과 동일조건으로 실시하되 1-(2-플루오로-3-클로로페닐설폰아미도)싸이클로펜탄카르복시산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을 수 있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8.62 (s, -NH-SO2), 7.92 (m, 1H), 7.76 (m, 1H), 7.42 (t, J = 7.6 Hz, 1H), 7.13 (d, J = 7.2 Hz, -NH-CO-), 7.03 (br, NH2-CO-), 6.77 (br, NH2-CO-), 3.57 (d, J = 6.8 Hz, 1H), 1.91-1.76 (m, 15H), 1.46 (m, 4H), 1.23 (m, 2H).
[실시예 8]
제조예 1. N-4-(1-(2-브로모페닐설폰아미도)싸이클로헥산카르복시아미도)아다만탄-1-카르복시아마이드 (화합물 178)의 합성.
100-mL 플라스크에 1-아미노-싸이클로헥산카르복시산(3.0 g, 20.9 mmol)와 메탄올(50mL)를 투입한다. 아이스 배스로 온도를 0~5℃로 냉각하고 싸이오닐클로라이드(7.6 mL, 104mmol)을 천천히 투입하고 투입완료 후, 아이스 배스를 제거하고 실온에서 2 day 동안 교반시킨다. 감압증류로 용매를 제거 한 후, 에틸에테르 (50ml)를 투입하고 실온에서 30분 동안 교반 후, 여과한다. 여과한 고체를 60℃ 오븐에서 건조하여 1-아미노-싸이클로헥산카르복시산 메틸에스터 염산염 (3.2 g, 79 %)을 얻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8.73 (s, 3H), 3.75 (s, CH3-CO2-, 3H), 1.40-1.97 (m, 10H)..
50-mL 플라스크에 1-아미노-싸이클로헥산카르복시산 메틸에스터 염산염(350mg, 1.80mmol) 과 메틸렌클로라이드 (20 mL)를 투입하고 트리에틸아민 (0.836mL, 5.99mmol)를 투입한 후, 실온에서 30분간 교반시킨다. 2-브로모-벤젠설포닐클로라이드 (383mg, 1.49mmol)을 투입하고 12시간 동안 상온에서 교반한 후 정제수 (10 ml)를 투입하여 반응을 종료 시킨다. 유기층을 분리한 뒤, 유기층을 포화 암모늄클로라이드 용액 (20 ml)을 사용하여 씻어주고 유기층을 분리한 뒤, 마그네슘설페이트로 잔류 수분을 제거한다. 여과 후 감압증류하여 용매를 제거하여 잔사를 얻고 혼합물을 컬럼크로마토그래피 (EA/n-Hex=1:5)로 분리하여 1-(2-브로모-벤젠설포닐아미노)-싸이클로헥산카르복시산 메틸에스터 (285mg, 51%)을 얻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8.08 (dd, 1H), 7.74 (dd, 1H), 7.39-7.49(m, 2H), 3.59 (s, CH3-CO2-, 3H), 1.25-2.19 (m, 10H).
50-mL 플라스크에 1-(2-브로모-벤젠설포닐아미노)-싸이클로헥산카르복시산 메틸 에스터(280mg, 0.744mmol)를 투입하고 테트라하이드로퓨란 (5mL), 메탄올 (5mL)을 투입하여 녹인다. 정제수 (5mL)에 녹인 리튬하이드록사이드를 투입하고 12시간 동안 40~45℃에서 교반 시킨다. 반응 종료 후, 반응용액을 감압 농축 시킨 뒤, 2N 염산 수용액으로 pH 1~2 사이로 맞추고 에틸아세테이트 (20 ml)를 투입하여 추출한다. 유기층을 마그네슘설페이트로 잔류 수분을 제거한 후 여과, 감압증류로 용매를 제거하여 1-(2-브로모-벤젠설폰아미노)-싸이클로헥산 카르복시산 (256 mg, 94%)을 얻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12.4(s, HO-CO-, 1H), 8.37(s, -NH-SO2, 1H), 7.98 (dd, 1H), 7.82 (dd, 1H), 7.48-7.56 (m, 2H), 0.89-1.91 (m, 10H).
50-mL 플라스크에 1-(2-브로모-벤젠설폰아미노)-싸이클로헥산 카르복시산(163mg, 0.450mmol)와 메틸렌클로라이드(20mL)를 투입하고 1-에틸-3-(3-다이메틸아미노프로필)카르보다이이미드하이드로클로라이드(235mg, 1.22mmol)와 다이메틸아미노피리딘(100mg, 0.818mmol)을 순차적으로 투입한 후 5분간 상온에서 교반한다. 2-아다만탄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100 mg, 0.409mmol)를 투입하고 12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 후 반응이 종결되면 정제수 (20mL)를 넣고 메틸렌클로라이드 (30 mL)로 수용액 층을 2회 세척한다. 얻어진 유기층에 마그네슘설페이트를 넣어 잔여 수분을 제거한 후 여과, 감압 농축을 통하여 잔사를 얻었다. 혼합물은 컬럼크로마토그래피(EA/n-Hex = 1:2)를 이용하여 4-{[1-(2-브로모-벤젠설포닐아미노)-싸이클로헥산카르보닐]-아미노}-아다만탄-1-카르복시산 메틸에스터(141mg, 62%)을 얻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8.12(dd, 1H), 7.76(dd, 1H), 7.43-7.50 (m, 2H), 6.94 (d, -NH-SO2-, 1H), 5.59 (s, -NH-CO-, 1H), 4.01 (m, 1H), 3.68(s, CH3-CO2-, 1H), 0.98-2.09 (m, 23H).
25-mL 플라스크에 4-{[1-(2-브로모-벤젠설포닐아미노)-싸이클로헥산카르보닐]-아미노}-아다만탄-1-카르복시산 메틸에스터 (140mg, 0.253mmol)를 투입하고 테트라하이드로퓨란 (5mL), 메탄올(5mL)을 투입하여 녹인다. 정제수(5mL)에 녹인 리튬하이드록사이드를 투입하고 12시간 동안 상온에서 교반시킨다. 반응 종료 후 반응용액을 감압 농축 시킨 뒤, 2N 염산 수용액으로 pH 1~2 사이로 맞추고 에틸아세테이트(20mL)를 투입하여 추출한다. 유기층을 마그네슘설페이트로 잔류 수분을 제거하고 여과후 감압증류로 용매를 제거하여 4-{[1-(2-브로모-벤젠설포닐아미노)-싸이클로헥산카르보닐]-아미노}-아다만탄-1-카르복시산(106mg, 79%)을 얻었다.
25-mL 플라스크에 4-{[1-(2-브로모-벤젠설포닐아미노)-싸이클로헥산카르보닐]-아미노}-아다만탄-1-카르복시산(106mg, 0.196mmol)과 메틸렌클로라이드 (20 mL)를 투입한 뒤 순차적으로 1-에틸-3-(3-다이메틸아미노프로필)카르보다이이미드하이드로클로라이드 (76mg, 0.392mmol)과 1-하이드록시벤조트리아졸(54mg, 0.392mmol)을 투입한 후 5분간 상온에서 교반한다. 반응액 35% 암모니아 수용액 (1.1mL) 를 투입하고 12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 후 반응이 종결되면 정제수 (10mL)를 넣고 메틸렌클로라이드 (30 mL)로 수용액 층을 2회 세척한다. 얻어진 유기층에 마그네슘설페이트를 넣어 잔여 수분을 제거한 후 여과, 감압 농축을 통하여 잔사를 얻었다. 혼합물은 컬럼크로마토그래피(MC/MeOH = 20:1)를 이용하여 분리함으로써 4-{[1-(2-브로모-벤젠설포닐아미노)-싸이클로헥산카르보닐]-아미노}-아다만탄-1-카르복시산 아마이드(62mg, 59%)을 얻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8.07 (s, -NH-SO2 , 1H), 7.99(d, 1H), 7.89(d, 1H), 7.58(m, 2H), 7.14(d, -NH-CO-, 1H), 7.03(s, NH2-CO-, 1H), 6.75(s, NH2-CO-, 1H), 3.80(s, 1H), 1.59-2.15 (m, 13H), 0.87-1.61 (m, 10H).
제조예 2. N-4-(1-(2-클로로페닐설폰아미도)싸이클로헥산카르복시아미도)아다만탄-1-카르복시아마이드 (화합물 179)의 합성
상기 실시예 8 제조예 1과 동일조건으로 실시하되 1-(2-클로로페닐설폰아미도)싸이클로헥산카르복시산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을 수 있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8.15 (s, -NH-SO2 , 1H), 7.95(d, 1H), 7.64-7.70(m, 2H), 7.54(d, 1H), 7.09(d, -NH-CO-, 1H), 7.04(s, NH2-CO-, 1H), 6.77(s, NH2-CO-, 1H), 3.78(s, 1H), 1.59-2.15 (m, 13H), 0.87-1.61 (m, 10H).
제조예 3. N-4-(1-(3-클로로-2-메틸페닐설폰아미도)싸이클로헥산카르복시아미도)아다만탄-1-카르복시아마이드 (화합물 180)의 합성
상기 실시예 8 제조예 1과 동일조건으로 실시하되 1-(3-클로로-2-메틸페닐설폰아미도)싸이클로헥산카르복시산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을 수 있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8.15 (s, -NH-SO2 , 1H), 7.83(d, 1H), 7.72(d, 1H), 7.42(t, 1H), 7.03(s, NH2-CO-, 1H), 6.96(d, -NH-CO-, 1H), 6.77(s, NH2-CO-, 1H), 3.69(s, 1H), 1.59-2.15 (m, 13H), 0.87-1.61 (m, 10H).
제조예 4. N-4-(1-(2-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설폰아미도)싸이클로헥산카르복시아미도)아다만탄-1-카르복시아마이드 (화합물 181)의 합성
상기 실시예 8 제조예 1과 동일조건으로 실시하되 1-(2-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설폰아미도)싸이클로헥산카르복시산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을 수 있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8.30 (s, -NH-SO2 , 1H), 8.16(d, 1H), 7.66-7.76(m, 3H), 7.31(d, -NH-CO-, 1H), 7.09(s, NH2-CO-, 1H), 6.77(s, NH2-CO-, 1H), 3.76(s, 1H), 1.59-2.15 (m, 13H), 0.87-1.61 (m, 10H).
제조예 5. N-4-(1-(퀴놀린-8-설폰아미도)싸이클로헥산카르복시아미도)아다만탄-1-카르복시아마이드 (화합물 182)의 합성
상기 실시예 8 제조예 1과 동일조건으로 실시하되 1-(퀴놀린-8-설폰아미도)싸이클로헥산카르복시산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을 수 있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9.14 (s, -NH-SO2 , 1H), 8.59(d, 1H), 8.30(dd, 2H), 7.76(d, 2H), 7.65(s, 1H), 7.31(d, -NH-CO-, 1H), 7.04(s, NH2-CO-, 1H), 6.77(s, NH2-CO-, 1H), 3.70(s, 1H), 1.59-2.15 (m, 13H), 0.87-1.61 (m, 10H).
제조예 6. N-4-(1-(2,3-디클로로페닐설폰아미도)싸이클로헥산카르복시아미도)아다만탄-1-카르복시아마이드 (화합물 183)의 합성
상기 실시예 8 제조예 1과 동일조건으로 실시하되 1-(2,3-디클로로페닐설폰아미도)싸이클로헥산카르복시산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을 수 있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8.29 (s, -NH-SO2 , 1H), 7.95(s, 1H), 7.93(s, 1H), 7.57(t, 1H), 7.05(s, -NH-CO-, 1H), 7.03(s, NH2-CO-, 1H), 6.75(s, NH2-CO-, 1H), 3.74(s, 1H), 1.59-2.15 (m, 13H), 0.87-1.61 (m, 10H).
제조예 7. N-4-(1-(2-나이트로페닐설폰아미도)싸이클로헥산카르복시아미도)아다만탄-1-카르복시아마이드 (화합물 184)의 합성
상기 실시예 8 제조예 1과 동일조건으로 실시하되 1-(2-나이트로페닐설폰아미도)싸이클로헥산카르복시산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을 수 있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8.03 (s, -NH-SO2 , 1H), 8.01(s, 1H), 8.00(s, 1H), 7.82-7.90(m, 2H), 7.09(d, -NH-CO-, 1H), 7.02(s, NH2-CO-, 1H), 6.75(s, NH2-CO-, 1H), 3.73(s, 1H), 1.59-2.15 (m, 13H), 0.87-1.61 (m, 10H).
제조예 8. N-4-(1-(2-플루오로페닐설폰아미도)싸이클로헥산카르복시아미도)아다만탄-1-카르복시아마이드 (화합물 185)의 합성
상기 실시예 8 제조예 1과 동일조건으로 실시하되 1-(2-플루오로페닐설폰아미도)싸이클로헥산카르복시산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을 수 있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8.20 (s, -NH-SO2 , 1H), 7.68-7.76(m, 2H), 7.42(t, 1H), 7.34(t, 1H), 7.01-7.02(s, -NH-CO-, NH2-CO-, 2H), 6.75(s, NH2-CO-, 1H), 3.61(s, 1H), 1.59-2.15 (m, 13H), 0.87-1.61 (m, 10H).
제조예 9. N-4-(1-(2,6-디클로로페닐설폰아미도)싸이클로헥산카르복시아미도)아다만탄-1-카르복시아마이드 (화합물 186)의 합성
상기 실시예 8 제조예 1과 동일조건으로 실시하되 1-(2,6-디클로로페닐설폰아미도)싸이클로헥산카르복시산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을 수 있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8.33(s, -NH-SO2 , 1H), 7.66(d, 2H), 7.54(d, 1H), 7.05(s, -NH-CO-, 1H), 7.03(s, NH2-CO-, 1H), 6.76(s, NH2-CO-, 1H), 3.80(s, 1H), 1.59-2.15 (m, 13H), 0.87-1.61 (m, 10H).
제조예 10. N-4-(1-(3-플루오로-4-메틸페닐설폰아미도)싸이클로헥산카르복시아미도)아다만탄-1-카르복시아마이드 (화합물 187)의 합성
상기 실시예 8 제조예 1과 동일조건으로 실시하되 1-(3-플루오로-4-메틸페닐설폰아미도)싸이클로헥산카르복시산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을 수 있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7.87 (s, -NH-SO2 , 1H), 7.48(s, 2H), 7.42(d, 1H), 7.01(s, NH2-CO-, 1H), 6.85(d, -NH-CO-, 1H), 6.76(s, NH2-CO-, 1H), 3.29(s, 1H), 2.30(s, -CH3, 3H) 1.59-2.15 (m, 13H), 0.87-1.61 (m, 10H).
[실시예 9]
제조예 1. N-4-(2-메틸-2-(N-메틸퀴놀린-8-설폰아미도)프로판아미도)아다만탄-1-카르복시아마이드 (화합물 188)의 합성
2-아미노-2-메틸프로판산 (10 g, 96.9 mmol)와 메탄올 (330 ml)를 투입하였다. 아이스 배스를 설치하고 싸이오닐클로라이드 (17.68 ml, 242.25 mmol)을 천천히 투입한 후, 아이스 배스를 제거하고 실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감압증류로 용매를 제거 한 후, 60℃ 오븐에서 건조하여 메틸-2-아미노-2-메틸프로판노에이트 염산염 (14.59 g, 94.9 mmol, 98 %)을 얻었다.
1H NMR (400 MHz, DMSO-d6) 8.75 (br, 3H), 3.75 (s, 3H), 1.45 (s, 6H).
메틸-2-아미노-2-메틸프로파노에이트 염산염 (5 g, 32.6 mmol)을 CH2Cl2 (110 ml)에 녹인 후, 퀴놀린-8-설포닐 클로라이드 (8.18 g, 35.9 mmol)와 트리에틸아민 (18 ml, 130.6 mmol)를 첨가하여 상온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액에 H2O를 첨가 한 뒤 CH2Cl2로 추출 (X2)하고 MgSO4로 건조, 여과하고 감압증류하여 용매를 제거하였다. 혼합물을 컬럼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여 메틸- 2-메틸-2-(퀴놀린-8-설폰아미도)프로파노에이트 (8.74 g, 32.8 mmol, 95 %)을 얻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9.09 (dd, J = 1.6, 4.4 Hz, 1H), 8.39 (dd, J = 1.2, 7.2 Hz, 1H), 8.31 (dd, J = 2, 8.4 Hz, 1H), 8.05 (dd, J = 1.2, 8 Hz, 1H), 7.68 (t, J = 4.4 Hz, 1H), 7.59 (m, 1H), 7.36 (s, -NH-SO2), 3.46 (s, 3H), 1.48 (s, 6H).
메틸-2-메틸-2-(퀴놀린-8-설폰아미도)프로파노에이트 (699 mg, 2.26 mmol)을 DMF (10 ml)에 녹인 후, 후 0℃에서 MeI (0.49 ml, 7.93 mmol)를 첨가하여 실온에서 12시간 교반 하였다. 반응액에 H2O를 첨가 한 뒤 EA로 추출 (X2)하고 유기용액을 H2O로 씻어준 후, MgSO4로 건조, 여과하고 감압증류하여 용매를 제거하였다. 혼합물을 컬럼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여, 메틸-2-메틸-2-(N-메틸퀴놀린-8-설폰아미도)프로파노에이트 (694 mg, 2.15 mmol, 95 %)를 얻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9.09 (dd, J = 1.6 Hz, 1H), 8.41 (dd, J = 1.2, 7.2 Hz, 1H), 8.24 (dd, J = 2, 8.4 Hz, 1H), 8.02 (dd, J = 1.2, 8 Hz, 1H), 7.68 (t, J = 4 Hz, 1H), 7.54 (m, 1H), 3.58 (s, 3H), 3.43 (s, 3H), 1.52 (s, 6H).
메틸-2-메틸-2-(N-메틸퀴놀린-8-설폰아미도)프로파노에이트 (650 mg, 2.01 mmol)를 투입하고 THF (5 ml), 메탄올 (5 ml)을 투입하여 녹인다. H2O(5 ml)에 녹인 LiOH·H2O를 투입하고 12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시킨다. 12시간 교반 후, 반응용액을 감압 농축 시킨 뒤, 2N-HCl로 pH 5~6 사이로 맞추고 EA로 추출 (X2)한다. 유기층을 MgSO4로 건조, 여과하고 감압증류로 용매를 제거하여 2-메틸-2-(N-메틸퀴놀린-8-설폰아미도)프로판산(610 mg, 1.97 mmol, 98 %)을 얻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13.06 (bs, -COOH), 9.07 (dd, J = 2, 4.4 Hz, 1H), 8.58 (dd, J = 2, 8.4 Hz, 1H), 8.37 (dd, J = 1.2, 7.6 Hz, 1H), 8.31 (dd, J = 1.2, 8 Hz, 1H), 7.74 (m, 2H), 3.09 (s, 3H), 1.39 (s, 3H).
2-메틸-2-(N-메틸퀴놀린-8-설폰아미도)프로판산(461 mg, 1.49 mmol), 4-아미노-아다만탄-1-카르복실레이트 하이드로클로라이드 (405 mg, 1.46 mmol), EDCI (861 mg, 4.49 mmol)을 투입하고 CH2Cl2 (7 ml)를 투입한 뒤, 30분 동안 실온에서 교반 후, DMAP (365 mg, 2.99 mmol)을 넣고서 상온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종료 후 CH2Cl2와 H2O를 사용하여 유기층을 분리하고서 유기층은 MgSO4로 건조, 여과하였다. 감압증류로 용매를 제거 후 컬럼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여 N-4-(2-메틸-2-(N-메틸퀴놀린-8-설폰아미도)프로판아미도)아다만탄-1-카르복실레이트 (673 mg, 1.34 mmol, 90 %)을 얻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9.11 (dd, J =1.6, 4 Hz, 1H), 8.55 (dd, J = 1.6, 7.6 Hz, 1H), 8.29 (dd, J = 2, 8.4 Hz, 1H), 8.09 (dd, J = 1.6, 8.4 Hz, 1H), 7.68 (t, J = 7.2 Hz, 1H), 7.58 (m, 1H), 7.16 (d, J = 8 Hz, -NH-CO-), 3.97 (d, J = 7.6 Hz, 1H), 3.68 (s, 3H), 3.34 (s, 3H), 1.99-1.89 (m, 9H), 1.58 (m, 2H), 1.51 (m, 2H), 1.39 (s, 6H).
N-4-(2-메틸-2-(N-메틸퀴놀린-8-설폰아미도)프로판아미도)아다만탄-1-카르복실레이트 (640 mg, 1.28 mmol)를 투입하고 THF (6 ml), 메탄올 (6 ml)을 투입하여 녹인다. H2O(6 ml)에 녹인 LiOH·H2O를 투입하고 12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시킨다. 12시간 교반 후, 반응용액을 감압 농축 시킨 뒤, 2N-HCl로 pH 5~6 사이로 맞추고 EA로 추출 (X2)한다. 유기층을 MgSO4로 건조, 여과하고 감압증류로 용매를 제거하여 N-4-(2-메틸-2-(N-메틸퀴놀린-8-설폰아미도)프로판아미도)아다만탄-1-카르복시산 (610 mg, 1.25 mmol, 98 %)을 얻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12.13 (bs, -COOH), 8.21 (dd, J = 2, 6.8 Hz, 1H), 7.92 (dd, J = 2, 7.2 Hz, 1H), 7.61 (m, 2H), 6.94 (d, J = 7.2 Hz, -NH-CO-), 3.76 (d, J = 6.8 Hz, 1H), 2.97 (s, 3H), 1.91-1.71 (m, 11H), 1.46 (m, 2H), 1.38 (s, 6H).
N-4-(2-메틸-2-(N-메틸퀴놀린-8-설폰아미도)프로판아미도)아다만탄-1-카르복시산 (273 mg, 0.56 mmol)을 CH2Cl2 (8 ml)에 녹인 후, EDCI (216 mg, 1.13 mmol)와 HOBT (152 mg, 1.13 mmol)를 첨가하여 30분간 교반 후 30% NH4OH 수용액(4 ml)을 첨가하여 상온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액에 H2O를 첨가 한 뒤 CH2Cl2로 추출 (X3)하고 MgSO4로 건조, 여과하고 감압증류하여 용매를 제거하였다. 혼합물을 컬럼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여, N-4-(2-메틸-2-(N-메틸퀴놀린-8-설폰아미도)프로판아미도)아다만탄-1-카르복시아마이드 (232 mg, 0.48 mmol, 85 %)를 얻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9.13 (dd, J = 2, 4.4 Hz, 1H), 8.59 (dd, J = 2, 8.4 Hz, 1H), 8.46 (dd, J = 1.2, 7.2 Hz, 1H), 8.35 (dd, J = 1.2, 8 Hz, 1H), 7.71 (m, 2H), 6.69 (s, NH2-CO-), 6.75 (s, NH2-CO-), 6.64 (d, J = 7.6 Hz, -NH-CO-), 3.69 (d, J = 7.6 Hz, 1H), 3.14 (s, 3H), 1.79-1.68 (m, 9H), 1.33 (s, 6H), 1.27 (m, 2H), 1.17 (m, 2H).
제조예 2. N-4-(2-(2-브로모-N-메틸페닐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아미도)아다만탄-1-카르복시아마이드 (화합물 189)의 합성
상기 실시예 9 제조예 1과 동일조건으로 실시하되 2-(2-브로모-N-메틸페닐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산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을 수 있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8.21 (dd, J = 2.4, 8.4 Hz, 1H), 7.92 (dd, J = 2, 7.2 Hz, 1H), 7.61 (m, 2H), 7.02 (s, NH2-CO-), 6.94 (d, J = 7.2 Hz, -NH-CO-), 6.76 (s, NH2-CO-), 3.76 (d, J = 6.8 Hz, 1H), 2.97 (s, 3H), 1.88-1.69 (m, 11H), 1.43 (m, 2H), 1.38 (s, 6H).
제조예 3. N-4-(2-(2-클로로-N-메틸페닐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아미도)아다만탄-1-카르복시아마이드 (화합물 190)의 합성
상기 실시예 9 제조예 1과 동일조건으로 실시하되 2-(2-클로로-N-메틸페닐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산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을 수 있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8.17 (dd, J = 1.6, 8 Hz, 1H), 7.74 (m, 2H), 7.58 (m, 1H), 7.02 (s, NH2-CO-), 6.89 (d, J = 7.2 Hz, -NH-CO-), 6.76 (s, NH2-CO-), 3.76 (d, J = 7.2 Hz, 1H), 2.96 (s, 3H), 1.87-1.68 (m, 11H), 1.44 (m, 2H), 1.38 (s, 6H).
제조예 4. N-4-(2-(2-메틸-3-클로로-N-메틸페닐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아미도)아다만탄-1-카르복시아마이드 (화합물 191)의 합성
상기 실시예 9 제조예 1과 동일조건으로 실시하되 2-(2-메틸-3-클로로-N-메틸페닐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산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을 수 있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8.07 (d, J =7.2 Hz, 1H), 7.76 (d, J = 7.6 Hz, 1H), 7.43 (t, J = 8 Hz, 1H), 6.99 (br, NH2-CO-), 6.89 (d, J = 7.2 Hz, -NH-CO-), 6.74 (br, NH2-CO-), 3.73 (d, J =6.8 Hz, 1H), 2.90 (s, 3H), 2.59 (s, 3H), 1.84-1.69 (m, 11H), 1.45 (s, 6H), 1.37 (m, 2H).
제조예 5. N-4-(2-(2,6-디클로로-N-메틸페닐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아미도)아다만탄-1-카르복시아마이드 (화합물 192)의 합성
상기 실시예 9 제조예 1과 동일조건으로 실시하되 2-(2,6-디클로로-N-메틸페닐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산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을 수 있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7.76 (m, 2H), 7.65 (m, 1H), 7.03 (br, NH2-CO-), 6.89 (d, J = 7.2 Hz, -NH-CO-), 6.76 (br, NH2-CO-), 3.79 (d, J = 7.2 Hz, 1H), 2.97 (s, 3H), 1.83-1.68 (m, 11H), 1.51 (m, 2H), 1.38 (s, 6H).
제조예 6. N-4-(2-(2-트리플루오로메틸-N-메틸페닐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아미도)아다만탄-1-카르복시아마이드 (화합물 193)의 합성
상기 실시예 9 제조예 1과 동일조건으로 실시하되 2-(2-트리플루오로메틸-N-메틸페닐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산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을 수 있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8.43 (d, J = 7.6 Hz, 1H), 7.99 (dd, J = 1.6, 7.6 Hz, 1H), 7.88 (m, 2H), 6.99 (br, NH2-CO-), 6.83 (d, J = 7.2 Hz, -NH-CO-), 6.73 (br, NH2-CO-), 3.72 (d, J = 6.8 Hz, 1H), 2.91 (s, 3H), 1.83-1.71 (m, 11H), 1.51 (s, 6H), 1.34 (m, 2H).
제조예 7. N-4-(2-(2-메톡시-6-플루오로-N-메틸페닐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아미도)아다만탄-1-카르복시아마이드 (화합물 194)의 합성
상기 실시예 9 제조예 1과 동일조건으로 실시하되 2-(2-메톡시-6-플루오로-N-메틸페닐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산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을 수 있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7.66 (m, 1H), 7.14 (m, 1H), 6.96 (m, 3H), 6.75 (br, NH2-CO-), 3.97 (s, 3H), 3.78 (d, J = 7.6 Hz, 1H), 2.91 (s, 3H), 1.92-1.66 (m, 11H), 1.49 (m, 2H), 1.37 (s, 6H).
제조예 8. N-4-(2-(2-플루오로-N-메틸페닐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아미도)아다만탄-1-카르복시아마이드 (화합물 195)의 합성
상기 실시예 9 제조예 1과 동일조건으로 실시하되 2-(2-플루오로-N-메틸페닐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산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을 수 있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7.94 (dt, J = 1.6, 8 Hz, 1H), 7.77 (m, 1H), 7.51 (m, 1H), 7.44 (m, 1H), 7.01 (br, NH2-CO-), 6.79 (d, J =7.6 Hz, -NH-CO-), 6.75 (br, NH2-CO-), 3.77 (d, J = 7.2 Hz, 1H), 2.92 (s, 3H), 1.89-1.75 (m, 11H), 1.45 (m, 2H), 138 (s, 6H).
제조예 9. N-4-(2-(2-플루오로-N-메틸페닐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아미도)아다만탄-1-카르복시아마이드 (화합물 196)의 합성
상기 실시예 9 제조예 1과 동일조건으로 실시하되 2-(2-플루오로-N-메틸페닐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산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을 수 있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8.03 (d, J = 8 Hz, 1H), 7.56 (dt, J = 1.2, 7.6 Hz, 1H), 7.43 (m, 2H), 7.02 (d, J = 6.8 Hz, -NH-CO-), 6.98 (br, NH2-CO-), 6.74 (br, NH2-CO-), 3.75 (d, J = 7.2 Hz, 1H), 2.88 (s, 3H), 2.59 (s, 3H), 1.84-1.72 (m, 11H), 1.41 (s, 6H).
제조예 10. N-4-(2-(2-나이트로-N-메틸페닐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아미도)아다만탄-1-카르복시아마이드 (화합물 197)의 합성
상기 실시예 9 제조예 1과 동일조건으로 실시하되 2-(2-나이트로-N-메틸페닐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산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을 수 있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8.31 (m, 1H), 7.79 (m, 1H), 7.87 (m, 2H), 6.99 (br, NH2-CO-), 6.86 (d, J = 6.8 Hz, -NH-CO-), 6.74 (br, NH2-CO-), 3.76 (d, J = 6.8 Hz, 1H), 2.84 (s, 3H), 1.89-1.73 (m, 11H), 1.48 (s, 6H), 1.39 (m, 2H).
제조예 11. N-4-(2-(2,6-디클로로-N-메틸페닐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아미도)아다만탄-1-카르복시아마이드 (화합물 198)의 합성
상기 실시예 9 제조예 1과 동일조건으로 실시하되 2-(2,6-디클로로-N-메틸페닐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산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을 수 있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8.17 (dd, J = 1.2, 8 Hz, 1H), 7.99 (dd, J = 1.2, 8 Hz, 1H), 7.59 (t, J = 12 Hz, 1H), 6.99 (br, NH2-CO-), 6.79 (d, J = 7.6 Hz, -NH-CO-), 6.74 (br, NH2-CO-), 3.76 (d, J = 7.2 Hz, 1H), 2.97 (s, 3H), 1.87-1.68 (m, 11H), 1.46 (m, 2H), 1.41 (s, 6H).
제조예 12. N-4-(1-(N-메틸-2-나이트로페닐설폰아미도)싸이클로부탄카르복시아미도)아다만탄-1-카르복시아마이드 (화합물 199)의 합성
상기 실시예 9 제조예 1과 동일조건으로 실시하되 1-(N-메틸-2-나이트로페닐설폰아미도)싸이클로부탄카르복시산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을 수 있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8.09 (m, 2H), 7.94 (m, 2H), 7.10 (d, J = 7.2 Hz, -NH-CO-), 7.04 (s, NH2-CO-), 6.77 (s, NH2-CO-), 3.83 (d, J = 8 Hz, 1H), 2.98 (s, 3H), 2.43 (m, 2H), 2.23 (m, 2H), 1.92-1.73 (m, 11H), 1.59 (m, 2H), 1.49 (m, 2H).
제조예 13. N-(아다만탄-2-일)-2-(3-클로로-2-메틸-N-메틸페닐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아미이드 (화합물 200)의 합성
상기 실시예 9 제조예 1과 동일조건으로 실시하되 1-(N-메틸-2-플루오로페닐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산과 2-아다만탄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를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을 수 있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8.01 (dd, J = 1.2, 8 Hz, 1H), 7.61 (dd, J = 0.8, 8 Hz, 1H), 7.39 (d, J = 7.2 Hz, -NH-CO-), 7.31 (t, J = 8 H, 1H), 4.04 (d, J = 8 Hz, 1H), 3.04 (s, 3H), 2.67 (s, 3H), 1.93-1.67 (m, 14H), 1.46 (s, 6H).
제조예 14. N-(아다만탄-2-일)-2-(2-트리플루오로메틸-N-메틸페닐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아미이드 (화합물 201)의 합성
상기 실시예 9 제조예 1과 동일조건으로 실시하되 1-(N-메틸-2-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산과 2-아다만탄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를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을 수 있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8.34 (m, 1H), 7.9 (m, 1H), 7.74 (m, 2H), 7.21 (d, J = 7.6 Hz, - NH-CO-), 4.03 (d, J = 8 Hz, 1H), 3.04 (s, 3H), 1.94-1.67 (m, 14H), 1.54 (s, 6H).
제조예 15. N-(5-하이드록시아다만탄-2-일)-2-(2-플루오로-N-메틸페닐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아미이드 (화합물 202)의 합성
상기 실시예 9 제조예 1과 동일조건으로 실시하되 1-(N-메틸-2-플루오로페닐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산과 5-하이드록시아다만탄아민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을 수 있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7.93 (dt, J = 1.6, 7.6 Hz, 1H), 7.76 (m, 1H), 7.51 (m, 1H), 7.42 (m, 1H), 6.74 (d, J = 7.2 Hz, -NH-CO-), 4.46 (s, -OH), 3.71 (d, J = 7.6 Hz, 1H), 2.58 (s, 3H), 1.98 (m, 3H), 1.69-1.61 (m, 8H), 1.33 (s, 6H), 1.24 (m, 2H).
제조예 16. N-(5-하이드록시아다만탄-2-일)-2-(2,3-디클로로-N-메틸페닐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아미이드 (화합물 203)의 합성
상기 실시예 9 제조예 1과 동일조건으로 실시하되 1-(N-메틸-2,3-디클로로페닐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산과 5-하이드록시아다만탄아민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을 수 있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8.16 (dd, J = 1.2, 8 Hz, 1H), 7.98 (dd, J = 1.2, 8 Hz, 1H), 7.59 (t, J = 8 Hz, 1H), 6.73 (d, J = 7.2 Hz, -NH-CO-), 4.47 (s, -OH), 3.69 (d, J = 6.8 Hz, 1H), 2.92 (s, 3H), 1.99 (m, 3H), 1.67-1.59 (m, 8H), 1.39 (s, 6H), 1.32 (m,2H).
제조예 17. N-(5-하이드록시아다만탄-2-일)-2-(2-메틸-3-클로로-N-메틸페닐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아미이드 (화합물 204)의 합성
상기 실시예 9 제조예 1과 동일조건으로 실시하되 1-(N-메틸-2-메틸-3-클로로페닐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산과 5-하이드록시아다만탄아민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을 수 있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8.06 (d, J = 8 Hz, 1H), 7.76 (d, J = 8 Hz, 1H), 7.43 (t, J = 8 Hz, 1H), 6.84 (d, J = 6.8 Hz, -NH-CO-), 4.43 (s, -OH), 3.67 (d, J = 6 Hz, 1H), 2.89 (s, 3H), 2.56 (s, 3H), 1.89 (m, 3H), 1.63-1.49 (m, 8H), 1.44 (s, 6H), 1.27 (m, 2H).
제조예 18. N-(5-하이드록시아다만탄-2-일)-2-(2-나이트로-N-메틸페닐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아미이드 (화합물 205)의 합성
상기 실시예 9 제조예 1과 동일조건으로 실시하되 1-(N-메틸-2-나이트로페닐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산과 5-하이드록시아다만탄아민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을 수 있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8.28 (d, 1H), 8.01(d, 1H), 7.86(m, 2H), 6.78 (d, -NH-CO-, 1H), 4.42(s, 1H), 3.70(s,1H), 2.91 (s, -N-SO2 , 3H), 2.55 (s, 3H), 1.58-1.93 (m, 13H), 1.39 (s, 6H).
제조예 19. N-(5-하이드록시아다만탄-2-일)-2-(2-브로모-N-메틸페닐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아미이드 (화합물 206)의 합성
상기 실시예 9 제조예 1과 동일조건으로 실시하되 1-(N-메틸-2-브로모페닐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산과 5-하이드록시아다만탄아민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을 수 있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8.19 (d, 1H), 7.90(d, 1H), 7.56(m, 2H), 6.87 (d, -NH-CO-, 1H), 4.46(s, 1H), 3.71(s,1H), 2.95 (s, -N-SO2, 3H), 1.60-1.93 (m, 13H), 1.33 (s, 6H).
제조예 20. N-(5-하이드록시아다만탄-2-일)-2-(2-메틸-N-메틸페닐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아미이드 (화합물 207)의 합성
상기 실시예 9 제조예 1과 동일조건으로 실시하되 1-(N-메틸-2-메틸페닐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산과 5-하이드록시아다만탄아민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을 수 있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8.00 (d, 1H), 7.53(t, 1H), 7.38(m, 2H), 6.92 (d, -NH-CO-, 1H), 4.43(s, 1H), 3.69(s,1H), 2.86 (s, -N-SO2 , 3H), 2.55 (s, 3H), 1.58-1.93 (m, 13H), 1.39 (s, 6H).
제조예 21. N-(5-하이드록시아다만탄-2-일)-2-(2-트리플루오로메틸-N-메틸페닐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아미이드 (화합물 208)의 합성
상기 실시예 9 제조예 1과 동일조건으로 실시하되 1-(N-메틸-2-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산과 5-하이드록시아다만탄아민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을 수 있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8.41 (d, 1H), 7.99(d, 1H), 7.86(m, 2H), 6.76 (d, -NH-CO-, 1H), 4.41(s, 1H), 3.67(s,1H), 2.90 (s, -N-SO2 , 3H), 1.57-1.88 (m, 13H), 1.49 (s, 6H).
[실시예 10]
제조예 1. N-4-(2-(2-메틸-N-에틸페닐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아미도)아다만탄-1-카르복시아마이드 (화합물 209) 의 합성.
2-아미노-2-메틸프로판산 (10 g, 96.9 mmol)와 메탄올 (330 ml)를 투입하였다. 아이스 배스를 설치하고 싸이오닐클로라이드 (17.68 ml, 242.25 mmol)을 천천히 투입한 후, 아이스 배스를 제거하고 실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감압증류로 용매를 제거 한 후, 60℃ 오븐에서 건조하여 메틸-2-아미노-2-메틸프로판노에이트 염산염 (14.59 g, 94.9 mmol, 98 %)을 얻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8.75 (br, 3H), 3.75 (s, 3H), 1.45 (s, 6H).
메틸-2-아미노-2-메틸프로파노에이드 염산염 (2 g, 13.1 mmol)을 CH2Cl2 (50 ml)에 녹인 후, 2-메틸벤젠-1-설포닐클로라이드 (2.74 g, 14.4 mmol)와 트리에틸아민 (14 ml, 52.4 mmol)를 첨가하여 상온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액에 H2O를 첨가 한 뒤 CH2Cl2로 추출 (X2)하고 MgSO4로 건조, 여과하고 감압증류하여 용매를 제거하였다. 혼합물을 컬럼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여 메틸-2-(메틸페닐설폰아미도)프로파노에이트 (3.2 g, 11.7 mmol, 90 %)을 얻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7.99 (m, 1H), 7.46 (dt, J = 1.2, 7.2 Hz, 1H), 7.32 (m, 2H), 5.41 (s, -NH-SO2), 3.76 (s, 3H), 2.69 (s, 3H), 1.47 (s, 6H).
메틸-2-(메틸페닐설폰아미도)프로파노에이트 (500 mg, 1.84 mmol)을 DMF (10 ml)에 녹인 후, 후 0℃에서 에틸 아이오다이드 (0.52 ml, 6.45 mmol)를 첨가하여 실온에서 12시간 교반 하였다. 반응액에 H2O를 첨가 한 뒤 EA로 추출 (X2)하고 유기용액을 H2O로 씻어준 후, MgSO4로 건조, 여과하고 감압증류하여 용매를 제거하였다. 혼합물을 컬럼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여, 메틸-2-(N-에틸-2-메틸페닐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파노에이트 (524 mg, 1.75 mmol, 95 %)를 얻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7.9 (m, 1H), 7.43 (dt, J = 1.6, 7.6 Hz, 1H), 7.3 (m, 2H), 3.69 (s, 3H), 3.42 (q, J = 6.8 Hz, 2H), 2.69 (s, 3H), 1.67 (s, 6H), 1.28 (t, J = 7.2 Hz, 3H).
메틸-2-(N-에틸-2-메틸페닐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파노에이트 (524 mg, 1.75 mmol)를 투입하고 THF (5 ml), 메탄올 (5 ml)을 투입하여 녹인다. H2O(5 ml)에 녹인 LiOH·H2O를 투입하고 12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시킨다. 12시간 교반 후, 반응용액을 감압 농축 시킨 뒤, 2N-HCl로 pH 2~3 사이로 맞추고 EA로 추출 (X2)한다. 유기층을 MgSO4로 건조, 여과하고 감압증류로 용매를 제거하여 2-(N-에틸-2-메틸페닐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산(490 mg, 1.72 mmol, 98 %)을 얻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12.64 (bs, -COOH), 7,87 (m, 1H), 7.51 (dt, J =1.2, 7.6 Hz, 1H), 7.39 (m, 2H), 3.38 (q, J = 6.8 Hz, 2H), 2.58 (s, 3H), 1.49 (s, 6H), 1.16 (t, J = 7.2 Hz, 3H).
2-(N-에틸-2-메틸페닐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산(302 mg, 1.11 mmol), 4-아미노-아다만탄-1-카르복실레이트 하이드로클로라이드 (301 mg, 1.23 mmol), BOP (492 mg, 1.11 mmol)을 투입하고 CH2Cl2 (6 ml)를 투입한 뒤, 30분 동안 실온에서 교반 후, DIPEA (0.82 ml, 3.34 mmol)을 넣고서 상온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종료 후 CH2Cl2와 H2O를 사용하여 유기층을 분리하고서 유기층은 MgSO4로 건조, 여과하였다. 감압증류로 용매를 제거 후 컬럼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여 N-메틸-4-(2-(N-에틸-2-메틸페닐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아미도)아다만탄-1-카르복실레이트 (403 mg, 0.85 mmol, 80%)을 얻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7.89 (m, 2H), 7.48 (m, 1H), 7.35 (m, 2H), 4.04 (d, J = 7.2 Hz, -NH-CO-), 3.69 (s, 3H), 3.61 (q, J = 7.2 Hz, 2H), 2.69 (s, 3H), 2.07-1.89 (m, 11H), 1.62 (m, 2H), 1.50 (s, 6H), 1.34 (t, J = 7.2 Hz, 3H).
N-메틸-4-(2-(N-에틸-2-메틸페닐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아미도)아다만탄-1-카르복실레이트 (400 mg, 0.84 mmol)를 투입하고 THF (5 ml), 메탄올 (5 ml)을 투입하여 녹인다. H2O(4 ml)에 녹인 LiOH·H2O를 투입하고 12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시킨다. 12시간 교반 후, 반응용액을 감압 농축 시킨 뒤, 2N-HCl로 pH 2~3 사이로 맞추고 EA로 추출 (X2)한다. 유기층을 MgSO4로 건조, 여과하고 감압증류로 용매를 제거하여 N-메틸-4-(2-(N-에틸-2-메틸페닐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아미도)아다만탄-1-카르복실산 (380 mg, 0.82 mmol, 98 %)을 얻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12.12 (bs, -COOH), 7.89 (m, 1H), 7.54 (m, 1H), 7.42 (m, 2H), 7.21 (d, J = 7.6 Hz, -NH-CO-), 3.78 (d, J = 6.8 Hz, 1H), 3.48 (q, J = 6.8 Hz, 2H), 2.58 (s, 3H), 1.91-1.79 (m, 11H), 1.52 (m, 2H), 1.48 (s, 6H), 1.23 (t, J = 7.2 Hz, 3H).
N-메틸-4-(2-(N-에틸-2-메틸페닐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아미도)아다만탄-1-카르복실산 (380 mg, 0.82 mmol)을 CH2Cl2 (10 ml)에 녹인 후, EDCI (314 mg, 1.64 mmol)와 HOBT (222 mg, 1.64 mmol)를 첨가하여 30분간 교반 후 30% NH4OH 수용액(5 ml)을 첨가하여 상온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액에 H2O를 첨가 한 뒤 CH2Cl2로 추출 (X3)하고 MgSO4로 건조, 여과하고 감압증류하여 용매를 제거하였다. 혼합물을 컬럼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여, N-메틸-4-(2-(N-에틸-2-메틸페닐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아미도)아다만탄-1-카르복사아마이드 (296 mg, 0.64 mmol, 78 %)를 얻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7.88 (m, 1H), 7.54 (m, 1H), 7.43 (m, 2H), .21 (d, J = 8 Hz, -NH-CO-), 7.01 (br, NH2-CO-), 6.74 (br, NH2-CO-), 3.79 (d, J = 7.6 Hz, 1H), 3.49 (q, J = 7.2 Hz, 2H), 2.58 (s, 3H), 1.88-1.76 (m, 11H), 1.51 (m, 2H), 1.47 (s, 6H), 1.23 (t, J = 6.8 Hz, 3H).
제조예 2. N-4-(2-(2-트리플루오로메틸-N-에틸페닐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아미도)아다만탄-1-카르복시아마이드 (화합물 210) 의 합성.
상기 실시예 10 제조예 1과 동일조건으로 실시하되 1-(N-에틸-2-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산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을 수 있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8.25 (d, J = 8 Hz, 1H), 8.01 (m, 1H), 7.91 (m, 2H), 7.00 (br, NH2-CO-), 6.98 (d, J =8.4 Hz, -NH-CO-), 6.74 (br, NH2-CO-), 3.78 (d, J = 6.4 Hz, 1H), 3.48 (q, J = 6.8 Hz, 2H), 1.89-1.75 (m, 11H), 1.54 (s, 6H), 1.45 (m, 2H), 1.28 (t, J = 6.8 Hz, 3H).
제조예 3. N-4-(2-(2-플루오로-N-에틸페닐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아미도)아다만탄-1-카르복시아마이드 (화합물 211) 의 합성.
상기 실시예 10 제조예 1과 동일조건으로 실시하되 1-(N-에틸-2-플루오로페닐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산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을 수 있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7.92 (dt, J = 1.6, 8 Hz, 1H), 7.75 (m, 1H), 7.49 (m, 1H), 7.42 (m, 1H), 7.01 (br, NH2-CO-), 6.98 (d, J = 6.8 Hz, -NH-CO-), 6.75 (br, NH2-CO-), 3.78 (d, J = 6.8 Hz, 1H), 3.49 (q, J = 6.8 Hz, 2H), 1.92-1.76 (m, 11H), 1.51 (m, 2H), 1.44 (s, 6H), 1.22 (t, J = 6.8 Hz, 3H).
제조예 4. N-4-(2-(2,6-디클로로-N-에틸페닐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아미도)아다만탄-1-카르복시아마이드 (화합물 212) 의 합성.
상기 실시예 10 제조예 1과 동일조건으로 실시하되 1-(N-에틸-2,6-디클로로페닐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산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을 수 있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8.11 (dd, J =1.2, 8 Hz, 1H), 7.96 (dd, J = 1.2, 8 Hz, 1H), 7.59 (t, J = 8 Hz, 1H), 7.08 (d, J = 7.2 Hz, -NH-CO-), 7.02 (br, NH2-CO-), 6.76 (br, NH2-CO-), 3.77 (d, J =6.8 Hz, 1H), 3.59 (q, J = 6.8 Hz, 2H), 1.88-1.76 (m, 11H), 1.51 (m, 2H), 1.48 (s, 6H), 1.25 (t, J = 6.8 Hz, 3H).
제조예 5. N-4-(2-(2,6-디플루오로-N-에틸페닐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아미도)아다만탄-1-카르복시아마이드 (화합물 213) 의 합성.
상기 실시예 10 제조예 1과 동일조건으로 실시하되 1-(N-에틸-2,6-디플루오로페닐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산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을 수 있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7.74 (m, 1H), 7.31(t, 2H), 7.01 (m, -NH-CO-, 1H), 7.02 (s, NH2-CO-, 1H), 6.76(s, NH2-CO-, 1H), 3.76(s,1H), 3.51 (m, -N-SO2, 2H), 1.46-1.93 (m, 13H), 1.48 (s, 6H), 1.15(t, 3H).
제조예 6. N-4-(2-메톡시-6-플루오로-N-에틸페닐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아미도)아다만탄-1-카르복시아마이드 (화합물 214) 의 합성.
상기 실시예 10 제조예 1과 동일조건으로 실시하되 1-(N-에틸-2-메톡시-6-플루오로페닐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산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을 수 있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7.61 (m, 1H), 7.41(d, 1H), 7.10 (d, -NH-CO-, 1H), 7.03 (s, NH2-CO-, 1H), 6.95(m, 1H), 6.76(s, NH2-CO-, 1H), 3.95(s,1H), 3.80(s, 1H), 3.55 (m, -N-SO2 , 2H), 1.50-1.94 (m, 13H), 1.39 (s, 6H), 1.15(t, 3H).
제조예 7. N-4-(2-메틸-3-클로로-N-에틸페닐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아미도)아다만탄-1-카르복시아마이드 (화합물 215) 의 합성.
상기 실시예 10 제조예 1과 동일조건으로 실시하되 1-(N-에틸-2-메틸-3-클로로페닐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산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을 수 있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7.91 (d, 1H), 7.72(d, 1H), 7.41(t, 1H), 7.05 (d, -NH-CO-, 1H), 7.01 (s, NH2-CO-, 1H), 6.75(s, NH2-CO-, 1H), 3.76(s, 1H), 3.49 (m, -N-SO2 , 2H), 2.61(s, 3H), 1.44-1.90 (m, 13H), 1.45 (s, 6H), 1.23(t, 3H).
제조예 8. N-4-(2-나이트로-N-에틸페닐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아미도)아다만탄-1-카르복시아마이드 (화합물 216) 의 합성.
상기 실시예 10 제조예 1과 동일조건으로 실시하되 1-(N-에틸-2-나이트로페닐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산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을 수 있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8.21 (m, 1H), 7.97(m, 1H), 7.87(m, 2H), 7.00 (s, NH2-CO-, 1H), 6.86 (d, -NH-CO-, 1H), 6.74(s, NH2-CO-, 1H), 3.77(s, 1H), 3.42 (d, -N-SO2, 2H), 1.44-1.90 (m, 13H), 1.51 (s, 6H), 1.19(s, 3H).
제조예 9. N-4-(2-클로로-N-에틸페닐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아미도)아다만탄-1-카르복시아마이드 (화합물 217) 의 합성.
상기 실시예 10 제조예 1과 동일조건으로 실시하되 1-(N-에틸-2-클로로페닐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산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을 수 있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8.10 (d, 1H), 1.65(m, 2H), 7.55 (m, 1H), 7.20 (d, -NH-CO-, 1H), 7.01 (s, NH2-CO-, 1H), 6.75(s, NH2-CO-, 1H), 3.80(s, 1H), 3.59 (s, -N-SO2 , 2H), 1.51-1.94 (m, 13H), 1.43 (s, 6H), 1.21(s, 3H).
[실시예 11]
제조예 1. N-4-(2-(2-트리플루오로메틸-N-프로필페닐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아미도)아다만탄-1-카르복시아마이드 (화합물 218) 의 합성
2-아미노-2-메틸프로판산 (10 g, 96.9 mmol)와 메탄올 (330 ml)를 투입하였다. 아이스 배스를 설치하고 싸이오닐클로라이드 (17.68 ml, 242.25 mmol)을 천천히 투입한 후, 아이스 배스를 제거하고 실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감압증류로 용매를 제거 한 후, 60℃ 오븐에서 건조하여 메틸-2-아미노-2-메틸프로판노에이트 염산염 (14.59 g, 94.9 mmol, 98 %)을 얻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8.75 (br, 3H), 3.75 (s, 3H), 1.45 (s, 6H).
메틸-2-아미노-2-메틸프로파노에이트 염산염 (1 g, 6.53 mmol)을 CH2Cl2 (20 ml)에 녹인 후, 2-(트리플루오로메틸)벤젠-1-설포닐클로라이드 (1.76 g, 7.18 mmol)와 트리에틸아민 (3.6 ml, 26.1 mmol)를 첨가하여 상온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액에 H2O를 첨가 한 뒤 CH2Cl2로 추출 (X2)하고 MgSO4로 건조, 여과하고 감압증류하여 용매를 제거하였다. 혼합물을 컬럼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여 메틸-2-메틸-2-(2-(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설폰아미도)프로판노에이트 (1.98 g, 6.08 mmol, 93 %)을 얻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8.25 (m, 1H), 7.88 (m, 1H), 7.71 (m, 2H), 5.59 (s, -NH-SO2), 3.67 (s, 3H), 1.49 (s, 6H).
메틸-2-메틸-2-(2-(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설폰아미도)프로판노에이트 (310 mg, 0.95 mmol)을 DMF (8 ml)에 녹인 후, 후 0℃에서 프로필 아이오다이드 (0.32 ml, 3.34 mmol)를 첨가하여 실온에서 12시간 교반 하였다. 반응액에 H2O를 첨가 한 뒤 EA로 추출 (X2)하고 유기용액을 H2O로 씻어준 후, MgSO4로 건조, 여과하고 감압증류하여 용매를 제거하였다. 혼합물을 컬럼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여, 메틸-2-메틸-2-(N-프로필-2-(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설폰아미도)프로파노에이트 (340 mg, 0.93 mmol, 97 %)를 얻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8.24 (m, 1H), 7.88 (m, 1H), 7.69 (m, 2H), 3.68 (s, 3H), 3.27 (m, 2H), 1.82 (m, 2H), 1.69 (s, 6H), 0.86 (t, J = 7.2 Hz, 3H).
메틸-2-메틸-2-(N-프로필-2-(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설폰아미도)프로파노에이트 (340 mg, 0.93 mmol)를 투입하고 THF (4 ml), 메탄올 (4 ml)을 투입하여 녹인다. H2O(4 ml)에 녹인 LiOH·H2O를 투입하고 12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시킨다. 12시간 교반 후, 반응용액을 감압 농축 시킨 뒤, 2N-HCl로 pH 2~3 사이로 맞추고 EA로 추출 (X2)한다. 유기층을 MgSO4로 건조, 여과하고 감압증류로 용매를 제거하여 2-메틸-2-(N-프로필-2-(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설폰아미도)프로판산(320 mg, 0.91 mmol, 98 %)을 얻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12.74 (bs, -COOH), 8.21 (m, 1H), 7.96 (m, 1H), 7.84 (m, 2H), 3.27 (t, J = 8 Hz, 2H), 1.72 (m, 2H), 1.55 (s, 6H), 0.78 (t, J = 7.8 Hz, 3H).
2-메틸-2-(N-프로필-2-(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설폰아미도)프로판산(320 mg, 0.91 mmol), 4-아미노-아다만탄-1-카르복실레이트 하이드로클로라이드 (246 mg, 1.00 mmol), BOP (402 mg, 0.91 mmol)을 투입하고 CH2Cl2 (7 ml)를 투입한 뒤, 30분 동안 실온에서 교반 후, DIPEA (0.45 ml, 2.73 mmol)을 넣고서 상온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종료 후 CH2Cl2와 H2O를 사용하여 유기층을 분리하고서 유기층은 MgSO4로 건조, 여과하였다. 감압증류로 용매를 제거 후 컬럼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여 N-4-(2-(2-트리플루오로메틸-N-프로필페닐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아미도)아다만탄-1-카르복시실레이트 (444 mg, 0.82 mmol, 90 %)을 얻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8.11 (m, 1H), 7.91 (m, 1H), 7.73 (m, 2H), 7.59 (d, J = 8.8 Hz, -NH-CO-), 4.02 (d, J = 7.2 Hz, 1H), 3.68 (s, 3H), 3.45 (m, 2H), 2.08-1.92 (m, 11H), 1.76 (m, 2H), 1.62 (m, 2H), 1.55 (s, 6H), 0.89 (t, J = 7.6 Hz, 3H).
N-4-(2-(2-트리플루오로메틸-N-프로필페닐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아미도)아다만탄-1-카르복시실레이트 (444 mg, 0.82 mmol)를 투입하고 THF (5 ml), 메탄올 (5 ml)을 투입하여 녹인다. H2O(4 ml)에 녹인 LiOH·H2O를 투입하고 12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시킨다. 12시간 교반 후, 반응용액을 감압 농축 시킨 뒤, 2N-HCl로 pH 2~3 사이로 맞추고 EA로 추출 (X2)한다. 유기층을 MgSO4로 건조, 여과하고 감압증류로 용매를 제거하여 N-4-(2-(2-트리플루오로메틸-N-프로필페닐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아미도)아다만탄-1-카르복시산 (424 mg, 0.79 mmol, 98 %)을 얻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12.08 (bs, -COOH), 8.24 (m, 1H), 8.01 (m, 1H), 7.88 (m, 2H), 6.99 (d, J = 7.2 Hz, -NH-CO-), 3.77 (d, J =7.6 Hz, 1H), 3.35 (m, 2H), 1.91-1.72 (m, 11H), 1.68 (m, 2H), 1.54 (s, 6H), 1.52 (m, 2H), 0.80 (t, J = 3.6 Hz, 3H).
N-4-(2-(2-트리플루오로메틸-N-프로필페닐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아미도)아다만탄-1-카르복시산 (424 mg, 0.79 mmol)을 CH2Cl2 (10 ml)에 녹인 후, EDCI (303 mg, 1.58 mmol)와 HOBT (213 mg, 1.58 mmol)를 첨가하여 30분간 교반 후 30% NH4OH 수용액(5 ml)을 첨가하여 상온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액에 H2O를 첨가 한 뒤 CH2Cl2로 추출 (X3)하고 MgSO4로 건조, 여과하고 감압증류하여 용매를 제거하였다. 혼합물을 컬럼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여, N-4-(2-(2-트리플루오로메틸-N-프로필페닐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아미도)아다만탄-1-카르복시아마이드 (317 mg, 0.59 mmol, 75 %)를 얻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8.24 (m, 1H), 7.99 (m, 1H), 7.89 (m, 2H), 7.02 (d, J = 6.8 Hz, -NH-CO-), 6.99 (br, NH2-CO-), 6.74 (br, NH2-CO-), 3.78 (d, J = 6.8 Hz, 1H), 3.37 (m, 2H), 1.89-1.70 (m, 11H), 1.68 (m, 2H), 1.53(s, 6H), 1.46 (m, 2H), 0.81 (t, J = 7.2 Hz, 3H)
[실시예 12]
제조예 1. N-4-(2-(2-아미노페닐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아미도)아다만탄-1-카르복시아마이드 (화합물 219)의 합성.
25-mL 플라스크에 4-[2-(2-니트로-벤젠설포닐아미노)-2-메틸-프로피오닐아미노]-아다만탄-1-카르복시산 아마이드 (30mg, 0.0645mmol)과 메탄올 (5mL)을 투입하여 녹인 후 5% Pd/c (10mg)를 투입한다. 반응기 내의 공기를 감압으로 제거한 후 수소를 투입하며 상온에서 3시간 교반을 통해 반응을 완결 시킨다. 반응 종료 후 셀라이트 여과를 통하여 Pd를 제거하고 35℃에서 감압 농축을 하여 4-[2-(2-아미노-벤젠설포닐아미노)-2-메틸-프로피오닐아미노]-아다만탄-1-카르복시산 아마이드 (21mg, 75.0%)을 얻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8.10 (s, -NH-SO2 , 1H), 7.48 (dd, 1H), 7.27(td, 1H), 7.20(d, -NH-CO-, 1H), 7.03(s, NH2-CO-, 1H), 6.82(d, 1H), 6.76(s, NH2-CO-, 1H), 6.60(t, 1H), 5.93(s, -NH2, 2H), 3.74(s, 1H), 1.59-2.15 (m, 13H), 1.22 (s, 6H).
제조예 2. N-4-(1-(2-아미노페닐설폰아미도)싸이클로헥산카르복시아미도)아다만탄-1-카르복시아마이드 (화합물 220)의 합성
상기 실시예 12 제조예 1과 동일조건으로 실시하되 N-4-(1-(2-나이트로페닐설폰아미도)싸이클로헥산카르복시아미도)아다만탄-1-카르복시아마이드를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을 수 있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7.93 (s, -NH-SO2 , 1H), 7.43 (d, 1H), 7.21(s, 1H), 7.20(s, -NH-CO-, 1H, 1H), 6.75(s, NH2-CO-, 2H), 6.56(m, 1H), 5.93(s, -NH2, 2H), 3.62(s, 1H), 1.59-2.15 (m, 13H), 0.87-1.61 (m, 10H).
제조예 3. N-4-(1-(2-아미노페닐설폰아미도)싸이클로부탄카르복시아미도)아다만탄-1-카르복시아마이드 (화합물 221)의 합성
상기 실시예 12 제조예 1과 동일조건으로 실시하되 N-4-(1-(2-나이트로페닐설폰아미도)싸이클로부탄카르복시아미도)아다만탄-1-카르복시아마이드를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을 수 있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8.39 (s, -NH-SO2 , 1H), 7.54 (dd, 1H), 7.22(td, 1H), 7.02-7.06(m, NH2-CO-, 1H, 1H), 6.79(d, -NH-CO-, 1H), 6.71(s, NH2-CO-, 1H), 6.57(t, 1H), 5.93(s, -NH2, 2H), 3.64(s, 1H), 1.59-2.15 (m, 13H), 1.45-2.46 (m, 6H).
제조예 4. N-4-(1-(N-메틸-2-아미노페닐설폰아미도)싸이클로부탄카르복시아미도)아다만탄-1-카르복시아마이드 (화합물 222)의 합성
상기 실시예 12 제조예 1과 동일조건으로 실시하되 N-4-(1-(N-메틸-2-나이트로페닐설폰아미도)싸이클로부탄카르복시아미도)아다만탄-1-카르복시아마이드를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을 수 있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7.52 (dd, 1H), 7.33(td, 1H), 7.23(d, 1H), 6.90(s, NH2-CO-, 1H), 6.78(d, -NH-CO-, 1H), 6.71(s, NH2-CO-, 1H), 6.67(t, 1H), 5.77(s, -NH2, 2H), 3.17(s, 1H), 2.79(s, 3H), 1.59-2.15 (m, 13H), 1.45-2.46 (m, 6H).
제조예 5. N-4-(2-(2-아미노-N-메틸페닐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아미도)아다만탄-1-카르복시아마이드 (화합물 223)의 합성
상기 실시예 12 제조예 1과 동일조건으로 실시하되 N-4-(2-(2-나이트로-N-메틸페닐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아미도)아다만탄-1-카르복시아마이드를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을 수 있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7.57 (d, 1H), 7.29 (t, 1H), 7.01(s, NH2-CO-, 1H), 6.91(d, -NH-CO-, 1H), 6.84(d, 1H), 6.51(s, NH2-CO-, 1H), 6.63(t, 1H), 6.20(s, 2H), 3.77(s, 1H), 3.16(s, 1H), 2.66(s, -N-SO2 , 3H), 1.74-1.93 (m, 13H), 1.38 (s, 6H).
제조예 6. N-4-(2-(2-아미노-N-에틸페닐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아미도)아다만탄-1-카르복시아마이드 (화합물 224)의 합성
상기 실시예 12 제조예 1과 동일조건으로 실시하되 N-4-(2-(2-나이트로-N-에틸페닐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아미도)아다만탄-1-카르복시아마이드를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을 수 있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7.53 (d, 1H), 7.27(t, 1H), 7.02 (s, NH2-CO-, 1H), 6.80 (d, -NH-CO-, 1H), 6.75(d, 1H), 6.61(s, NH2-CO-, 1H), 6.32(s, 2H), 3.79(s, 1H), 3.20 (d, -N-SO2 , 2H), 1.44-1.96 (m, 13H), 1.45 (s, 6H), 1.03(t, 3H).
제조예 7. N-4-(2-(2-아미노페닐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아미도)아다만탄-1-하이드록시아마이드 (화합물 225)의 합성
상기 실시예 12 제조예 1과 동일조건으로 실시하되 4-[2-(2-니트로-벤젠설포닐아미노)-2-메틸-프로피오닐아미노]-아다만탄-1-하이드록시아마이드를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을 수 있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7.54 (d, 1H), 7.29(t, 1H), 6.83(m, 1H), 6.83 (d, -NH-CO-, 1H), 6.62(t, 1H), 6.19(s, 2H), 4.74(s, 1H), 3.73(s, 1H), 2.65 (s, -N-SO2 , 3H), 1.58-1.93 (m, 13H), 1.32 (s, 6H).
[실시예 13]
제조예 1. 4-[2-(2-메톡시-벤젠설포닐아미노)-2-메틸-프로피오닐아미노]-아다만탄-1-카르복시산 아마이드 (화합물 226)의 합성.
100-mL 플라스크에 메틸-2-아미노-(2-브로모-벤젠설포닐아미노)프로판노에이트 (1.9g, 5.65mmol)과 메탄올 (50mL)을 투입하여 녹인 후 1가 쿠퍼아이오다이드 (1.1g, 5.65mmol)과 25% 소튬메톡사이드 메탄올 용액 (2.4mL, 11.3mmol)을 투입한다. 온도를 환류 온도까지 높인 후 6시간 교반한여 반응을 종결한다. 온도를 실온으로 냉각한 후 정제수 (20mL)를 투입한 후 45℃에서 감압농축을 실시한다. 농축 잔사에 2N-염산 수용액을 투입하여 중성화를 시킨 후 celite 여과를 실시하여 반응여 참여한 구리를 제거한다. 에틸 아세테이트 (50mL)로 수층을 2회 세척한 후 마그네슘 설페이트를 처리하여 잔여 수분을 제거한 후 여과 및 농축을 실시한다. 잔사에서 컬럼크로마토그래피(EA/n-Hex = 1:3)를 이용한 분리를 통해 메틸-2-아미노-(2-메톡시-벤젠설포닐아미노)프로판노에이트 (195mg, 16.3%)을 얻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7.89(dd, 1H), 7.55(td, 1H), 7.03-7.08 (m, 2H), 6.03 (s, -NH-SO2), 4.03 (s, CH3-CO2-, 3H), 3.62 (s, CH3-O-, 3H) , 1.58 (s, 6H).
상기 실시예 2 제조예 1과 동일조건으로 실시하되 메틸-2-아미노-(2-메톡시-벤젠설포닐아미노)프로판노에이트를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을 수 있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7.79 (s, -NH-SO2 , 1H), 7.73 (d, 1H), 7.63(t, 1H), 7.23-7.29(m, 2H), 7.10(t, -NH-CO-, 1H), 7.02(s, NH2-CO-, 1H), 6.75(s, NH2-CO-, 1H), 3.93(s, -O-CH3, 3H), 3.74(s, 1H), 1.59-2.15 (m, 13H), 1.22 (s, 6H).
[실시예 14]
제조예 1. 4-[2-(2-클로로-벤젠설포닐아미노)-2-메틸-프로피오닐아미노]-아다만탄-1-카르복시산 다이에틸아마이드 (화합물 227)의 합성.
25-mL 플라스크에 4-[2-(2-클로로-벤젠설포닐아미노)-2-메틸-프로피오닐아미노]-아다만탄-1-카르복시산 (100 mg, 0.22 mmol)과 1-에틸-3-(3-다이메틸아미노프로필)카르보다이이미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85 mg, 0.44 mmol), 1-하이드록시벤조트리아졸 (60 mg, 0.44 mmol), 메틸렌클로라이드 (10mL)를 투입한다. 15분간 상온에서 교반 후 다이에틸아민 (48 mg, 0.66 mmol)을 투입한다. 상온에서 12시간 교반 후 정제수 (5mL)를 투입하여 5분 간 교반 한다. 유기층을 분리한 후 마그네슘설페이트 (50mg)을 투입하여 잔여 수분을 제거하며 여액을 농축하여 잔사로 얻는다. 혼합물은 컬럼크로마토그래피(MC/MeOH = 20:1)를 이용하여 분리함으로써 4-[2-(2-클로로-벤젠설포닐아미노)-2-메틸-프로피오닐아미노]-아다만탄-1-카르복시산 다이에틸아마이드 (46mg, 41.0%)을 얻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8.37 (s, -NH-SO2 , 1H), 7.99 (dd, 1H), 7.63-7.70(m, 2H), 7.52(m, 1H), 7.21(d, -NH-CO-, 1H), 3.76(s, 1H), 2.00(m, 4H), 1.59-2.00 (m, 13H), 1.21 (s, 6H), 0.98 (t, 6H).
제조예 2. 4-[2-(2-브로모-벤젠설포닐아미노)-2-메틸-프로피오닐아미노]-아다만탄-1-카르복시산 아이소프로필아마이드 (화합물 228)의 합성.
상기 실시예 14 제조예 1과 동일조건으로 실시하되 4-(2-메틸-(2-브로모페닐설폰아미도)프로판아미도)아다만탄-1-카르복시산과 아이소프로필아민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을 수 있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8.16 (dd, J = 2.0, 7.8 Hz, 1H), 7.78 (dd, J = 1.2, 7.6 Hz, 1H), 7.44-7.54 (m, 2H), 7.12 (d, J = 7.6 Hz -NH-CO-), 5.76 (s, -NH-SO2), 5.36 (d, J = 7.2 Hz -NH-CO-), 4.0 (d, J = 7.6 Hz, 1H), 1.64-2.12 (m, 13H), 1.39 (s, 6H), 1.16 (d, J = 6.4 Hz, 6H).
제조예 3. 4-[2-(2-브로모-벤젠설포닐아미노)-2-메틸-프로피오닐아미노]-아다만탄-1-카르복시산 싸이클로프로필아마이드 (화합물 229)의 합성.
상기 실시예 14 제조예 1과 동일조건으로 실시하되 4-(2-메틸-(2-브로모페닐설폰아미도)프로판아미도)아다만탄-1-카르복시산과 싸이클로프로필아민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을 수 있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8.16 (dd, J = 1.6, 7.6 Hz, 1H), 7.78 (dd, J = 1.2, 8.0 Hz, 1H), 7.44-7.54 (m, 2H), 7.12 (d, J = 8.0 Hz -NH-CO-), 5.75 (s, -NH-SO2), 5.67 (s, -NH-CO-), 3.99 (d, J = 7.6 Hz, 1H), 2.70-2.75 (m, 1H), 1.63-2.20 (m, 13H), 1.57 (s, 6H), 0.77-0.82 (m, 2H), 0.46-0.50 (m, 2H).
제조예 4. 4-({1-[(2-클로로-벤젠설포닐)-메틸-아미노]-싸이클로부탄카르보닐}-아미노)-아다만탄-1-카르복시산 다이에틸아마이드 (화합물 230)의 합성.
상기 실시예 14 제조예 1과 동일조건으로 실시하되 4-(2-메틸-(2-클로로페닐설폰아미도)싸이클로부탄아미도)아다만탄-1-카르복시산과 1-에틸-3-(3-다이메틸아미노프로필)카르보다이이미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를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을 수 있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8.65 (s, -NH-SO2 , 1H), 7.96 (d, 1H), 7.64-7.71(m, 2H), 7.52(t, 1H), 7.01(d, -NH-CO-, 1H), 3.66(s, 1H), 1.59-2.50 (m, 13H), 1.84-1.98(m, 4H), 1.45-2.46 (m, 6H), 1.05(s, 6H)
제조예 5. 4-[2-(2-클로로-벤젠설포닐아미노)-2-메틸-프로피오닐아미노]-아다만탄-1-카르복시산 에탄올아마이드 (화합물 231)의 합성.
상기 실시예 14 제조예 1과 동일조건으로 실시하되 4-(2-메틸-(2-클로로페닐설폰아미도)프로판아미도)아다만탄-1-카르복시산과 2-아미노에탄올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을 수 있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8.36 (s, -NH-SO2 , 1H), 7.99 (dd, 1H), 7.63-7.77(m, 2H), 7.47-7.52(m, 1H), 7.38(t, NH-CO-, 1H), 7.21(d, -NH-CO-, 1H), 4.69(t, 1H), 3.76(s, 1H), 3.10(m, 2H), 1.51-2.00 (m, 13H), 1.48(d, 2H), 1.16 (s, 6H).
제조예 6. 4-({1-[(2-클로로-벤젠설포닐)-메틸-아미노]-싸이클로부탄카르보닐}-아미노)-아다만탄-1-카르복시산 에탄올아마이드 (화합물 232)의 합성.
상기 실시예 14 제조예 1과 동일조건으로 실시하되 4-(2-메틸-(2-클로로페닐설폰아미도)싸이클로부탄아미도)아다만탄-1-카르복시산과 2-아미노에탄올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을 수 있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8.66 (s, -NH-SO2 , 1H), 7.95 (d, 1H), 7.63-7.71(m, 2H), 7.52(m, 1H), 7.36(t, NH-CO-, 1H), 7.02(d, -NH-CO-, 1H), 4.62(t, 1H), 3.66(s, 1H), 3.08(m, 2H), 1.59-2.50 (m, 13H), 1.75(s, 2H), 1.45-2.46 (m, 6H)
제조예 7. 4-[2-(2-클로로-벤젠설포닐아미노)-2-메틸-프로피오닐아미노]-아다만탄-1-카르복시산 싸이클로헥실아마이드 (화합물 233)의 합성.
상기 실시예 14 제조예 1과 동일조건으로 실시하되 4-(2-메틸-(2-클로로페닐설폰아미도)프로판아미도)아다만탄-1-카르복시산과 싸이클로헥산아민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을 수 있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8.37 (s, -NH-SO2 , 1H), 7.99 (dd, 1H), 7.63-7.70(m, 2H), 7.52(m, 1H), 7.39(d, NH-CO-, 1H), 7.20(d, -NH-CO-, 1H), 3.76(s, 1H), 2.62 (m, 1H), 1.59-1.93 (m, 13H), 1.47(d, 2H), 1.22(s, 1H), 1.20 (s, 6H), 0.56(m, 2H), 0.39(m, 2H).
제조예 8. 4-({1-[(2-클로로-벤젠설포닐)-메틸-아미노]-싸이클로부탄카르보닐}-아미노)-아다만탄-1-카르복시산 싸이클로헥실아마이드 (화합물 234)의 합성.
상기 실시예 14 제조예 1과 동일조건으로 실시하되 4-(2-메틸-(2-클로로페닐설폰아미도)싸이클로부탄아미도)아다만탄-1-카르복시산과 싸이클로헥산아민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을 수 있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8.63 (s, -NH-SO2 , 1H), 7.95 (d, 1H), 7.65-7.71(m, 2H), 7.52(m, 1H), 7.38(d, NH-CO-, 1H), 7.01(d, -NH-CO-, 1H), 3.64(s, 1H), 2.59(m, 1H), 2.31(m, 2H), 1.98(m, 2H), 1.59-2.50 (m, 13H), 1.45-2.46 (m, 6H), 0.58(m, 2H), 0.40(m, 2H)
제조예 9. 4-[2-(2-클로로-벤젠설포닐아미노)-2-메틸-프로피오닐아미노]-아다만탄-1-카르복시산 아이소프로필아마이드 (화합물 235)의 합성.
상기 실시예 14 제조예 1과 동일조건으로 실시하되 4-(2-메틸-(2-클로로페닐설폰아미도)프로판아미도)아다만탄-1-카르복시산과 아이소프로필아민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을 수 있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8.38 (s, -NH-SO2 , 1H), 7.99 (dd, 1H), 7.63-7.70(m, 2H), 7.52(m, 1H), 7.21(d, NH-CO-, 1H), 7.12(d, -NH-CO-, 1H), 3.89(m, 1H), 3.77(s, 1H), 1.59-1.93 (m, 13H), 1.21 (s, 6H), 1.01(d, 6H)
제조예 10. 4-({1-[(2-클로로-벤젠설포닐)-메틸-아미노]-싸이클로부탄카르보닐}-아미노)-아다만탄-1-카르복시산 아이소프로필아마이드 (화합물 236)의 합성.
상기 실시예 14 제조예 1과 동일조건으로 실시하되 4-(2-메틸-(2-클로로페닐설폰아미도)싸이클로부탄아미도)아다만탄-1-카르복시산과 아이소프로필아민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을 수 있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8.82 (s, -NH-SO2 , 1H), 7.95 (d, 1H), 7.66-7.75(m, 2H), 7.52(td, 1H), 7.11(d, NH-CO-, 1H), 7.01(d, -NH-CO-, 1H), 3.80(m, 1H), 3.66(s, 1H), 2.30(m, 1H), 1.59-2.50 (m, 13H), 1.45-2.46 (m, 6H), 1.04(d, 6H)
제조예 11. 4-[2-(2-클로로-벤젠설포닐아미노)-2-메틸-프로피오닐아미노]-아다만탄-1-카르복시산 메틸아마이드 (화합물 237)의 합성.
상기 실시예 14 제조예 1과 동일조건으로 실시하되 4-(2-메틸-(2-클로로페닐설폰아미도)프로판아미도)아다만탄-1-카르복시산과 메틸아민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을 수 있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8.37 (s, -NH-SO2 , 1H), 7.99 (dd, 1H), 7.63-7.70(m, 2H), 7.52(m, 1H), 7.41(m, NH-CO-, 1H), 7.21(d, -NH-CO-, 1H), 3.75(s, 1H), 2.50(d, 3H), 1.59-1.93 (m, 13H), 1.21 (s, 6H)
제조예 12. 4-({1-[(2-클로로-벤젠설포닐)-메틸-아미노]-싸이클로부탄카르보닐}-아미노)-아다만탄-1-카르복시산 메틸아마이드 (화합물 238)의 합성.
상기 실시예 14 제조예 1과 동일조건으로 실시하되 4-(2-메틸-(2-클로로페닐설폰아미도)싸이클로부탄아미도)아다만탄-1-카르복시산과 메틸아민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을 수 있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8.65 (s, -NH-SO2 , 1H), 7.93 (dd, 1H), 7.64-7.71(m, 2H), 7.52(td, 1H), 7.40(m, NH-CO-, 1H), 7.01(d, -NH-CO-, 1H), 3.62(s, 1H), 2.56(d, 3H), 1.59-2.50 (m, 13H), 1.45-2.46 (m, 6H)
[실시예 15]
제조예 1. N-(5-하이드록시아다만탄-2-일)-2-(4-(2-하이드록시프로판-2-일)페닐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아마이드 (화합물 239)의 합성.
2-아미노-2-메틸프로판산 (10 g, 96.9 mmol)와 메탄올 (330 ml)를 투입하였다. 아이스 배스를 설치하고 싸이오닐클로라이드 (17.68 ml, 242.25 mmol)을 천천히 투입한 후, 아이스 배스를 제거하고 실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감압증류로 용매를 제거 한 후, 60℃ 오븐에서 건조하여 메틸-2-아미노-2-메틸프로판노에이트 염산염 (14.59 g, 94.9 mmol, 98 %)을 얻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8.75 (br, 3H), 3.75 (s, 3H), 1.45 (s, 6H).
메틸-2-아미노-2-메틸프로판노에이트 염산염 (2 g, 13.07 mmol)을 CH2Cl2 (50 ml)에 녹인 후, 4-아세틸벤젠-1-설포닐 클로라이드 (2.86 g, 13.07 mmol)와 트리에틸아민 (7.2 ml, 52.27 mmol)를 첨가하여 상온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액에 H2O를 첨가 한 뒤 CH2Cl2로 추출 (X2)하고 MgSO4로 건조, 여과하고 감압증류하여 용매를 제거하였다. 혼합물을 컬럼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여 메틸-2-(4-아세틸페닐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파노에이트 (2.55 g, 8.52 mmol, 56 %)을 얻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8.07 (m, 2H), 7.99 (m, 2H), 5.49 (s, -NH-SO2), 3.71 (s, 3H), 2.67 (s, 3H), 1.48 (s, 6H).
메틸-2-(4-아세틸페닐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파노에이트 (2.55 g, 8.52 mmol)를 투입하고 THF (20 ml), 메탄올 (20 ml)을 투입하여 녹인다. H2O(10 ml)에 녹인 LiOH·H2O를 투입하고 12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시킨다. 12시간 교반 후, 반응용액을 감압 농축 시킨 뒤, 2N-HCl로 pH 2~3 사이로 맞추고 EA로 추출 (X2)한다. 유기층을 MgSO4로 건조, 여과하고 감압증류로 용매를 제거하여 2-(4-아세틸페닐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산(2.38 g, 8.35 mmol, 98 %)을 얻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12.63 (bs, -COOH), 8.29 (s, -NH-SO2), 8.12 (m, 2H), 7.91 (m, 2H), 2.64 (s, 3H), 1.27 (s, 6H).
2-(4-아세틸페닐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산(109 mg, 0.38 mmol), 5-하이드록시-2-아다만탄아민 (127 mg, 0.76 mmol), BOP (168 mg, 0.38 mmol)을 투입하고 CH2Cl2 (5 ml)를 투입한 뒤, 30분 동안 실온에서 교반 후, DIPEA (0.18 ml, 1.14 mmol)을 넣고서 상온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종료 후 CH2Cl2와 H2O를 사용하여 유기층을 분리하고서 유기층은 MgSO4로 건조, 여과하였다. 감압증류로 용매를 제거 후 컬럼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여 2-(4-아세틸페닐설폰아미도)-N-(5-하이드록시아다만탄-2-일)-2-메틸프로판아마이드 (110 mg, 0.25 mmol, 69 %)을 얻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8.34 (s, -NH-SO2), 8.12 (m, 2H), 7.93 (m, 2H), 7.01 (d, J = 7.2 Hz, -NH-CO-), 4.45 (s, -OH), 3.47 (d, J = 6.8 Hz, 1H), 2.64 (s, 3H), 2.01-1.57 (m, 11H), 1.35 (m, 2H), 1.24 (s, 6H).
2-(4-아세틸페닐설폰아미도)-N-(5-하이드록시아다만탄-2-일)-2-메틸프로판아마이드 (94 mg, 022 mmol)을 THF (4 ml)에 녹인 뒤, 아이스 배스를 설치하고 1.4M CH3MgBr (THF: 톨루엔 = 1:3)을 넣고서 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종료 후 암모늄 클로라이드 용액을 넣고서 CH2Cl2을 사용하여 유기층을 분리하고서 유기층은 MgSO4로 건조, 여과하였다. 감압증류로 용매를 제거 후 컬럼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여 N-(5-하이드록시아다만탄-2-일)-2-(4-(2-하이드로프로판-2-일)페닐설폰아미도)-2-메틸프로판아마이드 (51 mg, 0.11 mmol, 51 %)을 얻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8.13 (s, -NH-SO2), 7.77 (m, 2H), 7.64 (m, 2H), 7.03 (d, J = 7.2 Hz, -NH-CO-), 5.24 (s, -OH), 4.46 (s, -OH), 3.52 (d, J = 7.2 Hz, 1H), 2.01-1.57 (m, 11H), 1.44 (s, 6H), 1.34 (m, 2H), 1.24 (s, 6H).
[실시예 16]
제조예 1. N-(아다만탄-2-일)-2-메틸-2-(N-메틸-1-(2-나이트로페닐)에틸설폰아미도)프로판아마이드 (화합물 240)의 합성.
N-(아다만탄-2-일)-2-메틸-2-(N-메틸-1-(2-나이트로페닐)메틸설폰아미도)프로판아마이드 (100 mg, 0.23 mmol)을 THF (2 ml)에 녹인 뒤, Dry ice 와 아세톤을 사용하여 -70℃까지 냉각시킨 후, THF 중 1M LiHMDS (0.46 ml, 0.46 mmol)을 투입한다, 1시간 동안 -70℃에서 교반시킨 후, -40℃까지 온도를 올린 뒤, MeI (0.143 ml, 2.3 mmol)을 투입한 후, 실온에서 4시간 동안 교반시킨다. 4시간 교반 후, 암모늄 클로라이드 용액 (4 ml) 투입하여 퀀칭시킨 후, 암모늄 클로라이드 용액 (4 ml)으로 유기층을 2회 씻어준 뒤, 유기층을 분리하고서 유기층을 MgSO4로 건조, 여과하였다. 감압증류로 용매를 제거 후 컬럼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여 N-(아다만탄-2-일)-2-메틸-2-(N-메틸-1-(2-나이트로페닐)에틸설폰아미도)프로판아마이드 (21 mg, 0.11 mmol, 19 %)을 얻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7.87-7.93 (m, 2H), 7.67 (t, J = 7.6, 1H), 7.51-7.53 (m, 1H), 6.71 (d, J = 7.2 Hz -NH-CO-), 5.39-5.44 (q, 1H), 5.67 (s, -NH-CO-), 4.02 (d, J = 7.6 Hz, 1H), 2.70 (s, 3H), 1.98-1.72 (m, 14H), 1.62 (s, 6H), 1.45 (s, 3H).
[실시예 17]
제조예 1. 4-(2-메틸-2-벤젠설포닐아미노-프로피오닐아미노)-아다만탄-1-프로판노익에시드 (화합물 241)의 합성.
50-mL 플라스크에 4-{[1-(2-브로모-벤젠설포닐아미노)-2-메틸-프로피오닐아미노]}-아다만탄-1-카르복시산 메틸에스터 (300mg, 0.584mmol)를 투입하고 테트라하드로퓨란 (20mL)를 투입하여 녹인다. 반응액을 -30~-25℃로 냉각한 후 리튬알루미늄하드록사이드 (35mg, 0.876mmol)을 투입하고 온도를 0~5℃로 올려 1시간 동안 교반한다. 반응이 종결되면 정제수 (10ml)를 저온에서 투입한 후 감압 농축하여 용매를 제거한다. 농축 잔사에 정제수 (10ml), 다이클로로메탄 (20 ml)를 투입하여 추출한다. 유기층에 마그네슘설페이트를 투입하여 잔류 수분을 제거한 후 여과, 감압증류로 용매를 제거하며 컬럼크로마토그래피(EA/n-Hex = 1:1)를 이용하여 4-{[1-(2-브로모-벤젠설포닐아미노)-2-메틸-프로피오닐아미노]}-아다만탄-1-메틸 하이드록사이드 (168 mg, 59%)을 얻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8.14 (d, 1H), 7.76 (d, 1H), 7.43 (m, 2H), 7.04 (d,-NH-CO-, 1H), 5.84 (d s, -NH-SO2, 1H), 3.95 (s, 1H), 3.26 (s, 2H), 1.59-2.06 (m, 13H), 1.39 (s, 6H).
25-mL 플라스크에 4-{[1-(2-브로모-벤젠설포닐아미노)-2-메틸-프로피오닐아미노]}-아다만탄-1-메틸 하이드록사이드 (150mg, 0.309mmol)를 투입하고 다이클로로메탄 (10mL)를 투입하여 녹인다. 반응액을 0~5℃로 냉각한 후 피리디니움다이크로메이트 (234mg, 0618mmol)을 투입한다. 투입 후 온도를 0~5℃로 올려 질소기체 환류 조건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한다. 반응이 종결되면 냉각된 다이에틸에테르 (20ml)를 투입하여 5분간 교반 한 후 실리카겔이 충진된 컬럼에서 여과하여 잔류 금속을 제거한다. 여액은 감압 농축하여 용매를 제거한 후 농축를 컬럼크로마토그래피(EA/n-Hex = 1:1)를 이용하여 4-{[1-(2-브로모-벤젠설포닐아미노)-2-메틸-프로피오닐아미노]}-아다만탄-1-알데하이드 (47 mg, 32%)을 얻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9.38 (s, -COH), 8.15 (dd, J = 2.0, 7.6 Hz, 1H), 7.78 (d, J = 7.6 Hz, 1H), 7.52-7.46 (m, 2H), 7.23 (d, J = 7.2 Hz, -CONH), 5.79 (s, 1H), 4.00 (m, 1H), 2.15-1.63 (m, 13H), 1.38 (s, 6H).
25-mL 플라스크에 소듐메톡사이드 (32mg, 0.5792mmol)과 메탄올 (10ml)를 투입한 후 0~5℃로 냉각한다. 냉각된 반응액에 트리에틸포스포노아세테이트 (130mg, 0.579mmol)을 투입한 후 30분간 저온에서 교반하고 4-{[1-(2-브로모-벤젠설포닐아미노)-2-메틸-프로피오닐아미노]}-아다만탄-1-알데하이드 (140mg, 0.289mmol)을 메탄올 (2ml)에 녹여 적가한다. 반응액은 질소시체 환류조건에서 2시간 교반을 하며 반응이 종결되면 정제수 (10ml)를 저온에서 투입한 후 감압 농축하여 용매를 제거한다. 농축 잔사에 정제수 (10ml), 다이클로로메탄 (20 ml)를 투입하여 추출한다. 유기층에 마그네슘설페이트를 투입하여 잔류 수분을 제거한 후 여과, 감압증류로 용매를 제거하며 컬럼크로마토그래피(EA/n-Hex = 1:1)를 이용하여 4-{[1-(2-브로모-벤젠설포닐아미노)-2-메틸-프로피오닐아미노]}-아다만탄-1-트란스-부테인 카르복실릭 메틸에스터 (57 mg, 36%)을 얻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8.15 (dd, J = 1.6, 7.6 Hz, 1H), 7.77 (dd, J = 1.6, 11.6 Hz, 1H), 7.50 (td, J = 1.2, 7.6 Hz, 1H), 7.45 (td, J = 2.0, 7.6 Hz, 1H), 7.12 (d, J = 7.6 Hz, -CONH), 6.84 (d, J = 16.0 Hz, 1H), 5.84 (s, 1H), 5.72 (d, J = 16.0 Hz, 1H), 3.96 (m, 1H), 2.09-1.59 (m, 13H), 1.38 (s, 6H).
25-mL 플라스크에 4-{[1-(2-브로모-벤젠설포닐아미노)-2-메틸-프로피오닐아미노]}-아다만탄-1-트란스-부테인 카르복실릭 메틸에스터 (57mg, 0.106mmol)과 메탄올 (5ml)를 투입한 후 5% Pd/c (57mg, 100% w/w)을 투입한다. 반응용기의 기체를 감압하여 제거한 후 수소풍선을 이용하여 수소 기체를 충진시킨다. 상온에서 3시간 교반한 후 셀라이트 충진된 필터에서 여과하여 금속을 제거한다. 여액을 감압농축하여 제거한 후 잔사에 메탄올 (5ml), 테트라하이드로퓨란 (5ml)를 투입하여 녹인다. 정제수 (5ml)에 용해된 리튬하이드록사이드 (44mg, 1.06mmol)을 투입한 후 20~25℃에서 3시간 교반을 실시한다. 감압 농축하여 용매를 제거하고 정제수 (10ml)를 투입한 후 1N-하이드로클로릭에시드를 이용하여 산성화 시킨다. 결정이 생성된 수용액 층에 다이클로로메탄 (20 ml)를 투입하여 추출한다. 유기층에 마그네슘설페이트를 투입하여 잔류 수분을 제거한 후 여과, 감압증류로 용매를 제거하며 컬럼크로마토그래피(MC/MeOH = 10:1)를 이용하여 4-(2-메틸-2-벤젠설포닐아미노-프로피오닐아미노)-아다만탄-1-프로판노익에시드 (21 mg, 38%)을 얻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7.92-7.90 (m, 2H), 7.62-7.51 (m, 3H), 6.90 (d, J = 8.0 Hz, -CONH), 5.51 (s, 1H), 3.90 (m, 1H), 2.33 (t, J = 8.0 Hz, 2H), 2.06-1.50 (m, 15H), 1.42 (s, 6H).
[실시예 18] 인간/마우스 11β-HSD1에 대한 효소 활성 분석
20 mM 트리스, 5 mM EDTA 완충물 (pH 6.0), 200 uM NADPH, 시험화합물, 100 ug/ml 인간/마우스의 간 미세소체, 160 nM 코르티존 (Sigma)을 기질로서 함유하는 분석 혼합물의 최종 부피 10 μl에서 인간 11β-HSD1에 대한 효소 활성을 측정하였다. 37℃에서 2시간 동안 배양 후에, 크립테이트 (cryptate)-표지 항-코티졸 항체5 μl 및 d2-표지 코티졸 5 μl를 첨가하였다. 실온에서 2시간 동안 추가의 배양 후에, 단일 시간-분해 형광 (homogeneous time-resolved fluorescence, HTRF, Cisbio) 신호를 측정하였다. 각각의 분석에서 수 개의 공지된 농도의 코티졸로 산출된 표준 곡선에 의해 코티졸 생산량을 평가하였다.
화합물이 없는 코티졸 생산량을 대조군으로서 제공하고, 각각의 농도에서 시험 화합물에 의한 저해 백분율을 계산하였다. 저해 백분율 대 시험 화합물의 농도를 좌표로 하여 산출된 저해 곡선을 사용하여, 11β-HSD1에 대한 화합물의 IC50값을 수득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9] 인간/마우스 11β-HSD1에 대한 세포 토대 효소 활성분석
인간/마우스 11β-HSD1 cDNA로 안정하게 형질 감염시킨 CHO 세포를 96 웰 플레이트에 100 μl의 10% FBS, 100 ug/ml penicillin, 100 ug/ml streptomycin과 puromycin (12 ug/ml)을 포함하고 있는 페놀 레드 부재 하의 RPMI 배지 (Wellgene)로 2x104개 세포/웰로 플레이팅 한 후 37℃에서 밤새 배양하였다. 세포를 플레이팅 한지 17시간 후에 160 nM 코르티존 (Sigma)과 희석된 시험 화합물의 다양한 농도의 존재 또는 부재 하에 부가한 후 37℃에서 3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상기 반응한 상층액의 10 μl를 384웰 플레이트에 옮기고 각 웰에 크립테이트 (cryptate)-표지 항-코티졸 항체 5 μl및 d2-표지 코티졸 5 μl를 첨가하였다. 실온에서 2시간 동안 추가의 배양 후에, 단일 시간-분해 형광 (homogeneous time-resolved fluorescence, HTRF, Cisbio) 신호를 측정하였다. 각각의 분석에서 수 개의 공지된 농도의 코티졸로 산출된 표준 곡선에 의해 코티졸 생산량을 평가하였다.
[실시예 20] 11b-HSD2 저해 평가
CHO 세포를 96 웰 플레이트에 100 μl의 10% FBS, 100 ug/ml penicillin과 100 ug/ml streptomycin 을 포함하고 있는 페놀 레드 부재 하의 RPMI (Wellgene)배지로 2x104개 세포/웰로 플레이팅 하였다. CHO 세포에 pCMV6-XL5 vector 에 인간 11β-HSD2 를 발현 하고 있는 플라스미드 (Origene, SC122552)는 FuGENE6 시약 (Promega, E2311)을 사용하여 형질감염 시켰다. 형질감염 시킨 지 24시간 후에 형질 감염된 세포를 50 nM 코티졸 (Sigma)과 화합물의 다양한 농도의 존재 또는 부재 하에 부가하였다. 다음날 (24시간 후)에 상층액을 수득하여 HTRF (Cisbio, 62CO2PEB)분석을 통한 경쟁적 코르티졸 양을 측정하였다.
화합물92, 화합물105, 화합물106, 화합물108, 화합물119, 화합물121, 화합물146은 10uM 농도에서 40% 이하의 저해효능을 보였다.
[실시예 21] 당질코르티코이드 수용체 경쟁적 결합 시험법
11β-HSD1 저해제의 선택적 저해능을 확인하기 위한 11β-HSD1 저해제와 당질코르티코이드 리간드 간 경쟁적 결합 시험은 LanthaScreen® TR-FRET Glucocorticoid Receptor Competitive Binding Assay (Invitrogen, PV6040) 방법을 사용하였다. 시험물질은 최종 농도(10 uM)의 100X가 되도록 DMSO(Sigma, 276855)에 녹인 후 Complete Nuclear Receptor Buffer F (1x stabilizing peptide, 5 mM DTT, Nuclear Receptor Buffer F)를 이용하여 시험물질은 2X, 4X Fluormone TM GS1 Green은 20 nM로 4X GR-LBD는 4 nM로 4X Tb anti-GST Antibody는 8 nM 이 되도록 희석했다.
최종 60 μl 반응이 되도록 96-웰 플레이트에서 2X 시험물질 30 μl, 4X Fluormone TM GS1 Green 15 μl, 4X GR-LBD/Tb anti-GST Antibody 15 μl를 섞어준 후 1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양성 대조군은 시험물질 대신 당질코르티코이드 수용체의 리간드로 알려진 Dexamethasone (Sigma, D1756)을 사용하고 최대 활성 대조군은 시험물질 대신 DMSO를 사용했다. 음성 대조군은 시험물질 대신 DMSO를 사용하고, Fluormone TM GS1 Green 대신 Complete Nuclear Receptor Buffer F를 이용했다. 384-웰 흰색 플레이트에 20 μl씩 분주한 후 Flexstation3에서 Time-Resolved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excitation은 332 nM, emission은 515 nM/486 nM, Delay time은 100 μs, Integration time은 1500 μs으로 프로그램 설정 후 형광값을 읽었다. 얻어진 값을 이용하여 515 nM/486 nM값을 구하고 음성 대조군 값을빼주었다. 시험물질의 당질코르티코이드 수용체 결합 정도는 최대 활성 대조군 활성 값을 100 %로 하였을 때 시험물질 활성 값을 비교하여 나타내었다.
상기 결과, 화합물 43, 화합물 83, 화합물 84, 화합물 85, 화합물 87, 화합물 89, 화합물 90, 화합물 92, 화합물 97, 화합물 104, 화합물 106, 화합물 108, 화합물 119의 경우 당질코르티코이드 수용체에 결합을 하지 않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실시예 22] 마우스 11β-HSD1에 대한 생체 외 효소 활성 분석
C57BL/6N 마우스를 시험 시작 12시간 전에 사료급여를 중단시키고 음수만 자율 섭취 시켰다. 검역, 순화기간 및 절식 후 이상이 발견되지 않은 건강한 동물만을 이용하여 마우스용 존대로 시험화합물을 위 내 투여하였다. 시험화합물 투여 2시간 후에 경추탈골 후 복강을 열어 간의 좌엽과 서혜부 맞은편의 피하지방을 적출하였다. 적출된 장기를 식염수로 세척하고 혈액과 털을 제거 하였다. 간의 가장자리부분 (10-30 mg)과 피하지방의 중간부위 (50-100 mg)을 블레이드로 섹션 후에 500 μl PBS (냉장상태)가 담긴 48웰 플레이트에 옮겼다. 상기 플레이트에 담긴 조직을 1 uM 코르티존, 100 nM NADPH가 포함하고 있는 페놀 레드가 부재된 DMEM배지 (Wellgene)로 각 웰에 500 μl씩 담긴 48웰 플레이트에 옮기고 37℃에서 3시간 반응시켰다. 이어서 플레이트내의 반응 액 300 μl를 1.5ml 튜브에 옮기고 -20℃에서 보관하였다.
상기 반응액의 코티졸의 정량분석을 코티졸 EIA (Assay Design, 900-071)를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1차 항체가 코팅되어 있는 96웰 플레이트에 1/20로 희석시킨 분석샘플과 코티졸 표준물을 100 μl씩 가하고 코티졸 접합체 및 항-코티졸 EIA항체를 각각 50 μl씩 가하여 오비탈 진탕기 상에서 실온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이어서 상기 웰 들을 뒤집어 비우고 이어서 400 μl의 세척 완충제로 3회 세척하였다. 200 μl의 기질용액인 pNpp를 각 웰에 가하고 실온에서 1시간 반응시켰다. 이어서 삼인산나트륨 50 μl를 각 웰에 가하여 반응을 정지시키고 405nM 파장으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각 분석샘플의 코티졸을 코티졸 표준물에 의한표준 곡선으로부터 내삽하여 정량값을 산출 하였다. 시험화합물을 투여하지 않은 동물의 분석샘플을 대조군으로 하여 저해 백분율을 계산하였다.
상기 결과, 화합물 26, 화합물 75, 화합물 83, 화합물 84, 화합물 85, 화합물 87, 화합물 89, 화합물 90, 화합물 92, 화합물 97, 화합물 101, 화합물 102, 화합물 104, 화합물 105, 화합물 106, 화합물 108, 화합물 112, 화합물 119, 화합물 121, 화합물 127, 화합물 146, 화합물 159, 화합물 188, 화합물 190, 화합물 219, 화합물 221, 화합물 226의 생체 외 효소 활성 분석을 통하여 평가하였으며, 대부분의 화합물은 간과 피하지방에서 70%이상 11b-HSD1 효소의 저해 효과를 확인하였다.
지금까지 예시적인 실시 태양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기술하여 왔지만, 본 발명의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고서도 다양한 변화를 실시할 수 있으며 그의 요소들을 등가물로 대체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본질적인 범주를 벗어나지 않고서도 많은 변형을 실시하여 특정 상황 및 재료를 본 발명의 교시내용에 채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본 발명을 실시하는데 계획된 최상의 양식으로서 개시된 특정 실시 태양으로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 속하는 모든 실시 태양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