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398848B1 - 시멘트 몰탈용 무기질계 팽창재 조성물 - Google Patents

시멘트 몰탈용 무기질계 팽창재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8848B1
KR101398848B1 KR20130075146A KR20130075146A KR101398848B1 KR 101398848 B1 KR101398848 B1 KR 101398848B1 KR 20130075146 A KR20130075146 A KR 20130075146A KR 20130075146 A KR20130075146 A KR 20130075146A KR 101398848 B1 KR101398848 B1 KR 1013988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flue gas
gas desulfurization
product
limeston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1300751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민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웸
Priority to KR201300751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88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88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8848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accelerators or shrinkage compensating agents
    • C04B22/008Cement and like inorganic materials added as expanding or shrinkage compensating ingredients in mortar or concrete compositions, the expansion being the result of a recrystallis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04Silica-rich materials; Silicates
    • C04B14/06Quartz; Sand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C04B18/06Combustion residues, e.g. purification products of smoke, fumes or exhaust gases
    • C04B18/08Flue dust, i.e. fly ash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C04B18/14Waste materials; Refuse from metallurgical processes
    • C04B18/141Slag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C04B18/14Waste materials; Refuse from metallurgical processes
    • C04B18/146Silica fum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0/00Use of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C04B14/00 - C04B18/00 and characterised by shape or grain distribution; Treatment of material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groups C04B14/00 - C04B18/00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xpanding or defibrillating materials
    • C04B20/0048Fibrous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8/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 C04B28/02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containing hydraulic cements other than calcium sulf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03/00Function or property of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2103/44Thickening, gelling or viscosity increasing ag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91Use of waste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or concre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uring Cements, Concrete, And Artificial Stone (AREA)

Abstract

자원 재활용이 가능하며 초기 재령 및 장기 재령에서의 균열발생 억제기능이 우수하도록, 생석회(CaO) 30~40중량%, 무수석고(CaSO4) 30~40중량%, 미반응 석회석(CaCO3) 25~35중량% 등이 함유된 석회석을 이용한 배연 탈황 부산물 50~95중량%와, 산화마그네슘(MgO) 40~50중량%, 황산마그네슘(MgSO4)40~50중량%, 무수석고(CaSO4) 5~15중량% 등이 함유된 수미석을 이용한 배연 탈황 부산물 5~50중량%를 포함하는 시멘트 몰탈용 무기질계 팽창재 조성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시멘트 몰탈용 무기질계 팽창재 조성물 {Inorganic Expending Admixture Composite for Cement Mortar}
본 발명은 시멘트 몰탈용 무기질계 팽창재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미석을 이용한 탈황 부산물을 사용하므로 자원 재활용이 가능하며 초기 재령 및 장기 재령에서의 균열발생 억제기능이 우수한 시멘트 몰탈용 무기질계 팽창재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나 다세대주택 등의 공동주택을 건축하는 과정에서 시멘트 콘크리트로 이루어지는 바닥 슬라브 위에 단열층을 시공한 다음, 온수배관 및 마감몰탈을 시공하고 있다.
종래 마감몰탈의 경우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18441호, 특허공보 제10-0340291호 및 제10-0191354호 등에 공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주로 칼슐설퍼알루미네이트계 팽창재를 사용하고 있으며, 생석회와 무수석고 등의 성분을 함유하는 팽창재 조성물을 사용하고 있다.
팽창재 조성물은 시멘트 몰탈의 길이변화율 등의 물리적인 특성을 개선하고 압축강도의 저하 및 균열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한다.
그런데 생석회의 경우 지하자원으로 매장량에 한계가 있으며, 장기적인 관점에서 이를 대체할 자원을 찾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13852호에는 생석회를 대체하여 제지공정에서 발생하는 부산물을 태운 제지부산물 연소재와, 탈황공정 중에서 발생되는 부산물인 애시(ash), 열병합발전 과정에서 발생되는 부산물인 애시(ash)를 사용하는 기술이 공개되어 있다.
본 발명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13852호와 다른 방법으로 접근한 것으로, 수미석을 정유공장 배연 탈황 공정에 투입하여 발생하는 부산물을 사용하여 생석회와 칼슘설퍼알루미네이트(CSA)계 팽창재를 대체하는 것이 가능한 시멘트 몰탈용 무기질계 팽창재 조성물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멘트 몰탈용 무기질계 팽창재 조성물은 석회석을 이용한 배연 탈황 부산물 50~95중량%와, 수미석을 이용한 배연 탈황 부산물 5~50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석회석(CaCO3)을 이용한 배연 탈황 부산물은 정유공장에서 배연 탈황 매개물로 석회석을 사용하여 배연 탈황 후에 발생되는 산업부산물로서, 생석회(CaO) 30~40중량%, 무수석고(CaSO4) 30~40중량%, 미반응 석회석(CaCO3) 25~35중량% 등이 함유된 상태로 존재한다.
상기 수미석(Mg(OH)2,CaO)을 이용한 배연 탈황 부산물은 정유공장에서 배연 탈황 매개물로 수미석을 사용하여 배연 탈황 후에 발생되는 산업부산물로서, 산화마그네슘(MgO) 40~50중량%, 황산마그네슘(MgSO4)40~50중량%, 무수석고(CaSO4) 5~15중량% 등이 함유된 상태로 존재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기질계 팽창재 조성물을 이용한 시멘트 몰탈은 석회석을 이용한 배연 탈황 부산물과 수미석을 이용한 배연 탈황 부산물로 이루어지는 팽창재 조성물 1~10중량%, 시멘트 10~40중량%, 모래 30~80중량%, 플라이 애쉬 1~10중량%, 슬래그 미분말 1~10중량%, 증점제 0.01~1.0중량%, 실리카 흄 0.1~5.0중량%, 실리카 미분말 0.5~10.0중량%, 섬유보강재 0.01~1.0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팽창재 조성물은 석회석을 이용한 배연 탈황 부산물 50~95중량%와, 수미석을 이용한 배연 탈황 부산물 5~50중량%의 비율로 혼합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팽창재 조성물은 시멘트의 일부 성분과 결합하여 에트링자이트(3CaO·Al2O3·3CaSO4·32H2O)라는 침상 결정의 팽창물질을 생성시켜 균열발생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며, 석회석을 이용한 배연 탈황 부산물은 주로 초기 재령(1일, 3일, 7일 이내)의 팽창에 기여하고, 수미석을 이용한 배연 탈황 부산물은 장기 재령(28일 이후)의 팽창에 기여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멘트 몰탈용 무기질계 팽창재 조성물에 의하면, 정유공장의 탈황공정에서 발생되는 산업 부산물을 사용하므로 자원의 재활용과 환경오염의 방지에 효과적이며, 환경친화적인 제품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멘트 몰탈용 무기질계 팽창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멘트 몰탈에 의하면, 초기 재령에 유리한 석회석을 이용한 배연 탈황 부산물과 장기 재령에 유리한 수미석을 이용한 배연 탈황 부산물을 함께 사용하므로, 초기재령 및 장기재령에서 모두 균열 발생을 최소한을 억제하는 효과를 얻는 것이 가능하며, 건물의 바닥에 사용할 경우 균열에 대한 안정성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기질계 팽창재 조성물을 이용한 시멘트 몰탈에 의하면, 건물의 바닥에 사용한 경우 종래 생석회를 사용하는 것에 비하여 응결시간이 단축되어 시공시간을 단축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압축강도도 우수하고, 길이변화율(팽창·수축율)에 있어서도 재령이 경과되면서 수축율이 절반 정도로 감소하여 균열 발생의 길이도 감소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시멘트 몰탈용 무기질계 팽창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멘트 몰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지만,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본 발명은 여러가지 다양한 형태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 1]
수미석을 이용한 배연 탈황 부산물 5중량%와 석회석을 이용한 배연 탈황 부산물 95중량%를 혼합하여 팽창재 조성물의 실시예 1을 제조하였다.
상기와 같이 제조한 실시예 1의 팽창재 조성물 4중량%, 시멘트 20중량%, 모래 68중량%, 플라이 애쉬 3중량%, 슬래그 미분말 1중량%, 증점재 0.5중량%, 실리카 흄 1중량%, 실리카 미분말 2중량%, 섬유보강재 0.5중량%를 혼합한 다음, 물을 첨가하여 시멘트 몰탈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수미석을 이용한 배연 탈황 부산물 15중량%와 석회석을 이용한 배연 탈황 부산물 85중량%를 혼합하여 팽창재 조성물의 실시예 2를 제조하였다.
상기와 같이 제조한 실시예 2의 팽창재 조성물 4중량%, 시멘트 20중량%, 모래 68중량%, 플라이 애쉬 3중량%, 슬래그 미분말 1중량%, 증점재 0.5중량%, 실리카 흄 1중량%, 실리카 미분말 2중량%, 섬유보강재 0.5중량%를 혼합한 다음, 물을 첨가하여 시멘트 몰탈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수미석을 이용한 배연 탈황 부산물 25중량%와 석회석을 이용한 배연 탈황 부산물 75중량%를 혼합하여 팽창재 조성물의 실시예 3을 제조하였다.
상기와 같이 제조한 실시예 3의 팽창재 조성물 4중량%, 시멘트 20중량%, 모래 68중량%, 플라이 애쉬 3중량%, 슬래그 미분말 1중량%, 증점재 0.5중량%, 실리카 흄 1중량%, 실리카 미분말 2중량%, 섬유보강재 0.5중량%를 혼합한 다음, 물을 첨가하여 시멘트 몰탈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수미석을 이용한 배연 탈황 부산물 35중량%와 석회석을 이용한 배연 탈황 부산물 65중량%를 혼합하여 팽창재 조성물의 실시예 4를 제조하였다.
상기와 같이 제조한 실시예 4의 팽창재 조성물 4중량%, 시멘트 20중량%, 모래 68중량%, 플라이 애쉬 3중량%, 슬래그 미분말 1중량%, 증점재 0.5중량%, 실리카 흄 1중량%, 실리카 미분말 2중량%, 섬유보강재 0.5중량%를 혼합한 다음, 물을 첨가하여 시멘트 몰탈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
수미석을 이용한 배연 탈황 부산물 50중량%와 석회석을 이용한 배연 탈황 부산물 50중량%를 혼합하여 팽창재 조성물의 실시예 5를 제조하였다.
상기와 같이 제조한 실시예 5의 팽창재 조성물 4중량%, 시멘트 20중량%, 모래 68중량%, 플라이 애쉬 3중량%, 슬래그 미분말 1중량%, 증점재 0.5중량%, 실리카 흄 1중량%, 실리카 미분말 2중량%, 섬유보강재 0.5중량%를 혼합한 다음, 물을 첨가하여 시멘트 몰탈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무수석고 45중량%, 생석회 45중량%, 칼슘설퍼알루미네이트계 광물 10중량%를 혼합하여 팽창재 조성물의 비교예를 제조하였다.
상기와 같이 제조한 비교예의 팽창재 조성물 4중량%, 시멘트 20중량%, 모래 68중량%, 플라이 애쉬 3중량%, 슬래그 미분말 1중량%, 증점재 0.5중량%, 실리카 흄 1중량%, 실리카 미분말 2중량%, 섬유보강재 0.5중량%를 혼합한 다음, 물을 첨가하여 시멘트 몰탈을 제조하였다.
상기와 같이 제조한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의 시멘트 몰탈을 사용하여 한국공업규격 KS F 2436, KS L ISO 679, KS F 2424의 시험방법에 따라 각각 응결시간, 압축강도, 길이변화율을 측정한 다음, 다음의 표 1에 그 결과를 나타낸다. 여기에서 길이변화율은 공시체 치수가 4×4×16 cm인 몰드를 이용하여 측정한 것으로, 양생방법을 항온항습실 양생(온도:19∼21℃, 습도:55∼65%)으로 실시한 데이터이다.

구분
응결시간(시:분) 압축강도(MPa) 길이변화율(%)
초결 종결 3일 7일 28일 3일 7일 28일
실시예 1 4:15 7:25 10 14 21 +0.0181 -0.021 -0.035
실시예 2 4:10 7:20 11 15 22 +0.1322 -0.025 -0.030
실시예 3 4:05 7:10 12 16 23 +0.1533 -0.029 -0.028
실시예 4 4:00 7:00 13 17 24 +0.2011 -0.032 -0.026
실시예 5 3:55 6:50 14 18 25 +0.2251 -0.035 -0.024
비교예 4:25 7:40 11 15 23 +0.2375 -0.055 -0.074
상기한 표 1로부터 확인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기질계 팽창재 조성물을 시멘트 몰탈이 생석회를 사용하는 비교예와 대비하여 길이변화율이 초기재령(3일, 7일) 및 장기재령(28일)에서 크게 억제되어 균열 발생 길이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우수한 품질을 보임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응결시간과 압축강도의 경우에도 수미석을 이용한 배연 탈황 부산물의 함유량이 많아질수록 더 향상됨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수미석을 이용한 배연 탈황 부산물의 함유량이 50중량%를 초과하는 비율로 혼합될 경우에는 마그네슘(Mg)에 의한 반응의 활성화를 제어하기가 어려워 원하는 특성값을 확보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가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시멘트 몰탈용 무기질계 팽창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멘트 몰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명세서의 범위 안에서 여러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5)

  1. 석회석을 이용한 배연 탈황 부산물 50~95중량%와, 수미석을 이용한 배연 탈황 부산물 5~50중량%를 포함하는 시멘트 몰탈용 무기질계 팽창재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석회석(CaCO3)을 이용한 배연 탈황 부산물은 정유공장에서 배연 탈황 매개물로 석회석을 사용하여 배연 탈황 후에 발생되는 산업부산물로서, 생석회(CaO) 30~40중량%, 무수석고(CaSO4) 30~40중량%, 미반응 석회석(CaCO3) 25~35중량%이 함유된 상태로 사용되고,
    상기 수미석(Mg(OH)2,CaO)을 이용한 배연 탈황 부산물은 정유공장에서 배연 탈황 매개물로 수미석을 사용하여 배연 탈황 후에 발생되는 산업부산물로서, 산화마그네슘(MgO) 40~50중량%, 황산마그네슘(MgSO4)40~50중량%, 무수석고(CaSO4) 5~15중량%이 함유된 상태로 사용되는 시멘트 몰탈용 무기질계 팽창재 조성물.
  3. 석회석을 이용한 배연 탈황 부산물과 수미석을 이용한 배연 탈황 부산물로 이루어지는 팽창재 조성물 1~10중량%, 시멘트 10~40중량%, 모래 30~80중량%, 플라이 애쉬 1~10중량%, 슬래그 미분말 1~10중량%, 증점제 0.01~1.0중량%, 실리카 흄 0.1~5.0중량%, 실리카 미분말 0.5~10.0중량%, 섬유보강재 0.01~1.0중량%를 포함하는 무기질계 팽창재 조성물을 이용한 시멘트 몰탈.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팽창재 조성물은 석회석을 이용한 배연 탈황 부산물 50~95중량%와, 수미석을 이용한 배연 탈황 부산물 5~50중량%의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하는 무기질계 팽창재 조성물을 이용한 시멘트 몰탈.
  5.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석회석(CaCO3)을 이용한 배연 탈황 부산물은 정유공장에서 배연 탈황 매개물로 석회석을 사용하여 배연 탈황 후에 발생되는 산업부산물로서, 생석회(CaO) 30~40중량%, 무수석고(CaSO4) 30~40중량%, 미반응 석회석(CaCO3) 25~35중량%이 함유된 상태로 사용되고,
    상기 수미석(Mg(OH)2,CaO)을 이용한 배연 탈황 부산물은 정유공장에서 배연 탈황 매개물로 수미석을 사용하여 배연 탈황 후에 발생되는 산업부산물로서, 산화마그네슘(MgO) 40~50중량%, 황산마그네슘(MgSO4)40~50중량%, 무수석고(CaSO4) 5~15중량%이 함유된 상태로 사용되는 무기질계 팽창재 조성물을 이용한 시멘트 몰탈.
KR20130075146A 2013-06-28 2013-06-28 시멘트 몰탈용 무기질계 팽창재 조성물 Expired - Fee Related KR1013988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75146A KR101398848B1 (ko) 2013-06-28 2013-06-28 시멘트 몰탈용 무기질계 팽창재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75146A KR101398848B1 (ko) 2013-06-28 2013-06-28 시멘트 몰탈용 무기질계 팽창재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8848B1 true KR101398848B1 (ko) 2014-05-27

Family

ID=508951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75146A Expired - Fee Related KR101398848B1 (ko) 2013-06-28 2013-06-28 시멘트 몰탈용 무기질계 팽창재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884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253094A1 (en) * 2011-03-29 2012-10-04 Heritage Environmental Services, Llc Stabilizing hazardous wastes using waste byproducts
KR20160077387A (ko) * 2014-12-22 2016-07-04 주식회사 포스코 바닥용 시멘트 모르타르 조성물
KR102297320B1 (ko) 2021-03-04 2021-09-03 주식회사 수인건설 조강형 팽창재와 이를 함유한 콘크리트 보수용 모르타르 및, 콘크리트 보수용 모르타르를 이용한 콘크리트 보수공법
KR102351741B1 (ko) 2020-10-21 2022-01-18 (주)후현엠에스 래들 슬래그가 함유된 무수축 혼합재와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보수용 모르타르 조성물 및, 콘크리트 보수용 모르타르 조성물을 이용한 콘크리트 보수공법
KR102528745B1 (ko) * 2022-10-18 2023-05-08 아세아시멘트(주) 양생 에너지 저감형 고염소 결합재 조성물 및 콘크리트 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4915A (ko) * 2001-11-24 2002-01-16 권승안 시멘트 몰탈용 수축저감재와 이를 이용한 온돌마감미장용시멘트 몰탈
KR100999355B1 (ko) * 2010-06-24 2010-12-09 청암산업건설 주식회사 콘크리트 구조물의 단면 보수보강용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4915A (ko) * 2001-11-24 2002-01-16 권승안 시멘트 몰탈용 수축저감재와 이를 이용한 온돌마감미장용시멘트 몰탈
KR100999355B1 (ko) * 2010-06-24 2010-12-09 청암산업건설 주식회사 콘크리트 구조물의 단면 보수보강용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253094A1 (en) * 2011-03-29 2012-10-04 Heritage Environmental Services, Llc Stabilizing hazardous wastes using waste byproducts
KR20160077387A (ko) * 2014-12-22 2016-07-04 주식회사 포스코 바닥용 시멘트 모르타르 조성물
KR101639908B1 (ko) 2014-12-22 2016-07-15 주식회사 포스코 바닥용 시멘트 모르타르 조성물
KR102351741B1 (ko) 2020-10-21 2022-01-18 (주)후현엠에스 래들 슬래그가 함유된 무수축 혼합재와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보수용 모르타르 조성물 및, 콘크리트 보수용 모르타르 조성물을 이용한 콘크리트 보수공법
KR102297320B1 (ko) 2021-03-04 2021-09-03 주식회사 수인건설 조강형 팽창재와 이를 함유한 콘크리트 보수용 모르타르 및, 콘크리트 보수용 모르타르를 이용한 콘크리트 보수공법
KR102528745B1 (ko) * 2022-10-18 2023-05-08 아세아시멘트(주) 양생 에너지 저감형 고염소 결합재 조성물 및 콘크리트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32988B2 (ja) 耐火モルタル
KR101720504B1 (ko) 내구성능이 개선된 초속경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로 유지 보수 공법
KR101432750B1 (ko) 석탄재를 이용한 모르타르 또는 콘크리트 조성물 및 그의 용도
KR101398848B1 (ko) 시멘트 몰탈용 무기질계 팽창재 조성물
KR101223888B1 (ko) 활성도가 향상된 고로슬래그 미분말 조성물
ATE512940T1 (de) Mineralisches dämmelement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CN105658599A (zh) 包含硫铝酸钙水泥和镁化合物的结合料
KR101654568B1 (ko) 조강형 숏크리트 조성물
KR101366174B1 (ko) 친환경 콘크리트용 결합재 조성물
KR101779565B1 (ko) 레미콘용 친환경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
KR101311720B1 (ko) 수축저감 시멘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모르타르 조성물
KR101269450B1 (ko) 시멘트 몰탈용 팽창재 조성물
JP6238579B2 (ja) 炭酸化建材用の結合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345203B1 (ko) 탄닌을 이용한 저알칼리 비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블록
KR101858477B1 (ko) 친환경 건축물 내외장용 블록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블록의 제조방법
KR101774509B1 (ko)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용 균열제어형 모르타르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고내구성 보수방법
KR100597712B1 (ko) 콘크리트용 액상형 수축저감제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콘크리트 조성물
KR101086098B1 (ko) 유동층 보일러 분진을 이용한 콘크리트 제조용 조성물
KR101594157B1 (ko) 비소성 결합재를 활용한 친환경 모르타르 조성물
KR102111254B1 (ko) 수축 제어형 콘크리트용 시멘트 복합 조성물, 이의 제조 방법 및 모르타르 조성물
KR101733053B1 (ko) 증기양생 콘크리트의 결합재
KR101111635B1 (ko) 탄닌을 이용한 저알칼리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블록
KR101603270B1 (ko) 폴리머 보수·보강 모르타르 조성물
KR101943039B1 (ko) 수축 저감형 고강도 콘크리트 패널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수축 저감형 내외장용 고강도 콘크리트 패널
KR101815016B1 (ko) 레디믹스트 콘크리트용 친환경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62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40109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30628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31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5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05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3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50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1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32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102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