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407156B1 - 식생용 블록의 결속구조 - Google Patents

식생용 블록의 결속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7156B1
KR101407156B1 KR1020120129948A KR20120129948A KR101407156B1 KR 101407156 B1 KR101407156 B1 KR 101407156B1 KR 1020120129948 A KR1020120129948 A KR 1020120129948A KR 20120129948 A KR20120129948 A KR 20120129948A KR 101407156 B1 KR101407156 B1 KR 1014071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binding
block
vegetation
receiving groov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99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63056A (ko
Inventor
이종하
Original Assignee
이종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하 filed Critical 이종하
Priority to KR10201201299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7156B1/ko
Publication of KR201400630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30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71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7156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5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modular blocks, e.g. pre-fabric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4Synthetics
    • E02D2300/0018Cement used as binder
    • E02D2300/002Concret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40Miscellaneous comprising stabilis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반 경사지의 법면(法面)이나 하천 등의 법면에 설치되고 내부에 식물을 식생(植生)시킬 수 있는 식생공간을 구비하는 식생용 블록을 인접되는 타 블록과 상호 연결 지지시켜 주기 위한 결속구조에 관한 것으로, 시공 시 인접되는 타 블록과 합쳐져 측방이 폐쇄되는 하나의 몰드 수용공간이 마련되도록 블록의 사변에 외측방향과 상하 방향으로 개방되는 "T"자형의 몰드 수용홈을 두되, 이 몰드 수용홈의 걸림부와 연결부내에는 비 유동 상태로 결합될 수 있는 결속부재를 통해 블록간의 결속이 이루어지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걸림부의 내단부측과 연결부의 양측부에는 별도의 확장된 공간부로 구성되는 단부 몰드충진부와 측방 몰드충진부를 구비토록 한 것으로, 블록간의 결속 기능을 부여하는 결속부재가 몰드 수용홈의 걸림부와 연결부에서 유동없이 결합될 수 있는 구조를 적용하여 몰드 수용홈 내에서 항상 일정한 위치에서 신속 간편하고 안정되게 걸려 지지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조립 시공의 편의성과 시공 품질의 균일화를 추구할 수 있음과 아울러 단부 몰드충진부와 측방 몰드충진부를 통해 결속부재와 블록간의 고정 결속력을 강화시킴은 물론 측방 몰드충진부를 통해 결속부재의 연결부의 폭을 확장시켜 보강기능을 갖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식생용 블록의 결속구조{THE BLOCK OF PROTECTING THE BANKS FOR GRASS GROWING}
본 발명은 일반 경사지의 법면(法面)이나 하천 등의 법면에 설치되고 내부에 식물을 식생(植生)시킬 수 있는 식생공간을 구비하는 식생용 블록을 인접되는 타 블록과 상호 연결 지지시켜 주기 위한 결속구조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조립 시공 시 인접되는 타 블록과 합쳐져 측방이 폐쇄되는 하나의 몰드 수용공간이 마련되도록 블록의 사변에 외측방향과 상하 방향으로 개방되는 "T"자형의 몰드 수용홈을 두되, 이 몰드 수용홈의 걸림부와 연결부내에는 비 유동 상태로 결합될 수 있는 결속부재를 통해 블록간의 결속이 이루어지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걸림부의 내단부측과 연결부의 양측부에는 별도의 확장된 공간부로 구성되는 단부 몰드충진부와 측방 몰드충진부를 구비토록 한 것으로, 블록간의 결속 기능을 부여하는 결속부재가 몰드 수용홈의 걸림부와 연결부에서 유동없이 결합될 수 있는 구조를 적용하여 몰드 수용홈 내에서 항상 일정한 위치에서 신속 간편하고 안정되게 걸려 지지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조립 시공의 편의성과 시공 품질의 균일화를 추구할 수 있음과 아울러 단부 몰드충진부와 측방 몰드충진부를 통해 결속부재와 블록간의 고정 결속력을 강화시킴은 물론 측방 몰드충진부를 통해 결속부재의 연결부의 폭을 확장시켜 보강기능을 갖도록 함으로써 블록 연결부위의 외력에 대한 보강효과를 통해 시공 상태의 견고성과 안정성을 추구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종래의 일반 하천 둑의 법면을 보호하기 위하여 호안 블록들을 깔아 법면의 유실을 방지하도록 하고 있으며, 특히 상기 호안 블록은 콘크리트몰탈 제품으로 일정형상의 크기로 성형되어 짜 맞추기 방식으로 법면에 시공되었던 것이다.
따라서 위와 같이 단순히 호안 블록을 짜 맞추기 형태로 시공함에 따라서 호안 블록의 주위에 풀이 자랄 공간이 없을 뿐만 아니라 식물을 심을 수가 없었던 관계로 환경 미관을 해칠 뿐만 아니라 자연 상태 계에도 악영향을 주고 있으며 일예로 시공된 호안 블록이 지면을 폐쇄시켜 풀이 자라지 못함에 따라서 하천에 곤충들이 살수 없게 되고 따라서 새들이 날아들지 않으며 또한 곤충의 유충들을 먹고사는 어패류의 생식에도 많은 영향을 주고 있어 친환경적이지 못하게 되는 것이 사실이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근자에는 블록의 내부에 식생공간을 구비하는 식생용 블록들이 알려지고 있으나 이는 단순히 시공지면상에 올려진 상태에서 인접된 블록끼리 접면 시공되는 방식이어서 시공 면에서 전면으로의 토압이 발생되는 경우 토압발생부의 블록이 개별적으로 돌출 이탈되어 시공 상태가 와해되는 등 안정성을 기할 수 없었던 문제가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으로 인해 블록의 시공이 경사도가 완만한 곳에만 한정되는 것이어서 사용효과와 목적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으며, 측방향의 마감부위가 약화 또는 훼손되어 종 라인 전체가 횡 방향으로 유동되는 경우 이에 대한 억제 또는 방지구조가 마련되지 못해 종 라인전체가 횡으로 유동, 이탈될 수 있어 시공 상태를 와해시킬 수 있는 우려가 크게 되는 것으로 블록의 시공 상태를 완벽하게 안정화시켜 줄 수 없었던 폐단이 노출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본인의 선 출원 발명 "식생용 블록의 결속구조"에서는 블록의 사방에 인접되는 타 블록과 합쳐져 "H"자형을 이루도록 "T"자형의 몰드 수용홈을 구성하고 이에 양단에 걸림 날개부를 가진 "H"형의 금속제로 된 결속 보강심재를 삽입시킨 상태에서 콘크리트 몰드를 채워 양생토록 함으로써 결속 보강심재가 몰드 수용홈 내부에 완전히 매립되는 상태에서 보강심재의 기능을 하도록 하는 구조이나 이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노출하는 것이었다.
⊙ 결속 몰드를 수용하는 몰드 수용홈(10A)내에 매설되는 결속 보강심재(11A)의 구성이 도 8에서와 같이 연결부(11B)의 양단에 상기 몰드 수용홈(10A)의 걸림부(10B)에 끼워지는 걸림 날개부(11C)가 일체로 연결 구성되는 "H"자형으로 구성되고 이 결속 보강심재(11A)가 매설되는 몰드 수용홈(10A)의 면적이 상대적으로 크게 구성되는 구조이다.
따라서 상기 결속 보강심재(11A)와 몰드 수용홈(10A)은 상호 끼워 맞춤식으로 결합되는 구조가 아닌 몰드 수용홈(10A)이 결속 보강심재(11A)를 여유롭게 수용하는 방식의 구조인 관계로 블록의 조립 시공을 위해 몰드 수용홈(10A)에 몰드를 충진하는 과정에서 작업자가 결속 보강심재(11A)의 위치 설정이 인위적으로 설정됨으로써 몰드 수용홈(10A)내에서의 결속 보강심재(11A)의 매설 위치가 일정치 않고 불규칙하게 되고 이로 인해 각 블록 결속 구조간의 기능적 편차가 발생될 우려가 크고 따라서 시공 상태의 견고성과 안정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유발되는 것이다.
또한 몰드 충진 시 결속 보강심재(11A)의 위치 변동을 방지하기 위해 별도의 도구를 이용하여 결속 보강심재(11A)를 일일이 잡아주고 있어야 하는 등의 작업상의 번거로움으로 인해 작업능률의 저하를 초래하였다.
⊙ 또한 몰드 수용홈(10A)의 저부 전체에 구성되는 바닥부(10C)로 인해 몰드 수용홈(10A)의 저부는 완전히 막혀있는 구조이어서 이에 충진되는 결속 몰드(M)는 도 7에서와 같이 장방형 육면체를 이루게 되고 몰드 수용홈(10A)과 결속 몰드의 바닥부가 평면적 결합을 이루게 되는 관계로 몰드와 블록간의 접촉 면적의 저하로 인한 결속력의 약화가 초래되고,
또한 몰드 수용홈(10A)의 전체 깊이가 동일하게 됨으로써 이를 통해 충진, 양생되는 결속 몰드(M)의 두께 또한 길이 방향으로 전체적으로 동일하여 결속 보강심재(11A)의 매설에도 불구하고 외력의 부여 시 블록 연결부위에서의 지지강도가 취약하여 파손이 잦게 되고 이로 인해 시공 상태의 견고성과 안정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유발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블록간의 결속 기능을 부여하는 결속부재가 몰드 수용홈의 걸림부와 연결부에서 유동없이 결합될 수 있는 구조를 적용하여 몰드 수용홈 내에서 항상 일정한 위치에서 신속 간편하고 안정되게 걸려 지지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결속부재의 연결부의 폭을 확장시켜 보강기능을 갖도록 하는 식생용 블록의 결속구조를 제공함에 있는 것이며,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조립 시공 시 인접되는 타 블록과 합쳐져 측방이 폐쇄되는 하나의 몰드 수용공간이 마련되도록 블록의 사변에 외측방향과 상하 방향으로 개방되는 "T"자형의 몰드 수용홈을 두되, 이 몰드 수용홈의 걸림부와 연결부내에는 비 유동 상태로 결합될 수 있는 결속부재를 통해 블록간의 결속이 이루어지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걸림부의 내단부측과 연결부의 양측부에는 별도의 확장된 공간부로 구성되는 단부 몰드충진부와 측방 몰드충진부를 구비토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
이하 첨부되는 도면에 의거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몰드 수용홈 내에서 항상 일정한 위치에서 신속 간편하고 안정되게 걸려 지지될 수 있게 됨으로써 조립 시공의 편의성과 시공 품질의 균일화를 추구할 수 있다.
또한 결속부재와 블록간의 고정 결속력을 강화시키고 결속부재의 연결부의 폭을 확장시켜 보강기능을 갖도록 하여 블록 연결부위의 외력에 대한 보강효과를 통해 시공 상태의 견고성과 안정성을 추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블록의 일 구성 예를 보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결속구조가 적용된 연결된 블록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결속부재가 블록의 몰드 수용홈에 결합되는 상태를 보이는 요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결속구조가 적용된 연결된 블록의 평면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된 블록의 단면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결속부재가 블록의 몰드 수용홈에 결합되고 결속몰드가 충진된 상태를 보이는 단면 예시도.
도 7은 선 출원 구조의 요부 분리 종단면 예시도.
도 8은 선 출원 구조의 결속 상태를 보이는 요부 평면 예시도.
도 1은 본 발명이 작용된 블록의 일 구성 예를 보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결속구조가 적용된 연결된 블록의 평면 예시도로서,
본 발명은 중앙에 식생용 통공(3)을 관통 구비함과 동시에 사변에 각각 식생 공간(PS)을 형성하기 위한 다수의 호형의 요입부(2)을 구비하는 임의 형상의 식생용 블록(1)의 각 요입부(2)의 사이마다 조립 시공 시 인접되는 타 블록과 합쳐져 측방이 폐쇄되는 하나의 몰드 수용공간이 마련되도록 외측이 외부로 개방되는 연결부(4A)의 내측 양단에 걸림부(4B)를 구비하는 "T"자형으로 된 복수개의 몰드 수용홈(4)을 구비하는 공지의 구조에 있어서,
상기 몰드 수용홈(4)의 연결부(4A)에 밀착되게 끼워지는 몸체(11)의 양단에 상기 걸림부(4B)에 밀착되게 끼워지는 걸림 날개부(12)가 일체로 연결 구성되는 결속부재(10)와,
상기 결속부재(10)의 걸림 날개부(12)의 저부에 요입 형성되며 결속 몰드(M)와의 저부 결속을 유도하기 위한 저부 결속용 요입부(20)와,
상기 걸림부(4B)의 내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결속부재(10)의 걸림 날개부(12)와 식생용 블록(1)의 결속용 몰드를 수용시키기 위한 단부 몰드충진부(30)와,
상기 연결부(4A)의 입구 측에 외향으로 확장 형성되며 결속부재(10)의 몸체(11)와 식생용 블록(1)의 결속용 몰드를 수용시키기 위한 측방 몰드충진부(40)를 각각 포함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각 식생용 블록(1)은 일반 경사진 법면이나 하천 등의 법면 상에 조립 시공되는 것으로,
도 2 및 도 4에서와 같이 사방으로 밀접되는 각 식생용 블록(1)의 몰드 수용홈(4)와 단부 몰드충진부(30) 및 측방 몰드충진부(40)는 상호 합쳐져 식생용 블록(1)과 결속부재(10)를 결속시켜 줄 접착 매개체와 같은 기능의 몰드가 충진될 수 있는 수용공간이 마련되는 상태로서 몰드 수용공간은 완전히 상하로 관통 구성되어 지면으로 연결되어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호 마주 접하는 블록 간의 두 몰드 수용홈(4)에 도 3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결속부재(10)를 끼워 결속시켜 주게 되면 결속부재(10)는 지면에 접하게 되는 상태에서 걸림부(4B)와 연결부(4A)에는 각각 결속부재(10)의 걸림 날개부(12)와 몸체(11)의 측면부가 밀접상태로 끼워지는 결합된다.
이로 인하여 상호 연결되는 블록(1)들은 횡 방향으로의 유동이 억제되고 이로 인해 시공 블록의 초기 배치 작업에 편의성을 추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몰드 수용홈(4)내에서의 결속부재(10)의 삽입 위치가 항상 일정하게 정해지게 됨으로써 시공 품질의 균일화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결속부재(10)의 두께가 몰드 수용홈(4)의 깊이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구성되는 관계로 결속부재(10) 상방에는 공간부가 남아있게 되고 또한 결속부재(10)가 침범되지 않는 공간인 단부 몰드충진부(30) 및 측방 몰드충진부(40)는 전체가 관통상태의 빈 공간으로 남아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대응하는 블록들의 연결에 의해 구성되는 몰드 수용홈(4)내에 몰드를 충진시켜 주게 되면 결속 몰드(M)는 결속부재(10) 상부의 남아있는 공간부와의 지면까지 개방되는 단부 몰드충진부(30) 및 측방 몰드충진부(40)의 빈 공간으로 채워지게 되고 결속 몰드(M)가 완전히 충진되면 결속부재(10)는 도 6에서와 같이 외부로부터 완전히 은폐 매립되는 상태가 된다.
결국 결속부재(10) 상방에 형성되는 공간부에 충진되는 결속 몰드(M)는 결속부재(10)의 상부를, 단부 몰드충진부(30) 및 측방 몰드충진부(40)의 빈 공간으로 충진되는 결속 몰드(M)는 결속부재(10)의 상부와 길이 방향과 폭 방향의 측부를, 저부 결속용 요입부(20)로 유입되는 결속 몰드(M)는 결속부재(10)의 저부 양 측단을 결속하게 된다.
또한 충진되는 결속 몰드(M)는 지면까지 연결 구성되는 단부 몰드충진부(30) 및 측방 몰드충진부(40) 및 저부 결속용 요입부(20)로 유입되는 몰드 부분에 의해 도 6에서와 같이 평면적인 아닌 입체적인 결속이 가능해지고 결속 몰드(M)의 양생 후 저부에 보강기능을 갖는 리브(Rib)와 같은 구성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어서 블록의 연결부분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에 파손에 대한 충분한 저항력을 갖게 되며,
특히 저부 결속용 요입부(20)는 상기 결속부재(10)를 밑에서 감싸 주는 기능을 통해 무단으로 결속 몰드(M)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여 결속력을 보강하게 된다.
이와 같이 식생용 블록(1)의 사방에서 결속 몰드(M)와 결속부재(10)를 통해 인접 블록을 연결하게 되면 연결된 각 식생용 블록(1)은 전후, 좌우 방향으로의 결속을 통해 횡 방향으로의 모든 유동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식생용 블록(1)은 도 4에서와 같이 결속부재(10)와 결속 몰드(M)를 통해 인접되는 식생용 블록을 전, 후, 좌, 우로 그물처럼 결속시켜주게 되며,
상기와 같이 결속 시공되는 식생용 블록(1)의 식생 공간(PS)과 식생용 통공(3)의 내부에는 토양을 채워 식생 공간으로 활용하게 되는 것으로, 식생 공간(PS)과 식생용 통공(3)에는 관목 이상의 비교적 큰 나무를 식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경 및 변형한 것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당연하다.
1:식생용 블록 2:요입부
3:식생용 통공 4:몰드 수용홈
4A:연결부 4B:걸림부
10:결속부재 11:몸체
12:걸림 날개부 20:저부 결속용 요입부
30:단부 몰드충진부 40:측방 몰드충진부

Claims (1)

  1. 중앙에 식생용 통공(3)을 관통 구비함과 동시에 사변에 각각 식생 공간(PS)을 형성하기 위한 다수의 호형의 요입부(2)을 구비하는 임의 형상의 식생용 블록(1)의 각 요입부(2)의 사이마다 조립 시공 시 인접되는 타 블록과 합쳐져 측방이 폐쇄되는 하나의 몰드 수용공간이 마련되도록 외측이 외부로 개방되는 연결부(4A)의 내측 양단에 걸림부(4B)를 구비하는 "T"자형으로 된 복수개의 몰드 수용홈(4)을 구비하는 공지의 구조에 있어서,
    상기 몰드 수용홈(4)의 연결부(4A)에 밀착되게 끼워지는 몸체(11)의 양단에 상기 걸림부(4B)에 밀착되게 끼워지는 걸림 날개부(12)가 일체로 연결 구성되는 결속부재(10)와,
    상기 결속부재(10)의 걸림 날개부(12)의 저부에 요입 형성되며 결속 몰드(M)와의 저부 결속을 유도하기 위한 저부 결속용 요입부(20)와,
    상기 걸림부(4B)의 내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결속부재(10)의 걸림 날개부(12)와 식생용 블록(1)의 결속용 몰드를 수용시키기 위한 단부 몰드충진부(30)와,
    상기 연결부(4A)의 입구 측에 외향으로 확장 형성되며 결속부재(10)의 몸체(11)와 식생용 블록(1)의 결속용 몰드를 수용시키기 위한 측방 몰드충진부(40)를 각각 포함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식생용 블록의 결속구조.
KR1020120129948A 2012-11-16 2012-11-16 식생용 블록의 결속구조 Expired - Fee Related KR1014071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9948A KR101407156B1 (ko) 2012-11-16 2012-11-16 식생용 블록의 결속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9948A KR101407156B1 (ko) 2012-11-16 2012-11-16 식생용 블록의 결속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3056A KR20140063056A (ko) 2014-05-27
KR101407156B1 true KR101407156B1 (ko) 2014-06-13

Family

ID=508911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9948A Expired - Fee Related KR101407156B1 (ko) 2012-11-16 2012-11-16 식생용 블록의 결속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715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15526A (ja) * 1998-05-01 1999-11-16 Toa Harbor Works Co Ltd 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の連結方法
KR200217676Y1 (ko) * 2000-10-21 2001-03-15 정재천 호안블록
KR101187736B1 (ko) * 2012-06-04 2012-10-08 이종하 식생용 블록의 결속구조
KR101200190B1 (ko) * 2012-07-25 2012-11-13 이종하 식생용 블록의 결속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15526A (ja) * 1998-05-01 1999-11-16 Toa Harbor Works Co Ltd 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の連結方法
KR200217676Y1 (ko) * 2000-10-21 2001-03-15 정재천 호안블록
KR101187736B1 (ko) * 2012-06-04 2012-10-08 이종하 식생용 블록의 결속구조
KR101200190B1 (ko) * 2012-07-25 2012-11-13 이종하 식생용 블록의 결속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3056A (ko) 2014-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3236B1 (ko) 사면보강을 위한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친환경사면보강공법
KR100947248B1 (ko) 사면보호용 스톤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2031478B1 (ko) 수목뿌리용 점적 관수 장치 및 그 설치방법
KR101200190B1 (ko) 식생용 블록의 결속구조
KR101187736B1 (ko) 식생용 블록의 결속구조
KR101397432B1 (ko) 보강토 옹벽 패널
KR101407156B1 (ko) 식생용 블록의 결속구조
KR101084011B1 (ko) 파일 결속형 식생대
KR101407084B1 (ko) 식생용 블록의 결속구조
KR101029317B1 (ko) 옹벽용 식생블록
KR101308822B1 (ko) 식생용 블록 및 호안용 블록의 결속구조 및 그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0873423B1 (ko) 끼움 구조를 가지는 조립식 방틀
KR200307195Y1 (ko) 자체 지지구조를 가지는 옹벽블럭
KR101589287B1 (ko) 식생용 호안블록의 결속구조
KR20150021191A (ko) 식생용 호안블록의 결속구조
KR101489443B1 (ko) 수직형 산벽 시공방법
KR20150088003A (ko) 게비온형 녹화구조물
KR100880162B1 (ko) 사면 녹화공법
KR200340941Y1 (ko) 옹벽블록 겸용 어소블록
JP3666852B2 (ja) 法面枠体構成物
KR200361706Y1 (ko) 식생용 호안 블록
KR101554207B1 (ko) 식생토낭을 결속시켜 암반 사면 또는 구조물 벽체에 고정하는 부재 및 식생토낭을 이용한 암반 사면 또는 구조물 벽체의 녹화 공법
KR200353006Y1 (ko) 식생호안블록
KR20130097416A (ko) 화분장착형 보강토 블럭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20090104213A (ko) 적층각 조절이 가능한 식생용 보강토 옹벽블럭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D13-X000 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D14-X000 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Fee payment year number: 1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4-asn-PN23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4-asn-PN2301

P14-X000 Amendment of ip right document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4-nap-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0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4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P14-X000 Amendment of ip right document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4-nap-X00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7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5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5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6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7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PC1903 Unpaid annual fee

Not in force date: 20210606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K11-X000 Ip right revival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6-4-K10-K11-oth-X000

PC1903 Unpaid annual fee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10606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PR0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6-4-K10-K13-oth-PR04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8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9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P14-X000 Amendment of ip right document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4-nap-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10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PC1903 Unpaid annual fee

Not in force date: 20240606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PC1903 Unpaid annual fee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40606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