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400058B1 -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 Google Patents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0058B1
KR101400058B1 KR1020120108375A KR20120108375A KR101400058B1 KR 101400058 B1 KR101400058 B1 KR 101400058B1 KR 1020120108375 A KR1020120108375 A KR 1020120108375A KR 20120108375 A KR20120108375 A KR 20120108375A KR 101400058 B1 KR101400058 B1 KR 1014000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ak wavelength
color
light emitting
spectrum
lay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837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073808A (en
Inventor
한미영
한창욱
김도형
김화경
최홍석
탁윤흥
송기욱
김지민
오혜민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CN201210564241.X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3178084B/en
Priority to US13/724,308 priority patent/US8847216B2/en
Publication of KR201300738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380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00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0058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1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 H10K50/125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e.g. for emitting white ligh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red-green-blue [RGB] subpixe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red-green-blue [RGB] subpixels
    • H10K59/353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red-green-blue [RGB] subpixel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ical arrangement of the RGB subpixe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8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colour filters or colour changing media [CCM]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판;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된 박막 트랜지스터; 상기 박막트랜지스터 상에 형성된 제 1전극; 상기 제 1전극 상에 형성되고 제 1색을 발산하는 제 1발광층을 포함하는 제 1스택, 상기 제 1전극 상에 형성되고 제 2색을 발산하는 제 2발광층을 포함하는 제 2스택, 및 상기 제 1스택 및 제 2스택 사이에 형성된 CGL(Charge Generation Layer)층을 포함하는 유기발광층; 및 상기 유기발광층 상에 형성된 제 2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 1발광층 및 제 2발광층의 도펀트 특성에 따라 결정되는 발광(Photoluminescence : PL) 스펙트럼 상에서 상기 제 1색의 피크 파장(제 1피크 파장)은 유기발광장치의 광학적 특성에 따라 결정되는 에미턴스(Emittance) 스펙트럼 상의 상기 제 1색의 피크 파장(제 2피크 파장) 보다 단파장 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발광(Photoluminescence : PL) 스펙트럼 상에서 상기 제 2색의 피크 파장(제 3피크 파장)은 상기 에미턴스(Emittance) 스펙트럼 상의 상기 제 2색의 피크 파장(제 4피크 파장) 보다 단파장 또는 장파장 영역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PL 스펙트럼 및 에미턴스 스펙트럼의 매칭을 개선하여 시야각 증가에 따른 색변화(color shift) 현상을 감소시켜, 색시야각 특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bstrate; A thin film transistor formed on the substrate; A first electrode formed on the thin film transistor; A second stack including a first stack including a first light emitting layer formed on the first electrode and emitting a first color, a second light emitting layer formed on the first electrode and emitting a second color, An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including a CGL (Charge Generation Layer) layer formed between the first stack and the second stack; (First peak wavelength) of the first color on a photoluminescence (PL) spectrum determined according to a dopant characteristic of the first and second light emitting layers, and a second electrode formed on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Second peak wavelength) of the first color on the emittance spectrum determined according to the optical characteristics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nd is located in a shorter wavelength region than the peak wavelength (second peak wavelength) of the first color on the photoluminescence (Fourth peak wavelength) of the first color is located in a shorter wavelength or a longer wavelength region than the peak wavelength of the second color (fourth peak wavelength) in the emittance spectrum ,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matching of the PL spectrum and the emittance spectrum, thereby reducing the color shift phenomenon as the viewing angle increases, thereby improving the color viewing angle characteristics.

Description

유기발광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유기발광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색시야각을 개선 시킬 수 있는 유기발광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2]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nd more particularly, to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capable of improving a color viewing angle.

일반적으로 발광 장치는 유기물을 이용하여 발광층을 형성하는 유기발광표시장치와 무기물을 이용하여 발광층을 형성하는 무기발광표시장치로 구분할 수 있다. 이중, 유기발광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는 전자주입전극(Cathode, 음극)으로부터 주입된 전자(Electron)와 정공주입전극(Anode, 양극)으로부터 주입된 정공(Hole)이 유기 발광층에서 결합하여 엑시톤(Exiton)을 형성하고, 엑시톤이 에너지를 방출하면서 발광하는 자체 발광형 소자로서, 저전력 구동, 자체 발광, 넓은 시야각, 높은 해상도와 천연색 실현, 빠른 응답속도 등의 장점을 갖고 있다.Generally, a light emitting device can be classified into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using an organic material to form a light emitting layer and an in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using an inorganic material to form a light emitting layer. I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 electron injected from an electron injection electrode (cathode) and a hole injected from a hole injection electrode (anode) Emitting device that emits light when excitons emit energy and has advantages such as low power driving, self light emission, wide viewing angle, realization of high resolution and full color, and fast response speed.

이러한 유기발광표시장치는, 최근 백색을 발광할 수 있는 유기발광표시장치의 개발로 인해 백라이트 또는 조명 등 그 응용 분야가 광범위해져 가장 중요한 디스플레이 장치 중 하나로 인식되고 있다.Such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s have recently been recognized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display devices due to the development of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capable of emitting white light due to the wide application fields such as backlight or illumination.

유기발광표시장치가 백색을 구현하는 방식으로는 단층발광방식, 다층발광방식, 색변환 방식, 소자적층방식 등이 있으며, 이 중 가장 널리 이용되는 방식은 여러 층에서 발광이 일어나며 각 색의 수직 조합에 의해 백색이 구현되는 다층발광방식이다.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s a white color by using a single layer light emitting method, a multilayer light emitting method, a color conversion method, and a device laminating method. Among these methods, light is emitted in various layers, And a white color is realized by the light emitting layer.

구체적으로 2스택 구조를 갖는 다층발광방식에 따른 유기발광표시장치의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에 두 개의 피크를 갖는 EL(Electroluminescent) 스펙트럼의 빛을 방출한다.Specifically, in the case of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ccording to a multilayered light emitting system having a two stack structure, as shown in FIG. 1, emits light of an EL (Electroluminescent) spectrum having two peaks on the outside.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유기발광표시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However,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OLED display has the following problems.

도 1은 종래 유기발광표시장치에서 시야각에 따라 변화하는 EL 스펙트럼 및 에미턴스 스펙트럼, 시야각에 따른 변화가 거의 없는 PL 스펙트럼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종래 유기발광표시장치에서 청색광(B) 및 황녹색광(YG)의 시야각에 따른 휘도 저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1 is a graph showing a PL spectrum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in which the EL spectrum and the emittance spectrum vary with the viewing angle, B) and the yellow-green light (YG).

도 1에서 알 수 있듯이, 유기발광표시장치가 방출하는 최종적인 빛을 스펙트럼 분석한 EL 스펙트럼(30)은 발광층에서 발산한 빛의 스펙트럼인 PL 스펙트럼(10) 및 유기발광층을 구성하는 레이어의 두께와 광학적 특성에 따라 변화하는 에미턴스(Emittance) 스펙트럼(20)의 곱으로 표현된다.1, the EL spectrum 30 obtained by spectral analysis of the final light emitted by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has a PL spectrum 10 as a spectrum of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layer, a thickness of a layer constituting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And is expressed as a product of an emittance spectrum (20) that varies depending on optical characteristics.

PL 스펙트럼(10)에서 알 수 있듯이, 청색의 피크 파장을 발산(B PL)하는 발광층과 황녹색의 피크 파장을 발산(YG PL)하는 발광층으로 구성되어 백색광을 발산한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의 백색광은 시야각에 따라 청색광 및 황녹색광의 휘도감소량이 달라 색시야각 특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As shown in the PL spectrum (10), it consists of a light emitting layer emitting blue peak wavelength (B PL) and a light emitting layer emitting yellow peak wavelength (YG PL), and emits white light. However, the white light of such a configuration has a problem that the luminance reduction characteristics of the blue light and the sulfur green light a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viewing angle, and the color viewing angle characteristic is deteriorated.

즉, EL 스펙트럼(30) 및 도 2에서 알 수 있듯이, 시야각이 0°에서 60°으로 증가함에 따라 청색의 휘도는 급격하게 감소되는데 비해 황녹색의 휘도는 상대적으로 천천히 감소된다. 따라서 이로 인해 정면(시야각 0°)에서 구현된 백색광과 측면에서 구현된 백색광 사이에는 측면(시야각 증가)으로 갈수록 색변화(color shift) 현상이 발생되어 문제된다(색시야각 특성의 저하).That is, as shown in the EL spectrum 30 and FIG. 2, as the viewing angle increases from 0 ° to 60 °, the luminance of the blue light decreases sharply, whereas the luminance of the yellow green decreases relatively slowly. Therefore, a color shift phenomenon occurs between the white light realized at the front (viewing angle 0 °) and the white light realized at the side toward the side (viewing angle increases), which is a problem (deterioration of the color viewing angle characteristic).

또한, EL 스펙트럼(30)에서 알 수 있듯이, 적색광의 강도가 청색 및 녹색광의 강도보다 작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충분한 휘도를 내기 위해 적색 서브화소의 전류밀도가 증가하여 이로 인하여 Voled 전압이 증가되고, 패널의 발광효율이 감소되는 문제가 있다.Further, as can be seen from the EL spectrum 30, the intensity of the red light is smaller than the intensity of the blue and green light. Therefore, the current density of the red sub-pixel is increased in order to obtain a sufficient luminance, thereby increasing the voltage and decreasing the luminous efficiency of the panel.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고안된 것으로, 본 발명은 색시야각 특성을 개선시키고 패널의 발광효율을 개선시키는 것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improve the color viewing angle characteristics and improve the luminous efficiency of the panel.

또한, 본 발명은 색재현율을 개선시킨 유기발광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having improved color reproducibility.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기판;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된 박막 트랜지스터; 상기 박막트랜지스터 상에 형성된 제 1전극; 상기 제 1전극 상에 형성되고 제 1색을 발산하는 제 1발광층을 포함하는 제 1스택, 상기 제 1전극 상에 형성되고 제 2색을 발산하는 제 2발광층을 포함하는 제 2스택, 및 상기 제 1스택 및 제 2스택 사이에 형성된 CGL(Charge Generation Layer)층을 포함하는 유기발광층; 및 상기 유기발광층 상에 형성된 제 2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 1발광층 및 제 2발광층의 도펀트 특성에 따라 결정되는 발광(Photoluminescence : PL) 스펙트럼 상에서 상기 제 1색의 피크 파장(제 1피크 파장)은 유기발광장치의 광학적 특성에 따라 결정되는 에미턴스(Emittance) 스펙트럼 상의 상기 제 1색의 피크 파장(제 2피크 파장) 보다 단파장 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발광(Photoluminescence : PL) 스펙트럼 상에서 상기 제 2색의 피크 파장(제 3피크 파장)은 상기 에미턴스(Emittance) 스펙트럼 상의 상기 제 2색의 피크 파장(제 4피크 파장) 보다 단파장 또는 장파장 영역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표시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mentioned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emiconductor device comprising: a substrate; A thin film transistor formed on the substrate; A first electrode formed on the thin film transistor; A second stack including a first stack including a first light emitting layer formed on the first electrode and emitting a first color, a second light emitting layer formed on the first electrode and emitting a second color, An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including a CGL (Charge Generation Layer) layer formed between the first stack and the second stack; (First peak wavelength) of the first color on a photoluminescence (PL) spectrum determined according to a dopant characteristic of the first and second light emitting layers, and a second electrode formed on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Second peak wavelength) of the first color on the emittance spectrum determined according to the optical characteristics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nd is located in a shorter wavelength region than the peak wavelength (second peak wavelength) of the first color on the photoluminescence (Third peak wavelength) of the second color is located in a shorter wavelength or a longer wavelength region than a peak wavelength (fourth peak wavelength) of the second color on the emittance spectrum .

이때, 상기 발광(Photoluminescence : PL) 스펙트럼 상의 상기 제 1색의 피크 파장 및 상기 에미턴스(Emittance) 스펙트럼 상의 상기 제 1색의 피크 파장의 차이는 10nm 이하이고, 상기 발광(Photoluminescence : PL) 스펙트럼 상의 상기 제 2색의 피크 파장 및 상기 에미턴스(Emittance) 스펙트럼 상의 상기 제 2색의 피크 파장의 차이는 ±10n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difference between the peak wavelength of the first color and the peak wavelength of the first color on the emittance spectrum on the photoluminescence (PL) spectrum is 10 nm or less,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peak wavelength of the first color on the photoluminescence (PL) spectrum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peak wavelength of the second color and the peak wavelength of the second color on the emittance spectrum is ± 10 nm or less.

상기 제 1색은 청색, 상기 제2색은 황녹색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rst color is blue, and the second color is yellow and green.

상기 제 2발광층의 도펀트 농도는 호스트(Host) 대비 10% 이상 및 25%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opant concentration of the second light emitting layer is 10% or more and 25% or less of the host.

상기 제 2발광층의 도펀트 재료는 상기 제 2색의 피크 파장이 540nm 이상 및 575nm 이하의 파장을 갖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dopant material of the second light emitting layer has a peak wavelength of the second color having a wavelength of 540 nm or more and 575 nm or less.

상기 유기발광표시장치에서 방출되는 광의 0°~ 60°의 시야각 방향에서 CIE 1976 색좌표계 상의 색좌표변화량(Δu'v')은 0.02 이하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lor coordinate change amount? U'v 'on the CIE 1976 color coordinate system in the viewing angle direction of 0 ° to 60 °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is 0.02 or less.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 및 제 1전극 사이에 오버코트층 및 광보상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n overcoat layer and an optical compensation layer between the thin film transistor and the first electrode.

상기 광보상층의 굴절율은 1.8 이상 및 2.3 이하의 값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refractive index of the optical compensation layer has a value of 1.8 or more and 2.3 or less.

상기 광보상층의 두께는 1100Å 이상 및 2500Å 이하의 값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thickness of the optical compensation layer has a value of not less than 1100 angstroms and not more than 2500 angstroms.

상기 발광(PL) 스펙트럼 상의 상기 제 2색의 피크 파장(상기 제 3피크 파장)의 반치폭(Full Width at Half Maximum)은 80nm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Full Width at Half Maximum) of the peak wavelength of the second color (the third peak wavelength) on the light emission (PL) spectrum is 80 nm or more.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obtained.

본 발명은 우선, PL 스펙트럼 및 에미턴스 스펙트럼의 매칭을 개선하여 시야각 증가에 따른 색변화(color shift) 현상을 감소시켜, 색시야각 특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improving the color viewing angle characteristic by reducing the color shift phenomenon with the increase of the viewing angle by improving the matching of the PL spectrum and the emittance spectrum.

또한, EL 스펙트럼 상의 적색광의 발광효율을 향상시켜 Voled 전압을 감소시키고, 패널의 발광효율을 개선시키는 효과가 있다.Further, there is an effect of improving the luminous efficiency of the red light in the EL spectrum, thereby reducing the voltage and improving the luminous efficiency of the panel.

또한, PL 스펙트럼 상의 피크 파장의 반치폭(Full Width at Half Maximum)을 넓게 하여 색재현율 및 발광효율을 상승시키는 효과가 있다.Further, the full width at half maximum of the peak wavelength on the PL spectrum is widened, and the color reproduction ratio and the luminous efficiency are increased.

도 1은 종래 유기발광표시장치에서 시야각에 따라 변화하는 EL 스펙트럼 및 에미턴스 스펙트럼, 시야각에 따른 변화가 거의 없는 PL 스펙트럼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종래 유기발광표시장치에서 청색광(B) 및 황녹색광(YG)의 시야각 증가에 따른 휘도 저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표시장치의 단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표시장치의 유기발광층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유기발광표시장치의 PL 스펙트럼 및 에미턴스 스펙트럼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1600Å 두께의 광보상층이 형성된 본 발명에 따른 유기발광표시장치에서 황녹색 도펀트의 도핑량을 14% 및 20%로 증가시킨 후 특성을 분석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실험예 1에서 시야각에 따른 색좌표변화량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6의 실험예 1에서 도핑량에 따른 EL 스펙트럼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2200Å 두께의 광보상층이 형성된 본 발명에 따른 유기발광표시장치에서 황녹색 도펀트의 도핑량을 14% 및 20%로 증가시킨 후 특성을 분석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의 실험예 2에서 시야각에 따른 색좌표변화량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9의 실험예 2에서 도핑량에 따른 EL 스펙트럼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광보상층이 형성되지 않은 본 발명에 따른 유기발광표시장치에서 황녹색 도펀트의 도핑량을 14% 및 20%로 증가시킨 후 특성을 분석한 도면이다.
도 13은 도 12의 실험예 3에서 시야각에 따른 색좌표변화량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도 12의 실험예 3에서 도핑량에 따른 EL 스펙트럼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PL 스펙트럼 상의 반치폭 변경에 따른 휘도(intensity) 변화량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도 15에 따른 스펙트럼의 단위 면적 당 휘도 및 전류밀도를 RGB 채널에서 측정한 실험 결과를 분석한 도표이다.
도 17은 YG 피크 파장의 변화에 따른 휘도(intensity) 변화량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도 17에 따른 스펙트럼의 컬러필터(CF) 투과 후 R, G, B 채널 각 피크 휘도 변화에 따른 효율 및 전류밀도를 분석한 도표이다.
FIG. 1 is a view showing a PL spectrum in which the EL spectrum and the emittance spectrum which change according to the viewing angle in the conventional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the substantially no change according to the viewing angle.
FIG. 2 is a graph showing a decrease in luminance due to an increase in viewing angle of blue light (B) and yellow green light (YG) in the conventional OLED display of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OLED displ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n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of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graph showing a PL spectrum and an emittance spectrum of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graph illustrating characteristics of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an optical compensation layer having a thickness of 1600A after increasing doping amount of a sulfur-doped green dopant to 14% and 20%.
FIG. 7 is a graph showing the amount of color coordinate change according to the viewing angle in Experimental Example 1 of FIG.
8 is a graph showing an EL spectrum according to the doping amount in Experimental Example 1 of FIG.
FIG. 9 is a graph illustra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n optical compensation layer having a thickness of 2200 A is formed, after increasing the doping amount of the sulfur-green dopant to 14% and 20%.
FIG. 10 is a graph showing the amount of color coordinate change according to the viewing angle in Experimental Example 2 of FIG.
11 is a graph showing an EL spectrum according to doping amount in Experimental Example 2 of FIG.
FIG. 12 is a graph illustra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optical compensation layer is not formed after increasing the doping amount of the sulfur-doped green dopant to 14% and 20%.
13 is a graph showing the amount of color coordinate change according to the viewing angle in Experimental Example 3 of FIG.
14 is a graph showing an EL spectrum according to the doping amount in Experimental Example 3 of FIG.
FIG. 15 is a diagram showing the intensity variation amount according to the half width variation on the PL spectrum. FIG.
FIG. 16 is a chart for analyzing the luminance and current density per unit area of the spectra shown in FIG. 15 on an RGB channel.
FIG. 17 is a diagram showing the amount of intensity variation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YG peak wavelength. FIG.
FIG. 18 is a chart for analyzing the efficiency and the current density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peak luminance of each of the R, G, and B channels after transmission of the color filter (CF) of the spectrum shown in FIG.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유기발광표시장치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어떤 구조물이 다른 구조물의 "상에" 또는 "아래에" 형성된다고 기재된 경우, 이러한 기재는 이 구조물들이 서로 접촉되어 있는 경우는 물론이고 이들 구조물들 사이에 제3의 구조물이 개재되어 있는 경우까지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In describ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stated that a structure is formed "on" or "under" another structure, such a substrate is not limited to the case where these structures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표시장치의 단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표시장치의 유기발광층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view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n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of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표시장치(100)는 기판(110), 박막 트랜지스터(TFT), 오버코트층(150), 광보상층(155), 제 1전극(160), 뱅크층(170), 유기발광층(180), 및 제 2전극(190)을 포함한다. 이때, 박막 트랜지스터(TFT)는 게이트 전극(115), 게이트 절연층(120), 반도체층(131), 소스 전극(133), 드레인 전극(135), 제 1보호층(140), 컬러필터(145), 오버코트층(150), 광보상층(155), 제 1전극(160), 뱅크층(170), 유기발광층(180), 및 제 2전극(190)을 포함한다.3, the OLED display 1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bstrate 110, a thin film transistor (TFT), an overcoat layer 150, an optical compensation layer 155, A first electrode layer 160, a bank layer 170, an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80, and a second electrode 190. At this time, the thin film transistor TFT includes a gate electrode 115, a gate insulating layer 120, a semiconductor layer 131, a source electrode 133, a drain electrode 135, a first passivation layer 140, An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80 and a second electrode 190.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80 is formed on the first electrode 160,

기판(110)은 유리 또는 투명한 플라스틱으로 형성할 수 있다.The substrate 110 may be formed of glass or a transparent plastic.

게이트 전극(115)은 기판(110) 상에 형성되며, 게이트 라인(GL)에 연결되어 있다. 게이트 전극(115)은 몰리브덴(Mo), 알루미늄(Al), 크롬(Cr), 금(Au), 티타늄(Ti), 니켈(Ni), 네오디뮴(Nd) 및 구리(Cu)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합금으로 이루어진 다중층일 수 있다.The gate electrode 115 is formed on the substrate 110 and is connected to the gate line GL. The gate electrode 115 may be formed of a material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o, Al, Cr, Au, Ti, Ni, Ne, Or may be a multilayer of one or alloys thereof.

게이트 절연층(120)은 게이트 전극(115) 상에 형성되며 실리콘 산화막(SiOx), 실리콘 질화막(SiNx) 또는 이들의 다중층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gate insulating layer 120 may be formed on the gate electrode 115 and may be a silicon oxide layer (SiOx), a silicon nitride layer (SiNx), or a multilayer thereof.

반도체층(131)은 게이트 절연층(120) 상에 형성되며, 비정질 실리콘 또는 이를 결정화한 다결정 실리콘을 포함할 수 있다. 에치 스토퍼(미도시)는 반도체층(131) 상에 형성되어 반도체층(131)을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생략될 수 있다.The semiconductor layer 131 is formed on the gate insulating layer 120 and may include amorphous silicon or polycrystalline silicon crystallized therefrom. The etch stopper (not shown) may be formed on the semiconductor layer 131 to protect the semiconductor layer 131, but it may be omitted depending on the case.

소스 전극(133) 및 드레인 전극(135)은 반도체층(131)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소스 전극(133) 및 드레인 전극(135)은 단일층 또는 다중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몰리브덴(Mo), 알루미늄(Al), 크롬(Cr), 금(Au), 티타늄(Ti), 니켈(Ni), 네오디뮴(Nd) 및 구리(Cu)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합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source electrode 133 and the drain electrode 135 may be formed on the semiconductor layer 131. The source electrode 133 and the drain electrode 135 may be formed of a single layer or a multilayer and may be formed of at least one of Mo, Al, Cr, Au, Ti, ), Neodymium (Nd), and copper (Cu), or an alloy thereof.

제 1보호층(140)은 상기 소스 전극(133) 및 드레인 전극(135) 상에 형성되며, 실리콘 산화막(SiOx), 실리콘 질화막(SiNx) 또는 이들의 다중층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first passivation layer 140 is formed on the source electrode 133 and the drain electrode 135 and may be a silicon oxide film (SiOx), a silicon nitride film (SiNx), or a multilayer thereof.

컬러필터(145)는 상기 제 1보호층(140) 상에서 적색 서브화소, 청색 서브화소, 및 녹색 서브화소의 영역에 형성되며, 유기발광층에서 발산된 백색광을 각각 적색, 청색, 및 녹색으로 변환한다.A color filter 145 is formed on the first passivation layer 140 on the red sub-pixel, the blue sub-pixel, and the green sub-pixel, and converts the white light emitted from the organic light-emitting layer into red, .

오버코트층(150)은 상기 컬러필터(145) 상에 형성되며, 아크릴계 수지 또는 폴리이미드 수지, 실리콘 산화막(SiOx), 실리콘 질화막(SiNx) 또는 이들의 다중층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The overcoat layer 150 is formed on the color filter 145 and may be an acrylic resin or a polyimide resin, a silicon oxide film (SiOx), a silicon nitride film (SiNx), or a multilayer thereof.

광보상층(155)은 오버코트층(150) 상에 형성되며, 실리콘 산화막(SiOx), 실리콘 질화막(SiNx) 또는 이들의 다중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optical compensation layer 155 is formed on the overcoat layer 150 and may be formed of a silicon oxide film (SiOx), a silicon nitride film (SiNx), or a multilayer thereof.

특히, 광보상층(155)은 굴절율 1.8 이상 및 2.3 이하의 값을 갖는 물질로 구성되며, 광보상층(155)의 두께는 1100Å 이상 및 2500Å 이하의 값으로 형성되어, 유기발광표시장치(100)의 색시야각 특성 및 발광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발생한다.In particular, the optical compensation layer 155 is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 refractive index of 1.8 or more and 2.3 or less, and the thickness of the optical compensation layer 155 is formed to a value of 1100 or more and 2500 or less, ) And an effect of improving the luminous efficiency.

제 1전극(160)은 광보상층(155) 상에 형성되며, 투명한 ITO(Indium Tin Oxide) 또는 IZO(Indium Zinc Oxide)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 1전극(160)은 상기 소스 전극(133)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이를 위해 상기 제 1보호층(140) 및 오버코트층(150)의 소정 영역에 콘택홀을 형성한다. 제 1전극(160)은 애노드 전극일 수 있다.The first electrode 160 is formed on the optical compensation layer 155 and may be made of transparent indium tin oxide (ITO) or indium zinc oxide (IZO). However, the first electrode 160 is not limited thereto. The first electrode 16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ource electrode 133, and a contact hole is formed in a predetermined region of the first passivation layer 140 and the overcoat layer 150. The first electrode 160 may be an anode electrode.

뱅크층(170)은 제 1전극(160) 상에 형성되며, 벤조사이클로부텐(benzocyclobutene,BCB)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또는 폴리이미드 수지 등의 유기물을 포함할 수 있다. 뱅크층(170)은 유기발광층(180)에서 발생한 빛이 빠져나갈 수 있도록 제 1전극(160) 상에서 소정의 개구부를 갖고 이격되어 형성된다.The bank layer 170 is formed on the first electrode 160 and may include an organic material such as a benzocyclobutene (BCB) resin, an acrylic resin, or a polyimide resin. The bank layer 170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electrode 160 by a predetermined opening so that the light emitted from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80 can escape.

유기발광층(180)은 상기 뱅크층(170) 상에 형성되며, 백색광을 발산한다. 이를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유기발광층(180)은 제 1전극(160) 상에 형성된 제 1스택(181), 제 1전극(160) 상에 형성된 CGL층(183), 및 제 1전극(160) 상에 형성된 제 2 스택(185)을 포함한다.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80 is formed on the bank layer 170 and emits white light. 4,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80 includes a first stack 181 formed on the first electrode 160, a CGL layer 183 formed on the first electrode 160, And a second stack 185 formed on the first electrode 160.

도 4에는 제 1스택(181) 상에 제 2스택(185)이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 2스택(185) 상에 제 1스택(181)을 형성할 수도 있다.Although the second stack 185 is shown on the first stack 181 in FIG. 4, the first stack 181 may be formed on the second stack 185, although not limited thereto.

제 1스택(181)은 제 1전극(160) 상에 형성되고 청색광을 발산하는 제 1발광층을 포함한다. 상세하게는, 제 1스택(181)은 전자주입층(Electron Injection Layer: EIL), 전자수송층(Electron Transport Layer: ETL), 제 1발광층(Emission Layer: EML), 정공수송층(Hole Transport Layer: HTL) 및 정공주입층(Hole Injection Layer: HIL)을 포함하여 다층으로 적층될 수 있다.The first stack 181 includes a first light emitting layer formed on the first electrode 160 and emitting blue light. In detail, the first stack 181 includes an electron injection layer (EIL), an electron transport layer (ETL), a first emission layer (EML), a hole transport layer ) And a hole injection layer (HIL).

제 2스택(185)은 제 1전극(160) 상에 형성되고 황녹색광을 발산하는 제 2발광층을 포함한다. 상세하게는, 전자주입층(Electron Injection Layer: EIL), 전자수송층(Electron Transport Layer: ETL), 제 2발광층(Emission Layer: EML), 정공수송층(Hole Transport Layer: HTL) 및 정공주입층(Hole Injection Layer: HIL)을 포함하여 다층으로 적층될 수 있다.The second stack 185 is formed on the first electrode 160 and includes a second light emitting layer that emits yellow green light. More specifically, an electron injection layer (EIL), an electron transport layer (ETL), a second emission layer (EML), a hole transport layer (HTL), and a hole injection layer Injection Layer: HIL).

이때, 광보상층(155), 제 1전극(160), 및 유기발광층(180)의 두께는 유기발광표시장치의 에미턴스 스펙트럼을 결정하는 요인인데 하기 수학식 1에 따라 그 두께를 설정할 수 있다.The thicknesses of the optical compensation layer 155, the first electrode 160, and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80 are factors for determining the emittance spectrum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

[수학식 1][Equation 1]

Figure 112012079203659-pat00001
Figure 112012079203659-pat00001

이때, 첫번째 항은 광보상층(155), 두번째 항은 제 1전극(160), 세번째 항은 유기발광층(180)에 관한 항이며, n은 굴절율, d는 캐소드 전극으로부터 발광층까지의 거리, λ는 청색 피크 파장을 나타낸다.Where n is the refractive index, d is the distance from the cathode to the light emitting layer, and lambda is the distance from the cathode to the light emitting layer. In this case, the first term refers to the optical compensation layer 155, the second term refers to the first electrode 160 and the third term refers to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80, Indicates a blue peak wavelength.

한편, 캐소드 전극으로부터 발광층까지의 거리는 다음과 같은 수학식 2에 따라 결정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distance from the cathode to the light emitting layer can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equation (2).

[수학식 2]&Quot; (2) "

Figure 112012079203659-pat00002
Figure 112012079203659-pat00002

이때, m은 양수, n은 굴절율, d는 캐소드 전극으로부터 발광층까지의 거리, λ는 청색 피크 파장 또는 황녹색 피크 파장을 나타낸다.Here, m is a positive number, n is a refractive index, d is a distance from a cathode electrode to a light emitting layer, and? Is a blue peak wavelength or a yellow green peak wavelength.

CGL(Charge Generation Layer)층은 상기 제 1스택 및 제 2스택 사이에 형성된다. A Charge Generation Layer (CGL) layer is formed between the first stack and the second stack.

제 1전극(160)과 제 2전극(190)에 구동전압이 인가되면 정공수송층을 통과한 정공과 전자수송층을 통과한 전자가 발광층(제 1 및 제 2발광층)으로 이동되어 여기자를 형성하고, 그 결과 발광층(제 1 및 제 2발광층)이 가시광을 발산한다. 제 1 및 제 2발광층에서 발산된 빛은 유기발광층(180) 외부에서 백색광의 형태로 발산한다.When driving voltage is applied to the first electrode 160 and the second electrode 190, electrons passing through the hole transporting layer and the electron transporting layer are transferred to the light emitting layers (first and second light emitting layers) to form excitons, As a result, the light emitting layers (first and second light emitting layers) emit visible light. The light emitted from the first and second light emitting layers emits in the form of white light outside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80.

이때, 발산된 백색광은 컬러필터(145)를 통과하여 기판을 향하여 외부로 방출된다. 이때, 적색 컬러필터를 통과한 빛은 적색으로, 청색 컬러필터를 통과한 빛은 청색으로, 녹색 컬러필터를 통과한 빛은 녹색으로 변경된다.At this time, the divergent white light passes through the color filter 145 and is emitted to the outside toward the substrate. At this time, the light passing through the red color filter is changed to red, the light passing through the blue color filter is changed to blue, and the light passing through the green color filter is changed to green.

이하, 유기발광층(180)에서 발산되는 광의 특성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도 5를 참고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haracteristics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8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유기발광표시장치의 PL 스펙트럼 및 에미턴스 스펙트럼을 도시한 도면이다. 5 is a graph showing a PL spectrum and an emittance spectrum of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유기발광표시장치의 PL 스펙트럼(S1)은 제 1피크 파장(P1) 및 제 3피크 파장(P3)을 포함한다. 또한, 에미턴스 스펙트럼(S2)은 제 2피크 파장(P2) 및 제 4피크 파장(P4)를 포함한다.As can be seen from FIG. 5, the PL spectrum S1 of the OLED displ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peak wavelength P1 and a third peak wavelength P3. Further, the emittance spectrum S2 includes a second peak wavelength P2 and a fourth peak wavelength P4.

PL 스펙트럼(S1)에서 제 1피크 파장(P1)은 제 1발광층이 발산하는 제 1색의 피크 파장을 말하고, 제 3피크 파장(P3)은 제 2발광층이 발산하는 제 2색의 피크 파장을 말한다.In the PL spectrum S1, the first peak wavelength P1 refers to the peak wavelength of the first color emitted by the first emitting layer, and the third peak wavelength P3 refers to the peak wavelength of the second color emitted from the second emitting layer It says.

에미턴스 스펙트럼(S2)에서 제 2피크 파장(P2)은 제 1색의 피크 파장을 말하고, 제 4피크 파장(P4)은 제 2색의 피크 파장을 말한다.In the emittance spectrum S2, the second peak wavelength P2 refers to the peak wavelength of the first color and the fourth peak wavelength P4 refers to the peak wavelength of the second color.

여기서, PL 스펙트럼(발광 스펙트럼과 같다)은 발광층에서 발산하는 광을 분석한 스펙트럼으로 발광층에 도핑하는 도펀트의 특성, 즉 도펀트 고유의 성질과 도핑량에 따라 고유한 특징을 갖는 스펙트럼을 말한다.Here, the PL spectrum (the same as the emission spectrum) is a spectrum in which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layer is analyzed, and refers to a spectrum having characteristics inherent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dopant doped in the light emitting layer, that is, properties inherent to the dopant and the doping amount.

에미턴스 스펙트럼은 유기발광층을 구성하는 레이어 및 광보상층의 광학적 특성(두께 및 굴절율 등)에 따라 고유한 특징을 갖는 스펙트럼을 말한다. 이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에미턴스 스펙트럼은 유기발광층을 구성하는 레이어 및 광보상층의 광학적 특성과 유기발광표시장치의 광학적 특성을 고려하여 측정될 수도 있다.The emittance spectrum refers to a spectrum having unique characteristics depending on the optical characteristics (thickness, refractive index, etc.) of the layer constituting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and the optical compensation layer. In detail, the emittance spectrum may be measured in consideration of the optical characteristics of the layers and the optical compensation layer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and the optical characteristics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여기서, 유기발광표시장치의 광학적 특성이란, 유기발광층에서 발산하는 광이 통과하는 모든 경로상에 위치하는 구성 요소들의 두께 및 굴절율등의 특성을 말한다. 유기발광층에서 발산하는 광이 통과하는 모든 경로 상에 위치하는 구성 요소들로는 유기발광층 및 광보상층 뿐만 아니라, 오버코트층, 칼라필터층, 보호층, 박막트랜지스터층, 기판, 편광판, 봉지층 등이 포함될 수 있다. Here, the optical characteristics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refers to characteristics such as the thickness and the refractive index of the components located on all the paths through which the light emitted from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passes.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and the optical compensation layer may include an overcoat layer, a color filter layer, a protective layer, a thin film transistor layer, a substrate, a polarizing plate, a sealing layer, and the like, in addition to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and the optical compensation layer. have.

또한, EL 스펙트럼은 최종적으로 유기발광표시장치를 빠져나온 광의 스펙트럼을 분석한 것으로 PL 스펙트럼 및 에미턴스 스펙트럼의 특성에 영향을 받는다.Further, the EL spectrum is obtained by analyzing the spectrum of the light finally exiting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is influenced by the characteristics of the PL spectrum and the emittance spectrum.

유기발광층의 레이어 및 광보상층의 두께를 조절하면, 에미턴스 스펙트럼을 변경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 2피크 파장(P2) 및 제 4피크 파장(P4)을 변경할 수 있다.By adjusting the thickness of the layer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and the thickness of the optical compensation layer, the emittance spectrum can be changed, thereby changing the second peak wavelength P2 and the fourth peak wavelength P4.

한편, 유기발광층의 레이어 및 광보상층의 광학적 특성(두께 및 굴절율 등)을 조절하면, 에미턴스 스펙트럼을 변경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 2피크 파장(P2) 및 제 4피크 파장(P4)을 변경할 수 있다. 이때, 유기발광층의 레이어 및 광보상층의 광학적 특성(두께 및 굴절율 등)을 조절하면, 에미턴스 스펙트럼에서의 제 2피크 파장(P2) 및 제 4피크 파장(P4)은 동시에 변화하기 때문에 적절하게 조절할 필요가 있다.On the other hand, by adjusting the optical characteristics (thickness, refractive index, etc.) of the layer and the optical compensation layer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the emittance spectrum can be changed, thereby changing the second peak wavelength P2 and the fourth peak wavelength P4 . At this time, the second peak wavelength P2 and the fourth peak wavelength P4 in the emittance spectrum change simultaneously by adjusting the optical characteristics (thickness, refractive index, etc.) of the layer and the optical compensation layer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You need to adjust.

제 1발광층의 도펀트의 도핑량을 조절하거나 도펀트의 물질을 변경하여 PL 스펙트럼에서 제 1피크 파장(P1)을 이동 시킬 수가 있고, 제 2발광층의 도펀트의 도핑량을 조절하거나 도펀트의 물질을 변경하여 PL 스펙트럼에서 제 3피크 파장(P3)을 이동시킬 수가 있다.The first peak wavelength P1 can be shifted in the PL spectrum by controlling the doping amount of the dopant of the first light emitting layer or by changing the dopant material and the doping amount of the dopant of the second light emitting layer can be controlled, The third peak wavelength P3 can be shifted in the PL spectrum.

본 발명에 따른 유기발광표시장치는 색시야각 및 패널 효율 향상을 위해, 상기 제 1발광층 및 제 2발광층의 도펀트 특성에 따라 결정되는 발광(Photoluminescence : PL) 스펙트럼(S1) 상에서 제 1색의 피크 파장(제 1피크 파장 : P1)은 상기 유기발광층을 구성하는 레이어 및 광보상층의 광학적 특성에 따라 결정되는 에미턴스(Emittance) 스펙트럼(S2) 상의 상기 제 1색의 피크 파장(제 2피크 파장 : P2) 보다 단파장 영역에 위치시키고, 상기 발광(Photoluminescence : PL) 스펙트럼(S1) 상에서 상기 제 2색의 피크 파장(제 3피크 파장 : P3)은 상기 에미턴스(Emittance) 스펙트럼(S2) 상의 상기 제 2색의 피크 파장(제 4피크 파장 : P4) 보다 단파장 또는 장파장 영역에 위치시킨다.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having a peak wavelength of a first color on a photoluminescence (PL) spectrum (S1) determined according to a dopant characteristic of the first and second light emitting layers (Second peak wavelength: P1) of the first color on the emittance spectrum S2 determined according to the optical characteristics of the layer and the optical compensation layer constituting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And the peak wavelength (third peak wavelength: P3) of the second color is positioned on the emittance spectrum (S2) on the photoluminescence (PL) spectrum (S1) (Fourth peak wavelength: P4) of the two colors.

왜냐하면, 제 1피크 파장(P1) 및 제 2피크 파장(P2)을 일치시키고 동시에 제 3피크 파장(P3) 및 제 4피크 파장(P4)을 일치시키면 EL 스펙트럼 상에서 제 1색광의 휘도 감소율이 제 2색광의 휘도 감소율보다 크기 때문에 시야각이 증가할 수록 색변화 현상이 커지고 색시야각 특성이 저하되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when the first peak wavelength P1 and the second peak wavelength P2 are made to coincide and the third peak wavelength P3 and the fourth peak wavelength P4 are coincident with each other, the luminance reduction rate of the first- The color change phenomenon becomes larger and the color viewing angle characteristic is lowered as the viewing angle is increased.

따라서, 제 1피크 파장(P1)은 제 2피크 파장(P2)보다 단파장으로 설계하고, 제 3피크 파장(P3)은 제 4피크 파장(P4)보다 단파장 또는 장파장으로 설계하여 시야각 증가에 따른 색변화 현상을 억제하여 색시야각 특성을 개선시킨다.Therefore, the first peak wavelength P1 is designed to have a shorter wavelength than the second peak wavelength P2, and the third peak wavelength P3 is designed to have a shorter wavelength or a longer wavelength than the fourth peak wavelength P4, Thereby suppressing the change phenomenon and improving the color viewing angle characteristic.

이때, 제 1피크 파장(P1) 및 제 2피크 파장(P2) 간 차이는 10nm 이하이고, 제 3피크 파장(P3) 및 제 4피크 파장(P4) 간 차이는 ±10nm 이하로 설계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peak wavelength P1 and the second peak wavelength P2 is 10 nm or less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third peak wavelength P3 and the fourth peak wavelength P4 is ± 10 nm or les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한편, 제 2발광층의 도펀트 농도는 호스트(Host) 대비 10% 이상 및 25% 이하로 도핑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dopant concentration of the second light emitting layer can be doped to not less than 10% and not more than 25% of the host.

이때, 제 2발광층의 도펀트 농도가 호스트 대비 10% 미만이 되면, 제 3피크 파장(P3)이 제 4피크 파장(P4) 보다 단파장이 된다. 이 경우 EL 스펙트럼을 분석해 보면, 시야각 증가에 따른 제 2색광의 휘도 변화는 소폭 증가 후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낸다. 반면, 시야각 증가에 따른 제 1색광의 휘도 변화는 계속적으로 감소하기 때문에, 제 1색광 및 제 2색광의 휘도 변화 차이가 많아 색시야각을 개선하기 어렵다.At this time, when the dopant concentration of the second light emitting layer is less than 10% with respect to the host, the third peak wavelength P3 becomes shorter than the fourth peak wavelength P4. In this case, when the EL spectrum is analyzed, the change in luminance of the second color light with increasing viewing angle tends to decrease after a slight increase. On the other hand, since the luminance change of the first color light continuously decreases with the increase of the viewing angle, it is difficult to improve the color viewing angle due to a large difference in luminance between the first color light and the second color light.

또한, 제 2발광층의 도펀트 농도가 호스트 대비 25%를 초과하면, 제 3피크 파장(P3)이 제 4피크 파장(P4) 보다 장파장이 되어 색시야각 특성은 개선되나, 제 2색광의 강도가 감소하게 된다. 이 경우, 적색광의 강도가 소폭 증가하더라도 제 2색광의 강도가 감소됨에 따라 전체적인 패널의 발광효율은 감소되고 소비전력이 증가된다.When the dopant concentration of the second light emitting layer exceeds 25% with respect to the host, the third peak wavelength P3 becomes longer than the fourth peak wavelength P4, so that the color viewing angle characteristic is improved, but the intensity of the second color light decreases . In this case, even if the intensity of the red light is slightly increased, the intensity of the second color light is decreased, and the luminous efficiency of the entire panel is reduced and the power consumption is increased.

한편, 제 2발광층의 도펀트 재료는 PL 스펙트럼 상의 상기 제 3피크 파장(P3)이 540nm 이상 및 575nm 이하의 파장을 갖도록 선택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dopant material of the second light emitting layer can be selected so that the third peak wavelength (P3) in the PL spectrum has a wavelength of 540 nm or more and 575 nm or less.

즉, 제 2발광층이 상기 유기발광층(180)의 에미턴스(Emittance) 스펙트럼 중 제 4피크 파장(P4)보다 단파장 또는 장파장으로 이동된 제 3피크 파장(P3)을 발산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제 2발광층의 도펀트 농도를 증가(10% 이상 및 25% 이하)시키거나 상대적으로 장파장(540nm 이상 및 575nm 이하)의 도펀트를 사용하면 된다.That is, in order to allow the second emission layer to emit the third peak wavelength P3 shifted to a shorter wavelength or a longer wavelength than the fourth peak wavelength P4 of the emission spectrum of the organic emission layer 180, The dopant concentration may be increased (not less than 10% and not more than 25%) or a relatively long wavelength (not less than 540 nm and not more than 575 nm) dopant may be used.

상술한 제 1색은 청색, 제 2색은 황녹색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제 1색은 청색, 제 2색은 황녹색으로 설명하도록 한다.The first color may be blue, and the second color may be yellow and gree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Hereinafter, the first color is blue and the second color is yellow green.

한편, 상기 유기발광표시장치에서 방출되는 광의 0°~ 60°의 시야각 방향에서 CIE 1931 색좌표계 상의 색좌표변화량(Δu'v')은 0.02 이하가 되도록 한다. 이때, 색좌표변화량은 CIE 1931 색좌표계(u', v')를 기준으로 초기 색좌표(u'0, v'0)와 소정의 시간 t가 지난 후의 색좌표(u't, v't) 사이의 색좌표 차이로 정의된다.On the other hand, the color coordinate change amount? U'v 'on the CIE 1931 color coordinate system in the viewing angle direction of 0 ° to 60 °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is set to 0.02 or less. In this case, between the color coordinate change amount CIE 1931 chromaticity coordinates (u ', v') based on the initial color coordinates (u '0, v' 0 ) and the predetermined time t is the color coordinates (u 't, v' t) after the last of It is defined as the color coordinate difference.

색좌표변화량이 0.02 이하가 되면 사용자는 시야각에 따른 색변화(color shift) 현상을 크게 인식하지 못한다.When the amount of color coordinate change is less than 0.02, the user does not recognize color shift due to the viewing angle.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피크 파장(P1)은 제 2피크 파장(P2)보다 단파장으로 설계하고, 제 3피크 파장(P3)은 제 4피크 파장(P4)보다 단파장 또는 장파장으로 설계하면, 우선, PL 스펙트럼 및 에미턴스 스펙트럼의 매칭이 개선되어 시야각 증가에 따른 색변화(color shift) 현상이 감소되고, 색시야각 특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EL 스펙트럼 상의 적색광의 발광효율이 향상되어 Voled 전압이 감소되고, 패널의 발광효율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first peak wavelength P1 is designed to have a shorter wavelength than the second peak wavelength P2 and the third peak wavelength P3 is designed to have a shorter wavelength or a longer wavelength than the fourth peak wavelength P4, , The matching of the PL spectrum and the emittance spectrum is improved, the color shift phenomenon is increased with the increase of the viewing angle, and the color viewing angle characteristic is improved. Further, the luminous efficiency of the red light in the EL spectrum is improved to reduce the voltage, and the luminous efficiency of the panel is improved.

이때, Voled 전압은 제 1전극(애노드 전극) 및 제 2전극(캐소드 전극)에 인가되는 전압으로, RGBW의 각 서브화소 중에서 가장 높은 전류밀도를 내는 서브화소에 인가되는 전압을 말한다.Here, the Voled voltage is a voltage applied to the first electrode (anode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cathode electrode), and refers to a voltage applied to the sub-pixel having the highest current density among the RGBW sub-pixels.

본 발명에 따른 유기발광표시장치는 색재현율을 향상시키고 발광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발광(PL) 스펙트럼 상의 상기 제 2색의 피크 파장(상기 제 3피크 파장)의 반치폭(Full Width at Half Maximum)을 80nm 이상으로 형성한다. 이때, 반치폭(FWHM)은 스펙트럼의 피크에서 1/2에 해당하는 진폭에서의 파장 범위를 의미한다.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full width at half maximum of the peak wavelength of the second color (the third peak wavelength) on the light emission (PL) spectrum in order to improve the color reproduction rate and improve the luminous efficiency, Is formed to be 80 nm or more. Here, the half width (FWHM) means a wavelength range at an amplitude corresponding to 1/2 of the peak of the spectrum.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2색은 황녹색(YG)일 수 있다. 황녹색의 스펙트럼은 적색 및 녹색을 포함하는 RGB 채널을 구현하는데 사용되기 때문에 상기 제 2색 피크 파장의 반치폭이 증가하면 적색 및 녹색 채널의 발광효율이 증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로 인해 색재현율이 향상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econd color may be yellow-green (YG). Since the spectrum of the yellow-green is used to implement the RGB channels including red and green, the half-width of the second color peak wavelength increases, and the luminous efficiency of the red and green channels increases. In addition, the color reproduction rate can be improved by this.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2색의 피크 파장의 반치폭은 80nm 이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반치폭을 갖더라도 피크 파장의 값에 따라 적색 및 녹색 채널의 발광효율이 크게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때 피크 파장은 540nm 이상 및 575nm 이하의 값으로 형성할 수 있다(이에 대한 실험은 실험예 4에서 설명함). In one embodiment, the half width of the peak wavelength of the second color may be 80 nm or more. In addition, since the emission efficiency of the red and green channels can be largely varied depending on the value of the peak wavelength even if they have the same half width, the peak wavelength can be formed to a value of 540 nm or more and 575 nm or less ).

이와 같이, 제 2색의 피크 파장에서 확장된 반치폭을 갖는 스펙트럼을 구현하기 위해서 넓은 반치폭을 갖는 도펀트를 사용하는 방법, 도핑 비율(ratio)을 조절하는 방법, 다층구조의 EML을 사용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realize a spectrum having a half width broadened at the peak wavelength of the second color, a method of using a dopant having a wide half-width, a method of controlling a doping ratio, and a method using a multi- .

다시 도3을 참조하면, 제 2전극(190)은 유기발광층(180) 상에 형성되며, 알루미늄(Al), 칼슘(Ca), 마그네슘(Mg)과 같은 금속재료를 사용할 수도 있고, ITO(Indium Tin Oxide) 또는IZO(Indium Zinc Oxide)와 같은 투명재료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때, 제 2전극(190)은 캐소드 전극일 수 있다.Referring again to FIG. 3, the second electrode 190 is formed on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80 and may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such as aluminum (Al), calcium (Ca), magnesium (Mg) Tin Oxide) or IZO (Indium Zinc Oxide) may be used. At this time, the second electrode 190 may be a cathode electrode.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유기발광표시장치의 실험예에 따른 결과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results of an experimental example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실험예 1><Experimental Example 1>

도 6은 1600Å 두께의 광보상층이 형성된 본 발명에 따른 유기발광표시장치에서 황녹색 도펀트의 도핑량을 14% 및 20%로 증가시킨 후 특성을 분석한 도면이다.6 is a graph illustrating characteristics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optical compensation layer having a thickness of 1600 A is formed after increasing the doping amount of the sulfur-green dopant to 14% and 20%.

도 6에서 알 수 있듯이, 광보상층의 두께는 1600Å으로 형성하고, HTL1/HL3/ETL2의 두께는 1250, 350, 450Å으로 형성하였다. 또한 황녹색 도펀트의 도핑량은 호스트 대비 14% 및 20%가 되도록 도핑하였다.As shown in FIG. 6, the thickness of the optical compensation layer was 1600 ANGSTROM, and the thickness of HTL1 / HL3 / ETL2 was 1250, 350, and 450 ANGSTROM. The doping amount of the sulfur-green dopant was 14% and 20% relative to the host.

황녹색 도펀트의 도핑량이 호스트 대비 20%가 되도록 도핑할 경우 14%로 도핑하였을 때보다, 패널효율(Panel Eff)이 상승하였고, Voled 값은 감소하였고, 색좌표변화량은 감소한 것을 알 수 있다.When the doping amount of the sulfur green dopant is 20% relative to the host, the panel efficiency is increased, the Voled value is decreased, and the color coordinate variation is decreased compared with 14% doping.

도 7은 도 6의 실험예 1에서 시야각에 따른 색좌표변화량을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7 is a graph showing the amount of color coordinate change according to the viewing angle in Experimental Example 1 of FIG.

도 7에서 알 수 있듯이, 황녹색 도펀트의 도핑량을 호스트 대비 20%가 되도록 도핑하여 3차례에 걸려 색좌표변화량을 분석하여 L11, L12, L13으로 나타내었고, 황녹색 도펀트의 도핑량을 호스트 대비 14%가 되도록 도핑하여 3차례에 걸려 색좌표변화량을 분석하여 L11, L12, L13으로 나타내었다.As shown in FIG. 7, the doping amount of the sulfur-green dopant was doped to 20% of the host, and the amount of change of the color coordinates was analyzed three times to show L11, L12 and L13. The doping amount of the sulfur- %, And the amount of change in color coordinates was analyzed three times to express L11, L12, and L13.

황녹색 도펀트의 도핑량이 호스트 대비 20%가 되도록 도핑할 경우 14%로 도핑하였을 때보다, 색좌표변화량이 감소하고 색시야각 특성이 개선된 것을 알 수 있다.When the doping amount of the sulfur green dopant is 20% relative to the host, it is understood that the chromaticity coordinate variation is decreased and the color viewing angle characteristic is improved as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the doping amount is 14%.

도 8은 도 6의 실험예 1에서 도핑량에 따른 EL 스펙트럼을 나타내는 도면이다.8 is a graph showing an EL spectrum according to the doping amount in Experimental Example 1 of FIG.

황녹색 도펀트의 도핑량이 호스트 대비 20% 및 14% 증가 되도록 도핑할 경우 EL 스펙트럼이 장파장 쪽으로 이동하여 적색광의 발광효율이 향상되고, Voled 전압이 감소되고, 그에 따라 패널의 발광효율이 개선된다.Doping such that the doping amount of the sulfur green dopant is increased by 20% and 14% with respect to the host, the EL spectrum moves toward the longer wavelength, the luminous efficiency of the red light is improved, the Voled voltage is decreased, and the luminous efficiency of the panel is improved.

<실험예 2><Experimental Example 2>

도 9는 2200Å 두께의 광보상층이 형성된 본 발명에 따른 유기발광표시장치에서 황녹색 도펀트의 도핑량을 14% 및 20%로 증가시킨 후 특성을 분석한 도면이다.FIG. 9 is a graph illustra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n optical compensation layer having a thickness of 2200 A is formed, after increasing the doping amount of the sulfur-green dopant to 14% and 20%.

도 9에서 알 수 있듯이, 광보상층의 두께는 2200Å으로 형성하고, HTL1/HL3/ETL2의 두께는 600, 450, 450Å으로 형성하였다. 또한 황녹색 도펀트의 도핑량은 호스트 대비 20%(a) 및 14%(b)가 되도록 도핑하였다.As shown in FIG. 9, the thickness of the optical compensation layer was formed to be 2200 ANGSTROM, and the thickness of HTL1 / HL3 / ETL2 was formed to be 600, 450, and 450 ANGSTROM. The doping amount of the sulfur-green dopant was 20% (a) and 14% (b) relative to the host.

황녹색 도펀트의 도핑량이 호스트 대비 20%(a)가 되도록 도핑할 경우 14%(b)로 도핑하였을 때보다, 패널효율(Panel Eff)이 상승하였고, Voled 값은 감소하였고, 색좌표변화량은 감소한 것을 알 수 있다.The panel efficiency was increased, the Voled value was decreased, and the amount of change in the chromaticity coordinates was decreased when doping such that the doping amount of the sulfur green dopant was 20% (a) with respect to the host was 14% (b) Able to know.

도 10은 도 9의 실험예 2에서 시야각에 따른 색좌표변화량을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10 is a graph showing the amount of color coordinate change according to the viewing angle in Experimental Example 2 of FIG.

도 10에서 알 수 있듯이, 황녹색 도펀트의 도핑량이 호스트 대비 20%(a)가 되도록 도핑할 경우 14%(b)로 도핑하였을 때보다, 색좌표변화량이 감소하고 색시야각 특성이 개선된 것을 알 수 있다.As can be seen from FIG. 10, when the doping amount of the sulfur-doped green dopant is 20% (a) relative to the host, the amount of color coordinate change is decreased and the color viewing angle characteristics are improved have.

도 11은 도 9의 실험예 2에서 도핑량에 따른 EL 스펙트럼을 나타내는 도면이다.11 is a graph showing an EL spectrum according to doping amount in Experimental Example 2 of FIG.

도 11에서 알 수 있듯이, 황녹색 도펀트의 도핑량이 호스트 대비 20%(a) 및 14%(b)가 되도록 증가시킬 경우,EL 스펙트럼에서 확녹색 파장의 피크 파장이 장파장 쪽으로 이동하여, 결과적으로 EL스펙트럼에 변화를 주기 때문에 적색광의 발광효율이 향상되고, Voled 전압이 감소되고, 그에 따라 패널의 발광효율이 개선된다.11, when the doping amount of the sulfur-green dopant is increased to 20% (a) and 14% (b) relative to the host, the peak wavelength of the broad green wavelength in the EL spectrum shifts toward the longer wavelength, Since the spectrum is changed, the luminous efficiency of the red light is improved, the Voled voltage is reduced, and the luminous efficiency of the panel is improved.

<실험예 3><Experimental Example 3>

도 12는 광보상층이 형성되지 않은 본 발명에 따른 유기발광표시장치에서 황녹색 도펀트의 도핑량을 14% 및 20%로 증가시킨 후 특성을 분석한 도면이다.FIG. 12 is a graph illustra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optical compensation layer is not formed after increasing the doping amount of the sulfur-doped green dopant to 14% and 20%.

도 12에서 알 수 있듯이, 광보상층을 형성하지 않고, 황녹색 도펀트의 도핑량은 호스트 대비 14% 및 20%가 되도록 도핑하였다.As shown in FIG. 12, the doping amount of the sulfur-green dopant was 14% and 20% relative to the host without forming the optical compensation layer.

황녹색 도펀트의 도핑량이 호스트 대비 20%가 되도록 도핑할 경우 14%로 도핑하였을 때보다, 패널효율(Panel Eff)이 소폭 상승하였고, Voled 값은 감소하였고, 색좌표변화량은 감소한 것을 알 수 있다.The panel efficiency was slightly increased, the Voled value was decreased, and the amount of color coordinate change was decreased when the doping amount of the sulfur green dopant was 20% relative to that of the host when the doping amount was 14%.

도 13은 도 12의 실험예 3에서 시야각에 따른 색좌표변화량을 나타내는 도면이다.13 is a graph showing the amount of color coordinate change according to the viewing angle in Experimental Example 3 of FIG.

도 13에서 알 수 있듯이, 황녹색 도펀트의 도핑량이 호스트 대비 20%가 되도록 도핑할 경우 14%로 도핑하였을 때보다, 색좌표변화량이 감소하고 색시야각 특성이 개선된 것을 알 수 있다.As can be seen from FIG. 13, when the doping amount of the sulfur green dopant is 20% relative to the host, it is understood that the color coordinate variation is decreased and the color viewing angle characteristics are improved as compared with the case of doping with 14%.

도 14는 도 12의 실험예 3에서 도핑량에 따른 EL 스펙트럼을 나타내는 도면이다.14 is a graph showing an EL spectrum according to the doping amount in Experimental Example 3 of FIG.

도 14에서 알 수 있듯이, 황녹색 도펀트의 도핑량이 호스트 대비 20% 및 14%가 되도록 증가될 경우, EL 스펙트럼에서 확녹색 파장의 피크 파장이 장파장 쪽으로 이동하여, 결과적으로 EL스펙트럼에 변화를 주기 때문에 적색광의 발광효율이 향상되고, Voled 전압이 감소되고, 그에 따라 패널의 발광효율이 개선된다.As can be seen from Fig. 14, when the doping amount of the sulfur-green dopant is increased to 20% and 14% relative to the host, the peak wavelength of the green wavelength shifts to the longer wavelength in the EL spectrum and consequently changes the EL spectrum The luminous efficiency of the red light is improved, the Voled voltage is reduced, and the luminous efficiency of the panel is thereby improved.

<실험예 4><Experimental Example 4>

도 15는 PL 스펙트럼 상의 반치폭 변경에 따른 휘도(intensity) 변화량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에서 가로축은 파장(wavelength, nm)이고 세로축은 휘도(intensity, a.u)를 나타낸다.FIG. 15 is a diagram showing the intensity variation amount according to the half width variation on the PL spectrum. FIG. In Fig. 15, the horizontal axis indicates wavelength (nm) and the vertical axis indicates luminance (intensity, a.u).

도 15에서 알 수 있듯이, 확장된 반치폭을 갖는 PL 스펙트럼(Broad YG)에서 YG 피크에 해당하는 영역은 좁은 반치폭을 갖는 PL 스펙트럼(Narrow YG) 보다 적색 및 녹색의 영역에서 높은 휘도를 나타내고 있다.As can be seen from FIG. 15, the region corresponding to the YG peak in the PL spectrum (Broad YG) having the extended half width exhibits a higher luminance in the red and green regions than the PL spectrum (Narrow YG) having the narrow half width.

도 16은 도 15에 따른 스펙트럼의 단위 면적 당 휘도 및 전류밀도를 RGB 채널에서 측정한 실험 결과를 분석한 도표이다.FIG. 16 is a chart for analyzing the luminance and current density per unit area of the spectra shown in FIG. 15 on an RGB channel.

도 16에서 알 수 있듯이, 확장된 반치폭을 갖는 PL 스펙트럼(Broad YG)에서 적색(R) 채널의 발광효율(cd/A)은 동일하고, 전류밀도(mA/cm2)는 증가하였고, 녹색(G) 채널의 발광효율(cd/A)은 증가하고, 전류밀도(mA/cm2)는 감소하였다. 또한, 전체 패널효율에 있어서, 발광효율(cd/A)은 28.97 에서 31.10으로 전체적인 발광효율이 상승하였고, 색재현율은 115에서 119.8로 향상되었다.As can be seen from FIG. 16, the luminous efficiency (cd / A) of the red (R) channel is the same, the current density (mA / cm 2) ) Emission efficiency (cd / A) of the channel was increased and the current density (mA / cm 2) was decreased. In addition, in the overall panel efficiency, the luminous efficiency (cd / A) was increased from 28.97 to 31.10, and the color reproduction ratio was improved from 115 to 119.8.

도 17은 YG 피크 파장의 변화에 따른 휘도(intensity) 변화량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에서 가로축은 파장(wavelength, nm)이고 세로축은 휘도(intensity, a.u)를 나타낸다.FIG. 17 is a diagram showing the amount of intensity variation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YG peak wavelength. FIG. In Fig. 17, the horizontal axis indicates wavelength (nm) and the vertical axis indicates luminance (intensity, a.u).

도 17에서 알 수 있듯이, 확장된 반치폭을 갖는 PL 스펙트럼(Broad YG)에서 YG 피크의 파장이 변화함에 따라 스펙트럼의 형태가 변경되고, 이에 따라 패널 전체의 효율이 변화되는 것을 알 수 있다.As can be seen from FIG. 17, the spectral shape is changed as the wavelength of the YG peak changes in the PL spectrum (Broad YG) having the extended half width, and thus the efficiency of the entire panel is changed.

도 18은 도 17에 따른 스펙트럼의 컬러필터(CF) 투과 후 R, G, B 채널 각 피크 휘도 변화에 따른 효율 및 전류밀도를 분석한 도표이다.FIG. 18 is a chart for analyzing the efficiency and the current density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peak luminance of each of the R, G, and B channels after transmission of the color filter (CF) of the spectrum shown in FIG.

도 18에서 알 수 있듯이, 확장된 반치폭을 갖는 PL 스펙트럼(Broad YG)에서 적색(R) 채널의 발광효율(cd/A)은 575nm에서 8.94로 가장 높고, 녹색(G) 채널의 발광효율(cd/A)은 540nm에서 35.61로 가장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적색(R) 채널의 전류밀도(mA/cm2)는 540nm에서 53.6으로 가장 높고, 녹색(G) 채널의 전류밀도(mA/cm2)는 575nm에서 34.8로 가장 높은 것을 알 수 있다.As can be seen from FIG. 18, the luminous efficiency (cd / A) of the red (R) channel in the PL spectrum (Broad YG) with the extended half width is the highest at 8.94 and the luminous efficiency cd / A) is highest at 35.61 at 540 nm. The current density (mA / cm 2) of the red (R) channel is 53.6 at 540 nm, and the current density (mA / cm 2) of the green (G) channel is 34.8 at the highest at 575 nm.

그러나, 전체 패널효율에 있어서는 564nm의 YG 피크 파장을 갖는 스펙트럼의 발광효율(cd/A)이 31.10으로 가장 우수하고, 색재현율에 있어서도 119.8로 가장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However, in the overall panel efficiency, the luminous efficiency (cd / A) of the spectrum having the YG peak wavelength of 564 nm is the most excellent at 31.10 and the color reproducibility is the best at 119.8.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상술한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구성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from the equivalent concept are to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100 - 유기발광표시장치 110 - 기판
TFT - 박막 트랜지스터 115 - 게이트 전극
120 - 게이트 절연층 131 - 반도체층
133 - 소스 전극 135 - 드레인 전극
140 - 제 1보호층 145 - 컬러필터
150 - 오버코트층 155 - 광보상층
160 - 제 1전극 170 - 뱅크층
180 - 유기발광층 190 - 제 2전극
100 -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110 - substrate
TFT - Thin film transistor 115 - Gate electrode
120 - gate insulating layer 131 - semiconductor layer
133 - source electrode 135 - drain electrode
140 - First protective layer 145 - Color filter
150 - Overcoat layer 155 - Optical compensation layer
160 - first electrode 170 - bank layer
180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90 second electrode

Claims (11)

기판;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된 박막 트랜지스터;
상기 박막트랜지스터 상에 형성된 제 1전극;
상기 제 1전극 상에 형성되고 제 1색을 발산하는 제 1발광층을 포함하는 제 1스택, 상기 제 1전극 상에 형성되고 제 2색을 발산하는 제 2발광층을 포함하는 제 2스택, 및 상기 제 1스택 및 제 2스택 사이에 형성된 CGL(Charge Generation Layer)층을 포함하는 유기발광층; 및
상기 유기발광층 상에 형성된 제 2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 1발광층 및 제 2발광층의 도펀트 특성에 따라 결정되는 발광(Photoluminescence : PL) 스펙트럼 상에서의, 상기 제 1색의 피크 파장(제 1피크 파장)은, 유기발광장치의 광학적 특성에 따라 결정되는 에미턴스(Emittance) 스펙트럼 상에서의, 상기 제 1색의 피크 파장(제 2피크 파장) 보다 단파장 영역에 위치되며,
상기 제 2발광층의 도펀트 농도가 호스트(Host) 대비 10% 이상 25% 이하로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제2발광층이 540nm 이상 및 575nm 이하의 파장을 발산시키도록 하는 도펀트 재료를 이용하여, 상기 제2발광층이 형성되어, 상기 발광(Photoluminescence : PL) 스펙트럼 상에서의, 상기 제 2색의 피크 파장(제 3피크 파장)이, 상기 에미턴스(Emittance) 스펙트럼 상에서의, 상기 제 2색의 피크 파장(제 4피크 파장) 보다 단파장 또는 장파장 영역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표시장치.
Board;
A thin film transistor formed on the substrate;
A first electrode formed on the thin film transistor;
A second stack including a first stack including a first light emitting layer formed on the first electrode and emitting a first color, a second light emitting layer formed on the first electrode and emitting a second color, An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including a CGL (Charge Generation Layer) layer formed between the first stack and the second stack; And
And a second electrode formed on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The peak wavelength (first peak wavelength) of the first color on the photoluminescence (PL) spectrum determined according to the dopant characteristics of the first and second light emitting layers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optical characteristics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Is located in a shorter wavelength region than the peak wavelength of the first color (second peak wavelength) on the emittance spectrum,
The dopant concentration of the second light emitting layer is set to 10% or more and 25% or less of the host (Host), or the second light emitting layer emits a wavelength of 540 nm or more and 575 nm or less, And a peak wavelength (third peak wavelength) of the second color on the photoluminescence (PL) spectrum is larger than a peak wavelength (second peak wavelength) of the second color on the emittance spectrum 4 &lt; / RTI &gt; peak wavelength). &Lt; / RTI &g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Photoluminescence : PL) 스펙트럼 상의 상기 제 1색의 피크 파장(상기 제 1피크 파장) 및 상기 에미턴스(Emittance) 스펙트럼 상의 상기 제 1색의 피크 파장(상기 제 2피크 파장)의 차이는 10nm 이하이고,
상기 발광(Photoluminescence : PL) 스펙트럼 상의 상기 제 2색의 피크 파장(상기 제 3피크 파장) 및 상기 에미턴스(Emittance) 스펙트럼 상의 상기 제 2색의 피크 파장(상기 제 4피크 파장)의 차이는 ±10n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표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ifference between the peak wavelength of the first color (the first peak wavelength) on the photoluminescence (PL) spectrum and the peak wavelength of the first color on the emittance spectrum (the second peak wavelength) Or less,
The difference between the peak wavelength (the third peak wavelength) of the second color on the photoluminescence (PL) spectrum and the peak wavelength (the fourth peak wavelength) of the second color on the emittance spectrum is ± Lt; RTI ID = 0.0 &gt; nm. &Lt; / RTI &g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색은 청색, 상기 제 2색은 황녹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표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color is blue, and the second color is yellow and green.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발광표시장치에서 방출되는 광의 0°~ 60°의 시야각 방향에서 CIE 1931 색좌표계 상의 색좌표변화량(Δu'v')은 0.02 이하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표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lor coordinate change amount (DELTA u'v ') on the CIE 1931 color coordinate system in the viewing angle direction of 0 DEG to 60 DEG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OLED display device is 0.02 or les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 및 제 1전극 사이에 오버코트층 및 광보상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표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n overcoat layer and an optical compensation layer between the thin film transistor and the first electrode.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광보상층의 굴절율은 1.8 이상 및 2.3 이하의 값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표시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refractive index of the optical compensation layer is 1.8 or more and 2.3 or less.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광보상층의 두께는 1100Å 이상 및 2500Å 이하의 값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표시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thickness of the optical compensation layer is greater than or equal to 1100 and less than or equal to 250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PL) 스펙트럼 상의 상기 제 2색의 피크 파장(상기 제 3피크 파장)의 반치폭(Full Width at Half Maximum)은 80nm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표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alf width (Full Width at Half Maximum) of the peak wavelength of the second color (the third peak wavelength) on the light emission (PL) spectrum is 80 nm or more.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PL) 스펙트럼 상의 상기 제 2색의 피크 파장(상기 제 3피크 파장)의 피크 파장은 540nm 이상 및 575n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표시장치.
11. The method of claim 10,
And the peak wavelength of the peak wavelength of the second color (the third peak wavelength) on the light emission (PL) spectrum is 540 nm or more and 575 nm or less.
KR1020120108375A 2011-12-23 2012-09-27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tive KR101400058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210564241.XA CN103178084B (en) 2011-12-23 2012-12-21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US13/724,308 US8847216B2 (en) 2011-12-23 2012-12-21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10141810 2011-12-23
KR1020110141810 2011-12-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3808A KR20130073808A (en) 2013-07-03
KR101400058B1 true KR101400058B1 (en) 2014-05-30

Family

ID=489881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8375A Active KR101400058B1 (en) 2011-12-23 2012-09-27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0058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4046A (en) * 2017-12-19 2019-06-2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US11730013B2 (en) 2019-08-26 2023-08-15 Lg Display Co., Ltd. Display panel and head mounte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1117B1 (en) * 2013-08-29 2020-02-2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Whit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KR102296626B1 (en) * 2013-10-24 2021-09-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pparatus
KR102139577B1 (en) * 2013-10-24 2020-07-3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pparatus
KR102116414B1 (en) * 2013-12-30 2020-05-2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KR102086557B1 (en) * 2013-12-31 2020-03-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apparatus
KR102358545B1 (en) * 2014-11-13 2022-02-0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CN105609527B (en) * 2014-11-13 2019-04-30 乐金显示有限公司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KR102289701B1 (en) * 2014-12-01 2021-08-1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102389833B1 (en) * 2015-10-23 2022-04-2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KR102553276B1 (en) * 2016-03-29 2023-07-0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KR102337204B1 (en) 2017-06-30 2021-12-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KR102367821B1 (en) * 2017-10-31 2022-02-2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Whit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US20250008764A1 (en) * 2023-06-27 2025-01-02 Universal Display Corporatio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105640A (en) * 2007-05-31 2008-12-04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Whit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105640A (en) * 2007-05-31 2008-12-04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Whit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4046A (en) * 2017-12-19 2019-06-2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KR102473160B1 (en) * 2017-12-19 2022-11-3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KR20220163915A (en) * 2017-12-19 2022-12-1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KR102605614B1 (en) * 2017-12-19 2023-11-2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US11730013B2 (en) 2019-08-26 2023-08-15 Lg Display Co., Ltd. Display panel and head mounte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3808A (en) 2013-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0058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US8847216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USRE47544E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9224967B2 (en) Whit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US10074698B2 (en) Display substrate, display device thereof,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US8476622B2 (en) 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US10347858B2 (en) Whit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CN105655372B (en)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KR102397823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US8823019B2 (en) Whit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JP5676949B2 (en) Organic EL display device
CN103928624A (en) OLED device and display device
JP2012038555A (en) Organic el display device
US20170033170A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CN1971969A (en) Light-emitting element and display device
KR20110068638A (en) Blue light emitting device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including the same
KR20150060200A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US20050067950A1 (e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KR100943184B1 (en) Flat panel display device
JP2007095444A (en)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KR102159710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KR101936124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JP2007141790A (en) Displa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927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3041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2092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3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52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5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05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3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41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6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41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7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41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42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41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41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415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415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