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400237B1 - 이중챔버 구조를 이용한 스마트에어백 시스템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이중챔버 구조를 이용한 스마트에어백 시스템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0237B1
KR101400237B1 KR1020140016482A KR20140016482A KR101400237B1 KR 101400237 B1 KR101400237 B1 KR 101400237B1 KR 1020140016482 A KR1020140016482 A KR 1020140016482A KR 20140016482 A KR20140016482 A KR 20140016482A KR 101400237 B1 KR101400237 B1 KR 1014002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airbag
sensor
passenger
informa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64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재훈
오승종
이경용
Original Assignee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방과학연구소 filed Critical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to KR10201400164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02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02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0237B1/ko
Priority to US14/486,135 priority patent/US9079561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1/261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with means other than bag structure to diffuse or guide inflation fl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5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position of passengers, passenger seats or child seats, and the related safety parameters therefor, e.g. speed or timing of airbag inflation in relation to occupant position or seat belt use
    • B60R21/01512Passenger detection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021/26017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a cooling agent being added to the inflation flu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에어백에 관한 것으로, 승객 정보로부터 연산된 에어백의 최적 팽창력을 고려하여 사고 발생 시 고온 가스의 유동을 제어하며 분사하는 가스발생기; 상기 가스발생기로부터 분사되는 상기 고온 가스를 유입 받아 상기 에어백으로 분사하는 가스 챔버; 및 상기 에어백으로 유입되기 전의 상기 고온 가스를 저장된 유체를 분사하여 온도 저감시켜 저온 가스로 변화시키는 유체 챔버; 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중챔버 구조를 이용한 스마트에어백 시스템 제어 장치{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SMART-AIRBAGS SYSTEM USING DUAL-CHAMBER STRUCTURE}
본 발명은 스마트에어백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마트에어백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이중챔버 구조를 이용한 스마트에어백을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에어백 시스템의 출력 장치인 에어백 모듈의 초기 기술은 화약식 가스발생기(Inflator) 방식을 사용하여 운전석 에어백(Driver Airbag)이 주로 장착하였으나, 기술의 발전에 따라 화약 및 압축 가스의 복합식 가스발생기(Inflator) 방식을 사용하여 운적석 에어백뿐만 아니라 조수석 에어백(Passenger Airbag), 사이드 에어백(Side Airbag), 커튼 에어백(Curtain Airbag), 무릎 에어백(Knee Airbag), 어드밴스트 에어백(Advanced Airbag), 보행자보호 에어백(Windshield Airbag) 및 센터 에어백 (Center Airbag)등 에 장착되는 것이 보편화되었다. 에어백 시스템은 차량 사고 시 탑승자에게 가능한 충격을 줄여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종래의 에어백 시스템의 에어백은 차량 사고 시 2차 안전사고의 위험성을 가지고 있다. 예컨대, 도 1은 에어백에 의한 어린이 안전사고의 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차량 사고 시 에어백은 순간적으로 팽창한다. 차량 사고 시 충격을 줄여주기 위해 순간적으로 팽창하는 에어백이 도리어 탑승자에게 충격을 줄 수 있다. 또한, 차량 사고 시 팽창하는 에어백에 의해 탑승자는 질식사 위험 등의 2차 안전 사고의 위험성이 있다. 또한, 차량 사고 시 순간적으로 팽창하는 에어백이 외부 충격에 의해 찢어지는 경우 에어백 내부의 고온 가스가 누출되어 탑승자에게 화상을 입히는 2차 손상의 위험성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에어백의 에어백을 팽창시키는 가스를 저온 가스화할 수 있는 이중챔버 구조를 이용한 스마트에어백 시스템 제어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탑승자 정보로부터 에어백의 최적의 팽창력을 연산하여 가스의 유동을 제어할 수 있는 이중챔버 구조를 이용한 스마트에어백 시스템 제어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중챔버 구조를 이용한 스마트에어백 시스템 제어 장치는, 승객 정보로부터 연산된 에어백의 최적 팽창력을 고려하여 사고 발생 시 고온 가스의 유동을 제어하며 분사하는 가스발생기; 상기 가스발생기로부터 분사되는 상기 고온 가스를 유입 받아 상기 에어백으로 분사하는 가스 챔버; 및 상기 에어백으로 유입되기 전의 상기 고온 가스를 저장된 유체를 분사하여 온도 저감시켜 저온 가스로 변화시키는 유체 챔버;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스발생기는, 복수 개의 가스발생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승객 정보를 고려하여 가스 홀의 크기를 가변시켜 상기 저온 가스의 유동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승객 정보는, 상기 승객의 탑승 여부 정보, 안전벨트 착용 여부 정보, 어린이 전용 좌석의 유무 정보, 탑승자의 신장 정보, 탑승자의 체중 정보, 탑승자의 착석 자세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승객 정보는, 좌석위치센서(Seat position sensor), 벨트버클센서(Seat belt buckle sensor), 어린이 시트 감지 센서(Child seat detection sensor), 승객 위치 센서(Occupant position sensor), 적외선 센서(Infrared sensor), 초음파 센서(Ultra sonic sensor) 및 승객중량센서(Occupant weight sensor) 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로부터 측정된 센서 값으로부터 생성될 수 있다.
상기 유체는 냉각수인 것을 특징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챔버 구조를 이용한 스마트에어백 시스템 제어 장치는 가스발생기 내부에 화약 연소로 의해 발생하는 고온 가스를 이중챔버에 저장된 냉각수를 통해 저온 가스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챔버 구조를 이용한 스마트에어백 시스템 제어 장치는 탑승자 정보로부터 에에백의 최적의 팽창력을 연산하고, 연산된 최적의 팽창력에 따라 복수 개 의 가스밸생기의 동작을 제어를 통해 가스의 유동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챔버 구조를 이용한 스마트에어백 시스템 제어 장치는 탑승자 정보로부터 에에백의 최적의 팽창력을 연산하고, 연산된 최적의 팽창력에 따라 에어백으로 유입되는 가스의 유동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챔버 구조를 이용한 스마트에어백 시스템 제어 장치는 에어백으로 유입되는 저온화된 가스의 유동을 연산된 최적의 팽창력에 따라 제어함으로써, 차량 사고 시 에어백에 의한 충격 사고 및 고온 가스 누출로 인한 화상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도 1은 에어백에 의한 어린이 안전사고의 예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챔버 구조를 이용한 스마트에어백 시스템 제어 장치의 모델링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챔버 구조를 이용한 스마트에어백 시스템 제어 장치에 의해 제어되는 가스의 유동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가스발생기를 구비한 이중챔버 구조를 이용한 스마트에어백 시스템 제어 장치에 의해 제어되는 가스의 유동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챔버 구조를 이용한 스마트에어백 시스템 제어 장치에 의해 제어되는 가스 홀의 크기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챔버 구조를 이용한 스마트에어백 시스템 제어 장치의 세부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챔버 구조를 이용한 스마트에어백 시스템 제어 장치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용어를 정의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승객 정보는 승객의 탑승 여부 정보, 안전벨트 착용 여부 정보, 어린이 전용 좌석의 유무 정보, 탑승자의 신장 정보, 탑승자의 체중 정보, 탑승자의 착석 자세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승객 정보는 차량에 구비된 좌석위치센서(Seat position sensor), 벨트버클센서(Seat belt buckle sensor), 어린이 시트 감지 센서(Child seat detection sensor), 승객 위치 센서(Occupant position sensor), 적외선 센서(Infrared sensor), 초음파 센서(Ultra sonic sensor) 및 승객중량센서(Occupant weight sensor) 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로부터 측정된 센서 값으로부터 생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최적 팽창력은 에어백 동작으로 인한 승객의 2차 안전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는 에어백의 최적의 팽창력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최적 팽창력은 승객 정보로부터 산출될 수 있다. 예컨대, 차량에 구비된 각 에어백은 좌석에 탑승한 승객 정보에 따라 서로 다른 최적 팽창력이 산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최적 팽창력은 이중챔버 구조를 이용한 스마트에어백 시스템 제어 장치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가스발생기가 고온 가스를 가스 챔버로 분사하는 고온 가스 유동을 제어하는데 고려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최적 팽창력은 이중챔버 구조를 이용한 스마트에어백 시스템 제어 장치에 구비된 가스 챔버가 저온 가스를 에어백으로 분사하는 저온 가스 유동을 제어하는데 고려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챔버 구조를 이용한 스마트에어백 시스템 제어 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챔버 구조를 이용한 스마트에어백 시스템 제어 장치의 모델링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챔버 구조를 이용한 스마트에어백 시스템 제어 장치에 의해 제어되는 가스의 유동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가스발생기를 구비한 이중챔버 구조를 이용한 스마트에어백 시스템 제어 장치에 의해 제어되는 가스의 유동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챔버 구조를 이용한 스마트에어백 시스템 제어 장치에 의해 제어되는 가스 홀의 크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이중챔버 구조를 이용한 스마트에어백 시스템 제어 장치(200)는 가스발생기(210), 냉각챔버(220) 및 에어백(230)를 포함할 수 있다.
가스발생기(210)는 사고 발생 시, 승객 정보로부터 연산된 에어백의 최적 팽창력을 고려하여 냉각챔버(220)에 구비된 가스챔버(220-1)의 내부로 고온 가스의 유동을 제어하며 분사할 수 있다.
또한, 가스발생기(210)는 복수 개의 가스발생기(210a, 210b, ……, 210n)을 포함할 수 있다. 이중챔버 구조를 이용한 스마트에어백 시스템 제어 장치(200)는 사고 발생 시 복수 개의 가스발생기(210a, 210b, … , 210n) 중 냉각챔버(220)에 구비된 가스챔버(220-1)의 내부로 고온 가스를 분사할 적어도 하나의 가스발생기를 선택하여, 승객 정보로부터 연산된 에어백의 최적 팽창력을 고려하여 고온 가스의 유동을 제어하며 분사하도록 동작시킬 수 있다.
냉각챔버(220)는 가스 챔버(220-1), 유체 챔버(220-2), 피스톤(220-3), 스탠드파이프(220-4), 안전 파열판(220-5) 및 가스 홀 크기 조절부(220-6)를 포함할 수 있다.
가스 챔버(220-1)는 가스발생기(210)로부터 분사되는 고온 가스를 유입 받아 에어백(230)로 분사할 수 있다. 예컨대, 가스발생기(210)로부터 분사되는 고온가스가 에어백(230)로 이동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유체 챔버(220-2)는 에어백(230)로 유입되기 전의 고온 가스를 저장된 유체를 분사하여 온도 저감시켜 저온 가스로 변화시킬 수 있다. 예컨대, 유체로는 냉각수를 사용할 수 있다.
피스톤(220-3)은 가스 챔버(220-1) 내에서 이동하는 고온 가스의 압력에 의하여 에어백(230)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이중챔버 구조를 이용한 스마트에어백 시스템 제어 장치(200)는 피스톤(220-3)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는 모터(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승객 정보로부터 연산된 에어백(230)의 최적 팽창력을 고려하여 모터(미도시)의 구동을 제어하여 피스톤(220-3)의 위치를 가변 할 수 있다. 이중챔버 구조를 이용한 스마트에어백 시스템 제어 장치(200)는 피스톤(220-3)의 위치를 가변 시켜 피스톤(220-3)이 의해 파열될 수 있는 안전 파열판(220-5)의 개수를 가변 할 수 있다. 따라서, 이중챔버 구조를 이용한 스마트에어백 시스템 제어 장치(200)는 파열되는 안전 파열판(220-5)의 개수를 가변하여 에어백(230)의 팽창력을 조절할 수 있다.
스탠드파이프(220-4)는 가스 챔버(220-1)와 유체 챔버(220-2) 사이에 위치하여 두 챔버의 공간을 격리 시킬 수 있다.
또한, 스탠드파이프(220-4)는 피스톤(220-3) 이동 중 스탠드파이프(220-4)의 일면을 따라 이동하도록 지지하여 피스톤(220-3)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스탠드파이프(220-4)을 적어도 하나의 안전 파열판(220-5)을 장착할 수 있는 공간을 구비할 수 있다.
안전 파열판(220-5)은 피스톤(220-3)의 이동 운동 에너지에 받은 유체 챔버(220-2) 내부에 저장된 유체에 의해 파열될 수 있다. 파열된 안전 파열판(220-5)인해 형성된 공간으로 유체 챔버(220-2) 내부에 저장된 유체는 가스 챔버(220-1)에서 에어백(230)로 이동하는 고온 가스로 피스톤(220-3)의 운동 에너지에 의해 분사될 수 있다.
가스 홀 크기 조절부(220-6)는 모터(220-7), 기어(220-8), 회전판(220-9) 및 고정판(220-10)을 포함할 수 있다. 가스 홀 크기 조절부(220-6)는 승객 정보로부터 연산된 최적 팽창력을 고려하여 가스 홀 크기를 조절하여 가스 챔버(220-1)로부터 에어백(230)로 분사되는 온도가 저감된 저온가스의 유동을 제어할 수 있다.
모터(220-7)는 승객 정보로부터 연산된 에어백(230)의 최적 팽창력을 고려하여 생성된 가스홀 크기 정보에 따라 기어(220-8)를 통해 회전판(220-9)을 회전시킬 수 있다. 회전판(220-9)에는 저온 가스가 이동 가능하도록 복수 개의 홀이 형성되어 있다. 고정판(220-10)에는 회전판(220-9)과 동일한 배치를 갖는 복수 개의 홀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가스 홀 크기 조절부(220-6)는 가스 홀의 크기를 조절을 통해 가스 챔버(220-1)로부터 에어백(230)로 분사되는 저온 가스의 유동을 제어할 수 있다.
에어백(230)는 사고 발생 시 승객 정보로부터 연산된 최적 팽창력에 따라 분사되는 저온 가스에 의해 팽창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챔버 구조를 이용한 스마트에어백 시스템 제어 장치의 세부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이중챔버 구조를 이용한 스마트에어백 시스템 제어 장치는 제어부(미도시), 가스발생기(210), 제 1모터(미도시) 및 제 2 모터(640)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는 센서 정보 수신부(미도시), 최적 팽창력 연산부(미도시), 가스발생기 구동 정보 생성부(미도시), 가스 홀 크기 정보 생성부(미도시) 및 피스톤 위치 정보 생성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 정보 수신부(미도시)는 차량에 구비된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센서 값을 수신하여 승객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승객 정보는 승객의 탑승 여부 정보, 안전벨트 착용 여부 정보, 어린이 전용 좌석의 유무 정보, 탑승자의 신장 정보, 탑승자의 체중 정보, 탑승자의 착석 자세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센서 정보 수신부(미도시)는 차량에 구비된 좌석위치센서, 벨트버클센서, 어린이 시트 감지 센서, 승객 위치 센서, 적외선 센서, 초음파 센서 및 승객중량센서 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로부터 측정된 센서 값을 수신하여 승객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최적 팽창력 연산부(미도시)는 센서 정보 수신부(미도시)에서 생성된 승객 정보로부터 에어백(230)의 최적 팽창력을 연산할 수 있다.
가스발생기 구동 정보 생성부(미도시)는 최적 팽창력 연산부(미도시)에서 연산된 최적 팽창력으로부터 가스발생기(미도시)의 동작을 제어하는 가스발생기 구동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가스 홀 크기 정보 생성부(미도시)는 최적 팽창력 연산부(미도시)에서 연산된 최적 팽창력으로부터 가스 홀 크기를 조절하는 제 1모터(미도시)의 동작을 제어하는 가스 홀 크기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피스톤 위치 정보 생성부(미도시)는 최적 팽창력 연산부(미도시)에서 연산된 최적 팽창력으로부터 피스톤의 위치를 가변 할 수 있는 제 2모터(640)의 동작을 제어하는 피스톤 위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가스발생기(210)는 가스발생기 구동 정보 생성부(미도시)에서 생성된 가스발생기 구동 정보에 따라 고온 가스의 유동을 제어하며 가스 챔버 내부로 고온 가스를 분사할 수 있다.
제 1 모터(미도시)는 가스 홀 크기 정보 생성부(미도시)에서 생성된 가스 홀 크기 정보에 따라 가스 홀 크기를 가변시켜 가스 챔버에서 에어백 내부로 분사되는 저온 가스의 유동을 제어할 수 있다.
제 2 모터(640)는 피스톤 위치 정보 생성부(미도시)에서 생성된 피스톤 위치 정보에 따라 피스톤 위치를 가변시켜 가스 챔버에서 에어백 내부로 분사되는 저온 가스의 유동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챔버 구조를 이용한 스마트에어백 시스템 제어 장치의 각각의 구성요소들은 기능 및 논리적으로 분리될 수 있음을 나타나기 위해 별도로 도면에 표시한 것이며, 물리적으로 반드시 별도의 구성요소이거나 별도의 코드로 구현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각 기능부라 함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수행하기 위한 하드웨어 및 상기 하드웨어를 구동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의 기능적, 구조적 결합을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각 기능부는 소정의 코드와 상기 소정의 코드가 수행되기 위한 하드웨어 리소스의 논리적인 단위를 의미할 수 있으며, 반드시 물리적으로 연결된 코드를 의미하거나, 한 종류의 하드웨어를 의미하는 것은 아님은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평균적 전문가에게는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200: 이중챔버 구조를 이용한 스마트에어백 시스템 제어 장치
210: 가스발생기
220: 냉각챔버
220-1: 가스 챔버
220-2: 유체 챔버
220-3: 피스톤
220-4: 스탠드파이프
220-5: 안전 파열판
220-6: 가스 홀 크기 조절부
220-7: 모터
220-8: 기어
220-9: 회전판
220-10: 고정판
230: 에어백
640: 제 2 모터

Claims (6)

  1. 사고 발생 시 고온 가스를 분사하는 가스발생기;
    상기 가스발생기로부터 분사되는 상기 고온 가스를 유입 받아 상기 에어백으로 분사하는 가스 챔버;
    상기 에어백으로 유입되기 전의 상기 고온 가스를 저장된 유체를 분사하여 온도 저감시켜 저온 가스로 변화시키는 유체 챔버;
    상기 유체 챔버내에 설치되어 고온 가스에 의해 유체를 압착하는 피스톤;
    상기 피스톤의 압착에 의해 파열되어 상기 유체를 분사함으로써 상기 고온 가스를 저온 가스로 만드는 안전 파열판;
    가스 홀의 크기를 가변시켜 저온 가스의 유동을 제어하는 가스 홀 크기 조절부; 및
    센서에 의해 생성되는 승객 정보를 이용하여 연산되는 상기 에어백의 팽창력을 고려하여 상기 가스발생기 또는 상기 가스 홀 크기 조절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이중챔버 구조를 이용한 스마트에어백 시스템 제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발생기는,
    복수 개의 가스발생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챔버 구조를 이용한 스마트에어백 시스템 제어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홀 크기 조절부는,
    복수 개의 홀이 형성되는 고정판;
    상기 고정판에 형성된 복수 개의 홀과 매칭되며 저온 가스가 상기 에어백쪽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복수 개의 홀이 형성되는 회전판; 및
    기어를 통해 상기 회전판을 구동하는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챔버 구조를 이용한 스마트에어백 시스템 제어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객 정보는,
    상기 승객의 탑승 여부 정보, 안전벨트 착용 여부 정보, 어린이 전용 좌석의 유무 정보, 탑승자의 신장 정보, 탑승자의 체중 정보, 탑승자의 착석 자세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챔버 구조를 이용한 스마트에어백 시스템 제어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객 정보는,
    좌석위치센서(Seat position sensor), 벨트버클센서(Seat belt buckle sensor), 어린이 시트 감지 센서(Child seat detection sensor), 승객 위치 센서(Occupant position sensor), 적외선 센서(Infrared sensor), 초음파 센서(Ultra sonic sensor) 및 승객중량센서(Occupant weight sensor) 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로부터 측정된 센서 값으로부터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챔버 구조를 이용한 스마트에어백 시스템 제어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는 냉각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챔버 구조를 이용한 스마트에어백 시스템 제어 장치.
KR1020140016482A 2014-02-13 2014-02-13 이중챔버 구조를 이용한 스마트에어백 시스템 제어 장치 Active KR1014002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6482A KR101400237B1 (ko) 2014-02-13 2014-02-13 이중챔버 구조를 이용한 스마트에어백 시스템 제어 장치
US14/486,135 US9079561B1 (en) 2014-02-13 2014-09-15 Apparatus for controlling smart airbag system using dual chamber struc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6482A KR101400237B1 (ko) 2014-02-13 2014-02-13 이중챔버 구조를 이용한 스마트에어백 시스템 제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0237B1 true KR101400237B1 (ko) 2014-05-28

Family

ID=508954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6482A Active KR101400237B1 (ko) 2014-02-13 2014-02-13 이중챔버 구조를 이용한 스마트에어백 시스템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079561B1 (ko)
KR (1) KR10140023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9497A (ko) 2019-05-09 2020-11-18 조주현 에어 댐퍼 부스터 방식의 산업용 에어백 및 그 제조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1717A (ko) * 1996-12-31 1998-10-07 박병재 자동차의 에어 백용 가변형 인플레이터
KR19990005606A (ko) * 1997-06-30 1999-01-25 홍종만 자동차의 에어 백 시스템 제어장치
KR20000009638U (ko) * 1998-11-09 2000-06-05 김권희 가스발생장치
KR20040079711A (ko) * 2003-03-10 2004-09-1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멀티 스테이지 에어백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83505B1 (en) 1996-11-14 2001-09-04 Nippon Kayaku Kabushiki-Kaisha Gas generator for air bag
US5829784A (en) 1997-02-13 1998-11-03 General Dynamics Armament Systems, Inc. Airbag inflator for vehicle occupant restraint apparatus
US6065774A (en) 1998-10-15 2000-05-23 Breed Automotive Technology, Inc. Filtration system for gas generators
US6168200B1 (en) * 1998-12-01 2001-01-02 Atlantic Research Corporation Dual level inflator
US6701849B2 (en) * 1999-03-05 2004-03-09 Trw Inc. Dual stage air bag inflator with secondary propellant cap
US7185588B2 (en) * 2003-12-05 2007-03-06 Autoliv Asp, Inc. Inflator devices having a moisture barrier member
EP1993977A4 (en) * 2006-02-13 2010-01-20 Halkey Roberts Corp APPARATUS AND METHOD FOR USING TETRAZINE-BASED ENERGY MATERIAL
US8764054B2 (en) * 2009-02-04 2014-07-01 Tk Holdings Inc. Gas generating system
JP2011098674A (ja) 2009-11-06 2011-05-19 Takata Corp 冷却液噴射装置及びエアバッグ装置
US7887091B1 (en) * 2010-03-12 2011-02-15 Autoliv Asp, Inc. Additives for liquid-cooled inflators
US20110221174A1 (en) * 2010-03-12 2011-09-15 Autoliv Asp, Inc. Additives for liquid-cooled inflators
US8047569B2 (en) * 2010-03-12 2011-11-01 Autoliv Asp, Inc. Multi-stage inflator
US8191927B2 (en) * 2010-08-17 2012-06-05 Autoliv Asp, Inc. Liquid cooled inflator
JP5769943B2 (ja) * 2010-10-01 2015-08-26 株式会社ダイセル ガス発生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1717A (ko) * 1996-12-31 1998-10-07 박병재 자동차의 에어 백용 가변형 인플레이터
KR19990005606A (ko) * 1997-06-30 1999-01-25 홍종만 자동차의 에어 백 시스템 제어장치
KR20000009638U (ko) * 1998-11-09 2000-06-05 김권희 가스발생장치
KR20040079711A (ko) * 2003-03-10 2004-09-1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멀티 스테이지 에어백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9497A (ko) 2019-05-09 2020-11-18 조주현 에어 댐퍼 부스터 방식의 산업용 에어백 및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079561B1 (en) 2015-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11985B2 (ja) マルチチャンバ・ニー・エアバッグ
JP5501772B2 (ja) 車両シート装置
CN104943647B (zh) 安全气囊装置
US7021657B2 (en) Air bag including variable tethers
KR101136309B1 (ko) 조수석 에어백 장치
US5390952A (en) Integral inflatable occupant restraint system
US9126561B2 (en) Side airbag device for vehicle
JP2015044533A (ja) 乗員保護装置
JP2013018378A (ja) エアバッグ装置
CN103241210A (zh) 侧气囊装置
CN104691487A (zh) 头部、躯干和膝部组合安全气囊
US8789849B2 (en) Dual depth airbag
KR101081274B1 (ko) 조수석 에어백 장치
CN108688608A (zh) 车辆的乘员保护装置
JP2009154812A (ja) 乗員保護装置
JP2006044614A (ja) 乗員保護装置および乗員保護方法
CN110290983B (zh) 用于对较大的乘员距离采取安全措施的双安全气囊系统
JP2006298052A (ja) 乗員保護装置及び方法
CN101663183A (zh) 用于保护车辆乘客的机动车辆座椅设备和方法
CN103687755A (zh) 具有被动-主动通气口的气囊
JP2015040043A (ja) 車両用のエアバッグの充填を制御する方法、及び、エアバッグ制御装置、及び、エアバッグシステム、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製品
JP2008062714A (ja) 車両における乗員保護装置
JP2014196014A (ja) 側面衝突用乗員保護装置
CN105857133A (zh) 一种在碰撞发生前预调座椅的方法
KR101400237B1 (ko) 이중챔버 구조를 이용한 스마트에어백 시스템 제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21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40218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40213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3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52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5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05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4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50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3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50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3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50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50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50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50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