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402031B1 -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 k154를 이용한 gaba 증진 발효 식물 추출물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 k154를 이용한 gaba 증진 발효 식물 추출물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2031B1
KR101402031B1 KR1020120117656A KR20120117656A KR101402031B1 KR 101402031 B1 KR101402031 B1 KR 101402031B1 KR 1020120117656 A KR1020120117656 A KR 1020120117656A KR 20120117656 A KR20120117656 A KR 20120117656A KR 101402031 B1 KR101402031 B1 KR 1014020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ba
lactobacillus plantarum
plant extract
starter
ms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76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51543A (ko
Inventor
이삼빈
양선아
김지은
김민아
정연섭
임상동
허담
최성기
이준엽
박수현
Original Assignee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식회사 비락
(주)옴니허브
한국식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식회사 비락, (주)옴니허브, 한국식품연구원 filed Critical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1176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2031B1/ko
Publication of KR201400515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15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20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20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35Bacteria or derivatives thereof, e.g. probiotic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5Bacterial isola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01Bacteria or Actinomycetales ;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 C12R2001/225Lactobacillus
    • C12R2001/25Lactobacillus plantarum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ir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otan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 K154를 이용한 GABA 증진 발효 식물 추출물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배지에서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을 배양하여 스타터(starter)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 스타터를 0.1 내지 10 중량% 글루코즈(glucose) 및 0.1 내지 5 중량% 효모추출물(yeast extract)이 포함된 식물 추출물에 접종하는 단계; 및 상기 접종된 식물 추출물을 발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감마-아미노뷰티르산(gamma-aminobutyric acid; GABA)이 증진된 발효 식물 추출물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세하게는, 상기 배지에는 0.1 내지 5 중량% 모노소듐 글루타메이트(mono sodium glutamate; MSG)를 더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GABA가 증진된 발효 식물 추출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 K154를 이용한 GABA 증진 발효 식물 추출물 제조방법{Method for producing fermented herb extract with high GABA content using Lactobacillus plantarum K154}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K154를 이용하여 감마-아미노뷰티르산(gamma-aminobutyric acid; GABA)이 증진된 발효 식물 추출물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감마-아미노뷰티르산(gamma-aminobutyric acid; GABA)은 억제성 신경전달물질로서 혈압상승을 억제하고 시력증진에 효과가 있으며 불안감, 초조감 등을 진정시키는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진 물질이다. 동물의 경우 뇌, 심장, 폐, 신장 등에 분포되어 있으며, 식물의 경우 발아현미, 녹차 등에서 주로 발견되고 있다. 스트레스에 시달리는 현대인이나 수험생, 알코올 과다 섭취자의 경우 뇌와 혈중 GABA 농도가 낮은 것으로 보고되어 있으며, 체내 GABA 농도의 극심한 부족은 발작, 경련, 간질 증세를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GABA의 기능성이 알려지면서 의약품으로서 뿐만 아니라 기능성 식품 소재로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현재 GABA는 현미, 녹차, 맥아, 배추 등에 자연적으로 약간 함유되어 있으나, 그 함량이 낮아 자연 식품으로 섭취하는 양으로는 생리활성을 기대하기 어렵다. 이러한 식물들의 GABA 함유량을 높이기 위해서 차잎과 보리맥아 제조시 발아된 보리의 혐기적 처리와 현미 발아시 글루탐산(glutamic acid) 첨가를 통하여 식물체 내 GABA 함량을 증가시켰다(Chang et al., 1992; Jeon et al., 2004; Park et al., 2001; Yokoyama et al., 2002). 그러나 식물을 원재료로 한 GABA의 생산에는 한계가 있으므로 GABA 대량생산을 위해 미생물을 이용한 많은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이중 젖산균은 인간이 이용할 수 있는 가장 유익한 미생물의 한 종류로서 예로부터 발효 유제품을 중심으로 장류, 김치, 젓갈, 소시지, 의약품 등에 걸쳐 인류생활에 폭넓게 활용되어 내려오고 있다. 하지만, GABA를 생산하는 균주의 분리 및 개량에 대한 연구는 다양한 측면에서 이루어진데 반해 GABA의 함량을 높인 식품이나 기능성 음료에 관한 연구는 아직 미비한 실정이다.
한편, 한국등록특허 제0404921호에서는 건망증 개선 효능이 있는 총명차의 제조방법을 개시하고 있으나, 이는 원지, 감초 등의 한방 생약재가 혼합된 총명차로서 젖산균을 이용한 발효나 GABA에 대한 언급이 없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총명탕의 주요 약재로 사용되는 석창포, 원지 및 복령 추출물의 젖산 발효를 통해 GABA 함량을 증진시킨 발효 식물 추출물을 제조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젖산균인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K154 스타터를 이용하여 감마-아미노뷰티르산(gamma-aminobutyric acid; GABA)이 증진된 발효 식물 추출물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GABA가 증진된 발효 식물 추출물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배지에서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Lactobacillus plantarum)을 배양하여 스타터(starter)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 스타터를 0.1 내지 10 중량% 글루코즈(glucose) 및 0.1 내지 5 중량% 효모추출물(yeast extract)이 포함된 식물 추출물에 접종하는 단계; 및 상기 접종된 식물추출물을 발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감마-아미노뷰티르산(gamma-aminobutyric acid; GABA)이 증진된 발효 식물 추출물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세하게는, 상기 배지에는 0.1 내지 5 중량% 모노소듐 글루타메이트(mono sodium glutamate; MSG)를 더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스타터(starter)"란 발효물을 제조하는 경우에 사용하는 미생물 배양액을 말한다. 따라서 스타터 미생물의 종류는 그 제품의 특성을 결정하게 되며 제품의 품질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미생물 중에서 스타터로 사용되고 있는 것은 박테리아, 곰팡이, 효모 등을 들 수 있으며, 이것을 단독 혹은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배지로는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 MRS 배지가 바람직하나, 상기 균주의 배양에 적합한 배지라면 특별히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MSG의 첨가량이 0.1 중량% 이하인 경우 GABA 생성에 필요한 전구물질이 부족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5.0 중량%을 초과하는 경우 GABA로 전환되지 않은 MSG가 남아 있게 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식물 추출물은 원지, 백복령 및 석창포를 1:1:1의 중량비로 열수 추출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은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K154(KACC91727P)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총명탕"은 백복신, 원지, 감초 및 석창포의 4가지 천연 생약재로 구성된 한약조성물로서 동의보감에는 '치다망구복능일송천언'(治多忘久服能日誦千言)라 하여 '잘 잊어버리는 것을 치료하고 오랫동안 먹으면 능히 하루에 천가지 말을 외우게 된다.'라고 기록되어 있다(출처:네이버 백과사전). 본 발명에서는 원지 300g, 백복령 300g, 석창포 300g을 물 13,000mL와 함께 약탕기에 넣고 120℃에서 총 3시간을 가열하여 식물추출물 또는 총명탕을 제조하였다.
또한, 상기 접종하는 단계는 상기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 스타터를 1 내지 10%(v/v) 접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발효시키는 단계는 25 내지 42℃에서 1일 내지 7일 동안 발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 스타터의 접종량이 1 %(v/v) 이하인 경우 저농도의 균주로 인해 감마-아미노부틸산을 고함량으로 생산할 수 없고, 10 %(v/v)을 초과하는 경우 너무 빨리 발효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GABA가 증진된 발효 식물 추출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자들은 식물 추출물(석창포, 원지 및 복령 추출물)의 젖산 발효를 통해 감마-아미노뷰티르산(gamma-aminobutyric acid; GABA) 함량을 증진시킨 발효 식물 추출물을 제조하였고, 이를 활용하여 고함량의 GABA가 포함된 기능성 음료 및 식품 개발의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MSG가 첨가된 경우(0.5%)와 첨가되지 않은 경우,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K66과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K154 균주의 GABA 생성능을 확인한 TLC 결과이다.
도 2는 발효시간에 따른 GABA 생산능을 확인한 TLC 결과이다.
도 3은 열처리 조건에 따른 GABA 생산능 변화를 확인한 TLC 결과이다.
도 4는 GABA 함량을 증진시킨 발효 식물 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한 발효공정도를 나타낸다.
이하, 하기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이러한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 GABA 생성 균주의 스크리닝( screening )을 통해 GABA 생산 최적화 균주 선별
1. 균주 배양 방법
김치에서 분리한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K66과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K154 균주는 Lactobacilli MRS agar 배지(Difco co., Ltd.)에서 단일 콜로니(colony)가 나타나게 배양한 후, MRS 배지(broth)에 모노소듐 글루타메이트(mono sodium glutamate; MSG)를 0.5% 첨가한 구와 첨가하지 않은 구로 나누어 접종한 뒤 30℃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본 발명의 균주 분리에 사용된 MRS 배지의 조성
성 분 성분비(그람/리터)
프로테오스 펩톤 #3 10.0
쇠고기 추출물 10.0
효모 추출물 5.0
덱스트로스 20.0
트윈 80 1.0
암모늄 시트레이트 2.0
소디움 아세테이트 5.0
마그네슘 설페이트 0.1
망간 설페이트 0.05
디포타시움 포스페이트 2.0
2. TLC 측정방법
샘플에 함유된 MSG 및 생성된 GABA 함량은 TLC(Silica gel 60 F254, Merck)로 확인하였다. 배양액 1mL을 speed vaccum을 이용하여 4배 농축하여 TLC plate에 2uL 점적하였다. 분석 시 전개용매로는 아세트산(acetic acid): n-부틸 알콜(n-butyl alcohol): 증류수(distilled water) (2:6:2, v/v/v)의 비율로 조제하여 4시간 이상 포화시킨 용매를 사용하였고, 발색 시약으로 0.2% 닌하이드린 용액(ninhydrin solution)을 분무하여 95℃에서 5분간 발색시켜 스팟(spot)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K66 보다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K154 균주가 GABA 생산능이 좋았으며, MSG 첨가시 GABA 생산량이 크게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1).
< 실시예 2 > 발효시간에 따른 GABA 생성능 확인
발효시간에 따른 GABA 생성 최적 조건을 모색하기 위해서, 원지 300g, 백복령 300g, 석창포 300g을 물 13,000mL와 함께 약탕기에 넣고 120℃에서 총 3시간을 가열하여 미리 제조한 식물추출물을 기본배지로 하여 효모추출물(Yeast extract) 2.5%와 글루코즈(glucose) 0.5%를 첨가하여 멸균시켰다. 여기에 MRS 배지에 2% MSG를 첨가하여 30℃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한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K154 스타터(starter)를 10%(v/v) 첨가하여 7일 동안 시간별로 발효하였다.
각각 pH와 총산도(Total acidity)를 측정하였는데, pH는 각 샘플 10mL을 원심 분리한 상층액을 pH meter (Digital pH meter 420A+, Thermo Orion. Beverly, MA., US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적정 산도는 상층액 10mL를 취하여 pH가 8.3에 도달할 때까지 0.1N-NaOH로 적정에 사용된 소비량을 젖산(lactic acid) 함량(%)으로 환산하여 계산하였다. 그 결과 발효가 진행될수록 pH는 증가하고 산도는 감소하여 산성화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표 2). 한편 TLC를 이용하여 GABA 함량을 알아본 결과, GABA spot은 1일째보다 3일째에서 확연히 커지며 3일 이후의 spot의 크기는 큰 차이가 없어 3일 발효 조건이 최적인 것을 확인하였다(도 2).
발효시간 ( day ) pH 총산도 ( Total acidity ) (%)
1 3.77 1.13
3 3.85 1.08
5 3.82 1.04
7 3.86 1.03
< 실시예 3 > HPLC 를 이용한 GABA 정량
분석에 사용한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프는 Hewlett Packard 1100 Series를 이용하였다. 컬럼은 Waters Nova-Pac C18 4μm (3.9 x 300mm)를 사용하였으며, 46℃로 유지되는 column oven에 장착하여 항온 조건에서 재현성 있게 분리되도록 하였다. 이동상은 2가지의 buffer를 이용하였다. Buffer A는 140mM NaHAc, 0.1% TEA, 6% CH3CN, pH 6.1, buffer B는 60% CH3CN을 사용하였다. 분리를 위한 gradient 조건은 표3과 같으며, 1.0mL의 유속으로 30분간 분석하였다. 검출은 UV-VIS detector (HP 1100 Series)를 사용하여 파장 254nm에서 측정하였다.
용매 구배 조건(Solvent gradient condition)
시간 %B 유량(ml/min)
0 0 1
12 8 1
13 12 1
15.2 20 1
22.5 46 1
22.72 100 1.5
23.2 100 1.5
25 100 1.5
25.7 100 1.5
26 0 1.5
29 0 1.5
30 0 1
조건 별로 발효된 총명탕 중 1일에서 3일의 GABA 함량 증가 차이를 확인해보기 위해 발효총명탕에 함유된 GABA 함량을 HPLC로 분석한 결과, 발효하지 않은 총명탕에 비해 하루 발효 후 약 40배 이상, 3일 발효 뒤에는 약 60배 이상까지 GABA가 증가 되는 것을 확인하였다(표 4 및 표 5).
발효에 따른 유리아미노산 함량
  ug/mL
AA 총명탕 총명탕+glucose 0.5%
+Y.E. 2.5%+
Starter 10% (MSG 2%)
1day
총명탕+glucose 0.5%
+Y.E. 2.5%+
Starter 10% (MSG 2%)
3day
Cys 0.00 14.48 41.23
ASP 352.58 332.42 335.98
GLU 949.29 732.26 25.56
ASN 292.13 404.97 383.58
SER 210.14 228.36 149.40
GLN 11.66 0.00 11.13
GLY 163.68 164.29 156.03
HIS 68.78 69.82 74.55
ARG 310.53 319.47 324.91
THR 222.54 215.16 214.83
ALA 594.60 565.02 540.91
GABA 31.40 1356.57 1942.84
PRO 153.66 130.67 123.48
TYR 159.21 159.56 154.46
VAL 440.02 428.19 417.06
MET 130.46 116.81 112.69
Cys2 0.00 0.00 0.00
ILE 353.45 343.70 327.57
LEU 610.91 584.43 556.56
PHE 313.09 330.56 311.75
TRP 160.88 254.45 234.27
LYS 203.82 237.99 222.57
TOTAL 5746.88 6989.18 6661.34
조건 GABA 함량 (ug/mL)
총명탕 31.40
총명탕+glucose 0.5%+Y.E. 2.5%+
Starter 10% (MSG 2%)
1day
1356.57
총명탕+glucose 0.5%+Y.E. 2.5%+
Starter 10% (MSG 2%)
3day
1942.84
< 실시예 4 > 발효 총명탕의 DPPH (2,2- diphenyl -1- picryl - hydrazyl ) 라디칼 소거능
추출물의 항산화력은 Moreno 등의 방법을 변형한 DPPH 라디칼 소거활성으로 측정하였다. 시료의 자유 라디칼(free radical) 소거활성은 안정성 라디칼(stable radical)인 DPPH에 대한 환원력을 측정한 것으로, 99% 메탄올에 각 시료를 녹여 농도 별로 희석한 희석액 800μL와 20% 메탄올에 녹인 0.15mM DPPH 용액 200μL를 가하여 30분 방치한 후 517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각 시료 추출물의 유리 라디칼 소거활성은 시료를 첨가하지 않은 대조구의 흡광도를 1/2로 환원시키는데 필요한 시료의 농도인 RC50값으로 나타내었다(표 6). 이때 활성비교를 위하여 BHA를 사용하였다. 총명탕의 DPPH 라디컬 소거능은 높은 아니었으나, 발효가 진행되면서 높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Sample RC50 value(%)
DPPH scavenging1 )
총명탕 311.25 ± 6.242)
발효총명탕 1 day 240.52 ± 4.36
발효총명탕 3 day 208.46 ± 21.52
1) Concentration required for 50% reduction of DPPH at 30 min after starting the reaction.
2) Each value is mean±S.D. (n≥3).
< 실시예 5 > 열처리 조건에 따른 GABA 함량 변화 확인
발효총명탕을 제품화하고자 할 때 시중에 유통되기 위해서는 열처리를 해주어 잡균의 오염과 생균의 증식을 억제시켜야 한다. 따라서 가장 효율적인 조건을 찾기 위해 85℃에서 15분, 30분, 45분 시간별로 열처리를 해준 뒤, 생균수를 측정하고, TLC법을 이용하여 GABA 함량에 변화가 있는지를 관찰하였다. 생균수 측정 결과 모든 plate에서 콜로니(colony)가 나타나지 않았고, TLC결과 GABA 함량에도 차이가 없어 85℃에서 15분 동안 가열해주는 것이 최적 열처리 조건인 것을 확인하였다(도 3).
농업생명공학연구원 KACC91727 20120706

Claims (7)

  1. 0.1 내지 5 중량% 모노소듐 글루타메이트(mono sodium glutamate; MSG)가 포함된 배지에서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Lactobacillus plantarum)을 배양하여 스타터(starter)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 스타터를 0.1 내지 10 중량% 글루코즈(glucose) 및 0.1 내지 5 중량% 효모추출물(yeast extract)이 포함된, 원지, 백복령 및 석창포로 이루어진 식물 추출물에 접종하는 단계; 및
    상기 접종된 식물 추출물을 발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감마-아미노뷰티르산(gamma-aminobutyric acid; GABA)이 증진된 발효 식물 추출물 제조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 추출물은 원지, 백복령 및 석창포를 1:1:1의 중량비로 열수추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GABA가 증진된 발효 식물 추출물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은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K154(KACC91727P)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GABA가 증진된 발효 식물 추출물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종하는 단계는 상기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 스타터를 1 내지 10%(v/v) 접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ABA가 증진된 발효 식물 추출물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시키는 단계는 25 내지 42℃에서 1일 내지 7일 동안 발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ABA가 증진된 발효 식물 추출물 제조방법.
  7. 제1항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GABA가 증진된 발효 식물 추출물.
KR1020120117656A 2012-10-23 2012-10-23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 k154를 이용한 gaba 증진 발효 식물 추출물 제조방법 KR1014020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7656A KR101402031B1 (ko) 2012-10-23 2012-10-23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 k154를 이용한 gaba 증진 발효 식물 추출물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7656A KR101402031B1 (ko) 2012-10-23 2012-10-23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 k154를 이용한 gaba 증진 발효 식물 추출물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1543A KR20140051543A (ko) 2014-05-02
KR101402031B1 true KR101402031B1 (ko) 2014-06-02

Family

ID=508851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7656A KR101402031B1 (ko) 2012-10-23 2012-10-23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 k154를 이용한 gaba 증진 발효 식물 추출물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203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4621A (ko) * 2017-06-09 2018-12-19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젖산균 및 효모 혼합발효를 통한 사과박 및 목이버섯이 첨가된 효모 스타터 제조 방법
KR102270890B1 (ko) * 2019-12-26 2021-06-29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균주의 배양을 위한 배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gaba의 생산 방법
KR20240119007A (ko) 2023-01-26 2024-08-06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신규한 락티플란티바실러스 플란타럼 y7 균주 및 이에 의한 gaba 합성의 최적화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6187B1 (ko) * 2014-06-19 2016-04-29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Gaba 생산 젖산균을 이용한 오미자 발효음료 제조방법
KR102756126B1 (ko) * 2016-07-27 2025-01-15 고려대학교 세종산학협력단 Gaba 생산 젖산균을 이용한 발효소세지의 제조방법
KR101962291B1 (ko) * 2017-07-20 2019-03-26 한국식품연구원 항산화 및 gaba 생성 증진 활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k118 균주, 이를 이용한 황칠나무 발효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62294B1 (ko) * 2017-07-20 2019-03-26 한국식품연구원 항산화 및 gaba 생성 증진 활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k105 균주, 이를 이용한 황칠나무 발효물 및 이의 제조방법
RU2706553C1 (ru) * 2019-07-08 2019-11-19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МАЙ"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напитка из кипрея с высоким содержанием гамма-аминомасляной кислоты
KR102529301B1 (ko) * 2021-12-24 2023-05-11 (주)바이노텍 신규한 락티플란티바실러스 플란타럼 bnt_g401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2760937B1 (ko) * 2022-01-07 2025-02-04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Gaba를 다량 함유하는 동치미 제조용 동결 동치미 스타터의 제조 방법
CN115322940B (zh) * 2022-10-13 2023-02-03 哈尔滨美华生物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植物乳杆菌及其助眠抗抑郁产品和应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9437A (ko) * 2003-01-29 2004-08-06 변유량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속 균주 및 이를 이용한감마-아미노부티르산의 제조방법
JP2010533487A (ja) 2007-07-17 2010-10-28 ジュリアーニ ソシエタ ペル アチオニ 農産業及び食品産業の余剰品に対する乳酸菌(LAB)の使用によりγアミノ酪酸(GABA)を調製する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9437A (ko) * 2003-01-29 2004-08-06 변유량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속 균주 및 이를 이용한감마-아미노부티르산의 제조방법
JP2010533487A (ja) 2007-07-17 2010-10-28 ジュリアーニ ソシエタ ペル アチオニ 農産業及び食品産業の余剰品に対する乳酸菌(LAB)の使用によりγアミノ酪酸(GABA)を調製する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4621A (ko) * 2017-06-09 2018-12-19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젖산균 및 효모 혼합발효를 통한 사과박 및 목이버섯이 첨가된 효모 스타터 제조 방법
KR101944183B1 (ko) 2017-06-09 2019-01-30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젖산균 및 효모 혼합발효를 통한 사과박 및 목이버섯이 첨가된 효모 스타터 제조 방법
KR102270890B1 (ko) * 2019-12-26 2021-06-29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균주의 배양을 위한 배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gaba의 생산 방법
KR20240119007A (ko) 2023-01-26 2024-08-06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신규한 락티플란티바실러스 플란타럼 y7 균주 및 이에 의한 gaba 합성의 최적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1543A (ko) 2014-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2031B1 (ko)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 k154를 이용한 gaba 증진 발효 식물 추출물 제조방법
CN102389139B (zh) 一种食用菌营养保健功能性饮料的制备方法
KR101616187B1 (ko) Gaba 생산 젖산균을 이용한 오미자 발효음료 제조방법
KR101786938B1 (ko) 전통장류로부터 분리한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sy07 균주 및 이의 용도
CN104195051A (zh) 一种功能火龙果红曲的制备方法及其制品
KR20130050554A (ko) 가바 함유 오미자 발효액 제조
KR101091833B1 (ko) 유산균을 이용한 sac 고함량 마늘 발효물의 제조방법
CN104560608A (zh) 色泽红色的火龙果醋加工工艺
CN110547441B (zh) 一种发芽小麦酱油的制备方法和产品
CN110218663B (zh) 高产α-糖苷酶抑制剂的解淀粉芽孢杆菌Q4菌株及功能性黄酒和制备方法
JP6955808B1 (ja) 蜂蜜発酵物の製造方法
KR101407231B1 (ko) 락토바실러스 헬베티커스 rmk85를 이용한 gaba 증진 발효 식물 추출물 제조방법
KR101501827B1 (ko) Gaba 생성 젖산균 및 천년초를 이용한 동치미 베이스 제조방법
KR101846713B1 (ko) 항비만 활성을 가진 다시마 발효물의 제조방법
KR20160071690A (ko) 표고 균사체 배양미를 이용한 젖산발효물의 제조방법
KR102011133B1 (ko) 알파-람노시다제 효소 활성이 우수하고, 진세노사이드 Re 및 Rb1을 진세노사이드 Rg1 및 Rg5로 생물전환하는 활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MBE/L2990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1530661B1 (ko) 마-홍국을 이용한 막걸리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한 마-홍국 막걸리
KR20170072563A (ko) L 카르니틴 함유 발효 산물을 이용한 l 카르니틴 함유 버섯의 재배 방법 및 이에 의하여 재배된 l 카르니틴 함유 기능성 버섯
JP7492208B2 (ja) Gaba及びオルニチンを高産生する新規乳酸菌、並びに当該乳酸菌を用いた経口組成物の製造方法
KR101884999B1 (ko) 젖산균을 이용한 항산화 효능이 있는 황칠나무 발효물 제조방법
CN113854545A (zh) 一种银耳多糖发酵液及其制备方法和应用
Lee et al. Chemistry of the Korean Traditional Alcoholic Beverage Makgeolli
KR100963133B1 (ko) 복분자와 클로렐라 혼합물을 이용한 기능성 발효식품 및그의 제조방법
KR20170009140A (ko) 향상된 내염성, 내당성 및 내알코올성을 갖는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에 균주 및 이를 이용한 곡물 발효물의 제조방법
KR101842196B1 (ko) 견과류 홍국 배양물을 이용한 기능성 막걸리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102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10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429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5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05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6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51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8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5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6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62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61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02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52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