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399546B1 - 자흡식 양수펌프 - Google Patents

자흡식 양수펌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9546B1
KR101399546B1 KR1020120134705A KR20120134705A KR101399546B1 KR 101399546 B1 KR101399546 B1 KR 101399546B1 KR 1020120134705 A KR1020120134705 A KR 1020120134705A KR 20120134705 A KR20120134705 A KR 20120134705A KR 101399546 B1 KR101399546 B1 KR 1013995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transmission
transmission shaft
pump
impeller
self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47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명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흥전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흥전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흥전기
Priority to KR10201201347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95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95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9546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9/00Priming; Preventing vapour lock
    • F04D9/02Self-priming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3/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13/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13/06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electrically driven
    • F04D13/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electrically driven for submerged u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18Rotors
    • F04D29/22Rotors specially for centrifugal pumps
    • F04D29/24Vanes
    • F04D29/242Geometry, shape
    • F04D29/245Geometry, shape for special effe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9/00Priming; Preventing vapour lock
    • F04D9/04Priming; Preventing vapour lock using priming pumps; using booster pumps to prevent vapour-lock
    • F04D9/041Priming; Preventing vapour lock using priming pumps; using booster pumps to prevent vapour-lock the priming pump having evacuating a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10/00Working fluids
    • F05D2210/10Kind or type
    • F05D2210/11Kind or type liquid, i.e. incompressi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60/00Function
    • F05D2260/60Fluid transf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5/00Rotary kinetic fluid motors or pum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6/00Fluid reaction surfaces, i.e. impell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7/00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자흡식 양수펌프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자흡식 양수펌프는, 강이나 하천 및 저수지의 노면에 설치되어 양수시설로 사용하기 위해 엔진과 펌프의 직결구조를 구비한 것으로, 상기 엔진에 직결되는 동력전달축; 펌프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동력전달축과 결합되는 임펠러와, 상기 펌프 하우징 일측에 각각 형성된 입수관 및 출수관을 구비하며, 상기 임펠러가 상기 동력전달축의 타측 선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엔진의 동력에 의하여 펌핑 구동하는 펌프를 포함하는 자흡식 양수펌프에 있어서, 상기 임펠러는, 원형으로 형성되고, 중앙에 동력전달축이 결합되는 결합부가 형성된 판재; 상기 판재의 상면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다수 배열되는 깃;을 포함하고, 상기 깃은 호형으로 만곡지게 형성되며, 일측에 경사부가 형성되도록 한다.
이에 따르면, 임펠러의 구조를 개량함으로써 수두 18m 이상의 대용량의 양정을 가질 수 있고, 초기 작동시 마중물의 도입이 배제될 수 있으며, 작동의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흡식 양수펌프{SELF-PRIMING PUMP}
본 발명은 자흡식 양수펌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대적으로 고양정이고 토출 유량이 높으며 구조가 간단하고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는 임펠러를 장착한 자흡식 양수펌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펌프는 특히 모터, 엔진, 터빈 등의 구동기로부터 동력을 전달 받아 액체나 기체 등과 같은 유체를 관을 통해서 수송하거나, 저압의 용기 속에 있는 유체를 관을 통하여 고압의 용기 속으로 압송하는 유체기계를 말한다.
펌프는 초기에 탄광의 배수용, 선박용, 양수용으로부터 사용되기 시작하여 지금은 건물용, 상수도용, 하수도용, 배수용, 농업관개용, 공업용수용, 발전소용, 각종 플랜트용으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펌프는 물뿐만 아니라 석유나 각종 약품 또는 펄프, 점조성 슬러지 등과 같은 특수한 유체의 수송에도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펌프는 그 구조에 따라 왕복펌프, 로터리(회전)펌프, 원심펌프, 축류펌프,마찰펌프 및 기타 펌프로 대별될 수 있으며, 용도에 따라서는 급수펌프, 얕은 우물펌프, 깊은 우물펌프 등으로 분류될 때도 있고, 또한 용기 속에 있는 공기나 그밖의 가스를 흡출하여 진공을 만드는 장치는 특별히 진공펌프라 한다.
또한, 펌프의 초기 작동시 마중물(priming)을 필요로 하는 비자흡식 펌프와 이를 필요로 하지 않는 자흡식 펌프로 대별될 수도 있다.
자흡식 펌프에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157128호 및 동 제0484057호가 개시된 바 있다.
한편 종래 자흡식 양수펌프는 6인치, 8인치, 10인치 펌프가 시판중에 있으나 이보다 더 큰 대용량인 12인치 자흡식 양수펌프는 아직까지 기술적인 한계로 인해 제품의 완성 단계에 이르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었다.
그 원인으로는 펌프 케이싱의 내부에 장착되어 회전구동되는 임펠러가 대용량의 양수능력을 발휘하지 못하므로 펌프 양정의 확장에는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수두 18m 이상의 대용량의 양정을 가질 수 있고, 초기 작동시 마중물의 도입이 배제될 수 있으며, 작동의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임펠러의 성능을 개량한 자흡식 양수펌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강이나 하천 및 저수지의 노면에 설치되어 양수시설로 사용하기 위해 엔진과 펌프의 직결구조를 구비한 것으로, 상기 엔진에 직결되는 동력전달축; 펌프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동력전달축과 결합되는 임펠러와, 상기 펌프 하우징 일측에 각각 형성된 입수관 및 출수관을 구비하며, 상기 임펠러가 상기 동력전달축의 타측 선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엔진의 동력에 의하여 펌핑 구동하는 펌프를 포함하는 자흡식 양수펌프에 있어서, 상기 임펠러는, 원형으로 형성되고, 중앙에 동력전달축이 결합되는 결합부가 형성된 판재; 상기 판재의 상면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다수 배열되는 깃;을 포함하고, 상기 깃은 호형으로 만곡지게 형성되며, 일측에 경사부가 형성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흡식 양수펌프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깃의 갯수는 홀수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깃의 갯수는 7~9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깃의 입구각은 24~25°이고, 출구각은 22~23°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깃의 두께는 결합부에 근접되는 입구부와, 상기 판재의 외주에 근접된 출구부의 두께가 동일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입구부와 출구부의 두께는 14~18mm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깃의 두께는 입구부와 출구부가 상이하게 형성되며, 주철제인 경우 입구부는 3.5~7mm이고, 출구부는 4~10mm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깃의 출구폭은 0.074~0.076 mm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깃의 경사부는 입구측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합부는 동력전달축이 끼워지도록 중공을 갖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내주면에 키가 결합되는 키 결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임펠러의 구조를 개량함으로써 수두 18m 이상의 대용량의 양정을 가질 수 있고, 초기 작동시 마중물의 도입이 배제될 수 있으며, 작동의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흡식 양수펌프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상기 도 1에서 '임펠러'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상기 도 2의 임펠러에 대한 평면도,
도 4는 상기 도 2의 임펠러에 대한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흡식 양수펌프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상기 도 1에서 '임펠러'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상기 도 2의 임펠러에 대한 평면도, 도 4는 상기 도 2의 임펠러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흡식 양수펌프(A)는, 강이나 하천 및 저수지의 노면에 설치되어 양수시설로 사용하기 위해 엔진(500)과 펌프(A)의 직결구조를 구비한 것으로, 엔진에 직결되는 동력전달축(100); 펌프 하우징(200)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동력전달축(100)과 결합되는 임펠러(300)와, 상기 펌프 하우징(200) 일측에 각각 형성된 입수관(210) 및 출수관(220)을 구비하며, 상기 임펠러(300)가 상기 동력전달축(100)의 타측 선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엔진(500)의 동력에 의하여 펌핑 구동된다.
임펠러(300)는, 원형으로 형성되고, 중앙에 동력전달축(100)이 결합되는 결합부(330)가 형성된 판재(310); 판재(310)의 상면에 돌출 형성되며 결합부(330)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다수 배열되는 깃(3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깃(320)은 호형으로 만곡지게 형성되며, 상부 일측 모서리에 경사지게 모따기되어 경사부(322)가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깃(320)의 경사부(322)는 입구측에 형성된다. 또는 깃(320)의 경사부(322)는 출구측에 형성될 수도 있다.
깃(320)은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330)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배열되고, 그 갯수는 1~9사이의 홀수개로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깃(320)의 갯수는 7~9개로 형성된다.
또한 깃의 형상을 보면, 대체적으로 호형으로 이루어지되 깃의 입구각은 24~25°이고, 출구각은 22~23°로 설정된다.
깃(320)의 입구는 결합부(330)에 근접된 부위를 칭하는 것이고, 출구는 판재(310)의 외주에 근접한 부위를 칭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한편 깃(320)의 두께는 결합부(330)에 근접되는 입구부와, 상기 판재(310)의 외주에 근접된 출구부의 두께가 동일하게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입구부와 출구부의 두께는 14~18mm이며, 특히 15mm가 적당하다.
한편 깃(320)의 두께는 입구부와 출구부가 상이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깃(320)의 재질이 주철제인 경우 깃의 입구부는 3.5~7mm이고, 출구부는 4~10mm로 형성된다.
한편 깃(320)의 출구폭은 0.074~0.076 mm가 바람직하다.
결합부(330)는 동력전달축(100)이 끼워지도록 중공을 갖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내주면에 키가 결합되는 키 결합홈(332)이 형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 중 12인치 펌프의 기본 설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 12인치 자흡식 양수펌프의 기본 설계
조건 : 유량(Q) = 15㎥/min, 목표 수두(H) = 20m
1. 비속도
NS=N*(Q1/2/H3/4)[prm]
= 970*(151/2/203/4)-397.2
펌프효율 η=85% η=ηmvh이므로
ηm = 0.95
ηv = 0.95
ηh = 0.94로 가정함.
2. 회전차 출구 주속도 U2 및 바깥지름 d, 입구지름 d10
KU2m = 1.06
KU20 = 1.11
Km2 = 0.164
Km1 = 0.214
d10/d20 = 0.59
d10 / d2m = 0.64
U2m = KU2m *
Figure 112012097628762-pat00001
= 1.06*
Figure 112012097628762-pat00002
=20 m/s
d2m = 60*u2m / π*N = 60*21 / π*970 = 0.414 m
U20 = KU20 *
Figure 112012097628762-pat00003
= 1.11*
Figure 112012097628762-pat00004
=22 m/s
d20 = 60*u20 / π*N = 60*22 / π*970 = 0.433 m
d10 = 0.59*d20 = 0.59*0.433 - 0.255 m
또는 d10 = 0.67*d2m = 0.64*0.414 = 0.265 m
∴ d10 = 0.26m로 우선 선정.
3. 회전차 입,출구에서의 자오면 속도
Cm2 = Km2 *
Figure 112012097628762-pat00005
= 0.164*
Figure 112012097628762-pat00006
= 3.25m/s
Cm1 = Km1*
Figure 112012097628762-pat00007
= 0.214*
Figure 112012097628762-pat00008
= 4.24m/s
4. 깃입구의 평균지름 d1m, 입구폭 b1
ηv = 0.95%로 가정하였음으로
V= Q/ηv = 15/0.95 = 15.789㎥/min = 0.263㎥/s
V = 0.4m/s로 가정하면,
b1/d10 = 0.25 ,
∴ b1 = 0.25*0.26 = 0.065 m
d1m/d10 = 0.87 ,
∴ d1m = 0.87*0.26 = 0.226m
* 회전차 윤곽의 경사로 δ = 33°
Cm1 = v/(π*d1m*b1) = 0.263/(3.14*0.226*0.065) = 5.7m/s
상기 3.항목에서 Cm1 = 4.24 m/s 이므로 d10을 다시 선정해야함.
∴ b1 / d1m = 0.287
V/(π*d1m*(0.287)*d1m) = 4.24
∴ d1m =
Figure 112012097628762-pat00009
= 0.262
d1m = 0.262
d10 = 0.301
b1 = 0.075
Cm1 = 0.263/(π*0.262*0.075) = 4.26 m/s
U1m = (π*0.262*970)/60 = 13.3m/s
5 . 깃 입구각 β1m 과 출구각 β2m(λ : 깃 두께에 의한 증속율)
β1m = tan-1(λCm / U1m) = tan-1(1.45(4.26)/13.3) = 25°
β2m = 22.5°로 선정.
6. 깃 매수 (Z)
Z= β2m /3 = 22.5 / 3 = 7.5 ≒ 7매로 결정
7. 깃 두께(S)(입구부:S1, 출구부: S2)
S1 = S2 = 15mm로 선정(모래, 자갈이 섞여 마모가 심한 상황을 고려)
※ 일반 주철제의 경우 S1 = 3.5~7mm , S2 = 4~10mm
Su1 = 15/sinβ1m = 15/sin(25)= 0.035 = 35mm
λ1 = (π(d1m/Z))/(π(d1m/Z)-Su1) = (3.14(0.262/7))/((3.14(0.262/7)-0.035) = 1.42
가정한 λ1 = 1.45와 비슷함으로,
β1m = 25°
S1 = 15mm
Su1 = 35mm 로 결정함.
8. 회전차 출구폭 b2
Su2 = S/sinβ2m = (0.015/sin(22.5)) = 0.039 m
b2 = V/(πd2m-ZSu2)*Cm2 = 0.263/(3.14(0.414)-7(0.039)) = 0.0788 m
≒ 0.075 m
9. 총 수두 확인(H)
미끄럼이 없다고 가정하면 출구자오면에서
Cu2∞ = U2m - (Cm2/tan(β2m)) = (3.14(0.414)*970 / 50) - (3.25/tan(22.5)) = 28.21 m
미끄럼을 고려하면 (wisener식)
εlimit = (1/(exp{8.16sinβ2}/Z)) = (1/(exp{8.16sin(22.5)}/7)) = 0.64
d1m/d2m = 0.194 / 0.414 = 0.468 〈 0.64
δ = 1-
Figure 112012097628762-pat00010
sinβ2 / Z0.7 = 1-
Figure 112012097628762-pat00011
sin(22.5) / 70.7 = 0.842
Cu2m = Cu2∞ - U2m(1-δ)
= 13.17-(21.0*(1-0.842)) = 9.85 m/s
Hth = U2m*Cu2m / g = ((21.0)(9.85))/ 9.81 = 21.08 m
H = ηh * Hth = 0.94*21.08 = 19.8 ≒ 20 m
따라서 실제 목표 양정에 매우 근접한 수두값이 얻어질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100 : 동력전달축 200 : 펌프 하우징
300 : 임펠러 310 : 판재
320 : 깃 330 : 결합부
322 : 경사부

Claims (10)

  1. 강이나 하천 및 저수지의 노면에 설치되어 양수시설로 사용하기 위해 엔진과 펌프의 직결구조를 구비한 것으로, 상기 엔진에 직결되는 동력전달축; 펌프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동력전달축과 결합되는 임펠러와, 상기 펌프 하우징 일측에 각각 형성된 입수관 및 출수관을 구비하며, 상기 임펠러가 상기 동력전달축의 타측 선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엔진의 동력에 의하여 펌핑 구동하는 펌프를 포함하는 자흡식 양수펌프에 있어서,
    상기 임펠러는,
    원형으로 형성되고, 중앙에 동력전달축이 결합되는 결합부가 형성된 판재;
    상기 판재의 상면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다수 배열되는 깃;을 포함하고,
    상기 깃은 호형으로 만곡지게 형성되며, 일측에 경사부가 형성되도록 한 것이며,
    상기 깃의 두께는 결합부에 근접되는 입구부와, 상기 판재의 외주에 근접된 출구부의 두께가 상이하게 형성되며, 입구부는 3.5~7mm이고, 출구부는 4~10mm이며,
    상기 깃의 출구폭은 0.074~0.076 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흡식 양수펌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깃의 갯수는 홀수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흡식 양수펌프.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깃의 갯수는 7개 또는 9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흡식 양수펌프.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깃의 입구각은 24~25°이고, 출구각은 22~2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흡식 양수펌프.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깃의 경사부는 입구측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흡식 양수펌프.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동력전달축이 끼워지도록 중공을 갖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내주면에 키가 결합되는 키 결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흡식 양수펌프.


KR1020120134705A 2012-11-26 2012-11-26 자흡식 양수펌프 Active KR1013995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4705A KR101399546B1 (ko) 2012-11-26 2012-11-26 자흡식 양수펌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4705A KR101399546B1 (ko) 2012-11-26 2012-11-26 자흡식 양수펌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9546B1 true KR101399546B1 (ko) 2014-05-27

Family

ID=508953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4705A Active KR101399546B1 (ko) 2012-11-26 2012-11-26 자흡식 양수펌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954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98618A (ko) 2022-12-21 2024-06-28 이성현 양수펌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9103B1 (ko) 2005-09-26 2007-05-17 주식회사 에어로네트 터보형 후향익 다중 임펠러의 하이브리드 설계방법
JP2009056564A (ja) 2007-08-31 2009-03-19 Hitachi Koki Co Ltd 電動工具
JP2009293547A (ja) 2008-06-06 2009-12-17 Shinmaywa Industries Ltd 羽根車及びボルテックスポンプ
KR100950454B1 (ko) 2009-12-23 2010-04-02 (주)제일파워펌프 솔리드 자흡식 펌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9103B1 (ko) 2005-09-26 2007-05-17 주식회사 에어로네트 터보형 후향익 다중 임펠러의 하이브리드 설계방법
JP2009056564A (ja) 2007-08-31 2009-03-19 Hitachi Koki Co Ltd 電動工具
JP2009293547A (ja) 2008-06-06 2009-12-17 Shinmaywa Industries Ltd 羽根車及びボルテックスポンプ
KR100950454B1 (ko) 2009-12-23 2010-04-02 (주)제일파워펌프 솔리드 자흡식 펌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98618A (ko) 2022-12-21 2024-06-28 이성현 양수펌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172751A1 (en) Pump and pump impeller
KR101737420B1 (ko) 수중 슬러지 이송용 펌프 임펠러
CN102536807B (zh) 原油举升系统和利用滑片泵输送流体的方法
KR101694847B1 (ko) 스프르트 펌프
KR101399546B1 (ko) 자흡식 양수펌프
KR101399547B1 (ko) 대용량 흡입력을 갖는 엔진 직결형 자흡식 양수펌프
KR20120002637U (ko) 실링 보호기능을 갖춘 펌프
KR101607428B1 (ko) 디스크 임펠러를 구비한 펌프
CN202467779U (zh) 原油举升系统
KR101173735B1 (ko) 자흡식 펌프
RU57395U1 (ru) Направляющий аппарат ступени погружного центробежного насоса
KR100541353B1 (ko) 원추형 임펠러를 구비한 액체 공급 펌프
KR100951430B1 (ko) 자흡식 터보펌프
JP2009522501A (ja) ポンプ及びこれを用いた取水装置
KR100540381B1 (ko) 자흡식 펌프용 임펠러
CN116194674A (zh) 用于配置为泵送包含磨料的液体的潜水泵的开式叶轮
KR100438083B1 (ko) 폐타이어를 이용한 펌프
CN205779890U (zh) 一种污水切割泵
RU2296244C1 (ru) Устройство охлаждения и защиты от твердых частиц торцевого уплотнения погружного электродвигателя
KR200352526Y1 (ko) 로터리 펌프의 다단 조립식 임펠러
KR200301195Y1 (ko) 원추형 임펠러를 구비한 액체 공급 펌프
EP3642490A1 (en) Helical impeller
KR200340192Y1 (ko) 오폐수 및 액체 폐기물 수거용 펌프
RU2239725C2 (ru) Центробежный насос
KR20200007330A (ko) 로터리디스크펌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1126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2120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2112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11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5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5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05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1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1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1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12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3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61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1124

PR0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atent event code: PR04011E01D

Patent event date: 20201124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12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81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50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523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