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405087B1 - 수술도구용 관절 - Google Patents

수술도구용 관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5087B1
KR101405087B1 KR1020120044938A KR20120044938A KR101405087B1 KR 101405087 B1 KR101405087 B1 KR 101405087B1 KR 1020120044938 A KR1020120044938 A KR 1020120044938A KR 20120044938 A KR20120044938 A KR 20120044938A KR 101405087 B1 KR101405087 B1 KR 1014050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
joint
discs
ridge
disc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49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21591A (ko
Inventor
권영식
Original Assignee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주식회사 고영테크놀러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주식회사 고영테크놀러지 filed Critical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0449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5087B1/ko
Priority to US14/005,100 priority patent/US20150047451A1/en
Priority to PCT/KR2013/003252 priority patent/WO2013162206A1/ko
Publication of KR201301215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15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50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5087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28Surgical forceps
    • A61B17/29Forceps for use in minimally invasive surge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7/00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06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multi-articulated a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0023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61B2017/0029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mounted on or guided by flexible, e.g. catheter-like, means
    • A61B2017/003Steerable
    • A61B2017/00305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flexible means
    • A61B2017/00314Separate linked memb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2017/00477Coupl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20Control lever and linkage systems
    • Y10T74/20207Multiple controlling elements for single controlled element
    • Y10T74/20305Robotic arm
    • Y10T74/20329Joint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obo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Pathology (AREA)
  • Manipulator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술도구의 관절이 볼 조인트에 의해 체결되는 수술도구용 관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피칭 또는 요잉을 반복하더라도 피칭 또는 요잉의 축이 변하지 않는 수술도구용 관절을 제공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수술도구용 관절은 복수 개의 원판; 상기 수술도구용 관절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복수 개의 원판 사이에서 복수 개의 원판이 서로 피칭 또는 요잉 가능하도록 하는 볼 조인트 및 상기 복수 개의 원판을 피칭, 요잉 또는 롤링시키는 구동력을 작용하는 구동와이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기술적 특징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수술도구용 관절은 반복적인 관절의 움짐임에도 관절의 회전축이 변하지 않고 내구성이 높아서 수술도구에 적용시 수술도구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수술도구용 관절{AN ARTICULATION FOR SURGICAL INSTRUMENT}
본 발명은 수술도구용 관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술도구의 관절이 볼 조인트에 의해 체결되는 수술도구용 관절에 관한 것이다.
최근 최소침습수술(minimally invasive surgery)의 발전으로 진단 또는 외과적 처리시에 인체에서 손상 받는 조직의 양을 줄여 환자의 회복 시간 단축, 부작용 감소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되었다.
최소침습수술의 가장 일반적인 형태는 내시경(endoscopy)을 이용하는 내시법이며, 내시법이 적용되는 수술에는 대표적으로 복강경(laparoscopy)을 이용하는 복강경 수술이 있다. 일반적인 복강경 수술은 환자의 복부를 가스로 팽창시키고, 복부의 피부를 조금 절단하여 복강경 수술도구를 환자의 복부에 삽입하고, 외부의 조작에 의해 복강경 수술도구의 끝단에 있는 엔드이펙터를 제어하여 복부 내에서 수술을 시행하게 된다.
그런데 복강경 수술을 하기 위해서는 복강경 수술도구를 환자의 복부에 삽입하여 엔드이펙터를 환부에 가까이 가져가야 하는데 복강경 수술도구가 경질의 막대형태라면 복강의 장기에 손상이 갈 수 있어 위험하다. 따라서 복강경 수술도구는 통상 다관절로 구성된 샤프트 끝에 엔드이펙터가 결합되어, 엔드이펙터가 3축 회전 운동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3축 회전 운동이란 엔드이펙터가 복강경 수술도구의 끝에서 상하방향으로 굴곡 운동을 하는 피칭(pitching), 좌우방향으로 굴곡 운동을 하는 요잉(yawing) 및 샤프트의 길이방향을 축으로 회전 운동을 하는 롤링(rolling)을 의미하는데, 피칭과 요잉은 샤프트의 관절의 꺾임에 의해 가능한 운동이고, 롤링은 샤프트의 전체적인 회전에 의해 가능한 운동이다.
이와 관련하여 미국등록특허 제6817974호에는 엔드이펙터의 피칭 또는 요잉을 가능하게 하는 수술도구의 손목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수술도구의 손목은 복수 개의 원판으로 구성되며, 상기 원판의 양측에는 힌지가 형성되고 원판들은 피칭 또는 요잉이 가능하도록 힌지의 위치가 교차되어 결합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힌지에 의하여 원판을 결합하면 원판의 운동에 의해 힌지가 움직이면서 힌지핀이 마모되어 힌지축이 이동하거나 힌지축의 변형으로 수술도구의 피칭 또는 요잉이 원래 설정된 방향을 벗어남으로써 수술도구의 정밀한 제어가 불가능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US 6817974 B1(2003. 2. 20.)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피칭 또는 요잉을 반복하더라도 피칭 또는 요잉의 축이 변하지 않는 수술도구용 관절을 제공하는 것이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수술도구용 관절은 복수 개의 원판; 상기 수술도구용 관절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복수 개의 원판 사이에서 복수 개의 원판이 서로 피칭 또는 요잉 가능하도록 하는 볼 조인트 및 상기 복수 개의 원판을 피칭, 요잉 또는 롤링시키는 구동력을 작용하는 구동와이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원판은 구동와이어가 통과할 수 있는 관통홀이 원주에 인접하여 복수 개 형성되고, 엔트이펙터의 구동 및 제어에 필요한 전원선 또는 제어선이 통과할 수 있는 중공이 중앙에 형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술도구용 관절은 반복적인 관절의 움짐임에도 관절의 회전축이 변하지 않고 내구성이 높아서 수술도구에 적용시 수술도구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술도구용 관절의 제1 실시 형태
도 2는 2가지 타입의 원판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술도구용 관절의 제1 실시 형태의 일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술도구용 관절의 제1 실시 형태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술도구용 관절의 제2 실시 형태의 단면도
도 6은 링크부의 사시도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수술도구용 관절이 휘어진 상태의 단면도
아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수술도구용 관절을 실시 형태별로 첨부된 도면을 통해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술도구용 관절의 제1 실시 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수술도구용 관절은 복수 개의 원판(10), 수술도구용 관절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복수 개의 원판(10) 사이에서 복수 개의 원판(10)이 서로 피칭 또는 요잉 가능하도록 하는 볼 조인트(20) 및 수술도구용 관절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복수 개의 원판(10)을 피칭, 요잉 또는 롤링(이하 수술도구용 관절의 길이방향을 기준방향으로 하고, ‘피칭’, ‘요잉’, ‘롤링’으로 기재한다)시키는 구동력을 작용하는 구동와이어(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원판(10)은 볼 조인트(20)에 의하여 원판(10)끼리 쉽게 연결될 수 있도록 원판 양쪽 면 각각에 대해 원의 지름 중 하나를 원주에 비하여 융기시켜 상기 융기된 원의 지름이 산의 능선과 같은 형상을 하는 융기부(11)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원판 양쪽 면에서 융기부(11)의 배치에 따라 상기 원판(10)은 2가지 타입으로 나누어질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수술도구용 관절은 상기 2가지 타입의 원판을 조합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2는 2가지 타입의 원판(10)의 사시도이다. 도 2(a)는 원판의 일면의 융기부(11)의 능선이 반대면의 융기부(11)의 능선과 90°의 각을 이루는 원판(이하 ‘제1 타입 원판(10-1)’이라 한다)을, 도 2(b)는 원판의 일면의 융기부(11)의 능선이 반대면의 융기부(11)의 능선과 평행한 원판(이하 ‘제2 타입 원판(10-2)’이라 한다)을 도시한 것이다. 제1 타입 원판(10-1)과 제2 타입 원판(10-2)은 수술도구에서 요구되는 곡률 반경을 만족시키기 위하여 선택적으로 채택될 수 있다.
먼저 제1 타입 원판과 제2 타입 원판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 타입 원판(10-1)의 양쪽에서는 관절의 회전축이 90°의 각을 이루게 되므로, 제1 타입 원판(10-1)을 경계로 예를 들어 일면 측은 피칭을 타면 측은 요잉을 하게 된다. 반면, 제2 타입 원판(10-2)의 양쪽에서는 관절의 회전축이 평행하므로, 제2 타입 원판(10-2)을 경계로 일면 측과 타면 측 사이에 피칭과 요잉이 전환되지 않고, 피칭 또는 요잉이 유지된다. 따라서, 제2 타입 원판(10-2)을 이용하여 수술도구용 관절을 형성하는 경우 관절이 구부러지는 곡률 반경이 작아진다. 따라서, 제2 타입 원판(10-2)은 좁은 공간에서 작업을 해야 하는 수술도구에 특화되어 사용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술도구용 관절의 제1 실시 형태의 일례로, 제1 타입 원판(10-1) - 제1 타입 원판(10-1) - 제2 타입 원판(10-2) - 제1 타입 원판(10-1)이 순차적으로 볼 조인트에 의하여 결합된 수술도구용 관절을 도시한 것이다.
다시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원판(10)에는 원판을 피칭, 요잉 및 롤링할 수 있도록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와이어(30)가 통과하는 관통홀(12)이 원주에 인접하여 복수 개 형성되고, 원판의 중앙에는 엔트이펙터의 구동 및 제어에 필요한 전원선 또는 제어선(40)이 통과할 수 있는 중공(13)이 뚫려있다. 여기서 상기 관통홀(12)은 적어도 3 개 이상이 형성되어야 하는데, 그 이유는 구동와이어(30)가 1 개 또는 2 개라면 원판(10)을 원하는 방향으로 피칭 또는 요잉할 수가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수술도구의 정밀한 제어를 위해서는 각 원판(10)에는 관통홀(12)이 적어도 3 개 이상 형성되어야 하며, 원판(10)에 형성되는 관통홀(12)의 개수는 원판의 단면적, 관통홀의 단면적, 중공의 단면적, 제어의 용이성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술도구용 관절의 제1 실시 형태의 측면도이다. 원판의 중공(13)의 바깥 융기부(11)의 능선에는 2 개의 볼 수납홈(22)이 형성된다. 상기 볼 수납홈(22)에는 볼(21)이 빠지지 않도록 볼의 원주를 반 이상 감싸는 홀더(23)가 형성되어, 원판(10)의 어느 일면에 있는 볼 수납홈(22)에 볼(21)이 수납되어 홀더(23)에 의해 감싸지고, 다른 원판(10)의 어느 일면에 있는 볼 수납홈(22)의 홀더(23)가 상기 수납된 볼(21)을 감싸 안도록 하여 원판(10)과 원판(10) 사이에 볼 조인트(20)가 형성된다.
구동와이어(30)는 상기 원판(10)에 형성된 관통홀(12)을 통과하여 원판(10)이 피칭, 요잉 및 롤링할 수 있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동시에, 상기 볼 조인트(20)에 의해 결합되는 원판(10)들이 서로 분리되지 않도록 힘을 작용하는 역할도 한다. 이것은 구동와이어(30)가 수술도구의 단부에 있는 엔드이펙터를 당겨 엔드이펙터, 원판, 볼 조인트가 구동와이어(30)에 의한 인장력을 받음으로써 가능해진다.
구동와이어(30)는 구동와이어의 끝단에 연결된 원판에 특정 방향으로 인장력을 작용함으로써 복수 개의 원판(10)에 피칭 또는 요잉하는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원판(10)에 형성된 구동와이어(30)가 전체적으로 회전하면 복수 개의 원판(10)이 따라서 회전함으로써 수술도구용 관절을 롤링하는 구동력이 전달된다.
구동와이어(30)가 외부에서 어떻게 제어되는지에 대한 구성은 본 발명에 따른 수술도구용 관절의 기술범위를 벗어나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술도구용 관절의 제2 실시 형태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수술도구용 관절은 복수 개의 원판(51), 상기 복수 개의 원판 사이에서 복수 개의 원판(51)이 서로 피칭 또는 요잉 가능하도록 하는 볼 조인트(59) 및 상기 복수 개의 원판(51)을 피칭, 요잉 또는 롤링시키는 구동력을 작용하는 구동와이어(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술도구용 관절의 제2 실시 형태에서는 볼(53)을 상기 원판(51)에 일체형으로 형성하여 수술도구용 관절의 제작을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원판(51) 및 볼(53)을 링크부(50)라 하고, 상기 링크부(50)는 원판(51)과 볼(53)의 거리를 조정하기 위하여 원판(51)과 볼(53) 사이에 폴(55, pole)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 개의 원판(51) 사이에는 상기 원판(51)들이 서로 당기는 힘을 받도록 하는 탄성부재(60)가 구비되며 원판(51)에는 원주에 인접하여 구동와이어(30)가 통과하는 관통홀(52) 및 상기 탄성부재가 고정되는 고정부(54)가 형성되고, 상기 원판(51)의 중심에는 다른 원판(51)의 볼이 수납될 수 있는 볼 수납부(57)가 형성된다.
도 6은 링크부(50)의 사시도이다. 상기 링크부(50)는 원판(51), 볼(53) 및 원판과 볼을 연결하는 폴(55)로 구성되고, 상기 원판(51)의 원주에 인접하여 관통홀(52) 및 고정부(54)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원판(51)의 상면 중앙에는 다른 원판(51)의 볼(53)이 수납되어 볼 조인트(59)를 형성할 수 있도록 볼 수납홈(57)이 형성되고, 상기 볼(53) 및 폴(55)에는 엔트이펙터의 구동 및 제어에 필요한 전원선 또는 제어선(40)이 통과하는 중공(53-1, 55-1)이 형성된다. 이때 볼(53)에 형성되는 중공(53-1)을 볼의 중심에서 원주방향으로 원뿔형상으로 형성하여 볼(53)이 볼 수납홈(57) 내에서 회전하더라도 전원선 또는 제어선(40)이 볼(53)에 걸리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55)은 수술도구용 관절에 요구되는 곡률 반경에 따라 길이를 조절하여 형성할 수 있다.
다시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링크부의 볼(53)이 다른 링크부의 원판에 형성된 볼 수납홈(57)에 수납되어 볼 조인트(59)가 형성된다. 탄성부재(60)는 링크부의 원판(51)과 다른 링크부의 원판(51)에 형성되는 고정부(54)에 결합되어 상기 형성된 볼 조인트(59)가 빠지지 않도록 인장력을 작용하는 동시에, 구동와이어(30)에 의해 복수 개의 원판(51)이 서로 피칭 또는 요잉할 때 원판(51)들에 형성되는 볼 조인트(59)들이 균일하게 회전하도록 함으로써 수술도구용 관절이 전체적으로 부드러운 곡선형태로 휘어지도록 한다. 탄성부재의 일례로는 인장스프링을 들 수 있으나, 원판(51)들 사이에서 볼 조인트(59)가 빠지지 않도록 인장력을 작용하면서 볼 조인트(59)들이 균일하게 회전하도록 하는 것이라면 종류에 상관없이 채택되어 사용될 수 있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수술도구용 관절이 휘어진 상태의 단면도이다. 탄성부재(60)의 작용으로 볼 조인트가 균일하게 회전함으로써 수술도구용 관절이 전체적으로 부드러운 곡선형으로 휘어질 수 있다. 또한, 엔트이펙터의 구동 및 제어에 필요한 전원선 또는 제어선(40)이 볼의 중공(53-1) 및 폴의 중공(55-1)을 통과하여 외부에서 엔드이펙터까지 걸림없이 연결될 수 있다.
10, 51 원판 10-1 제1 타입 원판
10-2 제2 타입 원판 11 융기부
12, 52 관통홀 13, 53-1, 55-1 중공
20, 59 볼 조인트 21, 53 볼
22, 57 볼 수납홈 23 홀더
30 구동와이어
40 엔트이펙터의 구동 및 제어에 필요한 전원선 또는 제어선
50 링크부 54 고정부
55 폴 60 탄성부재

Claims (12)

  1. 복수 개의 원판;
    수술도구용 관절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복수 개의 원판 사이에서 복수 개의 원판이 서로 피칭 또는 요잉 가능하도록 하는 볼 조인트 및
    상기 복수 개의 원판을 피칭, 요잉 또는 롤링시키는 구동력을 작용하는 구동와이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수술도구용 관절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원판 사이에 상기 원판들이 서로 당기는 힘을 받도록 하는 탄성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도구용 관절.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원판은 원판 양쪽 면 각각에 원의 지름 중 하나가 원주에 비하여 융기되어 상기 융기된 원의 지름이 산의 능선과 같은 형상을 하는 융기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도구용 관절.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원판은 원판의 일면의 융기부의 능선이 반대면의 융기부의 능선과 90°의 각을 이루는 제1 타입 원판 및
    원판의 일면의 융기부의 능선이 반대면의 융기부의 능선과 평행한 제2 타입 원판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도구용 관절.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원판은 구동와이어가 통과할 수 있는 관통홀이 원주에 인접하여 복수 개 형성되고,
    엔트이펙터의 구동 및 제어에 필요한 전원선 또는 제어선이 통과할 수 있는 중공이 중앙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도구용 관절.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중공의 바깥 융기부의 능선에는 2 개의 볼 수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도구용 관절.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볼 수납홈에는 볼이 빠지지 않도록 볼의 원주를 반 이상 감싸는 홀더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도구용 관절.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은 적어도 3 개 이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도구용 관절.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원판에는,
    다른 원판의 볼 수납부에 수납되어 볼 조인트를 형성하는 볼 및
    상기 볼과 원판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볼과 원판 사이에 구비되는 폴이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도구용 관절.
  9. 삭제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원판에는 원주에 인접하여 구동와이어가 통과하는 관통홀 및 상기 탄성부재가 고정되는 고정부가 형성되고,
    상기 원판의 중심에는 다른 원판의 볼이 수납될 수 있는 볼 수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도구용 관절.
  11.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볼 및 폴에는 중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도구용 관절.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볼에 형성되는 중공은 볼의 중심에서 원주방향으로 원뿔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도구용 관절.
KR1020120044938A 2012-04-27 2012-04-27 수술도구용 관절 Active KR1014050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4938A KR101405087B1 (ko) 2012-04-27 2012-04-27 수술도구용 관절
US14/005,100 US20150047451A1 (en) 2012-04-27 2013-04-17 Articulation for surgical equipment using ball joint
PCT/KR2013/003252 WO2013162206A1 (ko) 2012-04-27 2013-04-17 볼 조인트를 이용한 수술도구용 관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4938A KR101405087B1 (ko) 2012-04-27 2012-04-27 수술도구용 관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1591A KR20130121591A (ko) 2013-11-06
KR101405087B1 true KR101405087B1 (ko) 2014-06-10

Family

ID=494834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4938A Active KR101405087B1 (ko) 2012-04-27 2012-04-27 수술도구용 관절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50047451A1 (ko)
KR (1) KR101405087B1 (ko)
WO (1) WO2013162206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18254A1 (en) * 2014-07-29 2016-02-04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Lockable connector device
WO2018093056A1 (ko) * 2016-11-16 2018-05-24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와이어를 이용한 로봇 관절 구동 장치, 이를 포함하는 내시경 로봇 장치 및 의료용 로봇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9270B1 (ko) 2014-02-21 2023-02-13 인튜어티브 서지컬 오퍼레이션즈 인코포레이티드 향상된 운동 범위를 가진 기계적인 손목부 조인트, 그리고 관련 장치
CA2966509C (en) * 2014-12-30 2020-05-05 Halliburton Energy Services, Inc. Constant velocity joint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CN113303917A (zh) 2016-02-05 2021-08-27 得克萨斯系统大学董事会 手术设备
KR102478686B1 (ko) 2016-02-05 2022-12-19 보드 오브 리전츠, 더 유니버시티 오브 텍사스 시스템 조종가능한 루멘 내 의료 기기
JP6989594B2 (ja) 2016-09-09 2022-01-05 インテュイティブ サージカル オペレーション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手首構造
GB2557269B (en) * 2016-12-02 2020-05-06 Rolls Royce Plc Hyper redundant robots
CN106880405B (zh) * 2017-03-30 2019-11-22 微创(上海)医疗机器人有限公司 手术机器人用柔性器械、手术器械及内窥镜
US10912560B2 (en) 2017-06-23 2021-02-09 Lexington Medical, Inc. Surgical reloadable cartridge assembly
JP2021058224A (ja) * 2017-12-25 2021-04-15 ジョンソン・エンド・ジョンソン株式会社 ジョイント部材、処置具、処置具の屈曲制御方法
CN109172130B (zh) * 2018-08-30 2023-06-13 上海西地众创空间管理有限公司 用于近视手术的医疗机器人
CN109124872A (zh) * 2018-08-30 2019-01-04 上海西地众创空间管理有限公司 飞秒激光眼科近视手术用辅助关节
US11642148B2 (en) * 2019-03-12 2023-05-09 Kosuke Ujihira Minimally-invasive surgery equipment
US11117268B2 (en) * 2019-06-26 2021-09-14 Timothy R. Beevers Robot appendage
CN110712196B (zh) * 2019-10-30 2023-01-17 长沙理工大学 一种可实现两自由度弯曲的蛇形臂机器人
KR102368850B1 (ko) * 2019-11-13 2022-03-02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이동단말기와 연동하여 작동하는 굴곡형 내시경 장치
US11298131B2 (en) * 2020-01-15 2022-04-12 Lexington Medical, Inc. Multidirectional apparatus
US11116501B1 (en) 2020-04-10 2021-09-14 Lexington Medical, Inc. Surgical handle articulation assemblies
USD1039141S1 (en) * 2020-04-27 2024-08-13 Acclarent, Inc. Flex section in shaft for ENT instrument
US12213681B2 (en) * 2020-05-06 2025-02-04 Atricure, Inc. End effector positioning mechanism
USD959378S1 (en) * 2020-05-21 2022-08-02 Shanghai Microport Medbot (Group) Co., Ltd. Coupler
USD959379S1 (en) * 2020-05-21 2022-08-02 Shanghai Microport Medbot (Group) Co., Ltd. Coupler
USD958747S1 (en) * 2020-05-21 2022-07-26 Shanghai Microport Medbot (Group) Co., Ltd. Coupler
CN111772734B (zh) * 2020-08-10 2024-12-13 精勤智造(苏州)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柔性关节
KR102559600B1 (ko) * 2021-04-06 2023-07-25 주식회사 로엔서지컬 수술도구의 비대칭 구름 관절 장치
CN113693681A (zh) * 2021-08-03 2021-11-26 武汉联影智融医疗科技有限公司 手术器械
CN113749604B (zh) * 2021-10-15 2024-01-26 中日友好医院(中日友好临床医学研究所) 一种腹腔镜
US20240253204A1 (en) * 2023-02-01 2024-08-01 Plitzie Llc Variably controllable instrument
WO2025122523A1 (en) * 2023-09-16 2025-06-12 Tyw Ip Holding Llc Multiple-oriented assembly instrument and kit thereof
WO2025143324A1 (ko) * 2023-12-28 2025-07-03 한국재료연구원 전극 모듈, 이를 포함하는 청력 보조 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17974B2 (en) * 2001-06-29 2004-11-16 Intuitive Surgical, Inc. Surgical tool having positively positionable tendon-actuated multi-disk wrist joint
US7682307B2 (en) * 2003-05-23 2010-03-23 Novare Surgical Systems, Inc. Articulating mechanism for remote manipulation of a surgical or diagnostic tool
KR20100132561A (ko) * 2002-12-06 2010-12-17 인튜어티브 서지컬 인코포레이티드 의료용 기구
KR20100138898A (ko) * 2008-02-06 2010-12-31 인튜어티브 서지컬 오퍼레이션즈 인코포레이티드 제동 능력을 가지고 있는 체절식 기구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66059A (en) * 1963-06-19 1966-08-16 North American Aviation Inc Prestressed flexible joint for mechanical arms and the like
DE3621421C1 (de) * 1986-06-26 1987-12-10 Duesterloh Gmbh Kolbenmaschine
IT1277690B1 (it) * 1995-12-22 1997-11-11 Bieffe Medital Spa Sistema di sostegno ed attuazione a vertebre in particolare per strumenti chirurgici e diagnostici
JP2000193893A (ja) * 1998-12-28 2000-07-14 Suzuki Motor Corp 検査用挿入管の屈曲装置
US7637905B2 (en) * 2003-01-15 2009-12-29 Usgi Medical, Inc. Endoluminal tool deployment system
US20060199999A1 (en) * 2001-06-29 2006-09-07 Intuitive Surgical Inc. Cardiac tissue ablation instrument with flexible wrist
US9700334B2 (en) * 2004-11-23 2017-07-11 Intuitive Surgical Operations, Inc. Articulating mechanisms and link systems with torque transmission in remote manipulation of instruments and tools
GB0600170D0 (en) * 2006-01-06 2006-02-15 Oliver Crispin Robotics Ltd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robotic arms
FR2943907B1 (fr) * 2009-04-03 2012-08-03 Univ Pierre Et Marie Curie Paris 6 Instrument chirurgical.
US20110022078A1 (en) * 2009-07-23 2011-01-27 Cameron Dale Hinman Articulating mechanism
KR101075294B1 (ko) * 2011-01-12 2011-10-19 정창욱 최소 침습 수술 기구
CN103417298B (zh) * 2012-05-25 2017-10-10 三星电子株式会社 臂单元及具有该臂单元的机器人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17974B2 (en) * 2001-06-29 2004-11-16 Intuitive Surgical, Inc. Surgical tool having positively positionable tendon-actuated multi-disk wrist joint
KR20100132561A (ko) * 2002-12-06 2010-12-17 인튜어티브 서지컬 인코포레이티드 의료용 기구
US7682307B2 (en) * 2003-05-23 2010-03-23 Novare Surgical Systems, Inc. Articulating mechanism for remote manipulation of a surgical or diagnostic tool
KR20100138898A (ko) * 2008-02-06 2010-12-31 인튜어티브 서지컬 오퍼레이션즈 인코포레이티드 제동 능력을 가지고 있는 체절식 기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18254A1 (en) * 2014-07-29 2016-02-04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Lockable connector device
US10406696B2 (en) 2014-07-29 2019-09-10 Hewlett Packard Enterprise Development Lp Lockable connector device
WO2018093056A1 (ko) * 2016-11-16 2018-05-24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와이어를 이용한 로봇 관절 구동 장치, 이를 포함하는 내시경 로봇 장치 및 의료용 로봇 장치
KR101904524B1 (ko) * 2016-11-16 2018-10-05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와이어를 이용한 로봇 관절 구동 장치, 이를 포함하는 내시경 로봇 장치 및 의료용 로봇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047451A1 (en) 2015-02-19
WO2013162206A1 (ko) 2013-10-31
KR20130121591A (ko) 2013-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5087B1 (ko) 수술도구용 관절
US11944337B2 (en) Surgical instrument with increased actuation force
KR101322030B1 (ko) 구형 부품을 포함하는 관절부를 갖는 최소 침습 수술 기구
JP6989594B2 (ja) 手首構造
JP6701172B2 (ja) 機械的利益把握のロボット制御
JP5655102B2 (ja) 関節リンクシステムおよび外科用器具
JP6791846B2 (ja) 操縦可能器具用のトルク伝達操縦機構
JP6734259B2 (ja) 機械的利益把握のロボット制御
CN111343940B (zh) 具有张力带的医疗工具
CN108992104B (zh) 呈现优选弯曲的关节式连杆结构和相关的方法
JP5111612B2 (ja) 小口径腹腔鏡手術装置
CN103068333B (zh) 外科手术器械
KR20130023755A (ko) 개선된 관절부를 갖는 최소 침습 수술 기구
CN111970985A (zh) 具有易组装构件的低摩擦小型医疗工具
KR20110036800A (ko) 수술용 인스트루먼트
KR101029997B1 (ko) 수술용 인스트루먼트
WO2020183740A1 (ja) 低侵襲性手術機器
KR20130131276A (ko) 개선된 관절부를 갖는 최소 침습 수술 기구
JP5661823B6 (ja) 関節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42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8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2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52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6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06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8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30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9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30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31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31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