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408451B1 - Planting exterior structure of structure and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Planting exterior structure of structure and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8451B1
KR101408451B1 KR1020120106780A KR20120106780A KR101408451B1 KR 101408451 B1 KR101408451 B1 KR 101408451B1 KR 1020120106780 A KR1020120106780 A KR 1020120106780A KR 20120106780 A KR20120106780 A KR 20120106780A KR 101408451 B1 KR101408451 B1 KR 1014084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getation
building
water
module
space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678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039918A (en
Inventor
박공영
Original Assignee
벽화수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벽화수주식회사 filed Critical 벽화수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067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8451B1/en
Publication of KR201400399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991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84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8451B1/en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5Containers and elements for greening wal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4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 A01G27/06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having a water reservoir, the main part thereof being located wholly around or directly beside the growth substrat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3Multi-tiered plant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7Pots connected in horizontal row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80/00Architectural or constructional elements improving the thermal performance of buildings
    • Y02B80/32Roof garden system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의 외벽이나 지붕, 방음벽, 콘크리트 옹벽, 담과 같은 사면 또는 수직 벽면에 식물을 식재하여 녹화가 이루어지도록 하되, 식물이 식재되는 부위들 사이에 물길이 연결되도록 하여 식재된 식물이 보다 원활하게 생육할 수 있도록 한 건축물의 식생 외장 구조물 및 그 식생 외장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건축물의 사면 또는 수직 벽면에 함몰된 형상으로 다수의 식생공간을 형성하되, 임의의 식생공간과 인접한 다른 식생공간의 사이에는 사선방향으로 적어도 2개소 이상 외측방향으로 개방되는 형상의 다수의 통로를 형성하여서 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lanting plants on a slope or vertical wall surface such as an outer wall or a roof of a building, a soundproof wall, a concrete retaining wall, or a wall to allow the water to pass between the plan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getation exterior structure and a vegetation exterior construction method of a building for smooth growth.
A plurality of vegetation spaces are formed in a slope or a vertical wall surface of a building, wherein a plurality of vegetation spaces are formed between at least two vegetation spaces adjacent to any vegetation space, As shown in FIG.

Description

건축물의 식생 외장 구조물 및 그 식생 외장 시공방법{Planting exterior structure of structure and method thereof}BACKGROUND OF THE INVENTION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lant exterior structure,

본 발명은 건축물의 식생 외장 구조물 및 그 식생 외장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물의 외벽이나 지붕, 방음벽, 콘크리트 옹벽, 담과 같이 사면 또는 수직 벽면에 식물을 식재하여 녹화가 이루어지도록 하되, 식물이 식재되는 부위들 사이에 식물의 뿌리가 방해되지 않고 정상적으로 이동 성장하도록 하는 상방향으로 개방된 물길 또는 뿌리 통과 통로가 연결되도록 하여 식재된 식물이 보다 원활하게 영속적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getation exterior structure of a building and a method of constructing the exterior of the vegeta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of planting plants on a slope or vertical wall surface such as an outer wall, roof, soundproof wall, concrete retaining wall, , An upwardly opened waterway or a root passage for allowing the plant roots to move normally without disturbing the plant roots is connected between the sites where the plants are planted so that the planted plants can grow more smoothly and permanently.

주지하다시피, 급격한 산업화의 결과로서 차가운 느낌을 연출하는 콘크리트 구조물과 인공 구조물이 대폭적으로 증가되면서 한정된 공간에서의 녹지 확보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벽면 녹화시스템이나 녹화 담장, 옥상녹화 등은 물론 식물의 유지 관리를 위해 관수장치를 설치하여 급변하는 혹은 불량한 자연환경에 대처할 수 있도록 특수 녹화에 관심을 갖기 시작하였다.As well known, as a result of rapid industrialization, concrete structures and artificial structures, which produce cold feeling, have been greatly increased, and in order to overcome the limitation of green space in confined space, wall vegetation system, green wall, We started to pay attention to special recording to cope with rapidly changing or poor natural environments by installing irrigation equipment for maintenance.

이중 벽면 녹화시스템 또는 녹화 담장은 수직방향으로 고정되는 식생매트 또는 식생블록에 식물을 식재하거나, 벽면이나 인공구조물에 추가로 부착하여 식물의 생육이 가능하도록 하였다.이는 벽면이나 담장의 기능을 수행하면서 외부로는 식물이 자라도록 하여 심미감을 충족시킬 수 있고, 에너지 절감 및 기후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구조물로서, 벽면 녹화시스템 또는 녹화 담장에 식재되는 식물의 올바른 생장과 관리의 편의성을 위해 급수관을 구비하여 이를 통해 물을 식물에 점적으로 공급해주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에 대해 본 출원인은 특허출원 제 10-2009-12378 호 "녹화 담장"과, 특허출원 제 10-2009-12404 호 " 벽면 녹화시스템"을 개시한 바 있다.The double-walled greening system or the greening fence is used to plant the plants in a vertical vegetation mat or vegetation block, or to attach them to walls or artificial structures to enable the growth of the plants. It is a structure that can meet the esthetics by allowing plants to grow outside, and can respond effectively to energy saving and climate change. It is equipped with a water supply pipe for the convenience of growth and management of plants planted in the wall greening system or green wall. Thereby supplying water to the plants by means of the water. The present applicant has disclosed a patent application No. 10-2009-12378 entitled " Recording Wall "and a patent application No. 10-2009-12404 entitled " Wall Wall Recording System ".

그런데, 상기한 벽면 녹화시스템 또는 녹화 담장을 원활하게 구현하기 위해서는 식물의 식생이 원활하게 이루어져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기본적인 생육기반이 필요하고 식생기반에 추가하여 급수관을 통해 물을 지속적으로 공급해주어야 하는 것이다. 식물이 살아가기 위해서는 물, 온도, 빛이라는 3요소가 필요한데 지금까지의 벽면녹화는 토양이라는 식생기반을 더 중요하게 여겨왔다. 그러나 플라스틱 등으로 이루어진 공간이 제한된 모듈의 경우 식물의 영속적인 생육이 불가능하고 본 출원인에 의해 특허등록된 10-0807285호의 방법으로 만들어진 제품명“벽화수”와 같은 완벽한 식생기반을 제공하는 기반체의 경우에도 식물의 생육에는 매우 효과적이지만 스폰지형으로 고형화 되어 식물의 식재 규격이 한정되어 재배기간이 너무 길고 식물을 교체하거나 제활용에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However, in order to smoothly implement the above-mentioned wall-surface greening system or the green wall, the vegetation of the plant must be smoothly performed. To achieve this, a basic growth base is required and water must be continuously supplied through the water pipe in addition to the vegetation base. In order for plants to survive, water, temperature, and light are needed. So far, wall vegetation has been regarded as more important than soil. However, in the case of an infrastructure that provides a complete vegetation base such as a product name " mural painting " made by the method of Patent No. 10-0807285, It is very effective for the growth of Edo plant but it is solidified as sponge type, and the planting standard of the plant is limited, so that the cultivation period is too long and it is difficult to replace the plant or use it.

또한, 식물의 뿌리는 물을 찾아 뻗어가고 물과 접촉되면 뿌리가 굵어지는 특징이 있으므로 벽면 녹화시스템이나 녹화 담장에서도 식생매트 또는 식생 블록에 식재된 식물의 뿌리가 급수관의 물배출 부위측으로 뻗어내려 토출공을 막아 급수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심하게는 급수관을 파괴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In addition, since the roots of the plants extend to the water and become thicker when they come into contact with water, the roots of the plants planted on the vegetation mat or vegetation block on the wall greening system or the greening fence are extended toward the water discharge side of the water pipe,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water was blocked properly and the water pipe was seriously destroyed by blocking the ball.

또한, 식생이 가능한 모듈을 나란하게 고정하여 사면 또는 수직 벽면 등을 녹화시키는 방법이 있으나, 이러한 기존의 모듈을 이용하는 경우 식생기반이 각각의 모듈로 한정되어 있어 식물이 영구적으로 자랄 수 없는 조건이 되고, 설령 식생이 이루어진다고 하더라도 모듈로 가두어진 상태에서 식물 뿌리가 증가됨과 동시에 그 늘어나는 압력으로 인해 모듈이 깨지거나 식물 자체가 모듈로부터 튕겨져 나와 영속성을 유지할 수 없는 단점이 있으며, 또한 모듈과 모듈을 나란하게 고정할 때 측벽에 구멍을 내어 각 모듈 사이가 통하도록 구성하는 경우에도 이러한 구멍이 제한적이어서 뿌리나 줄기가 구멍을 통과하여 자랄 때 큰 제한을 받아 식물의 줄기부분이 잘리거나 생육이 매우 어려운 단점이 있는 것이었다.In addition, there is a method of recording a slope or a vertical wall surface by fixing modules capable of vegetation side by side, but when using the existing module, the vegetation base is limited to each module, so that the plant can not grow permanently Even if vegetation is provided,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he root of the plant is increased in the state of being concealed by the module, the module is broken due to the increased pressure, or the plant itself is thrown from the module and can not maintain the durability. Even when a hole is formed in the side wall to make a communication between the modules, the hole is limited so that the root portion or trunk grows through the hole, .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건축물의 실내외 벽면, 지붕, 방음벽, 콘크리트 옹벽, 담과 같은 사면 또는 수직 벽면에 식물을 식재하여 녹화가 이루어지도록 하되, 식물이 식재되는 부위들 사이에 상방향으로 개방된 물길 또는 뿌리 통과 통로가 연결되도록 하여 식물이 공간적 제약없이 지속적으로 생육할 수 있도록 한 건축물의 식생 외장 구조물 및 그 식생 외장 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in view of the above point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of planting plants on a slope or vertical wall surface such as an indoor and outdoor wall surface, roof, soundproof wall, concrete retaining wall, And to provide a vegetation exterior structure and a vegetation exterior construction method in which a plant is allowed to grow continuously without any spatial constraint by connecting an open waterway or a root passage to an upward direction.

특히, 인공구조물의 식물생육 제한요인 중 가장 중요한 요소인 수분공급에 있어 자연적 현상에 의한 고른 관수와 영구적으로 고장이 없는 수분공급의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Especially, it is aimed to provide irrigation irrigation and permanent irrigation - free water supply method due to natural phenomenon in water supply which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of plant growth restriction of artificial structure.

또한, 식물이 식재되어 오랜기간동안 살 수 있는 반영구적 기반을 제공하고 식물의 뿌리가 이동통로를 따라 자연에서와 같이 1m이상 뿌리를 내릴 수 있도록 하여 안정된 식물생육을 도모하는 것이다.In addition, it provides a semi-permanent basis for plants to be planted for a long period of time, and allows the roots of plants to roots more than 1 meter as in nature, along the migration path, thereby promoting stable plant growth.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의 식생 외장 구조물은, 건축물의 사면 또는 수직 벽면에 함몰된 형상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식생공간; 및 상기 식생공간 중 임의의 식생공간과 인접한 다른 식생공간의 사이에 사선방향으로 적어도 2개소 이상 외측방향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다수의 통로를 포함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 vegetation exterior structure of a bui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vegetation spaces formed in a slope or a vertical wall surface of a building, And a plurality of passages formed to open at least two outward directions in an oblique direction between any vegetation space and adjacent vegetation spaces in the vegetation space.

바람직하게는, 상기 식생공간은 3~20㎝의 폭으로 구성되고, 상기 통로는 1~2㎝의 폭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Preferably, the vegetation space has a width of 3 to 20 cm, and the passage may have a width of 1 to 2 cm.

바람직하게는, 상기 다수의 식생공간과 통로는 상기 건축물의 사면 또는 수직 벽면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Preferably, the plurality of vegetation spaces and passageways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slopes or vertical wall surfaces of the building.

바람직하게는, 상기 다수의 식생공간과 통로의 바닥면은 방수코팅되거나 방수포가 포설되어 방수층이 형성되고; 상기 방수층의 표면에는 수분을 보유하면서 모세관 현상에 의해 수분을 다른 장소로 이송할 수 있도록 천, 부직포, 솜, 토양 중 어느 하나가 포설되어 수분이송층이 형성될 수 있다.Preferably, the plurality of vegetation spaces and bottom surfaces of the passages are waterproof coated or waterproofed to form a waterproof layer; A moisture transfer layer may b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waterproof layer by placing any one of a cloth, a nonwoven fabric, a cotton and a soil so as to transfer water to another place by capillary phenomenon while retaining water.

바람직하게는, 상기 다수의 식생공간과 통로가 형성된 콘크리트 블록 또는 세라믹 블록이 조적 시공되어 건축물의 사면 또는 수직 벽면을 이룰 수 있다.Preferably, the plurality of vegetation spaces and the concrete blocks or the ceramic blocks formed with the passages are jointly installed to form slopes or vertical wall surfaces of the buildings.

바람직하게는, 상기 콘크리트 블록 또는 세라믹 블록은, 다수의 식생공간과 통로가 형성되도록 1차 성형되어 방수 및 방근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고, 상기 1차 성형된 성형물의 표면에 1차 성형시의 재료보다는 상대적으로 밀도가 낮은 재료가 피복된 상태로 2차 성형되어 상기 2차 성형부위에 보수, 보비, 모세관 현상에 의한 수분 이송이 가능한 다수의 기공을 포함하도록 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Preferably, the concrete block or the ceramic block is configured to be waterproof and anticorrosive so that a plurality of vegetation spaces and passages are formed, and the waterproof and anticorrosive material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primary molded product. And may include a plurality of pores which are secondary molded in a state in which a material having a relatively low density is coated and are capable of transferring moisture by maintenance, bubbling, and capillary action to the secondary molding site.

바람직하게는, 상기 다수의 식생공간과 통로가 형성된 합성수지재 또는 철재로 이루어진 모듈이 건축물의 사면 또는 수직 벽면에 부착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Preferably, the plurality of vegetation spaces and the module made of the synthetic resin material or the iron material formed with the passageways may be attached to slopes or vertical wall surfaces of the building.

바람직하게는, 상기 합성수지재 또는 철재로 이루어진 모듈의 식생공간과 통로 내부에는 수분을 보유하면서 모세관 현상에 의해 수분을 다른 장소로 이송할 수 있도록 천, 부직포, 솜, 토양 중 어느 하나가 포설되어 수분이송층이 형성될 수 있다.Preferably, any one of a cloth, a non-woven fabric, a cotton and a soil is installed in the vegetation space and the passageway of the module made of the synthetic resin material or the iron material so as to transfer moisture to another place by capillary phenomenon while retaining moisture, A transfer layer may be formed.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분이송층을 견고히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식생공간과 통로의 바닥면으로부터 상방향으로 돌출가드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Preferably, a protruding guard may protrude upwar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path and the vegetation space to securely secure the moisture transport layer.

바람직하게는, 상기 합성수지재 또는 철재로 이루어진 모듈 중 위쪽의 모듈이 하방향으로 인접하는 다른 모듈의 일부에 포개져 누수가 방지되는 형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모듈의 하부에는 바닥부위가 삭제된 형상의 제1 적층홈이 형성되면서 상기 모듈의 상부에는 표면부위가 삭제된 형상의 제2 적층돌기가 형성되고; 임의의 모듈이 좌측방향 또는 우측방향으로 인접하는 다른 모듈의 일부에 파형으로 포개질 수 있도록 상기 모듈의 일측에는 바닥부위가 삭제된 파형의 제2 적층홈이 형성되면서 상기 모듈의 타측에는 표면부위가 삭제된 파형의 제2 적층돌기가 형성되며; 건축물의 사면 또는 수직 벽면의 최외측 측면에 적용되는 마감블록은 식물 뿌리 뻗음 현상과 누수를 방지할 수 있도록 바닥면이 파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2 적층돌기에 포개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Preferably, the upper module of the module made of synthetic resin or steel is superimposed on a part of the lower module adjacent to the upper module, A second lamination protrusion having a surface portion removed is form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module; A second laminated groove of a corrugated bottom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module so that a certain module can be corrugated into a part of another module adjacent to the left or right direction while a surface portion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module A second laminated projection of the deleted waveform is formed; The finishing block applied to the slope of the building or the outermost side of the vertical wall surface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floor surface is formed in a corrugated shape and overlapped with the second lamination protrusion so as to prevent plant roots and water leakage.

바람직하게는, 평면상 "Y"자 형상의 단위 블록이 건축물의 사면 또는 수직 벽면에 등간격으로 각각 고정되어 각 단위 블록을 통해 형성되는 안쪽 부위는 각각 식생공간을 이루고, 각 단위 블록의 사이 공간은 각각 통로를 이룰 수 있다.Preferably, the planar "Y" -shaped unit blocks are equally spaced on slopes or vertical wall surfaces of the building, and the inner portions formed through the unit blocks each form a vegetation space, Respectively.

바람직하게는, 다수의 단위 블록이 건축물의 사면 또는 수직 벽면에 등간격으로 고정되어 벌집형상을 이루되, 각각의 단위 블록이 이격된 상태로 고정되어 상기 벌집 형상의 안쪽 부위는 각각 식생공간을 이루고, 상기 각 단위 블록의 사이 공간은 각각 통로를 이룰 수 있다.Preferably, a plurality of unit blocks are equally spaced from each other on a slope or a vertical wall surface of the building to form a honeycomb, and each unit block is fixed in a spaced-apart manner so that each of the inner portions of the honeycomb forms a vegetation space , And a space between the unit blocks may form a passage.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위 블록이 고정되는 바닥면에는 방수코팅되거나 방수포가 포설되어 방수층이 형성되고, 상기 방수층의 표면에는 수분을 보유하면서 모세관 현상에 의해 수분을 다른 장소로 이송할 수 있도록 천, 부직포, 솜, 토양 중 어느 하나가 포설되어 수분이송층이 형성되며, 상기 단위 블록은 상기 수분이송층의 상부에 고정될 수 있다.Preferably, a waterproof layer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n which the unit block is fixed, and a waterproof layer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waterproof layer. The surface of the waterproof layer is coated with water, , Water or soil is installed to form a water transfer layer, and the unit block can be fix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water transfer layer.

바람직하게는, 건축물의 옥상에는 저수탱크가 구비되고, 상기 저수탱크에는 물을 상기 식생공간 또는 상기 통로로 이송하기 위한 심지가 침지되어 이루어지거나, 건축물의 상단부에 일측으로 비스듬히 급수관이 설치되고, 상기 급수관의 하면에는 등간격으로 급수공을 형성하여 각각의 급수공을 통해 주기적으로 점적 관수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Preferably, a water storage tank is provided on the roof of the building, a wick for transferring water to the vegetation space or the passage is immersed in the water storage tank, or a water supply pipe is installed diagonally at one side of the upper end of the building, A water supply hole may be formed at equal intervals on the lower surface of the water supply pipe, and the water supply pipe may be periodically arranged to be dripped through each water supply hole.

바람직하게는, 상기 식생공간은, 식재되는 식물묘의 토양이 하방향으로 흘러내리지 않도록 상방향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거나, 적어도 하부측 입구 부위에는 걸림턱이 형성될 수 있다.Preferably, the vegetation space may be inclined upward so that the soil of the plant graft planted does not flow downward, or at least a hooking jaw may be formed at the lower entrance.

바람직하게는, 상기 식생공간의 내하부에는 물을 수용할 수 있는 저수홈이 형성되고, 상기 저수홈의 양측에는 다른 식생공간과 사선 방향으로 통하도록 통로가 각각 형성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Preferably, a low watertight groove for receiving water is formed in the inner lower portion of the vegetation space, and a passage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low watertight groove so as to communicate with other vegetation spaces in a diagonal direction.

본 발명의 다른 견지에 따른 건축물의 식생 외장 시공방법은, 건축물의 사면 또는 수직 벽면에 함몰된 형상으로 식재 및 식생을 위한 다수의 식생공간을 형성하는 단계; 임의의 식생공간과 인접한 다른 식생공간의 사이에 사선 방향으로 적어도 2개소 이상 외측방향을 향해 개방되는 형상의 통로를 각각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각 식생공간에 식물묘를 식재하고, 관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vegetation exterior construction method for a building, comprising: forming a plurality of vegetation spaces for vegetation and vegetation in a shape recessed on a slope or a vertical wall of a building; Forming passages each having a shape open to at least two outward directions in an oblique direction between an arbitrary vegetation space and another adjacent vegetation space; And planting and planting plant graves in each of the vegetation spaces.

바람직하게는, 건축물의 사면 또는 수직 벽면의 축조시 상기 다수의 식생공간과 통로 형상의 거푸집을 사용하여 다수의 식생공간과 통로를 상기 건축물과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Preferably, a plurality of vegetation spaces and passageways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building by using the plurality of vegetation spaces and the passage-shaped formworks when building a slope or a vertical wall surface of the building.

바람직하게는, 상기 다수의 식생공간과 통로를 상기 건축물과 일체로 형성한 후 각 식생공간과 통로의 바닥면을 방수, 방근 처리하는 단계와; 상기 방수, 방근 처리된 각 식생공간과 통로의 바닥면에 천, 부직포, 솜, 토양 중 어느 하나를 포설하여 수분을 보유하면서 모세관 현상에 의해 수분을 다른 장소로 이송하는 수분이송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the plurality of vegetation spaces and passages are integrally formed with the building, and waterproofing and flooding the bottom surfaces of the vegetation spaces and the passages are performed. Forming a moisture transfer layer for transferring moisture to another place by capillary phenomenon while placing moisture in the waterproof and antiseptic treated vegetation spaces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passageway by placing any one of cloth, nonwoven fabric, cotton, and soil As shown in FIG.

바람직하게는, 상기 다수의 식생공간과 통로가 형성된 다수의 콘크리트 블록 또는 세라믹 블록을 조적 시공하여 건축물의 사면 또는 수직 벽면을 형성할 수 있다.Preferably, the plurality of vegetation spaces and the plurality of concrete blocks or the ceramic blocks having the passages formed therein are jointly installed to form a slope or a vertical wall surface of the building.

바람직하게는, 상기 블록은, 다수의 식생공간과 통로가 형성되도록 1차 성형하는 단계와; 상기 1차 성형된 성형물의 표면에 1차 성형시의 재료보다는 상대적으로 밀도가 낮은 재료를 피복한 상태로 2차 성형하여 상기 2차 성형부위에 보수, 보비, 모세관 현상에 의한 수분 이송이 가능한 다수의 기공을 포함하도록 일체로 구성하는 단계로 제조할 수 있다.Advantageously, the block comprises: a primary molding to form a plurality of vegetation spaces and passages; The surface of the primary molded product is subjected to secondary molding in a state of covering a material having a relatively lower density than that of the material during primary molding, and a plurality of materials capable of transferring moisture by repair, bubbling, and capillary phenomenon And the pores of the porous layer may be formed integrally.

바람직하게는, 상기 다수의 식생공간과 통로가 형성된 합성수지재 또는 철재로 이루어진 모듈을 상기 건축물의 사면 또는 수직 벽면에 부착하여 각각 고정할 수 있다.Preferably, the plurality of vegetation spaces and the module made of synthetic resin material or steel material having the passages formed thereon may be attached to slopes or vertical wall surfaces of the building, respectively.

바람직하게는, 상기 모듈은, 위쪽의 모듈이 하방향으로 인접하는 다른 모듈의 일부에 포개질 수 있는 형상으로 구성하여 상기 다수의 모듈을 고정할 때 위쪽의 모듈 일부가 아래쪽 모듈 일부에 포개지는 형상으로 고정하며; 상기 모듈은 좌, 우측으로 인접한 다른 모듈과 서로 포개지도록 한쪽 부분에 파형의 날개를 형성하고, 인접한 다른 모듈은 포개지는 부분이 파형으로 구성되어 좌우 모듈을 고정했을 때 포개지는 형상으로 고정하며; 건축물의 사면 또는 수직 벽면의 최외측 측면에 적용되는 모듈은 식물 뿌리 뻗음 현상과 누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파형으로 이루어지거나 마무리 턱 경계를 형성하는 마감블록을 고정하여 마감할 수 있다.Preferably, the module is configured such that the upper module is configured to be superimposed on a part of another module adjacent to the lower module, so that when the plurality of modules are fixed, a part of the upper module is superimposed on a part of the lower module ; Wherein the module forms a wing of a waveform on one side so as to overlap with other adjacent modules on the left and right sides and the adjacent module is fixed in a superimposed shape when the superimposed part is composed of a waveform and the left and right modules are fixed; The module applied to the slope of the building or the outermost side of the vertical wall surface can be finished by fixing the finishing block formed by the corrugation or finishing jaw boundary to prevent plant roots and leakage.

바람직하게는, 상기 합성수지재 또는 철재로 이루어진 모듈의 식생공간과 통로 내부에 수분을 보유하면서 모세관 현상에 의해 수분을 다른 장소로 이송할 수 있도록 천, 부직포, 솜, 토양 중 어느 하나를 포설하여 수분이송층을 형성할 수 있다.Preferably, any one of a cloth, a non-woven fabric, a cotton and a soil is installed so as to transfer water to another place by capillary phenomenon while retaining moisture in the vegetation space and the passageway of the module made of the synthetic resin material or the iron material, A transfer layer can be formed.

바람직하게는, 평면상 "Y"자 형상의 단위 블록을 건축물의 사면 또는 수직 벽면에 등간격으로 각각 고정하여 각 단위 블록을 통해 형성되는 안쪽 부위는 각각 식생공간을 이루도록 하고, 각 단위 블록의 사이 공간은 각각 통로를 이루도록 할 수 있다.Preferably, the planar "Y" -shaped unit blocks are equally spaced on slopes or vertical wall surfaces of the building, and the inner portions formed through the unit blocks are each formed as a vegetation space, The space may be a passage.

바람직하게는, 다수의 단위 블록을 건축물의 사면 또는 수직 벽면에 등간격으로 각각 고정하여 평면상 벌집 형상으로 구성하되, 각각의 단위 블록을 이격시킨 상태로 고정하여 상기 벌집 형상의 안쪽 부위는 각각 식생공간을 이루도록 하고, 상기 각 단위 블록의 사이 공간은 각각 통로를 이루도록 할 수 있다.Preferably, a plurality of unit blocks are fixed at equal intervals on a slope or a vertical wall surface of a building so as to have a honeycomb shape in a plane, and each unit block is fixed in a state of being spaced apart, And the space between the unit blocks may be a passage.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위 블록을 건축물의 사면 또는 수직 벽면에 고정하기 전 단계에서 건축물의 사면 또는 수직 벽면에 방수포를 포설하거나 방수코팅을 하여 방수층을 형성하고, 상기 방수층의 표면에는 수분을 보유하면서 모세관 현상에 의해 수분을 다른 장소로 이송할 수 있도록 천, 부직포, 솜, 토양 중 어느 하나를 포설하여 수분이송층을 형성하며, 상기 수분이송층의 표면에 상기 단위 블록을 고정할 수 있다.Preferably, the waterproof layer is formed by laying a waterproof film or waterproof coating on the slope or vertical wall surface of the building before the unit block is fixed to a slope or a vertical wall surface of the building, and a waterproof layer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waterproof layer, Any one of a cloth, a nonwoven fabric, a cotton and a soil may be laid to form a water transfer layer so that water can be transferred to another place by the development, and the unit block can be fixed to the surface of the water transfer layer.

본 발명은 건축물의 외벽면 또는 지붕면, 방음벽, 콘크리트 옹벽, 담과 같은 사면 또는 수직 벽면에서 식생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삭막한 느낌의 건축물 외관을 녹화에 의해 따뜻한 느낌으로 바꾸어 줄 수 있는 것이며, 다수의 식생공간이 사선방향으로 2개소 이상 형성된 통로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이러한 통로가 물길을 이룸과 동시에 식물의 뿌리가 뻗어나갈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게 되어 전체적으로 물의 공급이 균일하게 됨은 물론 뿌리가 넓게 퍼지게 되고 고정력도 높아지게 되며, 통로가 외측으로 개방된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이므로 식물 뿌리가 통로를 통해 뻗어나갈 때 압박 또는 제한이 없게 되어 식생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 비바람 등 강한 외력이 발생되더라도 뿌리 사이의 강한 결속을 통해 식생 부위가 손상되지 않는 이점도 있는 것이다.Since the vegetation is formed on slopes such as outer wall surfaces or roof surfaces of buildings, soundproof walls, concrete retaining walls, walls, and vertical wall surfaces,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appearance of a building with a brittle feel to a warm feeling by greening. Since the space is connected by two or more passageways formed in diagonal directions, these passageways provide a space where the water roots and the roots of the plants can be extended, so that the water supply is uniform as a whole, and the roots spread widely. And the path is formed in an open form to the outside, so that there is no pressing or restriction when the plant roots are extended through the passage, so that vegetation can be smoothly performed, and even if a strong external force such as wind and rain is generated, The vegetation is not damaged by binding Viscosity is located.

즉, 통로가 식생공간 사이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될 경우 하나의 식생공간에 수분이 유입되었을 때 머무르지 않고 곧바로 하방향으로 배수되면서 양분의 이탈도 가속화되어 물의 공급이 골고루 이루어지기 어려운데, 본 발명에서는 식생공간의 사이에 통로를 사선방향으로 2개소 이상 연결되게 함으로써 통로가 수직방향으로 식생공간을 연결할 때의 단점을 극복할 수 있는 것이고, 인공지반에서의 식물생육에 가장 중요한 요소인 수분공급에 있어 자연현상과 같이 중력에 의한 수분의 아래로의 이동과 모세관현상에 의한 상부로의 이동이 특별한 장치가 없더라도 가능하게 되며, 특히 식물의 뿌리가 자연에서와 같이 길고 넓게 뻗게 되고, 일부 구간에 수분이 전달되지 않더라도 식물의 생육에는 큰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생육이 가능해 식물의 영속성이 유지되는 기술적 과제가 해결된다.That is, when the passageway is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between the vegetation spaces, when the water is introduced into one vegetation space, the water is drained immediately without being dwelling, so that the release of the nutrients is also accelerated, It is possible to overcome the disadvantages of connecting the vegetation space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connecting two or more paths in the diagonal direction between the vegetation spaces. In addition, As with natural phenomena, the movement of water downward by gravity and the movement of the upper part by capillary phenomenon becomes possible even without a special device, especially when the roots of the plant are extended long and wide as in nature, Even if it is not transmitted, it is possible to grow without affecting the growth of the plant. The retained technical challenges are resolved.

또한, 건축물의 축조시 식생공간과 통로를 일체로 형성하거나, 식생공간과 통로가 형성된 콘크리트 블록 또는 세라믹 블록을 조적 시공하여 건축물의 사면 또는 수직 벽면을 이루도록 하거나, 식생공간과 통로가 형성된 합성수지재 또는 철재 모듈을 건축물에 부착 고정하여 구성하거나, 단위 블록들을 각각 고정하여 식생공간과 통로를 형성하는 등 다양한 시공 방법에 의해 건축물의 외벽면 또는 지붕면, 방음벽, 콘크리트 옹벽, 담과 같은 사면 또는 수직 벽면에 식생공간과 통로를 구성할 수 있어 신축 건축물이든 기존 건축물이든 식생시공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식생공간과 통로의 바닥면에는 부직포 등으로 이루어진 수분이송층이 형성되거나, 콘크리트 블록 또는 세라믹 블록을 2차에 걸쳐 성형할 때 2차 성형물은 조직이 치밀하지 않게 성기게 성형해줌으로써 그 자체로 기공을 형성하여 수분이송층 또는 기공을 통해 수분을 어느 정도의 시간동안은 보유할 수 있고, 또 모세관 현상에 의해 수분을 다른 장소로 이송하여 식생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when the building is constructed, the vegetation space and the passage may be integrally formed, or the concrete block or the ceramic block formed with the vegetation space and the passage may be jointly constructed to form the slope or vertical wall of the building, The steel module can be fixed to the building or the building block can be fixed to each other to form the vegetation space and the passageway. The slope or vertical wall surface such as the outer wall surface or the roof surface, the soundproof wall, the concrete retaining wall, It is possible to construct the vegetation space and the passageway so that the construction of the vegetation and the existing structure can be facilitated. In addition, a moisture transfer layer made of a nonwoven fabric or the like may b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vegetation space and the passage, Or when the ceramic block is molded in a second order, It is possible to retain moisture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through a moisture transfer layer or pores and to transfer moisture to another place by capillary phenomenon, It can help.

또한, 각 식생공간의 내하부에는 물을 수용할 수 있는 저수홈이 형성되어 있고, 저수홈의 양측에는 다른 식생공간과 사선 방향으로 통하도록 통로가 각각 형성되어 이루어지게 되므로 물을 어느 정도의 시간까지 보유하고, 물을 다른 식생공간으로 펼쳐지는 방향으로 급수하여 식생 면적을 넓힐 수 있는 이점도 있게 된다.In addition, low-water grooves for receiving water are formed in the inner lower part of each vegetation space, and passages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low water grooves for communicating with other vegetation spaces in diagonal directions. Therefore, , And it is also possible to increase the area of vegetation by watering in the direction of spreading water to another vegetation space.

또한, 식생공간과 통로 사이를 이루는 공간에 물통을 구비하여 관수한 물이 일정시간 이상 보관되게 하여 1회 관수로 오랫동안 유지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 water reservoir may be provided in a space between the vegetation space and the passageway, so that the irrigation water can be stor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nd can be maintained for a long time with irrigation wat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의 외벽면에 식생 외장시공된 상태 설명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식생공간과 통로가 건축물과 일체로 형성되는 경우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식생공간과 통로가 건축물과 일체로 형성되는 경우의 요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식생공간과 통로를 갖는 콘크리트 블록 또는 세라믹 블록을 조적 시공하여 건축물의 사면 또는 수직 벽면을 형성하는 경우의 사시도.
도 5는 도 4에 적용되는 콘크리트 블록 또는 세라믹 블록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식생공간과 통로를 갖는 합성수지재 또는 철재 모듈을 건축물에 부착하여 시공하는 경우의 종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식생공간과 통로를 갖는 합성수지재 또는 철재 모듈을 건축물에 부착하여 시공하는 경우의 횡단면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단위 블록을 건축물에 고정하여 식생공간과 통로를 형성하는 경우의 설명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의 지붕에 식생 외장시공된 상태 설명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의 외벽면에 식생 외장시공시 옥상을 통한 급수 설명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의 외벽면에 식생 외장시공시 사선 방향의 급수관을 통해 급수 설명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의 외벽면에 식생 외장시공시 식생공간의 다양한 예시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의 식생 외장시공에 블록을 적용한 경우 식물의 식재와 뿌리뻗음 상태 설명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n explanatory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exterior wall surface of a bui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vegetation exterior. FIG.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vegetation space and a passage formed integrally with a bui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main part in the case where a vegetation space and a passage are integrally formed with a bui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lope or a vertical wall surface of a building by jointly constructing a concrete block or a ceramic block having a vegetation space and a pass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crete block or ceramic block applied to Fig.
FIG. 6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a case where a synthetic resin material or a steel module having a vegetation space and a pass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ttached to a building.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ase where a synthetic resin material or a steel module having a vegetation space and a pass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a building.
8 and 9 are explanatory views of a case where the unit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ixed to a building to form a vegetation space and a passage.
FIG. 10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a state in which a roof of a bui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vegetation exterior. FIG.
11 is a view for explaining a water supply on a roof of a bui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vegetative exterior is constructed.
FIG. 12 is an explanatory view of a water supply through a water supply pipe in an oblique direction when the exterior wall of a bui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vegetation exterior. FIG.
13 is a view showing various examples of the vegetation space at the time of constructing vegetation exterior on the outer wall surface of the bui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4 is an explanatory view of planting material and roots stretching state when a block is applied to a vegetation exterior construction of a bui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이하,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의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Best Mode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amples and attached drawings. The following examples are intended to further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ny way whatsoever in view of the spirit of the invention, .

도면상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건축물의 외벽면 또는 지붕, 방음벽, 콘크리트 옹벽, 담과 같은 사면 또는 수직 벽면을 녹화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를 위해서는 식물이 자랄 수 있는 식생공간(10)과, 물을 공급하면서 식물의 뿌리가 뻗어나갈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통로(20)가 필요하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recording a slope or a vertical wall surface such as an outer wall surface of a building or a roof, a soundproof wall, a concrete retaining wall, a wall, and the like, and includes a vegetation space 10, There is a need for a passage 20 that provides a space through which the roots of the plant can extend while supplying water.

식생공간(10)은 식물묘가 식재되어 생육되는 장소로서, 식물묘의 용이한 삽입을 위해 입구측으로부터 바닥부위로 갈수록 점차 면적이 좁아지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3~20㎝의 폭으로 구성하게 된다.The vegetation space (10) is a place where plant seedlings are planted and grown. In order to facilitate the insertion of plant seedlings, the vegetation space is formed in a shape of gradually narrowing from the entrance side to the bottom part, and has a width of 3 to 20 cm .

통로(20)는 각 식생공간(10) 사이에 사선방향으로 적어도 2개소 이상 외측을 향해 개방되는 형상으로 형성하게 되며, 이러한 통로는 0.1~5㎝의 폭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뿌리의 건조 특성 및 고정력을 고려하여 1~2㎝의 폭으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통로(20)를 각 식생공간(10) 사이에 사선 방향으로 구성하는 이유는, 식생공간에 공급된 물이 빨리 배수되지 않고 서서히 다른 식생공간측으로 공급되도록 하여 물의 공급을 균일하게 하고, 뿌리가 넓게 퍼지도록 하며, 뿌리 고정력도 높아지도록 하기 위함이다.The passageway 20 is formed to open outward at least two places in the oblique direction between the vegetation spaces 10. The passageway 20 may be formed to have a width of 0.1 to 5 cm, It is preferable to have a width of 1 to 2 cm in consideration of the fixing force. The reason why the passage 20 is formed in the diagonal direction between the vegetation spaces 10 is that the water supplied to the vegetation space is supplied quickly to the other vegetation space side without draining quickly so that the supply of water is uniform, So as to increase the root fixing force.

식생공간(10)과 통로(20)를 형성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으며, 건축물의 외벽 또는 지붕, 방음벽, 콘크리트 옹벽, 담과 같은 사면 또는 수직 벽면의 축조시 다수의 식생공간(10)과 통로(20) 형상의 거푸집(미도시)을 사용하여 다수의 식생공간(10)과 통로(20)를 건축물과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고, 다수의 식생공간(10)과 통로(20)가 형성된 콘크리트 블록 또는 세라믹 블록으로 이루어진 블록(30)을 조적 시공하여 건축물의 사면 또는 수직 벽면을 이루도록 할 수도 있으며, 다수의 식생공간(10)과 통로(20)가 형성된 합성수지재 또는 철재 모듈(30')을 건축물의 사면 또는 수직 벽면에 부착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이때 영구적으로 수분의 누수가 없도록 2중으로 건축물의 사면 또는 수직 벽면 내부에 방수층을 더 형성할 수도 있다.The vegetation space 10 and the passages 20 may be formed in various ways and a plurality of vegetation spaces 10 may be formed when the slope or vertical wall surface such as an outer wall or a roof of a building, a soundproof wall, a concrete retaining wall, A plurality of vegetation spaces 10 and a plurality of passages 20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building using a plurality of vegetation spaces 10 and a plurality of passageways 20 A block 30 made of a concrete block or a ceramic block may be built to form a slope or a vertical wall of a building or a synthetic resin material or a steel module 30 'in which a plurality of vegetation spaces 10 and a passage 20 are formed, ) May be attached to a slope or a vertical wall surface of a building. At this time, a waterproof layer may be formed in the slope of the building or inside the vertical wall surface in a double manner so that there is no permanent water leakage.

또한, 다수의 식생공간(10)과 통로(20)가 형성된 합성수지재 또는 철재로 된 모듈(30')은, 위쪽의 모듈(30')이 하방향으로 인접하는 다른 모듈(30')의 일부에 포개져 누수가 방지되는 형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모듈(30')의 하부에는 바닥부위가 삭제된 형상의 제1 적층홈(31)이 형성되도록 하면서 모듈(30')의 상부에는 표면부위가 삭제된 형상의 제1 적층돌기(32)가 형성되도록 하고, 임의의 모듈(30')이 좌측방향 또는 우측방향으로 인접하는 다른 모듈(30')의 일부에 파형으로 포개질 수 있도록 모듈(30')의 일측에는 바닥부위가 삭제된 파형의 제2 적층홈(33)이 형성되도록 하면서 모듈(30')의 타측에는 표면부위가 삭제된 파형의 제2 적층돌기(34)가 형성되도록 하며, 건축물의 외벽면 또는 지붕면, 방음벽, 콘크리트 옹벽, 담과 같은 사면 또는 수직 벽면의 최외측 측면에 적용되는 모듈은 식물 뿌리 뻗음 현상과 누수를 방지할 수 있도록 바닥면을 파형으로 구성하여 제2 적층돌기(34)에 포개 마감하게 된다. 건축물의 외벽면 또는 지붕면, 방음벽, 콘크리트 옹벽, 담과 같은 사면 또는 수직 벽면의 최외측면에 적용되는 모듈은 마감블록(30")이라 칭하기로 한다.The module 30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or steel and having the plurality of vegetation spaces 10 and the passages 20 formed therein is a part of the upper module 30' A first laminated groove 31 having a bottom portion is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module 30 'so that the module 30' can be fixed in a shape prevented from being leaked by being superimposed on the module 30 ' So that the first stacking protrusion 32 of the erected shape is formed and the module 30 (or 30 ') is formed so that any module 30' can be superimposed on the waveform of the other module 30 '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module 30' so that the second laminated protrusion 34 of the corrugated shape with the surface portion removed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module 30 ' The outermost side of a slope or vertical wall surface such as an outer wall surface or a roof surface of a building, a soundproof wall, a concrete retaining wall, Module that is applied to the finish is superimposed on the second stacking projections (34) by configuring a bottom face as a waveform to prevent plant root development and sweep leak. A module applied to an outermost side of a slope or vertical wall surface, such as an exterior wall or roof surface of a building, a soundproof wall, a concrete retaining wall, a wall, etc., is referred to as a finishing block 30 ".

이외에도 평면상 "Y"자 형상의 단위 블록(40)을 건축물의 외벽면 또는 지붕면, 방음벽, 콘크리트 옹벽, 담과 같은 사면 또는 수직 벽면에 등간격으로 각각 고정하여 각 단위 블록(40)을 통해 형성되는 안쪽 부위는 각각 식생공간(10)을 이루도록 하고, 각 단위 블록(40)의 사이 공간은 각각 통로(20)를 이루도록 할 수 있으며, 다른 방법으로 다수의 단위 블록(40')을 건축물의 외벽면 또는 지붕면, 방음벽, 콘크리트 옹벽, 담과 같은 사면 또는 수직 벽면에 등간격으로 각각 고정하여 평면상 벌집 형상으로 구성하되, 각각의 단위 블록(40')을 이격시킨 상태로 고정하여 벌집 형상의 안쪽 부위는 각각 식생공간(10)을 이루도록 하고, 각 단위 블록(40')의 사이 공간은 각각 통로(20)를 이루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nit blocks 40 in a planar "Y" shape are fixed to the outer wall surface or the slope or vertical wall surface such as the roof surface, the soundproof wall, the concrete retaining wall, Each of the unit blocks 40 may be formed as a plurality of unit blocks 40 in the form of a plurality of unit blocks 40, Are fixed at equal intervals on slopes or vertical wall surfaces such as an outer wall surface or a roof surface, a soundproof wall, a concrete retaining wall, and a wall to form a honeycomb shape in a planar shape, and each unit block 40 ' And the inner space of each unit block 40 'may be formed into a passage 20, respectively.

이때, 단위 블록(40)(40')은 건축물의 외벽면 또는 지붕면, 방음벽, 콘크리트 옹벽, 담과 같은 사면 또는 수직 벽면에 그대로 고정할 수도 있으나, 이럴 경우 식물뿌리가 마감부위측에서 더 이상 뻗어나가지 못하도록 형성하기 어려우므로 단위 블록(40)(40')을 시공할 때에도 모듈(30') 위에 단위 블록(40)(40')을 고정한 상태에서 각각의 모듈(30')을 건축물의 외벽면 또는 지붕면, 방음벽, 콘크리트 옹벽, 담과 같은 사면 또는 수직 벽면에 고정하여 시공함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unit blocks 40 and 40 'may be fixed on the slope or vertical wall surface such as an outer wall surface or a roof surface of a building, a soundproof wall, a concrete retaining wall, a wall or the like, It is difficult to form the unit blocks 40 and 40 'so that the modules 30' are fixed on the module 30 'even when the unit blocks 40 and 40' are installed, It is preferable to fix the slab on a slope or vertical wall surface such as a surface or a roof surface, a soundproof wall, a concrete retaining wall, or a wall.

또한, 건축물의 하부측에는 통로(20)를 통해 배출되는 물을 받아주기 위한 물받이(50)를 설치할 수 있다.In addition, a water receptacle 50 for receiving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passage 20 can be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the building.

식생공간(10)은 식재되는 식물묘의 토양이 하방향으로 흘러내리지 않도록 상방향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하거나, 적어도 하부측 입구 부위에는 걸림턱(11)을 형성하여 토양을 받쳐줄 수 있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vegetation space 10 is formed so that the soil of the plant graft planted to be planted is inclined upward so as not to flow downward, or at least a hooking step 11 is formed at the lower side entrance to support the soil Do.

또한, 식생공간(10)의 내하부에는 물을 수용할 수 있는 저수홈(12)이 형성되도록 하고, 저수홈(12)의 양측에는 다른 식생공간(10)과 사선 방향으로 통하도록 통로(20)가 각각 형성되도록 하여 수분을 저수홈(12)을 통해 어느 정도 저장해 주면서 급수시 물이 저수홈(12)을 넘쳐 흐르면 그 양측의 통로(20)를 통해 다른 식생공간(10)으로 물이 공급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보다 넓은 면적으로 급수가 이루어지도록 구성하게 된다.A water reservoir 12 capable of receiving water is formed in an inner lower part of the vegetation space 10 and a passage 20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water reservoir 12 to communicate with other vegetation space 10 in a diagonal direction. The water is supplied to the other vegetation space 10 through the passages 20 on both sides when the water overflows the low water groove 12 at the time of water supply while the moisture is stored to some extent through the low water groove 12, So that water can be supplied in a wider area.

또한, 식생공간(10)과 통로(20)를 요(

Figure 112012078063618-pat00001
)부라 칭하면 식생공간(10)과 통로(20) 이외의 부위로 이루어지는 철(
Figure 112012078063618-pat00002
)부의 내부공간에는 물통(90)을 형성하고, 물통으로부터 식생공간(10)과 통로(20)방향으로 물을 조금씩 배출할 수 있도록 물통(90)의 하부측에는 물배출구(91)를 형성할 수 있다. 도면상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물통(90)의 상부측에는 관수시 물을 유입시키기 위한 물유입구를 형성시켜주게 된다.In addition, the vegetation space 10 and the passageway 20
Figure 112012078063618-pat00001
), The steel (10) and the iron (20) made of the portion other than the passage (20)
Figure 112012078063618-pat00002
The water outlet 90 can be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water tank 90 so that the water can be discharged little by little from the water tank in the direction of the vegetation space 10 and the passage 20. [ have.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a water inlet for introducing water in the water supply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water tank 90.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의 식생 외장 구조물은, 식물이 식재된 상태에서 관수가 이루어지더라도 식물 식재부위 반대측으로는 누수가 되지 않도록 방수층(60)을 형성해야 하며, 또 식생공간(10)에 물이 공급되면 이를 전량 하방향으로 배수하지 않고 물을 흡수하여 서서히 식물에 제공토록 하면서 양분도 보유토록 하고 또 모세관 현상에 의해 물이 이동할 수 있도록 하여 인접한 다른 식생공간(10)에 수분을 공급할 수 있는 수분이송층(70)도 필요하다.In the vegetation exterior structure of the bui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aterproof layer 60 must be formed so that water does not leak to the opposite side of the vegetable planting site even if irrigation water is planted while plants are planted, The water can be slowly absorbed to the plants while retaining the nutrients, and the water can be moved by the capillary phenomenon so that water can be supplied to the adjacent vegetation space 10 A moisture transfer layer 70 is also required.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다수의 식생공간(10)과 통로(20)가 건축물의 사면 또는 수직 벽면과 일체로 형성되는 경우 건축물의 사면 또는 수직 벽면에 다수의 식생공간(10)과 통로(20)를 형성한 후 다수의 식생공간(10)과 통로(20)의 바닥부에 방수코팅을 하거나 방수포를 포설하여 방수층(60)을 형성하고, 방수층(60)의 표면에 천, 부직포, 솜, 토양 등을 포설하여 수분이송층(70)을 형성하게 된다.For this purpose,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plurality of vegetation spaces 10 and passages 20 are integrally formed with a slope or a vertical wall surface of a building, a plurality of vegetation spaces 10 and a passage 20 are formed on a slope or a vertical wall surface of the building A waterproof layer 60 is formed by laying a waterproof coating on the bottoms of the plurality of vegetation spaces 10 and the passages 20 after the waterproof layer 60 is formed and a cloth, Thereby forming the moisture transfer layer 70. [

또한, 콘크리트 블록 또는 세라믹 블록으로 된 블록(30)의 경우 다수의 식생공간(10)과 통로(20)가 형성되도록 조직이 치밀하게 1차 성형하여 1차 성형부위(37)에서 방수 및 방근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함으로써 방수층 역할을 하도록 하고, 1차 성형부위(37)의 표면에 1차 성형시의 재료보다는 상대적으로 밀도가 낮은 재료를 피복한 상태로 2차 성형하여 2차 성형부위(38)에 보수, 보비, 모세관 현상에 의한 수분 이송이 가능한 다수의 기공을 포함하도록 일체로 구성함으로써 수분이송층 역할을 하도록 하게 된다.In the case of the block 30 made of a concrete block or a ceramic block, the structure is densely primary molded so that a plurality of vegetation spaces 10 and the passages 20 are formed, So as to function as a waterproof layer, and the surface of the primary molded portion 37 is subjected to secondary molding in a state of covering a material having a relatively lower density than that of the material used for the primary molding, And a plurality of pores capable of transferring water by maintenance, bubbling, and capillary phenomenon, so as to function as a moisture transfer layer.

또한, 합성수지재 또는 철재로 된 모듈(30')의 경우 그 자체로 방수 및 방근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별도의 방수처리를 하지 않고, 모듈(30')의 식생공간(10)과 통로(20)의 바닥부에 천, 부직포, 솜, 토양 등을 포설하여 수분이송층(70)을 형성해주면 된다. 이럴 경우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수분이송층(70)을 일체형으로 할 수 있도록 식생공간(10)과 통로(20)의 바닥면으로부터 상방향으로 돌출가드가 돌출 형성할 수도 있다.Since the module 30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or an iron material can be waterproofed and moved in its own direction, the module 30' A cloth, a non-woven fabric, a cotton, soil or the like may be installed on the bottom to form the water transfer layer 70. In this case, although not shown, protruding guards may protrude upwar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vegetation space 10 and the passageway 20 so that the water transfer layer 70 can be integrally formed.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단위 블록(40)(40')을 건축물의 사면 또는 수직 벽면에 고정시켜주는 경우 단위 블록(40)(40')의 고정 전에 건축물의 사면 또는 수직 벽면에 방수포를 포설하거나 방수코팅을 하여 방수층을 형성하고, 방수층의 표면에는 수분을 보유하면서 모세관 현상에 의해 수분을 다른 장소로 이송할 수 있도록 천, 부직포, 솜, 토양 중 어느 하나를 포설하여 수분이송층을 형성하며, 수분이송층의 표면에 단위 블록을 고정해주면 된다.If the unit blocks 40 and 40 'are fixed to slopes or vertical wall surfaces of the building, though not shown, the waterproof walls may be installed on slopes or vertical wall surfaces of the building before fixing the unit blocks 40 and 40' A waterproof layer is formed by coating the waterproof layer and moisture is transferred to the surface of the waterproof layer by capillary phenomenon to form a moisture transfer layer by laying any one of a cloth, a nonwoven fabric, a cotton and a soil, The unit block may be fixed on the surface of the transfer layer.

이러한 수분이송층(70)은 식물뿌리의 지지 및 생장 이동통로를 형성해주는 역할도 수행하게 된다.The moisture transfer layer 70 also plays a role of forming a support path and a growth path of the plant roots.

이러한 상태에서 토양을 포함한 식물묘를 각각의 식생공간(10)에 식재하게 되며, 건축물의 외벽면 또는 지붕면, 방음벽, 콘크리트 옹벽, 담과 같은 사면 또는 수직 벽면의 상부로 관수를 해주게 된다. 도면상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주기적인 관수를 위해 건축물의 외벽면 또는 지붕면, 방음벽, 콘크리트 옹벽, 담과 같은 사면 또는 수직 벽면의 상부와 통하는 관수라인을 일정간격으로 설치하여 관수를 수행할 수 있다.In this state, the plant grafts including the soil are planted in the respective vegetation spaces (10), and irrigation is performed on the slope or vertical wall surface such as the outer wall surface or the roof surface, the soundproof wall, the concrete retaining wall or the wall of the building. 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irrigation water can be installed by installing irregular lines such as an outer wall surface or a roof surface of a building, a soundproof wall, a concrete retaining wall, a slope such as a wall or an upper portion of a vertical wall surface at regular intervals for periodical irrigation.

또, 지속적인 관수를 위해 건축물의 상단부에 일측으로 비스듬히 급수관(82)을 설치하고, 급수관(82)의 하면에는 등간격으로 급수공(미도시)을 형성하여 각각의 급수공을 통해 주기적으로 점적 관수가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도 있으며, 관수라인의 설치가 여의치 않을 경우에는 건축물의 옥상에 저수탱크(80)를 설치하고, 저수탱크(80)에는 물을 식생공간(10) 또는 통로(20)로 이송하기 위한 심지(81)를 침지하여 지속적인 관수가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A water supply pipe 82 is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upper end of the building for continuous watering and a water supply hole (not shown) is formed at equal intervals on the lower surface of the water supply pipe 82, A water storage tank 80 is installed on the roof of the building and water is transferred to the water storage tank 10 or the passage 20 in the water storage tank 80.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immerse the wick 81 for continuous watering.

또한, 도면상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식생공간(10)에 긴밀하게 식재될 수 있도록 식물묘의 뿌리부분을 부직포나 천 등으로 감싸 식재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roots of the plant grafts may be wrapped with a nonwoven fabric or cloth so as to be planted tightly in the vegetation space 10.

또한, 식생공간(10)에 수분이송층(70)을 형성할 때 식생공간(10)에 보비, 보수력을 갖도록 천, 부직포, 솜, 토양 등을 각각 선택하여 식생공간(10)별로 각각 적용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즉, 어떤 식생공간(10)에는 토양이 포설되고, 어떤 식생공간(10)에는 부직포가 포설되며, 또 어느 식생공간(10)에는 솜이 포설되는 등 현장 여건을 감안하여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다.When the moisture transfer layer 70 is formed in the vegetation space 10, a cloth, a nonwoven fabric, a cotton, a soil, and the like are selected to have a bobbin and a water holding capacity in the vegetation space 10, The possibility is obvious. That is, various kinds of applications can be applied in consideration of the site conditions such as the soil is installed in the vegetation space 10, the nonwoven fabric is installed in the vegetation space 10, and the cotton is installed in the vegetation space 10.

도면상의 미설명 부호 M은 콘크리트 블록 또는 세라믹 블록의 조적시공시 접착용으로 사용되는 모르타르를 나타낸다.Unexplained reference numerals M in the drawings indicate mortars used for adhesion in the concrete construction of a concrete block or a ceramic block.

이와 같이 구성된 상태에서 관수라인을 통해 건축물의 외벽면, 지붕면, 방음벽, 콘크리트 옹벽, 담과 같은 사면 또는 수직 벽면의 상부에 관수를 해주게 되면 관수된 물이 최상부측의 각 통로(20)를 따라 이동하여 최상부측의 각 식생공간(10)측으로 공급되고, 최상부측 각 식생공간(10)에는 식물묘가 식재되어 있으므로 수분이 식물에 공급되어 생육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며, 물은 다시 최상부측 각 식생공간(10)의 저수홈(12)을 넘쳐 저수홈(12) 양측의 통로(20)를 따라 하방향으로 이동하여 하방향으로 인접한 다른 식생공간(10)측으로 이동하는 과정을 거치면서 각 식생공간(10)에 식재되어 있는 식물에 수분을 공급하여 식물의 생육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When the irrigation water is suppli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lope or vertical wall surface such as the outer wall surface, the roof surface, the soundproof wall, the concrete retaining wall, or the wall of the building through the irrigation line in this state, water flows along each of the passages 20 on the uppermost side Since the vegetation seedlings are planted in the uppermost side vegetation space 10, water is supplied to the plants and the growth can be smoothly performed, and the water is supplied again to the uppermost side The water is moved downward along the passages 20 on both sides of the low water groove 12 over the low water grooves 12 of each vegetation space 10 and moved to the other vegetation space 10 adjacent to the downward direction, Water is supplied to the plants planted in the vegetation space 10 so that the plants can be smoothly grown.

또한, 각 식생공간(10)의 저수홈(12)에는 약간의 물이 저수될 수 있어 관수가 없는 상황에서도 지속적으로 식물에 수분을 공급해주는 역할을 하여 식물의 생육에 조력하게 되며, 식생공간(10)과 통로(20) 이외의 공간에 물통(90)을 구성한 경우에는 초기 관수시 물을 물통(90)에 담아두었다가 물배출구(91)를 통해 서서히 식생공간(10) 또는 통로(20)측으로 배출하여 지속적으로 물을 공급할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In addition, a small amount of water can be stored in the low water grooves 12 of each vegetation space 10, thereby continuously supplying water to the plants even in the absence of irrigation water, It is preferable that the water tank 90 is filled with water at the time of initial watering and then gradually flows toward the vegetation space 10 or the passage 20 through the water discharge port 91 There is an advantage that water can be continuously discharged and supplied.

또한, 각 식생공간(10)과 각 통로(20)의 바닥면에는 천, 부직포, 솜, 토양 등으로 이루어진 수분이송층(70)이 포설되거나, 수분 및 양분을 보유하면서 모세관 현상에 의해 수분을 이동시킬 수 있는 다수의 기공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이러한 수분이송층(70) 또는 기공이 수분을 함유하여 식물에 수분을 서서히 공급해주는 역할을 하게 되며, 일부분에 관수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경우에는 수분이송층(70) 또는 기공이 모세관 현상에 의해 수분을 상부측으로도 공급할 수 있어 식물이 생육할 수 있는 조건을 갖추어주게 된다.A moisture transfer layer 70 made of cloth, nonwoven fabric, cotton, soil or the like is placed on each vegetation space 10 and the bottom surface of each passage 20, or moisture is retained by capillary phenomenon while retaining moisture and nutrients. The water transfer layer 70 or the pores may contain moisture to gradually supply water to the plant. If water can not be supplied to a part of the water transfer layer 70 or pores, the moisture transfer layer 70) or the pores can be supplied to the upper side by the capillary phenomenon, so that the conditions for the plants to grow can be provided.

특히, 수분 이동을 위한 통로(20)가 개방되어 있어도 수분이송층(70) 또는 기공에 수분이 존재함으로써 이 통로(20)에 노출된 뿌리가 마르지 않고 자라 다른 식생공간(10)으로, 또 다른 통로(20)로 계속 성장하여 거의 영구적인 생육과 식물의 지지가 가능하게 된다.Particularly, even if the passage 20 for water movement is opened, the moisture transferred to the moisture transfer layer 70 or the pores causes the roots exposed in the passage 20 to grow without drying, It continues to grow into the passageway 20, allowing for almost permanent growth and plant support.

물론, 건축물의 옥상에 저수탱크(80)를 구비하고, 저수탱크(80)와 식생공간(10) 사이를 심지(81)로 연결하는 경우 저수탱크(80)에 주기적으로 급수해주기만 하면 심지(81)를 통해 식생공간(10)측으로 관수가 이루어질 수 있는 이점도 있게 되며, 타이머를 포함한 점적 관수 장치 등을 통한 기타의 수분공급도 가능한 것은 자명하다.Of course, when a water storage tank 80 is provided on the roof of the building and water is connected between the water storage tank 80 and the vegetation space 10 by the wick 81, water is periodically supplied to the water storage tank 80, 81 to the vegetation space 10 side, and it is apparent that other water supply through the drip irrigation device including the timer is also possible.

식생공간(10)에 식재된 식물은 자라면서 뿌리를 물이 지나가는 통로(20) 방향으로 뻗어 보다 넓은 영역에서 수분의 흡수가 이루어질 수 있어 생육 가능성을 더욱 높여주게 되며, 특히 통로(20)는 각 식생공간(10) 사이에 사선 방향으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부측 식생공간(10)에 공급된 물이 빠른 시간내에 빠져나가지 않고 서서히 하부측의 식생공간(10)으로 공급될 수 있어 고른 관수가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 물에 포함되거나 별도로 시비된 양분도 쉽게 빠져나가지 않고 물의 이동속도와 동일하게 이동하여 상대적으로 하부에 위치된 다른 식생공간(10)에 골고루 공급될 수 있으며, 상부측 식생공간(10)에 식재된 식물의 뿌리가 통로를 따라 사선방향으로 뻗어나가면서 식물 뿌리들이 서로 엉켜 견고하게 식생공간(10)내에 활착함으로써 비바람 등 강한 외력이 발생되더라도 식생 상태를 원활하게 유지할 수 있는 이점도 있게 된다.The plants cultivated in the vegetation space 10 grow as the roots extend in the direction of the passage 20 through which the water passes, so that the water can be absorbed in a larger area, The water supplied to the upper side vegetation space 10 can be supplied to the vegetation space 10 in the lower side gradually without leaving the water in a short time, The nutrients contained in the water or separately dispensed nutrients can be easily supplied to the other vegetation spaces 10 located at the lower part of the plant, The roots of the plants planted in the plant grows in the oblique direction along the path, and the plant roots are tangled with each other and firmly settled in the vegetation space (10)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vegetation state can be maintained smoothly.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통로(20)는 외측방향으로 개방된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이므로 식생공간(10)에 식재된 식물이 통로(20)측으로 뿌리를 뻗더라도 통로(20)가 막히지 않게 되며, 특히 식물의 뿌리가 계속 자라 통로보다 더 굵게 자라더라도 돌틈에 자라는 자연에서와 같이 점점 더 크게 자랄 수 있어 기존의 뿌리 통로 등이 한정되어 있는 모듈과 차별화 된다. 또한, 물이 통로(20)를 통해 각 식생공간(10)측으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어 식생이 지속적이면서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이점도 있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passage 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open shape in the outward direction, the passage 20 is not blocked even if the plant planted in the vegetation space 10 extends to the passage 20 side, Even though the roots grow more thicker than the passage, they can grow bigger like the nature that grows in the gaps, and it is different from the module which has the limited existing root channel. In addition, the water can smoothly move to the vegetation space 10 side through the passage 20, so that vegetation can be continuously and stably performed.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게 되면 건축물의 외벽 또는 지붕, 방음벽, 콘크리트 옹벽, 담과 같은 사면 또는 수직 벽면을 녹화시킬 수 있음은 물론 녹화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어 삭막한 도시 환경을 자연 친화적인 환경으로 개선할 수 있는 것이며, 건축물의 신축시에는 식생공간(10)과 통로(20)가 형성된 거푸집을 사용하여 건축물과 일체로 식생공간(10)과 통로(20)를 형성해주면 되고, 기존 건축물의 경우 식생공간(10)과 통로(20)가 형성된 콘크리트 블록 또는 세라믹 블록으로 된 블록(30)을 조적 시공하거나, 합성수지재 또는 철재로 된 모듈(30')을 건축물의 사면 또는 수직 벽면에 부착하거나, 단위블록(40)(40')을 통해 식생공간(10)과 통로(20)를 형성하여 주면 되므로 신축 건축물이든 기존 건축물에 보다 용이하게 식생 시공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record slope or vertical wall surface such as an outer wall or a roof of a building, a soundproof wall, a concrete retaining wall or a wall, and to continuously maintain the recording state. The vegetation space 10 and the passage 20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building using the mold having the vegetation space 10 and the passage 20 when the building is constructed and expanded. A block 30 made of a concrete block or a ceramic block in which the vegetation space 10 and the passage 20 are formed or a module 30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or an iron material is attached to a slope or a vertical wall surface of a building, Since the vegetation space 10 and the passage 20 are formed through the unit blocks 40 and 40 ', the plant construction can be more easily performed on existing buildings, .

10 : 식생공간 11 : 걸림턱
12 : 저수홈 20 : 통로
30 : 블록 30' : 모듈
30" : 마감블록 31 : 제1 적층홈
32 : 제1 적층돌기 33 : 제2 적층홈
34 : 제2 적층돌기 37 : 1차 성형부위
38 : 2차 성형부위 40,40' : 단위 블록
50 : 물받이 60 : 방수층
70 : 수분이송층 80 : 저수탱크
81 : 심지 90 : 물통
91 : 물배출구
10: vegetation space 11: hanging jaw
12: low water groove 20: passage
30: Block 30 ': Module
30 ": finishing block 31: first laminated groove
32: first laminated projection 33: second laminated groove
34: second lamination protrusion 37: primary molding site
38: secondary molding part 40, 40 ': unit block
50: water receiver 60: waterproof layer
70: water transfer layer 80: water storage tank
81: Wick 90: Bucket
91: Water outlet

Claims (27)

건축물의 사면 또는 수직 벽면에 함몰된 형상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식생공간과; 상기 식생공간 중 임의의 식생공간과 인접한 다른 식생공간의 사이에 외측방향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다수의 통로를 포함하는 건축물의 식생 외장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통로는 상기 식생공간 중 임의의 식생공간과 인접한 다른 식생공간의 사이에 사선방향으로 적어도 2개소 이상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식생공간과 통로는 상기 건축물의 사면 또는 수직 벽면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식생 외장 구조물.
A plurality of vegetation spaces formed in a slope or a vertical wall surface of the building; And a plurality of passages formed to open in an outward direction between any vegetation spaces adjacent to any vegetation spaces adjacent to the vegetation spaces,
Wherein the passage is formed in at least two places in an oblique direction between any vegetation space and adjacent other vegetation spaces in the vegetation space;
Wherein the plurality of vegetation spaces and passages are integrally formed with slopes or vertical wall surfaces of the building.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식생공간과 통로의 바닥면은 방수코팅되거나 방수포가 포설되어 방수층이 형성되고;
상기 방수층의 표면에는 수분을 보유하면서 모세관 현상에 의해 수분을 다른 장소로 이송할 수 있도록 천, 부직포, 솜, 토양 중 어느 하나가 포설되어 수분이송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식생 외장 구조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lurality of vegetation spaces and bottom surfaces of the passages are waterproof coated or waterproofed to form a waterproof layer;
Wherein a water transfer layer is formed by installing one of cloth, nonwoven fabric, cotton, and soil so that water can be transferred to another place by capillary phenomenon while retaining water on the surface of the waterproof layer.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식생공간과 통로가 형성된 콘크리트 블록 또는 세라믹 블록이 조적 시공되어 건축물의 사면 또는 수직 벽면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식생 외장 구조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plurality of vegetation spaces and a concrete block or a ceramic block having a passage formed therein are jointly installed to form a slope or a vertical wall surface of the building.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블록 또는 세라믹 블록은, 다수의 식생공간과 통로가 형성되도록 1차 성형되어 방수 및 방근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고, 상기 1차 성형된 성형물의 표면에 1차 성형시의 재료보다는 상대적으로 밀도가 낮은 재료가 피복된 상태로 2차 성형되어 상기 2차 성형부위에 보수, 보비, 모세관 현상에 의한 수분 이송이 가능한 다수의 기공을 포함하도록 일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식생 외장 구조물.
6. The method of claim 5,
The concrete block or the ceramic block is configured to be waterproofed and floated so as to form a plurality of vegetation spaces and passages. The concrete block or the ceramic block has a relatively higher density than the material used in the primary molding on the surface of the primary- And a plurality of pores capable of transferring moisture by maintenance, bubbling, and capillary phenomenon to the secondary molding part in a state in which a low material is coated with the secondary moldin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식생공간과 통로가 형성된 합성수지재 또는 철재로 이루어진 모듈이 건축물의 사면 또는 수직 벽면에 부착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합성수지재 또는 철재로 이루어진 모듈 중 위쪽의 모듈이 하방향으로 인접하는 다른 모듈의 일부에 포개져 누수가 방지되는 형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모듈의 하부에는 바닥부위가 삭제된 형상의 제1 적층홈이 형성되면서 상기 모듈의 상부에는 표면부위가 삭제된 형상의 제2 적층돌기가 형성되고;
임의의 모듈이 좌측방향 또는 우측방향으로 인접하는 다른 모듈의 일부에 파형으로 포개질 수 있도록 상기 모듈의 일측에는 바닥부위가 삭제된 파형의 제2 적층홈이 형성되면서 상기 모듈의 타측에는 표면부위가 삭제된 파형의 제2 적층돌기가 형성되며;
건축물의 사면 또는 수직 벽면의 최외측 측면에 적용되는 마감블록은 식물 뿌리 뻗음 현상과 누수를 방지할 수 있도록 바닥면이 파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2 적층돌기에 포개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식생 외장 구조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module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or an iron material having a plurality of vegetation spaces and passages formed thereon is attached to a slope or a vertical wall surface of the building;
The upper module of the synthetic resin material or the iron material is superimposed on a part of another module which is adjacent to the lower module so as to be fixed in a shape preventing leakage, A second lamination protrusion having a surface portion removed is form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module while a groove is formed;
A second laminated groove of a corrugated bottom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module so that a certain module can be corrugated into a part of another module adjacent to the left or right direction while a surface portion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module A second laminated projection of the deleted waveform is formed;
Characterized in that the finishing block applied to the slope of the building or the outermost side of the vertical wall surface is formed to have a bottom surface in a corrugated shape so as to prevent plant roots and water leakage and to be superimposed on the second lamination protrusions Exterior structure.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재 또는 철재로 이루어진 모듈의 식생공간과 통로 내부에는 수분을 보유하면서 모세관 현상에 의해 수분을 다른 장소로 이송할 수 있도록 천, 부직포, 솜, 토양 중 어느 하나가 포설되어 수분이송층이 형성되고;
상기 수분이송층을 견고히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식생공간과 통로의 바닥면으로부터 상방향으로 돌출가드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식생 외장 구조물.
8. The method of claim 7,
Any one of a cloth, a non-woven fabric, a cotton and a soil is installed in the vegetation space and the passageway of the module made of the synthetic resin material or the iron material so as to transfer moisture to another place by capillary phenomenon while retaining moisture, Being;
Wherein a protruding guard is protruded upwardly from the bottom of the vegetation space and the passageway so as to firmly fix the moisture transfer layer.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평면상 "Y"자 형상의 단위 블록이 건축물의 사면 또는 수직 벽면에 등간격으로 각각 고정되어 각 단위 블록을 통해 형성되는 안쪽 부위는 각각 식생공간을 이루고, 각 단위 블록의 사이 공간은 각각 통로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식생 외장 구조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Y-shaped unit blocks are fixed at regular intervals on slopes or vertical wall surfaces of the building, and the inner portions formed through the unit blocks form vegetation spaces, and the spaces between the unit blocks form the passages A vegetation exterior structure of a building characterized by the achievement.
제 1 항에 있어서,
다수의 단위 블록이 건축물의 사면 또는 수직 벽면에 등간격으로 고정되어 벌집형상을 이루되, 각각의 단위 블록이 이격된 상태로 고정되어 상기 벌집 형상의 안쪽 부위는 각각 식생공간을 이루고, 상기 각 단위 블록의 사이 공간은 각각 통로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식생 외장 구조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plurality of unit blocks are fixed at regular intervals on a slope or a vertical wall surface of the building to form a honeycomb shape, and each unit block is fixed in a spaced apart state so that the inner portion of the honeycomb form each of vegetation spaces, Wherein a space between the blocks constitutes a passage.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블록이 고정되는 바닥면에는 방수코팅되거나 방수포가 포설되어 방수층이 형성되고, 상기 방수층의 표면에는 수분을 보유하면서 모세관 현상에 의해 수분을 다른 장소로 이송할 수 있도록 천, 부직포, 솜, 토양 중 어느 하나가 포설되어 수분이송층이 형성되며, 상기 단위 블록은 상기 수분이송층의 상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식생 외장 구조물.
1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1 or 12,
A waterproof layer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n which the unit block is fixed and a waterproof layer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n which the unit block is fixed and a waterproof layer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waterproof layer, Wherein the unit block is fix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moisture transfer layer.
제 1 항에 있어서,
건축물의 옥상에는 저수탱크가 구비되고, 상기 저수탱크에는 물을 상기 식생공간 또는 상기 통로로 이송하기 위한 심지가 침지되어 이루어지거나, 건축물의 상단부에 일측으로 비스듬히 급수관이 설치되고, 상기 급수관의 하면에는 등간격으로 급수공을 형성하여 각각의 급수공을 통해 주기적으로 점적 관수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식생 외장 구조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water storage tank is provided on the roof of the building. A water supply pipe is installed in the water storage tank at an upper part of the building at an oblique angle to the vegetation space or a wick for transferring the water to the water storage tank. Wherein water supply holes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and the water supply holes are periodically arranged through the respective water supply holes.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생공간의 내하부에는 물을 수용할 수 있는 저수홈이 형성되고, 상기 저수홈의 양측에는 다른 식생공간과 사선 방향으로 통하도록 통로가 각각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식생 외장 구조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bottom of the vegetation space is formed with a water reservoir capable of receiving water and a passage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bottom of the vegetation space to communicate with other vegetation spaces in an oblique direction.
건축물의 사면 또는 수직 벽면에 함몰된 형상으로 식재 및 식생을 위한 다수의 식생공간을 형성하는 단계; 임의의 식생공간과 인접한 다른 식생공간의 사이에 사선 방향으로 적어도 2개소 이상 외측방향을 향해 개방되는 형상의 통로를 각각 형성하는 단계; 상기 각 식생공간에 식물묘를 식재하고, 관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건축물의 식생 외장 시공방법에 있어서,
건축물의 사면 또는 수직 벽면의 축조시 상기 다수의 식생공간과 통로 형상의 거푸집을 사용하여 다수의 식생공간과 통로를 상기 건축물과 일체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식생 외장 시공방법.
Forming a plurality of vegetation spaces for planting and vegetation in a shape recessed on a slope or a vertical wall of a building; Forming passages each having a shape open to at least two outward directions in an oblique direction between an arbitrary vegetation space and another adjacent vegetation space; A method for constructing a vegetation exterior structure of a building including planting and planting plant graves in each vegetation space,
Wherein a plurality of vegetation spaces and a passage-shaped form are used to form a plurality of vegetation spaces and passages integrally with the building, when the slope or vertical wall surface of the building is constructed.
삭제delete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식생공간과 통로를 상기 건축물과 일체로 형성한 후 각 식생공간과 통로의 바닥면을 방수, 방근 처리하는 단계와;
상기 방수, 방근 처리된 각 식생공간과 통로의 바닥면에 천, 부직포, 솜, 토양 중 어느 하나를 포설하여 수분을 보유하면서 모세관 현상에 의해 수분을 다른 장소로 이송하는 수분이송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식생 외장 시공방법.
18. The method of claim 17,
Forming a plurality of vegetation spaces and passages integrally with the building, waterproofing and flooding the bottom surfaces of the vegetation spaces and the passages;
Forming a moisture transfer layer for transferring moisture to another place by capillary phenomenon while placing moisture in the waterproof and antiseptic treated vegetation spaces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passageway by placing any one of cloth, nonwoven fabric, cotton, and soil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식생공간과 통로가 형성된 다수의 콘크리트 블록 또는 세라믹 블록을 조적 시공하여 건축물의 사면 또는 수직 벽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식생 외장 시공방법.
18. The method of claim 17,
Wherein the plurality of vegetation spaces and the plurality of concrete blocks or the ceramic blocks formed with the passages are jointly formed to form a slope or a vertical wall surface of the building.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은, 다수의 식생공간과 통로가 형성되도록 1차 성형하는 단계와;
상기 1차 성형된 성형물의 표면에 1차 성형시의 재료보다는 상대적으로 밀도가 낮은 재료를 피복한 상태로 2차 성형하여 상기 2차 성형부위에 보수, 보비, 모세관 현상에 의한 수분 이송이 가능한 다수의 기공을 포함하도록 일체로 구성하는 단계로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식생 외장 시공방법.
21. The method of claim 20,
The block includes: a primary molding to form a plurality of vegetation spaces and passages;
The surface of the primary molded product is subjected to secondary molding in a state of covering a material having a relatively lower density than that of the material during primary molding, and a plurality of materials capable of transferring moisture by repair, bubbling, and capillary phenomenon And the pores of the structure are integrally formed.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식생공간과 통로가 형성된 합성수지재 또는 철재로 이루어진 모듈을 상기 건축물의 사면 또는 수직 벽면에 부착하여 각각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식생 외장 시공방법.
18. The method of claim 17,
Wherein the module comprises a plurality of vegetation spaces and a module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or a metal material having passages formed on the slope or vertical wall surface of the building to fix the structure.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은, 위쪽의 모듈이 하방향으로 인접하는 다른 모듈의 일부에 포개질 수 있는 형상으로 구성하여 다수의 모듈을 고정할 때 위쪽의 모듈 일부가 아래쪽 모듈 일부에 포개지는 형상으로 고정하며;
상기 모듈은 좌, 우측으로 인접한 다른 모듈과 서로 포개지도록 한쪽 부분에 파형의 날개를 형성하고, 인접한 다른 모듈은 포개지는 부분이 파형으로 구성되어 좌우 모듈을 고정했을 때 포개지는 형상으로 고정하며;
건축물의 사면 또는 수직 벽면의 최외측 측면에 적용되는 모듈은 식물 뿌리 뻗음 현상과 누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파형으로 이루어지거나 마무리 턱경계를 형성하는 마감블록을 고정하여 마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식생 외장 시공방법.
23. The method of claim 22,
Wherein the upper module is configured in a shape such that it can be superimposed on a part of another module adjacent to the lower module so that a part of the upper module is fixed to a part of the lower module when the plurality of modules are fixed;
Wherein the module forms a wing of a waveform on one side so as to overlap with other adjacent modules on the left and right sides and the adjacent module is fixed in a superimposed shape when the superimposed part is composed of a waveform and the left and right modules are fixed;
Characterized in that the module applied to the slope of the building or the outermost side of the vertical wall surface is finished by fixing a finishing block made of corrugated or finishing jaw boundary so as to prevent plant roots and water leakage. Exterior construction method.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재 또는 철재로 이루어진 모듈의 식생공간과 통로 내부에 수분을 보유하면서 모세관 현상에 의해 수분을 다른 장소로 이송할 수 있도록 천, 부직포, 솜, 토양 중 어느 하나를 포설하여 수분이송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식생 외장 시공방법.
23. The method of claim 22,
A moisture transfer layer is formed by laying any one of a cloth, a non-woven fabric, a cotton and a soil so as to transfer moisture to another place by capillary phenomenon while retaining moisture in the vegetation space and the passageway of the module made of the synthetic resin material or the iron material Wherein the method comprises the steps of:
제 17 항에 있어서,
평면상 "Y"자 형상의 단위 블록을 건축물의 사면 또는 수직 벽면에 등간격으로 각각 고정하여 각 단위 블록을 통해 형성되는 안쪽 부위는 각각 식생공간을 이루도록 하고, 각 단위 블록의 사이 공간은 각각 통로를 이루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식생 외장 시공방법.
18. The method of claim 17,
Y-shaped unit blocks are fixed on slopes or vertical wall surfaces of the building at equal intervals so that the inner portions formed through each unit block are formed into vegetation spaces, Wherein the method comprises the steps of:
제 17 항에 있어서,
다수의 단위 블록을 건축물의 사면 또는 수직 벽면에 등간격으로 각각 고정하여 평면상 벌집 형상으로 구성하되, 각각의 단위 블록을 이격시킨 상태로 고정하여 상기 벌집 형상의 안쪽 부위는 각각 식생공간을 이루도록 하고, 상기 각 단위 블록의 사이 공간은 각각 통로를 이루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식생 외장 시공방법.
18. The method of claim 17,
A plurality of unit blocks are fixed at equal intervals on slopes or vertical wall surfaces of a building so as to have a honeycomb shape in a plane and each unit block is fixed in a state of being spaced apart so that each of the inner portions of the honeycomb forms a vegetation space , And a space between the unit blocks is formed as a passage.
제 25 항 또는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블록을 건축물의 사면 또는 수직 벽면에 고정하기 전 단계에서 건축물의 사면 또는 수직 벽면에 방수포를 포설하거나 방수코팅을 하여 방수층을 형성하고, 상기 방수층의 표면에는 수분을 보유하면서 모세관 현상에 의해 수분을 다른 장소로 이송할 수 있도록 천, 부직포, 솜, 토양 중 어느 하나를 포설하여 수분이송층을 형성하며, 상기 수분이송층의 표면에 상기 단위 블록을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식생 외장 시공방법.
27. The method of claim 25 or 26,
A waterproof layer is formed on a slope or a vertical wall surface of a building before the unit block is fixed to a slope or a vertical wall surface of a building or a waterproof layer is formed by waterproof coating to form a waterproof layer, Wherein the unit block is fixed to the surface of the water transfer layer by laying any one of a cloth, a nonwoven fabric, a cotton and a soil so as to transfer the water transfer layer to another place. Way.
KR1020120106780A 2012-09-25 2012-09-25 Planting exterior structure of structure and method thereof Expired - Fee Related KR10140845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6780A KR101408451B1 (en) 2012-09-25 2012-09-25 Planting exterior structure of structure and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6780A KR101408451B1 (en) 2012-09-25 2012-09-25 Planting exterior structure of structure and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9918A KR20140039918A (en) 2014-04-02
KR101408451B1 true KR101408451B1 (en) 2014-06-17

Family

ID=506504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6780A Expired - Fee Related KR101408451B1 (en) 2012-09-25 2012-09-25 Planting exterior structure of structure and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8451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475019A (en) * 2015-12-21 2016-04-13 中国城市建设研究院有限公司 Green plant honeycomb
KR20230012250A (en) * 2021-07-15 2023-01-26 박상희 Landscape architecture structure at outdoor and indoo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0076B1 (en) * 2017-09-21 2019-01-18 주식회사 한국도시녹화 Air purification device using biofilter and method of constructing said biofilter
CN107980414A (en) * 2017-12-21 2018-05-04 安徽希美生态环保科技有限公司 A kind of plant curtain wall and its construction
CN109122273A (en) * 2018-09-06 2019-01-04 中南大学 Assembled vertical greening wall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60938A (en) 2001-11-28 2003-06-06 Nippon Chiko Co Ltd Tree-planting base attachable to sloped or vertical surface and attaching method and tool for the tree- planting base
KR20090041287A (en) * 2007-10-23 2009-04-28 주식회사 한설그린 Vegetation device for wall greening
KR20100093284A (en) * 2009-02-16 2010-08-25 박공영 Wall greening syste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60938A (en) 2001-11-28 2003-06-06 Nippon Chiko Co Ltd Tree-planting base attachable to sloped or vertical surface and attaching method and tool for the tree- planting base
KR20090041287A (en) * 2007-10-23 2009-04-28 주식회사 한설그린 Vegetation device for wall greening
KR20100093284A (en) * 2009-02-16 2010-08-25 박공영 Wall greening system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475019A (en) * 2015-12-21 2016-04-13 中国城市建设研究院有限公司 Green plant honeycomb
CN105475019B (en) * 2015-12-21 2018-12-28 中国城市建设研究院有限公司 Green plant nest
KR20230012250A (en) * 2021-07-15 2023-01-26 박상희 Landscape architecture structure at outdoor and indoor
KR102808082B1 (en) * 2021-07-15 2025-05-14 박상희 Landscape architecture structure at outdoor and indo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9918A (en) 2014-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42498B2 (en) Planting equipment and planting structure for plants
KR101408451B1 (en) Planting exterior structure of structure and method thereof
WO2012050529A1 (en) Planting tray
JP2008043241A5 (en)
JP3889130B2 (en) Planting mat and planting equipment
KR100906623B1 (en) Wall greening structure using wall greening block and wall recording method
JP2004298140A (en) Rooftop greening system and rooftop greening planter
JP2006129846A (en) Planting block tray for wall greening equipment
KR101043958B1 (en) Prefab Wall Landscape System
JP4417146B2 (en) Greening method on artificial ground, greening structure and water retention drainage base material used there
JP2009165400A (en) Planting unit, planting unit for greening using the unit, and system thereof
JP4008950B2 (en) Planting mat and planting equipment
JP3677009B2 (en) Planting equipment
KR100624746B1 (en) Structure of greening facility installed on the roof of apartment house
JP5975381B2 (en) Planting base, planting base construction method, greening area border structure
CN212393316U (en) A modular water storage type flower pot
JP3168644U (en) Wall greening device for formwork block
JP2002017161A (en) Greening system and method for making building rooftop greening system
JP4657683B2 (en) Wall greening equipment
JP3465206B2 (en) Floor structure for greening building structures
JP5231134B2 (en) Wall greening panel and wall greening structure using it
JP2004049137A (en) Water retention board for greening
JP3164196U (en) Three-dimensional wall garden
JP5907462B2 (en) Planting base
JP3989517B2 (en) Planting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92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12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5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6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06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9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60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2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61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5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60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52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304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