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408669B1 - 박판 수납용기 - Google Patents

박판 수납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8669B1
KR101408669B1 KR1020120120900A KR20120120900A KR101408669B1 KR 101408669 B1 KR101408669 B1 KR 101408669B1 KR 1020120120900 A KR1020120120900 A KR 1020120120900A KR 20120120900 A KR20120120900 A KR 20120120900A KR 101408669 B1 KR101408669 B1 KR 1014086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in plate
container
support
container body
support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09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54871A (ko
Inventor
박정우
유재흥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에스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에스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에스코리아
Priority to KR10201201209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8669B1/ko
Priority to PCT/KR2013/009001 priority patent/WO2014069810A1/ko
Publication of KR201400548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48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86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8669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using specially adapted carriers or holders; Fixing the workpieces on such carriers or hol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using specially adapted carriers or holders; Fixing the workpieces on such carriers or holders
    • H01L21/6735Closed carriers
    • H01L21/67383Closed carriers characterised by substrate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85/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delicate optical, measuring, calculating or control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ing Frangible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박판 수납공간을 갖는 용기본체와, 상기 박판 수납공간의 적어도 상호 대향하는 양 내측면에 결합되어 박판을 지지하는 한 쌍의 박판지지부재를 갖는 박판 수납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양 박판지지부재는 각각 상기 양 내측면에 호환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호 대칭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용기본체 내부 양측의 박판지지부재가 상호 위치 상관없이 호환 가능함과 동시에, 제품 단가를 낮추고 부품 관리 및 조립 편의성이 향상되는 박판 수납용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박판 수납용기{Thin plate storage container}
본 발명은 박판 수납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반도체 웨이퍼, 기억디스크, 액정유리기판 등의 박판을 보관 또는 수송하거나 제조 공정 등에서 사용될 수 있는 박판 수납용기의 내부에 마련되는 박판지지부재의 구조 개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반도체 웨이퍼나 기억디스크, 액정유리기판 등의 정밀 박판을 수납할 수 있는 박판 수납용기는 기본적으로 적어도 일 측이 개구된 박판 수용 공간을 갖는 용기본체와, 용기본체의 개구를 개폐하는 도어를 구비한 형태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박판 수납용기에 대해 이하에서는 편의 상 반도체 웨이퍼용 박판 수납용기를 예로 하여 설명한다. 이때, 반도체 웨이퍼용 박판 수납용기는 도어가 전면에서 개폐되는 FOSB(Front Opening Shipping Box) 및 FOUP(Front Opening Unified Pod) 방식을 포함하여 도어가 상부 및/또는 하부, 측면에서 개폐되는 방식의 반도체 웨이퍼용 박판 수납용기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의 박판 수납용기(101)는 용기본체(110)의 내부 양 측벽에 형성된 지지슬롯(115)에 박판(A)이 삽입 지지되는 형태로 박판(A)을 수납한다.
여기서, 지지슬롯(115)은 용기본체(110)의 양측 내벽에 형성되는 지지편(113)들의 이격 간격에 의해 형성되는데, 지지편(113)들은 사출품인 용기본체(110)의 내벽면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지지편(113)들을 갖는 박판지지부재(111)가 용기본체(110)의 내벽에 착탈 구조 또는 인서트 사출에 의해 결합됨으로써 용기본체(110) 내측벽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지지편(113)들은 박판(A)과 접하는 일 측면이 박판 지지면으로 형성된다. 예컨대, 박판 수납용기(101)가 FOSB 또는 FOUP 방식일 경우, 지지편(113)들의 상부면이 박판 지지면으로 형성된다.
그런데, 박판지지부재가 용기본체 내측벽에 착탈 또는 인서트 결합되는 형태의 종래 박판 수납용기에 있어서는 박판이 접하는 지지편들의 일측면이 박판 지지면으로 형성되는 방향성을 갖기 때문에, 용기본체의 양측의 박판지지부재는 상호 호환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발생한다.
예컨대, 박판 수납용기가 FOSB 또는 FOUP 방식일 경우, 용기본체의 좌우 내측벽에 결합되는 양측 박판지지부재는 각각 좌측용 박판지지부재와 우측용 박판지지부재로 상호 위치를 변경하여 용기본체 내측벽에 결합될 수 없는 것이다.
이에 따라, 양측 박판지지부재를 별개의 부품으로 마련해야 하기 때문에, 부품 제조 비용 상승에 따른 제품 단가 상승을 초래하고, 부품의 관리적인 측면 및 조립성 측면 등에서 편의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용기본체 내부 양측의 박판지지부재가 상호 위치 상관없이 호환 가능도록 함으로써, 제품 단가를 낮추고 부품 관리 및 조립 편의성이 향상되는 박판 수납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박판 수납공간을 갖는 용기본체와, 상기 박판 수납공간의 적어도 상호 대향하는 양 내측면에 결합되어 박판을 지지하는 한 쌍의 박판지지부재를 갖는 박판 수납용기에 있어서, 상기 양 박판지지부재는 각각 상기 양 내측면에 호환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호 대칭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판 수납용기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각 박판지지부재는 상기 박판 수납공간의 내측면에 결합되는 용기결합부와, 상기 용기결합부로부터 상기 박판의 판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된 양 측면이 대칭구조인 적어도 하나의 지지편을 갖는 박판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지지편은 상기 박판 수납공간에 수납되는 박판의 판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적어도 하나의 지지슬롯을 형성하도록 복수로 형성된 것이 효과적이다.
그리고 상기 용기결합부는 상기 박판의 판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박판지지부의 양측에 대칭구조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용기결합부와 이에 대응하는 상기 박판 수납공간의 양 내측면에는 상기 박판지지부재를 상기 내측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착탈결합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박판지지부재는 상기 용기결합부가 상기 박판 수납공간의 내측면에 일체로 결합되도록 상기 용기본체에 인서트 사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용기본체는 전면 개구된 박판 수용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박판지지부재는 적어도 상하 대칭구조를 가지고 상기 박판 수용공간의 좌우 내측면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지지편은 상기 개구에 인접한 영역으로부터 상기 박판 수용공간의 내측 후방을 향해 적어도 하나의 리브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박판의 둘레영역 일부를 지지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그리고 상기 박판지지부재는 적어도 상기 박판이 접촉되는 상기 지지편의 일부 영역이 정전기 소산 재료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판 수납용기.
또한, 적어도 상기 박판이 접촉되는 영역의 상기 지지편 상하부에는 박판접촉부가 대칭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박판접촉부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재질로 마련되는 것이 보다 효과적이다.
또한, 상기 박판접촉부에 대응하는 상기 지지편의 상하부면에는 상기 박판에 대해 최소 접촉부분을 형성하는 최소접촉부가 상기 상하부면에 대칭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편의 상하부면에는 상기 박판에 대해 최소 접촉부분을 형성하는 최소접촉부가 상기 상하부면에 대칭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이 효과적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용기본체 내부 양측의 박판지지부재가 상호 위치 상관없이 호환 가능함과 동시에, 제품 단가를 낮추고 부품 관리 및 조립 편의성이 향상되는 박판 수납용기가 제공된다.
도 1은 일반적인 박판 수납용기의 사시도,
도 2는 종래 박판 수납용기의 박판지지부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박판 수납용기의 박판지지부재 사시도,
도 4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박판 수납용기의 박판지지부재 사시도,
도 5는 도 3 및 도 4의 박판지지부재의 지지편에 대한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6는 도 3 내지 도 5의 A영역의 지지편 확대 사시도,
도 7은 도 3 내지 도 5의 B영역의 지지편 확대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른 도 3 내지 도 5의 A영역의 지지편 확대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른 도 3 내지 도 5의 B영역의 지지편 확대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른 도 3 내지 도 5의 A영역의 지지편 확대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른 도 3 및 도 5의 B영역의 지지편 확대 사시도.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박판 수납용기(1)는 박판(A)을 수납하는 용기본체(10)와, 용기본체(10)를 개폐하는 도어(미도시)와, 용기본체(10)의 상호 대향하는 양 내측면에 마련되어 박판(A)을 지지하는 한 쌍의 박판지지부재(30)를 포함한다.
용기본체(10)는 거의 입방체로 형성되며, 일 측에 도어(미도시)로 개폐되는 박판 출입 개구(11)가 형성되어 있고, 그 내부에 박판 수납공간(13)이 형성되어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때, 용기본체(10)는 박판 출입 개구(11)가 상부에 형성된 형태일 수도 있으며, 박판 출입 개구(11)가 용기본체(10)의 전면에 형성된 형태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박판 출입 개구(11)가 용기본체(10)의 전면에 형성된 예를 바람직한 예로 설명한다.
이러한 용기본체(10)의 상호 대향하는 양 내측면 즉, 박판 수납공간(13)의 좌,우 내측면에 각각 박판지지부재(30)가 결합된다. 이때, 박판지지부재(30)는 착탈결합구조(31a) 또는 인서트 사출 등의 방식으로 용기본체(10)에 결합될 수 있다. 착탈결합구조(31a)의 경우 박판지지부재(30)와 용기본체(10) 내측면에 각각 상호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돌기와 결합홈, 후크와 후크홈 등의 다양한 착탈결합구조(31a)를 선택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용기본체(10)의 양 내측면에 형성되는 착탈결합구조(31a)는 후술할 양 박판지지부재(30)의 대칭구조에 대응하도록 역시 대칭되게 형성된다.
도어(미도시)는 용기본체(10)의 박판 출입 개구(11)에 대응하는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 도어(미도시)의 폐쇄상태를 잠금 및 잠금 해제하는 잠금수단(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도어(미도시)는 용기본체(10)의 박판 출입 개구(11)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용기본체(10)의 박판 출입 개구(11)를 개폐한다. 이러한 도어(미도시)는 반도체 웨이퍼 용기를 포함한 통상적인 다양한 박판 수납용기(1)의 도어(미도시)와 마찬가지의 구조 및 구성을 가질 수 있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양 박판지지부재(30)는 각각 용기본체(10)의 박판 수납공간(13) 양 내측면에 위치 상관없이 호환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호 대칭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들 각 박판지지부재(30)는 박판 수납공간(13)의 내측면에 결합되는 용기결합부(31)와, 박판(A)을 지지하기 위한 박판지지부(33)를 포함한다. 이 용기결합부(31)와 박판지지부(33)는 상호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별개의 부품으로 마련되어 상호 결합에 의해 박판지지부재(30)를 형성할 수 있다.
용기결합부(31)는 박판(A)의 판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박판지지부(33)의 양측에 대칭구조로 형성된다. 바람직한 예로서 박판 출입 개구(11)가 전면에 형성된 용기본체(10)에 결합되는 박판지지부재(30)는 용기결합부(31)가 박판지지부(33)의 적어도 상하부에 상호 대칭되게 형성된다. 또는, 박판 출입 개구(11)가 상부에 형성된 용기본체(10)에 결합되는 박판지지부재(30)는 용기결합부(31)가 박판지지부(33)의 적어도 좌우 측, 또는 전후 측에 상호 대칭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용기결합부(31)는 전술한 바와 같이, 박판지지부재(30)가 용기본체(10)에 결합되는 방식에 따라서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박판지지부재(30)가 용기본체(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경우, 도 3과 같이, 용기결합부(31)와 이에 대응하는 용기본체(10)의 박판 수납공간(13) 양 내측면에는 상호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착탈결합구조(31a)로서 결합돌기와 결합홈, 후크와 후크홈 등의 다양한 착탈결합구조(31a)가 형성된다. 이때, 착탈결합구조(31a)는 용기결합부(31)의 대칭구조에 대응하게 형성된다.
또는, 박판지지부재(30)가 용기본체(10)에 인서트 사출 방식으로 결합될 경우, 용기결합부(31)는 도 4 및 도 5와 같이, 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는 용기본체(10)의 박판 수납공간(13) 양 내측면에는 용기결합부(31)에 대응하는 인서트 사출 영역이 형성된다. 이때, 인서트 사출 영역 역시 용기결합부(31)의 대칭구조에 대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인서트 사출 영역은 용기결합부(31)에 대응하는 개구 구조이거나 함몰된 영역일 수 있다.
물론, 용기결합부(31)는 박판지지부(33)의 구조에 따라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일 예로 박판지지부(33)에 형성되는 후술할 지지편(34)이 단일의 박판(A)을 지지하는 하나의 지지편(34)으로 형성될 경우, 용기결합부(31)는 전술한 형태 외에도 박판지지부(33)로부터 용기본체(10)의 박판 수납공간(13) 내측면으로 돌출된 돌기나 리브 등의 형태로 마련되어 전술한 바와 같이, 용기본체(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거나 인서트 사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는 것이다.
이 외에도 용기결합부(31)는 박판지지부재(30)가 박판 수납공간(13)의 양 내측면에 위치 상관없이 호환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박판지지부(33)는 용기본체(10) 내에 수납되는 박판(A)을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편(34)으로 마련될 수 있다. 즉, 용기본체(10) 내에 단일의 박판(A)이 수납되는 용도의 박판 수납용기(1)의 경우에는 각 박판지지부재(30)에는 단일의 지지편(34)이 용기결합부(31)로부터 박판(A)의 판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구조로 박판지지부(33)를 형성한다.
바람직한 예로서 전면에 박판 출입 개구(11)가 형성된 용기본체(10)는 그 내부에 복수의 박판(A)이 상하 방향으로 상호 평행하게 이격 정렬되도록 수납되는데, 이 경우 도 3 내지 도 5와 같이, 각 박판지지부재(30)에 형성되는 지지편(34)은 박판(A)의 판면에 직교하는 박판 정렬 방향 즉, 상하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복수의 지지슬롯(35)을 형성한다.
그리고 지지편(34)은 박판(A)의 판면에 평행한 상하부 양 면이 상호 대칭 구조의 박판 지지면으로 형성된다. 이에 의해, 박판지지부재(30)가 용기본체(10)의 양 내측면에 결합되는 위치와 상관없이 박판(A)을 지지할 수 있다.
여기서, 각 지지편(34)은 도 3 및 도 4와 같이, 용기본체(10)의 전면 박판 출입 개구(11) 측으로부터 내측 후방 반대측까지 단일의 리브 형태로 형성되어 용기본체(10)의 내부 좌우 측에서 박판(A)의 양측 둘레 영역을 지지할 수 있다.
또는, 각 지지편(34)은 도 5와 같이, 용기본체(10)의 전면 박판 출입 개구(11)에 인접한 영역과 용기본체(10)의 내측 후방 영역에 한 쌍의 리브 형태로 형성되어 용기본체(10)의 내부 좌우 측에서 박판(A)의 양측 둘레 영역을 전후방을 지지할 수 있다.
물론, 각 지지편(34)은 용기본체(10)의 전면 박판 출입 개구(11)에 인접한 영역으로부터 용기본체(10)의 내측 후방 영역을 향해 소정의 이격을 두고 형성된 한 쌍 이상의 복수로 형성된 리브 형태일 수도 있다.
또한, 각 지지편(34)은 리브 형태를 포함하여 박판(A)을 지지할 수 있는 다양한 돌출 구조일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지지편(34)의 다양한 형태에 상관없이 후방 영역의 지지편(34)에는 도 7, 도 9,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판(A)의 둘레 단부에 접하는 영역이 후방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진 경사면(36)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웨이퍼용 박판 수납용기(1)에서 도어(미도시)로 용기본체(10)의 박판 출입 개구(11)를 폐쇄할 때, 도어(미도시)의 내측면에 마련된 웨이퍼 리테이너(미도시)와 지지편(34)의 후방 영역에 형성된 경사면(36) 구조에 의해 박판(A)인 웨이퍼가 인접하는 지지편(34) 사이의 지지슬롯(35) 공간에 부상 개재된 형태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지지편(34)에는 도 6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박판(A)을 지지하는 영역에 박판(A)에 접촉하는 박판접촉부(37)가 상하부 양측면에 대칭되게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박판접촉부(37)는 박판 수납용기(1)의 도어(미도시) 폐쇄시 박판(A)이 지지슬롯(35) 공간에 부상 개재되는 과정에서 원활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마찰력이 적으면서 내열 및 내마모성이 우수한 엔지니어링플라스틱 재질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지지편(34)의 적어도 박판(A)을 지지하는 영역에는 도 8 내지 도 11과 같이, 박판(A)에 대한 최소 접촉부분을 형성하는 최소접촉부(38)가 지지편(34)의 상하부면에 대칭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최소접촉부(38)는 박판(A)에 대한 지지편(34)의 접촉 영역을 최소화함으로써 박판(A)의 손상을 방지한다. 이 최소접촉부(38)는 지지편(34)의 판면에서 돌출된 돌기나 비드 등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박판 수납용기(1)의 박판지지부재(30)는 적어도 지지편(34) 또는 박판지지부재(30) 전체가 정전기 소산 재료로 마련되어 용기본체(10) 또는 용기본체(10) 외부에 마련되는 별도의 접지경로를 통해 외부로 접지되어 정전기를 방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정전기에 의한 박판(A)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정전기 소산 재료 영역은 전술한 지지편(34)의 박판 접촉 영역으로서 박판접촉부(37) 및 최소접촉부(38) 영역이 정전기 수산 재료 영역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박판 수납용기(1)는 양 박판지지부재(30)가 상호 대칭 구조에 의해 방향성을 갖지 않기 때문에, 각 박판지지부재(30)가 용기본체(10)의 박판 수납공간(13) 양 내측면에 위치 상관없이 착탈구조 또는 인서트 사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예컨대, 박판 수납용기(1)가 FOSB 또는 FOUP 등과 같은 전면 개폐 방식의 박판 수납용기(1)일 경우, 각 박판지지부재(30)는 도 3과 같이, 상하 반전되는 형태로 용기본체(10)의 좌우 내측벽에 좌우 위치 상관없이 결합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박판 수납용기(1)가 상부 개방된 형태의 박판 수납용기(1)일 경우에는 각 박판지지부재(30)는 전후 반전 또는 좌우 반전되는 형태로 용기본체(10)의 대향 하는 양 측벽에 양측 위치 상관없이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양 박판지지부재(30)를 별개의 금형을 이용하여 별개의 부품으로 마련하지 않고, 하나의 금형을 이용하여 단일의 호환 부품으로 제작할 수 있기 때문에, 부품 제조 비용 및 제품 단가를 절감할 수 있고, 부품의 관리 및 조립성 측면 등에서 편의성이 향상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용기본체 내부 양측의 박판지지부재가 상호 위치 상관없이 호환 가능함과 동시에, 제품 단가를 낮추고 부품 관리 및 조립 편의성이 향상되는 박판 수납용기가 제공된다.
10 : 용기본체 13 : 박판 수납공간
30 : 박판지지부재 31 : 용기결합부
33 : 박판지지부 34 : 지지편
35 : 지지슬롯 37 : 박판접촉부
38 : 최소접촉부

Claims (13)

  1. 박판 수납공간을 갖는 용기본체와, 상기 박판 수납공간의 적어도 상호 대향하는 양 내측면에 결합되어 박판을 지지하는 한 쌍의 박판지지부재를 갖는 박판 수납용기에 있어서,
    상기 양 박판지지부재는 각각 상기 양 내측면에 호환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호 대칭 구조를 가지고,
    상기 각 박판지지부재는,
    상기 박판 수납공간의 내측면에 결합되는 용기결합부와,
    상기 용기결합부로부터 상기 박판의 판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된 양 측면이 대칭구조인 적어도 하나의 지지편을 갖는 박판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용기결합부는 상기 박판의 판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박판지지부의 양측에 대칭구조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판 수납용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편은 상기 박판 수납공간에 수납되는 박판의 판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적어도 하나의 지지슬롯을 형성하도록 복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판 수납용기.
  4. 삭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결합부와 이에 대응하는 상기 박판 수납공간의 양 내측면에는 상기 박판지지부재를 상기 내측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착탈결합구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판 수납용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박판지지부재는 상기 용기결합부가 상기 박판 수납공간의 내측면에 일체로 결합되도록 상기 용기본체에 인서트 사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판 수납용기.
  7. 제3항, 제5항 및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는 전면 개구된 박판 수용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박판지지부재는 적어도 상하 대칭구조를 가지고 상기 박판 수용공간의 좌우 내측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판 수납용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편은 상기 개구에 인접한 영역으로부터 상기 박판 수용공간의 내측 후방을 향해 적어도 하나의 리브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박판의 둘레영역 일부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판 수납용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박판지지부재는 적어도 상기 박판이 접촉되는 상기 지지편의 일부 영역이 정전기 소산 재료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판 수납용기.
  10. 제9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박판이 접촉되는 영역의 상기 지지편 상하부에는 박판접촉부가 대칭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판 수납용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박판접촉부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재질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판 수납용기.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박판접촉부에 대응하는 상기 지지편의 상하부면에는 상기 박판에 대해 최소 접촉부분을 형성하는 최소접촉부가 상기 상하부면에 대칭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판 수납용기.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박판이 접촉되는 상기 지지편의 상하부면에는 상기 박판에 대해 최소 접촉부분을 형성하는 최소접촉부가 상기 상하부면에 대칭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판 수납용기.
KR1020120120900A 2012-10-30 2012-10-30 박판 수납용기 Active KR1014086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0900A KR101408669B1 (ko) 2012-10-30 2012-10-30 박판 수납용기
PCT/KR2013/009001 WO2014069810A1 (ko) 2012-10-30 2013-10-08 박판 수납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0900A KR101408669B1 (ko) 2012-10-30 2012-10-30 박판 수납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4871A KR20140054871A (ko) 2014-05-09
KR101408669B1 true KR101408669B1 (ko) 2014-07-02

Family

ID=506276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0900A Active KR101408669B1 (ko) 2012-10-30 2012-10-30 박판 수납용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408669B1 (ko)
WO (1) WO201406981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5074A (ko) 2015-03-25 2016-10-06 세보테크 주식회사 해양플랜트 버너 붐에 대한 효율적인 복사열 차폐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46985A1 (ja) 2014-09-26 2016-03-31 ミライアル株式会社 基板収納容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2578A (ko) * 2002-01-17 2003-07-28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표시 글래스 적재용 카세트
JP2007123685A (ja) 2005-10-31 2007-05-17 Miraial Kk 薄板体収納容器
JP2007220823A (ja) 2006-02-15 2007-08-30 Miraial Kk 薄板収納容器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34123B2 (ja) * 2000-09-27 2009-09-30 信越ポリマー株式会社 精密基板収納容器
JP4681221B2 (ja) * 2003-12-02 2011-05-11 ミライアル株式会社 薄板支持容器
JP5361805B2 (ja) * 2010-06-15 2013-12-04 信越ポリマー株式会社 基板収納容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2578A (ko) * 2002-01-17 2003-07-28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표시 글래스 적재용 카세트
JP2007123685A (ja) 2005-10-31 2007-05-17 Miraial Kk 薄板体収納容器
JP2007220823A (ja) 2006-02-15 2007-08-30 Miraial Kk 薄板収納容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5074A (ko) 2015-03-25 2016-10-06 세보테크 주식회사 해양플랜트 버너 붐에 대한 효율적인 복사열 차폐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4871A (ko) 2014-05-09
WO2014069810A1 (ko) 2014-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3011672A1 (ja) トレイ
JP6177248B2 (ja) 基板収納容器
TWI602756B (zh) Substrate storage container
JP6106271B2 (ja) 基板収納容器
WO2015132910A1 (ja) 基板収納容器及び基板収納容器用のフィルタ部
JP7414982B2 (ja) 基板収納容器
KR101408669B1 (ko) 박판 수납용기
JP6162803B2 (ja) 基板収納容器
JP6517341B2 (ja) 基板収納容器
JP5823284B2 (ja) 中仕切り容器
JP6030758B2 (ja) 基板収納容器
KR101426898B1 (ko) 표시패널 운반용 트레이조립체
JP6265662B2 (ja) 基板収納容器
JP7686758B2 (ja) 基板収納容器、その製造方法、及び蓋体側基板支持部
CN110770889A (zh) 基板收纳容器
JP5940929B2 (ja) 箱型容器
WO2012135863A2 (en) Substrate shipper with locking device
JP6000075B2 (ja) 基板収納容器
WO2025074498A1 (ja) 基板収納容器
WO2016154536A1 (en) Wafer container with cross-slotting protection
US20130277268A1 (en) Front opening wafer container with door deflection minimization
KR101469347B1 (ko) 리드프레임용 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103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11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424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6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06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4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40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7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41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3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40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40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40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403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404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