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403990B1 - 좌판 폴딩이 가능한 의자 - Google Patents

좌판 폴딩이 가능한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3990B1
KR101403990B1 KR1020140033213A KR20140033213A KR101403990B1 KR 101403990 B1 KR101403990 B1 KR 101403990B1 KR 1020140033213 A KR1020140033213 A KR 1020140033213A KR 20140033213 A KR20140033213 A KR 20140033213A KR 101403990 B1 KR101403990 B1 KR 1014039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bar
protruding portion
guiding
seat
cent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32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노수
Original Assignee
부호체어원(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호체어원(주) filed Critical 부호체어원(주)
Priority to KR10201400332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39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39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3990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4/00Foldable, collapsible or dismountable chairs
    • A47C4/04Folding chairs with inflexible seats

Landscapes

  • Special Chai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좌판 폴딩이 가능한 의자는 단면이 원형으로 이루어지는 중앙 지지 바와, 상기 중앙 지지 바와 수평 방향으로 직교하는 형태로 연결되는 측면 지지 바를 포함하는 바디 지지 바; 상기 중앙 지지 바의 가운데 부분에 끼움 결합되는 반원 형상의 제1 홈부와, 탄성지지되는 돌출부가 외주면에 구비된 매개유닛; 상기 매개 유닛이 장착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돌출부가 탄성력에 의하여 걸림지지되도록 상기 돌출부에 상응하는 형상의 돌기부가 내주면에 구비된 장착홈부와, 상기 중앙 지지 바가 안착되며 상기 안착된 중앙 지지 바를 기준으로 회전 이동이 가이딩되도록 반원 형상의 가이딩홈이 구비된 가이딩부를 포함하는 좌판; 및 상기 중앙 지지 바를 기준으로 회전이동이 가이딩되도록 반원 형상의 제2 가이딩홈이 구비되며 상기 가이딩부와 고정 결합되는 결합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좌판 폴딩이 가능한 의자{Chair capable of folding seat}
본 발명은 좌판 폴딩이 가능한 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 좌판의 저면 후방에 구비된 구조체 및 중앙 지지 바에 장착된 간단한 구조체의 상호 유기적 결합을 통하여 좌판의 회전에 상응하는 탄성 구조의 변화가 이루어지는 걸림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좌판의 접힘 상태의 유지는 물론, 접힘 상태의 해제를 더욱 쉽고 편리하게 구현할 수 있는 좌판 폴딩이 가능한 의자에 관한 것이다.
정리, 보관, 관리 내지 겹침 적재 또는 적층 등의 효용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좌판 또는 다리가 접이 가능한 의자가 많이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접이식 의자 즉, 폴딩(folding)이 가능한 의자는 의자가 사용되거나 사용되지 않고 보관되는 경우 등에 따라 적응적으로 그 물리적 형태를 변화시킬 수 있어 의자가 차지하는 공간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고 운반 내지 이동 등의 작업을 더욱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그러나 종래 의자의 경우 좌판을 축 회전시킬 수 있는 기능이 구현된 의자가 대부분인데, 이러한 의자의 경우 작은 흔들림이나 충격 등에 의해 접힘 상태가 유지되지 못하며, 적절한 힘이 제공되지 않으면 의자의 등판 등에 충돌한 후 다시 내려오게 되므로 불필요하게 좌판 접이 행위를 반복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므로 좌판이 폴딩된 경우 그 폴딩이 외적 요인에 의하여 복귀되지 않고 효과적으로 폴딩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사용자의 의사에 따른 조작을 통하여 그 폴딩이 효과적으로 해제될 수 있도록 접이식 의지의 구조를 개선시킬 필요성이 크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공개된 기술이 일부 존재하기는 하나, 한국특허등록공보 10-1057445에 개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종래 의자에서는 좌판 폴딩을 위한 구조가 상당히 복잡하게 구현되어 있어 고장 발생이 많을 수밖에 없음은 물론, 상당히 많은 회수로 반복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는 폴딩 메커니즘에는 최적화되어 있지 못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종래 의자는 사용자가 좌판 폴딩을 수행하는 동작 과정이 어려움은 물론, 상당 수의 부품들을 복잡하게 결합하여야 하므로 제작 공정이 상당히 어렵고 제품 단가에도 상당한 악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보편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폴딩 의자로 구현되기는 어렵다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배경에서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간단하고 쉽게 채용될 수 있는 구조를 좌판에 장착하고 이에 유기적으로 결합되는 간단한 구조를 좌판을 지지하는 중앙 지지 바에 장착하여 상호 연동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사용자가 쉽게 조작할 수 있음은 물론, 좌판의 접이 내지 폴딩이 무수히 반복되더라도 고장이나 오동작 등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폴딩에 최적화된 의자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아래에 설명에 의하여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여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난 구성과 그 구성의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좌판 폴딩이 가능한 의자는 단면이 원형으로 이루어지는 중앙 지지 바와, 상기 중앙 지지 바와 수평 방향으로 직교하는 형태로 연결되는 측면 지지 바를 포함하는 바디 지지 바; 상기 중앙 지지 바의 가운데 부분에 끼움 결합되는 반원 형상의 제1 홈부와, 탄성지지되는 돌출부가 외주면에 구비된 매개유닛; 상기 매개 유닛이 장착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돌출부가 탄성력에 의하여 걸림지지되도록 상기 돌출부에 상응하는 형상의 돌기부가 내주면에 구비된 장착홈부와, 상기 중앙 지지 바가 안착되며 상기 안착된 중앙 지지 바를 기준으로 회전 이동이 가이딩되도록 반원 형상의 가이딩홈이 구비된 가이딩부를 포함하는 좌판; 및 상기 중앙 지지 바를 기준으로 회전 이동이 가이딩되도록 반원 형상의 제2 가이딩홈이 구비되며 상기 가이딩부와 고정 결합되는 결합 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좌판은 상기 장착홈부에 장착된 매개 유닛의 이동이 억제되도록 상기 장착홈부 좌우측 측면에 형성된 걸림벽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본 발명의 상기 걸림벽부는 상기 매개유닛의 두께에 대응되는 높이만큼 상기 장착홈부보다 높게 형성되며 상기 중앙 지지 바를 기준으로 회전이동이 가이딩되도록 반원 형상의 제3 가이딩홈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본 발명의 상기 바디 지지 바는 상기 측면 지지 바에서 수직 하방으로 절곡되어 연장된 레그 지지 바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중앙 지지 바, 측면 지지 바 및 레그 지지 바는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구현을 위하여 상기 본 발명은 상기 좌판 측면에 구비되며, 수평축 방향으로 회전되는 노브; 상기 노브와 베벨 기어에 의해 치합되어 수직 방향으로 축 회전하는 나사축; 및 상기 나사축과 나사 결합되는 나사산이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 통공이 구비되며, 상기 나사축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측면 지지 바 방향으로 상승 또는 하강하는 지지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좌판 폴딩이 가능한 의자는 유기적으로 연동되는 간단한 구조만으로 구현될 수 있어 반복 동작에 대한 강인성을 가질 수 있어 오동작이나 고장 등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창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좌판 폴딩이 가능한 의자는 간단한 구조에 의한 구성만으로도 쉽게 구현될 수 있으므로 종래 일반적인 의자 구조를 최대한 활용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효과적인 장치 확장성을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나아가 제조 과정을 간단하게 수행할 수 있어 제품 생산성을 더욱 효과적으로 제고할 수 있음은 물론, 가격 경쟁력에서도 월등한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더욱 효과적으로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이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좌판 폴딩이 가능한 의자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A 부분인 좌판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매개유닛과 좌판의 장착홈부에 구비된 돌기부의 탄성력에 의한 걸림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여 좌판의 각도를 조절하는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좌판 폴딩이 가능한 의자(100)는 바디 지지 바(110), 매개유닛(120), 좌판(130) 및 결합 유닛(1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바디 지지 바(110)는 의자의 하부 몸체를 이루는 구성으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체적으로 중앙 지지 바(113), 측면 지지 바(115) 및 레그(leg) 지지 바(11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중앙 지지 바(113)는 후술되는 바와 같이 좌판(130)의 저면 뒷부분을 지지하는 구성으로서 단면이 원(circle)의 형상을 가진 바의 형태로 구현되며, 측면 지지 바(115)는 좌판(130)의 저면 측면 부분을 지지하는 구성으로서 상기 중앙 지지 바(113)와 수평 방향으로 직교하는 형태로 연장되어 연결된다.
상기 중앙 지지 바(113)와 측면 지지 바(115)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여 좌판 저면의 후면과 측면을 지지하며, 조립과 제조 과정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하나의 바가 절곡되어 형성됨으로써 일체의 바(bar)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지지 바(113)와 측면 지지 바(115)를 포함하는 바디 지지 바(110)는 상기 측면 지지 바(115)에서 수직 하방으로 절곡되어 연장된 레그 바(117)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하나의 바(bar)가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각각 절곡된 형태로 구현됨으로써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중앙 지지 바(113)의 가운데 부분에는 홀 형태의 결합체결부(22)가 구비되며, 이 결합체결부(22)에 본 발명의 매개유닛(120)이 결합되어 고정된다.
본 발명의 매개유닛(120)은 상기 중앙 지지 바(113)에 끼움 결합된 후 고정되는 구성으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홈부(121), 돌출부(123) 및 결합통공(125)을 포함한다.
상기 제1홈부(121)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지지 바(113)의 직경과 대응되는 반원 형상으로 구현되어 상기 중앙 지지 바(113)의 가운데 부분과 끼움 결합된다. 이와 같이 끼움 결합이 완료되면 매개유닛(120)의 결합통공(125)과 중앙 지지 바(113)의 결합체결부(22)는 나사 등의 결합수단(127)에 의하여 상호 고정 결합된다. 상기 매개유닛(120)의 돌출부(123)에 대한 구성은 후술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좌판(130)은 종래 일반적인 좌판을 그대로 활용할 수 있는데, 도 1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의자 좌판의 저면 뒷부분만을 본 발명에 의한 기술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구조 등으로 개선하기만 하면 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좌판은 종래 의자 구조의 좌판을 그대로 활용할 수 있다는 큰 장점을 가질 수 있다.
도 1 및 도 1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좌판(130)은 장착홈부(131), 가이딩부(133) 및 걸림벽부(13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좌판(130)에 구현되는 본 발명의 장착홈부(131)는 앞서 기술된 매개유닛(120)이 안착되는 장착 공간을 제공할 수 있도록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원의 형상을 가지는 홈 형태로 구현된다. 또한, 장착홈부(131)의 후면 내주면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매개유닛(120)의 돌출부(123)가 탄성력에 의하여 걸림 지지되도록 상기 돌출부(123)와 상응하는 형상의 돌기부(30)가 구비된다.
좌판(130)에 구현되는 본 발명의 가이딩부(133)는 상기 중앙 지지 바(113)가 안착되며 안착된 중앙 지지 바(113)를 기준으로 좌판의 회전 이동이 가이딩되도록 반원 형상의 가이딩홈(13)이 구비되며 또한, 후술되는 결합유닛(140)과 나사 결합 등에 의하여 결합되는 고정부(14)가 구비된다.
상기 고정부(14)는 가이딩홈(13)과 연장되는 형태로 돌출되도록 구성하여 좌판의 회전 시 중앙 지지 바(113)를 효과적으로 지지함과 동시에 좌판의 회전 이동이 유연하게 가이딩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좌판(130)에 구비되는 본 발명의 걸림벽부(135)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홈부(131)의 하나 이상 측면에 구비되는데, 장착홈부(131)에 장착된 매개유닛(120)의 이동이나 유격 등이 불가능하도록 매개유닛(120)의 이동을 억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걸림벽부(135)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장착홈부(131) 측면에 장착홈부(131)의 깊이보다 낮은 깊이 즉, 장착홈부(131)보다 높은 지지 벽체(33)가 이루어지도록 구현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걸림벽부(135)는 장착홈부(131)에 장착된 매개유닛(120)의 이동이 억제되도록 함과 동시에 중앙 지지 바(113)를 기준으로 좌판의 회전 이동이 유연하게 가이딩되도록, 매개유닛(120)의 두께에 대응되는 높이만큼 상기 장착홈부(131)보다 높게 형성되며, 상기 좌판의 회전 이동이 유연하게 가이딩되도록 상기 중앙 지지 바(113)의 직경에 대응되는 반원 형상의 제3가이딩홈(35)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결합유닛(140)은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앙 지지 바(113)를 기준으로 좌판의 회전이 가이딩되도록 제2가이딩홈(142)이 구비되며, 상술된 좌판(130)의 가이딩부(133)와 나사(141) 결합 등에 의하여 결합된다.
이와 같이 상술된 본 발명의 매개유닛(120)은 물론, 결합유닛(140) 또한, 간단한 구조로 구현되며 바(bar) 등에 쉽게 결합되도록 하는 추가 구성에 해당하므로 의자의 구조 전체를 변경하지 않고도 구현될 수 있어 종래 의자 구조를 최대한 그대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매개유닛(120)은 중앙 지지 바(113)와 고정 결합된 형태로 좌판(130)의 장착홈부(131)에 장착되며, 본 발명의 좌판(130)은 하나 이상으로 구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결합유닛(140)의 체결 구조에 의하여 중앙 지지 바(113)에 결속된 상태로 회전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중앙 지지 바(113)를 기준으로 좌판의 회전 이동이 유연하게 이루어지도록 단면이 원 형상을 이루는 중앙 지지 바(113)의 직경과 대응되는 반원 형상을 가지는 몇 가지 가이딩홈에 대한 구성을 포함하는데, 좌판(130)의 가이딩부(133)에 구비된 가이딩홈(13), 결합유닛(140)의 제2가이딩홈(142) 및 걸림벽부(135)의 제3가이딩홈(35)이 이에 해당한다.
좌판(130)의 가이딩부(133)에 구비된 가이딩홈(13)과 결합유닛(140)의 제2가이딩홈(142)은 상호 대접하여 고정됨으로써 중앙 지지 바(113)와 대응되는 원 형상을 이루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좌판의 폴딩 또는 폴딩 고정에 대한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매개유닛(120)의 돌출부(123)와 좌판(130)의 장착홈부(131)의 돌기부(30)의 탄성 지지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매개유닛(120)의 돌출부(123)는 탄성 지지되는 형태로 매개유닛(120)의 외주면에서 돌출된 형태로 구현된다.
이 돌출부(123)에 대한 구성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 스프링의 기능이 이루어지도록 하부에 공간이 형성된 돌출된 판상 형태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장착홈부(131)에 구비되는 돌기부(30)는 상기 돌출부(123)가 탄성력에 의하여 걸림 지지되도록 상기 돌출부(123)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구현된다.
도 3은 좌판(130)이 중앙 지지 바(113)를 기준으로 회전되어 좌판(130)이 수직 방향으로 회전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 상태를 기준으로 할 때, 돌기부(30)는 돌출부(123)의 아래로 내려와 있고, 상호 걸림 구조가 탄성력에 의하여 지지되므로 인위적인 기준 이상의 힘이 가해지지 않는 한, 이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만약 사용자가 반시계 방향으로 돌출부(123)와 돌기부(30) 사이의 걸림 구조를 지지하는 탄성력을 넘는 임계치 이상의 힘을 좌판(130)에 가하게 되면, 이 힘에 의하여 상기 돌출부(123)는 후방으로 밀려나게 되고, 장착홈부(131)의 돌기부(30)는 매개유닛(120)의 돌출부(123)의 상부를 넘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돌기부(30)는 좌판에 구현된 구성이므로 좌판과 그 회전 이동을 함께하는 구성에 해당한다.
반시계 방향의 회전 이동이 지속되면, 돌기부(3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이동되어 돌출부(123)와의 걸림 구조에서 이탈하게 되므로 후방으로 밀려났던 돌출부(123)는 자신이 가진 탄성력에 의하여 다시 원 형태의 위치로 복원되게 된다.
사람 등의 착석이 가능한 형태로 좌판이 끝까지 내려오면 좌판의 측면 앞 부분에 구비되는 안착부(150)가 측면 지지 바(115)에 대접하게 되어 회전 이동은 더 이상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그 후, 사람의 착석이 없는 경우에도 시계 방향으로 작용하는 임계치 이상의 힘이 가해지지 않는 한 좌판(130)이 유격되거나 흔들림이 발생하지 않도록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개유닛(120)의 돌출부(123)에 걸림지지되는 장착홈부(131)의 돌기부(30)는 볼록 또는 오목 구조가 반복되도록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볼록 또는 오목 구조는 좌판의 회전 반경 내지 각도와 돌출부(123)의 너비 또는 높이를 고려하여 좌판이 수직 방향으로 입설되었을 경우 및 좌판이 수평 방향으로 위치하였을 경우 각각 걸림 구조가 탄성 지지되도록 적절한 크기와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 4를 통하여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노브(151), 베벨 기어 구조(152), 하우징(153), 나사축(154) 및 지지체(155)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들 구성은 좌판(130)의 하면, 안착부(150) 내부 또는 좌판(130) 내부에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노브(151)는 사용자의 손 등이 쉽게 닿을 수 있도록 좌판 하면 측면 방향으로 돌출된 위치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노브(151)를 사용자가 회전시키게 되면, 베벨 기어 구조(152)에 의하여 수평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노브(151)의 회전력이 수직축을 기준으로 하는 회전력으로 변화되고, 나사축(154)은 이러한 치합 구조에 의하여 수직 방향의 축을 기준으로 회전하게 된다.
본 발명의 지지체(155)는 다각 형상을 가지며 하우징(153)에 물리적으로 구속되므로 측면 방향 회전이나 측면 방향 이동이 억제되며, 또한, 지지체(155)는 상기 나사축(154)과 나사 결합되는 나사산이 내주면에 형성된 통공(55)이 구비된다.
지지체(155)는 이 통공(55)을 통하여 상기 나사축(154)과 나사 결합되므로 나사축(154)이 오른쪽 또는 왼쪽으로 회전하게 되면 이 회전에 따라 지지체(155)는 지지체(155) 아래 방향에 위치하는 측면 지지 바(115)를 향하여 상하로 이동하게 된다.
나사축(154)은 회전은 가능하되, 위 아래로 움직이지 않도록 노브(151)와 연동하는 베벨기어가 구비된 반대편에 베벨기어를 더 위치시켜 이 베벨기어에 의하여 충분히 지지되도록 하거나, 하우징에서 연장되는 소정의 프레임에 구비된 통공에 끼움 결합되어 나사축(154)의 베벨기어가 위 아래로 빠지지 않도록 지지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힘의 분배가 이루어지도록 크기가 다른 기어 구조가 추가되어 사용자가 보다 적은 힘으로 지지체(155)를 상하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지지체(155)는 노브(151)의 회전에 의하여 상하 방향 이동하게 되므로 지지체(155)와 측면 지지 바(115) 사이의 간격이 조정되며, 이러한 간격 조정은 결국 좌판(130)이 수평 방향으로 내려왔을 경우 좌판이 이루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므로 이를 통하여 사용자는 자신이 선호하는 가장 편안한 좌판 각도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설명과 그에 대한 실시예의 도시를 위하여 첨부된 도면 등은 본 발명에 의한 기술 내용을 강조 내지 부각하기 위하여 다소 과장된 형태로 도시될 수 있으나, 앞서 기술된 내용과 도면에 도시된 사항 등을 고려하여 통상의 기술자 수준에서 다양한 형태의 변형 적용예가 가능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고 해석되어야 한다.
100 : 본 발명의 의자
110 : 바디 지지 바 113 : 중앙 지지 바
115 : 측면 지지 바 117 : 레그 지지 바
120 : 매개유닛 121 : 제1홈부
123 : 돌출부 125 : 결합통공
127 : 결합수단
130 : 좌판 131 : 장착홈부
133 : 가이딩부 135 : 걸림벽부
140 : 결합 유닛 141 : 나사
142 : 제2가이딩홈
150 : 안착부 151 : 노브
152 : 베벨기어구조 153 : 하우징
154 : 나사축 155 : 지지체

Claims (5)

  1. 단면이 원형으로 이루어지는 중앙 지지 바와, 상기 중앙 지지 바와 수평 방향으로 직교하는 형태로 연결되는 측면 지지 바를 포함하는 바디 지지 바;
    상기 중앙 지지 바의 가운데 부분에 끼움 결합되는 반원 형상의 제1 홈부와, 탄성지지되는 돌출부가 외주면에 구비된 매개유닛;
    상기 매개 유닛이 장착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돌출부가 탄성력에 의하여 걸림지지되도록 상기 돌출부에 상응하는 형상의 돌기부가 내주면에 구비된 장착홈부와, 상기 중앙 지지 바가 안착되며 상기 안착된 중앙 지지 바를 기준으로 회전 이동이 가이딩되도록 반원 형상의 가이딩홈이 구비된 가이딩부를 포함하는 좌판; 및
    상기 중앙 지지 바를 기준으로 회전이동이 가이딩되도록 반원 형상의 제2 가이딩홈이 구비되며 상기 가이딩부와 고정 결합되는 결합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판 폴딩이 가능한 의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좌판은,
    상기 장착홈부에 장착된 매개 유닛의 이동이 억제되도록 상기 장착홈부 좌우측 측면에 형성된 걸림벽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판 폴딩이 가능한 의자.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벽부는,
    상기 매개유닛의 두께에 대응되는 높이만큼 상기 장착홈부보다 높게 형성되며 상기 중앙 지지 바를 기준으로 회전이동이 가이딩되도록 반원 형상의 제3 가이딩홈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판 폴딩이 가능한 의자.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 지지 바는,
    상기 측면 지지 바에서 수직 하방으로 절곡되어 연장된 레그 지지 바를 더 포함하고,
    상기 중앙 지지 바, 측면 지지 바 및 레그 지지 바는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판 폴딩이 가능한 의자.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좌판 측면에 구비되며, 수평축 방향으로 회전되는 노브;
    상기 노브와 베벨 기어에 의해 치합되어 수직 방향으로 축 회전하는 나사축; 및
    상기 나사축과 나사 결합되는 나사산이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 통공이 구비되며, 상기 나사축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측면 지지 바 방향으로 상승 또는 하강하는 지지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판 폴딩이 가능한 의자.
KR1020140033213A 2014-03-21 2014-03-21 좌판 폴딩이 가능한 의자 Active KR1014039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3213A KR101403990B1 (ko) 2014-03-21 2014-03-21 좌판 폴딩이 가능한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3213A KR101403990B1 (ko) 2014-03-21 2014-03-21 좌판 폴딩이 가능한 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3990B1 true KR101403990B1 (ko) 2014-06-10

Family

ID=511319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3213A Active KR101403990B1 (ko) 2014-03-21 2014-03-21 좌판 폴딩이 가능한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399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46552A3 (ko) * 2016-02-25 2018-09-20 정민시 접이식 온열의자
KR101920340B1 (ko) * 2018-03-16 2018-11-20 (주) 파트라 좌판 폴딩이 유지되는 프레임 의자
KR101920344B1 (ko) * 2018-03-16 2019-02-08 (주) 파트라 횡방향 정렬이 이루어지는 프레임 의자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8027U (ko) * 2009-02-04 2010-08-12 서원호 좌판 접이식 의자
JP4532130B2 (ja) 2004-02-04 2010-08-25 株式会社岡村製作所 椅子
KR20100111412A (ko) * 2009-04-07 2010-10-15 정세일 접이구조 가변용 의자
KR101074490B1 (ko) 2010-07-13 2011-10-18 주식회사 다원산업 의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32130B2 (ja) 2004-02-04 2010-08-25 株式会社岡村製作所 椅子
KR20100008027U (ko) * 2009-02-04 2010-08-12 서원호 좌판 접이식 의자
KR20100111412A (ko) * 2009-04-07 2010-10-15 정세일 접이구조 가변용 의자
KR101074490B1 (ko) 2010-07-13 2011-10-18 주식회사 다원산업 의자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46552A3 (ko) * 2016-02-25 2018-09-20 정민시 접이식 온열의자
CN108697240A (zh) * 2016-02-25 2018-10-23 郑珉时 折叠式暖椅
US20190059597A1 (en) * 2016-02-25 2019-02-28 Min Si JUNG Foldable thermal chair
KR101920340B1 (ko) * 2018-03-16 2018-11-20 (주) 파트라 좌판 폴딩이 유지되는 프레임 의자
KR101920344B1 (ko) * 2018-03-16 2019-02-08 (주) 파트라 횡방향 정렬이 이루어지는 프레임 의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48372B1 (en) Supporting frame for a piece of furniture
KR101403990B1 (ko) 좌판 폴딩이 가능한 의자
US20150145266A1 (en) Door lock device
KR20160015907A (ko) 폴딩 도어용 잠금장치
US9962006B2 (en) Bed base capable of fixing mattress
US20160374476A1 (en) Footrest assembly of a chair
CN202457357U (zh) 头枕角度调节器
JP2011112116A (ja) アジャスタ及びプロジェクタ
JP6571032B2 (ja) 多方向入力装置
KR101642824B1 (ko) 차량시트 조립용 지그장치
KR101619789B1 (ko) 상판각도가 조절되는 접이식 책상
KR101461809B1 (ko) 회동지지부가 형성된 등받이 프레임이 구비된 의자
JP2008296729A (ja) テーブル板の支持構造
JP4350564B2 (ja) 機器支持装置
JP7386043B2 (ja) キャスタ装置及びキャスタ付き家具
WO2016068284A1 (ja) 天板付き什器
KR101809422B1 (ko) 수강용 탁자
JP6040566B2 (ja) 椅子
KR102135278B1 (ko) 차량의 조향 컬럼용 틸트장치
JP5238207B2 (ja) リクライニング装置
KR200362843Y1 (ko) 의자의 조절장치
KR102161678B1 (ko) 유아용 의자
JP4286831B2 (ja) テーブル
JP2017155431A (ja) 支持脚
JP3203514U (ja) キャスターのロッ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32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40324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40321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4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52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5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05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2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5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1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52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7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50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42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40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40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41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