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398022B1 - 위성 단말기용 크래들 - Google Patents

위성 단말기용 크래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8022B1
KR101398022B1 KR1020120038330A KR20120038330A KR101398022B1 KR 101398022 B1 KR101398022 B1 KR 101398022B1 KR 1020120038330 A KR1020120038330 A KR 1020120038330A KR 20120038330 A KR20120038330 A KR 20120038330A KR 101398022 B1 KR101398022 B1 KR 1013980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adle
terminal
satellite terminal
block
satellit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83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15741A (ko
Inventor
박종인
Original Assignee
에이피위성통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피위성통신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이피위성통신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383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8022B1/ko
Priority to EP13775985.8A priority patent/EP2838206B1/en
Priority to CN201380029355.7A priority patent/CN104471863B/zh
Priority to US14/394,359 priority patent/US20150080064A1/en
Priority to PCT/KR2013/002855 priority patent/WO2013154302A1/ko
Publication of KR201301157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57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80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802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11Supports for sets, e.g. incorporating armre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H04M1/06Hooks; Crad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88Arrangements for carrying or protecting trans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54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comprising one or a plurality of mechanically detachable modu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storing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pagers or smart 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폰 단말기가 변경되면 크래들을 교체 설치하여 위성 단말기에서 장착할 수 있도록 구조를 개선한 위성 단말기용 크래들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위성 단말기용 크래들로서, 위성 단말기에 설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결합용 블록을 형성한 제 1 크래들; 및 임의의 스마트폰 단말기가 안착되고, 일측에 상기 제 1 크래들의 블록과 결합하는 블록 결합부를 형성한 제 2 크래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스마트폰 단말기가 변경되어도 크래들만 교체하여 이미 사용중인 위성 단말기에 거치시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위성 단말기용 크래들{CRADLE FOR SATELLITE TERMINAL}
본 발명은 위성 단말기용 크래들에 관한 발명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스마트폰 단말기가 변경되면 크래들을 교체 설치하여 위성 단말기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조를 개선한 위성 단말기용 크래들에 관한 것이다.
위성을 통신수단으로 이용하는 위성 단말기는 바다, 하늘, 산, 계곡 등 위치에 상관없이 통화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인 위성 통신용 단말기는 위성 안테나와, 위성 통신을 수행하는 위성 통신 모듈과, 위성 통신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사용자로부터 동작 신호를 입력받는 키입력부와, 동작 상태를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와,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검출하는 마이크와, 상기 사용자에게 음향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와, 위성 통신 단말기의 프로그램 정보, 사용자의 설정 정보, 전화번호 등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최근에는 위성 단말기에 지상 통신망을 이용하여 통신이 가능하도록 무선 통신부를 설치한 복합 단말기도 제안되고 있다.
한편, 최근의 기술 발전으로 지상 통신망을 이용한 모바일 단말기는 비약적인 발전이 이루어졌고, 통화가 주요한 기능인 모바일 단말기와 개인 휴대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의 장점을 결합한 새로운 모바일 단말기로서, 스마트폰이 급속하게 보급되고 있다.
이러한 스마트폰은 일반적인 통화 기능에 일정관리, 팩스 송·수신 및 인터넷 접속 등의 데이터 통신과 멀티미디어 기능을 통합시킨 것으로서, 가장 큰 특징은 완제품으로 출시되어 주어진 기능만 사용하던 기존의 모바일 단말기들과는 달리 수백여 종의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응용프로그램)을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설치하고 추가 또는 삭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최근에는 스마트폰과 위성 단말기를 결합하여 위성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설치하여 스마트폰을 이용한 위성 통신이 가능한 기술들이 제안되고 있다.
이를 위해 스마트폰이 위성 단말기와 물리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크래들을 사용하여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크래들이 설치된 위성 단말기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위성 단말기(10)는 전면 하부에 통화자의 음성을 입력받는 마이크(11)가 설치되고, 상기 위성 단말기(10)의 전면 상부에는 통화자에게 음성을 출력하는 스피커(12)가 설치되며 상기 위성 단말기(10)의 전면에는 크래들(20)이 일체형으로 설치되어 상기 크래들(20)에 스마트폰(30)이 물리적으로 결합되도록 한다.
그러나 위성 단말기(10)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크래들(20)은 특정 단말기의 형상에 한정되므로 상기 크래들(20)의 형상과 다른 형상의 스마트폰은 상기 위성 단말기의 크래들(20)에 거치시켜서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가 스마트폰(30)을 교체한 경우 종래에 사용하던 위성 단말기(10)는 사용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위성 단말기(10)는 다양한 형상의 크래들(20)이 장착된 다양한 모델의 위성 단말기(10)를 공급해야하므로 제조 과정이 복잡해지고,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종래의 선행기술로는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1998-0007091호(공개일:1998.03.30, 명칭:이동통신을 이용한 자기위치 탐색 기능이 부가된교통정보단말기)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스마트폰 단말기가 변경되면 크래들을 교체 설치하여 위성 단말기에서 장착할 수 있도록 구조를 개선한 위성 단말기용 크래들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위성 단말기용 크래들로서, 위성 단말기에 설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결합용 블록을 형성한 제 1 크래들; 및 임의의 스마트폰 단말기가 안착되고, 일측에 상기 제 1 크래들의 블록과 결합하는 블록 결합부를 형성한 제 2 크래들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 1 크래들은 위성 단말기의 외부 케이스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 1 크래들은 제 1 크래들 몸체; 및 상기 제 1 크래들 몸체의 외부면에 일정 간격으로 돌출되어 요철(凹凸)을 형성한 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 1 크래들은 상기 제 1 크래들 몸체의 하부에 돌출되어 형성한 마이크부; 및 상기 제 1 크래들 몸체의 상부에 돌출되어 형성한 스피커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 2 크래들은 스마트폰 단말기가 안착되는 스마트폰 수납홈을 형성한 제 2 크래들 몸체; 및 상기 제 2 크래들 몸체의 일측에 상기 블록이 삽입되도록 다수의 결합공을 천공한 블록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 2 크래들은 상기 제 2 크래들 몸체의 하부에 마이크가 설치되는 마이크부 수납홈; 및 상기 제 2 크래들 몸체의 상부에 스피커가 설치되는 스피커부 수납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스마트폰 단말기가 변경되어도 크래들만 교체하여 이미 사용중인 위성 단말기에 거치시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 은 종래 기술에 따른 크래들이 설치된 위성 단말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위성 단말기용 크래들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 은 도 2에 따른 위성 단말기용 크래들을 결합하여 나타낸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위성 단말기용 크래들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위성 단말기용 크래들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따른 위성 단말기용 크래들을 결합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위성 단말기용 크래들(100)은 제 1 크래들(110)과 제 2 크래들(11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 1 크래들(110)은 위성 단말기(200)에 설치되어 제 2 크래들(120)이 선택적으로 탈부착 되도록 하는 구성으로서, 제 1 크래들 몸체(111)와, 블록(112)과, 마이크부(113)와, 스피커부(11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 1 크래들 몸체(111)는 사각 형상의 부재로서, 바람직하게는 위성 단말기(200)의 외부 케이스이다.
상기 블록(112)은 제 1 크래들 몸체(111)의 외부면으로부터 일정 길이 돌출되어 형성된 요철(凹凸)로써, 상기 제 1 크래들 몸체(111)에 일정 간격을 유지하며 다수 형성된다.
상기 마이크부(113)는 위성 단말기(200)에 설치된 마이크(미도시)를 일정 길이만큼 돌출시켜서 제 1 크래들 몸체(111)의 하부에 배치한 것으로 제 2 크래들(120)의 설치로 인한 상기 마이크의 위치가 사용자에게 근접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마이크부(113)는 블록(112)을 통해 체결된 제 2 크래들(120)의 하부 일부와 결합하여 상기 제 2 크래들(120)이 유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스피커부(114)는 위성 단말기(200)에 설치된 스피커(미도시)를 일정 길이만큼 돌출시켜서 제 1 크래들 몸체(111)의 상부에 배치한 것으로 제 2 크래들(120)의 설치로 인한 상기 스피커의 위치가 사용자에게 근접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스피커부(114)는 블록(112)을 통해 체결된 제 2 크래들(120)의 상단 일부와 결합하여 상기 제 2 크래들(120)이 유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 2 크래들(120)은 임의의 스마트폰 단말기(300)가 위성 단말기(200)에 거치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플라스틱 수지로 이루어진 구성으로서, 제 2 크래들 몸체(121)와, 스마트폰 수납홈(122)과, 블록 결합부(123)와, 마이크부 수납홈(124)과, 스피커부 수납홈(12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 2 크래들 몸체(121)는 사각 형상의 판 부재로서, 주변 테두리를 따라 임의의 형상을 갖는 스마트폰 단말기(300)가 안착되도록 스마트폰 수납홈(122)이 형성된다.
상기 스마트폰 수납홈(122)은 거치 대상 스마트폰 단말기(300)가 안착되도록 일정 크기를 형성하며 전방이 개방되어 구성된다.
상기 블록 결합부(123)는 제 2 크래들 몸체(121) 상에 제 1 크래들 몸체(111)에 설치된 다수의 블록(112)와 결합할 수 있도록 대응되는 위치에 다수 천공되어 형성된다.
즉 상기 블록 결합부(123)는 제 1 크래들 몸체(111) 상에 형성된 블록(112)과 억지끼움 결합을 통해 체결되어 제 2 크래들(120)이 제 1 크래들(110)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마이크부 수납홈(124)은 제 2 크래들 몸체(121)의 하부에 제 1 크래들의 마이크부(113)가 설치되도록 하는 구성으로서, 상기 마이크부(113)는 제 2 크래들 몸체(121)를 관통하여 배치됨과 동시에 상기 제 2 크래들(120)이 흔들리지 않도록 더욱 견고하게 지지한다.
상기 스피커부 수납홈(125)은 제 2 크래들 몸체(121)의 상부에 제 1 크래들의 스피커부(114)가 설치되도록 하는 구성으로서, 상기 스피커부(114)는 제 2 크래들 몸체(121)를 관통하여 배치됨과 동시에, 상기 제 2 크래들(120)이 제 1 크래들(110)과 밀착되어 흔들리지 않도록 마이크 수납홈(124)과 함께 더욱 견고하게 지지한다.
다음은 본 발명에 따른 위성 단말기용 크래들의 동작 과정을 설명한다.
위성 단말기용 크래들(100)의 제 1 크래들(110)은 위성 통신을 수행하는 위성 단말기(200)에 설치되고, 상기 제 1 크래들(110)의 중앙에는 다수의 요철이 형성된 블록(112)이 형성된다.
임의의 스마트폰 단말기(300)를 위성 단말기(200)에 거치시켜 사용할 경우 상기 스마트폰 단말기(300)를 제 2 크래들(120)에 안착시킨 후 상기 제 2 크래들(120)과 제 1 크래들(110)을 밀착시켜 블록(112)이 블록 결합부(123)에 삽입되도록 억지끼움시켜 결합한다.
또한, 제 2 크래들(120)의 마이크부 수납홈(124)과 스피커부 수납홈(125)은 제 1 크래들(110)의 마이크부(113)와 스피커부(114)에 각각 밀착되도록 하여 더욱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이후 사용자의 스마트폰 단말기(300)가 교체될 경우 이미 설치된 제 2 크래들(120)을 분리시킨 후 새로운 스마트폰 단말기가 안착될 수 있는 제 2 크래들을 설치함으로써 위성 단말기(200)에 새로운 스마트폰 단말기(300)를 거치시켜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스마트폰 단말기가 변경된 경우 플라스틱 재질의 제 2 크래들만 교체하면 스마트폰 단말기의 형상에 상관없이 위성 단말기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으며, 상술된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100 : 크래들 110 : 제 1 크래들
111 : 제 1 크래들 몸체 112 : 블록
113 : 마이크부 114 : 스피커부
120 : 제 2 크래들 121 : 제 2 크래들 몸체
122 : 스마트폰 수납홈 123 : 블록 결합부
124 : 마이크부 수납홈 125 : 스피커부 수납홈
200 : 위성 단말기 300 : 스마트폰 단말기

Claims (6)

  1. 위성 단말기용 크래들(100)로서, 위성 단말기(200)의 외부케이스로 설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결합용 블록(112)을 형성한 제 1 크래들(110); 및 임의의 스마트폰 단말기(300)가 안착되고, 일측에 상기 제 1 크래들(110)의 블록(112)과 결합하는 블록 결합부(123)를 형성한 제 2 크래들(120)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크래들(120)은 스마트폰 단말기(300)가 안착되는 스마트폰 수납홈(122)을 형성한 제 2 크래들 몸체(121); 상기 제 2 크래들 몸체(121)의 일측에 상기 블록(112)이 삽입되도록 다수의 결합공을 천공한 블록 결합부(123); 상기 제 2 크래들 몸체(121)의 하부에 상기 제 1 크래들(110)의 마이크부(113)가 설치되는 마이크부 수납홈(124); 및 상기 제 2 크래들 몸체(121)의 상부에 상기 제 1 크래들(110)의 스피커부(114)가 설치되는 스피커부 수납홈(12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 단말기용 크래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크래들(110)은 위성 단말기의 외부 케이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 단말기용 크래들.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크래들(110)은 제 1 크래들 몸체(111); 및
    상기 제 1 크래들 몸체(111)의 외부면에 일정 간격으로 돌출되어 요철(凹凸)을 형성한 블록(11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 단말기용 크래들.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20038330A 2012-04-13 2012-04-13 위성 단말기용 크래들 Active KR1013980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8330A KR101398022B1 (ko) 2012-04-13 2012-04-13 위성 단말기용 크래들
EP13775985.8A EP2838206B1 (en) 2012-04-13 2013-04-05 Satellite terminal cradle
CN201380029355.7A CN104471863B (zh) 2012-04-13 2013-04-05 卫星终端托架
US14/394,359 US20150080064A1 (en) 2012-04-13 2013-04-05 Satellite terminal cradle
PCT/KR2013/002855 WO2013154302A1 (ko) 2012-04-13 2013-04-05 위성 단말기용 크래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8330A KR101398022B1 (ko) 2012-04-13 2012-04-13 위성 단말기용 크래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5741A KR20130115741A (ko) 2013-10-22
KR101398022B1 true KR101398022B1 (ko) 2014-05-27

Family

ID=493278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8330A Active KR101398022B1 (ko) 2012-04-13 2012-04-13 위성 단말기용 크래들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50080064A1 (ko)
EP (1) EP2838206B1 (ko)
KR (1) KR101398022B1 (ko)
CN (1) CN104471863B (ko)
WO (1) WO201315430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80319B2 (en) * 2015-02-26 2016-11-01 Cradl, Ltd. Protective cas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D769854S1 (en) * 2015-06-30 2016-10-25 Bennett Alexander Duval Mobile phone case with detachable supporting strap
USD866498S1 (en) * 2018-09-28 2019-11-12 Ben Mercer Mobile device with an integrated hazardous condition detection system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23685A (ja) * 2000-02-18 2003-08-05 セルポート システム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車両におけるハンドフリー無線通信
KR100609427B1 (ko) * 2004-01-31 2006-08-03 아태위성산업 주식회사 위성단말기의 고정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30400B1 (en) * 1996-01-16 2002-08-06 Ericsson Inc. Detachable flip cover assembly for a portable phone
DE29903958U1 (de) * 1999-03-04 1999-06-10 Online GmbH, 59423 Unna Station für ein schnurloses Telekommunikationsendgerät
JP3332023B2 (ja) * 1999-11-17 2002-10-07 日本電気株式会社 移動体衛星通信端末及びその使用方法
WO2002057117A2 (de) * 2001-01-18 2002-07-25 Andreas Peiker Anordnung zur handhabung eines kommunikationsgerätes
KR100608779B1 (ko) * 2004-05-07 2006-08-08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위성 방송 수신용 안테나 장치 및 이를 위한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대
KR100575787B1 (ko) * 2004-06-15 2006-05-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위성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용 다이버시티 안테나를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KR100585770B1 (ko) * 2004-07-21 2006-06-07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위성방송 수신용 안테나 장착장치
DE602006013364D1 (de) * 2006-12-08 2010-05-12 Bury Sp Zoo Satellitentelefonhalter
DE102008005589A1 (de) * 2007-01-29 2008-07-31 Peiker Acustic Gmbh & Co. Kg Aufnahmevorrichtung
CN101657337B (zh) * 2007-01-29 2011-10-05 派卡阿库斯蒂克公司 容纳装置
US8488246B2 (en) * 2010-02-28 2013-07-16 Osterhout Group, Inc. See-through near-eye display glasses including a curved polarizing film in the image source, a partially reflective, partially transmitting optical element and an optically flat fil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23685A (ja) * 2000-02-18 2003-08-05 セルポート システム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車両におけるハンドフリー無線通信
KR100609427B1 (ko) * 2004-01-31 2006-08-03 아태위성산업 주식회사 위성단말기의 고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5741A (ko) 2013-10-22
EP2838206A1 (en) 2015-02-18
US20150080064A1 (en) 2015-03-19
CN104471863A (zh) 2015-03-25
WO2013154302A1 (ko) 2013-10-17
EP2838206B1 (en) 2017-07-26
EP2838206A4 (en) 2016-01-06
CN104471863B (zh) 2016-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50651B2 (en) Electronic device with folded display
US9667296B2 (en) Mobile terminal having an antenna
US20090325649A1 (en) Wireless earphone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US20130102365A1 (en) Pouch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US9199397B2 (en) Injection molded case having antenna patter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110054481A (ko) 이동 단말기
KR101977080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케이스 제조 방법
CN101944921A (zh) 移动终端
KR20110033694A (ko) 이동 단말기
KR102406222B1 (ko) 휴대폰 케이스
KR101398022B1 (ko) 위성 단말기용 크래들
KR20120091869A (ko) 휴대폰 케이스
CN102917087B (zh) 移动终端
KR20110131748A (ko) 이동 단말기
KR101185190B1 (ko) 휴대폰 케이스
US20070199862A1 (en) Cradling/packaging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US20130215558A1 (en) Mobile terminal
US9973636B2 (en) Mobile terminal
US7694879B2 (en) Remote controller with hands-free function for portable terminal
US8073507B2 (en) Communication device
US8730160B2 (en) Retention mechanism for a navigation tool
CN207802085U (zh) 保护壳
KR20110031794A (ko) 이동 단말기
KR101472590B1 (ko) 통합 심 카드 및 통합 심 카드가 장착된 휴대 단말기
CN204557065U (zh) 蓝牙手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41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3061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90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31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5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05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8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41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33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33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22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613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