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2732B1 - Ststem for providing fodder remotely - Google Patents
Ststem for providing fodder remotely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02732B1 KR101402732B1 KR1020130003283A KR20130003283A KR101402732B1 KR 101402732 B1 KR101402732 B1 KR 101402732B1 KR 1020130003283 A KR1020130003283 A KR 1020130003283A KR 20130003283 A KR20130003283 A KR 20130003283A KR 101402732 B1 KR101402732 B1 KR 10140273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eed
- unit
- web server
- user terminal
- signa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3213 activ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5000012054 meals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41001465754 Metazoa Speci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41000282472 Canis lupus familiar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82326 Felis cat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20710 Hyperphag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2720 Malnutri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996 emotion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8343 nutrient deficiency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830 overeating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Forestry; Mining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2—Automatic devices
- A01K5/0275—Automatic devices with mechanisms for delivery of measured doses
- A01K5/0283—Automatic devices with mechanisms for delivery of measured doses by weight
-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1/00—Automatic controllers
- G05B11/01—Automatic controllers electric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ird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Feeding And Watering For Cattle Raising And Animal Husband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웹 서버에 접속하여 실시간으로 애완동물에게 사료를 자동으로 급식할 수 있도록 사료 급식 장치를 제어하는 원격 사료 급식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원격 사료 급식 시스템은, 급식 버튼을 활성화 시킬 수 있는 웹 페이지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는 사용자 단말기과, 상기 웹페이지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활성화된 급식 버튼의 신호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으로부터 무선통신에 의해 수신하여 사료 급식 신호를 발생시키는 웹 서버 및 상기 웹 서버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웹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사료 급식 신호를 수신하여 자동적으로 사료를 제공하는 자동 급식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자동 급식 장치는, 사료를 저장하고, 저장된 사료를 배출하는 배출구가 형성된 사료 저장부와, 상기 사료 저장부의 배출구 하측에 배치되고, 다수의 사료 수납공간이 형성된 물레방아 형태로 이루어지는 사료 공급부와, 상기 웹 서버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와, 상기 사료 공급부에 연결되어, 사료 수납공간에 수납되는 사료를 외부의 사료 용기로 배출시키도록 상기 사료 공급부를 구동시키는 모터부 및 상기 웹 서버로부터 상기 사료 급식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모터부를 제어하는 급식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mote feed feed system for controlling a feed feed apparatus to automatically feed feeds to a pet in real time by connecting to a web server through a user terminal, A web server for receiving a signal of a meal button activated through the web page or application by wireless communication from the user terminal and generating a feed feed signal; And an automatic feeding devic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web server and receiving the feed feed signal transmitted from the web server and automatically feeding the feed, wherein the automatic feeding device includes a feed port for storing feed, A feed storage unit for feeding the feed, A communication uni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web server and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the web server; and a communication unit connected to the feed storage unit and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the feed storage space, And a feed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motor unit when the feed feed signal is received from the web server. The feed controller controls the motor unit to feed the feed feeder to the external feed container.
Description
본 발명은 원격 사료 급식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외부에서 스마트폰, 컴퓨터, 휴대용 노트북 등의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웹 서버에 접속하여 실시간으로 애완동물에게 사료를 자동으로 급식할 수 있도록 사료 급식 장치를 제어하는 원격 사료 급식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mote feed feed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remote feed feed system in which a user can access a web server through a user terminal such as a smart phone, a computer, or a portable notebook, To a remote feed feed system for controlling the feed feed apparatus.
산업이 고도로 발전하고 생활이 윤택해지고, 최근에는 독신으로 사는 사람이나 어린이들이 있는 가정에서는 정서함양 등의 목적으로 강아지 또는 고양이 등의 애완동물의 사육이 늘어나고 있다.
In industries where the industry is highly developed and life is enriched, and in recent years, families living with single people or children are raising pets such as dogs or cats for the purpose of emotional support.
이러한 애완동물을 건강하게 사육하기 위해서는 각별한 애정과 관리가 필수적으로 필요하며, 특히 급식에 있어서 적시에 정량의 사료를 공급하는 등 영양결핍이나 과식문제에 대한 철저한 관리가 요구된다.
In order to keep such pets healthy, special affection and care are indispensable. In particular, strict management of nutritional deficiencies and overeating problems is required, such as feeding a timely amount of feed in a meal.
그러나, 장기간 외출 등으로 애완동물의 사료를 제때에 줄 수 없다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또한, 많은 양의 사료를 한번에 제공하는 경우 이를 한꺼번에 먹거나 사료가 상하게 되어 애완동물의 건강상 이상이 발생 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not possible to feed pets in a timely manner due to long-term outing and the like. Also, when a large amount of feed is supplied at once, There is a problem.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들을 개선하고자 최근에는 자동으로 사료를 제공할 수 있는 급식 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
Therefore,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feeding devices capable of automatically feeding feeds are being developed.
공개특허 제10-2009-0132728호는 애완동물 자동 사료배급 장치에 관한 것으로, 타이머 기능이 있는 전원 공급 장치를 사용하여 미리 설정된 시간마다 사료가 자동으로 공급될 수 있는 기술이 개시되고 있다.
Open Patent Application No. 10-2009-0132728 discloses an automatic pet feeding device that can automatically feed feeds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using a power supply having a timer function.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에 있어서, 설정된 시간마다 일정량의 사료가 공급되기 때문에 애완동물이 공급된 사료를 모두 먹지 않는 경우, 다음 설정 시간에 동일한 양의 사료가 또 공급되어 배출된 사료의 양이 증가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However, in this conventional technique, since a certain amount of feed is supplied every set time, if the pet does not eat all of the fed feed, the same amount of feed is also supplied at the next set time to increase the amount of feed discharged There is a drawback to this.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사용자가 외부에서 사용자 단말기 등의 휴대용 단말기를 통해 웹 서버에 접속하고, 접속된 웹 서버의 제어에 의해 실시간으로 사료를 제공할 수 있도록 사료 급식 장치를 제어하는 원격 사료 급식 시스템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Disclosure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nceived to solve the problems as described abov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 user with access to a web server through a portable terminal such as a user terminal from outsid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mote feed feeding system for controlling a feed feeding apparatus.
또한, 본 발명은 사료 급식 장치에 중량센서를 부가하여 사료의 급식시 남은 양의 사료를 확인함으로써, 배출될 사료의 양을 제어하여 사료의 과잉 공급을 방지할 수 있는 원격 사료 급식 시스템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emote feed feeding system capable of preventing excess feeding of feed by controlling the amount of feed to be discharged by adding a weight sensor to the feed feed apparatus to check the remaining amount of feed when feeding the feed The purpose.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However,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사료 급식 시스템은, 급식 버튼을 활성화 시킬 수 있는 웹 페이지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는 사용자 단말기과, 상기 웹페이지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활성화된 급식 버튼의 신호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으로부터 무선통신에 의해 수신하여 사료 급식 신호를 발생시키는 웹 서버 및 상기 웹 서버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웹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사료 급식 신호를 수신하여 자동적으로 사료를 제공하는 자동 급식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자동 급식 장치는, 사료를 저장하고, 저장된 사료를 배출하는 배출구가 형성된 사료 저장부와, 상기 사료 저장부의 배출구 하측에 배치되고, 다수의 사료 수납공간이 형성된 물레방아 형태로 이루어지는 사료 공급부와, 상기 웹 서버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와, 상기 사료 공급부에 연결되어, 사료 수납공간에 수납되는 사료를 외부의 사료 용기로 배출시키도록 상기 사료 공급부를 구동시키는 모터부 및 상기 웹 서버로부터 상기 사료 급식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모터부를 제어하는 급식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remote feed feed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user terminal for driving a web page or an application capable of activating a feed button, A web server for receiving a feed signal from the user terminal by wireless communication and generating a feed feed signal, and a feeder automatically connected to the web server for automatically receiving a feed feed signal transmitted from the web server, Wherein the automatic feeding device comprises a feed storage part having a discharge port for storing the feed and discharging the stored feed, and a spinneret disposed below the discharge port of the feed storage part and having a plurality of feed storage spaces A feeder unit for feeding the feeder to the web server; A motor unit connected to the feed supply unit for driving the feed supply unit to discharge feed stored in the feed storage space to an external feed container; And a feed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motor unit when it is receiv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원격 사료 급식 시스템은, 상기 모터부가 스테핑 모터로 이루어지고, 상기 급식 제어부는 상기 사료 급식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사료 공급부의 다수의 사료 수납공간이 순차적으로 상기 사료 저장부의 배출구 상에 위치되도록 상기 스테핑 모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urther, in the remote feed feed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otor unit is constituted by a stepping motor, and when the feed feed signal is received, the feed control unit sequentially feeds a plurality of feed storage spaces of the feed supply unit, And the stepping motor is controlled so that the stepping motor is positioned on the stepping motor.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원격 사료 급식 시스템은, 상기 자동 급식 장치가 영상을 촬영하는 영상 촬영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영상 촬영부는 설정된 시간 또는 상기 사료 공급부를 통해 사료가 상기 사료 용기에 배출되는 경우, 영상을 촬영하여 영상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웹 서버는 상기 영상 촬영부를 통해 생성된 영상정보를 수신하여 시간별로 구분하여 저장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으로부터 영상정보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저장된 영상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urther, the remote feed feed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image capturing unit for capturing an image of the automatic feeding device, and the image capturing unit may be configured such that, when the feed is discharged to the feed container through the feed time, The web server receives the image information generated through the image capturing unit and separately stores the image information by time, and when receiving the image information request from the user terminal, To the user terminal.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원격 사료 급식 시스템은, 상기 자동 급식 장치가 상기 사료 용기에 장착되어, 상기 사료 용기에 배출된 사료의 중량을 감지하는 중량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중량 감지부는, 감지된 사료의 중량 정보를 상기 웹 서버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remote feed feed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weight sensing unit mounted on the feed container to sense weight of the feed discharged to the feed container, And transmits the weight information of the feed to the web server.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원격 사료 급식 시스템은, 상기 웹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웹 페이지 또는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되면, 감지된 사료의 중량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remote feed feed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web server or the application is activated through the user terminal, the weight data of the detected feed is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원격 사료 급식 시스템은, 상기 자동 급식 장치가,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음향 출력부는 상기 사료 공급부를 통해 사료가 상기 사료 용기에 배출되는 경우, 그에 따른 음향을 출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remote feed feed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utomatic feeding device may further include an acoustic output unit for outputting sound, and the sound output unit may output, when the feed is discharged to the feed container through the feed supply unit, And outputs soun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원격 사료 급식 시스템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구동되는 웹 페이지 또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정된 시간 동안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remote feed feed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web page or an application driven through the user terminal is driven for a predetermined time.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원격 사료 급식 시스템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스마트폰(smartphone)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remote feed feed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user terminal is a smartphone.
본 발명의 원격 사료 급식 시스템에 따르면, 사용자가 외부에서 스마트폰 등의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웹 서버에 접속하고, 접속된 웹 서버의 제어에 의해 실시간으로 사료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인터넷이 되는 장소면 어디서든지 가정 내의 애완동물에게 사료를 배식해 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remote feeding feed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a user accesses a web server through a user terminal such as a smart phone from the outside, and provides the feed in real tim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nected web server, There is an advantage that you can feed your pets anywhere in the home.
또한, 본 발명의 원격 사료 급식 시스템에서는, 사료 급식 장치에 중량센서 등의 감지부를 부가하여 사료의 급식시 남은 양의 사료를 확인함으로써, 배출될 사료의 양을 제어하여 사료의 과잉 공급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In addition, in the remote feed feed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a sensing unit such as a weight sensor is added to the feed feeder to check the remaining amount of the feed when feeding the feed, thereby controlling the amount of the feed to be discharged, There is an advantage to be able to.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원격 사료 급식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급식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급식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BRIEF DESCRIPTION OF DRAWINGS FIG.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remote feed feed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utomatic feed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n automatic fee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detailed description of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give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Embodiments in accordance with the concep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ake various changes and have various forms, so that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is specification or application.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it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s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particular forms of disclosure,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It is to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elements in between. Other expressions that describe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onents, such as "between" and "between" or "neighboring to" and "directly adjacent to" should be interpreted as well.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s "comprises ",or" having ", or the like, specify that there is a stated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as a matter of principl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원격 사료 급식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remote feed feed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원격 사료 급식 시스템(1)은 스마트폰(100), 웹 서버(200) 및 자동 급식 장치(30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a remote
사용자가 데이터 처리 및 송수신이 가능한 사용자 단말기로 스마트폰(smartphone)(100)을 이용하여 외부에서 웹 서버(200)에 무선으로 접속할 수 있다. 즉, 스마트폰(100)에서 급식 버튼(110)을 활성화 시킬 수 있는 별도의 어플리케이션 또는 웹 페이지를 구동시키면, 웹 서버(200)에 접속될 수 있다. 또는, 스마트폰(100)이 웹 서버(200)와 통신을 수행하면, 어플리케이션 또는 웹 페이지가 자동으로 구동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A user terminal that can process data and transmit and receive data can access the
웹 서버(200)에 무선으로 접속하는 사용자 단말기는 스마트폰(100) 외에 퍼스널 컴퓨터, 휴대용 노트북 등 다양한 무선 통신 및 데이터 처리가 가능한 단말기를 사용할 수도 있다.
The user terminal wirelessly connecting to the
웹 서버(200)는 가정에 설치되어 애완동물(2)에게 자동으로 사료(3)를 제공할 수 있는 자동 급식 장치(30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웹 서버(200)는 자동 급식 장치(300)와 동일한 가정에 설치되거나, 원격지에 설치되어 다수의 자동 급식 장치와 연결될 수도 있다.
The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마트폰(100)에서 어플리케이션 또는 웹 페이지를 구동하여 급식 버튼(110)을 활성화 시킨 상태에서, 급식 버튼(110)에 대한 입력 신호가 웹 서버(200)에 송신되면, 웹 서버(200)에서는 사료 급식을 위한 제어신호를 자동 급식 장치(300)로 전송하여 저장된 사료를 일정량 배출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시간에 애완동물(2)에게 자동으로 사료(3)를 급식할 수 있다.
1, when an application or a web page is activated in the
또한, 스마트폰(100)에서 구동되는 웹 페이지 또는 어플리케이션은 기 설정된 시간 동안 구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a web page or an application running on the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급식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자동 급식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utomatic feed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n automatic feeding device.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자동 급식 장치(300)는 사료 용기(311)를 구비하는 본체(310)로 이루어지고, 이 본체(310)에 장착되어 사료를 저장하고 저장된 사료를 배출하는 배출구(321)가 형성된 사료 저장부(320), 사료 저장부의 배출구 하측에 배치되는 사료 공급부(330), 웹 서버(200)와 연결되어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340), 모터부(350), 급식 제어부(360), 영상 촬영부(370), 중량 감지부(380) 및 음향 출력부(390)를 포함할 수 있다.
1 to 3, the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료 저장부(320)에 형성된 배출구(321)는 사료가 배출되어 이동될 수 있도록 본체(310)에 형성된 사료 이동통로(312) 상에 위치되고, 사료 이동통로(312)를 통해 이동되는 사료는 배출구(321) 하측에 배치된 사료 공급부(330)에 제공될 수 있다.
2, the
사료 공급부(330)는 다수의 사료 수납공간(331)이 물레방아 형태로 이루어져, 각 사료 수납공간(331)에는 사료 저장부(320)로부터 배출되는 사료가 일정량 수납될 수 있다.
The
사료 공급부(330)에 연결된 모터부(350)는 스테핑 모터로 형성되어, 사료 공급부(330)를 회전 구동시키면, 사료 수납공간(331)에 수납되는 사료가 사료 공급부(330)의 하단에 배치되는 비탈면(313)을 따라 본체(310) 외측에 형성된 사료 용기(311)로 배출될 수 있다.
The
특히, 급식 제어부(360)는 통신부(340)를 통해 웹 서버(200)로부터 사료 급식 신호가 수신되면, 사료 공급부(330)에 형성된 사료 수납공간(331)이 순차적으로 사료 저장부(320)의 배출구(321), 바람직하게는 사료가 배출되는 이동통로(312)와 동일한 위치에 위치시키도록 모터부(350)를 제어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when the feed feed signal is received from the
음향 출력부(370)는 사료 공급부(330)를 통해 사료가 사료 용기(311)에 배출되는 경우, 애완동물(2)에게 사료가 배출되고 있음을 인지시키기 위해 그에 따른 음향을 출력시키도록 급식 제어부(36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The
본 발명의 자동 급식장치(300)에는 본체(310) 외부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캠코더, 웹 캠 등 다양한 형태의 영상 촬영부(37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영상 촬영부(370)는 설정된 시간 또는 사료 공급부(330)를 통해 사료가 배출되는 경우, 영상을 촬영하여 영상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The
웹 서버(200)에서는 영상 촬영부(370)를 통해 생성된 영상정보를 수신하여 시간별로 구분하여 저장하고, 스마트폰(100)으로부터 영상정보 요청에 대한 신호를 수신하면, 저장된 영상정보를 스마트폰(100)으로 전송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따라서, 사용자에게 제공된 영상정보는 애완동물의 상태 확인이나 보안 등의 목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Therefore, the image information provided to the user can be utilized for the purpose of checking the status of a pet or security.
또한, 자동 급식 장치(300)에는 사료 용기(311)에 장착되어 사료 공급부(330)를 통해 배출된 사료의 중량을 감지할 수 있는 중량 감지부(390)가 구비될 수 있다.
The
이 중량 감지부(390)는 감지되는 사료의 중량 정보를 웹 서버(200)에 실시간 또는 설정된 시간에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웹 서버(200)에서는 스마트폰(100)을 통해 웹 페이지 또는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되면, 감지된 사료의 중량 정보를 상기 스마트폰(100)으로 전송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The
따라서, 사료의 급식시 사용자로 하여금 남은 양의 사료를 확인할 수 있고, 특히,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스마트폰(100)에 활성화된 급식 버튼(110)에 대한 사료 급식 신호를 단계별로 설정하여 사료의 남은 양에 따라 배출될 사료의 양을 제어할 수 있도록 모터부(350)를 제어함으로써 사료의 과잉 공급을 방지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identify the remaining amount of the feed when the feed of the feed is performed. Particularly, although not specifically shown, the feed feed signal for the
상기 본 발명의 내용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will be.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1 : 원격 사료 급식 시스템
100 : 스마트폰
200 : 웹 서버
300 : 자동 급식 장치
310 : 본체
320 : 사료 저장부
330 : 사료 공급부
340 : 통신부
350 : 모터부
360 : 급식 제어부
370 : 음향 출력부
380 : 영상 촬영부
390 : 중량 감지부1: Remote feed feed system
100: Smartphone
200: Web server
300: Automatic feeding device
310:
320: feed storage unit
330: feeder
340:
350:
360:
370:
380:
390: Weight sensing unit
Claims (8)
상기 웹페이지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활성화된 급식 버튼의 신호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무선통신에 의해 수신하여 사료 급식 신호를 발생시키는 웹 서버; 및
상기 웹 서버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웹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사료 급식 신호를 수신하여 자동적으로 사료를 제공하는 자동 급식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자동 급식 장치는,
사료를 저장하고, 저장된 사료를 배출하는 배출구가 형성된 사료 저장부;
상기 사료 저장부의 배출구 하측에 배치되고, 다수의 사료 수납공간이 형성된 물레방아 형태로 이루어지는 사료 공급부;
상기 웹 서버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상기 사료 공급부에 연결되어, 사료 수납공간에 수납되는 사료를 외부의 사료 용기로 배출시키도록 상기 사료 공급부를 구동시키는 모터부;
상기 웹 서버로부터 상기 사료 급식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모터부를 제어하는 급식 제어부;
영상을 촬영하는 영상 촬영부; 및
상기 사료 용기에 장착되어, 상기 사료 용기에 배출된 사료의 중량을 감지하여 감지된 사료의 중량 정보를 상기 웹 서버에 전송하는 중량 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영상 촬영부는 설정된 시간 또는 상기 사료 공급부를 통해 사료가 상기 사료 용기에 배출되는 경우, 영상을 촬영하여 영상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웹 서버는 상기 영상 촬영부를 통해 생성된 영상정보를 수신하여 시간별로 구분하여 저장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영상정보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저장된 영상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웹 페이지 또는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되면, 감지된 사료의 중량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사료 급식 시스템.
A user terminal comprising a web page capable of activating the feed button or a smartphone driving an application;
A web server for receiving a signal of a service button activated through the web page or application from the user terminal by wireless communication to generate a feed feed signal; And
And an automatic feeding devic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web server and receiving feed feed signals transmitted from the web server and automatically feeding feed,
The automatic feeding device includes:
A feed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feed and having a discharge port for discharging the stored feed;
A feed supply unit disposed below the discharge port of the feed storage unit, the feed supply unit comprising a spinneret having a plurality of feed storage spaces;
A communication uni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web server to perform communication;
A motor unit connected to the feeder unit to drive the feeder unit to discharge feed stored in the feeder storage space to an external feeder container;
A feed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motor unit when the feed feed signal is received from the web server;
An image capturing unit for capturing an image; And
And a weight sensing unit mounted on the feed container to sense weight of the feed discharged to the feed container and transmit weight information of the sensed feed to the web server,
Wherein the image capturing unit captures an image and generates image information when a feed is discharged to the feed container through a predetermined time or the feed supplier,
The web server receives the image information generated through the image capturing unit and separately stores the image information by time, and when receiving the image information request from the user terminal, transmits the stored image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Wherein when the web page or the application is activated through the user terminal, weight information of the detected feed is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상기 모터부는 스테핑 모터로 이루어지고,
상기 급식 제어부는 상기 사료 급식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사료 공급부의 다수의 사료 수납공간이 순차적으로 상기 사료 저장부의 배출구 상에 위치되도록 상기 스테핑 모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사료 급식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otor unit comprises a stepping motor,
Wherein the feed control unit controls the stepping motor such that a plurality of feed storage spaces of the feed supply unit are sequentially positioned on an outlet of the feed storage unit when the feed feed signal is received.
상기 자동 급식 장치는,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음향 출력부는 상기 사료 공급부를 통해 사료가 상기 사료 용기에 배출되는 경우, 그에 따른 음향을 출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사료 급식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automatic feeding device includes:
Further comprising an acoustic output section for outputting sound,
Wherein the sound output unit outputs sound when the feed is discharged to the feed container through the feed supply unit.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구동되는 웹 페이지 또는 어플리케이션은 설정된 시간 동안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사료 급식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web page or the application driven through the user terminal is driven for a predetermined tim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03283A KR101402732B1 (en) | 2013-01-11 | 2013-01-11 | Ststem for providing fodder remotely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03283A KR101402732B1 (en) | 2013-01-11 | 2013-01-11 | Ststem for providing fodder remotely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402732B1 true KR101402732B1 (en) | 2014-06-03 |
Family
ID=511315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03283A Active KR101402732B1 (en) | 2013-01-11 | 2013-01-11 | Ststem for providing fodder remotely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02732B1 (en)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58631A (en) * | 2014-11-17 | 2016-05-25 |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 Electronic growing-finishing pigs feeder device |
KR101721386B1 (en) * | 2016-12-07 | 2017-03-30 | 송수한 | Automatic feeding movable apparatus, care robot for companion animal, care system for companion animal having the same and control method thereof |
KR101756360B1 (en) * | 2014-12-31 | 2017-07-11 | 홍상민 | Smart feeding device for pet and smart feeding system using the same |
KR20190076395A (en) | 2017-12-22 | 2019-07-02 | 정승언 | Pet Care System |
WO2020045700A1 (en) * | 2018-08-29 | 2020-03-05 | 주식회사 네오디스 | Docking station apparatus for smart moveable apparatus for companion animal care, and system comprising same |
KR102433250B1 (en) | 2022-01-17 | 2022-08-18 | 주식회사 경일 | pet house |
KR20230120459A (en) | 2022-02-09 | 2023-08-17 | 태형물산 주식회사 | Auto supply system for pet food of IoT based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564471B2 (en) * | 1994-09-28 | 1996-12-18 | 睦男 田中 | Monitoring system |
KR101150301B1 (en) * | 2009-10-30 | 2012-06-08 | 송희영 | Automatic feeding apparatus for a pet |
-
2013
- 2013-01-11 KR KR1020130003283A patent/KR101402732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564471B2 (en) * | 1994-09-28 | 1996-12-18 | 睦男 田中 | Monitoring system |
KR101150301B1 (en) * | 2009-10-30 | 2012-06-08 | 송희영 | Automatic feeding apparatus for a pet |
Cited B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58631A (en) * | 2014-11-17 | 2016-05-25 |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 Electronic growing-finishing pigs feeder device |
KR101677087B1 (en) * | 2014-11-17 | 2016-11-17 | 대한민국 | Electronic growing-finishing pigs feeder device |
KR101756360B1 (en) * | 2014-12-31 | 2017-07-11 | 홍상민 | Smart feeding device for pet and smart feeding system using the same |
KR101721386B1 (en) * | 2016-12-07 | 2017-03-30 | 송수한 | Automatic feeding movable apparatus, care robot for companion animal, care system for companion animal having the same and control method thereof |
WO2018105836A1 (en) * | 2016-12-07 | 2018-06-14 | 송수한 | Movable automatic feeding device, companion animal care robot, companion animal care system comprising sam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
KR20190076395A (en) | 2017-12-22 | 2019-07-02 | 정승언 | Pet Care System |
WO2020045700A1 (en) * | 2018-08-29 | 2020-03-05 | 주식회사 네오디스 | Docking station apparatus for smart moveable apparatus for companion animal care, and system comprising same |
KR102433250B1 (en) | 2022-01-17 | 2022-08-18 | 주식회사 경일 | pet house |
KR20230120459A (en) | 2022-02-09 | 2023-08-17 | 태형물산 주식회사 | Auto supply system for pet food of IoT based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402732B1 (en) | Ststem for providing fodder remotely | |
US10412933B2 (en) | Animal housebreaking device and animal housebreak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 |
US8917172B2 (en) | Wireless pet barrier using RFID | |
KR101756360B1 (en) | Smart feeding device for pet and smart feeding system using the same | |
ES2753298T3 (en) | System and procedure for remote monitoring and feeding of pets | |
WO2009063415A2 (en) | Smart automatic animals feeder (saaf) | |
KR101256054B1 (en) | Pet care system and method using two-way communication | |
US8863689B2 (en) | Animal feeding system | |
KR101713198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companion animals | |
US8555812B2 (en) | Remote monitoring system for ground-based game feeder, varmint guard, tray and skirt assembly and quail feeder | |
US20150373945A1 (en) | Smart Animal Feeder | |
US20140149546A1 (en) | Remote communication system for communication with companion animal and remote communication method with companion animal using the same | |
US20100162960A1 (en) | Automatic Livestock Feeder System | |
KR20160005456A (en) | System and method for adjusting the feed according to the activity of animal | |
KR101889460B1 (en) | Automatic feeding system for pet noticing user by detecting pet's movement using sensing module | |
JP2018099098A5 (en) | ||
KR20170000956A (en) | health management system for companion animal | |
KR102114780B1 (en) | Auto feeding device using ICT for companion animal and auto feeding system for companion animal using the same | |
KR20210074087A (en) | Smart cage system for pets | |
WO2019058311A1 (en) | Pet feeding device | |
KR20210128609A (en) | Modular form of pet care robot using sensor system | |
TWI634526B (en) | Pet dog home care system | |
CN210869307U (en) | Remote pet monitoring and feeding system | |
US20170372567A1 (en) | Pet communication device | |
KR20220125656A (en) | User terminal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11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1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527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5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405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504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50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503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50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50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51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42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331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