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402379B1 - 검체 분석 키트용 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검체 분석용 키트 - Google Patents

검체 분석 키트용 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검체 분석용 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2379B1
KR101402379B1 KR1020120096465A KR20120096465A KR101402379B1 KR 101402379 B1 KR101402379 B1 KR 101402379B1 KR 1020120096465 A KR1020120096465 A KR 1020120096465A KR 20120096465 A KR20120096465 A KR 20120096465A KR 101402379 B1 KR101402379 B1 KR 1014023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cimen
reaction
kit
sample
inner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64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29940A (ko
Inventor
배병우
이성동
강래호
신지훈
홍주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포피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포피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포피아
Priority to KR10201200964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2379B1/ko
Priority to US14/013,907 priority patent/US9714903B2/en
Priority to EP13182195.1A priority patent/EP2703803A3/en
Priority to EP13182196.9A priority patent/EP2703804A3/en
Priority to US14/013,946 priority patent/US20140065033A1/en
Priority to CN201310390954.3A priority patent/CN103675257A/zh
Priority to CN201310390989.7A priority patent/CN103868912A/zh
Publication of KR201400299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99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23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23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75Systems in which material is subjected to a chemical reaction, the progress or the result of the reaction being investigated
    • G01N21/77Systems in which material is subjected to a chemical reaction, the progress or the result of the reaction being investigated by observing the effect on a chemical indicator
    • G01N21/78Systems in which material is subjected to a chemical reaction, the progress or the result of the reaction being investigated by observing the effect on a chemical indicator producing a change of colou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50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 B01L3/502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with fluid transport, e.g. in multi-compartment structu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75Systems in which material is subjected to a chemical reaction, the progress or the result of the reaction being investigate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483Investigating reagent ban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2Use of compounds or compositions for colorimetric, spectrophotometric or fluorometric investigation, e.g. use of reagent paper and including single- and multilayer analytical el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4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with an insoluble carrier for immobilising immunochemicals
    • G01N33/54366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solid-phase testing
    • G01N33/54386Analytical elements
    • G01N33/54387Immunochromatographic test strip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1/00Features of devices classified in G01N21/00
    • G01N2201/02Mechanical
    • G01N2201/022Casings
    • G01N2201/0221Portable; cableless; compact; hand-hel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5/00Chemistry: molecular biology and microbiology
    • Y10S435/975Ki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mat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ath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techn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Plasma & Fusion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Automatic Analysis And Handling Material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체 분석 키트용 케이스는 검체가 투입되도록 하는 투입부 및 상기 검체와 반응패드와의 반응결과를 외부로 노출시키도록 하는 표시부를 구비하는 커버부; 상기 커버부와 체결되어 소정의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받침부; 및 상기 투입부에 관통형성되어 상기 검체가 상기 내부공간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다수의 투입공;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검체 분석 키트용 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검체 분석용 키트{Case for analyzing specimen and kit for analyzing specimen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검체 분석 키트용 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검체 분석용 키트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한번의 검체 투입으로 멀티 특성을 분석하도록 하는 검체 분석 키트용 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검체 분석용 키트에 관한 것이다.
최근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생체 시료를 이용해서 신체의 건강상태를 분석하는 기술들이 다양하게 소개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진단 키트를 이용하면 미량의 생체 시료를 분석하여 쉽게 건강상태를 체크할 수 있다.
이러한 진단 키트를 사용하는 경우 최종 결과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진단 키트에서 생체 시료에 의해 발생하는 항원-항체 반응 혹은 효소 반응에 의한 반응 결과가 나타나야 하며, 이 결과를 카메라 등으로 촬영하여 분석함으로써 최종 결과를 알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진단 키트는 생체 시료를 투입하기 위한 투입공을 구비하고 있으며, 하나의 진단 키트로 하나의 특성을 분석할 수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혈액과 같은 생체 시료에는 무수히 많은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상기 혈액으로부터 많은 정보를 분석하기 위해 각각 별개의 진단 키트를 사용하는 것은 비용적인 면이나 효율성 측면에서 문제가 아닐 수 없다.
따라서, 진단 키트를 이용하여 신체의 건강상태를 분석하는데 있어서, 저비용이면서도 효율성은 극대화되도록 하는 연구가 시급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한번의 검체 투입으로 검체의 멀티적인 특성을 동시에 분석함으로써 저비용 및 고효율을 구현시키도록 하는 검체 분석 키트용 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검체 분석용 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체 분석 키트용 케이스는 검체가 투입되도록 하는 투입부 및 상기 검체와 반응패드와의 반응결과를 외부로 노출시키도록 하는 표시부를 구비하는 커버부; 상기 커버부와 체결되어 소정의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받침부; 및 상기 투입부에 관통형성되어 상기 검체가 상기 내부공간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다수의 투입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체 분석 키트용 케이스의 상기 투입부는 상기 커버부의 상면으로부터 함입되어 상기 내부공간을 향해 돌출되며, 상기 투입공은 상기 투입부의 바닥면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체 분석 키트용 케이스의 상기 받침부는 다수의 상기 투입공을 통해 상기 내부공간으로 유입된 상기 검체가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투입공과 대응되는 영역을 분리하는 적어도 하나의 구획벽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체 분석 키트용 케이스의 상기 구획벽은 상기 받침부의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내부공간을 향해 돌출 형성되며, 다수의 상기 투입공의 사이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체 분석 키트용 케이스의 상기 받침부는 상기 구획벽의 외측에 형성되어 상기 반응패드의 일측단을 상기 받침부에 고정시키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벽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체 분석 키트용 케이스의 상기 받침부는 상기 반응패드의 타측단을 고정시키도록 상기 고정벽과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고정대응벽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체 분석 키트용 케이스의 상기 받침부는 상기 반응패드의 타측단을 고정시키도록 상기 구획벽과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구획대응벽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체 분석 키트용 케이스의 상기 커버부는 상기 내부공간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반응패드를 가압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압돌기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체 분석 키트용 케이스의 상기 커버부는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검체와 상기 반응패드와의 반응결과에 대한 정보를 얻기 위한 식별 코드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검체 분석용 키트는 검체 분석 키트용 케이스; 및 상기 투입공과 대응되도록 상기 내부공간에 배치되는 반응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검체 분석 키트용 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검체 분석용 키트에 의하면, 한번의 검체 투입으로 검체의 멀티적인 특성을 동시에 분석할 수 있다.
또한, 검체의 멀티적인 특성을 동시에 분석하는 과정에서 검체끼리의 간섭을 미연에 방지하여 보다 정확한 분석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나아가, 저비용 및 고효율을 구현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체 분석 키트용 케이스를 포함하는 검체 분석용 키트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체 분석 키트용 케이스를 포함하는 검체 분석용 키트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체 분석 키트용 케이스를 포함하는 검체 분석용 키트를 도시한 개략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2의 AA선에 따른 단면도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체 분석 키트용 케이스를 포함하는 검체 분석용 키트를 도시한 개략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검체 분석 키트용 케이스를 포함하는 검체 분석용 키트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검체 분석 키트용 케이스를 포함하는 검체 분석용 키트를 도시한 개략 분해 사시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체 분석 키트용 케이스를 포함하는 검체 분석용 키트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체 분석 키트용 케이스를 포함하는 검체 분석용 키트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체 분석 키트용 케이스를 포함하는 검체 분석용 키트를 도시한 개략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의 AA선에 따른 단면도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체 분석 키트용 케이스를 포함하는 검체 분석용 키트를 도시한 개략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검체 분석용 키트(10)는 검체 분석 키트용 케이스(100, 이하 케이스) 및 반응패드(1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케이스(100)는 소정의 내부공간(S)을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내부공간(S)에 상기 반응패드(130)가 배치될 수 있다.
즉, 혈액 등으로부터 채취된 검체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반응패드(130)의 반응영역으로 이동하여 반응을 하게 되는데, 상기 반응영역의 결과를 검체 반응 결과라고 정의한다.
예를 들어, 혈액 등으로부터 채취된 검체가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반응영역으로 이동하여 반응을 하게 하면 상기 검체에 포함된 분석물질의 농도에 따른 이동속도 차이에 의해 반응영역에 변화가 발생하게 되며, 이때, 반응영역의 변화된 색이 검체 반응 결과가 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검체는 항원일 수 있고, 검체 반응 결과는 항원-항체 반응 결과일 수 있다.
여기서, 항원은 Myoglobin, Creatine Kinase-MB(CK-MB), Troponin I, Pro-BNP 또는 D-dimer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항원은 종양 마커(tumor marker)일 수 있다. 가령, 이 종양 마커는 재발성 유방암 마커인 CA15-3이거나, 직장암 및 췌장암 마커인 CA19-9이거나, 난소암 마커인 CA125이거나, 직장암, 폐암, 췌장암, 소화기암 및 유방암 마커인 CEA이거나, 전립선암 마커인 PSA이거나, 간암 마커인 AFP일 수 있다.
다만, 이는 하나의 예에 불과하고 다양한 검체에 대해 분석할 수 있고, 이에 대한 검체 반응 결과도 다양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검체 분석용 키트(10)는 한번의 검체 투입으로 상기 검체의 멀티적인 특성을 동시에 분석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상기 케이스(100)에는 다수의 투입공(114)이 형성될 수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케이스(100)는 커버부(110) 및 상기 커버부(110)와 체결되어 소정의 내부공간(S)을 형성하도록 하는 받침부(12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커버부(110)는 다수의 투입공(114)이 형성되는 투입부(112) 및 표시부(116)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투입부(112)는 상기 커버부(110)의 상면으로부터 함입되어 내부공간(S)을 향해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바닥면에는 다수의 상기 투입공(114)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검체가 투입부(112)에 투입되면, 상기 검체는 다수의 상기 투입공(114)을 통해 내부공간(S)으로 유입될 수 있으며, 상기 검체는 상기 투입공(114)의 하측에 배치되는 반응패드(130)에 스며들어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상기 반응패드(130)의 반응영역으로 이동하게 된다.
한편, 반응패드(130)의 반응영역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검체의 분석물질의 농도에 따른 이동속도에 의해 색 변화가 발생되는 영역으로, 검체 반응 결과를 보여주는 영역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반응패드(130)의 반응영역은 사용자가 식별하도록 하는 동시에 카메라(C)를 구비하는 측정장치(미도시)에 검체 분석용 키트(10)를 삽입하고 카메라(C)에 의해 반응영역에 표시된 검체 반응 결과를 촬영하여 촬영된 영상을 토대로 검체의 분석 결과를 얻기 위해 외부로 노출시킬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 커버부(110)에는 표시부(116)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116)는 투입부(112)와 이웃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며, 다수의 반응패드(130)의 반응영역을 모두 노출시키도록 하는 일종의 홀일 있다.
따라서, 상기 표시부(116)는 다수의 상기 반응패드(130)의 반응영역의 크기보다 다소 크게 형성될 수 있으며, 결국, 다수의 상기 반응패드(130)의 반응영역의 크기에 종속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반응패드(130)는 상기 투입공(114)에 각각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각각의 상기 투입공(114)으로터 유입된 검체는 서로 간섭되지 않은 채 서로 다른 반응패드(130)에 스며들 수 있다.
예를 들어, 투입부(112)에 혈액 등의 검체가 투입되면, 상기 검체는 다수의 투입공(114)을 관통하여 다수의 반응패드(130)에 각각 스며들게 되며, 각각의 반응패드(130)에 의해 상기 검체의 멀티적인 특성을 동시에 분석할 수 있다.
여기서, 도 1 내지 도 4에서는 2개의 반응패드(130) 및 2개의 투입공(114)를 구비하여 하나의 검체로부터 2개의 검체 반응 결과를 얻을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검체 반응 결과의 수는 투입공(114) 및 반응패드(130)의 수를 달리함으로써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도 5 및 도 6 참조).
여기서, 투입공(114)으로부터 유입된 검체의 간섭 방지는 각각의 반응패드(130)를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구획벽(122)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상기 구획벽(122)은 상기 투입공(114)과 대응되는 내부공간(S)을 분리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검체 분석용 키트(10)는 검체의 멀티적인 특성을 동시에 분석하는 과정에서 검체끼리의 간섭을 미연에 방지하여 보다 정확한 분석 결과를 얻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검체끼리의 간섭을 방지하는 상기 구획벽(122)은 받침부(120)의 바닥면으로부터 내부공간(S)을 향하여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다수의 상기 투입공(114)의 사이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구획벽(122)은 반응패드(130)의 일측단의 일측면을 지지하여 상기 반응패드(130)를 상기 투입공(114)과 대응되는 위치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반응패드(130)의 일측단의 타측면은 상기 구획벽(122)의 외측에 형성되는 고정벽(124)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반응패드(130)는 상기 투입공(114)으로부터 유입되는 검체에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내부공간(S) 내에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이격된 채 내부공간(S) 내에서 안정적으로 고정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받침부(120)는 바닥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구획벽(122) 및 고정벽(124)에 의해 각각 반응패드(130)의 일측단의 일측면 및 타측면을 지지함으로써 이를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반응패드(130)의 타측단의 일측면 및 타측면은 구획벽(122) 및 고정벽(124)과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구획대응벽(122') 및 고정대응벽(124')에 의해 지지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상기 반응패드(130)는 안정적으로 내부공간(S)에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내부공간(S)에 배치되는 반응패드(130)는 적어도 하나의 가압돌기(118)에 의해서도 가압력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상기 가압돌기(118)는 상기 커버부(110)의 상측 내측면으로부터 상기 내부공간(S)을 향해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가압돌기(118)는 구획벽(122) 및 고정벽(124)과 구획대응벽(122') 및 고정대응벽(124')의 사이에 형성되어 반응패드(130)의 일면을 가압할 수 있으며, 가압되는 부분은 반응패드(130)의 반응영역의 외측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반응패드(130)는 검체 반응 결과를 보여주는 영역인 반응영역에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은 채 상기 반응영역 이외의 부분을 가압하는 가압돌기(118)에 의해 내부공간(S) 내에서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케이스(100)를 구성하는 커버부(110)와 받침부(200)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부(119) 및 적어도 하나의 체결대응부(129)에 의해 서로 체결될 수 있으며, 상기 체결부(119)와 상기 체결대응부(129)는 억지끼움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즉, 상기 체결부(119)는 돌기 형상으로 커버부(110)의 내측 상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체결대응부(129)는 홈의 형상으로 받침부(120)의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커버부(110)와 상기 받침부(120)는 상기 체결부(119)가 상기 체결대응부(129)에 억지끼워짐으로써 서로 체결될 수 있으며, 상기 체결부(119)와 상기 체결대응부(129)는 서로 반대되는 위치에 형성되어도 무방할 수 있다.
한편, 커버부(110)의 일측 및 타측에는 검체와 상기 반응패드(130)와의 반응결과에 대한 정보를 얻기 위한 식별 코드(111) 및 리브(113)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식별코드(111)는 검체 반응 결과에 대한 유효한 정보를 얻기 위해 필요한 별도의 코드값을 포함하는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식별코드(111)는 본 발명에 따른 검체 분석용 키트(10)의 생산 로트 정보(Manufacturing lot information)일 수 있다.
이러한 검체 분석용 키트(10)의 생산 로트 정보는 검체 반응 결과의 판독 결과를 캘리브레이션(calibration)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식별코드(111)는 검체 분석용 키트(10)의 유효 일자(expire date)일 수 있다. 유효 일자를 포함하는 식별코드(111)는 검체 분석용 키트(10)의 사용여부를 결정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식별코드(111)는 바코드, 컬러 패턴, 숫자 혹은 문자 등과 같이 다양할 수 있으며, 검체 반응 결과와 식별코드(111)가 일면에 구비된 검체 분석용 키트(10)를 촬영을 위한 카메라(C)를 구비하는 측정장치(미도시)에 삽입하고 카메라(C)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토대로 검체의 분석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검체의 분석 결과를 얻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검체 분석용 키트(10)를 측정장치에 삽입하면, 초기 삽입단계에서 식별코드(111)가 우선적으로 카메라(C)에 의해 촬영되고, 삽입이 완료되면 상기 카메라(C)는 표시부(116)에 나타나는 검체 반응 결과를 촬영하게 된다(도 1 참조).
이후에는 제어부에 의해 식별코드(111) 영상의 판독 결과를 이용해 검체 반응 결과의 판독 결과를 분석하여 분석 결과를 출력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식별코드(111)가 검체 분석용 키트(10)의 생산 로트 정보인 경우 제어부는 식별코드(111)로부터 판독된 생산 로트 정보를 사용해 검체 반응 결과의 판독 결과를 캘리브레이션(calibration)한다.
한편, 식별코드(111)가 검체 분석용 키트(10)의 유효 일자(expire date)인 경우, 제어부는 식별코드(111)의 판독 결과에 따라 유효 일자가 지난 경우에는 에러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한다.
또한, 식별코드(111)가 검체 분석용 키트(10)에서 분석될 검체의 종류를 나타내는 경우, 제어부는 촬영된 식별코드(111)의 판독 결과에 따른 분석될 검체 종류가 측정장치가 분석하는 검체 종류에 해당되지 않는 경우에는 분석이 불가능하다는 에러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리브(113)는 본 발명에 따른 검체 분석용 키트(10)를 상기 측정장치(미도시)에 삽입하는 경우 미끄럼을 방지하도록 하는 일종의 미끄럼방지구조물일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검체 분석 키트용 케이스를 포함하는 검체 분석용 키트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검체 분석 키트용 케이스를 포함하는 검체 분석용 키트를 도시한 개략 분해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검체 분석 키트용 케이스(200)를 포함하는 검체 분석용 키트(20)는 구획벽(222), 고정벽(224), 구획대응벽(222') 및 고정대응벽(224')의 갯수를 제외하고는 도 1 내지 도 4를 참조로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검체 분석 키트용 케이스(100)를 포함하는 검체 분석용 키트(10)와 구성 및 효과가 동일하므로, 상기 구획벽(222), 상기 고정벽(224), 상기 구획대응벽(222') 및 상기 고정대응벽(224') 이외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우선, 도 5 및 도 6은 케이스(200)의 커버부(210)에 형성된 3개의 투입공(214) 및 3개의 반응패드(230)를 구비하여 하나의 검체로부터 3개의 검체 반응 결과를 얻을 수 있으며, 각각의 반응패드(230)에 의해 상기 검체의 3가지의 멀티적인 특성을 동시에 분석할 수 있다.
이를 위해, 3개의 반응패드(230)는 받침부(220)에 형성되는 구획벽(222) 및 고정벽(224)에 의해 내부공간(S)에 고정될 수 있으며, 가운데에 배치되는 반응패드(230)는 상기 구획벽(222)만으로 고정될 수 있다.
즉, 외측에 배치되는 반응패드(230)는 일측단의 일측면 및 타측면을 각각 지지하는 구획벽(222) 및 고정벽(224)에 의해 지지될 수 있으며, 상대적으로 가운데 배치되는 반응패드(230)는 2개의 구획벽(222)에 의해 일측단의 일측면 및 타측면이 지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반응패드(230)의 타측단의 지지력은 상기 구획벽(222) 및 상기 고정벽(224)과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구획대응벽(222') 및 고정대응벽(224')에 의해 지지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상기 반응패드(230)는 안정적으로 내부공간(S)에 고정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구획벽(222), 상기 고정벽(224), 상기 구획대응벽(222') 및 상기 고정대응벽(224')은 투입공(214)의 수 및 반응패드(230)의 수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는 것이다.
즉, 투입공(214) 및 반응패드(230)의 수는 3개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구획벽(222), 상기 고정벽(224), 상기 구획대응벽(222') 및 상기 고정대응벽(224')의 수도 달라질 수 있는 것이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0, 20: 검체 분석용 키트
100, 200: 검체 분석 키트용 케이스
110, 210: 커버부
120, 220: 받침부
130, 230: 반응패드

Claims (10)

  1. 검체가 투입되도록 하는 투입부 및 상기 검체와 반응패드와의 반응결과를 외부로 노출시키도록 하는 표시부를 구비하는 커버부;
    상기 커버부와 체결되어 소정의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받침부; 및
    상기 투입부에 관통형성되어 상기 검체가 상기 내부공간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다수의 투입공;을 포함하며,
    상기 받침부는 다수의 상기 투입공을 통해 상기 내부공간으로 유입된 상기 검체가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투입공과 대응되는 영역을 분리하는 적어도 하나의 구획벽을 구비하는 검체 분석 키트용 케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부는 상기 커버부의 상면으로부터 함입되어 상기 내부공간을 향해 돌출되며,
    상기 투입공은 상기 투입부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검체 분석 키트용 케이스.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벽은 상기 받침부의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내부공간을 향해 돌출 형성되며, 다수의 상기 투입공의 사이사이에 배치되는 검체 분석 키트용 케이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는 상기 구획벽의 외측에 형성되어 상기 반응패드의 일측단을 상기 받침부에 고정시키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벽을 구비하는 검체 분석 키트용 케이스.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는 상기 반응패드의 타측단을 고정시키도록 상기 고정벽과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고정대응벽을 구비하는 검체 분석 키트용 케이스.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는 상기 반응패드의 타측단을 고정시키도록 상기 구획벽과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구획대응벽을 구비하는 검체 분석 키트용 케이스.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내부공간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반응패드를 가압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압돌기를 구비하는 검체 분석 키트용 케이스.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검체와 상기 반응패드와의 반응결과에 대한 정보를 얻기 위한 식별 코드를 구비하는 검체 분석 키트용 케이스.
  10. 제1항, 제2항, 제4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검체 분석 키트용 케이스; 및
    상기 투입공과 대응되도록 상기 내부공간에 배치되는 반응패드;를 포함하는 검체 분석용 키트.




KR1020120096465A 2012-08-31 2012-08-31 검체 분석 키트용 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검체 분석용 키트 KR1014023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6465A KR101402379B1 (ko) 2012-08-31 2012-08-31 검체 분석 키트용 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검체 분석용 키트
US14/013,907 US9714903B2 (en) 2012-08-31 2013-08-29 Case for specimen analyzing kit, kit for specimen analyzing, specimen analysis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of specimen analysis apparatus
EP13182195.1A EP2703803A3 (en) 2012-08-31 2013-08-29 Case for specimen analyzing kit, kit for specimen analyzing, specimen analysis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of specimen analysis apparatus
EP13182196.9A EP2703804A3 (en) 2012-08-31 2013-08-29 Case for specimen analyzing kit, kit for specimen analyzing, specimen analysis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of specimen analysis apparatus
US14/013,946 US20140065033A1 (en) 2012-08-31 2013-08-29 Case for specimen analyzing kit, kit for specimen analyzing, specimen analysis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of specimen analysis apparatus
CN201310390954.3A CN103675257A (zh) 2012-08-31 2013-09-02 标本分析试剂盒用外壳、标本分析用试剂盒、标本分析装置及标本分析装置的控制方法
CN201310390989.7A CN103868912A (zh) 2012-08-31 2013-09-02 标本分析试剂盒用外壳、标本分析用试剂盒、标本分析装置及标本分析装置的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6465A KR101402379B1 (ko) 2012-08-31 2012-08-31 검체 분석 키트용 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검체 분석용 키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9940A KR20140029940A (ko) 2014-03-11
KR101402379B1 true KR101402379B1 (ko) 2014-06-03

Family

ID=506427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6465A KR101402379B1 (ko) 2012-08-31 2012-08-31 검체 분석 키트용 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검체 분석용 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237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10663A (en) * 1997-05-13 2000-01-04 Ansys, Inc. Die cut reagent membrane, holder
KR200299628Y1 (ko) * 2002-10-12 2003-01-03 주식회사 비엘에스 진단 시약 장치
KR200357467Y1 (ko) * 2003-12-29 2004-07-30 최세묵 다중검사가 가능한 진단 키트
US20090320623A1 (en) * 2007-03-24 2009-12-31 Michael Matallana-Kielmann Device for a test strip holder, method and arrangemen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10663A (en) * 1997-05-13 2000-01-04 Ansys, Inc. Die cut reagent membrane, holder
KR200299628Y1 (ko) * 2002-10-12 2003-01-03 주식회사 비엘에스 진단 시약 장치
KR200357467Y1 (ko) * 2003-12-29 2004-07-30 최세묵 다중검사가 가능한 진단 키트
US20090320623A1 (en) * 2007-03-24 2009-12-31 Michael Matallana-Kielmann Device for a test strip holder, method and arrange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9940A (ko) 2014-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19644C2 (ru) Устройство,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для количественного измерения аналита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камеры
EP2795328B1 (en) Integrated test device for optical and electrochemical assays
CN105388144B (zh) 用于纸基传感器的稳健比色处理方法
US9377475B2 (en) Optical assay device with pneumatic sample actuation
JP4804535B2 (ja) 分析試験エレメント上の試料の分析のための分析システム
US9140693B2 (en) Integrated test device for optical detection of microarrays
US20130162981A1 (en) Reader Devices for Optical and Electrochemical Test Devices
WO2016166415A1 (en) Lateral flow device, assay device and kit and method for analyzing a fluid sample
CN105874053A (zh) 配有一体化的反应和检测装置的多槽试杯
KR20080074119A (ko) 유체를 테스팅하기 위한 디바이스
CN108350482A (zh) 用于侧流测试条固定器的系统和方法
US8619253B2 (en) Multi-parameter integrated cuvette pool
JP2012507703A (ja) マルチチャンバー・カートリッジを有するバイオセンサー
CN115038956A (zh) 色谱检查装置及其控制方法
KR101402379B1 (ko) 검체 분석 키트용 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검체 분석용 키트
KR101402582B1 (ko) 검체 분석용 키트
CN109804237B (zh) 用于样品的分析检查的测试元件分析系统
CN105866116A (zh) 采用颜色传感器对试纸进行一对一检测的装置
US20140326598A1 (en) Module-type biosensor
KR101388834B1 (ko) 검체 분석 장치
KR101104400B1 (ko) 생체물질을 측정하는 바이오센서
KR101388764B1 (ko) 검체 분석용 키트 및 이를 포함하는 검체 분석 장치
KR20200029677A (ko) 체외 진단 스트립 측정용 형광 리더기
CN103115898B (zh) 一种测试载体上化验结果的读取设备
KR101795481B1 (ko) 체크 카세트, 측정 장치, 측정 장치용 광원의 광량 보정 시스템, 측정 장치용 광원의 광량 보정 방법 및 기록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83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10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42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5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05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1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51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8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50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30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4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50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