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399838B1 - Method of finishing side surfaces of transparent substrate for display device and finishing apparatus using same - Google Patents

Method of finishing side surfaces of transparent substrate for display device and finishing apparatus using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9838B1
KR101399838B1 KR1020130119683A KR20130119683A KR101399838B1 KR 101399838 B1 KR101399838 B1 KR 101399838B1 KR 1020130119683 A KR1020130119683 A KR 1020130119683A KR 20130119683 A KR20130119683 A KR 20130119683A KR 101399838 B1 KR101399838 B1 KR 1013998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ser beam
transparent substrate
cut surface
substrate
fixing memb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1968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병성
이병헌
박병인
이현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고려반도체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고려반도체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고려반도체시스템
Priority to KR10201301196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9838B1/en
Priority to CN201410083407.5A priority patent/CN104439713B/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98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9838B1/en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51Manufacturing of individual cells out of a plurality of cells, e.g. by dic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02Positioning or observing the workpiece, e.g. with respect to the point of impact; Aligning, aiming or focusing the laser beam
    • B23K26/06Shaping the laser beam, e.g. by masks or multi-focusing
    • B23K26/0604Shaping the laser beam, e.g. by masks or multi-focusing by a combination of beams
    • B23K26/0608Shaping the laser beam, e.g. by masks or multi-focusing by a combination of beams in the same heat affected zone [HAZ]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351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for trimming or tuning of electrical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36Removing material
    • B23K26/361Removing material for deburring or mechanical trimm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3K37/0408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for planar work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3/00Other 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 C03C23/0005Other 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irradiation
    • C03C23/0025Other 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irradiation by a laser beam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5/00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 C03C25/62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by application of electric or wave energy; by particle radiation or ion implantation
    • C03C25/6206Electromagnetic waves
    • C03C25/6208Laser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54Arrangements for aligning or assembling substrat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lasma & Fusion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Laser Beam Processing (AREA)
  • Re-Forming, After-Treatment, Cutting And Transporting Of Glass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표시 장치용 투명 기판의 측면 가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가공 장치에 관한 것으로, 표시 장치용 투명 기판의 가공 방법으로서, 상기 표시 장치에 사용하는 크기의 투명 기판이 되도록 대형 기판을 절단하는 기판 절단 단계와; 제1레이저빔의 중심이 상기 투명 기판의 절단면을 따르는 중심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형태로 상기 제1레이저빔을 상기 절단면에 조사하여 상기 절단면을 다듬질하는 절단면 다듬질단계와; 제2레이저빔의 중심이 상기 투명 기판의 중심선으로부터 상기 투명 기판의 판면을 향하여 일측으로 치우친 상기 절단면 상의 편측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형태로, 상기 제2레이저빔을 상기 절단면에 조사하여 상기 절단면의 일측 모서리를 따라 경사진 챔퍼(chamfer)를 형성하는 챔퍼형성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미세 균열의 발생 빈도를 최소화하는 높은 수율로 보다 짧은 시간 내에 투명 기판의 측면의 가공을 정확하게 할 수 있는 표시 장치용 투명 기판의 가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가공 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ocessing a side surface of a transparent substrate for a display device and a processing apparatus us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for processing a transparent substrate for a display device, ; A cutting surface finishing step of finishing the cut surface by irradiating the cut surface with the first laser beam so that the center of the first laser beam moves along a center path along the cut surface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The second laser beam is irradiated onto the cut surface in such a manner that the center of the second laser beam moves along one side path on the cut surface deviated to one side from the center line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toward the surface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Forming a chamfer forming a chamfer that is inclined along an edge; A processing method of a transparent substrate for a display device and a processing device using the same, which can precisely process side surfaces of a transparent substrate within a shorter time with a high yield, which minimizes the occurrence frequency of microcracks, is provided.

Description

표시 장치용 투명 기판의 측면 가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가공 장치 {METHOD OF FINISHING SIDE SURFACES OF TRANSPARENT SUBSTRATE FOR DISPLAY DEVICE AND FINISHING APPARATUS USING SAM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ide surface of a transparent substrate for a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표시 장치용 투명 기판의 가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가공 장치에 관한 것으로, 충격이나 외력에 대하여 보다 높은 저항 능력을 갖는 표시 장치용 투명 기판을 제조할 수 있으면서, 표시 장치에 사용될 수 있는 모서리의 챔퍼를 형성하는 가공 방법 및 가공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processing a transparent substrate for a display device and a processing apparatus us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of manufacturing a transparent substrate for a display device having a higher resistance to impact and external force, To a machining method and a machining apparatus for forming chamfers.

최근 많은 정보들이 표시 장치를 통해 대중에게 제공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표시 장치의 사용량이 점점 증가하고 있다. 최근에는 최근 모바일 기기의 대중화에 따라 보다 작고 보다 널리 표시 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표시 장치의 최외측에는 투명 기판이 위치하여 표시 기능을 담당하는 액정, 유기발광소자 등의 소자를 외력과 충격으로부터 보호한다. Recently, a lot of information is provided to the public through a display device, and accordingly, the usage amount of the display device is increasing. In recent years, display devices have become smaller and more widely used as mobile devices become more popular. A transparent substrate is disposed on the outermost side of the display device to protect elements such as a liquid crystal and an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which are responsible for a display function, from external force and impact.

한편, 표시 장치에 사용되는 투명 기판은 대형 투명 기판을 제작한 후, 레이저빔을 대형 투명 기판의 판면에 조사하거나 기판 절단용 쏘(saw)로 절단하여 사용된다. 그러나, 최종적으로 표시 장치에 사용될 수 있는 크기가 되도록 대형 기판을 절단하는 과정에서,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단된 표시 장치용 투명 기판(S)의 둘레(11)를 감싸는 절단면(12)에는 불균일한 미세 요철이 형성된다. On the other hand, a transparent substrate used in a display device is used after a large transparent substrate is manufactured, and then the laser beam is irradiated on the surface of a large transparent substrate or cut with a saw for cutting a substrate. However, in the process of cutting a large substrate so as to have a size finally used for a display device, as shown in Fig. 1, a cut surface 12 surrounding the periphery 11 of the cut transparent substrate S for a display device, Uneven fine irregularities are formed.

그런데, 미세 요철이 형성되어 있는 절단면(12)이 있는 투명 기판(S)을 그대로 표시 장치에 사용할 경우에는, 표시 장치의 사용 도중에 투명 기판(S)의 판면이나 모서리에 작용하는 외력이나 충격에 의하여 미세 요철이 형성되어 있는 절단면(12)에서 균열이 발생, 성장하여 투명 기판(S)이 파손되는 문제가 야기되었다.However, when the transparent substrate S having the cut surface 12 on which the fine concavities and convexities are formed is used as it is for the display devic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transparent substrate S from being deformed due to an external force or impact acting on the surface or the edge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S during use of the display device. There has been a problem that cracks are generated and grown on the cut surface 12 on which the fine irregularities are formed and the transparent substrate S is broken.

따라서, 미세 요철이 형성되어 있는 투명 기판(S)의 파손 가능성을 줄이기 위하여, 종래에는 투명 기판(S)의 절단면(12)에 연마유를 공급하면서 미세한 연삭 그라인더로 그라인딩 공정을 행하여 측면을 매끄럽게 가공한 이후에, 그라인딩 공정에서 발생된 입자를 깨끗하게 세정한다. 그리고 나서, 불소(hydrofluoric acid) 공정을 거치면서 유리 소재의 투명 기판(S)의 강성을 높힌 이후에, 투명 기판(S)에 묻어있는 불소 액을 깨끗하게 세정하는 복잡한 4단계의 공정을 거쳐야 했다.Therefore, in order to reduce the possibility of breakage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S on which fine irregularities have been formed, conventionally, a grinding process is performed with a fine grinding grinder while supplying polishing oil to the cut surface 12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S, After that, the particles generated in the grinding process are cleanly cleaned. Then, after the fluorine (hydrofluoric acid) process is performed, the rigidity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S of the glass material is increased, and then the fluorine liquid on the transparent substrate S is cleanly cleaned.

그러나, 연삭 그라인더로 투명 기판(S)의 절단면(12)을 그라인딩 공정을 행하는 것은 기계적으로 절단면(12)의 요철을 제거하는 것이어서, 그라인딩 공정 중에 오히려 기판(S)의 절단면(12)으로부터 균열이 성장하여 파손하는 것을 유발하여 수율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야기되었을 뿐만 아니라, 그라인딩 공정을 위하여 연마유를 공급하고, 연삭 입자 등을 세정해야 하는 공정이 반드시 수반되므로, 공정 수가 많아져 제품의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인체에 매우 해로운 불소를 사용하여 투명 기판(S)의 강성을 향상시키므로, 작업을 행하는 작업자의 건강과 안전이 심각하게 위협받는 심각한 문제도 있었다.
However, performing the grinding process on the cut surface 12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S with the grinding grinder mechanically removes the irregularities on the cut surface 12, so that cracks are generated from the cut surface 12 of the substrate S during the grinding process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yield is lowered by causing growth and breakage, and in addition, a process of supplying abrasive oil for the grinding process and cleaning the abrasive particles must be performed, so that the number of steps increases, There was a problem. Further, since the rigidity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S is improved by using fluorine which is very harmful to the human body, there has been a serious problem that the health and safety of the worker is seriously threatened.

이 뿐만 아니라, 투명 기판(S)을 디스플레이 장치에 용이하게 장착되기 위해서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둘레를 형성하는 프레임과 보다 견고하게 맞물리면서 조립될 필요가 있다. In addition, in order to easily mount the transparent substrate S on the display device, it needs to be assembled more firmly with the frame forming the periphery of the display device.

이를 위하여, 투명 기판의 둘레 모서리를 따라 면취되는 챔퍼 가공을 행하는 데, 종래에는 투명 기판의 둘레 모서리에 챔퍼의 가공 공정이 그라인딩 공정에 의해 이루어졌다. 그러나, 그라인딩에 의하여 기판의 둘레 모서리에 일정한 크기로 경사지게 챔퍼를 면취 가공하는 것은 시간이 오래 소요되어 생산성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절단면(12)에서의 균열을 야기하여 수율이 크게 낮아지는 심각한 문제가 야기되었다. For this purpose, a chamfering process is performed along the peripheral edge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Conventionally, a chamfering process has been performed on the peripheral edge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by a grinding process. However, chamfering the chamfer by slicing the circumferential edge of the substrate by a certain amount of time by grinding requires a long time, resulting in a decrease in productivity and a serious problem of causing cracking at the cut surface 12, .

따라서, 유리 등의 소재인 투명 기판의 모서리를 따라 경사진 챔퍼를 짧은 시간 내에 정확한 형상으로 가공하되, 동시에 챔퍼 가공의 수율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의 필요성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Therefore, there is a desperate need for a chamfer that is inclined along the edge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which is a material such as glass, to be processed into an accurate shape within a short time, and at the same time, the yield of chamfer processing.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표시 장치용 투명 기판을 충격이나 외력에 대하여 보다 높은 저항 능력을 갖도록 하여 내구성이 향상된 표시 장치용 투명 기판을 제조하는 가공 방법 및 가공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rocessing method and a processing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transparent substrate for a display device having improved durability by allowing a transparent substrate for a display device to have a higher resistance to impact or external force The purpose.

또한, 본 발명은 표시 장치용 투명 기판의 절단면의 미세 요철을 간단하고 효율적으로 제거함으로써, 투명 기판의 수율을 높이면서 제조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horten the time required for manufacturing while increasing the yield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by simply and efficiently removing fine unevenness on the cut surface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for a display device.

무엇보다도, 본 발명은 유리 소재의 투명 기판의 모서리를 따라 단면을 기준으로 경사진 챔퍼를 형성하는 가공 공정을 짧은 시간 내에 높은 수율로 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Best Mode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provide a process for forming an inclined chamfer along the edge of a transparent substrate made of a glass material with a high yield in a short time.

본 발명은 상술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표시 장치용 투명 기판의 가공 방법으로서, 상기 표시 장치에 사용하는 크기의 투명 기판이 되도록 대형 기판을 절단하는 기판 절단 단계와; 제1레이저빔의 중심이 상기 투명 기판의 절단면을 따르는 중심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형태로 상기 제1레이저빔을 상기 절단면에 조사하여 상기 절단면을 다듬질하는 절단면 다듬질단계와; 제2레이저빔의 중심이 상기 투명 기판의 중심선으로부터 상기 투명 기판의 판면을 향하여 일측으로 치우친 상기 절단면 상의 편측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형태로, 상기 제2레이저빔을 상기 절단면에 조사하여 상기 절단면의 일측 모서리를 따라 경사진 챔퍼(chamfer)를 형성하는 챔퍼형성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용 투명 기판의 가공 방법을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processing a transparent substrate for a display device, comprising: a substrate cutting step of cutting a large substrate so as to be a transparent substrate having a size used in the display device; A cutting surface finishing step of finishing the cut surface by irradiating the cut surface with the first laser beam so that the center of the first laser beam moves along a center path along the cut surface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The second laser beam is irradiated onto the cut surface in such a manner that the center of the second laser beam moves along one side path on the cut surface deviated to one side from the center line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toward the surface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Forming a chamfer forming a chamfer that is inclined along an edge; And a transparent substrate for a display device.

이는, 레이저빔이나 쏘(saw) 등을 이용하여 대형 기판을 표시 장치에 사용하는 투명 기판의 크기로 절단하는 과정에서, 절단면에 생성될 수 밖에 없는 미세 요철을 레이저빔을 조사하는 절단면 다듬질 단계에 의하여 간단히 제거함으로써, 종래에 복잡한 4단계로 이루어지던 공정을, 짧은 시간에 레이저 조사 공정만으로 절단면의 미세 요철을 완전히 제거할 수 있게 되고, 동시에 종래에 오랜 시간을 소요하면서 측면 모서리에 경사진 챔퍼를 형성하던 가공 공정을, 레이저 빔을 이용하여 간단하고 신속하면서도 높은 수율로 가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This is because in the process of cutting a large substrate to a size of a transparent substrate used for a display device by using a laser beam, a saw, or the like, fine irregularities, which can only be generated on the cut surface, It is possible to completely remove the micro concavo-convex portion of the cutting face only by the laser irradiation process in a short time, and at the same time, it is possible to remove the concavo-convex portion at the side edg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이와 같은 투명 기판의 절단면 다듬질 가공 공정은 종래의 그라인딩 방식과 달리 연마유 등을 공급하거나 세정 공정을 별도로 필요로 하지 않게 되므로, 투명 기판의 다듬질 가공 공정을 짧은 시간 내에 간단히 마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인체에 매우 해로운 불산의 사용이 근본적으로 배제되므로 작업자의 건강과 안전을 보장할 수 있게 되고, 종래의 4단계에 의해 얻어지던 가공 공정에 비하여 약 5배의 높은 휨 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Since the cutting process of the cut surface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does not require grinding oil or the like, unlike the conventional grinding method, the process of finishing the transparent substrate can be completed easily in a short time, It is possible to ensure the health and safety of the worker and to obtain an advantageous effect of securing a flexural rigidity about 5 times higher than that obtained by the conventional four steps .

무엇보다도, 상기와 같은 투명 기판의 챔퍼 가공 공정은 종래의 그라인딩 방식과 달리 연마유 등을 공급하거나 세정 공정을 별도로 필요로 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레이저빔의 초점 높이 및 위치를 조절하는 것에 의하여 미세 균열을 발생시키지 않으면서 경사진 챔퍼를 정확하고 일관된 형태로 형성할 수 있고, 동시에 높은 수율로 가공이 가능해지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The chamfering process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as described above does not require the supply of the polishing oil or the cleaning process, unlike the conventional grinding method, but also the micro-cracks It is possible to obtain an advantageous effect that the inclined chamfer can be formed accurately and consistently and at the same time, the machining can be performed with a high yield.

따라서, 상기와 같이 가공된 유리 기판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높은 강도와 내구성을 갖는 형태로 활용될 수 있다.
Therefore, the glass substrate processed as described above can be utilized in a form having high strength and durability in a display device.

이를 위하여, 상기 절단면 다듬질 단계는 상기 절단면에 수직으로 제1레이저빔을 조사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다만, 절단면에 레이저빔이 충분히 조사할 수 있도록, 상기 제1레이저빔은 상기 절단면에 수직인 방향으로부터 30도 이하의 각도로 상기 절단면에 조사되는 것에 의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To this end, it is most preferable that the cutting surface finishing step irradiates the first laser beam perpendicularly to the cut surface. However, the first laser beam may be irradiated on the cut surface at an angle of 30 degrees or less from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cut surface so that the laser beam can sufficiently irradiate the cut surface.

그리고, 상기 챔퍼형성단계는, 제2레이저빔이 수직으로 투명 기판의 절단면에 조사되는 경우에, 상기 제2레이저빔의 초점이 투명 기판 내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2레이저빔을 조사한다. 즉, 상기 챔퍼형성단계는, 상기 제2레이저빔이 초점에 도달하기 이전에 상기 절단면에 도달하는 형태로 상기 제2레이저빔을 상기 절단면에 조사한다. 이를 통해, 상기 편측 경로를 따라 조사되는 제2레이저빔에 의하여 투명 기판의 측면에 국부적인 파손이 형성될 정도의 에너지가 전달되지 않으면서, 투명 기판의 측면 모서리에 경사진 챔퍼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제2레이저빔의 초점이 투명 기판 내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과도하게 높은 에너지 밀도로 투명 기판의 측면 모서리에 에너지가 집중됨에 따라, 투명 기판의 모서리에 국부적인 미세 균열이 불규칙적으로 발생되는 현상이 야기된다. 또한, 제2레이저빔의 초점이 투명 기판의 상측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낮은 에너지 밀도로 투명 기판의 측면 모서리에서 에너지가 분산됨에 따라, 투명 기판의 모서리를 면취하는 챔퍼의 형성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야기된다. The chamfer forming step irradiates the second laser beam so that the focal point of the second laser beam is located in the transparent substrate when the second laser beam is vertically irradiated on the cut surface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That is, the chamfer forming step irradiates the second laser beam onto the cut surface in such a manner that the second laser beam reaches the cut surface before reaching the focal point.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form an inclined chamfer at the side edge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without transmitting energy to the side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by the second laser beam irradiated along the one-side path, do. For example, when the focal point of the second laser beam is located in the transparent substrate, energy is concentrated at the side edge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at an excessively high energy density, so that local microcracks occur irregularly at the edges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 In addition, when the focal point of the second laser beam is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the energy is dispersed at the side edge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with a relatively low energy density, so that the chamfer for chamfering the edge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is smoothly formed Causing problems.

투명 기판의 모서리를 따라 경사진 챔퍼를 정확하게 가공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2레이저빔의 초점은 상기 절단면(투명 기판의 측면)으로부터 5mm 내지 20mm만큼 이격된 상기 투명 기판 내에 위치한 상태로 제2레이저빔을 편측 경로로 조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rder to accurately process the chamfer inclined along the edge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the focal point of the second laser beam is positioned within the transparent substrate spaced from the cut surface (the side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by 5 mm to 20 mm, It is preferable to irradiate with one side path.

이 때, 상기 편측 경로는 상기 제2레이저빔의 중심이 상기 중심선으로부터 상기 투명 기판의 두께(wo)의 1/7 이상만큼 바깥으로 이격된 것이 효과적이다. 투명 기판의 측면 중심선으로부터 두께(wo)로부터 1/7보다 내측에 위치하면 투명 기판의 중심선에 근접하여 모서리를 따라 챔퍼가 가공되지 않고 다듬질 가공으로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다만, 중심선으로부터 1/7로부터 1/6만큼 이격된 사잇 공간에 대해서는, 초점의 위치를 절단면의 하측으로 조절하는 것에 의하여 챔퍼 가공이 행해지도록 하고, 초점의 위치를 절단면의 상측으로 조절하는 것에 의하여 다듬질 가공이 행해지도록 조절할 수도 있다. In this case, it is effective that the center of the second laser beam is spaced apart from the center line by one seventh or more of the thickness wo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If the substrate is located 1/7 of the thickness wo from the side center line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the chamfer can be processed without being processed along the edge near the center line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However, for a short space spaced 1/7 to 1/6 from the center line, chamfering is performed by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focus to the lower side of the cut surface, and by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focus to the upper side of the cut surface It may be adjusted so that the finishing process is performed.

그리고, 상기 챔퍼형성단계는, 상기 제2레이저빔을 상기 절단면을 따라 10mm/sec 내지 20mm/sec의 속도로 상대적으로 빨리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And, the chamfer forming step may be configured to relatively move the second laser beam along the cut surface at a speed of 10 mm / sec to 20 mm / sec.

그리고, 상기 중심 경로는 상기 제1레이저빔의 중심이 상기 중심선으로부터 상기 투명 기판의 두께(wo)의 1/6 이내에 위치하고, 상기 제1레이저빔의 초점은 상기 투명 기판의 바깥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center path of the first laser beam is positioned within 1/6 of the thickness wo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from the center line and the focus of the first laser beam is located outside the transparent substrate Do.

상기 제1레이저빔과 제2레이저빔은 상기 절단면에 수직으로 조사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제2레이저빔은 상기 절단면에 경사지게 조사하되, 상기 경사각은 상기 유리 기판의 판면을 향하여 예각을 이루도록 조사될 수도 있다. 연직면에 대한 제2레이저빔의 경사각이 커질수록 챔퍼는 보다 낮은 경사도로 면취된다.The first laser beam and the second laser beam may be irradiated perpendicularly to the cut surface. However, the second laser beam may be irradiated to the cut surface in an oblique direction, and the inclination angle may be an acute angle toward the surface of the glass substrate. As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second laser beam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plane becomes larger, the chamfer is chamfered with a lower inclination.

그리고, 상기 절단면은 상기 투명 기판의 둘레에 배열될 수 있다.The cut surface may be arranged around the transparent substrate.

상기 투명 기판은 플라스틱 소재일 수도 있지만, 범용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특히 유리 소재에 대해서도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방법이 훌륭하게 적용된다. 또한, 상기 투명 기판은 일부 두께에 강화층이 형성된 강화 유리 기판일 수도 있다.
Although the transparent substrate may be a plastic material, th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particularly well to glass materials, which are widely used in general use. In addition, the transparent substrate may be a tempered glass substrate having a reinforcing layer formed to a certain thickness.

무엇보다도, 상기 제1레이저빔과 상기 제2레이저빔은 유리 재질에 높은 흡수율을 갖는 이산화탄소(CO2) 레이저빔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저렴하면서도 투명 기판 둘레의 측면에 존재하는 미세 요철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투명 기판의 강성을 효과적으로 보강할 수 있다. 또한, 제2투명 기판의 모서리를 따라 챔퍼를 가공함에 있어서도, 제2레이저빔의 위치 및 초점 높이의 조절에 다소 오차가 있더라도 의도한 형태의 챔퍼를 정확하게 가공할 수 있다.In particular,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laser beam and the second laser beam are carbon dioxide (CO 2 ) laser beams having a high absorption ratio to glass material.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remove fine irregularities existing on the side surface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and effectively reinforce the rigidity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Further, even when the chamfer is processed along the edge of the second transparent substrate, the chamfer of the intended shape can be accurately processed even if there is some error in adjusting the position and the focal height of the second laser beam.

또는, 상기 제1레이저빔과 상기 제2레이저빔은 8㎛ 내지 15㎛의 파장 대역(적외선 파장 영역 중 파장이 높은 대역에 속함)을 갖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제1레이저빔과 상기 제2레이저빔의 파장이 약 200nm 내지 350nm의 파장 대역을 갖는 것도 가능하지만, 파장이 낮게 되면 레이저빔의 위치, 초점 높이 및 출력에 약간의 오차가 있게 되면, 투명 기판의 측면에는 미세 균열이 야기되므로, 정확하게 챔퍼를 가공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야기되기 때문이다. Alternatively, it is most preferable that the first laser beam and the second laser beam have a wavelength band of 8 占 퐉 to 15 占 퐉 (which belongs to a band having a higher wavelength in the infrared wavelength range). If the wavelength of the first laser beam and the second laser beam is in the range of about 200 nm to 350 nm, however, if the wavelength is low, there is a slight error in the position of the laser beam, Because microcracks are generat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wafer, the chamfer can not be precisely processed.

그리고, 투명 기판의 측면(또는 절단면)을 다듬질하는 상기 제1레이저빔은 이산화탄소 레이저빔을 30W 내지 300W의 출력 강도로 상기 절단면에 조사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다. 30W보다 낮은 출력으로 제1레이저빔을 투명 기판의 절단면에 조사하는 경우에는, 거친 절단면이 충분히 제거되지 않아 투명 기판의 측면의 강도가 충분히 강화되지 않으며, 300W 이상의 높은 출력으로 제1레이저빔을 투명 기판의 절단면에 조사하는 경우에는, 절단면에 인가되는 에너지 밀도가 과도해짐에 따라 절단면의 평탄도에 영향을 미치거나 미세 균열이 발생될 수 있기 때문이다. It is most effective that the first laser beam for finishing the side surface (or the cut surface)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is irradiated with the carbon dioxide laser beam onto the cut surface at an output intensity of 30 W to 300 W. When the first laser beam is irradiated on the cut surface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with an output lower than 30 W, the rough cut surface is not sufficiently removed, the strength of the side surface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is not sufficiently strengthened, and the first laser beam is made transparent In the case of irradiating the cut surface of the substrate, as the energy density applied to the cut surface becomes excessive, the flatness of the cut surface may be affected or microcracks may be generated.

또한, 투명 기판의 모서리에 경사진 챔퍼를 가공하는 상기 제2레이저빔은 20W 내지 70W의 출력 강도로 상기 절단면에 조사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다. 제2레이저빔의 출력강도가 20W보다 낮은 경우에는 투명 기판(주로 유리 소재)의 측면에 스크래치와 같은 흔적이 남을 수 있으며, 제2레이저빔의 출력강도가 70W보다 큰 경우에는 투명 기판의 측면이 밀리면서 깨지는 흔적을 남기게 되는 불량이 야기되기 때문이다. Further, it is most effective that the second laser beam, which processes an inclined chamfer at the edge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is irradiated on the cut surface with an output intensity of 20 W to 70 W. When the output intensity of the second laser beam is lower than 20 W, marks such as scratches may remain on the side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mainly glass material). If the output intensity of the second laser beam is higher than 70 W, This is caused by the failure to leave traces of cracking.

상기 챔퍼형성단계는, 상기 투명 기판의 상기 절단면의 일측 모서리에만 경사진 챔퍼를 형성할 수도 있지만, 투명 기판의 절단면의 양측 모서리에 모두 챔퍼를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chamfer forming step may include forming a chamfer at both side edges of the cut surface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although a chamfer inclined only at one side edge of the cut surface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may be formed.

한편, 발명의 다른 분야에 따르면, 본 발명은, 표시 장치용 투명 기판의 절단면 다듬질 가공 장치로서, 레이저빔을 발생시키는 레이저빔 발진기와; 상기 레이저빔 발진기로부터 레이저빔을 전송받아 레이저빔을 조사하는 레이저빔 조사기와; 상기 표시 장치에 사용하는 크기로 절단된 상기 투명 기판을 고정하는 고정대와; 상기 레이저빔 조사기로부터 발진되는 레이저빔이 상기 투명 기판의 절단면을 따라 이동하도록 상기 고정대와 상기 레이저빔 조사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동시키고, 상기 절단면의 두께 방향으로도 상기 레이저빔을 이동시키는 이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레이저빔 조사기로부터 조사되는 제1레이저빔이 상기 투명 기판의 절단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절단면을 다듬질 가공하고, 그 다음에 상기 레이저빔 조사기로부터 조사되는 제2레이저빔의 중심을 상기 절단면의 중심선으로부터 일측으로 치우친 편측 경로를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절단면의 일측에 챔퍼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용 투명 기판의 측면 가공 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utting surface finishing apparatus for a transparent substrate for a display, comprising: a laser beam oscillator for generating a laser beam; A laser beam irradiator for receiving a laser beam from the laser beam oscillator and irradiating the laser beam; A fixing table for fixing the transparent substrate cut to a size used in the display device; A moving unit moving at least one of the fixing table and the laser beam irradiator so that the laser beam oscillated from the laser beam irradiator moves along the cut surface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and moving the laser beam also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cut surface; The first laser beam irradiated from the laser beam irradiator is moved along the cut surface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to finish the cut surface and then the center of the second laser beam irradiated from the laser beam irradiator And a chamfer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cut surface while moving along a one-side path shifted to one side from the center line of the cut surface.

이 때, 표시 장치의 크기에 맞게 절단하는 공정에서 투명 기판의 절단면에 존재하게 되는 미세 요철을 제거하는 공정을 보다 짧은 시간에 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투명 기판의 절단면이 레이저빔에 노출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적 구성이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고정대는 상기 투명 기판을 사이에 두고 상기 투명 기판의 양면과 각각 접하면서 상기 투명 기판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된 제1고정부재와, 제2고정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투명 기판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상기 절단면이 상기 제1고정부재 및 상기 제2고정부재의 바깥으로 드러나도록 상기 투명 기판을 위치 고정시킨다. At this time, in order to make it possible to perform the step of removing fine concavities and convexities existing on the cut surface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in the cutting step corresponding to the size of the display device in a shorter time, the cut surface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is exposed to the laser beam A device configuration is required. In order to achieve this, the fixing table is provided with a first fixing member and a second fixing member, each of which has a size smaller than that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while being in contact with both surfaces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with the transparent substrate interposed therebetween, The transparent substrate is positioned so that the cut surface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first fixing member and the second fixing member.

이를 통해, 상기 고정대와 상기 레이저빔 조사기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상대 이동 및 회전하는 것에 의하여, 고정대에 투명 기판을 한번 셋팅하여 위치 고정된 상태로 투명 기판의 절단면을 한번에 레이저 다듬질하는 것이 가능해짐에 따라, 투명 기판의 다듬질 가공 공정을 보다 짧은 시간에 정확하게 행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As a result, at least one of the fixing table and the laser beam irradiator is relatively moved and rotated so that the cutting surface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can be laser-finished at once in a fixed position by setting the transparent substrate once on the fixing table , It is possible to obtain an advantageous effect that the finishing step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can be performed accurately in a shorter time.

이 때, 상기 제1고정부재와 상기 제2고정부재 중 어느 하나 이상에는 상기 제1고정부재와 상기 제2고정부재를 잡아당기는 전자석이 구비되어, 전자석의 자력에 의하여 제1고정부재와 제2고정부재가 서로 밀착하는 힘이 작용하게 되면서 그 사이에 투명 기판을 위치 고정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At this time, at least one of the first fixing member and the second fixing member is provided with an electromagnet which pulls the first fixing member and the second fixing member, so that the first fixing member and the second The fixing member may be configured to position and fix the transparent substrate therebetween while a force is applied to bring the fixing members into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그리고, 상기 이동부는, 상기 고정대를 직선 이동시키는 직선 이동 구동부와; 상기 고정대 및 상기 직선 이동 구동부를 회전시키는 회전 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상기 레이저빔 조사기는 위치 고정된 상태에서 레이저빔을 상기 투명 기판의 절단면에 조사하고, 상기 고정대에 고정된 상기 투명 기판은 상기 직선 이동 구동부와 상기 회전 구동부에 의해 직선 이동 및 회전되면서 가장자리의 상기 절단면이 다듬질되고 챔퍼를 가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moving unit may include: a linear movement driving unit for linearly moving the fixing table; A rotation driving unit for rotating the fixing table and the linear motion driving unit; Wherein the laser beam irradiator irradiates a laser beam onto a cut surface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while the laser beam irradiator is in a fixed position and the transparent substrate fixed to the fixing table is linearly moved and rotated by the linear movement drive unit and the rotation drive unit, The cutting surface of the edge is trimmed and the chamfer is machined.

그리고, 상기 제2레이저빔의 초점은 상기 절단면으로부터 5mm 내지 20mm만큼 이격된 상기 투명 기판 내에 위치한 상태로 상기 편측 경로를 따라 이동하면서 챔버를 상기 투명 기판에 가공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focus of the second laser beam is configured to move the chamber along the one-side path to the transparent substrate while being positioned within the transparent substrate spaced from the cut surface by 5 mm to 20 mm.

상기 이동부는 상기 레이저빔과 상기 투명 기판의 상대 속도가 10mm/sec 내지 20mm/sec의 속도로 이동하면서 투명 기판의 측면 가공을 행할 수 있다..The moving unit can perform the side processing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while moving the relative speed between the laser beam and the transparent substrate at a speed of 10 mm / sec to 20 mm / sec.

무엇보다도, 상기 제2레이저빔은 8㎛ 내지 15㎛의 파장 대역을 갖는 것으로 선택되어, 투명 기판의 측면에 균열을 야기하지 않으면서 깨끗하게 경사진 챔퍼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Above all, the second laser beam is selected to have a wavelength band of 8 占 퐉 to 15 占 퐉, so that a clean inclined chamfer can be formed without causing cracks on the side surface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동시에, 상기 제1레이저빔은 30W 내지 300W의 출력 강도로 상기 절단면에 조사되고, 상기 제2레이저빔은 20W 내지 70W의 출력 강도로 상기 절단면에 조사됨으로써, 투명 기판의 절단면에 미세 균열이 야기되지 않고 깨끗하게 강도가 높아지면서 경사진 챔퍼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At the same time, the first laser beam is irradiated on the cut surface with an output intensity of 30 W to 300 W, and the second laser beam is irradiated on the cut surface with an output intensity of 20 W to 70 W, thereby causing microcracks in the cut surface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It is possible to form a sloping chamfer while the strength is increased.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레이저빔이나 쏘(saw) 등을 이용하여 대형 기판을 표시 장치에 사용하는 투명 기판의 크기로 절단하는 과정에서, 절단면에 생성될 수 밖에 없는 미세 요철이 절단면에 수직 또는 높은 조사각으로 조사되는 레이저빔에 의해 제거하도록 구성되어, 레이저 조사 공정 하나만으로 절단면의 미세 요철을 짧은 시간 내에 완전히 제거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ocess of cutting a large substrate to a size of a transparent substrate used for a display device by using a laser beam, a saw, or the like, fine irregularities, So that it is possible to obtain an advantageous effect that the fine unevenness of the cut surface can be completely removed within a short time by only the laser irradiation process.

즉, 본 발명은 투명 기판의 다듬질 가공 공정을 짧은 시간 내에 간단히 마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종래의 그라인딩 방식과 달리 연마유 등을 공급함에 따라 투명 기판의 주변이 지저분해지는 문제점과, 그라인딩 공정 중에 연마유를 공급해야 하는 설비를 필요로 하고, 동시에 연삭 입자들과 연마유가 혼합되어 지저분해진 투명 기판을 세정하는 공정을 거쳐야 하는 여러 문제점을 일거에 해결한 잇점이 있다.Tha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nishing process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can be completed easily in a short time, thereby causing a problem that the periphery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becomes dirty due to supply of polishing oil or the like unlike the conventional grinding method, There is an advantage in solving various problems that it is necessary to perform a process of cleaning a dirty transparent substrate by mixing grinding particles and polishing oil at the same time.

무엇보다도, 본 발명은, 레이저빔을 투명 기판의 측면 중심선으로부터 이격된 편측 경로를 따라 이동시키고, 레이저빔의 초점을 투명 기판의 내부에 형성되도록 초점 높이를 조절하는 것에 의하여, 투명 기판의 측면 모서리를 따라 미세 균열을 발생시키지 않으면서 경사진 챔퍼를 일정한 형태로 정확하게 가공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Best Mode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transparent substrate by moving a laser beam along a single side path spaced from a side center line of a transparent substrate and adjusting a focus height so as to form a focal point of the laser beam inside the transparent substrate, It is possible to obtain an advantageous effect that the slant chamfer can be accurately machined into a certain shape without generating microcracks along the slant face.

이를 통해, 투명 기판의 측면 가공을 보다 짧은 시간 내에 높은 수율로 행할 수 있게 되므로, 디스플레이 장치에 사용되는 유리 등의 투명 기판을 보다 경제적으로 저렴하게 가공할 수 있는 잇점을 얻을 수 있다.As a result, side processing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can be performed at a high yield within a shorter time, and therefore, a transparent substrate such as glass used in a display device can be advantageously processed at a lower cost and at a lower cost.

한편, 표시 장치에 사용되는 투명 기판은 대체로 유리 기판으로 장착되는데, 특히 본 발명은 8㎛ 내지 15㎛의 파장 대역을 갖는 이산화탄소 레이저빔을 사용하여 투명 기판의 측면을 다듬질하고 챔퍼를 형성함으로써, 레이저빔의 초점 높이 및 경로 오차를 어느정도 수용하면서도 의도한 형태의 가공을 행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 transparent substrate used in a display device is generally mounted as a glass substrate.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by using a carbon dioxide laser beam having a wavelength band of 8 탆 to 15 탆 to finish a side surface of a transparent substrate and form a chamfer, It is possible to obtain an advantageous effect that the intended shape can be processed while accommodating the focus height and path error of the beam to some extent.

그리고, 본 발명은 투명 기판의 둘레에 배열되는 절단면이 모두 드러나도록 서로 분리되고 자력이 작용하는 제1고정부재와 제2고정부재의 사이에 투명 기판을 위치 고정시킨 상태로, 투명 기판의 절단면이 제1고정부재와 제2고정부재의 바깥에 노출시킨 상태로 투명 기판을 셋팅하도록 구성됨에 따라, 한번의 셋팅으로 투명 기판의 절단면을 레이저빔으로 조사하여 다듬질할 수 있게 되어, 다듬질 가공 공정이 보다 짧은 시간에 정확하게 행해질 수 있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 transparent substrate is fixed between a first fixing member and a second fixing member, which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so as to expose all the cut surfaces arranged around the transparent substrate and to which a magnetic force acts, The transparent substrate can be set in a state in which it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first fixing member and the second fixing member, so that the cutting surface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can be irradiated with the laser beam in one setting and finishing can be performed. It is possible to obtain an advantageous effect that can be accurately performed in a short time.

도1은 대형 기판으로부터 절단된 투명 기판의 형상을 도시한 도면,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용 투명 기판의 가공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도3은 도2의 기판 절단 공정이 행해지는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
도4는 도2의 절단면 다듬질 가공 공정이 행해지는 표시 장치용 투명 기판의 절단면 다듬질 가공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5는 도4의 평면도,
도6는 도4의 레이저빔과 기판의 배치 구조를 도시한 개략도,
도7은 도6의 'A'부분의 확대도,
도8은 도7의 절단면 다듬질 가공 공정이 행해진 표시 장치용 투명 기판에 대하여 경사진 챔퍼를 가공하는 구성을 도시한 확대 사시도,
도9는 도8에 의한 챔퍼 가공 공정에 의하여 경사진 챔퍼가 형성된 투명 기판의 단면도,
도10은 도2의 절단면 다듬질 가공 공정이 행해지는 다른 실시 형태의 표시 장치용 투명 기판의 절단면 다듬질 가공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
도11은 투명 기판의 절단면에 조사된 레이저빔에 의하여 잔류하는 미세 요철 층이 제거되는 원리를 도시한 도면,
도12a 내지 도12d는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용 투명 기판의 가공 이전과 이후의 절단면 촬영 사진,
도13은 투명 기판의 휨 강성 시험 장치의 촬영 사진,
도14a는 가공 이전의 투명 기판의 휨 강성 시험 결과를 도시한 그래프,
도14b는 가공 이전의 투명 기판의 휨 강성 시험 결과를 도시한 그래프,
도15는 도13a 및 도13b에 도시된 실험 결과의 비교표이다.
1 is a view showing the shape of a transparent substrate cut from a large substrate,
2 is a flowchart showing a method of processing a transparent substrate for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substrate cutting process of FIG. 2 is performed;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cutting plane finisher for a transparent substrate for a display device in which the cutting plane finishing process of Fig. 2 is performed; Fig.
Fig. 5 is a plan view of Fig. 4,
FIG. 6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laser beam and the substrate of FIG. 4,
FIG. 7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A' in FIG. 6,
8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for machining a sloped chamfer relative to the transparent substrate for a display device in which the cutting surface finishing step of Fig. 7 has been performed, Fig.
FIG. 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transparent substrate on which an inclined chamfer is formed by a chamfering process according to FIG. 8,
Fig. 10 is a sid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utting plane finishing apparatus for a transparent substrate for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n which the cutting plane finishing step of Fig. 2 is performed; Fig.
11 is a view showing a principle of removing a fine uneven layer remaining by a laser beam irradiated on a cut surface of a transparent substrate,
12A to 12D are sectional photographs of a transparent substrate for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photograph of a bending rigidity test apparatus of a transparent substrate,
14A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the flexural rigidity test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before machining,
14B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the flexural rigidity test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before machining,
15 is a comparison chart of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n in Figs. 13A and 13B.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술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to avoid obscuring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용 투명 기판의 가공 방법(S100)은, 액정 표시 장치나 오엘이디 장치 등의 표시 장치에 사용되는 크기의 투명 기판(S)으로 대형 기판(So)을 절단하는 기판 절단 단계(S110)와, 기판 절단 단계(S110)에서 표시 장치에 사용되는 크기로 절단된 투명 기판(S)의 절단면(12)의 중심 경로(Pc)를 따라 제1레이저빔(L1)을 조사하면서 이동(99)하여 투명 기판(S)의 절단면(12)을 다듬질하는 절단면 다듬질단계(S120)와, 투명 기판(S)의 절단면(12)의 편측 경로(Pe)를 따라 제2레이저빔(L2)을 조사하면서 이동(99)하여 투명 기판(S)의 절단면(12, 또는 측면)에 경사진 챔퍼(Cf)를 가공하는 챔퍼 형성 단계(S130)로 이루어진다. A method (S100) of processing a transparent substrate for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cutting a large substrate (So) with a transparent substrate (S) of a size used in a display device such as a liquid crystal display A first laser beam L1 is irradiated along a center path Pc of a cut surface 12 of a transparent substrate S cut to a size used in a display device in a substrate cutting step S110, (S120) for finishing the cut surface (12)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S) while moving (99) while irradiating the second laser And a chamfer forming step S130 for moving the beam L2 while irradiating the beam L2 to process the inclined chamfer Cf on the cut surface 12 or the side surface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S.

이 때, 레이저빔 조사기(130)로부터 조사되는 레이저빔(L)은 절단면 다듬질 단계(S120)에서는 제1레이저빔(L1)을 조사하고, 챔퍼 형성 단계(S130)에서는 초점(F) 높이가 다른 제2레이저빔(L2)을 조사한다.
At this time, the laser beam L irradiated from the laser beam irradiator 130 irradiates the first laser beam L1 in the cut surface finishing step S120, and the laser beam L irradiates the first laser beam L1 in the chamfer forming step S130, And irradiates the second laser beam L2.

상기 기판 절단 단계(S110)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형 투명 기판(So)을 거치시킨 상태에서, 레이저빔 조사기(110)로부터 레이저빔(L')을 대형 투명 기판(So)의 판면에 미리 정해진 가상선(21)을 따라 조사하여, 대형 투명 기판(So)을 표시 장치에 사용할 수 있는 크기의 투명 기판(S)으로 분할 절단한다. 3, the laser beam L 'is irradiated from the laser beam irradiator 110 to the surface of the large transparent substrate So (see FIG. 3) Is irradiated along a predetermined imaginary line (21), and the large transparent substrate (So) is divided and cut into a transparent substrate (S) of a size usable for a display device.

상기 레이저빔 조사기(110)는 빔 발진기(118)로부터 생성된 레이저빔을 광섬유(111)를 통해 전송받아 대형 투명 기판(So)의 가상선에 수직으로 조사하여 절단함으로써, 사용하고자 하는 표시 장치에 적합한 크기의 다수의 투명 기판(S)으로 절단된다. 이와 같이 절단된 투명 기판(S)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단면(12)에 미세 요철이 잔류한다. The laser beam irradiator 110 receives the laser beam generated from the beam oscillator 118 through the optical fiber 111 and vertically irradiates the imaginary line of the large transparent substrate So and cuts the laser beam, And cut into a plurality of transparent substrates S of appropriate sizes. As shown in Fig. 1, fine unevenness remains on the cut surface 12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S thus cut.

여기서, 투명 기판(S)은 플라스틱 소재로 사용될 수 있지만, 디스플레이 장치에 사용되는 유리 소재의 유리 기판을 주로 지칭한다. 그리고, 유리 기판은 강화층이 형성되지 않은 일반적인 유리 기판(예를 들어, 산업계에서 Soda Lime, IOX-FS라는 상품명으로 불리는 기판)과 강화 유리 기판(예를 들어, 산업계에서 Gorilla2 20㎛, Dragon 20㎛라는 상품명으로 불리는 기판)을 모두 포함한다. Here, the transparent substrate S can be used as a plastic material, but mainly refers to a glass substrate of a glass material used in a display device. The glass substrate may be a general glass substrate on which a reinforcing layer is not formed (for example, a substrate called Soda Lime, a trade name of IOX-FS in the industry) and a tempered glass substrate (for example, Gorilla2 20 m, Dragon 20 Lt; RTI ID = 0.0 > um) < / RTI >

일반적인 또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투명'이라는 용어는 '그 자체로 빛을 전부 투과할 수 있는 재질로 만들어진 기판'에 국한하지 않으며, '빛을 일부만 투과하는 재질로 만들어진 반투명 소재의 기판'을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하기로 한다. 따라서, 투명 기판 자체로는 빛을 대부분 투과시키지 않더라도, 투명 기판 너머에 배열된 액정 소자 등에 의한 빛을 투명 기판을 통해 확인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기판을 모두 포함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절단면'은 투명 기판의 둘레를 감싸는 측면으로 정의하기로 한다. In general, the term 'transparent' a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claims is not limited to 'a substrate made of a material that can transmit light entirely by itself,' and a translucent material made of a material that transmits only a part of light Quot; substrate ". Therefore, the transparent substrate itself includes all types of substrates that can confirm light from a liquid crystal device arranged over a transparent substrate through a transparent substrate even though most of the light is not transmitted through the transparent substrate. The 'cut surface'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is defined as a side surface surrounding the transparent substrate.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르면, 기판 절단 단계(S110)는 대형 투명 기판(So)의 판면에 레이저빔(L')을 조사하는 대신, 투명 기판의 절삭하는 쏘(saw, 미도시)에 의하여 절단하는 것에 의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bstrate cutting step S110 may be performed by cutting a transparent substrate (not shown), instead of irradiating the laser beam L 'onto the surface of the large transparent substrate So And then cutting it.

한편, 상기 레이저빔 조사기(110)는 투명 기판(S)의 측면을 가공하는 레이저빔 조사기(130)와 동일한 것일 수도 있지만, 디스플레이 장치에 사용될 수 있는 크기로 투명 기판(S)을 절단하는 공정과 투명 기판(S)의 측면 절단면을 가공하는 공정이 별개로 이루어진다면, 절단용 레이저빔 조사기(110)와 측면 가공용 레이저빔 조사기(130)는 서로 다르게 구성될 수도 있다.
Although the laser beam irradiator 110 may be the same as the laser beam irradiator 130 for processing the side surface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S, the process of cutting the transparent substrate S to a size that can be used for a display device The cutting laser beam irradiator 110 and the side processing laser beam irradiator 130 may be configured differently if the process of processing the side cut surface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S is performed separately.

상기 절단면 다듬질 단계(S120)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장치에 사용될 수 있는 크기로 절단되거나 성형된 투명 기판(S)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절단면(12)의 중심 경로(Pc)를 따라 제1레이저빔(L1)을 조사하면서 y축 방향으로 이동(99)하는 것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제1레이저빔(L1)의 중심(Lc)이 이동하는 중심 경로(Pc)는 절단면(12)의 중심선(12c)을 따라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투명 기판 두께(wo)의 1/6두께(w1)에 해당하는 편차를 가진 범위(도7에서 빗금친 부분) 내에서 형성되더라도 무방하다. The cut surface finishing step S120 is a step of finishing the cut surface 12 along the center path Pc of the cut surface 12 positioned at the edge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S cut or molded to a size usable in the display device, (99) while irradiating the laser beam (L1). The center path Pc of the center Lc of the first laser beam L1 is preferably formed along the center line 12c of the cut surface 12, It may be formed within a range (a hatched portion in Fig. 7) having a deviation corresponding to the thickness w1.

투명 기판(S)의 절단면(12)에 잔류하는 미세 요철이 존재하는 층을 제거하는 공정은, 절단면(12)에 수직인 방향으로 제1레이저빔(L1)을 조사하는 레이저빔 조사기(130)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투명 기판(S)의 절단면에 제1레이저빔(L1)을 조사하면서, 투명 기판(S)을 제1레이저빔(L1)에 대하여 이동(12d)시키면, 투명 기판(S)의 절단면(12)에 조사되는 레이저빔(L1)의 에너지가 분포되면서, 절단면(12)의 표면에 잔류하는 미세 요철 층(12x)을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거하여 말끔한 표면(12o)이 드러나도록 하여 투명 기판(S)의 강도를 보강한다. The step of removing the layer having fine irregularities remaining on the cut surface 12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S includes a laser beam irradiator 130 for irradiating the first laser beam L1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cut surface 12, . ≪ / RTI > As described above, when the transparent substrate S is moved (12d) relative to the first laser beam L1 while irradiating the cut surface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S with the first laser beam L1, The fine concavo-convex layer 12x remaining on the surface of the cut surface 12 is removed as shown in Fig. 11 while the energy of the laser beam L1 irradiated to the cut surface 12 is distributed, so that a clean surface 12o is exposed So as to reinforce the strength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S).

다시 말하면, 일반적으로 스마트 폰 등과 같은 모바일 표시 장치는 장시간 동안 사용자에 의해 사용되면서 낙하에 의한 충격이나 외력 등을 받게 되는데, 충격이나 외력이 투명 기판(S)에 작용하면, 투명 기판(S)의 제작 당시에 잔류하는 가장자리 측면(12)의 미세 요철에서 균열이 발생되면서 성장하여, 투명 기판(S)의 파손을 유발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투명 기판(S)의 둘레를 감싸는 절단면(12)에 레이저빔(L)을 조사하여 미세 요철이 존재하는 미세 요철층(12x)을 제거하고 말끔한 표면(12o)이 드러나도록 함으로써, 투명 기판(S)에 외력이나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균열이 가장자리의 절단면(12)에서 생성되기 어려운 환경이 되므로, 보다 큰 충격이나 외력에 파손되지 않고 높은 저항 능력을 갖게 된다. In other words, in general, a mobile display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is used by a user for a long period of time and receives a shock or an external force due to falling. When a shock or an external force acts on the transparent substrate S, Cracks are generated in the fine concavities and convexities of the remaining edge side surfaces 12 at the time of fabrication and grow to cause breakage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S. [ However, as described above, the laser beam L is irradiated to the cut surface 12 surrounding the periphery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S so that the fine uneven layer 12x in which the fine irregularities are present is removed, and a clear surface 12o is exposed Even if an external force or an impact is applied to the transparent substrate S, an environment in which cracks are hard to be generated at the cut surface 12 of the edge becomes an environment in which resistance is high without being damaged by a larger impact or an external force.

한편, 투명 기판(S)의 절단면(12)에 레이저빔(L)을 조사하는 레이저빔 조사기(130)는 절단면(12)에 수직인 방향(z축 방향)으로 레이저빔(L)을 조사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단면(12)에 수직인 방향에 대하여 y축 방향으로 약간의 경사(φ)를 갖거나 x축 방향으로 약간의 경사(θ)를 이룬 레이저빔 조사기(130', 130")로부터 레이저빔(L)이 절단면(12)의 중심 경로(Pc)상에 조사한 상태로, 레이저빔 조사기를 이동(99)시키면서 절단면(12)의 미세 요철층(12x)을 제거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경사(φ, θ)는 z축 방향에 대하여 30도 이하인 것이 좋다. On the other hand, the laser beam irradiator 130 for irradiating the cut surface 12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S with the laser beam L irradiates the laser beam L in the direction (z-axis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cut surface 12 However, as shown in FIG. 6, a laser beam irradiator having a slight inclination (?) In the y-axis direction or a slight inclination (?) In the x-axis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cut surface Convex layer 12x of the cut surface 12 while moving the laser beam irradiator 99 in a state in which the laser beam L is irradiated on the center path Pc of the cut surface 12 from the laser beam irradiator 130 ' It is preferable that the inclination (?,?) Is not more than 3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z-axis direction.

도면 중 미설명 부호인 131, 131', 131"은 레이저빔 조사기(130, 130', 130")에 레이저빔을 전송하는 광섬유이다.
Reference numerals 131, 131 ', and 131' denote optical fibers that transmit laser beams to the laser beam irradiators 130, 130 ', and 130'.

여기서, 투명 기판(S)이 유리 소재인 경우에는, 레이저빔 조사기(130, 130', 130")로부터 조사되는 제1레이저빔(L1)은 유리 재질에 높은 흡수율을 갖는 이산화탄소(CO2) 레이저빔이 사용된다. 그리고,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이저빔 조사기(130, 130', 130")로부터 조사되는 제1레이저빔(L1)의 초점(F)은 기판(S)의 측면(또는 절단면, 12)으로부터 상측(z축 방향)으로 5mm 내지 20mm정도의 높이(H1)만큼 이격된 기판(S)의 바깥에 위치하게 조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in, the transparent substrate (S) is a glass material, a case, a laser beam emitter (130, 130 ', 130 ") of the first laser beam (L1) emitted from the carbon dioxide having a high absorption in glass material (CO 2) laser 7, the focal point F of the first laser beam L1 emitted from the laser beam irradiators 130, 130 ', and 130 " Or from the cut surface 12 to the outside of the substrate S spaced apart from the substrate S by a height H1 of about 5 mm to 20 mm from the top (z-axis direction).

이는, 제1레이저빔(L1)의 초점(F)이 기판(S)의 절단면(12) 하측(제1레이저빔이 수직으로 조사되는 경우에는 기판(S)의 내부)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제1레이저빔(L1)의 에너지 밀도가 기판(S)의 측면에 국부적으로 집중되면서 미세 요철층(12x)을 제거하지 못하면서 절단면을 손상시키는 문제점을 야기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반하여, 제1레이저빔(L1)의 초점(F)이 기판(S)의 절단면(12)의 상측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초점(F)을 지난 제1레이저빔(L)의 에너지 분포가 균일해지면서 미세 요철층(12x)을 일정하게 제거하는 데 유리해지기 때문이다. This is because when the focal point F of the first laser beam L1 is positioned below the cut surface 12 of the substrate S (the inside of the substrate S when the first laser beam is vertically irradiated) This is because the energy density of the laser beam L1 is locally concentrat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substrate S, and the fine uneven layer 12x can not be removed, thereby causing a problem of damaging the cut surface. On the other hand, when the focal point F of the first laser beam L1 is located above the cut surface 12 of the substrate S, the energy distribution of the first laser beam L passing through the focal point F is This is because it is advantageous to uniformly remove the fine uneven layer 12x.

이를 통해, 투명 기판(S)의 미세 요철층(12x)을 제거하는 효율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저렴하게 절단면 다듬질 설비를 구성할 수 있다. As a result, not only the efficiency of removing the fine concavo-convex layer 12x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S can be increased, but also the cutting surface finishing apparatus can be constructed at low cost.

이와 같이, 투명 기판(S)의 절단면(12)에 조사되는 제1레이저빔(L1)은 초점(F)이 절단면(12)의 상측에 형성됨에 따라, 제1레이저빔(L1)이 절단면(12)에서는 빔 중심(Lc)을 중심으로 소정의 면적(Lr)을 형성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first laser beam L1 irradiating the cut surface 12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S is formed so that the first laser beam L1 is incident on the cut surface 12 12 form a predetermined area Lr around the beam center Lc.

한편,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레이저 빔의 초점이 절단면 또는 측면의 상측에서 형성된다"는 기재 및 이와 유사한 기재 사항은 "초점이 레이저빔 조사부로부터 투명 기판(S)의 절단면에 비하여 보다 가깝게 위치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따라서, "레이저 빔의 초점이 절단면 또는 측면의 상측에서 형성된다"는 기재 및 이와 유사한 기재 사항은 반드시 연직 방향을 기준으로 초점이 투명 기판(S)의 절단면의 물리적인 윗쪽에 위치하는 것으로 국한되지 않는다.On the other hand, the description of the substrate and the similar description that "the focal point of the laser beam is formed on the cut surface or the side of the side"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is such that "the focal point is smaller than the cut surface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S) It means that it is located close to ". Therefore, the description of "the focus of the laser beam is formed on the cut surface or the side of the side surface"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fact that the focus is located physically above the cut surface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S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direction Do not.

이와 유사하게,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레이저 빔의 초점이 절단면 또는 측면의 하측에서 형성된다"는 기재 및 이와 유사한 기재 사항은 "초점이 레이저빔 조사부로부터 투명 기판(S)의 절단면에 비하여 보다 멀게 위치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따라서, "레이저 빔의 초점이 절단면 또는 측면의 하측에서 형성된다"는 기재 및 이와 유사한 기재 사항은 반드시 연직 방향을 기준으로 초점이 투명 기판(S)의 절단면의 물리적인 아랫쪽에 위치하는 것으로 국한되지 않는다.Similarly, the description and the similar description of "the focal point of the laser beam is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cut surface or the side"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is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focal point is "on the cut surface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S It is located farther away than ". Therefore, the description of the substrate and the similar description in which "the focus of the laser beam is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cut surface or the side" is not limited to the fact that the focus is located physically below the cut surface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S Do not.

그리고, 레이저빔 조사기(130, 130', 130")로부터의 레이저빔(L)은 30W 내지 300W의 출력으로 투명 기판(S)의 절단면(12)에 조사된다. The laser beam L from the laser beam irradiators 130, 130 ', and 130 "is irradiated to the cut surface 12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S at an output of 30 W to 300 W. [

레이저빔(L)의 출력이 30W보다 작은 경우에는 강화 유리 기판에 대해서는 절단면(12)의 미세 요철을 완전히 제거하기가 어렵고, 레이저빔(L)의 출력이 300W보다 높은 경우에는 레이저빔(L)을 생성하는 비용이 높아지기도 할 뿐만 아니라, 과도한 에너지가 국부적으로 집중되어 절단면의 손상을 야기할 수 있으므로, 레이저빔(L)의 출력은 30W 내지 300W의 사이로 유지하는 것이 좋다. 다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르면, 현존하는 강화 유리보다 높은 강도의 투명 기판이 제작되거나, 플라스틱 소재의 투명 기판에 대해서는 300W보다 높거나 30W보다 낮은 출력의 레이저빔을 사용할 수도 있다.When the output of the laser beam L is less than 30 W, it is difficult to completely remove the fine unevenness of the cut surface 12 with respect to the tempered glass substrate. When the output of the laser beam L is higher than 300 W, The output of the laser beam L may be maintained between 30W and 300W, since excessive energy may be locally concentrated to cause damage to the cut surface. Howev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transparent substrate having higher strength than that of existing tempered glass may be manufactured, or a laser beam having an output higher than 300 W or lower than 30 W may be used for a plastic transparent substrate.

한편, 본 발명은 이산화탄소 레이저빔의 사용에 국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이산화탄소 레이저빔 이외에 공지된 다른 종류의 레이저빔을 투명 기판(S)의 측면 다듬질 가공 공정에 사용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use of the carbon dioxide laser beam, an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lso possible to use other kinds of laser beams known in addition to the carbon dioxide laser beam in the side finishing process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S have.

상기 챔퍼 형성 단계(S130)는, 레이저빔 조사기(130, 130', 130")로부터 조사되던 제1레이저빔(L1)의 초점 높이와 조사 위치 등을 변경하여 제2레이저빔(L2)을 투명 기판(S)의 측면(12)의 편측 경로(Pe)를 따라 조사한 상태로 이동(99)하면서, 투명 기판(S)의 측면(12, 또는 절단면)에 경사진 챔퍼(Cf)를 가공한다.The chamfer forming step S130 may change the focal height and irradiation position of the first laser beam L1 irradiated from the laser beam irradiators 130, 130 ', and 130 " to change the second laser beam L2 into a transparent An inclined chamfer Cf is formed on the side surface 12 (or the cut surface)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S while being moved (99) along the one side path Pe of the side surface 12 of the substrate S. [

이를 위하여, 레이저빔 조사기(130, 130', 130")의 위치를 130x로 표시된 방향으로 이동시켜, 레이저빔 조사기로부터 조사되는 제2레이저빔(L2)이 x축 방향으로 이동된 편측 경로(Pe) 상에 도달하도록 한다. 그리고, 레이저빔 조사기(130, 130', 130")로부터 조사되는 제2레이저빔(L2)에 대하여 초점(F)의 위치를 5mm 내지 20mm의 거리(H2)만큼 측면(12)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조절한다. 이에 따라, 제2레이저빔(L2)은 빔 중심(Lc)이 편측 경로(Pe) 상에 위치한 상태이고, 빔 중심(Lc)을 기준으로 소정의 면적(Lr)만큼 투명 기판(S)의 측면(12) 상에 조사된 상태가 된다. 이 상태로 제2레이저빔(L2)이 편측 경로(Pe)를 따라 y방향으로 이동(99)하면, 수직으로 조사되는 제2레이저빔(L2)에 의해 투명 기판(S)의 측면(12)이 조사되는 각으로부터 대략 45도로 전단력이 작용하면서,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 기판(S)의 모서리의 일부가 경사(γ)지게 분리되어 챔퍼(Cf)가 형성되는 가공이 행해지게 된다. To this end, the position of the laser beam irradiator 130, 130 ', 130 "is moved in the direction indicated by 130x so that the second laser beam L2 emitted from the laser beam irradiator is moved in the x- The position of the focus F with respect to the second laser beam L2 irradiated from the laser beam irradiators 130, 130 ', and 130 "is shifted by a distance H2 of 5 mm to 20 mm, (12). The second laser beam L2 has a beam center Lc positioned on the unilateral path Pe and is located on the side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S by a predetermined area Lr with respect to the beam center Lc. (12). When the second laser beam L2 is moved in the y direction along the one side path Pe in this state, the side surface 12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S is irradiated with the second laser beam L2, A part of the edge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S is separated in an inclined (?) Manner as shown in Fig. 9, so that the chamfer Cf is formed.

여기서, 제2레이저빔(L2)이 y축 방향으로 기울어지는 경사각(도6의 θ)이 커지면, 제2레이저빔(L2)에 의하여 형성되는 챔퍼(Cf)의 경사각(도9의 γ)이 작아지게 된다. 이를 통해, 챔퍼(Cf)의 경사각을 조절할 수 있다.6) of the chamfer Cf formed by the second laser beam L2 is larger than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second laser beam L2 (? In Fig. 9) Lt; / RTI > Thus,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chamfer Cf can be adjusted.

그리고, 제2레이저빔(L2)의 초점(F)의 위치는 투명 기판(S)의 측면(12)에 비하여 하측에 위치하므로, 제2레이저빔(L2)이 측면(12)에 수직으로 조사되는 경우에는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레이저빔(L2)의 초점(F)의 위치는 투명 기판(S)의 내부에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2레이저빔(L2)의 초점(F)의 위치가 측면(12)의 하측에 위치함으로써, 제2레이저빔(L2)이 편측 경로(Pe)상에 조사하면, 제2레이저빔(L2)의 중심(Lc)을 기준으로 조사 면적(Lr)에 이르는 반경이 멀어질수록 점점 낮아지는 가우스 분포의 에너지 밀도가 측면(12)의 편측 경로(Pe)에 도달하게 되므로,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레이저빔(L2)이 조사되고 있는 편측 경로(Pe)까지의 거리에 반비례하여 챔퍼(Cf)의 폭(L)이 정해진다. Since the position of the focus F of the second laser beam L2 is positioned lower than the side face 12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S, the second laser beam L2 is irradiated perpendicularly to the side face 12 The position of the focus F of the second laser beam L2 is located inside the transparent substrate S as shown in FIG. When the position of the focus F of the second laser beam L2 is positioned below the side face 12 as described above and the second laser beam L2 is irradiated on the one side path Pe, The energy density of the Gaussian distribution gradually decreases as the radius reaching the irradiation area Lr is increased with reference to the center Lc of the lens L2 as shown in Fig. The width L of the chamfer Cf is determined in inverse proportion to the distance to the one side path Pe on which the second laser beam L2 is irradiated.

이 때, 제2레이저빔(L2)의 초점(F)의 위치가 측면(12)에 비하여 5mm보다 작은 거리만큼 떨어진 경우에는, 제2레이저빔(L2)의 출력 강도를 조절하는 것에 의하여 측면(12)에 입히는 손상의 정도를 줄일 수 있지만, 제2레이저빔(L2)에 의하여 전달되는 에너지 밀도가 매우 높아지므로, 측면(12)에 손상을 입힐 가능성이 높아지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제2레이저빔(L2)의 초점의 위치가 측면(12)에 비하여 20mm보다 멀리 떨어진 경우에는, 제2레이저빔(L2)이 측면(12)에 조사되는 면적(Lr)이 과도하게 커질 뿐만 아니라, 주변부에 비하여 중심부에서 보다 높은 에너지 밀도를 갖는 분포로 제2레이저빔(L2)이 측면(12)에 도달하게 되므로, 측면(12)의 국부적인 손상 가능성이 높아지는 문제가 또한 발생된다. At this time, when the position of the focus F of the second laser beam L2 is separated from the side face 12 by a distance smaller than 5 mm, the output intensity of the second laser beam L2 is adjusted to the side 12, the energy density transmitted by the second laser beam L2 becomes very high, which increases the possibility of damaging the side surface 12, which is not preferable. When the focal point of the second laser beam L2 is farther than 20 mm from the side face 12, the area Lr irradiated with the second laser beam L2 on the side face 12 becomes excessively large In addition, since the second laser beam L2 reaches the side surface 12 with a distribution having a higher energy density at the central portion as compared with the peripheral portion, there is also a problem that the possibility of local damage to the side surface 12 is increased.

따라서, 제2레이저빔(L2)의 초점(F)의 위치가 측면(12)에 비하여 5mm 내지 20mm의 사잇 영역만큼 이격된 경우에 일반 유리 소재나 강화막 코팅이 되어 있는 강화 유리 소재로 형성된 투명 기판(S)의 측면(12)에 경사진 챔퍼(Cf)를 낮은 불량률로 가공할 수 있게 된다. Therefore, when the position of the focal point F of the second laser beam L2 is spaced from the side surface 12 by a distance of 5 mm to 20 mm as compared with the side surface 12, a transparent glass material or a transparent glass material It is possible to process the inclined chamfer Cf in the side surface 12 of the substrate S with a low defect rate.

한편, 제2레이저빔(L2)이 조사되는 편측 경로(Pe)는 투명 기판(S)의 중심선(12c)으로부터 전체 두께(wo)의 1/7배에 해당하는 두께(w2)만큼 이격된 위치의 바깥에서 y축 경로 방향으로 정해질 수 있다. 그리고, 편측 경로(Pe)의 외측 끝단은 투명 기판(S)의 모서리에 위치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제2레이저빔(L2)으로부터 조사되는 제2레이저빔(L2)에 의하여 측면(12)으로부터 경사진 챔퍼(Cf)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On the other hand, the one-side path Pe irradiated with the second laser beam L2 is locat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center line 12c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S by a thickness w2 corresponding to 1/7 of the total thickness wo Axis direction from the outside of the y-axis. The outer end of the one side path Pe may be located at the edge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S. This makes it possible to form a chamfer Cf inclined from the side surface 12 by the second laser beam L2 emitted from the second laser beam L2.

또한, 투명 기판(S)의 모서리에 경사진 챔퍼(Cf)를 가공하는 제2레이저빔(L2)은 20W 내지 70W의 출력 강도로 투명 기판(S)의 측면(12)에 조사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다. 제2레이저빔(L2)의 출력강도가 20W보다 낮은 경우에는 유리 소재의 투명 기판(S)의 측면(12)에 스크래치와 같은 흔적이 남을 수 있으며, 제2레이저빔(L2)의 출력강도가 70W보다 큰 경우에는 투명 기판(S)의 측면(12)이 밀리면서 깨지는 미세 균열이 남는 불량이 야기되기 때문이다. It is most effective that the second laser beam L2 for processing the inclined chamfer Cf at the edge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S is irradiated on the side surface 12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S with an output intensity of 20 W to 70 W to be. If the output intensity of the second laser beam L2 is lower than 20 W, a mark such as a scratch may remain on the side surface 12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S of the glass material and the output intensity of the second laser beam L2 may be And when it is larger than 70 W, the side surface 12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S is pushed to cause defective micro cracks to be broken.

한편, 투명 기판(S)이 유리 소재로 형성되는 경우에, 제2레이저빔(L2)은 8㎛ 내지 15㎛의 파장 대역을 갖는 레이저빔(예를 들어, 적외선 레이저, 이산화탄소 레이저)으로 선택될 수 있다. 이는, 8㎛ 내지 15㎛의 파장 대역에서는 유리 소재에 대한 레이저 빔의 에너지 흡수율이 약 70%이상이므로, 조사되는 제2레이저빔(L2)의 에너지를 이용하여 유리 소재의 투명 기판(S)에 대하여 측면(12)의 가공을 보다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기 때문이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transparent substrate S is formed of a glass material, the second laser beam L2 is selected by a laser beam (for example, an infrared laser, a carbon dioxide laser) having a wavelength band of 8 mu m to 15 mu m . This is because the energy absorption rate of the laser beam with respect to the glass material is about 70% or more in the wavelength band of 8 탆 to 15 탆, and the energy of the second laser beam L2 to be irradiated is used for the transparent substrate S This is because the side surface 12 can be more efficiently machined.

투명 기판(S)이 유리 소재로 형성되는 경우에, 제2레이저빔(L2)은 150nm 내지 350nm의 파장 대역을 갖는 레이저빔(예를 들어, 자외선 레이저)으로 선택될 수 있다. 이 파장 대역에서는 유리 소재에 대한 레이저 빔의 에너지 흡수율이 95%이상이므로 에너지 효율을 높일 수 있다. 그러나, 150nm 내지 350nm의 파장 대역을 갖는 레이저빔이 매우 고가이어서 양산성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에너지 흡수율이 높으므로, 레이저 빔의 초점 높이나 중심선으로부터 이격되는 위치 등에서 약간의 오차가 발생되더라도 투명 유리 기판의 측면 가공에 불량이 발생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When the transparent substrate S is formed of a glass material, the second laser beam L2 may be selected by a laser beam (for example, ultraviolet laser) having a wavelength band of 150 nm to 350 nm. In this wavelength band, since the energy absorption rate of the laser beam to the glass material is 95% or more, the energy efficiency can be increased. However, since the laser beam having a wavelength band of 150 nm to 350 nm is very expensive, not only the mass productivity is lowered but also the energy absorption rate is high, even if a slight error occurs in the position of the laser beam,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defects are generated in the side processing of the substrate.

따라서, 저렴하면서도 작업자의 숙련도에 무관하게 높은 수율로 유리 투명 기판의 측면 가공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제2레이저빔(L2)은 8㎛ 내지 15㎛의 파장 대역을 갖는 레이저빔으로 선택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Therefore, in order to enable the side processing of the glass transparent substrate to be performed at a low yield and a high yield irrespective of the skill of the operator, the second laser beam L2 is selected as a laser beam having a wavelength band of 8 to 15 m desirable.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투명 기판의 측면 가공 방법(S100)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형태와 구성에 따라 투명 기판(S)의 측면(12)의 일측 모서리에만 경사진 챔퍼(Cf)를 형성할 수도 있지만,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 기판(S)의 측면(12)의 양측 모서리에 모두 챔퍼(Cf)를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side surface processing method (S100)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orm a chamfer (Cf) inclined only at one side edge of the side surface (12)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S) The chamfer Cf may be formed on both side edges of the side surface 12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S as shown in Fig.

이하, 전술한 가공 방법(S100)을 이용한 표시 장치용 투명 기판(S)의 측면 가공 장치(100)의 구성을 상술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side surface processing apparatus 100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S for a display device using the above-described processing method (S1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 기판의 측면 가공 장치(100)는, 레이저빔을 발생시키는 레이저빔 발진기(120)와, 레이저빔 발진기(120)로부터 전송받아 레이저빔(L)을 조사하는 레이저빔 조사기(130)와, 표시 장치에 사용하는 크기로 절단된 투명 기판(S)을 고정하여 투명 기판(S)과 함께 이동하는 고정대와, 투명 기판(S)을 고정하고 있는 고정대를 직선(140d) 및 회전(360) 이동시키는 이동부(160, 170)와, 고정대의 제2고정부재(150)를 착탈시키는 착탈 아암(180)으로 구성된다. A side surface processing apparatus 100 for a transparent substr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aser beam oscillator 120 for generating a laser beam and a laser beam transmission unit 120 for receiving the laser beam L from the laser beam oscillator 120, A beam irradiator 130 and a fixing table that moves together with the transparent substrate S by fixing the transparent substrate S cut to a size used for a display device and a fixing table that fixes the transparent substrate S are disposed on a straight line 140d And a detachable arm 180 for detaching and attaching the second fixing member 150 of the fixing table.

상기 레이저빔 발진기(120)는 8㎛ 내지 15㎛의 파장 대역을 갖는 이산화탄소 레이저빔을 생성하여, 광섬유(131)를 통해 레이저빔 조사기(130)로 전송한다. The laser beam oscillator 120 generates a carbon dioxide laser beam having a wavelength band of 8 탆 to 15 탆 and transmits the carbon dioxide laser beam to the laser beam irradiator 130 through the optical fiber 131.

레이저빔 조사기(130)는 광섬유(131)를 통해 전송된 레이저빔을 투명 기판(S)의 측면(12)에 조사하여, 투명 기판(S)의 측면에 잔류하는 미세 요철층(도11의 12x)을 제거하거나 투명 기판(S)의 측면 모서리를 따라 챔퍼(Cf)를 면취 가공한다. 이를 위하여, 레이저빔 조사기(130)는 광학계를 교체하거나 위치 조절하는 것에 의하여 레이저 빔(L1, L2; L)의 초점 높이를 측면(12)의 상측과 하측에 위치하도록 조절할 수 있게 구성된다. The laser beam irradiator 130 irradiates the laser beam transmitted through the optical fiber 131 onto the side surface 12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S to form a fine concave and convex layer on the side surface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S Or chamfering the chamfer Cf along the side edge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S. To this end, the laser beam irradiator 130 is configured to adjust the focal heights of the laser beams L1, L2 (L) to be positioned above and below the side surface 12 by replacing or positioning the optical system.

또한, 레이저빔 조사기(130)는, x축 방향(도4의 130x)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거나, y축을 기준으로 미세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투명 기판(S)의 측면 다듬질 공정(S120)을 행할 경우에는 투명 기판(S)의 중심선(12c)을 따르는 중심 경로(Pc)로 제1레이저빔(L1)을 조사하고, 투명 기판(S)의 챔퍼 형성 공정(S130)을 행할 경우에 투명 기판(S)의 중심선(12c)으로부터 이격된 편측 경로(Pe)로 제2레이저빔(L2)을 조사하도록 조정된다. The laser beam irradiator 130 is provided so as to be movable in the x-axis direction (130x in Fig. 4) or finely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y-axis to perform the side-finishing step S120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S The first laser beam L1 is irradiated to the center path Pc along the center line 12c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S and the chamfer forming step S130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S is performed, Side path Pe separated from the center line 12c of the laser beam S by the first laser beam L2.

이를 통해, 하나의 장비로도 투명 기판(S)은 대형 기판을 레이저빔이나 쏘(saw)에 의하여 절단되어 제작되는 과정에서 투명 기판(S)의 측면에 발생되는 미세한 요철층(12x)을 제1레이저빔(L1)을 조사하여 제거하고, 디스플레이 장치에 조립 사용될 수 있도록 투명 기판(S)의 측면 모서리에 경사진 챔퍼(Cf)를 균열없이 정확한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투명 기판(S)의 절단면인 측면(12)에 발생되는 미세 요철층을 제거하여 높은 강성을 갖게 되며, 동시에 균열 없이 챔퍼(Cf)를 형성하여 다양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할 수 있으면서도 충분한 내구성을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게 된다. As a result, the transparent substrate S is cut by a laser beam or a saw with a single device, and the fine uneven layer 12x generat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S is removed The laser beam L1 is irradiated and removed, and an inclined chamfer Cf can be formed in a precise shape without cracking at the side edge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S so as to be used in a display device. Accordingly, the fine unevenness layer generated on the side surface 12 as the cut surface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S is removed to have high rigidity. At the same time, the chamfer Cf can be formed without cracking to be applicable to various display devices, Can be stably secured.

상기 고정대는 투명 기판(S)을 고정시킨 상태로 함께 이동(140d) 및 회전(360)하기 위한 것이다. 고정대는 투명 기판(S)의 양면에 밀착되며 투명 기판(S)에 비하여 작은 크기의 제1고정부재(140)와 제2고정부재(150)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1고정부재(140)의 내부에는 전자석(140a)이 구비되고, 제2고정부재(150)는 자력에 의해 인력이 작용하는 금속이나 자석으로 형성된다. 이를 통해, 측면 다듬질 가공 공정을 행하고자 하는 투명 기판(S)을 로봇 아암으로 제1고정부재(140)의 일면(140s)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제2고정부재(150)를 제1고정부재(140)의 일면(140s)에 마주보도독 위치시킨 상태에서 제1고정부재(140)의 전자석(140a)에 전류를 인가하여 발생되는 자력에 의해 제1고정부재(140)와 제2고정부재(150)는 서로 분리된 상태로 투명 기판(S)을 위치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The fixing table is for moving (140d) and rotating (360) together while the transparent substrate (S) is fixed. The fixing table is composed of a first fixing member 140 and a second fixing member 150 which are in close contact with both surfaces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S and are smaller in size than the transparent substrate S, The electromagnet 140a is provided in the first fixing member 140 and the second fixing member 150 is formed of a metal or a magnet acting on the electromagnet by the magnetic force. The transparent substrate S to be subjected to the side finishing process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one surface 140s of the first fixing member 140 with the robot arm so that the second fixing member 150 is fixed to the first fixing member 140, The first fixing member 140 and the second fixing member 140 are fixed by the magnetic force generated by applying a current to the electromagnet 140a of the first fixing member 140 in a state in which the press- 150 can be fixed to the transparent substrate S in a state where they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도4 및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대를 이루는 제1고정부재(140)와 제2고정부재(150)는 투명 기판(S)의 판면에 접하는 표면이 투명 기판(S)의 판면보다 더 작게 형성되므로, 제1고정부재(140)와 제2고정부재(150)의 사이에 투명 기판(S)을 위치 고정시킨 상태에서 투명 기판(S)은 측면(12)이 모두 외부에 드러난 상태가 된다. 4 and 5, the first fixing member 140 and the second fixing member 150 constituting the fixing table are formed such that the surface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S,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S, The transparent substrate S is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fixing member 140 and the second fixing member 150 and the side surface 12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S is exposed to the outside do.

상기 이동부(160, 170)는 투명 기판(S)을 고정하고 있는 고정대(140, 150) 중 제1고정부재(140)를 직선 이동시키는 직선 이동 구동부(160)와, 고정대와 함께 직선 이동 구동부(160)를 회전(360)시키는 회전 구동부(170)로 구성된다.The moving units 160 and 170 include a linear movement driving unit 160 for linearly moving the first fixing member 140 among the fixing stages 140 and 150 fixing the transparent substrate S, And a rotation driving unit 170 for rotating (360) the rotation shaft 160.

직선 이동 구동부(160)는 회전 브라켓(168)에 위치 고정된 직선 구동 모터(161)와, 직선 구동 모터(161)에 의해 회전 구동되고 고정대의 제1고정부재(140)의 암나사부와 맞물리는 수나사산이 형성된 나사봉(162)과, 나사봉(162)의 끝단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대(165)로 구성된다. 따라서, 직선 구동 모터(161)를 정, 역방향으로 회전하면, 나사봉(162)의 정, 역방향으로의 회전에 따라 제1고정부재(140)가 140d로 표시된 직선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투명 기판(S)을 이동시킨다. 회전 브라켓(168)에는 제1고정부재(140)의 직선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 레일(168g)이 형성되어, 제1고정부재(140)가 미리 정해진 경로로 정확하게 직선 이동하게 된다. The linear movement driving unit 160 includes a linear driving motor 161 fixed to the rotary bracket 168 and a linear driving motor 161 rotated by the linear driving motor 161 and engaged with the female threaded portion of the first fixing member 140 And a support base 165 for rotatably supporting an end of the threaded rod 162. The threaded rod 162 is formed of a threaded screw thread 162 and a support rod 165 for rotatably supporting the end of the threaded rod 162. [ Therefore, when the linear driving motor 161 is rotated in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the first fixing member 140 moves in the linear direction indicated by 140d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screw rod 162 in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 The rotation bracket 168 is provided with a guide rail 168g for guiding the linear movement of the first fixing member 140 so that the first fixing member 140 moves linearly in a predetermined path.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직선 이동 구동부(160)는 리드 스크류의 원리 이외에 리니어 모터의 원리로 제1고정부재(140)를 직선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inear movement driving unit 160 may be configured to linearly move the first fixing member 140 on the principle of the linear motor in addition to the principle of the lead screw.

회전 구동부(170)는 회전 구동 모터(171)의 회전축(172)이 직선 이동 구동부(160)를 위치시키고 있는 회전 브라켓(168)을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투명 기판(S)은 회전 구동 모터(171)에 의하여 회전하는 회전 브라켓(168)과 함께 회전된다. 도면에는 회전 구동 모터(171)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회전축(172)이 회전 브라켓(168)에 고정되어, 회전 브라켓(168)이 회전 구동 모터(171)에 의하여 직접 회전 구동되는 구성이 도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르면, 회전 브라켓(168)과 회전 구동 모터(171)의 사이에 감속기나 벨트 등의 동력전달수단 등이 개재될 수도 있다. The rotation driving unit 170 rotates the rotation bracket 168 in which the rotation axis 172 of the rotation driving motor 171 is positioned. Thus, the transparent substrate S is rotated together with the rotation bracket 168 rotated by the rotation drive motor 171. Although the drawing show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rotary shaft 172 rotated by the rotary drive motor 171 is fixed to the rotary bracket 168 and the rotary bracket 168 is directly driven and rotated by the rotary drive motor 171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ower transmission means such as a speed reducer or a belt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rotation bracket 168 and the rotation drive motor 171.

상기 착탈 아암(180)은 제1고정부재(140)를 향하여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내부에 전자석(150a)이 설치되어, 전자석(150a)에 전류를 인가하여 발생되는 자력으로 제2고정부재(150)를 선택적으로 파지하거나 분리시킨다. 즉, 투명 기판(S)을 고정대에 위치 고정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로봇 아암(미도시)에 의해 파지되는 투명 기판(S)의 판면을 제1고정부재(140)의 일면(140s) 근처로 위치시키면, 전자석(180a)에 전류를 인가하여 자력에 의해 제2고정부재(150)를 착탈 아암(180)에 부착한 상태로 착탈 아암(180)이 제1고정부재(140)를 향하여 이동한 후, 제1고정부재(140)의 전자석(140a)에 전류를 인가하면서 착탈 아암(180)의 전자석(180a)에 공급하는 전류의 세기를 점진적으로 낮게 조정하여, 착탈 아암(180)에 부착되어 있던 제2고정부재(150)가 제1고정부재(140)의 자력으로 제1고정부재(140)에 밀착하게 되고, 이를 통해 투명 기판(S)은 절단된 측면(12) 전체가 외부에 드러난 상태로 제1고정부재(140)와 제2고정부재(150)의 사이에 위치 고정된다. The attaching / detaching arm 180 is installed so as to reciprocate toward the first fixing member 140 and is provided with an electromagnet 150a therein. The electromagnet 150a applies electric current to the electromagnet 150a, (150). That is, in order to fix the transparent substrate S to the fixing table, the plate surface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S held by the robot arm (not shown) is positioned near one surface 140s of the first fixing member 140 A current is applied to the electromagnet 180a to move the attaching / detaching arm 180 toward the first fixing member 140 in a state where the second fixing member 150 is attached to the attaching / detaching arm 180 by a magnetic force The intensity of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to the electromagnet 180a of the attaching / detaching arm 180 is gradually lowered while the electric current is applied to the electromagnet 140a of the first fixing member 140, The second fixing member 150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fixing member 140 by the magnetic force of the first fixing member 140 so that the entire side surface 12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S is exposed And is fixed between the first fixing member 140 and the second fixing member 150.

이 때, 제1고정부재(140)의 일면(140s)은 도5를 기준으로 직선 구동 모터(161) 및 지지대(165)의 측면(161s, 165s)보다 오른쪽으로 돌출된다. 따라서, 회전 구동 모터(171)에 의해 제1고정부재(140)와 직선 이동 구동부(160)가 회전하더라도, 레이저 조사기(130)로부터 투명 기판(S)의 측면(12)을 향해 레이저빔(L)을 조사할 수 있는 환경이 마련된다. 이와 동시에, 제1고정부재(140)의 일면(140s)의 위치는 레이저빔 조사기(130)로부터 조사되는 레이저빔(L)이 투명 기판(S)의 측면(12)에 도달하도록 정해진다. One surface 140s of the first fixing member 140 protrudes to the right from the side surfaces 161s and 165s of the linear driving motor 161 and the support table 165 with reference to FIG. Therefore, even if the first fixing member 140 and the linear movement driving unit 160 rotate by the rotation driving motor 171, the laser beam L (L) is emitted from the laser irradiator 130 toward the side surface 12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S, ) Can be examined. At the same time, the position of one surface 140s of the first fixing member 140 is determined such that the laser beam L emitted from the laser beam irradiator 130 reaches the side surface 12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S.

한편, 도9에 도시된 다른 실시 형태의 구성에서와 같이, 고정대(140, 150)를 회전시키는 회전 구동 모터(171)에 의해 투명 기판(S)의 위치가 변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회전 브라켓(168')과 연결되는 회전축(172')의 단면이 크게 형성되면서, 회전축(172')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연장된 연장부(173)의 끝단(173a)이 작은 틈새 내에서만 위치하도록 하는 위치 고정부(190)에 의해 편차가 발생되는 것을 제한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회전 구동 모터(171)의 회전 등에 의해 투명 기판(S)이 회전하거나 이동하더라도, 레이저빔 조사기(130)로부터 조사되는 위치가 변동되지 않고 제 위치로 유지된다.
9, in order to prevent the position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S from being changed by the rotation drive motor 171 that rotates the fixing tables 140 and 150, A position where the end 173a of the extending portion 173 extending in the radial direction from the rotating shaft 172 'is located only in a small gap while a cross section of the rotating shaft 172' connected to the rotating shaft 172 ' And may be configured to limit the occurrence of a deviation by the control unit 190. Accordingly, even if the transparent substrate S rotates or moves due to rotation of the rotation drive motor 171, the position irradiated from the laser beam irradiator 130 is kept unchanged.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용 투명 기판(S)의 측면 가공 장치(100)의 작용 원리를 상술한다.The working principle of the side processing apparatus 100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S for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tructed as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단계 1: 먼저, 제1고정부재(140)의 일면(140s)에 투명 기판(S)의 판면이 접촉한 상태로 제2고정부재(150)가 투명 기판(S)의 반대 판면에 밀착하는 것에 의하여 투명 기판(S)을 위치 고정한다.
Step 1 : First, the second fixing member 150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opposite plate surface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S in a state in which the plate surface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S is in contact with one surface 140s of the first fixing member 140 The transparent substrate S is fixed in position.

단계 2: 그리고 나서, 레이저빔 조사기(130)로부터 제1레이저빔(L)을 투명 기판(S)의 측면(12)의 중심 경로(Pc)에 조사한 상태로, 직선 이동 구동부(160)에 의하여 투명 기판(S)을 10mm/sec 내지 20mm/sec의 속도로 y축 방향으로 고정대(140, 150)와 함께 직선 이동(99)시킨다. 이에 의해 투명 기판(S)의 일 측면(12)에 대하여 미세 요철의 제거 공정이 행해진다. Step 2 : Thereafter, the linear movement driving unit 160 causes the first laser beam L to irradiate the center path Pc of the side surface 12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S from the laser beam irradiator 130 The transparent substrate S is linearly moved 99 together with the fixing tables 140 and 150 in the y-axis direction at a speed of 10 mm / sec to 20 mm / sec. Thereby, the fine unevenness removing process is performed on one side surface 12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S.

그 다음, 투명 기판(S)을 고정하고 있는 제1고정부재(140) 및 제2고정부재(150)를 해체시키지 않고, 회전 구동부(170)에 의해 회전 브라켓(168)을 90도만큼 회전시키면서, 투명 기판(S)의 꼭지점 부분의 측면(12)에 레이저빔(L)을 조사하여 미세 요철층(12x)을 제거한다. Next, the rotation bracket 168 is rotated by 90 degrees by the rotation driving unit 170 without disassembling the first fixing member 140 and the second fixing member 150 fixing the transparent substrate S , The laser beam L is irradiated to the side surface 12 of the vertex portion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S to remove the fine uneven layer 12x.

그 다음, 고정대(140, 150)를 직선 이동시켜, 레이저빔 조사기(130)로부터 조사되는 제1레이저빔(L1)이 조사되지 않았던 투명 기판(S)의 다른 측면을 따라 조사되도록 하여, 투명 기판(S)의 다른 측면에 대하여 미세 요철을 제거한다.
The fixing bars 140 and 150 are linearly moved so that the first laser beam L1 irradiated from the laser beam irradiator 130 is irradiated along the other side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S to which the first laser beam L1 is not irradiated, The fine irregularities are removed from the other side surface of the substrate S.

단계 3: 그리고 나서, 레이저빔 조사기(130)로부터 조사되는 레이저 빔(L)의 초점 높이, 조사 위치 및 출력 강도를 20W 내지 70W로 낮게 조절한 제2레이저빔(L2)이 측면(12)의 편측 경로(Pe)에 조사한 상태로, 직선 이동 구동부(160)에 의하여 투명 기판(S)을 10mm/sec 내지 20mm/sec의 속도로 y축 방향으로 고정대(140, 150)와 함께 직선 이동(99)시켜, 투명 기판(S)의 일 측면(12)의 모서리에 경사진 챔퍼(Cf)를 균열없이 가공하게 된다. Step 3 : Thereafter, the second laser beam L2 whose focus height, irradiation position and output intensity of the laser beam L irradiated from the laser beam irradiator 130 is adjusted to 20W to 70W is applied to the side surface 12 The transparent substrate S is moved in the y-axis direction at a speed of 10 mm / sec to 20 mm / sec by a linear movement driving unit 160 along with the fixed rods 140 and 150 ) So that the chamfered portion Cf of the side surface 12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S is processed without cracks.

그 다음, 투명 기판(S)을 고정하고 있는 제1고정부재(140) 및 제2고정부재(150)를 해체시키지 않고, 회전 구동부(170)에 의해 회전 브라켓(168)을 90도만큼 회전시키면서, 투명 기판(S)의 꼭지점 부분의 측면(12)에 레이저빔(L)을 조사하여 꼭지점 측면에서도 경사진 챔퍼(Cf)를 형성한다. Next, the rotation bracket 168 is rotated by 90 degrees by the rotation driving unit 170 without disassembling the first fixing member 140 and the second fixing member 150 fixing the transparent substrate S , A laser beam (L) is applied to the side surface (12) of the vertex portion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S) to form an inclined chamfer (Cf) on the side of the vertex.

그 다음, 고정대(140, 150)를 직선 이동시켜, 레이저빔 조사기(130)로부터 조사되는 제2레이저빔(L)이 조사되지 않았던 투명 기판(S)의 다른 측면을 따라 조사되도록 하여, 투명 기판(S)의 다른 측면에 대하여 경사진 챔퍼(Cf)를 형성한다.
Next, the fixing tables 140 and 150 are linearly moved so that the second laser beam L irradiated from the laser beam irradiator 130 is irradiated along the other side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S to which the laser beam L is not irradiated, Thereby forming a sloping chamfer Cf with respect to the other side surface of the substrate S.

한편,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공 대상물인 투명 기판(S)의 양측 모서리에 대하여 챔퍼(Cf)를 형성해야 하는 경우에는, 레이저빔 조사기(130)로부터 조사되는 레이저 빔(L)의 조사 위치를 측면(12)의 중심선 반대편의 편측 경로(Pe)로 변경한 후에, 직선 이동 구동부(160) 및 회전 구동부(170)를 조작하면서 투명 기판(S)의 타 측면(12)의 모서리에 경사진 챔퍼(Cf)를 형성한다.
9, when the chamfer Cf is to be formed on both side edges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S as an object to be processed, the irradiation position of the laser beam L irradiated from the laser beam irradiator 130 After the linear motion driving unit 160 and the rotation driving unit 170 are operated, the angle of inclination of the other side surface 12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S is changed to the one side surface Pe of the side surface 12, Thereby forming a chamfer Cf.

단계 4: 이와 같은 방식으로, 단계 3과 단계 4를 반복하면서, 투명 기판(S)을 고정하고 있는 제1고정부재(140) 및 제2고정부재(150)를 해체시키지 않고, 투명 기판(S)의 둘레 전체의 측면(12)에 대하여 레이저빔(L)에 의한 미세 요철층(12x)의 제거 공정이 행해질 수 있다. Step 4 : Repeating steps 3 and 4 in this manner, the first fixing member 140 and the second fixing member 150 fixing the transparent substrate S are removed without removing the transparent substrate S The step of removing the fine concavo-convex layer 12x by the laser beam L can be performed on the side surface 12 of the entire perimeter of the concave portion 12a.

상기와 같은 공정은 레이저빔 조사기(130)의 위치는 고정되어 있고, 투명 기판(S)을 고정하는 고정대(140, 150)를 이동부(160, 170)에 의해 직선 이동 및 회전시키면서, 투명 기판(S)의 측면(12)을 따라 레이저빔(L)이 조사되도록 구성된다. 이를 통해, 투명 기판(S)의 위치 고정 작업을 한번만 하더라도, 투명 기판(S)의 둘레 전체의 측면(12)에 잔류하는 미세 요철을 모두 제거할 수 있으면서, 투명 기판(S)의 측면에 경사진 챔퍼(Cf)를 형성하게 되어, 투명 기판(S)의 측면 다듬질 가공 공정(S120)과 챔퍼 형성 공정(S130)을 보다 짧은 시간에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는 잇점을 얻을 수 있다.
In the above process, the position of the laser beam irradiator 130 is fixed, and the fixing units 140 and 150 for fixing the transparent substrate S are linearly moved and rotated by the moving units 160 and 170, (L) along the side surface (12) of the substrate (S). This makes it possible to remove all the fine unevenness remaining on the side surface 12 of the entire circumference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S even if the position fixing operation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S is performed only once,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advantage that the side chamfering step S120 and the chamfer forming step S130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S can be efficiently performed in a shorter time.

실시예Example 1: 다듬질 형성 공정 1: Finishing process

한편, 전술한 본 발명에 따라 유리 재질의 투명 기판(S)에 대하여 120W 출력의 이산화탄소 레이저빔을 130W 출력으로 조사하여 측면 다듬질 가공 공정이 행해지기 이전과 이후의 절단면(측면) 촬영 사진이 도12a 내지 도12d에 도시되어 있다. 도12a는 모바일 표시 장치에 사용되고 있는 상품명 "Soda Lime"이라는 일반 유리 기판이고, 도12b는 모바일 표시 장치에 사용되고 있는 상품명 "IOX-FS"이라는 일반 유리 기판이며, 도12c는 모바일 표시 장치에 사용되고 있는 상품명 "Gorilla2 20㎛"이라는 강화 유리 기판이고, 도12b는 모바일 표시 장치에 사용되고 있는 상품명 "Dragon 20㎛"이라는 강화 유리 기판이다. 이 중 도12c 및 도12d에 도시된 Grollia2 20㎛과 Dragon 20㎛은 20㎛ 두께의 강화층이 형성된 것이다. 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carbon dioxide laser beam with a power of 120 W is irradiated onto a transparent substrate S made of a glass material at a power of 130 W to produce a cut surface (side) photograph before and after the side surface finishing process, 12D. ≪ / RTI > 12A is a general glass substrate of the trade name "Soda Lime" used in a mobile display device, FIG. 12B is a general glass substrate of a trade name "IOX-FS " used in a mobile display device, Quot; Gorilla2 20 mu m ", and Fig. 12B is a tempered glass substrate called "Dragon 20 mu m " The Grollia 2 20 μm and the Dragon 20 μm shown in FIGS. 12C and 12D are formed with a reinforcing layer having a thickness of 20 μm.

본 발명에 따른 측면 다듬질 가공 공정을 적용하기 이전에는, 도12a 내지 도12d에 도시된 모든 투명 기판(S)의 측면에 미세 요철이 형성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측면 다듬질 가공 공정을 행한 이후에는, 거친 미세 요철층이 모두 제거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Before applying the side finishing proc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be seen that fine irregularities are formed on the sides of all the transparent substrates S shown in FIGS. 12A to 12D. However, after the side finishing proc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as performed, it was confirmed that the rough fine unevenness layer was completely remov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측면 다듬질 가공 공정을 적용하기 이전과 이후의 투명 기판에 대하여 강성 시험을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하였다. 즉, 서로 이격된 거치대에 투명 기판(S)을 거치시켜두고, 투명 기판(S)이 파손되는 시점까지 투명 기판(S)의 중앙부에 힘(F)을 점차 증가시키는 방식으로 "IOX-FS"라는 유리 기판에 대해 실험을 행한 결과, 본 발명에 따른 측면 다듬질 가공 공정을 행하기 이전에는 7.53kgf까지의 힘(F)에 대해 0.8mm정도의 휨 변위(중앙부)가 발생되면서 파손되었지만(도14a), 본 발명에 따른 측면 다듬질 가공 공정을 행하기 이후에는, 36.92kgf까지의 힘(F)에 대해 3.496mm정도의 휨 변위(중앙부)를 허용할때까지 견딜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도14b). In addition, a rigidity test was performed on the transparent substrate before and after applying the side finishing proc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IOX-FS "in such a manner that the force F is gradually increased at the central portion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S until the time when the transparent substrate S is broken by placing the transparent substrate S on the st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 central portion) of about 0.8 mm with respect to a force F of up to 7.53 kgf was generated before the side finishing proc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as performed, ), It was confirmed that after the side finishing processing proc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ble to withstand a force F of up to 36.92 kgf until a flexural displacement (center portion) of about 3.496 mm is allowed (Fig. 14B) .

즉, 도14c에 정리된 표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측면 다듬질 가공 공정을 행할 경우에는, 표시 장치용 투명 기판(S)의 강성이 5배 정도 향상된다는 것을 실험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That is, as shown in the table summarized in FIG. 14C, it has been confirmed experimentally that the rigidity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S for a display device is improved by about five times when the lateral finishing proc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erformed.

실시예Example 2:  2: 챔퍼Chamfer 형성 공정 Forming process

또한, 전술한 본 발명에 따라 측면 다듬질 가공 공정(S120)을 행한 0.7mm 두께의 유리 재질의 투명 기판(S)에 대하여, 9.4㎛의 파장과 40kHz의 주파수를 갖는 이산화탄소 제2레이저빔(L2)을 초점(F)이 측면(12)으로부터 5mm 내지 20mm의 범위의 거리를 하측으로 유지한 상태에서 10mm/sec 내지 20mm/sec의 속도로 이동하면서, 26.4W, 58W 출력으로 Soda Lime이라는 일반 유리 기판과 Gorilla2 20㎛라는 강화 유리 기판에 각각 조사하여 경사진 챔퍼(Cf)가 형성된 측면의 촬영 사진이 도16a 및 도16d에 도시되어 있다. (도16a는 모바일 표시 장치에 사용되고 있는 상품명 "Soda Lime"이라는 일반 유리 기판이고, 도16d는 모바일 표시 장치에 사용되고 있는 상품명 "Gorilla2 20㎛"이라는 강화 유리 기판이다.)The carbon dioxide second laser beam L2 having a wavelength of 9.4 占 퐉 and a frequency of 40 kHz is applied to a transparent substrate S of a glass material having a thickness of 0.7 mm which has undergone the side surface finishing step S1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as moved to a normal glass substrate called Soda Lime at a power of 26.4 W at a power of 58 W while moving the focal point F at a speed of 10 mm / sec to 20 mm / sec while maintaining a distance of 5 mm to 20 mm from the side face 16A and 16D are photographs of side surfaces on which a sloping chamfer Cf is formed by irradiating a tempered glass substrate called Gorilla2 20 mu m, respectively. (Fig. 16A is a general glass substrate of the trade name "Soda Lime" used in a mobile display, and Fig. 16D is a tempered glass substrate of a trade name "Gorilla2 20 m"

위 조건 하에서는 유리 기판(S)의 측면에 챔퍼를 형성하는 것이 균열없이 깨끗하게 가공된 것임을 확인할 수 있다. 강화 유리 기판의 경우에는 일반 유리 기판에 비하여 약간 높은 출력강도로 조사하는 경우에 보다 깨끗한 가공면을 갖는 챔퍼가 형성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It can be confirmed that forming the chamfer on the side surface of the glass substrate S is cleanly processed without cracks under the above conditions. In the case of the tempered glass substrate, a chamfer having a cleaner processed surface was formed when the sample was irradiated with a slightly higher output intensity than a general glass substrate.

한편, 상기와 같이 챔퍼 가공된 유리 기판에 대한 강성 시험을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한 결과, "Soda Lime"라는 일반 유리 기판에 대해서는, 본 발명에 따른 측면 다듬질 가공 공정 및 챔퍼 형성 공정을 행하기 이전에는 7.53kgf까지의 힘(F)에 대해 0.8mm정도의 휨 변위(중앙부)가 발생되면서 파손되었지만(도14a), 본 발명에 따른 측면 다듬질 가공 공정과 챔퍼 형성 공정을 행하기 이후에는, 대략 64kgf까지의 힘(F)에 대해 2.757mm정도의 휨 변위(중앙부)를 허용할때까지 견딜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도16b 및 도16c). On the other hand, as a result of performing the rigidity test on the chamfered glass substrate as described above as shown in FIG. 13, the general surface glass substrate of "Soda Lime" is subjected to the side finishing and chamfer forming process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enter portion) of about 0.8 mm with respect to the force F up to 7.53 kgf was generated (Fig. 14 (a)). After performing the side finishing process and the chamfer forming proc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enter portion) of about 2.757 mm with respect to a force F up to about 64 kgf (Fig. 16B and Fig. 16C).

즉, 본 발명에 따른 측면 다듬질 공정 및 챔퍼 형성 공정을 행할 경우에는, 모서리에 챔퍼를 형성하여 강도가 낮아질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표시 장치용 투명 기판(S)의 강성이 여전히 4.5~5배 정도 향상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는 것을 실험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That is, in the case of performing the side finishing process and the chamfer forming proc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lthough the strength may be reduced by forming a chamfer at an edge, the rigidity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S for a display device is still improved by 4.5 to 5 times Can be maintained.

비교예Comparative Example 1: 초점 높이의 변화 1: Change in focus height

한편, 전술한 본 발명에 따라 측면 다듬질 가공 공정(S120)을 행한 0.7mm 두께의 유리 재질의 투명 기판(S)에 대하여, 9.4㎛의 파장과 40kHz의 주파수를 갖는 이산화탄소 제2레이저빔(L2)을 초점(F)이 측면(12)으로부터 각각 18mm, 25mm 만큼 하측으로 이격된 위치 유지한 상태에서, 10mm/sec 내지 20mm/sec의 속도로 이동하면서 26.4W, 58W 출력으로 Soda Lime이라는 일반 유리 기판과 Gorilla2 20㎛라는 강화 유리 기판에 각각 조사하여 경사진 챔퍼(Cf)가 형성된 측면의 촬영 사진이 도17a 내지 도17b에 도시되어 있다. On the other hand, a carbon dioxide second laser beam L2 having a wavelength of 9.4 mu m and a frequency of 40 kHz is applied to a glass substrate S having a thickness of 0.7 mm, which has been subjected to the surface finishing step (S120) Was moved to a normal glass substrate Soda Lime at a power of 26.4 W at a power of 58 W while moving at a speed of 10 mm / sec to 20 mm / sec in a state in which the focal point F was kept spaced apart by 18 mm and 25 mm from the side face 12, And a Gorilla2 20 mu m reinforced glass substrate, respectively, and photographs taken on the side where the inclined chamfer Cf is formed are shown in Figs. 17A to 17B.

제2레이저빔(L2)을 초점(F)이 측면(12)으로부터 15mm를 초과하여 각각 18mm, 25mm 만큼 이격된 위치에서, 표면에 긁히는 미세 균열이나 깨지는 것과 같은 미세 균열이 발생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이 미세 균열이 투명 기판(S)의 측면에 형성되는 경우에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장착된 이후에 약간의 충격에 의해서도 균열이 성장하여 전체가 파손되는 결과를 야기한다.
It was confirmed that the micro-cracks such as micro-cracks or cracks that are scratched on the surface are generated in the second laser beam L2 at positions where the focus F is spaced apart by 15 mm from the side surface 12 by 18 mm and 25 mm, respectively . In the case where microcracks are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S as described above, the cracks grow even after a slight impact after being mounted on the display device, resulting in a total breakage.

실시예Example 3: 주파수의 변화 3: Change in frequency

한편, 전술한 본 발명에 따라 측면 다듬질 가공 공정(S120)을 행한 0.7mm 두께의 유리 재질의 투명 기판(S)에 대하여, 9.4㎛의 파장의 이산화탄소 제2레이저빔(L2)을 초점(F)이 측면(12)으로부터 5mm 내지 15mm의 범위를 유지한 상태에서, 10mm/sec 내지 20mm/sec의 속도로 이동하면서 26.4W, 58W 출력으로 Soda Lime이라는 일반 유리 기판과 Gorilla2 20㎛라는 강화 유리 기판에 50kHz의 주파수와 33kHz의 주파수의 제2레이저빔(L)을 각각 조사하여 경사진 챔퍼(Cf)가 형성된 측면의 촬영 사진이 도18a 내지 도18d에 도시되어 있다. (도18a 및 도18b는 모바일 표시 장치에 사용되고 있는 상품명 "Soda Lime"이라는 일반 유리 기판이고, 도18c 및 도18d는 모바일 표시 장치에 사용되고 있는 상품명 "Gorilla2 20㎛"이라는 강화 유리 기판이다.)On the other hand, a carbon dioxide second laser beam L2 having a wavelength of 9.4 mu m is focused on a transparent substrate S of a glass material having a thickness of 0.7 mm, which has been subjected to the side finishing step S1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le moving at a speed of 10 mm / sec to 20 mm / sec while maintaining the range of 5 mm to 15 mm from the side surface 12, a glass substrate of Soda Lime and a glass substrate of Gorilla2 Figs. 18A to 18D show photographed photographs of the side where the inclined chamfer Cf is formed by irradiating the second laser beam L having the frequency of 50 kHz and the frequency of 33 kHz, respectively. (Figs. 18A and 18B are general glass substrates of the trade name "Soda Lime" used in mobile display devices, and Figs. 18C and 18D are tempered glass substrates of trade name "Gorilla2 20 mu m "

그 결과, "Soda Lime"이라는 일반 유리 기판에 대해서는 도18a(50kHz) 및 도18b(33kHz)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파수의 변동에 무관하게 측면에 스크래치 등의 미세 균열이 발생되지 않았다. 또한, "Gorilla2 20㎛"이라는 강화 유리 기판에 대해서도 도18c(50kHz) 및 도18d(33kHz)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파수의 변동에 무관하게 측면에 스크래치 등의 미세 균열이 발생되지 않았다.
As a result, microcracks such as scratches were not generated on the side of the general glass substrate called "Soda Lime " irrespective of frequency variations, as shown in Figs. 18A (50 kHz) and Fig. 18B (33 kHz). Microcracks such as scratches were not generated on the side of the tempered glass substrate called "Gorilla2 20 占 퐉 " irrespective of frequency variations, as shown in Figs. 18c (50 kHz) and 18d (33 kHz).

비교예Comparative Example 2: 출력 강도의 변화 2: Change in output intensity

한편, 전술한 본 발명에 따라 측면 다듬질 가공 공정(S120)을 행한 0.7mm 두께의 유리 재질의 투명 기판(S)에 대하여, 9.4㎛의 파장의 이산화탄소 제2레이저빔(L2)을 초점(F)이 측면(12)으로부터 5mm 내지 15mm의 범위를 유지한 상태에서, 10mm/sec 내지 20mm/sec의 속도로 이동하면서 17W, 58W의 출력으로 Soda Lime이라는 일반 유리 기판에 조사하고, 35W와 75W의 출력 강도로 Gorilla2 20㎛라는 강화 유리 기판에 제2레이저빔(L2)을 각각 조사하여 경사진 챔퍼(Cf)가 형성된 측면의 촬영 사진이 도19a 내지 도19d에 도시되어 있다. (도19a 및 도19b는 모바일 표시 장치에 사용되고 있는 상품명 "Soda Lime"이라는 일반 유리 기판이고, 도19c 및 도19d는 모바일 표시 장치에 사용되고 있는 상품명 "Gorilla2 20㎛"이라는 강화 유리 기판이다.)On the other hand, a carbon dioxide second laser beam L2 having a wavelength of 9.4 mu m is focused on a transparent substrate S of a glass material having a thickness of 0.7 mm, which has been subjected to the side finishing step S1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glass substrate was irradiated with a power of 17 W and a power of 58 W on a general glass substrate of Soda Lime while moving at a speed of 10 mm / sec to 20 mm / sec while maintaining a range of 5 mm to 15 mm from the side surface 12, Figs. 19A to 19D show photographed photographs of the side where the inclined chamfer Cf is formed by irradiating the second laser beam L2 to the tempered glass substrate of Gorilla2 of 20 mu m in intensity, respectively. (Figs. 19A and 19B are general glass substrates of the trade name "Soda Lime" used in the mobile display device, and Figs. 19C and 19D are tempered glass substrates of the trade name "Gorilla2 20 mu m "

그 결과, "Soda Lime"이라는 일반 유리 기판에 대해서는 도19a(17W) 및 도19b(58W)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력 강도가 20W 내지 50W를 벗어나는 범위에서는 긁히거나 밀린 미세 균열이 측면(12)에 발생되었다. 그리고, "Gorilla2 20㎛"이라는 강화 유리 기판에 대해서는 도19c(35W) 및 도19d(75W)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력 강도가 40W 내지 70W를 벗어나는 범위에 대해서는 밀리거나 미세한 균열이 측면에 발생되었다.
As a result, as shown in Fig. 19A (17W) and Fig. 19B (58W) for a general glass substrate called "Soda Lime ", when the output intensity deviates from 20W to 50W, micro- Lt; / RTI > As shown in Fig. 19C (35W) and Fig. 19D (75W), for the tempered glass substrate of "Gorilla2 20 mu m ", milling or microscopic cracks were generated on the side of the range in which the output intensity deviated from 40W to 70W .

비교예Comparative Example 3: 조사 위치의 변화 3: Change of irradiation position

한편, 전술한 본 발명에 따라 측면 다듬질 가공 공정(S120)을 행한 0.7mm 두께의 유리 재질의 투명 기판(S)에 대하여, 9.4㎛의 파장의 이산화탄소 제2레이저빔(L2)을 초점(F)이 측면(12)으로부터 5mm 내지 15mm의 범위를 유지한 상태에서, 10mm/sec 내지 20mm/sec의 속도로 이동하면서 26.4W, 58W의 출력으로 각각 Soda Lime이라는 일반 유리 기판과 Gorilla2 20㎛라는 강화 유리 기판에 대하여 중심선(12c)으로부터 300㎛만큼 이격된 거리(w2)의 편측 경로와 600㎛ 및 1000㎛의 기판 바깥에 레이저빔의 중심(Lc)이 위치하도록 제2레이저빔(L2)을 각각 조사하여, 경사진 챔퍼(Cf)가 형성된 측면의 촬영 사진이 도20a 내지 도20d에 도시되어 있다. (도20a 내지 도20c는 모바일 표시 장치에 사용되고 있는 상품명 "Soda Lime"이라는 일반 유리 기판이고, 도20d 내지 도20f는 모바일 표시 장치에 사용되고 있는 상품명 "Gorilla2 20㎛"이라는 강화 유리 기판이다.)On the other hand, a carbon dioxide second laser beam L2 having a wavelength of 9.4 mu m is focused on a transparent substrate S of a glass material having a thickness of 0.7 mm, which has been subjected to the side finishing step S1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oda Lime and a tempered glass such as Gorilla2 of 20 mu m were respectively irradiated at a power of 26.4 W and 58 W while moving at a speed of 10 mm / sec to 20 mm / sec while maintaining a range of 5 mm to 15 mm from the side surface 12, The second laser beam L2 is irradiated to the substrate so that the center of the laser beam L2 is located on the one side of the distance w2 from the center line 12c by 300 mu m from the center line 12c and on the outside of the substrate of 600 mu m and 1000 mu m, 20A to 20D show photographed photographs of the side where the inclined chamfer Cf is formed. (Figs. 20A to 20C are general glass substrates of the trade name "Soda Lime" used in mobile display devices, and Figs. 20D to 20F are tempered glass substrates of trade name "Gorilla2 20 mu m "

그 결과, "Soda Lime"이라는 일반 유리 기판에 대해서는 중심선(12c)으로부터 300㎛(기판 두께(wo)의 0.42)만큼 이격된 편측 경로(Pe)에 제2레이저빔(L2)을 조사하는 경우에는 깨끗한 챔퍼(Cf)가 형성되지만, 중심선(12c)으로부터 600㎛(기판 두께의 0.85)와 1000㎛(기판두께의 1.42)만큼 이격된 위치에 제2레이저빔(L2)을 조사하는 경우에는 심각한 균열이 발생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As a result, when the second laser beam L2 is irradiated to the one side path Pe separated from the center line 12c by 300 占 퐉 (0.42 of the substrate thickness w0) for a general glass substrate called "Soda Lime" When the second laser beam L2 is irradiat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center line 12c by 600 m (0.85 of the substrate thickness) and 1000 m (1.42 of the substrate thickness), serious cracks As shown in FIG.

또한, "Gorilla2 20㎛"이라는 강화 유리 기판에 대해서는 중심선(12c)으로부터 300㎛(기판 두께(wo)의 0.42)만큼 이격된 편측 경로(Pe)에 제2레이저빔(L2)을 조사하는 경우에는 깨끗한 챔퍼(Cf)가 형성되지만, 중심선(12c)으로부터 600㎛(기판 두께의 0.85)와 1000㎛(기판두께의 1.42)만큼 이격된 위치에 제2레이저빔(L2)을 조사하는 경우에는 심각한 균열이 발생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In the case of irradiating the second laser beam L2 onto the one side path Pe separated by 300 占 퐉 (0.42 of the substrate thickness w0) from the center line 12c for the tempered glass substrate of "Gorilla2 20 占 퐉" When the second laser beam L2 is irradiat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center line 12c by 600 m (0.85 of the substrate thickness) and 1000 m (1.42 of the substrate thickness), serious cracks As shown in FIG.

실시예Example 4: 파장 대역의 변화 4: Change in wavelength band

한편, 전술한 본 발명에 따라 측면 다듬질 가공 공정(S120)을 행한 0.7mm 두께의 유리 재질의 투명 기판(S)에 대하여, 10.6㎛의 파장의 이산화탄소 제2레이저빔(L2)을 초점(F)이 측면(12)으로부터 5mm 내지 15mm의 범위를 유지한 상태에서, 10mm/sec 내지 20mm/sec의 속도로 이동하면서 37.1W, 54W 출력으로 Soda Lime이라는 일반 유리 기판과 Gorilla2 20㎛라는 강화 유리 기판에 제2레이저빔(L)을 각각 조사하여 경사진 챔퍼(Cf)가 형성된 측면의 촬영 사진이 도21a 및 도21b에 도시되어 있다. (도21a는 모바일 표시 장치에 사용되고 있는 상품명 "Soda Lime"이라는 일반 유리 기판이고, 도21b는 모바일 표시 장치에 사용되고 있는 상품명 "Gorilla2 20㎛"이라는 강화 유리 기판이다.)On the other hand, a carbon dioxide second laser beam L2 having a wavelength of 10.6 mu m is focused on a glass substrate S having a thickness of 0.7 mm, which has been subjected to the side finishing step S1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le moving at a speed of 10 mm / sec to 20 mm / sec while maintaining a range of 5 mm to 15 mm from the side surface 12, the glass substrate was heated at 37.1 W and at a power of 54 W on a general glass substrate called Soda Lime and a tempered glass substrate 21A and 21B are photographs taken on the side where the inclined chamfer Cf is formed by irradiating the second laser beam L, respectively. (Fig. 21A is a general glass substrate of the trade name "Soda Lime" used in a mobile display device, and Fig. 21B is a tempered glass substrate of a trade name "Gorilla2 20 m"

그 결과, 제2레이저빔(L2)의 파장 대역이 10.6㎛로 변동되더라도, 유리 투명 기판(S)의 측면에 스크래치 등의 미세 균열이 발생되지 않았다.
As a result, even if the wavelength band of the second laser beam L2 was changed to 10.6 mu m, microcracks such as scratches were not generat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glass transparent substrate S.

실시예Example 5: 파장 대역의 변화 5: Change in wavelength band

한편, 전술한 본 발명에 따라 측면 다듬질 가공 공정(S120)을 행한 0.7mm 두께의 유리 재질의 투명 기판(S)에 대하여, 355nm인 파장의 자외선 제2레이저빔(L2)을 초점(F)이 측면(12)으로부터 5mm 내지 15mm의 범위를 유지한 상태에서, 2.8mm/sec의 속도로 이동하면서 13W의 출력으로 Soda Lime이라는 일반 유리 기판과 Gorilla2 20㎛라는 강화 유리 기판에 제2레이저빔(L)을 각각 조사하여 경사진 챔퍼(Cf)가 형성된 측면의 촬영 사진이 도22a 및 도22b에 도시되어 있다. (도22a는 모바일 표시 장치에 사용되고 있는 상품명 "Soda Lime"이라는 일반 유리 기판이고, 도22b는 모바일 표시 장치에 사용되고 있는 상품명 "Gorilla2 20㎛"이라는 강화 유리 기판이다.)On the other hand, the ultraviolet second laser beam L2 having a wavelength of 355 nm is focused on a glass substrate S of 0.7 mm in thickness, which has been subjected to the side finishing step S1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le moving in the range of 5 mm to 15 mm from the side surface 12 while moving at a speed of 2.8 mm / sec, a general laser beam of Soda Lime and a laser beam L of Gorilla2 22A and 22B are photographs taken on the side where the inclined chamfer Cf is formed. (Fig. 22A is a general glass substrate used under the trade name "Soda Lime" used in a mobile display device, and Fig. 22B is a tempered glass substrate with a trade name "Gorilla2 20 m"

그 결과, 제2레이저빔(L2)의 파장 대역이 350nm로 변동되더라도, 출력 강도를 13W로 크게 낮추고, 동시에 제2레이저빔(L2)과 기판측면(12)의 이동 속도를 1/5~1/10로 크게 낮추면, 미세 균열 없이 깨끗한 챔퍼를 형성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이동 속도가 크게 낮아지므로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를 피할 수 없다.
As a result, even if the wavelength band of the second laser beam L2 is changed to 350 nm, the output intensity is largely reduced to 13 W and the moving speed of the second laser beam L2 and the substrate side 12 is reduced to 1/5 to 1 / 10, it was confirmed that a clean chamfer can be formed without microcracks. However, since the moving speed is greatly lowered, the problem of productivity deterioration can not be avoided.

비교예Comparative Example 4: 파장 대역 및 이동 속도의 변화 4: Change of wavelength band and moving speed

한편, 전술한 본 발명에 따라 측면 다듬질 가공 공정(S120)을 행한 0.7mm 두께의 유리 재질의 투명 기판(S)에 대하여, 355nm인 파장의 자외선 제2레이저빔(L2)을 초점(F)이 측면(12)으로부터 5mm 내지 15mm의 범위를 유지한 상태에서, 2.0mm/sec 및 4mm/sec의 속도로 각각 이동하면서 13W의 출력으로 Soda Lime이라는 일반 유리 기판과 Gorilla2 20㎛라는 강화 유리 기판에 제2레이저빔(L)을 각각 조사하여 경사진 챔퍼(Cf)가 형성된 측면의 촬영 사진이 도23a 내지 도23d에 도시되어 있다. (도23a 및 도23b는 모바일 표시 장치에 사용되고 있는 상품명 "Soda Lime"이라는 일반 유리 기판이고, 도23c 및 도23d는 모바일 표시 장치에 사용되고 있는 상품명 "Gorilla2 20㎛"이라는 강화 유리 기판이다.)On the other hand, the ultraviolet second laser beam L2 having a wavelength of 355 nm is focused on a glass substrate S of 0.7 mm in thickness, which has been subjected to the side finishing step S1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le moving in the range of 5 mm to 15 mm from the side surface 12, the glass substrate was moved at a speed of 2.0 mm / sec and 4 mm / sec, respectively, and a 13 W output was performed on a general glass substrate called Soda Lime and a tempered glass substrate called Gorilla2 2 (a) to 23 (d) are photographs of photographs taken on the side where the inclined chamfer Cf is formed by irradiating the two laser beams L, respectively. (Figs. 23A and 23B are general glass substrates of the trade name "Soda Lime" used in the mobile display device, and Figs. 23C and 23D are tempered glass substrates of the trade name "Gorilla2 20 mu m "

그 결과, 제2레이저빔(L2)이 355nm인 자외선 레이저빔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이동 속도가 약간만 변동되어, 정상적인 챔퍼 가공이 가능했던 2.8mm/sec에 비하여 0.8mm/sec의 편차가 있더라도, "Soda Lime"이라는 일반 유리 기판과 "Gorilla2 20㎛"이라는 강화 유리 기판에 균열이 매우 많이 발생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유리 투명 기판(S)의 측면에 챔퍼를 형성하는 것이 매우 까다롭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355nm의 파장 대역에서는 유리 기판에 대하여 레이저 빔의 에너지 흡수율이 90%이상으로 매우 민감하기 때문일 것으로 추정된다.
As a result, when the ultraviolet laser beam having the second laser beam L2 of 355 nm is used, even if there is a deviation of 0.8 mm / sec compared to 2.8 mm / sec, It was confirmed that cracks occur very much in a general glass substrate called "Soda Lime" and a tempered glass substrate called "Gorilla2 20 μm". Therefore, it has been confirmed that it is very difficult to form the chamfer on the side of the glass transparent substrate S according to the skill of the operator. This is presumably because the energy absorption rate of the laser beam is 90% or more for the glass substrate in the wavelength band of 355 nm, which is very sensitive.

비교예Comparative Example 5: 파장 대역의 변화 5: Change in wavelength band

한편, 전술한 본 발명에 따라 측면 다듬질 가공 공정(S120)을 행한 0.7mm 두께의 유리 재질의 투명 기판(S)에 대하여, 532nm인 파장의 그린 제2레이저빔(L2)을 초점(F)이 측면(12)으로부터 5mm 내지 15mm의 범위를 유지한 상태에서, 다양한 이동 속도로 각각 이동하면서 20.6W의 출력으로 Soda Lime이라는 일반 유리 기판과 Gorilla2 20㎛라는 강화 유리 기판에 제2레이저빔(L)을 각각 조사하여 경사진 챔퍼(Cf)가 형성된 측면의 촬영 사진이 도24에 도시되어 있다. (도24는 모바일 표시 장치에 사용되고 있는 상품명 "Soda Lime"이라는 일반 유리 기판이다.)On the other hand, a green second laser beam L2 having a wavelength of 532 nm is focused on a transparent glass substrate S having a thickness of 0.7 mm which has been subjected to the side finishing step S1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le moving in the range of 5 mm to 15 mm from the side surface 12, while moving at various moving speeds, a second laser beam L was irradiated onto a tempered glass substrate called Soda Lime and a tempered glass substrate called Gorilla2 Is shown in Fig. 24, which is a photograph taken on the side where the inclined chamfer Cf is formed. (Fig. 24 is a general glass substrate called "Soda Lime"

그 결과, 제2레이저빔(L2)이 532nm인 그린 레이저빔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다양한 이동 속도 등을 변동시키더라도, 일반 유리 기판과 강화 유리 기판 모두에 대하여 균열없이 챔퍼 가공을 할 수 있는 조건을 찾을 수 없었다. 이는, 532nm의 파장 대역에서는 유리 기판에 대하여 레이저 빔의 에너지 흡수율이 15%이하로 매우 낮기 때문일 것으로 추정된다.
As a result, in the case of using the green laser beam with the second laser beam L2 of 532 nm, even if the various moving speeds and the like are changed, the conditions for chamfering without cracking on both the general glass substrate and the tempered glass substrate Could not be found. It is assumed that the energy absorption rate of the laser beam to the glass substrate is as low as 15% or less in the wavelength band of 532 nm.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레이저빔이나 쏘(saw) 등을 이용하여 대형 기판을 표시 장치에 사용하는 투명 기판의 크기로 절단하는 과정에서, 절단면에 생성될 수 밖에 없는 미세 요철을 레이저빔을 조사하는 절단면 다듬질 단계에 의하여 짧은 시간 내에 높은 수율로 제거하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ocess of cutting a large-size substrate into a size of a transparent substrate used for a display device by using a laser beam, a saw or the like, fine irregularities, It is possible to obtain an advantageous effect of removing at a high yield within a short time by the cutting surface finishing step.

무엇보다도, 본 발명은, 숙련도에 관계없이 레이저빔의 초점 높이 및 경로 오차 등을 어느정도 수용하면서도 정확한 형태의 경사진 챔퍼를 가공할 수 있게 되며, 미세 균열 없이 가공하면서 휨 강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게 되어, 디스플레이 장치에 높은 강도와 내구성을 갖는 형태로 활용될 수 있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Among other th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processing a precisely shaped sloping chamfer while accommodating the focal height and path error of the laser beam, regardless of proficiency, and can further improve flexural rigidity while processing without microcracks Thus, it is possible to obtain an advantageous effect that the display device can be utilized in a form having high strength and durability.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 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12: 측면, 절단면 12c: 중심선
100: 기판의 측면 가공 장치 110: 절단용 레이저빔 조사기
120: 레이저빔 발진기 130: 레이저빔 조사기
140: 제1고정부재 140a: 전자석
150: 제2고정부재 160: 직선 이동 구동부
170: 회전 구동부 180: 착탈 아암
L: 레이저빔 L1: 제1레이저빔
L2: 제2레이저빔 S: 투명 기판
wo: 기판 두께 Pc: 중심 경로
Pe: 편측 경로
12: side, cut surface 12c: center line
100: substrate side processing device 110: cutting laser beam irradiator
120: laser beam oscillator 130: laser beam irradiator
140: first fixing member 140a: electromagnet
150: second fixing member 160: linear movement driving unit
170: rotation driving part 180:
L: laser beam L1: first laser beam
L2: second laser beam S: transparent substrate
wo: substrate thickness Pc: center path
Pe: One side path

Claims (28)

표시 장치용 투명 기판의 가공 방법으로서,
표시 장치에 사용하는 크기의 투명 기판이 되도록 대형 기판을 절단하는 기판 절단 단계와;
제1레이저빔의 중심이 상기 투명 기판의 절단면을 따르는 중심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형태로 상기 제1레이저빔을 상기 절단면에 조사하여 상기 절단면을 다듬질하는 절단면 다듬질단계와;
제2레이저빔의 중심이 상기 투명 기판의 중심선으로부터 상기 투명 기판의 판면을 향하여 일측으로 치우친 상기 절단면 상의 편측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형태로, 상기 제2레이저빔을 상기 절단면에 조사하여 상기 절단면의 일측 모서리를 따라 경사진 챔퍼(chamfer)를 형성하는 챔퍼형성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용 투명 기판의 가공 방법.
A method of processing a transparent substrate for a display device,
A substrate cutting step of cutting a large substrate so as to be a transparent substrate having a size used for a display device;
A cutting surface finishing step of finishing the cut surface by irradiating the cut surface with the first laser beam so that the center of the first laser beam moves along a center path along the cut surface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The second laser beam is irradiated onto the cut surface in such a manner that the center of the second laser beam moves along one side path on the cut surface deviated to one side from the center line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toward the surface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Forming a chamfer forming a chamfer that is inclined along an edge;
Wherein the transparent substrate is a transparent substra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챔퍼형성단계는, 상기 제2레이저빔이 초점에 도달하기 이전에 상기 절단면에 도달하는 형태로 상기 제2레이저빔을 상기 절단면에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용 투명 기판의 가공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hamfer forming step irradiates the second laser beam onto the cut surface in such a manner that the second laser beam reaches the cut surface before the second laser beam reaches the focus.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레이저빔의 초점은 상기 절단면으로부터 5mm 내지 20mm만큼 이격된 상기 투명 기판 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용 투명 기판의 가공 방법.
3. The method of claim 2,
And the focal point of the second laser beam is positioned within the transparent substrate spaced by 5 mm to 20 mm from the cut surfac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편측 경로는 상기 제2레이저빔의 중심이 상기 중심선으로부터 상기 투명 기판의 두께(wo)의 1/7 이상만큼 바깥으로 이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용 투명 기판의 가공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ne side path is spaced apart from the center line by at least 1/7 of the thickness wo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 경로는 상기 절단면의 중심선으로부터 상기 투명 기판의 두께(wo)의 1/6 이하로 이격된 범위 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용 투명 기판의 가공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enter path is in a range spaced apart from a center line of the cut surface by 1/6 or less of the thickness wo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챔퍼형성단계는,
상기 제2레이저빔을 상기 절단면을 따라 10mm/sec 내지 20mm/sec의 속도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표시 장치용 투명 기판의 가공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cond laser beam is moved along the cut surface at a speed of 10 mm / sec to 20 mm / sec.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레이저빔은 상기 절단면에 수직으로 조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용 투명 기판의 가공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second laser beam is irradiated perpendicularly to the cut surfac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레이저빔은 상기 절단면에 경사지게 조사하되, 경사각은 상기 투명 기판의 판면을 향하여 예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용 투명 기판의 가공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cond laser beam is irradiated obliquely on the cut surface, wherein the tilt angle forms an acute angle toward the surface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면은 상기 투명 기판의 둘레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용 투명 기판의 가공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ut surface is arranged around the transparent substra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기판은 유리 소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용 투명 기판의 가공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ransparent substrate is a glass material.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기판은 일부 두께에 강화층이 형성된 강화 유리 기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용 투명 기판의 가공 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transparent substrate is a tempered glass substrate having a reinforcing layer formed to a certain thickness.
제 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레이저빔과 상기 제2레이저빔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이산화탄소(CO2) 레이저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용 투명 기판의 가공 방법.
12.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1,
Wherein at least one of the first laser beam and the second laser beam is a carbon dioxide (CO 2 ) laser beam.
제 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레이저빔과 상기 제2레이저빔 중 어느 하나 이상은 8㎛ 내지 15㎛의 파장 대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표시 장치용 투명 기판의 가공 방법.
12.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1,
Wherein at least one of the first laser beam and the second laser beam has a wavelength band of 8 占 퐉 to 15 占 퐉.
제 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레이저빔은 30W 내지 300W의 출력 강도로 상기 절단면에 조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용 투명 기판의 가공 방법.
12.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1,
Wherein the first laser beam is irradiated on the cut surface at an output intensity of 30 W to 300 W.
제 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레이저빔은 20W 내지 70W의 출력 강도로 상기 절단면에 조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용 투명 기판의 가공 방법.
12.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1,
And the second laser beam is irradiated onto the cut surface at an output intensity of 20 W to 70 W.
제 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챔퍼형성단계는,
상기 투명 기판의 상기 절단면의 양측 모서리에 모두 챔퍼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용 투명 기판의 가공 방법.
12.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1,
Wherein chamfers are formed on both side edges of the cut surface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표시 장치용 투명 기판의 절단면 다듬질 가공 장치로서,
레이저빔을 발생시키는 레이저빔 발진기와;
상기 레이저빔 발진기로부터 레이저빔을 전송받아 레이저빔을 조사하는 레이저빔 조사기와;
상기 표시 장치에 사용하는 크기로 절단된 상기 투명 기판을 고정하는 고정대와;
상기 레이저빔 조사기로부터 발진되는 레이저빔이 상기 투명 기판의 절단면을 따르는 중심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형태로 상기 고정대와 상기 레이저빔 조사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동시키고, 상기 절단면의 두께 방향으로도 상기 레이저빔을 이동시키는 이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레이저빔 조사기로부터 조사되는 제1레이저빔이 상기 투명 기판의 절단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절단면을 다듬질 가공하고, 그 다음에 상기 레이저빔 조사기로부터 조사되는 제2레이저빔의 중심을 상기 절단면의 중심선으로부터 일측으로 치우친 편측 경로를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절단면의 일측에 챔퍼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용 투명 기판의 측면 가공 장치.
A cutting surface finishing apparatus for a transparent substrate for a display device,
A laser beam oscillator for generating a laser beam;
A laser beam irradiator for receiving a laser beam from the laser beam oscillator and irradiating the laser beam;
A fixing table for fixing the transparent substrate cut to a size used in the display device;
And moving the laser beam irradiating device in such a manner that a laser beam oscillated from the laser beam irradiator moves along a center path along a cut surface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and moves the laser beam irradiator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cut surface, A moving unit for moving the moving unit;
The first laser beam irradiated from the laser beam irradiator is moved along the cut surface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to finish the cut surface and then the center of the second laser beam irradiated from the laser beam irradiator And a chamfer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cut surface while moving along a one-side path shifted to one side from the center line of the cut surface.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대는 상기 투명 기판을 사이에 두고 상기 투명 기판의 양면과 각각 접하는 제1고정부재와, 제2고정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제1고정부재와 상기 제2고정부재의 접촉면이 상기 투명 기판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어, 상기 투명 기판은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상기 절단면이 상기 제1고정부재 및 상기 제2고정부재의 바깥으로 드러나게 상기 고정대에 위치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용 투명 기판의 측면 가공 장치.
18. The method of claim 17,
Wherein the fixing table has a first fixing member and a second fixing member which are in contact with both surfaces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with the transparent substrate interposed therebetween and a contact surface of the first fixing member and the second fixing member is in contact with the transparent substrate Wherein the transparent substrate is formed in a small size so that the cut surface located at the edge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is fixed to the fixing table so as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first fixing member and the second fixing member. Device.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부재와 상기 제2고정부재 중 어느 하나 이상에는 상기 제1고정부재와 상기 제2고정부재를 잡아당기는 전자석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용 투명 기판의 측면 가공 장치.
19. The method of claim 18,
Wherein at least one of the first fixing member and the second fixing member is provided with an electromagnet for pulling the first fixing member and the second fixing member.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제2레이저빔의 초점은 상기 절단면으로부터 5mm 내지 20mm만큼 이격된 상기 투명 기판 내에 위치한 상태로 상기 편측 경로를 따라 이동하면서 챔버를 상기 투명 기판에 가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용 투명 기판의 측면 가공 장치.
19. The method of claim 18,
Wherein the second laser beam is focused on the transparent substrate while moving along the one side path while being positioned within the transparent substrate spaced by 5 mm to 20 mm from the cut surface. Processing equipment.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편측 경로는 상기 제2레이저빔의 중심이 상기 중심선으로부터 상기 투명 기판의 두께(wo)의 1/7 이상만큼 바깥으로 이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용 투명 기판의 측면 가공 장치.
21. The method of claim 20,
Wherein the one side path is spaced apart from the center line by one seventh or more of the thickness wo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 경로는 상기 절단면의 중심선으로부터 상기 투명 기판의 두께(wo)의 1/6 이하로 이격된 범위 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용 투명 기판의 측면 가공 장치.
18. The method of claim 17,
Wherein the center path is within a range that is spaced from the center line of the cut surface by 1/6 or less of the thickness wo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상기 제1레이저빔과 상기 제2레이저빔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상기 투명 기판에 대한 상대 속도가 10mm/sec 내지 20mm/sec의 속도가 되게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용 투명 기판의 측면 가공 장치.
18. The method of claim 17,
Wherein the moving unit moves at least one of the first laser beam and the second laser beam so that a relative speed with respect to the transparent substrate is a speed of 10 mm / sec to 20 mm / sec. Side working device.
제 17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레이저빔과 상기 제2레이저빔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이산화탄소(CO2) 레이저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용 투명 기판의 측면 가공 장치.
2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7 to 23,
Wherein at least one of the first laser beam and the second laser beam is a carbon dioxide (CO 2 ) laser beam.
제 17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레이저빔은 8㎛ 내지 15㎛의 파장 대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용 투명 기판의 측면 가공 장치.
2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7 to 23,
And the second laser beam has a wavelength band of 8 占 퐉 to 15 占 퐉.
제 17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레이저빔은 30W 내지 300W의 출력 강도로 상기 절단면에 조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용 투명 기판의 측면 가공 장치.
2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7 to 23,
Wherein the first laser beam is irradiated on the cut surface at an output intensity of 30 W to 300 W.
제 17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레이저빔은 20W 내지 70W의 출력 강도로 상기 절단면에 조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용 투명 기판의 측면 가공 장치.
2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7 to 23,
And the second laser beam is irradiated on the cut surface at an output intensity of 20 W to 70 W.
제 17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상기 고정대를 직선 이동시키는 직선 이동 구동부와;
상기 고정대 및 상기 직선 이동 구동부를 회전시키는 회전 구동부를;
포함하여, 상기 레이저빔 조사기는 위치 고정된 상태에서 레이저빔을 상기 투명 기판의 절단면에 조사하고, 상기 고정대에 고정된 상기 투명 기판은 상기 직선 이동 구동부와 상기 회전 구동부에 의해 직선 이동 및 회전되면서 가장자리의 상기 절단면이 다듬질되고 챔퍼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용 투명 기판의 측면 가공 장치.


24. The apparatus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7 to 23,
A linear motion driving unit for linearly moving the fixed frame;
A rotation driving unit for rotating the fixing table and the linear motion driving unit;
Wherein the laser beam irradiator irradiates a laser beam onto a cut surface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in a fixed position and the transparent substrate fixed to the fixing table is linearly moved and rotated by the linear movement driving unit and the rotation driving unit, Wherein the cut surface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is finished and a chamfer is formed.


KR1020130119683A 2013-10-08 2013-10-08 Method of finishing side surfaces of transparent substrate for display device and finishing apparatus using same Expired - Fee Related KR101399838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9683A KR101399838B1 (en) 2013-10-08 2013-10-08 Method of finishing side surfaces of transparent substrate for display device and finishing apparatus using same
CN201410083407.5A CN104439713B (en) 2013-10-08 2014-03-07 Method and device for trimming side surface of transparent substrate of display un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9683A KR101399838B1 (en) 2013-10-08 2013-10-08 Method of finishing side surfaces of transparent substrate for display device and finishing apparatus using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9838B1 true KR101399838B1 (en) 2014-05-29

Family

ID=508953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9683A Expired - Fee Related KR101399838B1 (en) 2013-10-08 2013-10-08 Method of finishing side surfaces of transparent substrate for display device and finishing apparatus using sam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399838B1 (en)
CN (1) CN104439713B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2828A (en) 2014-11-25 2016-06-03 희성전자 주식회사 Method of finishing side surfaces of transparent substrate for display device and finishing apparatus for the same
US12219864B2 (en) 2021-03-17 2025-02-04 Samsung Display Co., Ltd. Method of manufacturing a display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51156A (en) * 2020-03-10 2020-06-09 刘怡 Glass curtain wall manufacturing equipment based on connecting shaft system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7517A (en) * 2003-02-28 2004-09-04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Manufacturing method of semiconductor device and menufacturing device of the same
KR20090027565A (en) * 2007-09-12 2009-03-17 미쓰보시 다이야몬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Chamfering method of brittle material substrate
KR20130037331A (en) * 2011-10-06 2013-04-1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Laser process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64500B2 (en) * 2000-12-16 2003-12-16 Anadigics, Inc. Laser-trimmable digital resistor
TWI252788B (en) * 2001-08-10 2006-04-11 Mitsuboshi Diamond Ind Co Ltd Brittle material substrate chamfering method and chamfering device
JP4935325B2 (en) * 2006-11-29 2012-05-23 澁谷工業株式会社 Method and apparatus for cleaving brittle materials
US9346130B2 (en) * 2008-12-17 2016-05-24 Electro Scientific Industries, Inc. Method for laser processing glass with a chamfered edg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7517A (en) * 2003-02-28 2004-09-04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Manufacturing method of semiconductor device and menufacturing device of the same
KR20090027565A (en) * 2007-09-12 2009-03-17 미쓰보시 다이야몬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Chamfering method of brittle material substrate
KR20130037331A (en) * 2011-10-06 2013-04-1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Laser processing devic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2828A (en) 2014-11-25 2016-06-03 희성전자 주식회사 Method of finishing side surfaces of transparent substrate for display device and finishing apparatus for the same
US12219864B2 (en) 2021-03-17 2025-02-04 Samsung Display Co., Ltd. Method of manufacturing a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439713B (en) 2016-03-23
CN104439713A (en) 2015-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23108B2 (en) Chamfering method for brittle material substrate
JP4251203B2 (en) Method for scribing bonded mother substrate and dividing method for bonded mother substrate
JP760458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rinding and repairing the surface of a silicon wafer
US20240001489A1 (en) High-efficiency and high-precision combined machining equipment and method for diamond wafer sheet
CN101903128B (en) Method for chamfering/machining brittle material substrate and chamfering/machining apparatus
JP539833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semiconductor wafer
JP7359980B2 (en) Laser irradiation repair device and method for repairing the surface of a silicon wafer after grinding
KR100509651B1 (en) Method of forming scribe line on semiconductor wafer, and scribe line forming device
JP202050822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inishing glass sheets
JP2015076115A (en) Disk-shaped glass substrate for magnetic recording mediu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disk-shaped glass substrate for magnetic recording medium
KR101399838B1 (en) Method of finishing side surfaces of transparent substrate for display device and finishing apparatus using same
JP2016164908A (en) Method of manufacturing optical device chip
KR101406139B1 (en) Method of finishing side surfaces of transparent substrate for display device and finishing apparatus using same
TWI475710B (en) Device for the production of thin layer solar cell module
JPWO200301381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cribing brittle material substrate
KR102444250B1 (en) Planarization module for laser processing apparatus, and Planarization method for the same
EP1864950A1 (en) Process and equipment for the preparation of sheets of glass for multiple glazing having at least one coated sheet of glass
JP5102557B2 (en) Method for dividing sapphire substrate
KR100381177B1 (en) An apparatus for polishing of glass
KR101385437B1 (en) Method of finishing side surfaces of transparent substrate for display device and finishing apparatus using same
JP2009248203A (en) Machining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display panel
KR101960847B1 (en) Flat Display Device And Fabricating Method Thereof
KR101466669B1 (e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through-hole of tempered glass cell
KR20160062828A (en) Method of finishing side surfaces of transparent substrate for display device and finishing apparatus for the same
CN202684689U (en) Sapphire wafer chamfer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100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31025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31008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1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52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5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05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03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