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1410B1 - Continuity manufacture method of fluid transfer pipe and thereof pipe and thereof pipe connector - Google Patents
Continuity manufacture method of fluid transfer pipe and thereof pipe and thereof pipe connecto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01410B1 KR101401410B1 KR1020110021977A KR20110021977A KR101401410B1 KR 101401410 B1 KR101401410 B1 KR 101401410B1 KR 1020110021977 A KR1020110021977 A KR 1020110021977A KR 20110021977 A KR20110021977 A KR 20110021977A KR 101401410 B1 KR101401410 B1 KR 10140141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ipe
- nonwoven fabric
- wound
- mortar
- fluid transf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23
- 239000004745 nonwoven fabric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4
- 239000004570 mortar (masonry)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0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39000003351 stiffen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9000012779 reinforcing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4567 concre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NINIDFKCEFEMDL-UHFFFAOYSA-N Sulfur Chemical compound [S] NINIDFKCEFEMD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29910052717 sulfu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1593 sulfu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9730 filament w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0642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568 ce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152 fibre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10001018 Cast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98 Portland ce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294 Reinforcing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53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390 adhesive tap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924 continuous prod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013 elast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36 heating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810 insulat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699 permeabi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848 polyfunctional curat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90 reinforced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3839 salt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566 seal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865 sewag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9/00—Rigid pipes
- F16L9/14—Compound tubes, i.e. made of material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preceding group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3/00—Shaping by bending, folding, twisting, straightening or flattening; Apparatus therefor
- B29C53/56—Winding and joining, e.g. winding spirally
- B29C53/58—Winding and joining, e.g. winding spirally helically
- B29C53/583—Winding and joining, e.g. winding spirally helically for making tubular articles with particular featur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23/00—Producing tubular articles
- B29D23/001—Pipes; Pipe join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2—Pipe ends provided with collars or flanges, integral with the pipe or not, pressed together by a screwed member
- F16L19/0206—Pipe ends provided with collars or flanges, integral with the pipe or not, pressed together by a screwed member the collar not being integral with the pip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2—Pipe ends provided with collars or flanges, integral with the pipe or not, pressed together by a screwed member
- F16L19/0243—Pipe ends provided with collars or flanges, integral with the pipe or not, pressed together by a screwed member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coated pip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0—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2—Shape or form of insulating materials, with or without coverings integral with the insulating materials
- F16L59/029—Shape or form of insulating materials, with or without coverings integral with the insulating materials layer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체이송용 파이프의 연속제조방법 및 그에 따라 제조된 파이프 및 파이프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부직포에 모르타르를 함침시킨 후 형틀에 권회시키는 1단계; 상기 권회된 부직포의 외주면을 평탄하게 가공하여 내관을 형성하는 2단계; 복수개의 보강재를 등간격으로 이격시켜 상기 내관의 외주면에 나선형상으로 권회시키는 3단계; 부직포에 모르타르를 함침시킨 후 상기 보강재의 상부에 권회시키는 4단계; 상기 4단계에서 권회된 부직포의 외주면을 평탄하게 가공하여 외관을 형성하는 5단계; 상기 내관 및 외관으로 제조된 유체이송용 파이프를 일정 길이로 절단하는 6단계의 공정을 통해, 모르타르에 함침된 부직포를 원통형으로 권회시켜 된 내관과; 상기 내관의 외주면에 나선 형상으로 권회된 보강재와; 모르타르에 함침된 부직포를 상기 보강재의 상부에 권회시켜 된 외관으로 된 유체이송용 파이프를 제조하게 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inuous manufacturing method of a fluid transfer pipe and a pipe and pipe connector manufactured thereby, comprising the steps of: impregnating a nonwoven fabric with mortar and winding the same on a mold frame; A second step of forming an inner tube by flatteni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wound nonwoven fabric; A third step of separating a plurality of reinforcing members at regular intervals and winding the reinforcing members in a spiral shape on an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nner pipe; Impregnating the nonwoven fabric with mortar and winding the nonwoven fabric on the reinforcing material; A step 5 for forming an outer appearance by flatteni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nonwoven fabric wound in the step 4; An inner pipe which is formed by winding a nonwoven fabric impregnated in the mortar into a cylindrical shape through a six-step process of cutting the fluid transfer pipe manufactured by the inner pipe and the outer pipe to a predetermined length; A stiffener spirally wound on an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nner tube; And the nonwoven fabric impregnated in the mortar is woun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reinforcing material to produce an outer pipe for the fluid transfer.
Description
본 발명은 유체이송용 파이프의 제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회전하는 형틀에 모르타르가 함침된 부직포를 감아 내관을 형성하고, 내관의 외주연에 보강재를 세줄 나선형태로 감고, 보강재의 상부에 모르타르가 함침된 부직포를 감아 외관을 형성함으로써 강도가 증대될 수 있도록 한 유체이송용 파이프의 연속제조방법 및 그에 따라 제조된 파이프 및 파이프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manufacturing a fluid transfer pip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of manufacturing a fluid transfer pipe, in which a rotating mold is formed by winding a nonwoven fabric impregnated with mortar to form an inner tube, To thereby increase the strength by forming an outer tube by winding the nonwoven fabric impregnated with the impregnated nonwoven fabric, and a pipe and pipe connector manufactured thereby.
일반적으로 콘크리트관 또는 강관, 주철관 등을 지중에 매립하여 각종 하수, 상수, 또는 유류, 가스, 그외의 난방용 열수 등의 유체를 이송하는 파이프로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Generally, a concrete pipe, a steel pipe, a cast iron pipe or the like is embedded in the ground to be widely used as a pipe for transferring various kinds of sewage, water, or fluid such as oil, gas, and other heating water.
이들 파이프는 단일관으로 형성되므로, 단열성능을 높이고 외부충격에 의한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외주연에 단열재를 설치하게 된다.Since these pipes are formed of a single pipe, a heat insulating material is install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pipe in order to increase the heat insulating performance and to prevent the breakage due to the external impact.
그러나, 지반침하에 따른 토압증가나 외부충격에 의해 연결부위가 파손되거나 변형되는 문제점은 여전히 해결이 어려운 실정이다.However, it is still difficult to solve the problem that the connection part is damaged or deformed by the increase of the earth pressure or the external impact due to the subsidence of the ground.
그렇다고 해서, 강도를 높이기 위해 파이프의 두께를 증가시킬 경우 제조비용의 상승과 파이프의 과다한 중량에 의해 다루기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된다.However, increasing the thickness of the pipe in order to increase the strength results in problems that are difficult to handle due to an increase in manufacturing cost and an excessive weight of the pipe.
한편, 경량이면서 고강도인 파이프가 근래에 많이 개발되고 있는데, 그 일 예로써 유리섬유 강화 플라스틱 파이프 또는 시멘트콘크리트, 유황폴리머, 수지폴리머, 등을 보강 철근을 넣어서 원심성형 하여 제조한 강화플라스틱 파이프가 사용된다.On the other hand, lightweight and high strength pipes have been developed in recent years. For example, glass fiber reinforced plastic pipes, cement concrete, sulfur polymers, resin polymers, etc. are reinforced plastic pipes manufactured by centrifugal molding with reinforcing steel do.
상기 유리섬유 강화 플라스틱 파이프는 주로 필라멘트 와인딩 공법으로 제조되어 왔다.The glass fiber reinforced plastic pipe has been manufactured mainly by a filament winding method.
필라멘트 와인딩 공법이란 수지가 합침된 연속섬유를 회전하는 심축 위에 감아서 주로 파이프나 압력용기, 로켓 모터 케이스 등과 같은 축대칭 복합재료 구조물을 제작하는 방법을 말한다.Filament winding method refers to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axially symmetric composite material structure such as a pipe, a pressure vessel, a rocket motor case, etc., by winding a continuous fiber with a resin on the rotating shaft.
그러나, 이러한 필라멘트 와인딩 공법으로 파이프를 제조할 경우, 외면이 깨끗하지 못하고 제조비용이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고, 시멘트콘크리트, 유황폴리머, 수지폴리머 등에 보강 철근을 넣어서 원심성형하여 제조한 파이프는 연속성형이 되지 않고, 여러 공정을 거쳐서 제조하므로 불량 발생이 많고 각각의 공정을 관리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when the pipe is manufactured by filament winding metho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outer surface is not clean and the manufacturing cost is high. The pipe manufactured by centrifugal molding with cement concrete, sulfur polymer, However,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manage each process because many defects occur because it is manufactured through various processes.
또한, 파이프와 파이프의 연결에서 그 연결부를 견고하게 연결하기가 어려우며 강도가 약한 문제점이 있었다.Further, it is difficult to connect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pipe to the pipe at the connection, and the strength is weak.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부직포를 모르타르에 함침시켜 내관과 외관의 이중구조를 갖는 파이프를 연속되게 성형함으로써 경량이면서도 강도를 증대될 수 있어 제조비용을 절감하고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유체이송용 파이프의 연속제조방법 및 그에 따라 제조된 파이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nceived to overcom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nonwoven fabric which is impregnated with a mortar to continuously form a pipe having an inner pipe and an outer pip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ntinuous manufacturing method of a fluid transfer pipe capable of improving durability and a pipe manufactured thereby.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유체이송용 파이프의 보강재에 나사결합되어 다수개의 파이프를 연속으로 기밀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한 유체이송용 파이프 연결구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ipe connection pipe for a fluid transfer pipe which is screwed to a stiffener of the fluid transfer pipe so that a plurality of pipes can be connected while maintaining a continuous hermetic state.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SUMMARY OF THE INVENTION [0008]
부직포에 모르타르를 함침시킨 후 형틀에 권회시키는 1단계; 상기 권회된 부직포의 외주면을 평탄하게 가공하여 내관을 제조하는 2단계; 복수개의 보강재를 등간격으로 이격시켜 상기 내관의 외주면에 나선형상으로 권회시키는 3단계; 부직포에 모르타르를 함침시킨 후 상기 보강재의 상부에 권회시키는 4단계; 상기 4단계에서 권회된 부직포의 외주면을 평탄하게 가공하여 외관을 제조하는 5단계; 상기 내관 및 외관으로 제조된 유체이송용 파이프를 일정 길이로 절단하는 6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이송용 파이프의 연속제조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A step 1 in which the nonwoven fabric is impregnated with mortar and then wound on a mold frame; Fabricating the inner tube by flatteni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wound nonwoven fabric; A third step of separating a plurality of reinforcing members at regular intervals and winding the reinforcing members in a spiral shape on an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nner pipe; Impregnating the nonwoven fabric with mortar and winding the nonwoven fabric on the reinforcing material; Fabricating the outer surface of the nonwoven fabric wound in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유체이송용 파이프의 연속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것이며, 모르타르에 함침된 부직포를 원통형으로 권회시켜 된 내관과; 상기 내관의 외주면에 나선 형상으로 권회된 보강재와; 모르타르에 함침된 부직포를 상기 보강재의 상부에 권회시켜 된 외관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이송용 파이프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Meanwhil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of manufacturing a fluid transmission pipe, which is manufactured by the continuous manufacturing method of the above-described fluid transfer pipe, comprises: an inner pipe formed by winding a nonwoven fabric impregnated in a mortar into a cylindrical shape; A stiffener spirally wound on an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nner tube; And a non-woven fabric impregnated in the mortar is woun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reinforcing material.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유체이송용 파이프를 연결하기 위한 것이며, 내부에 통로가 형성된 원통형의 바디와, 상기 바디의 양측에 설치되며 상기 보강재에 나사결합되도록 단면이 사각형인 봉체를 코일형상으로 권회시켜 된 결합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이송용 파이프의 연결구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A cylindrical body having a passage formed therein for connecting the fluid transfer pipe and a coupling member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body and having a coil having a rectangular cross section so as to be screwed to the reinforcing member, And the connecting pipe of the fluid transfer pip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nection is mad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내관과 외관의 이중관을 구성하되, 내관과 외관 사이에 보강재를 나선형상으로 설치함으로써 경량이면서도 강도를 증대될 수 있어 제조비용을 절감하고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체이송용 파이프의 연속제조가 가능하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double tube of an inner tube and an outer tube is formed. By providing a reinforcing material in a spiral shape between the inner tube and the outer tube,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strength and the strength while reducing manufacturing cost and durability A continuous production of the fluid transfer pipe becomes possible.
또한, 본 발명의 파이프 연결구에 의해 다수개의 유체이송용 파이프를 연속으로 기밀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연결시킬 수 있는 효과가 발현된다.In addition, the pipe conn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connecting a plurality of fluid transfer pipes while maintaining a continuous hermetic stat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제조공정을 단계별로 나타낸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제조공정을 예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파이프에 대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파이프에 대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연결구에 대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연결구에 대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연결구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파이프의 일부분에 대한 확대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 : 형틀 3,7 : 부직포
4 : 모르타르 5,9 : 롤러
6 : 보강재 10 : 경화장치
12 : 커터 20 : 유체이송용 파이프
14 : 연결구 145 : 결합부재
146 : 바디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flow chart showing a step of manufacturing a pi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ipe manufacturing proc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pipe manufactured by the pipe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ipe manufactured by the pipe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pipe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ectional view of a pipe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pipe connection po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A to 8C are enlarged cross-sectional views of a portion of a pipe manufactured by the pipe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2:
4: Mortar 5,9: Rollers
6: stiffener 10: hardening device
12: cutter 20: fluid transfer pipe
14: Connector 145:
146: Body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제조공정을 단계별로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제조공정을 예시한 사시도이다.FIG. 1 is a flow chart showing steps of a pipe manufacturing proc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ipe manufacturing proc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체이송용 파이프의 연속제조방법은, 부직포(3)를 모르타르(4)에 함침시킨 후 형틀(2)에 권회시키는 1단계(S1)와, 상기 권회된 부직포(3)의 외주면을 평탄하게 가공하여 내관(21)을 형성하는 2단계(S2)와, 복수개의 보강재(6)를 등간격으로 이격시켜 상기 내관(21)의 외주면에 나선형상으로 권회시키는 3단계(S3)와, 부직포(3)를 모르타르(4)에 함침시킨 후 상기 보강재(6)의 외측에 권회시키는 4단계(S4)와, 상기 4단계(S4)에서 권회된 부직포(3)의 외주면을 평탄하게 가공하여 외관(22)을 형성하는 5단계(S5)와, 상기 내관(21) 및 외관(22)으로 된 유체이송용 파이프(20)를 일정 길이로 절단하는 6단계(S6)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s. 1 and 2, a continuous manufacturing method of a fluid transfer pi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step S1 of immersing a
1단계(S1)Step 1 (S1)
원통형이되 후방으로 갈수록 관경이 좁아지도록 테이퍼진 형틀(2)의 외주면에 모르타르(4)에 함침된 밴드형상의 부직포(3)를 권회시키게 된다.Like
상기 형틀(2)은 모터와 같은 회전동력장치(R)에 의해 일정 속도로 회전됨으로써 부직포(3)의 권회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The
또한, 형틀(2)이 테이퍼진 형상이므로 권회된 부직포(3)는 후방으로 이동하게 됨으로써 원통관체가 형성될 수 있다.Since the
이때, 부직포(3)가 형틀(2)에 접착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형틀(2)의 외면에 접착방지테잎(미도시)을 미리 부착시킨다.At this time, in order to prevent the
모르타르(4)는 유황 콘크리트가 적당하며, 유황 콘크리트는 인장강도, 압축강도, 휨강도, 피로수명이 포틀랜드 시멘트 콘크리트보다 크고, 매우 짙은 농도의 산과 염에 대한 저항성이 뛰어나고, 24시간 이내에 종국 압축강도의 70∼80% 정도에 빠르게 도달할 수 있으며, 연중 타설할 수 있고 영하의 온도에서도 타설할 수 있고, 매우 낮은 투수성을 나타낸다.Mortar (4) is suitable for sulfur concrete. Sulfur concrete has higher tensile strength, compressive strength, flexural strength and fatigue life than portland cement concrete. It has excellent resistance to acid and salt in very dense concentration. It can reach 70 ~ 80% quickly, can be laid all year round, can be laid at subzero temperature, and shows very low water permeability.
이러한 모르타르(4)를 소정의 저장통에 담은 후, 이 모르타르 저장통에 밴드형상의 부직포(3)를 담가 모르타르(4)를 함침시킨 후 형틀(2)에 권회시키는 것이다.After the
모르타르 외에 다른 경화재를 사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It is needless to say that other hardeners other than mortar may be used.
이때, 부직포(3)는 나선형상으로 감되, 그 단부가 약간씩 중첩되도록 권회시킨다.At this time, the
2단계(S2)Step S2 (S2)
1단계(S1)를 통해 원통형상으로 권회된 부직포(3)는 중첩된 부위가 존재하므로 외면이 평탄하지 못한 상태가 된다.The outer surface of the
따라서, 부직포(3)의 외면을 가압하여 모르타르(4)의 두께를 균일하게 하고, 중첩된 부위의 과도한 모르타르(4)를 깍아내어 균일한 두께가 되도록 평탄공정을 수행한다.Therefore, the outer surface of the
상기 평탄공정은 형틀(2)의 외측에 복수개로 설치된 롤러(5)에 의해 수행된다.The flattening process is performed by a plurality of
상기의 롤러(5) 외에 평판상의 블레이드가 사용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o the
이러한 평탄공정을 통과하면서 부직포(3)의 모르타르(4)가 경화되어 내관(21)을 형성하게 된다.The
3단계(S3)Step S3 (S3)
상기 내관(21)의 외주면에 복수개의 보강재(6)를 등간격으로 이격시켜 나선형상으로 권회시킨다.A plurality of
보강재(6)는 평판형상으로써, 바람직하게는 3열의 보강재(6)를 동시에 권회됨으로써 3중 나선형상으로 권회되도록 한다.The reinforcing
이때, 3열의 보강재(6)는 그 시작점을 각기 상이하게 형성한다. 바람직하게는 원주를 120°간격으로 3등분한 위치에 상기 시작점(201,202,203)이 형성된다. (도 3 참조).At this time, the three rows of
물론, 상기 보강재(6)는 3열로만 한정되지는 않고 필요에 따라 그 배열갯수를 증감할 수 있고, 시작점의 위치도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다.Of course, the number of arrangements of the
4단계(S4)Step S4 (S4)
상기 3단계(S3)에서 외주면에 보강재(6)가 권회된 내관(21)의 외측에 모르타르(4)에 함침된 부직포(7)를 권회시킨다.The
상기 1단계(S1)와 마찬가지로 보강재(6)의 외측에 모르타르(4)를 함침한 부직포(7)를 연속으로 권회시킴으로써 외관(22)을 형성하게 된다.The
5단계(S5)Step 5 (S5)
상기 2단계(S2)에서 설명한 롤러(5)와 동일한 롤러(9)를 사용하여 상기 4단계(S4)에서 권회된 부직포(3)의 외주면을 평탄하게 가공하여 외관(22)을 형성함으로써 내관(21)과 외관(22)으로 된 이중구조의 유체이송용 파이프(20)가 형성될 수 있다.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이렇게 내관(21) 및 외관(22)으로 된 유체이송용 파이프(20)는 열간 또는 냉간의 경화장치(10)를 통과하면서 모르타르(4)가 경화되도록 한다.The
6단계(S6)Step 6 (S6)
상기 내관(21) 및 외관(22)으로 제조된 유체이송용 파이프(20)를 커터(12)를 이용하여 필요에 따라 일정 길이로 절단한다.The
첨부된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파이프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파이프에 대한 단면도이다.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pipe manufactured by the pipe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sectional view of a pipe manufactured by the pipe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와 같은 제조공정을 거치면서 제조된 본 발명의 유체이송용 파이프(20)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르타르(4)에 함침된 부직포(3)를 원통형으로 권회시켜 된 내관(21)과, 상기 내관(21)의 외주면에 나선 형상으로 권회된 보강재(6)와, 모르타르(4)에 함침된 부직포(3)를 상기 보강재(6)의 상부에 권회시켜 된 외관(22)으로 구성된 이중관 구조로 이루어진다.3 and 4, the
상기 보강재(6)는 전술한 바와 같이, 3열의 평판을 상기 내관(21)의 외주면에 나선형상으로 권회시켜 형성된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reinforcing
상기 3열의 보강재(6)가 120°간격으로 시작점이 상이하게 형성된다.The three rows of
물론 보강재(6)의 배열갯수와 시작점의 간격은 다양하게 변형실시 가능하다.Of course, the number of arrangements of the
설명의 편의상 보강재(6)의 각 열의 시작점을 제 1 내지 제 3시작점(201,202,203)이라 구분하기로 한다.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starting points of the respective columns of the
한편, 상기 유체이송용 파이프(20)를 연속으로 연결하여 설치하기 위해서는 연결구(14)가 필요하다.Meanwhile, in order to continuously connect the
첨부된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연결구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연결구에 대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연결구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pipe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ipe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pipe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유체이송용 파이프의 연결구(14)는, 내부에 통로(140)가 형성된 원통형의 바디(146)와, 상기 바디(146)의 양측에 설치되며 상기 보강재(6)에 나사결합되도록 단면이 사각형인 봉체를 코일형상으로 권회시켜 된 결합부재(145)로 구성된다. As shown in FIGS. 5 and 6, the connecting
상기 바디(146)는 상기 유체이송용 파이프(20)의 관경과 동일한 내경의 통로(140)를 갖는 원통체이며, 고무 또는 합성수지와 같은 탄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진다.The
상기 결합부재(145)는 상기 보강재(6)에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봉체를 코일형상으로 권회시킨 것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보강재(6)가 3열로 형성된 것이므로 이에 부합되도록 상기 결합부재(145)도 3열로 형성된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또한, 상기 3열의 보강재(6)가 120°간격으로 시작점이 상이하므로, 상기 결합부재(145)도 120°간격으로 시작점을 상이하게 하여 형성함이 바람직하다.Also, since the starting points of the three rows of
따라서, 상기 결합부재(145)는 봉체를 코일형상으로 권회시킨 것이므로 굴신이 자유로울 수 있어, 연결되는 2개의 유체이송용 파이프(20a,20b)의 굴절배치가 가능하게 된다.Therefore, since the engaging
즉, 제 1유체이송용 파이프(20a)에 연결되는 제 2유체이송용 파이프(20b)는 제 1유체이송용 파이프(20a)에 대해 제 2유체이송용 파이프(20b)가 약 ± 30~60°범위 내에서 굴절배치가 가능하게 되며, 굴절시 결합부재(145)의 틈새에는 파우더와 같은 밀폐재(미도시)를 코팅함으로써 수밀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That is, the second
이하 상기 유체이송용 파이프와 연결구의 결합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coupling between the fluid transfer pipe and the connector will be described.
제 1유체이송용 파이프(20a)의 단부에는 전술했듯이 3열의 보강재(6)의 시작점이 노출되는데, 각 열의 시작점은 약 120°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다.At the end of the first
또한, 상기 파이프 연결구(14)의 결합부재(145)도 약 120°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므로, 설명의 편의상 각 결합부재의 시작점은 제 1 내지 제 3끝점(141,142,143)이라 구분한다(도 5 참조).Also, since the
따라서,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결합부재(145)의 제 1끝점(141)부터 상기 제 1유체이송용 파이프(20)의 보강재(6)의 제 1시작점(201)에 끼워 나사방향을 따라 회전시키면 결합부재(145)가 보강재(6)의 내부로 나사결합되듯이 체결된다.7, the
이후, 연결구(14)의 일측 결합부재(145)가 적당한 깊이로 상기 제 1유체이송용 파이프(20a) 내에 결합되면, 타측 결합부재(145)를 제 2유체이송용 파이프(20b)의 보강재(6) 내에 전술한 바와 같이 나사결합시킴으로써 제 1 및 제 2유체이송용 파이프(20a,20b)가 연결구(14)를 매개로 하여 연결될 수 있다.Thereafter, when the one
이때, 필요에 따라서는 제 1 및 제 2유체이송용 파이프(20a,20b)가 굴절 배치될 수 있으며, 굴절 배치시 연결구(14)의 수밀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그 외측에 밀폐재(미도시)를 코팅시킬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rst and second
이와 같은 연결방식으로 다수개의 유체이송용 파이프(20a,20b,…)는 연속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the above-mentioned preferred embodiment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It is obvious that the claims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한편, 상기 3단계(S3)에는 스파이럴 덕트 형성기(미도시)를 설치함으로써, 보강재(6)를 스파이럴 타입으로 형성시켜 보다 휨강도를 증대시킬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third step S3, a spiral duct forming machine (not shown) is provided to increase the bending strength by forming the reinforcing
첨부된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파이프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확대단면도이다.8A to 8C are enlarged cross-sectional views of another embodiment of a pipe manufactured by the pipe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a에 나타낸 실시예(A1)는, 보강재(6a)를 수평면(622a)의 양단 하부에 수직면(624a)을 갖도록 "┌┐"자 형상으로 접어 겹치면서 나선형상으로 내관(21)의 외면에 설치된 것으로, 수평면이 외관(22)과 접하도록 형성된다. The embodiment A1 shown in Fig. 8A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reinforcing
도 8b에 나타낸 실시예(A2)는, 보강재(62)를 수평면(622b)의 양단 상부에 수직면(624b)을 갖도록 "└┘"자 형상으로 접어 겹치면서 나선형상으로 내관(21)의 외면에 설치된 것으로, 수평면(622b)이 내관(21)과 접하도록 형성된다. The embodiment A2 shown in Fig. 8B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reinforcing member 62 is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도 8c에 나타낸 실시예(A3)는, 보강재(63)를 상하부에 수평면(622c)이 형성되고, 그 양단에 수직면(624c)을 갖도록 "□"자 형상으로 접어 겹치면서 나선형상으로 내관(21)의 외면에 설치된 것으로, 상,하부의 수평면(622c)이 내,외관(21,22)과 접하도록 형성된다.
The embodiment A3 shown in Fig. 8C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reinforcing member 63 is provided with the
Claims (17)
상기 권회된 부직포의 외주면을 평탄하게 가공하여 내관을 형성하는 2단계;
복수개의 보강재를 등간격으로 이격시켜 상기 내관의 외주면에 나선형상으로 권회시키는 3단계;
부직포에 모르타르를 함침시킨 후 상기 보강재의 상부에 권회시키는 4단계;
상기 4단계에서 권회된 부직포의 외주면을 평탄하게 가공하여 외관을 형성하는 5단계;
상기 내관 및 외관으로 제조된 유체이송용 파이프를 일정 길이로 절단하는 6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3단계에는 스파이럴 덕트 형성기가 설치되어 상기 보강재를 스파이럴 타입으로 형성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이송용 파이프의 연속제조방법.A step 1 in which the nonwoven fabric is impregnated with mortar and then wound on a mold frame;
A second step of forming an inner tube by flatteni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wound nonwoven fabric;
A third step of separating a plurality of reinforcing members at regular intervals and winding the reinforcing members in a spiral shape on an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nner pipe;
Impregnating the nonwoven fabric with mortar and winding the nonwoven fabric on the reinforcing material;
A step 5 for forming an outer appearance by flatteni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nonwoven fabric wound in the step 4;
And a sixth step of cutting the fluid transfer pipe manufactured by the inner pipe and the outer pipe to a predetermined length
, ≪ / RTI >
Wherein the spiral duct forming device is installed in the step 3 so that the reinforcing material can be formed into a spiral type.
상기 형틀은 후방으로 갈수록 관경이 좁아지도록 테이퍼진 원통형이며, 외면에는 접착방지테잎이 부착되어, 상기 부직포가 외면에 접착되지 않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이송용 파이프의 연속제조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old is tapered so that the diameter of the mold becomes narrower toward the rear side, and an anti-adhesion tape is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so that the nonwoven fabric is not adhered to the outer surface.
상기 부직포는 나선형상으로 권회되며, 그 단부가 중첩되도록 권회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이송용 파이프의 연속제조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nonwoven fabric is wound in a spiral shape and wound so as to overlap the ends thereof.
상기 2단계와 5단계의 평탄공정은 상기 형틀의 외측에 복수개로 설치된 롤러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이송용 파이프의 연속제조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Wherein the flattening process of the second and fifth steps is performed by a plurality of rollers provided outside the mold.
상기 2단계와 5단계의 평탄공정은 상기 형틀의 외측에 복수개로 설치된 평판상의 블레이드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이송용 파이프의 연속제조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Wherein the flattening process of the second and fifth steps is performed by a plurality of flat blade blades provided outside the mold.
상기 보강재는 평판형상이며, 3열의 보강재를 동시에 권회시켜 3중 나선형상으로 권회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이송용 파이프의 연속제조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Wherein the reinforcing member is in the form of a flat plate, and three rows of reinforcing members are simultaneously wound and wound in a triple spiral shape.
상기 3열의 보강재는 시작점을 각기 상이하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이송용 파이프의 연속제조방법.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Wherein the three rows of stiffeners are formed to have different start points.
상기 시작점은 원주를 120°간격으로 3등분한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이송용 파이프의 연속제조방법.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Wherein the starting point is formed at a position where the circumference is divided into three equal parts at intervals of 120 degrees.
상기 5단계와 6단계 사이에는 열간 또는 냉간의 경화장치가 설치되어, 모르타르를 경화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이송용 파이프의 연속제조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Wherein a hot or cold hardening device is provided between steps 5 and 6 so that the mortar can be cured.
상기 보강재는 수평면의 양단 하부에 수직면을 갖도록 "┌┐"자 형상으로 접어 겹치면서 나선형상으로 상기 내관의 외면에 설치된 것으로, 상기 수평면이 상기 외관과 접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이송용 파이프의 연속제조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einforcing member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pipe so as to be folded and folded so as to have a vertical plane at both lower ends of the horizontal plane so as to have a vertical plane and the horizontal plane is in contact with the outer pipe. Way.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21977A KR101401410B1 (en) | 2011-03-11 | 2011-03-11 | Continuity manufacture method of fluid transfer pipe and thereof pipe and thereof pipe connecto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21977A KR101401410B1 (en) | 2011-03-11 | 2011-03-11 | Continuity manufacture method of fluid transfer pipe and thereof pipe and thereof pipe connecto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103969A KR20120103969A (en) | 2012-09-20 |
KR101401410B1 true KR101401410B1 (en) | 2014-05-30 |
Family
ID=471117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21977A Expired - Fee Related KR101401410B1 (en) | 2011-03-11 | 2011-03-11 | Continuity manufacture method of fluid transfer pipe and thereof pipe and thereof pipe connecto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01410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29021A (en) | 2017-09-11 | 2019-03-20 | 미래화학 주식회사 | High rigidity pipe with stiffener inserted for earthquake-proof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9239850A (en) * | 1996-03-06 | 1997-09-16 | Sekisui Chem Co Ltd | Production of reinforced resin pipe |
JPH09239857A (en) * | 1996-03-07 | 1997-09-16 | Sekisui Chem Co Ltd | Manufacture of fiber reinforced resin pipe |
KR20000014804U (en) * | 1998-12-30 | 2000-07-25 | 전금진 | Double pipe |
JP2003112373A (en) * | 2001-10-03 | 2003-04-15 | Kurimoto Ltd | Method for forming unevenness of inner surface of reinforced plastic pipe |
-
2011
- 2011-03-11 KR KR1020110021977A patent/KR101401410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9239850A (en) * | 1996-03-06 | 1997-09-16 | Sekisui Chem Co Ltd | Production of reinforced resin pipe |
JPH09239857A (en) * | 1996-03-07 | 1997-09-16 | Sekisui Chem Co Ltd | Manufacture of fiber reinforced resin pipe |
KR20000014804U (en) * | 1998-12-30 | 2000-07-25 | 전금진 | Double pipe |
JP2003112373A (en) * | 2001-10-03 | 2003-04-15 | Kurimoto Ltd | Method for forming unevenness of inner surface of reinforced plastic pipe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29021A (en) | 2017-09-11 | 2019-03-20 | 미래화학 주식회사 | High rigidity pipe with stiffener inserted for earthquake-proof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103969A (en) | 2012-09-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8527807B (en) | A kind of non-metallic flexible pip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
CA2998315A1 (en) | High pressure pipe and method for producing such pipe | |
CN109555909B (en) | Double-wall inner rib glass fiber reinforced plastic sandwich concrete high-strength composite pipeline and processing method thereof | |
CN111113941A (en) | FRP (fiber reinforced plastic) cross-wound spiral stirrup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WO2000070256A1 (en) | A flexible lightweight composite pipe for high pressure oil and gas applications | |
CN207195858U (en) | Fiber Reinforced Plastic Drains | |
CN111877643B (en) | Prefabricated on-site bending and forming connecting device, FRP bar bending and forming method and FRP bar | |
CN100560339C (en) | Manufacturing method of polyethylene glass fiber resin impregnated composite pipe | |
KR101401410B1 (en) | Continuity manufacture method of fluid transfer pipe and thereof pipe and thereof pipe connector | |
EP3105055B1 (en) | Composite | |
US20150075663A1 (en) | Pip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pipe | |
CN103243711A (en) | Composite pipe pile with inner ribs | |
CN106678456B (en) | Concrete canvas composite pipe | |
CN108119705B (en) | A kind of bamboo winding tube structure with different diameter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 |
CN114454517B (en) | Composite material pole core mold, using method and composite material pole | |
CA2438151C (en) | Composite pipe, method of formation, tool to perform method, and use of pipe | |
EP1794485B1 (en) | Rigid composite tubular article and method for its production | |
CN113290882B (en) | External shear key composite material winding pipe and processing method | |
KR20120103954A (en) | Continuity manufacture method of fluid transfer pipe and thereof pipe and thereof pipe connector | |
CN113320237A (en) | Tubular composite material and preparation method and application thereof | |
RU37794U1 (en) | BIPLAST PIPE | |
KR100859167B1 (en) | Method for manufacturing connector assembly connecting JP and connector assembly connecting JP | |
CN112046103B (en) | High-wear-resistance glass fiber reinforced plastic sand inclusion pip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US20240110592A1 (en) | Flexible composite drive shaft | |
CN208090098U (en) | A kind of full fusion continuous fiber thermoplastic reinforced pip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31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1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822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5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405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03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