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8912B1 - Sports shoes for rope skipping having flat spring - Google Patents
Sports shoes for rope skipping having flat spring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08912B1 KR101408912B1 KR1020140033560A KR20140033560A KR101408912B1 KR 101408912 B1 KR101408912 B1 KR 101408912B1 KR 1020140033560 A KR1020140033560 A KR 1020140033560A KR 20140033560 A KR20140033560 A KR 20140033560A KR 101408912 B1 KR101408912 B1 KR 10140891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eaf spring
- rope
- skipping
- sole
- rope skipp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0000009191 jumping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11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1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10000002683 foot Anatomy 0.000 description 6
- 210000003108 foot joint Anatomy 0.000 description 4
- 210000000629 knee joint Anatomy 0.000 description 4
- 210000004744 fore-foot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3139 buffer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3205 muscle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29920003023 plastic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08000027418 Wounds and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009 be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577 co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187 foa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4674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127 kne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241 respir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3764 rhythm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88 rough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936 stimul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885 system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585 weight reduc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1—Resiliency achieved by the structure of the sole
- A43B13/182—Helicoidal springs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1—Resiliency achieved by the structure of the sole
- A43B13/186—Differential cushioning region, e.g. cushioning located under the ball of the foot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3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shock-absorb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줄넘기화의 중창과 밑창 사이에 판 스프링이 구비되도록 하여 줄넘기 동작 중 앞꿈치를 딛고 뒷꿈치를 들어 올리는 연속동작 과정이 판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쉽게 이루어질 수 있고 또한 발 관절에 대한 충격흡수가 가능해 효과적인 줄넘기 운동이 가능한 판 스프링이 구비된 줄넘기화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판 스프링이 구비된 줄넘기화는 발이 수용되는 갑피와, 이 갑피의 하부에 중창과 밑창이 차례로 구비되는 줄넘기화에 있어서, 상기 중창 및 밑창 사이에 판 스프링이 구비되되, 상기 판 스프링은 상기 중창의 하부면에 고정되고 전방부분과 후방부분에 비해 그 사이의 두께가 두껍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late spring is provided between the middle and the sole of the rope skipping so that the continuous operation process of lifting the heel by lifting the forefle during the rope skipping operation can be easily performed by the elasticity of the leaf spring, To jumping rope equipped with leaf springs capable of effective jumping mo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skipping rope provided with a leaf spring, in a skipping rope having a top in which a foot is received and a midsole and a sole at a lower portion of the upper skirt, a leaf spring is provided between the midsole and the sole Wherein the plate spring is fixed to a lower surface of the middle window and has a thicker thickness between the front and rear portions than between the front portion and the rear portion.
Description
본 발명은 줄넘기화의 중창과 밑창 사이에 판 스프링이 구비되도록 하여 줄넘기 동작 중 앞꿈치를 딛고 뒷꿈치를 들어 올리는 연속동작 과정이 판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쉽게 이루어질 수 있고 또한 발 관절에 대한 충격흡수가 가능해 효과적인 줄넘기 운동이 가능한 판 스프링이 구비된 줄넘기화에 관한 것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late spring is provided between the middle and the sole of the rope skipping so that the continuous operation process of lifting the heel by lifting the forefle during the rope skipping operation can be easily performed by the elasticity of the leaf spring, To jumping rope equipped with leaf springs capable of effective jumping motion.
줄넘기를 장시간 연속적으로 행하면 호흡순환기능이나 근(筋)에 자극을 주므로 전신의 지구력을 높이는 데에 효과가 있고, 뛰는 동작에도 여러 가지 종류가 있어서 전신적인 리듬이나 타이밍의 감각을 기르는 데에도 효과가 있다. 즉 줄넘기는 전신적인 운동이면서 넓은 장소를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일반인들이 저렴하고 간단하게 건강을 증진을 시킬 수 있으며 스포츠의 트레이닝 수단으로도 많이 이용된다. Long-term rope skipping is effective for increasing the endurance of the whole body by stimulating the respiratory circulation function and muscles, and there are various kinds of beating movements, which is also effective for raising the general rhythm and timing sense. have. In other words, rope skipping is a systemic exercise and does not require a large space, so it can be used cheaply and simply for health promotion and is also used as a training means of sports.
그런데 줄넘기는 제자리에서 선 채로 상당히 높게 뛰기 때문에 무릎 관절에 하중이 집중되므로 비만 등 체중이 많이 나가는 사람이나 무릎 관절이 약한 사람이나 정상적인 사람이더라도 그동안 운동을 하지 않아 무릎 관절 부위의 근육이 약화된 사람들은 무릎 관절이 손상될 수 있고, 이런 이유로 저렴하면서도 간단하게 운동할 수 있는 줄넘기를 이용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However, since the jump rope runs quite high with the knee in place, the load is concentrated on the knee joint, so people who are overweight or who have weak knee joints or normal people do not exercise and have weakened knee joint muscles. Knee joints can be damaged, and for this reason, it is often not possible to use jumping rope that is cheap and simple to exercise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신발 바닥에 완충재를 부착시킨 신발도 다수 개발되어 있으나 완충력을 높이기 위하여 완충재의 두께를 높이면 생활에 불편하고, 두께를 낮추면 충분한 완충효과를 얻을 수 없으며, 또한 완충재로서 발포재료를 사용하는데 이러한 발포 재료는 반복되는 충격 하중에 의하여 시간이 경과할 수록 재료가 피로 파괴되어 완충력이 감소 될 뿐만 아니라 자체 반발력이 감소되는 단점이 있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 a lot of shoes having a cushioning material adhered to the shoe bottom have been developed. However, if the thickness of the cushioning material is increased to increase the buffering force, The foaming material is used. Such foamed material has a disadvantage in that the material is fatigued as the time elapses due to the repeated impact load, so that the buffering force is reduced and the self-repulsive force is decreased.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07-0068049호(2007.06.29)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7-0068049 (Jun. 29, 2007)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줄넘기화의 중창과 밑창 사이에 판 스프링이 구비되도록 하여 줄넘기 동작 중 앞꿈치를 딛고 뒷꿈치를 들어 올리는 연속동작 과정이 판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쉽게 이루어질 수 있고 또한 발 관절에 대한 충격흡수가 가능해 효과적인 줄넘기 운동이 가능한 판 스프링이 구비된 줄넘기화를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leaf spring between a midsole and a sole of a rope skipping so that a continuous operation process of raising the heel by overtaking the forefoot during the rope skipping operation can be easily performed by the elasticity of the leaf spring, So that it is possible to absorb and effectively perform jumping motion.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발이 수용되는 갑피와, 이 갑피의 하부에 중창과 밑창이 차례로 구비되는 줄넘기화에 있어서, 상기 중창 및 밑창 사이에 판 스프링이 구비되되, 상기 판 스프링은 상기 중창의 하부면에 전방에서 후방에 이르기까지 면접되게 고정되고 전방부분과 후방부분에 비해 그 사이의 두께가 두껍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 스프링이 구비된 줄넘기화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ope skirt having an upper in which a foot is received and a midsole and a sole at a lower portion of the upper row, wherein a leaf spring is provided between the midsole and the sole, Wherein the front and rear portions are fixed in an interviewed manner from the front side to the rear side, and the thickness between the front side portion and the rear side portion is thicker than the front side portion and the rear side portion.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판 스프링의 전방부분은 경량화를 위해 홈에 의해 U자형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ront portion of the plate spring is formed in a U-shape by a groove for weight reduction.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판 스프링과 밑창 사이에는 쿠션감을 제공하기 위한 보조창이 더 구비되는 것으로 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uxiliary window for providing a cushioning feeling is further provided between the leaf spring and the sole.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판 스프링이 구비된 줄넘기화에 따르면 줄넘기화의 중창과 밑창 사이에 판 스프링이 구비되도록 하여 줄넘기 동작 중 앞꿈치를 딛고 뒷꿈치를 들어 올리는 연속동작 과정이 판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쉽게 이루어질 수 있고 또한 발 관절에 대한 충격흡수가 가능해 효과적인 줄넘기 운동이 가능한 탁월한 장점을 갖는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rope skipping method with the leaf spring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eaf spring is provided between the middle and the sole of the rope skipping so that the heel is lifted up from the toe during the rope skipping operation. It can be easily carried out by the elasticity of the leaf spring, and the shock absorbing to the foot joint is possible, so that there is an advantage that an effective rope jumping motion can be perform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 스프링이 구비된 줄넘기화의 부분 분해 사시도.
도 2는 줄넘기 운동시 발의 움직임을 보인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 스프링이 구비된 줄넘기화의 부분 단면도.1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kipping rope provided with a leaf spr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chematic view showing movement of the foot during rope-jumping exercise;
3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a skip rope provided with a leaf spr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 스프링이 구비된 줄넘기화의 부분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2에는 줄넘기 운동시 발의 움직임을 보인 개략도가 도시되며,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 스프링이 구비된 줄넘기화의 부분 단면도가 도시된다.
FIG. 1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kip rope equipped with a leaf spr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movement of the foot during rope skipping, and FIG.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skip roughening provided with the leaf spring according to FIG.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판 스프링이 구비된 줄넘기화는 발이 수용되는 갑피와, 이 갑피의 하부에 중창과 밑창이 차례로 구비되는 줄넘기화에 있어서, 상기 중창 및 밑창 사이에 판 스프링이 구비되되, 상기 판 스프링은 상기 중창의 하부면에 고정되고 전방부분과 후방부분에 비해 그 사이의 두께가 두껍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skipping rope provided with a leaf spring, in a skipping rope having a top in which a foot is received and a midsole and a sole at a lower portion of the upper skirt, a leaf spring is provided between the midsole and the sole Wherein the plate spring is fixed to a lower surface of the middle window and has a thicker thickness between the front and rear portions than between the front portion and the rear portion.
이하에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판 스프링이 구비된 줄넘기화(1)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
여기서 갑피(10), 중창(20) 밑 밑창(30)이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전술한 줄넘기화는 종래기술에 따른 줄넘기화와 동일한 것으로 하여 이하에서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Here, the above-described skip skipping including the
전술한 중창(20) 및 밑창(30) 사이에는 판 스프링(40)이 구비되는데, 이 판 스프링(40)은 줄넘기화 착용자가 줄넘기 동작 중 앞꿈치를 딛고 뒷꿈치를 들어 올리는 연속동작 과정을 그 탄성에 의해 쉽게 이루어지게 함과 동시에 발 관절에 대한 충격을 흡수해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때 전술한 판 스프링(40)은 종래기술에 따른 판 스프링(40) 재질과 동일한 금속 재질 또는 탄성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A
줄넘기 동작은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은 발의 움직임으로 이루어지는데 (a)동작부터 (i)동작까지 순차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줄넘기가 시작되면 (h)→(g)→(f)→(e)→(f)→(g)→(h) 순서로 연속 동작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때 (h)동작에서 (g)동작으로 이어지는 과정에서 외부로부터 물리적인 힘이 가해진다면 수월하고 효과적인 움직임이 가능해진다.
The rope skipping operation is performed by the foot motion as shown in Fig. 2 (a) to (i) sequentially. When the jump rope starts, continuous operation is performed in the order of (h) → (g) → (f) → (e) → (f) → (g) → (h) It is possible to move smoothly and effectively if a physical force is applied from the outside.
따라서 전술한 판 스프링(40)은 이와 같은 단계에서 발의 뒷꿈치가 반동되는 탄성력을 제공해 줌으로써 효과적으로 연속동작을 이어나갈 수 있음은 물론, 발 관절에 가해지는 충격이 흡수됨으로써 부상이 방지된다.
Therefore, the
이와 같은 판 스프링(40)은 전술한 중창(20)의 하부면에 다수의 아일렛(42)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 구비되는데, 줄넘기 동작시 중창(20)에서 판 스프링(40)이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The
또한 이와 같은 판 스프링(40)은 전방부분과 후방부분에 비해 그 사이의 두께가 두껍게 형성되는데, 이는 앞꿈치와 뒷꿈치의 중간부분이 두껍게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도 2에 도시된 (h)동작에서 (g)동작으로 이어지는 과정에서 그 탄성력이 최대로 발휘되게 하기 위함이다. 이때 신발의 치수 260mm에 사용되는 판 스프링(40) 치수가 230mm라고 하면 전방부분의 90mm, 후방부분의 70mm 그리고 그 중간부분의 70mm 중에서 중간부분의 70mm의 두께가 3mm로 형성되고 전방부분 및 후방부분은 1mm로 형성되며 그 이음매부분은 서서히 두꺼워지고 서서히 얇아지도록 2mm 정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판 스프링(40)의 두께는 사용자의 성별과 나이 그리고 체중을 고려해서 얼마든지 변경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줄넘기 동작시 탄성력이 발휘될 수 있도록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판 스프링(40)의 전방부분은 하부방향으로 만곡지게 형성되며 판 스프링(40)의 중간부분과 후방부분은 상부방향으로 만곡지게 연장된다.
In addition, the
그리고 전술한 판 스프링(40)의 전방부분은 홈(41)에 의해 U자형으로 형성되는데, 그 이유는 첫째로 금속 재질 또는 탄성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진 판 스프링(40)을 경량화하기 위함이며, 둘째로 도 2에 도시된 (h)동작에서 (g)동작으로 이어지는 과정에서 판 스프링(40)이 전방부분의 용이한 탄성 운동이 가능하게 하기 위함이다.
The front portion of the
또한 전술한 판 스프링(40)과 밑창(30) 사이에는 보조창(50)이 더 구비되는데, 이 보조창(50)은 줄넘기화에 쿠션감을 제공하기 위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종래기술에 따른 EVA(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로 이루어지되 판 스프링(40) 전체가 아닌 후방부분 측에만 구비되는 것으로 한다. 이때 전술한 보조창(50)은 EVA 외에도 에어패드 등 충격 흡수가 가능한 다양한 종류의 창이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The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판 스프링이 구비된 줄넘기화(1)는 줄넘기화의 중창(20)과 밑창(30) 사이에 판 스프링(40)이 구비되도록 하여 줄넘기 동작 중 앞꿈치를 딛고 뒷꿈치를 들어 올리는 연속동작 과정이 판 스프링(40)의 탄성에 의해 쉽게 이루어질 수 있고 또한 발 관절에 대한 충격흡수가 가능해 효과적인 줄넘기 운동이 가능하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또한, 판 스프링이 구비된 줄넘기화(1)는 줄넘기뿐만 아니라 농구나 배구와 같이 점프를 수반하는 운동에도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It should be noted that the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청구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도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기술보호범위는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It is not limited.
1 : 판 스프링이 구비된 줄넘기화
10 : 갑피
20 : 중창
30 : 밑창
40 : 판 스프링
41 : 홈
42 : 아일렛
50 : 보조창1: Rope skipping with leaf spring
10: upper
20: the middle
30: Outsole
40: leaf spring
41: Home
42: Eyelet
50: Auxiliary window
Claims (3)
상기 중창 및 밑창 사이에 판 스프링이 구비되되, 상기 판 스프링은 상기 중창의 하부면에 전방으로부터 후방에 이르기까지 면접되게 고정되고 전방부분과 후방부분에 비해 그 사이의 중간부분의 두께가 두껍게 형성되며,
상기 판스프링의 전방부분은 하부방향으로 만곡지게 형성되며 상기 판스프링의 중간부분과 후방부분은 상부방향으로 만곡지게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 스프링이 구비된 줄넘기화.In an upper rope having a foot accommodated therein, and a lower half of the upper rope,
A leaf spring is provided between the midsole and the sole, and the leaf spring is fix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midsole from the front to the rear until the rear portion is thicker than the front portion and the rear portion, ,
Wherein a front portion of the leaf spring is curved in a downward direction, and an intermediate portion and a rear portion of the leaf spring extend in a curved shape in an upward direction.
상기 판 스프링의 전방부분은 홈에 의해 U자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 스프링이 구비된 줄넘기화.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front portion of the leaf spring is formed in a U-shape by grooves.
상기 판 스프링과 밑창 사이에는 쿠션감을 제공하기 위한 보조창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 스프링이 구비된 줄넘기화.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And a supporting window for providing a cushioning feeling is further provided between the leaf spring and the sol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33560A KR101408912B1 (en) | 2014-03-21 | 2014-03-21 | Sports shoes for rope skipping having flat spring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33560A KR101408912B1 (en) | 2014-03-21 | 2014-03-21 | Sports shoes for rope skipping having flat spring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408912B1 true KR101408912B1 (en) | 2014-06-18 |
Family
ID=511332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33560A Expired - Fee Related KR101408912B1 (en) | 2014-03-21 | 2014-03-21 | Sports shoes for rope skipping having flat spring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08912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98660B1 (en) * | 2020-12-08 | 2022-05-17 | 김동현 | Muscle reinforcement members and shoes comprising the same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5105684A (en) * | 2003-09-30 | 2005-04-21 | Nippon Oil Corp | Leaf spring-like fiber reinforced resin plate and structure reinforcement method using the same |
JP2008061960A (en) | 2006-09-11 | 2008-03-21 | 泰朗 高本 | Footwear |
KR20100000471U (en) * | 2008-07-05 | 2010-01-14 | 배효용 | Active walking shoe sole |
KR20140015304A (en) * | 2010-12-23 | 2014-02-06 | 푸마 에스이 | Shoe, in particular a sports shoe |
-
2014
- 2014-03-21 KR KR1020140033560A patent/KR101408912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5105684A (en) * | 2003-09-30 | 2005-04-21 | Nippon Oil Corp | Leaf spring-like fiber reinforced resin plate and structure reinforcement method using the same |
JP2008061960A (en) | 2006-09-11 | 2008-03-21 | 泰朗 高本 | Footwear |
KR20100000471U (en) * | 2008-07-05 | 2010-01-14 | 배효용 | Active walking shoe sole |
KR20140015304A (en) * | 2010-12-23 | 2014-02-06 | 푸마 에스이 | Shoe, in particular a sports shoe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98660B1 (en) * | 2020-12-08 | 2022-05-17 | 김동현 | Muscle reinforcement members and shoes comprising the same |
WO2022124721A1 (en) * | 2020-12-08 | 2022-06-16 | 김동현 | Muscle strengthening member and shoes comprising sam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130291404A1 (en) | Recovery shoe | |
JPH07298903A (en) | Shoe sole | |
US20120124860A1 (en) | Training sandal and method of use | |
KR101408912B1 (en) | Sports shoes for rope skipping having flat spring | |
KR200430896Y1 (en) | Shoe sole with removable heel | |
JP2017086975A (en) | Shoe insole or footwear sole structure | |
CN201274812Y (en) | Soles structure | |
JP5458257B2 (en) | Insole and method for producing insole | |
KR101079709B1 (en) | Dress shoes for absorbing sock | |
KR20090109387A (en) | Spring buffered shoes | |
JPWO2020136914A1 (en) | shoes | |
KR200427686Y1 (en) | Shoe insole | |
KR101483775B1 (en) | A shoe having shock absorbing and enforced drive function | |
JP2013180193A (en) | Shoe sole | |
KR101245973B1 (en) | Midsole of shoes | |
CN202941487U (en) | Sneaker capable of highly resisting pressure and absorbing shock | |
JP6631960B2 (en) | Footwear sole structure | |
CN206822110U (en) | Shock-absorption sport shoe sole | |
JP3211541U (en) | footwear | |
KR100885066B1 (en) | Shoes with honeycomb shock absorbers in midsole | |
KR101435757B1 (en) | insole | |
CN216753687U (en) | Foot arch supporting sole | |
KR200418896Y1 (en) | Functional shoes | |
CN206314661U (en) | A kind of antisitic defect shock-absorbing sport shoes pad | |
KR101220444B1 (en) | shoe sol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32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40401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40321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4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61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6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406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409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40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323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32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612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61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53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61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03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