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400589B1 - 가스절연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가스절연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0589B1
KR101400589B1 KR1020130004639A KR20130004639A KR101400589B1 KR 101400589 B1 KR101400589 B1 KR 101400589B1 KR 1020130004639 A KR1020130004639 A KR 1020130004639A KR 20130004639 A KR20130004639 A KR 20130004639A KR 101400589 B1 KR101400589 B1 KR 1014005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arc
movable
insulated switchgear
therma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46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춘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046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05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05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0589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70Switches with separate means for directing,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 H01H33/7015Switches with separate means for directing,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characterised by flow directing elements associated with contacts
    • H01H33/7023Switches with separate means for directing,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characterised by flow directing elements associated with contacts characterised by an insulating tubular gas flow enhancing nozz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02Details
    • H01H33/04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arc between current-carrying parts
    • H01H33/08Stationary parts for restricting or subdividing the arc, e.g. barrier pla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70Switches with separate means for directing,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 H01H33/88Switches with separate means for directing,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the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being produced or increased by movement of pistons or other pressure-producing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70Switches with separate means for directing,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 H01H33/88Switches with separate means for directing,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the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being produced or increased by movement of pistons or other pressure-producing parts
    • H01H33/90Switches with separate means for directing,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the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being produced or increased by movement of pistons or other pressure-producing parts this movement being effected by or in conjunction with the contact-operating mechanism
    • H01H33/904Switches with separate means for directing,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the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being produced or increased by movement of pistons or other pressure-producing parts this movement being effected by or in conjunction with the contact-operating mechanism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between operating mechanism and piston or movable contac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30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arc between current-carrying parts
    • H01H9/34Stationary parts for restricting or subdividing the arc, e.g. barrier plate
    • H01H9/342Venting arrangements for arc chutes

Landscapes

  • Circuit Brea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스절연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고정부와 가동부로 이루어진 차단기가 차단될 때에 고정부의 고정아크부재와 가동부의 가동아크부재가 분리되는 가스절연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아크부재와 상기 가동아크부재 간의 분리로 인해 발생하는 아크를 상쇄시키기 위해 소호가스 저장부에 있는 소호가스를 분사하는 분사노즐, 상기 분사노즐에서 분사된 소호가스로 인해 아크가 상쇄될 때 생기는 열가스가 지나가는 열가스 이동관, 상기 열가스 이동관의 일단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열가스 이동관을 통해서 들어온 열가스의 유입을 막고 흐름을 가이드 하는 디스크, 상기 소호가스 저장부에 냉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진공관, 및 열가스를 냉각시키기 위해서 냉가스를 유입하는 다수개의 유입홀을 포함한다. 이러한 가스절연 개폐장치는 가동부에 냉가스를 유입하여 절연회복특성 저하에 따른 재점호를 방지하고 고장전류를 차단하여 차단기의 차단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가스절연 개폐장치{GAS INSULATED SWITCHGEAR}
본 발명은 가스절연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가스절연 개폐장치에 사용되는 차단기의 차단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냉가스를 유입하는 가스절연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스절연 개폐장치는 송, 변전선로의 계통회로를 연결 또는 분리시키기 위해 사용되며, 이상전압 발생시나 지락 및 선로 단락 시 고장전류를 완전하게 차단시킴으로써, 사고범위를 제한할 수 있고 또한 2차, 3차 사고를 억제할 수 있도록 하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가스절연 개폐장치의 대부분을 이루는 것은 퍼퍼(Puffer) 소호 방식이다. 일부 개폐장치에서는 진공 소호 방식도 사용되고 있으나 이는 주로 소용량급에 적용되는 것이며, 근래에는 열팽창방식과 퍼퍼방식을 혼합한 복합 소호 방식이 적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기존의 고전압 가스절연 대용량 가스절연 개폐장치들의 대부분은 열가스를 불어서 아크를 소호하는 퍼퍼방식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한편, 한국공개특허 제10-2006-0116567호는 차단 동작 시 절연가스가 갖는 절연특성을 최대한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별도의 배출구를 통해 열가스를 배출하도록 하고 동시에 아크 세력을 약화시킬 수 있는 진공 흡입부를 이용하는 고전압 아크 소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고정부측 도체(1)의 선단부에 고정부측 주접점(3)이 형성되어 있고, 이와 대향 되도록 가동부측 고정도체(20)가 형성되며, 고정부측도체(1)의 중심부 내측에 고정부측 아크접점(2)이 형성되고, 상기 가동부 주접점(15)의 중심부에 형성된 가동로드(13)의 끝단부에 가동부 아크접점(10)이 형성된 고전압 아크 소호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측 아크접점(2)과 가동부 아크접점(10) 사이에서 발생한 아크에 의한 열가스의 배출 및 재유입을 막기 위한 열가스 배출/차단부(4)가 고정부측도체(1)의 중심부 내측에 형성되며, 상기 열가스 배출/차단부(4)는 열가스배출구(6)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흡입소호부를 갖는 고전압 아크 소호장치는 절연회복특성 저하에 따른 재점호를 방지하고, 차단성능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런데, 가스절연 개폐장치의 차단은 0.3초 이내에 2번의 차단을 시행하여야 하는데 차단기의 첫 번째 차단 시에는 가스절연 개폐장치에 냉가스가 있는 상태에서 차단되므로 차단성능이 우수하지만, 차단기가 첫 번째 차단될 때 발생한 열가스에 의해서 가스절연 개폐장치의 내부는 고온, 고압의 상태가 된다. 이때, 차단기의 두 번째 차단을 하면 가스절연 개폐장치는 차단성능이 급격히 떨어져서 고장전류 차단이 어려워 진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6-0116567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차단기에 아크가 발생하여 생성되는 열가스의 온도를 낮추기 위해 가동부에 냉가스를 유입하는 가스절연 개폐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들 중에서, 가스절연 개폐장치는 고정부와 가동부로 이루어진 차단기가 차단될 때에 고정부의 고정아크부재와 가동부의 가동아크부재가 분리되는 가스절연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아크부재와 상기 가동아크부재 간의 분리로 인해 발생하는 아크를 상쇄시키기 위해 소호가스 저장부에 있는 소호가스를 분사하는 분사노즐, 상기 분사노즐에서 분사된 소호가스로 인해 아크가 상쇄될 때 생기는 열가스가 지나가는 열가스 이동관, 상기 열가스 이동관의 일단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열가스 이동관을 통해서 들어온 열가스의 유입을 막고 흐름을 가이드 하는 디스크, 상기 소호가스 저장부에 냉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진공관, 및 열가스를 냉각시키기 위해서 냉가스를 유입하는 다수개의 유입홀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열가스 이동관은 상기 열가스 이동관의 배출홀 위치가 상기 진공관을 지난 후 열가스를 배출하여 상기 유입홀에서 유입된 냉가스와 열가스가 혼합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유입홀은 상기 냉가스 탱크에서 공급되는 냉가스가 원활하게 상기 유입홀로 들어갈 수 있도록 상기 유입홀의 입구가 일정각도로 경사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절연 개폐장치는 가동부에 냉가스를 유입하여 절연회복특성 저하에 따른 재점호를 방지하고 고장전류를 차단하여 차단기의 차단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절연 개폐장치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가스절연 개폐장치에 아크가 발생하였을 때 열가스의 흐름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있는 열가스가 모두 빠져 나갔을 때의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있는 가스절연 개폐장치에 냉가스가 유입되는 것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있는 가스절연 개폐장치의 유입홀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절연 개폐장치를 설명하는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있는 가스절연 개폐장치에 아크가 발생하였을 때 열가스의 흐름을 설명하는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 있는 열가스가 모두 빠져 나갔을 때의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4는 도 1에 있는 가스절연 개폐장치에 냉가스가 유입되는 것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1, 도 2,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가스절연 개폐장치(100)는 가스절연 개폐장치(100)의 차단기에 고정되는 고정부(110)와 가스절연 개폐장치(100)의 차단기에서 좌우로 직선이동이 가능한 가동부(120)로 이루어진 차단기가 차단될 때에 고정부(110)의 고정아크부재(111)와 가동부(120)의 가동아크부재(121)가 분리된다.
그리고 가스절연 개폐장치(100)는 분사노즐(122), 열가스 이동관(123), 디스크(124), 및 유입홀(125)을 포함한다.
분사노즐(122)은 고정아크부재(111)를 기준으로 대칭되도록 가동부(120)의 일단에 두 개의 바로 형성되어 있고, 가동부(120)가 좌우로 직선 이동 시 고정부(110)의 내부를 좌우로 직선 이동할 수 있으며, 차단기가 차단될 때 고정아크부재(111)와 가동아크부재(121) 간의 분리로 인해 발생하는 아크(200)를 상쇄시키기 위해 소호가스 저장부(127)에 있는 소호가스(300)를 분사할 수 있다.
이때, 차단기의 차단으로 가동부(120)가 움직여서 고정아크부재(111)와 가동아크부재(121)가 분리된 후에 소호가스 저장부(127)에 있는 소호가스(300)는 소호가스 저장부(127)와 분사노즐(122) 사이에 있는 홀(127-1)을 통해서 공급되어 분사노즐(122)이 고정아크부재(111)와 분사노즐(122)의 사이에 생긴 틈(122-1)을 통해서 소호가스(300)를 분사할 수 있다.
열가스 이동관(123)은 가동아크부재(121)의 일단에 파이프 또는 관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분사노즐(122)에서 분사된 소호가스(300)로 인해 아크(200)가 상쇄될 때 생기는 열가스(400)가 지나갈 수 있다. 이때, 열가스(400)의 일부는 고정부(110)로 흘러갈 수 있으며, 나머지 일부는 열가스 이동관(123)을 통해서 디스크(124) 밖으로 흘러갈 수 있다.
열가스 이동관(123)을 통해서 이동된 열가스(400)는 디스크(124)를 지나서 배출홀(123-1)을 통해 디스크(124) 아래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열가스 이동관(123)은 유입홀(125)에서 유입된 냉가스(510)와 열가스 이동관(123)에 있는 열가스(400)가 서로 혼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디스크(124)는 열가스 이동관(123)을 기준으로 대칭되도록 열가스 이동관(123)의 일단에 두 개의 바로 형성(예를 들면, 원추형상 혹은 판형상)되어 있으며, 열가스 이동관(123)을 통해서 들어온 열가스(400)의 흐름을 가이드 할 수 있다. 이때, 열가스(400)는 열가스 이동관(123)과 디스크(124)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배출홀(123-1)을 통해서 디스크(124)의 내부에 모일 수 있다.
또한, 열가스 이동관(123)을 통해서 들어온 열가스(400)가 진공관(128)을 모두 채워 소호가스 저장부(127)로 열가스(400)가 유입되는 기존의 방식에 비해서 본 발명은 디스크(124)가 열가스(400)를 가이드 함으로써, 소호가스 저장부(127)로 열가스(400)가 유입되는 것을 막고 열가스 이동관(123)의 외부에 냉가스(510)가 유입되게 하여 차단기의 차단성능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디스크(124)의 가이드로 인해 흐름이 제어된 열가스(400)는 가동부(120)의 양 측에 형성되어 있는 배출구(129)로 모두 빠져나가 제거될 수 있다.
유입홀(125)은 디스크(124)와 진공관(128) 사이에 형성되어 있으며, 디스크(124)에 있는 열가스(400)를 냉각시키기 위해서 냉가스(510)를 유입할 수 있다. 또한, 유입홀(125)은 냉가스 탱크(500)에서 공급되는 냉가스(510)가 원활하게 유입홀(125)로 들어갈 수 있도록 유입홀(125)의 입구(126)가 일정각도로 경사질 수 있다.
그리고 냉가스(510)가 유입홀(125)을 통해서 진공관(128)으로 신속하게 들어가게 하기 위해서 유입홀(125)은 도 4와 같이 가동부(120)를 둘러싸고 있는 다수개의 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다수개의 유입홀(125)은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으며, 원형 또는 사각형 등의 형상일 수 있다.
그리고 가스절연 개폐장치(100)는 진공관(12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진공관(128)은 열가스 이동관(123)의 외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디스크(124)와 소호가스 저장부(127)의 중간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진공관(128)은 열가스(400)가 모두 빠져나간 후에 가동부(120)가 고정부(110)쪽으로 닫힐 때 짧은 시간에 확장되어 순간 진공상태가 되며, 이때 냉가스 탱크(500)에 있는 냉가스(510)가 유입홀(125)로 유입될 수 있다.
유입홀(125)로 유입되어 진공관(128)에 경유하고 있는 냉가스(510)는 고정아크부재(111)와 가동아크부재(121)가 분리될 때 생기는 아크(200)와 아크(200)를 제거하기 위해서 분사되는 소호가스(300) 간의 만남으로 인해 발생하는 열가스(400)를 냉각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가스절연 개폐장치(100)는 냉가스 탱크(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냉가스 탱크(500)는 유입홀(125)에 유입할 냉가스(510)를 보관하고 있으며, 열가스(400)를 냉각시키기 위해 냉가스(510)를 유입홀(125)로 공급해줄 수 있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절연 개폐장치의 동작을 보다 상세히 살펴본다.
가스절연 개폐장치(100)는 차단기가 두 번 차단을 하게 되는데, 차단기가 첫 번째로 차단될 때 고정부(110)의 고정아크부재(111)와 가동부(120)의 가동아크부재(121)가 분리되면서 아크(200)가 발생할 수 있다. 이때, 아크(200)를 상쇄시키기 위해서 소호가스 저장부(127)에 있는 소호가스(300)가 소호가스 저장부(127)와 분사노즐(122) 사이에 있는 홀(127-1)을 통해서 공급되어 분사노즐(122)이 고정아크부재(111)와 분사노즐(122) 사이에 생긴 틈(122-1)을 통해서 소호가스(300)를 분사할 수 있다.
소호가스(300)와 아크(200)의 만남으로 인해 열가스(400)가 생성되어 고정부(110) 및 열가스 이동관(123)으로 열가스(400)가 이동할 수 있다.
고정부(110)에 모인 열가스(400)는 고정부(110)의 양측에 형성되어 있는 배출구(112)로 모두 빠져나가 제거될 수 있으며, 가동아크부재(121)의 일단에 파이프 또는 관으로 형성되어 있는 열가스 이동관(123)을 통해서 이동된 열가스(400)는 열가스 이동관(123)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디스크(124)에 의해서 열가스 이동관(123)과 디스크(124)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배출홀(123-1)을 통해 디스크(124)의 내부에 모일 수 있다.
이때, 열가스 이동관(123)은 유입홀(125)에서 유입된 냉가스(510)와 열가스 이동관(123)에 있는 열가스(400)가 서로 혼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크(124)의 가이드로 인해 흐름이 제어된 열가스(400)는 가동부(120)의 양 측에 형성되어 있는 배출구(129)로 모두 빠져나가 제거될 수 있다.
차단기의 첫 번째 차단 시에 발생되는 모든 열가스(400)가 밖으로 빠져 나가게 되면, 냉가스 탱크(500)에서 냉가스(510)가 유입홀(125)을 통해 유입될 수 있다. 이때, 유입홀(125)은 디스크(124)와 진공관(128) 사이에 형성되어 있으며, 냉가스 탱크(500)에서 공급되는 냉가스(510)가 원활하게 유입홀(125)로 들어갈 수 있도록 유입홀(125)의 입구(126)가 일정각도로 경사질 수 있다.
또한, 유입홀(125)은 냉가스(510)가 유입홀(125)을 통해서 진공관(128)으로 신속하게 들어가게 하기 위해서 가동부(120)를 둘러싸고 있는 다수개의 홀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때 다수개의 유입홀(125)은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으며, 원형 또는 사각형 등의 형상일 수 있다.
유입홀(125)을 통해 유입된 냉가스(510)는 열가스(400)가 모두 빠져나간 후에 가동부(120)가 고정부(110)쪽으로 닫힐 때 짧은 시간에 확장되어 순간 진공상태가 되는 진공관(128)에 유입될 수 있고, 이때 진공관(128)은 열가스 이동관(123)의 외부에 형성되어 디스크(124)와 소호가스 저장부(127)의 중간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차단기가 두 번째로 차단될 때 고정아크부재(111)와 가동아크부재(121)의 분리로 인해 아크(200)가 발생하게 되고, 아크(200)를 상쇄시키기 위해서 소호가스 저장부(127)에 있는 소호가스(300)를 분사노즐(122)이 분사할 수 있다.
소호가스(300)와 아크(200)의 만남으로 인해 열가스(400)가 생성되어 고정부(110) 및 열가스 이동관(123)으로 열가스(400)가 이동할 수 있는데, 열가스(400)가 열가스 이동관(123)을 지나갈 때 열가스 이동관(123)의 외부에 있는 진공관(128)에 경유하고 있는 냉가스(510)를 통해서 열가스(400)를 냉각시켜 차단기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출원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가스절연 개폐장치
110: 고정부 111: 고정아크부재
120: 가동부 121: 가동아크부재
122: 분사노즐
123: 열가스 이동관 124: 디스크
125: 유입홀 128: 진공관
200: 아크
300: 소호가스
400: 열가스
500: 냉가스 탱크 510: 냉가스

Claims (3)

  1. 고정부와 가동부로 이루어진 차단기가 차단될 때에 고정부의 고정아크부재와 가동부의 가동아크부재가 분리되는 가스절연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아크부재와 상기 가동아크부재 간의 분리로 인해 발생하는 아크를 상쇄시키기 위해 소호가스 저장부에 있는 소호가스를 분사하는 분사노즐;
    파이프 또는 관 형상으로 상기 가동아크부재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소호가스로 인해 아크가 상쇄될 때 생기는 열가스가 지나가는 열가스 이동관;
    상기 열가스 이동관의 외부에 형성되어 냉가스 탱크로부터 냉가스가 유입되면 상기 냉가스를 상기 소호가스 저장부로 공급하는 진공관;
    상기 열가스 이동관을 기준으로 대칭되도록 상기 열가스 이동관의 일단에 두 개의 바로 형성되어, 상기 열가스 이동관을 통해 유입된 열가스가 상기 진공관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열가스의 흐름을 가이드 하는 디스크; 및
    상기 열가스를 냉각시키기 위한 냉가스가 유입되는 다수개의 유입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절연 개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스 이동관은
    상기 열가스 이동관의 배출홀 위치가 상기 진공관을 지난 후 열가스를 배출하여 상기 유입홀에서 유입된 냉가스와 열가스가 혼합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위치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절연 개폐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홀은
    상기 냉가스 탱크에서 공급되는 냉가스가 원활하게 상기 유입홀로 들어갈 수 있도록 상기 유입홀의 입구가 일정각도로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절연 개폐장치.
KR1020130004639A 2013-01-15 2013-01-15 가스절연 개폐장치 Active KR1014005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4639A KR101400589B1 (ko) 2013-01-15 2013-01-15 가스절연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4639A KR101400589B1 (ko) 2013-01-15 2013-01-15 가스절연 개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0589B1 true KR101400589B1 (ko) 2014-05-27

Family

ID=508955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4639A Active KR101400589B1 (ko) 2013-01-15 2013-01-15 가스절연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058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4523A (ko) * 2015-06-08 2016-12-19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가스절연 차단기
KR20190101206A (ko) * 2018-02-22 2019-08-30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가스절연 개폐장치용 가스 차단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0592B1 (ko) * 2010-02-11 2011-06-10 한국전기연구원 복합 소호형 가스 차단기
JP2011198641A (ja) 2010-03-19 2011-10-06 Toshiba Corp ガス遮断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0592B1 (ko) * 2010-02-11 2011-06-10 한국전기연구원 복합 소호형 가스 차단기
JP2011198641A (ja) 2010-03-19 2011-10-06 Toshiba Corp ガス遮断器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4523A (ko) * 2015-06-08 2016-12-19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가스절연 차단기
KR101701817B1 (ko) 2015-06-08 2017-02-03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가스절연 차단기
KR20190101206A (ko) * 2018-02-22 2019-08-30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가스절연 개폐장치용 가스 차단기
KR102466938B1 (ko) 2018-02-22 2022-11-14 엘에스일렉트릭(주) 가스절연 개폐장치용 가스 차단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64498B2 (en) Gas-insulated low- or medium-voltage load break switch
KR100910525B1 (ko) 모터보호용 차단기의 아크소호장치
KR101496903B1 (ko) 차단성능이 향상되는 복합 소호형 가스 차단기
US8502101B2 (en) Circuit breaker
JP2012069348A (ja) ガス遮断器
KR101400589B1 (ko) 가스절연 개폐장치
WO2019001946A1 (en) GAS INSULATED LOAD SWITCH SWITCH AND SWITCHING EQUIPMENT COMPRISING A GAS INSULATED LOAD SWITCH SWITCH
KR101501636B1 (ko) 체크밸브를 가지는 복합소호방식 가스 차단기
KR101605142B1 (ko) 가스절연 차단기
KR101701817B1 (ko) 가스절연 차단기
KR101524800B1 (ko) 가스 차단기의 자동이동식 유동가이드
KR102520091B1 (ko) 복합소호식 초고압 차단기의 소호부
KR20120034981A (ko) 가스배출안내부를 적용한 가스절연차단기
KR20190110842A (ko) 초고압 차단기
KR101300721B1 (ko) 가스절연 개폐장치
KR20130131166A (ko) 가스절연 차단기의 방열 장치
KR101508442B1 (ko) 가스절연 개폐장치의 차단기
KR101890682B1 (ko) 가스절연 개폐장치용 복합 소호식 가스 차단기
KR101697583B1 (ko) 초고압 가스 차단기
KR102716097B1 (ko) 가스절연개폐장치
KR101827489B1 (ko) 가스절연차단기의 가스 냉각 및 배출 장치
KR102466213B1 (ko) 가스절연 차단기
KR101578699B1 (ko) 퍼퍼형 가스차단기
KR20160003827U (ko) 가스절연 개폐장치의 소호부
KR200474478Y1 (ko) 가스절연 차단기의 노즐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11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11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52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5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05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6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42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50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42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32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32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402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